KR100874231B1 - 천장형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천장형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231B1
KR100874231B1 KR1020070043980A KR20070043980A KR100874231B1 KR 100874231 B1 KR100874231 B1 KR 100874231B1 KR 1020070043980 A KR1020070043980 A KR 1020070043980A KR 20070043980 A KR20070043980 A KR 20070043980A KR 100874231 B1 KR100874231 B1 KR 100874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air conditioner
heating member
heating
transf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8740A (ko
Inventor
문광오
김순곤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3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231B1/ko
Publication of KR2008009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형 에어컨의 토출구에 장착되는 히팅부재를 금속재질의 열전달부재 내부에 한 가닥 이상 삽입하고, 이 열전달부재를 브라켓부재로써 본체에 고정함에 따라 휨을 방지하여 히팅부재를 다수가닥 구비시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히팅부재를 보호하고자 하는 천장형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 천장형, 본체, 히팅부재, 열전달부재, 브라켓

Description

천장형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apparatus for fixing heater in air-conditioner}
도 1은 종래 천장형 에어컨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히팅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팅부재의 설치 상태를 보인 천장형 에어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부재의 단부와 본체의 연결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부재와 브라켓의 연결 상태를 보인 분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02: 토출구
104: 루버프레임 110: 히팅부재
120: 열전달부재 130: 브라켓부재
132: 요입부재 134: 전선안내부재
136: 결합부재 140: 커버부재
본 발명은 천장형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천장형 에어컨의 토출구에 장착되는 히팅부재를 금속재질의 열전달부재 내부에 한 가닥 이상 삽입하고, 이 열전달부재를 브라켓부재로써 본체에 고정함에 따라 휨을 방지하여 히팅부재를 다수가닥 구비시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히팅부재를 보호하고자 하는 천장형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일방향으로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그 반대방향에는 덕트와 연결된 취출구가 형성된 덕트형과, 천장에 매달리도록 설치되고 하부패널의 중앙부에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그 흡입구의 바깥쪽에는 공기조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취출구가 형성된 천장카세트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덕트형 및 천장카세트형의 공통적인 장점은 일반 공기조화기와 달리 천장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므로 공간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천장카세트형 공기조화기는 응축수의 처리를 위한 구조를 확실하게 구성하지 않으면 하부패널의 흡입구 및 취출구를 통하여 응축수가 실내로 낙하된다.
종래의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의 하부에 설치되고 흡입구(2a) 및 취출구(2b)가 형성된 하부패널(2)과, 상기 하부패널(2)의 상부에 설치되어 흡입구(2a)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취출구(2b)를 통하여 토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fan,3)과, 상기 팬(3)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팬(3)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모터(4)와, 상기 팬(3)의 주위에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되면서 열 교환하는 열 교환기(5)와, 상기 열 교환기(5)의 외곽의 취출구(2b) 상부에 설치된 전기히터(10)와, 상기 열 교환기(5)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열 교환기(5)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모이는 드레인 팬(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히터(11)는 구조보강을 위하여 브라켓(12)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12)에는 응축수의 작은 양을 흡수할 수 있는 단열재(12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히터(11) 및 브라켓(12)은 연결대(13)에 의해 서로 지지된다.
상기에서, 상기 모터(14)가 동작되어 상기 팬(3)이 회전되면 상기 하부패널(2)의 흡입구(2a)를 통하여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팬(3)에 의해 상기 열 교환기(5)쪽으로 이동된 후, 상기 열 교환기(5) 및 전기히터(11)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패널(2)의 취출구(2b)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 교환기(5)를 통과하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져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즉, 여름에는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에어컨으로 작동하게 되어,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을 시킨 후, 차가운 공기로 바꾸어 다시 실내로 차가워진 공기를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실내의 더운 공기가 상기 열 교환기(5)를 통과하여 그 온도가 하강되는 때에는 실내의 더운 공기가 차가운 공기로 바뀌면서 더운 공기가 포함하고 있던 수분이 응축되어 상기 열 교환기(5)의 표면에 응축수가 발생되고, 상기 열 교환기(5)의 표면에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열 교환기(5)의 하부에 설치된 드레인 팬(6)에 고이게 된다.
반대로, 겨울에는 상기 열 교환기(5)가 응축기로서 동작되고 동시에 상시 전기히터(11)가 동작되며, 그에 따라 상기 흡입구(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 교환기(5) 및 상기 전기히터(11)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되어 더운 공기로 바뀌게 된 후, 상기 취출구(2b)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전기히터를 설치하기 위하여 비교적 부피가 큰 브라켓을 취출구 내부에 설치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공기가 부딪쳐 소음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전기히터의 고장시 브라켓 자체를 분리해야 함에 따라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히팅부재를 금속재질의 열전달부재에 삽입하고 나서 이 열전달부재를 본체의 토출구 내측에서 브라켓부재로 고정함에 따라 여러 가닥의 히팅부재를 열전달부재 내부에 정렬할 수 있어 공기의 토출저항을 줄이면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자 한 천장형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토출구 내측에 고정 장착되며 전선을 갖는 히팅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수용구를 형성하고 금속재질인 열전달부재와, 상기 열전달부재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하며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브라켓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팅부재의 설치 상태를 보인 천장형 에어컨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부재의 단부와 본체의 연결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부재와 브라켓의 연결 상태를 보인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본체(100)에 토출구(102)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02)에는 루버프레임(104)을 구비하는데, 이 루버프레임(104)은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장착되는 윙(도시하지 않음)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토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출구(102) 내측에 히팅부재(1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히팅부재(110)는 외부 전원에 의해 발열되어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역할을 하며,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전선(112)을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히팅부재(110)는 열전달부재(120)에 장착된다.
상기 열전달부재(120)는 한 가닥 이상의 히팅부재(110)를 삽입하기 위해 수용구(122)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열전달부재(120)는 알루미늄 등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히팅부재(110)의 발열시 이의 열기를 외부로 충분히 전달하고, 히팅부재(1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열전달부재(120)는 수용구(122)의 하측을 외측으로 볼록한 위치설정홈(124)을 형성하여 히팅부재(110)를 위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열전달부재(120)는 브라켓부재(130)에 지지되고, 이 브라켓부재(130)의 본체(100) 특히, 토출구(102) 내측면에 연결된다.
특히, 상기 열전달부재(120)는 한 쌍 이상 구비되어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부재(130)는 각 열전달부재(120)의 연결부위에 형성됨과 아울러 최외측의 열전달부재(120) 각 외측 끝단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상기 열전달부재(120)는 한 쌍 구비된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상기 열전달부재(120)는 서로 마주하는 부위의 수용구(122)를 개방하고, 이의 각 반대측을 밀폐함으로써 수용구(122) 내부에 삽입되는 히팅부재(110)의 전선(112)을 브라켓부재(130)로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부재(130)는 열전달부재(120)를 수용하기 위해 함몰 형성된 요입부재(132)와, 상기 요입부재(132)에서 연장 형성되어 히팅부재(110)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112)을 안내하고 전선(112)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35)를 갖는 전선안내부재(134)와, 상기 전선안내부재(134)에서 연장 형성되고 본체(100)와 접하여 체결부재(137)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재(136)를 구비한다.
즉, 상기 브라켓부재(130)의 요입부재(132)는 열전달부재(120)를 억지 삽입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상기 열전달부재(120)는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요입부재(132)는, 도시한 바와 같이, 마주하는 한 쌍의 열전달부재(120)를 소정 유격되도록 동시에 수용한다.
또한, 상기 전선안내부재(134)는 유격된 열전달부재(120) 각각에 삽입되는 히팅부재(110)의 전선(112)을 외부로 인출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전선안내부재(134)는 배출구(135)를 구비하여 전선(112)의 외부 인출 통로를 확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136)는 본체(100)에 접하여 체결부재(137)와 체결되도록 체결홀(138)을 갖는다.
한편, 상기 열전달부재(120)와 브라켓부재(130)가 임의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요입부재(132)와 전선안내부재(134)는 커버부재(140)에 의해 커버링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커버부재(140)는 유입부재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링하고, 전선안내부재(134)와 체결나사(142)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전선안내부재(134)의 배출구(135)는 외측으로의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열전달부재(120)가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대(150)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150)는 본체(100) 특히, 토출구(102) 내측면에서 연장되어 열전달부재(12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에 의하면, 여러 가닥의 히팅부재를 열전달부재에 삽입하여 설치함에 따라 히팅부재의 보호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본체의 토출구 내측에 고정 장착되며, 전선을 갖는 히팅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수용구를 형성하고, 금속재질인 열전달부재;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열전달부재를 지지하는 브라켓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부재는 상기 열전달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함몰 형성된 요입부재와;
    상기 요입부재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히팅부재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안내하고, 상기 전선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갖는 전선안내부재와;
    상기 전선안내부재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접하여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의 수용구는 상기 히팅부재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하부 방향으로 볼록한 위치설정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한 쌍 이상 이루어져 상기 히팅부재를 동시에 삽입하고;
    상기 브라켓부재는 상기 열전달부재의 연결부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재와 전선안내부재는 커버부재에 의해 커버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본체의 토출구 내측면에서 연장되는 지지대에 의해 휨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
KR1020070043980A 2007-05-07 2007-05-07 천장형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 KR100874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980A KR100874231B1 (ko) 2007-05-07 2007-05-07 천장형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980A KR100874231B1 (ko) 2007-05-07 2007-05-07 천장형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740A KR20080098740A (ko) 2008-11-12
KR100874231B1 true KR100874231B1 (ko) 2008-12-16

Family

ID=4028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980A KR100874231B1 (ko) 2007-05-07 2007-05-07 천장형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2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740A (ko) 200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2197B1 (ko) 공기 조화기
KR100782195B1 (ko) 공기 조화기
TWI681153B (zh) 外氣空調機及換氣系統
KR20080059755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874231B1 (ko) 천장형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
KR102533782B1 (ko) 공기조화기
JP4214095B2 (ja) ミストサウナ機能付き浴室暖房機
KR20070119896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CN112984792B (zh) 顶置式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CN211601112U (zh) 多功能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CN211575529U (zh) 吊顶式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CN211601111U (zh) 吊挂式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CN112984795B (zh) 室内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CN211601109U (zh) 一种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KR20050064963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배관 지지구조
CN113137761B (zh) 热泵热水器余热回收控制方法
KR20090022102A (ko) 공기조화기
CN211575530U (zh) 热泵机组用吊挂安装组件、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CN211601113U (zh) 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CN211601110U (zh) 一种吊挂式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JP4337497B2 (ja) 温風暖房機とその施工方法
JP3688472B2 (ja) 浴室暖房乾燥機
KR100579558B1 (ko) 서비스밸브유닛이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12984787A (zh) 多功能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CN112984790A (zh) 吊顶式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