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716B1 -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716B1
KR101140716B1 KR1020060129436A KR20060129436A KR101140716B1 KR 101140716 B1 KR101140716 B1 KR 101140716B1 KR 1020060129436 A KR1020060129436 A KR 1020060129436A KR 20060129436 A KR20060129436 A KR 20060129436A KR 101140716 B1 KR101140716 B1 KR 101140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scharge port
ceiling
air conditione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476A (ko
Inventor
황준
문제명
이재권
홍현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9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716B1/ko
Priority to CN2007100787892A priority patent/CN101206051B/zh
Publication of KR20080056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토출공기를 사용자가 거주하는 실내의 하측공간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토출기류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한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이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의 천장에 결합되며 조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갖춘 천장패널을 포함하며, 토출공기를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해 토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토출안내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토출안내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케이스, 11: 터보팬,
12: 모터, 13: 열교환기,
20: 천장패널, 21: 흡입구,
22: 토출구, 25: 풍향날개,
30: 토출안내부재, 34: 제1걸림부,
35: 제2걸림부, 41: 제1지지턱,
42: 제2지지턱.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공기를 사용자가 거주하는 하측 공간까지 안내할 수 있도록 한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611494호(2006년 8월 9일 공고)에 개시된 바와 같은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매입되며 내부에 송풍장치와 열교환기가 설치된 본체케이스와, 본체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흡입구 주위에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천장패널을 구비한다.
이러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송풍장치가 동작하면 천장패널의 흡입구를 통하여 본체케이스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가 내부의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후 다시 천장패널의 복수의 토출구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공급됨으로써 실내공기를 조화시킨다. 또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운전방식의 변경에 따라 난방운전 또는 냉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난방운전 시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기류가 사용자가 거주하는 하측 공간(대략 바닥으로부터 1.6m정도의 공간)까지 도달하지 않을 경우 체감난방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천장의 높이가 3m이상인 실내에서는 토출된 더운 공기가 대류현상에 의해 다시 상승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거주하는 실내의 하측공간까지 이르지 않아 난방효과를 체감하기 어려울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공기를 사용자가 거주하는 실내의 하측공간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토출기류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의 천장에 결합되며 조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갖춘 천장패널을 포함하며, 토출공기를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토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토출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안내부재는 상기 토출구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상측의 입구와, 토출공기의 안내를 위해 상기 입구 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측면부와, 하측에 마련된 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안내부재의 입구 쪽에는 상기 토출구의 일측에 걸리도록 마련된 제1걸림부와, 상기 토출구의 타측에 걸리도록 마련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제2걸림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입구 쪽으로부터 상기 토출구 내측으로 연장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단부에 마련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는 토출공기의 안내를 위한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토출구의 곡면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곡선형으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 내면에는 상기 제1걸림부가 걸리는 제1지지턱과, 상기 제2걸림부가 걸리는 제2지지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100) 내부로 진입되어 설치되는 상자형의 본체케이스(10)와, 본체케이스(10)의 개방된 하면에 결합되며 둘레가 천장의 개구를 덮는 천장패널(20)을 구비한다.
본체케이스(10) 내부에는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터보팬(11)과, 터보팬(11)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2)가 설치된다. 구동모터(12)는 본체케이스(10) 내측 상면에 고정된다. 터보팬(11)의 주위에는 터보팬(11)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해 터보팬(11)의 둘레를 포위하는 형태로 배치된 열교환기(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열교환기(13)의 하부에는 열교환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모아서 배출시키기 위한 응축수받이(14)가 설치된다. 응축수받이(14)는 하면이 천장패널(2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천장패널(20)에는 중앙에 실내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21)가 형성되고, 흡입구(21)의 외측에 복수의 토출구(22)가 형성된다. 천장패널(20)의 흡입구(21)에는 공기청정을 위한 필터(23)가 설치되고, 필터(23)의 내측으로는 흡입되는 공기를 터보팬(11)의 중심부로 안내하도록 중앙에 개구(24a)가 형성된 공기안내판(24)이 설치된다.
천장패널(20)에 형성된 토출구들(22)은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천장패널(20)의 사방 4개소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 각 토출구들(22) 에는 소정구간 선회하면서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풍향날개(25)가 설치된다. 풍향날개(25)는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동작한다. 또 각 토출구(22) 내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냉방운전을 수행할 때 토출공기가 하측 측방으로 안내되기 용이하도록 외측방향에 곡면부(27)가 마련된다.
각 토출구(22)에는 토출공기를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토출안내부재(30)가 설치된다. 이 토출안내부재(3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구(22)를 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사각의 덕트형태이다. 즉 토출안내부재(30)는 상측에 토출구(22)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입구(31)를 구비하고 하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32)를 구비한다. 또 토출공기의 안내를 위해 입구(32) 쪽으로부터 하방향으로(출구 쪽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부(33)를 구비한다.
토출안내부재(30)의 입구(31) 쪽에는 토출안내부재(30)를 토출구(2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제1걸림부(34)와, 제2걸림부(35)가 마련된다. 제1걸림부(34)는 토출안내부재(30)의 한쪽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되고, 제2걸림부(35)는 제1걸림부(34)의 반대편 상단으로부터 토출구(22)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연장된다. 제2걸림부(35)는 토출구(22)의 곡면부(27) 형상과 대응하도록 곡선형으로 벤딩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변형부(36)와, 탄성변형부(36)의 단부에 절곡된 형태로 마련된 절곡부(37)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걸림부(35)는 제1걸림턱(34) 반대편의 상단에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토출구(22)의 내면에는 한쪽에 제1걸림부(34)가 대응하여 걸릴 수 있도록 제1지지 턱(41)이 마련되고, 타측에 제2걸림부(35)가 걸릴 수 있도록 제2지지턱(42)이 마련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안내부재(30)를 토출구(22)에 장착할 때 토출안내부재(30)의 제1걸림부(34)가 토출구(22)의 제1지지턱(41)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토출안내부재(30)를 상부로 밀어 올리면 제2걸림부(35)가 탄성변형 되면서 토출구(22)의 제2지지턱(42)에 걸려 결속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토출안내부재(30)는 상부로 밀어 올리기만 하면 토출구(22)에 걸려서 결속되므로 사용자가 필요할 때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안내부재(30)를 분리하고자 할 때는 제2걸림부(35)를 하측으로 당겨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통상적인 냉방운전을 수행할 경우 토출안내부재(30)를 분리한 상태에서 동작시키고, 난방운전을 수행할 경우 토출구(22)에 토출안내부재(30)를 장착한 상태에서 동작시킨다. 냉방운전을 수행할 때는 대류현상에 의해 찬 공기가 하부로 이동하므로 토출안내부재(30)를 분리하더라도 사용자가 냉방운전을 체감할 수 있지만, 난방운전을 수행하면서 토출안내부재(30)를 분리할 경우에는 대류현상에 의해 토출된 더운 공기가 상승하여 사용자가 난방을 체감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난방운전 시에는 토출안내부재(30)를 장착한다. 그러나 냉방운전 시 차가운 냉기를 실내의 하측공간으로 유도하고자 하는 사용자라면, 냉방운전을 수행할 때도 토출안내부재(3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토출구(22)에 토출안내부재(30)를 장착한 상태에서 난방운전을 수행하면, 토출공기가 토출안내부재(30)에 의해 하방향으로 안내되므로 천장이 높은 경우에도 토출공기가 사용자가 거주하는 실내의 하측공간까지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난방기류를 직접 체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토출기류를 하방향으로 안내하는 토출안내부재를 구비하기 때문에 토출공기를 사용자가 거주하는 실내의 하측공간으로 유도하여 사용자가 토출기류를 직접 체감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출안내부재가 토출구에 걸려서 지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토출안내부재를 토출구에 손쉽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실내공간의 천장에 결합되며 조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갖춘 천장패널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토출공기를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토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토출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안내부재의 입구 쪽에는 상기 토출구의 일측에 걸리도록 마련된 제1걸림부와, 상기 토출구의 타측에 걸리도록 마련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제2걸림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안내부재는 상기 토출구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상측의 상기 입구와, 토출공기의 안내를 위해 상기 입구 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측면부와, 하측에 마련된 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입구 쪽으로부터 상기 토출구 내측으로 연장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단부에 마련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토출공기의 안내를 위한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토출구의 곡면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곡선형으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내면에는 상기 제1걸림부가 걸리는 제1지지턱과, 상기 제2걸림부가 걸리는 제2지지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060129436A 2006-12-18 2006-12-18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140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436A KR101140716B1 (ko) 2006-12-18 2006-12-18 천장형 공기조화기
CN2007100787892A CN101206051B (zh) 2006-12-18 2007-02-27 吸顶式空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436A KR101140716B1 (ko) 2006-12-18 2006-12-18 천장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476A KR20080056476A (ko) 2008-06-23
KR101140716B1 true KR101140716B1 (ko) 2012-05-03

Family

ID=3956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436A KR101140716B1 (ko) 2006-12-18 2006-12-18 천장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0716B1 (ko)
CN (1) CN1012060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0352B2 (ja) * 2014-04-09 2016-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7421093B (zh) * 2016-09-18 2023-07-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结构及具有其的空调器
KR102282432B1 (ko) * 2017-03-10 2021-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2249321B1 (ko) * 2017-09-05 2021-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961A (ja) * 1993-12-03 1995-06-20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H09273769A (ja) * 1996-04-03 1997-10-21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KR20030072941A (ko) * 2002-03-07 200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60094750A (ko) * 2005-02-25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정형 에어컨 및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961A (ja) * 1993-12-03 1995-06-20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H09273769A (ja) * 1996-04-03 1997-10-21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KR20030072941A (ko) * 2002-03-07 200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60094750A (ko) * 2005-02-25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정형 에어컨 및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476A (ko) 2008-06-23
CN101206051A (zh) 2008-06-25
CN101206051B (zh)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8317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5079138B2 (ja) 熱交換換気装置
KR20100033310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US20110059686A1 (en) Ventilator
KR101140716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22934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90011379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 조립구조
KR2007007316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53399A (ko) 공기 조화 시스템
KR10114071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5304367B2 (ja) 送風装置
KR100792060B1 (ko) 공기조화기의 연결배관 설치구조
JP2005351555A (ja) 空気調和機
KR10035337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히터 장착구조
KR20070006417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56477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
KR100366510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열교환기 장착구조
KR200299992Y1 (ko) 룸에어컨의 필터 장착 구조
KR100347947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구조
JP4688370B2 (ja) 空気調和装置
JP4300666B2 (ja) 床置形空気調和機
KR100626447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233441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1474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CN115325617A (zh) 新风部件和具有其的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