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3310A -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3310A
KR20100033310A KR1020080092429A KR20080092429A KR20100033310A KR 20100033310 A KR20100033310 A KR 20100033310A KR 1020080092429 A KR1020080092429 A KR 1020080092429A KR 20080092429 A KR20080092429 A KR 20080092429A KR 20100033310 A KR20100033310 A KR 20100033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cold air
guide
ceiling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7346B1 (ko
Inventor
김태헌
서경태
유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2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346B1/ko
Priority to NL2002265A priority patent/NL2002265C2/nl
Priority to CN200810183779.XA priority patent/CN101676638B/zh
Publication of KR20100033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토출구에서의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내측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와, 토출구에 마련되어 냉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와, 내측면의 어느 일면에 형성되며, 냉기의 토출방향을 토출구의 길이방향으로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출구에서의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천장 내부에 배치되는 본체와, 본체의 전면에 부착되어 천장에서 노출되는 천장패널을 구비하여 실내공간의 공기가 천장패널을 통해 본체로 흡입되어 열교환된 후 다시 천장패널을 통해 실내공간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키게 된다.
천장패널은 사각형상으로 만들어져서 그 중심부에는 공기를 본체로 흡입시키기 위한 하나의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에는 본체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통해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며, 토출구에는 본체를 통과하여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패널에 형성된 토출구의 갯수에 따라서 4방향 토출형 및 1방향 토출형 등으로 나뉘어진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로 인하여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내측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와, 토출구에 마련되어 냉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와, 내측면의 어느 일면에 형성되며, 냉기의 토출방향을 토출구의 길이방향으로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토출구는 열교환된 냉기 유량의 대부분이 통과하는 영역인 중앙부와, 중앙부의 외곽에 형성된 외곽부를 포함하며, 유로 가이드는 중앙부를 통과하는 냉기의 일부를 외곽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로가이드는 냉기의 안내방향인 토출구의 두께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되,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편향되는 유선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로가이드는 토출구 상부에서 폭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단부와, 토출구 하부에 마련된 제2단부, 제1단부와 제2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단부는 중앙부를 지나는 냉기의 방향이 외곽부로 전환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로 형성되며, 제2단부는 제1단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로가이드가 형성된 내측 일면은 냉기의 안내방향을 따라 토출구의 폭방향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연결부는 내측면의 좁아지는 간격에 상 응하도록 폭방향의 돌출 길이를 맞추어 제1단부와 제2단부의 상면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로가이드가 형성된 내측 일면의 폭방향 간격은 소정 곡률로 줄어들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부는 제1단부와 제2단부의 측면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연결부는 소정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토출구는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는 4방향 토출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제1 및 제2내측면이 형성된 토출구를 갖는 천장패널과, 토출구에 마련되어 냉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와, 토출구의 중앙에서 토출구와 연통되는 냉기유로와, 제1내측면과 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되는 제1분기토출구와, 제2내측면과 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되는 제2분기토출구와, 제1내측면에 형성되며, 냉기유로와 연통되어 제1분기토출구의 중앙영역을 통과하는 냉기의 일부를 제1 및 제2분기토출구의 외곽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로가이드는 냉기의 안내방향인 제1분기토출구의 두께방향에서 유선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로가이드는 제1분기토출구의 외곽에 놓여진 블레이드를 향하도록 제 1분기토출구의 길이방향으로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또 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냉기를 안내하는 냉기유로가 형성된 드레인팬과, 냉기유로와 대응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천장패널과,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냉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와, 냉기유로와 마주하도록 연통되는 영역에 놓여진 블레이드의 제1바디부와, 제1바디부의 외곽에 놓여진 블레이드의 제2바디부와, 제2바디부를 따라 토출될 수 있도록 냉기방향을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천장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10) 내부로 진입되며 내부에 송풍장치(200)와 열교환기(300)를 구비하고 하부가 개방된 상자형 케이싱(100)과, 열교환기(300)의 응축수를 모아 외부로 배출하며 케이싱(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드레인팬(400)과, 드레인팬(400)과 결합하며 천장(10)의 개구(11)를 덮는 천장패널(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싱(100)은 송풍장치(200)와 열교환기(300)를 장착하기 위해 내부가 중공된 대략 함체 형상으로 마련되고, 케이싱(100)의 내면에는 단열을 위하여 발포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단열부재(110)가 접착제를 통해 부착된다.
케이싱(100) 내에는 중앙측에 배치되어 강제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장치(200)와, 송풍장치(20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송풍장치(200)에 의해 케이싱(100) 내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300)가 마련된다.
송풍장치(200)는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송풍팬(210)과, 송풍팬(210)을 구동하는 구동모터(220)를 포함하며, 구동모터(220)는 케이싱(10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된다.
열교환기(300)는 송풍팬(210)을 포위하는 형태로 송풍팬(210) 주위에 배치되어 송풍팬(21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킨다.
드레인팬(400)은 열교환기(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열교환 과정에서 생긴 응축수를 모아서 배출시키는 드레인부(500)와, 드레인부(500)의 외측에 형성되어 열교환된 냉기를 토출구(720)로 안내하는 냉기유로(510)와, 드레인부(5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케이싱(100)내부의 공간을 송풍장치영역과 외부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부(600)를 포함한다.
드레인부(500)는 열교환기(300)의 하부를 지지하며 열교환기(300) 외면에 발생하는 응축수가 흘러내려 고일 수 있도록 홈형으로 마련된다.
구획부(600)는 중앙에 개구(610)가 형성된 평판형태로 형성되는데, 구획부(600)의 개구(610)는 송풍팬(2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송풍팬(2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구동모터(220)의 고장수리 등을 위해 송풍팬(210)을 분리하고자 할 때 개구(610)를 통하여 송풍팬(210)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구획부(600)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송풍팬(210)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구획부(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드레인부(5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획부(600)와 드레인부(500)를 별도의 부재로 마련하여 구획부(600)의 테두리를 드레인팬(400)의 내주측에 결합할 수도 있다.
냉기유로(510)는 드레인부(500)의 외측에서 후술하는 천장패널(700)의 토출구(720)와 연통하도록 토출구(72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냉기유로(510)의 폭방향(W) 간격은 이에 대응한 토출구(720)의 폭방향(W) 간격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다만, 냉기유로(510)의 길이방향(L) 간격은 천장패널(700) 토출구(720)의 길이방향(L) 간격에 비해 짧게 형성된다. 왜냐하면, 토출구(720)의 내측에 설치되는 드레인팬(400)이 천장패널(7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냉매배관 및 다른 부품들(미도시)을 가려 줌으로써 케이싱(100) 내부의 부품들이 토출구(720)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미려한 외관 제공을 위하여 4개의 토출구(720)를 동일한 형태로 형성하기 때문에, 토출구(7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불가피하게 내부의 부품이 위치할 수 있으므로, 토출구(720) 내측에 설치된 냉기유로(510)를 작게 형성하여 내부의 부품이 토출구(72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구획부(600)의 하부에는 벨마우스부재(620)가 마련되는데, 벨마우스부 재(620)는 흡입공기가 통과하는 중앙의 개구(621)와, 개구(621) 쪽에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 공기안내면(622)을 구비한다. 벨마우스부재(620)는 둘레부분이 구획부(600)의 개구(610) 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벨마우스부재(620)는 천장패널(700)의 흡입구(71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송풍팬(210)의 흡입 측으로 안내한다.
구획부(600)의 하면 일측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제어를 위한 다수의 전장부품들이 내장된 컨트롤박스(630)가 설치된다. 컨트롤박스(630)는 드레인부(500)와 근접하는 구획부(600)의 하면에 고정된다.
드레인팬(400)은 그 하면이 천장패널(70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드레인팬(400)에 벨마우스부재(620)와 컨트롤박스(6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천장패널(700)이 드레인팬(400)에 결합되게 된다.
천장패널(700)은 중앙에 실내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710)가 형성되고, 흡입구(710)의 외측에 복수의 토출구(720)가 형성된다. 복수의 토출구(720)는 드레인팬(400)의 냉기유로(51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천장패널(700)의 흡입구(710)에는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711)가 설치된다. 또한, 각각의 토출구(720)에는 소정구간 선회하면서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블레이드(730)가 설치된다. 블레이드(730)는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동작한다.
토출구(720)은 천장패널(700)의 사방 4개소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토출구(720)는 직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길이방향(L)과, 폭방향(W)과, 두 께방향(H)으로 연장된 채널형태로 마련되어, 두께방향(H)에서 냉기유로를 통과한 열교환된 냉기가 실내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가이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도 5는 토출구를 높이방향과 길이방향에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토출구를 높이방향과 폭방향에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토출구(720)에는 길이방향에서 2개의 내측면(723,724)이 연장 형성되어있다. 토출구(720)의 내측면(723,724)은 흡입구(710)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1내측면(723)과, 블레이드(730)를 사이에 두고 제1내측면(723)과 폭방향(W)의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된 제2내측면(724)를 구비한다.
제1내측면(723)은 냉기의 안내방향(A)을 따라서(즉, 토출구(720)의 두께방향(H)) 토출구(720)의 폭방향(W) 간격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왜냐하면, 토출구(720)가 흡입구(710)와 너무 인접하게 설치되면, 토출구(720)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기가 바로 흡입구(710)로 흡입되어 실내공간의 냉방을 원활히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출구(720)가 흡입구(710)에서 이격되는 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1내측면(723)은 토출구(720)의 폭방향(W) 간격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내측면(723)은 토출구(720)의 폭방향(W) 간격이 일정한 비율로 줄어들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만곡된 절곡면(723a)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720)는 길이방향(L)에서 중앙부(721)와 외 곽부(722)로 나누어지며, 중앙부(721)는 냉기유로(510)를 통하여 열교환된 냉기가 간섭없이 대부분 통과하는 토출구(720)의 중앙부분이며, 외곽부(722)는 토출구(720)의 중앙부(721)를 제외한 토출구(720)의 양단(722)을 나타낸다.
또한, 토출구(720)는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730)의 회동에 따라서 제1내측면(723)과 블레이드(730) 사이에서 형성되는 제1분기토출구(720a)와, 제2내측면(724)과 블레이드(730) 사이에서 형성되는 제2분기토출구(720b)를 구비한다.
블레이드(730)는 냉기의 방향을 조절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731,732)를 포함하며, 바디부(731,732)는 토출구(720)의 중앙부(721)와 대응하는 위치의 제1바디부(731)와, 토출구(720)의 외곽부(722)와 대응하는 제2바디부(732)를 구비한다. 즉, 블레이드(730)의 제1바디부(731)는 토출구(720)의 중앙부(721)를 통과한 대부분의 냉기가 제1분기토출구(720a)와 제2분기토출구(720b)로 충분히 토출되어 블레이드(730)가 직접적으로 감싸지는 영역을 나타내며, 블레이드(730)의 제2바디부(732)는 토출구(720)의 외곽부(722)에 놓여져 냉기의 유량이 중앙부(721)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냉기가 블레이드(730)를 충분히 감싸지 못하는, 제1바디부(731)를 제외한 블레이드(730)의 양단을 나타낸다.
토출구(720)에는 토출구(720)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기가 제2바디부(731,732)를 감싸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가이드(74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유로가이드(740)는 제1바디부(73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내측면(723)에 마련된다. 유로가이드(740)는 냉기의 안내방향(A)을 따라서 제2바디부(732)를 향하도 록 길이방향(L)으로 굽어지는 곡면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유로가이드(740)는 폭방향(W)을 따라서 형성되되 토출구(720)의 길이방향(L)으로 편향되는 유선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선형상의 유로가이드(74)를 예시하고 있으나, 직선 형상과 같이 제2바디부(732)로 냉기의 일부를 안내하는 다른 어떤 변형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가이드(740)는 냉기유로(510)에서 냉기가 안내될 수 있도록 토출구(720)의 상부에 마련된 제1단부(741)와, 토출구(720)를 통하여 냉기가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720)의 하부에 마련된 제2단부(742)를 구비한다.
제1단부(741)는 토출구(720)의 제1내측면(723)에서 제2내측면(724)을 향하여 폭방향(W)으로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되는 유로가이드(740)의 일단을 나타낸다. 제1단부(741)가 제1내측면(723)에서 돌출 형성되는 길이는 토출구(720) 상부의 중앙부(721)를 지나는 냉기의 방향이 토출구(720) 하부의 외곽부(722)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이다. 당업자라면, 토출구(720) 내부에 설치된 블레이드(730)와의 간섭 문제 및 소음 문제를 고려하여 토출구(720)의 형상에 따라서 제1단부(741)의 돌출되는 길이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제2단부(742)는 토출구(720)의 하부에 형성된 유로가이드(740)의 타단을 나타낸다. 제2단부(742)는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천장(10)에 설치되면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하여 제2단부(742)는 제1단부(74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크기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단부(741)와 제2단부(742)는 제1내측면(723)의 곡률에 상응하도록 폭방향(W)으로 돌출되게 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즉, 제2단부(7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측면(723)에서 폭방향(W)으로 돌출되지 않고 제1내측면(723)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가이드(740)에는 제1단부(741)와 제2단부(742)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743,744)가 마련된다. 연결부(743,744)는 제1단부(741)의 돌출부와 제2단부(742)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743)와, 제1단부(741)의 측면과 제2단부(742)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744)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743)는 제1단부(741)와 제2단부(742)의 상면을 연결하며, 유로가이드(740)가 폭방향(W)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설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로가이드(740)의 제1단부(741)와 제2단부(742)는 제1내측면(723)의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고 폭방향(W)으로 돌출되게 하여 사용자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연결부(744)는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만곡되어지는 형상으로서 제1단부(741)의 측면과 제2단부(742)를 연결한다. 제2연결부(744)는 토출구(720)의 중앙부(721)와 블레이드(730)의 제1바디부(731)로 안내되는 냉기의 일부를 토출구(720)의 외곽부(722)와 블레이드(730)의 제2바디부(732)로 이동시켜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2연결부(744)의 곡률반경은 냉기의 이동량과 소음 문제를 절충하는 임의의 크기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열교환된 냉기가 드레인팬(400)의 냉기유로(510)를 통하여 A방향으로 안내되면, 냉기유로(510)와 연통하는 토출구(720)의 중앙부(721)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중앙부(721)를 통과하는 냉기의 대부분의 유량은 블레이드(730)의 제1바디부(731)를 감싸면서 B방향을 따라서 실내공간으로 토출된다.
한편, 중앙부(721)를 통과하는 냉기의 일부는 유로가이드(740)에 의해 외곽부(722)로 방향이 변경된다. 즉, A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냉기가 유로가이드(740)에 의해 C방향으로 방향이 변경되는 것이다.
따라서, 외곽부(722)를 통과하는 냉기는 블레이드(730)의 제2바디부(732)를 감싸면서 C방향을 따라서 실내공간으로 냉기를 토출하게 된다.
결국, 냉기유로(510)를 통과하여 토출되는 냉기가 블레이드(730)의 제1바디부(731)와 제2바디부(732) 모두를 감싸면서 실내공간으로 토출되어, 충분한 냉기가 전달되지 못하여 블레이드(730)의 제2바디부(732)로 실내의 고온 다습한 공기가 유입되어 생기는 이슬 맺힘의 문제는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패널 토출구의 내측면에 유로가이드를 마련하여, 냉기가 충분히 안내되지 않는 블레이드 측으로 냉기의 일부를 이동시켜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 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천장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가이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토출구를 높이방향과 길이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토출구를 높이방향과 폭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케이싱 200...송풍장치
300...열교환기 400...드레인팬
500...드레인부 600...구획부
700...천장패널 710...흡입구
720...토출구 730...블레이드
740...유로가이드

Claims (14)

  1. 내측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에 마련되어 냉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내측면의 어느 일면에 형성되며, 냉기의 토출방향을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으로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열교환된 냉기 유량의 대부분이 통과하는 영역인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외곽에 형성된 외곽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 가이드는 상기 중앙부를 통과하는 상기 냉기의 일부를 상기 외곽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는 냉기의 안내방향인 상기 토출구의 두께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되,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외곽부로 편향되는 유선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는 상기 토출구 상부에서 폭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단부와, 상기 토출구 하부에 마련된 제2단부,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중앙부를 지나는 냉기의 방향이 상기 외곽부로 전환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2단부는 제1단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가 형성된 상기 내측 일면은 상기 냉기의 안내방향을 따라 상기 토출구의 폭방향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내측면의 좁아지는 간격에 상응하도록 폭방향의 돌출 길이를 맞추어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의 상면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가 형성된 상기 내측 일면의 상기 폭방향 간격은 소정 곡률 로 줄어들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의 측면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소정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는 4방향 토출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1. 제1 및 제2내측면이 형성된 토출구를 갖는 천장패널과,
    상기 토출구에 마련되어 냉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토출구의 중앙에서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냉기유로와,
    상기 제1내측면과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되는 제1분기토출구와,
    상기 제2내측면과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되는 제2분기토출구와,
    상기 제1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냉기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제1분기토출구의 중앙영역을 통과하는 냉기의 일부를 상기 제1 및 제2분기토출구의 외곽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는 냉기의 안내방향인 상기 제1분기토출구의 두께방향에서 유선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는 상기 제1분기토출구의 외곽에 놓여진 상기 블레이드를 향하도록 상기 제1분기토출구의 길이방향으로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4. 냉기를 안내하는 냉기유로가 형성된 드레인팬과,
    상기 냉기유로와 대응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천장패널과,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냉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냉기유로와 마주하도록 연통되는 영역에 놓여진 상기 블레이드의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바디부의 외곽에 놓여진 상기 블레이드의 제2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를 따라 토출될 수 있도록 냉기방향을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080092429A 2008-09-19 2008-09-19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517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429A KR101517346B1 (ko) 2008-09-19 2008-09-19 천장형 공기조화기
NL2002265A NL2002265C2 (nl) 2008-09-19 2008-12-01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N200810183779.XA CN101676638B (zh) 2008-09-19 2008-12-18 吸顶式空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429A KR101517346B1 (ko) 2008-09-19 2008-09-19 천장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310A true KR20100033310A (ko) 2010-03-29
KR101517346B1 KR101517346B1 (ko) 2015-05-06

Family

ID=4202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429A KR101517346B1 (ko) 2008-09-19 2008-09-19 천장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17346B1 (ko)
CN (1) CN101676638B (ko)
NL (1) NL2002265C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1491A (ja) * 2015-03-31 2016-11-1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17062093A (ja) * 2015-09-25 2017-03-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清浄装置
KR20180072631A (ko) * 2015-05-07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89784A (ko) * 2017-02-01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WO2019050311A1 (ko) *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EP3633274A4 (en) * 2017-05-25 2021-03-10 LG Electronics Inc. AIR GUIDE FOR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ND CEILING-TYPE AIR CONDITIONER WITH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3796A (ja) * 2011-09-02 2013-03-21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CN105276678B (zh) * 2014-06-26 2018-06-29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
CN105222223B (zh) * 2014-06-26 2018-06-29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
JP6659991B2 (ja) * 2015-03-31 2020-03-0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US10288302B2 (en) * 2015-03-31 2019-05-14 Fujitsu General Limited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with airflow guide vane
JP6504349B2 (ja) * 2015-03-31 2019-04-2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7232986B2 (ja) * 2019-03-27 2023-03-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天井埋め込み形空気調和機
CN109959139B (zh) * 2019-03-28 2021-01-05 江苏中凯暖通设备有限公司 一种一体式风口悬吊式拆装的空调风道开闭装置
KR20210003623A (ko) * 2019-07-02 2021-01-12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186Y2 (ja) * 1990-02-13 1996-02-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240854B2 (ja) 1994-09-26 2001-12-2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吹出口
JPH1019363A (ja) * 1996-07-04 1998-01-23 Matsushita Refrig Co Ltd 風向変更装置
JP2000130808A (ja) * 1998-08-21 2000-05-12 Daikin Ind Ltd 吸気・送風装置
JP3624808B2 (ja) * 2000-08-11 2005-03-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化粧パネル、吹出口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JP3624813B2 (ja) * 2000-09-06 2005-03-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化粧パネル、吹出口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KR100429235B1 (ko) * 2002-01-03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 부착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7205584A (ja) * 2006-01-31 2007-08-16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4838081B2 (ja) * 2006-09-15 2011-12-14 空研工業株式会社 吹出口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1491A (ja) * 2015-03-31 2016-11-1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180072631A (ko) * 2015-05-07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7062093A (ja) * 2015-09-25 2017-03-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清浄装置
KR20180089784A (ko) * 2017-02-01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EP3633274A4 (en) * 2017-05-25 2021-03-10 LG Electronics Inc. AIR GUIDE FOR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ND CEILING-TYPE AIR CONDITIONER WITH THE SAME
US11573013B2 (en) 2017-05-25 2023-02-07 Lg Electronics Inc. Air guide for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nd ceiling-type air conditioner having same
WO2019050311A1 (ko) *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346B1 (ko) 2015-05-06
NL2002265A (en) 2010-03-22
NL2002265C2 (nl) 2015-04-16
CN101676638A (zh) 2010-03-24
CN101676638B (zh)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3310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00593674C (zh) 空调
KR100809784B1 (ko) 횡류팬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N103261803B (zh) 浴室干燥机
EP3604937B1 (en) Housing assembly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100628042B1 (ko) 환기시스템
WO2010097883A1 (ja) 同時給排形換気扇および空調装置
KR200466110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4661068B2 (ja) ダクトファン
KR10064236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40716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010107054A (ja) 空気調和機
KR20080060845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JP2002089923A (ja) 換気ユニット
KR10114071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7010001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20062077U (zh) 用于浴室空调器的出风筒、浴室空调器
CN219868408U (zh) 用于风管机的出风结构和风管机
KR100525396B1 (ko) 환기겸용 공기조화기
KR101396407B1 (ko) 공기조화기
CN108386905B (zh) 空调
JP362767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2007007825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6029762A (ja) 天井型空気調和機
CN117006522A (zh) 空气调节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