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0019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0019A
KR20070100019A KR1020060031545A KR20060031545A KR20070100019A KR 20070100019 A KR20070100019 A KR 20070100019A KR 1020060031545 A KR1020060031545 A KR 1020060031545A KR 20060031545 A KR20060031545 A KR 20060031545A KR 20070100019 A KR20070100019 A KR 20070100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ub
air conditioner
indoor uni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1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0019A/ko
Publication of KR2007010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0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송풍팬의 허브를 이루는 보스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평탄부에 블레이드가 형성되기 때문에 송풍팬의 고속회전 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캐비닛이 도시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의 송풍팬이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절단선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절단선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닛 11 : 조립커버
12 : 베이스 13 : 오리피스
14 : 송풍기 15 : 흡입구
16 : 토출구 17 : 브래킷
18 : 에어가이드 20 : 프론트패널
21 : 프론트그릴 23 : 걸림부
24 : 서비스커버 25 : 홈
30 : 액자패널 40 : 토출유닛
50 : 열교환기 52 : 연결배관
60 : 필터 100 : 드레인팬
110 : 안전망 300 : 송풍기
310 : 송풍팬 312 : 쉬라우드
312a : 대면부 312b : 삽입부
320 : 허브 322 : 보스부
324 : 평탄부 325 : 통공
330 : 블레이드 332 : 돌출부
334 : 압력면 335 : 경사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풍기 블레이드의 길이를 축소하고 허브에 통공이 형성되어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실내 벽면에 액자와 같이 장착될 수 있도록 터보팬을 내장하여 캐비닛의 두께를 최소화한 공기조화기가 개발되었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되고 두께가 얇은 장방형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 내측에 설치되는 송풍기(2)와, 상기 송풍기(2) 전방에 설치되는 열교환기(3)와, 상기 열교환기(3) 전방에 위치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4a)가 형성된 전면패널(4)과, 상기 캐비닛(1)과 전면패널(4) 사이에 설치되어 토출구를 형성하는 오리피스(5)와, 상기 전면패널(4)의 전면에 대해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4a)를 개폐시키는 전면그릴(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기(2)는 상기 캐비닛(1)의 두께를 최소화할 뿐 아니라 상기 흡입구(4a)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원주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터보팬(2a)과, 상기 터보팬(2a)을 회전시키는 모터(2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5)는 상기 열교환기(3)와 송풍기(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4a)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기(2)로 안내한다.
한편, 상기 전면패널(4)과 상기 오리피스(5)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4a)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7)가 설치되고, 상기 오리피스(5)의 상부에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컨트롤박스(8)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7) 및 상기 전면패널(4)을 통해 캐비닛(1)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전면패널(4)은 상기 열교환기(3)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열교환기(3)를 커버한다.
본 발명은 실내기에 그림 또는 사진이 설치될 수 있도록 액자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사진 또는 그림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기에 설치되는 송풍팬의 블레이드 길이를 감소시키고, 허브에 통공이 형성되어 소음 및 진동이 감소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토출구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상기 모터와 연결된 중심을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킴으로서 상기 토출구에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모터가 연결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쉬라우드와; 상기 쉬라우드와 상기 허브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블레이드를 포 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허브는 상기 쉬라우드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평탄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스부에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송풍팬의 중심(C)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복수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보스부의 직경은 상기 송풍팬의 전체 직경(L)에 대하여 적어도 절반 이상으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캐비닛이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론트패널(20)과, 상기 프론트패널(20)에 설치되되 상기 프론트패널(20)과 소정 간격 이격 되어 설치되는 액자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0)에는 중앙에 흡입구(15)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되며, 상기 캐비닛(10)에는 토출구(16)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액자패널(30)은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전방에 설치되되, 상기 프론트패널(2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틈을 형성하고, 상기 프론트패널(20)과 상기 액자패널(3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상기 흡입구(15)로 공기가 이동된다.
한편, 상기 실내기는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토출시키는 송풍기(300)와, 상기 송풍기(300)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구(15)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기(300)를 안내하는 오리피스(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기(300)는 상기 베이스(12)와 상기 오리피스(1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모두 상기 토출구(16)로 안내한다.
특히 상기 송풍기(300)는 상기 오리피스(13)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원주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팬이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300)의 양측, 즉 상기 베이스(12)의 양측에는 상기 송풍기(300)에서 토출된 공기를 캐비닛(10) 밖으로 안내하는 토출구(16)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6)에는 베인(48)이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16)를 개폐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2)의 하측에 형성된 토출구(16)에도 실내기의 전장부(150)에 의해 개폐되는 베인(48)이 설치되어 토출공기를 실내로 안내한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12)는 배면에 설치된 브래킷(17)에 의해 실내 벽에 고정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300)의 상부, 즉 상기 베이스(12)의 상측에는 상기 송풍기(300)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베이스(12)의 양측에 설치된 토출구(16)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8)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오리피스(13)의 상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를 구성하는 전장부(150)가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13)의 전방에는 실내공기와 열교환되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난방시키는 열교환기(50)가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50)의 하측에는 드레인팬(100)이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5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 및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프론트패널(20) 또는 상기 오리피스(13)에 고정되고, 상기 열교환기(50)에는 외부로부터 설치되는 냉매배관(미도시)과 연결되도록 일측에 연결배관(52)이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0)은 상기 열교환기(50)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12)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10)은 모서리에는 배관커버(11)가 설치되고, 상기 배관커버(11)는 상기 베이스(12)의 모서리에 조립되어 상기 실내기의 외형 중 일부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배관커버(11)는 상기 캐비닛(10)에 4 모서리 중 복수개소에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모서리 2 개소에 설치되며, 상기 배관커버(11)를 관통해 외부 냉매배관이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안내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0)은 중앙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15)와, 상기 흡입구(15)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캐비닛(10) 내부 일부를 차폐하는 서비스커버(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비스커버(24)는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외형 중 일부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커버(24)는 상기 프론트패널(20)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바,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미도시) 또는 나사(미도시)에 의해 상기 프론트패널(20)에 체결 결합된다.
특히 상기 서비스커버(24)는 상기 프론트패널(20)에 조립되되, 상기 열교환기(50) 하부의 연결배관(52)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배관(52)을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전면에는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상기 오리피스(13)로 유동되도록 프론트그릴(21)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5)에는 상기 오리피스(13)로 유동되는 실내공기를 여과하도록 필터(6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그릴(21)은 상기 프론트패널(20)에서 상기 흡입구(15)의 중앙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와의 저항이 저감되도록 상기 흡입구(15)의 가장자리 일부에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그릴(21)은 상기 프론트패널(20)에 형성되되, 상기 액자패널(30) 측인 전방으로 소정 거리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터(60)는 상기 프론트패널(20)과 착탈되는 구조로 설치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론트패널(20)의 프론트그릴(21)에 지지된 다.
여기서 상기 필터(60) 및 상기 필터(60)를 지지하는 프론트그릴(21)은 상기 프론트패널(20)에 대하여 전방으로 소정 두께가 완만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그릴(21)은 상기 흡입구(15)로 유동되는 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15)에 최소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구(15)의 가장자리 중 상부 및 양 측부 일부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액자패널(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기구(200)와 힌지 연결되는 액자베이스(32)와, 상기 액자베이스(32)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액자베이스(32)와 힌지 연결되어 회전되는 데코프레임(34)과, 상기 데코프레임(34)의 전면에 부착되는 투명플레이트(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투명플레이트(35)는 투명 아크릴 또는 유리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액자베이스(32)에 부착되는 사진 또는 그림이 실내기의 전면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코프레임(34)은 내부가 빈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이 상기 투명플레이트(35)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프레임(34)의 상단은 상기 액자베이스(32)와 힌지 연결되어, 상기 힌지 연결된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액자패널(30)은 길이조절링크(210)를 통해 상기 프론트패널(20)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길이조절링크(210)는 상기 액자패널(30)에 힌지 연결되는 액자암(212)과, 상기 프론트패널(20)에 힌지 연결되는 패널암(214)을 포함하여 구 성되고, 상기 액자암(212)과 상기 패널암(214)은 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패널(20)에는 실내기의 작동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유닛(400)이 설치되고, 상기 표시유닛(400)은 상기 액자패널(30) 및 상기 프론트패널(20)에 삽입되어 설치 두께를 최소화하고, 상기 전장유닛(150)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상기 토출구(16)는 상기 베이스(12)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6)에는 안전망(11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10)에 형성된 토출구(16)는 상기 베이스(12)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수직격벽(42)과, 상기 수직격벽(42)의 전방 측 끝단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2)의 저면(12')과 대향되도록 형성된 수평격벽(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토출구(16)는 외측으로 갈수록 그 넓이가 확장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수평격벽(44)은 상기 베이스(12)의 저면(12')과 대향되게 설치된 바, 종래 베이스(12)의 제작방법과 상이한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즉, 종래 베이스를 제작하는 금형은 베이스(12)를 지지하는 베이스금형과, 상기 베이스금형과 소정간격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금형에 대하여 한쪽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동금형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이러한 금형구조는 상기 가동금형이 사출물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개구된 방향이 한쪽으로만 형성되어야 한다.
즉, 종래에는 베이스의 개구면이 전방 측을 향해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10)은 상기 토출구(16)가 형성되는 방향과 상기 베이스(12)가 개구된 방향이 상이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12)를 형성시키는 가동금형과 더불어 상기 토출구(16)를 형성시키는 별도의 금형블럭(미도시)이 상기 토출구 부분에 삽입되고, 상기 금형블럭은 상기 가동금형의 이동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베이스(12)에서 분리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금형은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금형블럭은 상기 베이스(12)의 둘레방향(좌/우 측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토출구(16)는 상기 캐비닛(10)의 양측부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6)에는 안전망(110), 리브(45) 및 스토퍼(46)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캐비닛(10)에는 상기 토출구(16)를 차폐하는 베인(48)이 더 설치되고, 상기 베인(48)은 상기 수직격벽(42)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된다.
더불어 상기 캐비닛(10) 내부에는 상기 베인(48)과 연결되어 상기 베인(48)을 회전시키는 모터(49)가 더 설치되고, 상기 베인(48)은 상기 모터(49)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상기 안전망(110)은 금속 재질의 견고한 선재(112)(114)가 서로 교차되어 메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선재(112)(114)의 끝단은 상기 베이스(12)에 형성된 홀(110a)에 삽입된다.
특히 상기 홀(110a)은 상기 베이스(12)의 토출구(16)를 형성하는 수직격벽 (42) 또는 상기 수평격벽(44)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전망(110)은 스틸 재질로 형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재(112)(114)의 두께가 되도록 가늘게 형성하여 토출되는 공기와의 저항이 최소가 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안전망(110)은 상기 베인(44)의 회전 시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상기 토출유닛(40)의 내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망(110)은 조립자가 상기 안전망(110)의 끝단을 약간 휘어지게 하여 상기 캐비닛(10)의 홀(110a)에 삽입함으로서 간단히 조립이 완료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의 송풍팬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절단선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절단선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300)는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16)로 토출시키는 송풍팬(310)과, 상기 송풍팬(310)을 회전시키는 모터(3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390)는 상기 베이스(12)의 저면(12')에 장착될 뿐만 아니라 모터축이 상기 송풍팬(310)의 중심에 체결고정된다.
상기 송풍팬(310)은 상기 오리피스(13) 측에 위치되는 쉬라우드(312)와, 상기 모터축이 고정되는 허브(320)와, 상기 쉬라우드(312)와 상기 허브(320)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공기의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블레이드(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쉬라우드(312)는 상기 오리피스(1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블레이드(330)로 안내하고, 이를 위해 상기 오리피스(312)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대면부(312a)와, 상기 대면부(312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오리피스(13)의 개구부(13a)로 삽입되는 삽입부(312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대면부(312a)와 상기 삽입부(312b)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3a)로 소정깊이 삽입된 삽입부(312b)로 인해 상기 오리피스(13)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쉬라우드(312)와 상기 오리피스(13)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허브(320)는 상기 모터축이 장착되는 보스부(322)와, 상기 보스부(322)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됨과 아울러 평탄하게 형성되는 평탄부(324)로 구성된다.
상기 보스부(322)는 배면에 상기 모터(39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중심에는 상기 모터축과 연결되는 보스(3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허브(320)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허브(320)의 직경은 상기 쉬라우드(31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되, 상기 쉬라우드(312)의 내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평탄부(324)는 상기 베이스(12) 및 상기 오리피스(13)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보스부(322)에는 복수개의 통공(325)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325)에 의해 상기 베이스(12) 측으로 소정량의 공기가 소통된다.
그래서 상기 오리피스(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310)의 보스부(322)의 경사를 따라 상기 평탄부(324)로 안내되고, 상기 보스부(322)에서 상기 평 탄부(324)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소정량의 공기가 상기 베이스(12)로 이동됨으로서 상기 송풍팬(310)의 전면 및 배면의 압력차를 최소화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통공(325)에 의해 송풍팬(310)의 압력차가 최소화됨으로서 상기 송풍팬(310)의 고속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한다.
여기서 상기 통공(325)은 원형으로 형성된 상기 허브(320)의 동심원 중심(C)에 대하여 등 간격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통공(325)은 120°간격으로 3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330)는 상기 허브(320)에서 전방인 상기 쉬라우드(312)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330)는 상기 허브(320)의 동심원 중심(C)에 대하여 만곡된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330)의 내측 끝단(330a)은 상기 평탄부(324)와 상기 보스부(322)의 경계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송풍팬(310)은 상기 송풍팬(310)의 중심(C)으로부터 상기 보스부(322) 끝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송풍팬(310) 직경의 절반(0.5L)이고, 상기 송풍팬 중심(C)으로부터 상기 쉬라우드(312) 끝단까지의 길이가 총 직경(L)을 형성한다.
그래서 허브(320)의 평탄부(324)에 형성되는 상기 블레이드(330)는 상기 송풍팬(310)의 총 직경(L)에 대하여 절반(0.5L)의 길이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330)의 길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도를 기준으로 한 길이이고, 상기 블레이드(330)의 길이가 만곡되게 형성되어지는 바, 실제 길이는 상기 0.5L 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330)는 상기 보스부(322) 측 끝단이 상기 쉬라우드(312) 보다 상기 오리피스(13) 측으로 더 돌출되어 돌출부(332)를 형성되고, 상기 편탄부(324)의 끝단(330a)은 상기 쉬라우드(312)의 배면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332)는 상기 쉬라우드(312)보다 더 돌출됨으로서 상기 오리피스(13)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먼저 접촉되고, 이로 인해 상기 블레이드(330)의 압력면(334)으로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330)의 외측 끝단(330b)은 상기 쉬라우드(312)의 외측끝단과 상기 허브(320)의 외측 끝단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면(33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335)은 공기의 송풍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허브(320) 외측 끝단 밖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쉬라우드(312)와 상기 허브(320)의 각 끝단을 연결함으로서 돌출 면적을 최소화하여 진동의 발생을 예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는 사진 또는 그림이 안착되는 액자베이스의 하측에 상기 사진 또는 상기 그림 등을 설치 또는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 가 형성되어 사진 또는 그림 등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송풍팬의 허브를 이루는 보스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평탄부에 블레이드가 형성되기 때문에 송풍팬의 고속회전 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토출구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상기 모터와 연결된 중심을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킴으로서 상기 토출구에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모터가 연결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쉬라우드와; 상기 쉬라우드와 상기 허브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허브는 상기 쉬라우드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평탄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에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상기 송풍팬의 중심(C)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의 직경은 상기 송풍팬의 전체 직경(L)에 대하여 적어도 절반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60031545A 2006-04-06 2006-04-0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100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545A KR20070100019A (ko) 2006-04-06 2006-04-0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545A KR20070100019A (ko) 2006-04-06 2006-04-0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019A true KR20070100019A (ko) 2007-10-10

Family

ID=3880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545A KR20070100019A (ko) 2006-04-06 2006-04-0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00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067A (ko) * 2015-07-29 2015-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6122087A (zh) * 2016-08-30 2016-11-16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离心风轮及空调器
US10041722B2 (en) 2012-08-24 2018-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having a cooling unit adjacent the blower and the dischar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1722B2 (en) 2012-08-24 2018-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having a cooling unit adjacent the blower and the discharge
KR20150092067A (ko) * 2015-07-29 2015-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6122087A (zh) * 2016-08-30 2016-11-16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离心风轮及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16455B (zh) 空调器
CN106091107B (zh) 左右双风道空调器
KR20140105084A (ko) 터보팬 및 이를 사용한 천정형 공기조화기
KR10054147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7007825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10001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14591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10064236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7826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14592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20070078258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925585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1009257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47623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CN108386905B (zh) 空调
KR100377749B1 (ko) 벽매립형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7007825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1474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53040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
KR20040045516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모터 설치구조
KR10054147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넷구조
KR20050027640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구조
KR20070000897A (ko) 터보팬
KR20040078973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공기유동안내구조
JPS62297643A (ja) 一体形空気調和機の風向偏向羽根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