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040B1 -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 - Google Patents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040B1
KR100553040B1 KR1020030068590A KR20030068590A KR100553040B1 KR 100553040 B1 KR100553040 B1 KR 100553040B1 KR 1020030068590 A KR1020030068590 A KR 1020030068590A KR 20030068590 A KR20030068590 A KR 20030068590A KR 100553040 B1 KR100553040 B1 KR 100553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ront panel
indoor
discharg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672A (ko
Inventor
김명수
김영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8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040B1/ko
Priority to TW093100617A priority patent/TWI280338B/zh
Priority to CNB2004100282930A priority patent/CN100547306C/zh
Priority to CNU2004200079157U priority patent/CN2694154Y/zh
Priority to BR0400898-7A priority patent/BRPI0400898A/pt
Priority to US10/929,559 priority patent/US20050056037A1/en
Publication of KR20050032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개폐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토출도어가 구비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론트패널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는 입구가 되는 흡입구(210,215)와,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배출되는 출구가 되는 실내토출구(220)와, 상기 실내토출구(22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토출도어(230)와, 상기 토출도어(230)의 이동를 제어하는 도어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244)와, 상기 구동모터(244)의 중심축이 연장 형성된 회전축(246)과, 상기 회전축(246) 상에 설치되는 회전피니언(248)과, 상기 회전피니언(248)과 맞물려 구동되는 래크(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에 의하면, 프론트패널의 오염이 방지되고 토출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프론트패널, 토출구, 토출도어, 개폐수단

Description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 { Front panel of air conditioner }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외관 구성과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 프론트패널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의 부분 절결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 프론트패널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토출도어가 닫힌 상태의 프론트패널 배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토출도어가 열린 상태의 프론트패널 배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에서 전방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에서 공기청정 기능이 수 행되는 경우의 유로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베이스팬 200. 프론트패널
210. 전면흡입구 215. 측면흡입구
220. 실내토출구 222. 토출안내부재
230. 토출도어 232. 래크
242. 모터장착부 244. 구동모터
246. 회전축 248. 회전피니언
300. 에어가이드 310. 하측에어가이드
312. 좌우베리어 350. 상측에어가이드
352. 토출유로 354. 유로안내판
356. 스태핑모터 360. 필터설치부
370. 고성능필터 380. 콘트롤박스
400. 실내열교환기 410. 오리피스
412. 관통홀 420. 실내팬
422. 팬스링어 450. 팬모터
452. 중심축 460. 실외팬
500. 쉬라우드 550. 실외열교환기
600. 후면패널 610. 그릴토출구
700. 캐비넷 710. 설치안내부
720. 측면흡입공 730. 상면흡입공
740. 필터그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요부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고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살펴보면, 공기조화기의 바닥을 베이스팬(1)이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팬(1)의 실내측 전면에는 프론트패널(3)이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에는 그 하측에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흡입부(3i)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는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그릴(3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그릴(3e)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통로가 되는 다수의 토출공(3e')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흡입부(3i)의 전방에는 흡입그릴(4)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흡입그릴(4)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통로가 되는 다수의 흡입공(4')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그릴(4)과 흡입부(3i) 사이에는 필터(도시되지 않음)가 더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의 내측에는 실내열교환기(5)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5)는 상기 흡입부(3i)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공기조화사이클의 작동유체 사 이의 열교환을 위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에어가이드(7)에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5)의 후방에는 에어가이드(7)가 상기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된다. 상기 에어가이드(7)는 전체적으로 공기조화기를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내측과 실외측은 상기 에어가이드(7)에 의해 차단되어 이들 사이의 공기의 유동이 제한된다. 상기 에어가이드(7)의 상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쉬라우드(18)와의 연결을 위한 브레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7)의 내부에는 스크롤(9)이 설치된다. 상기 스크롤(9)은 그 내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형성되는 유동가이드면(9g)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롤(9)의 전면,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5)와 대응되게 오리피스(11)가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11)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5)를 통과해서 유동되는 공기를 아래에서 설명될 실내팬(13)으로 안내하는 오리피스공(12)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11)의 상단에는 상기 토출그릴(3e)로 열교환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가이드(11e)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크롤(9)의 내부에는 실내팬(13)이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상기 흡입부(3i), 실내열교환기(5) 및 오리피스공(12)을 거쳐 유동되게 한다. 상기 실내팬(13)은 상기 오리피스공(1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그 원심방향으로 불어내는 것으로, 불어내어진 공기는 상기 유동가이드면(9g)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토출가이드(11e)로 유동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부분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이고, 이제 상기 에어가이드(7)에 의해 실내측과 구획되는 실외측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에어가이드(7)의 실외측에는 상기 실내팬(13)과 아래에서 설명될 송풍팬(17)을 회전시키는 모터(15)가 장착된다. 상기 모터(15)는 회전축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중 일측 회전축은 상기 에어가이드(7)를 관통하여 상기 스크롤(9)의 중심까지 연장설치되어 상기 실내팬(13)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15)의 실외측 회전축에는 송풍팬(17)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17)은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실외열교환기(19)를 통과시켜 열교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송풍팬(17)에는 그 날개 끝부분을 연결하는 링(17r)이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송풍팬(17)이 형성하는 기류를 안내하는 쉬라우드(18)가 상기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18)에는 상기 송풍팬(17)이 위치되도록 실외열교환기(19)측과 연통되는 송풍팬(17)의 회전에 따라 기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통공(1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쉬라우드(18)는 상기 송풍팬(17)에 의해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실외열교환기(19) 전체로 유동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쉬라우드(18)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9)의 양단에 체결되고,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7)와 브레이스(8)를 통해 연결되어 그 상단이 지지된다.
상기 쉬라우드(18)와 마주보게 상기 베이스팬(1)의 실외측에는 실외열교환기(19)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9)는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와 공기조화사이클의 작동유체가 열교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7)와 쉬라우드(18)의 사이에 해당되는 베이스팬(1) 상에는 공기조화사이클의 구성요소인 압축기(20)가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이 공기조화기를 형성하는 각종 부품을 아웃케이스(21)가 외부와 차폐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아웃케이스(21)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 상기 실외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실외에 있도록 설치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프론트패널(3) 하측부에는 건물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그릴(4)이 구비되고, 상측부에는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그릴(3e)이 구비되므로, 이러한 프론트패널(3)에 먼지 등의 이물이 적치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흡입그릴(4)에 형성되는 다수의 흡입공(4')과, 토출그릴(3e)에 형성되는 다수의 토출공(3e')에 먼지등의 이물이 쌓이게 되며, 이러한 흡입공(4')과 토출공(3e')은 그 크기가 조밀하여 청소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방면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전면에는 그릴이 형성되지 않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출도어가 상하로 슬라이딩하면서 실내토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는 입구가 되는 흡입구와,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배출되는 출구가 되는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토출도어와, 상기 토출도어의 이동를 제어하는 도어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중심축이 연장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회전피니언과, 상기 회전피니언과 맞물려 구동되는 래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래크는 상기 토출도어의 배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는 프론트패널의 양측면과 전면 하부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에 의하면, 프론트패널의 오염이 방지되고 토출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부분 절결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6에는 토출도어가 닫힌 상태의 프론트패널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토출도어가 열린 상태의 프론트패널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과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베이스팬(100) 상면에는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획되어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먼저 실내측의 최전방에는 프론트패널(200)이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00)은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즉, 전면 중앙부가 전방으로 일정부분 라운드지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00)의 전면 하단부에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공기조화기의 실내측으로 흡입하는 통로인 전면흡입구(210)가 형성되어 있고, 프론트패널(200)의 양측면에는 측면흡입구(21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패널(200)의 하단부와 측면을 통해 실내의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프론트패널(200)의 상단부에는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하는 실내토출구(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실내토출구(220)의 선단부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하는 토출안내부재(222)가 더 구비된 다.
상기 프론트패널(200)의 배면에는 상기 실내토출구(2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토출도어(230)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도어(230)는 상하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실내토출구(220)를 개폐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패널(200)의 배면에는 상기 토출도어(230)를 개폐하는 도어개폐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상기 프론트패널(200)의 배면에 고정되는 모터장착부(242)와, 상기 모터장착부(242)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44)와, 상기 구동모터(244)의 중심축이 연장 형성된 회전축(246)과, 상기 회전축(246) 상에 설치되는 회전피니언(248)과, 상기 회전피니언(248)의 치차와 맞물리는 치차가 형성된 래크(232)를 포함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래크(232)는 상기 토출도어(230) 배면에 상하방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피니언(248)의 회전에 따라 상기 토출도어(23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244)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면, 이와 연동되는 회전피니언(248)이 회전하여 상기 토출도어(230)가 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2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46)의 좌측단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피니언(248)은 상기 회전축(246)의 좌우에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팬(100) 상에는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고 실내측에서의 공기유동을 안내하는 에어가이드(300)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가이드(300)는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되는 하측에어가이드(310)와, 상기 하측에어가이드(310)의 상측에 장착되는 상측에어가이드(350)로 구성된다.
상기 하측에어가이드(310)의 하단에는 실내측베이스(3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실내측베이스(320)는 상기 하측에어가이드(310) 하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팬(100)의 선단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베이스팬(1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측에어가이드(310)의 전면 중앙부에는 상하로 좌우베리어(31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좌우베리어(312)는 상기 하측에어가이드(310)의 전면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측에어가이드(310)의 전방을 좌우로 구획한다.
한편, 상기 하측에어가이드(310)의 좌측과 우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팬(420)이 각각 설치되는 실내팬설치홀(314)이 형성된다. 상기 실내팬설치홀(314)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팬(42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테두리는 전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에어가이드(35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팬(420)으로부터 유도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프론트패널(200)의 실내토출구(220)로 안내하는 토출유로(352)가 형성된다. 즉, 상기 토출유로(352)는 상측에어가이드(350)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되게 형성되며 선단부는 상기 프론트패널(200)의 실내토출구(220)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측에어가이드(35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필터설치부(360)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설치부(360)에는 유입되는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하는 고성능필터(370)가 상방으로부터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에어가이드(350)의 우측단에는 콘트롤박스(380)가 구비된다. 상기 콘트롤박스(380)는 소정크기로 형성되며,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커패시터와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기판 등의 제어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전방에는 실내열교환기(400)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400)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곳이다.
상기 실내열교환기(400)와 상기 에어가이드(300) 사이에는 오리피스(410)가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410)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0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리피스(410)에는 상기 하측에어가이드(310)의 실내팬설치홀(314)과 대응되는 관통홀(412)이 각각 좌우에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내부에는 실내팬(420)이 설치되어 실내측에서의 공기유동을 위한 원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실내팬(420)은 좌우에 각각 하나씩 쌍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실내팬(420)은 상기 하측에어가이드(310)의 좌우에 형성되는 실내팬설치홀(314)에 각각 위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에어가이드(300)와 오리피스(410)의 일측에는 환기공이 더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환기공을 통해서는 외부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흡입되어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일측에는 댐퍼가 설치되고 이러한 댐퍼는 별도의 동력모터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환기공을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외부의 공기가 상기와 같은 환기공을 통해 유입되도록 실외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환기터널(도시되지 않음)이 더 형성되기도 한다. 즉,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상단부와 아래에서 설명할 쉬라우드(500) 사이를 연결하는 브레이스(도시되지 않음)의 하부에 후방의 공기를 전방으로 안내하여 상기 환기공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환기터널이 더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내팬(420)의 후측에는 팬모터(450)가 설치된다. 상기 팬모터(450)의 중심축(452) 선단은 상기 실내팬(420)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후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외팬(460)의 중심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450)는 상기 실내팬(420) 및 실외팬(46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팬모터(450)는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배면에 직접 장착되거나 별도의 브라켓에 지지될 수 있는데, 그 회전축이 양단으로 구비되어 그 중 하나에는 실내팬(420)이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실외팬(460)이 설치된다.
상기 에어가이드(300)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후방에는 실외측에서의 공기유동을 안내하는 쉬라우드(500)가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74)의 중앙부분 좌우에는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실내팬설치홀(314)과 대응되는 통공(50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500)의 상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외팬(460)의 팬스링어(422)에 의해 안내되는 응축수를 안내하는 안내비드(도시되지 않음)가 더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통공(502) 내측에는 실외의 공기를 강제 송풍하여 열교환이 일어나게 하는 실외팬(460)이 설치된다. 상기 실외팬(460)에는 날개 끝부분을 연결하는 팬스링어(422)가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팬스링어(422)는 하부에 고여 있는 응축수를 튀겨서 상기 실외팬(460)의 후방에 설치되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외열교환기(550)에 뿌려 냉방운전시 실외열교환기(550)의 온도를 낮추어 냉각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쉬라우드(500)의 후측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팬(100)의 후단에는 실외열교환기(550)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550)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실외에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게 하여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될 때, 실내의 열을 실외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실외측의 베이스팬(100) 상에는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56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560)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00) 및 실외열교환기(550)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압축기(560)의 설치위치는 상기 에어가이드(300)와 쉬라우드(74) 사이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에어가이드(300)와 쉬라우드(500) 사이임과 동시에 상기 좌측의 팬모터(450) 중심축과 우측의 팬모터(450) 중심축 사이에 설치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압축기(560)는 실외측의 중심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550) 후방에는 후면그릴을 형성하는 후면패널(600)이 설치된다. 상기 후면패널(600)에는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다수개의 그릴토출구(610)가 좌우로 형성된다. 즉, 상기 그릴토출구(610)는 상기 후면패널(600)에 다수의 삼각형상 요철부가 반복형성된 다음 이러한 요철부의 하측 면이 일정부분 좌우로 절개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외관 상면과 양측면을 캐비넷(700)이 형성한다. 상기 캐비넷(700)은 상기 구성요소 들을 차폐하고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캐비넷(700)의 전반부에는 좌우로 가로질러 설치안내부(710)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안내부(710)는 상기 캐비넷(70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부분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공기조화기가 건물의 창문에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하며, 여기에 커텐어셈블리(도시되지 않음) 등이 안착되기도 한다.
상기 캐비넷(700)의 양측면 후단부에는 측방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다수의 측면흡입공(720)이 형성되고, 상면 후반부 양측단부에도 상방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다수의 상면흡입공(73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캐비넷(700)의 상면 선단부 즉, 상기 설치안내부(710)의 전방부에는 필터그릴(740)이 설치된다.
상기 필터그릴(740)은 상기 상측에어가이드(350)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성능필터(370)의 상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고성능필터(370)를 통과한 공기의 토출방향을 안내하게 되며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700)의 측면에는 설치와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750)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토출유로(352)의 내부에는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안내판(354)이 더 설치된다. 상기 유로안내판(354)은 대략 직사각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내팬(420)에 의해 강제 송풍되어 상기 상측에어가이드(35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실내팬(420)에 의해 상방의 상측에어가이드(350)로 유입된 공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토출유로(352)의 전방에 있는 실내토출구(220)를 통해 토출되거나, 상기 토출유로(352)의 상방으로 유입되어 상기 고성능필터(370)를 거쳐 상방으로 토출되는데, 이러한 토출방향을 유로안내판(354)이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유로안내판(354)의 선단부는 상기 필터설치부(360)의 하단 선단부에 힌지고정되고, 이러한 고정부의 일측에는 유로안내판(354)의 구동을 위한 스태핑모터(356)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스태핑모터(356)가 회전하면, 상기 유로안내판(354)의 후단부가 상하로 유동하면서 상기 토출유로(352)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즉, 상기 유로안내판(354)의 후단이 상승하여 유로안내판(354)이 수평을 이루면 상기 필터설치부(360)의 저면을 차폐하게 되어, 상기 실내팬(420)에 의해 강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토출유로(352)의 전방으로 토출된다.
반대로, 상기 스태핑모터(356)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유로안내판(354)의 후단이 하강하여 상기 토출유로(352)의 바닥면에 닿으면 토출유로(352)의 전면이 차폐되므로, 상기 실내팬(420)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고성능필터(370)를 거쳐 상방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가 냉방모드로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공기조화기가 구동되면 상기 좌우의 팬모터(450)가 동작되어 상기 좌우측의 실내팬(420)과 실외팬(460)이 각각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560)가 구동되어 작동유체가 열교환사이클을 순환하게 된다.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상기 실내팬(420)의 구동에 의해서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전면흡입구(210) 및 측면흡입구(215)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40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400)에서 열교환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된 공기는 상기 실내팬(420)의 전방으로 흡입되는데, 이때 상기 오리피스(410)에 쌍으로 형성된 관통홀(412)을 통해 실내의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실내팬(420)으로 유입된 공기는 실내팬(420)의 회전에 따라 실내팬(420)의 원주방향으로 토출된다. 즉, 상기 실내팬(420)은 상기 팬모터(450)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실내팬(420)의 회전에 의해 전방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실내팬(420)의 원주방향으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하측에어가이드(310)의 측면과 좌우베리어(312)에 의해 안내되어 상방에 설치되는 상측에어가이드(35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상측에어가이드(35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방으로 개구된 상기 토출유로(352)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된다.
즉, 상기 하측에어가이드(310)에 의해 상방으로 유입된 공기는 방향이 전환되어 전방으로 토출되는데, 상기 토출유로(352)를 경유한 다음 상기 프론트패널(200)의 실내토출구(220)를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 것 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내열교환기(400)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태핑모터(356)의 구동에 의해 상기 유로안내판(354)이 상기 토출유로(352)를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0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실내팬(420)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안내되어 상방으로 토출되고, 이때 토출된 공기는 상기 실내토출구(220)로 배출되지 못하므로 상측의 고성능필터(370)를 경유하여 상기 필터그릴(740)을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로안내판(354)에 의해 안내되는 토출공기의 상태를 도 8과 도 9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토출유로(352)를 통해 전방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태핑모터(35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유로안내판(354)의 후단이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어 상기 토출유로(352)의 전방이 개방되고, 상기 필터설치부(360)의 하면은 차폐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팬(420)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고성능필터(370)로는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토출유로(352)를 경유하여 상기 실내토출구(220)를 통해 전방으로 모두 토출된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토출도어(230)는 하방으로 내려오게 되어 상기 실내토출구(220)는 개방된다.
그리고,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청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태핑모터(356)의 구동에 의해 상기 유로안내판(354)의 후단을 하방으로 내린다. 이렇게 되면, 상기 토출유로(352)가 차폐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 팬(420)으로부터 강제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설치부(360)의 하면으로 유입된다.
하방으로부터 상기 필터설치부(36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고성능필터(370)를 거치면서 정화되며, 정화된 공기는 상기 필터그릴(740)을 통해 상방으로 토출된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토출유로(352)를 통해 전방으로는 공기가 토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토출도어(230)는 상방으로 올라가 상기 실내토출구(220)를 차폐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고성능필터(370)를 경유하면, 공기중의 이물이 걸러지므로 보다 청정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냉방은 물론 청정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보다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실외측을 살펴보면, 상기 실외팬(460)의 구동에 의해서는 실외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된다. 즉, 상기 실외팬(46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캐비넷(700)의 측면흡입공(720)과 상면흡입공(73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된다.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쉬라우드(50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실외팬(460)으로 흡입되고, 상기 실외팬(460)에 의해 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실외열교환기(55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열교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유체에서 상기 공기로 열이 전달되어 실외로 실내의 열이 방출된다.
이와 같이 실외측으로 전달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는 상기 압축기(560)의 온도를 낮추어주고 상기 실외팬(72)에 의해 상기 실외열교환기(550)로 전달되어 작동유체와 열교환하고 실외로 토출된다.
한편,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외부공기로 환기하는 환기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살펴보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에어가이드(300) 일측에 형성된 환기공이 개방되면 상기 실내토출구(220)는 상기 토출도어(230)에 의해 차폐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흡입구(210) 및 측면흡입구(2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실내열교환기(400)를 경유한 다음, 상기 환기공(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실외측으로 유입된 다음 상기 측면흡입공(720)으로 배출되거나 상기 후면패널(600)의 그릴토출구(610)를 통해 배출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모터(244)가 상기 회전축(246)의 좌측단에 구비되어 있으나, 우측단 또는 중앙부에 구비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 상기에서는 상기 회전피니언(248)과 래크(232)가 상기 회전축(246)의 좌우에 쌍으로 즉, 두 개가 구비되어 있으나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에서는 건물실내의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되는 입구인 공기흡입구가 전면 하단과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프론트패널의 전면 상단부에는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기를 건물실내로 배출하는 실내토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실내토출구를 토출도어가 상하로 슬라이딩하면서 선택적으로 차폐하며, 토출도어는 도어개폐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유동된다.
즉,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나, 공기청정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상기 토출도어가 실내토출구를 차폐하므로, 실내토출구를 통한 이물의 침투가 방지되므로 전체적으로 프론트패널의 오염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토출도어는 도어개폐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므로 토출도어의 개폐가 용이해진다.

Claims (4)

  1.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는 입구가 되는 흡입구와,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배출되는 출구가 되는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토출도어와,
    상기 토출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흡입구는 프론트패널의 양측면과 전면 하부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중심축이 연장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회전피니언과, 상기 회전피니언과 맞물려 구동되는 래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는 상기 토출도어의 배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
  4. 삭제
KR1020030068590A 2003-09-16 2003-10-02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 KR100553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590A KR100553040B1 (ko) 2003-10-02 2003-10-02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
TW093100617A TWI280338B (en) 2003-09-16 2004-01-09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and front panel thereof
CNB2004100282930A CN100547306C (zh) 2003-09-16 2004-03-09 整体式空调器及其前板
CNU2004200079157U CN2694154Y (zh) 2003-09-16 2004-03-09 整体式空调器及其前板
BR0400898-7A BRPI0400898A (pt) 2003-09-16 2004-03-11 Condicionador de ar do tipo integrado e seu painel dianteiro
US10/929,559 US20050056037A1 (en) 2003-09-16 2004-08-31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and front panel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590A KR100553040B1 (ko) 2003-10-02 2003-10-02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672A KR20050032672A (ko) 2005-04-08
KR100553040B1 true KR100553040B1 (ko) 2006-02-15

Family

ID=3723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590A KR100553040B1 (ko) 2003-09-16 2003-10-02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0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672A (ko) 200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7689B1 (en) Air conditioner
KR10054147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US20050056037A1 (en)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and front panel thereof
US20050056038A1 (en)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and air guide structure thereof
KR10072746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7587908B2 (en)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with air filtration
KR100977369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867953B1 (ko) 공기조화기
KR20050047623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75895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53040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
KR100511878B1 (ko) 공기청정 기능이 겸비된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5304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41476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4147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넷구조
KR20050027641A (ko) 공기청정 기능이 겸비된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60098298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필터조립체 장착구조
KR20050027640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구조
KR2006012876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34146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공기안내구조
KR20050046081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구조
KR100564486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5003414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68821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27639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