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126A - 잡음 저감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 - Google Patents

잡음 저감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0126A
KR20070030126A KR1020060085501A KR20060085501A KR20070030126A KR 20070030126 A KR20070030126 A KR 20070030126A KR 1020060085501 A KR1020060085501 A KR 1020060085501A KR 20060085501 A KR20060085501 A KR 20060085501A KR 20070030126 A KR20070030126 A KR 20070030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ignal
level
signals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코 오자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0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10/00Microphones
    • H04R2410/07Mechanical or electrical reduction of wind noise generated by wind passing a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7Synergistic effects of band splitting and sub-band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가산 평균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 및 상기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 검출되는 레벨치중에서 가장 작은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상기 각 소정 기간마다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대역 제한 수단과, 상기 대역 제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대역 합성 수단을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 수단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Description

잡음 저감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Noise reduc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and sound pickup apparatus for electronic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잡음 저감 장치의 제 1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잡음 저감 장치에 이용하는 레벨치 검출/판정 수단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잡음 저감 장치의 바람 잡음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잡음 저감 장치에 이용하는 레벨치 검출/판정 수단의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잡음 저감 장치의 제 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a - 도 6g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의 잡음 저감 장치의 바람 잡음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잡음 저감 장치의 제 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제 3의 실시예의 분할 대역을 나타내는 대역 주파수 특성 곡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잡음 저감 장치의 제 4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자동 잡음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잡음 저감 장치의 제 5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자동 잡음 저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자동 잡음 저감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바람 잡음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주파수 특성 곡선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자동 잡음 저감 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2005년 9월 12일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JP2005-264157호와 관련된 주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전체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자 회로내에서 마이크로폰을 통해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을 저감 가능한 잡음 저감 장치 및 잡음 저감 방법 및 잡음 저감 프로그램과 그 전자기기용 수음 장치와 관계되며, 특히, 복수의 마이크로폰 신호를 소정 기간마다 최소화하고, 이것을 선택하여 재합성하는, 잡음 저감 장치 및 잡음 저감 방법 및 잡음 저감 프로그램과 그 전자기기용 수음 장치(sound pickup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방송용 혹은 업무용의 대형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옥외수음에 있어서의 바람 잡음을 막기 위해서, 마이크로폰에 윈드 재머(wind jammer)라고 불리는 방풍 장치를 달거나 혹은, 우레탄으로 마이크로폰을 커버하는 경우가 많았다. 가정용 비디오 카메라등의 휴대형의 전자기기용 음성기록치의 내장 마이크로폰은, 소형화를 위해서 상술의 기구적 방풍 장치에 대신하여, 전자 회로내에 방풍 대책을 가지고 있다. 종래부터, 이와 같은 상기 회로 구성의 방풍 대책으로서는 이하와 같은 수법이 실시되고 있었다.
1. 각 음성 신호가 가지는 지향 특성(음장 특성, 독립성)을 제어하고, 단청화(monaural form)한다.
2. 바람 잡음 성분을 많이 포함한 주파수대역의 레벨을 감쇠시킨다.
3. 음장(sound-field) 생성 연산 처리를 변경하고, 무지향성화한다. 그리고, 이러한 대책을, 단독 혹은 복합해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바람 성분을 포함하는 제 1의 저역 성분에 대해서, 상기 1항과 2항의 양자의 대책을 실행하고, 바람 잡음 성분을 보다 많이 포함한 제 2의 저역 성분이 검출된 신호를 이용하여 그 특성을 자동 제어하는 수음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3은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수음 장치의 좌/우(이하 L/R이라고 적는다) 2채널의 자동풍 잡음 저감 회로의 전체적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3의 파선 부분으로 그 개략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있어서, R 마이크로폰(1) 및 L마이크로폰(2)으로부터 입력한 바람 잡음 신호를 포함한 오른쪽 음성 신호(이하 Rch라고 적는다) 및 왼쪽 음성 신호(이하 Lch라 고 적는다)는, 각각 증폭기(이하 AMP라고 적는다)(3 및 4)를 통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이하 ADC라고 적는다)(5 및 6)에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와 바람 잡음 신호는 디지털 변환되고, 디지털 데이터로서 Rch측은 지연기(이하 DL라고 적는다) (7)와 가산기(9)의 마이너스 단자에 입력되며, Lch측은 DL(8)과 가산기(9)의 플러스 단자에 입력되며, 가산기(9)에서는 양자의 차이 신호 성분(L-R)을 연산하여, 저역 통과 필터(이하 LPF라고 적는다)(10 및 21)에 입력된다.
여기서, 도 14에, 일반적인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의 바람 잡음 신호의 주파수 특성예를 나타낸다. 바람 잡음 신호는, 약 1kHz 정도로부터 저주파수측을 향해 1/F특성(F는 주파수)으로 레벨이 증가하지만, 사용하는 마이크로폰의 특성이나, 입력단의 아날로그 회로에 접속하는 커플링 콘덴서의 영향으로 극히 저주파수에서는 레벨이 감소하기 때문에, 약 100-200Hz부근에서 피크를 갖고 있다. 또한, 바람 잡음 신호의 특징은, 마이크로폰 근방에 발생하는 소용돌이 모양(카르만 소용돌이(Kalman swirl)로 불린다)의 기류에 의해, 복수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바람 잡음 신호는, 음성 신호보다 상관성이 더욱 없는 랜덤 신호에 근사한다. 이와 같이 바람 잡음 신호는 L/R채널간에 상관성이 없기 때문에 차이 신호 성분(L-R )에는 바람 잡음 성분이 많이 추출된다. 그리고 LPF(21)는 극히 저주파수 성분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 바람 잡음 신호만을 (도 13의 파선으로 가리키는 바람 잡음 추출 수단(33)내에서)추출한다. 또, LPF(21)의 출력은, AMP(22)에서 증폭되고 검파기(이하 DET라고 적는다)(23)에서 바람 잡음 신호의 레벨이 검출된다(도 13의 파선으로 가리키는 검파 수단(34)). 또한, MAKECOEF(제 어 계수 생성기)(24)에서 다음 단에 공급하는 제어 계수를 형성하고, 어택/리커버리(attack/recovery) 시간 상수와 함께 바람 잡음 레벨 검출 신호를 (도 13의 파선으로 가리키는 제어치 생성 수단(35)내에서)얻고 있다.
LPF(10)는 도 14에 도시한 저역의 바람 잡음 대역을 통과시킴으로써 대부분의 바람 잡음 신호를 추출할 수 있고, 이 신호를 레벨 가변기(11)에는 바람 잡음 레벨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레벨 제어한다. 이 때, 레벨 가변기(11)는 바람 잡음이 큰, 즉, 바람 잡음 레벨 검츌 신호의 레벨이 클 때에 출력이 커지도록 제어하며, 반대로 바람 잡음이 없을 때는, 바람 잡음 레벨 검출 신호의 레벨을 영으로 하여, 출력이 영이 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가산기(12)는(도 13의 파선으로 가리키는 제 1의 제어 수단(31)내에 서) DL(8)을 통과한 신호로부터 이 레벨 가변기(11)의 출력을 감산한다.
여기서, 이 연산의 의미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Lch의 음성 신호를 Ls, 바람 잡음 신호를 Lw로 하며, Rch의 음성 신호를 Rs, 바람 잡음 신호를 Rw로 하고, 바람 잡음이 최대일 때에, 레벨 가변기(11)의 출력/입력비를 0.5배로 설정하면, 가산기(12)의 출력(Ra)과 가산기(13)의 출력(La)은 각각 이하의 식 (1), (2)식으로 표현된다.
[식 1]
Ra=(Rs+Rw)+0.5(Lw-Rw)=Rs+0.5(Lw+Rw)...(1)
La=(Ls+Lw)-0.5(Lw-Rw)=Ls+0.5(Lw+Rw)...(2)
즉, 바람 잡음 신호(Rw, Lw)가 클 때는, 바람 잡음 신호는 어느 쪽이나 (Lw +Rw)성분을 얻게 되어 단청의 신호가 되며, 바람 잡음 신호(Rw, Lw)가 영이 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음성 신호(Rs, Ls)가 출력된다. 바람 잡음 신호는 음성 신호와 비교하면, 채널간의 상관성이 없기 때문에, 가산되는 바람 잡음 신호가 크게 저감된다. 또, DL(7) 및 DL(8)은, LPF(10)에 의한 지연분을 본선측(main line side)에서 보상하므로, 가산기(12)및 가산기(13)의 신호 타이밍의 동기는 저감 효과를 증가시킨다. 가산기(12, 13)의 출력은, 각각 DL(15, 16)에 입력됨과 동시에, 가산기(14)에 입력되어 양자가 가산되어 그 출력은 LPF(17)에 입력한다. LPF(17)는 LPF(10)와 같이 바람 잡음 대역을 추출하는 대역으로 설정된다.
이 LPF(17)의 출력은, 레벨 가변기(18)내의 바람 잡음 레벨 검출 신호에 의해 레벨 제어된다. 바람 잡음이 큰, 즉 바람 잡음 레벨 검출 신호의 레벨이 클 때에 출력이 커지도록 제어되며, 반대로 바람 잡음이 없을 때에는, 바람 잡음 레벨 검출 신호의 레벨이 영이 되어 출력이 영이 되도록 제어된다. 가산기(19)에 의해 레벨 가변기(18)의 출력은 DL(15)을 통과한 신호로부터 감산된다. 가산기(20)는 DL(16)을 통과한 신호로부터 레벨 가변기(18)의 출력을(도 13의 제 2의 제어 수단(32)내에서)감산한다.
여기서, 이 연산의 의미에 대해 설명한다.
(1), (2)식에 근거하여, 바람 잡음이 최대 일때, 레벨 가변기(18)의 출력/입력비를 0.5배로 설정하면, 가산기(19)의 출력(Rb)과 가산기(20)의 출력(Lb)은 각각 이하의 식으로 표현된다.
[식 2]
Rb=Rs+0.5(Lw+Rw)-0.5(Lw+Rw)=Rs...(3)
Lb=Ls+0.5(Lw+Rw)-0.5(Lw+Rw)=Ls...(4)
따라서, 바람 잡음 신호(Rw, Lw)는 캔슬되어 음성 신호(Rs, Ls)만을 얻을 수 있다. DL(15, 16)은, LPF(17)에 의한 지연분을 본선측에서 보상하고 있으므로, 가산기(19, 20)내에서 신호 타이밍의 동기는 저감 효과를 더욱 증가시킨다. 따라서, 가산기(19, 20)의 출력 신호는 바람 잡음 신호가 저감된 음성 신호가 되어, 비디오 카메라인 경우에는, 기록계 신호 처리에 입력되어 별도로 준비된 영상 신호와 함께 테이프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또, 특허 문헌 2에 명시된 마이크로폰 장치 및 재생 음성 신호의 처리 장치 및 음성 신호의 풍음 저감 장치에 있어서는, 특허 문헌 1에 명시된수음 장치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최소 클립 레벨과 최대 리미터 레벨을 제공한다. 특허문헌 2는, 왼쪽 및 오른쪽 채널 음성 신호의 비상관 성분량이 증가해도, L/Rch의 음성 신호로부터, 바람 잡음의 신호만을 확실히 저감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이 개시되어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폰에서의 복수의 음성 신호에 근거하는 L/Rch의 음성 신호의 각각에 포함되는 바람 잡음을 저감하는 바람 잡음 저감 회로의 종래 회로에 있어서 L/Rch 회로의 특성의 불균형, 수음시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폰의 형상, 주변의 방풍 장치(스펀지, 철망등 )의 형상, 부착 방법, 마이크로폰간의 간격등의 차이와, 수음시에 사용되는 복수의 마이크로폰에서의 음성 신호를 스테레오 변환 처리 회로에 의해 L/Rch의 음성 신호로의 변환에 의해 이러한 비상관 성분들이 발생하게 된다.
특허 문헌 3에는, 1채널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음된 신호내에서, 바람 성분의 1/f 변화의 동시성을 검출하고, 상술의 2항을 이용해 자동적으로 저역 레벨을 감쇠시키는 풍음 저감 방법 및 그 풍음 저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는, 스테레오 음장 생성 처리에 있어서, 바람 잡음 성분을 많이 포함한 대역과 그 이외의 대역으로 분할하고, 바람 잡음 검출시에는, 바람 성분을 많이 포함한 대역의 스테레오 음장 생성 처리를 변경하는 수음 장치 및 스테레오 연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상술의 3항). 특허 문헌 4에는, 3채널 이상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음된 멀티 채널 음장 생성 처리에 대응하는 자동 풍음 저감 처리를 행하는 자동 풍음 저감 장치 및 자동 풍음 저감 방법도 개시되어 있다(상술의 1항 및 2항). 특허 문헌 5에는 수음하려고 하는 음성의 저역 성분이 감소되는 일없이, 여분의 바람 잡음 성분만큼을 감쇠시킬 수 있는 음성 처리 회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5는 상기 특허 문헌 5에 명시된 음성 처리 회로 장치를 나타내며, 도 15에 있어서, Rch의 마이크로폰(201) 및 Lch의 마이크로폰(202)에는 오른쪽과 왼쪽을 중심으로 하는 Rch 및 Lch의 음성 신호(Rs, Ls) 및 바람 잡음 신호(Lw, Rw) 입력된다.
Rch는, AMP(203)를 통해, LPF 구성내의 저역을 통과시키는 아날로그의 지연 회로(205)에 접속되며, 좌측 음성 신호의 Lch는 AMP(204)를 통해 아날로그의 지연 회로(206)에 접속되어 있다. AMP(203)의 출력과 지연 회로(206)의 출력은, 감산 회로(207)에 접속되어 감산 처리를 한다. 또, AMP(204)의 출력과 지연 회로(205)의 출력은 감산 회로(208)에 접속되어 감산 처리를 한다. 기본적으로 오른쪽 마이크로폰(201)에는 우측의 음성 신호만이 입력되며, 왼쪽 마이크로폰(202)에는 좌 측의 음성 신호만 입력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좌우 마이크로폰(202, 201)의 성능상 서로 반대측의 음성 신호도 섞여 수음될 수도 있다. 특히 사용하는 마이크로폰의 지향성이 무지향성인 경우에는, 거의 차이가 없어져, 스테레오감이 없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이 구성의 음성 처리 장치(200)에서는, 2개의 좌우 마이크로폰(202, 201)으로 수음되는 음성 신호의 위상차이를 이용하여, 서로의 마이크로폰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각각 지연시키고, 상대의 음성 신호로부터 마이크로폰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감산한다. 그러므로, 혼합수음되는 신호 성분을 감쇠시키고, 채널 분리를 향상시키게 된다.
오른쪽 마이크로폰(201)의 Rch의 음성 신호(Rs)에 바람 잡음 성분(Rw)이, 왼쪽 마이크로폰(202)의 Lch의 좌측 음성 신호(Ls)에 바람 잡음 성분(Lw)이 혼합된다면, 오른쪽 마이크로폰(201)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는 Rs+Rw가 되며, 이것이 AMP(203)에서 증폭되지만, 신호 성분으로서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AMP(203)의 출력은 여전히 Rs+Rw이며, 왼쪽 마이크로폰(202)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는 Ls+Lw가 되어, 이것이 AMP(204)에서 증폭되지만, 신호 성분으로서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AMP(204)의 출력은 여전히, Ls+ Lw이다. 이 신호들은 그대로 감산기(207, 208)와 지연 회로(205, 206)에 입력된다.
여기서, 지연 회로(205)와 지연 회로(206)로서 LPF를 이용했을 경우를 생각하면, 지연 회로(205)의 입력 신호인 음성 신호(Rs+Rw)의 우측 신호(Rs)는, 우측 음성 저역 성분(RsL)과 우측 음성 고역 성분(RsH)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즉, 지연 회로(205)의 출력은 (RsL+RsH)+Rw가 되며, 똑같이 지연 회로(206)의 입 력 신호인 Ls+Lw의 출력도 (LsL+LsH)+Lw라고 표현할 수 있지만, 지연 회로(205, 206)는 LPF이기 때문에, 지연 회로 (205, 206)는 음성의 저역 성분을 감쇠없이 출력하지만, 그것보다 높은 주파수 성분은 감쇠시킨다. 그 결과, 지연이 베풀어진 RsL 및 LsL를 LR 및 LL로 하고, RsH 및 LsH가 감쇠된 고역성분을 HR 및 HL로 하면 출력은, LR+HR+WR 및 LL+HL+WL가 된다.
따라서, 감산 회로(207)의 입력 신호는, RsL+RsH+Rw-(LL+HL+WL)가 되어, 그 출력 신호(a)는, 아래와 같은 식 3의 (5)로 나타내진다.
[식 3]
a=(RsL-LL)+(RsH-HL)+(Rw-WL)...(5)
상기 (5)식의 제 1항과 제 2항은 음성 신호이기 때문에, 위상차이가 있는 음성 신호의 합성 신호로서 취급할 수 있다. 한편, 바람 잡음 성분은 마이크로폰(201, 202)의 구조적인 요소로 인해 발생되며, 소용돌이 기류가 주된 성분이기 때문에, 좌우의 마이크로폰(201, 202)에 의해 수음되는 바람 잡음에는 서로 상관이 없이 합성 신호로서 취급할 수 없다. 따라서, (RsL-LL)=RL‘, (RsH-HL)=RH’가 되는 감산 회로(207)의 (5)식의 출력 신호 (a) 및 감산 회로(208)의 출력 신호(b)는 아래와 같은 식 4의 (6) 및 (7) 식으로 나타내진다.
[식 4]
a=RL‘+RH’+(Rw-WL)...(6)
b=LL‘+LH‘+(Lw-WR)...(7)
상기, 출력 신호(a)는 LPF(210)와 HPF(209)에 있어서, 고역성분과 저역 성분 으로 나눌 수 있으며, LPF(210)의 출력 신호(c)는 Rch의 저역 성분의 음성 신호 RL'+(Rw-WL)를 출력하고, HPF(209)의 출력 신호(e)는 RH‘가 된다. LPF(210)의 출력 신호(c)는 가산기(213)와 스윗치(214)의 고정 접점(A)에 입력된다. 출력 신호(b)는 LPF(211)와 HPF(212)내에서 저역 성분과 고역성분으로 나누어진다. LPF(211)의 출력 신호(d)는 Lch의 저역 성분의 음성 신호 LL'+(Lw-WR)이며, HPF(212)의 출력 신호(f)는 LH'가 되며, LPF(211)의 출력 신호(d)는 가산기(213)와 스윗치(214)의 고정 접점(D)에 입력된다. 신호(g)는 바람 잡음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Rch와 Lch의 저역 성분의 합성 음성 신호를 나타내며, RL’+ (Rw-WL)+LL‘+(Lw-WR)가 된다. 바람 잡음 성분은 (Rw+Lw)-(WL+WR )가 되어 상관성이 없기 때문에 저감되는, 남은 성분은 입력된 음성 신호의 저역 성분의 합성 신호(RL’+LL‘)가 된다. 다음, 스윗치(214)의 고정 접점(A와 B) 및 고정 접점(C와 D)을 전환하는 가동 접편(movable armature)에 접속된 출력 단자(E, F)는, 접점(A, 또는 B)으로부터의 신호 또는 접점(D 또는 C)으로부터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스윗치(214)의 출력 단자(E, F)로부터 출력되는 신호(j, k)는, 스윗치(214)의 고정 접점(A, B, C, D)에 따라 각 고정 접점에서 입력되는 신호(c, g, d)를 전환 선택하여 가산기(215, 216)로부터 출력 단자(217, 218)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윗치(214)를 조작하여, 바람 잡음 성분의 저감 효과를 상쇄하는 지시를 주면, 스윗치(214)는, 출력 단자(E)를 접점(A)에 접속하고, 출력 단자(F)를 접점(D)에 접속하여, 바람 잡음의 저감 효과가 없는 상태로 만든다. 스윗 치(214)를 조작하여, 바람 잡음의 저감 효과를 구동하기 위한 지시를 주면, 스윗치(214)는, 출력 단자(E)를 접점(B)에 접속하고, 출력 단자(F)를 접점(C)에 접속하여, 바람 잡음의 저감 효과가 최대의 상태로 만든다. 즉 , 스윗치(214)에 의한 변환 동작에 의해, 필요에 따라 바람 잡음의 저감 효과를 단속적으로 전환 및 선택가능하게 된다.
상술의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4에 명시된 기술은, 모두 상기한 대책 수법을 이용한 바람 잡음 저감 처리였다. 그런데 향후의 텔레비젼 방송의 하이비젼화의 보급에 따라, 가정에서도 용이하게 하이비젼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소형인 고음질기록을 할 수 있는 수음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또, 특허 문헌 5에 명시된 음성 처리 장치에 의하면, 수음하려고 하는 음성의 저역 성분에 대해서, 역시, 이전단의 스테레오 분리를 향상시키는 회로를 가지므로, 바람 잡음의 저감시에는 단청화(즉, 저역 신호 RL‘+LL’는 단청의 신호)된다.
[특허 문헌 1]특허 제 3593860호 공보
[특허 문헌 2]특개 2001-186585호 공보
[특허 문헌 3]특개 2001-352594호 공보
[특허 문헌 4]특개 2003-299183호 공보
[특허 문헌 5]특개평 10-32894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 하려고 하는 과제는, 근년의 가정용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내에 근접하게 포함된 복수의 마이크로폰에 의한 기록을 위해 가장 적합한 바람 잡음의 저감 수법으로서 복수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신호를, 소정 기간마다 최소 기준으로 선택하고 재합성하여, 종래의 대책 수법보다, 바람 잡음을 큰폭으로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잡음 저감 장치 및 잡음 저감 방법 및 잡음 저감 프로그램과 그 전자기기용 수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가산 평균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 및 상기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 검출되는 레벨치중에서 가장 작은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상기 각 소정 기간마다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대역 제한 수단과, 상기 대역 제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대역 합성 수단을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 수단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가산 평균 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레벨치 및 상기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레벨치를 각 음성 채널과 상기 각 소정 기간마다 레벨중에서 더 낮은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대역 제한 수단과, 상기 대역 제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대역 합성 수단을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 수단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단계로부터의 신호의 가산 평균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단계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제 1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연산 단계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제 2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되는 레벨치중 가장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상기 소정 기간마다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 단계로부터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대역 제한 단계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 출 단계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 단계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단계로부터의 신호의 가산 평균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단계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제 1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연산 단계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제 2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로부터의 레벨치 및 상기 제 2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로부터의 레벨치중, 각 음성 채널과 상기 소정 기간마다 레벨이 더욱 작은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단계와, 상기 제 1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되는 레벨치중 가장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상기 소정 기간마다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 단계로부터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대역 제한 단계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단계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 단계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복 수의 대역 추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가산 평균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 및 상기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 검출되는 레벨치중에서 가장 작은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상기 각 소정 기간마다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대역 제한 수단과, 상기 대역 제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대역 합성 수단을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 수단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가산 평균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레벨치 및 상기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레벨치를 각 음성 채널과 상기 각 소정 기간마다 레벨중에서 더 낮은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 으로부터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대역 제한 수단과, 상기 대역 제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대역 합성 수단을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 수단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수음하는 전자기기용 수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가산 평균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 및 상기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 검출되는 레벨치중에서 가장 작은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상기 각 소정 기간마다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대역 제한 수단과, 상기 대역 제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대역 합성 수단을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 수단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음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수음하는 전자기기용 수음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과,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가산 평균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레벨치 및 상기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레벨치를 각 음성 채널과 상기 각 소정 기간마다 레벨중에서 더 낮은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대역 제한 수단과, 상기 대역 제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대역 합성 수단을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 수단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음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종래의 단청화(평균화)를 실행하는 바람 잡음 저감 처리에 대해서, 최소(최소치) 선택 처리를 실시했으므로, 복수의 신호에 포함되는 동상(in-phase) 성분만이 연관성이 높게 도출될 수 있다. 비디오 카메라의 내장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도출된 이미지화가 가능한 음성신호와 같은 연관성이 높은 신호들은 예를 들면, 동상 성분으로 도출되며, 바람 잡음 신호와 같은 비관련성 신호들은 대부분 제거된다. 그러므로, 바람 잡음 성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잡음 감소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가 얻 어질 수 있다.
종래에는, 평균 대역은 단청화(평균화)를 실행하는 바람 잡음 감소 장치에서는 단청(manaural)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최소(최소치) 선택 처리는 단청화(평균화) 신호와 각 채널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 실행된다. 그러므로, 바람 잡음 성분을 감소시키고 각 음성 채널의 음장(분리)의 감각을 유지할 수 있는 잡음 감소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종래의 단청화(평균화)를 실행하는 바람 잡음 저감 처리에 대해서, 최소(최소치) 선택 처리를 실시했으므로, 복수의 신호에 포함되는 동상(in-phase) 성분만이 연관성이 높게 도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비디오 카메라의 내장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도출된 이미지화가 가능한 음성신호와 같은 연관성이 높은 신호들은 예를 들면, 동상 성분으로 도출되며, 바람 잡음 신호와 같은 비관련성 신호들은 대부분 제거된다. 결과적으로, 그러므로, 바람 잡음 성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잡음 감소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종래에는, 평균 대역은 단청화(평균화)를 실행하는 바람 잡음 감소 장치는 평균 대역을 단청(manaural)으로 변환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청화(평균화)된 신호와 각 채널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 최소(최소치) 선택 처리를 실행한다. 그러므로, 바람 잡음 성분을 감소시키고 각 음성 채널의 음장(분리)의 감각을 유지할 수 있는 잡음 감소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 치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LPF가 각 음성 채널의 바람 잡음 대역을 도출하고, 바람 잡음 대역은 복수의 대역으로 분리되며, 각 대역은 복수의 LPF와 BPF에 의해 최소(최소치) 선택 처리를 거치게 된다. 그러므로, 바람 잡음 성분을 감소시키고 각 음성 채널의 음성 신호의 우수한 재생을 실현할 수 있는 잡음 감소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출된 바람 잡음 대역은 FFT에 의해주파수 신호로 변환되며, 각 주파수 신호는 최소(최소치) 선택 처리를 거치게 된다. 그러므로, 바람 잡음 성분을 감소시키고 각 음성 채널의 음성 신호의 우수한 재생을 실현할 수 있는 잡음 감소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최소(최소치) 선택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최소 시간 단위는 디지털 신호를 위한 샘플링 시간이 된다. 바람 잡음 대역이 일반적으로 1kHz 또는 그 이하이므로, 최소 샘플링 주파수는 샘플링 이론에 근거하여 2kHz가 되며(나이키스트 이론), 가장 긴 소정의 시간은 0.5ms까지 연장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최소(최소치) 선택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시간 길이를 1/Fs서 0.5ms까지 선택할 수 있는 잡음 감소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바람 잡음 레벨에 근거하여 혼합비를 조절함으로써 자동적인 바람 잡음 감소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바람 잡음 감소 처리의 출력 신호와 그 처리 이전의 입력 신호의 혼합비를 제어함으로써 감소 효과를 조절할 수 있는 잡음 감소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바람 잡음 감소 처리와 종래의 바람 잡음 감소 처리의 결합이 실행될 때에라도, 종래보다 더욱 우수한 바람 잡음 감소 효과를 가지는 잡음 감소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잡음 저감 장치의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잡음 저감 장치에 이용하는 레벨치 검출/판정 수단의 블록도, 도 3a-3e는 본 발명의 잡음 저감 장치의 바람 잡음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잡음 저감에 이용하는 레벨치 검출/판정 수단의 플로차트(flow chart), 도 5는 본 발명의 잡음 저감 장치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a-6g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의 잡음 저감 장치의 바람 잡음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파형도, 도 7은 본 발명의 잡음 저감 장치의 제 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제 3의 실시예의 분할 대역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9는 본 발명의 잡음 저감 장치의 제 4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 잡음 저감 장치의 제 1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잡음 저감 장치의 제 5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자동 잡음 저감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잡음 저감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2 채널의 바람 잡음 저감 장치를 나타내며, 단자(40, 41)로부터 입력하는 Rch, Lch 신호는, 각각 HPF(42)와 LPF(43), 및 HPF(45)와 LPF(44)에 입력되며, LPF(43)로부터의 Rch 저역 신호와 LPF(44)로부터의 Lch 저역 신호는, 가산기(46)와 레벨치 검출/판정 수단(48)과 변환 스위치(SW)(49)의 고정 접점(L, N)에 각각 입력된다.
또한, 가산기(46)의 출력은 곱셈기(47)에 의해 1/2로 증배되며, (L+R)ch신호로서 레벨치 검출/판정 수단(48)과 SW(49)의 고정 접점(M)에 입력된다. 여기서, 레벨치 검출/판정 수단(48)의 블록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단자(60, 61, 62)로부터의 Rch, (L+R)ch, Lch의 신호가, 절대치 처리부(63, 64, 65)에 의해, 예를 들면 정의 절대치(positive absolute value)로 변환되며, 레벨 검출부(66, 67, 68)에 의해 각각의 레벨이 검출된다. 다음 단의 레벨치 판정부(69)은 각각의 레벨치의 비교를 하고, 그 판정 결과가 판정 출력 단자(70)로부터 출력된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면, SW(49)의 가동 접편은 Rch, (L+R)ch, Lch중 한 개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절환되며, 그것은 LPF(50)를 통해 가산기 (51)에 의해 HPF(42)의 출력에 가산된다. 그 후에, 출력 단자(53)로부터 Rch 신호가 출력되며, 이와 같이 가산기(52)에 의해 HPF(45)의 출력에 그 선택된 신호가 가산되어 출력 단자(54)로부터 Lch 신호가 출력된다.
상술의 도 1의 레벨치 검출/판정 수단(48)의 동작에 대해 도 3a-도 3g를 참 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LPF(43, 44)는, 도 14에 도시한 바람 잡음 대역을 통과시킨다. 여기에서, LPF(44)의 출력은 도 3a 와 도 3b에 도시한 Lch의 신호와 Rch의 신호가 된다. 가산기(46)의 처리와 1/2의 곱셈기(47)에 의한 곱셈 처리는 도 3c에 도시한 (L+ R)/2 합성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레벨치 검출/판정 수단(48)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출력 단자(60, 61, 62)에 입력되는 각각의 신호가 절대치 처리부 (63, 64, 65)과 레벨 검출부(66, 67, 68)을 통해 레벨치 판정부(69)에 의해서 레벨 비교를 하지만, 여기서 레벨치 판정부(69)의 동작을, 도 4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스텝(ST1)에서는, 입력 단자(60)에 Rch의 신호가 입력되며, 절대치 처리부(63) 및 레벨 검출부(66)는 Rch의 신호 레벨치를 검출한다. 제 2스텝(ST2)에서는, 입력 단자(62)에 Lch의 신호를 입력하고, 절대치 처리부(65) 및 레벨 검출부(68)는 Lch의 신호 레벨치를 검출한다. 제 3스텝(ST3)에서는, 입력 단자(61)에 (L+R)ch의 합성 신호를 입력하고, 절대치 처리부(64) 및 레벨 검출부(67)는 (L+R)ch의 합성 신호 레벨치를 검출한다.
제 1 내지 제 3스텝(ST1-ST3)의 종료 후에는, 제 4스텝(ST4)으로 진행되며, 레벨치 판정부(69)내에서, (L+R)ch의 합성 신호 ≤ Lch의 신호가 되는 지에 대해서 판단이 이루어져, 「NO」이면 제 6스텝(ST6)으로 진행되며, Rch의 신호 ≤ Lch의 신호가 되는 지가 판단이 되어, 「YES」이면 제5스텝(ST5)으로 진행되어, (L+R)ch의 합성 신호≤Rch의 신호인지가 판단이 된다. 제 5스텝(ST5)에서[YES」이면, 제 7스텝(ST7)으로 진행되어, (L+R)ch의 합성 신호를 판정 출력으로 정의한 다. 「NO」이면 제 8스텝(ST8)으로 진행되며 Rch의 신호를 판정 출력으로 정의한다. 또 제 6스텝 (ST6)이「YES」인 경우, 제 8스텝(ST8)으로 진행되어 Rch의 신호를 판정 출력으로 정의한다. 제 6스텝(ST6)이 NO」인 경우, 제 9스텝(ST9)으로 진행되어 Lch의 신호를 판정 출력으로 정의한다. 제 7 내지 제 9스텝 (ST7-ST9)의 종료 후에는, 제 10스텝(ST10)으로 진행되어, 판정 출력 단자 (70)에 판정 출력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출력 단자(70)에는, 항상 레벨이 가장 작은 신호가 선택되도어 출력된다. 그리고 도 1을 참조하면, 이 판정 출력 단자(70)의 판정 출력을 SW(49)에 입력하고, 그 최소 신호를 선택하면, 도 3d의 굵은 선에 의해 표시된 바와같이 도 3a의 Lch와 도 3b의 Rch 신호와 도 3c의 (L+R)/2의 합성 신호로부터 가장 레벨의 작은 신호가 선택 출력되며, 고조파 성분을 억제하기 위해서 LPF(50)에 의해, 도 3e와 같이 출력된다. 그리고 HPF(42, 45)로부터의 바람 잡음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에 그 출력이 가산기(51, 52)에 의해 대역 재합성을 위해 가산된다. 그리하여, 바람 잡음이 저감된 Rch, Lch 신호가 생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바람 잡음 대책은, 다채널 신호를 단청화하는 것을 포함하며, 도 13의 파선 부분에 의해 표시된 부분의 제 1의 제어부(31)은, 2ch신호를 단청화한다. 여기서 도 3c의 (L+R)ch 신호는 단청의 신호이며, 종래의 바람 잡음 대책후의 신호라고 말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 잡음 대책후의 신호인 도 3e는, 이것과 비교해도 레벨이 큰폭으로 감소하고 있고, 바람 잡음 성분과 같은 채널간에 상관성이 없는 성분을 강력하게 제거하며, 음성 신호가 같은 채널간에 상관성 이 강한 성분만을 추출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2채널 풍잡음 저감 장치의 제 2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블록도는, 도 1의 잡음 저감 장치와 같이 바람 잡음 대역을 단청화하지 않고 바람 잡음 저감화를 실시하는 것이다. 우선 입력 단자(71, 72)로부터 입력하는 Rch, Lch 신호는, 각각 HPF(75)와 LPF(73), 및 HPF(76)와 LPF(74)에 입력되며, LPF(73)로부터의 Rch의 저역 신호는, 가산기(77)와 제 1의 레벨치 검출/판정부(79)와 SW(81)의 고정 접점(R)에 입력된다. LPF(74)로부터의 Lch의 저역 신호는, 가산기(77)와, 제 2의 레벨치 검출/판정부(80)와 SW(82)의 고정 접점(V)에 입력된다.
또, 가산기(77)의 출력은 곱셈기(78)에 의해 1/2만큼 증배되며, (L+R)ch신호로서 제 1및 제 2의 레벨치 검출/판정부(79, 80)와 SW(81, 82)의 고정 접점(S, U)에 입력된다. 여기서 제 1및 제 2의 레벨치 검출/판정부(79, 80)은, 레벨치 검출/판정 수단(48)과 같이, 입력하는 신호의 레벨의 작은 분을 적절하게 판정하고, 각각 SW(81, 82)에 Rch 판정 출력과 Lch 판정 출력으로서 신호를 출력한다. SW(81, 82)에서 판정된 출력이 선택되고, 각각 LPF(83, 84)를 통해 가산기(85, 86)에 의해 HPF(75, 76)에 가산되어 출력단자(87, 88)로부터 Rch 신호와 Lch 신호로서 출력된다.
여기서, 도 6a-도 6g의 신호 파형을 참조하여, 도 5의 구성을 가지는 잡음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입력 단자(71, 72)에 공급되는 입력 신호를, 먼저, LPF(73, 74)에 의해서, 도 14에서 설명한 바람 잡음 대역을 통해 통과시킨다. LPF(74)의 출력과 LPF(73)의 출력은 도 6a, 도 6b에 도시한 Rch 신호와 Lch 신호가 된다. 가산기(77)에 의한 가산과, 1/2의 곱셈기(78)에 의한 증배는 도 6c의 (L+R)/2 합성 신호를 생성한다. 제 1의 레벨치 검출/판정부(79) 및 SW(81)는 도 6a에 도시한 Lch 신호와 도 6c에 도시한 (L+R)/2 합성 신호의 최소치를 항상 선택하고, 도 6d의 굵은 선에 의해 표시한 바와같이 Lch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고조파 성분을 억제하기 위해서 LPF(83)를 통해, 도 6e와 같이 도시된 최소화된 Lch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제 2의 레벨치 검출/판정부(80)및, SW(82)에 의해, 도 6b에 도시된 Rch 신호와 도 6c에 도시된 (L+R)/2 합성 신호의 최소치가 SW(82)를 통해 선택되면, 도 6f에 도시된 굵은 선과 같이 최소화된 Rch 신호가 출력되며, 고조파 성분을 억제하기 위해서 LPF(84)를 통해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화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HPF(75, 76)로부터의 바람 잡음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와 LPF(83, 84)의 최소화된 Lch, Rch 신호는 가산기(85, 86)에서 가산되어 대역 재합성되며, 바람 잡음이 저감된 Rch 및 Lch 신호가 생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바람 잡음 장치에 의해서 형성되는 도 6c의 (L+ R)/2 합성 신호와 비교하면, 도 6e 및 도 6g에 도시한 바와같이, 바람 잡음 성분의 레벨을 저감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단청화하지 않고 Lch 및 Rch 신호 성분이 잔류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최소치를 선택하기 위한 샘플링 간격과 그 후의 대역 제한 주파수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의 도 3d 및 도 6d와 도 6f에서는, 레벨 비교해 최소치를 선택하는 시간 단위를, 디지털 신호의 최소 시간 단위인 샘플링 간격으로 설정했지만, 이 때 후단에 있어서의 대역 제한 주파수는, 샘플링 주파수를 Fs로 설정한 경우, 표본화 이론에 의해 Fs/2 이하로 설정하면 좋다. 그러나, 도 14와 같이 바람 잡음 대역은 일반적으로 1kHz 이하의 저주파이기 때문에, 최소치 선택의 샘플링 간격은 0.5 ms(2kHz)정도까지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최대 0.5ms 마다 레벨 검출을 실시하고, 그 기간의 레벨 최소 신호를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도 7내의 블록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잡음 저감 장치의 제 3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잡음 저감 장치의 블록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a, b를 가지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교부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도 8에 도시된 주파수대역특성 곡선과 같이 바람 잡음 대역 이외의 주파수대역을 대역(3)으로 포함하며, 바람 잡음 대역 주파수를 대역(1)과 대역(2)으로 분할한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입력 단자(111, 112)로부터 입력된는 Rch 및 Lch 신호는, 각각 대역 통과 필터(이하 BPF(1-115, 1-116), BPF(2-117, 2-118), BPF(3-113, 3-114)로 적는다)에 의해 대역 분할되며, 대역 1과 2의 바람 잡음 대역 주파수의 각각은 BPF(1-115, 1-116), BPF(2-117, 2-118)에 의해 처리된다. 먼저, BPF(1-115, 1-116)로부터의 Rch 신호 및 Lch 신호와 가산기(46a) 및 곱셈기(47a)로부터의 (L+R)ch신호의 최소치는 레벨치 검출/판정부(48a) 및, SW(49a)에 의해 선택되고, LPF(50a)를 통해 가산기(119)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BPF(2-117, 2-118)로부터의 Lch 및 Rch 신호와 가산기 (46b) 및 곱셈기(47b)로부터의(L+R)ch신호의 최소치는, 레벨치 검 출/판정부 (48b) 및 SW(49b)에 의해 최소치가 선택되고, LPF(50b)를 통해 가산기 (119)에 입력된다. 그리고 가산기(119)에 의해 대역(1)과 대역(2)이 대역 합성되며, 그 결과는 가산기(51a, 52b)에 의해 HPF(3-113, 3-114)로부터 대역(3)과 대역 합성되며, 출력 단자(53a)로부터 Rch, 출력 단자(54b)로부터 Lch가 출력된다. 대역 분할을 실시하고 나서, 대역마다 최소치를 선택 처리하면, 동위상 성분인 음성 신호의 재현성을 향상시킨 바람 잡음 저감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제 3의 실시예에서는 바람 잡음 대역 주파수를 대역(1)과 대역(2)으로 대역 분할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처리를 위해 더욱 분할 대역을 늘려도 좋다.
도 9는, 본 발명의 잡음 저감 장치의 제 4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고속 푸리에 변환(이하 FFT라고 적는다)을 실시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3의 실시예보다 음성 신호의 재현성을, 더욱 향상시킨 예이다.여기에서는 입력 단자(135, 136)로부터 입력된 Rch, Lch 신호는, 각각 FFT부(139, 141)에 의해, 음성 대역의 시간축 신호를 주파수(f1-fm)의 m개의 주파수축 신호로 변환한다. 또 가산기(137)와 1/2의 곱셈기(138)로부터의 (L+ R) ch의 합성 신호도, 똑같이 FFT부(140)에 의해 주파수(f1-fm)의 m개의 주파수축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각 FFT부(139, 140, 141)에서는 주파수(f1-fm)의 주파수축 신호를 바람 잡음 대역의 주파수 (f1-fn)와 바람 잡음 대역 이외의 주파수(f(n+1)-fm)로 분할하고, 주파수 (f1-fn)의 Rch 및 Lch 신호와 (L+R)ch신호를 레벨 비교/선택부(142)에 입력하고, 주파수(f1-fn)의 주파수마다 레벨 비교를 실시하여, 가장 레벨이 작은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는 동작을, 모든 주파수(f1-fn)에 대해 실시한다. 그 후에, 선택된 신 호를 대역 합성부(143, 144)에 입력하고, 다시 주파수(f(n+1)-fm)의 신호와 대역 합성하며, 주파수(f1-fm)의 신호로서 역고속 푸리에 변환(이하 IFFT라고 적는다)부(145, 146)에 전송하고, 주파수축 신호를 시간축 신호로 역변환하여, 단자(147, 148)로부터 Rch 신호, Lch 신호로서 출력한다.
상술의 구성에서는, Lch, Rch의 2 채널에 있어서의 바람 잡음 저감에 대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에서는, 3 채널 이상의 멀티 채널에도 대응 가능하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3 채널 잡음 저감 장치의 제 5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입력 단자(180, 181, 182)로부터 Rch 및 센터 채널(이하 Cch라고 적는다) 및 Lch의 각 신호를 입력하고, 각각 HPF(183)와 LPF(186), HPF(184)와 LPF(187), HPF(185)와 LPF(188)에 의해 바람 잡음 대역과 비풍(non wind) 잡음 대역으로 대역 분할되며, 각 LPF로부터의 바람 잡음 대역 신호(Rch, Cch, Lch)는 SW(192)와 레벨치 검출/ 판정부(191)에 입력된다.
또, LPF(186, 187, 188)의 각 출력은 가산기(189)에도 입력되어 모든 것이 가산되고, 1/3 곱셈기(190)에 의한 증배를 거치고, 평균화되어, (L+R+C)ch 신호로서 SW(192)와 레벨치 검출/판정부(191)에 입력된다. 레벨치 검출/판정부(191)은 소정 샘플링 기간마다 가장 레벨이 작은 신호를 판정하고, SW(192)는 그 신호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신호를 채널의 HPF(183, 184, 185)로부터의 비풍잡음 대역 신호를 가산기(195, 194, 196)가 대역 합성하고, 출력 단자(197, 198, 199)로부터 Rch, Cch, Lch 신호로서 출력된다.
또, 4 채널 이상의 경우에 대해서도, 각 채널의 평균화 처리를 변경하고, 똑 같이 최소치 선택 처리를 실시하여 바람 잡음 저감 처리가 가능하다. 전술한 제 3 내지 제 5의 실시예에 대해서도, 제 2의 실시예의 같이, 모든 채널을 평균화한 신호와 각 채널 신호의 최소치 선택 처리를 실시하여, 각 채널의 독립성을 높인 바람 잡음 저감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 잡음 저감 장치는, 종래보다 바람 잡음의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어 각 채널의 독립성도 유지할 수 있지만, 종래예의 기술과 결합하여 바람 잡음이 동적으로 거출되어 저감된다.
도 12에 자동화 경우를 블록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에 있어서, 입력 단자(90)로부터의 입력 신호는 혼합비 제어부(92)와 상술한 제 1 내지 제 5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 잡음 저감부(91)와 바람 잡음 추출부(93)에 입력된다. 여기서 바람 잡음 추출부(93)에 입력된 신호는, 검출부(94), 제어치 생성부(95)를 통해 혼합비제어부(92)를 제어하는 제어치로서 사용되지만, 이것은 도 13의 파선에 의해 표시된 부분의 바람 잡음 추출부(33), 검출부(34)와 제어치 생성부(35)와 같이 구성된다. 그리고 혼합비제어부(92)는, 입력 신호와 바람 잡음 저감부(91)의 출력 신호의 혼합비를, 바람 잡음이 클 때에, 바람 잡음 저감부(91)의 출력의 최대비를 100%로 제어하며, 반대로 바람 잡음이 영일 때에는, 입력 신호측의 최대비를 100%로 제어한다. 그러므로, 자동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5의 실시예에 바람 잡음 저감부(91)가 제 1의 제어부(31)로 작용할 때에, 제 2의 제어부(33)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의 자동풍잡음 저감 장치의 구체적인 블록도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 명한다. 단자(151, 152)로부터 입력된 바람 잡음 신호를 포함하는 Rch 및 Lch 음성 신호의, Rch측은 지연기(DL)(154)와 가산기(160)의 마이너스 단자에 입력되며, Lch측은 DL(155)과 가산기(160)의 플러스 단자에 입력되며, 가산기(160)는 양자의 차이 성분(L-R) 신호를 연산해 LPF(161)에 입력한다. 바람 잡음 신호는 L/R채널간에 상관성이 없기 때문에 차이 성분(L-R) 신호에는 바람 잡음 성분이 많이 추출된다. 이미지화가 가능한 음성 신호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 바람 잡음 신호만이 LPF(161)(도 12의 바람 잡음 추출부(93))를 통해 저주파수 성분만을 통과시킴으로써 추출된다. 또한, LPF(161)의 출력은 AMP(162)에서 증폭되고 검출기( DET)(163)에서 바람 잡음 신호의 레벨 검출이 이루어진다(도 12의 검출부(94)). 계수 생성용의 제어 계수성기(MAKECOEF)(164)(도 12의 제어치 생성부(9))에서 제어 계수를 형성하고, 어택/리커버리 시간 상수를 가지는 바람 잡음 레벨 검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5의 실시예의 바람 잡음 저감부(156)에 의해 처리된 신호는 제 1 및 제 2의 혼합비제어부(157, 158)에 의해 바람 잡음 레벨 검출 신호로 레벨 제어된다. 이 때, 제 1 및 제 2의 혼합비제어부(157, 158)은 혼합비는 바람 잡음이 큰, 즉 바람 잡음 레벨 검출 신호의 레벨이 클 때에 바람 잡음 저감부(156)의 출력의 혼합비를 100%로 제어하며, 반대로 바람 잡음이 없을 때에는, 바람 잡음 레벨 검출 신호의 레벨을 영으로 제어하며, DL(154, 155)의 출력이 100%이 되도록 제어한다(도 12의 혼합비제어부(92)). 또한, 제 1 및 제 2의 혼합비제어부(157, 158)의 출력은 각각 DL(171, 172)에 입력되며, 가산기(170)에 입력 되어 가산된다. 그 출력은 LPF(173)에 입력된다.
LPF(173)는 바람 잡음 대역을 추출하는 대역으로 설정된다. 이 LPF(173_의 출력은, 레벨 가변기(174)에 의해, MAKECOFE(164)로부터의 바람 잡음 레벨 검출 신호에 의해 레벨 제어된다. 바람 잡음 레벨 검출 신호의 레벨이 클 때에 출력이 커지도록 제어되며, 반대로 바람 잡음이 없을 때는, 바람 잡음 레벨 검출 신호의 레벨이 영이 되어 출력이 영이 되도록 제어된다. 레벨 가변기(174)의 출력은, 가산기(175)에 의해 DL(171)을 통과한 신호로부터 감산되며, 가산기(176)에 의해 DL(172)을 통과한 신호로부터 감산된다(도 13의 제 2의 제어부(32)). 그리고 가산기(175, 176)의 출력이 출력 단자(177, 178)로부터 각각 Rch, Lch 신호로서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 잡음 저감부(156)과, 종래의 바람 잡음 대역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조합하면, 더욱,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에 따르는 바람 잡음 저감 장치의 입력 단자에, 도 13에 도시된 종래의 보기와 같이, 마이크로폰(1, 2)으로부터의 신호가 공급되거나, 또는 비디오 카메라등의 전자기기의 수음 시스템(방법) 혹은 기록/재생 시스템(방법)으로서 구성해도 좋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록/재생장치나 전자기기 수음 장치에 실시해도 좋다. 본 발명은 컴퓨터내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서 실시하거나, 비디오/오디오 파일의 편집시나, 파일 변환시, DVD 디스크의 기입시에 비실시간 처리로서 실시할 수 있다.
첨부된 청구항과 그와 동등한 것들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수정과 결합, 소결합 및 변경들이 설계요구 및 다른 요인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 들이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종래의 단청화(평균화)를 실행하는 바람 잡음 저감 처리에 대해서, 최소(최소치) 선택 처리를 실시했으므로, 복수의 신호에 포함되는 동상(in-phase) 성분만이 연관성이 높게 도출될 수 있다. 비디오 카메라의 내장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도출된 이미지화가 가능한 음성신호와 같은 연관성이 높은 신호들은 예를 들면, 동상 성분으로 도출되며, 바람 잡음 신호와 같은 비관련성 신호들은 대부분 제거된다. 그러므로, 바람 잡음 성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잡음 감소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종래에는, 평균 대역은 단청화(평균화)를 실행하는 바람 잡음 감소 장치에서는 단청(manaural)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최소(최소치) 선택 처리는 단청화(평균화) 신호와 각 채널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 실행된다. 그러므로, 바람 잡음 성분을 감소시키고 각 음성 채널의 음장(분리)의 감각을 유지할 수 있는 잡음 감소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종래의 단청화(평균화)를 실행하는 바람 잡음 저감 처리에 대해서, 최소(최소치) 선택 처리를 실시했으므로, 복수의 신호에 포함되는 동상(in-phase) 성분만이 연관성이 높게 도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비디오 카메라의 내장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도출된 이미지화가 가능한 음성신호와 같은 연관성이 높은 신호들은 예를 들면, 동상 성분으로 도출되며, 바람 잡음 신호와 같은 비관련성 신호들은 대부분 제거된다. 결과적으로, 그러므로, 바람 잡음 성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잡음 감소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종래에는, 평균 대역은 단청화(평균화)를 실행하는 바람 잡음 감소 장치는 평균 대역을 단청(manaural)으로 변환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청화(평균화)된 신호와 각 채널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 최소(최소치) 선택 처리를 실행한다. 그러므로, 바람 잡음 성분을 감소시키고 각 음성 채널의 음장(분리)의 감각을 유지할 수 있는 잡음 감소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LPF가 각 음성 채널의 바람 잡음 대역을 도출하고, 바람 잡음 대역은 복수의 대역으로 분리되며, 각 대역은 복수의 LPF와 BPF에 의해 최소(최소치) 선택 처리를 거치게 된다. 그러므로, 바람 잡음 성분을 감소시키고 각 음성 채널의 음성 신호의 우수한 재생을 실현할 수 있는 잡음 감소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출된 바람 잡음 대역은 FFT에 의해주파수 신호로 변환되며, 각 주파수 신호는 최소(최소치) 선택 처리를 거치게 된다. 그러므로, 바람 잡음 성분을 감소시키고 각 음성 채널의 음성 신호의 우수한 재생을 실현할 수 있는 잡음 감소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최소(최소치) 선택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최소 시간 단위는 디지털 신호를 위한 샘플링 시간이 된다. 바람 잡음 대역이 일반적으로 1kHz 또는 그 이하이므로, 최소 샘플링 주파수는 샘플링 이론에 근거하여 2kHz가 되며(나이키스트 이론), 가장 긴 소정의 시간은 0.5ms까지 연장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최소(최소치) 선택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시간 길이를 1/F에서 0.5ms까지 선택할 수 있는 잡음 감소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바람 잡음 레벨에 근거하여 혼합비를 조절함으로써 자동적인 바람 잡음 감소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바람 잡음 감소 처리의 출력 신호와 그 처리 이전의 입력 신호의 혼합비를 제어함으로써 감소 효과를 조절할 수 있는 잡음 감소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바람 잡음 감소 처리와 종래의 바람 잡음 감소 처리의 결합이 실행될 때에라도, 종래보다 더욱 우수한 바람 잡음 감소 효과를 가지는 잡음 감소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Claims (15)

  1.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가산 평균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 및 상기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 검출되는 레벨치중에서 가장 작은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상기 각 소정 기간마다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대역 제한 수단과,
    상기 대역 제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대역 합성 수단을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 수단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장치.
  2.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가산 평균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레벨치 및 상기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레벨치를 각 음성 채널과 상기 각 소정 기간마다 레벨중에서 더 낮은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대역 제한 수단과,
    상기 대역 제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대역 합성 수단을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 수단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추출 수단은, 복수의 필터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추출 수단은, 고속 푸리에 변환(FFT)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간을 구성하는 최소단위는 잡음 대역의 샘플링 기간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입력 음성 신호와 각 음성 채널 출력 신호와의 혼합비를 가변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잡음 레벨에 근거하여 혼합비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장치.
  8.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단계로부터의 신호의 가산 평균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단계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제 1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연산 단계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제 2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되는 레벨치중 가장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상기 소정 기간마다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 단계로부터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대역 제한 단계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단계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 단계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방법.
  9.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단계로부터의 신호의 가산 평균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단계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제 1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연산 단계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제 2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로부터의 레벨치 및 상기 제 2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로부터의 레벨치중, 각 음성 채널과 상기 소정 기간마다 레벨이 더욱 작은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단계와,
    상기 제 1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되는 레벨치중 가장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상기 소정 기간마다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 단계로부터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대역 제한 단계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단계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 단계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방법.
  10.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가산 평균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 및 상기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 검출되는 레벨치중에서 가장 작은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상기 각 소정 기간마다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대역 제한 수단과,
    상기 대역 제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대역 합성 수단을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 수단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프로그램.
  11.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가산 평균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레벨치 및 상기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레벨치를 각 음성 채널과 상기 각 소정 기간마다 레벨중에서 더 낮은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대역 제한 수단과,
    상기 대역 제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대역 합성 수단을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 수단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프로그램.
  12.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수음하는 전자기기용 수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가산 평균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 및 상기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 검출되는 레벨치중에서 가장 작은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상기 각 소정 기간마다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대역 제한 수단과,
    상기 대역 제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대역 합성 수단을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 수단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음장치.
  13.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수음하는 전자기기용 수음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가산 평균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레벨치 및 상기 제 2의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레벨치를 각 음성 채널과 상기 각 소정 기간마다 레벨중에서 더 낮은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대역 제한 수단과,
    상기 대역 제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 수단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대역 합성 수단을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 수단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음장치.
  14.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복수의 대역 추출부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부의 신호의 가산 평균을 연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부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 하는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부와,
    상기 연산부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제 2의 레벨 검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부 및 상기 제 2의 레벨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레벨치중에서 가장 작은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상기 각 소정 기간마다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대역 제한부와,
    상기 대역 제한부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부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대역 합성부를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부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장치.
  15. 복수의 음성 채널로부터 복수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로부터 소정 대역을 추출하는 복수의 대역 추출부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부의 신호의 가산 평균을 연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부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부와,
    상기 연산부의 신호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제 2의 레벨 검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 1의 레벨 검출부의 레벨치 및 상기 제 2의 레벨 검출부의 레 벨치를 각 음성 채널과 상기 각 소정 기간마다 레벨중에서 더 낮은 레벨치를 가지는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의 신호의 대역 제한을 실시하는 대역 제한부와,
    상기 대역 제한부의 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 추출부에 있어서의 추출 대역 이외의 대역 신호를 각각의 음성 채널마다 대역 합성하는 대역 합성부를 가지며,
    상기 대역 합성부의 출력은 음성 채널 출력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저감 장치.
KR1020060085501A 2005-09-12 2006-09-06 잡음 저감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 KR200700301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64157 2005-09-12
JP2005264157A JP4356670B2 (ja) 2005-09-12 2005-09-12 雑音低減装置及び雑音低減方法並びに雑音低減プログラムとその電子機器用収音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126A true KR20070030126A (ko) 2007-03-15

Family

ID=3785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501A KR20070030126A (ko) 2005-09-12 2006-09-06 잡음 저감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058822A1 (ko)
EP (1) EP1814108B1 (ko)
JP (1) JP4356670B2 (ko)
KR (1) KR20070030126A (ko)
CN (1) CN1933677A (ko)
DE (1) DE60200600384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0072B2 (en) 2003-03-27 2012-10-02 Aliphcom, Inc. Microphone array with rear venting
US8019091B2 (en) 2000-07-19 2011-09-13 Aliphcom, Inc. Voice activity detector (VAD) -based multiple-microphone acoustic noise suppression
US8452023B2 (en) * 2007-05-25 2013-05-28 Aliphcom Wind suppression/replacement component for use with electronic systems
US9066186B2 (en) 2003-01-30 2015-06-23 Aliphcom Light-based detection for acoustic applications
US9099094B2 (en) 2003-03-27 2015-08-04 Aliphcom Microphone array with rear venting
JP4827675B2 (ja) * 2006-09-25 2011-11-30 三洋電機株式会社 低周波帯域音声復元装置、音声信号処理装置および録音機器
US8359522B2 (en) 2007-05-01 2013-01-22 Texas A&M University System Low density parity check decoder for regular LDPC codes
US8488803B2 (en) * 2007-05-25 2013-07-16 Aliphcom Wind suppression/replacement component for use with electronic systems
US8428275B2 (en) 2007-06-22 2013-04-23 Sanyo Electric Co., Ltd. Wind noise reduction device
JP5219499B2 (ja) * 2007-08-01 2013-06-26 三洋電機株式会社 風雑音低減装置
JP2009005157A (ja) * 2007-06-22 2009-01-08 Sanyo Electric Co Ltd 音声信号補正装置
JP4590437B2 (ja) * 2007-07-31 2010-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GB2453118B (en) * 2007-09-25 2011-09-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audio signal from multiple microphones
US8015002B2 (en) * 2007-10-24 2011-09-06 Qnx Software Systems Co. Dynamic noise reduction using linear model fitting
US8606566B2 (en) * 2007-10-24 2013-12-10 Qnx Software Systems Limited Speech enhancement through partial speech reconstruction
US8326617B2 (en) 2007-10-24 2012-12-04 Qnx Software Systems Limited Speech enhancement with minimum gating
US8245104B2 (en) 2008-05-02 2012-08-14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queue based data detection and decoding
US20110080211A1 (en) * 2008-11-20 2011-04-07 Shaohua Yang Systems and Methods for Noise Reduced Data Detection
CN101430882B (zh) * 2008-12-22 2012-11-28 无锡中星微电子有限公司 一种抑制风噪声的方法及装置
US8266505B2 (en) 2009-08-12 2012-09-11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timed virtual data processing
CN101771913B (zh) * 2009-09-28 2013-03-13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控制音频信号的低音放音的装置和方法
US9838784B2 (en) 2009-12-02 2017-12-05 Knowles Electronics, Llc Directional audio capture
TWI425844B (zh) * 2009-12-30 2014-02-01 Mstar Semiconductor Inc 音量控制電路及其方法
US8743936B2 (en) 2010-01-05 2014-06-03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noise components in a signal set
CN102137318B (zh) * 2010-01-22 2014-08-20 华为终端有限公司 拾音控制方法和装置
TWI459828B (zh) * 2010-03-08 2014-11-01 Dolby Lab Licensing Corp 在多頻道音訊中決定語音相關頻道的音量降低比例的方法及系統
US8161351B2 (en) 2010-03-30 2012-04-17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data storage
JP5716287B2 (ja) * 2010-04-07 2015-05-13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8418019B2 (en) 2010-04-19 2013-04-09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scaling in a data decoding system
JP4922427B2 (ja) * 2010-04-19 2012-04-25 株式会社東芝 信号補正装置
US8798290B1 (en) 2010-04-21 2014-08-05 Audienc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signal equalization
US8527831B2 (en) 2010-04-26 2013-09-03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low density parity check data decoding
US8443249B2 (en) 2010-04-26 2013-05-14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low density parity check data encoding
US9558755B1 (en) 2010-05-20 2017-01-31 Knowles Electronics, Llc Noise suppression assisted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US8381074B1 (en) 2010-05-21 2013-02-19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a centralized queue based data processing circuit
US8208213B2 (en) 2010-06-02 2012-06-26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ybrid algorithm gain adaptation
JP5516169B2 (ja) * 2010-07-14 2014-06-11 ヤマハ株式会社 音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773794B2 (en) 2010-09-13 2014-07-08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wise inter-track interference compensation
US8295001B2 (en) 2010-09-21 2012-10-23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low latency noise cancellation
US8560930B2 (en) 2010-10-11 2013-10-15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level quasi-cyclic low density parity check codes
US8443250B2 (en) 2010-10-11 2013-05-14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rror correction using irregular low density parity check codes
US8661071B2 (en) 2010-10-11 2014-02-25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rtially conditioned noise predictive equalization
US8750447B2 (en) 2010-11-02 2014-06-10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variable thresholding in a pattern detector
US8667039B2 (en) 2010-11-17 2014-03-04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variance dependent normalization for branch metric calculation
US8566379B2 (en) 2010-11-17 2013-10-22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lf tuning target adaptation
WO2012065217A1 (en) 2010-11-18 2012-05-24 Hear Ip Pty Lt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unwanted sounds in signals received from an arrangement of microphones
JP5594133B2 (ja) * 2010-12-28 2014-09-24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10940B2 (en) 2011-02-07 2014-08-19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off track error recovery
US9357307B2 (en) * 2011-02-10 2016-05-31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ulti-channel wind nois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JP5926490B2 (ja) * 2011-02-10 2016-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音声処理装置
US8699167B2 (en) 2011-02-16 2014-04-15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detection using distance based tuning
US8446683B2 (en) 2011-02-22 2013-05-21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pre-coding calibration
US8693120B2 (en) 2011-03-17 2014-04-08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ample averaging in data processing
US8854753B2 (en) 2011-03-17 2014-10-07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 scaling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8887034B2 (en) 2011-04-15 2014-11-11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hort media defect detection
US8611033B2 (en) 2011-04-15 2013-12-17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decoder input data processing
US8670955B2 (en) 2011-04-15 2014-03-11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liability assisted noise predictive filtering
GB2492162B (en) * 2011-06-24 2018-11-21 Audio Analytic Ltd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s
US8499231B2 (en) 2011-06-24 2013-07-30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ed format non-binary decoding
US8566665B2 (en) 2011-06-24 2013-10-22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rror correction using low density parity check codes using multiple layer check equations
US8560929B2 (en) 2011-06-24 2013-10-15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non-binary decoding
US8819527B2 (en) 2011-07-19 2014-08-26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stubborn error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8830613B2 (en) 2011-07-19 2014-09-09 Lsi Corporation Storage media inter-track interference cancellation
US8879182B2 (en) 2011-07-19 2014-11-04 Lsi Corporation Storage media inter-track interference cancellation
JP5741281B2 (ja) * 2011-07-26 2015-07-01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撮像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854754B2 (en) 2011-08-19 2014-10-07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l iteration adjustment
US8539328B2 (en) 2011-08-19 2013-09-17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noise injection driven parameter selection
US9026572B2 (en) 2011-08-29 2015-05-05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ausal noise predictive filtering in a data channel
US8977962B2 (en) * 2011-09-06 2015-03-10 Apple Inc. Reference waveforms
US9423944B2 (en) 2011-09-06 2016-08-23 Apple Inc. Optimized volume adjustment
US8681441B2 (en) 2011-09-08 2014-03-25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redictable degradation bias
US8661324B2 (en) 2011-09-08 2014-02-25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non-binary decoding biasing control
US8767333B2 (en) 2011-09-22 2014-07-01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ttern dependent target adaptation
US8850276B2 (en) 2011-09-22 2014-09-30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data shuffling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8689062B2 (en) 2011-10-03 2014-04-01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rameter selection using reliability information
US8578241B2 (en) 2011-10-10 2013-11-05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rity sharing data processing
US8479086B2 (en) 2011-10-03 2013-07-02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parameter modification
US8862960B2 (en) 2011-10-10 2014-10-14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rity shared data encoding
US8527858B2 (en) 2011-10-28 2013-09-03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decode algorithm modification
US8443271B1 (en) 2011-10-28 2013-05-14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ual process data decoding
US8683309B2 (en) 2011-10-28 2014-03-25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mbiguity based decode algorithm modification
US8751913B2 (en) 2011-11-14 2014-06-10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ed power multi-layer data decoding
US8531320B2 (en) 2011-11-14 2013-09-10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emory efficient data decoding
US8615394B1 (en) * 2012-01-27 2013-12-24 Audience, Inc. Restoration of noise-reduced speech
EP2842348B1 (en) * 2012-04-27 2016-07-20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Noise suppression based on correlation of sound in a microphone array
US9106197B2 (en) * 2012-08-10 2015-08-11 Broadcom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to suppress noise and idle tones
US9516418B2 (en) 2013-01-29 2016-12-06 2236008 Ontario Inc. Sound field spatial stabilizer
KR20140111480A (ko) * 2013-03-11 2014-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코더 잡음 억제 방법 및 장치
US9271100B2 (en) * 2013-06-20 2016-02-23 2236008 Ontario Inc. Sound field spatial stabilizer with spectral coherence compensation
GB2532379B (en) * 2013-07-12 2019-06-19 Cirrus Logic Int Semiconductor Ltd Two-stage wind noise reduction method
US9536540B2 (en) 2013-07-19 2017-01-03 Knowles Electronics, Llc Speech signal separation and synthesis based on auditory scene analysis and speech modeling
US10516941B2 (en) 2014-06-04 2019-12-24 Cirrus Logic, Inc. Reducing instantaneous wind noise
JP6411780B2 (ja) * 2014-06-09 2018-10-24 ローム株式会社 オーディオ信号処理回路、その方法、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WO2016040885A1 (en) 2014-09-12 2016-03-17 Audienc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storation of speech components
US9668048B2 (en) 2015-01-30 2017-05-30 Knowles Electronics, Llc Contextual switching of microphones
US9820042B1 (en) 2016-05-02 2017-11-14 Knowles Electronics, Llc Stereo separation and directional suppression with omni-directional microphones
US9838737B2 (en) * 2016-05-05 2017-12-05 Google Inc. Filtering wind noises in video content
US9838815B1 (en) * 2016-06-01 2017-12-05 Qualcomm Incorporated Suppressing or reducing effects of wind turbulence
JP2019192963A (ja) * 2018-04-18 2019-10-3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ノイズ軽減装置、ノイズ軽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470218A (zh) * 2018-06-12 2021-03-09 奇跃公司 低频信道间相干性控制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0925A (en) * 1991-01-07 1996-08-27 Canon Kabushiki Kaisha Sound processing device
JP3200368B2 (ja) 1996-07-18 2001-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音声処理装置
US5701344A (en) * 1995-08-23 1997-12-23 Canon Kabushiki Kaisha Audio processing apparatus
JP2950260B2 (ja) * 1996-11-22 1999-09-20 日本電気株式会社 雑音抑圧送話装置
JP4144140B2 (ja) 1999-12-22 2008-09-03 ソニー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装置、再生音声信号の処理装置、音声信号の風音低減装置
JP2001352594A (ja) 2000-06-07 2001-12-21 Sony Corp 風音低減方法及び装置
JP3925274B2 (ja) 2002-03-29 2007-06-06 ソニー株式会社 収音装置及びステレオ演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56670B2 (ja) 2009-11-04
JP2007081560A (ja) 2007-03-29
CN1933677A (zh) 2007-03-21
US20070058822A1 (en) 2007-03-15
DE602006003846D1 (de) 2009-01-08
EP1814108B1 (en) 2008-11-26
EP1814108A1 (en)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0126A (ko) 잡음 저감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과 전자기기용 수음장치
US20080219470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US8428275B2 (en) Wind noise reduction device
KR100976003B1 (ko) 자동 풍음 저감 회로 및 자동 풍음 저감 방법
US8442241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for separating multiple source signals from at least one source signal
JPWO2010076850A1 (ja) 音場制御装置及び音場制御方法
JP4841324B2 (ja) サラウンド生成装置
KR100644717B1 (ko) 다채널 오디오 신호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US9071215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cessing audio signal to be reproduced by plurality of speakers
JP2002232988A (ja) マルチチャンネル収音装置
JP2514854B2 (ja) 映像信号のノイズ除去装置
EP1208724B1 (e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JPH10327494A (ja) マイクロホン装置
JP4483468B2 (ja) ノイズ低減回路、電子機器、ノイズ低減方法
JP5248718B1 (ja) 音分離装置、および音分離方法
JP2009159020A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5224586B2 (ja) オーディオ信号補間装置
JP2007228033A (ja) サラウンド生成装置
JP4415775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1753929B1 (ko) 스테레오 사운드 신호에 기초하여 좌측 및 우측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들을 발생하는 방법
JP2012027101A (ja) 音声再生装置、音声再生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5065551A (ja) 音声再生システム
JP2008048281A (ja) ノイズ低減装置、ノイズ低減方法及びノイズ低減プログラム
KR100601729B1 (ko) 인간의 인지적 측면을 고려한 공간 역 필터링 장치 및방법과 이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JP2020039055A (ja) 収音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