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9076A - 촬상장치 및 오토포커스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및 오토포커스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9076A
KR20070029076A KR1020060086064A KR20060086064A KR20070029076A KR 20070029076 A KR20070029076 A KR 20070029076A KR 1020060086064 A KR1020060086064 A KR 1020060086064A KR 20060086064 A KR20060086064 A KR 20060086064A KR 20070029076 A KR20070029076 A KR 20070029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shutter button
optical path
pressed
ima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3982B1 (ko
Inventor
마사루 오노자와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9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 Focusing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셔터버튼이 반 눌러지면(S2에서 Y) 타이머를 스타트시키고(S3), 소정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4). S4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S5),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 S4로 되돌아간다.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지지 않고 소정시간 경과하면(즉, 신속한 촬영이 요구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스루화상용 구동되어 있는 CCD(3)로부터 출력되는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AF처리를 실행한다(S8). 한편, 소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지면(S5에서 Y), CCD(3)의 구동을 고속구동으로 전환하여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AF처리를 실행시킨다(S6)
촬상장치, 오토포커스, 디지털카메라, 콘트라스트AF처리, 판단수단, 포커스렌즈

Description

촬상장치 및 오토포커스 제어방법{IMAGING APPARATUS WITH AUTO-FOCUS FUNCTION}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디지털카메라(1)의 블록도이다.
도 2a, 도 2b는 스루화상용 구동 및 고속구동에 의해 판독된 화상데이터의 화상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각 렌즈위치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 도 4b는 스루화상용 구동 및 고속구동에 있어서의 화상데이터의 판독주기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의 디지털카메라(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디지털카메라(21)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의 디지털카메라(2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서치범위를 2분할 시켰을 때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지털카메라 2: 촬영렌즈
3: CCD 4: TG
5: 유닛회로 6: DRAM
7: 메모리 8: CPU
9: 플래시메모리 10: 화상표시부
11: 키 입력부 12: 렌즈구동블록
21: 디지털카메라 22: 구동회로
23: 구동회로 24: 광로분리수단
25: CCD 26: TG
27: 유닛회로
본 발명은 디지털카메라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오토포커스 기능을 구비한 촬상장치 및 오토포커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사체에 대해 핀트를 맞추는 방법으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AF처리라는 것이 있다.
이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AF처리란, 포커스렌즈를 구동 가능 범위내에서 렌즈 끝에서 렌즈 끝까지 구동시키고, 그때의 CCD출력인 촬상신호로부터 콘트라스트성분을 검출하며, 그 파형을 해석하여, 즉, 고주파성분이 가장 커지는 렌즈의 위치에 렌즈를 맞추어서 핀트를 맞춘다고 하는 것이다.
그로 인해,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AF처리는 촬상소자의 판독주기에 의존하고, 판독주기가 빨라지면, 그만큼 AF처리에 걸리는 시간은 짧아진다.
또, 종래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AF처리중의 CCD의 구동방법으로서는 통 상의 스루화상을 표시시키는 경우와 똑같이 촬상소자를 구동시킨다고 하는 방법과, 촬상소자의 전체 화소에 축적된 전하(화소데이터) 중, 일부 영역의 화소데이터만을 판독하도록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통상의 스루화상을 표시시키는 경우와 똑같이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는 AF처리시간의 단축화는 도모할 수 없지만, AF처리중에도 실시간으로 피사체의 스루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도 2a 참조).
한편, 일부 영역의 화소데이터만을 판독하도록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는 전송시킬 화소데이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속도를 높일 수 있어 AF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데, 반대로 AF처리중에는 피사체의 스루화상을 표시시킬 수 없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도 2b 참조).
그리고 AF처리시간의 단축화, AF처리중의 스루화상표시라고 하는 2개의 장점을 달성하기 위해 AF처리에 있어서는 일부 영역의 화소데이터만을 판독하도록 촬상소자를 구동시킴으로써 일부 영역의 화상을 실시간으로 표시시키고, 일부 이외의 영역에 대해서는 과거에 촬상된 화상을 표시시킴으로써 AF처리중에 스루화상표시를 실행하는 동시에 AF처리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인 특개 2003-333409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일본국 특개 2003-333409호 공보에 기재한 기술에 따르면, 일부 영역밖에 실시간으로 표시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AF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신속하게 핀트를 맞추어 촬영하고 싶은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종래기술에서는 그 상황에 따른 AF처리를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AF처리를 실행하고 나서 촬영의 구도를 차분히 생각하고 싶은 경우에는 일부 영역의 화소데이터의 판독구동에서는 스루화상이 표시되지 않던지, 또는, 일부 영역밖에 실시간으로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AF처리중에는 구도를 생각하는 바와 같이 결정하지 못했다. 또, 신속하게 핀트를 맞추어 촬영하고 싶은 경우에는 통상의 스루화상을 표시시키는 경우와 똑같은 구동방법에서는 AF처리에 시간이 걸려 버려, 찍고 싶은 화상을 촬영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AF처리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촬상장치 및 오토포커스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촬상장치에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반 누름 조작과 전부 누름 조작이 가능한 셔터버튼과,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과,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과, 광로길이를 바꿈으로써 각 광로길이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구동에 의해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터의 AF평가값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한 복수의 AF평가값 중에서 가장 AF평가값이 높아지는 광로길이가 되도록 광로길이를 제어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해 오토포커스를 실행하는 콘트라스트AF수단과, 상기 제 1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콘트라스트AF수단에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보다 고속인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콘트라스트AF수단에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포커스 제어수단을 구비시키도록 구성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촬상장치에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1 촬상소자와,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2 촬상소자와, 상기 제 1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수단과, 상기 제 2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제 2 구동수단과, 광로길이를 바꿈으로써 각 광로길이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2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AF평가값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한 AF평가값 중에서 가장 AF평가값이 높아지는 광로길이가 되도록 상기 제 2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피사체의 빛의 광로길이를 제어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해 오토포커스를 실행하는 제 1 콘트라스트AF수단과, 상기 제 1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제 1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제 2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보다 고속인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콘트라스트AF수단에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제 1 제어수단을 구비시키도록 구성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반 누름 조작과 전부 누름 조작이 가능한 셔터버튼을 구비한 촬상장치의 오토포커스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스텝과, 이 제 1 판단스텝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한 상기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제 1 포커스 제어스텝과,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스텝과, 상기 제 2 판단스텝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한 상기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보다 고속인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제 2 포커스 제어스텝을 포함하는 오토포커스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1 촬상소자와,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2 촬상소자와, 상기 제 1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부와, 상기 제 2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를 구비한 촬상장치의 오토포커스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 1 구동부에 의한 상기 제 1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으로 제어하는 제 1 제어스텝과, 상기 제 1 제어스텝에 의한 제어와 평행하게 상기 제 2 구동부에 의한 상기 제 2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 상 표시에 적합한 구동보다 고속인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제 2 제어스텝을 포함하는 오토포커스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반 누름 조작과 전부 누름 조작이 가능한 셔터버튼을 구비한 촬상장치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처리와,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처리와, 광로길이를 바꿈으로써 각 광로길이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부에 의한 구동에 의해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터의 AF평가값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한 복수의 AF평가값 중에서 가장 AF평가값이 높아지는 광로길이가 되도록 광로길이를 제어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해 오토포커스를 실행하는 콘트라스트AF처리와, 상기 제 1 판단처리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한 상기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콘트라스트AF처리에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판단처리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한 상기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보다 고속인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콘트라스트AF처리에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1 촬상소자와,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2 촬상소자와, 상기 제 1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부와, 상기 제 2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를 구비한 촬상장치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광로길이를 바꿈으로써 각 광로길이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2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AF평가값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한 AF평가값 중에서 가장 AF평가값이 높아지는 광로길이가 되도록 상기 제 2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피사체의 빛의 광로길이를 제어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해 오토포커스를 실행하는 제 1 콘트라스트AF처리와, 상기 제 1 구동부에 의한 상기 제 1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구동부에 의한 상기 제 2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보다 고속인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콘트라스트AF처리에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대해서 디지털카메라를 적용한 한 예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A. 디지털카메라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촬상장치를 실현하는 디지털카메라(1)의 전기적인 개략 구 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지털카메라(1)는 촬영렌즈(2), CCD(3), TG(timing generator, 4), 유닛회로(5), DRAM(6), 메모리(7), CPU(8), 플래시메모리(9), 화상표시부(10), 키 입력부(11), 렌즈구동블록(12)을 구비하고 있다.
촬영렌즈(2)는 도시하지 않는 포커스렌즈, 줌렌즈를 포함하고, 렌즈구동블록(12)이 접속되어 있다. 렌즈구동블록(12)은 도시하지 않는 포커스렌즈, 줌렌즈를 각각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포커스모터, 줌모터와, CPU(8)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포커스모터, 줌모터를 각각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포커스모터드라이버, 줌모터드라이버로 구성되어 있다.
CCD(3, 촬상소자)는 촬영렌즈(2)를 통하여 입사된 피사체의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촬상신호로서 유닛회로(5)에 출력한다. 이 CCD(3)는 TG(4)에 의해서 생성된 소정주파수의 타이밍신호에 따라서 구동한다.
유닛회로(5)에는 TG(4)가 접속되어 있고, 유닛회로(5)는 CCD(3)로부터 출력되는 촬상신호를 상관이중샘플링하여 홀딩하는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회로, 그 샘플링 후의 촬상신호의 자동이득조정을 실행하는 AGC(Automatic Gain Control)회로, 그 자동이득조정 후의 아날로그의 촬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CCD(3)의 촬상신호는 유닛회로(5)를 거쳐 디지털 신호로서 CPU(8)에 보내진다.
CPU(8)는 유닛회로(5)로부터 보내져 온 화상데이터의 화상처리(화소보간처리, γ보정, 휘도색차신호의 생성, 화이트밸런스처리, 노출보정처리 등), 화상데이 터의 기록처리, CCD(3)의 구동을 제어하는 처리 및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AF제어 등을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디지털카메라(1)의 각부를 제어하는 원칩 마이크로컴퓨터이다. 또, CPU(8)는 클록회로를 포함하고, 이 클록회로는 날짜, 시각을 계시하는 동시에 타이머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메모리(7)에는 CPU(8)의 각부에 제어에 필요한 제어프로그램(예를 들면, AF처리에 필요한 제어프로그램), 및 필요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CPU(8)는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또한, CPU(8)는 본원 발명의 제 1∼제 3 판단수단, 콘트라스트AF수단, 포커스 제어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DRAM(6)은 CCD(3)에 의해서 촬상된 후, CPU(8)에 보내져 온 화상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는 버퍼메모리로서 사용되는 동시에, CPU(8)의 작업메모리로서 사용된다.
플래시메모리(9)는 CCD(3)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데이터 등을 보존하여 두는 기록매체이다.
화상표시부(10)는 컬러LCD와 그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촬영대기상태에 있을 때에는 CCD(3)에 의해서 촬상된 피사체를 스루화상으로서 표시하고, 기록화상의 재생시에는 보존용 플래시메모리(9)로부터 판독되어 신장된 기록화상을 표시시킨다.
키 입력부(11)는 반 누름 전부 누름 가능한 셔터버튼, 모드전환키, 十자키, 설정키 등의 복수의 조작키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CPU(8)에 출력한다.
B. 다음으로,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CCD(3)의 구동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CCD(3)의 전체 화소에 축적된 전하는 TG(4)에 의해서 생성된 소정주파수의 타이밍신호에 따라서 판독되는데, 스루화상표시시 및 통상의 AF처리시와, 고속AF처리시에는 CCD(3)의 구동방법이 다르다. 또한, TG(4)는 CPU(8)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CCD(3)의 구동방법을 바꾼다.
또한, AF처리의 방식으로서는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AF처리를 채택한다.
B-1. 피사체의 스루화상표시시 및 통상의 AF처리시
스루화상표시시 및 통상의 AF처리시에 있어서는, CCD(3)에 의해 촬상된 화상데이터를 화상표시부(12)에 표시시키기 위해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CCD(3)의 구동을 실행한다. 이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CCD의 구동을, 여기에서는 스루화상용 구동이라고 한다.
이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CCD(3)의 구동이란, CCD(3)의 전체 화소에 축적된 전하를 1라인씩 판독하여 전체 화소의 전하를 판독한다고 하는 방법도 있는데, CCD(3)의 전체 화소에 축적된 전하를 모두 판독하는 것은 시간이 걸리고, 또, CCD(3)에 의해 얻어진 화상데이터의 해상도가 화상표시부(10)의 해상도보다 많은 경우에는 해당 얻어진 화상데이터의 해상도를 낮게 하고 나서 표시시키기 때문에 처음부터 화상표시부(10)의 해상도에 적합한 화상사이즈가 되도록 솎아내 판독하거나, 화소 가산해서 판독하거나 해도 좋다. 이에 따라 화상데이터의 판독주기를 전체 화소의 전하를 판독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단축할 수 있고, 움직임이 원활한 스루화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또, AF처리시간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B-2. 고속AF처리시
고속AF처리시에 있어서는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AF처리를 단축시키기 위해 CCD(3)에 의해 축적된 화상데이터의 판독주기를 빠르게 하도록 CCD(3)를 구동시킨다. 이 화상데이터의 판독주기를 빠르게 하는 CCD(3)의 구동을, 여기에서는 고속구동이라고 한다.
이하, 고속구동의 방법에 대해서 몇 가지 서술한다.
B-2a. 일부 판독구동
일부 판독구동이란, 종래기술의 설명에서도 서술한 바와 같이, CCD(3)의 일부 영역(해당 일부 영역은 포커스영역을 포함한다)의 화소데이터를 판독하도록 CCD(3)를 구동시키는 방법이다.
여기에서는, 판독할 일부 영역은 CCD(3)의 전체 라인의 1/3라인이며, 또한, CCD(3) 중앙부분의 라인이다. 또한, 일부 판독구동을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스루화상용 구동을 실행하는 경우와 똑같이 CCD(3)의 일부 영역내에 있어서, 솎아내 판독하거나, 화소 가산해서 판독하거나 하도록 해도 좋다.
도 2a는 스루화상용 구동에 의해 판독된 화상데이터의 화상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2b는 일부 판독구동에 의해 판독된 화상데이터의 화상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루화상용 구동에 따르면, 전체범위에 걸쳐서 CCD(3)의 화소에 축적된 화소데이터가 판독되는데, 일부 판독구동에 따르면, CCD(3)의 일부 영역의 화소에 축적된 화소데이터가 판독되게 된다.
일부 판독구동에 따르면, 일부 영역(전체영역의 1/3)의 화소데이터를 판독하 므로 스루화상용 구동에 의해 약 3배 프레임속도를 높일 수 있어(스루화상용 구동으로 솎아냄 판독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동일 정도의 솎아냄 판독을 하여 일부 판독구동시키고 있는 경우), AF처리의 시간을 대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B-2b. 화소가산구동
화소가산구동이란, CCD(3)의 화소에 축적된 전하를 가산해서 판독하는 방법이며, 이미 주지기술이므로 설명을 할애한다.
스루화상용 구동에 있어서도 화소 가산을 해서 화소에 축적된 전하를 판독하도록 해도 좋다고 설명했는데, 여기에서의 화소가산구동은 스루화상표시에는 적합하지 않은 정도로 화소에 축적된 전하를 가산시켜 판독하는 것을 말한다.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화소의 가산의 최대수를, 예를 들면, 5화소까지로 하면, 6화소 이상의 화소를 가산해서 판독하도록 구동시킨다. 즉, 6화소 이상의 화소에 축적된 전하를 가산해서 판독하면 해상도가 떨어져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하지 않게 되어 버리는데, 그만큼 프레임속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스루화상표시보다 프레임속도를 우선시키는 이유이다.
예를 들면, 스루화상용 구동에서는 2화소에 축적된 전하를 가산해서 판독하고, 고속구동(화소가산구동)에 있어서는 8화소에 축적된 전하를 가산해서 판독하고 있는 경우에서는, 고속구동은 스루화상용 구동보다도 프레임속도가 4배로 높아진다고 하는 것이 된다.
B-2c. 그 외
일부 판독구동, 화소가산구동에 한정하지 않고, 솎아냄 판독에 의해 프레임 속도를 스루화상용 구동보다 높이도록 해도 좋고, 그 외의 방법이라도 좋다. 또, 일부 판독구동이나 화소가산구동 등을 조합함으로써 더욱 프레임속도를 높이도록 해도 좋다. 즉, 프레임속도를 높이는 구동방법이면 무엇이든지 좋다고 하는 것이 된다.
C. 다음으로, 스루화상용 구동에 있어서의 AF처리와, 고속구동에 있어서의 AF처리를 대비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AF처리는 포커스렌즈를 한쪽의 렌즈 끝 위치로 이동시켜 CCD(3)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화상데이터에 있어서의 포커스영역내의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AF평가값을 검출한다. 그리고 포커스렌즈를 원스텝 움직이게 하고, 그때의 CCD(3)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화상데이터에 있어서의 포커스영역내의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AF평가값을 검출하고, 또, 포커스렌즈를 원스텝 움직이게 한다고 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 AF평가값이란, CCD로부터 출력되는 촬상신호에 포함되는 고주파성분에 의거하여 산출되므로 AF평가값이 높은 포커스렌즈의 렌즈위치(광로길이)일수록 핀트가 맞게 된다.
이와 같이, 포커스렌즈를 렌즈 끝에서 렌즈 끝까지 원스텝씩 이동시키고, 즉, 광로길이를 바꾸어 가고, 그때의 CCD(3)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각 포커스렌즈위치(각 광로길이)의 AF평가값을 검출하며, AF평가값이 가장 높아지는 렌즈위치에 포커스렌즈를 이동시킨다. 또한, AF평가값의 피크값을 검출한 시점에서 AF평가값의 서치를 종료시키고, AF평가값이 피크가 되는 렌즈위치에 포커스렌즈를 이 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렌즈 끝에서 렌즈 끝까지의 각 렌즈위치의 AF평가값을 검출하므로 렌즈 끝에서 렌즈끝까지(렌즈 끝에서 렌즈 끝까지의 범위에 대응하는 광로길이 범위)를 서치범위라고 한다.
도 3은 각 렌즈위치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복수의 삼각부는 AF평가값을 검출하는(CCD(3)를 구동하는 위치) 포커스렌즈의 렌즈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스루화상용 구동에 있어서의 AF처리도, 고속구동에 있어서의 AF처리도 상기한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하는데, CCD(3)의 화상데이터의 판독주기가 빨라지므로 포커스렌즈의 이동스피드도 그만큼 빠르게 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삼각부의 렌즈위치에서 AF평가값을 검출할 수 있다. 즉, 포커스렌즈의 이동스피드를 빠르게 함으로써 AF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독주기를 2배 빠르게 하면, 포커스렌즈의 이동스피드도 2배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4a는 스루화상용 구동에 있어서의 화상데이터의 판독주기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며, 도 4b는 고속구동에 있어서의 화상데이터의 판독주기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AF처리에 있어서 렌즈 끝에서 렌즈 끝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AF평가값을 검출하는 렌즈위치(샘플링포인트)를 7개로 한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속구동 쪽이 스루화상용 구동보다 CCD(3)에 축적된 전하의 전송(판독)이 빠르기 때문에 판독주기, 노광주기가 짧아지고, 그에 동반하여 포커스렌즈의 이동스피드를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7의 샘플링포인트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을 단시간에 검출할 수 있다. 즉, 판독주기, 노광주기가 짧으므로 샘플링포인트에 포커스렌즈를 멈추어 두는 시간도 짧아져, 다음의 샘플링포인트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D. 디지털카메라(1)의 동작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카메라(1)의 동작을 도 5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사용자의 키 입력부(11)의 모드전환키의 조작에 의해 촬영모드로 설정되면, CPU(8)는 TG(4)에 제어신호를 보내고, TG(4)는 해당 보내져 온 제어신호에 따라서 CCD(3)를 스루화상용 구동시킨다. 그리고 해당 CCD(3)로부터 출력되는 피사체의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화상처리를 실시하여 버퍼메모리(DRAM(6))에 기억하고, 해당 기억화상데이터의 화상을 화상표시부(10)에 표시시킨다고 하는, 이른바 스루화상표시를 실행한다(스텝S1).
이어서, CPU(8)는 사용자에 의해서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2). 이 판단은 사용자의 셔터버튼 눌러 내림에 대응하는 조작신호가 키 입력부(11)로부터 보내져 왔는지 아닌지에 의해 판단한다.
스텝S2에서 셔터버튼이 반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1로 되돌아가고, 스텝S2에서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다고 판단하면, CPU(8)는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스텝S3).
타이머를 스타트시키면, CPU(8)는 타임업 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실행한다(스텝S4). 이 타임업 했는지 아닌지의 판단은 타이머가 소정시간(여기에서는, 0. 1초로 한다)을 경과했는지 아닌지에 의해 판단한다. 이 소정시간은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좋고,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스텝S4에서 타임업 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CPU(8)는 사용자에 의해서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실행한다(스텝S5). 이 판단은 사용자의 셔터버튼 전부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신호가 키 입력부(11)로부터 보내져 왔는지 아닌지에 의해 판단한다.
스텝S5에서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4로 되돌아간다.
소정시간 경과했다고 판단하기 전에, 여기에서는 셔터버튼이 반 눌러지고 나서 0. 1초 경과하기 전에(스텝S4에서 N에 분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하면(스텝S5에서 Y에 분기), 사용자가 셔터버튼을 단번에 전부 누른, 즉, 사용자가 신속한 촬영을 요구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CPU(8)는 TG(4)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CCD(3)의 구동을 스루화상용 구동으로부터 고속구동으로 전환해서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AF처리를 실행시킨다(스텝S6). 즉, 스루화상용의 구동으로부터 고속구동으로 전환함으로써 CCD(3)의 판독주기를 빠르게 함으로써 AF처리를 빠르게 한다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AF처리를 실행시키면 CPU(8)는 해당 AF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아닌지, 즉, AF평가값이 가장 높아지는 렌즈위치에 포커스렌즈를 이동시켰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7).
스텝S7에서 AF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 기까지 스텝S7에 머문다. 이때는 CCD(3)에 의해 촬상된 화상데이터는 화상표시부(12)에 표시되지 않는다. 즉, 피사체의 스루화상은 화상표시부(10)에 표시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고속구동에 의해 CCD(3)를 구동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단,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감안하고 나서 피사체의 스루화상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한편, 스텝S7에서 AF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11로 진행하여 정지화상촬영처리를 실행하고, 해당 얻어진 정지화상데이터를 플래시메모리(9)에 기록시킨다. 이 정지화상촬영처리는 전체 화소의 전하를 판독하는 구동에 의해 CCD(3)를 구동시키고, CCD(3)로부터 판독된 정지화상데이터를 압축해서 플래시메모리(9)에 기록시키는 것이다.
한편,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지기 전에 타임업 하면(스텝S4에서 Y에 분기), 사용자가 셔터버튼을 단번에 전부 누르지 않고 반 누른, 즉 사용자가 신속한 촬영을 요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CPU(8)는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AF처리를 개시시킨다(스텝S8). 이때는 화상표시부(10)에 스루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해 CCD (3)는 스루화상표시용 구동되고 있기 때문에 AF처리시간은 스텝S6의 AF처리시간보다 길다.
그리고 AF처리를 실행시키면, CPU(8)는 해당 AF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9).
스텝S9에서 AF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기까지 스텝S9에 머문다. 이때는 CCD(3)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스루화상은 화상 표시부(10)에 표시된다. CCD(3)를 스루화상용 구동시키고 있으므로 CCD(3)로부터 출력된 화상데이터를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스텝S9에서 AF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CPU(8)는 사용자에 의해서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실행한다(스텝S10).
스텝S10에서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지기까지 스텝S10에 머문다. 이때도 CCD(3)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스루화상은 화상표시부(10)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신속한 촬영을 요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AF처리시간의 단축화보다도 스루화상표시를 우선시킴으로써 촬영하고 싶은 피사체의 구도를 차분히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스텝S10에서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하면, 스텝S11로 진행하여, 정지화상촬영처리를 실행하고, 해당 얻어진 정지화상데이터를 플래시메모리(9)에 기록한다.
또한, 셔터버튼이 반 눌러지고 나서 소정시간 경과 전에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진 경우에는 사용자가 단번에 셔터버튼을 전부 눌렀다고 판단하도록 했는데, 셔터버튼의 반 누름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으면 CPU(8)에 의해서 셔터버튼 반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신호가 검출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즉, 셔터버튼 반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신호가 검출된 경우에는 바로 사용자가 셔터버튼을 반 눌렀다고 판단하도록 하고, 셔터버튼 반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신호가 검출되는 일없이 셔터버튼 전부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신호만이 검출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단번에 셔터 버튼을 전부 눌렀다고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텝S2에서 셔터버튼이 반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실행하고, 전부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1로 되돌아간다. 한편, 반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신호가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S8로 진행하고, 또, 반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신호가 검출되지 않고, 셔터버튼 전부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신호가 검출된 경우는 스텝S6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E.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의해서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진 경우에는 신속한 촬영이 요구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CCD(3)를 고속구동에 의해 구동시키도록 했으므로, AF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신속하게 촬영하고 싶은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사용자에 의해서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지지 않았던 경우에는 신속한 촬영이 요구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CCD(3)를 스루화상용 구동에 의해 구동시키도록 했으므로, AF처리중이라도 피사체의 스루화상표시를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는 차분히 촬영하고 싶은 구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로 CCD(3)의 구동방법을 바꾸도록 했으므로 촬영상황에 따라 적절한 AF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 눌러졌다고 판단하고 나서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지는 일없이 소정시간 경과한 경우에(스텝S4에서 Y) 스텝S8의 AF처 리를 실행하도록 했는데, 셔터버튼이 반 눌러지면 바로 스텝S8로 진행하여, AF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AF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기 전에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하면, 스텝S6으로 진행하여 고속구동으로 전환해서 AF처리를 실행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스텝S6에서의 고속구동에서의 AF처리를 처음부터 실행하는 것은 아니고, 스루화상용 구동으로부터 고속구동으로 전환하여 계속해서 AF처리를 실행하도록 한다.
즉, 이미 스루화상용 구동에 의한 AF처리로 검출한 렌즈위치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을 재차 검출하는 일없이 스루화상용 구동에 의한 AF처리로 검출하고 있지 않은 렌즈위치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을 고속구동에 의한 AF처리로 검출하도록 하고, 스루화상용 구동에 의한 AF처리로 검출한 렌즈위치에 있어서의 AF평가값, 및, 고속구동에 의한 AF처리로 검출한 AF평가값 중에서 제일 높은 AF평가값이 되는 렌즈위치에 포커스렌즈를 이동시키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F. 디지털카메라의 구성
도 6은 본 발명의 촬상장치를 실현하는 디지털카메라(21)의 전기적인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카메라(21)는 촬영렌즈(2), CCD(3), TG(timing generator, 4), 유닛회로(5), DRAM(6), 메모리(7), CPU(8), 플래시메모리(9), 화상표시부(10), 키 입력부(11), 구동회로(22), 구동회로(23), 광로분리수 단(24), CCD(25), TG(26), 유닛회로(2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구성부에 대해서는 똑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구동회로(22)는 CCD(3)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 모터드라이버를 포함하고, 구동회로(22)는 CPU(8)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CCD(3)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동회로(23)는 CCD(25)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 모터드라이버를 포함하고, 구동회로(23)는 CPU(8)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CCD(25)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광로분리수단(24)은 프리즘, 하프 밀러 등의 촬영광속을 2분할하는 광학부재로 이루어지고, 2분할된 촬영광속은 각각 CCD(3), CCD(25)에 투영된다. 이때 촬영렌즈(2)에서 기준위치의 CCD(3)까지의 광로길이와, 촬영렌즈(2)에서 기준위치의 CCD(25)까지의 광로길이가 동등해지도록 광로분리수단(24)을 설치한다.
CCD(25, 촬상소자), TG(26), 유닛회로(27)는 각각 CCD(3), TG(4), 유닛회로(5)와 똑같은 기능을 가지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다른 구성부의 기능에 대해서도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포커스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광로길이를 바꾸어, 각 광로길이의 AF평가값을 검출하도록 했는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포커스렌즈를 고정시키고, CCD(3), CCD(25)를 광축방향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광로길이를 바꾸어, CCD(3), CCD(25)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을 검출한다. 즉, 포커스렌즈에 대신하여 CCD(3), CCD(25)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광로길이를 변경시켜, 각 광로길이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 포커스렌즈를 이동시킨 경우와 똑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CPU(8)는 본원 발명의 제 1∼제 3 판단수단, 제 1, 제 2 콘트라스트AF수단, 제 1∼제 4 제어수단, 제 1∼제 3 표시제어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G. 디지털카메라(1)의 동작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카메라(21)의 동작을 도 7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사용자의 키 입력부(11)의 모드전환키의 조작에 의해 촬영모드로 설정되면, CPU(8)는 TG(4) 및 TG(26)에 제어신호를 보내고, TG(4) 및 TG(26)는 해당 보내져 온 제어신호에 따라서 각각 CCD(3), CCD(25)의 스루화상용 구동을 개시시킨다(스텝S51).
그리고 CPU(8)는 해당 CCD(3) 및 CCD(25)로부터 출력되는 2장의 화상데이터를 합성해서 1장의 화상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한 화상데이터를 화상표시부(10)에 표시시킴으로써 피사체의 스루화상표시를 실행한다(스텝S52). 이때는 CCD(3) 및 CCD(25)는 기준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CPU(8)는 사용자에 의해서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53).
스텝S53에서 셔터버튼이 반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52로 되돌아 가고, 스텝S53에서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다고 판단하면, CPU(8)는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스텝S54).
타이머를 스타트시키면, CPU(8)는 타임업 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실행한다(스텝S55). 이 판단은 제 1 실시형태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타이머가 소정시간(여기에서는, 0. 1초로 한다) 경과했는지 아닌지에 의해 판단한다.
스텝S55에서 타임업 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CPU(8)는 사용자에 의해서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실행한다(스텝S56).
스텝S56에서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55로 되돌아간다.
소정시간 경과했다고 판단하기 전에, 여기에서는 셔터버튼이 반 눌러지고 나서 0. 1초 경과하기 전에(스텝S55에서 N에 분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하면, 사용자가 셔터버튼을 단번에 전부 누른, 즉, 사용자가 신속한 촬영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CPU(8)는 TG(4) 및 TG(26)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CCD(3) 및 CCD(25)의 구동을 스루화상용 구동으로부터 고속구동으로 전환해서 2개의 CCD를 이용하여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AF처리를 실행시킨다(스텝S57). 여기에서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은 포커스렌즈를 움직이게 하지 않고 CCD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각 광로길이(CCD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을 검출하는데, 2개의 CCD를 이용하므로 AF평가값을 검출하는 서치범위를 분담시켜 AF평가값을 검출시킨다. 즉, 서치범위가 2분할되게 된다.
도 8은 서치범위를 2분할시켰을 때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8을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서치범위 중, 왼쪽 반의 서치범위의 각 광로길이(CCD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을 한쪽의 CCD를 이용해서 검출하고, 오른쪽 반의 서치범위의 각 광로길이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을 다른 쪽의 CCD를 이용해서 검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CCD를 고속구동시키는 동시에 서치범위도 반이 되므로 보통 고속구동에 의해 AF처리를 실행시켰을 때보다도 AF처리가 2배 빨라진다.
그리고 2개의 CCD를 이용해서 검출된 AF평가값 중, 가장 AF평가값이 높아지는 광로길이가 되는 CCD의 위치에 CCD(3) 및 CCD(25)를 이동시킴으로써 AF처리가 완료된다. 이에 따라, CCD(3) 및 CCD(25)에서 촬상되는 화상데이터의 화상은 함께 핀트가 맞은 화상이 된다.
스텝S57에서 AF처리를 실행시키면, CPU(8)는 해당 AF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즉, AF평가값이 가장 높아지는 광로길이가 되는 CCD의 위치에 CCD(3) 및 CCD(25)를 이동시켰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58).
스텝S58에서 AF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기까지 스텝S58에 머문다. 이때 CCD(3) 및 CCD(25)에서 촬상된 화상데이터는 화상표시부(10)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즉, 피사체의 스루화상은 화상표시부(10)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한편, 스텝S58에서 AF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CPU(8)는 2개의 CCD에서 정지화상촬영처리를 실행하고(스텝S65), 해당 얻어진 2장의 정지화상데이터를 합성해서 1장의 정지화상데이터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1장의 정지화상데이터를 플래시메모리(9)에 기록시킨다(스텝S66).
한편,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지기 전에 타임업 하면(스텝S55에서 Y에 분기), 사용자가 셔터버튼을 단번에 전부 누르지 않고 반 누른, 즉, 사용자가 신속한 촬영을 요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CPU(8)는 TG(4), TG(26) 중, 어느 쪽인가 한쪽의 TG에 제어신호를 보냄으로써 어느 쪽인가 한쪽의 CCD의 구동을 스루화상용 구동으로부터 고속구동으로 전환하며, 해당 고속구동으로 전환된 CCD를 이용해서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AF처리를 개시시킨다(스텝S59). 이때는 한쪽의 CCD를 이동시킴으로써 전체 서치범위의 각 CCD위치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을 검출하고, 가장 AF평가값이 높아지는 CCD위치에 CCD(3) 및 CCD(25)를 이동시킴으로써 AF처리가 완료된다.
이어서, CPU(8)는 다른 쪽의 CCD, 즉, 스루화상용 구동되어 있는 CCD로부터 출력된 피사체의 화상데이터를 화상표시부(10)에 표시시킨다(스텝S60). 즉, 다른 쪽의 CCD를 이용해서 스루화상 표시를 실행한다.
이어서, CPU(8)는 해당 AF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즉, AF평가값이 가장 높아지는 CCD위치에 CCD(3) 및 CCD(25)를 이동시켰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61).
스텝S61에서 AF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기까지 피사체의 스루화상을 표시시키고(스텝S60∼스텝S61의 루프), 스텝S61에서 AF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해당 고속구동으로 전환한 CCD(한쪽의 CCD)의 구동을 재차 스루화상용 구동으로 전환한다.(스텝S62).
이어서, CPU(8)는 해당 CCD(3) 및 CCD(25)로부터 출력되는 2장의 화상데이터 를 합성해서 1장의 화상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한 화상데이터를 화상표시부(10)에 표시시킴으로써 피사체의 스루화상표시를 실행한다(스텝S63).
합성한 화상데이터의 스루화상표시를 실행하면, CPU(8)는 사용자에 의해서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실행한다(스텝S64).
스텝S64에서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63으로 되돌아가고, 스텝S64에서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하면, 2개의 CCD(CCD(3) 및 CCD(25))에서 정지화상촬영처리를 실행하며(스텝S65), 해당 얻어진 2장의 정지화상데이터를 합성해서 1장의 정지화상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한 1장의 정지화상데이터를 플래시메모리(9)에 기록시킨다(스텝S66).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도 설명했는데, 셔터버튼이 반 눌러지고 나서 소정시간 경과 전에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진 경우에는 사용자가 단번에 셔터버튼을 전부 눌렀다고 판단하도록 했는데, 셔터버튼의 반 누름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으면 CPU(8)에 의해서 셔터버튼 반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신호가 검출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즉, 셔터버튼 반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신호가 검출된 경우에는 바로 사용자가 셔터버튼을 반 눌렀다고 판단하도록 하고, 셔터버튼 반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신호가 검출되는 일없이 셔터버튼 전부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신호만이 검출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단번에 셔터버튼을 전부 눌렀다고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H.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CCD를 2개 설치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지지 않았던 경우에는 신속한 촬영이 요구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 하며, 한쪽의 CCD를 고속구동에 의해 구동시키고, 해당 고속구동되어 있는 CCD를 이용해서 AF처리를 실행하며, 다른 쪽의 CCD를 스루화상용 구동에 의해 구동시키고, 해당 스루화상용 구동되어 있는 CCD를 이용해서 스루화상 표시를 실행하도록 했으므로 신속한 촬영이 요구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AF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AF처리중이라도 피사체의 스루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사용자에 의해서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진 경우에는 신속한 촬영이 요구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CCD(3) 및 CCD(25)를 고속구동에 의해 구동시키는 동시에, AF평가값을 검출하는 서치범위를 CCD(3)와 CCD(25)에서 다르게 하도록 했으므로 더욱 AF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더욱 신속하게 촬영하고 싶은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로 CCD(3) 및 CCD(25)의 구동방법을 바꾸도록 했으므로 촬영상황에 따라 적합한 AF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 AF처리중 이외는, CCD(3) 및 CCD(25)에서 촬상된 화상데이터를 합성하므로 광로분리수단에 의해 CCD(3) 및 CCD(25)에 입사하는 광량이 떨어져도 광량 부족이 아닌 화상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7의 스텝S57의 AF처리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치범위를 2분할하도록 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요는 2개의 CCD를 이용해서 서치범위를 분담시키면 좋다. 예를 들면, CCD의 구동범위의 끝에서 끝까지에 AF평가값을 검출하는 CCD위치가 8개 있는 경우에는 한쪽의 CCD에서 1번째, 3번째, 5번째, 7번째 위치의 AF평가값을 검출하고, 다른 쪽의 CCD에서 2 번째, 4번째, 6번째, 8번째 위치의 AF평가값을 검출한다고 하는 바와 같이 서로 번갈아 검출하는 위치를 바꾸도록 해도 좋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7의 스텝S59의 AF처리에서는 고속구동되어 있는 한쪽의 CCD를 이동시킴으로써 AF평가값을 검출하도록 했는데, CCD에 대신하여 포커스렌즈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AF평가값을 검출하고, 피크값이 검출된 렌즈위치에 포커스렌즈를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CCD(3) 및 CCD(25)를 기준위치에 배치시켜 둘 필요가 있다. 또한, 광로분리수단(24)과 CCD(3)의 사이에 제 1 포커스렌즈를 설치하는 동시에 광로분리수단(24)과 CCD(25)의 사이에 제 2 포커스렌즈를 설치하도록 하고, 한쪽의 포커스렌즈를 이동시킴으로써 AF평가값을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7의 스텝S57의 AF처리에서는 고속구동되어 있는 2개의 CCD를 이동시킴으로써 AF평가값을 검출하도록 했는데, 광로분리수단(24)과 CCD(3)의 사이에 제 1 포커스렌즈를 설치하는 동시에 광로분리수단(24)과 CCD(25)의 사이에 제 2 포커스렌즈를 설치하도록 하고, 2개의 포커스렌즈를 서치범위를 다르게 하여 이동시킴으로써 AF평가값을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포커스렌즈를 이동하지 않고 CCD(3)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 눌러졌다고 판단하고 나서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지는 일없이 소정시간 경과한 경우에(스텝S55에서 Y), 스텝S59의 AF처리를 실행하도록 했는데, 셔터버튼이 반 눌러지면, 바로 스텝S59로 진행하여 AF처리 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AF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기 전에,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하면, 스텝S57로 진행하여 2개의 CCD를 고속구동으로 전환해서 AF처리를 실행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스텝 S57에서 2개의 CCD의 고속구동에 의한 AF처리를 처음부터 실행하는 것은 아니고, 스텝S59의 AF처리로부터 스텝S57의 AF처리로 전환하여 계속해서 AF처리를 실행하도록 한다.
즉, 이미 스텝S59의 AF처리에서 검출한 CCD위치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을 재차 검출하는 일없이, 스텝S59의 AF처리에서 검출하고 있지 않은 CCD위치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을 스텝S57의 AF처리에서 검출하도록 하고, 스텝S59의 AF처리에서 검출한 CCD위치에 있어서의 AF평가값, 및, 스텝S57의 AF처리에서 검출한 CCD위치에 있어서의 AF평가값 중에서 제일 높은 AF평가값이 되는 CCD위치에 CCD(3) 및 CCD(25)를 이동시키게 된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루화상표시중은 도 7의 스텝S52, 스텝S63에서는 2개의 CCD에 의해 얻어진 화상데이터를 합성해서 스루화상표시를 실행하도록 했는데, 한쪽만의 CCD를 구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한쪽만의 CCD를 구동시키는 경우에는 광로분리수단(24)을 광축상으로부터 퇴피시키도록 해도 좋다. 광로분리수단(24)에 의해 빛의 광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합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광로분리수단(24)을 퇴피시킴으로써 깨끗한 스루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셔터버튼은 반 누름 조작, 전부 누름 조작 가능한 2단계의 스트로크를 갖는 버튼이었는데, 1단계밖에 조작할 수 없는 버튼이 라도 좋다(2단계 스트로크를 갖지 않는 버튼, 즉, 누르는 것밖에 할 수 없는 버튼). 이 경우에는 셔터버튼의 상부에 손가락이 닿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터치센서를 설치하여 두고, 터치센서에 손가락이 닿은 것을 검출함으로써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다고 판단하고, 셔터버튼이 눌러 내려짐으로써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카메라(21)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 카메라 부착 PDA, 카메라 부착 PC, 카메라 부착 IC레코더, 또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이라도 좋고, 요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기기이면 무엇이든지 좋다.
청구항 1, 23, 2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바로 피사체의 촬영을 실행하고 싶은 경우에는 촬상소자를 고속으로 구동함으로써 프레임속도가 높아져 신속하게 피사체에 대해서 포커스 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바로 피사체의 촬영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촬상소자를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에 의해 구동시키므로 피사체의 스루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청구항 8, 24, 2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AF처리중이라도 피사체의 스루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는 동시에, AF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26)

  1.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반 누름 조작과 전부 누름 조작이 가능한 셔터버튼과,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과,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과,
    광로길이를 바꿈으로써 각 광로길이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구동에 의해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터의 AF평가값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한 복수의 AF평가값 중에서 가장 AF평가값이 높아지는 광로길이가 되도록 광로길이를 제어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해서 오토포커스를 실행하는 콘트라스트AF수단과,
    상기 제 1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콘트라스트AF수단에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보다 고속인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콘트라스트AF수단에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포커스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라스트AF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되는 화상데이터의 판독주기로 광로길이를 바꾸어 감으로써 각 광로길이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제 3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콘트라스트AF수단에 의한 오토포커스 동작이 실행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지고 나서 소정시간 경과 전에 상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진 경우에는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 1 판단수단은,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지고 나서 상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지는 일없이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제 1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다고 판단되는 일없이 상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보다 고속인 구동은,
    적어도 일부 판독구동, 화소가산구동 중, 1개 이상의 구동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라스트AF수단은,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 또는, 포커스렌즈의 렌즈위치를 바꿈으로써 광로길이를 바꾸어 각 광로길이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8.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1 촬상소자와,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2 촬상소자와,
    상기 제 1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수단과,
    상기 제 2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제 2 구동수단과,
    광로길이를 바꿈으로써 각 광로길이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2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AF평가값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한 AF평가값 중에서 가장 AF평가값이 높아지는 광로길이가 되도록 상기 제 2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피사체의 빛의 광로길이를 제어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해서 오토포커스를 실행하는 제 1 콘트라스트AF수단과,
    상기 제 1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제 1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제 2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보다 고속인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콘트라스트AF수단에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제 1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피사체의 빛의 광로를 2개로 분리시키는 광로분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촬상소자는 상기 광로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한쪽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제 2 촬상소자는 상기 광로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다른 쪽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트라스트AF수단은,
    상기 제 2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되는 화상데이터의 판독주기로 광로길이를 바꾸어 감으로써 각 광로길이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 1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되는 화상데이터를 스루화상으로서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 1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반 누름 조작과 전부 누름 조작이 가능한 셔터버튼과,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과,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 1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제 1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제 2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보다 고속인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콘트라스트AF수단에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제 3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콘트라스트AF수단에 의한 오토포커스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는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지고 나서 소정시간 경과 전에 상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진 경우에는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 1 판단수단은,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지고 나서 상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지는 일없이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촬상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제 1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다고 판단되는 일없이 상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피사체의 빛의 광로길이와, 상기 제 2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피사체의 빛의 광로길이를 각각 바꿈으로써 AF서치범위내의 각 광로길이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한 AF평가값 중에서 가장 AF평가값이 높아지는 광로길이가 되도록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피사체의 빛의 광로길이를 제어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해서 오토포커스를 실행하는 제 2 콘트라스트AF수단과,
    상기 제 2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 1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제 1 촬상소자의 구동 및 상기 제 2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제 2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보다 고속인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콘트라스트AF수단에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제 2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콘트라스트AF수단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되는 화상데이터의 판독주기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촬상소자에 입사되는 각각의 빛의 광로길이를 바꾸어 감으로써 AF서치범위내의 각 광로길이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을 검출하는 동시에, AF서치범위내의 각 광로길이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을 상기 제 1 촬상소자와, 상기 제 2 촬상소자에 분담시켜 검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제 1 촬상소자의 구동 및 상기 제 2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제 2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으로 제어하는 제 3 제어수단과,
    상기 제 3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촬상소자 및 상기 제 2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되는 화상데이터를 합성하고, 해당 합성한 화상데이터를 스루화상으로서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 2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촬상소자 및 상기 제 2 촬상소자 중, 어느 쪽인가 한쪽의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으로 제어하고, 다른 쪽의 촬상소자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 4 제어수단과,
    상기 제 4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에 의해 상기 한쪽의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되는 화상데이터를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 3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수단과,
    상기 제 3 판단수단에 의해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촬상소자 및 상기 제 2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된 2장의 화상데이터를 합성하고, 해당 합성한 화상데이터를 기록수단에 기록하는 기록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보다 고속인 구동은,
    적어도 일부 판독구동, 화소가산구동 중 1개 이상의 구동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트라스트AF수단은,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 또는, 포커스렌즈의 렌즈위치를 바꿈으로써 광로길이를 바꾸어 각 광로길이에 있어서의 AF평가값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3.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반 누름 조작과 전부 누름 조작이 가능한 셔터버튼을 구비한 촬상장치의 오토포커스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스텝과,
    상기 제 1 판단스텝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한 상기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제 1 포커스 제어스텝과,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스텝과,
    상기 제 2 판단스텝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한 상기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보다 고속인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제 2 포커스 제어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스 제어방법.
  24.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1 촬상소자와,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2 촬상소자와, 상기 제 1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부와, 상기 제 2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를 구비한 촬상장치의 오토포커스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 1 구동부에 의한 상기 제 1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으로 제어하는 제 1 제어스텝과,
    상기 제 1 제어스텝에 의한 제어와 평행하게, 상기 제 2 구동부에 의한 상기 제 2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보다 고속인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제 2 제어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스 제어방법.
  25.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반 누름 조작과 전부 누름 조작이 가능한 셔터버튼을 구비한 촬상장치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처리와,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처리와,
    광로길이를 바꿈으로써 각 광로길이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부에 의한 구동에 의해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터의 AF평가값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한 복수의 AF평가값 중에서 가장 AF평가값이 높아지는 광로길이가 되도록 광로길이를 제어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해서 오토포커스를 실행하는 콘트라스트AF처리와,
    상기 제 1 판단처리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한 상기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콘트라스트AF처리에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판단처리에 의해 상기 셔터버튼이 단번에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한 상기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보다 고속인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콘트라스트AF처리에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6.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1 촬상소자와, 피사체의 빛을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2 촬상소자와, 상기 제 1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부와, 상기 제 2 촬상소자를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를 구비한 촬상장치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광로길이를 바꿈으로써 각 광로길이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2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AF평가값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한 AF평가값 중에서 가장 AF평가값이 높아지는 광로길이가 되도록 상기 제 2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피사체의 빛의 광로길이를 제어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해서 오토포커스를 실행하는 제 1 콘트라스트AF처리와,
    상기 제 1 구동부에 의한 상기 제 1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 한 구동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구동부에 의한 상기 제 2 촬상소자의 구동을 스루화상표시에 적합한 구동보다 고속인 구동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콘트라스트AF처리에 오토포커스 동작을 실행시키는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60086064A 2005-09-08 2006-09-07 촬상장치 및 오토포커스 제어방법 KR100783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60357A JP4797522B2 (ja) 2005-09-08 2005-09-08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JP-P-2005-00260357 2005-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076A true KR20070029076A (ko) 2007-03-13
KR100783982B1 KR100783982B1 (ko) 2007-12-11

Family

ID=3782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064A KR100783982B1 (ko) 2005-09-08 2006-09-07 촬상장치 및 오토포커스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33413B2 (ko)
JP (1) JP4797522B2 (ko)
KR (1) KR100783982B1 (ko)
CN (1) CN100549801C (ko)
HK (1) HK1101717A1 (ko)
TW (1) TWI33358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7764A (ko) * 2008-12-29 201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411906B1 (ko) * 2008-03-21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5097A (ja) 2006-07-04 2008-01-24 Samsung Techwin Co Ltd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8405759B2 (en) * 2007-09-27 2013-03-26 Olympus Imagining Corp. Imaging device with contrast AF, and control method for imaging device with contrast AF
JP5276308B2 (ja) * 2007-11-21 2013-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544291B2 (ja) * 2007-11-26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フォーカス制御装置、フォーカス制御方法
JP5115230B2 (ja) * 2008-02-13 2013-01-09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JP5231277B2 (ja) * 2009-02-12 2013-07-10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
JP5388765B2 (ja) * 2009-09-01 2014-01-15 キヤノン株式会社 眼底カメラ
JP2011069963A (ja) * 2009-09-25 2011-04-07 Sony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観察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US9152015B2 (en) * 2010-02-22 2015-10-06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US8760567B2 (en) * 2010-12-21 2014-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to reduce auto-focus time
JP5963550B2 (ja) * 2012-06-05 2016-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14122957A (ja) * 2012-12-20 2014-07-03 Canon Inc 撮像装置
US9473688B2 (en) 2012-12-20 2016-10-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imaging sensors and image processing units
JP6555857B2 (ja) * 2013-10-11 2019-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654680B2 (en) 2013-10-17 2017-05-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L3005678T3 (pl) * 2014-02-18 2021-06-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posób uzyskiwania obrazu i układ wielokamerowy
JP6219214B2 (ja) 2014-03-31 2017-10-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細胞撮像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8799A (en) * 1991-03-12 1993-11-02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Auto focus camera with pseudo focal length mode
US5751354A (en) * 1994-04-28 1998-05-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exposure performed based on focus evaluation values
US5668597A (en) * 1994-12-30 1997-09-16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camera with rapid automatic focus of an image upon a progressive scan image sensor
KR980013281A (ko) * 1996-07-20 1998-04-30 구자홍 디지탈 카메라의 디포커싱 촬영 방지장치
JP2001296470A (ja) * 2000-04-14 2001-10-26 Hitachi Ltd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3101867A (ja) * 2001-09-19 2003-04-04 Olympus Optical Co Ltd 撮像装置
JP4059704B2 (ja) 2002-05-10 2008-03-12 三洋電機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
JP2004023452A (ja) * 2002-06-17 2004-01-22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カメラ
JP3779247B2 (ja) * 2002-08-08 2006-05-24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
JP4127491B2 (ja) * 2002-08-09 2008-07-30 株式会社リコー オートフォーカス機能付きカメラ
JP2004120015A (ja) * 2002-09-20 2004-04-15 Ricoh Co Ltd 撮像装置
JP4196696B2 (ja) 2003-02-25 2008-12-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カメラ、及び電子カメラの起動方法、プログラム
JP4416462B2 (ja) * 2003-09-19 2010-0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自動焦点調節方法、および自動焦点調節カメラ
JP4161865B2 (ja) * 2003-09-29 2008-10-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フォーカス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93089B2 (ja) * 2004-08-05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906B1 (ko) * 2008-03-21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100077764A (ko) * 2008-12-29 201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8693A (zh) 2007-03-14
JP4797522B2 (ja) 2011-10-19
US7733413B2 (en) 2010-06-08
CN100549801C (zh) 2009-10-14
TW200715025A (en) 2007-04-16
TWI333589B (en) 2010-11-21
HK1101717A1 (en) 2007-10-26
US20070052837A1 (en) 2007-03-08
KR100783982B1 (ko) 2007-12-11
JP2007072254A (ja)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982B1 (ko) 촬상장치 및 오토포커스 제어방법
US7834911B2 (en) Imaging device having multiple imaging elements
US7643082B2 (en) Imaging apparatus having an autofocus function
US8416338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CN1856021B (zh) 摄像装置及焦点调节方法
KR100858393B1 (ko) 촬상소자 및 이것을 구동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
US8184192B2 (en) Imaging apparatus that performs an object region detection process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ing apparatus
JP4548156B2 (ja) カメラ装置、カメラ装置の自動焦点制御方法
JP4727534B2 (ja) 撮像装置
JP2007215091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80002667A (ko) 촬상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080112954A (ko) 카메라장치 및 오토포커스 제어방법
KR20070063605A (ko) 촬상 장치 및 자동 초점조정을 위한 제어 방법
US7298411B2 (en) Digital camera
JP5257969B2 (ja) 合焦位置制御装置、及び合焦位置制御方法、合焦位置制御プログラム
JP3955493B2 (ja)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自動焦点調節方法
JP3542312B2 (ja) 電子的撮像装置
JP510529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534250B2 (ja) 動画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5283637A (ja) 撮影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80337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09337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069076B2 (ja) 撮像装置および連続撮像方法
JP4517836B2 (ja) カメラ装置及び連写制御プログラム
JP2006119550A (ja) 自動焦点調節装置およ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