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6158A - 키 시트 및 키 시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키 시트 및 키 시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6158A
KR20070026158A KR1020060083034A KR20060083034A KR20070026158A KR 20070026158 A KR20070026158 A KR 20070026158A KR 1020060083034 A KR1020060083034 A KR 1020060083034A KR 20060083034 A KR20060083034 A KR 20060083034A KR 20070026158 A KR20070026158 A KR 20070026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heet
base sheet
key top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카 나카니시
다이스케 마치다
와타루 아라키
Original Assignee
폴리마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리마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폴리마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26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3Reactive adhesives, e.g. chemically curing adhesives
    • B29C65/4845Radiation curing adhesives, e.g. UV light curing adhes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8Actuators to avoid tilting or skewing of contact area or actu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5Switch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10T428/24331Composite web or sheet including nonapertured component
    • Y10T428/24339Key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키 탑이 베이스 시트에 단단히 고정된 키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실용적이며, 디자인이 뛰어난 신규한 키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32)와, 베이스 시트(32)에 배치된 키 탑(33)을 접착층에 의하여 고착하는 키 시트(31)에 있어서, 키 탑(33) 또는 베이스 시트(32)의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어느 일면에 인쇄에 의해 키 탑(33)의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하고,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상기 대향하는 어느 일면의 타면과 접촉시키면서 경화시켜서, 키 탑(33)과 베이스 시트(32)가 상기 인쇄 접착층(39)에 의해 고착된 키 시트(31)를 제공한다.
키 시트, 키 탑, 휴대 전화, PDA, 내비게이션, 인쇄, 접착

Description

키 시트 및 키 시트의 제조 방법{KEY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도 2에서 나타낸 제1 실시예의 키 시트를 탑재한 휴대 전화기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키 시트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키 시트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키 시트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키 시트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키 시트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키 시트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은 키 시트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는 키 시트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3은, 간극부의 유무에 따라서 베이스 시트가 휘는 상태가 달라짐을 보여주는 키 시트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13의 (a)는 간극부를 가지는 키 시트, 도 13 의 (b)는 간극부를 가지지 않는 키 시트이다.
도 14는 접착층의 유무를 나타낸 키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6에서 나타낸 종래의 키 시트를 탑재한 휴대 전화기의 외관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키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8에서 나타낸 종래의 다른 키 시트를 탑재한 휴대 전화기의 외관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다른 키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나타낸 키 시트의 XIX-XIX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PDA,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 카 오디오 장치 등의 각종 기기의 조작부에 사용되는 키 시트(key sheet)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5에서 나타낸 휴대 전화기(1)에는, 입력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도 16에서 나타낸 키 시트(11)가 사용되고 있다. 이 키 시트(11)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12)에, 경질 수지로 이루어진 합계 21개의 복수의 키 탑(13)을 UV 접착제 등을 적하하여 고착한 것이다. 키 탑(13)을 가압하면 베이스 시트(12)가 휘어, 키 시트(11)의 저면에 위치한 프린트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의 접점 전 극을 가압하여 스위치 입력이 이루어지고, 가압을 해제하면 베이스 시트(12)의 복원력으로 키 탑(13)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와서 스위치 입력이 해제된다.
한편, 최근에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 탑(23) 사이에 경계살(1b, 도 15)이 없는 조작 개구(2a)를 만들어서, 키 탑(23) 상호 간의 간격을 좁게 배치한 도 18에 나타낸 키 시트(21)를 노출시키는 휴대 전화기(2)도 사용되고 있다. 이 키 시트(21)에서는, 휴대 전화기(2)에 경계살(1b, 도 15)이 없기 때문에, 키 시트(21)의 주변만을 이용하여 그 전체를 지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베이스 시트(22)가 고무상 탄성체(22a)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경질 수지나 섬유 보강재 등의 보강재(22b)를 고무상 탄성체(22a) 사이에 형성한 구조이다. 이러한 키 시트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5-6379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휴대 기기의 디자인은 빠르게 변화되며, 더욱 참신한 디자인을 가지는 키 시트를 검토한 결과, 상기 키 시트(11, 21)의 개량형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각 키 탑을 구분하는 경계살에 상당하는 프레임을 가지도록 하고, 휴대 전화기의 경계살이 없는 조작 개구에서, 복수의 키 탑과 함께 프레임도 노출시키는 키 시트를 고안했다. 그런데, 종래 키 시트(11, 21)의 구조를 변형하거나, 그 제조 방법에 의해서는 이러한 개량형 키 시트를 제조할 수 없음을 알게 되었다.
종래의 키 시트(11, 21)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수지 재질의 키 탑(13, 23)의 저면에 UV 경화형 접착제 등의 액상 접착제를 도포하고, 베이스 시트(12, 22)에 키 탑(13, 23)을 점착시켰다. 이 방법에서는, 키 탑(13, 23)으로부터 접착제가 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키 탑(13, 23) 저면의 중앙 부분에만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 때문에, 키 탑(13, 23)의 저면의 전면에 접착제가 널리 퍼지지 않고, 키 탑(13, 23)과 베이스 시트(12, 22) 사이에는 간극이 생긴다. 그리고, 이 간극의 존재로 키 탑이 탈락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이 간극에 대하여 생각해 보면, 종래의 키 시트(11)에서는 키 탑(13)의 주위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장착되는 휴대 전화기(1)에 경계살(1b)이 있기 때문에, 키 탑(13)의 탈락이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키 탑(23, 23)이 서로 틈 사이에 배치된 키 시트(21)에서는, 기기의 케이스에 경계살이 없고, 플랜지도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키 탑과 이를 고착시키는 베이스 시트 사이에 가압 조작하는 손톱이 들어갈 가능성이 있어서, 키 탑(23)이 키 시트(21)로부터 탈락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키 탑 상호 간의 간격이 넓고 프레임이 노출되는 개량형 키 시트에서는, 키 탑(23)이 틈 사이에 배치된 키 시트(21)에 비해, 키 탑과 베이스 시트 사이에 손톱이 들어갈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기 때문에, 키 탑의 탈락이 보다 큰 문제가 된다.
본 발며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 키 시트의 개발 동향을 배경으로 이루어졌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키 탑 등의 고정 부재가 베이스 시트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된 키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용적이며, 디자인이 뛰어난 신규한 형태의 키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 시트에 고착되는 키 탑 등의 소정 부위를 양호한 정밀도로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와, 베이스 시트에 배치되는 키 탑과, 키 탑 또는 베이스 시트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쇄층으로서 형성되고, 키 탑과 베이스 시트에 대하여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접하여 경화체로 되는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을 포함하는 키 시트를 제공한다.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와, 베이스 시트에 배치되는 키 탑과, 키 탑 또는 베이스 시트 중 어느 하나에 인쇄층으로서 형성되고, 키 탑과 베이스 시트에 대하여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접하여 경화체로 되는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을 포함함으로써, 키 탑과 베이스 시트의 고착 위치, 도포 두께를 높은 정밀도로 제어한 인쇄 접착층을 가질 수 있다. 즉, 종래의 예를 들면 키 탑의 저면에 접착제를 적하하여 접착한 경우에 비하여, 접착층의 위치, 면적이 균일하며, 견고하게 고착된 키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종래의 접착층은, 예를 들면 키 탑 저면에 적하한 후, 베이스 시트에 대한 가압에 의해 측방으로 흘러 퍼진 상태로, 즉 부착 면적이 확대된 상태로 경화된다. 예를 들면, 키 탑의 저면 전체에 도포하는 경우, 베이스 시트에 대한 가압에 의해 측방으로 크게 흘러 퍼져, 키 탑의 저면으로부터 밀려나와 경화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저면의 일부에 도포하는 경우, 베이스 시트에 대한 가압에 의해 측방으로 크 게 흘러 퍼져, 부착 면적이 확대되어 경화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인쇄 접착층은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키 탑이나 베이스 시트와 접촉된다. 구체적으로는, 인쇄 후 경화되기 전의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접촉된다. 또는, 인쇄하고 일단 경화된 후에 가열한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접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쇄 접착층은, 종래 기술과 같이 측방으로 크게 흘러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 탑 저면의 전면에 인쇄한 경우, 인쇄 접착층은 키 탑의 저면에서 밀리지 않고, 실질적으로 저면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경화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저면의 일부에 인쇄한 경우, 인쇄 접착층은 그 인쇄 면적으로부터 밀려 나오지 않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으로 경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쇄 접착층은, 키 탑을 가압 변위 가능하도록 부동(浮動) 지지하는 베이스 시트의 가요 부분을 구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쇄 접착층에 의하면, 키 탑의 저면의 전면이나 특정 면적을 접착하는 것과, 키 탑의 가압 조작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시트가 수지 필름이기 때문에,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에 비하여 얇고 휘기 어려운 키 시트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기기에 형성된 하나의 큰 조작 개구로부터 복수의 키 탑과 키 탑 사이의 프레임 부분을 노출시키는 참신한 키 시트이며, 베이스 시트가 잘 변형되지 않는 실용적인 키 시트이다.
상기 키 시트는, 키 탑과 베이스 시트에 나란히 배치된 프레임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 탑과 베이스 시트에 나란히 배치되는 프레임 시트를 구비함으로써, 키 탑과 베이스 시트 사이에 손톱 끝이 잘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 한 키 탑이 빗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키 탑이 극단적으로 뜨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키 탑의 탈락이 생기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 시트의 강도를 보강하고, 키 시트 전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디자인적으로도 참신한 키 시트로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시트는, 키 탑의 측면에 형성되는 간극을 메우는 부재이며, 키 탑끼리는 경계살의 역할을 하고, 기기의 케이스 등 조작 개구와 키 탑 사이에서는 프레임이 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키 탑끼리는 경계살로만 사용되거나 키 탑과 조작 개구 사이의 프레임으로서만 사용되는 것도 프레임 시트에 포함되며, 키 탑 이외의 부분에서 베이스 시트 전체를 덮는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은, 프레임 시트와 베이스 시트를 고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이 키 탑의 저면의 전면에 형성되며, 프레임 시트의 접착층이 키 탑과 인접한 바깥 둘레 측을 제외한 프레임 시트의 저면에 형성된 키 시트로 할 수도 있다.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을 키 탑의 저면의 전면에 형성했기 때문에, 키 탑과 베이스 시트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으며, 키 탑의 탈락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키 탑의 저면의 전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므로, 접착층을 가지는 부분과 가지지 않는 부분의 불균일이 없으며, 키 탑에 대한 가압 조작을 정확한 스위치 입력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조작성이 좋은 키 시트이다. 또한, 이른바 조광식 키 탑으로 한 경우, 키 탑의 저면의 전면에 접착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조광의 얼룩짐이 없고, 균일한 조광이 가능하다.
그리고, 키 탑과 인접한 외부 둘레 측을 제외한 프레임 시트의 저면에 접착 층을 구비하므로, 프레임 시트의 키 탑과 인접한 외부 둘레 측에는 접착층이 없는 간극부가 생기며, 이 부분이 비구속 영역이 된다. 그리고, 이 비구속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키 탑의 확실한 누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즉, 키 탑 주위에 비구속 영역이 있기 때문에, 키 탑을 지지하는 베이스 시트의 간극부 부분만 접착층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 영역이 넓어져서 베이스 시트가 쉽게 휘어진다. 그러므로, 키 탑의 누름 스트로크를 길게 취할 수 있으며, 정확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키 시트가 된다. 또한, 프레임 시트에는 간극부가 생겨도, 프레임 시트의 넓은 부분에서 베이스 시트와 고착되는 것이 가능하며, 프레임 시트의 탈락은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
프레임 시트의 접착층은, 프레임 시트 또는 베이스 시트 중 어느 하나에 인쇄층으로서 형성되고, 프레임 시트와 베이스 시트에 대하여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접하여 경화체로 되는 인쇄 접착층으로 할 수 있다. 프레임 시트의 접착층이 프레임 시트 또는 베이스 시트 중 어느 하나에 인쇄층으로서 형성되고, 프레임 시트와 베이스 시트에 대하여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접하여 경화체로 되는 인쇄 접착층이기 때문에, 프레임 시트 저면의 소정 부위에 정확하게 인쇄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프레임 시트와 베이스 시트의 고착되는 부분, 고착되지 않는 부분을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키 탑과 베이스 시트에 나란히 배치된 인접 키 탑과, 인접 키 탑과 베이스 시트를 고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이 키 탑의 저면의 전면에 형성되며, 인접 키 탑의 접착층이 키 탑과 인접한 외부 둘레 측 을 제외한 인접 키 탑의 저면에 형성된 키 시트로 할 수 있다.
키 탑과 베이스 시트에 나란히 배치되는 인접 키 탑을 포함하며,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을 키 탑의 저면의 전면에 형성했기 때문에, 키 탑과 베이스 시트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고, 키 탑의 탈락이 일어나기 어려운 키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키 탑의 저면의 전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므로, 접착층을 가지는 부분과 가지지 않는 부분이 균일하며, 키 탑에 대한 가압 조작을 정확한 스위치 입력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조작성이 양호하다. 또한, 이른바 조광식 키 탑으로 한 경우, 키 탑의 저면의 전면에 접착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조광 얼룩짐이 없고 균일한 조광이 가능하다.
그리고, 키 탑과 인접한 외부 둘레 측을 제외한 인접 키 탑의 저면에 접착층을 포함함으로써, 인접 키 탑의 키 탑과 인접하는 외부 둘레 측에는 접착층이 없는 간극부를 생기게 할 수 있으며, 이 부분이 비구속 영역이 된다. 그리고, 이 비구속 영역이 형성됨으로써, 키 탑의 확실한 누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즉, 키 탑 주위에 베이스 시트가 인접 키 탑과 고착되지 않는 영역이 증가한 만큼, 베이스 시트가 휘기 쉬워진다. 그러므로, 키 탑의 누름 스트로크를 길게 취할 수 있으며, 정확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키 탑과 인접 키 탑에 있어서는, 인접 키 탑을 키 탑보다 대형 키 탑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로서, 적어도 누름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확정 키 탑과, 상기 확정 키 탑을 둘러싸는 환상 키 탑의 관계를 들 수 있다. 인접 키 탑인 환상 키 탑에 간극부가 생겨도, 환상 키 탑은 대형이기 때문에, 그 넓은 부분에서 베이 스 시트와 고착될 수 있어서, 환상 키 탑의 탈락은 거의 문제되지 않는다.
인접 키 탑의 접착층은, 인접 키 탑 또는 베이스 시트 중 어느 하나에 인쇄층으로서 형성되며, 인접 키 탑과 베이스 시트에 대하여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접하여 경화체로 되는 인쇄 접착층으로 할 수 있다. 인접 키 탑의 접착층이 인접 키 탑 또는 베이스 시트 중 어느 하나에 인쇄층으로서 형성되고, 인접 키 탑과 베이스 시트에 대하여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접하여 경화체로 되는 인쇄 접착층으로 했기 때문에, 인접 키 탑 저면의 소정 부위에 정확하게 인쇄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인접 키 탑과 베이스 시트가 고착되는 부분, 고착되지 않는 부분을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와, 베이스 시트에 배치되는 키 탑과, 베이스 시트와 키 탑 사이에서 키 탑의 측면과 실질적으로 하나의 측면을 형성하여 베이스 시트와 키 탑을 고착하는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을 포함하는 키 시트를 제공한다.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와, 베이스 시트에 배치되는 키 탑과, 베이스 시트와 키 탑 사이에서 키 탑의 측면과 실질적으로 하나의 측면을 형성하여 베이스 시트와 키 탑을 고착하는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을 포함하는 키 시트이기 때문에, 키 탑과 베이스 시트의 경계에 간극이 없고, 키 탑이 베이스 시트에 견고하게 고착된다. 따라서, 키 탑의 저면에 액상의 접착제를 적하하여 베이스 시트에 접착한 종래의 키 시트가 키 탑 저면의 일부에만 접착층을 구비할 수 없으며, 키 탑과 베이스 시트의 경계에 간극이 생기는 데 비하여, 손톱 끝의 걸림 등의 문제가 없으며, 키 탑의 탈락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실질적으로 하나의 측면이란, 본 키 시트에 있어서는 키 탑의 측면에 대하여 인쇄 접착층의 측면이 ±0.5mm 이하의 요철 상태인 것을 말한다.
상기 키 시트는, 키 탑과 베이스 시트에 나란히 배치되는 프레임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 탑과 베이스 시트에 나란히 배치되는 프레임 시트를 포함하므로, 프레임 시트가 없는 경우에 비하면 키 탑과 베이스 시트 사이에 손톱 끝이 들어가기 어렵고, 또한, 키 탑이 극단적으로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키 탑의 탈락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디자인이 참신하며, 베이스 시트의 강도가 보강되어, 기기에 장착된 상태로 키 시트가 전체적으로 잘 휘지 않는다.
상기 키 시트에 있어서, 프레임 시트와 베이스 시트를 고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이 키 탑의 저면의 전면에 형성되며, 프레임 시트의 접착층이 키 탑과 인접한 외부 둘레 측을 제외한 프레임 시트의 저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을 키 탑의 저면의 전면에 키 탑의 측면과 실질적으로 하나의 면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키 탑과 베이스 시트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고, 키 탑이 베이스 시트에 견고하게 고착된다. 그러므로, 키 탑의 탈락이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키 탑의 저면의 전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므로, 접착층을 가지는 부분과 가지지 않는 부분이 균일하고, 키 탑에 대한 가압 조작을 정확한 스위치 입력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이른바 조광식 키 탑으로 한 경우, 키 탑의 저면의 전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므로, 조광 얼룩짐이 발생하지 않는 균일한 조광이 가능하다.
그리고, 프레임 시트의 접착층이 키 탑과 인접한 외부 둘레 측을 제외한 프레임 시트의 저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프레임 시트의 키 탑과 외부 둘레 측에는 접착층이 없는 간극부가 생기며, 이 부분이 비구속 영역이 된다. 이러한 비구속 영역이 형성됨으로써, 키 탑의 확실한 누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즉, 키 탑 주위에 비구속 영역이 있기 때문에, 키 탑을 지지하는 베이스 시트의 간극부 부분만 접착층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 영역이 넓어져서 베이스 시트가 쉽게 휜다. 그러므로, 키 탑의 누름 스트로크를 길게 취할 수 있으며, 정확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시트에는 간극부가 생겨도 프레임 시트의 넓은 부분에서 베이스 시트와 고착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 시트의 탈락은 거의 문제되지 않는다.
또한, 프레임 시트의 접착층을 인쇄 접착층으로 할 수 있다. 프레임 시트의 접착층을 인쇄 접착층으로 함으로써, 프레임 시트 저면의 소정 부위에 정확하게 형성된 인쇄 접착층을 가질 수 있으며, 프레임 시트와 베이스 시트가 고착되는 부분, 고착되지 않는 부분을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 탑과 베이스 시트에 나란히 배치되는 인접 키 탑과, 인접 키 탑과 베이스 시트를 고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은 키 탑의 저면의 전면에 형성하며, 인접 키 탑의 접착층은 키 탑과 인접한 외부 둘레 측을 제외한 인접 키 탑의 저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은 키 탑의 저면의 전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키 탑과 베이스 시트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고, 키 탑의 탈락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키 탑의 저면의 전면에 접착층이 형성됨으로써, 접착층을 가지는 부분과 가지 지 않는 부분이 균일하며, 키 탑에 대한 가압 조작을 정확한 스위치 입력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이른바 조광식 키 탑으로 한 경우, 키 탑의 저면의 전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므로, 조광 얼룩짐이 없고 균일한 조광이 가능하다.
또한, 키 탑과 베이스 시트에 나란히 배치되는 인접 키 탑과, 인접 키 탑과 베이스 시트를 고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인접 키 탑의 접착층은 키 탑과 인접하는 외부 둘레 측을 제외한 인접 키 탑의 저면에 형성됨으로써, 인접 키 탑의 키 탑과의 외부 둘레 측에는 접착층이 없는 간극부를 생기게 할 수 있으며, 이 부분이 비구속 영역이 된다. 이러한 비구속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키 탑의 확실한 누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즉, 키 탑의 주위에 베이스 시트가 인접 키 탑과 고착되지 않는 영역이 증가한 만큼 베이스 시트가 쉽게 휜다. 그러므로, 키 탑의 누름 스트로크를 길게 취할 수 있으며, 정확한 키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키 탑과 인접 키 탑에 있어서는, 인접 키 탑을 키 탑보다 대형 키 탑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로서는, 적어도 누름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확정 키 탑과, 상기 확정 키 탑을 둘러싸는 환상 키 탑과의 관계를 들 수 있다. 인접 키 탑인 환상 키 탑에 간극부가 생겨도, 환상 키 탑이 대형이므로, 넓은 부분에서 베이스 시트와 고착할 수 있으며, 환상 키 탑의 탈락은 거의 문제되지 않는다.
또, 인접 키 탑의 접착층을 인쇄 접착층으로 할 수 있다. 인접 키 탑의 접착층을 인쇄 접착층으로 함으로써, 인접 키 탑 저면의 소정 부위에 정확하게 형성된 인쇄 접착층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인접 키 탑과 베이스 시트가 고착되는 부분과 고착되지 않는 부분을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키 시트에 있어서는, 키 탑과 프레임 시트 또는 인접 키 탑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하나의 조작면을 형성할 수 있다. 키 탑과 프레임 시트 또는 인접 키 탑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하나의 조작면을 형성함으로써, 키 탑이나 프레임 시트, 인접 키 탑이 측방에서 가압되기 어렵고, 이들 부분이 쉽게 탈락하지 않는다.
상술한 키 시트에 관한 발명 이외에, 하기 키 시트 제조 방법에 관한 발명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베이스 시트와 베이스 시트에 배치되는 키 탑을 접착층에 의해 고착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키 탑이나 베이스 시트 중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어느 일면에 인쇄에 의해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을 형성하고,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상기 대향하는 어느 일면의 타면과 접촉시키는 동시에 경화시켜, 키 탑과 베이스 시트를 고착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이다.
키 탑이나 베이스 시트 중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어느 일면에 인쇄에 의해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키 탑과 베이스 시트의 크기나 재질, 접착 부분 등을 고려하여 인쇄면을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인쇄에 의해 형성하기 때문에, 키 탑과 베이스 시트의 고착 위치가 되는 인쇄 부분의 개수, 도포량을 양호한 정밀도로 제어하여 인쇄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인쇄 접착층은, 인쇄 후 고형 상태로 한 후 가열, 가압에 의해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접착할 수 있으며, 인쇄 후 잉크의 고체화 전의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접착할 수도 있다. 특히, 인쇄 후 접착 전에 고형 상태로 하는 경우는, 잉크가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접착 위치를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키 탑과 베이스 시트를 접촉시켜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위치 조정 작업이 용이하고, 위치 조정시나 가 압시 접착층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후속 공정의 가열, 가압시에 가열, 가압 부분의 선택에 의해 접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상기 대향하는 어느 일면의 타면과 접촉시켜 경화시키기 때문에, 인쇄 접착층의 부피 변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에서 높은 정밀도로 접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예를 들면 키 탑의 저면에 접착제를 적하하여 접착하는 방법에 비하면, 접착제를 도포하는 부분, 도포량, 형성된 접착층의 형상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접착제를 적하하여 액상인 상태로 키 탑과 베이스 시트를 고착함으로써, 적하 위치의 불균일이나, 적하 후 고착 부분의 면적도 변하기 쉬운 결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시트가 수지 필름이기 때문에, 인쇄 접착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인쇄가 용이하고, 가열, 가압하여 인쇄 접착층을 고착시키는 경우에는 가열, 가압시의 열전달, 압력 전달이 정확하게 행해진다. 또한, 변형이나 변성이 생기기 어렵고, 키 시트의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시트와 베이스 시트에 배치되는 키 탑과, 키 탑과 베이스 시트에 나란히 배치되는 프레임 시트를 포함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키 탑이나 베이스 시트 중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어느 일면의 전면에 인쇄에 의해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을 형성하고,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상기 대향하는 어느 일면의 타면과 접촉시켜 경화하여, 키 탑을 베이스 시트에 고착하면서 키 탑과 인접하는 외부 둘레 측을 제외한 프레임 시트의 저면을 베이스 시트에 고착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키 탑이나 베이스 시트 중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어느 일면의 전면에 인쇄에 의해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을 형성하고,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상기 대향하는 어느 일면의 타면과 접촉시켜 경화하여 키 탑을 베이스 시트에 고착함으로써, 키 탑과 베이스 시트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고, 키 탑의 탈락이 일어나기 어려운 키 시트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키 탑과 인접하는 외부 둘레 측을 제외한 프레임 시트의 저면을 베이스 시트에 고착했기 때문에 프레임 시트의 키 탑과의 외부 둘레 측에는 접착층이 없는 소정의 크기, 형상의 간극부를 생기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키 탑의 누름 조작이 가능한 키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시트와, 베이스 시트에 배치되는 키 탑과, 키 탑과 베이스 시트에 나란히 배치되는 인접 키 탑을 포함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키 탑이나 베이스 시트 중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어느 일면의 전면에 인쇄에 의해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을 형성하고,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상기 대향하는 어느 일면의 타면과 접촉시켜 경화하여 키 탑을 베이스 시트에 고착하면서 키 탑과 인접하는 외부 둘레 측을 제외한 인접 키 탑의 저면을 베이스 시트에 고착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키 탑이나 베이스 시트 중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어느 일면의 전면에 인쇄에 의해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을 형성하고,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상기 대향하는 어느 일면의 타면과 접촉시켜 경화하여 키 탑을 베이스 시트에 고착함으로써, 키 탑과 베이스 시트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고, 키 탑이 쉽게 탈락하지 않는다. 그리고, 키 탑과 인접한 외부 둘레 측을 제외한 인접 키 탑의 저면을 베이스 시트에 고착했기 때문에, 인접 키 탑의 키 탑과의 외부 둘레 측에는 접착층이 없는 소정의 크기, 형상의 간극부를 생기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키 탑의 누름 조작이 가능한 키 시트를 얻을 수 있다.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의 전면 또는 일부를 가열함으로써, 인쇄 접착층을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할 수 있다. 키 탑의 인쇄 접착층의 전면 또는 일부를 가열했기 때문에, 피착체에 접착되지 않는 고형 상태의 인쇄 접착층에서는, 피착체에 접착할 수 있는 상태로 둘 수 있다. 또한, 인쇄 접착층을 형성한 후에도, 실제로 고착시키는 부분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 시트의 저면의 전면에 접착층을 인쇄로 형성한 후, 프레임 시트의 일부를 가열함으로써, 프레임 시트가 가열되지 않은 부분을 베이스 시트와 프레임 시트가 고착되지 않는 비구속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베이스 시트의 재질, 두께 등에 따라 베이스 시트가 휘기 어려운 재질의 경우, 비구속 영역을 넓게 하는 등의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인쇄 접착층의 유무에 관계없이, 키 탑이나 프레임 시트 등과 베이스 시트의 접착 부분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이들이 접착되지 않는 비구속 영역에 마스킹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마스킹층을 형성함으로써, 키 탑이나 프레임 시트 등과 베이스 시트의 접착 부분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인쇄 접착층을 형성하는 인쇄 공정에서 용제 희석형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용제 희석형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가열에 의해 용융 또는 연화하는 수지를 용제 희석형 잉크로서 인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착층을 적정 위치에 적정량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용제 희석형 잉크로부터 용제가 증발하면 고형 상태로 인쇄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액상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접착층의 확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위치에 인쇄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 시트에 의하면,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 상에 키 탑과 프레임 시트를 가지는 키 시트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시트의 휨 발생이나, 키 탑이 쉽게 탈락되지 않는 것 이외에도, 키 탑의 누름 조작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고, 휴대 전화기와 같은 기기의 케이스에 경계살이 없는 조작 개구로부터, 키 탑뿐 아니라 프레임 시트도 노출시키는 디자인을 구현하는 박형의 키 시트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키 시트 위의 원하는 위치에서, 키 탑이나 프레임 시트, 인접 키 탑을 베이스 시트에 접착할 수 있으며, 키 탑 등과의 접착 강도가 높고, 쉽게 탈락되지 않는 키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키 탑의 누름 조작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은 상기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 장점, 특징, 및 용도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하기 설명에 의해 더욱 명백해 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의 적당한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의 참조 부호는 부분이나 부품을 가리킨다. 키 시트(31)는, 도 1에서 나타낸 휴대 전화기(3)에, 큰 조작 개구(3a)로부터 노출되어서 사용되며, 도 2에서 나타낸 평면 형상이다. 즉,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32) 상에 복수의 키 탑(33), 즉, 5행 3열로 배치된 중형 키 탑(34), 중앙 상방에 형성된 환형(環形) 확정 키 탑(35), 확정 키 탑(35)을 둘러싸는 환상 키 탑(36), 환상 키 탑(36)의 단부에 형성된 4개의 세로형 키 탑(37)을 가지며, 또한, 이들 키 탑(33, 34, 36, 37)을 나누는 프레임 시트(38)를 구비하며, 도 3이나 도 4에 나타낸 단면에서 알 수 있듯이, 키 탑(33)과 프레임 시트(38)가 인쇄 접착층(39)을 개재시켜서 베이스 시트(32)에 고착된 것이다.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중형 키 탑(34)과 베이스 시트(32) 사이에 존재하는 중형 키 탑(34)의 인쇄 접착층(39a)에서는, 중형 키 탑(34)의 저면(34a)의 전면에 설치되며, 중형 키 탑(34)의 측면(34b)을 따라서 하나의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 시트(38)와 베이스 시트(32) 사이에 설치된 프레임 시트(38)의 인쇄 접착층(39b)은, 프레임 시트(38)의 중형 키 탑(34)과 인접한 바깥 둘레(38a)까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프레임 시트(38)의 중형 키 탑(34)과 인접한 바깥 둘레(38a)에는 인쇄 접착층(39)이 없고, 프레임 시트(38)와 베이스 시트(32)가 고착되지 않은 간극부(40)가 생긴다. 그리고, 이 간극부(40)가 베이스 시트(32)가 프레임 시트(38)에 구속되지 않는 비구속 영역이 된다. 세로형 키 탑(37)과 베이스 시트(32)의 접착도 중형 키 탑(34)과 베이스 시트(32)의 접착과 동일하게, 세로형 키 탑(37)의 저면(37a)의 전면에 세로형 키 탑(37)의 인쇄 접착층(39c)이 형성되어 베이스 시트(32)와 고착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확정 키 탑(35)과 베이스 시트(32) 사이에서도, 확정 키 탑(35)의 인쇄 접착층(39d)이 확정 키 탑(35)의 저면(35a)의 전면에 형성되고, 확정 키 탑(35)의 측면(53b)과 실질적으로 하나의 측면을 형성한다. 한편, 확정 키 탑(35)의 인접 키 탑인 환상 키 탑(36)은, 환상 키 탑(36)과 베이스 시트(32) 사이에도 환상 키 탑(36)의 인쇄 접착층(39e)이 형성되어 있으나, 확정 키 탑(35)과 인접한 환상 키 탑(36)의 바깥 둘레(36a) 부분까지는 인쇄 접착층(39e)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확정 키 탑(35)과 인접한 환상 키 탑(36)의 바깥 둘레(36a) 측에는 인쇄 접착층(39e)이 없고, 환상 키 탑(36)과 베이스 시트(32)가 고착되지 않는 간극부(40)가 생기는 비구속 영역이 된다.
중형 키 탑(34), 확정 키 탑(35), 환상 키 탑(36), 세로형 키 탑(37)의 각 키 탑(33) 모두에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등의 경질 수지가 사용되지만,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BS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PBT 수지나 이들 알로이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키 탑(33)에는 문자나 기호, 도형 등을 나타낸 표시부(41)가 형성될 수도 있다. 키 탑(33)의 두께는 박형화를 위하여 0.2mm∼0.6mm정도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0.4mm 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 시트(38)는, 베이스 시트(32)와 함께 키 시트(31)의 형상을 유지하고, 키 탑(33)이 극단적으로 뜨는 것을 방지하며, 키 탑(33)의 성형 자국을 숨기고, 키 탑(33)과 베이스 시트(32)의 접착 부분을 보호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프레임 시트(38)에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스티 렌 필름, 플루오르 필름, 아이오노머(ionomer)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등의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장식 효과를 위해서 착색층을 형성하거나 증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2)의 내부에 설치된 LED 등의 광원으로부터 광을 발하여 문자나 기호 등의 표시부(41)를 조광하는 이른바 조광식 키 시트(31)인 경우에는, 프레임 시트(38)로부터 광이 누출되지 않도록, 차광성 수지 필름을 사용하거나, 차광층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 시트(38)의 두께는 키 탑(33)의 높이와 조화를 이루어야 하므로 0.2mm∼0.5mm 정도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0.3∼0.35mm 정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베이스 시트(32)는, 프레임 시트(38)와 함께 키 시트(31)의 형상을 유지하고, 키 탑(33)을 탑재하는 기부(基部)가 되며, 또한 키 탑(33)이 가압되는 경우에는, 조금 휘어져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접점을 가압한다. 베이스 시트(32)에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플루오르 필름, 아이오노머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등의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조광식 키 시트(31)인 경우에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착색층이나 도광층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시트(32)의 두께는, 박형화를 위하여 150㎛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50㎛ 정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베이스 시트(32)의 키 탑(33)을 가지는 면과 반대 측면은, 대향하는 프린트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형태에 따라, 접점 전극을 가압하는 부분에 가압자와 같은 볼록부를 형성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베이스 시트(32)와 프레임 시트(38)를 비교하면, 모두 수지 필름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소재도 동일한 것으로 할 수 있지만, 베이스 시트(32)의 두께는 프레임 시트(38)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 접착층(39)은, 키 탑(33)이나 프레임 시트(38)와 베이스 시트(32)를 접착하는 접착제층이며,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인쇄 접착층(39)용 잉크에는, 가열에 의해 연화 또는 용융하는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가열에 의해 연화 또는 용융하는 아크릴계, 염화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계 등의 수지, 왁스,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잉크로서의 형태는, 도포시에는 인쇄가 가능할 정도의 유동성을 가지고, 이어서 고형 상태를 유지하며,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용제 희석형 잉크나, 상온에서 고체화 상태의 고형물을 열용융시켜서 액상으로 한 형태의 잉크를 사용할 수 있지만, 키 탑(33) 등 소정의 저면에 양호한 정밀도로 섬세하게 인쇄해야만 하는 인쇄 적정의 관점이나, 용제가 즉시 증발하여 인쇄 직후에 고형 상태가 되어 인쇄된 형상을 유지시키는 관점에서, 용제 희석형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가열, 가압에 의한 접착 공정에서의 인쇄 접착층(39)의 늘어짐,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가열에 의해 용융되는 타입보다는 연화되는 타입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키 시트(31)는 아래와 같이 제조된다. 우선, 형성 몰드에 의해 키 탑(33), 베이스 시트(32), 프레임 시트(38)를 각각의 재료로 형성한다. 이어서, 필요에 따라 착색층이나 증착층(도시하지 않음), 표시부(41)를 형성한다. 그리고, 인쇄 접착층(39)을 스크린 인쇄, 패드 인쇄, 철판 인쇄, 그라비아 인쇄 등에 의해 키 탑(33)이나 프레임 시트(38) 상에 형성한다. 그 후, 베이스 시트(32)와 키 탑(33), 프레임 시트(38)의 위치를 조정하여, 열압착기 등으로 베이스 시트(32) 측에서 소정의 영역을 가열, 가압하고, 베이스 시트(32)와 키 탑(33), 프레임 시트(38)를 접착한다.
인쇄 접착층(39)의 인쇄에서 고착에 이르는 과정에 있어서, 키 탑(33)의 원하는 위치에서 베이스 시트(32)와 고착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각종의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 탑(33)의 저면(33a)의 일부를 베이스 시트(32)와 고착시키기 위해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 탑(33)의 저면(33a)의 전면에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하고, 이어서, 소정의 영역(A1)만큼 가열 가압 도구(43)로 가열, 가압하여, 그 영역만큼 키 탑(33)과 베이스 시트(32)를 고착하는 방법이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 탑(33) 저면(33a)의 접착시키는 영역(A1)에 인쇄 접착층(39)을 미리 형성하는 방법,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 탑(33)의 저면(33a)의 전면에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한 후, 베이스 시트(32)와 고착시키지 않는 영역(B1)에 마스킹층(42)을 인쇄에 의해 형성하고, 키 탑(33)의 저면(33a)의 전면, 또는 마스킹층(42)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A1)만을 가열, 가압하여, 영역(A1)의 부분만큼 키 탑(33)과 베이스 시트(32)를 고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마스킹층(42)도 인쇄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베이스 시트(32)에 접착하기 어려운 재질이나 연화 온도가 높은 재질의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예에서는 키 탑(33) 저면(33a)에만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하였으나, 베이스 시트(32) 측에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 다. 도 8∼도 10의 각 도면에 나타낸 것은, 도 5∼도 7의 각각의 경우에 추가적으로, 다시 베이스 시트(32)에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한 것이다. 베이스 시트(32)의 종류에 따라서는 키 탑(33)에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한 것만으로는 고착되기 어려운 경우도 있으며, 미리 베이스 시트(32)에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함으로써, 키 탑(33)과 베이스 시트(32)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도 11에 나타낸 예와 같이, 베이스 시트(32)의 전면에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 시트(32)의 소정 부위에만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킹층(4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키 탑(33) 측에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하지 않고, 베이스 시트(32) 측에 인쇄 접착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키 탑(33)의 저면(33a)의 전면을 베이스 시트(32)와 고착시키기 위해서는, 키 탑(33)의 저면(33a)의 전면에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하고, 그 전면을 가열, 가압함으로써 행할 수 있으며, 베이스 시트(32)의 소정면에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한 후, 키 탑(33)과 대응하는 부분이나 베이스 시트(32)의 전면을 가열, 가압함으로써 행할 수도 있다.
가열, 가압하는 조건은, 인쇄 접착층(39)으로 사용되는 재료, 인쇄 접착층(39)의 층 두께, 베이스 시트(32)의 막 두께 등에 따라 다르지만, 가압부의 표면 온도가 120℃∼2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170℃이며, 가압 시간이 1초∼2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5초∼10초, 압력은 30kg∼500kg/20∼25cm2, 보다 바람직하게 는 50kg∼300kg/20∼25cm2이다.
이상, 키 탑(33)과 베이스 시트(32)의 고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프레임 시트(38)와 베이스 시트(32)의 고착도 동일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가열, 가압은 베이스 시트(32) 측에서 가열한 것을 나타내었으나, 키 탑(33) 측에서 가열할 수도 있다.
이어서, 이렇게 얻어진 키 시트(31)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중형 키 탑(34)은, 그 저면(34a)의 전면이 인쇄 접착층(39)을 개재하여 베이스 시트(32)에 고착되어 있으며, 중형 키 탑(34)과 베이스 시트(32) 사이에 간극이 없다. 그러므로, 손톱의 끝이 중형 키 탑(34)의 모서리에 걸리지 않으며, 중형 키 탑(34)이 키 시트(3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이들 중형 키 탑(34)에 인접한 프레임 시트(38)의 바깥 둘레(38a)에서는, 프레임 시트(38)와 베이스 시트(32)가 고착되지 않고 간극부(40)가 생겼다. 따라서,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극부(40)를 가지는 키 시트(31)는, 누름 조작시 아래쪽으로의 스트로크를 길게 취할 수 있으며, 필요한 누름 조작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정확한 스위치 입력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비교를 위하여 형성한 도 13의 (b)에 나타낸 간극부를 가지지 않는 키 시트에서는, 아래쪽으로의 누름 스트로크를 길게 취할 수 없다. 또한, 프레임 시트(38)의 간극부(40)에 손톱 등이 들어가도, 프레임 시트(38)는 베이스 시트(32)와 넓은 면적으로 고착되어 있으므로 벗겨져서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중형 키 탑(34)과 마찬가지로, 확정 키 탑(35)은 그 저면(35a)의 전면이 인쇄 접착층(39)을 개재하여 베이스 시트(32)에 고착되어 있으며, 확정 키 탑(35)과 베이스 시트(32) 사이에 간극이 없다. 한편, 이 확정 키 탑(35)과 인접한 환상 키 탑(36)의 바깥 둘레(36a)에서는, 환상 키 탑(36)과 베이스 시트(32)가 고착되지 않고 간극부(40)가 생긴다. 그러므로, 확정 키 탑(35)은 필요한 누름 조작이 가능하며, 정확한 스위치 입력을 행할 수 있다.
특히, 베이스 시트(32)와 프레임 시트(38)의 두께를 비교하여, 베이스 시트(32)가 프레임 시트(38)보다 얇은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베이스 시트(32)가 키 탑(33)의 누름 조작에 의해 휘기 쉽고, 가벼운 입력 하중으로 입력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두꺼운 프레임 시트(38)는 베이스 시트(32)를 보강하여 키 시트(31) 전체의 성형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담당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키 탑(33)이 얇고, 베이스 시트(32)도 얇은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므로, 키 시트(31) 전체 막 두께를 0.5mm∼1mm 정도로 매우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고무상 탄성체를 사용하지 않고 수지 필름을 사용하므로 소정의 강성이 있으며, 휴대 전화기(3)와 같이 조작 개구(3a)가 크게 형성되어 있어도 키 시트(31)가 쉽게 휘지 않는다. 그러므로, 키 시트가 휠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 예를 들면, 키 탑과 접점 스위치의 위치가 어긋남에 의한 조작 불량, 키 탑마다 가압 스트로크 양이 상이함에 따른 조작성의 악화, 기기의 디자인에 미치는 악영향, 키 탑이 다른 키 탑에 끼이게 되는 일 등이 거의 생기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 탑(33)과 베이스 시트(32)의 접착과, 프레임 시트(38) 와 베이스 시트(32)의 접착 모두 가열에 의해 연화 또는 용융되는 재료로 이루어진 용제 희석형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한 인쇄 접착층으로 하였으나, 환상 키 탑(36)과 베이스 시트(32)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층, 또는 프레임 시트(38)와 베이스 시트(32)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층 등을 인쇄 이외의 도포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으며, UV 경화형 접착제나 순간 접착제의 도포 등에 의해 형성한 단순한 접착층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의 변경예로서, 키 탑의 모양이나 크기, 수, 배치 방법 등은 요구되는 디자인이나 기기의 종류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기(3)에 사용되는 키 시트(31)를 예를 들었으나, 휴대 전화기(3) 이외의 기기, 예를 들면, PDA,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 카 오디오 장치의 조작부로 사용하는 키 시트로 사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세로×가로 = 5mm×10mm의 중형 키 탑(34)을 가지며, 중형 키 탑(34) 사이의 프레임 간격이 2mm인 세로×가로 = 70mm×45mm인 도 2에 나타낸 형태의 키 시트(31)를 각종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했다.
실시예 1(시료 1∼4)
먼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중형 키 탑(34), 확정 키 탑(35), 환상 키 탑(36), 세로형 키 탑(37)을 각각 형성하고, 두께 0.3mm의 PET 필름으로 프레임 시트(38)를 형성하고, 그리고, 하기 표 1에서 나타낸 재료로 베이스 시트(32)를 형성 했다. 이어서, 표 1에서 나타낸 인쇄 접착층(39)용 잉크를 사용하여, 각 키 탑(33)의 저면(33a)에 스크린 인쇄로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했다. 여기에서, 중형 키 탑(34), 확정 키 탑(35)은, 그 저면(35a)의 전면에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했다. 또한, 환상 키 탑(36)은, 확정 키 탑(35)에 인접한 측의 바깥 둘레(36a)에서, 환상 키 탑(36)의 외주로부터 0.5mm까지의 부분을 제외한 저면(36a)의 전면에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했다. 또한, 프레임 시트(38)는, 중형 키 탑(34)에 인접한 측의 바깥 둘레(38a)에서, 프레임 시트(38)의 외주로부터 0.5mm까지의 부분을 제외한 저면(36b)의 전면에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했다.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하지 않은 부분을 도 14에서 사선으로 나타냈다. 이어서, 각종 키 탑(33)과 프레임 시트(38) 및 베이스 시트(32)의 위치를 맞춘 후, 베이스 시트(32) 측에서 베이스 시트(32)의 저면의 전면에 가열 가압 기구(43)로서 열압착기("UP-DOWN 프레스" 상품명; NAVITAS사 제품)를 이용하여 가열, 가압했다. 가열 조건은, 기계 설정 온도를 180℃∼220℃로 하고, 베이스 시트(32)에 직접 접하는 고무 압판의 표면 온도를 140℃∼170℃로 했다. 가해진 압력은 1시트당 100kg∼200kg, 가압 시간은 5초∼10초로 했다. 그리고, 인쇄 접착층(39)이 형성된 부분만이 고착된 시료 1∼시료 4에서 나타낸 키 시트(31)를 얻었다.
[표 1]
베이스 시트 종류 두께 접착층(키 탑측) 종류 두께 마스킹층 종류 두께 압착 방법
시료 1 베이스 시트 A※1 PET 12㎛ 접착층 A 열가소성 잉크 5㎛ 없음 베이스 시트 내부 전면 압착
시료 2 베이스 시트 B 나일론 30㎛ 접착층B 열가소성 잉크 3㎛ 없음 상동
시료 3 베이스 시트 C 우레탄 50㎛ 접착층 C 열경화성 잉크 10㎛ 없음 상동
시료 4 베이스 시트 D※2 OPP 20㎛ 접착층 D 열가소성 잉크 5㎛ 없음 상동
표 1에 있어서, 베이스 시트 A는, 두께 12㎛의 토레이사 제품 "S10"(상품명)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토요방적사 제품 "바이론 300"(상품명))를 3㎛ 도포한 것이며, 베이스 시트 B는, 다이셀화학공업사 제품의 "다이아미드 4100"(상품명), 베이스 시트 C는, 시덤사 제품의 "DUS202"(상품명)이다. 또한, 베이스 시트 D는, 두께 20㎛의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토셀로사 제품 "V-OP"(상품명)이며, 그 표면에는 k코팅 표면 처리(염화비닐리덴 코팅 처리)가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표에서의 베이스 시트 A와 베이스 시트 D에 부여된 ※표는, 이들 시트가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 처리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각 시트의 물성은, 베이스 시트 A는, JIS-K7127에 근거한 연신 강도가 2200kg/cm2, 연신율이 150%, 인장 탄성률이 430kg/mm2, 베이스 시트 B는, ASTM D882-64T에 근거한 연신 강도가 450kg/cm2, 연 신율이 350%, 인장 탄성률 20kg/mm2, 베이스 시트 C는, JIS-K7311에 근거한 연신 강도가 450kg/cm2, 연신율이 550%, 인장 탄성률 80kg/mm2, 베이스 시트 D는, JIS-K7127에 근거한 연신 강도가 1900kg/cm2, 연신율이 100%, 인장 탄성률 200kg/mm2였다.
또한, 표 1에 있어서, 접착층 A는 세이코어드밴스사 제품 "CAV 투명"(상품명), 접착층 B는 세이코어드밴스사 제품 "JT94"(상품명), 접착층 C는, 세이코어드밴스사 제품 "SG740"(상품명)로 주제(主劑, 100)에 대하여 경화제(5)를 혼합한 것, 접착층 D는, 세이코어드밴스사 제품 "JT20"(상품명)을 각각 인쇄 잉크로서 사용했다. 또한, 두께는 인쇄 후의 고형분, 즉 인쇄 접착층(39)의 두께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2(시료 5∼8)
실시예 1에 있어서는, 환상 키 탑(36)과 프레임 시트(38) 저면(38b)의 일부에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환상 키 탑(36)과 프레임 시트(38)의 저면(38b)의 전면에 인쇄 접착층(39)을 인쇄했다. 이어서, 실시예 1에 있어서, 인쇄 접착층(39)용 잉크를 도포하지 않은 부분, 즉, 환상 키 탑(36)과 프레임 시트(38) 각각의 소정의 외주로부터 0.5mm까지의 부분에, 표 2에서 나타낸 마스킹층(42)용 잉크를 인쇄하여 마스킹층(42)을 형성했다. 그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료 5∼시료 8에서 나타낸 키 시트(31)를 얻었다.
[표 2]
베이스시트 종류 두께 접착층(키 탑측) 종류 두께 마스킹층 종류 두께 압착 방법
시료 5 베이스 시트 A※1 PET 12㎛ 접착층 A 열가소성 잉크 5㎛ 마스킹층 A UV 잉크 5㎛ 베이스 시트 내부 전면 압착
시료 6 베이스 시트 B 나일론 30㎛ 접착층 B 열가소성 잉크 3㎛ 마스킹층 B 열가소성 잉크 5㎛ 상동
시료 7 베이스 시트 C 우레탄 50㎛ 접착층 C 열경화성 잉크 10㎛ 마스킹층 C 열경화성 잉크 10㎛ 상동
시료 8 베이스 시트 D※2 OPP 20㎛ 접착층 D 열가소성 잉크 5㎛ 마스킹층 D UV 잉크 10㎛ 상동
표 2에 있어서, 베이스 시트 A∼베이스 시트 D, 접착층 A∼접착층 D는, 표 1과 동일한 것이다. 또한, 마스킹층 A는, 주조화공사 제품 "PP4900"(상품명), 마스킹층 B는 세이코어드밴스사 제품 "HAC"(상품명), 마스킹층 C는 주조화공사 제품 "SP700"(상품명), 마스킹층 D는, 주조화공사 제품 "PP4900"(상품명)이다.
실시예 3(시료 9∼16)
실시예 1,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베이스 시트(32) 측으로부터 베이스 시트(32)의 저면의 전면을 열압착기에 의해 가열, 가압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서의 인쇄 접착층(39)을 형성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만을 가열, 가압했다. 이렇게 하여, 실시예 1, 실시예 2에서의 시료 1∼시료 8과 동일한 원재료, 구성의 시료 9∼시료 19로 나타낸 키 시트(31)를 제조했다.
[표 3]
베이스 시트 종류 두께 접착층(키 탑측) 종류 두께 마스킹층 종류 두께 압착 방법
시료 9 베이스 시트 A※1 PET 12㎛ 접착층 A 열가소성 잉크 5㎛ 없음 베이스 시트 내부 전면 압착
시료 10 베이스 시트 B 나일론 30㎛ 접착층 B 열가소성 잉크 3㎛ 없음 상동
시료 11 베이스 시트 C 우레탄 50㎛ 접착층 C 열경화성 잉크 10㎛ 없음 상동
시료 12 베이스 시트 D※2 OPP 20㎛ 접착층 D 열가소성 잉크 5㎛ 없음 상동
[표 4]
베이스 시트 종류 두께 접착층(키 탑측) 종류 두께 마스킹층 종류 두께 압착 방법
시료 13 베이스 시트 A※1 PET 12㎛ 접착층 A 열가소성 잉크 5㎛ 마스킹층 A UV 잉크 5㎛ 베이스시트 내부 전면 압착
시료 14 베이스 시트 B 나일론 30㎛ 접착층 B 열가소성 잉크 3㎛ 마스킹층 B 열가소성 잉크 5㎛ 상동
시료 15 베이스 시트 C 우레탄 50㎛ 접착층 C 열경화성 잉크 10㎛ 마스킹층 C 열경화성 잉크 10㎛ 상동
시료 16 베이스 시트 D※2 OPP 20㎛ 접착층 D 열가소성 잉크 5㎛ 마스킹층 D UV 잉크 10㎛ 상동
표 3, 표 4에 있어서, 베이스 시트 A∼베이스 시트 D, 접착층 A∼접착층 D, 마스킹층 A∼마스킹층 D는 표 1 또는 표 2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한 것이다.
실시예 4(시료 17∼20)
실시예 1에 있어서, 환상 키 탑(36)과 프레임 시트(38)를 베이스 시트(32)와 고착시키기 위해서도 표 1에 기재된 인쇄 접착층(39)을 사용하였으나, 이를 대신하여 환상 키 탑(36)과 프레임 시트(38)의 베이스 시트(32)에 대한 접착에는, UV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했다. 즉, 환상 키 탑(36)과 프레임 시트(38)를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 이외의 키 탑(33)을 베이스 시트(32)에 고착한 후, 환상 키 탑(36)과 프레임 시트(38)의 적당 부분에 UV 경화형 접착제를 적하하여, 이들 부재를 환상 키 탑(36) 이외의 키 탑(33)이 고착된 베이스 시트(32)에 접착하고, UV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켰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료 17∼시료 20으로 한 키 시트(31)를 얻었다.
시료 1∼시료 20으로 제조된 모든 키 시트(31)는 적당한 강성이 있으며, 휴대 전화기(3)에 탑재하면 문제없이 스위치 입력을 행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설명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그리고 이용은, 도면을 참조로 첨부되는 하기 기재에 의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모든 적절한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용적이며, 디자인이 뛰어난 신규한 형태의 키 시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베이스 시트에 고착되는 키 탑 등의 소정 부위를 양호한 정밀도 로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5)

  1.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32);
    상기 베이스 시트(32)에 배치되는 키 탑(33, 34, 35, 36, 37); 및
    상기 키 탑(33, 34, 35, 36, 37) 또는 상기 베이스 시트(32)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쇄층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키 탑(33, 34, 35, 36, 37)과 상기 베이스 시트(32)에 대하여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접하여 경화체로 되는 상기 키 탑(33, 34, 35, 36, 37)의 인쇄 접착층(39, 39a, 39c, 39d, 39e)
    을 포함하는 키 시트(3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32)에 상기 키 탑(33, 34, 36, 37)과 나란한 형태로 배치되는 프레임 시트(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시트(38)와 상기 베이스 시트(32)를 고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키 탑(33, 34, 35, 37)의 인쇄 접착층(39, 39a, 39c, 39d)은 키 탑(33, 34, 35, 37)의 저면(33a, 34a, 35a, 37a)의 전면(全面)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시트(38)의 접착층은, 상기 키 탑(33, 34, 36, 37)과 인접한 바 깥 둘레(38a) 측을 제외한 프레임 시트(38)의 저면(28b)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시트(38)의 접착층이, 상기 프레임 시트(38) 또는 상기 베이스 시트(32)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쇄층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시트(38)와 상기 베이스 시트(32)에 대하여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접하여 경화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탑(33, 34, 35, 36, 37)과 상기 프레임 시트(38)가 실질적으로 연속된 하나의 조작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32)에 상기 키 탑(33, 35)과 나란한 형태로 배치되는 인접 키 탑(33, 36)과,
    상기 인접 키 탑(33, 36)과 상기 베이스 시트(32)를 고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키 탑(33, 35)의 상기 인쇄 접착층(39, 39d)은 상기 키 탑(33, 35)의 저면(33a, 35a)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인접 키 탑(33, 36)의 접착층은, 상기 키 탑(33, 35)과 인접한 바깥 둘레(36a)를 제외한 인접 키 탑(33, 36)의 저면(36b)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키 탑(33, 36)의 접착층이, 상기 인접 키 탑(33, 36) 또는 상기 베이스 시트(32)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쇄층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인접 키 탑(33, 36)과 상기 베이스 시트(32)에 대하여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접하여 경화체로 되는 인쇄 접착층(39, 39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 탑(33, 35)과 상기 인접 키 탑(33, 36)이 실질적으로 연속된 하나의 조작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
  9.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32);
    상기 베이스 시트(32)에 배치되는 키 탑(33, 34, 35); 및
    상기 베이스 시트(32)와 상기 키 탑(33, 34, 35) 사이에서 상기 키 탑(33, 34, 35)의 측면(34b, 35b)과 실질적으로 하나의 측면을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 시트(32)와 상기 키 탑(33, 34, 35)을 고착하는 상기 키 탑(33, 34, 35)의 인쇄 접착층(39, 39a, 39d)
    을 포함하는 키 시트(31).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32)에 상기 키 탑(33, 34, 35)과 나란한 형태로 배치되는 프레임 시트(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시트(38)와 상기 베이스 시트(32)를 고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키 탑(33, 34, 35)의 인쇄 접착층(39,39a, 39d)이 상기 키 탑(33, 34, 35)의 저면(33a, 34a, 35a)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시트(38)의 접착층이 상기 키 탑(33, 34, 35)과 인접한 바깥 둘레(38a) 측을 제외한 프레임 시트(38)의 저면(38b)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시트(38)의 접착층이 인쇄 접착층(39, 39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 탑(33, 34, 35)과 상기 프레임 시트(38)가 실질적으로 연속된 하나의 조작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32)에 상기 키 탑(33, 35)과 나란한 형태로 배치되는 인접 키 탑(33, 36)과,
    상기 인접 키 탑(33, 36)과 상기 베이스 시트(32)를 고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키 탑(33, 35)의 인쇄 접착층(39, 39d)은 상기 키 탑(33, 35)의 저면(33a, 35a)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인접 키 탑(33, 36)의 접착층은 상기 키 탑(33, 35)과 인접한 바깥 둘레(36a) 측을 제외한 인접 상기 키 탑(33, 36)의 저면(36b)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키 탑(33, 36)의 접착층이 인쇄 접착층(39, 39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키 탑(33, 35)과 상기 인접 키 탑(33, 36)이 실질적으로 연속된 하나의 조작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
  17. 베이스 시트(32)와, 상기 베이스 시트(32)에 배치되는 키 탑(33, 34, 35, 36, 37)을 접착층에 의해 고착하는 키 시트(31)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키 탑(33, 34, 35, 36, 37) 또는 상기 베이스 시트(32)의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어느 일면에 인쇄에 의해 상기 키 탑(33, 34, 35, 36, 37)의 인쇄 접착층(39, 39a, 39c, 39d, 39e)을 형성하는 단계; 및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상기 대향하는 어느 일면의 타면과 접촉시키고 경화시켜서, 상기 키 탑(33, 34, 35, 36, 37)과 상기 베이스 시트(32)를 고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키 시트(31)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키 탑(33, 34, 35, 36, 37)의 인쇄 접착층(39, 39a, 39c, 39d, 39e)의 전면 또는 일부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의 제조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접착층(39, 39a, 39c, 39d, 39e)을 형성하는 인쇄 단계에서, 용제 희석형 잉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의 제조 방법.
  20. 베이스 시트(32)와, 상기 베이스 시트(32)에 배치되는 키 탑(33, 34, 37)과, 상기 베이스 시트(32)에 상기 키 탑(33, 34, 37)과 나란한 형태로 배치되는 프레임 시트(38)를 포함하는 키 시트(31)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키 탑(33, 34, 37) 또는 상기 베이스 시트(32)의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어느 일면의 전면에 인쇄에 의해 상기 키 탑(33, 34, 37)의 인쇄 접착층(39,39a, 39c)을 형성하는 단계; 및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상기 대향하는 일면의 타면과 접촉시켜 경화하고, 상기 키 탑(33, 34, 37)을 상기 베이스 시트(32)에 고착하면서 상기 키 탑(33, 34, 37)과 인접한 바깥 둘레(38a) 측을 제외한 프레임 시트(38)의 저면(38b)을 상기 베이스 시트(32)에 고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키 시트(31)의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키 탑(33, 34, 37)의 인쇄 접착층(39, 39a, 39c)의 전면 또는 일부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의 제조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접착층(39, 39a, 39c)을 형성하는 인쇄 단계에서, 용제 희석형 잉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의 제조 방법.
  23. 베이스 시트(32)와, 상기 베이스 시트(32)에 배치되는 키 탑(33, 35)과, 상 기 베이스 시트(32)에 상기 키 탑(33, 35)과 나란한 형태로 배치하는 인접 키 탑(33, 36)을 포함하는 키 시트(31)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키 탑(33, 35) 또는 상기 베이스 시트(32)의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어느 일면의 전면에 인쇄에 의해 상기 키 탑(33, 35)의 인쇄 접착층(39, 39d)을 형성하는 단계; 및
    연화 또는 용융 상태로 상기 대향하는 어느 일면의 타면과 접촉시켜 경화하고, 상기 키 탑(33, 35)을 상기 베이스 시트(32)에 고착하면서 상기 키 탑(33, 35)과 인접한 바깥 둘레(36a) 측을 제외한 인접 키 탑(33, 36)의 저면(36b)을 베이스 시트(32)에 고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키 시트(31)의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키 탑(33, 35)의 인쇄 접착층(39, 39d)의 전면 또는 일부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의 제조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접착층(39, 39d)을 형성하는 인쇄 단계에서, 용제 희석형 잉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31)의 제조 방법.
KR1020060083034A 2005-09-01 2006-08-30 키 시트 및 키 시트의 제조 방법 KR200700261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54216A JP4256866B2 (ja) 2005-09-01 2005-09-01 キーシート及び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
JPJP-P-2005-00254216 2005-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158A true KR20070026158A (ko) 2007-03-08

Family

ID=3749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034A KR20070026158A (ko) 2005-09-01 2006-08-30 키 시트 및 키 시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21103B2 (ko)
EP (1) EP1760739A2 (ko)
JP (1) JP4256866B2 (ko)
KR (1) KR20070026158A (ko)
CN (1) CN19250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85841A1 (en) * 2001-10-22 2007-04-19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scrolling
US7312785B2 (en) * 2001-10-22 2007-12-25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scrolling
US7333092B2 (en) * 2002-02-25 2008-02-19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US20070152977A1 (en) * 2005-12-30 2007-07-05 Apple Computer, Inc. Illuminated touchpad
US7499040B2 (en) * 2003-08-18 2009-03-03 Apple Inc.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US20060181517A1 (en) * 2005-02-11 2006-08-17 Apple Computer, Inc. Display actuator
US7495659B2 (en) * 2003-11-25 2009-02-24 Apple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US8059099B2 (en) * 2006-06-02 2011-11-15 Apple Inc. Techniques for interactive input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00039390A1 (en) * 2004-05-28 2010-02-18 Yuichi Iohara Key unit with case
WO2006023569A1 (en) * 2004-08-16 2006-03-02 Fingerworks, Inc. A method of increasing the spatial resolution of touch sensitive devices
JP4728771B2 (ja) * 2005-10-24 2011-07-20 サンアロー株式会社 キーシート
KR100979588B1 (ko) * 2005-11-08 2010-09-01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US20070152983A1 (en) * 2005-12-30 2007-07-05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with symbols based on mode
US8022935B2 (en) 2006-07-06 2011-09-20 Apple Inc. Capacitance sensing electrode with integrated I/O mechanism
US9360967B2 (en) * 2006-07-06 2016-06-07 Apple Inc.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device
US8743060B2 (en) 2006-07-06 2014-06-03 Apple Inc.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device
US7795553B2 (en) * 2006-09-11 2010-09-14 Apple Inc. Hybrid button
US20080088597A1 (en) * 2006-10-11 2008-04-17 Apple Inc. Sensor configurations in a user input device
US8274479B2 (en) * 2006-10-11 2012-09-25 Apple Inc. Gimballed scroll wheel
US20080088600A1 (en) * 2006-10-11 2008-04-17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multiple push buttons in a user input device
US8482530B2 (en) * 2006-11-13 2013-07-09 Apple Inc. Method of capacitively sensing finger position
JP2009016315A (ja) 2007-07-09 2009-01-22 Polymatech Co Ltd キーシート
US20090058801A1 (en) * 2007-09-04 2009-03-05 Apple Inc. Fluid motion user interface control
CN201315050Y (zh) * 2007-09-04 2009-09-23 苹果公司 紧凑输入装置
US8683378B2 (en) * 2007-09-04 2014-03-25 Apple Inc. Scrolling techniques for user interfaces
JP2009070665A (ja) * 2007-09-12 2009-04-02 Polymatech Co Ltd キーシート
US20090073130A1 (en) * 2007-09-17 2009-03-19 Apple Inc. Device having cover with integrally formed sensor
TWI352305B (en) * 2007-10-25 2011-11-11 Htc Corp Input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
US8416198B2 (en) 2007-12-03 2013-04-09 Apple Inc. Multi-dimensional scroll wheel
US8125461B2 (en) * 2008-01-11 2012-02-28 Apple Inc. Dynamic input graphic display
US8820133B2 (en) * 2008-02-01 2014-09-02 Apple Inc. Co-extruded materials and methods
US9454256B2 (en) * 2008-03-14 2016-09-27 Apple Inc. Sensor configurations of an input device that are switchable based on mode
US20100058251A1 (en) * 2008-08-27 2010-03-04 Apple Inc. Omnidirectional gesture detection
US20100060568A1 (en) * 2008-09-05 2010-03-11 Apple Inc. Curved surface input device with normalized capacitive sensing
US8816967B2 (en) * 2008-09-25 2014-08-26 Apple Inc. Capacitive sensor having electrodes arranged on the substrate and the flex circuit
JP4402735B1 (ja) * 2008-12-16 2010-01-20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キーシート、遮光性導光シート、押釦スイッチおよび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
US8395590B2 (en) * 2008-12-17 2013-03-12 Apple Inc. Integrated contact switch and touch sensor elements
JP5216611B2 (ja) * 2009-01-27 2013-06-19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用部材、押釦スイッチ用部材の製造方法、キーパネルおよび電子機器
US9354751B2 (en) * 2009-05-15 2016-05-31 Apple Inc. Input device with optimized capacitive sensing
US8872771B2 (en) * 2009-07-07 2014-10-28 Apple Inc. Touch sensing device having conductive nodes
US9267834B2 (en) * 2011-08-09 2016-02-23 Economy Polymers & Chemicals System effective to monitor an amount of chemicals in portable containers
CN109075048A (zh) * 2016-06-30 2018-12-21 琳得科株式会社 半导体加工用片
USD847052S1 (en) * 2017-06-19 2019-04-30 Biraj Ray Portable universal ground control system
TWI702626B (zh) * 2018-03-30 2020-08-21 英屬開曼群島商康而富控股股份有限公司 具有較佳按壓手感的觸控按鍵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5192A (en) * 1993-03-15 1995-12-12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Keytop sheet for push-button switches
JPH0682729U (ja) * 1993-05-10 1994-11-25 ホシデン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
JPH10321082A (ja) * 1997-05-16 1998-12-04 Iwasa Seisakusho:Kk スイッチ構造
JPH11144549A (ja) * 1997-11-11 1999-05-28 Porimatec Kk 硬質樹脂キートップ付キーパッドの製造方法
US6196738B1 (en) * 1998-07-31 2001-03-06 Shin-Etsu Polymer Co., Ltd. Key top element, push button switch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2411632Y (zh) * 1998-10-16 2000-12-20 梅忠 安全手机
KR100342959B1 (ko) * 1998-12-31 2002-07-05 양윤홍 휴대폰용 키패드와 그 제작방법
JP4273551B2 (ja) * 1999-01-14 2009-06-03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08483A (ja) * 2000-06-19 2002-01-11 Shin Etsu Polymer Co Ltd キートップカバー、キートップシート、及び、キートップカバーの製造方法
JP3495696B2 (ja) * 2000-11-08 2004-02-09 株式会社アトライズヨドガワ キート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6958183B2 (en) * 2001-02-20 2005-10-25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Key top plat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278674A (ja) * 2001-03-21 2002-09-27 Polymatech Co Ltd リサイクル性の高いキートップ付キーパッドおよびその分離方法
JP4010355B2 (ja) * 2001-07-16 2007-11-21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用キート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4359812B2 (ja) * 2002-07-08 2009-11-11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一体型筐体およびこれを有する電子機器
JP4234985B2 (ja) * 2002-11-26 2009-03-04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カラーデザイン画像を有する加飾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7262379B2 (en) * 2003-04-11 2007-08-28 Polymatech Co., Ltd. Key sheet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355180B2 (ja) 2003-08-11 2009-10-28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キーシート
JP4165646B2 (ja) * 2003-12-25 2008-10-15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キー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5082A (zh) 2007-03-07
US7321103B2 (en) 2008-01-22
EP1760739A2 (en) 2007-03-07
CN1925082B (zh) 2012-09-05
JP2007066818A (ja) 2007-03-15
US20070045095A1 (en) 2007-03-01
JP4256866B2 (ja)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6158A (ko) 키 시트 및 키 시트의 제조 방법
US7538286B2 (en) Key sheet and pushbutton switch
US818133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ember for a push button switch
JP4592757B2 (ja)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KR20100014939A (ko) 가압 돌기를 구비한 메탈 돔 시트 및 누름 버튼 스위치와 그 제조 방법
JP3102854B2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00122898A1 (en) Key base and key seat
JP4955615B2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32499B2 (ja) キーシート及び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
JP5038969B2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93411B2 (ja)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JP3642715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構造体
JPH11297149A (ja) キートップ部材、キートップシートおよびキートップ部材の製造方法
KR100826970B1 (ko) 컬러 투명 윈도를 갖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플레이트 및윈도 형성방법
JPH11144551A (ja) キートップ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の製造方法
JP4499903B2 (ja) キースイッチ
WO2010061698A1 (ja) 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キーシート
KR100925793B1 (ko) 돔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JP4020732B2 (ja) キートップ付スイッチ用部材とその製造方法
JPH02121815A (ja) 押しボタンパネルの製造方法
JPH0855534A (ja) 押釦スイッチ用キーシー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109987A (ja) 押しボタンおよび押しボタンセットの製造方法
KR100883060B1 (ko) 무기 el 돔시트의 제조방법
KR20090068480A (ko) 키패드 제조방법
JPH10334757A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押圧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