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558A - 유체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558A
KR20070006558A KR1020060059168A KR20060059168A KR20070006558A KR 20070006558 A KR20070006558 A KR 20070006558A KR 1020060059168 A KR1020060059168 A KR 1020060059168A KR 20060059168 A KR20060059168 A KR 20060059168A KR 20070006558 A KR20070006558 A KR 20070006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ow path
heat source
source lamp
fluid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3994B1 (ko
Inventor
미키오 나카시마
오사무 츠다
유지 가미카와
Original Assignee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06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6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24H1/16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helic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45/00Coatings; Surface treatments
    • F28F2245/06Coatings; Surface treatments having particular radiating, reflecting or absorbing features, e.g. for improving heat transfer by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We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가열 유체의 종류나 성질에 관계없이, 가열원인 광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동시에, 간접적으로 피가열 유체에 열전도하여 유체의 가열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할로겐 램프(23)와, 이 할로겐 램프(23)를 포위하는 동시에, 일단에 피가열 유체인 세정액의 유입구(24)를 갖고, 타단에 세정액의 유출구(25)를 갖는 유로관(26)을 구비하는 유체 가열 장치에 있어서, 유로관(26)을 서로 근접 또는 접촉하는 복수의 직선형 관(26a)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직선형 관(26a)의 표면에서 적어도 할로겐 램프(23)와 대향하는 면에 복사광 흡수 도료인 흑색 도료(27)를 도포한다.

Description

유체 가열 장치{FLUID HEA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가열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적용한 세정 처리 시스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가열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1-I선을 따르는 단면도(a) 및 (a)의 Ⅱ부 확대 단면도(b)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가열 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a) 및 (a)의 Ⅲ-Ⅲ선을 따르는 단면도(b)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유체 가열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a) 및 (a)의 Ⅳ부 확대 단면도(b)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가열 장치의 제3 실시형태를 적용한 IPA 건조 처리 시스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a) 및 (a)의 V-V선을 따른 단면도(b)이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의 유체 가열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a) 및 (a)의 Ⅵ부 확대 단면도(b)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20A, 20B : 유체 가열 장치 23 : 할로겐 램프(열원 램프)
24 : 유입구 25 : 유출구
26, 26A, 26B : 유로관 26a : 직선형 관
27 : 흑색 도료(복사광 흡수 도료) 28 : 열전도성 금속 부재
30 : 온도 센서(온도 검출 수단) 40 : 전류 조정기(전류 조정 수단)
50 : CPU(제어 수단) 60 : 광 반사 부재
70, 70A : 나선관
71 : 내장관(내약품성 합성수지제 부재)
72 : 외장관(열전도성 금속 부재)
본 발명은 유체 가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광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피가열 유체를 가열하는 유체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컨대 반도체 웨이퍼 등의 피처리체에 처리 유체를 접촉시켜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처리조 내에 저류(공급)된 약액을 포함하는 소정 온도로 설정된 처리 유체, 예컨대 불화수소(불산)의 희석액(DHF)이나 린스액 등에 침지하여 처리하는 처리 방법이나, 예컨대 이소프로필알콜(IPA)과 질소 가스(N2 가스)의 혼합 유체의 증기를 피처리체에 접촉시키는 IPA 건조 처리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처리 유체 등의 유체를 가열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광에너지를 열원으로 하여 직접 유체를 가열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기술은, 예컨대 석영제의 투명 통 내에 열원 램프를 배치하고, 투명 통을 둘러싸는 통형 용기와 투명 통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를 마련하는 동시에, 내측 공간 안에 이 내측 공간의 거의 전역에 분산된 내측 핀을 구비하여, 열원 램프의 방사열(복사열)에 의해 직접 유체를 가열하는, 소위 직접 가열 방식이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9-210577호 공보(특허청구범위, 도 1)
그러나, 종래 이런 유형의 직접 가열 방식의 것에 있어서는, 열원 램프 부근과 열원 램프로부터 떨어진 부위를 흐르는 피가열 유체와의 사이에 온도차가 생겨, 균일한 가열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IPA와 같은 유기 용제를 가열하는 경우는, 가열 온도에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게 된다. 또, 직접 가열 방식의 것은, 가열원인 열원 램프가 석영제의 투명 통 내에 배치되어 있고, 유체가 흐르는 부분이 석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가열 유체가 불산이면, 불산에 의해서 석영이 용해될 우려가 있으므로, 유체와 접촉하는 부분에 석영을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9-210577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유체의 온도 불균일을 억제하기 위해서, 내측 공간의 거의 전역에 분산된 내측 핀을 유체의 유동 방 향을 따라서 설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더구나, 핀의 선단, 후단에 있어서 유체의 흐름에 변화가 생겨, 가열의 균일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피가열 유체의 종류나 성질에 관계없이, 가열원인 광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동시에, 간접적으로 피가열 유체에 열전도하여 유체의 가열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유체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한 유체 가열 장치는, 열원 램프와, 이 열원 램프를 포위하는 동시에, 일단에 피가열 유체의 유입구를 갖고, 타단에 피가열 유체의 유출구를 갖는 유로관을 구비하는 유체 가열 장치로서, 적어도 상기 열원 램프와 대향하는 유로관의 면에 복사광 흡수 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열원 램프로부터 방사(복사)되는 광에너지를 복사광 흡수 도료가 흡수하고, 흡수한 에너지가 유로관 안을 흐르는 유체에 열전도되어 유체를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유체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을 내약품성의 합성 수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약품을 포함하는 피가열 유체에 대해서도 유로관은 부식되는 일이 없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한 유체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의 표면을 피복하는 열전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동시에, 이 열전도성 부재 상에 상기 복사광 흡수 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복사광 흡수 도료가 흡수한 열에너지가 열전도성 부재를 통해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유로관에 균일하게 열전도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유체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이, 열원 램프의 동심원 상에 배열된 복수의 직선형 관의 군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이들 직선형 관은 열원 램프로부터의 복사광을 바깥쪽으로 새게 하지 않을 정도로 서로 근접하는 쪽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로 접촉하도록 배열하는 쪽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열원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광에너지를 직선형 관에 균일하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유체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이, 열원 램프의 동심원 상에 나선형의 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나선형의 관은 열원 램프로부터의 복사광을 외측으로 새게 하지 않을 정도로 서로 근접하는 쪽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로 접촉하도록 배열하는 쪽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열원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광에너지를 나선형의 관에 균일하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유체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원 램프 및 유로관을 포위하는 통형 용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열원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광에너지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열원 램프 및 유로관이 외부 분위기에 의해서 받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한 유체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형 용기의 내벽면에 배치되는 광 반사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열원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광에너지의 일부를 광 반사 부재로 반사시켜 유로관에 조사하여 열전도할 수 있다.
또,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한 유체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형 용기 중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통형 용기 안을 불활성 가스의 분위기로 치환할 수 있는 동시에, 외부 분위기가 통형 용기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유체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 안을 흐르는 유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과, 상기 열원 램프의 발열량을 조정하는 전류 조정 수단과, 상기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조정 수단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유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유로관 안을 흐르는 유체의 온도를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하여, 그 검출 온도를 제어 수단에 전달하고,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류 조정 수단을 제어하여 열원 램프의 발열량을 조정하는 동시에, 유체의 가열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가열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적용한 세정 처리 시스템의 전체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유체 가열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선을 따르는 단면도(a) 및 (a)의 Ⅱ부 확대 단면도(b)이다.
상기 세정 처리 시스템은, 세정액(L){예컨대, 불산(HF)의 희석액(DHF)이나 린스액(순수) 등}을 저류하는 내조(內槽;11)와, 이 내조(11)의 상부 개구부의 외측을 포위하며, 내조(11)로부터 오버플로우된 세정액(L)을 받아내는 외조(外槽;12)로 이루어지는 세정조(10)와, 내조(11)의 하부에 배치되는 세정액 공급 노즐(14)과, 이 세정액 공급 노즐(14)과 외조(12)의 바닥부에 설치된 배출구(12a)를 접속하는 순환 관로(15)에, 배출구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개재 설치되는 순환 펌프(16), 필터(17) 및 본 발명에 따른 유체 가열 장치(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세정조(10)의 내조(11) 내에는 복수 장, 예컨대 50장의 반도체 웨이퍼(W)(이하 웨이퍼(W)라 함)를 유지하는 웨이퍼 보트(1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조(11)의 바닥부 에는 드레인 밸브를 개재 설치한 드레인관(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외조(12)를 향하여 도시하지 않는 세정액 공급원으로부터 세정액(L)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체 가열 장치(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스테인리스제의 부재로 형성되어, 내벽에 단열재(21)를 고정한 통형 용기(22)와, 이 통형 용기(22) 안의 중심축을 따라서 배치되는 열원 램프, 예컨대 할로겐 램프(23)와, 이 할로겐 램프(23)를 포위하는 동시에, 일단에 세정액(L)의 유입구(24)를 갖고, 타단에 세정액(L)의 유출구(25)를 갖는 유로관(26)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통형 용기(22)의 양 개구 단부는 각각 단열재(21)를 고정한 단 부재(22a, 22b)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다.
이 경우, 유로관(26)은, 할로겐 램프(23)의 동심원 상에 배열되어 서로 접촉하는 복수의 내약품성이 풍부하고, 불산에 의해서 용해되지 않는, 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의 합성수지제의 관 부재로 형성되는 직선형 관(26a)의 군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직선형 관(26a)을, 할로겐 램프(23)로부터의 복사광을 바깥쪽으로 새게 하지 않을 정도로 서로 근접하여 배열하더라도 좋지만, 가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로 접촉하여 배열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로관(26)을 형성하는 각 직선형 관(26a)의 표면에 있어서 적어도 할로겐 램프(23)와 대향하는 면(여기서는 외주 전면)에 복사광 흡수 도료인 흑색 도료(27)가 도장 등에 의해서 칠해져 있다. 이 흑색 도료(27)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관(26)을 구성하는 직선형 관(26a)의 외주면에 피복되는 열전도성 이 풍부한 재료, 예컨대 알루미늄 혹은 스테인리스제의 금속 부재(28)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로관(26)을 형성하는 각 직선형 관(26a)의 표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할로겐 램프(23)와 대향하는 면에 복사광 흡수 도료인 흑색 도료(27)가 칠해짐으로써, 할로겐 램프(23)로부터 방사된 광에너지가 흑색 도료(27)에 흡수되고, 흑색 도료(27)가 흡수한 열에너지가 금속 부재(28)를 통해 유로관(26)을 구성하는 직선형 관(26a)에 균일하게 전달된다.
한편, 유로관(26)의 유입구(24) 및 유출구(25)는, 각각 각 직선형 관(26a)의 단부에 연통하는 중공 도넛형 부재(29a, 29b)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구(24)측의 중공 도넛형 부재(29a)는 통형 용기(22)의 한 쪽 단부측을 관통 삽입하는 순환 관로(15)를 통해 필터(17)측에 접속되고, 유출구(25)측의 중공 도넛형 부재(29b)는 통형 용기(22)의 다른 쪽 단부측을 관통 삽입하는 순환 관로(15)를 통해 세정액 공급 노즐(14)에 접속되고 있다.
또한, 유로관(26)의 유출구(25)측 부근에는, 유체 가열 장치(20)에 의해서 가열되어 유출구(25)로부터 유출되는 세정액(L)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 인 온도 센서(3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할로겐 램프(23)에는, 이 할로겐 램프(23)의 발열량을 조정하는 전류 조정 수단인 전류 조정기(40)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온도 센서(30)와 전류 조정기(40)는 각각 제어 수단인 중앙 연산 처리 장치(50)[이하 CPU(50)라 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온도 센서(30)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가 CPU(50)에 전달되고, CPU(50)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전류 조정기(40) 에 전달되어, 세정액(L)이 소정의 온도, 예컨대 80℃로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 용기(22)의 내벽면에 광 반사 부재(60)를 배치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통형 용기(22)의 내벽면에 통 형상의 광 반사 부재(60)를 배치함으로써, 할로겐 램프(23)로부터 방사되는 광에너지의 일부를 광 반사 부재(60)로 반사시켜 유로관(26)에 조사하여 열전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가열 장치(20)에 따르면, 순환 펌프(16)의 구동에 의해서 내조(11)로부터 오버플로우된 세정액(L)을 순환 관로(15)에 접속하는 유입구(24)를 통해 유로관(26)으로 유동시키는 한편, 할로겐 램프(23)로부터 방사(복사)되는 광에너지가 유로관(26)을 구성하는 복수의 직선형 관(26a)의 각 흑색 도료(27)에 흡수되고, 흑색 도료(27)가 흡수한 열에너지가 금속 부재(28)를 통해 각 직선형 관(26a)에 균일하게 열전도된다. 이에 따라, 세정액(L)은 소정의 처리 온도(80℃)로 가열되어, 세정액 공급 노즐(14)로부터 내조(11) 안의 웨이퍼(W)를 향하여 공급(분사)되어 처리에 쓰이게 된다. 이 때, 유로관(26)으로부터 유출하는 가열된 세정액(L)의 온도가 온도 센서(30)에 의해서 검출되어 CPU(50)에 전달되고, CPU(50)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전류 조정기(40)에 전달되어, 세정액(L)이 소정의 온도, 예컨대 80℃로 제어되기 때문에, 세정액(L)의 온도 제어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가열 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a) 및 (a)의 Ⅲ-Ⅲ을 따른 단면도(b),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유체 가열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a) 및 (a)의 Ⅳ부 확대 단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는, 유로관(26A)을, 할로겐 램프(23)의 동심원 상에서 접촉하는 나선형의 관(70)[이하, 나선관(70)이라 함]으로 형성한 경우이다.
즉, 제2 실시형태의 유체 가열 장치(20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 용기(22)의 중심축부에 설치되는 할로겐 램프(23)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서 할로겐 램프(23)를 포위하는 동시에, 인접한 것끼리 서로 접촉하는 나선형을 이루는 나선관(7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나선관(70)의 일단은 통형 용기(22)의 한 쪽의 단 부재(22a)를 관통하여 유체의 유입구(24)를 형성하고, 타단은 통형 용기(22)의 다른 쪽의 단 부재(22b)를 관통하여 유체의 유출구(25)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나선관(70)을, 할로겐 램프(23)로부터의 복사광을 바깥쪽으로 새게 하지 않을 정도로 서로 근접하여 배열하더라도 좋지만, 가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로 접촉하여 배열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나선관(7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약품성이 풍부하고 불산에 의해서 용해되지 않는, 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의 합성수지제 관 부재로 이루어지는 내장관(71)과, 이 내장관(71)의 외주면에 피복되는 열전도성이 풍부한 재료, 예컨대 알루미늄 혹은 스테인리스제의 관상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외장관(72)의 이중관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나선관(70)은 외장관(72)의 표면에 복사광 흡수 도료인 흑색 도료(27)가 도장 등에 의해서 칠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나선관(70)의 표면에 복사광 흡수용의 흑색 도료(27)를 도장함으로써, 할로겐 램프(23)로부터 방사된 광이 흑색 도료(27)에 흡수되어 열에너지로 변환되고, 열전도성의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외장관(72)을 통해 나선관(70)에 열전도되어 간접적으로 나선관(70) 안을 흐르는 세정액(L)에 균일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열전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유체 가열 장치(20A)에 따르면, 할로겐 램프(23)로부터 방사(복사)되는 광에너지가 유로관(26A)을 구성하는 나선관(70)의 각 흑색 도료(27)에 흡수되고, 흑색 도료(27)가 흡수한 열에너지가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외장관(72)을 통해 내장관(71)에 균일하게 열전도된다. 이에 따라, 세정액(L)은 소정의 처리 온도(80℃)로 가열되어, 세정액 공급 노즐(14)로부터 내조(11) 안의 웨이퍼(W)를 향하여 공급(분사)되어 처리에 쓰이게 된다. 이 때,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나선관(70)으로부터 유출하는 가열된 세정액(L)의 온도가 온도 센서(30)에 의해서 검출되어 CPU(도시하지 않음)에 전달되고, CPU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전류 조정기(도시하지 않음)에 전달되어, 세정액(L)이 소정의 온도, 예컨대 80℃로 제어되기 때문에, 세정액(L)의 온도 제어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 밖의 부분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그 밖의 실시형태>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가열 장치를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 처리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유체 가열 장치는, 반도체 웨이퍼 이외의 피처리체, 예컨대 LCD 기판 등의 피처리체의 세정 처리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그 밖의 처리 유체를 이용한 처리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IPA와 N2 가스의 혼합 유체(피가열 유체)의 증기를 이용한 IPA 건조 처리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IPA 건조 처리 시스템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처리체 인 웨이퍼(W)를 수용하는 처리 용기(80)와, 이 처리 용기(80) 내의 웨이퍼(W)를 향하여 건조용 증기를 공급(분사)하는 증기 공급 노즐(81)과, IPA와 N2 가스의 혼합 유체의 증기를 생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가열 장치(20B)와, IPA와 N2 가스의 혼합 유체 즉 N2 가스 중에 안개 형태의 IPA를 혼합한 혼합 유체를 생성하는 혼합 유체 생성 수단인 2 유체 노즐(8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체 가열 장치(20B)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 용기(22)의 중심축부에 설치되는 할로겐 램프(23)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서 할로겐 램프(23)를 포위하는 동시에, 인접할 것끼리 서로 접촉하는 나선형의 나선관(70A)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나선관(70A)의 일단의 유입구(24)는 2 유체 노즐(82)의 토출구(83)에 혼합 유체 공급 관로(84)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나선관(70A)의 타단의 유출구(25)는 증기 공급 관로(85)를 통해 증기 공급 노즐(81)에 접속되어 있다.
또, 나선관(70A)은 열전도성이 풍부한 스테인리스제의 파이프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에는 복사광 흡수용의 흑색 도료(27)가 도장되어 있다[도 7(b) 참조]. 이와 같이 나선관(70A)의 표면에 복사광 흡수용의 흑색 도료(27)를 도장함으로써, 할로겐 램프(23)로부터 조사된 광이 흑색 도료(27)에 흡수되어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나선관(70A)을 통해 간접적으로 나선관(70A) 안을 흐르는 유체에 균일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가열하여 IPA와 N2 가스의 혼합 유체를 증발시켜 증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통형 용기(22)의 일단측의 측벽에는, N2 가스 공급구(86)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는 N2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N2 가스를 통형 용기(22) 내에 공급함으로써, 통형 용기(22) 안을 N2 가스로 퍼지하는 동시에, 외부 분위기, 예컨대 IPA 분위기가 통형 용기(22)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체 가열 장치(20B)의 안전성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 밖의 부분은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로관(26B)의 표면에 흑색 도료(27)를 도장한 스테인리스제의 나선관(70A)으로 형성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 나선관(70A) 대신에, 표면에 흑색 도료(27)를 도장한 직상의 스테인리스제의 관을 할로겐 램프(23)의 동심원 상에 서로 접촉시켜 배치한 구조로 하여도 좋다.
상기 제3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하나의 유체 가열 장치(20B)에 의해서 증기를 생성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복수의 유체 가열 장치(20B)를 직렬로 접속하여, 증발시키는 기화부와 증발된 유체를 처리 온도까지 승온하는 승온부를 분담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열원 램프에 할로겐 램프(23)를 사용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할로겐 램프(23) 대신에, 예컨대 적외선 램프 등의 열복사식 램프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열원 램프로부터 방사(복사)되는 광에너지를 복사광 흡수 도료가 흡수하고, 흡수한 에너지가 유로관 안을 흐르는 유체에 열전도되어 유체를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피가열 유체의 종류나 성질에 관계없이 피가열 유체를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동시에, 장치의 수명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2)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약품을 함유하는 유체에 대해서도 유로관이 부식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상기 (1)에 더하여, 장치의 수명 증대 및 신뢰성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3)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복사광 흡수 도료가 흡수한 열에너지가 열전도성 부재를 통해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유로관에 균일하게 열전도되기 때문에, 상기 (1), (2)에 더하여, 가열 효율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4) 청구항 4, 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열원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광에너지를 각 직선형 관 또는 나선관에 균일하게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1)∼(3)에 더하여, 가열 효율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5)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열원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광에너지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열원 램프 및 유로관이 외부 분위기에 의해서 받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1)∼(4)에 더하여, 광에너지의 유효 이용을 더욱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장치의 수명 증대 및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6)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열원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광에너지의 일부를 광 반사 부재로 반사시켜 유로관에 조사하여 열전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5)에 더하여, 가열 효율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7)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통형 용기 안을 불활성 가스의 분위기로 치환할 수 있는 동시에, 외부 분위기가 통형 용기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5), (6)에 더하여, 안전성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8)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유로관 안을 흐르는 유체의 온도를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하여, 그 검출 온도를 제어 수단에 전달하고,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류 조정 수단을 제어하여 열원 램프의 발열량을 조정하는 동시에, 유체의 가열 온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1)∼(7)에 더하여, 유체의 온도 제어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장치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9)

  1. 열원 램프와, 이 열원 램프를 포위하는 동시에, 일단에 피가열 유체의 유입구를 갖고, 타단에 피가열 유체의 유출구를 갖는 유로관을 구비하는 유체 가열 장치로서,
    적어도 상기 열원 램프와 대향하는 유로관의 면에 복사광 흡수 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을 내약품성의 합성 수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가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의 표면을 피복하는 열전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동시에, 이 열전도성 부재 상에 상기 복사광 흡수 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가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은 열원 램프의 동심원 상에 배열된 복수의 직선형 관의 군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가열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은 열원 램프의 동심 원 상에 나선형의 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가열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램프 및 유로관을 포위하는 통형 용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가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용기의 내벽면에 배치되는 광 반사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가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용기 중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가열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 안을 흐르는 유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과,
    상기 열원 램프의 발열량을 조정하는 전류 조정 수단과,
    상기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조정 수단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유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가열 장치.
KR1020060059168A 2005-07-08 2006-06-29 유체 가열 장치 KR101123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99899A JP4743495B2 (ja) 2005-07-08 2005-07-08 流体加熱装置
JPJP-P-2005-00199899 2005-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558A true KR20070006558A (ko) 2007-01-11
KR101123994B1 KR101123994B1 (ko) 2012-03-23

Family

ID=3712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168A KR101123994B1 (ko) 2005-07-08 2006-06-29 유체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93625B2 (ko)
EP (1) EP1741995A3 (ko)
JP (1) JP4743495B2 (ko)
KR (1) KR101123994B1 (ko)
CN (1) CN100554760C (ko)
TW (1) TW2007169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831A1 (ko) * 2017-02-22 2018-08-30 이우주 일체형 램프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체 순환형 이중관 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4318A (ja) * 2007-03-28 2008-10-09 Tokyo Electron Ltd 基板搬送部材の洗浄方法、基板搬送装置及び基板処理システム
ITVE20080012U1 (it) * 2008-04-24 2009-10-24 D H E S R L Scambiatore di calore per fluidi.
US8701308B2 (en) 2008-06-02 2014-04-22 Tokyo Electron Limited Fluid heat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fluid heater,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JP5138515B2 (ja) 2008-09-05 2013-02-0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蒸気発生器、蒸気発生方法および基板処理装置
JP5415797B2 (ja) * 2009-03-24 2014-02-12 株式会社Kelk 流体加熱装置
JP2011075145A (ja) * 2009-09-29 2011-04-14 Fuji Heavy Ind Ltd 流体加熱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循環式加熱処理システム
DE102010011702A1 (de) 2010-03-10 2011-09-15 E.G.O. Elektro-Gerätebau GmbH Einrichtung zum Erhitzen von Wasser bzw. Dampf
CN201839457U (zh) * 2010-05-24 2011-05-18 小田(中山)实业有限公司 发热器以及即热式电热水机
JP5307780B2 (ja) * 2010-09-13 2013-10-0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液体加熱ユニット、これを備える液処理装置、および液処理方法
KR101036509B1 (ko) * 2010-09-30 2011-05-24 정광호 탄소히터를 이용한 온수생성장치
JP2012087983A (ja) * 2010-10-19 2012-05-10 Tokyo Electron Ltd 流体加熱装置及び基板処理装置
JP2012189385A (ja) * 2011-03-09 2012-10-04 Fujifilm Corp 放射線画像検出装置の保守方法
DE102011013810B4 (de) * 2011-03-14 2022-03-03 Stiebel Eltron Gmbh & Co. Kg Elektronisch geregelter Durchlauferhitzer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elektronisch geregelten Durchlauferhitzers
US9140466B2 (en) 2012-07-17 2015-09-22 Eemax, Inc. Fluid heating system and instant fluid heating device
US10222091B2 (en) 2012-07-17 2019-03-05 Eemax, Inc. Next generation modular heating system
WO2014098943A1 (en) * 2012-12-21 2014-06-26 Eemax, Inc. Next generation bare wire water heater
JP6244529B2 (ja) * 2013-03-05 2017-12-13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加熱媒体発生装置及び該加熱媒体発生装置を含む加熱処理装置
US10264629B2 (en) * 2013-05-30 2019-04-16 Osram Sylvania Inc. Infrared heat lamp assembly
JP6021767B2 (ja) * 2013-09-04 2016-11-09 日本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液化ガス加温用ヒータ装置
KR101522714B1 (ko) * 2014-01-14 2015-06-17 주식회사 미니맥스 반도체 및 엘씨디 제조 설비용 감압 장치
US9451792B1 (en) * 2014-09-05 2016-09-27 Atmos Natio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aporizing assembly
MX2017008059A (es) 2014-12-17 2018-01-09 Eemax Inc Calentador de agua electrico sin tanque.
US10462950B2 (en) * 2015-05-22 2019-10-29 Fuji Corporation Electronic component bonding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er
CN106288332B (zh) * 2015-06-08 2019-03-22 福建斯狄渢电开水器有限公司 一种即热式加热器
TW201829961A (zh) * 2016-10-25 2018-08-16 伊馬德 馬哈維利 蒸汽產生器及反應器
KR101846509B1 (ko) * 2017-03-29 2018-04-09 (주)앤피에스 열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 장치
JP6961211B2 (ja) * 2017-07-20 2021-11-05 メトロ電気工業株式会社 流体加熱器
JP2020009628A (ja) * 2018-07-09 2020-01-16 有限会社フィンテック 光加熱式ヒータ
JP2020064764A (ja) * 2018-10-17 2020-04-23 シャープ株式会社 流体加熱装置、加熱調理器
JP7190888B2 (ja) * 2018-12-06 2022-12-1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配管加熱装置及び基板処理装置
CA3159200A1 (en) * 2019-11-26 2021-06-03 Nxstage Medical, Inc. Heater devices, methods, and systems
KR102089228B1 (ko) * 2019-12-05 2020-03-13 신영현 조명 온수기
US11705345B2 (en) 2020-04-30 2023-07-18 Edwards Vacuum Llc Semiconductor system with steam generator and reactor
IT202200005471A1 (it) * 2022-03-21 2023-09-21 Rudi Foini Dispositivo di nebulizzazione e metodo di scambio termico abbreviato per vaporizzazione sostanza liquida
WO2023183190A1 (en) * 2022-03-24 2023-09-28 White Knight Fluid Handling Inc. Fluid heate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67122A (en) * 1929-07-03 1930-06-24 Charles G Dean Portable electric water heater
US3546431A (en) * 1969-04-25 1970-12-08 Erich L Gibbs Immersion heat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880701059A (ko) * 1986-02-07 1988-04-22 데이비드 에이. 라파포트 히이터 장치
US5054107A (en) * 1989-05-19 1991-10-01 Geoffrey Batchelder Radiating lamp fluid heating system
JP2749645B2 (ja) * 1989-07-10 1998-05-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信号増幅方式
GB8919700D0 (en) 1989-08-31 1989-10-11 Electricity Council Infra-red radiation emission arrangement
JPH0342637U (ko) * 1989-09-01 1991-04-23
US5127465A (en) * 1990-12-28 1992-07-07 Fischer Industries, Inc. Heat exchanger
JP2583159B2 (ja) * 1991-02-08 1997-02-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流体加熱器
JPH06221677A (ja) * 1993-01-22 1994-08-12 Nishibori Minoru ガス加熱装置
JP3501887B2 (ja) * 1995-09-29 2004-03-02 小松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流体加熱装置
JP3033047B2 (ja) * 1995-11-30 2000-04-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流体の温度制御装置
JPH1024102A (ja) * 1996-07-15 1998-01-27 Meteku:Kk 透析液加温ヒーター
JPH10220909A (ja) 1996-12-03 1998-08-21 Komatsu Ltd 流体温度制御装置
JP2000111155A (ja) * 1998-10-02 2000-04-18 Komatsu Electronics Kk 液体加熱装置
JP3847469B2 (ja) * 1998-10-02 2006-11-22 小松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流体加熱装置
JP2000146298A (ja) * 1998-11-13 2000-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触媒燃焼装置
JP3963610B2 (ja) * 1999-04-20 2007-08-22 三益半導体工業株式会社 液体加熱装置
JP3587249B2 (ja) * 2000-03-30 2004-11-10 東芝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流体加熱装置
JP2002162113A (ja) * 2000-11-24 2002-06-07 Ses Co Ltd 恒温液用昇温装置
WO2003014632A2 (en) 2001-08-03 2003-02-20 Integrated Circuit Development Corporation In-line fluid heating system
JP2003090613A (ja) * 2001-09-18 2003-03-28 Komatsu Electronics Inc 流体加熱装置
JP2003097849A (ja) * 2001-09-25 2003-04-03 Orion Mach Co Ltd 流体加熱装置
JP3936644B2 (ja) * 2002-08-29 2007-06-27 ニチアス株式会社 流体加熱装置
WO2004053400A1 (en) * 2002-12-11 2004-06-24 Thomas Johnston Method device for heating flui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831A1 (ko) * 2017-02-22 2018-08-30 이우주 일체형 램프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체 순환형 이중관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93625B2 (en) 2009-09-22
CN100554760C (zh) 2009-10-28
JP2007017098A (ja) 2007-01-25
EP1741995A3 (en) 2007-08-01
TWI297762B (ko) 2008-06-11
TW200716923A (en) 2007-05-01
KR101123994B1 (ko) 2012-03-23
US20070017502A1 (en) 2007-01-25
EP1741995A2 (en) 2007-01-10
CN1892094A (zh) 2007-01-10
JP4743495B2 (ja)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994B1 (ko) 유체 가열 장치
KR101367701B1 (ko) 액체 가열 유닛, 이것을 포함하는 액처리 장치 및 액처리 방법
JP4738033B2 (ja) 基板処理装置
KR20070006602A (ko) 증기 건조 방법, 그 장치, 증기 처리 장치 및 증기 발생용기록 매체
US20060027571A1 (en) Liquid heating apparatus and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10129854A (ko) 유체 가열 장치
JP2007017097A (ja) 蒸気発生方法、その装置及び蒸気処理装置並びに蒸気発生用記録媒体
US20110262120A1 (en) Liquid heating apparatus and liquid heating method
JP4662352B2 (ja) 蒸気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その記録媒体
JP2008096057A (ja) 液体加熱装置
KR100664338B1 (ko) 액처리장치 및 액처리방법
KR102220163B1 (ko) 온도 검출 장치
JP3901765B2 (ja) マルチ温度制御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が適用された反応処理装置
KR100730378B1 (ko) 반응가스 가열 수단
KR20110080343A (ko) 고온의 약액을 공급하는 장치
KR102220186B1 (ko) 온도 검출 장치
KR20110080340A (ko) 고온의 약액을 공급하는 장치
KR20170026804A (ko) 반도체 공정의 기화용 가열장치
JPH09135776A (ja) 湯沸かし器
JP2000035248A (ja) 薬液加熱装置
JP2009038210A (ja) ベーパー乾燥装置
US20090315197A1 (en) Constant temperature gas/liquid mixture generating system for use in wafer drying process
KR20220063518A (ko) 약액 히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 시스템
KR20190070130A (ko) 초임계유체 공급장치
KR20220048334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