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3608A -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3608A
KR20070003608A KR1020060059003A KR20060059003A KR20070003608A KR 20070003608 A KR20070003608 A KR 20070003608A KR 1020060059003 A KR1020060059003 A KR 1020060059003A KR 20060059003 A KR20060059003 A KR 20060059003A KR 20070003608 A KR20070003608 A KR 20070003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heating
chamber
cooking chamber
induc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8577B1 (ko
Inventor
가쯔하루 마쯔오
마사오 곤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가덴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마케팅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가덴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마케팅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7000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로스트 조리실 내의 배연에 필요한 충분량의 바람을 간단한 구성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하우징(2) 내에는 인버터 회로 및 팬 장치가 수납되어 있다. 이 팬 장치는 인버터 회로의 냉각풍을 생성하는 것으로, 팬 장치의 운전시에는 냉각풍의 일부가 로스트 조리실(32) 내에 배연용으로서 송풍된다. 이로 인해, 로스트 조리실(32) 내에 배연용 바람을 보내는 전용 팬 장치가 불필요해지므로, 배연에 필요한 충분량의 바람을 간단한 구성으로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냉각풍을 풍량 조절실(59)을 통해 로스트 조리실(32) 내에 공급하고 있으므로, 냉각풍의 풍량을 인버터 회로의 냉각에 필요한 높은 레벨로부터 배연에 필요한 낮은 레벨로 억제할 수 있다.
로스트 조리실, 하우징, 인버터 회로, 팬, 풍량 조절실, 냉각풍

Description

가열 조리기{HEATING COOKER}
도1은 시스템 키친에 조립된 본 발명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도1의 실시예의 하우징 내부에 있어서의 팬 케이싱과 인버터 회로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도1의 실시예의 상부판을 제거하여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4는 도1의 실시예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5는 도1의 실시예의 로스트 조리실을 도시하는 단면도로, (a)는 로스트 조리실의 전단부를 도시하는 도면, (b)는 풍량 조정실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6은 도1의 실시예의 하우징 내의 로스트 조리실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좌측 유도 가열 코일(코일)
13 : 우측 유도 가열 코일(코일)
23 : 좌측 인버터 회로(구동 회로)
24 : 우측 인버터 회로(구동 회로)
30 : 팬 장치
31 : 로스터 외측 케이스(가열 조리실)
43 : 도어
47 : 외측 패킹(밀봉 부재)
48 : 내측 패킹(밀봉 부재)
50 : 상부 히터(히터)
51 : 하부 히터(히터)
53 : 배기 덕트(배기 통로)
54 : 배기구
59 : 풍량 조절실
60 : 탈취기
70 : 제어 회로(풍량 제어 수단, 조리 제어 수단)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5-1822호 공보
본 발명은 조리물을 히터(heater)로 가열 조리하는 히터 조리 기능을 구비한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종래의 가열 조리기는 가열 조리실 내에 수납된 생선 등의 조리물을 히터로 가열 조리할 때에 조리물로부터 연기나 증기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 외기류가 가열 조리실 내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빠져나가도록 구성하고, 가열 조리실 내의 연기 등을 외기류에 태워 가열 조리실 밖으로 배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5-1822호 공보
상기 종래의 가열 조리기에서는, 히터 조리시에 가열 조리실 내의 공기를 가열 조리실 내외의 기압차를 이용하여 가열 조리실 밖으로 배출하고, 가열 조리실 외의 공기를 가열 조리실 내외의 기압차를 이용하여 가열 조리실 내로 흡입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가열 조리실 내의 연기 등을 배출하기 위한 충분한 풍량을 얻을 수 없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가열 조리실 내에 외기를 송입하는 팬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고안할 수 있지만, 그 만큼 구성이 복잡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가열 조리실 내의 배연에 필요한 양의 바람을 간단한 구성으로 송입할 수 있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가열 조리기는 가열 조리실과, 상기 가열 조리실 내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 가능한 히터와, 상기 가열 조리실로 외기를 급배기하는 팬 장치와, 상기 팬 장치로부터 급기되는 외기의 풍량을 조절하여 상기 가열 조리실 내로 공급하는 풍량 조절실과, 상기 가열 조리실 내로부터 배기를 행하는 배기구를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시스템 키친(1)의 내부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의 하우징(2)이 수납되어 있다. 이 하우징(2)은 상면 및 전방면이 개방되고, 하우징(2)의 내부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단부에 직사각 형상의 상부 케이스(3)가 고정되어 있다. 이 상부 케이스(3)는 상면이 개방되고, 상부 케이스(3)의 내부 공간은 유도 가열 코일이 수납되는 코일실(4)로서 기능한다. 이 상부 케이스(3)와 하우징(2) 사이에는 후단부에 위치하여 간극(5)이 형성되어 있고, 간극(5)은 상방으로부터 흡배기 커버(cover)(6)에 의해 덮여 있다. 이 흡배기 커버(6)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로 긴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메쉬형을 이루고 있다.
코일실(4) 내에는 중앙 베이스(base)(7)가 고정되어 있고, 중앙 베이스(7)에는 전도 가열 히터(8)가 고정되어 있다. 이 코일실(4) 내에는 좌측 코일 베이스(9) 및 우측 코일 베이스(10)이 더 고정되어 있다. 좌측 코일 베이스(9)에는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이 고정되어 있고,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진 콘덴서(12)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우측 코일 베이스(10)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이 고정되어 있고,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에도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진 콘덴서(14)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시스템 키친(1)의 조리대(15)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의 지지 프레임(16)이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 프레임(16)의 후단부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7)가 형성되어 있고, 흡배기 커버(6)는 개구부(17)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 지지 프레임(16)의 내주부에는 내열 유리(glass)제의 상부판(top-plate)(18)이 고정되어 있다. 이 상부판(18)은 상부 케이스(3)의 상면을 덮고 있다. 상부판(18)의 상면에는 전도 가열 히터(8)에 대향하여 전도 가열 대응의 조리 기구가 적재되고,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 및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에 대향하여 유도 발열하는 조리 기구가 각각에 적재된다.
좌측 코일 베이스(9)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온도 센서(sensor)(19)가 고정되고, 우측 코일 베이스(10)에는 우측 온도 센서(20)가 고정되고, 중앙 베이스(7)에는 중앙 온도 센서(21)(도4 참조)가 고정되어 있다. 좌측 온도 센서(19)의 감온부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의 상방에서 상부판(18)의 하면에 접촉하고, 우측 온도 센서(20)의 감온부는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의 상방에서 상부판(18)의 하면에 접촉하고, 중앙 온도 센서(21)의 감온부는 전도 가열 히터(8)의 상방에서 상부판(18)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고, 좌측 온도 센서(19) 내지 중앙 온도 센서(21)의 3개는 상방의 조리 기구의 표면 온도를 상부판(18)을 거쳐서 간접적으로 검출한다.
하우징(2)의 내부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버터실(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인버터실(22)은 상부 케이스(3)의 하방의 공간부를 일컫는 것이고, 인버터실(22)은 하우징(2)과 상부 케이스(3) 사이의 간극(5)을 거쳐서 외부로 통하고 있다. 이 인버터실(22) 내에는 좌측 인버터 회로(23) 및 우측 인버터 회로(24)가 고정되어 있다. 이들 좌측 인버터 회로(23) 및 우측 인버터 회로(24)는 상하 2단으 로 배열된 것이고,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좌측 인버터 회로(23)는 직류 전원을 고주파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여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에 공급하는 것이고, 우측 인버터 회로(24)는 직류 전원을 고주파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여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에 공급하는 것이고, 좌측 인버터 회로(23) 및 우측 인버터 회로(24)에는 모두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정류 회로를 통해 직류 전원이 부여되어 각각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 및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을 구동한다.
인버터실(22) 내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인버터 회로(23) 및 우측 인버터 회로(24)의 후방에 위치하여 팬 케이싱(fan casing)(25)이 고정되어 있다. 이 팬 케이싱(25)은 소용돌이형의 것으로, 전방으로 지향하는 덕트 형상의 배기구(26) 및 우측방으로 개방되는 관통 구멍 형상의 흡기구(27)를 갖고 있다. 이 팬 케이싱(25)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 모터(fan motor)(28)가 고정되어 있고, 팬 모터(28)의 회전축에는 팬(29)이 고정되어 있다. 이 팬 모터(28)는 권선형의 유도 모터로 구성된 것이며, 팬 모터(28)의 구동시에는 외기가 흡배기 커버(6)로부터 간극(5)을 통해 인버터실(22) 내로 흡입되고, 팬 케이싱(25)의 흡기구(27)로부터 배기구(26)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된다. 이 배기구(26)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의 코일실(4) 및 하방의 인버터실(22)의 양방에 걸쳐지는 것이고, 배기구(26)로부터 토출된 바람의 일부는 코일실(4) 내부를 흐름으로써 전도 가열 히터(8)와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과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을 냉각하고, 덕트(26)로부터 토출 된 잔여 바람은 인버터실(22) 내부를 흐름으로써 좌측 인버터 회로(23) 및 우측 인버터 회로(24)을 냉각한다. 즉, 팬 케이싱(25)과 팬 모터(28)와 팬(29)은 전기 부품의 냉각풍을 생성하는 팬 장치(30)를 구성하고 있다.
하우징(2) 내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버터실(22) 내에 위치하여 로스터(roaster) 외측 케이스(31)가 고정되어 있다. 이 로스터 외측 케이스(31)는 전방면이 개방되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고, 로스터 외측 케이스(31)의 내부 공간은 로스트 조리실(32)로서 기능한다. 이 로스터 외측 케이스(31)는 좌측 인버터 회로(23) 및 우측 인버터 회로(24)의 좌측에 배치된 것이며, 로스터 외측 케이스(31)의 전방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3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전방 프레임(32)은 로스터 외측 케이스(31)에 따르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것이고, 하우징(2)에 고정되어 있다. 이 로스터 외측 케이스(31)의 바닥판과 하우징(2)의 바닥판과의 사이에는 간극 형상의 후방 배연 통로(33)가 형성되어 있고, 팬 케이싱(25)의 배기구(26)로부터 인버터실(22) 내로 토출된 바람의 일부는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배연 통로(33)를 따라 전방으로 흐르고, 팬 케이싱(25)의 배기구(26)로부터 인버터실(22) 내로 토출된 잔여 바람은 하우징(2)의 양 측면의 간극 및 전방면의 간극을 통해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로스터 외측 케이스(31)는 가열 조리실에 상당하는 것이고, 로스터 외측 케이스(31)의 내부에는 로스터 내측 케이스(34)가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이 로스터 내측 케이스(34)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면 및 후방면이 개방되는 사각통 형상을 이루는 것이고, 로스터 내측 케이스(34)의 전단부에는 로스터 내측 케이스(34)를 선회하는 플랜지(flange)(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로스터 내측 케 이스(34)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레일(rail)(36)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레일(36) 상에는 조리 접시(37)가 적재되어 있다. 이 조리 접시(37)는 상면이 개방되는 것이고, 복수의 레일(36)의 상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조리 접시(37)에는 석쇠(38)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석쇠(38)는 조리 접시(37)의 바닥면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는 것이고, 석쇠(38) 상에는 조리물이 적재된다.
조리 접시(37)의 전단부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판 형상의 도어 후방판(39)이 고정되어 있고, 도어 후방판(39)에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도어 프레임(40)이 고정되어 있다. 이 도어 프레임(40)의 내주부에는 유리제의 창(41)이 고정되어 있어, 도어 후방판(39)에는 창(41)의 후방에 위치하여 복수의 관통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도어 후방판(39)과 도어 프레임(40)과 창(41)은 도어(43)를 구성하는 것이며, 조리 접시(37)가 로스트 조리실(32)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43)가 로스트 조리실(32)의 전방면을 폐쇄하는 폐쇄 상태가 된다. 이 도어(43)가 폐쇄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었을 때에는 로스트 조리실(32)의 전방면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가 되고, 도어(43)의 개방 상태에서는 조리 접시(37)가 도어(43)와 일체적으로 로스트 조리실(32) 내로부터 인출된다.
도어(43)의 하단부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로크판(44)이 고정되어 있고, 도어(43)의 폐쇄 상태에서는 로크판(44)이 삽입구(45) 내에 삽입된다. 이 삽입구(45)는 전방 프레임(32)의 하단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일컫는 것이고, 전방 프레임(32)에는 삽입구(45)의 하변부에 위치하여 가이드(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46)는 후방을 향해 상승하는 경사 형상을 이루는 것이고, 도어(43)의 폐쇄 상태에서는 가이드(46)가 로크판(44)에 로크된다.
도어 후방판(39)에는 밀봉(seal) 부재에 상당하는 외측 패킹(packing)(47) 및 내측 패킹(4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외측 패킹(47) 및 내측 패킹(48)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고, 외측 패킹(47)은 도어(43)의 폐쇄 상태에서 전방 프레임(32)에 접촉함으로써 로스트 조리실(32)의 기밀성을 높이고, 내측 패킹(48)은 도어(43)의 폐쇄 상태에서 로스터 내측 케이스(34)의 플랜지(35)에 접촉함으로써 로스트 조리실(32)의 기밀성을 높인다. 이들 외측 패킹(47) 및 내측 패킹(48)은 비환형을 이루는 유단부 형상의 것으로, 도어(43)의 폐쇄 상태에서는 도어 후방판(39)과 전방 프레임(32)이 외측 패킹(47)의 양단부 상호간의 간극에 의해 부분적으로 이격되고, 도어 후방판(39)과 플랜지(35)가 내측 패킹(48)의 양단부 상호간의 간극에 의해 부분적으로 이격된다. 이들 양쪽 간극은 도어(43)의 하단부의 동일 위치에 설정된 것이고, 양쪽 간극을 송풍구(49)라 칭한다.
로스트 조리실(32) 내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로스트 조리 히터(50) 및 하측 로스트 조리 히터(51)가 수납되어 있다. 이들 상측 로스트 조리 히터(50) 및 하측 로스트 조리 히터(51)는 로스터 외측 케이스(31)의 후방판에 고정되어 있고, 로스터 내측 케이스(34)는 상측 로스트 조리 히터(50) 및 하측 로스트 조리 히터(51)를 로스트 조리실(32) 내에 남겨둔 상태에서 로스트 조리실(32)의 전방면을 통해 로스터 외측 케이스(3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 측 로스트 조리 히터(50)는 석쇠(38) 상의 조리물에 상방으로부터 열을 방사하는 것으로, 로스트 조리실(32) 내의 천정부에 배치되어 있다. 하측 로스트 조리 히터(51)는 도어(43)의 폐쇄 상태에서 조리 접시(37)와 석쇠(38)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석쇠(38) 상의 조리물에 하방으로부터 열을 방사한다. 즉, 로스트 조리실(32)은 조리물을 상하 양면으로부터 가열하는 양면 굽기 기능을 갖는 것이고, 로스트 조리실(32) 내에는 로스트 조리실(32)의 분위기 온도를 검출하는 분위기 온도 센서(52)(도4 참조)가 고정되어 있다.
로스터 외측 케이스(31)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통로에 상당하는 배기 덕트(5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기 덕트(53)는 후방을 향해 상승하는 경사 형상을 이루는 것이고, 배기 덕트(53)의 후단부에는 연직인 통 형상의 배기구(54)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배기구(54)는 하우징(2)과 상부 케이스(3) 사이의 간극(5) 내에 삽입된 것이고, 로스트 조리실(32) 내에서 가열 조리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는 로스트 조리실(32)의 내기가 배기 덕트(53) 및 배기구(54)로부터 흡배기 커버(6)를 통해 기기 밖으로 내외의 압력차에 의해 배출된다.
하우징(2)의 바닥판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스트 조리실(32)의 전단부에 위치하여 단차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55)는 하우징(2)의 바닥판 중 잔여 부분에 비해 로스터 외측 케이스(31)의 바닥판에 접근하는 부분을 일컫는 것이고, 단차부(55)와 로스터 외측 케이스(31)의 바닥판과의 사이에는 후방 배연 통로(33)에 비해 높이 방향으로 폭좁은 간극 형상의 전방 배연 통로(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방 배연 통로(56)는 후방 배연 통로(33)로 이어지는 것이고, 단차 부(55)에는 전방 배연 통로(56) 내에 위치하여 복수의 개구부(57)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의 바닥판에는 판 형상의 바닥판 커버(58)가 고정되어 있다. 이 바닥판 커버(58)는 상방의 단차부(55)와 전방의 전방 프레임(32)과 협동하여 공간 형상의 유량 조정실(59)을 형성하는 것이고, 도어(43)의 폐쇄 상태에서는 로크판(44)이 삽입구(45)를 통해 풍량 조절실(59) 내로 삽입된다. 이 풍량 조절실(59)은 복수의 개구부(57)를 입구로 하고, 송풍구(49)를 출구로 하는 것이고, 후방 배연 통로(33) 내부를 전방으로 흐르는 냉각풍은 전방 배연 통로(56) 내부로부터 복수의 개구부(57)를 통해 풍량 조절실(59) 내로 침입한다. 이 냉각풍은 전방 프레임(32)의 삽입구(45)로부터 송풍구(49)를 통해 로스트 조리실(32) 내에 하방으로부터 침입하고, 로스트 조리실(32) 내에서 가열 조리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는 상승 기류를 타고 배기 덕트(duct)(53) 및 배기구(54)로부터 흡배기 커버(6)를 통해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배기 덕트(53) 내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취기(60)가 고정되어 있다. 이 탈취기(60)는 탈취 케이스(61) 내에 팔라듐제의 탈취 촉매(62) 및 촉매 히터(63)를 수납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이고, 로스트 조리실(32)의 내기는 기기 밖으로 배출될 때에 배기 덕트(53) 내에서 탈취 촉매(62)에 접촉한다. 촉매 히터(63)는 탈취 촉매(62)를 가열하는 것이고, 탈취 촉매(62)는 촉매 히터(63)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활성화되어 배기 덕트(53) 내부를 통과하는 내기로부터 악취 성분을 제거한다.
인버터실(22) 내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 기판(printed circuit board)(64)이 상하 3단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단의 프린트 배선 기판(64)에는 좌측 인버터 회로(23)가 탑재되고, 중간단의 프린트 배선 기판(64)에는 우측 인버터 회로(24)가 탑재되고, 하단의 프린트 배선 기판(64)에는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를 주체로 구성된 제어 회로(70)(도4 참조)가 탑재되어 있다. 이 제어 회로(7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Central Processing Unit)(71)와 ROM(Read Only Memory)(72)과 RAM(Random Access Memory)(73)을 갖는 것이고, 좌측 온도 센서(19)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의 상방의 조리 기구의 표면 온도를 검출하고, 우측 온도 센서(20)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의 상방의 조리 기구의 표면 온도를 검출하고, 중앙 온도 센서(21)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전도 가열 히터(8)의 상방에 적재되는 조리 기구의 표면 온도를 검출하고, 분위기 온도 센서(52)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로스트 조리실(32)의 분위기 온도를 검출한다.
제어 회로(70)에는 좌측 인버터 회로(23) 및 우측 인버터 회로(24)가 접속되고 있고, 제어 회로(70)는 좌측 인버터 회로(23)를 스위칭(switching) 제어함으로써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의 가열 출력을 조정하고, 우측 인버터 회로(24)를 스위칭 제어함으로써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의 가열 출력을 조정한다. 이 제어 회로(70)에는 모터 구동 회로(74)가 접속되어 있다. 이 모터 구동 회로(74)는 팬 모터(28)에 구동 전원을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고, 제어 회로(70)는 모터 구동 회로(74)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팬 모터(28)의 회전 속도를 저속도와 중간 속도와 고 속도의 3단계로 조정한다.
제어 회로(70)에는 히터 구동 회로(75) 및 히터 구동 회로(76)가 접속되어 있고, 제어 회로(70)는 히터 구동 회로(75)를 거쳐서 전도 가열 히터(8)를 온 오프(on/off)함으로써 전도 가열 히터(8)의 가열 출력을 조정하고, 히터 구동 회로(76)를 거쳐서 촉매 히터(63)를 온 오프함으로써 탈취 촉매(62)를 설정 온도로 가열한다. 이 제어 회로(70)에는 히터 구동 회로(77) 및 히터 구동 회로(78)가 접속되어 있고, 제어 회로(70)는 히터 구동 회로(77)를 거쳐서 상측 로스트 조리 히터(50)를 온 오프함으로써 상측 로스트 조리 히터(50)의 가열 출력을 조정하고, 히터 구동 회로(78)를 거쳐서 하측 로스트 조리 히터(51)를 온 오프함으로써 하측 로스트 조리 히터(51)의 가열 출력을 조정한다. 즉, 이 제어 회로(70)는 풍량 제어 및 조리 제어를 행한다.
하우징(2)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43)의 우측에 위치하여 조작 패널(79)이 고정되어 있고, 조작 패널(panel)(79)에는 복수의 스위치(switch)(80)가 전방으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스위치(8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회로(70)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 회로(70)는 복수의 스위치(80)의 조작 내용을 기초로 하여 조리 정보의 입력 내용을 검출한다. 이 제어 회로(70)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구동 회로(81)를 거쳐서 액정 표시기(82)가 접속되어 있다. 이 액정 표시기(82)는 조작 패널(79)에 장착된 것이고, 제어 회로(70)는 조리 정보의 검출 결과를 액정 표시기(82)에 표시한다.
제어 회로(70)의 ROM(72)에는 복수의 조리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고, 제어 회로(70)의 CPU(71)는 조리 정보의 검출 결과에 따른 조리 프로그램을 ROM(72)으로부터 검출한다. 그리고, 전도 가열 히터(8)와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과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과 팬 모터(28)와 상측 로스트 조리 히터(50)와 하측 로스트 조리 히터(51)와 촉매 히터(63)를 조리 프로그램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구동 제어함으로써 가열 조리를 자동적으로 행한다. 예를 들어 조리 정보로서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을 사용하는 주전자 조리를 검출하였을 때에는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을 조리 프로그램의 검출 결과에 따른 가열 출력으로 운전하고, 좌측 온도 센서(19)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조리 프로그램(program)의 검출 결과에 따른 주전자 온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함으로써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을 운전 정지한다. 조리 정보로서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을 사용하는 튀김 조리를 검출하였을 때에는 우측 온도 센서(20)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조리 프로그램에 따른 튀김 조리 온도에 수렴하도록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의 가열 출력을 조정한다.
제어 회로(70)의 CPU(71)는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 및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의 적어도 한쪽을 운전하고 있을 때에는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의 가열 출력 및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의 가열 출력의 합계치(W)에 따라서 팬 모터(28)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합계의 가열 출력에 따른 풍량의 냉각풍을 코일실(4) 내 및 인버터실(22) 내로 송풍한다. 예를 들어 합계의 가열 출력이 ROM(72)에 기록된 표준 범위 내일 때에는 팬 모터(28)를 중간 속도로 운전함으로써 중풍량의 냉각풍을 송풍하고, 합계의 가열 출력이 표준 범위를 하회하고 있을 때에는 팬 모터(28)를 저속도로 운전함으로써 저풍량의 냉각풍을 송풍하고, 합계의 가열 출력이 표준 범 위를 상회하고 있을 때에는 팬 모터(28)를 고속도로 운전함으로써 고풍량의 냉각풍을 송풍한다.
제어 회로(70)의 CPU(71)는 조리 정보로서 로스터 조리를 검출하였을 때에는 상측 로스트 조리 히터(50)와 하측 로스트 조리 히터(51)와 촉매 히터(63)의 3개를 설정 시간(T)이 경과할 때까지 운전한다. 이 로스터 조리에서는 CPU(71)는 상측 로스트 조리 히터(50) 및 하측 로스트 조리 히터(51)를 개별적으로 온 오프 제어하고, 분위기 온도 센서(52)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조리 프로그램에 따른 굽기 온도에 수렴시킨다. 이 로스터 조리를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 및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의 양방을 사용하지 않고 단독으로 행할 때에는 팬 모터(28)를 일정한 중간 속도로 운전하고, 로스트 조리실(32) 내에 중풍량의 바람을 배연풍으로서 강제적으로 송풍한다.
로스터 조리가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 및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의 적어도 한쪽 운전 상태에서 행해지고 있을 때에는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의 가열 출력 및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의 가열 출력의 합계치(W)에 따라서 팬 모터(28)의 회전 속도가 제어되므로, 팬 모터(28)의 회전 속도의 변화에 연동하여 로스트 조리실(32)에 대한 냉각풍의 송풍량이 변화된다. 이 경우에는 제어 회로(70)의 CPU(71)는 판 모터(28)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조리 시간의 설정 결과를 보정한다. 예를 들어 팬 모터(28)가 저속도로 운전될 때에는 조리 시간의 설정 결과에 보정치(k1 < 1)를 곱함으로써 조리 시간을 단축하고, 팬 모터(28)가 고속도로 운전될 때에는 조리 시간의 설정 결과에 보정치(k2)(k2 > 1)를 곱함으로써 조리 시간을 연장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좌측 인버터 회로(23) 및 우측 인버터 회로(24)를 냉각하는 팬 장치(30)로부터 로스트 조리실(32) 내에 냉각풍의 일부를 배연용으로서 강제적으로 보냈다. 이로 인해, 로스트 조리실(32) 내에 배연용 바람을 보내는 전용 팬 장치가 불필요해지므로, 배연에 필요한 충분량의 바람을 간단한 구성으로 생성할 수 있다. 게다가, 냉각풍의 일부를 풍량 조절실(59)을 통해 로스트 조리실(32) 내에 공급하였으므로, 냉각풍의 풍량을 좌측 인버터 회로(23) 및 우측 인버터 회로(24)의 냉각에 필요한 높은 레벨로부터 연기의 배출에 필요한 낮은 레벨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로스트 조리실(32) 내에 좌측 인버터 회로(23) 및 우측 인버터 회로(24)의 냉각풍을 배연용으로서 그대로 흐르게 하는 영향으로 로스트 조리실(32)의 분위기 온도가 과도하게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어(43)의 폐쇄 상태에서 외측 패킹(47)을 전방 프레임(32)에 접촉시키고, 내측 패킹(48)을 로스터 내측 케이스(34)의 플랜지(35)에 접촉시킴으로써 로스트 조리실(32) 및 도어(43) 사이의 간극을 막았으므로, 로스터 조리시에 배연용 냉각풍이 도어(43)와 로스트 조리실(32) 사이로부터 배출되지 않고 배기구(54)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이로 인해, 로스트 조리실(32) 내부를 배연용 냉각풍이 원활하게 통과하게 되므로, 로스트 조리실(32)의 배연 성능이 높아진다.
풍량 조절실(59)로부터 송풍구(49)를 통해 로스트 조리실(32) 내에 하방으로부터 냉각풍을 공급하였으므로, 로스터 조리시에 배연용 냉각풍이 상승 기류로 배 기구(54)로부터 확실하게 배출되게 된다. 이로 인해, 로스트 조리실(32) 내부를 배연용 냉각풍이 원활하게 통과하게 되므로, 로스트 조리실(32)의 배연 성능이 높아진다.
배기 덕트(53) 내에 탈취기(60)를 설치하였으므로, 기기 밖으로 연기를 탈취하여 배출할 수 있다. 게다가, 팬 장치(30)로부터 로스트 조리실(32) 내에 배연용 냉각풍을 강제적으로 보내고 있으므로, 배기 덕트(53) 내에 큰 통기 저항으로서 탈취기(60)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배연용 냉각풍을 원활하게 흐르게 할 수 있다.
제어 회로(70)가 팬 장치(30)를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의 가열 출력 및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의 가열 출력에 따른 회전 속도로 운전하고 있을 때에는 상측 로스트 조리 히터(50)의 운전 시간 및 하측 로스트 조리 히터(51)의 운전 시간을 팬 장치(30)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가감하고, 로스터 조리 시간을 조정하였다. 이로 인해, 로스터 조리 시간이 배연용 냉각풍의 풍량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조정되게 되므로, 조리물을 냉각풍의 풍량에 관계없이 안정된 조리 상태로 마무리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스터 조리가 좌측 유도 가열 코일(11) 및 우측 유도 가열 코일(13) 중 적어도 한쪽의 운전 상태로 행해지고 있을 때에는 팬 모터(28)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로스터 조리의 조리 시간을 보정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로스트 조리실(32)의 분위기 온도를 팬 모터(28)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보정해도 좋다. 요컨대 팬 모터(28)의 운전 내용에 따라서 상측 로스트 조리 히터(50)의 운전 내용 및 하측 로스트 조리 히터(51)의 운전 내용 을 보정하면 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측 패킹(47) 및 내측 패킹(48)을 로스트 조리실(32)측에 설치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도어(43)측에 설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스트 조리실(32)과 도어(43) 사이를 외측 패킹(47) 및 내측 패킹(48)을 사용해서 2중으로 밀봉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외측 패킹(47) 및 내측 패킹(48)의 한쪽을 사용해서 밀봉해도 좋다.
전기 부품을 냉각하는 팬 장치로부터 가열 조리실 내에 냉각풍의 일부를 배연용으로서 강제적으로 보내고 있다. 이로 인해, 가열 조리실 내에 배연용 바람을 보내는 전용 팬 장치가 불필요해지므로, 배연에 필요한 충분량의 바람을 간단한 구성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냉각풍의 풍량을 풍량 조절실에서 조절하여 가열 조리실 내에 공급하고 있으므로, 냉각풍의 풍량을 전기 부품의 냉각에 필요한 높은 레벨(level)의 풍량으로부터 연기의 배출에 필요한 낮은 레벨의 풍량에 걸쳐서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조리실 내에 전기 부품의 냉각을 행하는 대량의 냉각풍을 배연용으로서 흐르게 하여 가열 조리실 내의 온도가 과도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가열 조리실과,
    상기 가열 조리실 내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 가능한 히터와,
    상기 가열 조리실로 외기를 급배기하는 팬 장치와,
    상기 팬 장치로부터 급기되는 외기의 풍량을 조절하여 상기 가열 조리실 내로 공급하는 풍량 조절실과,
    상기 가열 조리실 내로부터 배기를 행하는 배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유도 발열하는 조리 기구를 유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코일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팬 장치는 상기 구동 회로를 풍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가열 조리실 및 상기 도어 사이의 간극을 막는 밀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 조절실은 상기 가열 조리실 내에 하방으로부터 냉각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가열 조리실에 배기 통로를 거쳐서 접속되고,
    상기 배기 통로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 통로 내를 흐르는 냉각풍을 탈취하는 탈취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팬 장치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냉각풍의 풍량을 제어하는 풍량 제어 수단과,
    상기 유도 가열 코일 및 상기 히터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조리 내용을 제어하는 조리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풍량 제어 수단은 상기 조리 제어 수단이 상기 유도 가열 코일을 사용하여 조리 기구를 유도 가열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팬 장치를 상기 유도 가열 코일의 가열 출력에 따른 내용으로 운전하고,
    상기 조리 제어 수단은 상기 풍량 제어 수단이 상기 팬 장치를 상기 유도 가열 코일의 가열 출력에 따른 내용으로 운전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히터의 운전 내용을 상기 팬 장치의 운전 내용에 따라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KR1020060059003A 2005-06-30 2006-06-29 가열 조리기 KR100778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91673A JP4664754B2 (ja) 2005-06-30 2005-06-30 誘導加熱調理器
JPJP-P-2005-00191673 2005-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608A true KR20070003608A (ko) 2007-01-05
KR100778577B1 KR100778577B1 (ko) 2007-11-22

Family

ID=3759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003A KR100778577B1 (ko) 2005-06-30 2006-06-29 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64754B2 (ko)
KR (1) KR100778577B1 (ko)
CN (1) CN100574541C (ko)
TW (1) TWI2966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8893A (zh) * 2015-03-16 2015-06-10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抽油烟机的恒风量输出控制方法和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3066B2 (ja) * 2007-01-12 2011-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5235744B2 (ja) * 2009-03-24 2013-07-10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102647030B (zh) * 2012-03-31 2014-11-05 海尔集团公司 无线电能发射装置及无线电能供电系统
CN104566577A (zh) * 2014-12-06 2015-04-29 河南鸿昌电子有限公司 具有送风装置的抽油烟机
JP2016131062A (ja) * 2015-01-13 2016-07-2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6055942B2 (ja) * 2016-02-24 2016-12-27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加熱調理器
TWI630847B (zh) * 2016-02-25 2018-07-21 日商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Induction heating conditioner
EP3684141B1 (en) * 2017-09-13 2021-05-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oking device
JP7317813B2 (ja) * 2018-05-16 2023-07-31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TWI818052B (zh) * 2018-08-02 2023-10-11 日商夏普股份有限公司 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862B2 (ja) * 1997-09-05 2001-05-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4288833B2 (ja) * 2000-06-29 2009-07-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3931067B2 (ja) * 2001-09-28 2007-06-1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2002198163A (ja) * 2001-11-28 2002-07-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JP3735810B2 (ja) * 2002-01-15 2006-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8893A (zh) * 2015-03-16 2015-06-10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抽油烟机的恒风量输出控制方法和系统
CN104698893B (zh) * 2015-03-16 2017-10-31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抽油烟机的恒风量输出控制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06809A (en) 2007-02-16
KR100778577B1 (ko) 2007-11-22
TWI296698B (en) 2008-05-11
CN100574541C (zh) 2009-12-23
JP4664754B2 (ja) 2011-04-06
JP2007012432A (ja) 2007-01-18
CN1893741A (zh)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577B1 (ko) 가열 조리기
US7348527B2 (en) Microwave oven having a door ventilation system
JP4021831B2 (ja) 電子レンジ
US8334482B2 (en) Cooking range with air circulation mechanism
KR20160075259A (ko) 오븐
JP2010071615A (ja) 加熱調理器
JP3735810B2 (ja) 加熱調理器
JP4251156B2 (ja) 加熱調理器
JP5921201B2 (ja) 加熱調理器
JP2006107807A (ja) 加熱調理器
JPH10165242A (ja)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JP3762727B2 (ja) 加熱調理器
JP2008002756A (ja) 電子レンジ
JPH05251165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1208359A (ja) 組込み式誘導加熱調理器
CN1803077B (zh) 烧烤炉及加热烹饪器
JP5300930B2 (ja) 加熱調理器
KR100716001B1 (ko) 오븐 레인지
JP5542563B2 (ja) 加熱調理器
JP3831465B2 (ja) 換気装置
KR200235647Y1 (ko) 후두겸용 전자레인지의 환풍모터 구동회로
JP5611713B2 (ja) 加熱調理器
JP2009289421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560218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 설치구조
JP2020181835A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