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218B1 -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218B1
KR100560218B1 KR1020030044136A KR20030044136A KR100560218B1 KR 100560218 B1 KR100560218 B1 KR 100560218B1 KR 1020030044136 A KR1020030044136 A KR 1020030044136A KR 20030044136 A KR20030044136 A KR 20030044136A KR 100560218 B1 KR100560218 B1 KR 100560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oven
temperature fuse
base plate
temperature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5019A (ko
Inventor
김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218B1/ko
Publication of KR20050005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의 열기를 감지하는 온도퓨즈가 구비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온도퓨즈(70)는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퓨즈(70)는, 전자레인지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52)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한편, 상기 온도퓨즈(70)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싱부(72)와, 상기 센싱부(72)를 감싸는 하우징(74)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센싱부(7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2)의 하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열기로부터 전자레인지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전자레인지, 후드 겸용, 온도퓨즈

Description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 설치구조 { Establishing structure of thermostat in over the range }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자레인지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외부케이싱 52. 베이스플레이트
54. 가열실 56. 전장실
58,58'. 필터 60. 배기모터어셈블리
62. 배기팬 64. 트레이
66. 구동모터 70. 온도퓨즈
72. 센싱부 74. 하우징
76. 장착부 80. 관통공
본 발명은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벤트모터를 이용하여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냉각 및 후드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구비되는 온도퓨즈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이하에서는 단순히 전자레인지라고도 칭합니다)는, 가스오븐레인지의 상부 벽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가스오븐레인지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 등을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는 내부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외부케이싱(1)과 상기 외부케이싱(1)의 하단에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싱(1)의 내부에는 투입되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열실(2)이 구비되며, 상기 가열실(2)의 우측에는 마그네트론 및 고압트랜스 등이 설치되는 전장실(4)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실(2)과 외부케이싱(1) 사이에는 공기가 흐를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전자레인지의 저면을 형성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는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 한쌍의 필터(6,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열실(2)의 상부 후단부에는, 배기모터어셈블리(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기모터어셈블리는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에 각각 한쌍의 배기팬(9')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스오븐레인지(도시되지 않음)에서 연소가 시작되면, 연소되는 공기는 배기되어야 하는데, 이 때 상기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경유하게 된다. 상기 배기모터어셈블리(9)가 동작하게 되면, 하부에서 발생한 연기 등은 베이스플레이트(1')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필터(6,8)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전자레인지의 내부에서는 좌측 및 우측에 도시한 경로를 통하여 상부에 있는 배기모터어셈블리(9)로 유입된 후, 완전히 외부로 배기된다. 즉 좌측의 경로를 살펴보면, 흑색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필터(6)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가열실(2)과 외부케이싱(1) 사이의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배기모터어셈블리(9)로 유입된다.
그리고, 흰색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우측의 필터(8)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전장실(4)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는 통로를 통하여 상부의 배기모터어셈블리(9)로 유입된다.
상기 배기모터어셈블리(9)로 유입된 공기는, 전자레인지의 상면 또는 후면을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의 우측부 즉, 상기 전장실(4)의 하단부에는 온도퓨즈(11)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퓨즈(11)는 베이스플레이트(1')의 온도를 감지하여 전자레인지를 고온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전자레인지의 하부에는 일반적으로 가스오븐레인지 등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가스오븐레인지의 작동에 따라 열기가 상부의 전자레인지에 미치게 되므로, 상기 전자레인지의 베이스플레이트(1')가 가열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의 온도가 상승되면, 상기 온도퓨즈(11) 에 의해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의 고온이 감지되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되면, 상기 배기모터어셈블리(9)가 작동하여 가스오븐레인지로부터 발생된 열기를 흡입하여 전자레인지의 상방 또는 후방으로 배출한다. 이렇게 되면, 가스오븐레인지의 열기가 전자레인지에 미쳐 부품의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상기에서는 전자레인지의 베이스플레이트(1')에 온도퓨즈(11)가 부착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는 두께가 두꺼워 외부(하부)의 온도에 민감하지 못하다. 따라서, 전자레인지의 하부에 놓여지는 가스오븐레인지로부터 전해지는 열기를 용이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가스오븐레인지의 열기가 두꺼운 철판으로 구성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 전달되어 베이스플레이트(1')의 온도가 어느정도 상승한 다음에 상기 온도퓨즈(11)를 통한 감지가 가능하므로, 이런 경우에는 이미 상기 전장실(4)에 구비되는 전장부품에도 가스오븐레인지의 열기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열기가 신속하게 감지가능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 설치구조는, 외부의 열기를 감지하는 온도퓨즈가 구비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온도퓨즈는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퓨즈는, 전자레인지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한편, 상기 온도퓨즈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열기로부터 전자레인지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 설치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가 설치된 상태에 전자레인지 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온도퓨즈의 설치상태가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후드겸용 전자레인지는 상기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그 하부에 설치되는 조리기, 예를 들면 가스오븐레인지 등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열기를 배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측면을 감싸는 외부케이싱(50)과 상기 외부케이싱(50)의 하단에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52)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싱(50)의 후단에 형성되어 전자레인지의 후방을 차폐하는 후면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외관이 구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싱(50)의 내부에는 투입되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열실(54)이 구비되며, 상기 가열실(54)의 우측에는 마그네트론 및 고압트랜스 등의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5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실(54)과 외부케이싱(50) 사이에는 공기가 흐를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전자레인지의 저면을 형성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2)에는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 한쌍의 필터(58,5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열실(54)의 상부 후단부에는, 배기모터어셈블리(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기모터어셈블리(6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에 각각 한쌍의 배기팬(62)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배기모터어셈블리(6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배기팬(62)이 회전하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열실(54)의 하단부에는 상면에 조리물이 얹어져 조리되는 트레이(6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64)의 하부에는 트레이(64)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66)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2)에는 좌우측에 한 쌍의 필터(58,58')가 구비된다. 따라서, 전자레인지의 하부로부터 흡입되는 외부의 공기는 상기 필터(58,58')를 거쳐 흡입되므로, 공기중의 이물 등이 걸러지게 된다.
즉,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스오븐레인지(도시되지 않음)에서 연소가 시작되면, 연소되는 공기는 배기되어야 하는데, 이 때 상기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경유하게 된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할 온도퓨즈(70)의 센싱에 따라 상기 배기모터어셈블리(60)가 동작하게 되면, 하부에서 발생한 연기 등은 베이스플레이트(52)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필터(58,58')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2)의 우측부 즉, 상기 전장실(56)의 하단부에는 온도퓨즈(70)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퓨즈(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싱부(72)가 형성되고, 상기 센싱부(72)를 감싸는 하우징(74)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74)의 측면에는 장착부(76)가 돌출되게 더 형성되어 상기 온도퓨즈(70)가 스크류(S)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2)에 고정되게 한다. 즉, 상기 장착부(76)에는 스크류(S)가 관통하는 장착홀(h)이 형성되고, 이러한 장착홀(h)과 대응되는 장착공(h')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2)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S)에 의해 상기 온도퓨즈(70)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 온도퓨즈(70)는 센싱부(72)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2)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2)에는 상기 온도퓨즈(70)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하는 관통공(80)이 형성되고, 온도퓨즈(70)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2)에 고정되면, 상기 관통공(80)을 통해 상기 센싱부(72)가 하방으로 노출되는 것이다.
상기 온도퓨즈(70)는 베이스플레이트(52)의 온도를 감지하여 전자레인지를 고온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온도퓨즈(70)에 의해 전자레인지 하부의 온도가 상승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배기모터어셈블리(60)가 구동하여 상기 배기팬(62)을 작동시킨다. 따라서, 전자레인지 하부의 열기 및 연기나 냄새 등이 신속히 전자레인지의 상방 또는 후방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의 작용을 살펴본다.
상기와 같은 전자레인지의 하부에는 일반적으로 가스오븐레인지 등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하부의 가스오븐레인지가 작동함에 따라 가스오븐레인지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상부의 전자레인지에 미치게 된다.
가스오븐레인지의 열기가 상방으로 뿜어져 나오면, 상기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70)가 전자레인지의 베이스플레이트(52)에 형성된 관통공(80)을 통해 노출되어 있으므로 온도퓨즈(70)의 센싱부(72)에서는 고온은 상태가 감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온도퓨즈(70)의 감지신호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되어 상기 배기모터어셈블리(60)를 구동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배기팬(62)이 회전을 시작하여 전자레인지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배기팬(62)이 회전함에 따라, 전자레인지의 하부의 열기 및 연기가 상기 필터(58,58')를 통해 전자레인지 내부로 흡입된 다음, 전자레인지의 측면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기팬(62)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배기팬(62)의 회전력에 의해 공기가 전자레인지의 상방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전자레인지 하부에 설치되는 조리기에 의해 전자레인지가 고온으로 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때 냄새 등도 함께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배기팬(62)의 작동에 의해 하부의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다시 하부의 온도가 낮아지면, 이러한 상태가 상기 온도퓨즈(70)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되어 상기 배기모터어셈블리(60)의 구동을 멈추게 하며, 따라서, 상기 배기팬(62)이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처럼, 종래와는 달리 상기 온도퓨즈(70)의 센싱부(72)가 전자레인지의 외 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하부의 조리기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므로, 가스오븐레인지 등의 작동에 의해 전자레인지 내부의 전장품이 손상을 입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도퓨즈(70)의 감지에 따라 상기 배기팬(62)이 작동되도록 한 구성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배기팬(62)이 평상시에도 작동되도록 한 구조에서는 상기 온도퓨즈(70)에서 고온이 감지되면, 상기 배기팬(62)의 회전속도를 높여 공기의 배출량이 늘어나도록 하는 등의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온도퓨즈(70)의 센싱에 의해 상기 배기팬(62)이 제어되어 전자레인지의 내부부품을 고온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본적인 목적이 이루어지는 범위내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온도퓨즈를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여 외부의 열기를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가스오븐레인지 등의 외부 조리기에서 발생하는 열기에 의해 전자레인지 내부의 전장부품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미연에 외부 열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전자레인지의 부품 손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주방에 설치되는 조리기의 열기가 본 발명에 의한 온도퓨즈에 의해 용이하게 감지되어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므로, 사용자의 화상우려를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도 함께 신속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하부에 설치되는 타 조리기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열기를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며, 외부의 열기를 감지하는 온도퓨즈가 구비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온도퓨즈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센싱부는, 전자레인지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 설치구조.
KR1020030044136A 2003-07-01 2003-07-01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 설치구조 KR100560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136A KR100560218B1 (ko) 2003-07-01 2003-07-01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136A KR100560218B1 (ko) 2003-07-01 2003-07-01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019A KR20050005019A (ko) 2005-01-13
KR100560218B1 true KR100560218B1 (ko) 2006-03-10

Family

ID=3721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136A KR100560218B1 (ko) 2003-07-01 2003-07-01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2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019A (ko)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77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hermal protection of LED light modules in a range hood appliance
US7022958B2 (en)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KR100778577B1 (ko) 가열 조리기
KR101520499B1 (ko) 오븐 레인지
JP4621720B2 (ja) ガスコンロ
JP3735810B2 (ja) 加熱調理器
KR100560218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 설치구조
KR0115473Y1 (ko) 전자레인지의 안전장치
KR20110087928A (ko) 조리기기
JP2009174742A (ja) 加熱調理器
JP2007325620A (ja) 加熱調理器
JP2003074865A (ja) 複合加熱調理装置
JP2004093048A (ja) 加熱調理器
JP3495604B2 (ja) 調理器
CN211795953U (zh) 烹饪设备
KR100577229B1 (ko) 전자 레인지 및 그의 운전 제어 방법
JP2001070175A (ja) 加熱調理器
JP3831465B2 (ja) 換気装置
JPH08121776A (ja) 組込型ガス調理機器
JP2006105455A (ja) 加熱調理器
JP3263627B2 (ja) 電子レンジ
EP0584934B1 (en) Heating apparatus
JP3499503B2 (ja) 焼物器
JPH01107039A (ja) 給湯器内蔵型レンジフード
JP2009289421A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