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050A - 식물 섬유를 함유하는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섬유를 함유하는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050A
KR20060133050A KR1020067021914A KR20067021914A KR20060133050A KR 20060133050 A KR20060133050 A KR 20060133050A KR 1020067021914 A KR1020067021914 A KR 1020067021914A KR 20067021914 A KR20067021914 A KR 20067021914A KR 20060133050 A KR20060133050 A KR 20060133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fiber
food
granulation
powd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에코 마츠오카
Original Assignee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3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05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Diabet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급이 용이하고, 소비자가 물 등에 용이하게 용해 또는 분산시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한 식물 섬유를 함유하는 과립 또는 세립상의 건강 식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은 결합제의 대체품으로서, 자일로올리고당을 사용한다. 즉, 식물 섬유를 함유하는 분말상의 식품 소재를 조립할 때에, 조립 공정 전 또는 조립 공정 중에 식품 소재에 자일로올리고당을 첨가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물섬유, 건강식품

Description

식물 섬유를 함유하는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PROCESS FOR PRODUCING HEALTH FOOD CONTAINING DIETARY FIBER}
본 발명은 식물 (食物) 섬유를 함유하는 식품 소재를 조립하는 방법 및 당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건강 식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 습관병의 예방 등을 의식하여 녹색 식물 (植物) 을 함유하는 각종 건강 식품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러한 건강 식품은 각종 형상의 제품으로서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분말 혹은 과립상으로 제공되고, 소비하기 직전에 물에 용해 또는 분산된 식품이 인기가 높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39350호에는, 보리 새순과 자일로올리고당을 함유하는 다이어트 식품이 개시되어 있다. 이 다이어트 식품은 부형제나 결합제 등과 혼합되고, 정제, 과립상 등의 각종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그 형상 또는 기호에 따라 그대로 먹어도 되고, 물, 따뜻한 물, 우유 등에 녹여 마셔도 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문헌에는 조립 (造粒) 방법 특히 물을 이용한 조립 방법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18945는 그 과제로서,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은 보존 안정성면에서는 건조 형태의 것이 바람직하고, 취급 용이성이나 휴대성 등의 면에 서는 분말상보다 정제, 과립이나 세립 등의 입상으로 성형 (조립) 되어 있는 쪽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소비자는 셀룰로오스나 덱스트린과 같은 부형제나 결합제 (식품을 성형하는 목적으로 배합되는 성분) 가 첨가되어 부피가 커진 것보다, 가능한 한 순수한 건강 식품 소재만으로 조제된 것을 요망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그 과제 해결을 위해, 결합제로서 α 화 전분, 풀루란, 키틴의 수용성 유도체, 키토산의 수용성 유도체, 키틴올리고당 및 키토산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결합제를 첨가하여 조립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문헌의 방법에서는 결합제를 물에 용해하고나서 조립되어 있어, 조립에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또한, 용해도가 낮은 결합제를 이용할 때에는 사용량이 제한된다.
따라서, 조작이 보다 간편한 식품 재료에 물만을 분무한 경우에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유효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39350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18945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취급이 용이하고, 소비자가 물 등에 용이하게 용해 또는 분산시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한 식물 섬유를 함유하는 과립 또는 세립상의 건강 식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식물 섬유를 함유하는 과립 또는 세립상의 건강 식품을 제조할 때에, 부형제나 결합제 등의 건강 식품 본래의 기능과는 직접 관계되지 않는 성분의 사용을 저감한 건강 식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방법은 결합제의 대체품으로서 자일로올리고당을 사용한다. 즉, 식물 섬유를 함유하는 분말상의 식품 소재를 조립할 때에, 조립 공정 전 또는 조립 공정 중에 식품 소재에 자일로올리고당을 첨가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식물 섬유 함유 식품 소재는 주로 식물의 섬유를 함유하는 잎, 싹, 줄기, 꽃, 열매, 뿌리, 이삭, 종자, 과실 등의 부분을 의미하고, 전형적으로는 녹색 식물의 새순이다. 바람직한 식품 소재의 예로서는, 이른바 녹즙을 제조하기 위한 식품 소재가 보다 바람직하고, 그 예로서는, 명일엽 (明日葉) 분말, 보리 새순 분말, 녹차 분말, 케일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그들 1 이상의 혼합물이다. 명일엽은 항산화 비타민을 풍부하게 함유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사용할 수 있는 식물 섬유 함유 식품 재료의 다른 예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340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79339호 등 많은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식물 섬유 함유 식품 소재는 필요에 따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18945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재단, 블랜칭 등의 예비 처리를 실시하여 사용해도 된다. 음식물 함유 식품 소재가 입수시에 분말상이 아닐 때에는 75㎛ 이하의 분말로 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명일엽 분말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l5493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231057호 등에 의해 각종 제법이 알려져 있지만, 그 제법에 관계없이, 건조된 명일엽 분말이면 된다. 명일엽은 미나리과의 다년초로 일본에서는 혼슈의 중부 및 관동 지방 태평양측의 근해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명일엽에는 쿠마린류, 캘콘류, 그 밖에 항산화 비타민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동맥 경화, 변비나 빈혈에 유효하다. 사용 부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잎, 싹, 줄기, 과실 등 전 부위가 사용 가능하다.
보리 새순 분말은 공지 문헌 등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4117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1243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5844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98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78호) 에 의해 각종 제법이 알려져 있지만, 그 제법에 관계없이, 건조된 보리 새순 분말이면 된다. 보리 새순은, 맥류의 새순을 가리키고, 구체적으로는 보리, 밀, 라이맥, 귀리, 율무 등의 새순이 예시된다. 보리 새순은 비타민류, 미네랄류, 식물 섬유 등에 풍부하고, 유해 물질의 흡착, 장내 환경의 개선, 콜레스테롤의 흡수 억제, 식후 혈당치의 급상승 방지, 슈퍼옥사이드디스뮤타아제 (SOD) 의 활성화 등의 효과를 갖는다 건강 식품의 소재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케일 분말은 공지 문헌 등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8644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256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1924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1923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1272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127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85010호) 에 의해 각종 제법이 알려져 있지만, 그 제법에 관계없이 건조된 케일 분말이면 된다. 케일은 유채과 유채속에 속하는 다년초 생목으로, 원래는 양배추의 개량종이다. 잎에는 비타민류가 많이 함유되고, 위염이나 위궤양의 예방, 간기능이나 변비의 개선에 유효하다. 케일은 유채과 케일에 속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베리안 케일, 스카치 케일, 콜라드 등의 각종 케일을 사용할 수 있다.
자일로올리고당이란 옥수수의 심, 면실 껍질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호모 다당 자일란 (헤미셀룰로오스) 을 원료로 하고, 크실로오스가 수 개 결합된 것을 말한다. 백색으로 약간의 감미를 갖는 무취의 결정성 분말이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이 상품명 「자일로올리고 95P」 로서 시판하고 있는 것을 사용하면 적절하다. 자일로올리고당이 갖는 효과로서는, 비피더스균 증식 활성을 비록한 정장 작용이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 이외에도 대장암 예방 효과나, 미네랄 흡수 촉진 효과 (일본 특허 제3462535호) 등이 알려져 있다. 식품 중의 자일로올리고당의 함량은 각 경우에 있어서 조립 상태를 관찰하면서 적절하게 결정해도 되지만, 기준으로는 전체 고형분에 대해서 3 ∼ 20중량% 로 한다. 자일로올리고당의 첨가는 조립 공정 전에 식물 섬유에 대한 혼합에 의해, 또는 조립 공정 중에 자일로올리고당을 용해한 물을 식물 섬유에 첨가, 분무, 또는 주입을 가함으로써 실시한다. 조립은 유동층 조립법, 압출 조립법을 함유하는 임의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지만, 분산성이 좋은 조립물이 얻어지는 유동층 조립법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1) 자일로올리고당을 미리 식품 소재에 혼합해 두고 물을 분무하여 조립해도 되고, 또는 2) 물에 용해한 자일로올리고당을 조립 중에 식품 소재에 분무하여 조립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어느 조립 방법에 의해서도, 바람직한 조립물이 얻어지지만, 작업 용이성을 고려할 때, 1) 의 방법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과립 또는 세립은, 미분말으로서 비산되는 경향이 작고, 분포 (分包) 에 대한 충전 공정에 있어서 제품으로서 분포하는 것이 용이한 정도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75㎛ 이하인 미분의 비율이 일정 이하, 예를 들어 50중량% 이하가 될 정도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된 과립 혹은 세립이 입도 범위의 것인지의 여부는 입도 분포를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자일로올리고당 이외의 결합제를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러한 결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과립상 또는 세립상으로 물에 대한 분산성이 양호한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식품은 미분말로서 비산되는 경향이 작아, 제품으로서 분포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 섬유 함유 식품에도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은 자일로올리고당 이외의 결합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편으로, 건강 식품으로서의 이미지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 범위이면, 일반적인 결합제를 이용할 수 있다. 결합제의 첨가량은 그 강도에 따라 다르지만,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라는 통상 용액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3% 이하, 알파화 전분 또는 콘스타치라는 분말 첨가에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10% 이하라고 하는 바와 같이, 물에 용해된 경우의 유동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첨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은 식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 또는 보조 성분을 함유해도 되고, 예를 들어, 부형제로서 전분, 유당, 결정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풀루란, 구아검, 감미제로서 아스파탐, 자일리톨, 수크랄로오스, 만니톨, 갈락토오스, 강화제로서 카로텐, L-아르코르브산, α-토코페롤, 루테인, 리코펜 등을 함유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성분으로서 효소 처리 루틴을 0.1 ∼ 10중량% 정도 함유시킴으로써, 건강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효소 처리 루틴이란, 루틴 및 루틴의 유연체를 효소 처리에 의해 배당체화한 것이며, 루틴 유연체로서 케르세틴, 이소쿠에르시트린, 모린, 미리시트린, 미리세틴 등이 예시된다. 효소 처리 루틴은,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089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3164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을 수 있고, 효소 처리 루틴뿐만 아니라 제재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을 함유해도 된다. 조성물당 효소 처리 루틴의 양은, 효소 처리 루틴의 섭취량이 성인 1 인당, 1 일 5㎎ ∼ 500㎎, 바람직하게는 10 ∼ 300㎎ 이 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은 기능에 관한 표시를 부여하여 제공되어도 된다. 기능의 표시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식품의 포장, 용기의 표면, 식품의 설명서, 식품의 광고 등에 대한 표시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이 갖는 기능의 예는, 동맥 경화, 빈혈, 위염, 위궤양, 변비와 같은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 간기능 개선, 유해 물질의 흡착 억제, 장내 환경 개선, 다이어트 효과, 콜레스테롤의 흡수 억제, 식후 혈당치의 급상승 방지, 슈퍼옥사이드디스뮤타아제의 활성화, 비피더스균 증식 활성을 비롯한 정장 작용, 대장암 예방, 미네랄 흡수 촉진, 또는 항산화 작용에 기초하는 기능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방법은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의 제조시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괴 (덩어리) 의 발생이 적다. 또, 유동층 조립법으로 조립할 때에는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분말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자일로올리고당 이외에 결합액을 사용하지 않고, 또는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음용자가 기대하는 효과의 하나로서 정장 작용이 있다. 자일로올리고당이 정장 작용을 갖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고, 그 사용은 식물 섬유 함유 식품에 정장 작용을 부여한다는 점에서도, 종래의 결합제를 사용한 제품과 비교해 바람직하다. 정장 작용 이외에도, 자일로올리고당의 대장암 예방 효과나 미네랄 흡수 촉진 효과가 알려져 있고, 이들의 효과가 기대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은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은 비산되기 어려운 과립 또는 세립이기 때문에, 섭취 전에 물에 용해 혹은 분산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자일로올리고당 이외의 결합제를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켰을 때의 취급성이 매우 좋다. 특히 소량의 물에 용해한 경우, 또는 소량의 수분밖에 존재하지 않는 구강 내로 조립물을 직접 음용한 경우에는, 점성의 낮음에 기인하는 양호한 유동성을 갖는다는 면에서 이점이 크다.
또, 식물 섬유 이외의 성분인 결합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은 건강상 및 기호상의 이점이기도 하다.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설명을 하지만, 이들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식물 섬유 소재로서 명일엽 분말을 사용하여, 자일로올리고당의 첨가량이 조립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표 1 에 나타내는 혼합 분말 약 200g 을 유동층 조립기 (FD-LAB-1 (주) 파우레크사 제조) 로 조립했다. 혼합 분말을 투입하여 2 분간 혼합한 후, 물을 1.0 ∼ 1.5g/min 의 속도로 분무하면서 30 ∼ 50 분간 조립했다 (물건 온도 : 24 ∼ 30℃, 흡기 온도 30 ∼ 40℃). 동일 장치로 5 ∼ 10 분간 건조시킨 후, 조립물을 꺼내 30 호 (500㎛) 의 체로 체질하여 조립물을 얻었다.
조립성의 지표로서 미분의 비율을 평가했다. 즉, 200 호 (75㎛) 의 체를 통과하는 미분의 비율이 전체 양의 50중량% 이하인 경우, 조립성은 양호하다고 판단했다. 이것은 얻어진 과립을 분포 (파우치 포장) 할 때의 취급성을 고려하여 설정되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명일엽 분말과 자일로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지는 이들의 조성물에 대해서, 조립성의 평가를 실시하여 75㎛ 이하의 미분의 비율이 50% 미만인 경우를 ○, 50% 이상인 경우를 × 로 했다. 그 결과, 자일로올리고당의 비율이 3% 이상인 조립물의 경우, 양호한 조립성 (평가 결과 ○) 을 나타냈다 (표 1) .
이상으로부터, 자일로올리고당을 조립에 사용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결합제나 부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양호한 조립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이 나타났다.
시료 번호 1 2 3 4 5 6
성분명 명일엽 분말 자일로올리고당 100 0 99 1 97 3 95 5 90 10 80 20
조립성 × ×
실시예 2
다른 식물 섬유 소재 및 부형제의 영향에 대해 검토했다. 표 2 에 나타내는 시료를 이용했다. 제조 방법 및 시험 방법은 실시예 1 에 준했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조립성의 평가를 실시하여, 75㎛ 이하의 미분의 비율이 50% 미만인 경우를 ○, 50% 이상인 경우를 × 로 했다. 그 결과, 식물 섬유 소재로서 보리 새순 분말, 또는 보리 새순 분말과 명일엽 분말의 양자를 함유하는 경우에서도, 자일로올리고당을 함유시킴으로써 양호한 조립성을 나타냈다.
또, 다른 부형제 (결정 셀룰로오스, 유당) 나 결합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를 아울러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양호한 조립성이 인정되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은 널리 식물 섬유 소재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 또, 건강 식품으로서의 이미지 저하에 연결되지 않는 범위에서, 부형제나 결합제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시료 번호 7 8 9 10 11 12
성분명 보리 새순 분말 명일엽 자일로올리고당 결정 셀룰로오스 유당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95 5 95 5 40 20 5 40 20 5 15 40 20 5 15 40 20 4 1
조립성
실시예 3
표 3 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제조 방법의 영향을 검토했다.
즉, 유동층 조립 또는 압출 조립으로 과립을 조정했다. 유동층 조립의 경우의 제조 방법은 실시예 1 에 준했다. 단, 시료 (14) 에서는 자일로올리고당을 물에 용해한 수용액을 분무시켰다. 한편, 압출 조립의 경우에서는 주입 양 200㎎ 으로 하고, 막자·막자 사발을 이용하여 적당량의 물로 연합한 것을 구멍 직경 0.8㎜ 의 스크린을 이용해 압출 조립하고, 선반 건조시킨 것을 30 호 (500㎛) 의 체로 체질하여 조립물을 얻었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2 와 마찬가지로 조립성의 평가를 실시하여 75㎛ 이하의 미분의 비율이 50% 미만인 경우를 ○, 50% 이상인 경우를 × 로 했다. 그 결과, 어느 시료에 대해서도 조립성은 양호했다.
이들 시료에 대해서, 재분산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에 있어서는, l50㎖ 의 물에 각 시료를 5g 현탁시키고, 균일하게 된 것을 확인하고 나서 고액이 분리될 때까지 방치했다. 고액이 분리된 후, 용액을 흔들어 섞어 균일하게 하고, 다시 고액이 분리될 때까지의 시간이 20 초 이상인 경우를 ○, 20 초 미만 10 초 이상인 경우를 △, 10 초 미만인 경우를 × 로 했다.
이 중에서 유동층 조립으로 조제한 시료는 압출 조립으로 얻어진 시료와 비교하여, 부피 밀도가 크고, 물에 대한 재분산성이 특히 양호했다.
유동층 조립으로 조제한 시료 중, 자일로올리고당을 분말 첨가한 경우 및 수용액으로서 분무한 경우 모두에서 75㎛ 이하의 미분의 비율은 목표 이하이며, 유동층 조립법은 매우 적합한 제조 방법인 것을 알았다.
시료 번호 13 14 15 16
성분명 보리 새순 분말 케일 분말 명일엽 말차(抹茶) 분말 자일로올리고당 유당 40 30 10 5 15 40 30 10 5* 15 40 30 10 5 15 40 30 10 5 15
조립 방법 유동층 조립 유동층 조립 압출 조립 유동층 조립
입도 분포 메쉬 사이즈 중량%
500㎛(30 메쉬) 350㎛(42 메쉬) 250㎛(60 메쉬) 150㎛(100 메쉬) 75㎛(200 메쉬) 75㎛(200 메쉬) 패스 0.0 0.0 3.0 18.8 60.4 17.8 0.0 0.0 5.9 24.8 56.4 12.9 0.1 47.8 31.2 10.0 7.7 3.2 0.0 0.0 2.2 12.5 64.7 20.6
100.0 100.0 100.0 100.0
조립성
재분산성
* : 분무액에 용해하여 첨가했다.
실시예 4 (제조예)
주입양 100㎏ 으로서, 표 4 에 나타내는 각 성분에 대해서, 20 메쉬 체질한 후, 유동층 조립기 (플로우코터 200 형, 프로인트 산업사 제조) 에 투입했다. 예비적인 유동 후, 물을 약 500g ∼ 800g/분의 속도로 분무하면서 약 65 분간 조립했다 (배기 온도 : 약 30℃, 흡기 온도 : 60℃). 동일 장치로 약 10 분간 건조시킨 후, 조립물을 꺼내 15 호 (1000㎛) 의 체로 체질하여 조립물을 얻었다.
입도 분포의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 3 과 마찬가지로 조립성의 평가를 실시하여 75㎛ 이하의 미분의 비율이 50% 미만인 경우를 ○, 50% 이하인 경우를 × 로 했다. 어느 시료에서도 75㎛ 이하의 미분의 비율은 매우 적고, 적합한 조립물이 얻어졌다.
또한 이들의 과립을 이용하여 3g 분포를 조제했다. 충전기로서, 종형 3 방 포장기 MC101 (산코 기계 주식회사 제조) 을 이용했다. 60㎜ × 90㎜ 의 사이즈로 시일바를 7㎜ 로 하여 알루미 파우치의 3 방 시일 충전을 실시한 결과, 어느 시료에서도 충전시의 과립의 유동성은 양호하고, 충전성은 양호했다.
시료 성분 17 18
성분명 보리 새순 분말 명일엽 분말 말차 분말 자일로올리고당 텍스트린 멀티톨 효소 처리 루틴 40 30 10 5 15 40 30 10 5 14 1
입도 분포 메쉬 사이즈
500㎛(30 메쉬) 350㎛(42 메쉬) 250㎛(60 메쉬) 150㎛(100 메쉬) 75㎛(200 메쉬) 75㎛(200 메쉬) 패스 0.0 1.0 4.9 23.3 53.1 17.8 0.0 0.9 5.7 37.7 41.9 13.8
100.1 100.0
조립성

Claims (13)

  1. 식물 (食物) 섬유를 함유하는 분말상의 식품 소재를 조립 (造粒) 할 때에, 조립 공정 전 또는 조립 공정 중에 식품 소재에 자일로올리고당을 첨가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자일로올리고당의 첨가를 조립 공정 전에 식품 소재에 대한 자일로올리고당의 혼합에 의해, 또는 조립 공정 중에 자일로올리고당을 용해한 물을 식물 섬유에 첨가, 분무, 또는 주입을 가함으로써 실시하는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립을, 유동층 조립법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이 과립상 또는 세립상인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품 중의 자일로올리고당의 함량을 전체 고형분에 대해서 3 ∼ 20 중량%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 섬유를 함유하는 식품 소재가, 녹색 식물 (植物) 의 녹색 잎의 분말인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녹색 식물의 녹색 잎의 분말이, 명일엽 (明日葉) 분말, 보리 새순 분말, 녹차 분말의 1 내지 그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일로올리고당을, 식물 섬유를 함유하는 식품 소재에 혼합하고, 물을 분무하여 유동층 조립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 섬유 함유 식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항산화제 성분으로서 효소 처리 루틴을 함유하는 식물 섬유 함유 식품.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분포 (分包) 된 제품인 식물 섬유 함유 식품.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에 있어서,
    기능에 관한 표시를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섬유 함유 식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기능이 동맥 경화, 빈혈, 위염, 위궤양, 변비와 같은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 간기능 개선, 유해 물질의 흡착 억제, 장내 환경의 개선, 다이어트 효과, 콜레스테롤의 흡수 억제, 식후 혈당치의 급상승 방지, 슈퍼옥사이드디스뮤타아제의 활성화, 비피더스균 증식 활성을 비롯한 정장 작용, 대장암 예방, 미네랄 흡수 촉진, 또는 항산화 작용에 기초하는 기능인 식물 섬유 함유 식품.
KR1020067021914A 2004-03-26 2005-03-25 식물 섬유를 함유하는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 KR200601330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92189 2004-03-26
JP2004092189 2004-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050A true KR20060133050A (ko) 2006-12-22

Family

ID=3505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914A KR20060133050A (ko) 2004-03-26 2005-03-25 식물 섬유를 함유하는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4820288B2 (ko)
KR (1) KR20060133050A (ko)
CN (1) CN1929752B (ko)
AU (1) AU2005226981B2 (ko)
MY (1) MY146910A (ko)
SG (1) SG165196A1 (ko)
TW (1) TW200538057A (ko)
WO (1) WO200509212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696B1 (ko) * 2010-10-22 2013-04-29 대한민국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신선초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093818A (ja) * 2016-12-15 2018-06-21 株式会社東洋新薬 組成物
KR20200049222A (ko) 2018-10-31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49238A (ko) 2018-10-31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7709B2 (en) 2005-04-12 2013-12-03 Inovobiologic Inc. Dietary supplement and methods of use
US8062686B2 (en) * 2005-04-12 2011-11-22 InovoBiologics, Inc. Dietary supplement, and methods of use
JP5324943B2 (ja) * 2008-01-30 2013-10-2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流動層造粒による粒状食品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9201629A (ja) * 2018-05-17 2019-11-28 大正製薬株式会社 固形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0338B2 (ja) * 1986-04-18 1995-11-29 明治乳業株式会社 粉体の連続顆粒化方法
JPH03206870A (ja) * 1990-01-06 1991-09-10 Kagome Kk 造粒食品の製造方法
JP2980778B2 (ja) * 1992-08-06 1999-11-22 長谷川香料株式会社 新規な顆粒状食品の製法
JPH0710898A (ja) * 1993-06-24 1995-01-13 Sanei Gen F F I Inc 水難溶性フラボノイドの改質方法
JPH11313657A (ja) * 1998-05-08 1999-11-16 Nof Corp 吸湿性粉末の造粒方法及び造粒物
JP2002065213A (ja) * 2000-08-31 2002-03-05 Hakuju Life Science Co Ltd 固形剤の製造法
JP2002218945A (ja) * 2001-01-25 2002-08-06 Toyo Shinyaku:Kk 食物繊維含有食品およびその成型方法ならびに成型方法に用いる結合剤
JP2003339350A (ja) * 2002-05-27 2003-12-02 Toyo Shinyaku:Kk ダイエット食品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696B1 (ko) * 2010-10-22 2013-04-29 대한민국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신선초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093818A (ja) * 2016-12-15 2018-06-21 株式会社東洋新薬 組成物
KR20200049222A (ko) 2018-10-31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49238A (ko) 2018-10-31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337437B2 (en) 2018-10-31 2022-05-24 Amorepacific Corporation Granular composition comprising dietary fibers derived from green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11412753B2 (en) 2018-10-31 2022-08-16 Amorepacific Corporation Granular composition comprising dietary fibers derived from green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5092124A1 (ja) 2008-02-07
CN1929752A (zh) 2007-03-14
MY146910A (en) 2012-10-15
TW200538057A (en) 2005-12-01
AU2005226981A1 (en) 2005-10-06
JP4820288B2 (ja) 2011-11-24
WO2005092124A1 (ja) 2005-10-06
SG165196A1 (en) 2010-10-28
CN1929752B (zh) 2011-08-17
AU2005226981B2 (en)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3164B2 (ja) フラクトオリゴ糖とケルセチン配糖体とを含有する組成物
KR20060133050A (ko) 식물 섬유를 함유하는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
CN100543427C (zh) 碳酸钙颗粒
US20050244568A1 (en) Artificial fruit
DE112005000488T5 (de) Künstliche Früchte
KR20080011389A (ko) 올리고당 용액을 사용하여 입상 경구 조성물을 제조하는방법
CN107467468A (zh) 富硒速溶玉米杂粮粉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DE3729831A1 (de) Zuckerfreie bindemittel
JP5442243B2 (ja) 腎障害抑制剤
CN103462916A (zh) 一种维生素c咀嚼片及其制备方法
GB2404561A (en) A starch and/or sucrose substitute comprising a low glycaemic index sugar and a flavonoid
KR20180115720A (ko) 색소-단백질 복합체를 포함하는 펠렛화된 착색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CN103749691A (zh) 燕麦奶粉
EP1173069A1 (en) Granular delivery system
CN102894089A (zh) 一种燕麦奶粉
JPH11290024A (ja) ウコギ科人参エキス組成物
KR20140096272A (ko) 과립 및 피복 조립물
JP5324943B2 (ja) 流動層造粒による粒状食品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2171905A (ja) 茶及び茶の製造方法
JP2006325491A (ja) 造粒物の製造方法
KR20170076496A (ko) 용해성이 개선된 안정한 무정형 쿠르큐미노이드 고체분산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877050B (zh) 一种维生素c可溶片及其制备方法
JP6869418B1 (ja) 粉末状食品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粉末状食品の製造方法
KR102286379B1 (ko) 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KR20230153579A (ko) 단감 착즙 캡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단감 착즙 캡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