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389A - 올리고당 용액을 사용하여 입상 경구 조성물을 제조하는방법 - Google Patents

올리고당 용액을 사용하여 입상 경구 조성물을 제조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389A
KR20080011389A KR1020077026508A KR20077026508A KR20080011389A KR 20080011389 A KR20080011389 A KR 20080011389A KR 1020077026508 A KR1020077026508 A KR 1020077026508A KR 20077026508 A KR20077026508 A KR 20077026508A KR 20080011389 A KR20080011389 A KR 20080011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composition
oral
oligosaccharide
producing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츠 이지치
미에코 마츠오카
Original Assignee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1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38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0Lax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Diabet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besit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분말상의 경구 소재의 성형 (조립) 시에 있어서, 올리고당 용액을 결합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올리고당 이외의 결합제를 사용하지 않고 성형 (조립)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체 현탁시 및 액체 비현탁시에 있어서 양호한 구내감을 갖는 과립상의 경구 조성물을 제공한다. 올리고당을 유동층 조립법의 분무액에 용해시켜, 분말상의 경구 소재에 분무함으로써, 올리당을 결합제로서 그 경구 소재를 조립한다.

Description

올리고당 용액을 사용하여 입상 경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PROCESS FOR PREPARATION OF GRANULAR ORAL COMPOSITION USING OLIGOSACCHARIDE SOLUTION}
본 발명은, 결합제로 올리고당 용액을 사용하여, 분말상의 경구 소재를 조립(造粒)해 얻을 수 있는 경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민의 건강에 대하는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매일 섭취하는 음식물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려는 시도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생체 내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는 여러 가지 분말상 경구 소재의 개발은 눈부시고, 그것들은 여러 가지 형상의 제품으로서 제공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과립제로 제공되어, 소비되기 직전에 내복 가능한 액체에 용해 또는 분산된 식품의 인기가 높다.
그러나, 분말상의 경구 소재를 과립제로 성형 (조립) 하는 경우, 그 자체는 점착성이 부족한 것이 많아, 단순히 이들을 사용하여 습식 조립법 등으로 성형 (조립) 하더라도, 제조 공정이나 상품으로서 유통되는 공정에서 쉽게 파손, 붕괴되는 점, 또한 성형 (조립) 상 문제가 없는 경우에도, 액체 현탁시의 구내감이 떨어지는 점 등의 문제가 있다. 이 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는, 결합제를 사용하는 것이 연구되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88058호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미 공지 기술로서 범용되고 있다. 즉, 분말상의 경구 소재를 조립할 때에 범용되는 결 합제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풀루란, 전분, 덱스트린, 구아검 등이 있는데, 이들 결합제를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과립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결합제를 사용하면, 1 단위의 과립제를 배합하는 생체내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감소하고, 그 만큼, 한번에 섭취하는 과립제의 양이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건강상 및 기호상의 이유에서, 결합제가 첨가된 것보다, 가능한 한 섭취를 목적으로 하는 생체내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구 소재만으로 조제된 것이 소비자에게 요망되고 있다. 그 때문에, 결합제를 사용하지 않는 에리트리톨 함유 과립제의 제조 방법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19173호), 생약 성분만으로 조립한 제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60165호) 등 , 일부의 분말에 대해서는 결합제를 첨가하지 않고 성형 (조립) 할 수 있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지만, 그들 기술은 많은 경구 분말 소재에 대해서 범용할 수 있는 정도는 아니다.
한편, 생체내 기능성 성분 중에서도, 올리고당과 같은 당류나, 그들의 분해 생성물은, 그들이 소화관에서 발휘하는 생리 활성이 주목받아 최근 많이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올리고당은 섭취 후 그들이 대장에서 작용하여, 장내 유용균인 비피더스균을 선택적으로 증식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올리고당은 우수한 감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정미(呈味) 개선의 목적으로 여러 가지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1095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61701호 참조). 또한, 올리고당은 물에 젖기 쉬운 특성이 있기 때문에, 성형 시에 결합제에 보조적으로 첨가함으로써 성형성의 개선에 기 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PCT WO00/48575).
그러나, 분말상의 경구 소재를 과립제로 성형 (조립) 하는 경우에, 결합제적으로 올리고당을 사용하는 것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고, 또한, 그와 같이 제공된 과립제의 구내감에 대해서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분말상의 경구 소재의 성형 (조립) 시에, 올리고당 용액을 결합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올리고당 이외의 결합제를 사용하지 않고 성형 (조립)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체 현탁시 및 액체 비현탁시에 양호한 구내감을 갖는 과립상의 경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생체 내에서 유용한 기능을 가지며, 소비자에게 섭취가 요구되는 식품 소재를 사용하여, 분말상의 경구 소재를 성형 (조립) 하는 것을 예의 검토한 결과, 올리고당 용액을 결합제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충분히 성형 (조립)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체 현탁시의 양호한 입맛을 갖고, 또한, 액체 비현탁시의 구강내 체류성이 개선된 과립상의 경구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은, 올리고당 용액을 사용하여, 분말상의 경구 소재를 조립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입상 경구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경구 조성물은, 분말상의 경구 소재에 대해서, 올리고당 용액을 결합제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얻을 수 있고, 나아가 음식물로서도 섭취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올리고당은, 호모올리고당 또는 헤테로올리고당모두, 단당이 글리코실 결합으로 복수 개 결합한 (바람직하게는 2 당 이상 10 당 정도로 결합) 짧은 당 사슬을 말한다. 예를 들어, 라피노오스, 파라티노오스, 락티톨, 락툴로즈, 락토수크로오스, 스타치오스, 라프티로즈, 갈락토올리고당, 전이 갈락토올리고당, 겐티오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니게로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말토올리고당, 셀로올리고당, 파라티노오스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대두 올리고당이다. 이들 올리고당은, 2 종 이상을 조합시켜 함유해도 되고, d 체 l 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자일로올리고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일로올리고당은, 콘코브, 면실각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호모 다당 크실란 (헤미셀로오스) 을 원료로 하고, 자일로오스가 β-1,4 결합으로 복수 개 결합한 올리고당을 말한다. 백색이며 약간의 감미를 갖는 무취의 결정성 분말이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이 상품명 「자일로올리고 95P」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올리고당은 용액 상태에서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결합제적 역할과 동시에 분무액의 역할도 발휘한다. 올리고당을 용해하는 용매는 수성의 용매이며, 예를 들어 물 또는 함수 에탄올이다. 올리고당 용액 중의 올리고당의 농도는, 결합제적 역할과 조립수(造粒水)의 역할을 동시에 발휘하는 농도이면 되고, 그 농도는, 사용하는 올리고당의 종류 및 조립하는 분말 경구 소재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 섬유 함유 재료를 조립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올리고당의 농도는 5 ∼ 40 중량% 이다.
이들 올리고당의 경구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배합 목적에 따라 상용량으로 적절하게 함유량을 결정할 수 있는데, 올리고당의 총량이, 0.1 ∼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 ∼ 15 중량% 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조립된 경구 조성물을 특정한 목적을 위해 섭취할 때에, 올리고당의 섭취량이 성인 1 인 당 0.1 ∼ 10g, 바람직하게는 0.3 ∼ 0.8g 을 기준으로 결정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경구 소재는, 음식품, 건강식품, 의약품으로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물질, 즉, 생체 기능성을 갖는 물질로서, 입으로부터 소화관을 통해 체내로 섭취되는 소재를 말한다. 경구 소재가 분말상인 경우에는, 비산하기 쉽기 때문에, 취급이나 입으로 섭취하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으나, 섭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액상으로 하고자 하더라도, 수성 용매에 불용성 또는 난용성이면 용해에 시간이 걸리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특히, 소아, 노인에게 이들 문제는 심각하여, 조립하여 사용하기 쉽도록 할 필요가 있다. 분말상이 아닌 경구 소재인 경우에도,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75㎛ 이하의 분말을 사용하고, 본 발명의 방법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립하는 분말상의 경구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 방법에 특히 적합한 경구 소재는 수불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다. 수불용성 성분으로서는, 지용성 비타민, 불용성 식물 섬유 등이 예시되는데, 이들을 함유하는 경구 소재로서 식물 섬유 함유 소재를 들 수 있다. 식물 섬유의 주된 작용은 분변(糞便) 중량의 증가, 각 소화기관에 대한 영향, 영양 성분의 대사에 대한 영향 등인데, 이들의 생리 활성 중에서도, 단백질의 대사, 지질 대사, 당질 대사에 관련된 분야에서는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최근 식물 섬유가 장내에 존재하는 세균군에 대한 생리 작용에 관한 연구도 주목을 받고 있다. 식물 섬유는, 주로, 식물 섬유를 함유하는 잎, 싹, 줄기, 꽃, 열매, 뿌리, 이삭, 종자, 과실 등의 부분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전형적인 녹색 식물의 분말이다.
녹색 식물의 분말로서는, 소위 녹즙을 제조하기 위한 식품 소재가 보다 바람직하고, 그 예로서는, 명일엽 분말, 어린 보리잎 분말, 녹차 분말, 케일 분말 중 1 내지 그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다. 사용할 수 있는 녹색 식물의 다른 예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340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79339호 등 많은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명일엽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15493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231057호 등에 의해서 여러 가지 제법이 알려져 있는데, 그 제법에 상관없이, 건조된 명일엽 분말이면된다. 명일엽은, 미나리과의 다년초로서, 일본에서는 혼슈의 중부 및 관동 지방 태평양측의 근해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명일엽에는 쿠마린 종류, 칼콘 종류, 그 밖에 항산화 비타민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동맥 경화, 변비나 빈혈에 유효하다. 사용 부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잎, 싹, 줄기, 과실 등 전체 부위를 사용할 수 있다.
어린 보리잎 분말은, 공지 문헌 등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4117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1243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5844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98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78호) 에 의해서 여러 가지 제법이 알려져 있는데, 그 제법에 상관없이, 건조된 어린 보리잎 분말이면 된다. 어린 보리잎은, 보리류의 어린 잎을 가리키며, 구체적으로는 보리, 밀, 호밀, 귀리, 율무 등의 어린잎을 예로 들 수 있다. 어린 보리잎은 비타민류, 미네랄류, 식물 섬유 등이 풍부하여, 유해 물질의 흡수 억제, 장내 환경의 개선, 콜레스테롤의 흡수 억제, 식후 혈당치의 급상승 방지, 슈퍼옥사이드디스무타아제 (SOD) 의 활성화 등의 효과를 갖는 건강 식품의 소재로서 주목 받고 있다.
케일 분말은, 공지 문헌 등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8644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256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1924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1923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1272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127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85010호) 에 의해서 여러 가지 제법이 알려져 있는데, 그 제법에 상관없이, 건조된 케일 분말이면 된다. 케일은 십자화과 십자화속에 속하는 다년초 생목으로서, 원래 양배추의 개량종이다. 잎에는 비타민류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위염이나 위궤양의 예방, 간 기능이나 변비의 개선에 유효하다. 케일은 십자화과에 속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베리안케일, 스캇치케일, 콜라드 등의 여러 가지의 케일을 사용할 수 있다.
조립되는 분말상 경구 소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결합제를 함유할 필요는 없지만, 소망에 의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풀루란, 전분, 덱스트린, 구아검에서 선택되는 결합제를 함유해도 된다. 올리고당 이외의 결합제의 함유량은, 조립 후의 경구 조성물의 고형분으로 환산하여, 0 ∼ 2 중량% 이다. 조립되는 분말상 경구 소재는 또한 필요에 따라, 식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 혹은 보조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감미료로서 에리트리톨, 자일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파라티니트, 멀티톨, 락티톨, 아라비노오스,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아스파테임, 수크랄로오스, 스테비아 등, 강화제로서 비타민류, 안트시아니딘, 이소플라본, 칼콘, 카테킨, 리코핀, 루테인, 아스타크산틴, 루틴 등을 함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효소 처리 루틴을 항산화 성분으로서 조립 후의 경구 조성물의 고형분으로 환산하여 0.1 ∼ 10 중량% 정도 함유시킴으로써,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효소 처리 루틴은, 루틴 및 루틴의 유연체를 효소 처리에 의해서 배당체화한 것으로서, 루틴 유연체로서 케르세틴, 이소쿠엘시트린, 모린, 미리시트린, 미리세틴 등이 예시된다. 효소 처리 루틴은,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089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3164호 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을 수 있고, 효소 처리 루틴뿐만 아니라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을 함유해도 된다. 조성물당의 효소 처리 루틴의 섭취양은, 성인 1 인 당, 1 일 5㎎ ∼ 500㎎, 바람직하게는 10㎎ ∼ 300㎎ 을 기준으로 결정하면 된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의 조립 공정은, 압출 조립법, 유동층 조립법을 포함하는 임의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는데, 구내감이 좋은 과립을 얻을 수 있는 유동층 조립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시에는, 분말 경구 소재, 및 사용하는 경우에는 첨가제 혹은 보조 성분을 유동층 조립기에 투입하여 혼합한다. 한편, 올리고당은 5 ∼ 40 중량% 의 수성 용액으로서 유동층 조립기 내의 분말 경구 소재에 분무한다. 조립시의 온도, 풍량 등의 운전 조건은 임의로 설정해도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된 입자를 필요에 따라 16 호 (크기 1000㎛) 의 체에걸려 입도를 정돈하여, 경구 조성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경구 조성물은, 325 호 (크기 45㎛) 의 체를 통과하는 미분의 비율이 전량의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하이다. 입도를 정돈한 경구 조성물은, 사용 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포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경구 조성물은, 비산하기 어려운 과립제이기 때문에, 섭취 전에 액체에 현탁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게다가 현탁물을 음용할 때의 구내감이 양호하다. 현탁액의 조제에 사용되는 수성의 액체는, 경구 섭취가 가능하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물 이외에 유음료, 청량 음료, 알코올 음료 등이 예시된다. 이 경구 조성물은, 액체에 현탁하지 않고 과립 상태로 섭취한 경우에도 입안에서의 체류성이 개선되고, 매우 섭취하기 쉽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경구 조성물의 바람직한 양태는, 식물 섬유를 함유하는 입상의 식품이다.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은, 기능에 관하여 표시하여 제공되어도 된다. 기능의 표시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식품의 포장, 용기의 면, 식품의 설명서, 식품의 광고 등에 대한 표시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이 갖는 기능의 예는, 동맥 경화, 빈혈, 위염, 위궤양, 변비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 간 기능 개선, 유해 물질의 흡착 억제, 장내 환경의 개선, 다이어트 효과, 콜레스테롤의 흡수 억제, 식후 혈당치의 급상승 방지, 슈퍼옥사이드디스무타아제의 활성화, 비피더스균 증식 활성을 비롯한 정장 작용, 대장암 예방, 미네랄 흡수 촉진, 또는 항산화 작용에 기초하는 기능이다.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이들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3
분말 경구 소재로서 자일로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명일엽 분말, 어린 보리잎 분말, 말차, 효소 처리 루틴, 멀티톨, 달걀 껍질 칼슘, 녹각 영지를 사용하고, 표 1 에 나타내는 혼합 분말 약 300g 을 유동층 조립기 (FD-LAB-1(주) 파우레크사제조) 에서, 분무액으로서 자일로올리고당 30 중량% 용액,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HPC) 3 중량% 용액, 물, 프락토올리고당 30 중량% 용액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조립했다. 혼합 분말을 투입하여 3 분간 혼합한 후, 표 1 로 나타내는 분무액을 1.0 ∼ 1.5㎖/분의 속도로 분무하면서 10 ∼ 20 분간 조립했다 (품온 : 35 ∼ 40℃, 흡기 온도 : 50 ∼ 60℃). 동 장치로 15 ∼ 20 분 건조시킨 후, 조립물을 꺼내어 16 호 (메시 1000㎛) 의 체에 걸려서 과립제를 얻었다다.
조립성의 지표로서 미분의 비율을 평가하여,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즉, 325 호 (메시 45㎛) 의 체를 통과하는 미분의 비율이 전량의 25 중량% 이하인 경우를 ○, 50 중량% 이하인 경우를 △, 5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를 × 로 했다. 이것은 취급성 및 음용시의 구내감을 고려해 설정되었다.
시험예 1 ∼ 3
실시예 1 ∼ 3 에서 제조한 과립제를 5 명의 피험자에게 과립제 상태 및 물에 현탁한 상태에서 경구 섭취하게 하여, 구내감 (껄끔거림·매끄러움) 에 대해 평가받았다. 평가에서는, 3 점 : 구내감이 매우 나쁨, 2 점 : 구내감이 나쁨, 1 점 : 구내감이 약간 좋음, 0 점 : 구내감이 좋음으로 하고, 5 명의 평가 합계를 집계하여, 평균이 3 점 이하 2 점 초과를 ×, 2 점 이하 1점 초과를 △, 1 점 이하 0 점을 ○ 로 하여,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Figure 112007081732709-PCT00001
시험예 1, 2 에 있어서는, 시료 번호 1, 5 의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일로올리고당을 분말 상태에서 혼합한 후, 물로 조립하는 경우에는 껄끄러움이 있는 과립이 되어, 구내감이 좋은 과립을 얻을 수 없었다. 한편, 조립 시 분무액으로서 자일로올리고 용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HPC) 용액 단체로 조립하는 경우 (시료 번호 2, 6) 와 마찬가지로, 껄끔거림, 매끄러움이 함께 개선되어, 구내감이 좋은 과립을 얻을 수 있었다 (시료 번호 3, 7). 또한, 이 경우, 소량이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HPC) 용액을 병용해도, 조립성 및 구내감이 좋은 과립을 얻을 수 있었다 (시료 번호 4).
즉, HPC 를 결합제로서 사용하지 않고, 조립 시 분무액으로서 자일로올리고당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조립성 및 구내감이 좋은 과립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에 있어서는, 시료 번호 9 ∼ 11 의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일로올리고당 용액, 프락트올리고당 용액 중 어떠한 것을 사용하더라도, 구내감이 좋은 과립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과립제의 제조예)
본 발명의 기술을 사용하여, 과립제를 제조했다. 조립 공정의 주입량을 100㎏ 로 하고, 표 2 에 나타내는 각 성분에 대해 16 호 (메시 1000㎛) 의 체에 거른 후, 유동층 조립기 (플로우코터 200형, 프론토 산업(주)사 제조) 에 투입했다. 예비적인 유동 후, 자일로올리고당 30 중량% 용액을 약 800㎖/분의 속도로 분무하면서 약 30분 조립했다 (배기 온도 : 약 40℃ , 흡기 온도 : 60℃ ). 동 장치로 약 50 분간 건조시킨 후, 조립물을 꺼내어 16 호의 체에 걸러 조립물을 얻었다.
이 과립제에 대해 실시예 1 ∼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도 분포를 조사하여 조립성을 평가한 결과, 45㎛ 이하의 미분의 비율은 25% 이하이며, 조립성은 양호했다.
또한, 이 과립제를 5 명의 피험자에게 과립제 상태 및 물에 현탁한 상태에서 경구 섭취하게 하여, 구내감 (껄끔거림·매끄러움) 에 대해 평가받았다. 평가에 있어서는, 3 점 : 구내감이 매우 나쁨, 2 점 : 구내감이 나쁨, 1 점 : 구내감이 약간 좋음, 0 점 : 구내감이 좋음으로 하고, 5 명의 평가 합계를 집계하여, 평균이 3점 이하 2점 초과를 ×, 2 점 이하 1 점 초과를 △, 1 점 이하 0 점을 ○로 했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81732709-PCT00002
평가 결과, 실시예 4 로 얻어진 과립제는 구내감이 양호한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과 관련된 경구 조성물은, 식품, 의약품, 특히 건강식품으로서 식생활을 보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산업에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말상의 경구 소재에 올리고당 용액을 결합제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올리고당 이외의 결합제를 사용하지 않고 성형 (조립)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체 현탁 시의 양호한 입맛을 갖고, 또한, 액체 비현탁 시의 구강내 체류성이 개선된 과립상의 경구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구 조성물은, 취급이 용이하여, 소비자가 섭취를 목적으로 하는 성분 이외의 섭취가 저감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경구 조성물에는 올리고당의 갖는 정장 작용이 가해지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있어 건강상, 매우 유용하다.

Claims (19)

  1. 올리고당 용액을 사용하여, 분말상의 경구 소재를 조립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입상 경구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올리고당을 유동층 조립법의 분무액에 용해하고, 분말상의 경구 소재에 분무 함으로써, 올리고당을 결합제로하여 그 경구 소재를 조립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경구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분말상의 경구 소재가 수불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수불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소재가 식물 섬유 함유 소재인 경구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수불용성인 성분을 함유하는 소재가 녹색 식물의 분말인 경구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녹색 식물의 분말이 명일엽 분말, 어린 보리잎 분말, 녹차 분말, 케일 분말중 1 내지 그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경구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 전의 경구 소재에 항산화 성분으로서 효소 처리 루틴을 함유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경구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올리고당이 자일로올리고당인 경구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구 조성물 중의 올리고당 함량을 전고형분에 대해서 0.1 ∼ 30 중량%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구 조성물 중의 올리고당 함량을 전고형분에 대해서 1 ∼ 20 중량%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구 조성물 중의 올리고당 함량을 전고형분에 대해서 3 ∼ 15 중량%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구 조성물이 물 또는 물을 함유하는 액체에 현탁하는 조성물인 경구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올리고당 이외의 결합제를 전고형분에 대해서 0 ∼ 2 중량% 함유시키는 경구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경구 조성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메시 45㎛ 의 체를 통과하는 미분말이 25 중량% 이하인 경구 조성물.
  16. 제 13 항, 제 14 항 또는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포(分包)된 경구 조성물.
  17. 제 16 항에 있어서,
    식물 섬유 함유 식품인 경구 조성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기능에 관한 표시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조성물.
  19. 제 18 항에 있어서,
    기능이 동맥 경화, 빈혈, 위염, 위궤양, 변비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 간 기능 개선, 유해 물질의 흡착 억제, 장내 환경의 개선, 다이어트 효과, 콜레스테롤의 흡수 억제, 식후 혈당치의 급상승 방지, 슈퍼옥사이드디스무타아제의 활성화, 비피더스균 증식 활성을 비롯하여 정장 작용, 대장암 예방, 미네랄 흡수 촉진 또는 항산화 작용에 기초하는 기능인 경구 조성물.
KR1020077026508A 2005-05-31 2006-05-15 올리고당 용액을 사용하여 입상 경구 조성물을 제조하는방법 KR200800113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58628A JP2006335648A (ja) 2005-05-31 2005-05-31 オリゴ糖溶液を用いて粒状経口組成物を製造する方法
JPJP-P-2005-00158628 2005-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389A true KR20080011389A (ko) 2008-02-04

Family

ID=3748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508A KR20080011389A (ko) 2005-05-31 2006-05-15 올리고당 용액을 사용하여 입상 경구 조성물을 제조하는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6335648A (ko)
KR (1) KR20080011389A (ko)
CN (1) CN1872342A (ko)
TW (1) TW200718434A (ko)
WO (1) WO20061294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023B1 (ko) * 2021-04-29 2022-02-17 주식회사 셀로닉스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는 과립제형의 프락토올리고당 프리바이오틱스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8974B2 (ja) * 2007-11-05 2011-08-31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酸性乳飲料
JP4600853B2 (ja) * 2007-12-21 2010-12-22 日本薬品開発株式会社 麦類若葉由来凝縮液含有物顆粒、顆粒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24943B2 (ja) * 2008-01-30 2013-10-2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流動層造粒による粒状食品組成物の製造方法
JP6523164B2 (ja) * 2013-04-26 2019-05-29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フラクトオリゴ糖とケルセチン配糖体とを含有する組成物
JP6910185B6 (ja) * 2017-04-13 2021-10-20 雄二 松川 副交感神経優位化リンパ球活性化抗腫瘍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6910200B6 (ja) * 2017-05-12 2021-10-20 雄二 松川 上部消化管粘膜吸収による副交感神経優位化リンパ球活性化上部消化管粘膜吸収抗腫瘍剤
JP2019201629A (ja) * 2018-05-17 2019-11-28 大正製薬株式会社 固形物
CN117462602B (zh) * 2023-12-27 2024-03-29 深圳保时健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益生菌复合剂及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5367B2 (ja) * 1997-09-10 2004-03-08 三菱化学フーズ株式会社 甘味料組成物
JP2000336354A (ja) * 1999-03-19 2000-12-05 Sanei Gen Ffi Inc 退色防止剤
JP2002218945A (ja) * 2001-01-25 2002-08-06 Toyo Shinyaku:Kk 食物繊維含有食品およびその成型方法ならびに成型方法に用いる結合剤
JP2005124587A (ja) * 2001-12-28 2005-05-19 Toyo Shinyaku:Kk ケール乾燥粉末の造粒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02639A (ja) * 2003-10-01 2005-04-21 Marutomo Co Ltd 便秘改善用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95840A (ja) * 2004-04-08 2005-10-27 Yoshio Minamitani 健康こんにゃく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023B1 (ko) * 2021-04-29 2022-02-17 주식회사 셀로닉스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는 과립제형의 프락토올리고당 프리바이오틱스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72342A (zh) 2006-12-06
WO2006129468A1 (ja) 2006-12-07
TW200718434A (en) 2007-05-16
JP2006335648A (ja)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1389A (ko) 올리고당 용액을 사용하여 입상 경구 조성물을 제조하는방법
TWI666021B (zh) 含有寡果糖與槲皮素配醣體之組成物
Akhilesh et al. Comparative study of carriers used in proniosomes
IE841374L (en) Coated dietary fiber
WO2007043656A1 (ja) 機能性咀嚼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使用方法
JP3390438B2 (ja) 粒状塩基を含有したオオバコドリンクミックス組成物
JP4820288B2 (ja) 食物繊維を含有する健康食品の製造方法
JP5442243B2 (ja) 腎障害抑制剤
KR20070120944A (ko) 수크라아제 활성 저해제, 글루코아밀라아제 활성 저해제 및이들을 포함하는 식품 및 사료
JPH07508880A (ja) オオバコドリンクミックス組成物
GB2404561A (en) A starch and/or sucrose substitute comprising a low glycaemic index sugar and a flavonoid
JPH03141226A (ja) 食用酸を含有する凝集オオバコ包被
EP1173069A1 (en) Granular delivery system
KR20140096272A (ko) 과립 및 피복 조립물
CN1108107C (zh) 木糖醇含片及其制造方法
JPH11290024A (ja) ウコギ科人参エキス組成物
JP5324943B2 (ja) 流動層造粒による粒状食品組成物の製造方法
JPH07504329A (ja) 低粒度オオバコドリンクミックス組成物
JP3403729B2 (ja) 無味オオバコドリンクミックス組成物
TW202011943A (zh) 易服用性顆粒劑及其製造方法
KR102563397B1 (ko) 당 알코올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인 스노우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178809A (ja) Hdlコレステロール上昇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