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542A - 이앙기의 작업기 조작레버 배치구성 - Google Patents

이앙기의 작업기 조작레버 배치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542A
KR20060129542A KR1020067023257A KR20067023257A KR20060129542A KR 20060129542 A KR20060129542 A KR 20060129542A KR 1020067023257 A KR1020067023257 A KR 1020067023257A KR 20067023257 A KR20067023257 A KR 20067023257A KR 20060129542 A KR20060129542 A KR 20060129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lanting
seat
rice transplanter
unit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이노우에
히데키 마츠오카
Original Assignee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9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6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 B62D49/0692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characterised by the particular arrangement of control devices, e.g. having more than one control stand, operable from vehicle extension (control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석에 앉은 운전자가 주행을 정지하는 일 없이 간단히 레버를 조작할 수 있고 또한, 후부 스텝에서 모공급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이앙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차량(1)에 식부부(2)를 승강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고, 상기 차량에 조작자가 발을 올려놓는 중앙 스텝(45)과, 상기 중앙 스텝(45)의 후방에 있으며 상기 중앙 스텝(45) 보다 한 단계 높은 후부 스텝(46)과, 상기 후부 스텝(46)에 설치되는 좌석(5)과, 상기 중앙 스텝(45) 및 상기 후부 스텝(46)을 연결하는 연결부(77)를 구비하고, 상기 식부부에 유닛클러치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 상기 유닛클러치를 조작하기 위한 유닛클러치레버(53)를 배치한다.
이앙기의 조작 레버 배치 구성

Description

이앙기의 작업기 조작레버 배치구성{WORKING MACHINE CONTROL LEVER ARRANGING CONSTRUCTION OF RICE TRANSPLANTER}
도 1은 이앙기의 사시도;
도 2는 동 측면도;
도 3은 동 평면도;
도 4는 프론트 칼럼(front column)을 나타내는 후면도;
도 5는 조작기구의 배치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좌석 부근의 레버 배치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좌석 우측의 레버 배치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좌석 좌측의 레버 배치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동 측면도;
도 10은 레버 유닛과 프레임의 연결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레버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유닛 클러치의 와이어 배치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유닛 클러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14는 유압정지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앙기의 작업기를 조작하는 레버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앙기의 유닛클러치레버와 유압정지레버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식부부 승강레버(planting portion lifting lever) 및 유닛클러치레버(unit clutch lever)가 운전석의 한 쪽에 배치되고, 주변속레버(main speed change lever)가 다른 쪽에 배치되어 있는 이앙기가 알려져 있다. 이들 조작레버는 평평한 스텝면(step surface)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차량은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 61-8061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식부 케이싱(planting casing)으로의 구동력을 단속(斷續)하는 유닛클러치레버는 모 선반(seedling rack) 부근에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 61-80613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으로는, 스텝면 부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어렵다. 또한, 모(seedling)공급 작업시에 발판 부분이 좁다. 따라서, 그 차량 부분의 스텝면상에서 모 공급 작업을 위한 공간이 확장될 수 없다.
유닛클러치레버가 모 선반 부근에 배치된 경우에는, 식부작업시 조작자가 이앙기를 정지시키고 뒤로 돌아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이 중단된다. 상기 공간에 배치된 유닛클러치레버의 조작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좌석에 앉은 운전자가 주행을 정지하는 일 없이 간단히 레버를 조작할 수 있고 또한, 후부 스텝에서 모공급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이앙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앙기는 차량에 식부부를 승강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고, 상기 차량에 조작자가 발을 올려놓는 중앙 스텝과, 상기 중앙 스텝의 후방에 있으며 상기 중앙 스텝보다 한 단계 높은 후부 스텝과, 상기 후부 스텝에 설치되는 좌석과, 상기 중앙 스텝 및 상기 후부 스텝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설치하며, 상기 식부부에 유닛클러치를 설치하며, 상기 연결부에 상기 유닛클러치를 조작하기 위한 유닛클러치레버를 배치한다.
또한, 상기 이앙기는 상기 차량의 상기 중앙 스텝 전방에 핸들을 배치하고, 상기 핸들의 측방이면서 하방에 변속 페달을 설치하며, 상기 핸들의 측방에 식부부 승강 레버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이앙기는 상기 핸들의 상기 식부부 승강 레버와는 좌우 반대측의 측방에 주 변속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핸들의 측방이면서 하방에는 부 변속 페달을 설치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도 3에 따라, 승용(乘用) 이앙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승용 이앙기는 차량(1)과 식부부(2)로 구성된다. 차량(1)의 후방부에는 링크 기구(linkage mechanism)(9)가 구비되어 있다. 식부부(2)는 링크기구(9)를 통해 차량(1)에 연결되어 있다. 식부부(2)는 링크기구(9)에 의해 차량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조작자는 차량(1)에 탑승하여 차량을 조작한다. 차량(1)에 있어서, 엔진은 차체 프레임(vehicle body frame)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스텝(6)은 프레임의 상부를 덮고 있다. 프론트 칼럼(front column)(3)은 차량(1) 전방부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있다. 프론트 칼럼(3)의 상부에는 패널(panel)(37)과 각종 조작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 칼럼(3)은 보닛(bonnet)(8)에 의해 덮여있다.
보닛(8)에는 엔진이 배치되어 있다. 엔진의 후방에는 유압식 무단변속기(hydrulic stepless speed change gear) 또는 다른 변속기구가 연결되어 있다. 엔진의 구동력은 벨트와 벨트 풀리(belt pulley)를 통해 변속기구로 전달된다. 또한, 변속기구는 엔진의 구동력을 전륜, 후륜, 및 식부부(2)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기구에 연결되어 있다.
프론트 칼럼(3)의 좌우측에는 한 쌍의 예비 모 선반(reserve seedling rack)(7)이 배치되어 있고, 프론트 칼럼(3)의 상부에는 핸들(steering wheel)(4)이 배치되어 있다. 핸들(4)은 프론트 칼럼(3)의 후방 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핸들(4)에 의해 조작자가 차량을 조향할 수 있다. 주변속레버(main speed change lever)와 같은 조작레버는 핸들(4)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 칼럼(3)의 후방부에는 좌석(5)이 배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좌석(5)에 앉아 승용 이앙기를 조작한다.
식부부(2)는 모 선반(10)과 두 개 이상의 로터리 식부기구(rotary planting mechanism)(11) 등이 구비되어 있고, 링크기구(9)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모 선반(10)은 전방부가 높고 후방부가 낮게 경사 배치되어 있다. 모 선반(10)의 하부에는 로터리 식부기구(11)가 배치되어 있다. 로터리 식부기구(11)의 식부 갈퀴(planting prong)는 모 선반(10)의 하부로부터 모를 식부한다.
모선반(10)은 로터리 식부기구(11)에 대해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전후륜이 구동되는 동시에 이앙기가 이동하면서 모선반(10)이 슬라이딩된다. 로터리 식부기구(11)의 식부 갈퀴는 모선반(10)으로부터 한 줄기의 모를 뽑으면서 연속적으로 모를 심는다. 모선반(10)의 하부에는 모 이송벨트(75)가 배치되고 모가 모 이송벨트(75)에 의해 식부 갈퀴로 이송된다.
좌석(5)과 식부부(2) 사이에는 시비기(fertilization machine, 施肥機)(12)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에 따라 핸들(4) 및 주변속레버의 배치를 설명한다.
프론트 칼럼(3)의 후방 상부에는 핸들(4)이 배치되어 있다. 주변속레버(15)는 핸들의 한 쪽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쪽에는 가속레버(16)과 식부부 승강레버(17)가 배치되어 있다.
주변속레버(15)는 브래킷(19)에 의해 횡방향으로 회동(rotation)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19)은 프론트 칼럼(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피벗(pivot)(20)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브래킷(19)이 길이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어서 주변속레버(15)가 길이방향 및 횡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주변속레 버(15)는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굴곡되어 좌석(5)에 앉은 조작자를 향하고 있다.
브래킷(19) 위에는 레버 가이드(lever guide)(18)가 위치하고 있다. 주변속레버(15)는 레버 가이드(18)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주변속레버(15)의 회동영역이 레버 가이드(18)에 의해 규제된다. 주변속레버(15)는 레버 가이드(18)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된다.
가이드 홈(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가이드(18)에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 홈(21)은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홈(21a), 횡방향으로 구비된 홈(21b), 및 차체의 내측으로 비스듬히 굴곡된 홈(21c)으로 구성된다.
횡방향의 홈(21b)은 차체의 내측에 길이방향의 홈(21a)의 중간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굴곡된 홈(21c)은 차체의 내측에 길이방향의 홈(21a)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굴곡된 홈(21c)은 중간부분과 후방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전단부에서 차체의 내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프론트 칼럼(3)에서, 주변속레버(15)의 반대측에는 식부부 승강레버(17)와 가속레버(16)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부부 승강레버(17) 및 가속레버(16)가 차체의 우측에 구비되어 있다.
가속레버(16)는 식부부 승강레버(17)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식부부 승강레버(17)는 가속레버(16)보다 더 길게 구성되어 있다. 식부부 승강레버(17)와 가속레버(16)는 레버 가이드(31)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있고, 레버 가이드(31)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된다.
식부부 승강레버(17)는 식부부(2)의 수직이동을 제어하고 마커(marker)를 조 작하기 위한 것이다. 가속레버(16)는 차량(1)의 구동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가속레버(16)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구동속도를 조절한다.
레버 가이드(31)에는 가이드 홈(34, 35)이 구비되어 있다. 가속레버(16)의 회동방향은 가이드 홈(35)에 의해 규제된다. 식부부 승강레버(17)의 회동은 가이드 홈(34)에 의해 규제된다.
가속레버(16)와 식부부 승강레버(17)는 가이드 홈(34, 35)에서 각각 길이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가속레버(16)와 식부부 승강레버(17)는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어 있다.
식부부 승강레버(17)는 길이방향으로 회동하고 횡방향으로 기울어질(tilt) 수 있다. 가속레버(16)는 식부부 승강레버(17)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속레버(16)는 식부부 승강레버(17)보다 짧아서 가속레버(16)의 상단부가 식부부 승강레버(17)의 상단보다 낮다.
이앙 작업에 있어서, 조작 빈도가 높은 식부부 승강레버(17)는, 가속레버(16)와 핸들(4) 모두의 외측에 구비되어 있다. 식부부 승강레버(17)는 좌석(5)의 측단부 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식부부 승강레버(17)가 좌석에 앉은 조작자의 우측 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그 취급이 용이하다.
가속레버(16)는 식부부 승강레버(17)와 핸들(4)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조작시스템의 공간이 소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식부부 승강레버(17)와 핸들(4) 사이에 배치된 가속레버(16)의 상단은 식부부 승강레버(17)의 상단과 핸들(4)의 그립 부(grip portion) 보다 낮다.
따라서, 식부부 승강레버(17)와 핸들(4) 사이에서 가속레버(16)를 조작하기 위한 공간이 충분히 얻어질 수 있다. 프론트 칼럼(3)의 상부는 소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식부부 승강레버(17)의 조작의 경우에, 조작자의 손이 가속레버(16)에 쉽게 닿을 수 없다. 따라서, 가속레버(16)가 식부부 승강레버(17) 가까이에 수직으로 구비되어도 가속레버(16)는 식부부 승강레버(17)의 조작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가이드 홈(34)은 레버 가이드(31)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길이방향의 가이드 홈(34)은 좌우에 노치(notch)를 가진다. 식부부 승강레버(17)는 길이방향 회동에 의해 식부부(2)의 수직이동을 제어하고 가이드 홈(34)의 좌우 노치에 위치됨으로써 마커를 조작한다. 식부부 승강레버(17)는 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부터 자동으로 복귀한다.
레버 가이드(31)의 하부에는 브레이크 페달(33)이 배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33)의 외측에는 부변속 페달(sub speed change pedal)(32)이 배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33)과 부변속 페달(32)은 프론트 칼럼(3)의 대각선 후방에 배치되도록 스텝(6)에 구비되어 있다.
부변속 페달(32)은 차량(1)의 구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차량(1)에 장착되어 있는 유압식 무단 변속기를 제어한다. 부변속 페달(32)은 엔진에 연결된 유압식 무단 변속기의 경사판(swash plate)의 틸트각(tilting angle)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6∼도 9에 따라 좌석(5) 부근의 구성을 설명한다.
좌석(5)은 스텝(6)의 후방구조부인 후부 스텝(46)의 좌우 중앙부에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좌석(5)은 후술되는 차체 프레임(56)에 고정되어 있고, 후방 구조부(46)는 상기 좌석(5)과는 별개로 차체 프레임(56)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좌석(5)의 대각선 하부 외측에는 식부부(2)의 조작을 위한 레버들이 배치되어 있다.
좌석(5) 부근에 있어서, 스텝(6)은 중앙 스텝(45), 후부 스텝(46), 기립부(standup portion)(48), 및 레버 가이드부(47)를 포함한다. 중앙 스텝(45)은 조작자의 발을 두기 위한 것이다.
중앙 스텝(45)과 후부 스텝(46)은 기립부(48)와 레버 가이드부(47)로 사용되는 연결부(77)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기립부(48)는 연결부(77)에서 실질상 수직으로 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립부(48)의 하부는 중앙 스텝(45)에 연결되어 있고, 그 상부는 후부 스텝(46)과 레버 가이드부(47)에 연결되어 있다. 레버 가이드부(47)는 연결부(77)의 전방으로 하향하도록 경사진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후부 스텝(46)은 레버 가이드부(47)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레버들은 레버 가이드부(47)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중앙 스텝(45)은 프론트 칼럼(3)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후부 스텝(46)은 중앙 스텝(45)보다 한층 높게 구성되어 있다. 중앙 스텝(45)과 후부 스텝(46)은 실질상 수평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비기(12)는 후부 스텝(4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 다.
연결부(77)는 중앙 스텝(45)과 후부 스텝(46)을 연결한다. 레버 가이드부(47)는 연결부(77)의 좌우 중앙부에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77)의 기립부(48)는 그 측면에서 횡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앙 스텝(45)과 후부 스텝(46)은 차체의 좌우측부에서 기립부(48)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기립부(48)의 전방과 좌석(5)의 전단 하부에는 전륜의 차동기구를 제한하는 차동제한 제어페달(differential lock control pedal)(49)이 배치되어 있다.
레버 가이드부(47)는 전방으로 하향하도록 경사져 있다.레버 가이드부(47)에는 가이드 홈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식부의 조작을 위한 레버들은 레버 가이드부(47)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식부의 조작을 위한 레버들은 좌석(5) 하부에, 연결부(77)의 경사면에 배치된 레버 가이드부(47)상에 구비되어 있다.
좌석(5)의 한 쪽 하부에는 유닛클러치레버(53)가 배치되어 있다. 좌석(5)의 다른 쪽 하부에는 유압정지레버(52)와 감도조절레버(51)가 구비되어 있다.
둑(levee) 옆에서 작업하는 경우에 조작되는 유닛클러치레버(53), 감도조절레버(51), 및 유압정지레버(52)는 통상 식부용 장치의 조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좌석(5)의 측부 하방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좌석(5)에 앉아 있는 조작자가 유닛클러치레버(53), 감도조절레버(51), 및 유압정지레버(52)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4), 주변속레버(15), 식부부 승강레버(17), 및 가속레버(16) 등이, 좌석(5)의 측부 하방에 구비되고 둑 옆에서의 작업시에 조작되는 레버들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조작자가 앉은 채, 둑 옆에서 작업하는 경우에 조작되는 레버들을 조작할 수 있고, 이앙기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유닛클러치레버(53), 감도조절레버(51), 및 유압정지레버(52)는 중앙 스텝(45)과 후부 스텝(46) 사이의 좌석 측면에 배치되고 전방으로 하향되도록 경사진 레버 가이드부(47)에 배치되어, 레버 가이드부(47)의 평면투영면적이 좁아질 수 있고, 중앙 스텝(45)과 후부 스텝(46)의 면적이 커질 수 있다.
좌석(5) 측면의 공간이 커져서, 모를 모선반(10)에 공급하는 작업에 있어서, 조작자가, 유닛클러치레버(53), 감도조절레버(51), 및 유압정지레버(52)를 쉽게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구동작업과 모 공급작업 모두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유압정지레버(52)와 감도조절레버(51)는 좌석(5)의 좌측에 배치되고 유압정지레버(52)는 감도조절레버(51)의 내측에 배치된다.
유압정지레버(52)와 감도조절레버(51)는 길이방향으로 회동된다. 유압정지레버(52)는 식부부(2)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승강시키기 위한 유압 작동유 공급 유로의 개폐를 스위칭(switching)하기 위한 것이다.
감도조절레버(51)는 식부부(2)에 구비된 플로트(float)의 경사(tilt)에 대한 식부부(2)의 자세 제어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식부부(2)의 수직 이동을 위해 유압회로를 개폐하는 유압정지레버(52)는, 유압정지레버(52)가 식부작업과 모 공급작업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좌석(5) 하부의 스텝의 기립면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자가 좌석(5)에 앉아 있을 때나 조작자가 차량으로부터 내렸을 때 모두 조작자가 유압정지레버(52)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유닛클러치레버(53)는 좌석(5) 우측의 레버가이드부(47)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앙기가 6열(six rows)용이기 때문에 3개의 레버가 유닛클러치레버(53)로서 사용된다. 각 유닛클러치레버(53)는 2열용 식부부(2), 즉, 한 쌍의 로터리 식부기구(11), 한 쌍의 모 공급벨트(75) 및 시비기(12)의 송출부(delivery portion)로의 구동전달의 단속조작을 위해 구비되어 있다.
유닛클러치레버(53)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유닛클러치레버(53)는 길이방향 회동에 의해 조작된다.
유닛클러치레버(53)는 좌석(5) 하부의 스텝의 기립면에 배치되어 있어서 유닛클러치레버(53)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면, 식부작업시에 좌석(5)에 앉아 있는 조작자가 유닛클러치를 스위칭할 수 있다.
유닛클러치레버(53)는 좌석(5)의 표면보다 아래에, 그리고, 좌석(5)의 측면 부근에 위치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유닛클러치레버(53)와 닿는 것을 염려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고, 조작자의 동작을 위한 스텝면이 넓어질 수 있기 때문에, 모 공급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조작자는 핸들을 쥔 채, 또는 전방을 보면서 유닛클러치레버(53) 등의 레버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모 공급작업의 작업성과 식부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레버들이 좌석(5) 부근과 스텝(6)의 경사부에 배치되어, 조작자가 레버들의 회동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조작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후부 스텝(46)은 모 공급작업시 발판(scaffold)으로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도 14에 따라, 좌석(5) 부근의 레버 배치를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56)은 두 개의 길이방향 프레임(73)과 프레임(73)을 서로 연결하는 횡방향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56)의 전방부에는 엔진(도시 안됨)이 배치되어 있다. 엔진 후방에는 변속장치(57)가 배치되어 있다. 엔진의 구동력은 변속장치의 측방에 배치된 앞차축 케이싱(front axle casing)과 차체 후방에 배치된 뒤차축 케이싱(rear axle casing)으로 전달된다.
유닛클러치레버(53), 감도조절레버(51), 및 유압정지레버(52)는 레버지지부재(58)상에 배치되어 있다. 레버지지부재(58)는 차체 프레임(56)의 길이방향으로 중앙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56)의 후단부에는 상단링크 지지부(59)가 배치되어 있다. 상단링크 지점(top linkage fulcrum)으로 사용되는 상단링크 지지부(59)에는 링크기구(9)의 상단링크가 연결되어 있다. 상단링크 지지부(59)의 측방에는 클러치와이어 유지부(60)가 배치되어 있다.
레버지지부재(58)에 배치된 유닛클러치레버(53)에는 와이어(61)가 연결되어 있다. 구동력의 단속조작은 식부 케이싱에서 와이어(61)를 통해 수행된다.
각 와이어(61)의 일단은 각 유닛클러치레버(53)의 기부(basal portion)에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61)의 내측은 각각의 유닛클러치레버(53)의 정지부(stoppong portion)(62)에 연결되어 있고, 와이어(61)의 외측은 레버지지부재(58)에 고정된 스테이(stay)(66)에 고정되어 있다.
와이어(61)의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고, 클러치와이어 유지부(60)에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와이어 유지부(60)는 평면으로 봤을 때 U자형인 부재와 U자형 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링크기구로 구성된다. U자형부재의 U자 형상의 상부는 차체 프레임(56)에 연결되고 하부는 식부부(2)에 연결된 와이어의 외측에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와이어(61)의 내측은 링크 기구를 통해 로터리 식부기구(11), 시비기(12)의 송출부, 및 모 이송벨트(seedling feed belt)(75)의 구동력 단속기구에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와이어 유지부(60)는 유닛클러치의 작동링크를 유지하고, 와이어(61)의 외측을 잡으며, 그것들과 링크기구를 연결한다. 클러치와이어 유지부(60)는 차체 프레임(56) 후방에 배치된 상단링크 지지부(59)의 측방에 구비되어, 식부부(2)가 상승되어도 클러치와이어가 식부부를 쉽게 추종(follow, 追從)할 수 있다.
와이어(61)의 길이는 상승하는 링크의 각도에 따라 변하지 않기 때문에, 와이어(61)는 이완 또는 긴장되지 않고, 식부부(2)가 어떤 위치에 있더라도 작동력(operationg force)이 안정된다. 링크기구에 의해 작동공간이 감소되지 않아, 조절 작업성이 양호하다.
각각의 유닛클러치레버(53)의 기부에는 멈춤쇠 기구(detent mechanism)가 배치되어 유닛클러치레버(53)가 구동력 전달위치 또는 차단위치에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유닛클러치레버(53)의 상단부에는 푸시버튼(push button)식의 해제 스위치 (푸시버튼)(67)가 구비되어 있다. 유닛클러치레버(53)의 유지기구는 스위치(푸시버튼)(67)를 누름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
유닛클러치레버(53)의 피벗(63)에는 축선중심방향과 직각으로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각 구멍에는 볼(ball)(65)들이 배치되어 있다. 볼(65)은 구멍내에 배치된 스프링 등에 의해 유닛클러치레버(53)의 측방에 치우쳐 있다. 볼(65)에는 푸시로드(push rod)(64)가 접하고 있다.
자연상태에서, 볼(65)은 각 유닛클러치레버(53)의 기부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맞춰져 있기 때문에, 유닛클러치레버(53)가 고정된 위치에 유지된다. 푸시로드(64)는 푸시버튼(스위치)(67)에 연결되어 있다. 푸시버튼(67)을 누름으로써, 푸시로드(64)가 볼(65)을 눌러 대응하는 유닛클러치레버(53)로부터 볼(65)을 해제하기 때문에, 유닛클러치레버(53)가 피벗(63)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각 버튼들을 누름으로써 해제되는 유닛클러치레버(53)는 차량의 주행 중 쉽게 조작될 수 있고 실수로 조작자와 닿아도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모 공급시나 차체로의 승강시에 오조작이 없다.
다음으로, 도 14에 따라 유압정지레버(52)의 구성을 설명한다.
유압정지레버(52)는 유압정지밸브(71)와 직결되어 있다. 회동하는 유압정지레버(52)는 유압정지밸브의 개폐를 수행한다. 유압정지밸브(71)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72)와 직결되어 있다.
유압정지밸브(71)는 유압정지레버(52)의 기부와 연결되어 있다. 어큐뮬레이터(72)는 유압정지밸브(71)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을 차단하는 기구가 유압정지레버(52)에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압규제기구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72)는 유압정지밸브(71)에 직결되어 있고, 식부부(2)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실린더와 유압정지밸브(71)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용과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중량과 조립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 스텝 및 후부 스텝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유닛클러치레버가 배치되어 있어 좌석에 앉은 운전자가 주행을 정지하는 일 없이 간단히 레버를 조작할 수 있고, 또한, 후부 스텝에서 모공급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와 간섭하지 않게 된다(청구항1).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변속 페달 및 식부부 승강 레버를 중앙 스텝의 전방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좌석 좌우(후부 스텝)에 이들 기능을 가지는 레버가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청구항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유닛클러치레버도 이 위치에는 없으므로 이들 레버가 좌석으로의 승강이나 후부 스텝에서의 모공급 작업 등의 지장이 되는 일은 없다. 또한, 변속 조작을 페달에 의한 것으로 했으므로 핸들에서 손을 떼는 일 없이 변속 조작을 할 수 있다. 한편, 식부부 승강 레버에 대해서는 핸들 측방으로 함으로써 핸들로부터 손을 떼어 바로 이 레버를 조작할 수 있어 운전하기 쉽다. 이와 같이, 좌석 좌우 근방에 없어도 조작 용이성이 확보되어 있다(청구항2).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들 측방에는 또한 주 변속 레버가 설치되어 있어 역시 핸들로부터 손을 떼어 바로 이것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핸들의 일측방에 식부부 승강 레버와 그 하방의 부 변속 페달, 타측방에 주 변속 레버를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사용 빈도가 높은 식부부 승강 레버를 우측, 사용 빈도가 낮은 주 변속 레버를 좌측에 배치함으로써 더욱 조작 용이성이 확보된다. 또한, 주 변속 레버 및 식부부 승강 레버는 이러한 좌우 분산 배치에 의해 좌우 한쪽에 레버 배치부가 크게 돌출되지 않아 컴팩트성이 확보된다(청구항3).

Claims (3)

  1. 차량에 식부부를 승강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고; 상기 차량에 조작자가 발을 올려놓는 중앙 스텝과, 상기 중앙 스텝의 후방에 있으며 상기 중앙 스텝보다 한 단계 높은 후부 스텝과, 상기 후부 스텝에 설치되는 좌석과, 상기 중앙 스텝 및 상기 후부 스텝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설치하며; 상기 식부부에 유닛클러치를 설치한 이앙기로서: 상기 연결부에 상기 유닛클러치를 조작하기 위한 유닛클러치레버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기 중앙 스텝 전방에 핸들을 배치하고, 상기 핸들의 측방이면서 하방에 변속 페달을 설치하며, 상기 핸들의 측방에 식부부 승강 레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상기 식부부 승강 레버와는 좌우 반대측의 측방에 주 변속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핸들의 측방이면서 하방에는 부 변속 페달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KR1020067023257A 2001-05-24 2001-09-17 이앙기의 작업기 조작레버 배치구성 KR200601295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56082A JP4777537B2 (ja) 2001-05-24 2001-05-24 田植機の作業機操作レバー配置構造
JPJP-P-2001-00156082 2001-05-2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633A Division KR20030038563A (ko) 2001-05-24 2001-09-17 이앙기의 작업기 조작 레버 배치구성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917A Division KR20070089253A (ko) 2001-05-24 2001-09-17 이앙기의 작업기 조작레버 배치구성
KR1020077008143A Division KR100739416B1 (ko) 2001-05-24 2001-09-17 이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542A true KR20060129542A (ko) 2006-12-15

Family

ID=19000141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143A KR100739416B1 (ko) 2001-05-24 2001-09-17 이앙기
KR1020097004205A KR101178761B1 (ko) 2001-05-24 2001-09-17 이앙기의 작업기 조작레버 배치구성
KR1020067023257A KR20060129542A (ko) 2001-05-24 2001-09-17 이앙기의 작업기 조작레버 배치구성
KR1020077017917A KR20070089253A (ko) 2001-05-24 2001-09-17 이앙기의 작업기 조작레버 배치구성
KR1020097004209A KR101178763B1 (ko) 2001-05-24 2001-09-17 이앙기의 작업기 조작레버 배치구성
KR1020027017633A KR20030038563A (ko) 2001-05-24 2001-09-17 이앙기의 작업기 조작 레버 배치구성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143A KR100739416B1 (ko) 2001-05-24 2001-09-17 이앙기
KR1020097004205A KR101178761B1 (ko) 2001-05-24 2001-09-17 이앙기의 작업기 조작레버 배치구성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917A KR20070089253A (ko) 2001-05-24 2001-09-17 이앙기의 작업기 조작레버 배치구성
KR1020097004209A KR101178763B1 (ko) 2001-05-24 2001-09-17 이앙기의 작업기 조작레버 배치구성
KR1020027017633A KR20030038563A (ko) 2001-05-24 2001-09-17 이앙기의 작업기 조작 레버 배치구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777537B2 (ko)
KR (6) KR100739416B1 (ko)
CN (1) CN1253068C (ko)
TW (1) TWI222850B (ko)
WO (1) WO20020946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265A (ja) * 2006-03-08 2007-09-20 Yanmar Co Ltd 乗用型田植機における苗植付け条数の可変装置
KR100786234B1 (ko) * 2007-01-02 2007-12-17 대동공업주식회사 승용 이앙기
KR200472732Y1 (ko) * 2008-12-08 2014-05-19 대동공업주식회사 승용형 수전작업기
JP7202921B2 (ja) * 2019-02-21 2023-01-12 株式会社クボタ 植播系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136Y2 (ko) * 1987-12-16 1993-11-17
JPH09172826A (ja) * 1995-12-28 1997-07-08 Kubota Corp 乗用移植機
JPH09313016A (ja) * 1996-05-29 1997-12-0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乗用管理作業車の運転部
JP2000350509A (ja) * 1999-06-10 2000-12-19 Kubota Corp 施肥装置付き田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309A (ko) 2009-03-20
KR101178761B1 (ko) 2012-09-26
KR101178763B1 (ko) 2012-09-26
TWI222850B (en) 2004-11-01
KR20070089253A (ko) 2007-08-30
JP2002347670A (ja) 2002-12-04
CN1438953A (zh) 2003-08-27
KR20090031954A (ko) 2009-03-30
KR20070043060A (ko) 2007-04-24
KR20030038563A (ko) 2003-05-16
KR100739416B1 (ko) 2007-07-13
CN1253068C (zh) 2006-04-26
WO2002094643A1 (fr) 2002-11-28
JP4777537B2 (ja)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763B1 (ko) 이앙기의 작업기 조작레버 배치구성
KR102129354B1 (ko) 농업용 작업차량
KR100436492B1 (ko) 이동 농기의 조작장치
KR100928012B1 (ko) 이앙기
KR100928015B1 (ko) 이앙기
JP4296657B2 (ja) 田植機
JP2004121013A (ja) 乗用形田植機の補助クラッチ操作構造
KR100376367B1 (ko) 모 이식기
JP5779995B2 (ja) 苗移植機
KR20100006093U (ko) 승용형 수전작업기
JP7201757B2 (ja) 制御パネル付きの田植機
KR20050026343A (ko) 무논작업기
JPH11315911A (ja) 移動農機
JP2001112313A5 (ko)
JP3901149B2 (ja) 農作業機の操作装置
JP2534130B2 (ja) 田植機における補助苗載置装置
JP3080546B2 (ja) 水田作業車における機体昇降装置
JP2012249535A5 (ko)
JP3815173B2 (ja) 苗移植機
JP2508804Y2 (ja) 田植機における補助苗載置装置
JP2002051619A (ja) 苗移植機の苗植装置昇降装置
JP2542351Y2 (ja) 歩行型移動農機の操作装置
JP2021019567A (ja) 苗移植機
JP2001016930A (ja) 田植機の苗植付装置
JP2004033167A (ja) 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210

Effective date: 2008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