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376A -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376A
KR20060115376A KR1020067008272A KR20067008272A KR20060115376A KR 20060115376 A KR20060115376 A KR 20060115376A KR 1020067008272 A KR1020067008272 A KR 1020067008272A KR 20067008272 A KR20067008272 A KR 20067008272A KR 20060115376 A KR20060115376 A KR 20060115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mooth
mold container
body por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3608B1 (ko
Inventor
노리카주 시노기
타쿠 타카하시
히로시 우에마츠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5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65Drinking cu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3Plates, dishes or the like for using only once, e.g. made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42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 B65D23/0864Applied in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32Bowls, Cups,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몸통부 표면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져, 의장성이 뛰어나고, 유사품을 배제할 수 있는 인몰드 용기를 제공한다. 인몰드 용기(10)는 플랜지부(12)를 가진 몸통부(11)와 바닥부(13)를 갖고서, 라벨(20)과 사출수지(21)로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11)의 외면에 다수의 오목부(15) 및 다수의 볼록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11)는 각 θ에서 플랜지부(12) 쪽을 향해 밑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5)는 그 바닥부(13) 측에 각 θ보다 작은 몸통부(11)에 대한 경사각 θ2의 경사부(15a)를 갖고, 볼록부(16)는 그 플랜지부(12) 측에 각 θ보다 작은 몸통부(11)에 대한 경사각 θ1의 경사부(16a)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장치 {IN-MOLD CONTAINER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라벨을 갖고 사출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인몰드(In-mold) 용기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몰드 용기로서, 플랜지부를 가진 몸통부와, 몸통부에 연결된 바닥부를 갖고서, 몸통부에 라벨이 배치되도록 사출수지에 의해 형성된 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인몰드 용기는, 성형성을 고려해서 몸통부 표면은 편평하게 마무리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몰드 용기의 몸통부는 편평하게 마무리되어 있으나, 몸통부를 편평하게 마무리한 것만으로는 의장성(意匠性)을 향상시키거나 유사품을 배제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유사품을 효과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랜지부를 가진 몸통부와, 몸통부에 연결된 바닥부를 갖고서, 몸통부에 라벨이 배치되어 형성되는 인몰드 용기에서, 몸통부 외면에 복수의 오목부 및/또는 복수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이들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가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이다.
본 발명은, 몸통부는 바닥부로부터 플랜지부 쪽을 향해 각도 θ로 밑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볼록부는 플랜지부 측에 각도 θ 이하의 경사각 θ1을 갖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이다.
본 발명은, 몸통부는 바닥부로부터 플랜지부 쪽을 향해 각도 θ로 밑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오목부는 바닥부 측에 각도 θ 이하의 경사각 θ2를 갖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오목부 및/또는 복수의 볼록부는, 몸통부 외면 중 전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오목부 및/또는 복수의 볼록부가, 몸통부 외면 중 일부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오목부 및/또는 복수의 볼록부가, 몸통부 외면 중 하방부로부터 상방부를 향해 다단으로 설치되되, 각 단에서의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의 수가 같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이다.
본 발명은, 몸통부는 바닥부로부터 플랜지부 쪽을 향해 각도 θ로 밑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의 형상은 하방부로부터 상방부를 향해 서서히 확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이다.
본 발명은, 라벨에 잉크에 의해 인쇄가 실시되되, 이 잉크가 편광 펄 안료를 함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이다.
본 발명은, 플랜지부를 가진 몸통부와, 몸통부에 연결된 바닥부를 갖고서, 몸통부에 라벨이 배치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몸통부가 바닥부로부터 플랜지부 쪽을 향해 각도 θ로 밑이 넓게 형성된 인몰드 용기의 제조장치에서, 금형을 갖추고, 이 금형에는 몸통부 외면에 설치된 볼록부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되, 이 홈이 플랜지부 측에 각도 θ 이하의 경사각 θ1을 갖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의 제조장치이다.
본 발명은, 플랜지부를 가진 몸통부와, 몸통부에 연결된 바닥부를 갖고서, 상기 몸통부에 라벨을 배치해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몸통부가 바닥부로부터 플랜지부 쪽을 향해 각도 θ로 밑이 넓게 형성된 인몰드 용기의 제조장치에서, 금형을 갖추고, 금형에는 몸통부 외면에 설치된 오목부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는 바닥부 측에 각도 θ 이하의 경사각 θ2를 갖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의 제조장치이다.
본 발명은, 플랜지부를 가진 몸통부와 몸통부에 연결된 바닥부를 갖고서, 몸통부에 라벨이 배치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몸통부는 바닥부로부터 플랜지부 쪽을 향해 각도 θ로 밑이 넓게 형성된 인몰드 용기의 제조장치에서, 금형을 갖추고, 금형에는 몸통부 외면에 설치된 복수의 오목부 및/또는 복수의 볼록부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몰드가 설치되되, 이 슬라이드 몰드가 금형 내에서 바깥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의 제조장치이다.
본 발명은, 플랜지부를 가진 몸통부와, 몸통부에 연결된 바닥부를 갖고서, 몸통부에 라벨을 배치해서 형성되는 인몰드 용기에서, 몸통부 외면이 원주방향을 따라 2 이상의 영역으로 구획되고서, 몸통부 외면의 적어도 1곳의 구획영역에 복수의 오목부 및/또는 복수의 볼록부로 된 비평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이다.
본 발명은, 어떤 구획영역에 있는 비평활부가, 인접하는 구획영역에 있는 비평활부와, 평활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이다.
본 발명은, 비평활부가, 몸통부의 상방부 및 하방부에 설치된 평활부를 남기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이다.
본 발명은, 비평활부가 몸통부의 하방부에 설치된 평활부를 남기고 형성되고서, 비평활부 하방의 평활부에 스택 리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이다.
본 발명은, 몸통부 중 비평활부의 단위면적당 체적이, 비평활부와 동일 높이 영역인 평활부의 단위면적당 체적과 같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이다.
본 발명은, 비평활부와 동일 높이 영역인 평활부가,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후육부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이다.
본 발명은, 비평활부와 동일 높이 영역인 평활부가,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후육부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이다.
본 발명은, 비평활부가 몸통부의 상방부에 설치된 평활부를 남기고 형성되고서, 비평활부 상방의 평활부에 진공구멍 궤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이다.
본 발명은, 몸통부 외면이 원주방향을 따라 3곳의 영역으로 구획되고서, 그중 1곳 이상의 구획영역에 형성된 평활부를 남기고 다른 구획영역에 비평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용이하고 확실하게 인몰드 용기의 몸통부 표면에 다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형성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의장성이 뛰어나고, 유사품을 배제할 수 있는 인몰드 용기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인몰드 용기의 외관도,
도 3은, 인몰드 용기를 성형하는 사출성형 금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인몰드 용기를 성형하는 브로우성형 금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인몰드 용기를 성형하는 시트성형 금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인몰드 용기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인몰드 용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인몰드 용기를 나타낸 저면도,
도 11은, 인몰드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인몰드 용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도 1(b), 도 2(a) ~ 도 2(c)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몰드 용기(10)는, 플랜지부(12)를 가진 원통형상 몸통부(11)와, 이 몸통부(11)에 연결된 바닥부(13)를 갖고서, 몸통부(11)에 배치된 라벨(20)에 대해 사출수지(21)를 사출해서 성형하도록 되어 있다.
이 중 라벨(20)로는,
OPP30/LMD/PET12/GR/LMD/AL7/LMD/HS-OPP30
의 적층체를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이 적층체 중의 각 층은,
HS-OPP: 열밀봉층을 가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LMD : 드라이 라미네이트
PET :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GR : 그라비아 인쇄
이다(수학단위는 ㎛).
이 경우, 그라비아 인쇄에 쓰이는 잉크는 편광 펄 안료를 함유하여도 좋다. 상기 편광 펄 안료는 2색성을 갖기 때문에, 종래의 화이트 펄과는 달리 깊이가 심오한 인쇄를 실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편광 펄 안료를 함유한 잉크로 인쇄된 라벨(20)을 이용함으로써, 뒤에 설명하는 용기(10)의 오목부(15) 및 볼록부(16)와 조합시켜, 보는 각도에 따라 색조합이 다르고, 또 보다 더 깊이가 있는 외관을 얻을 수가 있어, 타 용기와의 차별화를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사출수지(21)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도 1(a), 도 1(b) 및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몰드 용기(10)의 몸통부(11) 외면에는 다수의 오목부(15) 및 다수의 볼록부(16)가 각각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5) 및 볼록부(16)는 각각 연접(連接)해서 연속하든가, 또 는 독립하여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5) 및 볼록부(16)는 인몰드 용기(10)의 의장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유사품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또, 이와 같이 다수의 오목부(15) 및 볼록부(16)를 마련함으로써, 인몰드 용기(10)에 단열성을 갖도록 할 수가 있어, 예컨대 인몰드 용기(10) 내에 70℃의 더운 물을 넣더라도 용기(10)를 손으로 잡을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도 1(a)는 인몰드 용기(10)의 전체도, 도 1(b)는 인몰드 용기(10)의 확대도이다.
몸통부(11) 외면에 설치된 다수의 오목부(15) 및 다수의 볼록부(16)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사각뿔 형상의 볼록부(16)와 볼록부(16) 사이의 오목부(15)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 또 오목부(15) 및 볼록부(16)는 몸통부(11)의 외면 전역에 형성되어 있으나, 몸통부(11)의 외면 중 일부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오목부(15) 및 볼록부(16)는, 몸통부(11)의 외면 중 하방부에서 상방부를 향해 다단(多段)으로 형성되고서, 각 단에서의 오목부(15) 및 볼록부(16)의 수, 즉 각 단의 원주방향 오목부(15) 및 볼록부(16)의 수가 같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단에서의 오목부(15) 및 볼록부(16)의 형상은 하방부로부터 상방부를 향해 서서히 확대되도록 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통부(11) 외면에 소형의 오목부(15)와 볼록부(16)를 여러 개 배치하여도 좋다. 도 2(b)에서, 각 볼록부(16)는 사각뿔로 이루어지고, 오목부(15)는 볼록부(16)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통부(11) 외면에 다수의 반구상(半球狀)의 볼록부(16)만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 도 2(a) 및 도 2(b)에서, 몸통부(11) 외면에 사각뿔의 볼록부(16)를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삼각뿔, 기타의 다각뿔의 볼록부(16)와 볼록부(16) 사이의 오목부(15)를 형성하여도 좋고, 원추형상의 볼록부(16)와 볼록부(16) 사이의 오목부(15)를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몸통부(11) 외면에 뿔대모양 볼록부(16)와, 볼록부(16) 사이의 오목부(15)를 형성하여도 좋고, 또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된 볼록부(16)와, 볼록부(16) 사이의 오목부(15)를 형성하여도 좋다.
인몰드 용기(10)의 몸통부(11)는, 바닥부(13)로부터 플랜지부(12) 쪽을 향해 각도 θ로 밑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오목부(15)는 바닥부(13) 측에 경사부(15a)를 갖고, 이 경사부(15a)의 몸통부(11)에 대한 경사각 θ2는 각도 θ 이하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볼록부(16)는 플랜지부(12) 측에 경사부(16a)를 갖되, 이 경사부(16a)의 몸통부(11)에 대한 경사각 θ1은 각도 θ 이하로 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인몰드 용기(10)는 숫몰드(1)와 암몰드(2)로 이루어진 사출성형 금형을 구비한 제조장치에 의해 성형되는바, 제조장치의 암몰드(2)에는 몸통부(11)의 외면에 설치된 오목부(15) 및 볼록부(16)에 각각 대응해서 돌출부(5) 및 홈(6)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부(5)는 바닥부(13) 측에 경사부(5a)를 갖되, 이 경사부(5a)의 몸통부(11)에 대한 경사각 θ2는 각도 θ 이하로 되어 있다. 그리고 홈 (6)은 플랜지부(12) 측에 경사부(6a)를 갖고, 이 경사부(6a)의 몸통부(11)에 대한 경사각 경사부 θ1은 각도 θ 이하로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인몰드 용기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3에 의거 설명한다.
먼저, 암몰드(2) 내에 라벨(20)을 배치하고, 그 후 암몰드(2) 내에 숫몰드(1)를 삽입한다. 다음 암몰드(2)에 설치된 게이트(8)로부터 숫몰드(1)와 암몰드(2) 사이에 사출수지(21)를 사출한다. 이에 의해 인몰드 용기(10)가 얻어진다.
다음, 인몰드 용기(10)를 구비한 상태에서 숫몰드(1)가 암몰드(2)로부터 떨어지게 하고, 계속해서 인몰드 용기(10)를 숫몰드(1)로부터 떼어놓는다. 이 경우, 몸통부(11)는 플랜지부(12) 쪽을 향해 각도 θ로 밑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또 오목부(15)의 경사부(15a) 및 돌출부(5)의 경사부(5a)가 각각 몸통부(11)에 대해 각도 θ 이하의 경사각 θ2를 갖기 때문에, 이들 경사 부(15a,5a)는 또한 플랜지부(12) 쪽을 향해 밑이 넓혀진 형상으로 된다(각도 θ-경사 부(15a,5a)의 경사각 θ2).
따라서, 인몰드 용기(10)를 암몰드(2)에서 떼어놓을 때, 인몰드 용기(10)가 돌출부(5)의 경사부(5a)에 걸리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볼록부(16)의 경사부(16a) 및 홈(6)의 경사부(6a)는 각각 몸통부(11)에 대해 각도 θ 이하의 경사각 θ1을 갖기 때문에, 인몰드 용기(10)를 암몰드(2)에서 떼어놓을 때, 인몰드 용기(10)가 홈(6)의 경사부(6a)에 걸리지 않게 된다.
예컨대 도 1(a), 도 1(b)에서, 몸통부(11)의 두께(T)가 0.8mm, 오목부(15)의 깊이(D)가 0.2mm, θ = 6°인 경우, 경사부(15a)의 길이(X)는
X≥0.2/sin6° = 1.91mm로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숫몰드(1)와 암몰드(2)로 된 사출성형 금형에 사출수지(21)를 사출해서 인몰드 용기(10)를 성형한 예를 나타내었으나(도 3), 이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브로우(blow) 성형 금형(31,32)과, 금형(31)으로부터 돌출하는 브로우 노즐(33)을 가진 브로우 성형장치를 이용해서 브로우 성형으로 인몰드 용기(10)를 성형하여도 좋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금형(32) 내에 라벨(20) 및 용기 소재(34)가 배치되고, 브로우 노즐(33)로부터 용기 소재(34)를 향해 에어를 내뿜음으로써 인몰드 용기(10)가 얻어지게 된다.
또,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누름박스(41)와 암몰드(42)로 이루어진 시트성형 금형을 가진 시트성형장치를 이용해서 시트성형으로 인몰드 용기(10)를 성형하여도 좋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암몰드(42) 내에 라벨(20)이 배치되고, 누름박스(41)와 암몰드(42)와의 사이에서 시트 소재(43)가 협지되도록 해서 인몰드 용기(10)가 얻어지도록 한다.
제2실시예
다음, 도 6에 의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제2실시예는, 몸통부(11)에 설치된 오목부(15) 및 볼록부(16) 의 형상이 다른 것으로, 기타는 도 1(a), 도 1(b), 도 2(a) ~ 도 2(c) 및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다.
도 6에서, 몸통부(11)는 플랜지부(12) 쪽을 향해 각도 θ로 밑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오목부(15)는 바닥부(13) 측에 각도 θ 이하의 몸통부(11)에 대한 경사각 θ2를 가진 경사부(15a)를 갖고 있다. 또 볼록부(16)는 플랜지부(12) 측에 각도 θ 이하의 몸통부(11)에 대한 경사각 θ1을 가진 경사부(16a)를 갖고 있다.
제3실시예
다음, 도 7에 의거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몸통부(11)에 오목부(15) 및 볼록부(16)를 설치함과 더불어, 오목부(15)는 바닥부(13) 측에 경사부(15a)를 갖고, 볼록부(16)는 플랜지부(12) 측에 경사부(16a)를 갖도록 되어 있다.
도 7에서, 인몰드 용기의 제조장치는, 숫몰드(1)와 암몰드(2)로 이루어진 사출성형 금형을 갖고, 암몰드(2)에는 바깥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 몰드(2a)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15)는 슬라이드 몰드(2a)의 돌출부(5)에 의해 성형되고, 볼록부(16)는 슬라이드 몰드(2a)의 홈(6)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돌출부(5)와 홈(6)을 가진 슬라이드 몰드(2a)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암몰드(2) 내에서 바깥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목부(15)의 경사부(15a) 및 볼록부(16)의 경사부(16a)의 몸통부(11)에 대한 경사각(θ21)은, 밑이 넓어진 성형된 몸통부(11)의 아래로의 넓혀지는 각도 θ 이하로 할 필요가 없다. 즉, 오목 부(15)의 경사부(15a) 및 볼록부(16)의 경사부(16a)의 몸통부(11)에 대한 경사각(θ21)을 각도 θ 이상으로 하여도, 돌출부(5)와 홈(6)을 가진 슬라이드 몰드(2a)를 암몰드(2) 내에서 바깥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줌으로써, 인몰드 용기(10)를 암몰드(2)에서 꺼낼 때, 슬라이드 몰드(2a)의 돌출부(5) 또는 홈(6)이 인몰드 용기(10)에 걸리지 않게 된다.
한편, 도 7에서, 암몰드(2)에는 라벨에 흡착용 슬릿(4)이 설치되고, 또 암몰드(2)의 바닥부에는 게이트(8)가 설치되어 있다.
제4실시예
다음,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4실시예는, 라벨(20)의 구성이 다른 것으로, 기타는 도 1 ~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다.
본 발명에 쓰이고 있는 라벨(20)은, 측면 라벨과 저면 라벨을 갖고서, 일반적으로 인쇄기재층, 가스배리어층, 사출수지와의 접착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각 층은 각각 독립해서 제막(製膜)하여 접착재를 매개로 첩합(드라이 라미네이션)하든지, 또는 그 일부나 전체 층을 용융압출(EC,공압출)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용도 목적에 따라 인쇄기재층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인쇄기재로서의 필름은, 일반적으로 인쇄가능한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나일론 필름 등이 적의 사용될 수 있다.
가스배리어층으로는, 예컨대, (a) 알루미늄박(7~25㎛), (b)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을 증착 등으로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적층한 것, 예컨대 산화규소 증착 플라스틱 필름, 산화알루미늄 증착 플라스틱 필름, 알루미늄 증착 플라스틱 필름, (c) 기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EV0H(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PVDC(폴리 염화 비닐리덴) 필름, PVDC 코팅 2축연신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는바, 소망하는 성능에 대응해서 적의 선택할 수 있다.
접착층으로는, 사출수지와 접착되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사출수지와 같은 재질의 플라스틱이나, EVA(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를 함께 가진 폴리에틸렌 등 접착성을 가진 수지, 또는 그들 수지가 공압출 가공이나, 코팅 가공된 플라스틱 필름 등이 적의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층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드라이 라미네이션법, 압출 라미네이션법, 압출 코팅법 기타의 코팅법으로 형성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인몰드 용기 본체에는 사출성형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실시예]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와 관련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 제1 구체실시예 >
본 발명의 제1 구체실시예에서는, 인몰드 용기(10)로 되는 사출수지(21)의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고, 라벨(20)로서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12㎛)/알루미늄박(15㎛)/폴리프로피렌 필름(60㎛)의 3개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필름을 이용하였다. 이 라벨(20)은, 가장 바깥층인 PET 필름에 문자, 도안 등을 인쇄한 후, 접착재를 이용해서 배리어층인 알루미늄박을 라미네이트한 후, 가장 내층인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접착재를 이용해서 라미네이트한 3층 필름을 형성시켜, 소정의 형상(측면 라벨은 부채형, 저면 라벨은 중심에 게이트 구멍을 가진 원형)으로 펀칭하였다.
다음, 이 라벨재(측면 라벨 및 저면 라벨을 가진)를 암몰드(2)의 측면 및 저면에 배치하고, 숫몰드(1)를 상방으로부터 밀어넣은 후, 게이트(8, 및 게이트 위치에 대응하는 저면 라벨의 게이트 구멍)를 통해 수지(21)를 캐비티에 주입해서 통상적인 인몰드 라벨 사출성형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성형용기의 배리어특성을 측정한 결과, 표 1에 나타내어진 것과 같은 산소투과도, 투습도의 값이 얻어졌다.
이 라벨의 가장 내층은 용기 본체의 수지와 같은 재료이기 때문에, 접착재를 사용하지 않고 라벨과 용기 본체를 일체화할 수가 있었다. 또 인몰드 용기(10)의 외관에, 라벨(20)의 알루미늄박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 알루미늄박의 메탈릭 외관에 더해, 몸통부(11)에 설치된 오목부(15) 및 볼록부(16)의 외관에 의해, 종래 용기와의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었다.
배리어층 산소투과도 (cm3/pkg·day·atm)* 수증기투과도 (g/pkg·day)*
산화규소 증착 PET 폴리 염화 비닐리덴 필름 알루미늄박 무 0.07 0.08 0.06 6.70 0.0041 0.0043 0.00088 0.01
*) 측정법 : 산소투과도…온도 23℃, 습도 90%RH, 퍼지 3일간 M0C0N사 0XTRAN 사용
수증기투과도 : 1염화칼슘 중량법, 측정 6일간, 온도 40℃, 습도 90%RH
한편, 용기 본체로 되는 사출수지의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함과 더불어, 라벨재로서 상기의 외에 가장 바깥쪽에서 가장 안쪽을 향해 순차적으로 이하의 층 구성으로 된 필름을 이용하였다.
(1)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인쇄기재)(25㎛)/알루미늄박(배리어층)(15㎛)/열밀봉층을 가진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접착층)(25㎛),
(2)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인쇄기재)(25㎛)/산화규소 증착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배리어층)(12㎛)/열밀봉층을 가진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접착층)(25㎛),
(3) 미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30㎛)/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인쇄기재)(12㎛)/산화규소 증착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배리어층)(12㎛)/미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접착층)(30㎛),
(4)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25㎛)/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인쇄기재)(12㎛)/산화규소 증착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배리어층)(12㎛m)/열밀봉층을 가진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접착층)(25㎛),
(5) 미연 신 폴리프로필렌 필름(30㎛)/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인쇄기재)(12㎛)/알루미늄박(배리어층)(9㎛)/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12㎛)/미연신 폴리플로필렌 필름(접착층)(30㎛).
일반적으로 라벨(20)을 소정의 형상으로 구멍 뚫은 후에 라벨(20)을 암몰드(2)의 측면 및 저면에 배치하는 경우, 라벨(20)의 컬의 대소가 사출성형의 수율에 영향을 끼치는. 즉, 라벨(20)의 컬(curl)은 작은 쪽이 수율이 양호해진다.
또, 라벨(20)의 컬을 경감하기 위해서는, 라벨(20)의 층 구성을 중앙의 층을 중심으로 한 대칭형 층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1)(2)(5)의 층 구성을 가진 라벨(20)에서, 중앙의 층을 중심으로 해서 대칭형 층 구성으로 할 수가 있고, 또 (3), (4)의 라벨재도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 산화규소 증착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을 1개의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생각하면 대칭형 층 구성으로 된다. 이 때문에 펀칭시에 라벨(20)의 컬(curl)을 경감할 수가 있게 된다. 또 (1)~(5)의 층 구성을 가진 라벨(20)의 경우, 가스배리어특성 및 사출수지와의 밀착성은 모두 양호하였다.
< 제2 구체실시예 >
본 발명의 제2 구체실시예에서는, 제1 구체실시예와 마찬가지 라벨(20)을 사용하고, 또 라벨(20)의 저면 라벨의 중심에 게이트 구멍을 갖지 않은 원형의 저면측 라벨(20)을 인서트해서 인몰드 라벨 사출성형을 실행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저면 라벨에 게이트 구멍이 없기 때문에, 수지(21)를 주입하면 저면 라벨이 코어(숫몰드) 측에 꽉 눌린 상태로 캐비티 내로 수지가 충전되게 된다. 따라서, 성형품에서는 용기 내의 저면에 게이트 구멍을 갖지 않은 라벨이 적층되어, 배리어 특성이 보다 더 높아질 수 있게 된다(표 2 참조).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저면 라벨에 게이트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라벨의 외주 펀칭 후에 구멍펀칭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외주 펀칭과 구멍 펀칭의 정밀도를 필요로 해서, 고정밀도의 펀칭가공기 등이 필요하게 된다)에 비해 라벨재의 가공이 쉬워지게 된다.
배리어층 산소투과도 (cm3/pkg·day·atm) 수증기투과도 (g/pkg·day)
산화규소 증착 PET 폴리 염화 비닐리덴 필름 알루미늄박 0.05 0.05 0.04 0.0001 0.0001 0.0001
< 제3 구체실시예 >
본 발명의 제3 구체실시예에서는, 제1 구체실시예와 마찬가지 라벨(20)을 사용하고, 진공흡인구멍을 저면 캐비티와 측면 캐비티가 교차하는 위치에 설치된 암몰드(2)를 이용하여 인몰드 라벨 사출성형을 실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지 주입에 즈음해서 측면 라벨이 난잡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성형 후의 측면 라벨에 주름이나 겹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 제4 구체실시예 >
본 발명의 제4 구체실시예에서는, 제1 구체실시예와 마찬가지 라벨(20)을 사용하고, 또 금형의 측면 캐비티의 전체 높이(정확하게는, 측벽에 따른 길이;LH)로 하고 암몰드의 내주를 LR(단, 정상부에서 바닥부에 걸쳐 점차 감소하는)로 했을 때, 측면 라벨의 높이 L1, 원주방향 길이 L2를 각각 L1=LH-1, L2=LR-1 (mm)로 해서 인몰드 라벨 사출성형을 실행하였다. 본 구체실시예에서는 라벨 치수가 짧게 설정되기 때문에, 주름이 겹침 등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암몰드(2)에 측면 라벨을 삽입한 후 숫몰드(1)를 밀어넣을 때 라벨 하단이 측면 캐비티의 바닥에 닿지 않기 때문에, 라벨이 물결치지 않고 용기 본체에 밀착해서 적층되게 된다. 이 결과, 얻어진 인몰드 용기(10)는 측면 라벨에서 소정의 간극을 갖고 적층되지만, 가스 배리어성에는 거의 영향이 없다.
< 제5 구체실시예 >
본 발명의 제5 구체실시예에서는, 제1 구체실시예와 마찬가지 라벨(20)을 사용하고, 또 인몰드 용기(10) 몸통부(11)의 소정 위치에 종방향으로 뻗은 보강리브를 설치해서 인몰드 라벨 사출성형을 실행하였다. 이 보강리브에 의해 인몰드 용기(10)와 라벨과의 재질의 상위에 따른 수축차이에 기인하는 라벨의 벗겨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각형(角型) 용기의 경우에는, 각부(脚部)의 4변의 각 중심점에 리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제6 구체실시예 >
본 발명의 제6 구체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로 되는 사출수지로서 폴리스티렌수지를 이용하고, 라벨(20)로서 폴리프로필렌/접착제/폴리 염화 비닐리덴/접착제/폴리프로필렌의 층 구성으로 된 공압출 필름(두께 60㎛)을 이용해서, 당해 라벨의 가장 안쪽 층에 인쇄를 실시하고, 다시 그 위에 EVA계 수지(열밀봉제)를 그라비아 코팅법으로 코팅하였다. 그리고 저면 캐비티와 측면 캐비티가 교차하는 부분에 대응해서 곡률을 부여한 금형(암몰드(2) 및 숫몰드(1))을 이용해서 인몰드 라벨 사출성형을 실행하였다. 금형에 곡률을 부여하였기 때문에, 라벨(20)에 대한 수지주입압력이 저하되고, 라벨의 잉크층 및 열밀봉층이 마찰 등에 의해 「물결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두껍게 되고, 냉각 후의 두께의 차이에 기인하는 「흠집」을 방지하기 위해 1.5배 이하의 두께에 그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실시예
다음에는,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 8(b),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8(b) ~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몰드 용기(10)는, 플랜지부(12)를 가진 원통형상 몸통부(11)와, 몸통부(11)에 연결된 바닥부(13)를 갖추고서 몸통부(11)에 배치된 라벨(20)에 대해 사출수지(21)를 사출해서 성형하도록 되어 있다.
이 중 라벨(20)로는,
OPP30/PET12/GR/AL7/HS-OPP30
의 적층체를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이 적층체 중의 각 층은,
OPP :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PET :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GR : 그라비아 인쇄
AL : 알루미늄층
이다(숫자 단위는㎛).
이 경우, 라벨(20)의 그라비아 인쇄에 쓰이는 잉크는 편광 펄 안료를 함유하여도 좋다. 편광 펄 안료는 2색성을 갖기 때문에, 종래의 화이트 펄과는 달리 깊이 있는 인쇄를 실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편광 펄 안료를 함유한 잉크로 인쇄된 라벨(20)을 이용함으로써, 뒤에 설명하는 용기(10)의 오목부(15) 및 볼록부(16)와 조합되어, 보는 각도에 따라 색조합이 다르고, 보다 더 깊이가 있는 외관을 얻을 수가 있어, 다른 용기와의 차별화를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사출수지(21)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사출수지의 상세한 내용은 뒤에 설명한다.
또, 도 8(a),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몰드 용기(10)의 몸통부(11) 외면에는 다수의 오목부(15) 및 다수의 볼록부(16)가 각각 연속해서 형성(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15) 및 볼록부(16)는 각각 연접해서 연속하든가, 또는 독립하여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15) 및 볼록부(16)는 인몰드 용기(10)의 의장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유사품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또, 이와 같이 다수의 오목부(15) 및 볼록부(16)를 형성함으로써, 인몰드 용기(10)에 단열성을 갖도록 할 수가 있어, 예컨대 인몰드 용기(10) 내에 70℃의 더운 물을 넣어도 용기(10)를 손으로 잡을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도 8(a)는 인몰드 용기(10)의 정면도, 도 8(b)는 인몰드 용기(10)의 배면도이다.
몸통부(11) 외면에 설치된 다수의 오목부(15) 및 다수의 볼록부(16)는, 도 8(a),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사각뿔 형상의 볼록부(16)와, 볼록부(16) 사이의 오목부(15)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
도 8(a), 도 8(b),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통부(11) 외면에 설치된 다수의 오목부(15) 및 다수의 볼록부(16)는, 그 표면이 비평활 형상의 비평활부(50)를 구성하고 있다. 즉 몸통부(11) 외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2 이상, 예컨대 3개의 영역(L1,L2,L3)으로 구획되고, 이 3개의 구획영역(L1,L2,L3;이하 영역이라 함) 중, 영역 L1과 L2에 오목부(15)와 볼록부(16)로 이루어진 비평활부(5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통부(11) 외면 중 비평활부(50) 이외의 부분은, 표면이 평활하게 된 평활부(51)로 되어 있다.
또, 영역 L1과 L2에 각각 설치된 비평활부(50)는, 서로의 사이에 평활부(51)를 사이에 두고 상호 떨어져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평활부(51)는 영역 L1과 L2 사이의 평활부(51a)와 비평활부(50)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 L3의 평활부(51b)로 되어 있다.
또, 비평활부(50)가 형성된 영역 L1 및 L2에서, 비평활부(50)는 상방부와 하방부에 설치된 평활부(51c,51d)를 각각 남기고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몸통부(11) 외면에 비평활부(50)를 설치함으로써,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몰드 용기(10)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또한 인몰드 용기(10)에 단열성을 갖게 할 수가 있다.
또, 몸통부(11) 외면의 비평활부(50) 사이에 평활부(51)를 형성함으로써, 이 평활부(51)에 인몰드 용기(10)의 내용물 정보(성분정보) 등을 인쇄할 수가 있고, 또 평활부(51)에 바코드 인쇄를 실시할 수가 있다. 그리고 몸통부(11) 외면에 비평활부(50)와 평활부(51)를 형성함으로써, 비평활부(50)와 평활부(51)의 대비에 의해 인몰드 용기(10)의 의장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몸통부(11) 외면을 원주방향을 따라 3개의 영역(L1,L2,L3)으로 구획되고서, 이 중 영역(L1,L2)만으로 비평활부(50)를 형성하고, 영역(L3)에 비평활부(50)를 형성하지 않은 예를 나타내었으나, 몸통부(11) 외면을 2개 이상의 영역(2개 영역, 3개 영역, 4개 영역, 5개 영역)으로 구획함과 더불어, 구획된 영역 중 적어도 1개의 영역에 비평활부(50)를 형성하고, 다른 영역에 평활부(51)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인몰드 용기(10)의 몸통부(11)에는, 그 내면 하방부에 원주방향으로 뻗은 스택 리브(stack rib;11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몰드 용기(10)를 적층해서 수납할 때, 상방의 인몰드 용기(10)의 하단 굽부위(14)가 하방의 인몰드 용기(10)의 스택 리브(11a) 상에 올려 놓이고, 그 때문에 양 인몰드 용기(10)가 밀착하는 일이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상방의 인몰드 용기(10)를 하방의 인몰드 용기(10)로부터 쉽게 뽑아낼 수가 있다.
또, 몸통부(11)의 외면 상방부에 원주방향으로 뻗은 진공구멍 궤적(11b)이 형성되어 있다.
뒤에 설명되듯이, 인몰드 용기(10)를 제조할 때, 숫몰드(1)와 암몰드(2) 내에 라벨(20)을 배치하고, 그 후 숫몰드(1)와 암몰드(2) 사이에 사출수지(21)를 사출한다. 암몰드(2)에는 라벨흡착용 진공구멍(흡착 슬릿;4)이 형성되어 있어, 이 진공구멍(4)에 의해 인몰드 용기(10)의 외면에 진공구멍 궤적(11b)이 형성되어 있다(도 12 참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몸통부(11) 외면의 영역(L1,L2,L3) 중 영역(L1,L2)에 비평활부(50)가 형성되고, 또 이 비평활부(50)의 상방부 및 하방부에는 평활부(51c,51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본 발명에서는, 몸통부(11) 내면의 스택 리브(11a)가 몸통부(11)의 비평활부(50) 하방의 평활부(51d)에 형성되고, 또 진공구멍 궤적(11b)은 몸통부(11)의 비평활부(50) 상방의 평활부(51c)에 형성되어 있다(도 12).
일반적으로 암몰드(2)는, 흡착 슬릿(4)을 경계로 해서 상하방향으로 분할되어 있을 수 있다. 비평활부(50)가 흡착 슬릿(4)과 중복되어 있으면, 흡착 슬릿(4) 상방의 암몰드(2)와 흡착 슬릿(4) 하방의 암몰드(2)가 회전방향으로 어긋난 경우, 비평활부(50)를 정밀도 좋게 형성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착 슬릿(4)이 비평활부(50)에서 떨어져 있기 때문에, 비평활부(50)의 형성이 흡착 슬릿(4)에 의해 저해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 몸통부(11) 내면에 설치된 스택 리브(11a)는 벽두께의 증가에 연관되기 때문에, 인몰드 용기(10)의 사출성형시의 냉각효율이 저하된다. 몸통부(11)의 비평활부(50)도 벽두께의 증가에 따르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스택 리브(11a)와 비평활부(50)가 중복하게 되면, 인몰드 용기(10)의 사출성형시의 냉각효율이 보다 더 저하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택 리브(11a)가 비평활부(50)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인몰드 용기(10)의 냉각효율의 저하를 막을 수가 있다.
그런데, 비평활부(50)가 형성된 몸통부(11)는, 비평활부(50) 중 특히 볼록부(16)에 의해 벽두께가 두꺼워지게 된다. 이 때문에, 인몰드 용기(10)를 제조할 때, 게이트(8)로부터 유입되는 사출수지(21)가 비평활부(50) 측으로 흐르기 쉽고, 또한 비평활부(50)와 동일 높이에 있는 비평활부(51a) 쪽에는 사출수지(21)가 거의 흐르지 않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도 8).
이와 같이 몸통부(11) 내에서 사출수지(21)의 유동에 불균형이 생기면, 인몰드 용기(10)의 제조시에 라벨(20)이 바른 위치에서 이동해버려, 정밀도 좋은 인몰드 용기(10)를 제조할 수가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평활부(50)와 동일 높이 영역인 평활부(51a,51b)의 두께를 크게 해서, 평활부(51a,51b)의 단위면적당 체적과 비평활부(50)의 단위면적당 체적을 일치시킨다. 이 때문에 비평활부(50)와 동일 높이 영역인 평활부(51a,51b)에다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후육부(11c)를 형성시킨다. 이 후육부(11c)는 원주방향으로 평활부(51a,51b)와 동일한 원주방향 길이 만큼 연장되어, 평활부(51a,51b)의 두께를 두꺼워지게 한다.
한편, 몸통부(11)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후육부(11c)를 형성하는 대신,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후육부를 형성시켜도 좋다. 이 경우, 안쪽으로 돌출하는 후육부(11c)를 형성하는 쪽이 외관상 바람직하다.
이 후육부(11c)의 두께는 다음과 같이 해서 정해진다. 예컨대 후육부(11c)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 평활부(51a)의 두께를 0.79mm, 평활부(51a)의 폭을 6.2mm, 평활부(51a)의 높이를 65mm로 하면, 평활부(51a)의 체적은 0.32cc로 된다.
한편, 비평활부(50)의 체적은, 상기 체적 0.32cc에 더해, 동일면적의 몸통부(11)에 설치된 볼록부(16)의 수가 8개, 볼록부(16)의 체적이 0.0026로 되면, 0.32cc+0.0026×8=0.34cc로 된다.
이 때문에 후육부(11c)의 두께는, 상기 비평활부(50)의 체적 0.34cc와 평활부(51a)의 체적 0.32cc와의 차이, 즉 0.34cc-0.32cc=0.02cc에 기해, 0.05mm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비평활부(50)의 단위면적당 체적과, 이 비평활부(50)와 동일 높이 영역인 평활부(51a,51b)의 단위면적당 체적을 같아지게 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8)로부터 유입되는 사출수지(21)를 비평활부(50)와, 이 비평활부(50)와 동일 높이 영역인 평활부(51a,51b)에 균형있게 들여보내 사출수지(21)를 균형있게 유동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인몰드 용기(10)의 제조시에 라벨(20)이 움직이지가 않아, 정밀도 좋은 인몰드 용기(10)를 제조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비평활부(50)와 동일 높이 영역인 평활부(51a,51b)라 함은, 영역(L1)에 설치된 비평활부(50)와 영역 L2에 설치된 비평활부(50)와의 사이의 평활부(51a)로서, 비평활부(50)와 동일 높이를 가진 영역의 평활부(51a)를 말하고, 또 영역(L3)의 평활부(51b)로서 비평활부(50)와 동일 높이를 가진 영역의 평활부(51b)를 말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통부(11) 외주에 형성된 비평활부(50)를 구성하는 오목부(15) 및 볼록부(16)는, 몸통부(11)의 외면 중 하방부로부터 상방부를 향해 다단으로 형성되고, 또한 각 단에서의 오목부(15) 및 볼록부(16)의 수, 즉 각 단의 원주방향의 오목부(15) 및 볼록부(16)의 수는 같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단에서의 오목부(15) 및 볼록부(16)의 형상은 하방부로부터 상방부를 향해 서서히 확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8(a), 도 8(b)에서는 몸통부(11) 외면에 사각뿔의 볼록부(16)를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삼각뿔이나 기타의 다각뿔모양의 볼록부(16)와 볼록부(16) 사이의 오목부(15)를 형성하여도 좋고, 원추형상의 볼록부(16)와 볼록부(16) 사이의 오목부(15)를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몸통부(11) 외면에 절두각 뿔대의 볼록부(16)와, 볼록부(16) 사이의 오목부(15)를 형성하여도 좋고, 또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된 볼록부(16)와 볼록부(16) 사이의 오목부(15)를 형성하여도 좋다.
인몰드 용기(10)의 몸통부(11)는, 바닥부(13)로부터 플랜지부(12) 쪽을 향해 각도 θ로 밑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오목부(15)는 바닥부(13) 측에 경사부(15a)를 갖고, 이 경사부(15a)의 몸통부(11)에 대한 경사각 θ2는 각도 θ 이하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볼록부(16)는 플랜지부(12) 측에 경사부(16a)를 갖고, 이 경사부(16a)의 몸통부(11)에 대한 경사각 θ1은 각도 θ 이하로 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인몰드 용기(10)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숫몰드(1)와 암몰드(2)로 이루어진 사출성형 금형을 구비한 제조장 성형하게 되는바, 제조장치의 암몰드(2)에는 몸통부(11)의 외면에 설치된 오목부(15) 및 볼록부(16)에 각각 대응해서 돌출부(5) 및 홈(6)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부(5)는 바닥부(13) 측에 경사부(5a)를 갖고, 이 경사부(5a)의 몸통부(11)에 대한 경사각 θ2는 각도 θ 이하로 되어 있다. 그리고 홈(6)은 플랜지부(12) 측에 경사부(6a)를 갖고, 이 경사부(6a)의 몸통부(11)에 대한 경사각 θ1은 각도 θ 이하로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인몰드 용기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12에 의거 설명한다.
먼저, 암몰드(2) 내에 라벨(20)을 배치하고, 그 후 암몰드(2) 내에 숫몰드(1)를 삽입한다. 다음 암몰드(2)에 설치된 게이트(8)로부터 숫몰드(1)와 암몰드(2) 사이에 사출수지(21)를 사출한다. 이에 의해 인몰드 용기(10)가 얻어지게 된다.
다음, 인몰드 용기(10)를 갖춘 상태에서 숫몰드(1)가 암몰드(2)에서 떨어지게 하고, 계속해서 인몰드 용기(10)를 숫몰드(1)로부터 떼어놓는다. 이 경우, 몸통부(11)는 플랜지부(12) 쪽을 향해 각도 θ로 밑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또 오목부(15)의 경사부(15a) 및 돌출부(5)의 경사부(5a)는 각각 몸통부(11)에 대해 각도 θ 이하의 경사각 θ2를 갖기 때문에, 이들 경사부(15a,5a)는 한편 플랜지부(12) 쪽을 향해 밑이 넓은 형상으로 된다(각도 θ-경사부(15a,5a)의 경사각 θ2)(도 1(a), 도 1(b) 참조).
따라서, 인몰드 용기(10)를 암몰드(2)로부터 떼어놓을 때, 인몰드 용기(10)가 돌출부(5)의 경사부(5a)에 걸리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볼록부(16)의 경사부(16a) 및 홈(6)의 경사부(6a)는 각각 몸통부(11)에 대해 각도 θ 이하의 경사각 θ1을 갖기 때문에, 인몰드 용기(10)를 암몰드(2)로부터 떼어놓을 때 인몰드 용기(10)가 홈(6)의 경사부(6a)에 걸리지 않게 된다.
예컨대 도 1(a) 및 도 1(b)에서, 몸통부(11)의 두께(T)가 0.8mm, 오목부(15)의 깊이(D)가 0.2mm, θ = 6°인 경우, 경사부(15a)의 길이 X 는
X≥0.2/sin6° = 1.91mm로 된다.
[구체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5실시예와 관련된 구체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1. 인몰드 용기의 형상
(1) 용기(1)
·플랜지부 외경φ 71mm, 용기 전체높이 110mm, 용기 체움용량 250cc, 몸통부 두께 0. 72mm
·비평활부의 형상 4.8×3.2mm, 볼록부의 돌출량 0.3mm
· 볼록부의 수 120개, 174개, 0.0022cc/개
(2) 용기(2)
·플랜지부 외형φ 88mm, 용기 전체 높이 98mm, 용기 체움용량 356cc, 몸통부 두께 0. 79mm
·비평활부의 형상 6.2×9.4mm, 볼록부의 돌출량 0.4mm
·볼록부의 수 165개, 225개, 0.0026cc/개
2. 라벨사양(단위㎛)
(l) OPP30/PET12(인쇄)/알루미늄박7/HS-OPP30(열밀봉층을 가진 OPP)
(보호층)(인쇄층) (배리어층)(밀봉층)
(2) OPP30/ 알루미늄 증착 PET12/HS-OPP30
(보호층(인쇄층)) (배리어층) (밀봉층)
(3) OPP30/PET12/알루미늄 증착 PET/HS-OPP30
(보호층)(인쇄층)(배리어층) (밀봉층)
(4) OPP30/알루미늄박7/HS-OPP30
(보호층(인쇄층))(배리어층)(밀봉층)
(5) 합성지80/열밀봉제
3. 사출수지의 사양
(l)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백색 착색) : 라벨(1), (2), (4)와 함께 사용한다.
·수지정보 : 아사히화성케미컬즈(주) 선텍J300
물성 MFR(melt flow rate) 42g/10min(JIS K7210:1999)
라벨(1), (2), (4)는 모두 메탈릭 감이 있기 때문에, 비평활부의 효과가 향상된다.
(2) PP(폴리프로필렌 내츄럴투명) : 라벨(3)과 함께 사용한다.
·수지정보 : 메이커; 미츠이화학(주) J246MA
물성 MFR 20g/10min(ASTM D1238)
라벨(3)은 비교적 투명성을 갖고, 또 사출수지도 투명성을 갖기 때문에, 용기 내의 내용물을 볼 수가 있고, 또한 투명광택감이 있다.
(3) PP(폴리프로필렌 백색 착색) : 라벨(5)과 함께 사용한다.
·수지정보 : 메이커; 미츠이화학(주) J707G
물성 MFR 30g/10min(ASTM D1238)
4. 성형조건
(1) 용기(1)로서, 또 사출수지로서 HDPE를 사용한 경우
·사출수지 온도 210℃ 사출시간 0.85초
·냉각시간 2.5초 충전압력 130MP
(2) 용기(1)로서, 또 사출수지로서 PP를 사용한 경우
·사출수지 온도 220℃ 충전시간 0.7초
·냉각시간 2.5 초 충전압력 140MP
(3) 용기(2)로서 또 사출수지로서 HDPE를 사용한 경우
·사출수지 온도 220℃ 충전시간 0.75 초
·냉각시간 4초 충전압력 140MP

Claims (20)

  1. 플랜지부를 가진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 연결된 바닥부를 갖고서,
    상기 몸통부에 라벨이 배치되어 형성되는 인몰드 용기에서,
    상기 몸통부 외면에 복수의 오목부 및/또는 복수의 볼록부가 형성되되,
    이들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가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가, 바닥부로부터 플랜지부 쪽을 향해 각도 θ로 밑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는, 플랜지부 측에 각도 θ 이하의 경사각 θ1을 갖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가, 바닥부로부터 플랜지부 쪽을 향해 각도 θ로 밑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바닥부 측에 각도 θ 이하의 경사각 θ2를 갖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및/또는 복수의 볼록부가, 몸통부 외면 중 전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및/또는 복수의 볼록부가, 몸통부 외면 중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오목부 및/또는 복수의 볼록부가, 몸통부 외면 중 하방부로부터 상방부를 향해 다단으로 형성되되, 각 단에서의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의 수가 같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바닥부로부터 플랜지부 쪽을 향해 각도 θ로 밑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의 형상은 하방부로부터 상방부를 향해 서서히 확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에 잉크에 의해 인쇄가 실시되되, 이 잉크가 편광 펄 안료를 함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
  9. 플랜지부를 가진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 연결된 바닥부를 갖고서, 상기 몸통부에 라벨이 배치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몸통부는 바닥부로부터 플랜지부 쪽을 향해 각도 θ로 밑이 넓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인몰드 용기의 제조장치에서,
    금형을 갖추고,
    상기 금형에는 몸통부 외면에 형성된 볼록부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홈이 플랜지부 측에 각도 θ 이하의 경사각 θ1을 갖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의 제조장치.
  10. 플랜지부를 가진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 연결된 바닥부를 갖고서, 상기 몸통부에 라벨이 배치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몸통부가 바닥부로부터 플랜지부 쪽을 향해 각도 θ로 밑이 넓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인몰드 용기의 제조장치에서,
    금형을 갖추고,
    상기 금형에는 몸통부 외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가 바닥부 측에 각도 θ 이하의 경사각 θ2를 갖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의 제조장치.
  11. 플랜지부를 가진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 연결된 바닥부를 갖고서, 상기 몸통부에 라벨이 배치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몸통부가 바닥부로부터 플랜지부 쪽을 향해 각도 θ로 밑이 넓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인몰드 용기의 제조장치에서,
    금형을 갖추고,
    상기 금형에는 몸통부 외면에 설치된 복수의 오목부 및/또는 복수의 볼록부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몰드가 설치되되,
    이 슬라이드 몰드가 상기 금형 내에서 바깥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의 제조장치.
  12. 플랜지부를 가진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 연결된 저부를 갖고서,
    상기 몸통부에 라벨이 배치되어 형성된 인몰드 용기에서,
    상기 몸통부 외면이 원주방향을 따라 2 이상의 영역으로 구획되고서,
    상기 몸통부 외면의 적어도 1곳의 구획영역에 복수의 오목부 및/또는 복수의 볼록부로 이루어진 비평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구획영역에 있는 비평활부가, 인접하는 구획영역에 있는 비평활부와, 평활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평활부가, 몸통부의 상방부 및 하방부에 형성된 평활부를 남기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
  15. 제12항에 있어서, 비평활부가 몸통부의 하방부에 설치된 평활부를 남기고 형성되고서, 이 비평활부의 하방의 평활부에 스택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중 비평활부의 단위면적당 체적이, 비평활부와 동일 높이 영역인 평활부의 단위면적당 체적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평활부와 동일 높이 영역인 평활부가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후육부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평활부와 동일 높이 영역인 평활부가,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후육부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평활부가, 몸통부의 상방부에 형성된 평활부를 남기고 형성되고서, 상기 비평활부 상방의 평활부에 진공구멍 궤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외면이 원주방향을 따라 3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서, 그 중 적어도 1하나 이상의 구획영역에 형성된 평활부를 남기고 다른 구획영역에는 비평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용기.
KR1020067008272A 2003-12-05 2004-12-06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장치 KR101153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07576 2003-12-05
JP2003407576 2003-12-05
JPJP-P-2004-00290350 2004-10-01
JP2004290350 2004-10-01
PCT/JP2004/018127 WO2005054066A1 (ja) 2003-12-05 2004-12-06 インモールド容器およびその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376A true KR20060115376A (ko) 2006-11-08
KR101153608B1 KR101153608B1 (ko) 2012-06-11

Family

ID=34656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272A KR101153608B1 (ko) 2003-12-05 2004-12-06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647498B2 (ko)
KR (1) KR101153608B1 (ko)
CN (1) CN1890156B (ko)
TW (1) TW200520929A (ko)
WO (1) WO20050540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28402A (en) * 2005-07-19 2007-01-31 Arjobex Sas Moulded, labelled plastic article with a relief pattern.
JP5002305B2 (ja) * 2007-04-03 2012-08-15 リスパック株式会社 容器本体の側壁にポッチを設けた包装用容器
JP2011042397A (ja) * 2009-08-24 2011-03-03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ラスチック容器
CN102039645A (zh) * 2009-10-13 2011-05-04 桑德公司 容器及其制造方法
JP2014031190A (ja) * 2012-08-02 2014-02-20 Tokan Kogyo Co Ltd 容器および金型
JP2014104661A (ja) * 2012-11-28 2014-06-09 Korei Kasei Co Ltd シート付食品容器のインモールド成形方法、及びそのシート付食品容器
CN203921422U (zh) * 2014-07-01 2014-11-05 优泊公司 带标签的吹塑成形容器及吹塑成型用模具
JP6656751B2 (ja) * 2015-12-24 2020-03-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ラベル付きカップ容器
JP6986828B2 (ja) * 2016-04-28 2021-12-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き容器および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き容器の製造方法
CN107386014B (zh) * 2017-07-06 2023-06-20 江苏绿森包装有限公司 纸浆模塑负角度容器及其加工工艺
JP2021030716A (ja) * 2019-08-29 2021-03-01 孝廣 阿部 凹凸状の模様を設けた金型と凹凸状の模様を設けた食器・容器。
JP7046125B2 (ja) * 2020-07-27 2022-04-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き容器および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き容器の製造方法
JP7205934B2 (ja) * 2021-05-14 2023-01-17 ベスパック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容器
CN114348441A (zh) * 2021-12-10 2022-04-15 麻智松 一种具有色彩折射反射显示效果的容器、容器的制造方法及容器对应的模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830B2 (ja) * 1988-11-17 1994-08-17 東洋製罐株式会社 ラベル付中空容器の製法
JP2864606B2 (ja) * 1990-01-19 1999-03-03 凸版印刷株式会社 ラベル付容器
JPH07125056A (ja) * 1993-11-05 1995-05-16 Futaba Kagaku:Kk インモールド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
JP4220044B2 (ja) * 1998-12-17 2009-0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射出成形容器
JP3901865B2 (ja) * 1999-02-03 2007-04-04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食品用の断熱容器
JP4629171B2 (ja) * 1999-05-27 2011-02-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39448B2 (ja) * 1999-06-29 2009-10-07 日本デルモンテ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容器
JP2002029200A (ja) * 2000-06-29 2002-01-2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金属調外観を有する装飾フィルム
JP3977012B2 (ja) * 2000-12-27 2007-09-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アンダーカット付き容器及びその容器の成形に適したブロー成形用金型
JP4217030B2 (ja) * 2002-06-05 2009-01-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インモールド容器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3697635B2 (ja) * 2002-10-21 2005-09-21 佐原化学工業株式会社 炭酸飲料用ボト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5054066A1 (ja) 2007-06-28
CN1890156A (zh) 2007-01-03
WO2005054066A1 (ja) 2005-06-16
CN1890156B (zh) 2010-04-14
TW200520929A (en) 2005-07-01
TWI343312B (ko) 2011-06-11
KR101153608B1 (ko) 2012-06-11
JP4647498B2 (ja)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608B1 (ko)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장치
CN100528694C (zh) 内模制标签形式的塑料容器
JP3828598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およびその製法
EP2213580B1 (en) Injection molding composite vess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2392443B2 (en) Label for in-mold molding
KR100547027B1 (ko) 투명라벨
KR20150060668A (ko) 다층 필름, 가식 성형용 필름 및 성형체
JP2006224467A (ja) チューブ容器の肩部および口頸部に一体化成形して用いる上部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で製造された上部部材を用いたチューブ容器
JP4672569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およびその製法
JP4217030B2 (ja) インモールド容器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3842208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4629171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08590A (ja) インモ−ルドラベル成形容器
KR102179882B1 (ko) 인 몰드 라벨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JP2005007647A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
JP3722436B2 (ja) インモ−ルドラベル容器
JP4220196B2 (ja) インモ−ルドラベル容器およびその成形法
JP3701638B2 (ja) インモ−ルドラベル容器およびその成形法
KR102673795B1 (ko) 식품포장용 성형필름 제조방법
JP3701636B2 (ja) インモ−ルドラベル容器およびその成形法
JP2000264327A (ja) リブ付き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672867B2 (ja) 複合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容器の製造方法
JP2022118070A (ja) 複合容器の製造方法、ブロー成形型、ブロー成形用転写シート、および複合容器
JP2021041942A (ja) 容器
JP2019064114A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