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276A - 마늘 곱창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늘 곱창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276A
KR20060114276A KR1020050119553A KR20050119553A KR20060114276A KR 20060114276 A KR20060114276 A KR 20060114276A KR 1020050119553 A KR1020050119553 A KR 1020050119553A KR 20050119553 A KR20050119553 A KR 20050119553A KR 20060114276 A KR20060114276 A KR 20060114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blets
garlic
leek
glutinous ric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2293B1 (ko
Inventor
류환석
Original Assignee
류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환석 filed Critical 류환석
Priority to KR1020050119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293B1/ko
Publication of KR20060114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29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70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으깨 다진 마늘과, 잘게 절단된 부추와, 곱창에서 분리된 곱 그리고 이들을 응집시키면서 곱창의 쫄깃 쫄깃한 맛을 더해주기 위한 분말 찹쌀을 버무려 만든 소를 곱창 내부에 충전하고, 이를 초벌구이와 재벌구이를 통해 반복하여 익히며, 저온에서 보관되는 마늘 곱창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선한 곱창을 준비하고, 곱창 내부의 곱을 분리하며, 곱창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손질하며, 상기 곱과 마늘, 부추 기타 야채를 찹쌀과 함께 버무려 소를 형성하며, 버무린 소를 곱창 내부에 충전하여 마늘 곱창을 만들고, 상기 마늘 곱창을 초벌구이하고, 다시 재벌구이하며, 저온에서 보관하는 마늘 곱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곱창 특유의 비린 맛과 냄새가 나지 않도록 하면서도 육질을 부드럽게 한다.
곱창, 소, 마늘, 부추, 찹쌀

Description

마늘 곱창 및 그 제조방법{A small intestines of cattle using garl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늘 곱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으깨 다진 마늘과, 잘게 절단된 부추와, 곱창에서 분리된 곱 그리고 이들을 응집시키면서 곱창의 쫄깃 쫄깃한 맛을 더해주기 위한 분말 찹쌀을 버무려 만든 소를 곱창 내부에 충전하고, 이를 초벌구이와 재벌구이를 통해 반복하여 익힘으로써 곱창 특유의 비린 맛과 냄새가 나지 않으면서도 육질이 부드러운 마늘 곱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곱창은 단백질, 무기질, 지방 등이 살코기보다 풍부하고 칼로리가 높을 뿐만 아니라 소화 흡수도 잘 되는 편이어서 그의 효과는 널리 알려져 있으며, 천연자원이 계속 감소되고 있는 현재에 있어 중요한 단백자원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양이 풍부한 음식임에도 곱창은 살코기에 비하면 미관상 좋지 않고, 독특한 향이 나며, 취급이 곤란하여 조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식당 등 일부 특정장소가 아니면 먹을 수가 없었다.
또한, 곱창은 비린 맛이 있어, 이를 없애기 위해 주로 야채나 과일 등과 함 께 조리하고 있다. 곱창의 조리법으로는 깻잎, 무, 표고, 대파, 홍고추, 간장 등의 양념류와 함께 전골로 조리하거나, 찜으로도 조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조리법으로 조리된 곱창은 여전히 곱창 특유의 비린 맛이 남고, 육질이 질기며 곱창을 씹을 때 생기는 입안의 텁텁함이 있어 이러한 맛을 싫어하는 일부 사람들은 곱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신세대의 입맛에는 전혀 어울리지 않아 심지어 곱창이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도 많다.
한편, 야채 등 여러 가지 재료를 혼합하고 이를 곱창 내부에 충전하여 곱창순대를 만들어 조리하기도 하지만 곱창순대를 조리하는 과정에서 소가 밖으로 유출되는 어려움 있으며, 여러 가지 재료를 무분별하게 혼합하다보면 곱창 특유의 맛이 살아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곱창의 비린 맛과 냄새가 제거된 마늘 곱창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를 만들어 곱창에 충전하고 조리하는 과정에서 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잔류하도록 하는 마늘 곱창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를 곱창 내부에 충전하여 조리하더라도 곱창 특유의 단백하고 쫄깃한 맛이 그대로 살아 남을 수 있는 마늘 곱창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으깨서 다진 마늘과, 잘게 절단된 부추 그리고 분말 찹쌀를 혼합하여 버무린 소와, 내부의 곱은 분리되고, 상기 소가 내부에 충전되는 곱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추는 1 내지 2 mm 간격으로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찹쌀의 입도는 50 내지 10 mesh 정도로 분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에는 상기 곱창 내부에서 분리된 곱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늘, 부추, 찹쌀 및 곱의 비중은 동일한 비율로 배합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신선한 곱창을 준비하는 단계와, 곱창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손질하는 단계와, 마늘, 부추 기타 야채를 찹쌀과 함께 버무려 소를 형성하는 단계와, 버무린 소를 곱창 내부에 충전하여 마늘 곱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늘 곱창을 초벌구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곱창을 준비하는 단계는, 곱창 내부의 곱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곱을 혼합하여 버무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초벌구이된 마늘 곱창을 재벌구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재벌구이된 마늘 곱창을 저온에서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재벌구이된 마늘 곱창은 0℃ 내지 10℃에서 1 내지 3일간 보관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마늘 곱창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곱창 특유의 비린 맛과 냄새가 제거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마늘 곱창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마늘 곱창은, 마늘을 으깨서 다지고, 부추를 잘게 절단한 후 분말 찹쌀과 혼합하여 소를 버무린 다음 곱이 분리된 곱창 내부에 상기 소를 충전하여 완성된다. 이때 마늘과, 부추, 곱 그리고 찹쌀의 부피는 대략 동일한 비율로 정해지며, 마늘이나 부추를 지나치게 많아 넣게 되면 곱창 특유의 단백한 맛이 살아날 수 없게 된다.
본래 마늘은 그 독특한 향과 맛으로 인해 각종 요리에 조미재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마늘 자체의 약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비타민과의 복합체를 만들고 약용으로 이용하기도 하여 최근에는 마늘을 분말 또는 과립형태로 제조하는 경우도 있지만, 마늘의 조직은 물리적 충격을 받게 되면 조직 내에 함유된 알리나제(allinase) 효소의 작용에 의해 알린(allin)이 알리신(allicin)으로 바뀌면서 매운맛과 자극취를 내게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서는 곱창의 비린 맛을 없애면서도 육질을 연화시키기 위하여 잘게 썰거나 가루로 만드는 것보다는 으깨어 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의 재료로 통상 파류가 포함되는데, 파류에는 보통 파, 양파, 부추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강정식품인 부추를 이용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부추는 곱창 특유의 비린 맛과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부추는 가능한 한 잘게 썰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2 mm 간격으로 썰어 두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찹쌀은 물에 씻어서 상당 시간 불린 다음 물기를 없앤다. 찹쌀과 맵쌀을 섞어도 무방하다. 건조된 찹쌀을 분쇄하여 입도가 50 내지 10mesh 정도로 만든다. 여기서 찹쌀을 가루로 분쇄하는 것은 찹쌀이 마늘, 부추 등과 접착되어 소를 응집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늘 곱창을 익히는 과정에서 곱창이나 기타 야채에서 발생하는 증기에 의하여 찹쌀이 반죽되면서 접착력을 갖게 되는 것으로 만약, 이보다 입도가 크게 되면 이와 같은 응집력을 높이기 어렵고 이보다 입도가 작으면 분진 등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조상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찹쌀을 씹으면서 느낄 수 있는 쫄깃쫄깃한 맛을 가질 수 없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마늘 곱창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마늘 곱창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신선한 곱창을 준비한다. 곱창을 찬물에 담가 두었다가, 깨끗한 물로 곱창 내부의 내용물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곱창 내부의 곱을 곱창 소에 함께 넣기 때문에 각종 기름은 제거하되 곱은 물에 씻겨 내리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분리한다. 곱을 분리하였으면 깨끗하게 세척한 다음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손질한다. 곱창을 세척할 때 밀가루나 소금으로 세척하면 더욱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곱창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막창과 대창을 재료로 하여 가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소 곱창 뿐만 아니라 돼지 곱창을 포함함은 당연하다.
다음, 마늘, 부추, 찹쌀 그리고 곱창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분리해 두었던 곱을 함께 버무려서 곱창 소를 마련한다. 기타 야채, 소금, 참기름 등 각종 양념을 첨부할 수 있다.
마늘은 통 마늘을 잘게 썰거나 으깬다. 상기 마늘은 곱창의 육질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것으로 통 마늘을 썰어서 넣기보다는 으깨어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무린 소를 손질한 곱창 내부에 충전한다. 소가 곱창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잘 집어넣고, 특히 곱창의 크기에 맞게 모양을 만든다.
소가 충전된 곱창을 초벌구이한다. 이때, 불의 온도는 일반 조리과정에서 통상 약한 불을 사용하는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팬이 달구어지면 여기에서 2분 정도 익힌다. 이때 소와 곱창이 익으면서 다량의 수증기가 발생하고 발생된 수증기는 마늘 기타 야채와 찹쌀이 서로 응집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초벌구이를 통하여 찹쌀이 수증기에 의하여 반죽되면서 마늘 기타 야채 등을 서로 응집시키고 곱창 내부의 벽에 응착되도록 하면서 마늘 곱창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초벌구이가 끝나면 곱창 소가 굳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재벌구이를 한다. 재벌구이도 초벌구이와 마찬가지로 서서히 익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벌구이에서 익은 마늘 곱창이 재벌구이를 통하여 굳어지면서 일정한 모양을 완성하도록 하며 동시에 곱창의 육질을 연화시킨다.
재벌구이가 끝났으면 0℃ 내지 10℃에서 2틀간 보관한다. 상온에서는 곱창이 상하거나 변색되기 쉽고 곱창을 얼리면 곱창 특유의 맛이 사라지기 때문에 5℃에서 보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곱창 특유의 비린 맛과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마늘과 부추를 소에 넣어 버무리며, 소에 분말 찹쌀을 섞음으로써 곱창과 소가 상호 응착되도록 하며, 초벌구이와 재벌구이를 하고 저온에서 이를 보관함으로써 육질을 연하게 하는 것을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단백하고 뛰어난 소화흡수에도 불구하고 비린 냄새로 인하여 기피하던 곱창의 맛은 그대로 살리면서도 비린 향은 없애주는 마늘과 부추로 인하여,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누구나가 영향식으로 즐길 수 있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둘째, 곱창 내부의 곱은 따로 분리하여 소와 함께 버무림으로써, 단백한 맛을 한층 높이는 효과가 기대된다.
세째, 초벌구이와 재벌구이를 통해 곱창과 야채 등이 익으면서 발생되는 증 기로 인하여 분말 찹쌀이 소를 응집시켜 마늘 곱창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또한 그 응집력으로 소가 곱창 내부에 응착되도록 하여 조리과정에서도 소가 곱창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조리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8)

  1. 으깨서 다진 마늘과, 잘게 절단된 부추 그리고 분말 찹쌀를 혼합하여 버무린 소; 및
    내부의 곱은 분리되고, 상기 소가 내부에 충전되는 곱창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곱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추는 1 내지 2 mm 간격으로 절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곱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찹쌀의 입도는 50 내지 10 mesh 정도로 분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곱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에는 상기 곱창 내부에서 분리된 곱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늘, 부추, 찹쌀 및 곱의 비중은 동일한 비율로 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곱창.
  5. 곱창을 준비하는 단계;
    곱창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손질하는 단계;
    마늘, 부추 기타 야채를 찹쌀과 함께 버무려 소를 형성하는 단계;
    버무린 소를 곱창 내부에 충전하여 마늘 곱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늘 곱창을 초벌구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곱창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곱창을 준비하는 단계는,
    곱창 내부의 곱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곱을 혼합하여 버무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곱창 제조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초벌구이된 마늘 곱창을 재벌구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곱창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재벌구이된 마늘 곱창을 0℃ 내지 10℃에서 1 내지 3일간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곱창 제조방법.
KR1020050119553A 2005-12-08 2005-12-08 마늘 곱창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42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553A KR100742293B1 (ko) 2005-12-08 2005-12-08 마늘 곱창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553A KR100742293B1 (ko) 2005-12-08 2005-12-08 마늘 곱창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276A true KR20060114276A (ko) 2006-11-06
KR100742293B1 KR100742293B1 (ko) 2007-07-24

Family

ID=3765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55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2293B1 (ko) 2005-12-08 2005-12-08 마늘 곱창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2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522B1 (ko) * 2011-06-17 2012-06-22 김상영 지방을 내장한 소 대창 생산방법
KR20160075047A (ko) 2014-12-19 2016-06-29 창녕군 홍마늘의 제조방법 및 홍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곱창용 홍마늘소스 조성물
KR102135436B1 (ko) * 2020-02-06 2020-07-17 주식회사 식스텐비즈 곱창의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587862B1 (ko) * 2023-07-27 2023-10-11 전준형 마늘 곱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768617B1 (ko) * 2024-04-05 2025-02-13 정선희 곱창구이 조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612B1 (ko) 2010-05-28 2013-02-18 이기영 톳과 함초를 이용한 소 특양과 대창의 제조방법
KR20250046381A (ko) 2023-09-26 2025-04-03 (주)샬롬푸드서비스 청귤청을 이용한 소 부산물의 가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565A (ko) * 1993-12-13 1995-07-20 유영학 즉석 곱창전골 조성물
KR960014612B1 (ko) * 1993-12-23 1996-10-19 제일제당 주식회사 장기간 저장 가능한 곱창의 가공방법
KR19990024245A (ko) * 1998-12-24 1999-03-25 박성찬 소박이 곱창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110360A (ko) * 2003-06-19 2004-12-31 지유현 사과순대의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522B1 (ko) * 2011-06-17 2012-06-22 김상영 지방을 내장한 소 대창 생산방법
KR20160075047A (ko) 2014-12-19 2016-06-29 창녕군 홍마늘의 제조방법 및 홍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곱창용 홍마늘소스 조성물
KR102135436B1 (ko) * 2020-02-06 2020-07-17 주식회사 식스텐비즈 곱창의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587862B1 (ko) * 2023-07-27 2023-10-11 전준형 마늘 곱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768617B1 (ko) * 2024-04-05 2025-02-13 정선희 곱창구이 조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2293B1 (ko) 200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23797B (zh) 海鲜血肠及其加工方法
KR101199426B1 (ko) 육수 첨가물 및 이를 이용한 돼지 사골 육수의 제조방법
KR102238782B1 (ko) 닭가슴살 분말을 이용한 과자 및 그 제조방법
JP6406915B2 (ja) 油揚様外皮被覆食品の製造方法
KR101119675B1 (ko) 과일 즙을 이용한 소스와 향을 갖는 떡볶이 제조방법
KR100742293B1 (ko) 마늘 곱창 및 그 제조방법
KR101816986B1 (ko) 어묵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42505B1 (ko) 오리 후라이드용 튀김장치 및 이 튀김장치를 이용한 오리 후라이드 제조방법 및 오리 후라이드
KR101797871B1 (ko) 순대바 및 그 제조방법
KR101805795B1 (ko) 동결건조 즉석조리용 순댓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동결건조 즉석조리용 순댓국
KR101699010B1 (ko) 황태 순대
KR101674992B1 (ko) 돼지껍데기 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돼지껍데기 묵
KR101162099B1 (ko) 오리고기 순대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190045734A (ko) 닭발 편육 제조방법
KR101091852B1 (ko) 들깨마늘소곱창의 제조방법
EP0386359B1 (en) Konjak-containing composition
KR101485435B1 (ko) 밥동그랑땡 조성물 및 밥동그랑땡의 제조 방법
KR101985485B1 (ko) 즉석요리용 황태순대 전골의 제조방법
JP2009178077A (ja) 揚げ物用海老加工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83062A (ko) 즉석요리용 황태순대 볶음의 제조방법
KR100352060B1 (ko) 달팽이를 이용한 식품의 제조방법
JP7361531B2 (ja) 油ちょう食品
JPH0499453A (ja) こんにゃくクラッシュ、こんにゃくペーストおよびこんにゃくパウダーの製造方法
KR20200113354A (ko) 치즈 떡갈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00095641A (ko) 닭불고기 제조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1017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4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1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43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4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611

Appeal identifier: 2007101004574

Request date: 20070430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4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12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706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53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