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038A - 바실루스속 세균을 이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및방제제 - Google Patents

바실루스속 세균을 이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및방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038A
KR20060114038A KR1020067019913A KR20067019913A KR20060114038A KR 20060114038 A KR20060114038 A KR 20060114038A KR 1020067019913 A KR1020067019913 A KR 1020067019913A KR 20067019913 A KR20067019913 A KR 20067019913A KR 20060114038 A KR20060114038 A KR 20060114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teria
plant
infection
bal
cau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0802B1 (ko
Inventor
다이주 유끼
아끼라 기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이쯔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이쯔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이쯔끼
Publication of KR20060114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2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병원성의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로 인한 식물 병해를 생물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 이들을 이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및 이들에 사용할 수 있는 세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식물 병원성의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의 감염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능력을 갖는 바실루스(Bacillus)속에 속하는 세균을 포함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 이들을 식물에 시용하는 방법, 및 이들에 사용할 수 있는 세균에 관한 것이다.
바실루스속, 식물 병해 방제제

Description

바실루스속 세균을 이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및 방제제 {METHOD OF CONTROLLING PLANT DISEASE DAMAGE BY USING BACILLUS AND CONTROLLING AGENT}
본 발명은 세균성, 사상균성 또는 바이러스성의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에 관한 것이다.
야채류 등의 환금 작물의 농업적 재배에서는, 종자 전염성, 토양 전염성, 공기(수매) 전염성의 식물 병해의 발생에 의해, 생산물의 양질·안정·다수익을 달성하기가 어렵게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병해가 발생하기 쉬운 이상 기상 조건을 만나면 생산 농가는 치명적인 타격을 입는다.
이러한 전염성 병해의 발생 원인으로서 인지되어 있는 것은, 주로 사상균(곰팡이), 세균(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이고, 정상적인 재배가 행해지기 위해서는, 이들 병원에 의한 식물 병해를 방제하는 것이 불가결하다.
농원예 식물을 병해로부터 방제하는 방법 중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널리 행해지고 있는 것은, 농약(예를 들면, 살진균제, 살세균제, 항바이러스제)을 투여하는 화학적 방법이다. 최근, 유기 합성 농약은 그 효과로 인해, 비약적인 발달로 보급되어, 병해의 방제에 위력을 발휘함으로써 농작물의 생산 향상에 크게 공헌해 왔다. 그러나, 농약 사용에 치우친 병해의 방제는, 농약의 토양 잔류, 식품 잔류, 병원성 미생물의 약제 저항성의 증대 등 지구 환경적, 사회적, 농업적으로 문제가 있다. 또한, 농약의 과도한 사용은 농작업자의 안전성의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국제적으로도 중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고, 다양한 대책이 채택되고 있다. 그 일례를 들면, 토양 훈증제인 브롬화메틸제는 오존층 파괴의 원인이라고 하여, 2005년에는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일부의 사용을 제외하고 절폐되어 전면적으로 사용이 금지되었다.
농약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개선하여 자연 생태계와 조화된 종합적 병해 관리 체계(Integrate Pest Management=IPM)를 확립하는 것이 세계적으로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다.
세균 등의 미생물의 능력을 이용하여 식물 병해를 방제하는 방법, 즉 미생물 농약에 의한 방제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력한 수단으로 기대된다.
이 출원의 발명에 관련한 선행 기술 문헌 정보로는 미국 특허 특허 명세서 제5,344,647호; 미국 특허 명세서 제5,061,495호; 일본 특허 공개 평8-1759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3-27721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2-14571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12442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302120호 공보, 미국 특허 명세서 제5,935,571호; 일본 특허 공개 평7-267811호 공보; 문헌 [Phae, C. G., Shoda, M., Kita, N., Nakano, M. and Ushiyama, K.: Ann. Phytopath. Soc. Japan, 58, 329-339, 1992]; [야마다 마사오 편저: 미생물 농약-환경 보전형 농업을 지향하며-전국 농촌 교육 협회, p.328, 2000]; [이와타 슈니치 외 편: 식물 방역 강좌-병해편-일본 식물 방역 협회, p.281, 1983]이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식물 병원성의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로 인한 식물 병해를 생물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 이들을 이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및 이들에 사용할 수 있는 세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1) 식물 병원성의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의 감염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능력을 갖는 바실루스(Bacillus)속에 속하는 세균을 포함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
(2) (1)에 있어서, 식물 병원성의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의 감염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능력을 갖는 바실루스(Bacillus)속에 속하는 세균이 DAIJU-SIID2550 또는 그 변이주(mutant)인 방제 자재.
DAIJU-SIID2550은 2003년 11월 20일자로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일본 이바라끼껭 쯔꾸바시 히가시 1쪼메 1반지1 주오다이6(우편번호 305-8566))에 기탁되어 있다(수탁 번호 FERM BP-10114, 2003년 11월 20일자로 일본 국내 기탁된 FERM P-19591로부터 이관됨). 해당 기탁은, 2003년 11월 20일에 본 발명의 발명자 중 한 명인 유끼 다이주(일본 사이따마껭 니이자시 사까에 3쪼메 10반 5고(우편 번호 352-0014))에 의해 이루어지고, 본 출원 이전인 2005년 2월 7일에 본 출원의 출원인인 가부시끼가이샤 이쯔끼(일본 사이따마껭 아사까시 사이와이쪼 3쪼메 12반 5고(우편 번호 351-0015))로 명의가 변경되었다.
(3) (1) 또는 (2)에 있어서, 식물 병원성 세균이 아그로박테리움 (Agrobact erium)속, 클라비박터(Clavibacter)속, 에르위니아(Erwinia)속, 슈도모나스(Pseudomonas)속, 랄스토니아(Ralstonia)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속, 쿠르토박테리움(Curtobacterium)속, 부르크홀데리아(Burkholderia)속 또는 크산토모나스(Xanthomonas)속에 속하는 세균이고, 식물 병해가 상기 세균에 의한 병해인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
(4) (1) 또는 (2)에 있어서, 식물 병원성 사상균이 공기 전염성 사상균 또는 토양 전염성 사상균이고, 식물 병해가 상기 사상균에 의한 병해인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
(5) (1) 또는 (2)에 있어서, 식물 병원성 바이러스가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고추 마일드 모틀 바이러스(Pepper mild mottle virus), 토마토 모자이크 바이러스, 멜론 괴저 반점 바이러스, 수박 녹반 모자이크 바이러스 또는 오이 녹반 모자이크 바이러스이고, 식물 병해가 상기 바이러스에 의한 병해인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를 식물 병원성의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의 숙주가 되는 식물에 시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7) (6)에 있어서, 식물이 십자화과(Brassicaceae), 가지과(Solanaceae), 참외과(Cucurbitaceae), 백합과(Liliaceae), 콩과(Leguminosae), 국화과(Asteraceae), 명아주과(Chenopodiaceae), 벼과(Gramineae), 장미과(Rosaceae), 패랭이과(Caryophyllaceae), 앵초과(Primulaceae), 운향과(Rutaceae), 포도과 (Vitaceae), 다래나무과(Actinidiaceae), 감나무과(Ebenaceae), 미나리과(Umbelliferae), 메꽃과(Convolvulaceae) 또는 토란과(Araceae)에 속하는 식물인 방법.
(8) (6) 또는 (7)에 있어서, 식물로의 시용 방법이, 세균을 식물의 종자에 도포하는 처리, 세균을 포함하는 현탁액에 식물의 종자를 침지시키는 처리, 세균을 식물의 재배 토양에 관주(灌注)하는 처리, 세균을 식물의 재배 토양에 혼화시키는 처리, 세균을 식물의 경엽에 살포하는 처리, 및 세균을 식물의 부상부(付傷剖)에 접촉시키는 처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처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신규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 DAIJU-SIID2550(수탁 번호 FERM BP-10114)주.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 병원성의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의 감염 또는 증식에 의한 식물 병해를 생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원의 우선권의 기초인 일본 특허 출원 2004-55059호 및 일본 특허 출원 2004-216083호의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포함한다.
도 1은 BAL균에 의한 흑부병균(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의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칭겐사이(bok choy)의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를 발아시킨 경우의 흑부병균 발병 상황을 나타낸다.
도 3은 BAL균 함유 방제제 처리를 마친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의 주위의 흑부병균의 생육 상황을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8에서의 실험 개시 후 9일째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8에서의 실험 개시 후 9일째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실시예 9에서의 실시 개시 후 26일째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7A는 BAL균의 증식에 대한 살균제 및 살충제의 영향을 나타낸다.
도 7B는 BAL균의 증식에 대한 살균제 및 살충제의 영향을 나타낸다(도 7A의 계속임)
도 8은 BAL균에 의한 궤양병균의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9는 BAL균에 의한 청고병균의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BAL균에 의한 연부병균의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실시예 14에서의 실험 개시 후 1일째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A는 실시예 15에서의 벼묘입고 세균병에 대한 실험 개시 후 16일째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B는 실시예 15에서의 벼알마름 세균병에 대한 실험 개시 후 16일째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은 실시예 16에서의 실험 개시 후 24시간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괄호 안의 배율은 발아 시험시의 최종 희석 배율을 나타낸다.
도 14는 실시예 17에서의 실험 개시 후 24시간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는 실시예 19에서의 회색 곰팡이병에 대한 BAL균 배양액의 효과를 나타 낸다.
도 16은 실시예 20에서의 실험 개시 후 20일째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7은 실시예 21에서의 흑반병에 대한 BAL균 배양액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18은 실시예 22에서의 흰녹병에 대한 BAL균 배양액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19는 실시예 23에서의 실험 개시 후 18일째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0은 실시예 24에서의 실험 개시 후 11일째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은 실시예 25에서의 TMV에 대한 BAL균 배양액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22는 실시예 26에서의 멜론 괴저 반점병에 대한 BAL균 배양액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식물 병원성의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의 감염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능력을 갖는 바실루스(Bacillus)속에 속하는 세균을, 식물 병원성의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의 숙주로 되는 식물에 시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 병원성의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의 감염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능력을 갖는 바실루스(Bacillus)속에 속하는 세균을 포함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식물 병해의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의 제조를 위한, 식물 병원성의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의 감염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능력을 갖는 바실루스(Bacillus)속에 속하는 세균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식물 병원성의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에 의한 식물 병해를 생물적으로 방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제제 및 방제 자재가 제공된다. 바실루스(Bacillus)속에 속하는 세균에 의해 식물 병해를 방제하는 방법은 지금까지도 몇 가지 개시되어 있으나(배경 기술에 기재된 문헌 참조),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발명에 해당하는 것은 전혀 없다.
본 발명에 의해 방제되는 세균성의 식물 병해로는, 세균이 병원인 임의의 식물 병해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속, 클라비박터(Clavibacter)속, 에르위니아(Erwinia)속, 슈도모나스(Pseudomonas)속, 랄스토니아(Ralstonia)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속, 쿠르토박테리움(Curtobacterium)속, 부르크홀데리아(Burkholderia)속, 크산토모나스(Xanthomonas)속, 리조박터(Rhizobacter)속 또는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속에 속하는 세균에 의한 식물 병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는, 특히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속, 클라비박터(Clavibacter)속, 에르위니아(Erwinia)속, 슈도모나스(Pseudomonas)속, 랄스토니아(Ralstonia)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속, 쿠르토박테리움(Curtobacterium)속, 부르크홀데리아(Burkholderia)속 또는 크산토모나스(Xanthomonas)속에 속하는 세균에 의한 식물 병해에 대하여 유효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 피브이. 캄페스트리스 (Xanthomonas campestris pv . campestris, 본 명세서에서 「흑부병균」이라고 함)의 십자화과(Brassicaceae) 식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흑부병(Black rot), 아그로박테리움 리조게네스(Agrobacterium rhizogenes)의 멜론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모근병(Hairy root),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 (Agrobacterium tumefaciens)의 당근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근두암종병(crown gall), 부르크홀데리아 글라디올라이 (Burkholderia gladioli)의 양파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인편부패병, 클라디박터 미시가넨시스 아종 미시가넨시스(Clavibacter michiganensis subsp . michiganensis)의 토마토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궤양병(Bacterial canker), 코리네박테리움속 세균(Corynebacterium sp.)의 고추, 피망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궤양병(Bacterial canker), 코리네박테리움속 세균(Corynebacterium sp.)의 토마토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잎 혹병(Bacterial leaf gall), 쿠르토박테리움 플라쿠파시엔스(Curtobacterium flaccumfaciens)의 양파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궤양병, 에르위니아 카로토보라 아종 카로토보라(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의 김칫거리 채소, 산동배추, 평짓과의 배추, 순무, 콜리플라워, 양배추, 오이, 무, 팍쵸이, 양파, 고추, 피망, 토마토, 가지, 부추, 당근, 마늘, 파, 배추, 브로콜리, 멜론, 레티스(lettuce, 상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연부병(Bacterial soft rot, Slimy soft rot), 에르위니아 크리산테마이(Erwinia chrysanthemi)의 딸기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위조 세균병(Bacterial stem rot), 에르위니아 크리산테마이(Erwinia chrysanthemi)의 호박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부패병(Bacterial rot), 에르위니아 크리산테마이(Erwinia chrysanthemi)의 가지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경부 세균병(Bacterial stem rot), 에르위니아 크리산테마이(Erwinia chrysanthemi)의 파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연부병(Bacterial soft rot), 에르위니아 라폰티사이 (Erwinia rhapontici)의 양파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부패병(Soft rot), 에르위니아속 세균(Erwinia sp.)의 마늘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춘부병, 슈도모나스 시코라이(Pseudomonas cichorii)의 오크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엽고 세균병, 슈도모나스 시코라이(Pseudomonas cichorii)의 가지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갈반 세균병(Necrotic leaf spot), 슈도모나스 시코라이(Pseudomonas cichorii)의 마늘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춘부병, 슈도모나스 시코라이(Pseudomonas cichorii)의 멜론, 레티스(상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부패병(Bacterial rot), 슈도모나스 코루가타(Pseudomonas corrugata)의 토마토, 가지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줄기 괴저 세균병(Pith necrosis),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Pseudomonas fluorescens)의 토마토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줄기 괴저 세균병(Pith necrosis), 슈도모나스 마르기날리스(Pseudomonas marginalis)의 평지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화부 세균병(Bacterial bud rot), 슈도모나스 마르기날리스 피브이. 마르기날리스(Pseudomonas marginalis pv . marginalis)의 딸기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아고 세균병, 슈도모나스 마르기날리스 피브이. 마르기날리스(Pseudomonas marginalis pv. marginalis)의 양배추, 쑥갓, 양파, 파, 배추, 브로콜리, 레티스(상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부패병(Soft rot, Head rot), 슈도모나스 마르기날리스 피브이. 마르기날리스(Pseudomonas marginalis pv. marginalis)의 오이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녹고 세균병(Marginal blight), 슈도모나스 마르기날리스 피브이. 마르기날리스(Pseudomonas marginalis pv. marginalis)의 무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흑점 둘레썩음병, 슈도모나스 마르기날리스 피브이. 마르기날리스(Pseudomonas marginalis pv. marginalis)의 토마토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부패 세균병(Bacterial rot), 슈도모나스 마르기날리스 피브이. 마르기날리스(Pseudomonas marginalis pv. marginalis)의 마늘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춘부병, 슈도모나스속 세균(Pseudomonas sp.)의 딸기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갈색 부패병, 슈도모나스속 세균(Pseudomonas sp.)의 토마토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유과 흑변 증상, 슈도모나스속 세균(Pseudomonas sp.)의 가지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반점 세균병(Bacterial spot), 슈도모나스속 세균(Pseudomonas sp.)의 부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그루썩음 세균병(Bacterial basal bulb rot), 슈도모나스 시린가에(Pseudomonas syringae)의 양파, 파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반점 세균병(Bacterial leaf spot), 슈도모나스 시린가에 피브이. 라크리만스(Pseudomonas syringae pv . lachrymans)의 호박, 오이, 덩굴여지, 멜론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반점 세균병(Angular leaf spot, Bacterial spot), 슈도모나스 시린가에 피브이. 마쿨리콜라 (Pseudomonas syringae pv . maculicola)의 김칫거리 채소, 산동배추, 평짓과의 배추, 순무, 개채·갓, 콜리플라워, 양배추, 순무의 한 품종, 무, 배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흑반 세균병(Bacterial leaf spot, Bacterial black spot), 슈도모나스 시린가에 피브이. 스피나시아에(Pseudomonas syringae pv . spinaciae)의 시금치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반점 세균병(Bacterial leaf spot), 슈도모나스 시린가에 피브이. 토마토(Pseudomonas syringae pv . tomato)의 토마토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반엽 세균병(Bacterial speck), 슈도모나스 비리디플라바(Pseudomonas viridiflava)의 오크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엽고 세균병, 슈도모나스 비리디플라바(Pseudomonas viridiflava)의 양배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부패병(Soft rot), 슈도모나스 비리디플라바(Pseudomonas viridiflava)의 오이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녹고 세균병(Marginal blight), 슈도모나스 비리디플라바(Pseudomonas viridiflava)의 토마토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흑반 세균병(Bacterial black spot), 슈도모나스 비리디플라바(Pseudomonas viridiflava)의 평지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화부 세균병(Bacterial bud rot), 슈도모나스 비리디플라바(Pseudomonas viridiflava)의 배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갈조 세균병(Bacterial brown streak), 슈도모나스 비리디플라바(Pseudomonas viridiflava)의 레티스(상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부패병(Bacterial rot),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Ralstonia solanacearum)의 딸기, 순무, 호박, 오이, 쑥갓, 무, 고추, 피망, 토마토, 가지, 덩굴여지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청고병(Bacterial wilt), 리조박터 다우사이(Rhizobacter dauci)의 당근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혹병(Bacterial gall),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의 딸기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각반 세균병,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의 쑥갓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흑부병,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의 브로콜리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흑부병(Black rot),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 피브이. 알라이(Xanthomonas campestris pv . allii)의 파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엽고 세균병(Bacterial blight),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 피브이. 카로타에(Xanthomonas campestris pv . carotae)의 당근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반점 세균병(Bacterial blight),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 피브이. 쿠쿠르비타에(Xanthomonas campestris pv . cucurbitae)의 호박, 오이, 멜론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갈반 세균병(Bacterial spot, Bacterial brown spot, Bacterial leaf spot),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 피브이. 라파나이(Xanthomonas campestris pv . raphani)의 순무, 양배추, 무, 칭겐사이, 배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반점 세균병(Bacterial spot),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 피브이. 베시카토리아(Xanthomonas campestris pv . vesicatoria)의 고추, 피망, 토마토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반점 세균병(Bacterial spot),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 피브이. 비티안스(Xanthomonas campestris pv . vitians)의 레티스(상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반점 세균병(Bacterial spot), 크산토모나스 프라가리아에(Xanthomonas fragariae)의 딸기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각반 세균병, 슈도모나스 시린가에 피브이. 오리자에(Pseudomonas syringae pv . oryzae)의 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카사고병(Halo blight), 벼 갈조병균(Acidovorax avenae subsp . avenae)의 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갈조병(Bacterial brown stripe), 에르위니아 크리산테마이 피브이. 제아에(Erwinia chrysanthemi pv . zeae)의 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그루썩음병(Bacterial foot rot), 크산토모나스 오리자에 피브이. 오리자에(Xanthomonas oryzae pv . oryzae)의 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백엽고병(Bacterial leaf blight), 에르위니아 아나나스(Erwinia ananas)의 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내영 갈변병(Bacterial palea browning), 부르크홀데리아 플란타라이(Burkholderia plantarii)의 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묘입고 세균병(Bacterial seedling blight), 부르크홀데리아 글루마에(Burkholderia glumae)의 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벼알마름 세균병(Bacterial grain rot), 슈도모나스 푸스코바기나에(Pseudomonas fuscovaginae)의 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엽초 갈변병(Sheath brown rot), 슈도모나스 시린가에 피브이. 자포니카(Pseudomonas syringae pv. japonica)의 밀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흑절병(Bacterial black node),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Ralstonia solanacearum)의 감자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청고병(Bacterial wilt), 에르위니아 크리산테마이 피브이. 크리산테마이(Erwinia chrysanthemi pv . chrysanthemi)의 감자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위조 세균병(Bacterial stem rot), 에르위니아 카로토보라 아종 아트로세프티카(Erwinia carotovora subsp . atroseptica), 에르위니아 카로토보라 아종 카로토보라(Erwinia carotovora subsp . carotovora), 에르위니아 크리산테마이(Erwinia chrysanthemi)의 감자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흑족병(Black leg), 에르위니아 카로토보라 아종 카로토보라(Erwinia carotovora subsp . carotovora)의 감자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연부병(Bacterial soft rot), 클로스트리듐속 세균(Clostridium sp.)의 감자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점성 부패병(Slimy rot), 클라비박터 미시가넨시스 아종 세페도니쿠스(Clavibacter michiganensis subsp . sepedonicus)의 감자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둘레썩음병(Ring rot),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 피브이. 글리시네스(Xanthomonas campestris pv . glycines)의 대두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엽소병(Bacterial pustule), 슈도모나스 시린가에 피브이. 글리시네아(Pseudomonas syringae pv . glycinea)의 대두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반점 세균병(Bacterial blight), 벼갈조병균의 옥수수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갈조병(Bacterial brown stripe), 부르크홀데리아 안드로포고니스(Burkholderia andropogonis)의 옥수수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조반 세균병(Bacterial stripe), 에르위니아 크리산테마이 피브이. 제아에(Erwinia chrysanthemi pv . zeae), 슈도모나스 마르기날리스(Pseudomonas marginalis)의 옥수수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도상 세균병(Bacterial stalk rot)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흑부병균에 의한 흑부병은 십자화과(Brassicaceae) 식물의 생산에 치명적 장해를 주는 병으로서 알려져 있고,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중요 병해로서, 기발생국 및 미발생국 모두 그의 방제에 다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종래까지, 흑부병에 대해 실용적으로 인지된 저항성 품종은 없고, 유효한 농약도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십자화과(Brassicaceae) 식물, 예를 들면 양배추, 배추, 무,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순무, 칭겐사이, 유채(서양종), 평짓과의 배추, 서양종 평지씨, 시라쿠키나(Shirakukina), 산동배추, 유채, 양배추(변종), 카브라타마나(콜라비(Kohlrabi)), 카이란(Chinese kale), 타사이(Brassica chinensis var. rosularsis), 개채, 김칫거리 배추, 모란채에서 흑부병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벼알마름 세균병 및 벼묘입고 세균병은 벼알로부터의 종자 전염성 병해로서 수도 재배 상의 방제, 특히 종자 소독이 불가결한 중요한 세균성 병해이다. 현재는 이것에 대응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는 화학적 방제법이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농약에 의한 벼 소독은 농약액의 잔액 처리 등이 문제가 된다. 또한, 벼 소독용의 생물 농약으로는 「모미겐키」(닛산카가쿠고교(주))가 시판되고 있을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도의 종자 전염성 세균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방제되는 사상병균으로는, 병원이 사상균인 임의의 식물 병해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공기 전염성 사상균 및 토양 전염성 사상균에 의한 병해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기 전염성 사상균에는 수매 전염성의 것도 포함된다. 공기 전염성 사상균으로는 예를 들면, 흰가루병균(에리시페(Erysiphe)속 균, 스파에로테카(Sphaerotheca)속 균, 레베일룰라( Leveillula)속 균), 보트리티스(Botrytis)속 균, 풀비아 풀바(Fulvia fulva)속 균, 코리네스포라(Corynespora)속 균, 알부고(Albugo)속 균, 노균병균(슈도페로노스포라(Pseudoperonospora)속 균, 페로노스포라(Peronospora)속 균, 플라스모파라(Plasmopara)속 균, 브레미아(Bremia)속 균), 도열병균(Pyricularia grisea), 호마엽고병균(Cochliobolus miyabeanus), 써코스포라류 녹균(세르코스포라(Cercospora)속 균, 세르코스포렐라(Cercosporella)속 균, 슈도세르코스포라(Pseudocercospora)속 균, 파라세르코스포라(Paracercospora)속 균, 미코벨로시엘라(Mycovellosiella)속 균), 탄저병균(콜레토트리쿰(Colletotrichum)속 균, 글로메렐라(Glomerella)속 균), 녹병균(푸시니아(Puccinia)속 균), 흑반병균(알테르나리아(Alternaria)속 균), 알테르나리아(Alternaria)속 균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토양 전염성 사상균으로는 예를 들면, 뿌리 혹병균(Plasmodiophora brassicae), 피토프토라(Phytophthora)속 균, 푸사륨(Fusarium)속 균, 베르티실륨(Verticillium)속 균, 피튬(Pythium)속 균 및 리족토니아(Rhizoctonia)속 균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공기 전염성 사상균 병해로는, 흰가루병균의 토마토, 가지, 무, 양배추, 순무, 개채, 배추, 유채, 당근, 오이, 딸기, 고추, 멜론, 수박, 호박, 국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흰마름병(Powdery mildew),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의 참외과(Cucurbitaceae), 가지과(Solanaceae), 레티스, 콩류, 딸기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회색 곰팡이병(Gray mold), 코리네스포라 카사이콜라(Corynespora cassiicola)의 오이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갈반병(Corynespora leaf spot), 알부고 마크로스포라(Albugo macrospora)의 배추, 콜리플라워, 순무, 무, 유채 등 많은 십자화과(Brassicaceae) 야채류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흰녹병(White rust), 노균병균의 참외류, 십자화과(Brassicaceae) 야채류, 파·양파, 고추냉이, 쑥갓, 파드득나물, 시금치 및 레티스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노균병(Dawny mildew), 도열병균의 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벼도열병(Rice blast), 슈도세르코스포라 풀리게나(Pseudocercospora fuligena)의 토마토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토마토 그을음 곰팡이병(Cercospora leaf mold), 파라세르코스포라 에게눌라(Paracercospora egenula)의 가지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가지 갈색원성병(Leaf spot), 세르코스포라 카프시사이(Cercospora capsici)의 피망·고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반점병(Frogeye leaf spot), 세르코스포라 시트룰리나(Cercospora citrullina)의 오이, 멜론, 수박 및 수세미외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반점병(Leaf spot), 세르코스포렐라 브라시카에 (Cercosporella brassicae)의 배추 및 순무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배추 및 순무 백반병(White spot), 미코벨로시엘라 나트라사이(Mycovellosiella nattrassii)의 가지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가지 그을음 곰팡이병(Leaf mold), 탄저병균의 배추, 순무, 무, 유채, 사탕무, 칭겐사이, 김칫거리 채소류, 강낭콩, 고추, 피망, 참외류, 풋콩, 파, 양파, 부추, 시금치, 딸기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탄저병(anthracnose), 녹병균의 파, 양파, 염교, 마늘, 부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녹병(Rust), 국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국화 백녹병(Rust), 흑반병균의 십자화과(Brassicaceae) 야채류, 당근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흑반병(Alternaria leaf spot, Alternaria black rot), 알테르나리아 브라시사이콜라(Alternaria brassicicola)의 양배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흑그을음병(Alternaria sooty spot), 알테르나리아 다우사이(Alternaria dauci)의 당근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흑엽고병(Leaf Blight), 알테르나리아 솔라나이(Alternaria solani)의 감자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하역병(Eary Blight), 알테르나리아 솔라나이(Alternaria solani)의 토마토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토마토 겹둥근무늬병(Eary Blight), 보트리티스속 균의 양파, 부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백반엽고병(Leaf Blight), 보트리티스 알라이(Botrytis allii)의 양파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회색 부패병(gray-mold neck rot)를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공기 전염성 사상균에 의한 병해 중에서도, 십자화과(Brassicaceae) 식물의 엽근채류의 생산에 치명적 장해를 주는 병으로서 알려져 있는 백녹병, 흑반병, 탄저병, 노균병 등은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중요 병해로서 기발생국 및 미발생국 모두에서 그 대응에 다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종래까지, 백녹병, 흑반병, 탄저병, 노균병에 대해 실용적으로 인지된 저항성 품종은 없다. 방제 효과가 높은 농약은 있지만(메타락실 수화제, 이프로디온 수화제, TPN 수화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잎이나 뿌리를 직접 식용으로 하는 엽근채류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적정 사용 기준이 엄격하여 방제 상의 문제점이 많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병해를 순무, 칭겐사이, 유채(서양종), 평짓과의 배추, 무, 카이란, 타사이, 콜리플라워, 브로콜리, 배추, 양배추, 유채, 개채 등에서 생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실시예 21 및 22를 참조).
토양 전염성 사상균 병해로는, 구체적으로는, 뿌리 혹병균의 십자화과(Brassicaceae) 작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뿌리 혹병, 피토프토라(Phytophthora)속 균의 벼, 사과, 백합, 딸기, 감귤, 가지, 피망, 고추, 호박, 토란, 감자, 토마토, 가지, 오이, 수박, 멜론, 참외류, 파, 카네이션, 감귤, 시금치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역병, 토마토, 오이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회색 역병, 가지, 토마토, 수박, 감귤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갈색 부패병, 딸기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근부병, 벼, 보리, 밀, 귀리, 옥수수, 벤트그래스(bentgrass)류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황화 위축병, 장미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경부병, 벼, 대두, 가지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면역병(cotton blight), 감귤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발마름병(foot blight), 양파, 파, 실파, 염교, 마늘, 부추, 달래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백색 역병, 팥, 대두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경역병, 가지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묘엽고 역병, 토마토, 가지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근부 역병, 피튬(Pythium)속 균의 강낭콩, 호박, 오이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면부병(cottony blight), 벼, 가지, 토마토, 시금치, 호박, 오이, 강낭콩, 완두콩, 오크라, 멜론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묘입고병, 당근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염부병(cavity spot), 벤트그래스류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적소병, 대두, 오이, 멜론, 시금치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입고병, 밀, 보리, 귀리(Avena sativa), 라이보리(rye), 라이그래스(ryegrass)류, 김의털(fescue)류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갈색 설부병, 딸기, 오이, 토란, 토마토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근부병, 고구마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백부병, 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묘부병, 리족토니아(Rhizoctonia)속 균의 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적색 균핵병, 벼, 보리, 조, 수수, 기장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문고병, 대두, 팥, 강낭콩, 완두콩, 감자, 오처드그래스, 블루그래스류, 김의털류, 라이그래스류, 벤트그래스류, 솔검류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엽부병, 딸기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아고병, 잠두콩, 카네이션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경부병, 벼, 토마토, 가지, 피망, 고추, 피망, 오이, 멜론, 참외, 박, 양배추, 콜리플라워, 브로콜리, 유채, 양파, 파, 오크라, 시클라멘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묘입고병, 시금치, 보리, 밀, 양배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그루썩음병, 레티스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뿌리마름병, 감자, 우엉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검은무늬썩음병(black scurf), 무, 당근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근부병, 배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밑둥썩음병, 당근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자문익병, 국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입고병, 베르티실륨(Verticillium)속 균의 딸기, 땅두릅, 대두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위조병, 가지, 고추(피망), 토마토, 오크라, 오이, 머위, 멜론, 국화, 장미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반신 위조병, 양배추, 레티스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베르티실륨(Verticillium) 위조병, 무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베르티실륨(Verticillium) 흑점병, 배추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황화병, 푸사륨(Fusarium)속 균의 가지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반고병, 오이, 박, 수세미외, 멜론, 수박, 고구마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덩굴쪼김병, 양배추, 딸기, 무, 순무, 양배추, 유채, 땅두릅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위황병, 레티스, 강낭콩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근부병, 염교, 양파, 마늘, 부추, 토란, 당근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건부병, 파드득나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그루마름병, 우엉, 파, 토마토, 시금치, 카네이션, 시클라멘, 팥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위조병, 아스파라거스, 카네이션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입고병, 연꽃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부패병, 멜론, 참마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갈색 부패병, 토마토, 파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근부 위조병, 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묘부병, 밀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홍색 설부병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토양 전염성 사상균에 의한 병해 중에서도, 푸사륨(Fusarium)속 균, 베르티실륨(Verticillium)속 균, 피토프토라(Phytophthora)속 균 등에 의한 병해는, 난방제 병해로서 야채 재배 상 치명적 장해를 입힌다. 그 때문에, 이들 병해에 대응하기 위해서, 저항성 품종의 육성, 화학적 농약에 의한 토양 소독, 발생 예찰 등의 수단이 강구되어 왔다. 예를 들면, 가지과(Solanaceae)(토마토, 가지, 피망, 시시토), 참외과(Cucurbitaceae)(오이, 수박, 멜론) 등에서는 저항성 품종이나 저항성 대목, 화학 농약에 의한 토양 소독(크롤피크린, 다조메트, 메틸브로마이드), 병원균의 토양 검진 등의 수단을 강구하여 방제가 행해져 왔다. 십자화과(Brassicaceae) 야채류, 예를 들면 순무, 칭겐사이, 유채, 배추, 양배추, 무 등에서는, 가지과(Solanaceae), 참외과(Cucurbitaceae) 야채류에 비하여 수획 기간이 짧고, 그 때문에 1년간의 연작 횟수가 매우 많다. 예를 들면, 유채, 칭겐사이, 순무에서는 5 내지 6회이다. 따라서, 토양 전염성 병해에 의한 피해는 치명적이다. 본 발명의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를 작기마다 사용함으로써, 난방제 병원균의 토양 중에서의 증식 또는 전염을 저지하여 발병을 경감할 수 있다(실시예 23 및 24 참조).
본 발명에 의해 방제되는 바이러스성 식물 병해로는, 병원이 바이러스인 임의의 식물 병해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MV), 고추 마일드 모틀 바이러스(PMMoV), 토마토 모자이크 바이러스(ToMV), 멜론 괴저 반점 바이러스(Melon necrotic spot virus: MNSV), 수박 녹반 모자이크 바이러스(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 CGMMV), 오이 녹반 모자이크 바이러스(Kyuri green mottle mosaic virus: KGMMV)에 의한 식물 병해를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는,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의한 담배 모자이크병, 고추 마일드 모틀 바이러스, 토마토 모자이크 바이러스 혹은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의한 피망 모자이크병, 멜론 괴저 반점 바이러스에 의한 멜론 괴저 반점병, 수박 녹반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의한 수박 녹반 모자이크병, 수박 녹반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의한 멜론 녹반 모자이크병, 또는 오이 녹반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의한 오이 녹반 모자이크병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오이 녹반 모자이크 바이러스, 수박 녹반 모자이크 바이러스, 멜론 괴저 반점 바이러스에 의한 바이러스병은, 모두 접촉 감염력, 즙액 감염력, 종자 감염력, 토양 감염력이 다른 바이러스에 비하여 매우 심하고, 세계적인 중요 바이러스병으로서 그 방제에 다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저항성 품종이나 저항성 대목의 육성이 행해져 실용화되었다. 그러나, 시장이나 소비자의 강한 요구가 선행할 뿐 아니라, 유력한 저항성 품종이나 대목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특히 즙액 전염, 종자 전염, 토양 전염의 방지에는 화학적 방제법이 적용된다. 예를 들면, 렌테민 수용제에 의한 즙액 전염 방지, 제3인산소다에 의한 종자 전염 및 즙액 전염 방지, 메틸브로마이드에 의한 토양 전염 방지 등이다(상기 이와타 등의 문헌 참조). 이들 방제법은 화학적 처리에 의한 경우도 있으며, 오용시 효과 불충분이나 약해 또는 인적 피해가 발생한다. 또한, 바이러스병의 토양 전염 방제를 위해서 일본에서는 메틸브로마이드(브롬화메틸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훈증제는 2005년도에 오존층의 파괴에 결부된다는 이유에서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사용이 금지되었다. 현재 그 대체제의 탐색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물적 수단에 의해 종자 전염성 바이러스병 및 토양 전염성 바이러스병이 효과적으로 방제될 수 있다(실시예 25 및 26 참조).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바실루스(Bacillus)속에 속하는 세균으로는, 식물 병원성의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의 감염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능력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바실루스 아미로리퀘파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루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tis)를 들 수 있다. 특히,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에 기탁된 DAIJU-SIID2550(수탁 번호: FERM BP-10114)이 바람직하다. 이 주는 바실루스 아미로리퀘파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근연종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이하 「BAL균」이라고 약기된다. BAL균을 함유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는, 식물 및 토양으로의 정착성이 높고, 병해 방제 활성의 지속성이 높으며, 40 내지 100℃의 고온에 노출되어도 병해 방제 활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는 또한, BAL균이 변이 유발 처리된 변이주가 이용될 수 있다. 변이 유발 처리는 임의의 적당한 변이원을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여기서, 「변이주」라는 말은, 그 광의에서, 예를 들면 변이원 효과를 갖는 약제뿐만 아니라 UV 조사와 같은 변이원 효과를 갖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당한 변이원의 예로서 에틸메탄술포네이트, UV 조사,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구아니딘, 브로모우라실과 같은 뉴클레오티드염기 유사체 및 아크리딘류를 들 수 있는데, 다른 임의의 효과적인 변이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BAL균은 예를 들면, 다음의 방법에 의해 분리된다. 식용 머시룸(mushroom) 배양 잔사를 80℃에서 30분간 증기 멸균하고, 이를 잔사:생리 식염수=1:9(중량비)로 희석하고, 이 희석액을 진폭 10㎝의 왕복 진탕기를 이용하여 15분간 진탕한 후, 500rpm으로 5분간 저속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얻거나, 또는 토요(Toyo) 여과지 No.2로 여과한 여액을 채취한다. 계속해서 상층액 또는 여액을 0.05% 한천을 포함하는 증류수로 단계 희석한다(문헌 [세균학실습제안, 전염병연구소학우회 편] 참조). 단계 희석은, 1×101∼8배액까지 조정하고, 각 희석액을, 직경 9㎝ 샬레 중의 YPA 배지(펩톤·이스트·식염 배지. 문헌 [식물병원성 미생물연구법-유전자 조작을 포함하는 기초와 응용-와키모토 테츠 감수] 참조)에 100μL씩 분주하고, 25℃의 정온기에서 48 내지 72시간 정치 배양하고, 생육한 세균을 개별적으로 채취함으로써 행해진다. 채종 세균은 YPA 사면 배지에서 계대 배양된다. 계대 배양된 각 세균을, 타균이 혼합되어 있지 않은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시 단계 희석을 행하여 단-콜로니(single colony)를 얻는다. 이와 같이 하여 순수 분리된 단-콜로니 세균으로부터, 각 단-콜로니 세균과 순무 위황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 conglutinans, 흑부병균에 대한 항균성을 확인하기 위한 간이 마커)의 YPA 배지 상에서의 대치 배양법으로 형성되는 저지대의 강약도에 기초하여, 가장 저지력이 강한 세균이 선별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선별된 세균은 이하의 특성을 갖는다. 그람 염색성: 양성, 내생포자: 유, 형태: 정균, G+C(DNA) 비율(mol%): 43.5 내지 44.9(이 값은 바실루스 서브틸리스(B. subtilis)보다 높다. 바실루스 서브틸리스(B. subtilis)는 42 내지 43이다), 최적 발육 온도: 25 내지 30℃, 생물학적 안전성 레벨: 1(인체에 질병을 일으키고, 동식물에 중요한 질환을 일으킬 가능성이 없는 것).
본 세균의 귀속 분류군은, 16S rDNA(16S rRNA 유전자)의 염기 서열 약 1600bp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상세 내용: 하기 참고예). 그 결과, 바실루스(Bacillus)속에 속하는 신규 주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세균은, DAIJU-SIID2550으로서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에 2003년 11월 20일자로 기탁되어 있다(수탁 번호: FERM BP-10114).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은, 왕복 진탕 배양, 자 퍼먼터(jar fermentor) 배양, 배양 탱크 배양 등의 액체 배양, 고체 배양 등의 통상의 배양법에 의해 배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실루스균 세균의 배양을 위한 배지는, 세균이 효율적으로 대수 증식기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25 내지 30℃ 및 48 내지 96시간 이내에서 생육량이 최고에 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 및 48시간으로 생육량이 최고에 도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지로는 예를 들면, 탄소원으로서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전분, 덱스트린, 흑설탕, 밀기울, 쌀당(rice bran) 등의 당류를, 질소원으로서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질산암모늄 등의 암모늄염, 질산염 등의 무기 질소원, 또는 효모 엑기스, 콘 스티프 리커, 고기 엑기스, 밀배아, 폴리펩톤, 사탕수수를 짜고 남은 찌꺼기(바카스), 맥주 지게미, 대두분, 쌀당, 어분 등의 유기 질소원을, 무기염으로서 인산일칼리, 황산마그네슘, 황산망간, 황산제일철 등의, 인, 칼륨, 망간, 마그네슘, 철 등을 포함하는 염류를, 각각 함유하는 합성 또는 천연의 배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진탕 배양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소독제 등의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이 호기성 균이라는 점에서, 호기적 조건 하에서의 배양이 바람직하고, 고체 배양 또는 통기 교반 배양, 진탕 배양 등의 액체 배양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이고, 배양 pH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 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의 범위이다. 또한, 실시예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요건을 만족시키는 배양이 가능한 배지로서 비지·밀기울·쌀당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산업폐기물이기 때문에, 비지·밀기울·쌀당을 배지로 하는 배양은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이라고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식물 병해의 방제에는, 상기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의 배양액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더 방제 효과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배양액을 막 분리, 원심 분리, 여과 분리 등의 방법에 의해 분리한 고농도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기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의 배양액을 건조시킨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의 배양액을 원심 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을 건조시킨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의 배양액을 원심 분리하여 얻어지는 침전 균체를 물로 세정하여 건조시킨 것(통상적으로, 균체를 약 50 내지 100중량% 포함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의 배양액을 활성탄 분말, 규조토, 탤크 등의 다공 흡착체에 흡착시켜 건조시킨 것(통상적으로, 균체를 1×108 내지 109cfu/g 포함함)이 사용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건조 방법은 통상의 방법이며, 예를 들면 동결 건조, 감압 건조이면 된다. 이들 건조물은 건조 후 추가로 볼 밀 등의 분쇄 수단으로 분쇄되어도 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물의 조제 방법의 BAL균을 이용한 일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AG 배지(글루코오스(와코쥰야쿠고교(주)) 1%, 폴리펩톤(닛폰세이야쿠(주)) 1%, KH2PO4(와코쥰야쿠고교(주)) 0.1%, MgSO4·7H2O(와코쥰야쿠고교(주)) 0.05%, pH 7.00, 고압 멸균 15분간) 100mL를 넣은 3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BAL균의 사면 배양물을 백금이로 식균한 후, 25℃에서 24시간, 진탕 배양(120회/분)한다. 계속해서, 얻어진 배양물 100μL를 상기 AG 배지 100mL에 식균하여 호기적 조건 하에서 25℃에서 48시간 배양한다. 이 배양액을 원심 분리하여 배양 상층액과 배양 침전물로 분리하고, 배양 상층액은 채취하고, 침전물은 물로 세정하여 균체를 얻는다. 또는, 이 배양물을, 직경 1.8㎝, 높이 10 내지 15㎝의 유리관 또는 플라스틱 투명관에 채운 활성탄 분말(와코쥰야쿠고교(주)), 규조토(와코쥰야쿠고교(주)), 탤크(와코쥰야쿠고교(주)) 등의 다공 흡착체에 적하 흡착시켜 균체를 회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배양 상층액, 수세 정균체 또는 흡착 균체를, 동결 건조 또는 감압 건조에 의해 건조시키고, 볼 밀로 분쇄함으로써,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을 포함하는 건조물이 얻어진다.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은 전술한 배양액, 고농도물 또는 건조물로서 그 자체 단독으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데, 추가의 다른 임의 성분과 조합하여 통상의 미생물 제제와 마찬가지의 형태(예를 들면 분제, 수화제, 유제, 액제, 유동성 제제, 도포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조합하여 사용되는 임의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고체 담체, 보조제를 들 수 있다. 고체 담체로는 예를 들면 벤토나이트, 규조토, 탤크류,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CMC), 맥주 지게미, 사탕수수를 짜고 남은 찌꺼기(바카스), 비지, 밀기울, 키틴, 쌀당, 밀가루 등의 유기물 분말을 들 수 있고, 보조제로서 예를 들면 젤라틴, 아라비아검, 당류, 겔란검 (gellan gum)등의 고착제나 증점제를 들 수 있다. 맥주 지게미, 사탕수수를 짜고 남은 찌꺼기(바카스), 비지, 밀기울 및 쌀당은 모두 산업폐기물이기 때문에, 이들이 본 발명에 사용되면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이라고 하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의 배양액과 비지 등의 산업폐기물이 조합된 본 발명의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우선, AG 배지(글루코오스(와코쥰야쿠고교(주)) 1%, 폴리펩톤(닛폰세이야쿠(주)) 1%, KH2PO4(와코쥰야쿠고교(주) 0.1%, MgSO4·7H2O(와코쥰야쿠고교(주)) 0.05%, pH 7.00, 고압 멸균 15분간) 100mL를 넣은 3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BAL균의 사면 배양물을 백금이로 식균한 후, 25℃ 하에서 왕복 진탕 배양(120회/분)을 행하여, BAL균의 균 농도를 1×107cfu/mL로 조정한다. 한편, 비지 1300g, 밀기울 600g, 쌀당 100g을 혼합한다(이하, 이 혼합물을 기본 증식 배지라고 함). 상기 배양액 1mL를 기본 증식 배지 100mL에 식균하고, 암흑 하에서 1일 1회의 비율로 충분히 교반하면서 72 내지 120시간 정치 배양한다. 정치 배양 후에 건조되어 본 발명의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 중의 BAL균 농도는 통상적으로 1g당 약 4×109∼10cfu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BAL균은 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로부터 단리된 균주이기 때문에, BAL균을 포함하는 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 자체도 본 발명의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는, 필요에 따라 건조되고 분쇄될 수 있다. 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 또는 그 건조물 중의 균체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그 잔사 중에 BAL균의 상기 배양액, 고농도물, 건조물 등이 적절히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잔사 중의 최종적인 BAL균 농도가 1×109∼10cfu/mL 이상이 되도록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AL균을 산업폐기물에 번식시킨 것도 본 발명의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로는, 밀기울, 볏짚, 밀짚 및 옥수수 껍질 또는 사용이 끝난 균상(버섯류 배양 잔사, 예를 들면 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 등에 BAL균을 번식시킨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는,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이라고 하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 중의 BAL균 농도는, 배합 재료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1×107 내지 108cfu/g이다. 또한, 사용할 수 있는 산업폐기물 중의 C/N비는, 볏짚에서는 70%, 밀짚에서는 70 내지 90%, 옥수수 껍질에서는 80 내지 90%이다.
여기서, 상기한 형태의 본 발명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밀기울:밀짚(5 내지 10㎝ 절단):물을 1:1:1의 비율로 배합하고, 교반한 후, 쌀겨(질소량 1.7 내지 2.0%)를 배합물 100㎏에 대하여 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 첨가한다. 배합물을 강우가 닿지 않는 옥내에 퇴비 만들기와 동일한 요령으로 쌓고, 발효열이 나기 시작하고 나서 6 내지 7일 후에, AG 배지에서 배양한 BAL균액(통상적으로 균체 1×107 내지 109cfu/ml) 500ml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교반 및 퇴적시킨다. 그 후, 뒤엎기를 4 내지 6일마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일마다 5 내지 6회 행한다. 발효가 종료된 시점에서 건조시켜서, BAL균을 포함하는 방제 자재를 얻는다. 자재 완성시의 비료 성분과 특성값의 분석값은 배합 재료에 따라 변동하는 것이지만, 통상, pH는 7.0 내지 7.5, 수분 함량 35 내지 40%, N은 2.5 내지 3.0%, P2O는 3.5 내지 4.0%, K2O는 2.0 내지 2.5%, CaO는 1.0%, MgO는 1.0 내지 1.5%, 유기물은 50 내지 60%, C/N비는 0.7 내지 1.3이다. 본 자재를 사용할 때에는 추가로, 간이 솔라법(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낮, 지표하 15㎝에서 내부 온도 30 내지 40℃, 지표면 온도 35 내지 40℃로 되도록 지표면을 투명 멀칭(transport mulching)하고, 토양 수분 70 내지 80%에서 7 내지 10일간 처리하는 방법)을 병용하여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 자재는, 특히 토양 전염성의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의 숙주로의 침입 또는 감염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토양 전염성 바이러스를 토양 중에서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실시예 25)는 점에서, 브롬화메틸 토양 훈증제의 대표 자재로서 특히 유용하다.
상기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의, 식물로의 시용 방법은, 방제하고자 하는 식물 병해의 종류, 식물 병해의 발생 상황, 시용 대상인 식물의 종류,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의 제형 등의 제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고, 예를 들면 지상부 살포, 시설내 시용, 토양 혼화 시용, 토양 관주 시용, 표면 처리(종자 분의 처리, 종자 도포 처리) 등의 각 처리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는 종자 전염 방제법, 토양 전염 방제법, 공기(수매) 전염(바람·물에 의한 전염) 방제법(세균성 식물 병해의 방제법은 일반적으로 이들 3종류로 대별할 수 있음)의 모든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시용 방법으로는, 각종 제형의 상기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을 식물의 종자에 도포하는 처리, 식물의 재배 토양에 관주하는 처리, 식물의 재배 토양에 혼화시키는 처리, 식물의 경엽에 살포하는 처리, 및 식물의 부상부에 접촉시키는 처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처리가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을 식물의 종자에 도포하는 처리는, 예를 들면 겔란검, 한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의 피막 형성제를 포함하는 액제에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을 현탁시킨 액을 식물 종자에 도포한 후에 건조시키거나, 마찬가지의 현탁액에 식물의 종자를 침지시킨 후에 건조시킴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의 식물로의 시용시에는, 필요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유효 성분, 예를 들면 살충제, 살선충제, 살진드기제, 제초제, 살진균제, 살세균제, 항바이러스제, 비료, 토양 개량제(이탄(peat) 등)를 혼합 시용하거나, 혼합하지 않고 교호 시용 혹은 동시 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의 작용은, 대부분의 경우, 실시예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병행하여 시용되는 다른 유효 성분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의 식물로의 시용량은, 방제되는 식물 병해의 종류, 식물 병해의 발생 상황, 시용 대상인 식물의 종류,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의 제형 등의 제조건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예를 들면, BAL균을 포함하는 액제를 흑부병에 걸린 식물의 지상부에 살포하는 경우에는, 액제 중의 BAL균의 생세포 농도는 통상적으로는 약 1×107∼10cfu/mL, 바람직하게는 약 1×108∼9cfu/mL이고, 그 액제의 시용량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L/10a이다. 또한, BAL균을 포함하는 건조 분제를 흑부병균으로 오염된 재배 토양에 혼화시키는 경우에는, 건조 분제 중의 BAL균의 생세포 농도는 통상적으로는 1×108∼10cfu/g, 바람직하게는 1×109cfu/g이고, 그 건조 분제의 시용량은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000㎏/10a, 더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10a이다. 또한, BAL균 함유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를 상기 시용량에 의해 흑부병균으로 오염된 재배 토양에 충분히 교반하여 혼화시키고, 토양 수분 약 30 내지 40%, 지온 20 내지 30℃에서 토양이 건조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5 내지 7일간 방치한 후라면, 십자화과(Brassicaceae) 식물의 종자를 접종하여도 흑부병에 걸리는 일은 없다.
참고예 : DAIJU - SIID2550 의 귀속 분류군의 검토
DAIJU-SIID2550을 CM3 Agar(Oxoid, 영국)에 식균하고, 30℃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그 후, 이 균체를 DNA 추출의 공시 균체로 하였다. 게놈 DNA의 추출에는 PrepMan법(Applied Biosystems, 미국)을 사용하였다. 추출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PCR에 의해 16S 리보좀 RNA 유전자(16S rDNA)의 전체 염기 서열 1500 내지 1600bp의 영역을 증폭하였다. 그 후, 증폭된 16S rDNA를 시퀀싱하고, 검체의 16S rDNA 염기 서열을 얻었다. PCR 산물의 정제, 사이클 시퀀싱에는, MicroSeqFull 16S rDNA Bacterial Sequencing Kit(Applied Biosystems, 미국)를 사용하였다. 써멀 사이클러에는 GeneAmp PCR System 9600(Applied Biosystems, 미국), DNA 시퀀서에는 ABI PRISM 3100 DNA Sequencer(Applied Biosystems, 미국)를 사용하고, 얻어진 염기 서열 단편의 결합에는 AutoAssembler 2.1(Applied Biosystems, 미국)을 사용하였다. 또한, 게놈 DNA 추출로부터 사이클 시퀀스까지의 기본적 조작은 Applied Biosystems사의 프로토콜(P/N4308132Rev. A)에 따랐다.
얻어진 16S rDNA의 염기 서열(서열 번호 1)을 이용하여 상동성 검색을 행하고, 상동률의 상위 10주를 결정하였다. 또한, 검색된 상위 10주와 검체의 16S rDNA를 이용하여 근린 결합법에 의해 분자 계통 트리를 제작하고, 검체의 근연종 및 귀속 분류군의 검토를 행하였다. 상동성 검색 및 계통 트리의 제작에는 MicroSeq Mirobial Identification System Software V. 1.4.1을 이용하고, 상동성 검색을 행할 때의 데이터베이스는 MicroSeq Bacterial Full Gene Library v. 0001(Applied Biosystems, 미국)을 사용하였다.
또한, MicroSeq Bacterial Full Gene Library에 대한 상동성 검색에서 상동률 100%로 일치하는 균주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는, BLAST를 이용하여 DNA 염기 서열 데이터베이스(GenBank/DDBJ/EMBL)에 대하여 상동성 검색을 행하였다.
MicroSeq Bacterial Full Gene Library를 이용한 해석의 결과, 바실루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비. 서브틸리스 아종 서브틸리스(B. subtilis subsp. subtilis), 비. 모자벤시스(B. mojavensis)와의 상이성은 각각 0.45%, 0.65%, 0.71%이고, 완전하게 일치하는 균주는 검색되지 않았다. 분자 계통 트리 상에서는 본 균체의 16S rDNA는 바실루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와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근연인 것이 나타났다. BLAST를 이용한 GenBank/DDBJ/EMBL에 대한 상동성 검색의 결과, 바실러스종 (Bacillus sp .) Bch주(AF411118)에 대하여 가장 높은 상동성(99.7%)을 나타냈으나 완전하게 일치하는 것은 검색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DAIJU-SIID2550(수탁 번호 FERM BP-10114)주는 신규의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에, BAL균을 이용한 식물 병해 방제에 관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실시예 1
BAL 균의 최대 증식 시간의 검색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에 DAIJU-SIID2550으로서 기탁된 바실루스 아미로리퀘파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근연종(수탁 번호 FERM BP-10114)(이하 BAL균으로 칭함)을 백금이로 멸균수 9mL에 현탁시키고, 이 현탁액 100μL를, 3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넣은 100mL의 AG 배지(글루코오스(와코쥰야쿠고교(주)) 1%, 폴리펩톤(닛폰세이야쿠(주)) 1%, KH2PO4(와코쥰야쿠고교(주)) 0.1%, MgSO4·7H2O(와코쥰야쿠고교(주)) 0.05%, pH 7.00, 고압 멸균 15분간), 또는 100mL의 2% 자당 가용 감자 삶은 물 액체 배지(감자 200g을 주사위 모양으로 썰고, 약 1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30분 내지 40분 약한 불에서 끓이고, 이 중의 가제로 여과한다. 여액에 2% 자당을 첨가한 후 증류수로 1L로 한다. 이하 PS 배지로 칭함)에 첨가하고 왕복 진탕기(진폭 10㎝)를 120회/분으로 이용하여, 25℃에서 144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 개시 후 0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144시간의 각 시점에서 배양액 1mL씩 채취하였다. 채취된 배양액 시료를 9mL의 멸균수에 첨가하고, 잘 교반하여 10배 희석액을 조제하였다. 그 후 순차, 시료를 1mL 채취하여 9mL의 멸균수에 넣는 조작을 반복하고, 107∼8배 희석액을 조제하였다(10배 단계 희석법). 각 희석액을, 직경 9㎝ 샬레 중의 YPA 배지(펩톤·이스트·식염 배지)에 100μL씩 분주하고, 콘라디 스틱(Conradi stick)으로 균일하게 도포하여 25℃에서 72시간 배양한 후, 생긴 콜로니 수를 조사함으로써, 각 배양 시간에서의 BAL균수(상대값)를 구하였다(표 1). 최대 증식 시간은 48시간 또는 72시간이었다. 이 점으로부터, BAL균과 흑부병균을 존재시켜서 배양한 경우에는, 배양 후 48 내지 72시간 후에 최대의 방제 효과가 얻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배양 시간 (시간) 0 24 48 72 144
AG 배지 1 5,000 85,000 74,000 63,000
PS 배지 - 74,000 124,000 115,000
*배양 개시시의 균수(cfu/mL)를 1로 하였을 때의 각 배양 시간에서의 균수를 상대값으로 나타냈음.
실시예 2
BAL 균에 의한 흑부병균 증식 억제
BAL균을 YPA 사면 배지로부터 백금이로 긁어내고, 300mL 용량 삼각 플라스크에 넣은 AG 배지 100mL에 접종하고, 왕복 진탕기(진폭 10㎝)를 120회/분으로 이용하여 25℃에서 48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이 배양액에 흑부병균 현탁액을 100μL 접종하고, 마찬가지의 조건으로 추가로 48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여기서 사용한 흑부병균 현탁액은, 2% 자당 가용 감자 삶은 물 한천 배지(이하 PSA) 사면 배지에서 배양한 흑부병균을 백금이로 긁어내고 멸균수 9mL에 현탁하여 조제한 것이다. 대조 실험(무처리구)으로서, BAL균을 접종하지 않은 AG 배지 100mL에 흑부병균 현탁액을 100μL 접종하여 마찬가지로 25℃에서 48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각 배양액을 각각 단계 희석법(실시예 1 참조)에 의해 희석하고, 각 희석 배율(10만배, 100만배, 1000만배)당 100μL씩 직경 9㎝의 YPA 평판 배지에 도포하여, 25℃에서 72시간 배양하고, 생육한 흑부병균의 콜로니 수를 계측하였다. 72시간 배양 후의 콜로니(좌: 100만배, 위: 1000만배 희석)의 상태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 중, 상단이 흑부병균만을 배양한 것, 하단이 흑부병균과 BAL균을 공존시켜 배양한 것이다. 흑부병균 콜로니 수 계측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흑부병균을 BAL균과 함께 25℃에서 48시간 진탕 배양하였을 때, 흑부병균의 증식은 완전히 억제되었다.
흑부병균 콜로니 수
희석 배수 BAL균 혼합 AG 배지 사용 AG 배지 사용
10만배 0 744
100만배 0 136
1000만배 0 48
실시예 3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의 작성
칭겐사이 종자(품종: 동상미) 34g을 가제로 싸고, 150배로 희석한 케미크론 G(중성 차아염소산칼슘; 유효 염소: 70%) 용액 500mL에 10분간 담가서 종자를 소독하였다. 종자를 유수로 1시간 세정하고, 수분을 제거한 후, 35℃에서 하룻밤 건조시켰다. 한편, 흑부병균을 미리 5매의 PSA 평판 배지로 3일간 배양해 두고, 발육한 균을 모두 긁어내서 증류수 100mL에 현탁하여 균 농도 1×1012cfu/mL의 흑부병균액을 조제하였다. 상기 소독 종자 17g을 흑부병균액에 20분간 침지시키고, 35℃에서 하룻밤 건조시켜서 인공 오염 종자를 작성하였다. 인공 오염 종자의 오염 정도를 확인한 결과, 오염균량은 오염 종자 1립당 105∼6cfu이고, 전체 처리 종자 오염률은 100%이었다. 또한, 오염 종자를 멸균토에 파종한 결과, 자엽(cotyledon)에 병반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도 2). 도 2의 좌측은 무처리 종자(대조 실험)를 파종한 결과이고, 우측은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를 파종한 결과이다.
실시예 4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에 대한 BAL 균 코팅 처리의 효과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에 대한 처리는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1) 0.5% 겔란검(SCOTT LABORATORIES, INC.,) 수용액 50mL, 또는 2) 1.5% 한천(와코쥰야쿠고교(주)) 수용액 50mL에, 미리 YPA 평판 배지 2매에서 배양한 BAL균을 현탁시키고, 자석 교반기로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 50mL 중에, 실시예 3에서 얻어진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 300㎎을 침지시켜 하룻밤 정치시킨 후 꺼내서 풍건하였다. 대조 실험(무처리구)으로서 BAL균을 혼합하지 않은 0.5% 겔란검 수용액 50mL 또는 1.5% 한천 수용액 50mL 중에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를 마찬가지로 침지시키고, 풍건하였다. 풍건 후의 종자를 각각 YPA 평판 배지에 도입하고, 25℃에서 72시간 배양하여, 종자의 둘레에 흑부병균이 생육하였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기초로, 각 처리구의 피해를 다음 식,
피해=흑부병균이 주위에 생육한 종자의 수/도입한 종자의 총수
에 의해 산출하였다. 이 피해를 기초로, 다음 식에 의해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방제가=100-(처리구의 피해/무처리구의 피해)×100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BAL균을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에 코팅시킨 경우, 종자에 부착한 흑부병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었다. 즉, BAL균에 의해 흑부병균에 오염된 종자를 소독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제가
1) BAL균 현탁 겔란검 수용액에 의한 코팅 처리 100
2) BAL균 현탁 한천 수용액에 의한 코팅 처리 100
실시예 5
BAL 균의 비지를 배지로 하는 배양
105℃에서 20분간 멸균한 비지 100mL에 대하여 1×107cfu/mL의 BAL균 배양액 1mL를 혼화시키고, 암흑 하, 25℃에서 48시간 배양하여 BAL균 비지 배양물을 얻었다. 이 BAL균 비지 배양물 500㎎을 멸균수 9mL에 현탁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10배 단계 희석법에 의해 얻어진 각 희석액 100μL를 직경 9㎝ 샬레 중의 YPA 배지에 콘라디 스틱으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BAL균 비지 배양물의 BAL균 균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BAL균 비지 배양물의 일부를 취하여 100℃에서 하룻밤 건조시키고, 함수율을 구하였다. BAL균 비지 배양물 중의 BAL균 균수는 4.3×109cfu/g이고, 함수율은 87.6%이었다.
이 실험으로부터 BAL균은 산업폐기물인 비지를 배지로 하여 증식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BAL균 비지 배양물을 건열 건조시킨 것은, 적당한 균체 농도와 함수율을 갖고 있기 때문에, BAL균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의 조제를 위한 종균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6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에 대한 BAL 균 비지 배양물 분말 코팅 처리의 효과
실시예 5에서 얻어진 BAL균 비지 배양물(수분 함량 87%)을 35℃에서 하룻밤 건조시키고, 볼 밀로 분쇄하여 BAL균 비지 배양물 분말로 만들었다. 1) 0.5%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이하 CMC, 와코쥰야쿠고교(주)) 수용액 50mL, 또는 2) 0.5% 겔란검 수용액 50mL에 각각 BAL균 비지 배양물 분말을 500㎎ 첨가하고, 10분간 자석 교반기로 교반하였다.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 300㎎을 가제로 싸서 10분간 각 액에 침지시켜, 충분하게 종자 표면에 부착시키고, 35℃에서 하룻밤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BAL균 비지 배양물 분말 코팅 처리 종자를 조제하였다. 대조 실험(무처리구)으로서, BAL균 비지 배양물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0.5% CMC 수용액 또는 0.5% 겔란검 수용액에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를 침지 및 건조시켰다.
또한, 3) 상기한 BAL균 비지 배양물 분말 2㎎을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 200㎎, 0.5% CMC 수용액 16μL와 함께 혼합하였다(분의 처리(seed dressing)).
상기 처리 종자를 NSCAA 배지(문헌 [Randhawa, P. S. and Schaad, N. W.(1984), Phytopathology 74:268-272] 참조)에 20립씩 올려두고 25℃에서 72시간 배양하여, 종자의 둘레에 흑부병균이 생육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상기 실험 1) 내지 3) 중 1) 및 2)에 대하여, 배양 후의 상태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 중, 좌상에 CMC 수용액에 의한 처리구 「1) 무처리구」를 나타내고, 우상에 BAL균 비지 배양물 분말 혼합 CMC 수용액에 의한 처리구 「1) 처리구」를 나타내고, 좌하에 겔란검 수용액에 의한 처리구 「2) 무처리구」를 나타내고, 우하에 BAL균 비지 배양물 분말 혼합 겔란검 수용액에 의한 처리구 「2) 처리구」를 나타낸다.
주위에 흑부병균이 생육한 종자의 수를 조사하여 「피해」를 산출하고, 「방제가」를 구하였다. 「피해」 및 「방제가」는 실시예 4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1) 내지 3) 모든 실험에서 흑부병균의 방제가 확인되었다. 즉, BAL균 비지 배양물 분말을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에 코팅함으로써, 종자에 부착한 흑부병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었다. 코팅 보조제로는 겔란검보다 CMC가 적합한 것이 판명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BAL균 비지 배양물 분말을 CMC 수용액과 혼합한 것을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에 코팅함으로써 흑부병균의 종자 전염을 저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제가
1) BAL균 비지 배양물 분말 혼합 CMC 수용액에 의한 처리 84.2
2) BAL균 비지 배양물 분말 혼합 겔란검 수용액에 의한 처리 25.0
2) BAL균 비지 배양물 분말에 의한 처리(분의 처리) 60.0
실시예 7
(1) 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의 조제
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를 다음 수순에 의해 조제하였다.
절단한 생벼 잎을 식용 머시룸 재배 1개월 전에 준비하였다. C/N비 70% 전후가 되도록 콩 지게미, 쌀당을 보충하고, 적당한 폭과 높이로 쌓아 올렸다. 5일마다 살수하면서, 부숙될 때까지 4회 뒤엎어 퇴비로 만들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퇴비를 재배실에서 15 내지 18㎝의 두께로 하고, 균상으로 하였다. 이 균상의 온도가 24℃로 내려간 시점에서 종균(아가리쿠스(Agar icus)의 화이트종)을 옮겨 심고, 온도 16℃, 습도 96%, 탄산 가스 3000ppm의 조건 하에서 식용 머시룸을 재배하였다. 종균 이식 1주일 후, 균상 표면에 균사가 자란 시점에서, 대두 분쇄물을 균상 전체 면에 깔고, 로터리로 교반하였다. 2주일 후, 블랙 피트 모스(black peat moss)를 1㎡당 88㎏ 얹었다. 종균을 이식하고 나서 60일 후에 식용 머시룸을 수확하고, 수확 후의 폐상을 80℃에서 30분간 소독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를 얻었다(또한, 종균으로서 아가리스의 브라운종을 이용할 수 있고, 머시룸의 수확은 종균을 이식하고 나서 60 내지 90일 후의 적당한 시기에 행할 수 있다).
(2) 흑부병균 오염 토양 중의 흑부병균 대한 증식 억제 시험
멸균토에 흑부병균을 접종하여 흑부병균 오염토(흑부병균 1×1012cfu/mL)를 조제하였다. 이 흑부병균 오염토를 25℃에서 1일 정치 후, 이 흑부병균 오염토 1L당 50g의 비율로(10a당 2,000㎏의 비율에 상당), 상기한 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를 혼화시키고, 25℃에서 5일간 정치 후, 토양 중의 흑부병균 수를 조사하였다. 대조 실험(무처리구)으로서, 흑부병균에 의한 토양 오염 후, 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를 혼화시키지 않은 토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흑부병균 수를 조사하였다.
토양 중의 흑부병균 수의 측정은 다음 수순으로 행하였다. 즉, 300메시의 체를 이용하여 친 토양 20g을 생리 식염수(0.85% NaCl) 80mL 중에 첨가하여 현탁액을 얻고, 이 현탁액을, 왕복 진탕기(진폭 10cm)를 120회/분으로 이용하여 30분간 진탕시키고, 계속해서 500rpm으로 5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원심 분리 후의 상층액을 0.05% 한천을 포함하는 증류수로 10배 단계 희석한 후, 희석액 500μL를 NSCAA 배지(문헌 [Randhawa, P. S. and Schaad, N. W. (1984), Phytopathology 74:268-272] 참조)에 적하하고, 콘라디 스틱으로 균일하게 도포하여, 25℃에서 배양 후, 흑부병균에 특유의 형상을 나타내는 콜로니 수를 조사하여, 흑부병균 수를 구하였다.
건토 1g당 흑부병균 수는, 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를 혼합한 경우(처리구)에서는 1.09×107cfu이었고, 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를 혼화시키지 않은 경우(무처리구)에서는 7.06×107cfu이었다.
다음 식,
방제가=100-(처리구의 흑부병균 수)/(무처리구의 흑부병균 수)×100
에 의해 방제가를 산출한 결과, 84.6%였다. 결과를 표 5에 정리한다.
이 시험 결과로부터, 상기한 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를 토양 혼화 시용함으로써, 흑부병균의 증식을 유의하게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흑부병균 수(cfu/g 건토) 방제가(%)
처리구 1.09×107 84.6
무처리구 7.06×107 -
실시예 8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에 대한 BAL 균 배양액 침지 처리의 효과, 및 파종 배토에 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 혼합 처리한 경우의 흑부병 발생 억제 효과
BAL균을 AG 배지에 파종하고 7일간 진탕 배양하여 균 농도가 1×106cfu/mL로 된 BAL균 배양액에,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 200㎎을 가제로 싸고 일정 시간 침지시켰다. 침지 시간은 10분간, 20분간, 40분간, 60분간으로 하였다. 침지 후에는 종자의 수분을 제거하고, 펴서 35℃에서 하룻밤 건조시켰다. 또한, 비교를 위해서, BAL균을 접종하지 않은 AG 배지에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를 동시간 침지 및 건조시켰다.
상기 처리를 실시한 종자를 파종하는 배지로서, 증기 토양 소독기 SB-150((주)마루분세이사쿠쇼)을 사용하여 100℃에서 30분간 처리한 살균토(이하 「살균토」), 및, 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실시예 7의 (1) 참조)를 살균토에 2000㎏/10a의 비율로 혼합한 것(이하 「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 혼합 토양」을 각각 준비하였다. 이들 배토 각 150mL를 밀폐 가능한 용기에 넣고, 상기 처리를 행한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를 20립 파종하고, 25℃에서 관리하였다.
또한, 무처리구로서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를 살균토에 파종한 시험구를 준비하였다.
파종 후 9일째의 상태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낸다. 도 4의 상단은 「BAL균 접종 AG 배지 침지+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 혼합 토양」의 조건에서의 재배 결과이고, 하단은 「BAL균 접종 AG 배지 침지+살균토」의 조건에서의 재배 결과(상하단 모두 좌단부터 침지 시간 10분간, 20분간, 40분간, 60분간)이다. 도 5 좌단은, 「무접종 AG 배지 침지+살균토」의 조건에서의 재배 결과이고, 중앙은 「BAL균 접종 AG 배지 침지+살균토」의 조건에서의 재배 결과이고, 우단은 「BAL균 접종 AG 배지 침지+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 혼합 토양」의 조건에서의 재배 결과이다(3자 모두 침지 시간은 60분간).
파종 후 9일째에 자엽에 나타나는 흑부병의 병징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발병 지수를 다음의 6단계로 나누어 행하였다. 상단은
발병 지수 0: 병징 없음
발병 지수 1: 병반 면적이 자엽의 절반 이상
발병 지수 2: 병반 면적이 자엽 1매분
발병 지수 3: 병반 면적이 자엽 1.5매분
발병 지수 4: 병반 면적이 자엽 2매분
발병 지수 5: 고사 그루
조사 결과로부터 다음 식,
발병도=(1n1+2n2+3n3+4n4+5n5)/(5×조사 개체 총수)
에 의해 발병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식 중의 문자 n1, n2, n3, n4 및 n5는 각각, 발병 지수 1, 2, 3, 4 및 5를 나타낸 개체 수를 나타낸다.
산출된 발병도로부터 다음 식,
방제가=100-처리구의 발병도/무처리구의 발병도×100
에 의해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각 처리구의 방제가를 표 6에 나타낸다. 표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흑부병균 인공 오염 종자를 BAL균 배양액에 침지시킴으로써, 흑부병의 발생이 억제되었다. 또한, BAL균 배양액으로의 침지 시간이 길수록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식용 머시룸 배양 잔사 혼합 토양을 사용한 시험구에서는, BAL균 배양액으로의 침지 시간이 짧은 시험구(예를 들면 10분간)이더라도, BAL균 접종 AG 배지에 60분간 침지시킨 종자를 살균토에 파종한 경우와 거의 동등한 방제가가 얻어졌다.
각 처리구의 방제가
사용한 토양
살균토 머시룸 배양 잔사 혼합 토양
사용한 침지액 BAL균 접종 AG 배지 침지 시간 10분 20.7 60.3
20분 38.2 71.6
40분 56.2 75.8
60분 74.6 78.8
AG 배지 침지 시간 10분 2.7 30.1
20분 -7.5※ 32
40분 -13.2※ 20.8
60분 -7.5※ 41.8
※방제가가 마이너스의 값인 시험구는 발병도의 수치가 컨트롤보다 컸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9
BAL 균 배양액의 지상부 살포에 의한 흑부병 방제
4엽기의 칭겐사이(품종: 동상미) 9그루의 잎에, AG 배지 중에서 진탕 배양한 BAL균 배양액(균 농도 3×108cfu/mL)을 분무로 300mL 살포하였다. 1시간 정도 방치한 후, 흑부병균액을 분무로 300mL 분무 접종하였다. 이 흑부병균액은, 미리 5매의 PSA 평판 배지에서 배양한 흑부병균을 모두 긁어내고, 증류수 150mL에 현탁하여 흑부병균 농도 108cfu/mL의 접종용 흑부병균액으로 만든 것이다. 접종 후의 식물을 습실(습도 80%)에 넣고, 20℃에서 관리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서, BAL균 배양액을 분무 접종한 후 흑부병균을 접종하지 않은 시험구, 및, BAL균 배양액을 분무하지 않은 칭겐사이 9그루에 동 농도의 흑부병균액을 분무 접종한 시험구(무처리구)를 준비하였다. 실험 개시 후 26일째의 지상부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에서, 좌 1열은 「BAL균 접종+흑부병균 무접종」, 중 1열은 「BAL균 접종+흑부병균 접종」(처리구), 우 1열은 「BAL균 무접종+흑부병균 접종」(무처리구)의 재배 결과이다. 발병 조사는 33일 후에 잎에 나타난 흑부병의 병징의 유무를 평가함으로써 행하였다. 우선 발병엽률(조사 잎 매수에서 차지하는 발병엽 매수의 비율)을 구하고, 계속해서 다음 식
방제가=100―(처리구의 발병엽률/무처리구의 발병엽률)×100
에 의해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BAL균을 흑부병균 접종 전에 미리 분무 처리해 두면 흑부병의 발병이 억제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BAL균 배양액을 흑부병균 숙주의 지상부에 예방 살포함으로써 흑부병의 발병과 전염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BAL균 흑부병균 방제가
무처리구 무접종 접종 -
처리구 접종 접종 58.6
실시예 10
BAL 균에 대한 통상적인 살균제 또는 살충제의 영향
통상적인 살균·살충제인 아미스타 20 플로어블(신젠타, 아족시스트로빈 수화제)·지만다이센 수화제(DSS 히시쇼우, 만제브제), 로브랄 수화제(야시마카가쿠, 이프로디온 수화제), 리졸렉스 수화제(스미토모카가쿠, 톨크로호스메틸 수화제), 스타나 수화제(스미토모카가쿠, 옥소리닉산 수화제), 다코닐 1000 플로어블(SDS, TPN 수화제), Z 보르도(닛폰노야쿠, 구리 수화제), 벤레이트 수화제(스미토모카가쿠, 베노밀 수화제), 리도밀 MZ 수화제(신젠타, 만제브, 메타락실 수화제), 베스트가드 수용제(스미카다케다, 니텐피람 수용제), DDVP 유제(닛폰노야쿠, DDVP 유제), 어펌(Affirm) 유제(신젠타, 에마멕틴벤조산염 유제), 애드마이어 수화제(바이엘크롭사이언스, 이미다크로플리드 수화제), 란네이트 45 수화제(미츠이아그로, 메소밀 수화제), 파단 SG 수용제(스미카다케다, 카르탑 수용제), 모스피란 수용제(닛폰소다, 아세타미프리드 수용제), 엘산 유제(닛산카가쿠, PAP 유제), 아크타라 과립 수용제(신젠타, 티아메톡삼 수용제), 코테츠 플로어블(닛폰노야쿠, 클로르페나필 수화제), 토레본 유제(미츠이카가쿠, 에토펜프록스 유제)를 각각 소정의 농도로 희석한 약액을 조제하고, 이 약액에 여과지(토요여과지 No.2)를 침지시켜 건조시켰다. 계속해서 이 여과지에, BAL균을 증류수에 현탁(2×108cfu/mL)시킨 현탁액을 1평방센티미터당 44μL 분무하고, 다시 건조시키고, 25℃, 암흑 조건에서 하룻밤 정치시켰다. 이 여과지를 5 내지 10밀리미터각으로 자르고 YPA 배지 상에서 25℃ 암흑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3일 후 및 4일 후에, YPA 배지 상에 도입한 10밀리미터각의 여과지 조각의 주위에 생육하는 BAL균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또한, 배양 4일 후의 플레이트를 도 7에 나타낸다. BAL균의 생육은 일부의 약제를 제외하고 살균·살충제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단, 지만다이센 수화제 및 리도밀 MZ 수화제가 존재하면 BAL균의 생육은 매우 느리고, 배양 3일 후에서는 거의 콜로니가 인식되지 않고, 즉, BAL균의 생육이 인식되지 않았지만, 4일 후 이후 서서히 생육이 인식되었다. 또한, 스타나 수화제 및 다코닐 1000 플로어블이 존재하면 BAL균의 생육은 전혀 인식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BAL균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가, 많은 통상적인 살균·살충제와 혼합 시용, 또는 혼합하지 않고 교호 시용 혹은 동시 시용할 수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BAL균에 대한 통상적인 살균·살충제의 영향
농약명 희석 배수 균의 생육 상황*
살 균 제 아미스타 20 플로어블 2000
지만다이센 수화제 1000 ±
로브랄 수화제 1000
리졸렉스 수화제 1000
스타나 수화제 2000
다코닐 1000 플로어블 1000
Z 보르도 구리 수화제 500
벤레이트 수화제 2000
리도밀 MZ 수화제 1000 ±
살 충 체 베스트가드 수용제 2000
DDVP 유제 2000
어펌 유제 2000
애드마이어 수화제 2000
란네이트 45 수화제 2000
파단 SG 수용제 1500
모스피란 수용제 4000
엘산 유제 2000
아크타라 과립 수용제 3000
코테츠 플로어블 2000
토레본 유제 2000
*+: 배양 3일 후에 콜로니가 인식됨; ±: 생육이 느리고 배양 4일 후에 콜로니가 인식됨; -: 콜로니가 인식되지 않음
실시예 11
BAL 균에 의한 궤양병균( Clavibacter michiganensis subsp . michiganensis )의 증식 억제
BAL균을 YPA 사면 배지로부터 백금이로 긁어내서, 300mL 용량 삼각 플라스크에 넣은 AG 배지 100mL에 접종하고, 왕복 진탕기(진폭 10㎝)를 120회/분으로 이용하여 25℃에서 48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이 배양액에 궤양병균 현탁액을 100μL 접종하고, 마찬가지의 조건으로 추가로 48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여기서 사용한 궤양병균 현탁액은, PSA 사면 배지에서 배양한 궤양병균을 백금이로 긁어내서 멸균수 9mL에 현탁하여 조제한 것이다. 대조 실험(무처리구)으로서, BAL균을 접종하지 않은 AG 배지 100mL에 궤양병균 현탁액을 100μL 접종하여 마찬가지로 25℃에서 48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각 배양액을 각각 단계 희석법(실시예 1 참조)에 의해 희석하고, 각 희석 배율(10만배, 100만배, 1000만배)당 100μL씩 직경 9㎝의 YPA 평판 배지에 도포하고, 25℃에서 72시간 배양하여, 생육한 궤양병균의 콜로니 수를 계측하였다. 궤양병균 콜로니 수 계측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또한, 콜로니의 상태를 도 8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궤양병균을 BAL균과 함께 25℃에서 48시간 진탕 배양하였을 때, 궤양병균의 증식은 완전히 억제되었다.
희석 배수 바실루스균 혼합 AG 배지 AG 배지
105 0 1079
106 0 132
107 0 55
실시예 12
BAL 균에 의한 청고병균( Ralstonia solanacearum )의 증식 억제
BAL균을 YPA 사면 배지로부터 백금이로 긁어내서, 300mL 용량 삼각 플라스크에 넣은 AG 배지 100mL에 접종하고, 왕복 진탕기(진폭 10㎝)를 120회/분으로 이용하여 25℃에서 48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이 배양액에 청고병균 현탁액을 100μL 접종하고, 마찬가지의 조건으로 추가로 120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여기서 사용한 청고병균 현탁액은, PSA 사면 배지에서 배양한 궤양병균을 백금이로 긁어내서 멸균수 9mL에 현탁하여 조제한 것이다. 대조 실험(무처리구)으로서, BAL균을 접종하지 않은 AG 배지 100mL에 청고병균 현탁액을 100μL 접종하여 마찬가지로 25℃에서 120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각 배양액을 각각 단계 희석법(실시예 1 참조)에 의해 희석하고, 각 희석 배율(100만배, 1000만배)당 100μL씩 직경 9㎝의 YPA 평판 배지에 도포하고, 25℃에서 72시간 배양하여, 생육한 청고병균의 콜로니 수를 계측하였다. 궤양병균 콜로니 수 계측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또한, 콜로니의 상태를 도 9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궤양병균을 BAL균과 함께 25℃에서 120시간 진탕 배양하였을 때, 청고병균의 증식은 완전히 억제되었다.
희석 배수 바실루스균 혼합 AG 배지 AG 배지
106 48 831
실시예 13
BAL 균에 의한 연부병균( Erwinia carotovora subsp . carotovora )의 증식 억제
BAL균을 YPA 사면 배지로부터 백금이로 긁어내서, 300mL 용량 삼각 플라스크에 넣은 AG 배지 100mL에 접종하고, 왕복 진탕기(진폭 10㎝)를 120회/분으로 이용하여 25℃에서 48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이 배양액에 연부병균 현탁액을 100μL 접종하고, 마찬가지의 조건으로 추가로 96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여기서 사용한 연부병균 현탁액은, 2% 자당 가용 감자 삶은 물 한천 배지(이하 PSA) 사면 배지에서 배양한 연부병균을 백금이로 긁어내서 멸균수 9mL에 현탁하여 조제한 것이다. 대조 실험(무처리구)으로서, BAL균을 접종하지 않은 AG 배지 100mL에 연부병균 현탁액을 100μL 접종하여 마찬가지로 25℃에서 96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각 배양액을 각각 단계 희석법(실시예 1 참조)에 의해 희석하고, 각 희석 배율(100만배, 1000만배)당 100μL씩 직경 9㎝의 YPA 평판 배지에 도포하고, 25℃에서 72시간 배양하여, 생육한 연부병균의 콜로니 수를 계측하였다. 연부병균 콜로니 수 계측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또한, 콜로니의 상태를 도 10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연부병균을 BAL균과 함께 25℃에서 96시간 진탕 배양하였을 때, 연부병균의 증식은 완전히 억제되었다.
희석 배수 바실루스균 혼합 AG 배지 AG 배지
106 0 1259
107 0 187
실시예 14
배추 연부병 억제
배추 잎자루를 수돗물, 증류수, 70% 에탄올의 순으로 세정하고, 수분을 킴와이프(Kimwipe)로 닦아내고 대형 유리 샬레에 넣었다. 연부병균(Erwinia carotovora subsp . carotovora)을 YPA 사면 배지로 3일간 배양하고, 증류수 9ml에 현탁하여 1×107cfu/ml의 균액으로 하였다. 이 균액 1ml에 BAL균 배양액 1ml를 추가하여 잘 교반한 후, 목면 바늘 8개를 담가서 배추 잎자루에 상처를 내어 접종하였다. 접종 후는 마르지 않도록 파라핀 필름으로 유리 샬레를 시일하여 30℃의 인큐베이터에 하룻밤 정치시켰다. 대조 실험(무처리구)으로서 균액 1ml에 증류수 1ml를 혼합한 액을 마찬가지로 바늘 접종하였다. 조사는 피해율을 연화 부패가 보이지 않는 잎자루 절편을 -로, 연화부패한 잎자루 절편을 +로 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다음 식에 의해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방제가=100-(처리구의 발병률/무처리구의 발병률)×100.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또한, 실험 개시 후 1일째의 상태를 도 11에 나타낸다.
1구 2구 피해율 방제가
무처리 100
BAL균 혼합 0 100
실시예 15
벼묘입고 세균병균( Burkholderia plantarii ) 및 벼알마름 세균병균( Burkholderia glume )의 종자 전염 억제
인공 오염 벼 조정을 위한 배양액은, 벼묘입고 세균병균(사단법인 일본식물방역협회 보존균)을 PPG 배지(감자 200g, 인산이나트륨 12 수화물(Wako) 3g, 인산이칼륨(Wako) 0.5g, 펩톤 5g(닛폰세이야쿠(주)) 5g, 염화나트륨(Wako) 3g, 글루코오스(wako) 5g, 증류수 1리터)에서 3일간, 25℃에서 진탕 배양하였다. 오염시키는 벼는 미리 케미크론 G(닛폰소다 (주)) 250배액으로 30분간 침지 소독하고, 그 후 유수로 45분간 수세하여 건조시킨 벼를 사용하였다. 100ml 용량 비커에 종자 15g, 해당 균을 포함하는 배양액을 30ml 넣고, 진공 펌프(Yamato MINIVAC PS-22)를 이용하여 감압 하에서 오염시켰다.
50ml 용량 파르콘 튜브에 상기 오염 종자 3g, 및 비지 추출액(비지 50g을 증류수 100ml에 현탁하고, 가제로 여과하고, 121℃에서 20분간 고압 멸균함)으로 5일간 진탕 배양한 BAL균 함유 배양액(이하 BAL균 배양액이라고 함) 30ml를 각각 넣고 침지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48시간 침지 처리한 종자 1.5g을 조합 입상 배토 D(쿠레하카가쿠)를 100ml 넣은 폴리에틸렌제, 직경 10㎝ 높이 5.5㎝의 아이스크림 컵에 파종하였다. 대조로서 BAL균 배양액에 의한 침지 처리를 하지 않은 오염 종자를 마찬가지로 파종하였다. 32℃의 암실에서 최아하고 나서 20℃의 인공 기상실에서 녹화·관리를 계속하고, 파종 후 16일째에 전체 그루를 뽑아서 발병 조사를 행하였다(작물 병원균 연구 기법의 기초-분리·배양·파종-오오바타케 칸이치 편 사단법인 일본식물방역협회). 고사묘·갈색묘를 발병 그루로 하여 조사를 행하였다. 발병률을 산출하여 다음 식에 의해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방제가=100-(처리구의 발병률/무처리구의 발병률)×100.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또한, 실험 개시 후 16일째의 상태를 도 12A에 나타낸다.
벼알마름 세균병균 오염 종자에 대한 BAL 균 배양액 침지 처리의 효과
건전 그루 수 발병 그루 수 발병률 방제가
오염 종자 1 49 98.0
침지 처리 30 15 33.3 66.0
상기와 마찬가지의 실험 조작을, 벼알마름 세균병균(사단법인 일본식물방역협회 보존균)에 대하여 행하였다. 벼알마름 세균병에 대해서는 고사묘 및 중증묘(키가 건전의 1/2 미만인 것)를 발병 그루로 하여 조사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또한, 실험 개시 후 16일째의 상태를 도 12B에 나타낸다.
벼묘입고 세균병균 오염 종자에 대한 BAL 균 배양액 침지 처리의 효과
건전 그루 수 발병 그루 수 발병률 방제가
오염 종자 4 43 91.5
침지 처리 33 12 26.7 70.9
실시예 16
벼도열병균 ( Pyricularia grisea ) 포자의 발아 억제 효과
BAL균 배양액의 원핵과 5배 희석(발아 시험시의 최종 농도로는 2배 희석, 10배 희석)한 것 및 대조구로서 증류수를 샘플로 하였다. PS 배지(감자 삶은 물에 설탕 2%를 가용한 배지)에 현탁한 벼도열병균의 포자(설탕 가용 오트밀 한천 배지에서 균장을 생육시키고 BLB 조사로 형성함)와 샘플로부터 각각 20μL를 홀 슬라이드 글라스에 취하여 잘 혼합하고 25℃에서 24시간 습실에 정치시킨 후, 현미경을 이용하여 발아관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샘플 혼합 24시간 후의 벼도열병균 포자를 도 13에 나타낸다. 배양액을 혼합한 것은 원액, 5배 희석 모두 벼도열병균 포자의 발아가 억제되어 있고, 발아한 포자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7
호마엽고병균 ( Cochliobolus miyabeanus ) 포자 발아의 발아 억제 효과
YPA 배지(0.5% 효모 엑기스(닛폰세이야쿠(주)), 1% 폴리펩톤(닛폰세이야쿠(주), 0.5% 염화나트륨, pH 7.00, 고압 멸균 20분간) 100mL를 넣은 300mL 용량의 삼각 플라스크에, YPA 사면 배지에서 배양한 BAL균을 백금이로 식균한 후, 25℃에서 72시간 진탕 배양(120회/분)하였다. 얻어진 배양액의 원액, 5배 희석액, 10배 희석액을 샘플로 하였다. 또한, 증류수를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처리한 것을 무처리구로 하였다. 증류수에 현탁한 벼호마엽고병균(PSA 배지에 벼호마엽고병균의 전배양균을 식균하고, 25℃ 하에서 7 내지 10일간 배양하여 형성)의 포자를 샘플 1mL에 대하여 100μL 첨가하여 잘 교반한 것을 홀 슬라이드 글라스에 50μL 취하여 25℃에서 24시간 습실에 정치시킨 후, 현미경을 이용하여 발아관의 유무 및 형상을 관찰하였다. 샘플 혼합 24시간 후의 호마엽고병균 포자를 도 14에 나타냈다. 배양액의 원액에서는 포자가 발아하지 않고, 5배 희석·10배 희석에서는 발아관의 신장이 억제되어 팽윤 기형을 일으키고 있고, 발아관의 신장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8
BAL 균 배양액의 지상부 살포에 의한 벼호마엽고병 방제
인공 기상기 내에서 육성한 6 내지 7엽기의 벼(품종: 니혼바레)에 BAL균 배양액 혹은 대조구로서 증류수를 살포하고, 25℃, 16시간 낮 길이 하에서 24시간 경과 후에, 벼호마엽고병균(Cochliobolus miyabeanus) 포자 현탁액을 분무 접종하였다. 이 포자 현탁액은, 벼호마엽고병균(Cochliobolus miyabeanus)을 미리 PSA 배지에서 배양하고, 배양 샬레에 증류수를 부어 붓으로 균총을 문질러서 포자를 씻어내고, 이중으로 한 가제로 여과한 후, 포자 농도가 현미경의 100배의 시야당 10개의 비율을 형성하고, Tween 20을 0.02% 포함하도록 조제한 것이다. 접종 후, 벼에 플라스틱 용기를 덮어서 기온 25℃의 실온으로 하고 24시간 정치시켰다. 접종 6일 후에 접종시의 완전 전개엽의 전체 병반 수와 입 면적을 계측하여 1㎠당 평균 병반 수를 산출하고, 그 수치를 기초로 다음 식,
방제가=100-(처리구의 평균 병반 수/대조구의 평균 병반 수)×100
에 의해 방제가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15에 나타낸다. BAL균 배양액의 방제가는 89.7로 되어, 벼호마엽고병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측한 전체 잎 합계 면적(㎠) 병반 수 1㎠당 병반 수 방제가
처리구(배양액) 264.1 102 0.39 89.7
대조구(물) 352.38 1316 3.73
실시예 19
BAL 균 배양액의 오이 회색곰팡이병균 ( Botrytis cinerea ) 억제 효과
오이의 자엽부를 배축 부분으로부터 잘라내고, 물에 적신 페이퍼 타월을 깐 용기 중에 절단면을 페이퍼 타월에 접촉하도록 놓았다. 미리 회색 곰팡이병균을 2% 자당 가용 감자 삶은 물 한천 배지(PSA) 상에서 생육시키고, BLB 조사 하에서 형성시켜 둔 포자를 2% 글루코오스 가용 감자 삶은 물 배지(PG)에 현탁하였다. 현탁액의 포자 밀도를 2×107개/mL로 조정한 후, 1구당 10매의 자엽의 중앙에 50μL 적하하여 페이퍼 디스크(토요 여과지, 항생 물질 검정용(두꺼운 것: 직경 8㎜))를 그 위에 접착시켰다. 또한, 페이퍼 디스크의 위로부터 BAL균 배양액 또는 대조로서 증류수 혹은 이프로디온 수화제(로브랄)(희석 배율 1000배)를 50μL 적하한 후, 용기를 밀폐하여 20℃, 16시간 밝은 곳에 놓았다.
시험 결과를 표 16 및 도 15에 나타낸다. 효과는 감염에 의한 페이퍼 디스크 주변의 갈변 직경(browned diameter)으로 나타낸다. 또한, 방제가는 증류수와의 비교로 다음 식,
방제가=100-(처리구의 평균 갈변 직경/증류수의 평균 갈변 직경)×100
에 의해 산출하였다. 접종 3일 후의 자엽의 갈변의 상태를 도 12에, 갈변 직경의 자엽 10매의 평균을 표 16에 나타냈다. 배양액을 적하한 것은 대조구에 비교하여 분명하게 갈변 직경이 작고, 따라서 오이 회색곰팡이병이 억제되었다.
증류수 이프로디온 수화제 배양액
평균 갈변 직경(㎜) 19.6 11.2 3.3
방제가 42.9 83.2
실시예 20
BAL 균 배양액의 지상부 살포에 의한 오이 갈반병 방제
비닐하우스 내에서 2004년 4월 28일에 최아시킨 오이(품종: 마츠카제)를 육묘하고, 본잎 2매 전개시의 유묘에 BAL균 배양액 혹은 대조구로서 증류수 또는 다코닐 1000(희석 배율 1000배)을 충분량으로 살포하였다. 25℃에서 5시간 후 경과하여 살포액이 마른 후에, 미리 PSA 배지에서 배양하고, 샬레에 증류수를 부어 붓으로 균총을 문질러서 포자를 씻어내고, 이중의 가제로 여과하여 포자 농도 105개/mL로 조정한 오이 갈반병균(Corynespora casiicola: 무사시야종묘원 병해·바이테크 연구실 보존균) 포자 현탁액을 분무 접종하였다. 접종 후, 오이에 플라스틱 용기를 덮어 습실로 하고 기온 25℃ 하에서, 24시간 정치 후, 25℃에서 16시간 낮 길이 하에서 관리하였다. 접종 20일 후에 접종시의 완전 전개엽의 전체 병반 수를 계측하여 1장당 평균 병반 수를 구하고, 그 수치를 기초로 다음 식,
방제가=100-(처리구의 평균 병반 수)/(무처리구의 평균 병반 수)×100
에 의해 방제가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17에 나타낸다. 표 17에서, 1-1, 1-2, 2-1, 2-2는 각각, 1개체째의 제1엽, 1개체째의 제2엽, 2개체째의 제1엽, 2개체째의 제2엽을 나타낸다. 또한, 각 처리구의 실험 개시 후 20일째의 상태를 도 16에 나타낸다. BAL균 배양액 및 다코닐 1000의 방제가는 모두 100이었고, 다코닐 1000과 동 정도로 오이 갈반병을 억제할 수 있었다.
병반 수 방제가
1-1 1-2 2-1 2-2 평균
BAL균 배양액 0 0 0 0 0 100
다코닐구 0 0 0 0 0 100
무처리구(증류수) 53 68 74 5 50
실시예 21
흑반병( Alternaria brassicae )에 대한 BAL 균 배양액의 효과 시험
BAL균을 YPA 사면 배지로부터 백금이로 긁어내고, 300mL 용량 삼각 플라스크에 넣은 비지 추출 배지 100mL에 접종하고, 왕복 진탕기(진폭 10㎝)를 120회/분으로 이용하여 25℃에서 4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이 BAL균 배양액을 순무(품종: 나츠마키 13호, 작은 순무(Kokabu), 파종일 2004년 3월 10일, 접종시 생육도 본잎 3매, 직경 75㎜ 크로폴리화분에서 20일간 재배)의 잎면에 소형 핸드 스프레이로 균일하게 분무하고, 25℃ 하의 습실에 24시간 두었다. 미리 PSA 평판 배지에서 배양해 둔 흑반병균(Alternaria brassicae, (주)무사시야종묘원 병해·바이테크 연구실 보존균)의 포자를 증류수에 현탁하고, 이 현탁액을 순무의 잎면에 소형 핸드 스프레이로 균일하게 분무 후, 25℃ 하의 습실에 24시간 두고, 병징이 나타날 때까지 20℃에서 관리하였다. 접종시의 포자 현탁액 농도는, 200배에서 1시야 40개 정도로 되도록 희석하였다. 대조로서, BAL균 배양액 대신에 물을 분무한 구(무처리구), 기존의 방제제로서 이프로디온 수화제의 1000배액을 분무한 구를 설정하였다. 조사는 이하의 발병 지수에 기초하여 각 처리 개체당 3매씩 행하였다.
발병 지수 0: 병징 없음
발병 지수 1: 병징 면적이 잎 면적의 25% 이하
발병 지수 2: 병징 면적이 잎 면적의 25% 내지 50%
발병 지수 3: 병징 면적이 잎 면적의 50% 이상
발병 지수 4: 고사 그루
조사 결과로부터 다음 식,
발병도=(1n1+2n2+3n3+4n4)/(4×조사 개체 총수)
에 의해 발병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식 중의 문자 n1, n2, n3 및 n4는 각각, 발병 지수 1, 2, 3 및 4를 나타낸 개체 수를 나타낸다.
산출된 발병도로부터 다음 식,
방제가=100-처리구의 발병도/무처리구의 발병도×100
에 의해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8에 나타낸다. 또한, 도 17에는 발병 평가시의 잎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BAL균의 배양액을 살포함으로써 흑반병이 완전하게 억제되었다.
발병도 방제가
물(무처리구) 83.3
BAL균 배양액 0.0 100.0
이프로디온 1000배액 0.0 100.0
실시예 22
백녹병균( Albugo macrospora )에 대한 BAL 균 배양액의 효과 시험
BAL균을 YPA 사면 배지로부터 백금이로 긁어내고, 300mL 용량 삼각 플라스크에 넣은 비지 추출 배지 100mL에 접종하고, 왕복 진탕기(진폭 10㎝)를 120회/분으로 이용하여 25℃에서 4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이 BAL균 배양액을 칭겐사이(품종: 복상미: 파종일 2004년 2월 12일, 접종시 생육도 본잎 5매, 직경 75㎜ 크로폴리화분에서 30일간 재배)의 잎면에 소형 핸드 스프레이로 균일하게 분무하고, 25℃ 하의 습실에 24시간 두었다. 추가로, 25℃ 하에 24시간 둔 후, 육종 포장에서 유채에 자연 발병한 백녹균병(Albugo macrospora)의 분생자층(conidial layer)으로부터 채종한 유주자낭(zoosporangia)을 증류수에 현탁하고, 소형 핸드 스프레이로 분무 접종 후, 11℃ 하의 습실에 24시간 정치시켰다. 접종시의 유주자낭 현탁액 농도는 200배에서 1시야 30개 시야로 되도록 희석하였다. 병징이 나타날 때까지, 터널 및 가온의 하우스에서 관리하였다. 대조로서, BAL균 배양액 대신에 물을 분무하는 구(무처리구)를 설정하였다. 각 처리 개체 모두 접종시의 잎몸 2매에서의 단위 면적당 분생자층 수를 조사하였다. 이 조사로부터, 처리구의 방제가를 다음 식,
방제가=100-(처리구 1㎠의 분생자층 수/무처리구 1㎠의 분생자층 수)×100
에 의해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9에 나타낸다. 또한, 도 18에는 발병한 잎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BAL균 배양액의 살포에 의한 방제가가 높기 때문에, 실용성이 인정된다.
분생자층 수/㎠ 방제가
물(무처리구) 112.0
BAL균 배양액 0.515 99.5
실시예 23
순무 위황병균( Fusarium oxysporum f. sp . raphani )에 대한 BAL 균의 효과 시험
에코브란 자재(치바세이분(주) 판매의 밀기울 퇴비: N 29%, P2O5 38%, K5O 2.0%, 유기물 52.5%, 수분 35 내지 40%, pH 7.5, CN비: 10) 40g, 쌀겨 10g을 잘 혼합하고, 121℃에서 1시간 고압 멸균하고, 24시간 후에 추가로 한번 더 같은 조건으로 고압 멸균을 행하였다. 이 멸균 자재에 멸균수 30ml, 규조토로 10배 희석한 BAL균 비지 배양 분말(실시예 6 참조) 0.6g을 첨가하여 잘 혼화시키고, 30℃ 하에 4일간 둔 것을 BAL균 배양 자재로 하였다. 미리 PSA 평판 배지에서 전배양해 둔 순무 위황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 raphani, (주)무사시야종묘원 병해·바이테크 연구실 보존균)을 5㎜각의 크기로 잘라내고, 300mL 용량 삼각 플라스크에 넣은 PG 배지 100mL에 접종하고, 왕복 진탕기(진폭 10㎝)를 120회/분으로 이용하여 25℃에서 5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액은 이중 가제로 여과 후, 30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포자를 모았다. 이 포자를 증류수에 현탁시키고, 같은 조건으로 원심 분리하여 침전을 회수하는 것을 2회 반복해서 세정하였다. 이 침전을 증류수에 현탁하여 멸균토에 균일하게 혼합하여, 순무 위황병균 포자를 2×107개/ml 포함하는 오염토를 작성, 25℃ 하에 24시간 둔 후, BAL균 배양 자재를 500㎏/10a로 되도록 충분히 혼화시키고 (1×107cfu/g의 BAL균을 포함함), 25℃ 하에 6일간 두고, 순무(품종: 나츠마키 13호; 작은 순무)를 2004년 5월 20일에 파종하고, 25℃ 하에서 관리하였다. 비교를 위해서, 멸균토, BAL균 배양 자재를 포함하지 않는 오염토(무처리구), 오염토에 파종 후 베노밀 수화제의 1000배액 3L/㎡를 권주하는 화학 방제제구를 함께 시험하였다. 파종 18일 후에 자엽의 황화 고사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로부터 다음 식,
발병도=발병 그루 수/조사 개체 총수
에 의해 발병도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발병도로부터 다음 식,
방제가=100-처리구의 발병도/무처리구의 발병도×100
에 의해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0에 나타낸다. 또한, 도 19에는 실험 개시 후 18일째의 상태를 나타낸다. BAL균 배양액 첨가 방제 자재를 시용한 구는 화학적 방제구보다 발병 억제력이 높았다.
발병 그루 수 발병도 방제가
멸균토 30 0 0.0
오염토(무처리구) 4 26 86.7
베노밀 수화제 6 23 79.3 8.5
방제 자재 500㎏/10a 15 13 46.4 46.5
※발병 그루 수의 -: 병징 있음; +: 병징 없음
실시예 24
묘입고병균( Rhizoctonia solani )에 대한 BAL 균의 효과 시험
에코브란 자재(실시예 13에 기재) 40g, 쌀겨 10g을 잘 혼합하고, 121℃에서 1시간 고압 멸균하고, 24시간 후에 추가로 한번 더 같은 조건으로 고압 멸균을 행하였다. 이 멸균 자재에 멸균수 30ml, 규조토로 10배 희석한 BAL균 비지 배양 분말(실시예 6 참조) 0.6g을 첨가하여 잘 혼화시키고, 30℃ 하에 7일간 둔 것을 BAL균 배양 자재로 하였다. 이 자재를 1t/10a로 되도록 멸균토에 혼합하고(5×107cfu/g의 BAL균을 포함함), 암흑 하 25℃에 10일간 정치시켰다. PSA 평판 배지로 2일간 배양한 묘입고병균(Rhizoctonia solani AG-4, ⅢA 묘입고병계, (주)무사시야종묘원 병해·바이테크 연구실 보존균)을 코르크 볼러로 펀칭하고, 그 균총 조각을 아이스크림 컵(세로 7㎝, 가로 7㎝, 높이 5㎝)의 저면에 등간격으로 균총 조각 3개씩 두었다. BAL균 배양 자재를 섞은 멸균토 125ml를 균총 조각을 피복하도록 충전하고, 벤트그래스(유키지루시 제조) 100㎎을 파종하고, 28℃의 인공 기상실에서 관리하였다. 대조구로서 묘입고병균 무접종의 멸균토(멸균토), 묘입고병균을 접종한 멸균토(무처리)도 마찬가지로 파종, 관리하였다. 파종 후 11일째에, 생존 그루 수를 조사하고, 멸균토에서의 생존 그루 수를 각 시험구 공통의 파종 그루 수로 하여, 다음 식으로부터 생존 그루 비율 및 고사 그루 비율을 구하였다.
생존 그루 비율=생존 그루 수/멸균토의 생존 그루 수×100
고사 그루 비율=100-생존 그루 비율
또한, 고사 그루 비율로부터 다음 식,
방제가=100-(처리구의 고사 그루 비율/무처리구의 고사 그루 비율)×100
에 의해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1에 나타낸다. 또한, 도 20에는 실험 개시 후 11일째의 상태를 나타낸다. 오염 농도가 매우 높았기 때문에 방제가는 낮지만, 효과는 인정된다.
생존 그루 비율(%) 고사 그루 비율(%) 방제가
멸균토 100 0
무처리 3 97
방제 자재 1t/10a 30 70 27.8
실시예 25
BAL 균 방제 자재에 의한 TMV (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 오염 토양 중의 TMV 감염 억제
TMV병 잎 4g(습윤 중량)을 유발(mortar)에 넣고, 1/15M 인산완충액 pH 6.98 10ml 중에서 마쇄(grinding)하여 접종 즙액으로 만들었다. 이 즙액을 50ml 용량 파르콘 튜브 2개에 균등하게 나누고, 인산 완충액으로 50ml로 조제하였다. 500ml 용량 비커에, 건조시킨 살균토 100ml, 쌀겨 1.25g(500㎏/10a 상당), 즙액 50ml를 넣었다. BAL균 처리구로서, 비지 추출액으로 진탕 배양한 배양액 20ml를 3000rpm으로 30분간 원심 분리한 BAL균을 인산 완충액 50ml에 현탁하고, 상기 토양에 넣고 유리 막대로 잘 혼합하였다. 무처리구로서 인산 완충액 50ml를 혼합하였다. 토양 표면을 비닐로 피복하고, 비커를 랩으로 싸고, 입구를 끈으로 막아 간이 솔라법의 실용화에 근거하여 38℃ 설정의 인큐베이터 내에 정치시켰다. 처리하고 나서 4일째에 각각의 처리구로부터 3g의 토양을 비커에 취하고, 정치시켜서 상층액을 본잎 8매로 자란 TMV 판별 식물인 니코티아나 글루티노사(Nicotiana glutinosa)에 카보랜덤법으로 접종하였다(문헌 [식물병리학 실험법, 사토 쇼지, 고토 마사오, 도이 요지 편, 고단샤] 참조). 니코티아나 글루티노사(Nicotiana glutinosa)를 20℃의 인공 기상실에서 관리하고, 접종 후 6일째에 잎에 나타난 국부 병반 수를 세고, 잎 면적을 측정하여 단위 면적당 국부 병반 수를 기초로 하여 다음 식에 의해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방제가=100-(처리구의 단위 면적당 병반 수/무처리구의 단위 면적당 병반 수)×100
결과를 표 22에 나타낸다. 또한, 도 21에는 발병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접종 잎 국부 병반 수 잎 면적 1㎠당 병반 수 평균 방제가
대조 1 246 26.67 9.2 9.6
2 283 21.29 13.3
3 174 27.51 6.3
BAL균 처리 1 166 28.6 5.8 4.4 54.0
2 135 25.64 5.3
3 70 32.03 2.2
실시예 26
멜론 괴저 반점병 ( Melon necrotic spot virus ) 감염 저해
멜론 종자(품종: 얼 미야비(Earl's Miyabi)) 20립을, 9㎝ 샬레에 여과지 1매를 깔고 증류수를 4.25ml 넣은 후에 도입하고, 25℃에서 2일간 최아시켰다. 25구멍 셀에 쿠레하(Kureha) 원예 배토를 50ml 채우고, 최아시킨 종자를 파종하고, 멸균토 50ml로 복토하였다. 육묘는 25℃의 인공 기상실 내에서 행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접종원은 -30℃에서 동결 보존해 둔 멜론 괴저 반점병 감염 잎(바이러스 기원은 나가사끼껭 이사하야시 포장의 바이러스 계통) 2g을 유발에 넣고, 1/15M 인산완충액 pH 6.98 10ml 중에서 마쇄하였다. 마쇄액은 가제 2중으로 여과하여, 이하의 시험에 사용하였다.
마쇄액 3ml와 비지 배지에서 8일간 진탕 배양한 BAL균 배양액 3ml를 혼합하고, 파라필름(Parafilm)으로 봉하여 25℃의 인큐베이터 내에 정치시켰다. 5시간 후 및 22시간 후에 탄화규소법(실시예 25에 준함)으로 멜론 자엽에 접종하였다. 무처리구로서 마쇄액과 인산 완충액을 혼합한 구를 설정하였다. 접종 후는 25℃의 인공 기상실에서 관리하였다. 접종 후 7 내지 8일째에 자엽에 나타난 국부 병반의 수를 세어 자엽 1매당 병반 수를 계산하고, 다음 식에 의해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5시간 후에서는 73.3이었고, 22시간 후에서는 80이었다.
방제가=100-(처리구의 자엽 1매당 병반 수/무처리구의 자엽 1매당 병반 수)×100
결과를 표 23에 나타낸다. 또한, 도 21에는 발병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혼합 시간 자엽에 나타난 국부 병반 수 자엽1매당 병반 수 방제가
1그루째 2그루째 3그루째 4그루째 5그루째
인산완충액 (무처리구) 5시간 4 2 8 2 9 4 10 18 7.1
22시간 8 12 12 7 4 7 10 6 7 7 8.0
BAL균 배양액 5시간 2 3 2 3 1 0 1 1 2 4 1.9 73.3
22시간 2 2 5 1 1 3 0 0 2 0 1.6 80.0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 병원성의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의 감염 또는 증식에 의한 식물 병해를 생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은 그대로 참고로 하여 본 명세서 중에 도입되는 것으로 한다.
SEQUENCE LISTING <110> ITSUKI Co., Ltd. <120> Method and agent for treating and preventing plant deseases by using bacterium belonging to the genus of Bacillus <130> PH-2257-PCT <150> JP 2004-55059 <151> 2004-02-27 <150> JP 2004-216083 <151> 2004-07-23 <160> 1 <170> PatentIn version 3.1 <210> 1 <211> 1545 <212> DNA <213> Bacillus sp. <400> 1 tggagagttt gatcctggct caggacgaac gctggcggcg tgcctaatac atgcaagtcg 60 agcggacaga tgggagcttg ctccctgatg ttagcggcgg acgggtgagt aacacgtggg 120 taacctgcct gtaagactgg gataactccg ggaaaccggg gctaataccg gatggttgtc 180 tgaacygcat ggttcagaca taaaaggtgg cttyggctac cacttacaga tggacccgcg 240 gcgcattagc tagttggtga ggtaacggct caccaaggcg acgatgcgta gccgacctga 300 gagggtgatc ggccacactg ggactgagac acggcccaga ctcctacggg aggcagcagt 360 agggaatctt ccgcaatgga cgaaagtctg acggagcaac gccgcgtgag tgatgaaggt 420 tttcggatcg taaagctctg ttgttaggga agaacaagtg ccgttcaaat agggcggcac 480 cttgacggta cctaaccaga aagccacggc taactacgtg ccagcagccg cggtaatacg 540 taggtggcaa gcgttgtccg gaattattgg gcgtaaaggg ctcgcaggcg gtttcttaag 600 tctgatgtga aagcccccgg ctcaaccggg gagggtcatt ggaaactggg gaacttgagt 660 gcagaagagg agagtggaat tccacgtgta gcggtgaaat gcgtagagat gtggaggaac 720 accagtggcg aaggcgactc tctggtctgt aactgacgct gaggagcgaa agcgtgggga 780 gcgaacagga ttagataccc tggtagtcca cgccgtaaac gatgagtgct aagtgttagg 840 gggtttccgc cccttagtgc tgcagctaac gcattaagca ctccgcctgg ggagtacggt 900 cgcaagactg aaactcaaag gaattgacgg gggcccgcac aagcggtgga gcatgtggtt 960 taattcgaag caacgcgaag aaccttacca ggtcttgaca tcctctgaca atcctagaga 1020 taggacgtcc ccttcggggg cagagtgaca ggtggtgcat ggttgtcgtc agctcgtgtc 1080 gtgagatgtt gggttaagtc ccgcaacgag cgcaaccctt gatcttagtt gccagcattc 1140 agttgggcac tctaaggtga ctgccggtga caaaccggag gaaggtgggg atgacgtcaa 1200 atcatcatgc cccttatgac ctgggctaca cacgtgctac aatggacaga acaaagggca 1260 gcgaaaccgc gaggttaagc caatcccaca aatctgttct cagttcggat cgcagtctgc 1320 aactcgactg cgtgaagctg gaatcgctag taatcgcgga tcagcatgcc gcggtgaata 1380 cgttcccggg ccttgtacac accgcccgtc acaccacgag agtttgtaac acccgaagtc 1440 ggtgaggtaa cctttatgga gccagccgcc gaaggtggga cagatgattg gggtgaagtc 1500 gtaacaaggt agccgtatcg gaaggtgcgg ctggatcacc tcctt 1545

Claims (9)

  1. 식물 병원성의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의 감염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능력을 갖는 바실루스(Bacillus)속에 속하는 세균을 포함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
  2. 제1항에 있어서, 식물 병원성의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의 감염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능력을 갖는 바실루스(Bacillus)속에 속하는 세균이 DAIJU-SIID2550(수탁 번호 FERM BP-10114) 또는 그 변이주(mutant)인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
  3. 제1항에 있어서, 식물 병원성 세균이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속, 클라비박터(Clavibacter)속, 에르위니아(Erwinia)속, 슈도모나스(Pseudomonas)속, 랄스토니아(Ralstonia)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속, 쿠르토박테리움(Curtobacterium)속, 부르크홀데리아(Burkholderia)속 또는 크산토모나스(Xanthomonas)속에 속하는 세균이고, 식물 병해가 상기 세균에 의한 병해인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
  4. 제1항에 있어서, 식물 병원성 사상균이 공기 전염성 사상균 또는 토양 전염성 사상균이고, 식물 병해가 상기 사상균에 의한 병해인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
  5. 제1항에 있어서, 식물 병원성 바이러스가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고추 마일드 모틀 바이러스(Pepper mild mottle virus), 토마토 모자이크 바이러스, 멜론 괴저 반점 바이러스, 수박 녹반 모자이크 바이러스 또는 오이 녹반 모자이크 바이러스이고, 식물 병해가 상기 바이러스에 의한 병해인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
  6. 제1항의 방제제 또는 방제 자재를 식물 병원성의 세균, 사상균 또는 바이러스의 숙주가 되는 식물에 시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식물이 십자화과(Brassicaceae), 가지과(Solanaceae), 참외과(Cucurbitaceae), 백합과(Liliaceae), 콩과(Leguminosae), 국화과(Asteraceae), 명아주과(Chenopodiaceae), 벼과(Gramineae), 장미과(Rosaceae), 패랭이과(Caryophyllaceae), 앵초과(Primulaceae), 운향과(Rutaceae), 포도과(Vitaceae), 다래나무과(Actinidiaceae), 감나무과(Ebenaceae), 미나리과(Umbelliferae), 메꽃과(Convolvulaceae) 또는 토란과(Araceae)에 속하는 식물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식물로의 시용 방법이, 세균을 식물의 종자에 도포하는 처리, 세균을 포함하는 현탁액에 식물의 종자를 침지시키는 처리, 세균을 식물의 재배 토양에 관주(灌注)하는 처리, 세균을 식물의 재배 토양에 혼화시키는 처리, 세균을 식물의 경엽에 살포하는 처리, 및 세균을 식물의 부상부(付傷剖)에 접촉시키 는 처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처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신규 바실루스(Bacillus)속 세균 DAIJU-SIID2550(수탁 번호 FERM BP-10114)주.
KR1020067019913A 2004-02-27 2005-02-18 바실루스속 세균을 이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및방제제 KR100840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55059 2004-02-27
JP2004055059 2004-02-27
JPJP-P-2004-00216083 2004-07-23
JP2004216083A JP3776919B2 (ja) 2004-02-27 2004-07-23 バチルス属細菌を用いた植物病害の防除方法および防除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038A true KR20060114038A (ko) 2006-11-03
KR100840802B1 KR100840802B1 (ko) 2008-06-23

Family

ID=3491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913A KR100840802B1 (ko) 2004-02-27 2005-02-18 바실루스속 세균을 이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및방제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90175837A1 (ko)
EP (1) EP1719410B1 (ko)
JP (1) JP3776919B2 (ko)
KR (1) KR100840802B1 (ko)
AT (1) ATE473630T1 (ko)
DE (1) DE602005022280D1 (ko)
WO (1) WO2005082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6131B2 (ja) * 2004-11-18 2011-01-05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イネ苗病害の防除剤および防除方法
JP2007145718A (ja) * 2005-11-24 2007-06-14 Sumitomo Chemical Co Ltd 有害生物防除能力を有する微生物の施用方法
ES2440741T3 (es) * 2007-03-23 2014-01-30 Novozymes Biologicals, Inc. Prevención y reducción de la formación de biopelícula y proliferación planctónica
JP5272154B2 (ja) * 2008-02-29 2013-08-28 京都府 新規微生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植物病害防除剤及び防除方法
WO2010006235A1 (en) * 2008-07-11 2010-01-14 Novozymes A/S Bacillus velezensis strain
US20100143316A1 (en) * 2008-12-05 2010-06-10 Taiwan Agricultural Chemicals And Toxic Substances Research Institute, Novel strai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and its use
US8822193B2 (en) 2010-02-25 2014-09-02 Marrone Bio Innovations, Inc. Isolated bacterial strain of the genus Burkholderia and pesticidal metabolites therefrom
US9526251B2 (en) 2010-02-25 2016-12-27 Marrone Bio Innovations, Inc. Use of Burkholderia formulations, compositions and compounds to modulate crop yield and/or corn rootworm infestation
US9234251B2 (en) * 2010-03-19 2016-01-12 Novozymes Biologicals, Inc.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
JP5704832B2 (ja) * 2010-03-30 2015-04-22 特定非営利活動法人広島循環型社会推進機構 植物土壌病害を軽減する微生物及びその微生物を活用した機能性コンポスト
PT2681234T (pt) 2011-03-01 2018-12-05 Keygene Nv Genes que proporcionam resistência ao oídio em cucumis melo
WO2013016361A2 (en) 2011-07-25 2013-01-31 Synthetic Genom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head blight disease
JP5896643B2 (ja) * 2011-08-23 2016-03-30 株式会社アイエイアイ 新規微生物及びこの新規微生物を用いた植物病害防除資材
JP5920866B2 (ja) * 2011-09-22 2016-05-18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土壌伝染性ウイルス病害の防除方法
RU2664863C2 (ru) * 2011-12-13 2018-08-23 Монсанто Текнолоджи Ллс Микроорганизмы - стимуляторы роста растений и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
CN102757917B (zh) * 2011-12-28 2014-02-19 浙江大学 防治植物青枯病和根肿病的生防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9119401B2 (en) 2012-10-19 2015-09-01 Marrone Bio Innovations, Inc. Plant glutamine synthetase inhibitors and methods for their identification
WO2014149241A1 (en) * 2013-03-15 2014-09-25 Marrone Bio Innovations, Inc. Isolated bacterial strain of the genus burkholderia and pesticidal metabolites therefrom
JP6078877B2 (ja) * 2013-03-26 2017-02-15 鳥取県 植物病の防除剤及び植物病の防除方法
CN103289932B (zh) * 2013-06-05 2014-09-24 青岛海大生物集团有限公司 一种嗜热脂肪地芽孢杆菌lj-2及其在制备抗病毒制剂和肥料中的应用
KR20170100644A (ko) * 2014-12-29 2017-09-04 에프엠씨 코포레이션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rti472 조성물 및 식물 생장에 이롭고 식물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는 방법
MX2017008728A (es) 2014-12-29 2017-10-31 Fmc Corp Composiciones microbianas y metodos de uso para favorecer el crecimiento de las plantas y tratar las enfermedades de las plantas.
CN104988100A (zh) * 2015-07-29 2015-10-21 江苏丘陵地区镇江农业科学研究所 一种解淀粉芽孢杆菌cd-17菌株及用途
CN105368754B (zh) * 2015-12-10 2018-08-07 长江师范学院 一种茎瘤芥根瘤内生细菌gj-06、含有该内生细菌的根肿病防治剂及应用
PL3407903T3 (pl) * 2016-01-25 2021-12-20 Novozymes A/S Sposób zmniejszania zakwitu drobnoustrojów w wylęgarni drobiu
CN109804062A (zh) 2016-10-07 2019-05-24 出光兴产株式会社 芽孢杆菌属细菌的培养方法和有用物质的制造方法
CN108060088B (zh) * 2018-01-11 2021-03-16 江西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用于稻瘟病菌培养、产孢的培养基及其制备方法
CN113573586B (zh) * 2018-09-27 2024-02-06 麦吉尔大学皇家学习促进机构 对番茄进行防番茄细菌性溃疡病菌的生物保护的方法和组合物
JP2020169136A (ja) * 2019-04-03 2020-10-15 株式会社クロサキシード 土壌の還元消毒方法及び還元消毒資材
CN110713956B (zh) * 2019-11-19 2022-02-08 曲阜师范大学 一株赖氨酸芽孢杆菌s12及其应用
TW202210627A (zh) * 2020-05-29 2022-03-16 國立大學法人東海國立大學機構 屬於芽孢桿菌屬之菌株及使用該菌株之微生物農藥
CN112154734A (zh) * 2020-09-21 2021-01-01 毕节市中药研究所 一种天南星种子催芽的方法
CN115851507B (zh) * 2022-10-12 2023-07-14 山东佰渥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埃吉类芽孢杆菌、菌剂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01234D0 (en) * 1987-01-21 1987-02-25 Agricultural Genetics Co Strain of microorganism
GB8805394D0 (en) * 1988-03-07 1988-04-07 Agricultural Genetics Co Antibiotic
JP2673718B2 (ja) * 1989-02-10 1997-11-05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細菌による植物病害防除方法
US5061494A (en) * 1990-06-14 1991-10-29 The Upjohn Comany Tri-scored drug tablet
JPH0551305A (ja) * 1991-08-26 1993-03-02 Sumitomo Chem Co Ltd バチルス属に属するsc−3菌株による植物病害防除方法および使用される細菌
JPH0734738B2 (ja) * 1991-10-02 1995-04-19 有機質肥料生物活性利用技術研究組合 植物病原菌抑制微生物及びその利用法
US5215747A (en) * 1992-02-07 1993-06-01 Uniroyal Chemical Company,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tecting plants from phytopathogenic fungi
JP3132195B2 (ja) * 1992-10-26 2001-02-05 昭和電工株式会社 新規微生物および植物病害防除剤
US5589381A (en) * 1994-06-30 1996-12-31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Bacillus licheniformis producing antifungal agents and uses thereof for control of phytopathogenic fungi
JP2835598B2 (ja) * 1996-05-20 1998-12-14 多木化学株式会社 育苗培土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耐病性苗の育成方法
US5753222A (en) * 1996-11-18 1998-05-19 Agritope, Inc. Antibiotic-producing strain of bacill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JPH10146187A (ja) * 1996-11-18 1998-06-02 Asada Shoji Kk 植物病害の発生を抑制する液体複合肥料
US5919695A (en) * 1997-04-22 1999-07-06 Quest International, B.V. Method and culture for inhibiting undesired microorganisms with culture of Bacillus subtilis
US6896883B2 (en) * 1997-07-22 2005-05-24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Biocontrol for plants with Bacillus subtilis, Pseudomonas putida, and Sporobolomyces roseus
JP2003089612A (ja) * 1999-02-23 2003-03-28 Kureha Chem Ind Co Ltd 植物病害の防除方法
JP2001346407A (ja) * 2000-06-08 2001-12-18 Ts Shokubutsu Kenkyusho:Kk 無病種子の生産方法
JP4071036B2 (ja) * 2001-11-26 2008-04-02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バシルスsp.D747菌株およびそれを用いた植物病害防除剤および害虫防除剤
JP2003289854A (ja) * 2002-01-31 2003-10-14 Miroku Technology:Kk Bacillusmojavensisに属するか又は近縁である細菌、及びそれを含むカビ防除剤
JP2003277210A (ja) * 2002-03-22 2003-10-02 Mitsui Chemicals Inc バチルス属細菌による植物病害防除剤およびその防除方法
JP4472945B2 (ja) * 2003-04-14 2010-06-02 片倉チッカリン株式会社 植物ウィルスを防除する微生物及び当該微生物からなる植物ウィルス防除剤並びに当該微生物を用いた植物ウィルスの防除方法
US7211428B1 (en) * 2004-05-18 2007-05-01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Strain of Bacillus as a bioinoculant
US8500759B2 (en) * 2007-09-26 2013-08-06 Ethicon, Inc. Hernia mesh suppor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802B1 (ko) 2008-06-23
US20110076745A1 (en) 2011-03-31
JP2005272434A (ja) 2005-10-06
EP1719410A1 (en) 2006-11-08
JP3776919B2 (ja) 2006-05-24
US20090175837A1 (en) 2009-07-09
WO2005082149A1 (ja) 2005-09-09
EP1719410A4 (en) 2007-03-28
EP1719410B1 (en) 2010-07-14
DE602005022280D1 (de) 2010-08-26
ATE473630T1 (de)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802B1 (ko) 바실루스속 세균을 이용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및방제제
AU2018204758B2 (en) Fungal endophytes for improved crop yields and protection from pests
US11286458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plant pathogens
JP4372975B2 (ja) 種子病害防除方法
CN100566574C (zh) 用芽孢杆菌属细菌防治植物病害的方法和防治剂
WO2015114552A1 (en)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l strains and their uses
WO2012016140A2 (en) Growth enhancement and control of bacterial and fungal plant diseases with streptomyces scopuliridis
EP2320742A2 (en) Control of plant diseases and enhancing plant growth using a combination of a trichoderma virens species and a rhizosphere competent trichoderma harzianum species
US20220132862A1 (en) Pseudomonas sp. stra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FI102615B (fi) Sienenvastainen mikro-organismi
JP2006176533A (ja) バチルス属細菌を用いた植物病害の防除方法および防除剤
JP2007055982A (ja) バチルス属細菌の栄養細胞を有効成分とする植物病害の防除方法および防除剤
KR102670981B1 (ko) 고추 탄저병과 세균병 방제 및 생육촉진 효과를 가진 다기능 천연식물보호제 개발
Scott et al. 8 Management of Diseases
Johnson Biology and Management of Bacterial Spot of Tomato in Oklahoma
Rafferty Biological wastes as plant growth substrate amendments
CN109640666A (zh) 生物控制组合物
Trueman Studies on the seedborne nature and control of Fusarium wilt of basil
Ramasubramaniam Effects of herbicides on growth and survival, and influence of latitude on anastomosis group diversity in Rhizoctonia solan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