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750A - 베이트 캐스트 릴 - Google Patents

베이트 캐스트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750A
KR20060112750A KR1020050035327A KR20050035327A KR20060112750A KR 20060112750 A KR20060112750 A KR 20060112750A KR 1020050035327 A KR1020050035327 A KR 1020050035327A KR 20050035327 A KR20050035327 A KR 20050035327A KR 20060112750 A KR20060112750 A KR 20060112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housing
knob
spool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066B1 (ko
Inventor
연 석 노
Original Assignee
연 석 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 석 노 filed Critical 연 석 노
Priority to KR1020050035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066B1/ko
Priority to US11/912,706 priority patent/US7618003B2/en
Priority to PCT/KR2006/001475 priority patent/WO2006115351A1/en
Publication of KR20060112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1Control means for engine or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5Antibacklash devices using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4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relating to internal-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트 캐스트 릴에 관한 것으로서, 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축이 구비된 스풀과, 이 스풀축에 결합되어 스풀과 같이 회전되고 회전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다수의 브레이크슈우가 마련되는 브레이크하우징과 이에 결합되는 브레이크슈우와 이 브레이크슈우의 회동에 따른 원심력에 의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상기 브레이크슈우와 마찰 작동되는 다수의 단을 가진 브레이크드럼을 구비하고 이 브레이크 드럼을 원심조정용 노브의 캠면에 의해 브레이크드럼의 위치결정을 유도하는 브레이크드럼이동부재를 진퇴이동하기 위한 노브를 포함하는 원심 브레이크와; 상기 노브와 동축적으로 메인커버의 측면과 동일평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다이얼과, 이 다이얼의 캠면을 따라 종동 주행하면서 회전축을 따라 진퇴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마그넷-구비 자석홀더를 포함하는 자력 브레이크를 구비하여, 상기 노브의 회전 시, 상기 탄력부재의 탄력을 받으면서 다수의 고정구를 타고 넘으면서 클릭음을 발생함과 동시에 다이얼의 회전을 고정하여 절도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베이트 캐스트 릴{baitcast reel having externally adjustable dual brakes having centrifugal and magnetic brak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트 캐스트 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베이트 캐스트 릴에 있어서, 스풀과 브레이크를 발췌하여 상부에서 본 도면,
도 3은 도 1의 베이트 캐스트 릴의 전체 주요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B방향에서 바라보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A부분을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반단면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베이트 캐스트 릴의 브레이크드럼하우징을 위시한 자력브레이크를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D방향에서 바라보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3의 베이트 캐스트 릴의 브레이크드럼하우징을 위시한 원심브레이크를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9는 0개의 브레이크슈우가 제0 브레이크단에 마찰 접촉된 단계를 나타낸 상세 도시한 단면구조도,
도 10은 2, 4 및 6개의 브레이크슈우가 제1,2,3 브레이크단에 마찰 접촉된 상태를 단계별로 상세 도시한 단면구조도, 및
도 11은 도 3의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슈우하우징을 위시한 원심브레이크를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케이스 15 ... 메인커버
20 ... 스풀 21 .. 스풀축
22 ... 핸들 30 ... 슈우하우징
32, 34, 36 ... 제1,2,3슬라이드홈 40 ... 원심브레이크
41 ... 브레이크슈우 41a ... 접촉단
50 ... 가이드판 52a, 54a, 56a ... 제1,2,3걸림구
60 ... 브레이크드럼 60a ... 경사면
62, 64, 66 ... 제1,2,3브레이크단 70 ... 브레이크드럼이동부
71a ... 사형돌부 75 ... 스프링
80 ... 브레이크하우징 85 ... 고정구
90 ... 노브 91 ... 가이드돌부
91a .. 안내홈 93 ... 수용구
141 .. 탄력부재 143 .. 구상체
본 발명은 베이트 캐스트 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베이트 릴의 스풀 백래시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2종류의 제동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한 베이트 캐스트 릴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베이트 캐스트 릴이란, 낚싯줄의 방출/감기 동작을 자유롭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낚싯도구의 일종이다. 이러한 베이트 캐스트 릴은, 케이스 내부에 낚싯줄이 권취되어 있는 스풀과, 스풀을 회전시키기 위한 스풀구동기어기구와, 낚싯줄의 방출을 제한하기 위한 드래그기구(drag mechanism)와, 감기 조작시 낚싯줄을 스풀에 정렬시키기 위한 레벨와인드기구등을 포함하며, 스풀구동기어기구는 케이스 외부의 핸들과 캐스팅력에 의하여 조작되어 스풀을 고속으로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스풀에 권취된 낚싯줄 끝에 저울추와 낚시바늘이 연결된 베이트(미끼)를 설치한 후 베이트 캐스트 릴을 손으로 잡고 큰 각도로 회동시키면, 저울추와 베이트는 멀리 캐스팅(투척)된다. 이때, 저울추에 의하여 스풀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권취된 낚싯줄이 풀리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베이트 캐스트 릴에 있어서, 고속으로 회전되는 스풀의 브레이크 조절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베이트가 목적 지점에 캐스팅 완료된 이후에도 스풀이 그 회전 관성에 의하여 계속 회전되므로, 스풀에 권취된 낚싯줄이 계속 풀려나가 결국 엉켜버리게 되었다. 따라서, 캐스팅 시점에 따라 회전되는 스풀을 적절하게 엄지손가락으로 잡아서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제동 작동을 수행하여야 하였으나, 캐스팅이 완료된 후 스풀의 관성에 의한 회전력이 미묘하게 달라지기 때문에, 숙련된 낚시꾼이라도 수동으로 스풀의 회전을 효과적으로 브레이킹시키 기가 어려웠고, 더 나아가 초보자의 경우 백래시까지 일으켜 낚싯줄의 엉킴현상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백래시의 감소를 위한 제동력 부여 방식으로서 자력을 이용할 수 있지만, 미끼를 포함한 추가 캐스팅 초기에는 최대의 회전력으로 날아가지만 점차 회전력이 감소하면서 포물선을 그리며 낙하하게 되는 데 유감스럽게도 자력 브레이크는 항상 일정한 제동력을 부여하게 되므로 스풀의 회전력이 필요이상으로 감소하여 캐스팅 거리가 짧아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한 제동력의 고정에 따른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자력브레이크와 원심브레이크를 메인커버에 일체로 장착하여 2가지 방식의 제동력부여기구의 장점을 살림과 동시에, 외부 조정 노브 및 다이얼을 이용하여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인커버를 분해하거나 조립하는 번거로움없이 간편하게 플레이어가 사용하는 미끼의 무게에 따라서 브레이크력을 0 에서부터 무한대에 가까운 브레이크력의 조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베이트 캐스트 릴의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과제가 있음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베이트 캐스트 릴은,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스풀축이 형성되고 낚싯줄이 권취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을 회전시키기 위한 스풀구동기어기구와, 상기 스풀 구동기어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핸들과, 상기 스풀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하는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메인커버를 포함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스풀축에 결합되어 상기 스풀과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서 중심축에 대하여 일정 각도 편향되게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3 쌍의 제1,2,3슬라이드홈과, 상기 제1,2,3슬라이드홈 각각에 중심축으로부터 제1,2,3거리 만큼 떨어져 형성되는 3쌍의 제1,2,3걸이돌기가 형성된 슈우하우징(30); 상기 제1,2,3걸이돌기가 수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2,3슬라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6 개의 브레이크슈우; 상기 브레이크슈우가 상기 제1,2,3슬라이드홈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슈우하우징에 결합되는 가이드판; 상기 슈우하우징 및 가이드판이 수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 가장자리에 내주 직경이 각각 다른 제1,2,3브레이크단이 형성된 브레이크드럼; 상기 브레이크드럼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단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절곡부를 가지는 계합돌기가 형성된 브레이크드럼이동부; 상기 브레이크드럼이동부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커버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계합돌기의 절곡부가 관통되는 커버관통공이 형성된 브레이크하우징; 상기 브레이드크드럼이동부와 상기 브레이크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브레이크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관통공을 관통한 계합돌기의 절곡부가 걸어지는 3 단 높이의 제1,2,3캠홈이 측부에 형성된 형성된 캠(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브레이크드럼에 있어서, 상기 제1,2,3브레이크단이 만나는 경계에 경 사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베이트 캐스트 릴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트 캐스트 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베이트 캐스트 릴에 있어서, 스풀과 브레이크를 발췌하여 상부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베이트 캐스트 릴의 전체 주요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B방향에서 바라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A부분을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반단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베이트 캐스트 릴의 브레이크드럼하우징을 위시한 자력브레이크를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D방향에서 바라보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3의 베이트 캐스트 릴의 브레이크드럼하우징을 위시한 원심브레이크를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트 캐스트 릴은, 케이스(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풀축(21)이 형성되고 낚싯줄이 권취되는 스풀(20)과, 스풀(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스풀구동기어기구(미도시)와, 스풀구동기어기구를 조작하여 스풀(20)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22)과, 낚싯줄의 방출을 제한하기 위한 드래그기구(11)와, 감기조작시 낚싯줄을 스풀(20)에 정렬시키기 위한 레벨와인드기구(13)와, 스풀(2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하는 원심브레이크(40) 및 자력브레이크(110)와, 상기 자력브레이크(110) 및 원심브레이크(40)가 케이스(10) 내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메인커버(15)를 포함한다. 여기서, 드래그기구(11) 나, 레벨와인드기구(13)등은 일반적인 베이트 캐스트 릴에 채용되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원심브레이크(40)는, 스풀축(21)에 결합되어 스풀(20)과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서 중심축에 대하여 일정 각도 편향되게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3 쌍의 제1,2,3슬라이드홈이 형성된 슈우하우징(30)과; 이 슈우하우징(30)의 제1,2,3슬라이드홈(32)(34)(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6 개의 브레이크슈우(41)과; 브레이크슈우(41)가 제1,2,3슬라이드홈(32)(34)(36)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슈우하우징(30)에 결합되는 가이드판(50)을 포함한다.
또, 상기 원심브레이크(40)는, 또한 슈우하우징(30) 및 가이드판(50)이 수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 가장자리에 내주 직경이 각각 다른 제1,2,3브레이크단(62)(64)(66)이 형성되되 그 제1,2,3브레이크단(62)(64)(66)이 만나는 경계에 경사면(60a)이 형성된 브레이크드럼(60)과; 브레이크드럼(60)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완만한 리드각를 갖도록 경사 형성된 사형돌부(71a)를 구비한 브레이크드럼이동부(70)와; 브레이크드럼이동부(70)가 수납되도록 타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메인커버(15)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일측 폐쇄면에 관통되는 관통공(81)이 형성된 브레이크하우징(80)와; 브레이드크드럼이동부(70)와 브레이크하우징(80)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75)과; 브레이크하우징(8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관통공(81)을 관통하는 가이드돌부(91)가 일측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드럼이동부(70)를 진퇴이동하도록 구성된 노브(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자력브레이크(110)는 상기 노브(90)와 동축적으로 동일평면 상에 배 열되어 상기 슈우하우징(30)의 가이드판(50)과 자력 영향이 변동하도록 진퇴이동 가
능하게 상기 브레이크하우징(80) 내에 배치된 자석홀더(111)와 이 자석홀더(111)에(의) 일측에 상기 브레이크하우징(80)과 다이얼 홀더(140)를 관통하여 돌출하는 종동돌부(111a)와 접촉하는 캠부재(131)를 갖는 캠면(130a)-구비 다이얼(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 슈우하우징(30)은 전체적으로 높이가 낮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에 스풀축(21)이 관통 고정되는 고정공(31)이 형성되어 있어 스풀축(21)에 동축으로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공(31) 주위에 형성된 3 쌍의 제1,2,3슬라이드홈(32)(34)(36)은 슈우하우징(30) 면에 대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2,3슬라이드홈(32)(34)(36)을 제외한 슈우하우징(30)의 내곽부에는 보스부(38)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판(50)에는 상기 보스부(38)에 체결되는 체결나사가 체결되는 관통공(51)을 가진다.
브레이크슈우(41)의 전방 단부에는 브레이크드럼(60)의 제1,2,3브레이크단(62)(64)(66)과 마찰 접촉되는 접촉단(41a)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단(41a)은 브레이크드럼(60) 내주면과 최대한 접촉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브레이크슈우(41)는 각각의 제1,2,3슬라이드홈(32)(34)(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심축으로부터 제1,2,3걸림구(52a)(54a)(56a)의 거리가 다르므로, 제1,2,3걸림구(52a, 54a, 56a)에 각각 끼어진 브레이크슈우(41)의 이동 거리가 제한된다.
가이드판(50)은 브레이크슈우(41)가 회전중심축으로부터 상이한 돌출 길이, 즉 상기 슈우하우징(30)의 외곽부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갖도록 상기 브레이크슈우(41)의 걸림돌기(41c)가 걸림유지되도록 관통형성된 상이한 길이의 상기 제1,2,3걸림구(52a, 54a, 56a)를 구비하여 상이한 내경을 갖는 제1,2,3브레이크단(62, 64, 66)에 각각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판(52)에 형성된 제1걸림구(52a)는 중심축에서 가장 멀고. 제3슬라이드홈(36)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3걸림구(56a)는 중심축에서 가장 가까우며, 제2슬라이드홈(34)에 대응 형성된 제2걸림구(54a)는 제1걸림구(52a)와 제3걸림구(56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크드럼(60)의 내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2,3브레이크단(62)(64)(66)은 계단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1브레이크단(62)과 제2브레이크단(64) 사이, 그리고 제2브레이크단(64)과 제3브레이크단(66)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6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경사면(60a)에 의하여, 브레이크드럼이동부(70)에 의하여 브레이크드럼(60)이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 브레이크슈우(41)가 제1브레이크단(62)에서 제2브레이크단(64)으로, 또는 제2브레이크단(64)에서 제3브레이크단(66)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브레이크드럼이동부(70)는 슈우하우징(30)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브레이크슈우(41)를 제0,1,2,3브레이크단(62)(64)(66)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브레이크하우징(80)의 관통공(81, 81)으로 노브(90)의 가이드돌부(91, 91)가 각각 요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어 있다.
노브(90)는 브레이크하우징(8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커버(15)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노브(90)의 외주부에는 브레이크하우징(80)의 관통공(81)을 관통한 상기 자석홀더(111)의 종동돌부(111a)가 진퇴이동하도록 캠작동을 위한 캠부재(131)가 형성된 다이얼(130)이 회전 가능하게 메인커버(15)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플레이어가 슈우하우징(30)의 회전력을 감소하기 위해 노브(90)를 회전하면, 상기 브레이크드럼이동부(70)의 사형돌부(71a)에 상호 접속된 안내홈(91a)을 갖는 가이드돌부(91)가 회전되면서 브레이크드럼이동부(70)가 스풀축(21)의 연장방향을 따라 진퇴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노브(90)를 손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브레이크드럼이동부(70)에 의하여 브레이크드럼(60)이 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브레이크슈우(41)가 0단에서 제1브레이크단으로, 제1브레이크단(62)에서 제2브레이크단(64)으로, 또는 제2브레이크단(64)에서 제3브레이크단(66)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노브 조정에 따라 이의 역방향 제동단계별 조정도 가능하게 설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노브(90)는 절도감부여수단(140)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하우징(80)에 제동단계별 회전 시 절도감 및 음감(클릭음)을 부여할 수 있도록 상기 브레이크하우징(80) 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절도감부여수단(140)은 상기 노브(90)의 하면에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 으로 축외반경 지점에 오목형성된 수용구(93)와, 상기 수용구(93)에는 탄성을 발휘하도록 수용된 탄력부재(141)와, 상기 탄력부재(141)의 탄력에 의해 수용구(93)의 대향측의 브레이크하우징(80)의 외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요홈 형성된 다수의 고정구(85, …)와, 상기 탄력부재(141)의 끝단에 탄지된 구형체(143)나 둥근머리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노브(90)의 회전 시, 상기 탄력부재(141)의 탄력을 받으면서 다수의 고정구(85, …)를 타고 넘으면서 클릭음을 발생함과 동시에 다이얼(130)의 회전을 고정하여 절도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탄력부재(141)의 탄성을 받아 탄발지지되는 구형체(143)를 개재시킴으로써, 단계별 제동조작에 따른 노브(90)의 각 제동단으로의 선택절환시 절도감을 부여함과 더불어 각 제동단계에서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구조의 베이트 캐스트 릴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는 0개의 브레이크슈우가 제0 브레이크단에 마찰 접촉된 단계를 나타낸 상세 도시한 단면구조도이고, 도 10은 2, 4 및 6개의 브레이크슈우가 제1,2,3 브레이크단에 마찰 접촉된 상태를 단계별로 상세 도시한 단면구조도이며, 도 11은 도 3의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슈우하우징을 위시한 원심브레이크를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플레이어는 노브(90)를 회전시킴으로써 브레이크슈우(41)를 제0 브레이크단 (도 9 참조) 및 도 10의 제1,2,3브레이크단(62)(64)(66) 사이에서 회전축을 따라 진퇴이동시킬 수 있다. 제0 브레이크단은 스풀의 제동력이 최소화되는 무부하단계 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플레이어가 상기 제0 브레이크단에서 노브(90)를 1단 회전시켜 브레이크슈우(41)가 상기 제1브레이크단(62)에만 접촉하도록 위치설정하면, 브레이크드럼이동부(70) 및 브레이크드럼(60)은 스풀(20)측으로 1단계 이동된다. 이 경우, 슈우하우징(30)은 제1브레이크단(62)에 대응되는 위치로 오게 되며, 상기 가이드판(50)의 제1걸림구(52a)에 걸림결합된 2 개의 브레이크슈우(41)의 접촉단(41a) 만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레이크단(62)에 밀착되어 마찰 작동될 수 있다(C1, C2 참조).
여기서, 제2,3걸림구(54a, 56a)에 결합된 브레이크슈우(41)는 제2걸림구(54a) 및 제3걸림구(56a)에 의하여 그 이동범위가 제한되어 브레이크드럼(60)의 내주면과 마찰 접촉될 수 없다.
다음, 사용자가 노브(90)를 좀더 회전시켜, 즉 2단 회전시켜 브레이크슈우(41)가 상기 제1, 2브레이크단(62 및 64)에만 접촉하도록 위치설정하면, 브레이크드럼이동부(70) 및 브레이크드럼(60)은 스풀(20)측으로 2단계 이동되게 되어, 브레이크드럼이동부(70) 및 브레이크드럼(60)은 스프링(75)에 의하여 스풀(20)측으로 약간 더 이동한다. 그러면, 슈우하우징(30)은 제2브레이크단(64)에 대응되는 위치로 오게 되며, 제1슬라이드홈(32) 및 제2슬라이드홈(34)에 결합된 4 개의 브레이크슈우(41)의 접촉단(41a)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레이크단(64)에 밀착되어 마찰 작동될 수 있다(C1, C2, C3 및 C4 참조). 그러나, 제3슬라이드홈(36)에 결합된 브레이크슈우(41)는 제3걸림구(56a)에 의하여 그 이동범위가 제한되어 브레이 크드럼(60)의 내주면과 마찰 접촉될 수 없다.
다음, 사용자가 노브(90)를 좀더 회전시켜 3단 제동 작동위치에 위치설정하면, 브레이크드럼이동부(70) 및 브레이크드럼(60)은 스프링(75)에 의하여 스풀(20)측으로 완전히 이동된다. 그러면, 슈우하우징(30)은 제3브레이크단(66)에 대응되는 위치로 오게 되며, 제1,2,3슬라이드홈(32)(34)(36)에 결합된 6 개의 브레이크슈우(41)의 접촉단(41a)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브레이크단(66)에 밀착되어 마찰 작동될 수 있다(C1, C2, C3, C4, C5, C6 참조). 즉, 모든 브레이크슈우(41)가 대응하는 제3브레이크단(66)에 마찰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0 브레이크단의 경우에는 어떤 브레이크슈도 브레이크드럼의 어느 내주면과도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는 노브(90)에 채용된 절도감부여수단(140)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하우징(80)에 제동단계별로 절도감을 가지고 선택 절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브레이크(110)를 살펴보면, 브레이크드럼(60)에 교번자극으로 교호 배열된 마그네트(113, …)를 포함한 자석홀더(111)가 스프링(113)과 나사(114)로 브레이크하우징(80)에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자력 조정을 원할 시는, 자력조정용 다이얼(130)의 캠부재(131)와 자석홀더(111)의 종동돌부(111a)의 캠작동에 의거하여 진퇴이동되면서 자력의 영향력이 미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자력조절용 다이얼(130)의 캠부재(131)에 의해 이동량이 결정되는 자석홀더(111)의 마그넷(113, …)에 위치변화없이 스풀(20)과 같이 회전되는 가이 드판(50)의 거리 변동에 따른 제동력 변화에 의해 백래시의 방지를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플레이어가 상기 제1단 제동 위치되도록 하여 2 개의 브레이크슈우(41)만이 제1브레이크단(62)에 마찰 작동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스풀(20)에 권취된 낚싯줄 끝에 저울추와 낚시바늘이 연결된 베이트(미끼)를 설치한 후 베이트 캐스트 릴을 손으로 잡고 큰 각도로 회동시키면, 저울추와 베이트는 멀리 캐스팅(투척)된다. 그러면 저울추에 의하여 스풀(20)에 권취된 낚싯줄(L)은 풀리게 되고 이 과정에서 스풀(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 라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고속 회전되고, 따라서 제1슬라이드홈(32)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는 브레이크슈우(41)는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브레이크슈우의 접촉단(41a)은 브레이크드럼(60)의 제1브레이크단(62)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저울추가 바닥에 떨어져 캐스팅이 완료되면, 더 이상 스풀(20)을 강제 회전시키려는 힘이 제거되고 스풀구동기어기구등과 유기적으로 결합된 스풀(20)의 회전력은 감소한다. 이때, 제1슬라이드홈(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브레이크슈우(41)는 관성에 의하여 중심축 방향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다가, 저울추의 투척이 완료되면 더 이상 스풀(20)을 회전시키려는 힘이 작용하지 않고 단순히 스풀(20)의 관성에 의하여 회전되며, 이 과정에서 스풀(20)의 회전력이 약하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슈우(41)는 초기 스풀(20)의 회전 관성력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므로, 스풀(20)의 회전속도가 작아지게 되면 관성에 의하여 브레이크슈우(41)는 제1슬라이드홈(32)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접촉단(41a)이 제1브레이크단(62)에 밀착되어 마찰 작동된다(C1, C2 참조). 이에 따라 스풀(20)의 회전력은 급격히 약해지고, 따라서 스풀(20)에 권취된 낚싯줄이 더 이상 풀려나오지 않게 되어 엉키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마다 다른 투척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투척력이 큰 사람의 경우 스풀(20)의 브레이크력이 커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노브(90)를 회전시켜 2단 제동력이 부여되도록 위치설정되게 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브레이크슈우(41)의 접촉단(41a)이 제2브레이크단(64)에 접촉 가능한 상태가 되게 하거나(C1, C2, C3, C4 참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6 개의 브레이크슈우(41)의 접촉단(41a)이 제3브레이크단(66)에 접촉 가능한 상태가 되게 하여야 할 것이다(C1, C2, C3, C4, C5, C6 참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노브(90)를 회전시킴에 따라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낚싯줄을 스풀(20)에 권취하고자 할 경우, 핸들(22)을 회전시켜 스풀(20)을 R 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브레이크슈우(41)가 제1,2,3슬라이드홈(32)(34)(36)으로부터 이동되어 브레이크드럼(60)에 접촉되더라도, 제1,2,3슬라이드홈(32)(34)(36)의 경사방향에 의하여 접촉단(41a)이 브레이크드럼(60)에 마찰 저항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 결국 무저항력이 제공되어 보다 용이한 감기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소비자가 릴 구매시 권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핸들을 돌려 스풀의 회전력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 때 스풀은 캐스팅시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R)되며, 이 때에도 브레이크력이 발생되어 회전력이 감소되지만, 본 고안은 이 때에는 브레 이크 슈우가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의 중심의 근방으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각도 편향되어 방사상으로 연장하여 오목 형성된 수용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캐스팅 반대방향(R)으로 회전 시 브레이크력은 최소가 되고 스풀 회전력은 최대로 발생하도록 하여 구매력을 고취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트 캐스트 릴에 따르면, 캐스팅이 완료된 후 브레이크슈우의 관성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슬라이드홈으로부터 외축으로 이동되면서 브레이크드럼에 밀착됨으로써 스풀이 회전되지 않도록 브레이킹하며, 이에 따라 낚싯줄이 풀려나와 엉키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투척력을 가진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메인커버를 분해하거나 조립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원심브레이크노브를 회전시켜 제0,1,2,3브레이크단에 접촉되는 브레이크슈우의 개수를 변경시킴으로써 브레이크드럼 사이의 마찰력을 가감할 수 있어, 스풀의 브레이킹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풀의 브레이킹을 증대 작동하기 위해 플레이어는 선택적으로 자석브레이크나 다이얼을 회전시켜 자력 변동에 의거한 제동력의 증대를 용이하게 수행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낚싯줄을 스풀에 권취시에는 슬라이드홈의 경사방향에 의하여 접촉 단이 브레이크드럼에 마찰 저항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 결국 무저항 감기 동작이 가능해진다라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베이트 캐스트 릴에 있어서,
    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축이 구비된 스풀과, 이 스풀축에 결합되어 스풀과 같이 회전되고 회전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다수의 브레이크슈우가 마련되는 브레이크하우징과 이에 결합되는 브레이크슈우와 이 브레이크슈우의 회동에 따른 원심력에 의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상기 브레이크슈우와 마찰 작동되는 다수의 단을 가진 브레이크드럼을 구비하고 이 브레이크 드럼을 원심조정용 노브의 캠면에 의해 브레이크드럼의 위치결정을 유도하는 브레이크드럼이동부재를 진퇴이동하기 위한 노브를 포함하는 원심 브레이크와;
    상기 노브와 동축적으로 메인커버의 측면과 동일평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다이얼과, 이 다이얼의 캠면을 따라 종동 주행하면서 회전축을 따라 진퇴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마그넷-구비 자석홀더를 포함하는 자력 브레이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제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브레이크는, 스풀축에 결합되어 스풀과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서 중심축에 대하여 일정 각도 편향되게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3 쌍의 제1,2,3슬라이드홈이 형성된 슈우하우징과; 이 슈우하우징의 제1,2,3슬라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6 개의 브레이크슈우와; 브레이크슈우가 제1,2,3슬라이드홈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슈우하우징에 결합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슈우하우징 및 가이드판이 수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 가장자리에 내주 직경이 각각 다른 제1,2,3브레이크단이 형성되되 그 제1,2,3브레이크단이 만나는 경계에 경사면이 형성된 브레이크드럼과; 브레이크드럼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완만한 리드각를 갖도록 경사 형성된 사형돌부를 구비한 브레이크드럼이동부와; 브레이크드럼이동부가 수납되도록 타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메인커버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일측 폐쇄면에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브레이크하우징과; 브레이드크드럼이동부와 브레이크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브레이크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관통공을 관통하는 가이드돌부가 일측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드럼이동부를 진퇴이동하도록 구성된 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제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브레이크는 상기 노브와 동축적으로 동일평면 상에 배열되어 상기 슈우하우징의 가이드판과 자력 영향이 변동하도록 진퇴이동 가능하게 상기 브레이크하우징 내에 배치된 자석홀더와 이 자석홀더에 일측에 상기 브레이크하우징과 다이얼 홀더를 관통하여 돌출하는 종동돌부와 접촉하는 캠부재를 갖는 캠면-구비 다이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제동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슈우의 전방 단부에는 브레이크드럼의 제1,2,3브레이크단과 마찰 접촉되는 접촉단이 경사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제동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브레이크슈우가 회전중심축으로부터 상이한 돌출 길이, 즉 상기 슈우하우징의 외곽부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갖도록 상기 브레이크슈우의 걸림돌기가 걸림유지되도록 관통형성된 상이한 길이의 상기 제1,2,3걸림구를 구비하여 상이한 내경을 갖는 제1,2,3브레이크단에 각각 대응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제동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드럼의 내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2,3브레이크단은 계단 형상으로 되고, 상기 브레이크하우징의 관통공으로 노브의 가이드돌부가 각각 요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며, 상기 노브의 외주부에는 브레이크하우징의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자석홀더의 종동돌부가 진퇴이동하도록 캠작동을 위한 캠부재가 형성된 다이얼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플레이어가 슈우하우징의 회전력을 감소하기 위해 노브를 회전 시, 상기 브레이크드럼이동부의 사형돌부에 상호 접속된 안내홈을 갖는 가이드돌부가 회전되면서 브레이크드럼이동부가 스풀축의 연장방향을 따라 진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제동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절도감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하우징에 제동단계별 회전 시 절도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상기 브레이크하우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절도감부여수단은 상기 노브의 하면에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축외반경 지점에 오목형성된 수용구와, 상기 수용구에는 탄성을 발휘하도록 수용된 탄력부재와, 상기 탄력부재의 탄력에 의해 수용구의 대향측의 브레이크하우징의 외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요홈 형성된 다수의 고정구와, 상기 탄력부재의 끝단에 탄지된 구형체나 둥근머리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노브의 회전 시, 상기 탄력부재의 탄력을 받으면서 다수의 고정구를 타고 넘으면서 클릭음을 발생함과 동시에 다이얼의 회전을 고정하여 절도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제동장치.
KR1020050035327A 2005-04-28 2005-04-28 베이트 캐스트 릴 KR100702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327A KR100702066B1 (ko) 2005-04-28 2005-04-28 베이트 캐스트 릴
US11/912,706 US7618003B2 (en) 2005-04-28 2006-04-20 Baitcast reel having externally adjustable dual brakes having centrifugal and magnetic brakes
PCT/KR2006/001475 WO2006115351A1 (en) 2005-04-28 2006-04-20 Baitcast reel having externally adjustable dual brakes having centrifugal and magnetic brak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327A KR100702066B1 (ko) 2005-04-28 2005-04-28 베이트 캐스트 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750A true KR20060112750A (ko) 2006-11-02
KR100702066B1 KR100702066B1 (ko) 2007-03-30

Family

ID=3721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327A KR100702066B1 (ko) 2005-04-28 2005-04-28 베이트 캐스트 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18003B2 (ko)
KR (1) KR100702066B1 (ko)
WO (1) WO20061153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9591B4 (de) * 2007-06-27 2012-03-01 Stabilus Gmbh Antriebseinrichtung
JP2009089665A (ja) * 2007-10-10 2009-04-3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TW200930289A (en) * 2008-01-08 2009-07-16 wen-xiang Li Fishing reel with second brake device
KR200449773Y1 (ko) * 2008-05-08 2010-08-09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외부에서 조정이 가능한 베이트 릴의 백래시 방지장치
KR200451591Y1 (ko) * 2008-06-24 2010-12-27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KR101185103B1 (ko) * 2009-06-08 2012-09-26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KR100969227B1 (ko) * 2009-09-28 2010-07-14 주식회사 코커스 낚시용 릴의 브레이크 시스템
KR200463643Y1 (ko) * 2010-09-02 2012-11-15 주식회사 코커스 낚시용 릴의 외부조절용 브레이크장치
KR101248958B1 (ko) * 2010-12-22 2013-04-03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JP5718119B2 (ja) * 2011-03-29 2015-05-1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KR101273455B1 (ko) 2011-05-31 2013-06-17 주식회사 다원이엔지 낚시용 베이트 릴의 스풀 백 래시 방지장치
JP5926564B2 (ja) * 2012-01-18 2016-05-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JP5944742B2 (ja) * 2012-05-17 2016-07-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JP6284306B2 (ja) * 2013-05-10 2018-02-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US10918096B2 (en) 2017-07-11 2021-02-16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Centrifugal braking system for baitcast fishing reels
CN110492879B (zh) * 2019-08-02 2024-02-09 延锋伟世通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扭力可控的控制旋钮
US11363806B1 (en) 2020-11-30 2022-06-21 Allen Fly Fishing, LLC Fishing reel with braking assembly
US11864543B2 (en) * 2021-01-25 2024-01-09 Cary Hogan JONES Fly fishing reel with brake assembly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0308A (en) * 1984-07-25 1989-05-16 Brunswick Corporation Multiple cam mag brake adjustment for bait cast reel
JP2538904Y2 (ja) * 1991-07-10 1997-06-18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遠心ブレーキ機構
JPH10178982A (ja) * 1996-12-27 1998-07-07 Ryobi Ltd 魚釣り用両軸受リール
US5996921A (en) * 1997-03-06 1999-12-07 Ryobi Limited Centrifugal braking apparatus for baitcasting reel
JP3509535B2 (ja) * 1998-03-10 2004-03-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2000316438A (ja) * 1999-05-13 2000-11-21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3535781B2 (ja) * 1999-10-28 2004-06-0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
US6955315B2 (en) * 2004-02-13 2005-10-18 Doyo Engineering Co.,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lash of spool used in baitcasting reel
US6964387B2 (en) * 2004-02-13 2005-11-15 Doyo Engineering Co.,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lash of spool used in baitcasting reel
US6959886B1 (en) * 2004-11-16 2005-11-01 Yeon Seok Rho Bait casting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15351A1 (en) 2006-11-02
KR100702066B1 (ko) 2007-03-30
US7618003B2 (en) 2009-11-17
US20080257997A1 (en)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066B1 (ko) 베이트 캐스트 릴
US6955315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lash of spool used in baitcasting reel
JP5073030B2 (ja) 釣り用リールのブレーキシステム
JP5686843B2 (ja) 精密遠心制動システムを備えた釣り用リール
EP1785030A1 (en) Spool braking device for dual bearing reel
US6273845B1 (en) Load applying device for exercisers
JP2001186830A (ja) 釣りリール用制動装置及び釣りリール
US20090258568A1 (en) Multi-function yo-yo
KR101031525B1 (ko) 양 베어링 릴
US20060060687A1 (en) Fishing reel having externally controlled spool brake
KR100451886B1 (ko) 베이트케스트 릴의 원심 브레이크 장치
JP2014176360A5 (ko)
KR200451591Y1 (ko)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KR20010067073A (ko) 베이트 캐스트 릴용 자기 위치 조절 가능한 브레이크
KR20010066838A (ko)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JP3747429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US6964387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lash of spool used in baitcasting reel
KR100652843B1 (ko) 베이트 케스팅 릴의 원심브레이크장치
KR100584008B1 (ko) 베이트 캐스트 릴
JP4354849B2 (ja) 釣り用ベイトリールのスプール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KR200405806Y1 (ko) 베이트케스트 릴의 원심 브레이크 장치
KR200324440Y1 (ko) 낚시용 베이트케스트 릴의 스풀회전 제어장치
KR20180040392A (ko) 낚시용 릴의 스풀 브레이크장치
JP2000004734A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機構及び両軸受リール
JP2003079292A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