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958B1 -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 Google Patents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958B1
KR101248958B1 KR1020100132512A KR20100132512A KR101248958B1 KR 101248958 B1 KR101248958 B1 KR 101248958B1 KR 1020100132512 A KR1020100132512 A KR 1020100132512A KR 20100132512 A KR20100132512 A KR 20100132512A KR 101248958 B1 KR101248958 B1 KR 101248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pool
coupled
rotation
contro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959A (ko
Inventor
노용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to KR1020100132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9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45Spool bearing bra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풀이 자력의 영향을 받거나 그렇지 않음으로써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는 스풀의 상측에 배치되면서 스풀축이 회전 자재하도록 결합되는 스풀 커버; 스풀 커버의 상측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스풀 커버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에 의해 스풀 쪽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받는 제1캠; 제1캠에 결합되어 제1캠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하는 마그넷 조립체; 제1캠과 나선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제1캠이 승강되도록 하는 제2캠; 및 제2캠이 회전 구속되도록 결합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캠의 회전에 의한 제1캠의 상승이 끝나는 이후에 탄성수단에 의한 복원력으로 제1캠이 더 상승되도록 하거나, 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캠이 탄성수단에 의한 복원력을 극복하면서 하강되어 제2캠과 나선결합되도록 하는 조절 다이얼이 포함된다.

Description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STRUCTURE FOR CONTROLLING SPOOL ROTATION OF BAIT CAST REEL}
본 발명은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풀이 자력의 영향을 받거나 그렇지 않음으로써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캐스팅으로 낚싯줄을 방출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을 이용하여 낚시를 하는 경우,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를 낚싯대와 함께 거머쥔 상태에서 미끼가 걸린 낚싯줄을 투척하게 된다.
이때, 릴의 스풀에 감긴 낚싯줄이 포물선을 그리며 풀려나가게 되며, 포물선의 볼록한 꼭지점을 지나 낙하하면서 스풀에 가속도가 붙게 된다.
이로 인해, 스풀로부터 낚싯줄이 풀려나가는 속도보다 스풀의 회전 속도가 더욱 빨라지게 되는 소위, 백래쉬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백래쉬 현상으로 인해 릴로부터 원활하게 풀려나가지 못한 낚싯줄이 릴 본체 내부에서 뒤엉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백래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숙련자들은 낚싯줄이 풀려나갈 때 스풀의 상부를 엄지손가락 등으로 눌러주어 스풀의 회전 속도가 낚싯줄이 풀려나가는 속도와 같거나 작도록 하였다.
그러나, 실제 경험이 부족한 비숙련자는 백래쉬 현상을 방지하는 위와 같은 방법에 익숙해지기까지 많은 시행착오를 겪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백래쉬 현상을 기계적 구조를 통해 해결하도록 여러 수단이 제시되는데, 일 예로 마그넷을 이용한 스풀 회전 제어 수단이 그것이다.
그런데, 종래 마그넷을 포함한 스풀 회전 제어구조는 지속적인 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스풀 회전의 제동이 불필요한 때에도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여 캐스팅시 비거리(飛距離)의 감소를 초래하고, 이로 인해 원하는 지점으로 캐스팅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풀 회전에 제동이 불필요한 때에는 마그넷의 허용된 승강 폭에서 더 상승할 수 있게 하여 스풀에 자력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는 스풀 회전 제어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마그넷이 스풀에 자력의 영향을 미치는 위치로부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로 상승하는 과정이 재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낚시 상황에 맞춰 적절한 스풀 회전의 제어를 가능케 하는 스풀 회전 제어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는 스풀의 상측에 배치되면서 스풀축이 회전 자재하도록 결합되는 스풀 커버; 스풀 커버의 상측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스풀 커버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에 의해 스풀 쪽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받는 제1캠; 제1캠에 결합되어 제1캠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하는 마그넷 조립체; 제1캠과 나선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제1캠이 승강되도록 하는 제2캠; 및 제2캠이 회전 구속되도록 결합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캠의 회전에 의한 제1캠의 상승이 끝나는 이후에 탄성수단에 의한 복원력으로 제1캠이 더 상승되도록 하거나, 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캠이 탄성수단에 의한 복원력을 극복하면서 하강되어 제2캠과 나선결합되도록 하는 조절 다이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캠이 제2캠의 회전에 의한 상승이 완료된 이후에도 조절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더 상승하는 구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절 다이얼과 스풀 커버 사이의 간격을 불필요하게 더 넓히지 않더라도, 정해진 간격의 범위 내에서 스풀에 자력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마그넷을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풀에 자력이 작용하는 제1캠의 승강 구간에서는 제1캠의 승강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져 스풀의 회전에 대한 제동력이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스풀에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는 위치로 마그넷이 상승하는 구간에서는 제1캠이 탄성수단의 복원력으로 수직 상승하기 때문에 스풀의 회전에 제동력이 작용하는 상태와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 즉 스풀의 프리 상태가 짧은 시간 내에 전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요부를 확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어구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하기에서 정해지는 방향은 첨부도면을 기준으로 이해를 돕기 위해 설정되는 것이고 기준에 상관없이 언제나 이러한 방향으로 한정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조절 다이얼, 제1캠 및 제2캠을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스풀 회전 제어구조의 조립상태를 알 수 있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커버(100), 제1캠(200), 마그넷 조립체(300), 제2캠(400) 및 조절 다이얼(500)이 포함된다.
스풀 커버(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스풀(1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스풀축(11)의 단부가 회전 자재하도록 결합된다.
결합구조의 구체적인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커버(100)의 하측에 삽입홈(101)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101)에 베어링(102)이 결합되며, 이 베어링(102)에 스풀축(11)이 회전 자재하도록 결합되는 구조가 제시될 수 있다. 이때 베어링(10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베어링(102)의 하부가 되는 삽입홈(101)의 하측에 리테이너(103)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스풀축(11)의 회전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스풀축(11)의 상단과 스풀 커버(100) 삽입홈(101) 부위 사이의 마찰 마모를 방지하도록 삽입홈(101)의 상측에 스풀축(11)의 상단과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와셔(104)가 결합될 수 있다.
스풀 커버(100)의 상측에는 스풀 커버(100)와의 사이에 구성되는 후술할 여러 부품들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그리고 배치상태를 유지하도록 피결합 대상이 되는 메인 커버(20)가 나사 부재(21) 등으로 결합된다.
제1캠(200)은 스풀 커버(100)의 상측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승강 가능하다는 것은 스풀 커버(100)의 상측에서 제1캠(200)이 승강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을 의미하며,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된다는 것은 스풀 커버(100)에 대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서로 결합된다는 의미이다.
구체적으로 스풀 커버(100)의 상측에 가이드봉(110)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캠(200)에 가이드봉(110)이 삽입되는 가이드홀(201)이 형성되어, 제1캠(200)은 가이드홀(201)에 가이드봉(110)이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봉(110)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승강하도록 스풀 커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캠(200)은 탄성수단(150)에 의해 스풀(10) 쪽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받게 된다. 탄성수단(150)의 구체적인 일 예로 코일 스프링이 제시될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은 스풀 커버(100)와 제1캠(200)의 사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코일 스프링은 상술한 가이드봉(110)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의 상단이 가이드홀(201)이 형성된 제1캠(200) 부위의 저면에 닿은 상태로 압축변형되어 제1캠(200)에 대하여 상술한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제1캠(200)에는 마그넷 조립체(300)가 결합된다. 마그넷 조립체(300)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며, 제1캠(200)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하게 된다. 마그넷 조립체(300)가 제1캠(200)과 함께 하강하면서 스풀(10)과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스풀(10)에 더 큰 자력이 작용하게 되어 스풀(1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제동력이 커지며, 제1캠(200)과 함께 상승하여 스풀(10)과의 간격이 멀어질수록 스풀(10)에 작용하는 자력이 줄어들어 스풀(1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제동력이 작아지게 된다.
마그넷 조립체(300)의 구체적인 구조의 예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캠(200)에 결합되는 마그넷 홀더(310)와, 마그넷 홀더(310)에 수납되는 다수의 마그넷(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넷 조립체(300)는 스풀(10)에 대한 적절한 자력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스풀(10)에 가까운 위치에서 배치되어 승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가 되기 위하여 제1캠(200)에는 스풀 커버(100)를 관통하는 결합부(202)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202)는 스풀 커버(100)를 관통하여 하단부가 스풀(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마그넷 조립체(300)는 마그넷 홀더(310)가 결합부(202)에 나사 부재(12) 등으로 결합되면서 스풀(10)에 가까운 스풀 커버(100)의 하측에서 배치될 수 있다.
제1캠(200)이 탄성수단(150)에 의해 복원력을 제공받는 상태에서 제1캠(200)의 승강을 제어하도록 제1캠(200)에는 제2캠(400)이 결합된다. 제2캠(400)은 후술할 조절 다이얼(5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제1캠(200)이 승강되도록 한다.
제1캠(200) 및 제2캠(400)의 구체적인 결합 구조로는 다음과 같은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제2캠(400)은 제1캠(200)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홀(203)로 삽입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캠(400)의 회전에 따라 제1캠(200)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제1캠(200)과 제2캠(400)은 서로 나선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캠(200) 관통홀(203)의 내주면에 나선형을 이루면서 돌출되는 나선돌기(20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캠(400)의 외주면에 나선돌기(204)가 나선결합되는 나선홈(4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나선홈(401)은 제2캠(400)의 외주면에서 제1캠(200)의 필요한 승강 폭을 고려한 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나선돌기(204)는 나선홈(401) 부위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홈(401) 부위의 원주 방향 길이에서 일부와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 다이얼(500)은 메인 커버(20)에 결합되어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며, 사용자는 조절 다이얼(500)을 회전시키면서 제1캠(200)의 승강을 조절하고 스풀(10)의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조절 다이얼(50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501)가 형성될 수 있다.
조절 다이얼(500)은 제1캠(200)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제1캠(200)의 상부로 노출되는 제2캠(400)의 상단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캠(400)의 상부에 결합돌기(402)가 형성되고 조절 다이얼(500)의 하측에 결합홈(502)이 형성되어 결합돌기(402)가 결합홈(502)에 결합되면서 제2캠(400)이 조절 다이얼(5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캠(400)은 조절 다이얼(500)에 회전이 구속되도록 결합된다. 회전이 구속되기 위해 결합돌기(402)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에 면취부가 형성되고, 결합홈(502)은 결합돌기(40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돌기(402)에는 오링(403)이 끼워져 결합홈(502) 형성 부위의 저면과 결합돌기(402)가 돌출되기 시작하는 제2캠(400)의 상면 부위 사이에 오링(403)이 개재되게 할 수 있다. 오링(403)은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며 탄력적 변형이 가능한 소재의 특성상 조절 다이얼(500)을 파지하여 회전시킬 때 사용자로 하여금 부드럽고 탄력적인 회전감을 갖게 한다.
제1캠(200)은 제2캠(400)에 나선결합된 상태에서 조절 다이얼(500)의 회전에 따라 제2캠(400)이 회전하면서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제1캠(200)은 제2캠(400)의 나선홈(401) 형성 폭만큼의 승강 폭을 갖는다.
제1캠(200)의 승강 과정에서 가장 높이 상승한 위치에 이르렀을 때, 즉 마그넷 조립체(300)가 스풀(10)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졌을 때 스풀(10)은 마그넷 조립체(300)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최소한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프리한 상태가 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나선홈(401)의 형성 폭이 크도록 제2캠(400)의 높이를 크게 설계하고 스풀 커버(100)와 조절 다이얼(500) 사이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설계하여 제1캠(200)이 더 높이 상승하게 함으로써 마그넷 조립체(300)가 스풀(10)에 자력의 영향을 주지 않는 높이까지 상승하게 할 수도 있겠지만, 이렇게 하면 그만큼 조립체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조립된 완성품의 소형화를 이루고자 하는 설계상 지향하는 바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캠(400)의 높이, 조절 다이얼(500)과 스풀 커버(100) 사이의 폭 등에 관한 정해진 설계범위 내에서 제1캠(200)이 상승할 수 있는 폭이 더 부가될 수 있는 수단이나 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수단으로 조절 다이얼(500)의 하면 일측에 끼움홈(510)을 마련하고 제1캠(200)의 상면 일측에 끼움부(210)가 돌출 형성되게 하여 조절 다이얼(500)의 회전에 따라 끼움부(210)가 끼움홈(510)에 삽입되거나 이탈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본 실시예는 끼움부(210)가 끼움홈(510)에 상향 삽입되는 과정에서 이동하는 제1캠(200)의 이동 폭 만큼 제1캠(200)의 상승 폭을 더 얻게 되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캠(200)은 조절 다이얼(500)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한 제2캠(400)의 회전에 따라 상승하게 되는데, 상승이 종료되는 시점, 즉 제1캠(200)의 나선돌기(204)가 제2캠(400)의 나선홈(401)으로부터 빠져나와 이탈되는 시점 이후에도 탄성수단(150)에 의한 복원력으로 계속 상승하려고 한다. 하지만, 제1캠(200)의 상면 일측이 조절 다이얼(500)의 하면 일측에 접촉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더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제 위치를 고수하게 된다.
이때 조절 다이얼(500)의 하면 일측과 제1캠(200)의 상면 일측에 전술한 끼움홈(510)과 끼움부(210)가 각각 형성되면 상술한 시점 이후에 끼움부(210)가 끼움홈(510)으로 상향 삽입되는 과정이 형성되면서 끼움홈(510)의 상하방향의 폭만큼, 즉 끼움부(210)가 끼움홈(510)으로 삽입되는 폭만큼 제1캠(200)이 더 상승하는 구간이 마련된다.
여기서 끼움홈(510)으로 끼움부(210)가 삽입되는 과정은 제2캠(400)에 의한 제1캠(200)의 상승이 종료되는 상술한 시점 직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끼움홈(510)의 위치도 이를 고려한 위치에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조절 다이얼(500)이 타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끼움부(210)가 끼움홈(510)으로부터 하향으로 강제 이탈하면서 제1캠(200)이 탄성수단(150)에 의한 복원력을 극복하고 다시 하강하게 된다. 이때 끼움부(210)의 하향 이탈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끼움부(210)의 일측면에 외측 경사면(211)이, 그리고 외측 경사면(211)에 대응하도록 끼움홈(510)의 일측면에 내측 경사면(511)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 다이얼(500)이 회전함에 따라 끼움부(210)의 외측 경사면(211)으로는 끼움홈(510)의 내측 경사면(511)에 의한 외측 경사면(211)에 수직한 방향(수평면에 경사진 방향)의 힘이 전달되며, 이 힘의 수직 분력에 의해 제1캠(200)의 하강이 강제되는 것이다.
끼움홈(510)으로부터 끼움부(210)가 하향 이탈하는 직후부터, 즉 제1캠(200)이 조절 다이얼(500)의 회전에 따라 조절다이얼(500)로부터 직접 힘을 전달받으면서 강제 하강되는 직후부터는 제1캠(200)의 나선돌기(204)가 제2캠(400)의 나선홈(401)에 나선결합된다. 그리고 나선결합된 이후부터는 조절 다이얼(500)의 계속적인 회전에 따른 제2캠(400)의 회전에 의해 제1캠(200)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는 조절 다이얼(500)이 회전함에 따라 제1캠(200)이 탄성수단(150)의 복원력을 극복하면서 하강되도록 하여 제2캠(400)과 나선결합되도록 하고, 조절 다이얼(500)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한 제2캠(400)의 회전으로 제1캠(200)의 계속적인 하강이 유발된다.
그리고, 조절 다이얼(500)이 반대로 회전함에 따른 제2캠(400)의 회전으로 제1캠(200)이 상승하게 되며 나선홈(401)으로부터 나선돌기(204)가 이탈한 직후 끼움홈(510)으로 끼움부(210)가 삽입되면서 제1캠(200)이 더 상승하는 폭을 얻게 되는 것이다.
한편, 끼움홈(510)에 끼움부(210)가 끼워지는 과정에서의 제1캠(200)의 상승은 제2캠(400)의 회전에 의해 나선돌기(204)가 나선홈(401)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루어지는 제1캠(200)의 상승과 비교하여 순전히 탄성수단(150)의 복원력으로 수직 상승하는 차이점을 갖는다.
즉, 제2캠(400)의 회전에 의해 제1캠(200)이 상승할 때는 점진적인 상승이 이루어지지만 끼움부(210)가 끼움홈(510)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캠(200)이 상승할 때는 수직으로 순간적인 상승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풀(10)이 마그넷 조립체(300)에 의해 자력의 영향을 받아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것은 제2캠(400)의 회전에 따라 제1캠(200)이 승강하는 구간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제1캠(200)이 점진적으로 승강하면서 스풀(10)에 전달되는 자력의 세기가 미세하게 점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스풀(10)에 자력의 영향이 미치지 않거나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는 위치까지(스풀이 프리한 상태가 될 때까지) 제1캠(200)이 상승(마그넷 조립체(300)가 상승)할 때에는 끼움부(210)가 끼움홈(510)에 삽입되는 구간에서 제1캠(200)이 순간적으로 상승토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스풀(10)의 회전속도가 마그넷 조립체(300)에 의해 제동받지 않는 때를 손쉽게 그리고 재빨리 선택할 수 있으며, 이로써 베이트 캐스트 릴의 사용 편의성, 작동 편의성이 제고될 수 있다.
한편, 끼움부(210)와 끼움홈(510)은 상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끼움홈(510)이 제1캠(200)의 상면 일측에, 그리고 끼움부(210)가 조절 다이얼(500)의 하면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조절 다이얼(500)에는 클릭음 발생 스프링(520)이 결합될 수 있다. 클릭음 발생 스프링(520)은 양단이 이격된 대체로 환형의 스프링이며, 일측에 돌기부(5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조절 다이얼(500)의 내측면에 삽입 결합되며 조절 다이얼(500)의 일측에는 돌기부(521)가 돌출되는 절개홈(503)이 형성된다.
또한, 메인 커버(20)의 내측면에는 조절 다이얼(500)의 회전에 따라 돌기부(521)가 삽입되거나 이탈되면서 클릭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요철면(22)이 돌기부(521)가 이동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다.
조절 다이얼(500)의 상면에는 마그넷 조립체(300)의 구분된 승강 정도에 대응하는 조절 다이얼(500)의 회동 정도를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지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침 표시에 맞춰 조절 다이얼(500)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풀(10)의 회전 속도를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스풀 11; 스풀축
20; 메인 커버 22; 요철면
100; 스풀 커버 101; 삽입홈
102; 베어링 103; 리테이너
104; 와셔 110; 가이드봉
150; 탄성수단 200; 제1캠
201; 가이드홀 202; 결합부
203; 관통홀 204; 나선돌기
210; 끼움부 211; 외측 경사면
300; 마그넷 조립체 310; 마그넷 홀더
320; 마그넷 400; 제2캠
401; 나선홈 402; 결합돌기
403; 오링 500; 조절 다이얼
501; 파지부 502; 결합홈
503; 절개홈 510; 끼움홈
511; 내측 경사면 520; 클릭음 발생 스프링

Claims (9)

  1. 스풀의 상측에 배치되면서 스풀축이 회전 자재하도록 결합되는 스풀 커버; 상기 스풀 커버의 상측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스풀 커버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에 의해 스풀 쪽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받는 제1캠; 상기 제1캠에 결합되어 상기 제1캠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하는 마그넷조립체; 상기 제1캠과 나선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캠이 승강되도록 하는 제2캠; 및 상기 제2캠이 회전 구속되도록 결합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캠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1캠의 상승이 끝나는 이후에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복원력으로 상기 제1캠이 더 상승되도록 하거나, 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캠이 상기 탄성수단에 의한 복원력을 극복하면서 하강되어 상기 제2캠과 나선결합되도록 하는 조절 다이얼;로 구성된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절 다이얼의 하면 일측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캠의 상면 일측에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캠은 상기 조절 다이얼의 일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끼움부가 상기 끼움홈에 상향 삽입되면서 더 상승되거나 상기 조절 다이얼의 타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끼움부가 상기 끼움홈으로부터 하향 이탈되면서 하강되어 상기 제2캠과 나선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일측에 외측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경사면에 대응하여 상기 끼움홈의 일측에 내측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캠에 상기 스풀 커버를 관통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 조립체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스풀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조립체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마그넷 홀더와, 상기 마그넷 홀더에 수납되는 다수의 마그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풀 커버의 상측에 상향 돌출되는 가이드봉이 형성되고, 상기 제1캠에 상기 가이드봉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캠이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면서 상단이 상기 제1캠의 상기 가이드홀 형성 부위 저면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캠의 상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 다이얼의 하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캠은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면서 상기 조절 다이얼에 회전 구속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에 오링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KR1020100132512A 2010-12-22 2010-12-22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KR101248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512A KR101248958B1 (ko) 2010-12-22 2010-12-22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512A KR101248958B1 (ko) 2010-12-22 2010-12-22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959A KR20120070959A (ko) 2012-07-02
KR101248958B1 true KR101248958B1 (ko) 2013-04-03

Family

ID=46706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512A KR101248958B1 (ko) 2010-12-22 2010-12-22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9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510B1 (ko) 2015-06-18 2018-08-10 주식회사 코커스 베이트 캐스팅 릴의 커버 착탈장치
KR20190115294A (ko) * 2018-04-02 2019-10-11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사이드커버
KR20190115295A (ko) * 2018-04-02 2019-10-11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장치
KR20230078019A (ko)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릴용 다극 마그넷 브레이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066B1 (ko) * 2005-04-28 2007-03-30 연 석 노 베이트 캐스트 릴
KR20100000043U (ko) * 2008-06-24 2010-01-06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066B1 (ko) * 2005-04-28 2007-03-30 연 석 노 베이트 캐스트 릴
KR20100000043U (ko) * 2008-06-24 2010-01-06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KR200451591Y1 (ko) * 2008-06-24 2010-12-27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510B1 (ko) 2015-06-18 2018-08-10 주식회사 코커스 베이트 캐스팅 릴의 커버 착탈장치
KR20190115294A (ko) * 2018-04-02 2019-10-11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사이드커버
KR20190115295A (ko) * 2018-04-02 2019-10-11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장치
KR102092388B1 (ko) * 2018-04-02 2020-03-23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장치
KR102095043B1 (ko) * 2018-04-02 2020-03-30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사이드커버
KR20230078019A (ko)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릴용 다극 마그넷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959A (ko)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958B1 (ko)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KR20120033241A (ko) 낚시용 릴
US20110036517A1 (en) Safety device for roller blind bead chain
JP4410778B2 (ja) 漁獲装置
JP6433542B2 (ja) ブレーキングマグネットのゼロ点調整が可能なベイトキャスティングリール
JP4916696B2 (ja) 両軸受リール
KR200451591Y1 (ko)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WO2015023778A3 (en) Magnetically insertable wire materials
JP5794272B2 (ja) 自動アワセ機能が備えられた水中浮き
KR101063439B1 (ko) 베이트 캐스트 릴의 원심 브레이크장치
JP4933676B1 (ja) 携帯機用保持具
JP2021007660A (ja) ゴルフコース旗竿
US20120056029A1 (en) Fishing Reel Having Externally Controllable Brake System
CN108308977A (zh) 一种具有隐藏式茶篮升降杆的茶壶
CA2803132A1 (en) Improved fishing bobber
US11285343B2 (en) Belay device
US2571879A (en) Overload release coupling
KR101909422B1 (ko) 낚싯대용 거치대
KR20130004510U (ko) 베이트 릴의 드랙음 발생장치
JP3182452U (ja) 両軸受リール
EP2898772B1 (en) Fishing reel
CN217199321U (zh) 一种食品包装盒
KR200475575Y1 (ko) 낚시추
TW200930289A (en) Fishing reel with second brake device
KR200353253Y1 (ko) 안마봉을 갖는 솔레노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