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241A -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241A
KR20120033241A KR1020110091569A KR20110091569A KR20120033241A KR 20120033241 A KR20120033241 A KR 20120033241A KR 1020110091569 A KR1020110091569 A KR 1020110091569A KR 20110091569 A KR20110091569 A KR 20110091569A KR 20120033241 A KR20120033241 A KR 20120033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fishing
filler
spool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2512B1 (ko
Inventor
히로시 도마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3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12Drive mechanism details with level win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 및 권취를 실현하는 것이다.
라인 가이드(23)는, 낚싯줄 안내체(22)의 전방으로부터 보아, 스풀(5)의 축선을 따르도록 하여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으로 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을 갖고 있고, 라인 가이드(23)의 전후 방향의 근방 위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축선을 따르는 낚싯줄 안내부(31)를 구비한 필러(30)를 구비하고, 필러(30)는 낚싯줄 권취시에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 중앙부(24c')로 낚싯줄 안내부(31)에 의해 낚싯줄을 유도하여 하부 내면 중앙부(24c')에 낚싯줄을 보유 지지하는 제1 위치와, 낚싯줄 방출시에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위치로부터 퇴피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낚시용 릴{REEL FOR FISHING}
본 발명은, 스풀 전방의 측판 사이에, 스풀에 낚싯줄을 평행하게 권회 안내하는 레벨 와인드 기구를 구비한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낚시용 릴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스풀을, 동력 전달 상태인 클러치 ON 상태와 동력 차단 상태인 클러치 OFF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레버를 구비하고 있고, 이 클러치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스풀 프리(클러치 OFF 상태)로 하고, 캐스팅 조작에 의해 낚싯줄[태클(tackle)]을 소정의 포인트로 방출한 후, 핸들의 권취 회전 조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클러치 ON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핸들의 권취 회전 조작에 의해, 레벨 와인드 기구의 낚싯줄 안내체에 설치된 라인 가이드가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라인 가이드에 삽입 관통 보유 지지된 낚싯줄이 라인 가이드를 통해 스풀에 대략 평행하게 권회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낚시용 릴에 있어서, 낚싯줄 방출시의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비거리 성능의 향상이나 태클의 낙하 속도[착저(着底)까지의 속도]를 빠르게 하고자 한다는 요망이 있었다.
한편, 권취시의 권취 불균일에 기인하여, 낚싯줄 방출시에 저항이 발생하는 것이나, 실얽힘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낚싯줄의 권취시에는, 스풀에 대해 낚싯줄을 균일하고 평행하게 권회하고자 한다는 요망이 있었다.
이러한 요망에 대응하는 낚시용 릴로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낚시용 릴에서는, 낚싯줄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필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낚싯줄 방출시에 필러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낚싯줄 방출시의 가이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낚싯줄 권취시에는 필러를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필러를 낚싯줄에 접촉시켜 가이드함으로써, 낚싯줄 권취시의 권취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65329호 공보
특허 문헌 1의 낚시용 릴에서는, 낚싯줄 방출시에 필러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가이드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낚싯줄 방출시에는, 스풀로부터 조출된 낚싯줄이 원심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팽윤(swelling)되기 쉬워져, 실얽힘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웠다.
또한, 낚싯줄 권취시에는, 프레임이나 평면에서 볼 때 일본어 ハ자형으로 된 가이드의 단부 등에 낚싯줄이 걸리거나, 좌우 단부로부터 중앙부로 낚싯줄이 복귀되지 않을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 및 권취를 실현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낚시용 릴은, 릴 본체의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스풀과, 한쪽의 상기 측판에 설치한 구동 기구와, 상기 스풀의 전방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의 핸들축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풀에 낚싯줄을 평행하게 권회하는 낚싯줄 안내체와, 상기 낚싯줄 안내체에 설치된 라인 가이드를 구비한 낚시용 릴이며, 상기 라인 가이드는, 상기 낚싯줄 안내체의 전방으로부터 보아, 상기 스풀의 축선을 따르도록 하여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으로 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에는, 당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를 향해 내려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라인 가이드의 전후 방향의 근방 위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축선을 따르는 낚싯줄 안내부를 구비한 필러를 구비하고, 상기 필러는, 낚싯줄 권취시에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상기 하부 내면 중앙부에 상기 낚싯줄 안내부에 의해 낚싯줄을 유도하여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에 낚싯줄을 보유 지지하는 제1 위치와, 낚싯줄 방출시에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위치로부터 퇴피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필러라 함은, 낚싯줄을 압박 가능한 상기 낚싯줄 안내부를 갖는 막대 형상, 판 형상, 프레임 형상을 나타낸 부재이며, 낚싯줄 안내부로서는, 수평 직선 형상, 경사 직선 형상, 만곡 형상(만곡 볼록조, 만곡 오목 형상), 복수의 직선을 조합한 형상, 직선과 곡선을 조합한 형상 등이 있다.
또한, 내려가는 경사면이라 함은, 직선 형상, 만곡 형상(만곡 볼록조, 만곡 오목 형상), 복수의 직선을 조합한 형상, 직선과 곡선을 조합한 형상 등의 경사면을 말한다.
이 낚시용 릴에 따르면, 라인 가이드에 형성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은, 낚싯줄 안내체의 전방으로부터 보아, 스풀의 축선을 따르도록 하여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낚싯줄 방출시의 낚싯줄의 이동 방향, 즉, 스풀의 축선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조출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조출되는 낚싯줄의 이동 방향에 대응한 폭이 넓은 공간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낚싯줄 방출시에는,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 내를 낚싯줄이 좌우 방향으로 조출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통과하게 된다.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에는,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를 향해 내려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스풀의 축선을 따르는 낚싯줄 안내부를 구비한 필러는, 낚싯줄 권취시에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로 낚싯줄 안내부에 의해 낚싯줄을 유도하여 하부 내면 중앙부에 낚싯줄을 보유 지지하는 제1 위치를 취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낚싯줄 권취시에 낚싯줄은,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위치 결정되게 된다.
또한, 필러는, 낚싯줄 방출시에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위치로부터 퇴피하여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낚싯줄은, 낚싯줄 방출시에,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로부터 이격되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 내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라인 가이드에 있어서의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상기 하부 내면 중앙부에, 낚싯줄 권취시에 상기 필러에 의해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로 유도된 낚싯줄이 삽입되는 낚싯줄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낚시용 릴에 따르면, 낚싯줄 권취시에, 필러에 의해 라인 가이드의 하부 내면 중앙부로 유도된 낚싯줄은, 하부 내면 중앙부에 형성된 낚싯줄 안내 홈에 삽입되고, 이 낚싯줄 안내 홈 내에 보유 지지되어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하부 내면 중앙부에 위치 결정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풀에 대한 낚싯줄의 권취를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ON 상태와, 상기 스풀로부터의 낚싯줄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OFF 상태로 전환 조작 가능한 클러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필러는, 상기 클러치 레버의 전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클러치 ON 상태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클러치 OFF 상태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클러치 ON 상태로 클러치 레버를 전환 조작한다고 하는 조작에는, 핸들의 권취 회전 조작에 의해, 클러치 ON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되는 조작이 포함된다.
이 낚시용 릴에 따르면, 스풀에 대한 낚싯줄의 권취를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ON 상태로 클러치 레버를 전환 조작함으로써, 필러가 제1 위치로 이동하여,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로 낚싯줄이 유도되어 보유 지지된다.
또한, 스풀로부터의 낚싯줄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OFF 상태로 클러치 레버를 전환 조작함으로써, 필러가 제2 위치로 이동하여,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로부터 낚싯줄이 이탈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릴 본체 상부의 상기 측판 사이에 설치된 섬 레스트(Thumb rest)를 구비하고, 상기 섬 레스트는, 상기 클러치 레버의 전환 조작에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필러는, 상기 섬 레스트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섬 레스트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클러치 ON 상태로 클러치 레버를 전환 조작한다고 하는 조작에는, 핸들의 권취 회전 조작에 의해, 클러치 ON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되는 조작이 포함된다.
이 낚시용 릴에 따르면, 스풀에 대한 낚싯줄의 권취를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ON 상태로 클러치 레버를 전환 조작함으로써, 섬 레스트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의해 필러가 제1 위치로 이동하여,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로 낚싯줄이 유도되어 보유 지지된다.
또한, 스풀로부터의 낚싯줄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OFF 상태로 클러치 레버를 전환 조작함으로써, 섬 레스트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의해 필러가 제2 위치로 이동하여,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로부터 낚싯줄이 이탈 가능해진다.
또한, 섬 레스트의 상하 방향의 이동과 함께 필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섬 레스트가 필러의 이동에 방해로 되지 않아, 이에 의해 필러의 상하 방향의 이동량을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라인 가이드를 상하 방향(높이 방향)으로 크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풀에 대한 낚싯줄의 권취를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ON 상태와, 상기 스풀로부터의 낚싯줄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OFF 상태로 전환 조작 가능한 클러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릴 본체에는, 상기 클러치 레버와는 별개의 독립된 필러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필러는, 상기 필러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낚시용 릴에 따르면, 릴 본체에는, 클러치 레버와는 별개의 독립된 필러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고, 필러는 필러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클러치 ON 상태에 있어서, 필러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필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보유 지지를 해제할 수 있어, 하부 내면 중앙부로부터 낚싯줄이 이탈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러는 상기 스풀과 상기 라인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낚시용 릴에 따르면, 필러가, 스풀과 라인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낚싯줄 방출시에는, 스풀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을 필러에 의해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낚싯줄 권취시에는, 권취되는 낚싯줄에 대해 필러에 의해 텐션을 부여하도록 하여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러는, 상기 스풀에 근접하는 방향의 이동 성분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라인 가이드에 근접하는 방향의 이동 성분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낚시용 릴에 따르면, 필러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 제1 위치로부터 퇴피하면서 스풀에 근접하도록 하여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필러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낚싯줄 권취시에 있어서, 제2 위치로부터 이격되면서 라인 가이드에 근접하도록 하여 제1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사면은 직선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그 경사 각도는 수평면에 대해 1 내지 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낚시용 릴에 따르면, 하방으로 이동하는 필러에 의해, 직선 형상을 나타내는 경사면을 통해 라인 가이드의 하부 내면 중앙부로 낚싯줄이 유도된다.
또한, 경사면의 경사 각도가 수평면에 대해 1 내지 30도이므로, 낚싯줄 방출에 바람직한 가로로 긴 개구 공간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이, 수평면에 대해 평행한 상부 내면을 갖고 있고, 좌우 개구 폭이 상하 개구 높이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낚시용 릴에 따르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이, 수평면에 대해 평행한 상부 내면을 갖고 있고, 좌우 개구 폭이 상하 개구 높이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좌우 방향)의 방출 저항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필러는, 낚싯줄의 권취 방향 및 방출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낚시용 릴에 따르면, 낚싯줄 권취시의 권취 저항 및 낚싯줄 방출시의 방출 저항이 저감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러는 낚싯줄을 축 주위로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낚시용 릴에 따르면,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 낚싯줄이 가령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였다고 해도, 이것을 프레임 형상의 필러에 의해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러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좌우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필러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상기 하부 내면 중앙부로 낚싯줄을 유도하여,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에 낚싯줄을 보유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필러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상기 하부 내면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낚싯줄을 유도하여,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로부터 낚싯줄을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낚시용 릴에 따르면, 필러를 제1 위치로 이동시키면, 상부 프레임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로 낚싯줄을 유도하여,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에 낚싯줄이 보유 지지된다.
또한, 필러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면, 하부 프레임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낚싯줄을 유도하여,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로부터 낚싯줄이 이탈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릴 본체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스풀의 낚싯줄 권회 위치까지의 높이를 h1,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필러의 낚싯줄 안내부까지의 높이를 h2,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상부 내면까지의 높이를 h3,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까지의 높이를 h4로 하였을 때에,
낚싯줄 권취시의 관계가,
h1 ≥ h3 > h2, 또한 h4 ≥ h2이고,
낚싯줄 방출시의 관계가, h1 ≥ h3, 또한 h2 > h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낚시용 릴에 따르면, 낚싯줄 권취시에 있어서, 릴 본체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스풀의 낚싯줄 권회 위치까지의 높이 h1 이하로 되도록,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상부 내면까지의 높이 h3이 설정되고, 또한 이 높이 h3보다도 낮아지도록 필러의 낚싯줄 안내부까지의 높이 h2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필러의 낚싯줄 안내부까지의 높이 h2는,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까지의 높이 h4 이하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 릴 본체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스풀의 낚싯줄 권회 위치까지의 높이 h1 이하로 되도록,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상부 내면까지의 높이 h3이 설정되고, 또한 필러의 낚싯줄 안내부까지의 높이 h2가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상부 내면까지의 높이 h3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인 가이드에 형성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이, 조출되는 낚싯줄의 이동 방향을 따르는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고, 낚싯줄 방출시(클러치 OFF의 상태로 하였을 때나, 클러치 ON의 상태에서 드래그 프리 상태로 하였을 때)에는,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 내를 낚싯줄이 좌우 방향으로 조출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통과하게 되므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내면과 낚싯줄의 접촉 저항(송출 저항)이 작아져,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방출시에는, 필러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퇴피되므로, 필러에 의한 제약을 받지 않고 낚싯줄이 방출되게 되어,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낚싯줄의 방출 속도가 감속되기 어려워져, 예를 들어 캐스팅시의 투척 거리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배 낚시 등에 있어서는, 태클의 낙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낚싯줄 권취시에는, 제1 위치로 이동한 필러에 의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에 낚싯줄이 보유 지지되고,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낚싯줄이 위치 결정되게 되므로,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체를 통해 스풀의 좌우에 낚싯줄이 균등하게 배분되어, 스풀에 낚싯줄이 균일하고 또한 평행(평탄)하게 권취된다. 이에 의해, 매끄러운 낚싯줄의 권취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가로로 긴 형상으로 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 내를 통해 낚싯줄이 방출되므로, 방출시에 낚싯줄이 요동해도 이것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어, 실얽힘 등의 문제의 발생률을 적절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에 낚싯줄 안내 홈이 형성된 구성에서는, 낚싯줄 권취시에, 낚싯줄 안내 홈 내에 낚싯줄이 보유 지지되게 되므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 내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보유 지지 범위가 고정밀도로 관리되게 되어, 스풀에 낚싯줄이 균일하고 또한 평행(평탄)하게 권회되게 된다. 따라서, 매끄러운 낚싯줄의 권취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레버의 전환 조작에 연동하여 필러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구성에서는, 낚싯줄 방출(태클의 투입)로부터 낚싯줄 권취까지의 일련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우수하고, 낚시 성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이 얻어진다.
또한, 필러가 섬 레스트의 상하 방향의 이동과 함께 일체로 움직이도록 된 구성에서는, 낚싯줄 방출(태클의 투입)로부터 낚싯줄 권취까지의 일련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우수하고, 낚시 성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이 얻어진다.
또한, 섬 레스트가 필러의 이동에 방해로 되지 않아, 필러의 상하 방향의 이동량을 크게 설정할 수 있어, 라인 가이드를 상하 방향(높이 방향)으로 크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낚싯줄 방출시에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내면과 낚싯줄의 접촉 저항이 작아진다. 이에 의해, 매끄러운 낚싯줄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필러를 하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섬 레스트도 내려가므로, 위화감 없이 파밍(palming)(파지)하면서, 낚싯줄의 권취 조작을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클러치 레버와는 별개의 독립된 필러 조작부가 설치된 구성에서는, 클러치의 ON 상태에 있어서, 드래그 프리 상태로 하여 낚싯줄을 방출하는(송출하는) 경우에, 필러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필러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낚싯줄 방출시의 저항이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필러가, 스풀과 라인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낚싯줄 방출시에 낚싯줄이 원심력에 의해 가령 상하 방향으로 팽윤되어도(요동해도), 이것을 필러에 의해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풀에 근접하는 방향의 이동 성분 및 라인 가이드에 근접하는 방향의 이동 성분을 포함하여 필러가 이동하는 구성에서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필러가 이동하는 낚싯줄 방출시에, 필러는 스풀에 근접하게 되므로, 낚싯줄 방출시에 스풀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이, 원심력에 의해 가령 상하 방향으로 팽윤되어도(요동해도), 이것을 스풀에 근접한 필러에 의해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필러가 이동하는 낚싯줄 권취시에, 필러는 라인 가이드에 근접하게 되므로, 라인 가이드에 근접한 위치에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로 낚싯줄을 적절하게 유도하여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에 낚싯줄을 적절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층 더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낚싯줄이 위치 결정되게 되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체를 통해 스풀의 좌우로 낚싯줄이 균등하게 배분되어, 스풀에 낚싯줄을 보다 균일하고 또한 평행(평탄)하게 권회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이 직선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그 경사 각도가, 수평면에 대해 1 내지 30도인 구성에서는, 낚싯줄 방출에 바람직한 가로로 긴 개구 공간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 각도가, 수평면에 대해 1 내지 30도이므로, 필러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에 낚싯줄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로 적절하게 유도되게 되어,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에 적절하게 낚싯줄이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매끄러운 낚싯줄의 권취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경사 각도를 5도 이상으로 함으로써, 강풍시나 릴 본체를 경사지게 한 상태에 있어서도,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로 낚싯줄을 적절하게 유도할 수 있어,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에 보다 적합하게 낚싯줄을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매끄러운 낚싯줄의 권취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경사 각도를 15도 이하로 함으로써,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가로로 긴 영역에 있어서 높이 방향의 공간이 확보되기 쉬워져, 낚싯줄 방출시의 방출 저항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어, 이에 의해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섬 레스트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는, 섬 레스트를 낮게 형성한 로우 프로파일 타입에의 이용도 가능해진다.
또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이, 수평면에 대해 평행한 상부 내면을 가진 구성에서는,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좌우 방향)의 방출 저항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방출시의 낚싯줄의 요동을 적절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필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성에서는, 낚싯줄 권취시의 권취 저항 및 낚싯줄 방출시의 방출 저항이 저감되므로, 매끄러운 낚싯줄의 권취 및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필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낚싯줄에 대해 적절하게 텐션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가벼운 태클을 사용한 낚시종에 있어서도, 스풀에 대해 권취 흐트러짐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낚싯줄을 권회할 수 있다.
또한, 필러가 낚싯줄을 축 주위로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으로 된 구성에서는,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 낚싯줄이 가령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였다고 해도, 이것을 프레임 형상의 필러에 의해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필러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좌우 프레임을 구비한 구성에서는, 필러를 제1 위치로 이동시키면, 상부 프레임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로 낚싯줄을 유도하여,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에 낚싯줄이 보유 지지되므로,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에 낚싯줄이 적절하게 위치 결정되어, 매끄러운 낚싯줄의 권취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필러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면, 하부 프레임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낚싯줄을 유도하여,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로부터 낚싯줄이 이탈되므로, 하부 내면 중앙부에 있어서의 제약을 받지 않고 낚싯줄이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권취시에 있어서, 릴 본체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스풀의 낚싯줄 권회 위치까지의 높이 h1 이하로 되도록,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상부 내면까지의 높이 h3이 설정되고, 또한 이 높이 h3보다도 낮아지도록 필러의 낚싯줄 안내부까지의 높이 h2가 설정되고, 또한 필러의 낚싯줄 안내부까지의 높이 h2가,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까지의 높이 h4 이하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낚싯줄 안내 홈 내에 낚싯줄이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므로, 당해 낚싯줄 안내 홈에 낚싯줄이 적절하게 위치 결정되어, 매끄러운 낚싯줄의 권취가 실현된다.
또한,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 릴 본체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스풀의 낚싯줄 권회 위치까지의 높이 h1 이하로 되도록,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상부 내면까지의 높이 h3이 설정되고, 또한 필러의 낚싯줄 안내부까지의 높이 h2가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상부 내면까지의 높이 h3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필러를 스풀과 라인 가이드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스풀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이 원심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팽윤을 발생시키기 쉬운 부분에 있어서, 낚싯줄의 요동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전방면도, (b)는 상면도.
도 2의 (a)는 릴 본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상면도, (b)는 라인 가이드와 스풀의 관계를 도시하는 전방면도, (c)는 라인 가이드의 상세를 도시하는 전방면도.
도 3의 (a)는 릴 본체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b)는 클러치 기구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의 (a) 내지 (c)는 낚싯줄 권취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d) 내지 (f)는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의 (a) 내지 (c)는 낚싯줄 권취시에 있어서의 라인 가이드의 위치를 도시하는 상면도, (d)는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좌우 방향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상면도, (b)는 필러 조작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전방면도, (b)는 상면도.
도 8의 (a), (b)는 낚싯줄 권취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c), (d)는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9의 (a)는 섬 레스트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b)는 도 9의 (a)에 있어서의 A-A선 모식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전방면도, (b)는 상면도.
도 11의 (a), (b)는 낚싯줄 권취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c), (d)는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전방면도, (b)는 상면도.
도 13의 (a), (b)는 낚싯줄 권취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c), (d)는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의 (a) 내지 (c)는 변형예에 관한 라인 가이드를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릴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좌우」「상하」를 말할 때에는, 도 1에 도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시용 릴의 릴 본체(1)는,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좌우측판(2A, 2B)을 구비하고,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판(2B)에 설치한 구동 기구(10)와, 스풀(5)의 전방에 있어서, 구동 기구(10)의 핸들축(7a)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풀(5)에 낚싯줄을 평행하게 권회하는 낚싯줄 안내체(22)와, 이 낚싯줄 안내체(22)에 설치된 라인 가이드(2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라인 가이드(23)의 후방에 있어서의 근방 위치에는, 스풀(5)의 축선을 따르는 낚싯줄 안내부(31)[도 2의 (b) 참조]를 구비한 필러(3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릴 본체(1)의 「측판」은,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5)의 축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부재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종 부재가 지지되는 프레임체를 구성하는 좌우 프레임(2a, 2b)과, 이들 좌우 프레임(2a, 2b)에 소정의 공간을 갖고 각각 장착되는 좌우 외측판(커버체)(3a, 3b)으로 구성된다. 좌우 프레임(2a, 2b)과 좌우 외측판(3a, 3b) 사이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이 내부 공간에는,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10), 클러치 기구(50)[도 3의 (b) 참조], 도시하지 않은 백래쉬 방지 기구(70)[도 2의 (a) 참조] 등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좌우 프레임(2a, 2b)과 외측판(3a, 3b)의 형상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들을 구성하는 재료는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장착 방법이나 장착 위치에 대해서도, 릴 본체(1)의 구성 등에 의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좌우 프레임(2a, 2b)은, 복수의 지지 기둥을 통해 일체화되어 있고,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의 지지 기둥(2c)에는, 낚싯대의 릴 시트(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는 낚싯대 장착 다리(1a)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좌우 프레임(2a, 2b) 사이에는,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어링(5a, 5b)을 통해 스풀축(5c)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스풀축(5c)에 스풀(5)이 장착되어 있다.
스풀(5)은 핸들(7)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핸들(7)은 외측판(3b)으로부터 돌출된 핸들축(7a)의 단부에 장착되고, 외측판(3b)과의 사이에 개재된 역회전 방지 기구(7b)(구름식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스풀축(5c)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5a, 5b)은, 좌우 프레임(2a, 2b)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외측판(3a, 3b)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우측 프레임(2b)과 외측판(3b) 사이에는, 핸들(7)의 회전 운동을 스풀축(5c) 및 후기하는 레벨 와인드 기구(20)의 나사축(21)에 전달하는 구동 기구(10), 구동력의 전달을 연결 해제하는 클러치 기구(50)[도 3의 (b) 참조] 외에, 낚시시에 스풀(5)로부터 낚싯줄이 조출되었을 때에, 스풀(5)에 드래그력을 부여하는 드래그 기구(60) 등이 수용되어 있다.
구동 기구(10)는, 공지와 같이, 핸들축(7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 기어(11)와, 이 구동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12)을 구비하고 있다. 피니언(12)은, 스풀축(5c)과 동축 상에 설치되어 있고, 피니언축(12c)을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12)의 외주에는, 원주 홈(1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원주 홈(12a)에, 클러치 기구(50)의 요크(57)[도 3의 (b) 참조]가 결합되어, 피니언(12)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피니언(12)이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풀축(5c)과의 사이에서 연결 해제가 행해져, 동력 전달 상태(클러치 ON 상태)/동력 차단 상태(클러치 OFF 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스풀(5)의 전방에 있어서, 릴 본체(1)의 좌우측판(2A, 2B) 사이에는, 레벨 와인드 기구(20)가 배치되어 있다. 레벨 와인드 기구(20)는, 구동 기구(10)를 통해 회전 구동되는 나사축(21)과, 나사축(21)에 장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낚싯줄 안내체(22)를 구비하고 있다.
나사축(21)은, 좌우측판(2A, 2B)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구동 기구(10)를 통해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나사축(21)의 단부에는, 연동 기어(21a)가 장착되어 있고, 이 연동 기어(21a)에는, 핸들축(7a)의 구동 기어(11)에 인접하여 설치된 기어(11a)가 맞물려 있다. 이에 의해, 핸들(7)을 권취하여 회전 조작하면, 핸들축(7a)의 회전이, 기어(11a) 및 연동 기어(21a)를 통해 나사축(21)에 전달되어 나사축(21)이 회전 구동된다.
나사축(21)의 외주면에는, 나선 홈(21b)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선 홈(21b)에는, 낚싯줄 안내체(22)에 설치된 미끄럼 이동자(26)[도 3의 (a) 참조, 이하 동일]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나사축(21)은, 좌우측판(2A, 2B) 사이에 걸쳐진 통체(25)[도 3의 (a) 참조, 이하 동일] 내에 수용되어 있다.
통체(25)는,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C자 형상을 나타내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25a)를 갖고 있고, 이 개구(25a)를 통해 나선 홈(21b)이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22)는, 수지로 형성되고, 좌우측판(2A, 2B) 사이에 있어서, 나사축(21)과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 축(22a)에 지지되어 있고, 하부가 통체(25)를 둘러싸도록 하여 이것에 회전 방지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낚싯줄 안내체(22)의 하부에는, 통체(25)의 개구(25a)를 통해 상기한 바와 같이 나선 홈(21b)과 결합되는 미끄럼 이동자(2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미끄럼 이동자(26)는, 육각 캡 너트(26a)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22)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22)는, 나사축(21)이 연동 기어(21a)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나선 홈(21b)에 결합되는 미끄럼 이동자(26)를 통해 가이드 축(22a)을 따라 좌우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체(22)의 상부에는, 낚싯줄을 안내하기 위한 라인 가이드(23)가 설치되어 있다.
라인 가이드(23)에는,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은,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부터 보아, 스풀(5)의 축선(O1)을 따르도록 하여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고, 도 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개구 폭 D1이 상하 개구 높이 H1[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최대 개구 높이]에 비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상부 내면(24a)은, 수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되어 있고, 이 상부 내면(24a)에 연속되는 좌우 내면(24b, 24b)은 각각 연직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좌우 내면(24b, 24b)에 연속되는 하부 내면(24c)은,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 중앙부(24c')를 향해 완만하게 직선 형상으로 내려가는 경사면(요철이 없는 면)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 내면(24c)의 경사 각도 θ는, 도 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면에 대해 1 내지 30도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도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좋다.
또한, 하부 내면(24c)은, 전후 방향으로도 직선 형상(요철이 없는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상부 내면(24a)과 좌우 내면(24b, 24b)의 코너부, 좌우 내면(24b, 24b)과 하부 내면(24c)의 코너부는 모두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부 내면(24c)은, 좌우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된 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좌우 방향으로 만곡 형상(만곡 볼록조, 만곡 오목 형상), 좌우 방향으로 복수의 직선을 조합한 형상, 또한 좌우 방향으로 직선과 곡선을 조합한 형상 등, 다양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내면(24c)은, 반드시 전후 방향으로 직선 형상을 갖지 않아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직선 형상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깊이를 갖게 함으로써, 보다 매끄럽게 낚싯줄을 하부 내면 중앙부(24c')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부 내면(24c)의 중앙부[하부 내면 중앙부(24c')]에는, 낚싯줄 권취시에 낚싯줄을 보유 지지하는 낚싯줄 안내 홈(24d)이 형성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 홈(24d)은, 하부 내면(24c)의 중앙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만곡 오목 형상으로 절결된 홈이며,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 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 홈(24d) 내에는, 후기하는 클러치 레버(53)의 조작시에, 하방을 향해 이동해 온 필러(30)에 의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 내를 하부 내면(24c)[도 2의 (b) 참조]을 통해 하부 내면 중앙부(24c')를 향해 유도되어 온 낚싯줄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도 4의 (a) 내지 (c) 참조].
이러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이 형성된 라인 가이드(23)는,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낚싯줄 권취시의 핸들(7)의 회전 조작에 의해, 가이드 축(22a)[도 3의 (a) 참조]을 따라 좌우 왕복 이동되었을 때에, 도 5의 (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좌측부(23a) 및 우측부(23b)가 좌우 프레임(2a, 2b)에 걸리는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라인 가이드(23)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릴 본체(1)의 섬 레스트(4)의 전단부 좌우에는, 도 1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결부(4a, 4b)가 형성되어 있다.
필러(30)는, 도 1의 (a), (b),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막대 형상 부재이며, 스풀(5)과 라인 가이드(23) 사이에 있어서, 라인 가이드(23)의 후방의 근방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필러(30)는,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50)의 클러치 구동 부재(51)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아암부(51a)에 대해 일단부가 지지되어 있고, 후기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구동 부재(51)가 구동됨으로써, 좌우 프레임(2a, 2b)에 형성된 만곡된 긴 홈(2a', 2b')[도 3의 (a) 참조, 한쪽만 도시]을 따르도록 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필러(30)는,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5)의 축선(O1)을 따르는 낚싯줄 안내부(31)[하부 외주면, 도 3의 (a) 참조]를 구비하고 있고, 스풀(5)과 라인 가이드(23) 사이에 있어서, 이 낚싯줄 안내부(31)에 의해 낚싯줄을 압박 가능하다.
또한, 필러(30)는, 원기둥 형상의 막대 형상 부재로 된 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낚싯줄을 압박 가능한 낚싯줄 안내부(31)를 갖는 판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낚싯줄 안내부(31)로서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된 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는 직선 형상, 만곡 형상(만곡 볼록조, 만곡 오목 형상), 좌우 방향으로 복수의 각도의 직선을, 예를 들어 연속해서 조합한 형상, 좌우 방향으로 직선과 곡선을 조합한 형상 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필러(30)는, 클러치 기구(50)에 의해, 스풀(5)에 대한 낚싯줄의 권취를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ON 상태(낚싯줄 권취시)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그 때에,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 내에 삽입 관통된 낚싯줄을 하부 내면 중앙부(24c')로 유도하여,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24c')[낚싯줄 안내 홈(24d)]에 낚싯줄을 보유 지지하는 제1 위치를 채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필러(30)는, 스풀(5)로부터 낚싯줄의 조출을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OFF 상태(낚싯줄 방출시)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그 때에 제1 위치로부터 퇴피하여 상기한 낚싯줄의 보유 지지를 해제하는 제2 위치를 채용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필러(30)는,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5c)의 축심(O2)을 지나는 수평면(도시하지 않음)보다도 상방으로 되는 영역에 있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상부 방향의 이동시에는, 상부 방향의 이동 성분과 함께 후방의 스풀(5)에 근접하는 방향의 이동 성분을 포함하여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하는 하부 방향의 이동시에는, 하부 방향의 이동 성분과 함께 전방의 라인 가이드(23)에 근접하는 방향의 이동 성분을 포함하여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러치 구동 부재(51)의 아암부(51a)에 대해, 필러(30)가 베어링(30a, 30b)[도 1의 (b) 참조]을 통해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낚싯줄 권취시의 권취 저항 및 낚싯줄 방출시의 방출 저항이 저감되도록 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50)는,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프레임(2b)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클러치 구동 부재(51)와, 이 클러치 구동 부재(51)를 구동하는 클러치 레버(5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구동 부재(51)는, 공지와 같이, 우측 프레임(2b)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배분 스프링(56)에 의해, 도 3의 (b)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동력 전달 상태(클러치 ON 상태)와, 도 3의 (b)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동력 차단 상태(클러치 OFF 상태)로 배분하여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구동 부재(51)의 표면에는, 피니언(12)[도 2의 (a) 참조, 이하 동일]의 원주 홈(12a)[도 2의 (a) 참조]에 끼워 맞추어진 요크(57)와 결합 가능한 한 쌍의 캠면(58, 5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 구동 부재(51)의 전방부에는, 전방을 향해 연장 설치된 아암부(51a)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아암부(51a)의 선단부에, 상기한 바와 같이 필러(30)의 일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요크(57)의 선단측은, 우측 프레임(2b)에 돌출 설치된 지지 핀(59, 59)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고, 요크(57)는 각 지지 핀(59, 59)에 배치된 스프링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시, 클러치 구동 부재(51)측으로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의 (b)에서는, 요크(57)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 클러치 구동 부재(51)측으로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때, 피니언(12)은 스풀축(5c)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에 끼워 맞추어져 클러치 ON 상태로 되어 있다.
클러치 구동 부재(51)의 후단부는, 지지 부재(53a)를 통해 클러치 레버(53)와 연결되어 있고, 도 3의 (b)에 있어서 화살표 X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 레버(53)가 압박 조작되면, 클러치 구동 부재(51)는,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요크(57)를 통해, 피니언(12)을 스풀축(5c)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로부터 이탈시키도록(클러치 OFF 상태로 전환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이 상태는 배분 스프링(56)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이러한 클러치 레버(53)의 압박 조작에 의해, 클러치 구동 부재(51)가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아암부(51a)의 선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필러(30)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2 위치에 배치된다.
즉, 클러치 레버(53)를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구동 부재(51)는, 클러치 ON 상태(낚싯줄 권취 위치)와, 클러치 OFF 상태(낚싯줄 방출 위치)로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고, 이 위치 결정에 연동하여, 필러(3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스풀(5), 필러(30) 및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높이의 관계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 내지 (c)는 낚싯줄 권취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클러치 기구(50)[도 3의 (b) 참조]가 동력 전달 상태(클러치 ON 상태)로 되어, 필러(30)가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릴 본체(1)의 낚싯대 장착 다리(1a)의 하면을 기준으로 하여, 스풀(5)의 낚싯줄 권회 위치(5e)까지의 높이를 h1, 필러(30)의 낚싯줄 안내부(31)[도 3의 (a) 참조, 이하 동일]까지의 높이를 h2,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상부 내면(24a)[도 2의 (c) 참조, 이하 동일]까지의 높이를 h3,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 중앙부(24c')까지의 높이를 h4로 하였을 때에, 낚싯줄 권취시에는 다음 수학식 1 또한 수학식 2의 관계를 갖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낚싯줄 권회 위치는, 통상, 규정된 낚싯줄량을 권취하였을 때의 외경에 상당하고 있고, 또한 그 위치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는, 스풀의 최대 외경[=플랜지(5d)의 외경]의 98%로 정의되는 직경 위치로 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즉, 낚싯줄 권취시에 있어서는, 릴 본체(1)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스풀(5)의 낚싯줄 권회 위치(5e)까지의 높이 h1 이하로 되도록,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상부 내면(24a)까지의 높이 h3이 설정되고, 또한 이 높이 h3보다도 낮아지도록 필러(30)의 낚싯줄 안내부(31)까지의 높이 h2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필러(30)의 낚싯줄 안내부(31)까지의 높이 h2는,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 중앙부(24c')까지의 높이 h4 이하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필러(30)는 제1 위치로 이동되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상부 내면(24a)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어서, 하부 내면 중앙부(24c')와 동일하거나 혹은 이것보다도 더욱 낮아지는 위치에 낚싯줄 안내부(31)가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클러치 레버(53)의 조작이나 핸들(7)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 OFF 상태로부터 클러치 ON 상태로 전환되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필러(3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낚싯줄 안내부(31)에 의해 낚싯줄이 압박되고, 그 때, 낚싯줄은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24c)을 따라 경사면을 하부 내면 중앙부(24c')를 향하게 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필러(30)가 제1 위치까지 이동됨으로써, 낚싯줄 안내 홈(24d) 내로 낚싯줄이 유도된다. 이에 의해, 낚싯줄은 낚싯줄 안내 홈(24d) 내에 적절하게 보유 지지된다.
이와 같이, 낚싯줄 안내 홈(24d) 내에 낚싯줄이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수학식 1, 수학식 2에 의해, 낚싯줄에는 필러(30)의 낚싯줄 안내부(31)에 의한 압박에 의해 텐션이 부여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낚싯줄 권취시에는, 필러(30)에 의해 압박되어 낚싯줄이 요동되기 어려워져, 이에 의해 낚싯줄 안내 홈(24d) 내로부터 낚싯줄이 빠지기 어려워진다.
여기서, 릴 본체(1)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줄 안내 홈(24d)의 저부까지의 높이를 h0으로 하면, 낚싯줄 권취시에는, 다음 수학식 3의 관계를 갖도록 설정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3
이 경우에는,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 중앙부(24c')까지의 높이 h4 이하로 되도록, 필러(30)의 낚싯줄 안내부(31)까지의 높이 h2가 설정되고, 또한 이 높이 h2보다도 낮아지도록 낚싯줄 안내 홈(24d)의 저부까지의 높이 h0이 설정되는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필러(30)는 제1 위치로 이동되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 중앙부(24c')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어서, 낚싯줄 안내 홈(24d)의 저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낚싯줄 안내부(31)가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낚싯줄 안내 홈(24d) 내에 낚싯줄이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게 되어, 낚싯줄 안내 홈(24d) 내로부터 낚싯줄이 한층 더 빠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가벼운 태클을 사용하는 낚시종의 경우에는, 큰 텐션을 낚싯줄에 부여하고자 하므로, h2≤h0로 해도 좋다.
한편, 도 4의 (d) 내지 (f)는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의 각 부의 높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클러치 기구(50)[도 3의 (b) 참조]가 동력 차단 상태(클러치 OFF 상태)로 되어, 필러(30)가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낚싯줄 방출시에는, 다음 수학식 4 또한 수학식 5의 관계를 갖도록 설정되어 있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즉,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 릴 본체(1)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스풀(5)의 낚싯줄 권회 위치(5e)까지의 높이 h1 이하로 되도록,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상부 내면(24a)까지의 높이 h3이 설정되고, 또한 필러(30)의 낚싯줄 안내부(31)까지의 높이 h2가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상부 내면(24a)까지의 높이 h3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필러(30)는, 제2 위치로 이동되면, 스풀(5)의 낚싯줄 권회 위치(5e)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어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상부 내면(24a)보다도 높은 위치에 낚싯줄 안내부(31)가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클러치 레버(53)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 ON 상태로부터 클러치 OFF 상태로 전환되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필러(30)가 이동하여 퇴피되는 과정에서, 낚싯줄 안내 홈(24d) 내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보유 지지가 해제되어, 상기 수학식 4의 관계에 의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상부의 가로로 긴 공간으로 낚싯줄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위치로 필러(30)가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수학식 4, 수학식 5의 관계로부터, 필러(30)의 낚싯줄 안내부(31)가,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상부 내면(24a)과 스풀(5)의 낚싯줄 권회 위치(5e) 사이에 걸쳐진 낚싯줄의 상방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스풀(5)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에 필러(30)가 접촉하지 않아, 이에 의해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권취시에는, 도 5의 (a) 내지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7)의 권취 회전 조작에 의해, 라인 가이드(23)가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라인 가이드(23)의 낚싯줄 안내 홈(24d)에 삽입 관통 보유 지지된 낚싯줄이, 필러(30)를 통해 스풀(5)에 대략 평행하게 권회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라인 가이드(23)의 낚싯줄 안내 홈(24d)이, 스풀(5)의 최대 권회 폭으로 왕복 이동하여, 낚싯줄을 스풀(5)에 안내하도록 위치 조정되어 있다.
그 때, 라인 가이드(23)는, 도 5의 (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좌측부(23a) 및 우측부(23b)가, 좌우 프레임(2a, 2b)에 걸리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릴 본체(1)의 섬 레스트(4)의 전단부 좌우에 형성된 절결부(4a, 4b)로 릴리프된다.
이에 의해, 가로로 긴 형상으로 된 라인 가이드(23)의 좌우 방향의 왕복 이동이 확보되어, 낚싯줄 안내 홈(24d)이 스풀(5)의 최대 권회 폭으로 왕복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낚싯줄 방출시에는, 도 5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인 가이드(23)의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좌우 개구의 범위 내에서 낚싯줄이 방출 가능하다.
또한, 도 5의 (d)에서는, 라인 가이드(23)가 대략 중앙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단부로 라인 가이드(23)가 이동한 경우나, 도 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단부로 라인 가이드(23)가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도, 라인 가이드(23)의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대략 절반의 개구 영역이 스풀(5)의 축 방향의 권회 범위에 대응한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매끄러운 낚싯줄의 조출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에 따르면, 라인 가이드(23)에 형성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이, 조출되는 낚싯줄의 이동 방향을 따르는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고, 낚싯줄 방출시(클러치 OFF의 상태로 하였을 때나, 클러치 ON의 상태에서 드래그 프리 상태로 하였을 때)에는,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 내를 낚싯줄이 스풀(5)의 폭 내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조출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통과하는 것으로 되므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내면과 낚싯줄의 접촉 저항(송출 저항)이 작아져,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방출시에는, 필러(30)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퇴피되므로, 필러(30)에 의한 제약을 받지 않고 낚싯줄이 방출되게 되어,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낚싯줄의 방출 속도가 감속되기 어려워져, 예를 들어 캐스팅시의 투척 거리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배 낚시 등에 있어서는, 태클의 낙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낚싯줄 권취시에는, 제1 위치로 이동한 필러(30)에 의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 중앙부(24c')에 낚싯줄이 보유 지지되고,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낚싯줄이 위치 결정되게 되므로,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체(22)를 통해 스풀(5)의 좌우로 낚싯줄이 균등하게 배분되어, 스풀(5)에 낚싯줄이 균일하고 또한 평행(평탄)하게 권회된다. 이에 의해, 매끄러운 낚싯줄의 권취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가로로 긴 형상으로 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 내를 통해 낚싯줄이 방출되므로, 방출시에 낚싯줄이 요동해도 이것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어, 실얽힘 등의 문제의 발생률을 적절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권취시에, 낚싯줄 안내 홈(24d) 내에 낚싯줄이 보유 지지되므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 내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보유 지지 범위가 고정밀도로 관리되게 되어, 스풀(5)에 낚싯줄이 균일하고 또한 평행(평탄)하게 권회되게 된다. 따라서, 매끄러운 낚싯줄의 권취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레버(53)의 전환 조작에 연동하여 필러(30)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낚싯줄 방출(태클의 투입)로부터 낚싯줄 권취까지의 일련의 조작을 매끄럽게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우수하고, 낚시 성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이 얻어진다.
또한, 필러(30)가, 스풀(5)과 라인 가이드(23)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낚싯줄 방출시에 낚싯줄이 원심력에 의해 가령 상하 방향으로 팽윤되어도(요동해도), 이것을 필러(30)에 의해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필러(30)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낚싯줄 방출시에, 스풀(5)에 근접하는 방향의 이동 성분을 포함하여 이동하므로, 스풀(5)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이 원심력에 의해 가령 상하 방향으로 팽윤되어도(요동해도), 이것을 스풀(5)에 근접한 필러(30)에 의해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어,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필러(30)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낚싯줄 권취시에,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 중앙부(24c')에 근접하는 방향의 이동 성분을 포함하여 이동하므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 중앙부(24c')로 낚싯줄을 적절하게 유도하여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24c')에 낚싯줄을 적절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층 더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낚싯줄이 라인 가이드(23)[낚싯줄 안내 홈(24d)]에 위치 결정되게 되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체(22)를 통해 스풀(5)의 좌우로 낚싯줄이 균등하게 배분되어, 스풀(5)에 낚싯줄이 보다 균일하고 또한 평행(평탄)하게 권회된다. 이에 의해, 매끄러운 낚싯줄의 권취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24c)은 직선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그 경사 각도가, 수평면에 대해 1 내지 30도이므로, 낚싯줄 방출에 적합한 가로로 긴 개구 공간을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에 있어서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 각도가, 수평면에 대해 1 내지 30도이므로, 필러(30)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에 낚싯줄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 중앙부(24c')로 적절하게 유도되게 되어,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24c')에 적절하게 낚싯줄을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매끄러운 낚싯줄의 권취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경사 각도를 5도 이상으로 함으로써, 강풍시나 릴 본체(1)를 경사지게 한 상태에 있어서도,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 중앙부(24c')로 낚싯줄을 적절하게 유도할 수 있어,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24c')에 보다 적합하게 낚싯줄을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매끄러운 낚싯줄의 권취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경사 각도를 15도 이하로 함으로써,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의 개구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낚싯줄 방출시의 가이드 저항을 가능한 한 작은 것으로 할 수 있어,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섬 레스트(4)를 낮게 형성한 로우 프로파일 타입에의 이용도 가능해진다.
또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상부 내면(24a)이 수평면에 대해 평행하므로,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좌우 방향)의 방출 저항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어,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방출시의 낚싯줄의 요동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보다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이 실현된다.
또한, 필러(3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낚싯줄 권취시의 권취 저항 및 낚싯줄 방출시의 방출 저항이 저감되어,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 및 권취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필러(3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낚싯줄에 대해 적절하게 텐션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가벼운 태클을 사용한 낚시종에 있어서도, 스풀(5)에 대해 권취 흐트러짐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낚싯줄을 권회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권취시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1 또한 수학식 2의 관계를 갖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낚싯줄 안내 홈(24d) 내에 낚싯줄이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고, 낚싯줄 안내 홈(24d)에 낚싯줄이 적절하게 위치 결정되어, 매끄러운 낚싯줄의 권취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4 또한 수학식 5의 관계를 갖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낚싯줄이 원심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팽윤되기 쉬운 부분에 있어서, 낚싯줄의 요동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6의 (a), (b)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은, 릴 본체(1)에, 클러치 레버(53)와는 별개의 독립된 필러 조작부(300A)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필러 조작부(300A)는,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러 조작 손잡이(300)와, 이 필러 조작 손잡이(300)에 연결된 연결 부재(305)와, 이 연결 부재(305)의 단부에 연결된 작동 부재(306)를 구비하고 있다.
필러 조작 손잡이(300)는, 지지부(303)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후단부측에 장착된 배분 가압 스프링(304)에 의해, 전단부(301)가 우측 프레임(2b)을 향해 압박된 상태와, 후단부(302)가 우측 프레임(2b)을 향해 압박된 상태로 배분하여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필러 조작 손잡이(300)는,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프레임(2b)의 상면을 따르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305)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며,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부(301)의 하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작동 부재(306)에 연결되어 있다.
작동 부재(306)는, 긴 판 형상의 부재이며, 기단부가 지지축(307)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축(30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작동 부재(306)의 선단부에는, 필러(30)의 일단부가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작동 부재(306)의 대략 중앙부에는, 연결 부재(305)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필러 조작부(300A)에 따르면, 필러 조작 손잡이(300)의 전단부(301)를 우측 프레임(2b)을 향해 압박 조작하면, 그 압박 조작에 연동하여 연결 부재(305)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의해, 작동 부재(306)가 지지축(307)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작동 부재(306)에 지지되어 있는 필러(30)도 하방을 향해 이동하고, 그 결과, 제1 위치로 필러(30)가 이동한다.
한편, 이것과는 반대로, 필러 조작 손잡이(300)의 후단부(302)를 우측 프레임(2b)을 향해 압박 조작하면, 그 압박 조작에 연동하여 연결 부재(305)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의해, 작동 부재(306)가 지지축(307)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당겨지도록 하여 회전한다.
이에 의해, 작동 부재(306)에 지지되어 있는 필러(30)도 상방을 향해 이동하고, 그 결과, 제2 위치로 필러(30)가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필러 조작 손잡이(300)를 전후로 압박 조작함으로써, 필러(30)를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러 조작부(300A)가, 클러치 레버(53)와는 별개로 독립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통상이면 제1 위치에 필러(30)가 위치하고 있는 클러치 ON 상태에 있어서도, 필러 조작 손잡이(300)의 후단부(302)를 압박 조작함으로써, 필러(30)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에 따르면, 클러치 ON 상태에 있어서, 드래그 프리 상태로 하여 낚싯줄을 방출하는(조출하는) 경우에, 필러 조작 손잡이(300)를 조작함으로써, 필러(30)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낚싯줄 방출시의 저항이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레버(53)의 전환 조작에 연동하여 필러(30)가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이와 동시에 필러 조작 손잡이(300)의 조작에 의해서도 필러(30)가 작동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필러 조작 손잡이(300)와 클러치 레버(53)를, 연동 상태와 비연동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이 상기 제1, 제2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은, 릴 본체(1)의 상부의 좌우측판(2A, 2B) 사이에 설치된 섬 레스트(40)가, 클러치 레버(53)의 전환 조작에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섬 레스트(40)의 전방부는, 도 7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인 가이드(23)를 덮도록 전방을 향해 연장 설치되어 있고, 그 하면에는 도 8의 (a),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41)를 통해 필러(3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필러(30)는, 섬 레스트(40)를 폐쇄한 상태[선단을 하방으로 회전하여 제1 위치로 필러(30)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인 가이드(23)의 후방의 근방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그 위치에서 낚싯줄을 압박하여, 낚싯줄 안내 홈(24d)으로 낚싯줄을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섬 레스트(40)의 전단부(40a)는, 하방을 향해 절곡되어 있고, 그 선단 하부에는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삽입 관통용 개구(4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40b)는, 섬 레스트(40)를 폐쇄한 상태[도 8의 (a) 참조]에 있어서도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어, 낚싯줄 권취시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삽입 관통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섬 레스트(40)의 상면 중앙부에는,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부(43)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차부(43)를 통해 섬 레스트(40)의 후방부측이 좌우 방향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부측에는, 지지 부재(53a)를 통해 클러치 레버(53)가 연결되어 있다.
섬 레스트(40)의 중앙부의 하부에는,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환부(44)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원환부(44)는,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프레임(2a, 2b)의 내측에 설치된, 스풀축(5c)과 동심 원환상의 돌출 설치부(43a, 43b)에 대해 외부 끼움 가능하고, 이들 돌출 설치부(43a, 43b)에 원환부(44, 44)가 각각 외부 끼움됨으로써, 섬 레스트(40)는, 스풀축(5c)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클러치 레버(53)의 전환 조작에 연동하여 (선단부측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5)에 대한 낚싯줄의 권취를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ON 상태로 클러치 레버(53)를 전환 조작함으로써, 섬 레스트(40)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의해 필러(30)가 제1 위치로 이동하여,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 중앙부(24c')에 낚싯줄이 보유 지지된다.
또한, 스풀(5)로부터의 낚싯줄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OFF 상태로 클러치 레버(53)를 전환 조작함으로써, 섬 레스트(40)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의해 필러(30)가 제2 위치로 이동하여,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 중앙부(24c')로부터 낚싯줄이 이탈된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에 따르면, 낚싯줄 방출(태클의 투입)로부터 낚싯줄 권취까지의 일련의 조작을 매끄럽게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우수하고, 낚시 성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섬 레스트(40)와 필러(30)가 함께 이동하므로, 섬 레스트(40)가 필러(30)의 이동에 방해로 되지 않아, 필러(30)의 상하 방향의 이동량을 크게 설정할 수 있어, 라인 가이드(23)를 상하 방향(높이 방향)으로 크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낚싯줄 방출시에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내면과 낚싯줄의 방출 저항(접촉 저항)이 작아진다. 이에 의해,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필러(30)를 하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섬 레스트(40)도 내려가므로, 위화감 없이 파밍(파지)하면서, 낚싯줄의 권취 조작을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우수하다.
(제4 실시 형태)
도 10, 도 11을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은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고,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은, 필러(33)가, 낚싯줄의 축 주위를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필러(33)는,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부터 보아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부 프레임(33a)과 하부 프레임(33c)과 좌우 프레임(33b, 33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필러(33)의 범위 내에 낚싯줄이 삽입 관통되도록 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33a)은, 섬 레스트(40)의 전방부 하면에 설치된 지지부(41, 41)에 지지되어 섬 레스트(40)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33a)은, 필러(33)가 제1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 중앙부(24c')로 낚싯줄을 유도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하부 내면 중앙부(24c')[낚싯줄 안내 홈(24d) 내에]에 낚싯줄을 보유 지지하도록 작용한다.
하부 프레임(33c)은, 좌우 프레임(33b, 33b)을 통해 상부 프레임(33a)에 연결되어 있고,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섬 레스트(40)가 폐쇄된 상태[필러(33)가 제1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33a)에 대해 후방측으로 편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우 프레임(33b, 33b)은, 수직면에 대해 후방으로 각도 θ1을 갖고 경사져 있다.
여기서, 릴 본체(1)의 낚싯대 장착 다리(1a)의 하면을 기준으로 하여, 하부 프레임(33c)의 낚싯줄 접촉면(33c')까지의 높이를 h5로 하였을 때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의 (c),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위치로 필러(33)가 이동한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 다음 수학식 6의 관계를 갖도록 설정되어 있다.
Figure pat00006
즉,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는, 릴 본체(1)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하부 프레임(33c)의 낚싯줄 접촉면(33c')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 중앙부(24c')까지의 높이 h4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클러치 레버(53)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 ON 상태로부터 클러치 OFF 상태로 전환되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필러(33)가 이동하여 퇴피되고, 그 과정에서, 낚싯줄에 텐션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나, 수분, 부착물 등에 의해 낚싯줄이 낚싯줄 안내 홈(24d)에 흡착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하부 프레임(33c)에 의해 낚싯줄 안내 홈(24d) 내에 보유 지지되어 있었던 낚싯줄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에 의해, 낚싯줄 안내 홈(24d) 내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보유 지지가 보다 확실하게 해제되어, 낚싯줄 안내 홈(24d) 내로부터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상부의 가로로 긴 공간으로 낚싯줄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위치로 필러(33)가 이동한 상태에서는, 필러(33)의 상부 프레임(33a)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상부 내면(24a)과 스풀(5)의 낚싯줄 권회 위치(5e) 사이에 걸쳐진 낚싯줄의 상방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되고, 또한 하부 프레임(33c)이 마찬가지로 낚싯줄의 하방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부 프레임(33a) 및 하부 프레임(33c)은, 낚싯줄에 대해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는 위치로 퇴피되는 상태로 되어, 이에 의해 스풀(5)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은, 상부 프레임(33a) 및 하부 프레임(33c)에 접촉하는 일 없이 라인 가이드(23)의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으로 보내진다. 따라서,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필러(33)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33c)이 상부 프레임(33a)에 대해 후방으로 편위되어 있으므로,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개구의 크기(도시하지 않은 수직면에 투영된 개구의 크기)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보다도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쪽이 커진다.
따라서, 필러(33)가 제2 위치에 있는 낚싯줄 방출시에는,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 비해, 개구가 실질적으로 커져, 이에 의해 매끄러운 낚싯줄 방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필러(33)가 제1 위치에 있는 낚싯줄 권취시에는,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비해, 개구가 실질적으로 작아져, 이에 의해 낚싯줄의 권취가 안정되고, 권취의 균일성이 좋아진다.
또한, 제2 위치로 필러(33)가 이동한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6의 관계를 반드시 갖지 않아도 된다.
(제5 실시 형태)
도 12, 도 13을 참조하여 제5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은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고,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은, 필러(35)가, 라인 가이드(23)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필러(35)는,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부터 보아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부 프레임(35a)과 하부 프레임(35c)과 좌우 프레임(35b, 35b)을 구비하고, 섬 레스트(40)의 전단부 하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필러(35)에 있어서도, 범위 내에 낚싯줄이 삽입 관통되도록 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35a)은, 섬 레스트(40)의 전단부 하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필러(35)가 제1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도 1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 중앙부(24c')로 낚싯줄을 유도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하부 내면 중앙부(24c')[낚싯줄 안내 홈(24d) 내에]에 낚싯줄을 보유 지지하도록 작용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부 프레임(35a)의 하방에, 낚싯줄 안내 홈(24d)의 대략 전체가 노출되는 위치[상기한 높이 h4에 상당하는 위치(제1 위치)]에 필러(35)가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35c)은, 좌우 프레임(35b, 35b)을 통해 상부 프레임(35a)에 연결되어 있고, 도 1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섬 레스트(40)가 폐쇄된 상태[필러(35)가 제1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전방으로부터 보아, 나사축(21)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러(35)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필러(35)는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릴 본체(1)의 낚싯대 장착 다리(1a)의 하면을 기준으로 하여, 하부 프레임(35c)의 낚싯줄 접촉면(35c')까지의 높이를 h6으로 하였을 때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의 (c),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위치로 필러(35)가 이동한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 다음 수학식 7의 관계를 갖도록 설정되어 있다.
Figure pat00007
즉,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는, 릴 본체(1)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하부 프레임(35c)의 낚싯줄 접촉면(35c')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하부 내면 중앙부(24c')까지의 높이 h4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클러치 레버(53)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 ON 상태로부터 클러치 OFF 상태로 전환되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필러(35)가 이동하여 퇴피되고, 그 과정에서, 낚싯줄에 텐션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나, 수분, 부착물 등에 의해 낚싯줄이 낚싯줄 안내 홈(24d)에 흡착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하부 프레임(35c)에 의해 낚싯줄 안내 홈(24d) 내에 보유 지지되어 있었던 낚싯줄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에 의해, 낚싯줄 안내 홈(24d) 내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보유 지지가 보다 확실하게 해제되어, 낚싯줄 안내 홈(24d) 내로부터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상부의 가로로 긴 공간으로 낚싯줄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위치로 필러(35)가 이동한 상태에서는, 필러(35)의 상부 프레임(35a)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의 상부 내면(24a)과 스풀(5)의 낚싯줄 권회 위치(5e) 사이에 걸쳐진 낚싯줄의 상방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되고, 또한 하부 프레임(35c)이 마찬가지로 낚싯줄의 하방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부 프레임(35a) 및 하부 프레임(35c)은, 낚싯줄에 대해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는 위치로 퇴피되는 상태로 되어, 이에 의해 스풀(5)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은 상부 프레임(35a) 및 하부 프레임(35c)에 접촉하는 일 없이 방출된다. 따라서, 매끄러운 낚싯줄의 방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위치로 필러(35)가 이동한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7의 관계를 반드시 갖지 않아도 된다.
또한, 필러(35)는, 프레임 형상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상부 프레임(35a)만을 갖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14의 (a) 내지 (c)는, 라인 가이드(23)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4의 (a)에 도시한 예는, 라인 가이드(23)의 상부(상부 프레임, 이하 동일)에, 전후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낚싯줄 삽입 관통용 절결부(23A)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도 14의 (b)에 도시한 예는, 라인 가이드(23)의 상부에, 전후 경사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낚싯줄 삽입 관통용 절결부(23B)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도 14의 (c)에 도시한 예는, 라인 가이드(23)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만곡 형상으로 연장되는 낚싯줄 삽입 관통용 절결부(23C)를 형성한 것이다.
이들 예에 도시한 절결부(23A, 23B, 23C)를 라인 가이드(23)에 형성함으로써, 각 절결부(23A, 23B, 23C)를 통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 내에 낚싯줄을 간단하게 삽입 관통시킬 수 있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에 직접적으로 낚싯줄을 통과시킬 때와 같이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성이 좋은 낚시용 릴이 얻어진다.
또한, 도 14의 (b), (c)에 도시한 예에서는, 절결부(23B, 23C)의 축선이, 낚싯줄 방출시 및 낚싯줄 권취시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축선(도시하지 않음)과 다르므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 내에 낚싯줄을 간단하게 삽입 관통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서, 낚싯줄 방출시 및 낚싯줄 권취시에 있어서 낚싯줄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24)을 통과하여 빠지는 일도 없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낚싯줄 삽입 구멍(24)의 하부 내면 중앙부(24c')에 낚싯줄 안내 홈(24d)을 형성하였지만, 낚싯줄 안내 홈(24d)은 반드시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하부 내면 중앙부(24c')의 곡부(谷部)에 의해 낚싯줄이 보유 지지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필러는 막대 형상으로 하였지만, 제4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프레임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필러는 라인 가이드(23)의 전후 양쪽에 배치하여 구성해도 좋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낚싯줄 방출시에 라인 가이드(23)는, 좌우 방향으로 정지 상태이지만, 스풀(5)의 회전과 연동시켜, 좌우 왕복 운동시켜도 되고, 이 경우에도 낚싯줄 방출시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드래그 프리 상태로 하였을 때에, 이 조작에 연동하여, 라인 가이드(23)와 필러[30(33, 35)]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드래그 프리 상태로 하였을 때에 클러치 구동 부재(51)가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1 : 릴 본체
2A, 2B : 좌우측판
4 : 섬 레스트
5 : 스풀
7 : 핸들
7a : 핸들축
10 : 구동 기구
20 : 레벨 와인드 기구
22 : 낚싯줄 안내체
23 : 라인 가이드
24 :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
24a : 상부 내면
24c : 하부 내면
24c' : 하부 내면 중앙부
24d : 낚싯줄 안내 홈
30 : 필러
31 : 낚싯줄 안내부
33 : 필러
33a : 상부 프레임
33b : 좌우 프레임
33c : 하부 프레임
35 : 필러
35a : 상부 프레임
35b : 좌우 프레임
35c : 하부 프레임
40 : 섬 레스트
53 : 클러치 레버
300A : 필러 조작부

Claims (13)

  1. 릴 본체의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스풀과, 한쪽의 상기 측판에 설치한 구동 기구와, 상기 스풀의 전방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의 핸들축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풀에 낚싯줄을 평행하게 권회하는 낚싯줄 안내체와, 상기 낚싯줄 안내체에 설치된 라인 가이드를 구비한 낚시용 릴이며,
    상기 라인 가이드는, 상기 낚싯줄 안내체의 전방으로부터 보아, 상기 스풀의 축선을 따르도록 하여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으로 된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에는, 당해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를 향해 내려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라인 가이드의 전후 방향의 근방 위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축선을 따르는 낚싯줄 안내부를 구비한 필러를 구비하고,
    상기 필러는,
    낚싯줄 권취시에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상기 하부 내면 중앙부에 상기 낚싯줄 안내부에 의해 낚싯줄을 유도하여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에 낚싯줄을 보유 지지하는 제1 위치와, 낚싯줄 방출시에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위치로부터 퇴피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가이드에 있어서의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상기 하부 내면 중앙부에는, 낚싯줄 권취시에 상기 필러에 의해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로 유도된 낚싯줄이 삽입되는 낚싯줄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에 대한 낚싯줄의 권취를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ON 상태와, 상기 스풀로부터의 낚싯줄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OFF 상태로 전환 조작 가능한 클러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필러는, 상기 클러치 레버의 전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클러치 ON 상태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클러치 OFF 상태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 상부의 상기 측판 사이에 설치된 섬 레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섬 레스트는, 상기 클러치 레버의 전환 조작에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필러는, 상기 섬 레스트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섬 레스트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에 대한 낚싯줄의 권취를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ON 상태와, 상기 스풀로부터의 낚싯줄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OFF 상태로 전환 조작 가능한 클러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릴 본체에는, 상기 클러치 레버와는 별개의 독립된 필러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필러는, 상기 필러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상기 스풀과 상기 라인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상기 스풀에 근접하는 방향의 이동 성분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라인 가이드에 근접하는 방향의 이동 성분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직선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그 경사 각도는, 수평면에 대해 1 내지 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은, 수평면에 대해 평행한 상부 내면을 갖고 있고, 좌우 개구 폭이 상하 개구 높이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낚싯줄의 권취 방향 및 방출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낚싯줄을 축 주위로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좌우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필러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상기 하부 내면 중앙부로 낚싯줄을 유도하여,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에 낚싯줄을 보유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필러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상기 하부 내면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낚싯줄을 유도하여, 당해 하부 내면 중앙부로부터 낚싯줄을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스풀의 낚싯줄 권회 위치까지의 높이를 h1,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필러의 낚싯줄 안내부까지의 높이를 h2,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상부 내면까지의 높이를 h3,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 내면 중앙부까지의 높이를 h4로 하였을 때에,
    낚싯줄 권취시의 관계가,
    h1 ≥ h3 > h2, 또한 h4 ≥ h2이고,
    낚싯줄 방출시의 관계가,
    h1 ≥ h3, 또한 h2 > h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KR1020110091569A 2010-09-29 2011-09-09 낚시용 릴 KR101882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18797 2010-09-29
JP2010218797A JP4981958B2 (ja) 2010-09-29 2010-09-29 魚釣用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241A true KR20120033241A (ko) 2012-04-06
KR101882512B1 KR101882512B1 (ko) 2018-07-26

Family

ID=45977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569A KR101882512B1 (ko) 2010-09-29 2011-09-09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14470B2 (ko)
JP (1) JP4981958B2 (ko)
KR (1) KR101882512B1 (ko)
CN (1) CN102428901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090A1 (ja) * 2012-11-29 2014-06-0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KR20150062981A (ko) * 2013-11-29 2015-06-08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릴
KR20180006802A (ko) * 2016-07-11 2018-01-19 주식회사 코커스 레벨 와인드 가동식 베이트 케스트 릴
US10499625B2 (en) 2017-12-20 2019-12-10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having natural drainage structure
US10791724B2 (en) 2018-05-10 2020-10-06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having pinion support structure
US11013222B2 (en) 2018-09-07 2021-05-25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provided with bushing for anti-electrochemical corro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897B1 (ko) 2012-05-29 2019-07-10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릴
JP5890753B2 (ja) * 2012-06-19 2016-03-2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5525568B2 (ja) * 2012-05-29 2014-06-1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5797166B2 (ja) * 2012-07-19 2015-10-2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5797613B2 (ja) * 2012-07-31 2015-10-2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5797170B2 (ja) * 2012-08-24 2015-10-2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5956887B2 (ja) * 2012-09-21 2016-07-2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WO2014046190A1 (ja) * 2012-09-21 2014-03-2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5956907B2 (ja) * 2012-10-30 2016-07-2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CN103039414A (zh) * 2012-12-21 2013-04-17 宁波海宝渔具有限公司 一种可规则排线的飞蝇卷线轮
JP6295047B2 (ja) * 2013-09-20 2018-03-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143657B2 (ja) * 2013-11-29 2017-06-0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6335528B2 (ja) * 2014-01-28 2018-05-3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6368525B2 (ja) * 2014-04-16 2018-08-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部材
CN104126555A (zh) * 2014-07-29 2014-11-05 徐帮奇 中通竿多功能绕线盘
KR101697215B1 (ko) * 2014-11-20 2017-01-17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라인 접촉 강화부재를 갖는 라인가이드를 구비한 낚시릴
JP6298760B2 (ja) * 2014-12-25 2018-03-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スプールに巻回された釣糸を案内する釣糸案内体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JP6284497B2 (ja) * 2015-03-24 2018-02-2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JP6886254B2 (ja) * 2016-08-10 2021-06-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WO2021077012A1 (en) 2019-10-17 2021-04-22 Trika Inc. Baitcaster with spool drive mechanism
WO2021077004A1 (en) * 2019-10-17 2021-04-22 Trika Inc. Baitcaster with line guide mechanism
JP7374056B2 (ja) * 2020-08-27 2023-11-0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5329A (ja) 1987-12-22 1989-06-29 Olympic Co Ltd 釣り用リールの平行捲機構
KR20040068020A (ko) * 2003-01-23 2004-07-3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벨 와인딩 기구
KR20090014961A (ko) * 2007-08-06 2009-02-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8786A (en) * 1921-10-22 1923-03-20 James P Breen Level winder for reels
JPH0437426Y2 (ko) * 1986-08-20 1992-09-02
US5855332A (en) * 1996-11-21 1999-01-05 Zebco Corporation Rotatable line spool for a fishing reel
US6053444A (en) 1997-03-18 2000-04-25 Diawa Seiko, Inc. Fishline guide device for double bearing type reel
JP3515017B2 (ja) * 1999-07-15 2004-04-0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2001231416A (ja) * 2000-02-24 2001-08-28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KR20020017941A (ko) * 2000-08-30 2002-03-07 추후제출 숨겨진 화스너를 갖춘 베이트캐스트 낚시 릴
JP2004081077A (ja) * 2002-08-26 2004-03-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JP2004187645A (ja) * 2002-12-13 2004-07-08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EP1595450A1 (en) * 2004-05-10 2005-11-16 Liang-Jen Chang Fishing reel
JP4451773B2 (ja) * 2004-12-27 2010-04-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
US7270288B2 (en) * 2005-07-19 2007-09-18 Baenziger Robert C Level wind mechanism
JP3132197U (ja) * 2007-03-23 2007-05-31 晴雄 福田 魚釣用リール
JP2009125013A (ja) * 2007-11-26 2009-06-11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9284777A (ja) * 2008-05-27 2009-12-10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TWM359203U (en) * 2008-12-02 2009-06-21 Tsung-Liang Chang Winder with multi-directional rotation spo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5329A (ja) 1987-12-22 1989-06-29 Olympic Co Ltd 釣り用リールの平行捲機構
KR20040068020A (ko) * 2003-01-23 2004-07-3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벨 와인딩 기구
KR20090014961A (ko) * 2007-08-06 2009-02-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090A1 (ja) * 2012-11-29 2014-06-0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KR20150062981A (ko) * 2013-11-29 2015-06-08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릴
KR20180006802A (ko) * 2016-07-11 2018-01-19 주식회사 코커스 레벨 와인드 가동식 베이트 케스트 릴
US10499625B2 (en) 2017-12-20 2019-12-10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having natural drainage structure
US10791724B2 (en) 2018-05-10 2020-10-06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having pinion support structure
US11013222B2 (en) 2018-09-07 2021-05-25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provided with bushing for anti-electrochemical corro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512B1 (ko) 2018-07-26
US20120104135A1 (en) 2012-05-03
US8714470B2 (en) 2014-05-06
JP4981958B2 (ja) 2012-07-25
CN102428901A (zh) 2012-05-02
CN102428901B (zh) 2014-02-05
JP2012070683A (ja)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3241A (ko) 낚시용 릴
KR101998897B1 (ko) 낚시용 릴
JP5323797B2 (ja) 魚釣用リール
JP6295047B2 (ja) 両軸受リール
US9807990B2 (en) Double bearing reel
JP5525568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5057997A5 (ko)
JP6261990B2 (ja) 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EP2918168B1 (en) Bail support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KR102066467B1 (ko) 스피닝 릴
KR20130110006A (ko)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JP5530325B2 (ja) 魚釣用リール
JP3182452U (ja) 両軸受リール
JP2011177154A (ja) 魚釣用リール
JP2009125013A (ja) 魚釣用リール
KR102049775B1 (ko) 낚시용 릴
JP5890753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4023476A (ja) 魚釣用リール
JP3241348U (ja) 釣用リール
US20230397590A1 (en) Reel line guide device, baitcast reel and fishing tackle
JP5797170B2 (ja) 魚釣用リール
JP3997542B2 (ja) 魚釣用リール
JP5797166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5084765A (ja) 両軸受型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装置用釣糸案内部材
JP2014124175A (ja) 魚釣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