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775B1 -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775B1
KR102049775B1 KR1020157008117A KR20157008117A KR102049775B1 KR 102049775 B1 KR102049775 B1 KR 102049775B1 KR 1020157008117 A KR1020157008117 A KR 1020157008117A KR 20157008117 A KR20157008117 A KR 20157008117A KR 102049775 B1 KR102049775 B1 KR 102049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spool
fishing
line guid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8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8266A (ko
Inventor
유우이치 우메자와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8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12Drive mechanism details with level winding
    • A01K89/0191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level winding the drive mechanism reciprocating the guide
    • A01K89/01917Reversely threaded screw
    • A01K89/01918Guide shiftable between wind and unwind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낚싯줄이 스풀로부터 상하로 물결치는 것과 같은 상태로 방출될 때의 낚싯줄 방출 저항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한 낚시용 릴을 제공한다. 낚시용 릴은, 스풀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S)을 삽입 관통시키는 낚싯줄 안내체(60)를 구비한 레벨 와인드 장치를 갖는다. 낚싯줄 안내체(60)는 좌우 방향을 따르는 폭 치수보다도 상하 방향을 따르는 높이 치수가 큰 긴 구멍 형상의 개구(65)를 형성하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를 갖는다. 낚싯줄 안내체(60)는, 낚싯줄 방출시에는 전방으로 회전되어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가 상하 방향으로 기립됨과 함께, 낚싯줄 권취시에는 후방으로 회전되어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가 쓰러짐으로써 낚싯줄 안내부(70)가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에 삽입 관통되는 낚싯줄(S)에 접촉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FISHING REEL}
본 발명은, 스풀에 낚싯줄을 평행하게 권회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체를 스풀 전방의 측판 사이에 구비한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양 베어링형 타입의 낚시용 릴에는, 좌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에 대해 낚싯줄을 균등하게 권회하도록 레벨 와인드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 레벨 와인드 장치는, 한쪽의 측판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핸들의 권취 조작에 연동하여 스풀 전방에서 좌우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낚싯줄 안내체에 낚싯줄이 삽입 관통됨으로써 스풀에 대해 낚싯줄을 평행하게 권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이러한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한 낚시용 릴에서는, 클러치 기구를 분리 조작하여 스풀을 프리 회전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낚싯줄이 스풀로부터 낚싯줄 안내체를 통해 방출되게 되지만, 그러한 낚싯줄 방출시에는, 스풀에 권회되어 있는 낚싯줄과 낚싯줄 안내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것에 의해, 또한 낚싯줄을 평행하게 스풀에 권회 안내할 필요로부터 낚싯줄 안내체의 낚싯줄 안내 폭이 비교적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 등에 의해, 낚싯줄 방출 저항이 커져, 캐스팅시의 비거리가 저하되거나, 혹은 낚싯줄 방출 속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특허문헌 2에서는, 낚싯줄 방출시에, 핸들과 반대측의 측판에 설치한 조작 부재의 전방으로의 조작에 의해, 외측 단부(상단부)로 확대된 원형부를 갖는 낚싯줄 안내체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원형부를 통해 낚싯줄을 방출시킴으로써 낚싯줄 방출 저항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62-981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고 소39-1103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2의 낚싯줄 안내체에서는, 상측 부분이 확대된 원형부로 형성되어 있지만, 하측 부분은 협폭으로 되어 있고, 따라서, 실제의 캐스팅 조작에 있어서 스풀에 권회되어 있는 낚싯줄이 상하로 물결치는 것과 같은 상태로 낚싯줄 안내체를 통해 방출될 때에는, 낚싯줄 안내체의 하측의 협폭 부분이 큰 낚싯줄 방출 저항을 야기한다. 즉, 낚싯줄 방출시, 스풀에 권회되어 있는 낚싯줄은, 상하로 물결치는 것과 같은 상태로 낚싯줄 안내체의 하측의 협폭 부분에 몇 번이나 반복 접촉(충돌)하면서 낚싯줄 안내체를 통해 방출되게 되므로, 낚싯줄 방출 저항이 커져, 결국, 캐스팅시의 비거리 저하나 낚싯줄 방출 속도의 저하가 초래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낚싯줄이 스풀로부터 상하로 물결치는 것과 같은 상태로 방출될 때의 낚싯줄 방출 저항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한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릴 본체의 좌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과, 상기 스풀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을 삽입 관통시킴과 함께, 핸들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스풀의 전방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판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한 레벨 와인드 장치를 갖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안내체는, 좌우 방향을 따르는 폭 치수보다도 상하 방향을 따르는 높이 치수가 큰 긴 구멍 형상의 개구를 형성하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를 갖고,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의 상벽부의 스풀측에는,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보다도 협폭으로 형성됨과 함께, 낚싯줄에 접촉하여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할 수 있는 낚싯줄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낚싯줄 안내체는,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낚싯줄 방출시에는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가 상하 방향으로 기립됨과 함께, 낚싯줄 권취시에는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가 쓰러짐으로써 상기 낚싯줄 안내부가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에 삽입 관통되는 낚싯줄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낚시용 릴에 의하면, 낚싯줄 방출시에는, 낚싯줄 안내체가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가 상하 방향으로 기립됨으로써, 스풀의 전방에서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의 긴 구멍 형상의 개구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또한 낚싯줄 안내부보다도 광폭으로 연장되므로, 상하로 물결치는 것과 같이 방출되는 낚싯줄에 발생하는 접촉 저항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방출되는 낚싯줄에 발생하는 접촉 저항 등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어, 캐스팅시의 비거리 향상이나 낚싯줄 방출 속도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한편, 낚싯줄 권취시에는, 낚싯줄 안내체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가 쓰러짐으로써, 상기 낚싯줄 안내부가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에 삽입 관통되는 낚싯줄에 접촉되므로,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를 통해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할 수 있어, 양호하고 균질한 낚싯줄 평행 권취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르는 높이 치수」라 함은,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의 낚싯줄 삽입 관통부의 기립 상태에서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개구의 치수이며, 낚싯줄 방출시에 스풀로부터 상하로 물결치는 것과 같은 상태로 방출되는 낚싯줄과 개구를 획정하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의 벽면이 간섭하지 않는 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낚싯줄이 스풀로부터 상하로 물결치는 것과 같은 상태로 방출될 때의 낚싯줄 방출 저항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한 낚시용 릴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릴을 도시하는 것으로, 낚싯줄 안내체 부분을 노출시킨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클러치 ON 상태).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클러치 OFF 상태).
도 4는 클러치 플레이트와 낚싯줄 안내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플레이트의 연결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릴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로, 낚싯줄 안내체가 낚싯줄 권취 상태(클러치 ON 상태)에 있을 때의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릴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로, 낚싯줄 안내체가 낚싯줄 방출 상태(클러치 OFF 상태)에 있을 때의 도면.
도 7은 낚싯줄 안내체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클러치 ON 상태).
도 8은 낚싯줄 안내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낚싯줄 안내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a)는 낚싯줄 안내체의 정면도, (b)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를 정보로부터 본 사시도, (c)는 낚싯줄 안내부의 확대도.
도 10의 (a)는 연결 매듭 등을 수반하지 않는 낚싯줄이 낚싯줄 안내부를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9의 (a)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 (b)는 연결 매듭 등을 수반하는 낚싯줄이 낚싯줄 안내부를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9의 (a)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1은 좌우 방향으로 확대되는 광폭의 개구를 형성하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를 갖는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낚시용 릴의 낚싯줄 안내체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하는 낚싯줄 안내체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하는 낚싯줄 안내체의 일부 단면을 갖는 정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릴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은, 도 1 및 도 2에 화살표로 나타내어지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특히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은, 좌우의 프레임(2a, 2b)을 좌우 커버(3a, 3b)로 덮은 좌우 측판(1A, 1B)을 구비한 릴 본체(1)를 갖고 있다. 릴 본체(1)에는, 좌우 측판(1A, 1B) 사이에 위치하고, 도시하지 않은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다리(1C)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프레임(2a, 2b) 사이에는, 스풀 축(5)이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스풀 축(5)에는, 낚싯줄(S)이 권회되는 스풀(5A)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좌우 측판(1A, 1B) 사이에는, 스풀(5A)에 대해 상방측에, 손가락을 적재 가능한 섬 레스트(1D)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5A)을 회전 구동하는 핸들(8)을 우측판(1B)측에 설치하고 있고, 우측 프레임(2b)과 우측 커버(3b) 사이의 공간에는, 핸들(8)의 회전 구동력을 스풀 축(5)에 전달하는 공지의 동력 전달 기구(1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 프레임(2b)과 우측 커버(3b) 사이에는, 스풀 축(5)을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공지의 클러치 기구(20)가 배치되어 있고, 이 클러치 기구(20)는, 스풀(5A)의 후방측의 좌우 측판(1A, 1B) 사이에 배치된 클러치 전환 조작 부재(이하, 조작 부재라 칭함)(21)를 밀어 내림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ON 상태(동력 전달 상태이며 낚싯줄 권취 상태)로부터 클러치 OFF 상태(동력 차단 상태이며, 낚싯줄 방출 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OFF 상태로부터 클러치 ON 상태로의 복귀는, 후술하는 자동 복귀 기구(30)(도 2 참조)에 의해 핸들(8)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측판(1A, 1B) 사이에는, 스풀(5A)의 낚싯줄 조출 방향측에, 레벨 와인드 장치(5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레벨 와인드 장치(50)는, 핸들(8)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낚싯줄(S)을 삽입 관통하는 낚싯줄 안내체(60)가 좌우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낚싯줄(S)의 권취 조작에 수반하여, 스풀(5A)에 대해 낚싯줄(S)을 균등하게 권회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동력 전달 기구(10)는, 핸들(8)이 고정된 핸들축(8a)에 드래그 기구와 관련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기어(11)와, 이 구동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12)을 구비하고 있다. 피니언(12)은, 스풀 축(5)과 동축 상에 설치되어 있고, 피니언 축[스풀 축(5)이어도 됨](12a)을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12)의 외주에는, 원주 홈(12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원주 홈(12b)에, 후술하는 클러치 기구(20)의 요크(22)가 결합되어, 피니언(12)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피니언(12)이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풀 축(5)과의 사이에서 연결 해제가 이루어져, 동력 전달 상태(클러치 ON)/동력 차단 상태(클러치 OFF)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20)는, 우측 프레임(2b)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배분 스프링(23)에 의해, 도 2에 도시하는 동력 전달 상태(클러치 ON 상태)와, 도 3에 도시하는 동력 차단 상태(클러치 OFF 상태)로 배분하여 보유 지지되는 클러치 플레이트(25)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클러치 플레이트(2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우측 프레임(2b)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 구멍(2d)을 통해 조작 부재(21)와 연결되어 있고, 클러치 플레이트(25)에 형성된 긴 구멍(25a)에, 우측 프레임(2b)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핀(2e)이 삽입되어, 그 회전 구동이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25)의 표면에는, 공지와 같이, 피니언(12)의 원주 홈(12a)에 결합된 요크(22)와 결합 가능한 한 쌍의 캠면(25c)이 형성되어 있다. 요크(22)의 선단측은, 우측 프레임(2b)에 돌출 설치된 지지 핀(27)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고, 요크(22)는 각 지지 핀(27)에 배치된 스프링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시, 클러치 플레이트(25)측으로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요크(22)가 스프링 부재에 의해 클러치 플레이트(25)측으로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때, 피니언(12)은 스풀 축(5)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에 끼워 맞춤되어 클러치 ON 상태로 되어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25)는, 조작 부재(21)가, 도 2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어 내림 조작되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캠면(25c) 및 요크(22)를 통해, 피니언(12)을 스풀 축(5)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로부터 이탈시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OFF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이 상태는, 배분 스프링(23)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클러치 플레이트(25)에는, 클러치를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하는 자동 복귀 기구(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동 복귀 기구(30)는, 클러치 플레이트(25)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킥 부재(31)와, 핸들축(8a)에 회전 방지 고정되는 래칫(32)을 구비하고 있고, 킥 부재(31)는 클러치 ON으로부터 클러치 OFF로 전환하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32)의 회전 궤적 내에 침입하도록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클러치 OFF 상태에 있어서, 핸들(8)을 권취 조작하면, 래칫(32)의 회전에 의해 킥 부재(31)가 킥되어, 자동적으로 클러치 플레이트(25)가 클러치 ON 상태의 위치로 복귀되고, 그 복귀 상태가 다시 배분 스프링(23)의 스프링력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클러치의 복귀는, 조작 부재(21)를 밀어올림 조작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풀(5A)의 전방측의 좌우 측판(1A, 1B) 사이에는, 레벨 와인드 장치(50)가 배치되어 있다. 이하, 레벨 와인드 장치(50)의 구성에 대해, 도 4∼도 7을 아울러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레벨 와인드 장치(50)는, 스풀(5A)에 권회된 낚싯줄(S)을 삽입 관통시키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를 갖는 낚싯줄 안내체(60)를 구비하고 있고, 이 낚싯줄 안내체(60)는 베어링(52)(도 4 참조)을 통해 좌우 측판(1A, 1B)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구동력 전달 기구(1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는 나사축(웜 샤프트)(51)에 의해, 좌우 왕복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나사축(51)의 우측 프레임(2b)측에는, 핸들축(8a)에 장착된 구동 기어(11)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핸들축(8a)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연결 기어(도시하지 않음)와 맞물리는 입력 기어(53)가 설치되어 있고, 나사축(51)은 연결 기어 및 입력 기어(53)를 통해, 핸들(8)의 회전 구동과 동기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나사축(51)은, 좌우 측판(1A, 1B)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는 관 형상체(통체)(55) 내에 수용된 상태로 되어 있고, 관 형상체(55)의 외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55a)이 형성되고, 나사축(51)의 표면에 형성된 나선 홈(51a)을 축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고 있다. 또한, 낚싯줄(S)을 삽입 관통시키는 낚싯줄 안내체(60)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와 보유 지지부(60B)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고, 보유 지지부(60B)가 관 형상체(55)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부(60B)는, 그 내부에, 긴 구멍(55a)을 통해 나선 홈(51a)과 결합되는 미끄럼 이동자(61)를 보유 지지하고 있다. 이 미끄럼 이동자(61)는, 캡너트(62)에 의해, 보유 지지부(60B)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60)는 나사축(51)의 회전에 수반하여, 나선 홈(51a)과 미끄럼 이동자(61)의 결합 관계에 의해,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관 형상체(55)의 주위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방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관 형상체(55)의 외주에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방지부(55b)를 형성하고 있고, 회전 방지부(55b)에 대해 보유 지지부(60B)의 결합부(64)를 결합시킴으로써, 회전 방지를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방지부(55b)는 관 형상체(55)의 외주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80°간격으로 한 쌍 설치되어 있음)로서 구성되어 있고, 결합부(64)는 그러한 돌기에 들어가는 오목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나사축(51)을 수용하는 관 형상체(55)에 회전 방지부(55b)를 일체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낚싯줄 안내체(60)를 회전 방지하는 가이드축을 배치할 필요가 없어져, 레벨 와인드 장치(50)의 구조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60)는, 나사축(51)이 회전 구동되면, 미끄럼 이동자(61)를 통해 좌우 측판(1A, 1B) 사이에서 왕복 구동됨과 함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클러치 기구(20)의 ON/OFF에 연동하여 낚싯줄 권취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낚싯줄 안내체(60)의 회전 구동에 대해서는, 관 형상체(55)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클러치 기구(20)로부터 관 형상체(55)로의 동력 전달 경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클러치 플레이트(25)에는, 릴 본체(1)의 전방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편(25b)이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우측 프레임(2b)측을 향해 돌출되는 결합 돌기(25c)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우측 프레임(2b)에는, 나사축(51)이 지지되는 부분에 회전 플레이트(59)가 보유 지지되어 있고(도 4 참조), 관 형상체(55)는 우측 프레임(2b)의 내면측에 있어서, 회전 플레이트(59)와 회전 방지 고정되어 있다. 즉, 회전 플레이트(59)에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59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59a)에, 관 형상체(55)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55c)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양자는, 우측 프레임(2b)의 내면측에서 고정된 상태(일체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회전 플레이트(59)는, 나사축(5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52)의 외륜과 우측 프레임(2b)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우측 프레임(2b)의 외면측을 따라, 클러치 플레이트(25)의 돌편(25b)과 결합되는 연결편(59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편(59b)에는, 긴 구멍(59c)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 구멍(59c)에, 클러치 플레이트(25)의 돌편(25b)의 결합 돌기(25c)가 헐겁게 삽입됨으로써, 회전 플레이트(59)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클러치 플레이트(25)의 회전에 수반하여 나사축(51)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플레이트(59)는, 배분 스프링(23)에 의해, 낚싯줄 권취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태 사이에서 배분 보유 지지되는 클러치 플레이트(25)와 함께, 2개의 위치에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체(60)는, 회전 플레이트(59)를 통해, 관 형상체(55)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스풀(5A)의 전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즉, 낚싯줄 안내체(60)는, 낚싯줄 방출 상태(낚싯줄 방출시)에서는 전방으로 회전되어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가 상하 방향으로 기립됨(도 6 참조)과 함께, 낚싯줄 권취 상태(낚싯줄 권취시)에서는 후방으로 회전되어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가 쓰러짐으로써 후술하는 낚싯줄 안내부(70)가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에 삽입 관통되는 낚싯줄(S)에 접촉되도록(도 5 및 도 7 참조) 되어 있다. 여기서, 낚싯줄 안내체(60)의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는, 스풀(5A)로부터의 낚싯줄(S)을 삽입 관통시키는 부분이며, SUS, 티타늄 등이나 도금 처리를 실시한 낚싯줄 저항이 적은 경질 재료에 의한 프레임체(60F)로서 구성되어 있고,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별체의 보유 지지부(60B)와 함께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는, 좌우 방향을 따르는 폭 W 치수(도 7 참조)보다도 상하 방향을 따르는 높이 H 치수[도 6 참조 ; 도 6에 도시되는 낚싯줄 방출시에 있어서의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의 기립 상태에서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개구(65)의 치수]가 큰 긴 구멍 형상의 개구(65)를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구(65)를 획정하는 프레임체(60F)는,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후방측을 향해 점차 상승하는 형상)로 되어 있다(도 6 참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65)는, 도 6에 도시되는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스풀(5A)의 낚싯줄 권회 영역 전체를 정면에서 볼 때 개구(65)를 통해 시인할 수 있는 범위에 걸쳐 상하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개구(65)의 상하 방향의 치수 H는, 8∼12㎜이고,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폭 W 치수의 2∼5배이다.
또한,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의 상벽부(68a)의 스풀측[프레임체(60F)의 상단부의 스풀(5A)과 대향하는 표면 부위]에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의 개구(65)보다도 협폭으로 형성됨과 함께, 낚싯줄(S)에 접촉하여 낚싯줄(S)을 스풀(5A)로 안내할 수 있는 낚싯줄 안내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낚싯줄 안내부(70)는, 도 8의 (a)에 명확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의 개구(65)에 삽입 관통되는 낚싯줄(S)을 좌우 방향에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홈(74)과,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낚싯줄(S)을 보유 지지 홈(74)으로 유도하는 테이퍼면(72)을 갖는다.
낚싯줄 안내부(70)는,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도 3 및 도 6의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도 2, 도 5 및, 도 7에 도시되는 상태)로 회전하였을 때, 개구(65)를 관통하여 스풀(5A)로 연장되는 낚싯줄(S)에 대해 상측으로부터 접촉할 수 있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고, 낚싯줄(S)을 좌우 방향에서 보유 지지하여 이탈시키지 않도록 규제한다. 즉, 낚싯줄 안내부(70)는, 그곳에 들어간 낚싯줄(S)의 좌우 방향의 떨림을 방지하여, 스풀(5A)에 대해 안정적으로 낚싯줄(S)을 평행 권취하는 기능(낚싯줄 권취 상태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낚싯줄 안내부(70)를 형성하는 프레임체(60F)의 부위(60Fa)[도 8의 (a)에 사선으로 나타내어지는 부위]를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구리 합금 등)으로 형성하고, 이것에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표면 처리(알루마이트 처리, 도금 처리 등)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낚싯줄 방출시나 낚싯줄 권취시에 낚싯줄이 접촉해도,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접촉 저항을 더욱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보유 지지 홈(74)은, 도 8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테이퍼면(72)으로부터 더욱 상하 방향으로 가늘게 연장되는 보유 지지 홈(74')이어도 되고, 혹은 낚싯줄 안내부(70)는 도 8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유 지지 홈이 없고, 테이퍼면(72)이 안쪽부에서 점에 의해 수속되는 단면이 V 형상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낚시용 릴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되는 클러치 ON 상태에 있어서, 스풀(5A)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조작 부재(21)를 밀어 내림 조작하면, 클러치 기구(20)를 구성하는 클러치 플레이트(2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배분 스프링(23)에 의해, 도 3에 도시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클러치 플레이트(25)의 표면에 형성된 캠면(25c)이 요크(22)를 축 방향으로 시프트시켜, 피니언(12)을 스풀 축(5)으로부터 이탈시킨다(클러치 OFF 상태). 또한, 이 조작에 의한 클러치 플레이트(25)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 플레이트(59)는 나사축(51)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것에 회전 방지되어 있는 관 형상체(55)는, 도 2(도 5)에 도시되는 위치로부터, 도 3(도 6)에 도시되는 위치로 회전된다.
따라서, 낚싯줄 안내체(60)는 관 형상체(55)에 보유 지지되어 있으므로, 도 2, 5, 7에 도시되는 상태로부터, 도 3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회전된다. 즉,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가 쓰러짐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하 방향으로 기립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회전된 낚싯줄 안내체(60)는, 스풀(5A)이 프리 회전 가능한 상태(낚싯줄 방출 상태)로 되어 있어, 낚싯줄 안내부(70)에 들어가 있었던 낚싯줄(S)의 규제를 해제하여 낚싯줄(S)이 상하 좌우로 굴곡되면서 방출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스풀(5A)의 프리 회전 가능 상태에서 캐스팅 조작 등에 의해 낚싯줄(S)을 방출해도, 낚싯줄 안내체(60)가 스풀(5A)의 전방에 있어서 도 3 및 도 6에 도시되는 상태로 회전되어 그 개구(65)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또한 낚싯줄 안내부(70)보다도 광폭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개구(65)의 내면으로부터 접촉 저항을 받는 일이 적어, 리그(rig)의 비거리를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즉, 낚싯줄을 방출할 때, 낚싯줄 안내체(60)로부터의 방출 저항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클러치 기구(20)를 ON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핸들(8)을 권취 조작하면, 자동 복귀 기구(30)에 의해, 클러치 플레이트(25)는 도 2에 도시되는 위치로 자동 복귀한다. 이 클러치 플레이트(25)의 ON 상태의 복귀에 수반하여, 관 형상체(55)는 회전 플레이트(59)를 통해, 도 2 및 도 5에 도시되는 상태로 회전되고, 낚싯줄 안내체(60)는 도 2, 5, 7에 도시되는 위치로 전환된다. 이때, 개구(65)를 빠져 나가 스풀(5A)로 연장되는 낚싯줄(S)에는, 회전하는 낚싯줄 안내부(70)가 상방으로부터 접합되어 가압된다. 이 경우, 낚싯줄(S)은, 낚싯줄 안내부(70)의 테이퍼면(72)을 따라 보유 지지 홈(74)으로 용이하게 유도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는, 낚싯줄(S)은, 낚싯줄 안내부(70)에 의해 좌우 방향에서 보유 지지되어 여기로부터 이탈되는 일은 없다.
그 후, 핸들(8)을 권취 조작함으로써, 레벨 와인드 장치(50)의 나사축(51)은, 핸들축(8a)에 설치된 연결 기어 및 이것에 맞물리는 입력 기어(53)를 통해 회전 구동된다. 나사축(51)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낚싯줄 안내체(60)는 나사축(5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 홈(51a)과 결합되는 미끄럼 이동자(61)를 통해, 관 형상체(55)를 따라 좌우 왕복 이동된다. 이 경우, 관 형상체(55)의 외주에는,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방지부(55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낚싯줄 안내체(60)는 축 주위로 회전하는 일 없이, 좌우로 왕복 구동된다. 이에 의해, 낚싯줄(S)은, 좌우 방향으로 협폭으로 된 낚싯줄 안내부(70)에 의해, 스풀(5A)에 대해 안정적으로 평행 권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에 의하면, 낚싯줄 방출시에는, 낚싯줄 안내체(60)가 전방으로 회전되어,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가 상하 방향으로 기립됨으로써, 스풀(5A)의 전방에서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의 긴 구멍 형상의 개구(65)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또한 낚싯줄 안내부(70)보다도 폭넓게 연장되므로, 상하로 물결치는 것과 같이 방출되는 낚싯줄(S)에 발생하는 접촉 저항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방출되는 낚싯줄에 발생하는 접촉 저항 등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어, 캐스팅시의 비거리 향상이나 낚싯줄 방출 속도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한편, 낚싯줄 권취시에는, 낚싯줄 안내체(60)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가 쓰러짐으로써, 낚싯줄 안내부(70)가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에 삽입 관통되는 낚싯줄(S)에 접촉되므로,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70)를 통해 낚싯줄(S)을 스풀(5A)로 안내할 수 있어, 양호하고 균질한 낚싯줄 평행 권취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는, 낚싯줄 안내부의 또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 관한 낚싯줄 안내부(70A)도,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의 상벽부(68a)의 스풀측[프레임체(60F)의 상단부의 스풀(5A)과 대향하는 표면 부위]에 설치되어,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의 개구(65)보다도 협폭으로 형성되지만, 특히 이 변형예의 낚싯줄 안내부(70A)는, 도 9의 (c)에 명확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측의 광폭부(91)와, 이 광폭부(91)에 연통되는 내측(안측)의 협폭부(90)로 이루어지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홈 형상의 이 낚싯줄 안내부(70A)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의 프레임체(60F)의 상벽부(68a)의 후단부 테두리(69)에 소정의 폭으로 개구되는 개구부(85)를 갖고 있고, 이 개구부(85)를 기점으로 하여 개구부(85)의 양측으로부터 개구(65)측(내측)을 향해 서서히 협폭으로 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연장되는[개구부(85)를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확대되는] 테이퍼면(83, 83)에 의해 광폭부(91)가 형성된다. 또한, 테이퍼면(83, 83)의 내측 종단부는, 개구부(85)의 폭 치수보다도 작은 직경의 원을 그리는 폭 치수가 좁은 협폭부(90)(보유 지지 홈)로 이어져 있다. 그리고, 광폭부(91) 및 협폭부(90)는, 모두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의 개구(65)에 삽입 관통되는 낚싯줄(S)을 좌우 방향에서 보유 지지할 수 있음과 함께, 광폭부(91)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낚싯줄(S)을 협폭부(90)로 유도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낚싯줄 안내부(70A)에서는, 낚싯줄 권취시에, 낚싯줄 안내체(60)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가 쓰러짐으로써, 낚싯줄 안내부(70A)가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에 삽입 관통되는 낚싯줄(S)에 접촉되면, 그 낚싯줄(S)의 직경 또는 상태에 따라서 광폭부(91) 및 협폭부(9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낚싯줄(S)을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즉, 연결 매듭 등을 수반하지 않는 낚싯줄 부위 S1 또는 가느다란 직경의 낚싯줄 S1에 있어서는, 이 낚싯줄 부위 S1 또는 낚싯줄 S1을 협폭부(90)에 의해 보유 지지하여 스풀(5A)로 안내할 수 있고[도 9의 (c) 및 도 10의 (a) 참조], 한편, 연결 매듭 등을 수반하는 낚싯줄 부위 S2 또는 굵은 직경의 낚싯줄 S2에 있어서는, 이 낚싯줄 부위 S2 또는 낚싯줄 S2를 광폭부(91)에 의해 보유 지지하여 스풀(5A)로 안내할 수 있다[도 9의 (c) 및 도 10의 (b) 참조]. 혹은, 달리 말하면, 통상은, 낚싯줄 S1을 협폭부(90)에 의해 보유 지지하여 스풀(5A)로 양호하게 안내할 수 있지만, 연결 매듭 등을 수반하는 낚싯줄 S1의 부위 S2가 낚싯줄 안내부(70A)를 통과할 때에는, 그 부위 S2를 광폭부(91)로 릴리프시켜 이 광폭부(91)에 의해 낚싯줄 S1을 스풀(5A)로 안내할 수 있다[연결 매듭 등의 유무에 상관없이 낚싯줄 S1이 걸림 없이 원활하게 낚싯줄 안내부(70A)를 통과할 수 있음].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매듭 등을 수반하는 낚싯줄 S1의 부위 S2가 협폭부(90)에 접촉하는 동시에, 낚싯줄 안내체(60)[낚싯줄 삽입 관통부(60A)]가 클러치 기구의 배분 스프링(23)(도 2 및 도 3 참조)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약간 상방으로 움직이고[도 10의 (b)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어지는 상태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어지는 상태로 거리 X만큼 상방으로 움직이고], 그것에 의해, 부위 S2를 광폭부(91)로 릴리프시켜[연결 매듭 등을 광폭부(91)에서 받아들임] 낚싯줄 S1을 무리없이 스풀(5A)로 안내하고, 그 후, 부위 S2가 광폭부(91)를 통과한 시점으로부터 다시 낚싯줄 S1을 협폭부(90)를 통해 스풀(5A)로 안내한다.
그런데, 이상 설명해 온 낚싯줄 안내부(70, 70A)는, 좌우 방향을 따르는 폭 치수보다도 상하 방향을 따르는 높이 치수가 큰 실시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상하 방향으로 긴 구멍 형상의 개구(65)를 형성하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긴 개구(68)를 형성하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그러한 예가 도 11∼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1∼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낚싯줄 안내체(60)의 보유 지지부(60B)는, 경량화가 도모되는 재료, 예를 들어 수지재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고, 전방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기부(60Ba) 내에 미끄럼 이동자(61)(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도 5 및 도 6 참조)를 보유 지지하고 있다. 이 미끄럼 이동자(6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60Ba)에 끼워 맞춤되는 캡너트(62)(도 5 및 도 6 참조)에 의해, 보유 지지부(60B)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보유 지지부(60B)에는, 삽입 관통 구멍(60B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 관통 구멍(60Bb)에는 관 형상체(55)(도 5 및 도 6 참조)가 삽입 관통된다(이상은 제1 실시 형태도 마찬가지).
낚싯줄 안내체(60)의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는, 스풀(5A)로부터의 낚싯줄(S)을 삽입 관통시키는 부분이며,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SUS, 티타늄 등의 낚싯줄 저항이 적은 재료에 의한 프레임체(60F)로서 일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는, 대략 대칭으로 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확대되는 광폭의 개구(68)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68)는, 낚싯줄 방출 상태로 되었을 때의 정면시[삽입 관통되는 낚싯줄(S)을 따라 전방으로부터 본 정면시]에서, 좌우 방향으로 확대되는 대략 타원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구(68)를 갖는 프레임체(60F)는,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후방측을 향해 점차 상승하는 형상)로 되어 있고, 개구(68)를 형성하는 상벽(68a)은,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는, 전후 방향을 따른 상태로 되어, 가능한 한 넓은 개구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68)를 형성하는 전후 방향을 따른 상벽(68a)의 후단부 테두리(69)에는,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회전하였을 때, 개구부(68) 내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낚싯줄(S)에 대해 상측으로부터 접촉할 수 있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고, 낚싯줄(S)에 접촉하여 낚싯줄(S)을 스풀(5A)로 안내할 수 있는 전술한 홈 형상의 낚싯줄 안내부(70)[또는 (70A)]가 설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부(60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재 등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체(60F)와는 별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낚싯줄 안내체(60)는, 서로 다른 재료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체(60F)[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와 보유 지지부(60B)가 분할되어 일체화되어 있고, 이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60)는 전체적으로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
보유 지지부(60B)와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는, 각각을 별체로서 형성해 두고, 이들을 일체화(접착 등에 의한 일체화)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자는 착탈 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유 지지부(60B)에, 프레임체(60F)를 수용하는 수용부(60Bc)를 형성함과 함께,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프레임체(60F)]에 수용부(60Bc)에 접합되어 위치 결정되는 접촉부(60Aa)(도 13 참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접촉부(60Aa)는, 개구(68)의 하부 중앙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된 연장부(60Ab)의 하면에 의해 구성되고, 수용부(60Bc)는, 그러한 하면이 접합되는 면으로서 구성되고, 양자는 서로 면 접촉하는 평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60Bc)에는, 끼워 맞춤 구멍(60Bd)(도 14 참조)이 형성되고, 접촉부(60Aa)에는, 끼워 맞춤 구멍(60Bd)에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 돌기부(60Ac)(도 13 및 도 1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유 지지부(60B)에는, 삽입 관통 구멍(60Bb)과 평행하게 되도록 비스 구멍(60Be)이 형성되어 있고, 끼워 맞춤 돌기(60Ac)에도, 끼워 맞춤 돌기(60Ac)를 끼워 맞춤 구멍(60Bd)에 끼워 넣었을 때, 비스 구멍(60Be)과 동축 상에 비스 구멍(60Ad)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의 결합 돌기(60Ac)를, 보유 지지부(60B)의 끼워 맞춤 구멍(6Bd)에 끼워 넣고(도 13 및 도 14 참조), 접촉부(60Aa)를 수용부(60Bc)에 접합하여 양자를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고정 부재(비스)(90)를 나사 삽입함으로써,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와 보유 지지부(60B)는, 착탈 가능하게 일체화된다. 즉,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를 보유 지지부(60B)에 대해 용이하게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긴 개구(68)를 형성하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에 낚싯줄 안내부(70, 70A)를 적용해도 낚싯줄 규제로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나 변형예 등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낚싯줄 안내체(60)에 대해서는, 그 형상을 적절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낚싯줄 안내체(60)를 클러치 기구(20)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였지만, 클러치 기구와는 연동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60)를 회전시킬 때에는, 관 형상체(55)의 외주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를 설치하여 회전 방지하였지만, 관 형상체(55)에 형성되는 긴 구멍(55a)의 에지에 의해 회전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낚싯줄 안내부(70)의 형태는, 낚싯줄을 좌우 방향에서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여도 된다. 또한, 보유 지지부(60B)에 대해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를 나사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낚싯줄의 방출·권취성의 미세 조정을 행하거나,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해도 된다.
1 : 릴 본체
1A, 1B : 좌우 측판
5 : 스풀 축
5A : 스풀
8 : 핸들
20 : 클러치 기구
50 : 레벨 와인드 장치
60 : 낚싯줄 안내체
60A : 낚싯줄 삽입 관통부
65, 68 : 개구
70, 70A : 낚싯줄 안내부
72 : 테이퍼면
74 : 보유 지지 홈
90 : 협폭부
91 : 광폭부

Claims (5)

  1. 릴 본체의 좌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과,
    상기 스풀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을 삽입 관통시킴과 함께, 핸들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스풀의 전방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판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한 레벨 와인드 장치를 갖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안내체는, 좌우 방향을 따르는 폭 치수보다도 상하 방향을 따르는 높이 치수가 큰 긴 구멍 형상의 개구를 형성하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를 갖고,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의 상벽부의 스풀측에는,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보다도 협폭으로 형성됨과 함께, 낚싯줄에 접촉하여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할 수 있는 낚싯줄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낚싯줄 안내체는,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낚싯줄 방출시에는 상기 낚싯줄 안내체가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가 상하 방향으로 기립됨과 함께,
    낚싯줄 권취시에는 상기 낚싯줄 안내체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가 쓰러짐으로써 상기 낚싯줄 안내부가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에 삽입 관통되는 낚싯줄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안내부는,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에 삽입 관통되는 낚싯줄을 좌우 방향에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홈과,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낚싯줄을 상기 보유 지지 홈으로 유도하는 테이퍼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안내부는, 외측의 테이퍼 형상의 광폭부와, 이 광폭부에 연통되는 내측의 협폭부로 이루어지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안내체는, 클러치 기구의 ON/OFF 조작에 연동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5. 릴 본체의 좌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과,
    상기 스풀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을 삽입 관통시킴과 함께, 핸들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스풀의 전방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판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한 레벨 와인드 장치를 갖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안내체는, 좌우 방향으로 확대되는 광폭의 개구를 형성하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를 갖고,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의 상벽부의 스풀측에는,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보다도 협폭으로 형성됨과 함께, 낚싯줄에 접촉하여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할 수 있는 낚싯줄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낚싯줄 안내체는,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낚싯줄 방출시에는 상기 낚싯줄 안내체가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가 상하 방향으로 기립됨과 함께,
    낚싯줄 권취시에는 상기 낚싯줄 안내체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가 쓰러짐으로써 상기 낚싯줄 안내부가 상기 낚싯줄 삽입 관통부에 삽입 관통되는 낚싯줄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KR1020157008117A 2012-09-21 2013-09-19 낚시용 릴 KR102049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08395 2012-09-21
JP2012208395 2012-09-21
PCT/JP2013/075320 WO2014046190A1 (ja) 2012-09-21 2013-09-19 魚釣用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266A KR20150058266A (ko) 2015-05-28
KR102049775B1 true KR102049775B1 (ko) 2019-11-29

Family

ID=5034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117A KR102049775B1 (ko) 2012-09-21 2013-09-19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56595B2 (ko)
EP (1) EP2898772B1 (ko)
JP (1) JP5956969B2 (ko)
KR (1) KR102049775B1 (ko)
CN (1) CN104684384B (ko)
BR (1) BR112015004919A2 (ko)
WO (1) WO20140461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81958B2 (ja) * 2020-08-27 2024-05-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制動力制御システム及び制動力設定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197B2 (ja) * 1992-10-29 2001-02-05 日本電気株式会社 熱型赤外線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1287A (en) * 1960-04-04 1963-11-19 Robert C Baenziger Fishing reel
US3171609A (en) * 1961-11-13 1965-03-02 Robert C Baenziger Reel for fishing
SE7713420A0 (sv) * 1977-11-28 1979-05-29 Abu Ab Spinnrulle med linspridare
JPS629810Y2 (ko) 1980-08-29 1987-03-07
JPS6015165U (ja) * 1983-07-12 1985-02-0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の釣糸繰り出し装置
JPS629810U (ko) 1985-07-01 1987-01-21
SE450617B (sv) * 1986-03-13 1987-07-13 Abu Garcia Produktion Ab Fiskerulle med integrerad frikopplingsbar linspridningsmekanism pa en axel
JPH062556Y2 (ja) 1988-02-29 1994-01-26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菓製造機の攪拌装置
JPH01130663U (ko) * 1988-03-03 1989-09-05
US5996919A (en) * 1994-08-23 1999-12-07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of double bearing type having improved balance and ergonomic properties
JP3100859B2 (ja) * 1995-03-09 2000-10-2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レベルワインド装置
JPH09140302A (ja) * 1995-11-20 1997-06-03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3819198B2 (ja) * 1999-11-19 2006-09-0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4222611A (ja) * 2003-01-23 2004-08-12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US7568650B2 (en) * 2005-04-20 2009-08-04 Kore Gear, Inc. Level wind mechanism
KR100809444B1 (ko) 2006-12-13 2008-03-06 (주)주호상사 플라이 릴
JP3132197U (ja) * 2007-03-23 2007-05-31 晴雄 福田 魚釣用リール
JP2009207369A (ja) * 2008-02-29 2009-09-1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US7798439B2 (en) * 2008-04-08 2010-09-21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JP2009284777A (ja) * 2008-05-27 2009-12-10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CN201438835U (zh) * 2009-06-12 2010-04-21 张聪亮 具多向旋转线轮的卷线器
JP2011004680A (ja) * 2009-06-26 2011-01-13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4981958B2 (ja) * 2010-09-29 2012-07-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CN102550511A (zh) * 2011-12-29 2012-07-11 宁波羚祐渔具有限公司 一种钓鱼卷线器的导线轮轴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197B2 (ja) * 1992-10-29 2001-02-05 日本電気株式会社 熱型赤外線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56969B2 (ja) 2016-07-27
US9456595B2 (en) 2016-10-04
KR20150058266A (ko) 2015-05-28
BR112015004919A2 (pt) 2017-07-04
EP2898772A1 (en) 2015-07-29
CN104684384A (zh) 2015-06-03
US20150201596A1 (en) 2015-07-23
EP2898772B1 (en) 2018-01-31
JP2014076047A (ja) 2014-05-01
CN104684384B (zh) 2016-03-23
WO2014046190A1 (ja) 2014-03-27
EP2898772A4 (en)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897B1 (ko) 낚시용 릴
KR20120033241A (ko) 낚시용 릴
JP5323797B2 (ja) 魚釣用リール
JP5525568B2 (ja) 魚釣用リール
US9642349B2 (en) Fishing reel
KR102049775B1 (ko) 낚시용 릴
JP2009284777A (ja) 魚釣用リール
KR102312398B1 (ko)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JP6298760B2 (ja) スプールに巻回された釣糸を案内する釣糸案内体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JP4928503B2 (ja) 魚釣用リール
JP5047879B2 (ja) 魚釣用リール
JP5530325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4023476A (ja) 魚釣用リール
JP7105212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5797170B2 (ja) 魚釣用リール
JP5797166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4124175A (ja) 魚釣用リール
JP2014042479A (ja) 魚釣用リール
JP5931831B2 (ja) 魚釣用リール
JP5956907B2 (ja) 魚釣用リール
JP5797613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5109818A (ja) 魚釣用リール
JP2014217288A (ja) 魚釣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