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043U -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043U
KR20100000043U KR2020080008446U KR20080008446U KR20100000043U KR 20100000043 U KR20100000043 U KR 20100000043U KR 2020080008446 U KR2020080008446 U KR 2020080008446U KR 20080008446 U KR20080008446 U KR 20080008446U KR 20100000043 U KR20100000043 U KR 201000000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spool
coupled
brak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1591Y1 (ko
Inventor
서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to KR2020080008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59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0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0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5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5Antibacklash devices us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7Centrifug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풀의 일측에 결합되며, 스풀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다수의 브레이크 슈가 구비된 슈 하우징; 상기 슈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자력으로 스풀의 제동력을 제한하는 자력브레이크; 상기 자력브레이크의 외측을 감싸며, 내주면에는 브레이크 슈의 접촉시 제동력을 부여하도록 브레이크 링이 구비된 스풀 커버; 상기 스풀 커버의 일측에 결합되어 스풀의 제동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원심브레이크와 자력브레이크 2가지 방식을 동시에 적용하여 브레이크 조절에 따른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낚시 상황에 맞게 스풀의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초보자는 물론 숙련자 역시 백래쉬를 해소할 수 있게 되어 편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다.
베이트 캐스트 릴, 스풀, 원심브레이크, 자력브레이크

Description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BRAKE APPARATUS OF BAIT CAST REEL}
본 고안은 베이트 캐스트 릴(Bait Cast Reel)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풀(Spool)의 원심력 및 자력을 이용하여 베이트 캐스트 릴의 백래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풀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중 베어링 릴, 특히 캐스팅으로 낚싯줄을 방출하는 미끼를 이용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을 이용하여 낚시를 하는 경우,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를 낚싯대와 함께 거머쥔 상태에서 미끼가 걸린 낚싯줄을 투척하게 된다. 이때, 릴의 스풀에 감긴 낚싯줄이 포물선을 그리며 풀려나가게 되며, 포물선의 볼록한 꼭지점을 지나 낙하하면서 스풀에 가속도가 붙게 된다.
이로 인해, 스풀로부터 낚싯줄이 풀려나가는 속도보다 스풀의 회전 속도가 더욱 빨라지게 되는 소위, 백래쉬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백래쉬 현상으로 인해 릴로부터 원활하게 풀려나가지 못한 낚싯줄이 릴 본체 내부에서 뒤엉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백래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숙련자들은 낚싯줄이 풀려 나갈 때 스풀의 상부를 엄지손가락 등으로 눌러주어 스풀의 회전 속도가 낚싯줄이 풀려나가는 속도와 같거나 작도록 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백래쉬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은 실제 경험이 부족한 비숙련자에게는 적합하지 못하므로, 스풀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스풀을 제동하는 원심 제동방식이나 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소용돌이전류를 이용한 마그네트 제동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원심제동방식은 짧은 거리에 투척시 스풀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서밍(Thumbing) 작동이 필요하며, 비교적 미세한 제동 조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마그네트 제동방식은 지속적인 자력으로 인해 제동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동이 불필요한 타이밍에서도 제동력이 발생하여 캐스팅시 비거리(飛距離)의 감소를 초래함으로써 원하는 지점에 캐스팅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위의 두 가지 제동방식을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과제는, 제동력의 조절에 따른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자력브레이크와 원심브레이크를 메인커버에 일체로 장착하여 2가지 방식의 제동수단의 장점을 살림과 동시에, 외부의 조절 다이얼을 이용하여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인커버를 분해하거나 조립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미끼의 무게에 따라서 제동력의 조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관련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스풀의 일측에 결합되며, 스풀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다수의 브레이크 슈가 구비된 슈 하우징; 상기 슈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자력으로 스풀의 제동력을 제한하는 자력브레이크; 상기 자력브레이크의 외측을 감싸며, 내주면에는 브레이크 슈의 접촉시 제동력을 부여하도록 브레이크 링이 구비된 스풀 커버; 상기 스풀 커버의 일측에 결합되어 스풀의 제동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원심브레이크와 자력브레이크 2가지 방식을 동시에 적용 하여 브레이크 조절에 따른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낚시 상황에 맞게 스풀의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초보자는 물론 숙련자 역시 백래쉬를 해소할 수 있게 되어 편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베이트 캐스트 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베이트 캐스트 릴은 도시하지 않은 릴 본체에 로터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로터의 일측에 스풀(10)이 결합된다.
스풀(10)의 중심에는 스풀축(11)이 관통 결합되어 스풀(1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풀(10)의 일측 연장선상에는 릴을 구성하는 여러 부품들이 스풀(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메인커버(20)가 결합된다.
스풀(10)과 메인커버(20) 사이에는 원심브레이크와 자력브레이크 및 제동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200)가 설치되어 스풀(1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고안에 의한 베이트 캐스트 릴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분해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스풀 제동장치는, 크게 스풀의 회전력을 제한하는 제동부(100)와, 제동부(100)에 부여되는 제동력을 조절하는 조절부(200)로 구성된다.
제동부(100)는 스풀(10)의 일측에 결합되어 다수의 브레이크 슈(113)가 내재되는 슈 하우징(110), 슈 하우징(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홀더(120)로 이루어진 원심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홀더(120)의 일측에 배치되는 자력브레이크로 구분된다.
슈 하우징(110)은 스풀(10)의 플랜지 내부에 삽입되도록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에는 스풀축(11)이 삽입되도록 축공(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슈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축공(111)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에 일정 간격으로 브레이크 슈(113)가 안착되어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슬라이드홈(112)이 형성된다. 브레이크 슈(113)는 슈 하우징(110)의 슬라이드홈(112)에 대응되도록 방사상으로 다수 배치되어 원심력 발생시 외측으로 돌출되어 브레이크 링에 접촉됨으로써 제동력을 부여한다.
그리고 슈 하우징(110)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브레이크 홀더(120) 및 제동판(130)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편(114)이 상방으로 돌출 결합되며, 이 체결편(114)의 상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체결돌기(114a)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슈 하우징(110)에는 브레이크 슈(113)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이 내재될 수도 있다. 이 탄성스프링이 내재된 상태에서 슈 하우징(110)의 외측에는 스풀 커버(150)가 결합되어 슬라이드홈(112)에 안착된 브레이크 슈(113)를 스풀축(11)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브레이크 홀더(120)는 하우징(110)의 상측에 결합되어 브레이크 슈(113)의 이탈을 방지한다. 브레이크 홀더(120)는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스풀축(11)이 관통되도록 축공(121)이 형성되고, 축공(121)의 주위에는 제동판(130)의 조립홀(132)과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돌기(122)가 돌출된다. 또한, 축공(121)의 양측에는 가이드돌기(123)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제동판(130)에는 가이드홈(133)이 형성되어 상호 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안내한다.
한편, 스풀축(11)에는 스풀 커버(150)가 결합된다. 이 스풀 커버(150)는 메인커버(20) 내에 결합되어 축 상에서 승강 가능하게 탄성 지지된다. 스풀 커버(150)의 내측에는 브레이크 슈(113)와 접촉되어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제한하기 위한 브레이크 링(160)이 내재된다.
즉, 브레이크 홀더(120)는 브레이크 슈(113)가 개재된 슈 하우징(110) 상면에 복개된 상태로 스풀 커버(150)에 결합됨으로써 스풀(10)의 회전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브레이크 슈(113)가 슈 하우징(1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따라서, 스풀(10)의 회전으로 낚싯줄이 풀리게 되면, 스풀축(11)에 결합되어 있는 슈 하우징(110)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슈 하우징(110)이 특정 속도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면, 슈 하우징(110)에 결합된 브레이크 슈(113)는 슈 하우징(110)의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 후, 브레이크 슈(113)는 브레이크 링(160)의 내측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호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스풀(10)의 회전 속도가 감속되므로 백래쉬가 방지되는 것이다.
자력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홀더(1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제동판(130), 제동판(130)과 자력 영향이 변동하도록 진퇴 이동 가능하게 스풀 커버(150) 내에 고정되는 마그네트홀더(140), 이 마그네트홀더(140)에 수납되는 다수의 마그네트(141)를 포함한다.
제동판(130)에는 브레이크 홀더(120)의 조립돌기(122)가 대응 결합되도록 조립홈(132)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제동력의 레벨을 표시하는 지침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부(200)는 스풀 커버(150)와 메인커버(20) 사이에 설치되어 제동부(100)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스풀 커버(15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1캠(210)과 제2캠(220)으로 구분되는 슬라이드캠과, 이 슬라이드캠에 결합된 상태로 메인커버(20) 외측으로 노출되는 조절 다이얼(230)을 포함한다.
제1캠(210)은 대략 원통형의 중공체로 이루어져 스풀 커버(150)의 일측에 결합되고, 그 외주면에는 나선스크류(2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캠(210)의 끝단에는 조절 다이얼(230)에 결합되도록 결합돌기(212)가 돌출되며, 이때 결합돌기(212)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면취부가 구비되어 조절 다이얼(230)과의 결합 후 제1캠(21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제2캠(220)은 원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주면에는 제1캠(210)의 나선스크류(211)에 대응 결합되도록 나선스크류(2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캠(220)의 양 측면에는 스프링하우징(222)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이 스프링하우징(222)에는 코일스프링(223)이 내재되어 스풀 커버(150)에 탄성 지지된다.
조절 다이얼(230)은 스풀 커버(150)의 상측에 안착되며, 그 상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쉽도록 손잡이가 수직으로 돌출된다. 한편, 조절 다이얼(230)의 손잡이는 메인커버(20)의 대략 중앙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장치의 작동을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베이트 캐스트 릴은 릴 본체의 핸들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에 의해 릴 본체에 내장된 스풀축(11)으로 전달되어 스풀(10)이 고속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베이트 캐스트 릴을 이용하여 낚시를 행할 때에는 통상의 베이트 캐스트 릴의 사용법과 같이 낚시줄 끝에 다양한 무게를 갖는 미끼 및 낚시바늘을 매달아 이를 원하는 위치에 투척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낚시를 행할 때에는 다양한 미끼의 무게, 크기, 형상에 따라 스풀(10)의 회전을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것인 바, 본 실시예의 베이트 캐스트 릴은 스풀(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릴 본체 일측의 조절 다이얼(230)을 일정 량 회전시켜 그 브레이크 저항력을 가감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브레이크장치에 대한 작동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스팅을 하게 되면 스풀(10)은 고속으로 회전하고, 스풀축(11)에 조립된 원심브레이크 역시 스풀(10)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강한 원심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풀축(11) 방향으로 발휘하는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능가하는 원심력이 작용하면 브레이크 슈(113)는 브레이크 링(160) 쪽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슈(113)는 브레이크 링(160)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마찰력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스풀(10)의 회전에 제어를 가하는 것이다.
이어서, 낚싯줄의 비행속도가 저하되면서 추락하기 시작할 때에는 스풀(10)의 회전속도도 낮아지므로 결국 원심력이 작아져서 브레이크 링(160)에 접촉하는 브레이크 슈(113)의 제동력이 감소된다. 즉, 브레이크 슈(113)는 브레이크 링(160)의 내측면과 이격되기 때문에 스풀(10)의 회전작용은 원활하게 지속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슈(113)는 원심력의 세기에 따라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거리도 자연스럽게 조절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슈(113)가 브레이크 링(160)의 내측면에 작용하는 마찰력도 원심력의 세기에 따라 자연적으로 조절이 되므로 결국 브레이크 작용력이 조절됨으로써 백래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정교한 낚시기술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캐스팅 전에 제동판(130)의 조작에 의해 원심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미 리 조절할 수도 있다. 즉, 낚시의 형태별 변화와 개인의 취향 등에 따라 브레이크 슈(113) 중에서 작동이 되는 브레이크 슈(111)의 숫자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과 같이 슈 하우징(110)의 체결편(114)에 의해 브레이크 홀더(120) 및 제동판(130)이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제동판(130) 및 브레이크 홀더(120)가 회전하게 되면 브레이크 슈(113)가 2개씩 증가하여 브레이크 링(160)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동판(130)의 지침이 "0단계"를 가리킨 상태에서는 모든 브레이크 슈는 브레이크 홀더(120)의 하측에 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124)에 의해 구속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동판(130)의 지침이 "l단계"를 가리키도록 회전시키면, 다수의 브레이크 슈 중 브레이크 홀더(120)의 하측에 서로 대칭되는 2개의 걸림돌기(124)에 구속된 2개의 브레이크 슈(113)가 브레이크 홀더(12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스풀이 회전될 때 상술한 2개의 브레이크 슈(113)는 원심력에 의해 슈 하우징(110)의 슬라이드홈(112)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브레이크 링(160)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에 더해서, 제동판(130) 및 브레이크 홀더(120)를 슈 하우징(110)에 대해 소정각도 더 회전시켜 제동판(130)의 지침이 "2단계"를 가리키도록 하면, 상술한 2개의 브레이크 슈(113) 뿐만 아니라 동시에 또 다른 2개의 대칭되는 브레이크 슈에 대한 브레이크 홀더(120)의 구속이 해제되어 스플이 회전될 때 4개의 브레이크슈가 원심력에 의해 슬라이드홈을 따라 슈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브레이크 링(160)의 내주면에 마찰력을 작용한다.
이렇게 순차적으로 조절 다이얼(230)을 회전시켜 지침 "3단계"를 거쳐 "4단계"를 가리키도록 하면, 8개의 브레이크 슈(113)는 모두 브레이크 홀더(12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어 슈 하우징(110)의 슬라이드홈(112)을 따라 모두 브레이크 링(160)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가장 강한 제동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 슈(113)는 도 8과 같이 "0" 내지 "6"단계로 제동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위의 작동예와는 달리 조절 다이얼(230)의 조작에 따라 각 단계를 거치면서 브레이크 슈(113)의 작동 숫자 역시 1개씩 증가하여 브레이크 링(160)에 접촉된다. 즉, 브레이크 슈(113)의 돌출수가 많을수록 브레이크 링(160)에 접촉하는 수가 많아져서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원심력이 크게 작용할 때 브레이크 슈(113)가 작동되어 제동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브레이크 슈(113)의 작동 숫자도 임의로 간단히 조절하여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제동력이 작용토록 또는 작용치 않도록 함은 물론 제동력을 매우 강하게 또는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어 스풀(10)의 회전을 가장 이상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원심브레이크를 내부에서 조절하여 미리 세팅한 상태에서, 자력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제동력의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다.
즉, 외부에서 조절 다이얼(230)을 회전시키면 제1캠(210)과 제2캠(220)의 회전에 의해 스풀 커버(150) 및 마그네트 홀더(14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브레이크 홀더(120)와 제동판(130)을 결합시켜 제동력의 단계조절을 위해 브 레이크 홀더(120)의 회전시 제동판(130)도 같이 회전된다. 이때, 제동판(13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마그네트(141)의 작동시 그 거리에 따라 제동력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즉, 마그네트(141)가 제동판(130)에 가까워지면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마그네트(141)가 제동판(130)으로부터 멀어지면 제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스풀 커버(150)에 원호 형태로 이루어진 마그네트 홀더(140)가 스풀 커버(150)에 스크류(S)로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력 조정을 원할 시에 조절 다이얼(230)을 회전시키면 슬라이드 캠(210)(220)의 작동에 의해 마그네트 홀더(140)가 진퇴 이동되면서 자력에 의한 제동력이 미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백래쉬를 쉽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 따른 스풀 제동장치를 세부적으로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스풀 제동장치의 원심브레이크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에 따른 스풀 제동장치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1에 따른 스풀 제동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스풀 12 ; 스풀축
100 ; 슈 하우징 113 ; 브레이크 슈
120 ; 브레이크 홀더 130 ; 제동판
140 ; 마그네트 홀더 150 ; 스풀 커버
160 ; 브레이크 링 170 ; 조절 다이얼
180 ; 메인커버

Claims (9)

  1. 스풀의 일측에 결합되며, 스풀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다수의 브레이크 슈가 구비된 슈 하우징;
    상기 슈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자력으로 스풀의 제동력을 제한하는 자력브레이크;
    상기 자력브레이크의 외측을 감싸며, 내주면에는 브레이크 슈의 접촉시 제동력을 부여하도록 브레이크 링이 구비된 스풀 커버;
    상기 스풀 커버의 일측에 결합되어 스풀의 제동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슈 하우징에는 브레이크 슈의 이탈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홀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력브레이크는 복수의 마그네트가 구비된 마그네트 홀더, 상기 마그네트 홀더와 브레이크 홀더 사이에 개재되어 자력을 제한하는 제동판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동판의 일면에는 제동력의 레벨을 표시하는 지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슈 하우징에는 브레이크 홀더 및 제동판과 고정 결합되도록 체결편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홀더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돌기가 돌출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동판에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스풀 커버의 상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캠, 메인커버에 노출되도록 슬라이드 캠에 결합되어 스풀 커버의 승강 정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조절 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캠은 스풀 커버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선스크류가 형성된 제1캠, 상기 제1캠의 외측에 나선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선스크류가 형성된 제2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캠에는 스프링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하우징에는 스프링이 내재되어 스풀 커버와 스프링 하우징 사이에서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KR2020080008446U 2008-06-24 2008-06-24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KR200451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446U KR200451591Y1 (ko) 2008-06-24 2008-06-24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446U KR200451591Y1 (ko) 2008-06-24 2008-06-24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043U true KR20100000043U (ko) 2010-01-06
KR200451591Y1 KR200451591Y1 (ko) 2010-12-27

Family

ID=44193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446U KR200451591Y1 (ko) 2008-06-24 2008-06-24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59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958B1 (ko) * 2010-12-22 2013-04-03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KR101273455B1 (ko) * 2011-05-31 2013-06-17 주식회사 다원이엔지 낚시용 베이트 릴의 스풀 백 래시 방지장치
KR101510728B1 (ko) * 2012-05-04 2015-04-1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정밀 원심 제동시스템을 구비한 낚시릴
US20220386577A1 (en) * 2020-08-27 2022-12-08 Globeride, Inc. Fishing reel, braking force control system and braking force set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6816A (zh) * 2016-08-16 2016-12-21 青海大学 一种八宝景天生物碱的提取方法
KR102431757B1 (ko) * 2020-04-21 2022-08-16 주식회사 바낙스 튜닝형 브레이크를 구비한 낚시용 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835B1 (ko) 2000-03-30 2002-04-03 이기동 낚시용 베이트케스트 릴의 스풀회전 제어장치
KR100702066B1 (ko) * 2005-04-28 2007-03-30 연 석 노 베이트 캐스트 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958B1 (ko) * 2010-12-22 2013-04-03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KR101273455B1 (ko) * 2011-05-31 2013-06-17 주식회사 다원이엔지 낚시용 베이트 릴의 스풀 백 래시 방지장치
KR101510728B1 (ko) * 2012-05-04 2015-04-1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정밀 원심 제동시스템을 구비한 낚시릴
US20220386577A1 (en) * 2020-08-27 2022-12-08 Globeride, Inc. Fishing reel, braking force control system and braking force setting device
US11819014B2 (en) * 2020-08-27 2023-11-21 Globeride, Inc. Fishing reel, braking force control system and braking force se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591Y1 (ko) 2010-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591Y1 (ko)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KR100702066B1 (ko) 베이트 캐스트 릴
CN105360080B (zh) 卷线轴制动装置及钓鱼用卷线器
KR102488899B1 (ko) 스풀 제동 장치 및 낚시용 릴
JP3509535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US20060060687A1 (en) Fishing reel having externally controlled spool brake
US20150014460A1 (en) Fishing reel having centrifugal brake system
US8695910B2 (en) Fishing reel having externally controllable brake system
KR101063439B1 (ko) 베이트 캐스트 릴의 원심 브레이크장치
KR101248958B1 (ko)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회전 제어구조
US6908054B1 (en) Internally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JP6829020B2 (ja) 両軸受リール
KR100891615B1 (ko) 양베어링 릴의 원심 브레이크장치
KR101869962B1 (ko) 낚시용 릴의 스풀 브레이크장치
JP3515882B2 (ja) 魚釣用リール
JP2008178310A (ja) 魚釣用リール
JP2005253354A (ja) 魚釣用リール
JP6739594B2 (ja) 魚釣用リール
KR20070122126A (ko) 베이트 릴의 외부 조정 백래시 방지장치
JP6739593B2 (ja) 魚釣用リール
JP3464362B2 (ja) 魚釣用リール
KR101869967B1 (ko) 낚시용 릴의 스풀 브레이크장치
KR0131874Y1 (ko) 베이트 캐스팅릴의 스풀회전력 조절장치
KR20010047826A (ko) 낚시용 베이트케스트 릴의 스풀회전 제어장치
JP2002125544A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