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103B1 -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103B1
KR101185103B1 KR1020090107373A KR20090107373A KR101185103B1 KR 101185103 B1 KR101185103 B1 KR 101185103B1 KR 1020090107373 A KR1020090107373 A KR 1020090107373A KR 20090107373 A KR20090107373 A KR 20090107373A KR 101185103 B1 KR101185103 B1 KR 101185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ck
nut
plate
holder
star dr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905A (ko
Inventor
현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to US12/838,644 priority Critical patent/US8308097B2/en
Publication of KR20100131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8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with unwinding indicators, e.g. a bell or a flashing light
    • A01K89/0179Clicking indicators, e.g. flexible pawl and toothed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Abstract

본 발명은 릴 프레임과, 상기 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경에는 낚시줄이 감겨지는 스풀과, 상기 스풀과 기어메탈축으로 연결 구성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과 기어메탈축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스풀의 드래그력을 조정하게 되는 스타 드래그 너트로 구성한 베이트 릴에서 상기 베이트 릴을 구성하는 스타 드래그 너트의 내부에 클릭음 발생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의 회전 동작에 따라 클릭음이 발생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스풀의 드래그력을 미세하고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90107373
베이트 릴, 스타 드래그 너트, 클릭음

Description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device of occurrence click sound for bait reel}
본 발명은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타 드래그 너트나 텐션 너트 내부에 클릭음을 발생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스풀의 드래그력이나 스풀의 회전력을 미세하고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낚시용 베이트 캐스팅 릴에 있어서의 스타드래그 너트에 관련한 통상적인 기술로는 스풀축의 피니언과 맞물림되는 드라이브 기어를 기어축에서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되, 드라이브 기어의 외면에는 그 드라이브 기어의 판면과 밀착 및 탈리가 용이한 가죽제 드래그 와셔를 기어축에 축설하여 기어축 상단부에 나사붙임된 스타 드래그 너트의 나사조임에 따른 압력에 의해 밀착시에는 기어축의 회전력을 드라이브 기어에 전달, 회전되게 하고 탈리시에는 기어축의 회전력 전달이 끊어지게 하며, 또한 스타 드래그 너트의 나사 조임에 따른 드래그 와셔의 밀착도의 상태에 따라 기어축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드라이브 기어의 회전력을 조절케 하면서 조력조정을 행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상기 드래그 와셔의 외면에는 그 드래그 와셔의 판면 전부를 커버하는 금속 드래그 와셔와, 이들 와셔를 탄력적으로 누르고 있는 스프링 와셔 및 부시, 와셔, 베어링, 와셔들을 순차 축설한 다음, 여기에 스타드래그를 나사조립하고 이어서 핸들암을 깨워서 이를 핸들넛트로 나사조임하는 구성으로 되고 있다.
이 일반적인 기술은 스타 드래그 너트를 기어축상에서 나사조립되는 스타드래그 너트를 조이거나 풀어 조력을 조정함에 있어서, 나선의 회전감도에 의해서만 조력조정을 감지 및 수행할 수 있을 뿐이어서 정확한 조력 조정시에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이 있음은 물론, 미세한 조력조정이 어려운 결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풀의 드래그력을 조절하는 스타 드래그 너트의 회전 동작에 따라 클릭음을 발생하는 클릭음 발생장치를 설치하여 스풀의 드래그력이나 스풀의 회전력을 미세하고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릴 프레임과, 상기 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경에는 낚시줄이 감겨지는 스풀과, 상기 스풀과 기어메탈축으로 연결 구성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과 기어메탈축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스풀의 드래그력을 조정하게 되는 스타 드래그 너트로 구성한 베이트 릴과,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의 회전 동작에 따라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에 끼워지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의 동작으로 회전 동작하는 클릭홀더와, 상기 클릭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에 끼워지는 걸림턱이 구비되어 상기 클릭홀더에 고정 설치되는 클릭스프링과, 상기 클릭스프링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기어메탈축에 고정 설치되며 일면 둘레를 따라 상기 돌출부가 탄력적으로 접촉되기 위한 요철부를 구비한 클릭플레이트 및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에 걸려지며 상기 클릭홀더와 클릭스프링 및 클릭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클릭홀더에 고정되어 있는 클릭스프링은 회전하며 상기 클릭플레이트의 요철부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돌출부를 회전 이동시켜 클릭음을 발생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는 스풀의 드래그력을 조절하는 스타 드래그 너트나 텐션 너트의 내부에 클릭음 발생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나 텐션 너트의 회전 동작에 따라 클릭음이 발생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스풀의 드래그력 또는 스풀의 회전속도를 미세하고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낚시용 베이트 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용 베이트 릴은 릴 프레임(60)과, 상기 릴 프레임(6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경에는 낚시줄이 감겨지는 스풀(62)과, 상기 스풀(62)과 기어메탈축(64)으로 연결 구성되는 핸들(66) 및 상기 핸들(66)과 기어메탈축(64)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스풀(62)의 드래그력을 조정하게 되는 스타 드래그 너트(70)와, 상기 릴 프레임(60)의 측면에 조립되는 사이드커버(68) 및 상기 사이드커버(68)에 설치되며 스풀 샤프트(63)에 제동을 가하여 스풀(62)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게 되는 텐션 너트(8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한 스타 드래그 너트(70)와 텐션 너트(80)의 내부에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클릭음 발생장치가 내설된다. 상기 클릭음 발생장치는 스타 드래그 너 트(70)나 텐션 너트의 회전 동작에 따라 클릭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스풀(62)의 드래그력 및 스풀의 회전속도를 미세하고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수단이다. 하기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클릭음 발생장치(10)의 구성에 대하여 9가지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들어 아래에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실시 예 1}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 1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10)는 클릭홀더(12)와 클릭스프링(20)을 스타 드래그 너트(70)에 고정시켜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릭홀더(12) 및 클릭스프링(20)을 회전 동작하며 고정상태의 클릭플레이트(26)와 마찰하며 클릭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10)는 클릭홀더(12)와, 클릭스프링(20), 클릭플레이트(26) 및 이탈방지링(3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클릭홀더(12)는 스타 드래그 너트(7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클릭스프링(20)을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중앙으로는 기어메탈축(64)이 관통하기 위한 구멍(14)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스토퍼(16)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6)는 스타 드래그 너트(7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72)에 끼워지며 스타 드래그 너트(7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클릭홀더(12)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 기 클릭홀더(12)의 타측에는 체결구멍(18)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멍(18)으로는 클릭스프링(20)의 걸림턱(22)이 끼워지며 클릭스프링을 클릭홀더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클릭스프링(20)은 상기 클릭홀더(1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70)의 회전에 따라 한 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며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으로서,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지며 그 일면에는 걸림턱(22)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2)은 클릭홀더(12)의 체결구멍(18)에 끼워지며 클릭스프링(20)을 클릭홀더(12)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릭스프링(20)의 타면에는 돌출부(24)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24)는 클릭플레이트(26)의 일면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28)에 탄력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클릭홀더(12)의 동작으로 클릭스프링(20)이 회전 동작하면 상기 요철부(28)를 타고 탄력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특정음인 클릭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클릭플레이트(26)는 기어메탈축(64)에 축 결합된 상태에서 일면은 상기 클릭스프링(20)의 돌출부(24)와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플레이트이다. 상기 클릭플레이트(26)의 중앙에는 상기 기어메탈축(64)이 끼워지기 위한 구멍(30)을 형성하되, 상기 구멍(30)의 내주면에는 기어메탈축(6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직선면부(64a)에 대응하는 직선부(30a)를 형성하여 스타 드레그 너트(70)의 회전시 같이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기어메탈축(64)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상기한 클릭플레이트(26)의 일면 둘레에는 전술한 클릭스프링(20)의 돌출부(24)가 탄력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클릭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요철부(28)가 형성된다. 즉, 돌 출부(24)는 회전 과정에서 텐션력을 통해 상기 요철부(28)를 계속적으로 타격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특정음의 클릭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클릭플레이트(26)의 구멍(30) 내주면에는 하나의 걸림돌기(30b)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기어메탈축(64)의 일측에는 홈(64b)이 형성되어, 상기 클릭플레이트(26)의 구멍(30)으로 기어메탈축(64)이 끼워질 때, 상기 걸림돌기(30b)가 상기 홈(64b)에 걸려지도록 하여 스타 드레그 너트(70)의 회전시 클릭플레이트(26)가 같이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기어메탈축(64)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탈방지링(32)은 스타 드레그 너트(7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70a)에 걸려지며 상기한 클릭홀더(12), 클릭스프링(20) 및 클릭플레이트(26)가 스타 드래그 너트(70)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10)는 스타 드래그 너트(70)를 회전 동작시키면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70)에 고정되어 있는 클릭홀더(12)와, 상기 클릭홀더(12)에 고정되어 있는 클릭스프링(20)이 회전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상기 클릭스프링(20)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24)가 기어메탈축(64)에 축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클릭플레이트(26)의 요철부(28)를 탄력적으로 지나가며 클릭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실시 예 2}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 생장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 2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110)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달리 클릭플레이트(126)를 스타 드레그 너트(70)에 고정시켜 상기 스타 드레그 너트(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릭플레이트(126)가 회전 동작하며 고정상태의 클릭스프링(120)과 마찰하며 클릭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110)는 일면으로 요철부(128)가 형성된 클릭플레이트(126), 상기 클릭플레이트(126)의 요철부(128)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돌출부(124)가 구비되는 원형 링 형상의 클릭스프링(120), 상기 클릭스프링(120)의 걸림턱(122)이 끼워지기 위한 체결구멍(118)을 가지는 클릭홀더(112)로 구성하되, 상기 클릭플레이트(126)는 스타 드레그 너트(70)의 내부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클릭스프링(120)을 지지하는 클릭홀더(112)는 중앙으로 기어메탈축(64)이 끼워지기 위한 구멍(114)을 형성하되, 상기 구멍(114)의 내주면을 따라 기어메탈축(64)의 직선면부(64a)에 대응하는 직선부(114a)를 형성하여 기어메탈축(64)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클릭홀더(112)의 구멍(114) 내주면에는 하나의 걸림돌기(114b)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기어메탈축(64)의 일측에는 홈(64b)이 형성되어, 상기 클릭홀더(112)의 구멍(114)으로 기어메탈축(64)이 끼워질 때, 상기 걸림돌기(114b)가 상기 홈(64b)에 걸려지도록 하여 스타 드레그 너트(70)의 회전시 클릭홀더(112)가 같이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상기 기어메탈축(64)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110)에도 이탈방지링(132)이 더 포함되어 설치되며, 상기 이탈방지링(132)은 스타 드레그 너트(7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70a)에 걸려지며 상기한 클릭홀더(112), 클릭스프링(120) 및 클릭플레이트(126)가 스타 드래그 너트(70)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110)는 스타 드래그 너트(70)를 회전 동작시키면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70)에 고정되어 있는 클릭플레이트(126)가 회전 동작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클릭플레이트(126)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128)가 고정상태의 클릭스프링(120) 돌출부(124)를 지나가는 과정에서 돌출부(124)의 탄력성을 통한 클릭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실시 예 3}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 3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210)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달리 클릭홀더를 사용하지 않고, 클릭스프링(220) 자체를 스타 드래그 너트(70)에 고정시켜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릭플레이트(226)가 회전 동작하며 고정상태의 클릭스프링(220)과 마찰하며 클릭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210)는 일 단으로 돌출부(224)가 구비되는 클릭스프링(220), 상기 클릭스프링(220)의 돌출부(224)가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요철부(228)가 구비되는 클릭플레이트(226)로 구성하되, 상기 클릭스프링(220)은 클릭홀더 없이 스타 드래그 너트(7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클릭플레이트(226)는 중앙으로 기어메탈축(64)이 끼워지기 위한 구멍(230)을 형성하되, 상기 구멍(230)의 내주면을 따라 기어메탈축(64)의 직선면부(64a)에 대응하는 직선부(230a)를 형성하여 기어메탈축(64)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클릭플레이트(226)의 구멍(230) 내주면에는 하나의 걸림돌기(230b)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기어메탈축(64)의 일측에는 홈(64b)이 형성되어, 상기 클릭플레이트(226)의 구멍(230)으로 기어메탈축(64)이 끼워질 때, 상기 걸림돌기(230b)가 상기 홈(64b)에 걸려지도록 하여 스타 드레그 너트(70)의 회전시 클릭플레이트(226)가 같이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기어메탈축(64)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3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210)에도 이탈방지링(232)이 더 포함되어 설치되며, 상기 이탈방지링(232)은 스타 드레그 너트(7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70a)에 걸려지며 상기한 클릭홀더(212), 클릭스프링(220) 및 클릭플레이트(226)가 스타 드래그 너트(70)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210)는 스타 드래그 너트(70)를 회전 동작시키면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70)에 고정되어 있는 클릭스프 링(220)이 회전 동작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클릭스프링(220)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224)가 기어메탈축(64)에 고정되어 있는 클릭플레이트(226)의 요철부(228)를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하며 클릭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실시 예 4}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 4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310)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같이, 클릭홀더(312), 클릭스프링(320) 및 클릭플레이트(326)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클릭홀더(312)와 클릭스프링(320)을 일체화시켜 구성한 것에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310)는 클릭홀더(312), 클릭스프링(320) 및 클릭플레이트(32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클릭홀더(312)는 반원 링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일면에는 스토퍼(316)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70)에는 별도의 삽입홈(72)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316)를 상기 삽입홈(72)에 끼워넣어 스타 드래그 너트(7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클릭홀더(312)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상기 클릭스프링(320)은 상기 클릭홀더(312)의 내주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클릭스프링(320)은 클릭홀더(312)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클릭홀더(312)의 내주면에 일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클릭스프링(320)의 일면에는 돌출 부(324)가 일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24)는 클릭플레이트(326)의 일면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328)에 탄력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클릭홀더(312)의 동작으로 클릭스프링(320)이 회전 동작하면 상기 요철부(328)를 타고 탄력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특정음인 클릭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클릭플레이트(326)는 기어메탈축(64)에 축 결합된 상태에서 일면은 상기 클릭스프링(320)의 돌출부(324)와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플레이트이다. 상기 클릭플레이트(326)의 중앙에는 상기 기어메탈축(64)이 끼워지기 위한 구멍(330)을 형성하되, 상기 구멍(330)의 내주면에는 기어메탈축(6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직선면부(64a)에 대응하는 다른 직선부(330a)를 형성하여 스타 드래그 너트(70)의 회전시 같이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기어메탈축(64)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상기 클릭플레이트(326)의 구멍(330) 내주면에는 하나의 걸림돌기(330b)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기어메탈축(64)의 일측에는 홈(64b)이 형성되어, 상기 클릭플레이트(326)의 구멍(330)으로 기어메탈축(64)이 끼워질 때, 상기 걸림돌기(330b)가 상기 홈(64b)에 걸려지도록 하여 스타 드레그 너트(70)의 회전시 클릭플레이트(326)가 같이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기어메탈축(64)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클릭플레이트(326)의 일면 둘레에는 전술한 클릭스프링(320)의 돌출부(324)가 탄력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클릭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요철부(326)가 형성된다. 즉, 돌출부(324)는 회전 과정에서 텐션력을 통해 상기 요철부(326)를 계 속적으로 타격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특정음의 클릭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4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310)에도 이탈방지링(332)이 더 포함되어 설치되며, 상기 이탈방지링(332)은 스타 드레그 너트(7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70a)에 걸려지며 상기한 클릭홀더(312), 클릭스프링(320) 및 클릭플레이트(326)가 스타 드래그 너트(70)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310)는 스타 드래그 너트(70)를 회전 동작시키면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70)에 고정되어 있는 클릭홀더(312)와, 상기 클릭홀더(312)의 내주면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클릭스프링(320)이 회전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상기 클릭스프링(320)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324)가 기어메탈축(64)에 축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클릭플레이트(326)의 요철부(328)를 탄력적으로 지나가게 됨으로서 클릭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실시 예 5}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 5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410)는 전술한 제 4실시 예와 같이 클릭홀더(412)와 클릭스프링(420)을 일체화시켜 구성하 되, 기어메탈축(64)의 외경에 클릭플레이트(426)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릭플레이트 고정와샤(43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410)는 클릭홀더(412), 클릭스프링(420)과, 클릭플레이트(426) 및 클릭플레이트 고정와샤(43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클릭홀더(412)는 반원 링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일면에는 스토퍼(416)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70)에는 별도의 삽입홈(72)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416)를 상기 삽입홈(72)에 끼워넣어 스타 드래그 너트(7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클릭홀더(412)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상기 클릭스프링(420)은 상기 클릭홀더(412)의 내주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클릭스프링(420)은 클릭홀더(412)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클릭홀더(412)의 내주면에 일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클릭스프링(420)의 일면에는 돌출부(424)가 일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24)는 클릭플레이트(426)의 일면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428)에 탄력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클릭홀더(412)의 동작으로 클릭스프링(420)이 회전 동작하면 상기 요철부(428)를 타고 탄력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특정음인 클릭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클릭플레이트(426)는 기어메탈축(64)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면은 상기 클릭스프링(420)의 돌출부(424)와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플레이트이다. 상기 클릭플레이트(426)의 중앙에는 상기 기어메탈축(64)이 끼워지기 위한 구멍(430)을 형성한다.
상기 클릭플레이트(426)의 일면 둘레에는 전술한 클릭스프링(420)의 돌출부(424)가 탄력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클릭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요철부(436)가 형성된다. 즉, 돌출부(424)는 회전 과정에서 텐션력을 통해 상기 요철부(436)를 계속적으로 타격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특정음의 클릭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클릭플레이트(426)의 타면 위쪽과 아래쪽에는 걸림돌기(43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431)는 클릭플레이트 고정와샤(432)의 외곽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436)에 끼워지며 상기 클릭플레이트(426)를 상기 클릭플레이트 고정와샤(432)에 걸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클릭플레이트 고정와샤(432)는 상기 기어메탈축(64)에 끼워지며 상기 클릭플레이트(426)를 기어메탈축(64)에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클릭플레이트 고정와샤(432)의 중앙에는 상기 기어메탈축(64)이 끼워지기 위한 구멍(434)을 형성하되, 상기 구멍(434)의 내주면에는 기어메탈축(6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직선면부(64a)에 대응하는 다른 직선부(434a)를 형성하여 기어메탈축(64)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상기 클릭플레이트 고정와샤(432)의 외곽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홈(436)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홈(436)으로는 상기 클릭플레이트(426)의 걸림돌기(431)가 끼워지며 클릭플레이트(426)를 클릭플레이트 고정와샤(432)에 걸림 고정시키도록 하며, 따라서 클릭플레이트(426)는 상기 클릭플레이트 고정와샤(432)를 통해 스타 드래그 너트(70)의 회전시 같이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기어 메탈축(64)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310)는 스타 드래그 너트(70)를 회전 동작시키면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70)에 고정되어 있는 클릭홀더(312)와, 상기 클릭홀더(312)의 내주면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클릭스프링(320)이 회전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상기 클릭스프링(320)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324)가 기어메탈축(64)에 축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클릭플레이트(326)의 요철부(328)를 탄력적으로 지나가게 됨으로서 클릭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실시 예 6}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8과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 6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510)는 클릭홀더(512)와 클릭스프링(520)을 텐션 너트(80)에 고정시켜 상기 텐션 너트(8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릭홀더(512) 및 클릭스프링(520)을 회전 동작시켜 고정상태의 클릭플레이트(526)와 마찰하며 클릭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8과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510)는 클릭홀더(512)와, 클릭스프링(520), 클릭플레이트(526) 및 이탈방지링(53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클릭홀더(512)는 텐션 너트(8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클릭스프링(520)을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중앙으로는 스풀샤프트(63)가 끼워지기 위한 구멍(514)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스토퍼(516)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516)는 텐션 너트(8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80a)에 끼워지며 텐션 너트(8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클릭홀더(512)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릭홀더(512)의 타측에는 체결구멍(518)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멍(518)으로는 클릭스프링(520)의 걸림턱(522)이 끼워지며 클릭스프링(520)을 클릭홀더(512)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클릭스프링(520)은 상기 클릭홀더(51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텐션 너트(80)의 회전에 따라 한 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며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으로서,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지며 그 일면에는 걸림턱(522)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522)은 클릭홀더(512)의 체결구멍(518)에 끼워지며 클릭스프링(520)을 클릭홀더(512)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릭스프링(520)의 타면에는 돌출부(524)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524)는 클릭플레이트(526)의 일면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528)에 탄력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클릭홀더(512)의 동작으로 클릭스프링(520)이 회전 동작하면 상기 요철부(528)를 타고 탄력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특정음인 클릭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클릭스프링(520)의 돌출부(524)는 도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양측으로 경사면(524a)을 형성하여 돌출부의 형상이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좁혀지는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 11에서와 같이 클릭음 발생시, 클릭스프링(520)을 정, 역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돌출부(524)가 요철부(528)에 걸리지 않고, 상기 요철부(528)를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클릭플레이트(526)는 스풀샤프트(63)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면은 상기 클릭스프링(520)의 돌출부(524)와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플레이트이다. 상기 클릭플레이트(526)의 중앙에는 상기 스풀샤프트(63)가 끼워지기 위한 구멍(530)을 형성하고, 그 일면 둘레에는 전술한 클릭스프링(520)의 돌출부(524)가 탄력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클릭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요철부(528)가 형성된다. 즉, 돌출부(524)는 회전 과정에서 텐션력을 통해 상기 요철부(528)를 계속적으로 타격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특정음의 클릭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클릭플레이트(526)의 타면 위쪽과 아래쪽에는 걸림돌기(53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531)는 베이트릴의 사이드커버(68)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메탈(534)의 홈(536)에 끼워지며 상기 클릭플레이트(526)를 메탈(534)에 고정시키게 되며, 따라서 텐션 너트(80)의 회전 동작시 클릭플레이트(526)가 같이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메탈(534)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링(532)은 텐션 너트(8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80a)에 걸려지며 상기한 클릭홀더(512), 클릭스프링(520) 및 클릭플레이트(526)가 텐션 너트(80)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메탈(534)은 베이트 릴의 릴 프레임(60) 측면에 조립되어 있는 사이드커버(68)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는 전술한 클릭플레이트(526)의 걸림돌기(531)가 끼워지기 위한 홈(536)을 형성하여 상기 클릭플레이트(526)가 텐션 너트(80)의 동작으로 회전하지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510)는 텐션 너트(80)를 회전 동작시키면 상기 텐션 너트(80)에 고정되어 있는 클릭홀더(512)와, 상기 클릭홀더(512)에 고정되어 있는 클릭스프링(520)이 회전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상기 클릭스프링(520)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524)가 메탈(534)에 고정되어 있는 클릭플레이트(526)의 요철부(528)를 탄력적으로 지나가며 클릭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실시 예 7}
첨부된 도 12는 본 발명의 제 7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2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 7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610)는 전술한 제 6실시 예와 달리 클릭플레이트(626)를 텐션 너트(80)에 고정시켜 상기 텐션 너트(8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릭플레이트(626)가 회전 동작하며 고정상태의 클릭스프링(620)과 마찰하며 클릭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 7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610)는 일면으로 요철부(628)가 형성된 클릭플레이트(626), 상기 클릭플레이트(626)의 요철부(628)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돌출부(624)가 구비되는 원형 링 형상의 클릭스프링(620), 상기 클릭스프링(620)의 걸림턱(622)이 끼워지기 위한 체결구멍(618)을 가지는 클릭홀더(612)로 구성하되, 상기 클릭플레이트(626)는 텐션 너트(80)의 내부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클릭스프링(620)을 지지하는 클릭홀더(612)는 중앙으로 스풀샤프트(63)가 끼워지기 위한 구멍(61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클릭홀더(612)의 타면 위쪽과 아래쪽에는 걸림돌기(616)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616)는 베이트릴의 사이드커버(68)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메탈(634)의 홈(636)에 끼워지며 상기 클릭홀더(612)를 메탈(634)에 고정시키게 되며, 따라서 텐션 너트(80)의 회전 동작시 클릭홀더(612)가 같이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메탈(634)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제 7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610)에도 이탈방지링(632)이 더 포함되어 설치되며, 상기 이탈방지링(632)은 텐션 너트(8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80a)에 걸려지며 상기한 클릭홀더(612), 클릭스프링(620) 및 클릭플레이트(626)가 텐션 너트(80)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메탈(634)은 베이트 릴의 릴 프레임(60) 측면에 조립되어 있는 사이드커버(68)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는 전술한 클릭홀더(616)의 걸림돌기(616)가 끼워지기 위한 홈(636)을 형성하여 상기 클릭홀더(616)가 텐션 너트(80)의 동작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제 7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610)는 텐션 너트(80)를 회전 동작시키면 상기 텐션 너트(80)에 고정되어 있는 클릭플레이트(626)가 회전 동작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클릭플레이트(626)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628)가 고정상태의 클릭스프링(620) 돌출부(624)를 지나가는 과정에서 돌출 부(624)의 탄력성을 통한 클릭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실시 예 8}
첨부된 도 13은 본 발명의 제 8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3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 8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710)는 전술한 제 6실시 예와 같이 클릭홀더를 사용하지 않고, 클릭스프링(720) 자체를 텐션 너트(80)에 고정시켜 상기 텐션 너트(8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릭스프링(720)이 회전 동작하며 고정상태의 클릭플레이트(726)와 마찰하며 클릭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 8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710)는 일단으로 돌출부(724)가 구비되는 클릭스프링(720), 상기 클릭스프링(720)의 돌출부(724)가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요철부(728)가 구비되는 클릭플레이트(726)로 구성하되, 상기 클릭스프링(720)은 클릭홀더 없이 텐션 너트(8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클릭플레이트(726)는 중앙으로 스풀샤프트(63)가 끼워지기 위한 구멍(730)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클릭플레이트(726)의 타면 위쪽과 아래쪽에는 걸림돌기(73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731)는 베이트릴의 사이드커버(68)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메탈(734)의 홈(736)에 끼워지며 상기 클릭플레이트(726)를 메탈(734)에 고정시키게 되며, 따라서 텐션 너트(80)의 회전 동작시 클릭플레이트(726)가 같이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메탈(734)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제 8실시 예의 클릭음 발생장치(710)에는 이탈방지링(732) 및 메탈(734)이 더 포함되어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링(732)은 텐션 너트(8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80a)에 걸려지며 상기한 클릭스프링(720) 및 클릭플레이트(726)가 텐션 너트(80)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메탈(734)은 베이트 릴의 릴 프레임(60) 측면에 조립되어 있는 사이드커버(68)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는 전술한 클릭플레이트(726)의 걸림돌기(731)가 끼워지기 위한 홈(736)을 형성하여 상기 클릭플레이트(726)가 텐션 너트(80)의 동작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제 8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710)는 텐션 너트(80)를 회전 동작시키면 상기 텐션 너트(80)에 고정되어 있는 클릭스프링(720)이 회전 동작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클릭스프링(720)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724)가 메탈(734)에 고정되어 있는 클릭플레이트(726)의 요철부(728)를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하며 클릭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실시 예 9}
첨부된 도 14는 본 발명의 제 9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4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 9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810) 는 전술한 제 6실시 예와 같이, 클릭홀더(812), 클릭스프링(820) 및 클릭플레이트(826)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클릭홀더(812)와 클릭스프링(820)을 일체화시켜 구성한 것에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도 1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 9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810)는 클릭홀더(812), 클릭스프링(820) 및 클릭플레이트(826) 그리고 이탈방지링(832) 및 메탈(83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클릭홀더(812)는 반원 링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일면에는 스토퍼(816)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텐션 너트(80)에는 별도의 삽입홈(82)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816)를 상기 삽입홈(82)에 끼워넣어 텐션 너트(8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클릭홀더(812)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상기 클릭스프링(820)은 상기 클릭홀더(812)의 내주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클릭스프링(820)은 클릭홀더(812)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클릭홀더(812)의 내주면에 일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클릭스프링(820)의 일면에는 돌출부(824)가 일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824)는 클릭플레이트(826)의 일면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828)에 탄력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클릭홀더(812)의 동작으로 클릭스프링(820)이 회전 동작하면 상기 요철부(828)를 타고 탄력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특정음인 클릭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클릭플레이트(826)는 스풀샤프트(63)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면은 상기 클릭스프링(820)의 돌출부(824)와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플레이트이다. 상기 클릭플레이트(826)의 중앙에는 상기 스풀샤프트(63)가 끼워지기 위한 구멍(830)이 형성된 다.
상기 클릭플레이트(826)의 타면 위쪽과 아래쪽에는 걸림돌기(83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831)는 베이트릴의 사이드커버(68)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메탈(834)의 홈(836)에 끼워지며 상기 클릭플레이트(826)를 메탈(834)에 고정시키게 되며, 따라서 텐션 너트(80)의 회전 동작시 클릭플레이트(826)가 같이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메탈(834)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제 8실시 예의 클릭음 발생장치(810)에는 이탈방지링(832) 및 메탈(834)이 더 포함되어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링(832)은 텐션 너트(8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80a)에 걸려지며 상기한 클릭홀더(812)와, 클릭스프링(820) 및 클릭플레이트(826)가 텐션 너트(80)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메탈(834)은 베이트 릴의 릴 프레임(60) 측면에 조립되어 있는 사이드커버(68)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는 전술한 클릭플레이트(826)의 걸림돌기(831)가 끼워지기 위한 홈(836)을 형성하여 상기 클릭플레이트(826)가 텐션 너트(80)의 동작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9실시 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810)는 텐션 너트(80)를 회전 동작시키면 상기 텐션 너트(80)에 고정되어 있는 클릭홀더(812)와, 상기 클릭홀더(812)의 내주면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클릭스프링(820)이 회전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클릭스프링(820)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824)가 메탈(734)에 고정되어 있는 클릭플레이트(826)의 요철부(828)를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하며 클릭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트 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베이트 릴의 스타 드래그 너트 내부에 설치되는 클릭음 발생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베이트 릴의 스타 드래그 너트 내부에 설치되는 클릭음 발생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베이트 릴의 스타 드래그 너트 내부에 설치되는 클릭음 발생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베이트 릴의 스타 드래그 너트 내부에 설치되는 클릭음 발생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베이트 릴의 스타 드래그 너트 내부에 설치되는 클릭음 발생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베이트 릴의 텐션 너트 내부에 설치되는 클릭음 발생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클릭스프링의 돌출부와 클릭플레이트 요철부간의 접촉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돌출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7실시 예에 따른 베이트 릴의 텐션 너트 내부에 설치 되는 클릭음 발생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8실시 예에 따른 베이트 릴의 텐션 너트 내부에 설치되는 클릭음 발생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9실시 예에 따른 베이트 릴의 텐션 너트 내부에 설치되는 클릭음 발생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클릭홀더 16: 스토퍼
20: 클릭스프링 24: 돌출부
26: 클릭플레이트 28: 요철부
32: 이탈방지링 64: 기어메탈축
70: 스타 드래그 너트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릴 프레임(60)과, 상기 릴 프레임(6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경에는 낚시줄이 감겨지는 스풀(62)과, 상기 스풀(62)과 기어메탈축(64)으로 연결 구성되는 핸들(66) 및 상기 핸들(66)과 기어메탈축(64)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스풀(62)의 드래그력을 조정하게 되는 스타 드래그 너트(70)로 구성한 베이트 릴과,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7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70)의 회전 동작에 따라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에 있어서,
    반원 링 형태로 성형되며 일면에는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7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72)에 끼워지는 스토퍼(316)(416)가 구비되어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7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70)의 동작으로 회전 동작하는 클릭홀더(312)(412)와;
    상기 클릭홀더(312)의 내주면에 일체 형성되며 타면으로는 돌출부(324)(424)가 돌출 형성된 클릭스프링(320)(420)과;
    상기 기어메탈축(64)측에 설치되며 일면 둘레를 따라 상기 돌출부(324)(424)가 탄력적으로 접촉되기 위한 요철부(328)(428)를 구비한 클릭플레이트(326)(426)를 포함하며;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7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클릭홀더(312)(412)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클릭스프링(320)(420)은 회전하며 상기 클릭플레이트(326)(426)의 요철부(328)(428)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돌출부(324)(424)를 회전 이동시켜 클릭음을 발생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 드래그 너트(7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70a)에 걸려지며 상기 클릭홀더(312)와 클릭스프링(320) 및 클릭플레이트(326)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링(332)을 더 포함하며;
    상기 클릭플레이트(326)의 구멍(330) 내주면에는 걸림돌기(330b)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기어메탈축(64)에는 상기 걸림돌기(330b)가 걸려지기 위한 홈(64b)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플레이트(426)는 상기 기어메탈축(64)에 끼워지고, 타면 위쪽과 아래쪽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431)가 돌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기어메탈축(64)에 고정 설치되며 외곽 둘레면을 따라 상기 클릭플레이트(426)의 걸림돌기(431)가 끼워지는 홈(436)을 형성하여 상기 클릭플레이트(426)를 상기 기어메탈축(64)에 고정시키는 클릭플레이트 고정와샤(43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90107373A 2009-06-08 2009-11-09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KR101185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38,644 US8308097B2 (en) 2009-06-08 2010-07-19 Click sound generating device for bait r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211 2009-06-08
KR20090050211 2009-06-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157A Division KR101218315B1 (ko) 2009-06-08 2012-03-12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KR1020120025158A Division KR20120030519A (ko) 2009-06-08 2012-03-12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905A KR20100131905A (ko) 2010-12-16
KR101185103B1 true KR101185103B1 (ko) 2012-09-26

Family

ID=4350779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373A KR101185103B1 (ko) 2009-06-08 2009-11-09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KR1020120025157A KR101218315B1 (ko) 2009-06-08 2012-03-12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KR1020120025158A KR20120030519A (ko) 2009-06-08 2012-03-12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157A KR101218315B1 (ko) 2009-06-08 2012-03-12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KR1020120025158A KR20120030519A (ko) 2009-06-08 2012-03-12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08097B2 (ko)
KR (3) KR1011851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4728B2 (en) 2017-02-03 2020-06-30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having tension nut retainer
US11013223B2 (en) 2018-11-05 2021-05-25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for easy distance adjustment of tension nu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0021B1 (en) * 2012-04-20 2013-07-09 Steven A. Sauk Ice fishing reel
US9038934B2 (en) * 2012-12-04 2015-05-26 Gregory A. Header Fly fishing reel with drag system
US10426151B2 (en) 2017-04-18 2019-10-01 Pure Fishing, Inc. Drag adjustment assembly for a star drag reel
KR102018612B1 (ko) * 2017-08-23 2019-09-06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클릭음 발생장치
US10617104B2 (en) * 2017-11-17 2020-04-14 Mark S. Semons Fly reel with tool free channel locking drag system
US20200031651A1 (en) * 2018-07-30 2020-01-30 Culligan International Company Home water-based drink formulating system
JP7186633B2 (ja) * 2019-02-13 2022-12-0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200495732Y1 (ko) 2020-03-13 2022-08-08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190Y1 (ko) 1999-09-02 2000-03-15 주식회사도요엔지니어링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브레이크 컨트롤노브의소리발생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9914A (en) * 1928-02-11 1933-02-28 Enterprise Mfg Co Click spring for fishing reels
US4796828A (en) * 1982-08-09 1989-01-10 Zebco Corporation Cartridge rear mounted drag assembly and method
US4728054A (en) * 1986-05-23 1988-03-01 Judith A. Pisapio Fishing reel
JPS6380969U (ko) * 1986-11-17 1988-05-27
KR0120068Y1 (ko) * 1995-04-20 1998-06-01 오철석 플라이 릴(fly reel)의 드래그(drag)방향 변환장치
US5590847A (en) * 1995-08-24 1997-01-07 Ament; Weston H. Fly reel with adjustable brake assembly
US5857632A (en) * 1996-09-11 1999-01-12 Flylogic, Inc. Casting fishing reel with torque converter and clutch
US6039279A (en) * 1998-12-29 2000-03-21 Datcuk, Jr.; Peter Push button click mechanism
US6296200B1 (en) * 2000-05-31 2001-10-02 Liang-Jen Chang Fly fishing reel
JP2002136251A (ja) * 2000-11-02 2002-05-14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発音装置
KR20010067531A (ko) * 2001-02-07 2001-07-13 정대인 베이트 케스팅 릴의 스타드래그 클릭음 발생장치
US6382545B1 (en) * 2001-07-18 2002-05-07 Shih-Yuan Yeh Fishing reel
KR100547269B1 (ko) 2004-05-11 2006-02-01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KR100702066B1 (ko) * 2005-04-28 2007-03-30 연 석 노 베이트 캐스트 릴
KR100665068B1 (ko) 2005-08-12 2007-01-09 주식회사 협성정공 낚시용 릴
US7552886B2 (en) * 2007-07-10 2009-06-30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Double drag, pre-set adjust and unitary end assembly for trolling reel
JP5224576B2 (ja) 2007-07-31 2013-07-0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190Y1 (ko) 1999-09-02 2000-03-15 주식회사도요엔지니어링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브레이크 컨트롤노브의소리발생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4728B2 (en) 2017-02-03 2020-06-30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having tension nut retainer
US11013223B2 (en) 2018-11-05 2021-05-25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for easy distance adjustment of tension n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519A (ko) 2012-03-28
US20110108651A1 (en) 2011-05-12
US8308097B2 (en) 2012-11-13
KR20120029459A (ko) 2012-03-26
KR20100131905A (ko) 2010-12-16
KR101218315B1 (ko)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103B1 (ko)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TWI500384B (zh) 雙軸承捲線器
KR101884773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원심 제동 장치
CN1226917C (zh) 钓鱼绕线轮的轴承及部件支承结构
TW440425B (en) Rotor drive for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KR20100069574A (ko) 듀얼 베어링 릴
KR102235551B1 (ko) 라인 롤러, 및 이것을 사용한 낚싯줄 안내 기구
TW201208559A (en) Dual-bearing reel drag sound producing device
KR102243481B1 (ko) 양 베어링 릴
TW201524350A (zh) 雙軸承捲線器
US4522349A (en) Hand-held fishing reel
KR20080098476A (ko) 플라이 리일
TW201902348A (zh) 釣魚用捲線器
TW201402006A (zh) 雙軸承捲線器及雙軸承捲線器的牽引操作構件
CN102480933B (zh) 飞钓轮线轴的旋转限制装置
TW201927141A (zh) 釣具用捲線器之捲筒及釣具用捲線器
JP6305107B2 (ja) 制動力調整ツマミの交換キット
CN107006441B (zh) 双轴承绕线轮
TWI776855B (zh) 雙軸承捲線器
US7226013B1 (en) Fishing reel having improved pay out clicking mechanism
KR101869962B1 (ko) 낚시용 릴의 스풀 브레이크장치
TWI812529B (zh) 釣魚用捲線器及裝設於釣魚用捲線器之腐蝕構件
US11083180B2 (en) Bait cast reel having non-separating tension knob
JP2004121176A (ja) 魚釣用リール
AU739928B2 (en) Fishing reel drag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