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461A - 액정 모듈용 캐리지 - Google Patents

액정 모듈용 캐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461A
KR20060105461A KR1020060027331A KR20060027331A KR20060105461A KR 20060105461 A KR20060105461 A KR 20060105461A KR 1020060027331 A KR1020060027331 A KR 1020060027331A KR 20060027331 A KR20060027331 A KR 20060027331A KR 20060105461 A KR20060105461 A KR 20060105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quid crystal
module
carriag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0307B1 (ko
Inventor
유우이치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filed Critical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6010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for stacking objects like trays, bobbins,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07Comprising a moving platform or the like, e.g. for unloading
    • B62B2203/073Comprising a moving platform or the like, e.g. for unloading sliding in a horizontal pla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가반식의 캐리지 본체의 상단 및 중단에, 모듈이 1개씩 탑재되고, 개별적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서랍식 랙을 마련한다. 또한, 캐리지 본체의 하단에는, 작업 내용 및 조건을 설정하는 조작 패널과; 회로 조정용 신호, 에이징 테스트용 신호 및 상기 표시 검사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원; 회로 조정용 전원, 에이징 테스트용 전원 및 표시 검사 신호용 전원; 및 조작 패널에 입력된 작업 내용 및 작업 조건에 의거하여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선택하고, 그 작업의 전력 및 신호를 모듈에 공급하는 출력 유닛을 마련한다. 이로써,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에서의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고, 모듈 커넥터의 파손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캐리지, 액정 모듈,

Description

액정 모듈용 캐리지{CARRIAGE FOR LIQUID CRYSTAL MODULE}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의 액정 모듈용 캐리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 1의 (B)는 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액정 모듈용 캐리지를 사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회로 조정의 공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에이징 테스트의 공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표시 검사의 공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의 액정 모듈용 캐리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의 (B)는 그 측면도.
도 8의 (A)는 일본특개2002-5977호에 기재된 에이징용 캐리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의 (B)는 그 측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에이징용 캐리지를 사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캐리지 본체 2, 102 : 랙
3, 103 : 모듈 4, 24a, 24b : 공급 유닛
5, 106 : 조작 패널 6 : 제어 유닛
7a 내지 7c, 104 : DC 전원 8, 105 : 신호원
9, 108 : 출력 회로 10, 20 : 액정 모듈용 캐리지
11, 111 : 외부 전원 케이블 12, 109 : 전원 입력 커넥터
107 : 제어 회로 110 : 에이징용 캐리지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액정 모듈이 탑재되어 에이징 테스트 등이 실시되는 액정 모듈용 캐리지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칼라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는, 모듈 조립 완료 후에 에이징 테스트가 행하여지며, 종래, 모듈 가반식(可搬式)의 캐리지 구조를 채택함에 의해, 에이징 테스트시의 프로세스 수의 삭감 및 작업 효율의 향상 등을 도모한 에이징용 캐리지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개2002-5977호 공보 및 일본특개2002-19612호 공보 참조). 도 8의 (A)는 일본특개2002-5977호에 기재된 에이징용 캐리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의 (B)는 그 측면도이다. 도 8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본특개2002-5977호에 기재된 에이징용 캐리지(110)는, 가반식의 캐리지 본체(101)의 상단에 복수의 모듈(103)이 탑재 가능한 제품 랙(10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 본체(101)의 정면에는, 각 모듈(103)의 사양에 맞는 전압 및 신호를 설정하는 조작 패널(10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 본체(101)의 중단 및 하단에는, 모듈(103)을 구동하기 위한 DC 전원(104), 모듈(103)의 구동용의 디지털 신호를 발생하는 디지털 신호원(105), 조작 패널(106)에서 설정한 값에 의거하여 모듈(103)에 출력되는 전력 및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107), 및 구동용 신호를 복수로 분배하여 모듈(103)에 공급하는 출력 회로(108)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패널(106)에는, 외부 전원 케이블(111)을 접속하기 위한 전원 입력 커넥터(109)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이 에이징용 캐리지(110)의 동작, 즉, 에이징용 캐리지(110)를 사용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에이징용 캐리지(110)를 사용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9에서는, 에이징 테스트 및 그 전 또는 후에 행하는 조정 및 표시 검사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에이징용 캐리지(110)를 사용하는 경우, 우선, 모듈(103)의 조립이 완료되면(스텝 S101), 모듈(103)을 운반용 캐리지에 싣고 회로 조정 공정으로 이동시킨다(스텝 S102). 회로 조정 공정에서는, 모듈(103)을 1개씩 작업 테이블상의 검사대에 싣고, 모듈(103)에 신호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을 접속한다(스텝 S103). 그 후, 신호 발생기 및 DC 전원을 동작시킴에 의해 모듈에 소정의 패턴을 표시시키고, 회로 조정을 실시한다(스텝 S104). 그리 고, 회로 조정이 종료된 후, 모듈(103)로부터 신호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을 떼어낸다(스텝 S105).
다음에, 각 모듈(103)을 운반용 캐리지에 싣고, 에이징 공정으로 운반한다(스텝 S106). 에이징 공정에서는, 복수의 모듈(103)을 캐리지 본체(101)상의 제품 랙(102)에 탑재한다(스텝 S107). 그 후, 제품 랙(102)에 구비된 신호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을 각 모듈(103)에 접속하고, 캐리지 본체(101)에 마련된 전력 입력 커넥터(109)에 외부 전원 케이블(114)을 접속한다(스텝 S108). 다음에, 모듈(103)을 구동하기 위한 각 전압 및 신호를 조작 패널(106)에서 설정하고, 에이징 테스트를 실시한다(스텝 S109). 이때, 에이징용 캐리지(110)에서는, 조작 패널(106)에서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전력 및 신호가 제어 회로(107)로부터 출력된다. 그리고, 모듈 구동용 출력은 출력 회로(108)에 의해 분배되고, 각각, 복수의 모듈(103)에 공급된다. 이로써, 동시에 복수의 모듈(103)을 에이징 테스트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고온 에이징 테스트를 행하는 경우는, 조작 패널(106)에서 설정을 행한 후, 에이징용 캐리지(110)를 고온 분위기중에 투입한다.
또한, 에이징 실시 후에 표시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는, 각 모듈(103)에 접속된 신호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을 떼어냄과 함께, 전력 입력 커넥터(109)로부터 외부 전원 케이블(114)을 떼어낸다(스텝 S110). 그리고, 각 모듈(103)을 운반용 캐리지에 재적재하여, 표시 검사 작업 공정으로 운반한다(스텝 S111). 표시 작업 공정에서는, 모듈(103)을 1개씩 작업 테이블상의 검사대에 적재하고, 모듈(103)에 신호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을 접속한 후(스텝 S112), 신호 발생기 및 DC 전원을 동작시 킴에 의해 모듈에 소정의 패턴을 표시시키거나 또는 모듈을 점등시켜서, 표시 검사를 실시한다(스텝 S113). 그리고, 표시 검사의 작업이 종료된 후, 모듈(103)로부터 신호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을 떼어낸다(스텝 S114).
또한, 일본특개2002-19612호에는, 차륜에 의해 주행 가능한 캐리지 본체 내에, 복수단의 서랍 선반을 마련하고, 이 서랍 선반에 액정 모듈을 세트하고, 에이징 테스트를 실시하는 에이징용 캐리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에이징용 캐리지는, 서랍 선반을 인출하는 것에 의해, 각 모듈의 표시 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는 이하에 나타낸 문제점이 있다. 일본특개2002-5977호에 기재된 종래의 에이징용 캐리지는, 모듈이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기 때문에, 모듈의 정면에서 행하는 표시 검사를 실시할 수 없다. 또한, 일본특개2002-5977호에 기재된 종래의 에이징용 캐리지에서는, 모듈의 표면 또는 이면에 마련되어 있는 플리커 볼륨의 조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회로 조정을 실시할 수도 없다. 또한, 일본특개2002-19612호에 기재된 에이징용 캐리지는, 표시면의 확인은 가능하지만, 플리커 볼륨이 이면측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회로 조정을 실시할 수도 없다. 또한,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에 대해서 액정 모듈에 인가되는 전압 및 표시되는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일본특개2002-5977호 및 일본특개 2002-19612호의 캐리지에 마련되어 있는 에이징 테스트용의 전원 및 신호원으로는, 회로 조정 및 표시 검사를 실시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일본특개2002-5977호 및 일본특개 2002-19612호에 기재된 종래의 에이징용 캐리지로는 에이징 테스트밖에 실시할 수 없고, 종래의 액정 표시의 제조 방법에서는, 모듈 조립 완료 후에 행하는 조정 공정, 에이징 테스트 공정 및 표시 검사 공정의 각 공정마다 모듈의 탈착 작업이 발생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공정수 및 작업 인원이 많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듈의 탈착 회수가 많기 때문에, 커넥터의 파손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액정 표시의 제조 방법에서는, 모듈에 접속되는 신호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이 공정마다 다르기 때문에, 사용하는 케이블 수가 많아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들 문제점은, 각 공정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을 공통으로 함에 의해 방지할 수 있지만, 그렇게 하면, 1개의 케이블의 탈착 회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케이블 및 커넥터가 파손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에 있어서의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모듈 커넥터의 파손 불량이 발생하기 어려운 액정 모듈용 캐리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양상에 따른 액정 모듈용 캐리지는: 이동 가능한 캐리지 본체와; 복수의 액정 모듈을 탑재하고 이 액정 모듈을 개별적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모듈 탑재 유닛과; 조작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유닛; 및 상기 조작 데이터에 의거하여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선택하고, 선택된 작업에 대한 전력 및 신호를 상기 탑재 유닛에 탑재된 액 정 모듈에 공급하는 신호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탑재한 모듈을 개별적으로 인출할 수 있고, 또한 입력 유닛에 입력된 작업 내용 및 작업 조건에 의거하여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선택하고, 선택된 작업의 전력 및 신호를 각 액정 모듈에 공급하는 출력 유닛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 모듈을 탈착하지 않고,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에 있어서의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케이블의 탈착 회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모듈 커넥터의 파손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신호 공급 유닛에는, 회로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을 출력하는 제 1의 전원과; 에이징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전력을 출력하는 제 2의 전원과; 표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제 3의 전원과; 회로 조정용 신호, 에이징 테스트용 신호 및 표시 검사용 신호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원과; 상기 조작 데이터에 따라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선택하고, 선택된 작업에 대한 전력을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의 전원으로부터 출력시키며, 상기 신호원으로부터의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의 전원으로부터의 전력 및 상기 신호원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복수의 액정 모듈에 출력하는 출력 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캐리지가 복수의 공정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설비 및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재 유닛은 인출 가능한 복수의 랙을 가지며, 상기 랙 각각은 단일의 액정 모듈용의 룸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액정 모듈을 용이하게 꺼내고 되돌릴 수 있기 때문에, 회로 조정 및 표시 검사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은, 예를 들면, 조작 패널 또는 바코드 리더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용이하게 작업 내용 및 작업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액정 모듈용 캐리지는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복수의 상기 출력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탑재 유닛은 사양이 다른 n종류의 액정 모듈용의 룸을 구비한다. 이로써, 한번에 복수의 모듈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탑재한 모듈을 개별적으로 인출할 수 있고; 또한 입력된 작업 내용 및 작업 조건에 의거하여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선택하고; 선택된 작업의 전력 및 신호를 탑재 유닛에 탑재된 액정 모듈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캐리지상에서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의 전부를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생산 설비 및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의 탈착 회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커넥터 파손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고, 모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모듈에 전력 및 신호를 공급하는 공정은, 상기 입력 유닛에 입력된 작업 내용 및 작업 조건에 의거하여,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작업에 대한 전력을 회로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을 출력하는 제 1의 전원, 에이징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전력을 출력하는 제 2의 전원 또는 표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제 3의 전원으로부터 출력하고, 선택된 작업에 대한 신호를 회로 조정용 신호, 에이징 테스트용 신호 및 표시 검사용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원으로부터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으로부터 출력된 전력 및 상기 신호원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출력 유닛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액정 모듈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 모듈용 캐리지에는,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상기 출력 유닛이 마련되고, 사양이 다른 n종의 액정 모듈에 대해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이로써,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모듈용 캐리지에 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의 (A)는 본 실시예의 액정 모듈용 캐리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B)는 그 측면도이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 모듈용 캐리지(10)는, 가반식의 캐리지 본체(1)의 상단 및 중단에, 모듈(3)이 1개씩 탑재되고, 개별적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서랍식 랙(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 본체(1)의 하단에는, 모듈(3)에 전력 및 신호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4)과, 작업 내용 및 모듈마다에 그 사양에 맞는 전력 및 신호를 설정하는 조작 패널(5)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공급 유닛(4)에 접속되고, 외부 전원 케이블(11)을 접속하기 위한 전원 입력 커넥터(12)가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액정 모듈용 캐리지(10)의 공급 유닛(4)을 도시하는 블 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모듈용 캐리지(10)의 공급 유닛(4)에는, 모듈(3)을 구동하기 위한 3개의 DC 전원(7a 내지 7c)과, 모듈(3)의 구동용의 디지털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원(8)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DC 전원(7a 내지 7c) 및 신호원(8)과 조작 패널(5) 사이에는, 조작 패널(5)에서 설정된 작업 내용 및 그 조건에 의거하여,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선택하고, 선택된 작업의 전력을 상기 제 1, DC 전원(7a 내지 7c)으로부터 출력시키고 선택된 작업의 신호를 신호원(8)으로부터 출력시키는 제어 유닛(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DC 전원(7a 내지 7c) 및 신호원(8)과 모듈(3) 사이에는, DC 전원(7a 내지 7c)으로부터 출력된 전력 및 신호원(8)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복수의 모듈(3)에 출력하는 출력 유닛인 출력 회로(9)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DC 전원(7a 내지 7c)은, 각각 사양이 다르며, 작업 내용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고, 예를 들면, 회로 조정을 실시하는 경우는 DC 전원(7a)이, 에이징 테스트를 실시하는 경우는 DC 전원(7b)이, 표시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는 DC 전원(7c)이 제어 유닛(6)에 의해 선택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액정 모듈용 캐리지(10)의 동작, 즉, 액정 모듈용 캐리지(10)를 사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액정 모듈용 캐리지(10)를 사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중, 회로 조정 공정, 에이징 테스트 공정 및 표시 검사 공정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모듈(3)의 조립이 완료된 후(스텝 S1), 모듈(3)을 1장씩, 액정 모듈용 캐리지(10)의 캐리지 본체(1)의 상단 및 중단에 마련된 서랍식 랙(2)에 탑재한다(스텝 S2). 그리고, 랙(2)마다 구비된 신호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을 각 모듈(3)에 접속한 후, 공급 유닛(4)에 마련된 전원 입력 커넥터(12)에 외부 전원 케이블(11)을 접속한다(스텝 S3).
다음에, 각 모듈(3)에 관해, 회로 조정을 실시한다(스텝 S4). 도 4는 회로 조정의 공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조정 공정에서는, 우선, 조작 패널(5)에 작업 내용으로서 "회로 조정"을 지정함과 함께 그 조건을 입력하고, 공급 유닛(4)으로부터 회로 조정용의 전력 및 신호를 출력시킴에 의해 각 모듈(3)을 점등시켜 회로 조정용 패턴을 표시시킨다(스텝 S41). 이때, 공급 유닛(4)에서는, 제어 유닛(6)이 "회로 조정"을 선택하고, DC 전원(7a)으로부터 전력을 출력시킴과 함께 신호원(8)으로부터 회로 조정용 신호를 출력시킨다. 그리고, DC 전원(7a)으로부터 출력된 전력 및 신호원(8)으로부터 출력된 회로 조정용 신호는, 출력 회로(9)로부터 복수의 모듈(3)에 출력된다. 이로써, 액정 모듈용 캐리지(10)에 탑재된 복수의 모듈(3)에, 회로 조정용의 패턴이 표시된다.
다음에, 1개의 랙(2)을 인출하고, 그 랙(2)에 탑재되어 있는 모듈(3)의 표시 상태를 육안에 의해 확인하고(스텝 S42), 그 표시 상태에 응하여, 모듈(3)에 마련된 플리커 볼륨을 조정한다(스텝 S43). 또한, 육안에 의해 플리커를 확인한 후, 그 모듈(3)이 탑재되어 있는 랙(2)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다(스텝 S44). 전술한 스텝 S42 내지 S44의 작업을 모든 모듈(3)에 대해 실시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모듈(3)에 대해 회로 조정이 완료된 후, 에이징 테스트를 실시한다(스텝 S5). 도 5는 에이징 테스트의 공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이징 테스트에서는, 우선, 조작 패널(5)을 에이징 테스트 모드로 전환하고, 조작 패널(5)에 에이징 테스트 조건을 입력하고, 공급 유닛(4)으로부터 에이징 테스트용의 전력 및 신호를 출력시킴에 의해 각 모듈(3)에 에이징 테스트용 패턴을 표시시킨다(스텝 S51). 이때, 공급 유닛(4)에서는, 제어 유닛(6)이 "에이징 테스트"를 선택하고, DC 전원(7b)으로부터 전력을 출력시킴과 함께 신호원(8)으로부터 에이징 테스트용 신호를 출력시킨다. 그리고, DC 전원(7b)으로부터 출력된 전력 및 신호원(8)으로부터 출력된 에이징 테스트용 신호는, 출력 회로(9)로부터 복수의 모듈(3)에 출력된다. 이로써, 액정 모듈용 캐리지(10)에 탑재된 복수의 모듈(3)에는, 에이징 테스트용의 패턴이 표시된다.
다음에, 랙(2)을 차례로 인출하고, 모든 모듈(3)의 표시 상태를 육안에 의해 확인한 후(스텝 S52), 이 모듈(3)이 탑재된 액정 모듈용 캐리지(10)를 고온 분위기중에 투입한다(스텝 S53). 그리고, 고온 분위기중에서, 공급 유닛(4)에 의해 자동으로 각 모듈에 표시되는 패턴을 변경하고(스텝 S54), 또한, 공급 유닛(4)에 의해 자동으로 각 모듈의 전원을 ON/OFF한다(스텝 S55). 그 후, 액정 모듈용 캐리지(10)를 고온 분위기중으로부터 취출하고(스텝 S56), 각 모듈(3)에, 스텝 S51로 표시시킨 패턴을 재차 표시시킨다(스텝 S57). 그리고, 랙(2)을 차례로 인출하고, 모든 모듈(3)의 표시 상태를 육안에 의해 확인하고 에이징 테스트를 종료한다(스텝 S58).
그 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검사를 실시한다(스텝 S6). 도 6은 표시 검사의 공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검사에 서는, 우선, 조작 패널(5)을 표시 검사 모드로 전환하고, 조작 패널(5)에 표시 검사 조건을 입력하고, 공급 유닛(4)으로부터 표시 검사용의 전력 및 신호를 출력시킴에 의해 각 모듈(3)에 표시 검사용 패턴을 표시시킨다(스텝 S61). 이때, 공급 유닛(4)에서는, 제어 유닛(6)이 "표시 검사"를 선택하고, DC 전원(7c)으로부터 전력을 출력시킴과 함께 신호원(8)으로부터 표시 검사용 신호를 출력시킨다. 그리고, DC 전원(7c)으로부터 출력된 전력 및 신호원(8)으로부터 출력된 표시 검사용 신호는, 출력 회로(9)로부터 복수의 모듈(3)에 출력된다. 이로써, 액정 모듈용 캐리지(10)에 탑재된 복수의 모듈(3)에는, 표시 검사용의 패턴이 표시된다.
다음에, 1개의 랙(2)을 인출하고, 그 랙(2)에 탑재되어 있는 모듈(3)의 표시 상태를 육안에 의해 확인하고(스텝 S62), 표시 상태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3). 그리고, 표시 상태가 정상인 경우는, 육안에 의해 전원 변동 검사를 실시하고(스텝 S64), 표시 상태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5). 그 결과, 표시 상태가 정상인 경우는, 수동으로 표시 반전 전환 등의 모드 검사를 행하고(스텝 S66), 그 동작이 정상인 경우는(스텝 S67), 랙(2)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고, 이 모듈(3)에 대한 표시 검사를 종료한다(스텝 S70). 한편, 스텝 S63, 스텝 S65 또는 스텝 S67에서는, 표시 상태 또는 동작이 "정상이 아니다"라고 판정된 경우는, 수동으로 불량 코드를 입력하고(스텝 S68), 수동으로 불량 위치의 좌표를 검출하고 보존한 후(스텝 S69), 랙(2)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고, 이 모듈(3)에 대한 표시 검사를 종료한다(스텝 S70). 전술한 스텝 S62 내지 S70의 작업을 모든 모듈(3)에 대해 실시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모듈(3)에 대해 표 시 검사의 작업이 종료된 후, 모듈(3)로부터 신호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을 떼어낸다(스텝 S7).
본 실시예의 액정 모듈용 캐리지(10)에서는, 랙(2)을 서랍식으로 하여 모듈(3)을 개별적으로 인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공급 유닛(4)에, 회로 조정용, 에이징 작업용 및 표시 검사용으로서 사양이 다른 3종류의 DC 전원(7a 내지 7c)을 마련함과 함께, 신호원(8)으로부터 회로 조정용 패턴 신호, 에이징 작업용 패턴 신호 및 표시 검사용 패턴 신호를 출력 가능하게 하고, 또한, 조작 패널(5)에 입력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6)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모듈(3)을 탈착하지 않고,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를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들의 작업에 있어서의 공정수, 작업 시간, 작업 인원 및 작업 스페이스를, 도 8에 도시한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고, 케이블의 탈착 회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모듈 커넥터의 파손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의 각 작업마다, 모듈에 다른 패턴을 표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각 작업마다 전용의 신호원을 준비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의 액정 모듈용 캐리지(10)의 공급 유닛(4)에 마련되어 있는 신호원(8)은, 작업별의 표시 패턴 편집 기능, 및 표시 패턴의 자동 및 수동 표시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작업 내용에 따른 신호를 모듈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턴의 고속 전환, 및 표시 검사시의 불량 좌표의 검출 및 보존·전송 기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공급 유닛(4)을 소형화할 수 있고, 캐리지 본체(1)의 하단 에 공급 유닛(4) 및 조작 패널(5)이 수납되고, 중단 및 상단에는 모듈(3)을 탑재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에이징용 캐리지에 비하여, 모듈(3)의 탑재 수를 약 1.5배로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향상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관한 액정 모듈용 캐리지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의 (A)는 본 실시예의 액정 모듈용 캐리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7의 (B)는 그 측면도이다. 도 7의 (A) 및 (B)에서는, 도 1의 (A) 및 (B)에 도시한 제 1의 실시예의 액정 모듈용 캐리지(10)의 구성 요소와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 모듈용 캐리지(20)는: 캐리지 본체(1)의 하단에, 캐리지 본체(1)의 상단에 탑재되어 있는 모듈(3)에 전력 및 신호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24a), 캐리지 본체(1)의 중단에 탑재되어 있는 모듈(3)에 전력 및 신호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24b)의 2개의 공급 유닛이 마련되어 있다. 이 공급 유닛(24a 및 24b)은 함께 조작 패널(5)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외부 전원 케이블(11)을 접속하기 위한 전원 입력 커넥터(12)를 공유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액정 모듈용 캐리지(20)에서는, 캐리지 본체(1)의 상단과 중단에서, 종류(사양)가 다른 모듈을 동시에,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이 액정 모듈용 캐리지(20)에서의 상기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전술한 제 1의 실시예의 액정 모듈용 캐리지(10)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그 동작, 즉, 액정 모듈용 캐리지(20)를 사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도, 조작 패널(5)에서 공급 유닛(24a 및 24b)의 각각에 관해 조건을 입력하는 이외는, 도 3 내지 6에 도시한 제 1의 실시예의 액정 모듈용 캐리지(10)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제 1 및 제 2의 실시예의 액정 모듈용 캐리지에서는, 조작 패널에 의해 작업 내용 및 작업 조건을 입력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조작 패널 대신에, 입력 유닛으로서 바코드 리더를 사용하고, 모듈에 붙인 바코드 라벨의 품명 실을 판독함에 의해, 작업별 및 모듈의 종류(사양)별의 조건 설정을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탑재된 액정 모듈을 개별적으로 인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입력 유닛에 입력된 작업 내용 및 작업 조건에 의거하여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선택하고, 선택된 작업의 전력 및 신호를 액정 모듈에 공급하는 출력 유닛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 모듈을 탈착하지 않고,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를 실시할 수 있고, 이들의 작업에 있어서의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모듈 커넥터의 파손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5)

  1. 이동 가능한 캐리지 본체와;
    복수의 액정 모듈을 탑재하고 이 액정 모듈을 개별적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모듈 탑재 유닛과;
    조작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 유닛과;
    상기 조작 데이터에 의거하여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선택하고, 선택된 작업에 대한 전력 및 신호를 상기 탑재 유닛에 탑재된 액정 모듈에 공급하는 신호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모듈용 캐리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공급 유닛은:
    회로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을 출력하는 제 1의 전원과;
    에이징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전력을 출력하는 제 2의 전원과;
    표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제 3의 전원과;
    회로 조정용 신호, 에이징 테스트용 신호 및 표시 검사용 신호 중에서 하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원과;
    상기 조작 데이터에 따라 회로 조정, 에이징 테스트 및 표시 검사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선택하고, 선택된 작업에 대한 전력을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의 전원으로부터 출력시키고 상기 신호원으로부터의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의 전원으로부터의 전력 및 상기 신호원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복수의 액정 모듈에 출력하는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모듈용 캐리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 유닛은 인출 가능한 복수의 랙을 가지며, 상기 랙 각각은 단일의 액정 모듈용의 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모듈용 캐리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은, 조작 패널 또는 바코드 리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모듈용 캐리지.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복수의 상기 출력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탑재 유닛은 사양이 다른 n종류의 액정 모듈용의 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모듈용 캐리지.
KR1020060027331A 2005-03-29 2006-03-27 액정 모듈용 캐리지 KR100810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95890 2005-03-29
JP2005095890A JP2006273141A (ja) 2005-03-29 2005-03-29 液晶モジュール用台車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461A true KR20060105461A (ko) 2006-10-11
KR100810307B1 KR100810307B1 (ko) 2008-03-04

Family

ID=3702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331A KR100810307B1 (ko) 2005-03-29 2006-03-27 액정 모듈용 캐리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36094B2 (ko)
JP (1) JP2006273141A (ko)
KR (1) KR100810307B1 (ko)
CN (1) CN1840402A (ko)
TW (1) TWI2962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66736B (zh) * 2008-04-25 2012-05-09 深超光电(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模组测试方法
KR101106592B1 (ko) * 2009-09-09 2012-01-20 이형수 운반대차
CN102530029A (zh) * 2012-03-07 2012-07-04 苏州优备精密电子有限公司 多功能的台车
KR101330416B1 (ko) 2012-04-25 2013-11-15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에이징 및 리프로그래밍 통합공정용 무빙랙
CN103454787B (zh) * 2012-05-31 2016-08-10 海洋王(东莞)照明科技有限公司 快速检测液晶显示屏液晶泄漏缺陷的方法
CN103852391A (zh) * 2012-11-28 2014-06-11 海洋王(东莞)照明科技有限公司 触摸屏耐磨性的测试方法以及测试系统
CN104297954A (zh) * 2014-09-16 2015-01-21 冀雅(廊坊)电子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模块加电老化试验装置
CN105699815B (zh) * 2016-03-08 2019-01-18 广州市丰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模组自动老化的检测方法及其检测系统
CN105788501B (zh) * 2016-05-20 2019-12-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老化测试装置、方法及显示装置
CN107416448A (zh) * 2017-08-24 2017-12-01 苏州优备精密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液晶面板自动老化设备
CN113960820B (zh) * 2021-09-24 2024-05-28 长沙迈斯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液晶屏老化试验的可移动台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316B1 (ko) * 1995-07-14 2001-06-01 히가시 데쓰로 Lcd 검사장치
KR19990035289A (ko) * 1997-10-31 1999-05-15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용 에이징 장치
US6486927B1 (en) * 1999-11-19 2002-11-26 De & T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test system
JP2002005977A (ja) 2000-06-20 2002-01-09 Nec Kagoshima Ltd 台車式エージング装置
JP4416924B2 (ja) 2000-07-04 2010-02-17 ヤマト科学株式会社 エージング用台車
JP2004130952A (ja) 2002-10-10 2004-04-30 Dainippon Printing Co Ltd 台車
JP4241421B2 (ja) * 2004-02-17 2009-03-1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液晶基板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29109A1 (en) 2007-10-04
TW200702227A (en) 2007-01-16
JP2006273141A (ja) 2006-10-12
KR100810307B1 (ko) 2008-03-04
CN1840402A (zh) 2006-10-04
TWI296247B (en) 2008-05-01
US7336094B2 (en) 2008-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307B1 (ko) 액정 모듈용 캐리지
DE19904264B4 (de) Herstellungssystem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 von Computersystemen in einer Umgebung zur bestellungsgemäßen Fertigung
US20110007146A1 (en) Substrate inspection device and substrate inspection method
US6831454B2 (en) Indexing device in semiconductor device hand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12038755A (ja) 基板印刷システム
KR20110035912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반송 방법
JP3377351B2 (ja) 電子部品実装機
US20180012351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mounting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4365391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検査装置とこれを利用したディスプレイパネル検査方法
JP4627936B2 (ja) 表示装置の検査装置、表示装置の検査システム
JP7055055B2 (ja) 作業補助装置
JP2009123902A (ja) 部品実装条件決定方法、部品実装条件決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39776B1 (ko) 피처리물을 검사하고 리페어하는 복합 장치
JP4880024B2 (ja) 半導体製造装置
JP6806372B2 (ja) 調光電源システム
CN103676246B (zh) 一种液晶面板线缺陷修复方法
JP2002005977A (ja) 台車式エージング装置
JP2009210519A (ja) 基板の目視検査支援装置
KR100423946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의 인덱스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CN102654699A (zh) 一种阵列基板及线缺陷维修方法
CN112118935B (zh) 加工时间分配模拟方法和模拟装置
JPH08229757A (ja) 自走式ワークセンター及びこれを用いた生産システム
JP2002204100A (ja) 部品搭載装置及び部品搭載方法
JP2004282045A (ja) 生産システム、生産方法及び設備調節方法
EP3594995A1 (en) Wafer fee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