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3705A - 코인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코인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3705A
KR20060093705A KR1020067006290A KR20067006290A KR20060093705A KR 20060093705 A KR20060093705 A KR 20060093705A KR 1020067006290 A KR1020067006290 A KR 1020067006290A KR 20067006290 A KR20067006290 A KR 20067006290A KR 20060093705 A KR20060093705 A KR 20060093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rotating body
locking
coins
initial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5206B1 (ko
Inventor
노부오 구로까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ublication of KR20060093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4Means for returning surplus or unused coi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4Coin chu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02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actuated mechanically by coins, e.g. by a single coin
    • G07F5/04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actuated mechanically by coins, e.g. by a single coin wherein two or more coins of the same denomination are required for each transa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코인 수납 매수를 바꿀 수 있고, 반환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서 코인을 반환시킬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한 코인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코인 선별 장치(1)의 장치 본체(2)는 상부에 코인 투입구(35)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36)가 형성되어, 내부에 핸들(250)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체(9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체(90)에는 코인 투입구(35)로부터 투입된 코인(C)을 복수매 포개어 수납 가능한 코인 수납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90)에는, 코인 수납부(135)의 코인 수납 매수를 바꾸는 절환 부재(1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코인 수납부(135)는 회전체(90)에 형성된 제1 코인 수납부(140)와, 절환 부재(150)에 형성된 제2 코인 수납부(154)로 이루어진다. 절환 부재(15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코인 수납부(154)가 제1 코인 수납부(140)와 포개어져 코인 수납부(135)를 구성하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코인 수납부(154)가 제1 코인 수납부(140)로부터 빠지게 되어, 제1 코인 수납부(140)로 코인 수납부(135)를 구성한다. 회전체(90)에는 코인 수납부(135)와 연통하여, 코인 배출구(36)로 코인(C)을 낙하시키는 코인 통로(143)가 형성되어 있다. 장치 본체(2)에는, 코인 수납부(135)와 코인 통로(143)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175)가 설치되어 있다. 구획 부재(175)는 회전체(90)의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코인 수납부(135) 내의 코인(C)이 코인 통로(143)로 낙하되는 것을 저지하고, 회전체(90)의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코인 수납부(135) 내의 코인(C)이 코인 통로(143)로 낙하되는 것을 저지하지 않아 코인 배출구(36)로부터 코인(C)이 배출된다.
코인, 코인 투입구, 회전체, 코인 수납부, 코인 배출구, 절환 부재, 코인 통로

Description

코인 선별 장치{COIN SELECTING APPARATUS}
본원 발명은 정규 코인이 투입구로부터 투입되면 회전체가 회전 가능해져 핸들을 조작할 수 있고, 부정 코인이 투입된 경우 또는 코인이 투입되지 않은 경우는 회전체가 회전 불가능해져 핸들을 조작할 수 없는 코인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코인 선별 장치는 캡슐 배출기 등의 물품 취출기에 조립되어 사용되어, 코인을 투입하여 핸들을 회전시키면, 장치 본체 내의 회전체가 회전하여, 그 회전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물품 취출기의 회전반이 캡슐 등의 물품을 취출구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코인 선별 장치는, 예컨대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6-3087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에 코인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핸들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체에는,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을 수납 가능한 코인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장치 본체에는 계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계지 부재는 탄성 부재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어,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보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회전 시에 회전체의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여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고,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회전 시에 정규 코인의 외주연이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체의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는 일없이 회전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코인 수납부의 코인을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코인 선별 장치는, 반환 버튼을 누름으로써, 코인 수납부에 수납된 코인을 반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종래의 코인 선별 장치는 코인 수납 매수를 변경할 수 없으므로, 이것이 조립되는 캡슐 배출기 등의 물품 취출기의 투입 금액을 변경할 수 없어, 상기 물품 취출 장치에 수용되는 물품은 언제나 같은 가격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코인 선별 장치는 코인을 반환시키는 위해 반환 버튼을 마련하고 있었으므로, 부품 개수가 많아져 구조가 복잡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고안해 낸 것으로, 코인 수납 매수를 바꿀 수 있는 코인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반환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코인을 반환시킬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한 코인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원 청구항 1에 기재된 코인 선별 장치는,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치 본체는 상부에 코인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핸들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에는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을 복수매 포개어 수납 가능한 코인 수납부가 형성되고, 장치 본체에는 코인의 매수에 대응한 복수의 계지 부재가 설치되고, 복수의 계지 부재는 각각 탄성 부재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어,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보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회전 시에 회전체의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여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고, 복수의 계지 부재는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회전 시에 각 정규 코인의 외주연이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체의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는 일없이 회전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코인 수납부의 복수의 코인을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인 선별 장치이며,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의 코인 수납 매수를 바꾸는 절환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코인 수납부는 회전체에 형성된 제1 코인 수납부와 절환 부재에 형성된 제2 코인 수납부로 이루어져, 절환 부재는 회전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코인 수납부가 회전체의 제1 코인 수납부와 포개어져 제2 코인 수납부와 제1 코인 수납부로 코인 수납부를 구성하고, 회전체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코인 수납부가 회전체의 제1 코인 수납부로부터 빠지게 되어, 제1 코인 수납부로 코인 수납부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2에 기재된 코인 선별 장치는,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절환 부재에는 제2 코인 수납부가 회전체의 제1 코인 수납부로부터 빠지게 되어, 회전체의 제1 코인 수납부로 코인 수납부를 구성하고 있을 때에, 회전체의 회전 시에 계지 부재와 미끄럼 접촉하여 계지 부재를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전체의 계지 모서리에 계지시키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3에 기재된 코인 선별 장치는,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회전체의 코인 수납부에는 결합 방향으로 압박된 결합 부재가 설치되고, 결합 부재는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과 두께가 다른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회전 시에 장치 본체의 일측과 결합하여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고,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는 경우, 반결합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체의 회전 시에 장치 본체의 일측과 결합하지 않고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4에 기재된 코인 선별 장치는,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회전체 및 절환 부재 중 한쪽에는 결합 볼록부 또는 결합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 및 절환 부재 중 다른 쪽에는 제1과 제2 결합 오목부 또는 제1과 제2 결합 볼록부가 형성되고, 절환 부재는 이것을 회전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코인 수납부를 회전체의 제1 코인 수납부에 포개어, 제2 코인 수납부와 제1 코인 수납부로 코인 수납부를 구성했을 때에, 결합 볼록부 또는 결합 오목부가 제1 결합 오목부 또는 제1 결합 볼록부와 결합하여 위치 결정되고, 이것을 회전체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코인 수납부를 회전체의 제1 코인 수납부로부터 빠지게 하여 제1 코인 수납부로 코인 수납부를 구성했을 때에, 결합 볼록부 또는 결합 오목부가 제2 결합 오목부 또는 제2 결합 볼록부와 결합하여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5에 기재된 코인 선별 장치는,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치 본체는 상부에 코인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핸들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에는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을 복수매 포개어 수납 가능한 코인 수납부가 형성되고, 장치 본체에는 코인의 매수에 대응한 복수의 계지 부재가 설치되고, 복수의 계지 부재는 각각 탄성 부재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어,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보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회전 시에 회전체의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여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고, 복수의 계지 부재는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회전 시에 각 정규 코인의 외주연이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체의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는 일없이 회전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코인 수납부의 복수의 코인을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인 선별 장치이며, 상기 회전체의 코인 수납부에는 코인 수납 매수를 변경하는 변경 부재를 부착하는 부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변경 부재는 장치 본체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6에 기재된 코인 선별 장치는,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치 본체는 상부에 코인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 및 코인 반환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핸들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는 코인 수납부를 갖고,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는 초기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어, 장치 본체에는 제1 계지 부재가 제1 탄성 부재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어 마련되고, 제1 계지 부재는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보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회전체의 제1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여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고, 제1 계지 부재는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정규 코인의 외주연이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체의 제1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는 일없이 회전체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을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인 선별 장치이며, 회전체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와 연통하여, 코인 반환구로 코인을 낙하시키는 코인 통로가 형성되고, 장치 본체에는 코인 수납부와 코인 통로의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가 설치되고, 구획 부재는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코인 수납부와 코인 통로의 사이를 구획하여,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이 코인 통로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하고,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코인 수납부와 코인 통로의 사이를 구획하지 않게 되어,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이 코인 통로로 낙하하여 코인 반환구로부터 반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7에 기재된 코인 선별 장치는,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치 본체는 상부에 코인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 및 코인 반환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핸들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는 코인 수납부를 갖고,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는 초기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어, 장치 본체에는 제1 계지 부재가 제1 탄성 부재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어 마련되고, 제1 계지 부재는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보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회전체의 제1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여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고, 제1 계지 부재는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정규 코인의 외주연이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체의 제1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는 일없이 회전체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을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인 선별 장치이며, 회전체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와 연통하여, 코인 반환구로 코인을 낙하시키는 코인 통로가 형성되고, 또한 코인 수납부와 코인 통로의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가 설치되고, 구획 부재는 코인의 낙하를 저지하는 구획 위치와, 코인의 낙하를 저지하지 않는 비구획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제4 탄성 부재에 의해 구획 위치 측으로 압박되고 있어, 장치 본체에는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구획 위치의 구획 부재와 결합하지 않아,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이 코인 통로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하고,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구획 위치의 구획 부재와 결합하여 구획 부재를 제4 탄성 부재의 탄성에 저항하여 비구획 위치로 이동시켜,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을 코인 통로로 낙하시켜, 코인 반환구로부터 코인을 반환시키는 결합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8에 기재된 코인 선별 장치는,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치 본체는 상부에 코인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 및 코인 반환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핸들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는 코인 수납부를 갖고,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는 초기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어, 장치 본체에는 제1 계지 부재가 제1 탄성 부재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어 마련되고, 제1 계지 부재는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보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회전체의 제1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여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고, 제1 계지 부재는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정규 코인의 외주연이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체의 제1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는 일없이 회전체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을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인 선별 장치이며, 회전체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와 연통하여, 코인 반환구로 코인을 낙하시키는 코인 통로가 형성되고, 또한 코인 수납부와 코인 통로의 사이에 한 쌍의 코인 스토퍼가 마련되고, 한 쌍의 코인 스토퍼는 코인의 낙하를 저지하는 폐쇄하는 위치와, 코인의 낙하를 저지하지 않는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제4 탄성 부재에 의해 폐쇄되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어, 장치 본체에는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폐쇄된 상태의 한 쌍의 코인 스토퍼와 결합하지 않아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이 코인 통로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하고,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폐쇄된 상태의 한 쌍의 코인 스토퍼와 결합하여 한 쌍의 코인 스토퍼를 제4 탄성 부재의 탄성에 저항하여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을 코인 통로로 낙하시켜, 코인 반환구로부터 코인을 반환시키는 결합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9에 기재된 코인 선별 장치는,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치 본체에는 제2 계지 부재가 제2 탄성 부재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어 마련되고, 제2 계지 부재는 회전체를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을 코인 통로로 낙하시킨 후에, 회전체의 제2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여 회전체의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10에 기재된 코인 선별 장치는,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치 본체에는 상기 회전체를 초기 위치에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이 마련되고, 위치 결정 수단이 회전체 또는 회전체의 대략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에 형성된 피결합부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와, 결합 부재를 결합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3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본원 청구항 11에 기재된 코인 선별 장치는,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부에 코인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 및 코인 반환구가 형성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회전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체 내로 돌출한 구획 부재와, 상기 회전체의 외측 모서리에 마련된 개구와, 상기 회전체에 마련되어, 일단부는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코인 수납부이며, 타단부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구획 부재와 대향하는 상태와 대향하지 않는 상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 코인 수납부와, 상기 회전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인 수납부의 타단부와 일단부에 의해 연통하고, 타단부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외부에 연통하는 코인 통로이며, 상기 코인 수납부와 둔각이 되도록 형성된 상기 코인 통로를 갖고, 상기 회전체가 상기 장치 본체의 코인 투입구와 상기 개구가 대향하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구획 부재가 상기 코인 수납부의 타단부와 대향하는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은 상기 코인 통로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됨으로써, 상기 코인 수납부에 보유 지지되어, 상기 회전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되었을 때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에 보유 지지된 코인은 자중에 의해 상기 개구를 거쳐서 상기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회전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의 타단부가 상기 구획 부재와 대향하지 않는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코인 수납부에 보유 지지된 코인은 상기 코인 통로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코인 통로를 거쳐서 상기 코인 반환구로부터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12에 기재된 코인 선별 장치는,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부에 코인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 및 코인 반환구가 형성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측 모서리에 마련된 개구와, 상기 회전체에 마련되어, 일단부가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코인 수납부와, 상기 회전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인 수납부의 타단부와 일단부에 의해 연통하고, 타단부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외부에 연통하는 코인 통로와, 상기 회전체에 마련된 코인 수납부와 코인 통로의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이며, 코인의 낙하를 저지하는 구획 위치와, 코인의 낙하를 저지하지 않는 비구획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제4 탄성 부재에 의해 구획 위치 측으로 압박된 구획 부재와,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어,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구획 위치의 구획 부재와 결합하지 않아,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이 코인 통로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하고,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구획 위치의 구획 부재와 결합하여 구획 부재를 제4 탄성 부재의 탄성에 저항하여 비구획 위치로 이동시켜,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을 코인 통로로 낙하시켜, 코인 반환구로부터 코인을 반환시키는 결합 부재를 갖고, 상기 회전체가 상기 장치 본체의 코인 투입구와 상기 개구가 대향하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구획 부재가 상기 결합 부재와 결합하지 않고 구획 위치에 있음으로써, 상기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은 상기 코인 통로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됨으로써, 상기 코인 수납부에 보유 지지되고, 상기 회전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되었을 때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에 보유 지지된 코인은 자중에 의해 상기 개구를 거쳐서 상기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회전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구획 부재가 상기 결합 부재와 결합하여 비구획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코인 수납부에 보유 지지된 코인은 상기 코인 통로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자중에 의해 상기 코인 통로를 거쳐서 상기 코인 반환구로부터 반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13에 기재된 코인 선별 장치는,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부에 코인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 및 코인 반환구가 형성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측 모서리에 마련된 개구와, 상기 회전체에 마련되어, 일단부가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코인 수납부와, 상기 회전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인 수납부의 타단부와 일단부에 의해 연통하고, 타단부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외부에 연통하는 코인 통로와, 상기 회전체에 마련된 코인 수납부와 코인 통로의 사이를 폐쇄하는 한 쌍의 코인 스토퍼이며, 코인의 낙하를 저지하는 폐쇄하는 위치와, 코인의 낙하를 저지하지 않는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제4 탄성 부재에 의해 폐쇄되는 방향으로 압박된 한 쌍의 코인 스토퍼와,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어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폐쇄된 상태의 한 쌍의 코인 스토퍼와 결합하지 않아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이 코인 통로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하고,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폐쇄된 상태의 한 쌍의 코인 스토퍼와 결합하여 한 쌍의 코인 스토퍼를 제4 탄성 부재의 탄성에 저항하여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을 코인 통로로 낙하시켜, 코인 반환구로부터 코인을 반환시키는 결합 부재를 갖고, 상기 회전체가 상기 장치 본체의 코인 투입구와 상기 개구가 대향하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코인 스토퍼가 상기 결합 부재와 결합하지 않고 폐쇄되는 위치에 있음으로써 상기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은 상기 코인 통로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됨으로써, 상기 코인 수납부에 보유 지지되고, 상기 회전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되었을 때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에 보유 지지된 코인은 자중에 의해 상기 개구를 거쳐서 상기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회전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코인 스토퍼가 상기 결합 부재와 결합하여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코인 수납부에 보유 지지된 코인은 상기 코인 통로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코인 통로를 거쳐서 상기 코인 반환구로부터 반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1은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2는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의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의 회전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의 회전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6은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의 회전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7은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의 덮개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8은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덮개 부재를 제거한 정면도이다.
도9는 회전체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계지 부재에 의해 저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0은 계지 부재의 계지를 코인이 해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 다.
도11은 회전체가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120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2는 회전체가 코인을 배출구로 낙하시키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3은 회전체가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270°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4는 회전체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계지 부재에 의해 저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5는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한쪽으로부터 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16은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다른 쪽으로부터 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17은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18은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의 회전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9는 회전체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계지 부재에 의해 저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0은 코인이 회전체의 코인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1은 계지 부재의 계지를 코인이 해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 다.
도22는 회전체가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120°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3은 회전체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계지 부재에 의해 저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코인 선별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인 선별 장치(1)의 장치 본체(2)는 상부에 코인 투입구(35)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36)가 형성되어, 내부에 핸들(250)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체(9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체(90)에는 코인 투입구(35)로부터 투입된 코인(C)을 수용하는 개구(85)와, 상기 개구(85)와 일단부에 의해 연통한 복수매 포개어 수납 가능한 코인 수납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장치 본체(2)에는 코인(C)의 매수에 대응한 복수의 계지 부재(41 내지 44)가 설치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계지 부재(41 내지 44)는 각각 탄성 부재(50)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고, 정규 코인(C)이 코인 수납부(135)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보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135)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90)의 회전 시에 회전체(90)의 계지 모서리(116)를 계지하여 회전체(90)의 회전을 저지한다. 또한, 복수의 계지 부재(41 내지 44)는 정규 코인(C)이 코인 수납부(135)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90)의 회전 시에 각 정규 코인(C)의 외주연이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체(90)의 계지 모서리(116)를 계지하는 일없이 회전체(9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코인 수납부(135)의 복수의 코인(C)을 코인 배출구(36)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90)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135)의 코인 수납 매수를 바꾸는 절환 부재(1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코인 수납부(135)는, 회전체(90)에 형성된 제1 코인 수납부(140)와, 절환 부재(150)에 형성된 제2 코인 수납부(154)로 이루어진다. 절환 부재(150)는 회전체(90)에 대하여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코인 수납부(154)가 회전체(90)의 제1 코인 수납부(140)와 포개어져, 제2 코인 수납부(154)와 제1 코인 수납부(140)로 코인 수납부(135)를 구성하고, 회전체(90)에 대하여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코인 수납부(154)가 회전체(90)의 제1 코인 수납부(140)로부터 빠지게 되어, 제1 코인 수납부(140)로 코인 수납부(135)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절환 부재(150)에는 제2 코인 수납부(154)가 회전체(90)의 제1 코인 수납부(140)로부터 빠지게 되어, 회전체(90)의 제1 코인 수납부(140)로 코인 수납부(135)를 구성하고 있을 때에, 회전체(90)의 회전 시에 계지 부재(41 내지 44)와 미끄럼 접촉하여 계지 부재(41 내지 44)를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전체(90)의 계지 모서리(116)에 계지시키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 모서리(16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90)의 코인 수납부(135)에는, 결합 방향으로 압박된 결합 부재(100)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 부재(100)는 정규 코인(C)이 코인 수납부(135)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C)과 두께가 다른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135)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90)의 회전 시에 장치 본체(2)의 일측(6)과 결합하여 회전체(90)의 회전을 저지한다. 결합 부재(100)는 정규 코인(C)이 코인 수납부(135)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는 경우, 반결합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체(90)의 회전 시에 장치 본체(2)의 일측(6)과 결합하지 않아 회전체(90)의 회전을 저지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90) 및 절환 부재(150) 중 한쪽에는, 결합 볼록부(128) 또는 결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90) 및 절환 부재(150) 중 다른 쪽에는, 제1과 제2 결합 오목부(166, 167) 또는 제1과 제2 결합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절환 부재(150)는, 이것을 회전체(90)에 대하여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코인 수납부(154)를 회전체(90)의 제1 코인 수납부(140)에 포개어, 제2 코인 수납부(154)와 제1 코인 수납부(140)로 코인 수납부(135)를 구성했을 때에, 결합 볼록부(128) 또는 결합 오목부가 제1 결합 오목부(166) 또는 제1 결합 볼록부와 결합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다. 절환 부재(150)는, 이것을 회전체(90)에 대하여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코인 수납부(154)를 회전체(90)의 제1 코인 수납부(140)로부터 빠지게 하여 제1 코인 수납부(140)로 코인 수납부(135)를 구성했을 때에, 결합 볼록부(128) 또는 결합 오목부가 제2 결합 오목부(167) 또는 제2 결합 볼록부와 결합하여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장치 본체(2)는 상부에 코인 투입구(35)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36)가 형성되어, 내부에 핸들(250)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체(9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체(90)는 코인 수납부(135)를 갖고, 코인 투입구(35)로부터 투입된 코인(C)이 코인 수납부(135)에 수납되는 초기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 장치 본체(2)에는 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가 제1 탄성 부재(50)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는, 코인(C)이 코인 수납부(135)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C)보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135)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90)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회전체(90)의 제1 계지 모서리(116)를 계지하여 회전체(90)의 회전을 저지한다. 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는 정규 코인(C)이 코인 수납부(135)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90)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정규 코인(C)의 외주연이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체(90)의 제1 계지 모서리(116)를 계지하는 일없이 회전체(90)의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코인 수납부(135) 내의 코인(C)을 코인 배출구(36)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체(90)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135)와 연통하여, 코인 배출구(36)로 코인(C)을 낙하시키는 코인 통로(143)가 형성되어 있다. 장치 본체(2)에는 코인 수납부(135)와 코인 통로(143)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175)가 설치되어 있다. 구획 부재(175)는 회전체(90)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코인 수납부(135) 내의 코인(C)이 코인 통로(143)로 낙하되는 것을 저지한다. 구획 부재(175)는 회전체(90)의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코인 수납부(135) 내의 코인(C)이 코인 통로(143)로 낙하되 는 것을 저지하지 않아, 코인 배출구(36)로부터 코인(C)이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장치 본체(2)에는 제2 계지 부재(62)가 제2 탄성 부재(63)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2 계지 부재(62)는 회전체(90)를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코인 수납부(135) 내의 코인(C)을 코인 통로(143)로 낙하시킨 후에, 회전체(90)의 제2 계지 모서리(117)를 계지하여 회전체(90)의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장치 본체(2)에는 상기 회전체(90)를 초기 위치에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240)이 마련되어 있다. 위치 결정 수단(240)은, 회전체(90) 또는 회전체(90)의 대략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225)에 형성된 피결합부(230)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231)와, 결합 부재(231)를 결합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3 탄성 부재(241)로 이루어진다.
또한, 코인 선별 장치(1)는 상부에 코인 투입구(35)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81) 및 코인 반환구(82)가 형성된 장치 본체(2)와, 상기 장치 본체(2)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회전체(90)와, 상기 장치 본체(2)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체(90) 내로 돌출한 구획 부재(175)와, 상기 회전체(90)의 외측 모서리에 마련된 개구(85)와, 상기 회전체(90)에 마련되어, 일단부(136)는 상기 개구(85)와 연통하는 코인 수납부(135)이며, 타단부(137)가 상기 회전체(9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구획 부재(175)와 대향하는 상태와 대향하지 않는 상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 코인 수납부(135)와, 상기 회전체(90)에 마련되어, 상기 코인 수납부(135)의 타단부(137)와 일단부(138)에 의해 연통하고, 타단부(139)에 의해 상기 회전체(90)의 외부에 연통하는 코인 통로(143)이며, 상기 코인 수납부(135)와 둔각이 되도록 형성된 상기 코인 통로(143)를 갖는다.
코인 선별 장치(1)는 상기 회전체(90)가 상기 장치 본체(2)의 코인 투입구(35)와 상기 개구(85)가 대향하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구획 부재(175)가 상기 코인 수납부(135)의 타단부(137)와 대향하는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코인 투입구(35)로부터 투입된 코인(C)은 상기 코인 통로(143)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됨으로써, 상기 코인 수납부(135)에 보유 지지된다. 코인 선별 장치(1)는 상기 회전체(90)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되었을 때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135)에 보유 지지된 코인(C)은 자중에 의해 상기 개구(85)를 거쳐서 상기 코인 배출구(81)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회전체(90)가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135)의 타단부(137)가 상기 구획 부재(175)와 대향하지 않는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코인 수납부(135)에 보유 지지된 코인(C)은 상기 코인 통로(143)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코인 통로(143)를 거쳐서 상기 코인 반환구(82)로부터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인 선별 장치(1)는 직사각형 모양의 상자형으로 형성된 장치 본체(2)를 갖는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는 케이스(3)와, 케이스(3)의 후방부에 나사 등의 고정 수단(5) 에 의해 부착되는 덮개 부재(170)로 이루어져, 내부에 회전체(90)가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3)는 전방 벽(11)과, 전방 벽(1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벽(12)과, 전방 벽(11)의 좌측부에 형성된 좌측 벽(13)과, 전방 벽(11)의 우측부에 형성된 우측 벽(14)을 갖고, 하부 및 후방부가 개방되어 있다. 케이스(3)의 후방부 개방부(3a)는 상기한 덮개 부재(170)에 의해 덮혀 케이스(3)의 하부 개방부(3b)는 코인 배출구(36)를 형성한다. 상부 벽(12)과 좌측 벽(13)과 우측 벽(14)의 전후 방향의 높이는 대략 같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방 벽(11)의 내면(15)에는 원형의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원형의 오목부(16)는 바닥면(17)과, 바닥면(17)의 주위에 형성된 측면(19)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17)은 대략 중심에 베어링 구멍(20)이 형성되고, 또한 베어링 구멍(20)을 중심으로 하여 링 형상의 오목 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벽(11)의 내면(15)에는, 반원형의 제1 안내 벽(25)과 직선형의 제2 안내 벽(26)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안내 벽(25)은 하부 개방부(3b)에 위치하는 우측 하단부(27)로부터 원형의 오목부(16)의 주연부를 따른 형태로 마련되어, 내면(15)의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의 원형의 오목부(16)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단부(28)에 의해, 제2 안내 벽(26)의 상단부(20)와 연접하고 있다(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우측」,「좌측」은 모두 내면(15)의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의「우측」,「좌측」을 가리키는 것으로 함). 제2 안내 벽(26)은 하단부(31)가 좌측 벽(13)의 하단부에 연접하고 있다. 케이스(3)는 제1 안내 벽(25)과 제2 안내 벽(26)에 의해, 회전체(90)를 수납하는 수납실(29)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벽(12)의 대략 중앙에는, 대략 역 ㄷ자형의 절결부(33)에 의해, 케이스(3) 내와 연통하는 코인 투입구(35)가 형성되어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안내 벽(25) 상의 좌측 상부 부분에는 절취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케이스(3)의 상부 벽(12) 근방에는, 상부 벽(12)과 좌측 벽(13)과 제1 안내 벽(25)에 의해 둘러싸인 상부 오목부(4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오목부(40)는 상기 절취부(38)에 의해 수납실(29)과 연통하고 있다. 또, 상기 상부 오목부(40)에는, 4매의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와, 각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를 각각 압박하는 제1 탄성 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는 가늘고 긴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단부에 축부(45)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결합 모서리(46)가 형성되고, 상단부의 수납실(29) 측에 계지 돌기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탄성 부재(50)는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어, 하부(55)가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상부가 4개로 분리되어 4개의 탄성 부재(51 내지 54)가 형성되어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오목부(40) 내이며, 절취부(38)의 아래 쪽 위치에는, 대략 C자형의 베어링부(57)와 대략 U자형의 삽입 홈(5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는 포개어져, 축부(45)가 베어링부(5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50)는, 대략 U자형의 하부(55)가 삽입 홈(59)에 삽입되어 부착되고, 4개의 탄성 부재(51 내지 54)가 각각 개개에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에 접촉하여,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를 케이스(3)의 내측을 향해 압박한다. 제1 탄성 부재(50)에 의해 압박된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는, 결합 모서리(46)가 절취부(38)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39)에 접촉하여, 계지 돌기부(47)가 절취부(38)로부터 수납실(29) 내로 돌출한다.
제1 안내 벽(25)의 오른 쪽 하단부(27) 근방에는 절취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벽(11)의 내면(15)이며, 하부 개방부(3b) 근방에는 우측 벽(14)과 상기 제1 안내 벽(25)에 의해 둘러싸인 하부 오목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오목부(61)는 상기 절취부(60)에 의해 수납실(29)과 연통하고 있다. 또, 상기 하부 오목부(61)에는, 1매의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62)와,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62)를 압박하는 제2 탄성 부재(63)가 설치되어 있다.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62)는 가늘고 긴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축부(65)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결합 모서리(66)가 형성되어, 상단부의 수납실(29) 측의 하방에 계지 돌기부(67)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탄성 부재(63)는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어, 하부(69)가 대략 U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오목부(61) 내이며, 절취부(60)의 아래 쪽 위치에는 대략 C자형의 베어링부(70)와 대략 U자형의 삽입 홈(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62)는, 축부(65)가 베어링부(7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2 탄성 부재(63)는 하부(69)가 삽입 홈(71)에 삽입되어 부착되고, 상부(68)가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62)에 접촉하여 케이스(3)의 내측을 향해 압박한다. 제2 탄성 부재(63)에 의해 압박된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 )(62)는, 결합 모서리(66)가 절취부(6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72)에 접촉하여, 계지 돌기부(67)가 절취부(60)로부터 수납실(29) 내로 돌출한다.
상기 원형의 오목부(16)의 측면(19)에는, 제1 안내 홈(75)과 제2 안내 홈(7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안내 홈(75)은 상기 절취부(38)의 하단부로부터 하부 개방부(3b) 근방까지 형성되어 있다. 제2 안내 홈(76)은 코인 투입구(35)로부터 절취부(60)의 상단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개방부(3b)는 전방 벽(11)의 내면(15)으로 돌출 설치된 핀(79)에 의해, 제1 배출구(코인 배출구)(81)와 제2 배출구(코인 반환구)(82)로 나누어져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90)는 원판형의 기판(91)과, 기판(91)의 표면(91a)[전방 벽(11)의 내면(15)과 접촉하지 않는 면]에 마련된 우측 안내 부재(92) 및 좌측 안내 부재(93)와, 기판(91)의 이면(91b) 대략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94)을 갖는다. 기판(91)은 상기 케이스(3)의 오목부(16)를 형성하는 측면(19)의 깊이와 대략 같은 정도의 두께에 의해 형성되어, 우측 안내 부재(92)와 좌측 안내 부재(93)와의 사이에 기판(9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돌기(95)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95)는, 좌우 양측에 기판(91)의 안쪽으로 절결된 절삭 홈(96, 96)을 갖고, 상단부(97)가 기판(91)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돌기(95)는 상단부(97)로부터 하방을 향해 대략 역 ㄷ자형의 절결부(99)가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99)에 결합 부재(100)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 부재(100)는 하부에 피봇 축(101)이 마련되고, 피봇 축(101)의 양측이 절결부(99)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베어링 오목부(102, 102)에 지지되어 있다. 기 판(91)의 이면(91b)에는, 절결부(99)를 막는 고정판(103)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고정판(103)에는 고정판(103)의 이면(104)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통(105)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부재(100)는 상부 이면에, 가이드 통(105) 내에 삽입 관통하여 안내되는 가이드 축(106)이 마련되고, 가이드 축(106)에 권취 장착된 스프링형의 탄성 부재(107)에 의해, 결합 부재(100)의 상단부(109)가 기판(91)의 표면(91a)보다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압박되어 있다.
우측 안내 부재(92)는 상기 돌기(95)의 우측 모서리와 대략 평행하게 마련된 우측 상부 가이드 면(110)과, 우측 상부 가이드 면(110)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연접된 우측 만곡면(111)과, 우측 만곡면(111)의 하단부에 좌단부가 연접된 우측 하부 가이드 면(112)과, 우측 하부 가이드 면(112)의 우단부와 우측 상부 가이드 면(11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우측 외주면(113)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 외주면(113)은 기판(91)과 대략 같은 반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 외주면(113)의 상단부로부터 우측 외주면(113)의 대략 절반까지는, 기판(91)의 외주 모서리를 따라서 만곡하여, 기판(91)의 외주연보다 외측으로 돌출한 스토퍼 부재(1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115)는, 상단부에 제1 계지 모서리(116)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제2 계지 모서리(117)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안내 부재(93)는 상기 돌기(95)의 좌측 모서리와 대략 평행하게 마련된 좌측 상부 가이드 면(120)과, 좌측 상부 가이드 면(120)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연접된 좌측 만곡면(121)과, 좌측 만곡면(121)의 하단부에 좌단부가 연접된 좌측 하부 가이드 면(122)과, 좌측 하부 가이드 면(122)의 우단부와 좌측 상부 가이드 면 (12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좌측 외주면(123)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 외주면(123)은 기판(91)과 대략 같은 반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 안내 부재(93)는, 결합 단차부(130)에 의해 상부(131)와 하부(132)로 구획되어 있다. 좌측 안내 부재(93)의 상부(131)의 전후 방향의 높이는, 상기 우측 안내 부재(92)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좌측 안내 부재(93)의 상부(131)와 우측 안내 부재(92)의 전후 방향의 높이는, 대략 코인 2매분의 두께로 설정되어 있다. 좌측 안내 부재(93)의 하부(132)의 전후 방향의 높이는 상부(131)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좌측 안내 부재(93)의 상부(131)에는, 대략 역 ㄷ자형의 절결부(125)에 의해 결합 부재(126)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부재(126)는 일단부가 기판(91)에 연결된 가요 부재(127)와, 가요 부재(127)의 타단부에 마련된 결합 볼록부(128)로 이루어진다. 결합 볼록부(128)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측 안내 부재(93)의 상부(131)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회전체(90)는 우측 안내 부재(92)의 우측 상부 가이드 면(110)과 좌측 안내 부재(93)의 좌측 상부 가이드 면(120)에 의해, 제1 코인 수납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측 안내 부재(92)의 우측 상부 가이드 면(110)과 좌측 안내 부재(93)의 좌측 상부 가이드 면(120)의 간격은 코인(C)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90)는 우측 안내 부재(92)의 우측 만곡면(111)과 좌측 안내 부재(93)의 좌측 만곡면(121)에 의해, 제1 코인 통로(1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90)는 우측 안내 부재(92)의 우측 하부 가이드 면(112)과 좌측 안내 부재(93)의 좌측 하부 가이드 면(122)에 의해, 제2 코인 통로(142)가 형성되어 있 다. 제1 코인 통로(141)와 제2 코인 통로(142)에 의해, 제1 코인 수납부(140)와 연통하는 대략 L자형의 코인 통로(143)가 형성된다. 제1 코인 수납부(140)는 상단부(일단부)(136)가 회전체(90)의 외측 모서리에 마련된 개구(85)와 연통하고, 하단부(타단부)(137)가 제1 코인 통로(141)의 상단부(일단부)(138)와 연통한다. 제2 코인 통로(142)의 하단부(타단부)(139)는 회전체(90)의 외부에 연통하고 있다. 이 제2 코인 통로(142)는 제1 코인 수납부(140)와 둔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91)의 표면(91a)의 우측 만곡면(111), 좌측 만곡면(121)의 근방에는 부착 부재(147, 14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착 부재(147, 147)는 나사 등의 고정 수단(149, 149)에 의해 기판(91)에 고정된 바닥 벽(147a)과, 상기 바닥 벽(147a)과 대략 직각으로 형성된 수직 벽(147b)으로 구성되어 있고,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부착 부재(147, 147)는 기판(91)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 위치가 되도록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서로의 수직 벽(147b, 147b) 사이의 거리는, 코인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코인 통로(141)는 코인(C)의 통과를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직 벽(147b)의 높이는, 적어도 코인 4매분의 두께보다도 높게 형성되어 있다. 부착 부재(147, 147)의 수직 벽(147b, 147b)의 상단부에는 원판형의 부착판(146)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부착판(146)에는 상기 회전축(94)과 대략 동일 축심이 되는 중심축(145)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체(90)의 주위벽에는, 상기 케이스(3)의 오목부(16)의 측면(19)에 형성된 제1 안내 홈(75)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가이드 부재(148)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회전체(90)에는 절환 부재(1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환 부재(150)는 가이드 링(151)을 갖고, 가이드 링(151)의 이면(153)에는 가이드 링의 외측으로 돌출한 부채형의 우측 가이드 부재(155)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가이드 부재(155)는, 가이드 링(151)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가이드 링(151)의 지름 방향과 대략 평행한 우측 상부 가이드 면(156)과, 우측 상부 가이드 면(156)의 하단부[가이드 링(151)과 접속하고 있는 단부]에 상단부가 연접되어, 가이드 링(151)과 대략 같은 반경의 우측 만곡면(157)과, 우측 만곡면(157)의 하단부로부터 가이드 링(151)의 외측으로 돌출한 우측 하부 가이드 면(158)과, 우측 하부 가이드 면(158)의 우단부[가이드 링(151)과 접속되어 있지 않은 단부]와 우측 상부 가이드 면(156)의 상단부[가이드 링(151)과 접속되어 있지 않은 단부]를 연결하는 우측 외주면(159)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 외주면(159)은 기판(91)과 대략 같은 반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 가이드 부재(155)의 두께는, 대략 코인 2매분의 두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링(151) 상의 우측 상부 가이드 면(156)으로부터 코인의 지름보다 약간 큰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로부터는, 우측 상부 가이드 면(156)과 대략 평행하게 좌측 상부 가이드 면(161)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좌측 상부 가이드 면(161)과, 좌측 상부 가이드 면(161)의 하단부[가이드 링(151)과 접속하고 있는 단부]에 상단부가 연접된 가이드 링(151)과 대략 같은 반경의 좌측 만곡면(162)과, 좌측 만곡면(162)의 하단부에 우단부가 연접되어, 가이드 링(151)의 외측으로 돌출한 좌측 하부 가이드 면(163)과, 좌측 하부 가이드 면(163)의 좌단부[가이드 링 (151)과 접속되어 있지 않은 단부]와 좌측 상부 가이드 면(161)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좌측 외주면(165)으로, 좌측 가이드 부재(160)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외주면(165)은 기판(91)과 대략 같은 반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 가이드 부재(160)에는, 상기 회전체(90)의 결합 볼록부(128)와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결합 오목부(166)와 제2 결합 오목부(167)가 상하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 오목부(166)와 제2 결합 오목부(167)는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 가이드 부재(160)는 코인(C)과 대략 같은 외경의 가이드 모서리(168)가 제1 결합 오목부(166)와 대략 같은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좌측 가이드 부재(160)는 제1 결합 오목부(166)와 제2 결합 오목부(167) 사이의 외경(169)이 좌측 외주면(165)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절환 부재(150)는 상기 우측 상부 가이드 면(156)과 상기 좌측 상부 가이드 면(161)에 의해 제2 코인 수납부(154)가 형성된다.
절환 부재(150)는 회전체(9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제1 결합 오목부(166)가 상기 회전체(90)의 결합 볼록부(128)에 결합하고 있는 경우에는, 우측 가이드 부재(155)의 우측 상부 가이드 면(156)이 우측 안내 부재(92)의 우측 상부 가이드 면(110)과 대략 같은 면을 형성하고, 좌측 가이드 부재(160)의 좌측 상부 가이드 면(161)이 좌측 안내 부재(93)의 좌측 상부 가이드 면(120)과 대략 같은 면을 형성한다. 즉, 회전체(90)에 형성된 제1 코인 수납부(140)와, 절환 부재(150)에 형성된 제2 코인 수납부(154)가 포개어져, 제2 코인 수납부(154)와 제1 코인 수납부(140)로 코인 수납부(135)를 구성한다. 우측 가이드 부재(155)의 우측 외주면 (159)은 회전체(90)의 만곡한 스토퍼 부재(115) 내면으로 안내되고 있다.
제2 결합 오목부(167)가 상기 회전체(90)의 결합 볼록부(128)에 결합하고 있는 경우에는, 좌측 가이드 부재(160)가 제1 코인 수납부(140)를 막게 된다. 즉, 제2 코인 수납부(154)가 회전체(90)의 제1 코인 수납부(140)로부터 빠지게 되어, 제1 코인 수납부(140)로 코인 수납부(135)를 구성한다. 좌측 가이드 부재(160)의 가이드 모서리(168)가, 제1 코인 수납부(140)에 수납되는 코인(C)의 외주연과 겹치되록 되어 있다. 좌측 가이드 부재(160)의 좌측 외주면(165)은, 회전체(90)의 만곡한 스토퍼 부재(115) 내면으로 안내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70)는 상기 절환 부재(150)의 가이드 링(151)을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는 오목부(171)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71)는 가이드 링(151)의 외주면(152)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링 형상의 측면(172)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71)의 중심에는, 상기 회전체(90)의 중심축(145)을 삽입 관통하는 삽통 구멍(173)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71)에는, 가이드 링(151)의 안쪽에서 회전체(90)의 내면까지 돌출하고, 제1 코인 수납부(140)와 제1 코인 통로(141)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175)가 설치되어 있다. 구획 부재(175)는 만곡하여 형성되어, 코인 투입구(35)와 제1 코인 수납부(140)가 대향하도록 회전체(90)를 케이스(3)에 대하여 위치시켰을 때에, 제1 코인 수납부(140)의 하부의 대략 좌측 절반을 막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코인 수납부(140)에 수납된 코인은 구획 부재(175)에 의해 제1 코인 통로(141)에의 진입이 방해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 코인 수납부(140)는 상기 타단부(137)가 회전체(90)의 회전에 따라서 구획 부재(175)와 대향하는 상태와 대향하지 않는 상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덮개 부재(170)는 코인 수납부(135)와 대향하는 상부에, 역 ㄷ자형의 절결부(180)가 형성되고, 절결부(180)의 좌측 근방에 상기 오목부(171)의 외주를 따른 긴 구멍(18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 부재(170)의 상단부로부터는, 절결부(180)를 사이에 두고 우측 베어링 돌기(182)와 좌측 베어링 돌기(183)가 상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우측 베어링 돌기(182)에는 우측 베어링 오목부(185)가 형성되고, 좌측 베어링 돌기(183)에는 좌측 베어링 오목부(186)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베어링 돌기(183)의 상단부에는 스프링 받침 부재(187)가 좌측 베어링 돌기(183)와 대략 직각이 되도록 돌출 설치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170)의 상기 절결부(180)에는 가압 부재(190)가 부착되어 있다. 가압 부재(190)는 상기 우측 베어링 돌기(182)와 상기 좌측 베어링 돌기(183)에 지지된 요동 부재(191)와, 상기 요동 부재(191)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된 제1 가압편 부재(192)와, 제2 가압편 부재(193)로 이루어진다. 요동 부재(191)는 절결부(180)와 대략 동일 형상의 요동판(195)을 갖는다. 요동판(195)은 상단부에 상기 우측 베어링 오목부(185), 상기 좌측 베어링 오목부(186)에 지지된 요동축(196)이 마련되고, 중간부에 관통 구멍(197)이 형성되어 있다. 요동판(195)은 상부에 한 쌍의 지지축(201, 202)이 설치되고, 좌측부로부터 베어링 판(203)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 판(203)에는, 한 쌍의 대략 C자형의 베어링부(205, 20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압편 부재(192)는, 요동판(195)의 지지축(201, 202)을 축지지하는 대 략 역 ㄷ자형의 베어링 부재(210)와, 베어링 부재(210)의 대략 중간부보다 하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된 판형의 가압편(211)으로 이루어진다. 가압편(211)은, 대략 중간부가 요동판(195)의 방향으로 굴곡하여 갈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요동판(195)에 제1 가압편 부재(192)를 부착하였을 때, 그 선단부(192)가 요동판(195)의 관통 구멍(197)까지 닿도록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부재(210)의 양측에는 대략 C자형의 베어링부(212, 213)가 형성되어 있고, 요동 부재(191)의 지지축(201, 202)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제1 가압편 부재(192)는 요동판(195)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압편(211)은 요동판(195)의 지지축(202)에 권취 장착된 스프링 부재(214)에 의해 요동판(195)의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고, 이에 의해 선단부(215)가 상기 관통 구멍(197) 내로 돌출된다.
제2 가압편 부재(193)는, 판형으로 형성된 가압편(216)과, 가압편(216)의 상부에 마련되어 요동판(195)의 좌측부로부터 연장 설치된 베어링 판(203)의 베어링부(205, 206)에 지지되는 지지축(217)과, 가압편(216)의 상단부로부터 일부(220)가 돌출하도록 하여 가압편(216)에 나사 고정된 판 스프링형의 탄성 부재(219)로 이루어진다. 가압편(216)은, 대략 중간부가 덮개 부재(170)의 방향으로 굴곡하여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베어링 판(203)에 부착되었을 때에 그 선단부(218)가 덮개 부재(170)의 긴 구멍(181)까지 닿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압편 부재(193)는 이 지지축(217)의 양측이 요동 부재(191)의 베어링부(205, 20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요동판(195) 및 덮개 부재(17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요동 부재(191)의 요동축(196)의 양측을 덮개 부재 (170)의 우측 베어링 오목부(185) 및 좌측 베어링 오목부(18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요동 부재(191)를 덮개 부재(170)에 부착하면, 제2 가압편 부재(193)의 탄성 부재(219)의, 가압편(216)의 상단부로부터 돌출한 일부(220)가 상기 덮개 부재(170)의 스프링 받침 부재(187)에 접촉하여, 스프링 받침 부재(187)의 탄성에 의해 가압편(216)은 덮개 부재(170)의 방향으로 압박된다. 이에 의해, 가압편(216)의 선단부(218)가 덮개 부재(170)의 긴 구멍(181)으로부터 돌출된다.
덮개 부재(170)의 좌측에는 나사(221)에 의해 로크 부재(2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로크 부재(22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베어링 판(203)과 결합하여, 요동 부재(191)를 회전 불가능하게 한다. 요동 부재(191)가 회전 불가능하게 되면, 상기 제1 가압편 부재(192)의 가압편(211)의 선단부(215)가 관통 구멍(197), 절결부(180)를 삽입 관통하여 코인 수납부(135) 내로 돌출하여, 제2 가압편 부재(193)의 가압편(216)의 선단부(218)가 긴 구멍(181)을 삽입 관통하여 절환 부재(150)의 좌측 가이드 부재(160)에 압접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70)의 상기 삽통 구멍(173)으로부터 삽입 관통한 상기 회전체(90)의 중심축(145)에는, 원주형의 회전축(225)이, 그 중심이 중심축(145)의 중심과 동일해지도록 나사(226)에 의해 고정 부착되어 있다. 회전축(225)에는 원판형의 피결합 부재(228)가 회전축(225)과 대략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결합 부재(228)는, 그 중심이 회전축(225)의 중심과 대략 동일하며, 또한 일부가 직선 형상으로 절결되어 있다. 상기 직선 형상으로 절결된 부분은 피결합부(230)를 형성하고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70)에는 위치 결정 수단(240)이 마련되어 있다. 위치 결정 수단(240)은 가늘고 긴 평판형의 결합 부재(231)와 제3 탄성 부재(241)로 이루어진다. 결합 부재(231)는 덮개 부재(170)의 표면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232)가 나사(233)에 의해 덮개 부재(17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중간부에 직선형의 결합 모서리(235)가 형성되고, 하부(236)에 대략 L자형의 후크(237)가 형성되어 있다. 후크(237)에는, 스프링형의 제3 탄성 부재(241)의 일단부(242)가 걸려져 있다. 제3 탄성 부재(241)의 타단부(243)는 나사(245)에 의해 덮개 부재(170)에 고정되어 있다. 결합 부재(231)의 결합 모서리부(235)는 제3 탄성 부재(241)에 의해 결합 방향(도1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압박되고, 상기 피결합 부재(228)의 피결합부(230)에 압접하여, 회전축(225), 중심축(145), 회전체(90)를 위치 결정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90)의 회전축(94)은 케이스(3)의 베어링 구멍(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방부(98)가 베어링 구멍(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회전체(94)의 전방부(98)에는 핸들(250)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핸들(250)은 대략 중심에 고정축(251)이 형성되고, 고정축(251)에 부착 구멍(252)이 형성되어 있다. 핸들(250)은 부착 구멍(252)을 회전체(94)의 전방부(98)에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 맞추고, 나사(253)에 의해 회전체(94)의 전방부(98)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코인 선별 장치(1)는 회전체(90)가 케이스(3)의 수납실(29)에 수납되고, 회전축(94)이 케이스(3)의 베어링 구멍(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중심축(145) 이 덮개 부재(170)의 삽통 구멍(17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체(90)의 가이드 축(105)은, 케이스(3)의 오목 홈(21) 내를 이동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90)는 가이드 부재(148)가 제1 안내 홈(75) 및 제2 안내 홈(76)에 결합하여 안내되고, 케이스(3) 내에서 덜걱거림이 방지되어 있다. 절환 부재(150)는 가이드 링(151)이 덮개 부재(170)의 오목부(1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안내되어, 회전체(90)의 결합 볼록부(128)에, 제1 결합 오목부(166)가 결합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절환 부재(150)의 제2 코인 수납부(154)와 회전체(90)의 제1 코인 수납부(140)가 포개어져, 제2 코인 수납부(154)와 제1 코인 수납부(140)로 코인 수납부(135)가 구성되어 있다. 회전체(90)는, 회전축(225)에 형성된 피결합 부재(228)의 피결합부(230)에 결합 부재(231)의 결합 모서리(235)가 제3 탄성 부재(241)에 의해 압접하고, 위치 결정되어 있다. 즉, 회전체(90)는 위치 결정 수단(240)에 의해, 코인 수납부(135)와 코인 투입구(35)가 대향하여, 코인 투입구(35)로부터 투입된 코인(C)이 직접 코인 수납부(135)에 수납되는 위치(초기 위치)에서 위치 결정되어, 이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
요동 부재(191)는 베어링 판(203)이 로크 부재(222)과 결합함으로써,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가압편(211)의 선단부(215)가 관통 구멍(197), 절결부(180)를 삽입 관통하여 코인 수납부(135) 내로 돌출하고, 가압편(216)의 선단부(218)가 긴 구멍(181)을 삽입 관통하여 절환 부재(150)의 좌측 가이드 부재(160)에 압접하고 있다.
도8의 상태, 즉 회전체(90)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코인 선별 장치(1)는 핸들(250)을 회전 조작하여, 회전체(90)를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의 결합 모서리(47)가 스토퍼 부재(115)의 제1 계지 모서리(116)를 계지하므로, 더 이상 회전시킬 수 없다. 또,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의 결합 모서리(47)가 스토퍼 부재(115)의 제1 계지 모서리(116)를 계지하기 전에, 회전체(90)의 결합 부재(100)의 상단부(109)가 케이스(3)의 일측(6)에 결합하므로, 회전시킬 수 없다.
코인 투입구(35)로부터 정규 코인(C)과 동일한 두께이기는 하지만, 외경이 작은 부정 코인을 적정 매수인 4매 투입하여 코인 수납부(135)에 수납한 경우, 이 4매의 부정 코인에 의해, 결합 부재(100)의 상단부(109)가 장치 본체(2)의 일측(6)과 결합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하므로, 회전체(90)의 결합 부재(100)에 따라서는 회전체(90)의 회전이 저지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부정 코인의 외주연이, 정규 코인보다도 작기 때문에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의 미끄럼 접촉 시에 제1 탄성 부재(50)의 탄성에 저항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어, 결국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의 결합 모서리(47)가 스토퍼 부재(115)의 제1 계지 모서리(116)를 계지하므로, 더 이상 회전시킬 수 없다. 1매만이 부정 코인이고 3매가 정규 코인이라도 해도, 그 부정 코인에 위치하는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 중 하나가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코인 투입구(35)로부터 정규 코인(C)과 동일한 외경이기는 하지만, 두께가 작은 부정 코인을 적정 매수인 4매 투입하여 코인 수납부(135)에 수납한 경우, 이 4매의 부정 코인에서는 결합 부재(100)의 상단부(109)가 장치 본체(2)의 일측(6)과 결합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회전체(90)의 결합 부재(100)에 따라서는 회전체(90)의 회전이 저지된다.
코인 투입구(35)로부터 정규 코인(C)을 4매 투입하면, 코인 수납부(135) 내에 정규 코인(C) 4매가 수납된다. 4매의 정규 코인(C)은 구획 부재(175) 상에 얹는다. 즉, 회전체(90)가 장치 본체(2)의 코인 투입구(35)와 개구(85)가 대향하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구획 부재(175)가 코인 수납부(135)의 타단부(137)와 대향하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코인 투입구(35)로부터 투입된 코인(C)이 구획 부재(175)에 의해 코인 통로(143)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어, 코인 수납부(135)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코인 수납부(135) 내의 정규 코인 4매가 상기 가압편(211)의 선단부(215)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이 4매의 정규 코인(C)을 거쳐서, 결합 부재(100)의 상단부(109)가 장치 본체(2)의 일측(6)과 결합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250)을 회전 조작하여, 회전체(90)를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4매의 정규 코인(C)이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와 미끄럼 접촉하고, 제1 탄성 부재(50)의 탄성에 저항하여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를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의 결합 모서리(47)가 스토퍼 부재(115)의 제1 계지 모서리(116)를 계지하는 일이 없어 회전체(90)의 회전을 저지하지 않는다.
회전체(90)가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90° 회전하면, 코인 수 납부(135)의 좌측 상부 가이드 면(120, 161)이 대략 수평이 되어, 좌측 상부 가이드 면(120, 161) 상에 4매의 정규 코인(C)이 실리는 형태가 되고, 4매의 정규 코인(C)이 구획 부재(175)로부터 빠지게 되어,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회전체(90)가 회전하면, 회전체(90)의 가이드 부재(148)가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62)와 미끄럼 접촉하고, 제2 탄성 부재(63)의 탄성에 저항하여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62)를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62)의 계지 돌기부(67)가 가이드 부재(148)를 계지하는 일이 없어 회전체(90)의 회전을 저지하지 않는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회전체(90)가 회전하여, 회전체(90)의 가이드 부재(148)가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62)를 지나가면, 회전체(90)를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해도, 가이드 부재(148)가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62)의 계지 돌기부(67)에 계지되므로, 회전체(90)의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저지된다. 회전체(90)의 코인 수납부(135)가 하방으로 기울면, 4매의 정규 코인(C)이 자중에 의해 개구(85)를 거쳐서 제1 배출구(코인 배출구)(81)로 낙하한다.
즉, 회전체(90)가 장치 본체(2)의 코인 투입구(35)와 개구(85)가 대향하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구획 부재(175)가 코인 수납부(135)의 타단부(137)와 대향하는 상태가 됨으로써, 코인 투입구(35)로부터 투입된 코인(C)은 코인 통로(143)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에 의해, 코인(C)은 코인 수납부(135)에 보유 지지된다. 회전체(90)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되었을 때에는, 코인 수납부(135)에 보유 지지 된 코인(C)이 자중에 의해 개구(85)를 거쳐서 코인 배출구(81)로부터 배출된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90)가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270° 회전하면, 스토퍼 부재(115)의 제1 계지 모서리(116)가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62)와 미끄럼 접촉하고, 제2 탄성 부재(63)의 탄성에 저항하여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62)를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62)의 계지 돌기부(67)가 스토퍼 부재(115)를 계지하는 일이 없어 회전체(90)의 회전을 저지하지 않는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90)가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360° 회전하면, 회전체(90)는 위치 결정 수단(240)에 의해, 코인 수납부(135)가 코인 투입구(35)와 대향하여, 코인 투입구(35)로부터 투입된 코인(C)이 직접 코인 수납부(135)에 수납되는 위치(초기 위치)에서 위치 결정된다.
다음에 정규 코인(C)의 투입 매수를 변경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221)를 느슨하게 로크 부재(222)를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로크 부재(222)가 베어링 판(203)으로부터 빠지게 되어, 요동 부재(191)가 요동 가능해진다. 요동 부재(191)를 들어올려, 긴 구멍(181)으로부터 손가락을 넣어 결합 볼록부(128)를 가압하면, 결합 볼록부(128)가 절환 부재(150)의 제1 결합 오목부(166)로부터 빠진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절환 부재(150)를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결합 볼록부(128)가 제2 결합 오목부(167)와 결합하여, 회전체(90)가 위치 결정된다. 제2 결합 오목부(167)가 상기 회전체(90)의 결합 볼록부(128)에 결합하면, 제2 코인 수납부(154)가 회전체(90)의 제1 코인 수 납부(140)로부터 빠지게 되어, 좌측 가이드 부재(160)가 제1 코인 수납부(140)와 포개어져져 제1 코인 수납부(140)만으로 코인 수납부(135)를 구성한다. 이때, 좌측 가이드 부재(160)의 가이드 모서리(168)의 외경이 코인(C)과 대략 같은 외경인 것에 의해, 가이드 모서리(168)는 제1 코인 수납부(140)에 수납되는 코인(C)의 외주연과 겹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가압편 부재(192)의 가압편(211)의 선단부(215)는 요동판(195)의 관통 구멍(191), 덮개 부재(170)의 절결부(180), 및 좌측 가이드 부재(160)의 제1 결합 오목부(166)를 통하여 제1 코인 수납부(140)로 돌출된다.
코인 투입구(35)로부터 정규 코인(C)을 2매 투입하면, 코인 수납부(135)(제1 수납부(140)] 내에 정규 코인(C) 2매가 수납된다. 2매의 정규 코인(C)은, 구획 부재(175) 상에 실린다. 즉, 회전체(90)가 장치 본체(2)의 코인 투입구(35)와 개구(85)가 대향하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구획 부재(175)가 제1 수납부(140)[코인 수납부(135)]의 타단부(137)와 대향하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코인 투입구(35)로부터 투입된 코인(C)이 구획 부재(175)에 의해 코인 통로(143)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어, 제1 수납부(140)[코인 수납부(135)]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때 제1 가압편 부재(192)의 가압편(211)의 선단부(215)에 의해 2매의 정규 코인(C)은 결합 부재(100)에 압접되고, 이에 의해 결합 부재(100)의 상단부(109)가 장치 본체(2)의 일측(6)과 결합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250)을 회전 조작하여, 회전체(90)를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2매의 정규 코인(C)이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3, 44)와 미끄럼 접촉하 고, 동시에 가이드 모서리(168)가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1, 42)와 미끄럼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1 탄성 부재(50)의 탄성에 저항하여,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를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의 결합 모서리(47)가 스토퍼 부재(115)의 제1 계지 모서리(116)를 계지하는 일이 없어 회전체(90)의 회전을 저지하지 않는다. 이후는, 4매 수납 시와 마찬가지로 회전체(90)는 회전한다.
다음에 코인(C)의 반환에 대해 설명한다. 코인 투입구(35)로부터 코인(C)을 투입하면, 코인 수납부(135) 내에 코인(C)이 수납된다. 코인(C)은 구획 부재(175) 상에 실린다. 즉, 회전체(90)가 장치 본체(2)의 코인 투입구(35)와 개구(85)가 대향하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구획 부재(175)가 코인 수납부(135)의 타단부(137)와 대향하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코인 투입구(35)로부터 투입된 코인(C)이 구획 부재(175)에 의해 코인 통로(143)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어, 코인 수납부(135)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투입되는 코인(C)은 정규 코인이 아니라도 좋으며, 매수도 적정 매수가 아니라도 상관없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250)을 회전 조작하여 회전체(90)를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측 상부 가이드 면(120, 161)[절환 부재(150)의 회전에 의해 제1 결합 오목부(166)가 제1 코인 수납부(140)에 포개어져 있는 경우는, 좌측 상부 가이드 면(120)만]이 코인(C)의 측부를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압박해 간다. 이에 의해, 코인(C)은 구획 부재(175) 상을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회전체(90)가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대략 15° 회전한 시점에서, 코인(C)은 구획 부재(175) 상에서 빠지게 되어 자중에 의해 낙하를 시작하여, 제1 코인 통로(141), 제2 코인 통로(142)를 지나 제2 배출구(코인 반환구)(82)로 낙하된다.
즉, 회전체(90)가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코인 수납부(135)의 타단부(137)가 구획 부재(175)와 대향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코인 수납부(135)에 보유 지지된 코인(C)은 코인 통로(143)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자중에 의해 코인 통로(143)를 거쳐서 제2 배출구(코인 반환구)(82)로부터 배출된다.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62)는, 회전체(90)를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코인 수납부(135) 내의 코인(C)을 코인 통로(143)로 낙하시킨 후에, 회전체(90)의 스토퍼 부재(115)의 제2 계지 모서리(117)에 의해 계지되어, 이에 의해 회전체(90)의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90)를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면, 회전체(90)는 위치 결정 수단(240)에 의해, 코인 수납부(135)가 대략 바로 위의 위치, 코인 투입구(35)로부터 투입된 코인(C)이 직접 코인 수납부(135)에 수납되는 위치에서 위치 결정된다.
코인 선별 장치(1)는 캡슐 배출기 등의 물품 취출기에 조립되어 사용되고, 코인(C)을 투입하여 핸들(250)을 조작하여 회전체(90)를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체(9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물품 취출기의 회전반이 캡슐 등의 물품을 취출구로 이송한다. 코인(C)은 제1 배출구(코인 배출구)(81)로 부터 낙하하여 물품 취출기의 코인 수납 박스 등에 수납된다. 코인 선별 장치(1)는 코인(C)을 투입한 후, 핸들(250)을 반대로 조작하여 회전체(90)를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인(C)은 제2 배출구(코인 반환구)(82)로부터 낙하하여 물품 취출기의 코인 반환구로 복귀된다.
코인 선별 장치(1)는 정규 코인(C)을 코인 투입구(35)로부터 적정 매수 투입하지 않는 경우, 핸들(250)을 조작하여 회전체(90)를 회전시키려고 해도, 회전체(90)의 계지 모서리(116)가 복수의 계지 부재(41 내지 44) 중 하나에 계지되어, 회전체(90)의 회전이 저지된다. 또한, 정규 코인(C)보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을 포함하는 복수의 코인(C)을 코인 투입구(35)로부터 투입하여, 코인(C)을 회전체(90)의 코인 수납부(135)에 수납한 경우, 핸들(250)을 조작하여 회전체(90)를 회전시키려고 해도, 부정 코인의 외주연에 의해 복수의 계지 부재(41 내지 44) 중 하나를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어, 결국 회전체(90)의 계지 모서리(116)가 부정 코인의 위치에 있는 계지 부재(41 내지 44)에 계지되어, 회전체(90)의 회전이 저지된다. 정규 코인(C)을 코인 투입구(35)로부터 적정 매수 투입하여, 복수의 코인(C)을 회전체(90)의 코인 수납부(135)에 수납한 경우, 핸들(250)을 조작하여 회전체(90)를 회전시키면, 복수의 계지 부재(41 내지 44)가 회전체(90)의 회전 시에 각 정규 코인(C)의 외주연에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복수의 계지 부재(41 내지 44)가 회전체(90)의 계지 모서리(116)를 계지하는 일이 없으므로, 회전체(90)의 회전이 가능하며, 코인 수납부(135)의 복수의 코인(C)을 코인 배출구(36)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회전체(90)에는 코인 수납부(135)의 코인 수납 매수를 바꾸는 절환 부재(1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코인 수납부(135)는 회전체(90)에 형성된 제1 코인 수납부(140)와, 절환 부재(150)에 형성된 제2 코인 수납부(154)로 이루어진다. 절환 부재(150)는 회전체(90)에 대하여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코인 수납부(154)가 회전체(90)의 제1 코인 수납부(140)와 포개어져, 제2 코인 수납부(154)와 제1 코인 수납부(140)로 코인 수납부(135)를 구성하고, 회전체(90)에 대하여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코인 수납부(154)가 회전체(90)의 제1 코인 수납부(140)로부터 빠지게 되어, 제1 코인 수납부(140)만으로 코인 수납부(135)를 구성하므로, 코인 수납부(135)의 수납 매수를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인 선별 장치(1)는 절환 부재(150)에 의해, 코인(C)의 투입 매수를 간단히 바꿀 수 있다.
코인 선별 장치(1)는 절환 부재(150)의 제2 코인 수납부(154)가 회전체(90)의 제1 코인 수납부(140)로부터 빠지게 되어, 회전체(90)의 제1 코인 수납부(140)로 코인 수납부(135)를 구성하고 있을 때에, 절환 부재(150)의 가이드 모서리(168)가 회전체(90)의 회전 시에 계지 부재(41 내지 44)와 미끄럼 접촉하여 계지 부재(41 내지 44)를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시켜, 계지 부재(41 내지 44)를 회전체(90)의 계지 모서리(116)에 계지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코인 선별 장치(1)는 정규 코인(C)이 코인 수납부(135)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C)과 두께가 다른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135)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90)의 회전 시에 결합 부재(100)가 장치 본체 (2)의 일측(6)과 결합하여 회전체(90)의 회전을 저지하고, 정규 코인(C)이 코인 수납부(135)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는 경우, 코인(C)이 결합 부재(100)를 반결합 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전체(90)의 회전 시에 결합 부재(100)가 장치 본체(2)의 일측과 결합하지 않아 회전체(90)의 회전을 저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인 선별 장치(1)는 코인(C)의 두께도 검출할 수 있다.
코인 선별 장치(1)는 절환 부재(150)를 회전체(90)에 대하여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절환 부재(150)의 제2 코인 수납부(154)를 회전체(90)의 제1 코인 수납부(140)에 포개어, 제2 코인 수납부(154)와 제1 코인 수납부(140)로 코인 수납부(135)를 구성했을 때에, 결합 볼록부(128) 또는 결합 오목부와 제1 결합 오목부(166) 또는 제1 결합 볼록부가 결합하여 절환 부재(150)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고, 절환 부재(150)를 회전체(90)에 대하여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절환 부재(150)의 제2 코인 수납부(154)를 회전체(90)의 제1 코인 수납부(140)로부터 빠지게 하여, 제1 코인 수납부(140)로 코인 수납부(135)를 구성했을 때에, 결합 볼록부(128) 또는 결합 오목부와 제2 결합 오목부(167) 또는 제2 결합 볼록부가 결합하여 절환 부재(150)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인 선별 장치(1)는 절환 부재(150)의 바뀐 위치를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코인 선별 장치(1)는 코인 투입구(35)로부터 투입된 코인(C)이 초기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회전체(90)의 코인 수납부(135)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코인(C)이 회전체(90)의 코인 수납부(135)에 수납되면, 코인 수납부(135)와 코인 통로 (143)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175)에 의해 코인(C)이 코인 통로(143)로의 낙하가 저지되어, 코인 수납부 내에 보유 지지된다. 정규 코인(C)을 코인 투입구(35)로부터 투입하지 않는 경우, 또는 정규 코인(C)보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을 코인 투입구(35)로부터 투입한 경우, 핸들(250)을 조작하여 회전체(90)를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해도, 회전체(90)의 제1 계지 모서리(116)가 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에 계지되어, 회전체(90)의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된다. 정규 코인(C)을 코인 투입구(35)로부터 투입하여, 정규 코인(C)을 회전체(90)의 코인 수납부(135)에 수납한 경우, 핸들(250)을 조작하여 회전체(90)를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가 회전체(90)의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의 회전 시에 정규 코인(C)의 외주연에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 계지 부재(41 내지 44)가 회전체(90)의 제1 계지 모서리(116)를 계지하는 일이 없으므로, 회전체(90)의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고, 코인 수납부(135) 내의 코인(C)이 구획 부재(175)로 안내되어 코인 배출구(36)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코인(C)이 회전체(90)의 코인 수납부(135)에 수납된 상태에서, 핸들(250)을 조작하여 회전체(90)를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인(C)이 구획 부재(175)로부터 빠지게 되어, 코인 통로(143)로 낙하되어 코인 배출구(36)로부터 코인(C)이 배출된다. 이와 같이, 코인 선별 장치(1)는 회전체(90)를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물품을 꺼낼 수 있고, 회전체(90)를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인(C) 을 반환시킬 수 있어, 반환 버튼 등의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코인 선별 장치(1)는 제2 계지 부재(62)가 회전체(90)를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코인 수납부(135) 내의 코인(C)을 코인 통로(143)로 낙하시킨 후에, 회전체(90)의 제2 계지 모서리(117)를 계지하여 회전체(90)의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기 때문에, 지나친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코인 선별 장치(1)는 위치 결정 수단(240)이 회전체(90)를 초기 위치에서 위치 결정할 수 있으므로, 회전체(90)가 부주의하게 회전하지 않아, 항상 초기 위치에서 대기시킬 수 있다.
코인 선별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코인 선별 장치(301)는 장치 본체(302)를 갖는다. 도15,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2)는 상부에 코인 투입구(502)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571)가 형성되어, 내부에 핸들(600)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체(39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390)에는 코인 투입구(502)로부터 투입된 코인(C)을 복수매 포개어 수납 가능한 코인 수납부(481)가 형성되어 있다. 장치 본체(302)에는, 코인(C)의 매수에 대응한 복수의 계지 부재(341 내지 344)가 설치되어 있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계지 부재(341 내지 344)는 각각 탄성 부재(350)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고, 정규 코인(C)이 코인 수납부(481)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C)보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481)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390)의 회전 시에 회전체(390) 의 계지 모서리(491)를 계지하여 회전체(390)의 회전을 저지한다.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계지 부재(341 내지 344)는 정규 코인(C)이 코인 수납부(481)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390)의 회전 시에 각 정규 코인(C)의 외주연이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체(390)의 계지 모서리(491)를 계지하는 일이 없어 회전체(39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코인 수납부(481)의 복수의 코인(C)을 코인 배출구(571)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390)의 코인 수납부(481)에는, 코인 수납 매수를 변경하는 변경 부재(580)를 부착하는 부착부(422)가 형성되어 있다.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변경 부재(580)는 장치 본체(302)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코인 선별 장치(301)의 장치 본체(302)는 상부에 코인 투입구(502)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571) 및 코인 반환구(325)가 형성되어, 내부에 핸들(600)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체(39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390)는 코인 수납부(481)를 갖고, 코인 투입구(502)로부터 투입된 코인(C)이 코인 수납부(481)에 수납되는 초기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2)에는 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가 제1 탄성 부재(350)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는 코인(C)이 코인 수납부(481)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C)보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481)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390)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회전체(390)의 제1 계지 모서리(491)를 계지하여 회전체(390)의 회전을 저지한다.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는 정규 코인(C)이 코인 수납부(481)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390)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정규 코인(C)의 외주연이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체(390)의 제1 계지 모서리(491)를 계지하는 일없이 회전체(390)의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여,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인 수납부(481) 내의 코인(C)을 코인 배출구(571)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390)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481)와 연통하여, 코인 반환구(325)로 코인(C)을 낙하시키는 코인 통로(482)가 형성되어 있다. 장치 본체(302)에는, 코인 수납부(481)와 코인 통로(482)의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395, 396)가 설치되어 있다.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 부재(395, 396)는 회전체(390)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코인 수납부(481)와 코인 통로(482) 사이를 구획하여, 코인 수납부(481) 내의 코인(C)이 코인 통로(482)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하고,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390)의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코인 수납부(481)와 코인 통로(482) 사이를 구획하지 않게 되어, 코인 수납부(481) 내의 코인(C)이 코인 통로 (482)로 낙하하여 코인 반환구(325)로부터 반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390)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481)와 연통하여, 코인 반환구(325)로 코인(C)을 낙하시키는 코인 통로(482)가 형성되고, 또한 코인 수납부(481)와 코인 통로(482)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395, 396)가 설치되어 있다. 구획 부재(395, 396)는 코인(C)의 낙하를 저지하는 구획 위치 P1과, 코인(C)의 낙하를 저지하지 않는 비구획 위치 P2로 이동 가능하며, 제4 탄성 부재(407, 417)에 의해 구획 위치 P1측으로 압박되고 있다.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2)에는 회전체(390)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구획 위치 P1의 구획 부재(395, 396)와 결합하지 않아 코인 수납부(481) 내의 코인(C)이 코인 통로(482)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하고,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390)의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구획 위치 P1의 구획 부재(395, 396)와 결합하여 구획 부재(395, 396)를 제4 탄성 부재(407, 417)의 탄성에 저항하여 비구획 위치 P2로 이동시켜, 코인 수납부(481) 내의 코인(C)을 코인 통로(482)에 낙하시켜, 코인 반환구(325)로부터 코인(C)을 반환시키는 결합 부재(331, 331)가 설치되어 있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390)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481)와 연통하여, 코인 반환구(325)로 코인(C)을 낙하시키는 코인 통로(482)가 형성되고, 또한 코인 수납부(481)와 코인 통로(482) 사이에 한 쌍의 코인 스토퍼(395, 396)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코인 스토퍼(395, 396)는, 코인(C)의 낙하를 저지하는 폐쇄하 는 위치 P1과, 코인(C)의 낙하를 저지하지 않는 개방하는 위치 P2로 이동 가능하며, 제4 탄성 부재(407, 417)에 의해 폐쇄하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다.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2)에는 회전체(390)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폐쇄된 상태의 한 쌍의 코인 스토퍼(395, 396)와 결합하지 않아, 코인 수납부(481) 내의 코인(C)이 코인 통로(482)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하고,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390)의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폐쇄된 상태의 한 쌍의 코인 스토퍼(395, 396)와 결합하여 한 쌍의 코인 스토퍼(395, 396)를 제4 탄성 부재(407, 417)의 탄성에 저항하여 개방하는 위치 P2로 이동시켜, 코인 수납부(481) 내의 코인(C)을 코인 통로(482)에 낙하시켜, 코인 반환구(325)로부터 코인(C)을 반환시키는 결합 부재(331, 331)가 설치되어 있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2)에는 제2 계지 부재(362)가 제2 탄성 부재(363)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계지 부재(362)는 회전체(390)를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코인 수납부(481) 내의 코인(C)을 코인 통로(482)로 낙하시킨 후에, 회전체(390)의 제2 계지 모서리(430)를 계지하여 회전체(390)의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인 선별 장치(301)의 장치 본체(302)에는, 상기 회전체(390)를 초기 위치에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550)이 마련되어 있다.
위치 결정 수단(550)은 회전체(390) 또는 회전체(390)의 대략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472)에 형성된 피결합부(473)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551)와, 결합 부재(551)를 결합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3 탄성 부재(570)로 이루어진다.
코인 선별 장치(301)는 상부에 코인 투입구(502)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571) 및 코인 반환구(325)가 형성된 장치 본체(302)와, 상기 장치 본체(302)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회전체(390)와, 상기 회전체(390)의 외측 모서리에 마련된 개구(441)와, 상기 회전체(390)에 마련되어, 일단부(442)가 상기 개구(441)와 연통하는 코인 수납부(481)와, 상기 회전체(390)에 마련되어, 상기 코인 수납부(481)의 타단부(443)와 일단부(445)에 의해 연통하고, 타단부(446)에 의해 상기 회전체(390)의 외부에 연통하는 코인 통로(482)와, 상기 회전체(390)에 마련된 코인 수납부(481)와 코인 통로(482)의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395, 396)이며, 코인(C)의 낙하를 저지하는 구획 위치 P1과, 코인(C)의 낙하를 저지하지 않는 비구획 위치 P2로 이동 가능하며, 제4 탄성 부재(407, 417)에 의해 구획 위치 P1측으로 압박된 구획 부재(395, 396)와, 상기 장치 본체(302)에 마련되어, 회전체(390)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구획 위치 P1의 구획 부재(395, 396)와 결합하지 않아 코인 수납부(481) 내의 코인(C)이 코인 통로(482)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하고, 회전체(390)의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구획 위치 P1의 구획 부재(395, 396)와 결합하여 구획 부재(395, 396)를 제4 탄성 부재(407, 417)의 탄성에 저항하여 비구획 위치 P2로 이동시켜, 코인 수납부(481) 내의 코인(C)을 코인 통로(482)로 낙하시켜, 코인 반환구(325)로부터 코인(C)을 반환시키는 결합 부재(331, 331)를 갖는다.
코인 선별 장치(301)는 상기 회전체(390)가 상기 장치 본체(302)의 코인 투입구(502)와 상기 개구(441)가 대향하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구획 부재(395, 396)가 상기 결합 부재(331, 331)와 결합하지 않고서 구획 위치 P1에 있음으로써, 상기 코인 투입구(502)로부터 투입된 코인(C)은 상기 코인 통로(482)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됨으로써, 상기 코인 수납부(481)에 보유 지지되고, 상기 회전체(390)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되었을 때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481)에 보유 지지된 코인(C)은 자중에 의해 상기 개구(441)를 거쳐서 상기 코인 배출구(571)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회전체(390)가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구획 부재(395, 396)가 상기 결합 부재(331, 331)와 결합하여 비구획 위치 P2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코인 수납부(481)에 보유 지지된 코인(C)은 상기 코인 통로(482)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코인 통로(482)를 거쳐서 상기 코인 반환구(325)로부터 반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코인 선별 장치(301)는 상부에 코인 투입구(502)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571) 및 코인 반환구(325)가 형성된 장치 본체(302)와, 상기 장치 본체(302)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회전체(390)와, 상기 회전체(390)의 외측 모서리에 마련된 개구(441)와, 상기 회전체(390)에 마련되어, 일단부(442)가 상기 개구(441)와 연통하는 코인 수납부(481)와, 상기 회전체(390)에 마련되어, 상기 코인 수납부(481)의 타단부(443)와 일단부(445)에 의해 연통하고, 타단부(446)에 의해 상기 회전체(390)의 외부에 연통하는 코인 통로(482)와, 상기 회전체(390)에 마련된 코인 수납부(481)와 코인 통로(482)의 사이를 폐쇄하는 한 쌍의 코인 스토퍼(395, 396)이며, 코인(C)의 낙하를 저지하는 폐쇄하는 위치 P1과, 코인(C)의 낙하를 저지하지 않는 개방하는 위치 P2로 이동 가능하며, 제4 탄성 부재(407, 417)에 의해 폐쇄하는 방향으로 압박된 한 쌍의 코인 스토퍼(395, 396)와, 상기 장치 본체(302)에 마련되어, 회전체(390)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폐쇄된 상태의 한 쌍의 코인 스토퍼(395, 396)와 결합하지 않아 코인 수납부(481) 내의 코인(C)이 코인 통로(482)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하고, 회전체(390)의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폐쇄된 상태의 한 쌍의 코인 스토퍼(395, 396)와 결합하여 한 쌍의 코인 스토퍼(395, 396)를 제4 탄성 부재(407, 417)의 탄성에 저항하여 개방하는 위치 P2로 이동시키고, 코인 수납부(481) 내의 코인(C)을 코인 통로(482)에 낙하시켜, 코인 반환구(571)로부터 코인(C)을 반환시키는 결합 부재(331, 331)를 갖는다.
코인 선별 장치(301)는 상기 회전체(390)가 상기 장치 본체(302)의 코인 투입구(502)와 상기 개구(441)가 대향하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코인 스토퍼(395, 396)가 상기 결합 부재(331, 331)와 결합하지 않고서 폐쇄되는 위치 P1에 있음으로써, 상기 코인 투입구(502)로부터 투입된 코인(C)은 상기 코인 통로(482)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됨으로써, 상기 코인 수납부(481)에 보유 지지되고, 상기 회전 체(390)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되었을 때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481)에 보유 지지된 코인(C)은 자중에 의해 상기 개구(441)를 거쳐서 상기 코인 배출구(571)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회전체(390)가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코인 스토퍼(395, 396)가 상기 결합 부재(331, 331)와 결합하여 개방하는 위치 P2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코인 수납부(481)에 보유 지지된 코인(C)은 상기 코인 통로(482)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코인 통로(482)를 거쳐서 상기 코인 반환구(325)로부터 반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5,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인 선별 장치(301)는 직사각형 모양의 상자형으로 형성된 장치 본체(302)를 갖는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2)는 케이스(303)와, 케이스(303)의 후방부에 나사 등의 고정 수단(305)에 의해 부착되는 덮개 부재(500)로 이루어져, 내부에 회전체(39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303)는 전방 벽(311)과, 전방 벽(31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벽(312)과, 전방 벽(311)의 좌측부에 형성된 좌측 벽(313)과, 전방 벽(311)의 우측부에 형성된 우측 벽(314)과, 전방 벽(311)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벽(318)을 갖고, 후방부가 개방되어 있다. 케이스(303)의 후방부 개방부(304)는, 상기한 덮개 부재(500)에 의해 폐색된다. 상부 벽(312), 좌측 벽(313), 우측 벽(314) 및 하부 벽(318)의 전후 방향의 높이는, 대략 같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벽(311)의 전방면(315)에는 단면이 대략 역 ㄷ자형이며, 링 형상의 볼록한 띠(316)에 의해 원형의 오목부(317)가 형성되어 있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벽(311)이며, 상기 원형의 오목부(317)의 대략 중심에는 베어링 구멍(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벽(312)의 대략 중간부에는, 대략 역 사다리꼴 형상의 오목부(321)가 형성되어 있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벽(318)의 대략 중간부에는 코인 반환 오목부(323)를 구비한 코인 반환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벽(311)의 하부에는, 코인 반환 오목부(323)와 연통하는 코인 반환구(325)가 형성되어 있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벽(311)의 후방면(326)에는, 상기 코인 반환구(325)로 코인(C)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335)가 나사 등의 고정 수단(336)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전방 벽(311)의 후방면(326)이며, 상기 베어링 구멍(320)의 주연부에는 링 형상의 가이드(330)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330)의 외측단부에는, 한 쌍의 결합 부재(331, 331)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결합 부재(331)는 가이드(330)의 외측단부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결합 부재(331, 331)의 정점을 잇는 선 L1은, 수직선 L에 대하여 소정 각도 α만큼 경사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α는 대략 60°이다.
전방 벽(311)의 후방면(326)에는 상기 베어링 구멍(320)을 대략 중심으로 하는, 반원형의 안내 벽(327)이 설치되어 있다. 도19,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벽(327)은 하부 벽(318) 근방에 위치하는 우측단부(328)로부터 상부 벽(312) 근방에 위치하는 좌측단부(329)까지 형성되어 있다(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우측」,「좌측」은 모두 후방면(326)의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의「우측」,「좌측」을 가리키는 것으로 함).
도17,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 벽(327)의 좌측 상부 부분에는, 절취부(3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취부(332) 근방에는 제1 부착부(33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착부(333)에는, 4매의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와, 각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를 각각 압박하는 제1 탄성 부재(350)가 설치되어 있다.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는 가늘고 긴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단부에 축부(345)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결합 모서리(346)가 형성되고, 상단부의 하부 측에 계지 돌기부(347)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탄성 부재(350)는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어, 하부(355)가 대략 V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상부가 4개로 분리되어 4개의 탄성 부재(351 내지 354)가 형성되어 있다.
도17,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착부(333)는 절취부(332)의 하방에 위치하는 대략 C자형의 베어링부(357)와 대략 역 ㄷ자형의 삽입 오목부(359)를 갖는다. 상기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는 포개어져, 축부(345)가 베어링부(35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350)는 대략 V자형의 하부(355)가 삽입 오목부(359)에 삽입되어 부착되고, 4개의 탄성 부재(351 내지 354)각 각각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에 접촉하여,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를 케이스(303)의 내측을 향해 압박한다. 제1 탄성 부재(350)에 의해 압박된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는, 결합 모서리(346)가 절취부(332)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339)에 접촉하여, 계지 돌기부(347)가 절취부(332)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안내 벽(327)의 우측 하단부(328) 근방에는, 절취부(3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취부(360) 근방에는 제2 부착부(36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부착부(361)에는, 1매의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와,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를 압박하는 제2 탄성 부재(363)가 설치되어 있다.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는 가늘고 긴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축부(365)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결합 모서리(366)가 형성되어, 상단부의 좌측에 계지 돌기부(367)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탄성 부재(363)는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어, 하부(369)가 대략 V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부착부(361)는 절취부(360)의 하방에 위치하는 대략 C자형의 베어링부(370)와 대략 역 ㄷ자형의 삽입 오목부(371)를 갖는다. 상기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는 축부(365)가 베어링부(37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2 탄성 부재(363)는 대략 V자형의 하부(369)가 삽입 오목부(371)에 삽입 부착되고, 상부(368)가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에 접촉하여 케이스(303)의 내측을 향해 압박한다. 제2 탄성 부재(363)에 의해 압박된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는, 결합 모서리(366)가 절취부(360)의 상부 모서리(372)에 접촉하여, 계지 돌기부(367)가 절취부(360)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한다.
도17,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390)는 원판형의 기판(391)과, 기판(391)의 후방면(392)[전방 벽(311)의 후방면(326)과 접촉하지 않는 면]에, 나사 등의 고정 수단(479)에 의해 부착되는 안내 부재(450)를 갖는다. 기판(391)의 전방 면(393)의 대략 중심에는, 상기 케이스(303)의 베어링 구멍(32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회전축(39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391)의 전방면(393)에는 회전축(394)을 사이에 둔 양측에 한 쌍의 보유 지지 암(395, 396)이 설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 암(395, 396)은 내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굴곡되어 있어, 하부에 중심축(397, 398)이 설치되고, 상부에 스토퍼 핀(401, 402)이 설치되어 있다.
우측에 위치하는 보유 지지 암(395)은 기판(391)의 우측 하부에 형성된 중심 구멍(403)에 중심축(397)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기판(391)의 우측 상부에 형성된 긴 구멍(405)에 스토퍼 핀(401)이 기판(391)의 후방면(392) 측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기판(391)의 전방면(393)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 암(395)은 기판(391)의 전방면(393) 우측에 형성된 대략 역 ㄷ자형의 스프링 받침부(406)에 한쪽(408)이 부착된 스프링(탄성 부재)(407)의 타단부(409)가 접촉하고, 상기 스프링(탄성 부재)(407)의 탄성에 의해 안쪽으로 압박되어, 상기 스토퍼 핀(401)이 긴 구멍(405)의 내측 모서리(411)에 압접하고 있다. 이 스토퍼 핀(401)의 내측 모서리(411)에 압접하고 있는 위치가, 보유 지지 암(395)이 폐쇄된 위치(구획 위치) P1이다.
좌측에 위치하는 보유 지지 암(396)은 기판(391)의 좌측 하부에 형성된 중심 구멍(413)에 중심축(398)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기판(391)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 긴 구멍(415)에 스토퍼 핀(402)이 기판(391)의 후방면(392) 측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기판(391)의 전방면(393)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 암(396)은 기판(391)의 전방면(393) 좌측에 형성된 대략 역 ㄷ자형의 스 프링 받침부(416)에 한쪽(418)이 부착된 스프링(탄성 부재)(417)의 타단부(419)가 접촉하고, 상기 스프링(탄성 부재)(417)의 탄성에 의해 안쪽으로 압박되어, 상기 스토퍼 핀(402)이 긴 구멍(415)의 내측 모서리(421)에 압접하고 있다. 이 스토퍼 핀(402)의 내측 모서리(421)에 압접하고 있는 위치가, 보유 지지 암(396)이 폐쇄된 위치(구획 위치) P1이다.
보유 지지 암(395)은 스토퍼 핀(401)을 부착한 상부 암(434)과, 중심축(397)을 부착한 하부 암(435)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암(434)은 스프링(탄성 부재)(407)과 대략 직각이 되도록, 하부 암(435)으로 절곡되어 연속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보유 지지 암(396)은 스토퍼 핀(402)을 부착한 상부 암(436)과 중심축(398)을 부착한 하부 암(437)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암(436)은 스프링(탄성 부재)(417)과 대략 직각이 되도록, 하부 암(437)으로 절곡되어 연속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유 지지 암(395)의 상부 암(434)과 상기 보유 지지 암(396)의 상부 암(436)은, 대략 평행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스토퍼 핀(401)과 스토퍼 핀(402)과의 간격은, 통상은 스프링(탄성 부재)(407, 417)의 탄성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코인(C)의 외경보다 좁게 되어 있고, 스프링(탄성 부재)(407, 417)의 탄성에 저항하여 개방된 상태가 되면 코인(C)의 외경보다 넓어져 코인(C)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상기 보유 지지 암(395, 396)은 기판(391)의 대략 중심선(수직선) L에 대하여 대략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기판(391)의 대략 중심선 L 상이며, 기판(391)의 상단부 모서리 근방에는, 암형 나사부(부착부)(422)가 형성되어 있다. 상 기 암형 나사부(부착부)(422)는 스토퍼 핀(401)과 스토퍼 핀(402)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기판(391)의 후방면(392)의 대략 중심선(수직선) L 상이며, 스토퍼 핀(401, 402)의 하방에는 가이드 돌기(438)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438)의 상면(439)은 후방을 향해 하강 경사져 있다.
기판(391)의 대략 중간부 좌우 양측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위치 결정 구멍(425, 4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391)의 하부에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코인 낙하구(428)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391)의 외주 모서리에는, 우측 상부의 대략 중심선으로부터 대략 60°의 위치에 기판(391)의 두께와 대략 같은 두께의 스토퍼(4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391)의 외주연에는 기판(391)의 두께와 대략 같은 두께의 역전 방지 돌기(432)가 대략 30°의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최초의 역전 방지 돌기(432)는 좌측 상부의 대략 중심선으로부터 대략 45°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안내 부재(450)는 기판(391)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갖고, 코인(C)을 수납하는 코인 수납부(481)와, 코인 수납부(481)와 연통하는 코인 통로(482)를 갖는다. 안내 부재(450)는 후방면(451)으로부터 전방면(452)에까지 연통하는 절취부(453)가 형성되어 있다. 절취부(45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좌측 상부에 좌측 안내면(455)을 갖고, 우측 상부에 좌측 안내면(455)과 대향하는 우측 안내면(456)을 갖는다. 좌측 안내면(455) 및 우측 안내면(456)의 두께는, 코인(C)을 4매를 포갠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코인(C)은 좌측 안내면(455)과 우측 안내면(456)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된다. 좌측 안내면(455)과 우측 안 내면(456) 사이에, 코인(C)을 수납하는 코인 수납부(481)가 형성된다.
좌측 안내면(455)에는, 내측을 향해 개구가 형성된 대략 U자형의 오목부(457)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457) 내에 상기 스토퍼 핀(402)이 들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우측 안내면(456)에는 내측을 향해 개구가 형성된 대략 U자형의 오목부(458)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458) 내에 상기 스토퍼 핀(401)이 들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안내 부재(450)의 절취부(453)는 왼쪽 중간부에 좌측 만곡면(461)을 갖고, 우측 중간부에 좌측 만곡면(461)과 대향하는 우측 만곡면(462)을 갖는다. 좌측 만곡면(461)은 상단부가 좌측 안내면(455)의 하단부와 연접하고 있다. 우측 만곡면(462)은 상단부가 우측 안내면(456)의 하단부와 연접하고 있다. 좌측 만곡면(461)의 전방면(452) 측에는, 상기 기판(391)의 대략 중간부 좌측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426)에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 부재(463)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 부재(463)의 내측 단부에는, 후방면(451) 측으로 돌출하는 다리 부재(464)가 형성되어 있다. 다리 부재(464)는 좌측 안내면(455) 및 우측 안내면(456)과 대략 같은 높이로 형성되고, 안쪽에 중간 안내면(465)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 만곡면(462)의 전방면(452) 측에는, 상기 기판(391)의 대략 중간부 우측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425)에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 부재(467)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 부재(467)의 내측 단부에는, 후방면(451) 측으로 돌출하는 다리 부재(469)가 형성되어 있다. 다리 부재(469)는 좌측 안내면(455) 및 우측 안내면(456)과 대략 같은 높이로 형성되고, 내측에 중간 안내면(470)이 형성되어 있다. 코인(C)은 상기 다리 부재(464)의 중간 안내면(465)과 다리 부재(469)의 중간 안내면(47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된다. 중간 안내면(465)과 중간 안내면(470) 사이에, 코인(C)을 통과시키는 코인 통로(482)가 형성된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리 부재(464)와 다리 부재(469)의 상단부에는 안내 부재(450)의 중심을 대략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회전축(47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472)은 후방부의 일부가 절결되어, 결합면(473)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면(473)은 평면형이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부재(450)의 절취부(453)는 하부에 상기 기판(391)의 하부에 형성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코인 낙하구(428)와 대략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개구(475)를 갖고, 하단부에 코인(C)을 코인 낙하구(428) 측으로 안내하는 경사면(476)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475)는 상기 코인 통로(482)와 연통하여, 코인 통로(482)를 낙하하는 코인(C)이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체(390)는 기판(391)에 안내 부재(450)가 나사 등의 고정 수단(479)에 의해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회전판(390)은 좌측 안내면(455), 우측 안내면(456) 및 기판(391)의 후방면(392)에 의해 코인 수납부(481)가 형성되고, 중간 안내면(465, 470) 및 기판(391)의 후방면(392)에 의해 코인 통로(482)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 핀(401) 및 스토퍼 핀(402)은, 스프링(탄성 부재)(407, 417)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코인 수납부(481)와 코인 통로(482)의 사이(폐쇄된 위치 P1)에 위치하고 있어, 코인 수납부(481) 내의 코인(C)이 코인 통로(482)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한다. 상기 안내 부재(450)는 외주연에 계지면(491)을 갖는 스토퍼 부재(490) 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면(491)은 상기 우측 안내면(456)과 대략 같은 면을 형성하고 있다.
도16,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500)는 상기 회전체(390)의 회전축(472)을 삽입 관통하는 삽통 구멍(501)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500)는 상단부 대략 중앙에 대략 역 ㄷ자형의 코인 투입구(502)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500)는, 코인 수납부(481)와 대향하는 위치에 원형의 투과 구멍(503)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500)의 후방면(508)이며, 관통 구멍(503)의 상부 위치에는 베어링부(507)가 형성되고, 베어링부(507)에는 좌우에 한 쌍의 베어링 핀(505, 506)이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부(507)의 상부에는 암형 나사부(511)가 형성된 보스(510)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덮개 부재(500)에는, 관통 구멍(503)으로부터 코인 수납부(481) 내로 돌출하는 제1 가압 부재(515)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가압 부재(515)는 암부(516)와, 암부(516)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축(517)과, 암부(516)의 하부에 형성된 가압 돌기(518)와, 암부(516)의 상부에 마련된 피가압 볼록부(519)로 이루어진다. 제1 가압 부재(515)는 지지축(517)이 상기 베어링부(507)의 베어링 핀(505, 50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가압 돌기(518)가 관통 구멍(503)을 삽입 관통하여 코인 수납부(481) 내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가압 부재(515)의 지지축(517)은, 상기 베어링부(507)의 베어링 핀(505, 506)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누름 부재(521)에 의해 압박되고 있다. 누름 부재(521)는, 상기 제1 가압 부재(515)의 피가압 볼록부(519)를 삽입 관통하는 대략 역 U자형의 절결부(522)와, 상기 제1 가 압 부재(515)의 피가압 볼록부(519)를 누르는 판 스프링(523)의 양측을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 돌기(525, 525)와, 한 쌍의 규제 돌기(525, 525) 사이에 형성된 나사 통과 구멍(526)을 갖는다. 판 스프링(523)은, 상부에 나사 통과 구멍(527)이 형성되어 있다. 판 스프링(523) 및 누름 부재(521)는, 판 스프링(523)의 나사 통과 구멍(527) 및 누름 부재(521)의 나사 통과 구멍(526)에 순서대로 통과시킨 나사(529)를 보스(510)의 암형 나사부(511)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덮개 부재(500)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제1 가압 부재(515)는 피가압 볼록부(519)가 판 스프링(523)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되어, 가압 돌기(518)가 관통 구멍(503)으로부터 코인 수납부(481) 내로 돌출된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덮개 부재(500)는 관통 구멍(503)의 좌측에 긴 구멍(531)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500)의 후방면(508)이며, 긴 구멍(531)의 하부에는 판 스프링(539)을 부착하는 오목부(532)가 형성된 볼록 단차부(535)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 단차부(535)의 상부 양측에는 베어링 핀(536)이 마련되고, 베어링 핀(536)과 볼록 단차부(535)에 의해 베어링부(537)가 형성된다. 오목부(532)에는 암형 나사부(533)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500)의 후방면(508)에는, 긴 구멍(531)으로부터 장치 본체(302) 내로 돌출하는 제2 가압 부재(541)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가압 부재(541)는 암부(542)와, 암부(542)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축(543)으로 이루어진다. 제2 가압 부재(541)는 지지축(543)이 상기 베어링부(53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암부(542)의 선단부(544)가 장치 본체(302) 내로 돌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2 가압 부재(541)의 지지축(543)은 상기 베어링부(537)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판 스프링(539)에 의해 압박되고 있다. 판 스프링(539)은 하부에 나사 통과 구멍(534)이 형성되어 있다. 판 스프링(539)은 나사 통과 구멍(534)에 통과시킨 나사(529)를 암형 나사부(533)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오목부(532)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제2 가압 부재(541)는 판 스프링(539)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되어, 암(542)의 선단부(544)가 긴 구멍(531)으로부터 장치 본체(302) 내로 돌출된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도16,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500)의 후방면(508)에는 위치 결정 수단(550)이 마련되어 있다. 위치 결정 수단(550)은 결합 부재(551)와 제3 탄성 부재(570)로 이루어진다. 결합 부재(551)는 결합판(552)과, 결합판(552)의 상단부에 마련된 상부 가이드 판(553)과, 결합판(552)의 하단부에 마련된 하부 가이드 판(555)과, 상부 가이드 판(553)의 하측에 형성된 상부 미끄럼 이동판(556)과, 하부 가이드 판(555)의 위쪽에 형성된 하부 미끄럼 이동판(557)을 갖는다. 상부 미끄럼 이동판(556)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긴 구멍(561)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미끄럼 이동판(557)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긴 구멍(562)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500)에는, 결합 부재(551)의 상부 가이드 판(553)과 미끄럼 접촉하는 상부 안내판(564)과, 결합 부재(551)의 하부 가이드 판(555)과 미끄럼 접촉하는 하부 안내판(565)과, 상부 미끄럼 이동판(556)의 긴 구멍(561)에 결합하는 결합 보스(566)와, 하부 미끄럼 이동판(557)의 긴 구멍(562)에 결합하는 결합 보스(567) 와, 스프링형의 제3 탄성 부재(570)의 일단부을 받아내는 대략 역 ㄷ자형의 받침부(568)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결합 부재(551)는 상부 안내판(564)과 하부 안내판(565)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어, 결합 보스(566, 567)에 나사(569, 569)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덮개 부재(500)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결합 부재(551)는, 결합판(552)과 받침부(568) 사이에 스프링형의 제3 탄성 부재(570)가 개재 장착되어, 상기 제3 탄성 부재(570)의 탄성에 의해 결합판(552)이 결합 방향으로 압박되고, 회전축(472)의 결합면(473)에 압접하여, 회전축(472), 회전체(390), 회전축(394)을 위치 결정한다.
덮개 부재(500)의 하부 좌측에는, 전방면(509)과 후방면(508)을 연통하는 코인 배출구(571)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303)의 후방면(326)의 하부 좌측에는, 코인(C)을 코인 배출구(571)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572)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500)의 후방면(508)의 상부 우측에는, 코인(C)의 두께 2매분의 두께를 갖는 링 부재(변경 부재)(580)가 나사(581)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링 부재(변경 부재)(580)는 상기 회전체(390)의 암형 나사부(부착부)(422)에 나사(581)에 의해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덮개 부재(500)의 좌우 양측에는 부착 암(582, 583)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체(390)의 회전축(394)은 케이스(303)의 베어링 구멍(3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방부(399)가 베어링 구멍(3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394)의 전방부(399)에는 핸들(600)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회전축(399)의 전방부(399)에는 부착 구멍(375)이 형성되어 있다. 핸들(600) 은 대략 중심에 고정축(601)이 형성되어, 고정축(601)이 회전축(394)의 부착 구멍(375)에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나사 등에 의해 회전축(394)에 고정되어 있다.
코인 선별 장치(301)는 회전체(390)가 장치 본체(302) 내에 수납되어, 회전축(394)이 케이스(303)의 베어링 구멍(3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축(472)이 덮개 부재(500)의 삽통 구멍(50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체(390)는 회전축(472)에 형성된 결합면(473)에 결합 부재(551)의 결합판(552)이 제3 탄성 부재(570)에 의해 압접되어, 위치 결정되어 있다. 즉, 회전체(390)는 위치 결정 수단(550)에 의해, 코인 수납부(481)의 개구(441)와 장치 본체(302)의 코인 투입구(502)가 대향하고, 코인 투입구(502)로부터 투입된 코인(C)이 직접 코인 수납부(481)에 수납되는 위치(초기 위치)에서 위치 결정되어, 이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
제1 가압 부재(515)는 가압 돌기(518)가 관통 구멍(503)을 삽입 관통하여 코인 수납부(481) 내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제2 가압 부재(541)는 암부(542)의 선단부(544)가 긴 구멍(531)을 삽입 관통하여 장치 본체(302) 내로 돌출하고, 회전판(390)의 후방면, 즉 안내 부재(450)의 후방면(451)에 압접하고 있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인 선별 장치(301)는 코인 수납부(48l) 내에 코인(C)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핸들(600)을 회전 조작하여, 회전체(390)의 초기 위치로부터 회전체(390)를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의 결합 모서리(347)가 스토퍼 부재(490)의 계지면(491)을 계지하므로, 더 이상 회전시킬 수 없다.
또한, 코인 수납부(481) 내에 코인(C)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체(390)를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안내 부재(450)의 후방면(451)에 압접하고 있는 제2 가압 부재(541)의 선단부(544)가, 판 스프링(539)의 탄성에 의해 코인 수납부(481) 내로 돌출하여, 안내 부재(450)의 우측 안내면(456)을 계지하므로, 더 이상 회전시킬 수 없다.
코인 투입구(502)로부터 정규 코인(C)과 같은 두께이기는 하지만, 외경이 작은 부정 코인을 적정 매수인 4매 투입하여 코인 수납부(481)에 수납하고, 회전체(390)를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가압 부재(541)의 선단부(544)는 이 4매의 부정 코인에 의해 코인 수납부(481) 내로 돌출하는 일이 없으므로, 안내 부재(450)의 우측 안내면(456)을 계지하는 일이 없어 회전체(390)의 회전이 저지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부정 코인의 외주연이 정규 코인(C)보다도 작기 때문에,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의 미끄럼 접촉 시에 제1 탄성 부재(350)의 탄성에 저항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어, 결국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의 결합 모서리(347)가 스토퍼 부재(490)의 계지면(491)을 계지하므로, 더 이상 회전시킬 수 없다. 1매만이 부정 코인이고 3매가 정규 코인이었다고 해도, 그 부정 코인에 위치하는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 중 하나가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코인 투입구(502)로부터 정규 코인(C)과 같은 외경이기는 하지만, 두께가 작 은 부정 코인을 적정 매수인 4매 투입하여 코인 수납부(481)에 수납한 경우, 이 4매의 부정 코인에서는, 제2 가압 부재(541)의 선단부(544)를 코인 수납부(481) 내로 돌출시키지 않도록 할 수 없어, 결국 안내 부재(450)의 우측 안내면(456)을 계지하므로, 회전체(390)의 회전이 저지된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인 투입구(502)로부터 정규 코인(C)을 4매 투입하면, 정규 코인(C) 4매가 스토퍼 핀(401)과 스토퍼 핀(402)에 실린 형태로 코인 수납부(481) 내에 수납된다. 즉, 코인 투입구(502)로부터 투입된 코인(C)은, 폐쇄하는 위치 P1에 있는 스토퍼 핀(401, 402)에 의해 코인 통로(482)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어, 코인 수납부(481)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코인 수납부(481) 내의 정규 코인 4매는, 제1 가압 부재(515)의 가압 돌기(518)에 의해 코인(C)의 두께 방향으로 가압되어, 코인 수납부(481) 내에서 위치 결정된다.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600)을 회전 조작하여, 회전체(390)를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4매의 정규 코인(C)이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의 계지 돌기부(347)와 미끄럼 접촉하고, 제1 탄성 부재(350)의 탄성에 저항하여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를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의 결합 모서리(347)가 스토퍼 부재(490)의 계지면(491)을 계지하는 일이 없어 회전체(390)의 회전을 저지하지 않는다. 또, 제2 가압 부재(541)의 선단부(544)는 이 4매의 정규 코인(C)에 의해 코인 수납부(481) 내로 돌출하는 일이 없으므로, 안내 부재(450)의 우측 안내면(456)을 계지하는 일이 없어 회전체(390)의 회전을 저지하 지 않는다.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390)가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120° 회전하면, 회전체(390)의 코인 수납부(481)의 개구(441)가 하방으로 기울어, 4매의 정규 코인(C)이 자중에 의해 개구(441)로부터 가이드 부재(572‥)를 거쳐서 코인 배출구(571)로 낙하하여, 코인 배출구(571)로부터 배출된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인 투입구(502)로부터 정규 코인(C)을 4매 투입하면, 정규 코인(C) 4매가 스토퍼 핀(401)과 스토퍼 핀(402)에 실린 형태로 코인 수납부(481) 내에 수납되지만, 외경이 작은 코인을 투입하면, 폐쇄하는 위치 P1에 있는 스토퍼 핀(401, 402)의 사이를 통해 코인 통로(482)로 이동하고, 또한 개구(475)로 낙하하여 경사면(476)으로 안내되어, 코인 낙하구(428)로부터 장치 본체(302)의 코인 반환구(325)를 지나 코인 반환부(322)의 코인 반환 오목부(323)로 반환된다. 즉, 정규 코인(C)보다 외경이 작은 코인은 코인 수납부(481)에 수납되는 일없이, 코인 반환부(322)로 반환된다.
회전체(390)의 스토퍼 부재(490)는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의 계지 돌기부(347)와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의 계지 돌기부(367)에 접촉한다. 회전체(390)의 역전 방지 돌기(432)와 스토퍼(431)는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의 계지 돌기부(347)와 접촉하는 일이 없어,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의 계지 돌기부(367)에 접촉한다.
스토퍼 부재(490)는 회전체(390)가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계지면(491)이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의 계지 돌기부 (347)에 접촉하여 회전이 저지되지만,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의 계지 돌기부(367)에는 미끄럼 접촉하고, 제2 탄성 부재(363)의 탄성에 저항하여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를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의 계지 돌기부(367)에 계지되는 일이 없어, 회전체(390)의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지 않는다.
회전체(390)가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체(390)의 역전 방지 돌기(432‥)가 순서대로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의 계지 돌기부(367)와 미끄럼 접촉하고, 제2 탄성 부재(363)의 탄성에 저항하여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를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의 계지 돌기부(367)가 역전 방지 돌기(432‥)를 계지하는 일이 없어, 회전체(390)의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지 않는다.
스토퍼(431)는, 역전 방지 돌기(432 : )와 마찬가지로, 회전체(390)가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의 계지 돌기부(367)와 미끄럼 접촉하고, 제2 탄성 부재(363)의 탄성에 저항하여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를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의 계지 돌기부(367)에 계지되는 일이 없어, 회전체(390)의 회전이 저지되지 않는다.
또, 회전체(390)의 역전 방지 돌기(432) 및 스토퍼(431)는 회전체(390)가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의 계지 돌기부(367)를 지나면, 회전체(390)를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키려고 해도,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의 계지 돌기부(367)에 계지되므로, 회전체(390)의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저지된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390)가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360°회전하면, 회전체(390)는 위치 결정 수단(550)에 의해, 코인 수납부(481)의 개구(441)가 코인 투입구(502)와 대향하여 코인 투입구(502)로부터 투입된 코인(C)이 직접 코인 수납부(481)에 수납되는 위치(초기 위치)에서 위치 결정된다.
다음에 정규 코인(C)의 투입 매수를 변경한다. 도16에 나타내는 장치 본체(302)로부터 나사(581)를 제거하여 링 부재(변경 부재)(580)를 이탈시킨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391)의 상부에 형성된 암형 나사부(부착부)(422)에 링 부재(변경 부재)(580)를 나사(581)에 의해 부착한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부재(변경 부재)(580)는 기판(391)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되어, 이 돌출 단부(585)와 코인 수납부(481) 내에 수납된 정규 코인(C)의 외단부 모서리가 대략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링 부재(변경 부재)(58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정규 코인(C) 2매분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코인 투입구(502)로부터 정규 코인(C)을 2매 투입하면, 코인 수납부(481) 내에 정규 코인(C) 2매가 수납된다. 2매의 정규 코인(C)은 스토퍼 핀(401, 402) 상에 실려, 코인 통로(482)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어, 코인 수납부(481)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때 제1 가압편 부재(515)의 가압 돌기(518)에 의해 2매의 정규 코인(C)은 압접되어, 코인 수납부(481) 내에서 위치 결정된다.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 들(600)을 회전 조작하여, 회전체(390)를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2매의 정규 코인(C)이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342)의 계지 돌기부(347)와 미끄럼 접촉하고, 링 부재(변경 부재)(580)가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3, 344)의 계지 돌기부(347)와 미끄럼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1 탄성 부재(350)의 탄성에 저항하여,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를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341 내지 344)의 결합 모서리(347)가 스토퍼 부재(490)의 계지면(491)을 계지하는 일이 없어, 회전체(390)의 회전을 저지하지 않는다. 이후는, 4매 수납 시와 마찬가지로 회전체(390)는 회전한다.
다음에 코인(C)의 반환에 대해 설명한다. 코인 투입구(502)로부터 코인(C)을 투입하면, 코인 수납부(481) 내에 코인(C)이 수납된다. 코인(C)은 폐쇄하는 위치(구획 위치) P1에 있는 스토퍼 핀(401, 402) 상에 실린다. 즉, 회전체(390)가 장치 본체(302)의 코인 투입구(502)와 개구(441)가 대향하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코인 투입구(502)로부터 투입된 코인(C)이 스토퍼 핀(401, 402)에 의해 코인 통로(482)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어, 코인 수납부(481)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투입되는 코인(C)은 정규 코인이 아니어도 좋으며, 매수도 적정 매수가 아니어도 상관없다.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600)을 회전 조작하여, 회전체(390)를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대략 30° 회전시키면, 우측의 보유 지지 암(395)이 가이드(330)의 우측의 결합 부재(331)에 결합하고, 중심축(397)을 중심으로 하여 스프링(탄성 부재)(407)의 탄성에 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하는 위치(비구획 위치) P2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좌측의 보유 지지 암(396)이 가이드(330)의 좌측 결합 부재(331)에 결합하고, 중심축(398)을 중심으로 하여 스프링(탄성 부재)(417)의 탄성에 저항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하는 위치(비구획 위치) P2로 이동한다.
우측의 보유 지지 암(395)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하는 위치(비구획 위치) P2로 이동하고, 좌측의 보유 지지 암(39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하는 위치(비구획 위치) P2로 이동하면, 스토퍼 핀(401)과 핀(402) 사이가 개방하게 되어, 스토퍼 핀(401)과 핀(402)에 실려 있는 코인(C)이 자중에 의해 스토퍼 핀(401)과 핀(402) 사이를 통해 코인 통로(482)로 이동하고, 또한 개구(475)로 낙하하여 경사면(476)으로 안내되어, 코인 낙하구(428)로부터 장치 본체(302)의 코인 반환구(325)를 지나 코인 반환부(322)의 코인 반환 오목부(323)로 반환된다.
코인 수납부(481) 내에 코인(C)이 4매 수납되어 있으면, 가이드 돌기(438)에 의해, 최초에 후방측의 코인 2매가 코인 통로(482)로 낙하하고, 남는 코인 2매가 가이드 돌기(438)의 경사져 있는 상면(439)에 의해 1매씩 미끄러지도록 코인 통로(482)로 낙하하므로, 코인 4매가 동시에 떨어져 코인 통로(482)를 막히게 하는 일이 없다.
핸들(600)을 회전 조작하여, 회전체(390)를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대략 30° 회전시키면, 스토퍼(431)의 계지면(제2 계지 모서리)(430)이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의 계지 돌기부(367)에 계지되므로, 회전체(390)의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저지된다.
이와 같이,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362)는, 회전체(390)를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코인 수납부(481) 내의 코인(C)을 코인 통로(482)로 낙하시킨 후에, 회전체(390)의 스토퍼(431)의 제2 계지 모서리(430)를 계지하고, 이에 의해 회전체(390)의 다른 방향(Y 방향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한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390)를 일방향(X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면, 회전체(390)는 위치 결정 수단(550)에 의해, 코인 수납부(481)가 대략 바로 위의 위치, 코인 투입구(502)로부터 투입된 코인(C)이 직접 코인 수납부(481)에 수납되는 초기 위치에서 위치 결정된다.
[발명의 효과]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는, 정규 코인을 코인 투입구로부터 적정 매수 투입하지 않는 경우, 핸들을 조작하여 회전체를 회전시키려 해도, 회전체의 계지 모서리가 복수의 계지 부재 중 하나에 계지되어, 회전체의 회전이 저지된다. 또한, 정규 코인보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을 포함하는 복수의 코인을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하여, 코인을 회전체의 코인 수납부에 수납한 경우, 핸들을 조작하여 회전체를 회전시키려 해도, 부정 코인의 외주연에 의해 복수의 계지 부재 중 하나를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어, 결국 회전체의 계지 모서리가 부정 코인의 위치에 있는 계지 부재에 계지되어, 회전체의 회전이 저지된다. 정규 코인을 코인 투입구로부터 적정 매수 투입하여, 복수의 코인을 회전체의 코인 수납부에 수납한 경우, 핸들을 조작하여 회전체를 회전시키면, 복수의 계지 부재가 회전체의 회전 시에 각 정규 코인의 외주연에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복수의 계지 부재가 회전체의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는 일이 없으므로, 회전체의 회전이 가능하고, 코인 수납부의 복수의 코인을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회전체에는 코인 수납부의 코인 수납 매수를 바꾸는 절환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코인 수납부는, 회전체에 형성된 제1 코인 수납부와, 절환 부재에 형성된 제2 코인 수납부로 이루어진다. 절환 부재는 회전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코인 수납부가 회전체의 제1 코인 수납부와 포개어져, 제2 코인 수납부와 제1 코인 수납부로 코인 수납부를 구성하고, 회전체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코인 수납부가 회전체의 제1 코인 수납부로부터 빠지게 되어, 제1 코인 수납부로 코인 수납부를 구성하므로, 코인 수납부의 수납 매수를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는 절환 부재에 의해 코인의 투입 매수를 간단히 바꿀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는, 절환 부재의 제2 코인 수납부가 회전체의 제1 코인 수납부로부터 빠지게 되어, 회전체의 제1 코인 수납부만으로 코인 수납부를 구성하고 있을 때에, 절환 부재의 가이드 모서리가 회전체의 회전 시에 계지 부재와 미끄럼 접촉하여 계지 부재를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시켜, 계지 부재를 회전체의 계지 모서리에 계지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는,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과 두께가 다른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 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회전 시에 결합 부재가 장치 본체의 일측과 결합하여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고,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는 경우, 코인이 결합 부재를 반결합 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전체의 회전 시에 결합 부재가 장치 본체의 일측과 결합하지 않아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는 코인의 두께도 검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는, 절환 부재를 회전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절환 부재의 제2 코인 수납부를 회전체의 제1 코인 수납부에 포개어, 제2 코인 수납부와 제1 코인 수납부로 코인 수납부를 구성했을 때에, 결합 볼록부 또는 결합 오목부와 제1 결합 오목부 또는 제1 결합 볼록부가 결합하여 절환 부재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고, 절환 부재를 회전체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절환 부재의 제2 코인 수납부를 회전체의 제1 코인 수납부로부터 빠지게 하여 제1 코인 수납부로 코인 수납부를 구성했을 때에, 결합 볼록부 또는 결합 오목부와 제2 결합 오목부 또는 제2 결합 볼록부가 결합하여 절환 부재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는, 절환 부재의 바꾼 위치를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는, 회전체의 코인 수납부에, 코인 수납 매수를 변경하는 변경 부재를 부착하는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변경 부재는, 장치 본체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변경 부재를 장치 본체로부터 이탈시켜, 코인 수납부의 부착부에 부착함으로써,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는 코 인의 수납 매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는 변경 부재에 의해, 코인의 투입 매수를 간단히 바꿀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는,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이 초기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회전체의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코인이 회전체의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면, 코인 수납부와 코인 통로의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에 의해 코인 통로로의 낙하가 저지되고, 코인 수납부 내에 보유 지지된다. 정규 코인을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하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보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을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한 경우, 핸들을 조작하여 회전체를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해도, 회전체의 제1 계지 모서리가 제1 계지 부재에 계지되어, 회전체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된다. 정규 코인을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하여, 정규 코인을 회전체의 코인 수납부에 수납한 경우, 핸들을 조작하여 회전체를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계지 부재가 회전체의 일방향의 회전 시에 정규 코인의 외주연에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 계지 부재가 회전체의 제1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는 일이 없으므로, 회전체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고,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이 구획 부재로 안내되어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코인이 회전체의 코인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핸들을 조작하여 회전체를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인이 구획 부재로부터 빠지게 되어 코인 통로로 낙하하여, 코인 반환구로부터 코인이 반환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는,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이 초기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회전체의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코인이 회전체의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면, 제4 탄성 부재에 의해 구획 위치에 압박된, 코인 수납부와 코인 통로의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에 의해 코인 통로로의 낙하가 저지되어, 코인 수납부 내에 보유 지지된다. 정규 코인을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하여, 핸들을 조작하여 회전체를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계지 부재가 회전체의 일방향의 회전 시에 정규 코인의 외주연에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이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코인이 회전체의 코인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핸들을 조작하여 회전체를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획 위치의 구획 부재가 결합 부재와 결합하여, 제4 탄성 부재에 저항하여 비구획 위치로 이동하므로, 코인이 구획 부재로부터 빠지게 되어, 코인 통로로 낙하되어 코인 반환구로부터 코인이 반환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는,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이 초기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회전체의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코인이 회전체의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면, 제4 탄성 부재에 의해 폐쇄하는 위치로 압박된, 코인 수납부와 코인 통로의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코인 스토퍼에 의해 코인 통로로의 낙하가 저지되고, 코인 수납부 내에 보유 지지된다. 정규 코인을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하고, 핸들을 조작하여 회전체를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계지 부재가 회전체의 일방향의 회전 시에 정규 코인의 외주연에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이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코인이 회전체의 코인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핸들을 조작하여 회전체를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폐쇄하는 위치의 한 쌍의 코인 스토퍼가 결합 부재와 결합하고, 제4 탄성 부재에 저항하여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하므로, 코인이 한 쌍의 코인 스토퍼로부터 빠지게 되어, 코인 통로로 낙하되어 코인 반환구로부터 코인이 반환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는 회전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물품을 꺼낼 수 있고, 회전체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인을 반환시킬 수 있어, 반환 버튼 등의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는, 제2 계지 부재가 회전체를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을 코인 통로로 낙하시킨 후에, 회전체의 제2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여 회전체의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므로, 지나친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는, 위치 결정 수단이 회전체를 초기 위치에서 위치 결정할 수 있으므로, 회전체가 부주의하게 회전하지 않아, 항상 초기 위치에서 대기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부호의 설명]
C : 코인, P1 : 폐쇄하는 위치(구획 위치), P2 : 개방하는 위치(비구획 위치), 1 : 코인 선별 장치, 2 : 장치 본체, 3 : 케이스, 3a : 후방부 개방부, 3b : 하부 개방부, 5 : 고정 수단, 6 : 일측, 11 : 전방 벽, 12 : 상부 벽, 13 : 좌측 벽, 14 : 우측 벽, 15 : 내면, 16 : 오목부, 17 : 바닥면, 19 : 측면, 20 : 베어링 구멍, 21 : 오목 홈, 25 : 제1 안내 벽, 26 : 제2 안내 벽, 27 : 우측 하단부, 28 : 좌단부, 29 : 수납실, 30 : 상단부, 31 : 하단부, 33 : 절결부, 35 : 코인 투입구, 36 : 코인 배출구, 38 : 절취부, 39 : 결합 돌기, 40 : 상부 오목부, 41 :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 42 :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 43 :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 44 :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 45 : 축부, 46 : 결합 모서리, 47 : 계지 돌기부, 50 : 제1 탄성 부재, 51 : 탄성 부재, 52 : 탄성 부재, 53 : 탄성 부재, 54 : 탄성 부재, 55 : 하부, 57 : 베어링부, 59 : 삽입 홈, 60 : 절취부, 61 : 하부 오목부, 62 :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 63 : 제2 탄성 부재, 65 : 축부, 66 : 결합 모서리, 67 : 계지 돌기부, 68 : 상부, 69 : 하부, 70 : 베어링부, 71 : 삽입 홈, 72 : 결합 돌기, 75 : 제1 안내 홈, 76 : 제2 안내 홈, 79 : 핀, 81 : 제1 배출구(코인 배출구), 82 : 제2 배출구(코인 반환구), 85 : 개구, 90 : 회전체, 91 : 기판, 91a : 표면, 91b : 이면, 92 : 우측 안내 부재, 93 : 좌측 안내 부재, 94 : 회전축, 95 : 돌기, 96 : 절삭 홈, 97 : 상단부, 98 : 선단부, 99 : 절결부, 100 : 결합 부재, 101 : 피봇 축, 102 : 베어링 오목부, 103 : 고정판, 104 : 이면, 105 : 가이드 통, 106 : 가이드 축, 107 : 탄성 부재, 109 : 상단부, 110 : 우측 상부 가이드 면, 111 : 우측 만곡면, 112 : 우측 하부 가이드 면, 113 : 우측 외주면, 115 : 스토퍼 부재, 116 : 제1 계지 모서리, 117 : 제2 계지 모서리, 120 : 좌측 상부 가이드 면, 121 : 좌측 만곡면, 122 : 좌측 하부 가이드 면, 123 : 좌측 외주면, 125 : 절결부, 126 : 결합 부재, 127 : 가요 부재, 128 : 결합 볼록부, 130 : 결합 단차부, 131 : 상부, 132 : 하부, 133 : 개구, 135 : 코인 수납부, 136 : 일단부(상단부), 137 : 타단부(하단부), 138 : 일단부(상단부), 139 : 타단부(하단부), 140 : 제1 코인 수납부, 141 : 제1 코인 통로, 142 : 제2 코인 통로, 143 : 코인 통로, 145 : 중심축, 146 : 부착판, 147 : 부착 부재, 147a : 바닥 벽, 147b : 수직 벽, 148 : 가이드 부재, 149 : 고정 수단, 150 : 절환 부재, 151 : 가이드 링, 152 : 외주면, 153 : 이면, 154 : 제2 코인 수납부, 155 : 우측 가이드 부재, 156 : 우측 상부 가이드 면, 157 : 우측 가이드면, 159 : 우측 외주면, 160 : 좌측 가이드 부재, 161 : 좌측 상부 가이드 면, 162 : 좌측 만곡면, 163 : 좌측 하부 가이드 면, 165 : 좌측 외주면, 166 : 제1 결합 오목부, 167 : 제2 결합 오목부, 168 : 가이드 모서리, 169 : 외경, 170 : 덮개 부재, 171 : 오목부, 172 : 측면, 173 : 삽통 구멍, 175 : 구획 부재, 180 : 절결부, 181 : 긴 구멍, 182 : 우측 베어링 돌기, 183 : 좌측 베어링 돌기, 185 : 우측 베어링 오목부, 186 : 좌측 베어링 오목부, 187 : 스프링 받침 부재, 190 : 가압 부재, 191 : 요동 부재, 192 : 제1 가압편 부재, 193 : 제2 가압편 부재, 195 : 요동판, 196 : 요동축, 197 : 관통 구멍, 201 : 지지축, 202 : 지지축, 203 : 베어링 판, 205 : 베어링부, 206 : 베어링부, 210 : 베어링 부재, 211 : 압박 부재, 212 : 베어링부, 213 : 베어링부, 214 : 스프링 부재, 215 : 선단부, 216 : 가압편, 217 : 지지축, 218 : 선단부, 219 : 탄성 부재, 220 : 일부, 221 : 나사, 222 : 로크 부재, 225 : 회전축, 226 : 나사, 228 : 피결합 부재, 230 : 피결합부, 231 : 결합 부재, 232 : 상부, 233 : 나사, 235 : 결합 모서리, 236 : 하부, 237 : 후크, 240 : 위치 결정 수단, 241 : 제3 탄성 부재, 242 : 일단부, 243 : 타단부, 245 : 나사, 250 : 핸들, 251 : 고정축, 252 : 부착 구멍, 253 : 나사, 301 : 코인 선별 장치, 302 : 장치 본체, 303 : 케이스, 304 : 후방부 개방부, 305 : 고정 수단, 311 : 전방 벽, 312 : 상부 벽, 313 : 좌측 벽, 314 : 우측 벽, 315 : 전방면, 316 : 볼록한 띠 , 317 : 오목부, 318 : 하부 벽, 320 : 베어링 구멍, 321 : 오목부, 322 : 코인 반환부, 323 : 코인 반환 오목부, 325 : 코인 반환구, 326 : 후방면, 327 : 안내 벽, 328 : 우단부, 329 : 좌단부, 330 : 가이드 , 331 : 결합 부재, 332 : 절취부, 333 : 제1 부착부, 335 : 가이드 부재, 336 : 고정 수단, 339 : 결합 돌기, 341 :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 342 :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 343 :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 344 : 계지 갈고리 부재(제1 계지 부재), 345 : 축부, 346 : 결합 모서리, 347 : 계지 돌기부, 350 : 제1 탄성 부재, 351 : 탄성 부재, 352 : 탄성 부재, 353 : 탄성 부재, 354 : 탄성 부재, 355 : 하부, 357 : 베어링부, 359 : 삽입 오목부, 360 : 절취부, 361 : 제2 부착부, 362 : 계지 갈고리 부재(제2 계지 부재), 363 : 제2 탄성 부재, 365 : 축부, 366 : 결합 모서리, 367 : 계지 돌기부, 368 : 상부, 369 : 하부, 370 : 베어링부, 371 : 삽입 오목부, 372 : 상부 모서리, 375 : 부착 구멍, 390 : 회전체, 391 : 기판, 392 : 후방면, 393 : 전방면, 394 : 회전축, 395 : 보유 지지 암(구획 부재, 코인 스토퍼), 396 : 보유 지지 암(구획 부재, 코인 스토퍼), 397 : 중심축, 398 : 중심축, 399 : 전방부, 401 : 스토퍼 핀, 402 : 스토퍼 핀, 403 : 중심 구멍, 405 : 긴 구멍, 406 : 스프링 받침부, 407 : 스프링(제4 탄성 부재), 408 : 한쪽, 409 : 타단부, 411 : 내측 모서리, 413 : 중심 구멍, 415 : 긴 구멍, 416 : 스프링 받침부, 417 : 스프링(제4 탄성 부재), 418 : 한쪽, 419 : 타단부, 421 : 내측 모서리, 422 : 암형 나사부(부착부), 425 : 위치 결정 구멍, 426 : 위치 결정 구멍, 428 : 코인 낙하구, 430 : 계지면(제2 계지 모서리), 431 : 스토퍼, 432 : 역전 방지 돌기, 434 : 상부 암, 435 : 상부 암, 436 : 상부 암, 437 : 상부 암, 438 : 가이드 돌기, 439 : 상면, 441 : 개구, 442 : 일단부, 443 : 타단부, 445 : 일단부, 446 : 타단부 450 : 안내 부재, 451 : 후방면, 452 : 전방면, 453 : 절취부, 455 : 좌측 안내면, 456 : 우측 안내면, 457 : 오목부, 458 : 오목부, 461 : 좌측 만곡면, 462 : 우측 만곡면, 463 : 끼워 맞춤 부재, 464 : 다리 부재, 465 : 중간 안내면, 467 : 끼워 맞춤 부재, 469 : 다리 부재, 470 : 중간 안내면, 472 : 회전축, 473 : 결합면(피결합부), 475 : 개구, 476 : 경사면, 479 : 결합면, 481 : 코인 수납부, 482 : 코인 통로, 490 : 스토퍼 부재, 491 : 계지면(제1 계지 모서리), 500 : 덮개 부재, 501 : 삽통 구멍, 502 : 코인 투입구, 503 : 관통 구멍, 505 : 베어링 핀, 506 : 베어링 핀, 507 : 베어링부, 508 : 후방면, 509 : 전방면, 510 : 보스, 511 : 암형 나사부, 515 : 제1 가압 부재, 516 : 암부, 517 : 지지축, 518 : 가압 돌기, 519 : 피가압 볼록부, 521 : 누름 부재, 522 : 절결부, 523 : 판 스프링, 525 : 규제 돌기, 526 : 나사 통과 구멍, 527 : 나사 통과 구멍, 529 : 나사, 531 : 긴 구멍, 532 : 오목부, 533 : 암형 나사부, 534 : 나사 통과 구멍, 535 : 볼록 단차부, 536 : 베어링 핀, 537 : 베어링부, 539 : 판 스프링, 541 : 제2 가압 부재, 542 : 암부, 543 : 지지축, 544 : 선단부, 550 : 위치 결정 수단, 551 : 결합 부재, 552 : 결합판, 553 : 상부 가이드 판, 555 : 하부 가이드 판, 556 : 상부 미끄럼 이동판, 557 : 하부 미끄럼 이동판, 561 : 긴 구멍, 562 : 긴 구멍, 564 : 상부 안내판, 565 : 하부 안내판, 566 : 결합 보스, 567 : 결합 보스, 568 : 받침부, 569 : 나사, 570 : 제3 탄성 부재, 571 : 코인 배출구, 572 : 가이드 부재, 580 : 링 부재(변경 부재), 581 : 나사, 582 : 부착 암, 583 : 부착 암, 585 : 돌출 단부, 600 : 핸들, 601 : 고정축
본원 발명은, 정규 코인이 투입되면 핸들을 조작할 수 있고, 부정 코인이 투입된 경우 혹은 정규 코인이 투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핸들을 조작할 수 없는 코인 선별 장치이며, 캡슐 배출기 등의 물품 취출기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3)

  1. 장치 본체는 상부에 코인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핸들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에는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을 복수매 포개어 수납 가능한 코인 수납부가 형성되고,
    장치 본체에는 코인의 매수에 대응한 복수의 계지 부재가 설치되고,
    복수의 계지 부재는 각각 탄성 부재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어,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보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회전 시에 회전체의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여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고,
    복수의 계지 부재는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회전 시에 각 정규 코인의 외주 모서리가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체의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는 일없이 회전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코인 수납부의 복수의 코인을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인 선별 장치이며,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의 코인 수납 매수를 바꾸는 절환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코인 수납부는 회전체에 형성된 제1 코인 수납부와 절환 부재에 형성된 제2 코인 수납부로 이루어지고,
    절환 부재는 회전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코인 수납부가 회전체의 제1 코인 수납부와 포개어져, 제2 코인 수납부와 제1 코인 수납부로 코인 수납부를 구성하고, 회전체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코인 수납부가 회전체의 제1 코인 수납부로부터 빠지게 되어, 제1 코인 수납부로 코인 수납부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부재에는 제2 코인 수납부가 회전체의 제1 코인 수납부로부터 빠지게 되어, 회전체의 제1 코인 수납부로 코인 수납부를 구성하고 있을 때에, 회전체의 회전 시에 계지 부재와 미끄럼 접촉하여 계지 부재를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전체의 계지 모서리에 계지시키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코인 수납부에는 결합 방향으로 압박된 결합 부재가 설치되고,
    결합 부재는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과 두께가 다른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회전 시에 장치 본체의 일측과 결합하여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고,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는 경우, 반결합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체의 회전 시에 장치 본체의 일측과 결합하지 않아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및 절환 부재 중 한쪽에는 결합 볼록부 또는 결합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 및 절환 부재 중 다른 쪽에는 제1과 제2 결합 오목부 또는 제1과 제2 결합 볼록부가 형성되고,
    절환 부재는 이것을 회전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코인 수납부를 회전체의 제1 코인 수납부에 포개어 제2 코인 수납부와 제1 코인 수납부로 코인 수납부를 구성했을 때에, 결합 볼록부 또는 결합 오목부가 제1 결합 오목부 또는 제1 결합 볼록부와 결합하여 위치 결정되고, 이것을 회전체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코인 수납부를 회전체의 제1 코인 수납부로부터 빠지게 하여 제1 코인 수납부로 코인 수납부를 구성했을 때에, 결합 볼록부 또는 결합 오목부가 제2 결합 오목부 또는 제2 결합 볼록부와 결합하여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5. 장치 본체는 상부에 코인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핸들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에는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을 복수매 포개어 수납 가능한 코인 수납부가 형성되고,
    장치 본체에는 코인의 매수에 대응한 복수의 계지 부재가 설치되고,
    복수의 계지 부재는 각각 탄성 부재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어,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보 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회전 시에 회전체의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여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고,
    복수의 계지 부재는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적정 매수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회전 시에 각 정규 코인의 외주연이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체의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는 일없이 회전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코인 수납부의 복수의 코인을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인 선별 장치이며,
    상기 회전체의 코인 수납부에는 코인 수납 매수를 변경하는 변경 부재를 부착하는 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변경 부재는 장치 본체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6. 장치 본체는 상부에 코인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 및 코인 반환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핸들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는 코인 수납부를 갖고,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는 초기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고,
    장치 본체에는 제1 계지 부재가 제1 탄성 부재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어 마련되고,
    제1 계지 부재는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보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회전체의 제1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여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고,
    제1 계지 부재는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정규 코인의 외주연이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체의 제1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는 일없이 회전체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을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인 선별 장치이며,
    회전체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와 연통하여, 코인 반환구로 코인을 낙하시키는 코인 통로가 형성되고,
    장치 본체에는 코인 수납부와 코인 통로의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가 설치되고,
    구획 부재는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코인 수납부와 코인 통로의 사이를 구획하여,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이 코인 통로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하고,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코인 수납부와 코인 통로의 사이를 구획하지 않게 되어,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이 코인 통로로 낙하하여 코인 반환구로부터 반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7. 장치 본체는 상부에 코인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 및 코인 반환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핸들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는 코인 수납부를 갖고,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는 초기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고,
    장치 본체에는 제1 계지 부재가 제1 탄성 부재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어 마련되고,
    제1 계지 부재는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보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회전체의 제1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여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고,
    제1 계지 부재는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정규 코인의 외주연이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체의 제1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는 일없이 회전체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을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인 선별 장치이며,
    회전체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와 연통하여, 코인 반환구로 코인을 낙하시키는 코인 통로가 형성되고, 또한 코인 수납부와 코인 통로의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가 설치되고,
    구획 부재는 코인의 낙하를 저지하는 구획 위치와, 코인의 낙하를 저지하지 않는 비구획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제4 탄성 부재에 의해 구획 위치 측으로 압박 되고 있고,
    장치 본체에는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구획 위치의 구획 부재와 결합하지 않아,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이 코인 통로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하고,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구획 위치의 구획 부재와 결합하여 구획 부재를 제4 탄성 부재의 탄성에 저항하여 비구획 위치로 이동시켜,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을 코인 통로로 낙하시켜, 코인 반환구로부터 코인을 반환시키는 결합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8. 장치 본체는 상부에 코인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 및 코인 반환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핸들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는 코인 수납부를 갖고,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는 초기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고,
    장치 본체에는 제1 계지 부재가 제1 탄성 부재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어 마련되고,
    제1 계지 부재는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정규 코인보다 작은 외경의 부정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회전체의 제1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여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고,
    제1 계지 부재는 정규 코인이 코인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정규 코인의 외주연이 미끄럼 접촉하여 반계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체의 제1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는 일없이 회전체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을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인 선별 장치이며,
    회전체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와 연통하여, 코인 반환구로 코인을 낙하시키는 코인 통로가 형성되고, 또한 코인 수납부와 코인 통로의 사이에 한 쌍의 코인 스토퍼가 마련되고,
    한 쌍의 코인 스토퍼는 코인의 낙하를 저지하는 폐쇄하는 위치와, 코인의 낙하를 저지하지 않는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제4 탄성 부재에 의해 폐쇄하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으며,
    장치 본체에는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폐쇄된 상태의 한 쌍의 코인 스토퍼와 결합하지 않아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이 코인 통로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하고,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폐쇄된 상태의 한 쌍의 코인 스토퍼와 결합하여 한 쌍의 코인 스토퍼를 제4 탄성 부재의 탄성에 저항하여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을 코인 통로로 낙하시켜, 코인 반환구로부터 코인을 반환시키는 결합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 본체에는 제2 계지 부재가 제2 탄성 부재에 의해 계지 방향으로 압박되어 설치되고,
    제2 계지 부재는 회전체를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을 코인 통로로 낙하시킨 후에, 회전체의 제2 계지 모서리를 계지하여 회전체의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 본체에는 상기 회전체를 초기 위치에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이 마련되고,
    위치 결정 수단이 회전체 또는 회전체의 대략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에 형성된 피결합부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와, 결합 부재를 결합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3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11. 상부에 코인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 및 코인 반환구가 형성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회전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체 내로 돌출한 구획 부재와,
    상기 회전체의 외측 모서리에 마련된 개구와,
    상기 회전체에 마련되어, 일단부는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코인 수납부이며, 타단부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구획 부재와 대향하는 상태와 대향하지 않는 상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 코인 수납부와,
    상기 회전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인 수납부의 타단부와 일단부에 의해 연통하고, 타단부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외부에 연통하는 코인 통로이며, 상기 코인 수납부와 둔각이 되도록 형성된 상기 코인 통로를 갖고,
    상기 회전체가 상기 장치 본체의 코인 투입구와 상기 개구가 대향하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구획 부재가 상기 코인 수납부의 타단부와 대향하는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은 상기 코인 통로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됨으로써, 상기 코인 수납부에 보유 지지되고,
    상기 회전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되었을 때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에 보유 지지된 코인은 자중에 의해 상기 개구를 거쳐서 상기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회전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의 타단부가 상기 구획 부재와 대향하지 않는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코인 수납부에 보유 지지된 코인은 상기 코인 통로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코인 통로를 거쳐서 상기 코인 반환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12. 상부에 코인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 및 코인 반환구가 형성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측 모서리에 마련된 개구와,
    상기 회전체에 마련되어, 일단부가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코인 수납부와,
    상기 회전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인 수납부의 타단부와 일단부에 의해 연통하고, 타단부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외부에 연통하는 코인 통로와,
    상기 회전체에 마련된 코인 수납부와 코인 통로의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이며, 코인의 낙하를 저지하는 구획 위치와, 코인의 낙하를 저지하지 않는 비구획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제4 탄성 부재에 의해 구획 위치 측으로 압박된 구획 부재와,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어,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구획 위치의 구획 부재와 결합하지 않아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이 코인 통로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하고,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구획 위치의 구획 부재와 결합하여 구획 부재를 제4 탄성 부재의 탄성에 저항하여 비구획 위치로 이동시켜,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을 코인 통로로 낙하시켜, 코인 반환구로부터 코인을 반환시키는 결합 부재를 갖고,
    상기 회전체가 상기 장치 본체의 코인 투입구와 상기 개구가 대향하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구획 부재가 상기 결합 부재와 결합하지 않고 구획 위치에 있음으로써, 상기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은 상기 코인 통로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됨으로써, 상기 코인 수납부에 보유 지지되고,
    상기 회전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되었을 때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에 보유 지지된 코인은 자중에 의해 상기 개구를 거쳐서 상기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회전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구획 부재가 상기 결합 부재와 결합하여 비구획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코인 수납부에 보유 지지된 코인은 상기 코인 통로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코인 통로를 거쳐서 상기 코인 반환구로부터 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13. 상부에 코인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코인 배출구 및 코인 반환구가 형성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측 모서리에 마련된 개구와,
    상기 회전체에 마련되어, 일단부가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코인 수납부와,
    상기 회전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인 수납부의 타단부와 일단부에 의해 연통하고, 타단부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외부에 연통하는 코인 통로와,
    상기 회전체에 마련된, 코인 수납부와 코인 통로의 사이를 폐쇄하는 한 쌍의 코인 스토퍼이며, 코인의 낙하를 저지하는 폐쇄하는 위치와, 코인의 낙하를 저지하지 않는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제4 탄성 부재에 의해 폐쇄하는 방향으로 압박된 한 쌍의 코인 스토퍼와,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어,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폐쇄된 상태의 한 쌍의 코인 스토퍼와 결합하지 않아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이 코인 통로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하고, 회전체의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폐쇄된 상태의 한 쌍의 코인 스토퍼와 결합하여 한 쌍의 코인 스토퍼를 제4 탄성 부재의 탄성에 저항하여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코인 수납부 내의 코인을 코인 통로로 낙하시켜, 코인 반환구로부터 코인을 반환시키는 결합 부재를 갖고,
    상기 회전체가 상기 장치 본체의 코인 투입구와 상기 개구가 대향하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코인 스토퍼가 상기 결합 부재와 결합하지 않고 폐쇄되는 위치에 있음으로써, 상기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은 상기 코인 통로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됨으로써, 상기 코인 수납부에 보유 지지되고,
    상기 회전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되었을 때에는, 상기 코인 수납부에 보유 지지된 코인은 자중에 의해 상기 개구를 거쳐서 상기 코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회전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코인 스토퍼가 상기 결합 부재와 결합하여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코인 수납부에 보유 지지된 코인은 상기 코인 통로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코인 통로를 거쳐서 상기 코인 반환구로부터 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KR1020067006290A 2004-09-30 2004-12-21 코인 선별 장치 KR100775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JP2004/014786 2004-09-30
PCT/JP2004/014786 WO2006038294A1 (ja) 2004-09-30 2004-09-30 コイン選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705A true KR20060093705A (ko) 2006-08-25
KR100775206B1 KR100775206B1 (ko) 2007-11-12

Family

ID=3614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290A KR100775206B1 (ko) 2004-09-30 2004-12-21 코인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257681A1 (ko)
JP (1) JPWO2006038311A1 (ko)
KR (1) KR100775206B1 (ko)
CN (3) CN101676958B (ko)
HK (1) HK1141356A1 (ko)
WO (2) WO20060382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8803B (zh) * 2010-06-22 2013-07-10 上海怡力工程设备有限公司 圆形筹码分拣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022Y2 (ko) * 1979-06-21 1986-08-12
CN2101280U (zh) * 1991-08-21 1992-04-08 贾善耕 硬币分选器
JP2538540Y2 (ja) * 1992-09-21 1997-06-18 今野産業株式会社 手動操作型自動販売機のコイン投入装置
JP3441548B2 (ja) * 1995-02-06 2003-09-02 株式会社トミー 自動販売機における硬貨選別装置
SE504132C2 (sv) * 1995-03-28 1996-11-18 Scan Coin Ab Anordning och sätt för avskiljning av främmande föremål från en myntmassa
CN2317505Y (zh) * 1997-10-24 1999-05-05 陈德来 硬币分选机
TW374892B (en) * 1998-03-02 1999-11-21 Asahi Seiko Co Ltd Sporting and sieving device for coins
JP3580705B2 (ja) * 1998-08-28 2004-10-27 株式会社トミー コイン選別装置
JP2000242823A (ja) * 1999-02-24 2000-09-08 Nippon Conlux Co Ltd 硬貨選別方法および装置
CN2387596Y (zh) * 1999-08-30 2000-07-12 任炳球 投币保管箱锁的硬币分选装置
JP2003016505A (ja) * 2001-07-04 2003-01-17 Tomy Co Ltd 物品排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86764A (zh) 2006-12-27
US20080257681A1 (en) 2008-10-23
HK1141356A1 (en) 2010-11-05
JPWO2006038311A1 (ja) 2008-05-15
KR100775206B1 (ko) 2007-11-12
CN101676958B (zh) 2012-02-22
CN102542669B (zh) 2014-05-28
WO2006038311A1 (ja) 2006-04-13
WO2006038294A1 (ja) 2006-04-13
CN102542669A (zh) 2012-07-04
CN101676958A (zh)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015B1 (ko) 자기 테이프 카세트용 컨테이너
US8307383B2 (en) Disc cartridge
US6240750B1 (en) Security case
CN1509459B (zh) 硬币检查装置
KR20120042646A (ko) 명함지갑
KR100775206B1 (ko) 코인 선별 장치
US5226025A (en) Magazine disk player having an improved magazine detecting feature
US7748513B2 (en) Vending machine
US10565815B2 (en) Self-locking cash deposit equipment and cashbox thereof
JP2008003778A (ja) コイン選別器、コイン検出装置、および販売装置
JP5526601B2 (ja) カートリッジ収納装置
US6526017B1 (en) Media cartridge retention and ejection system
RU217521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предметов
JP4671806B2 (ja) 硬貨処理装置
JP2012133479A (ja) 硬貨処理装置
JP4000279B2 (ja)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017131393A (ja) カートリッジ
JP2003077042A (ja) 自動販売機
JP4432092B2 (ja) コイン選別器、コイン検出装置、及び販売装置
JP5465113B2 (ja) 遊技媒体受入具
JP6342735B2 (ja) コイン投入式施錠装置
KR200176019Y1 (ko) 종이보관함
JPH0337100Y2 (ko)
JPS5920088A (ja) 硬貨払い出し機
JPH02219194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