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019Y1 - 종이보관함 - Google Patents

종이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019Y1
KR200176019Y1 KR2019990022970U KR19990022970U KR200176019Y1 KR 200176019 Y1 KR200176019 Y1 KR 200176019Y1 KR 2019990022970 U KR2019990022970 U KR 2019990022970U KR 19990022970 U KR19990022970 U KR 19990022970U KR 200176019 Y1 KR200176019 Y1 KR 200176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outer case
cover plate
coin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원
Original Assignee
김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원 filed Critical 김진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0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essential features of rigid construction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메모지를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고 메모된 종이를 다른 사람이 쉽게 보지 못하도록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종이보관함은, 전후방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종이(121)를 수용하는 외부케이스(101); 외부케이스(101)의 전방개구의 중앙부분에서 전방개구를 가로막는 방향으로 부착되어 그 하단부와 전방개구의 저면 사이에 간극을 유지하여 직선의 종이배출공(106)을 형성하고 그 상단부와 전방개구의 상면 사이에 간극을 유지하여 곡선의 종이유입공(104)을 각각 형성하는 전방덮개플레이트(103); 외부케이스(101)의 후방개구 부분에서 후방개구를 가로막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상단부가 외부케이스(101)의 후방부 상측 내벽면 상에 형성된 걸림홈(108)에 걸려 지지되고 그 하단부가 외부케이스(101)의 후방부 하측 내측면 상에 고정핀(111)에 의해 고정되어 후방개구를 밀폐시키는 후방덮개플레이트(107); 외부케이스(101) 내부에서 이미 수용된 종이(121)의 최상부에 놓여지고, 종이배출공(106)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외부케이스(101) 내부에 메모된 종이(122)가 동전을 이용하여 외부케이스(101)의 후방덮개플레이트(107)가 고정해제되어 열려지지 않는 이상 다시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하는 구획지(120); 외부케이스(101)의 후방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110)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탄성편(112)을 밀어내면서 통과하고 후방덮개플레이트(107)의 하단부에 형성된 삽입홈(109)에 끼워짐으로써 후방덮개플레이트(107)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다수회 절곡성형된 고정핀(111); 및 외부케이스(101)의 후방 저면 부분에서 판면과 평행하게 장착되어 고정핀(111)의 절곡성형부를 받침으로써 고정핀(111)이 하방으로 이격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탄성편(112)을 포함하여, 외부케이스(101) 내부에 미리 수용되어 있는 종이(121)를 종이배출공(106)을 통해 외부로 꺼내서 메모를 한 후 메모된 종이(122)를 종이유입공(104)을 통해 외부케이스(101) 내부로 다시 유입시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이보관함{case for containing paper}
본 고안은 종이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지를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고 메모된 종이를 다른 사람이 쉽게 보지 못하도록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종이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note)는 백지가 제본된 형태로 만들어져, 사용자가 필요한 사항을 필기구를 이용하여 적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노트는 흔히 일기장이나 메모장 등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고, 누구나 쉽게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노트가 일기장이나 비밀스런 내용을 적어 놓은 비밀노트로 사용될 때, 노트주인이 아닌 다른 사람이 노트에 적힌 일기나 비밀스런 내용을 볼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메모지를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고 메모된 종이를 다른 사람이 쉽게 보지 못하도록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종이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종이보관함의 외부사시도.
도 2 - 도 1의 종이보관함으로부터 종이를 뽑아내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 도 1의 종이보관함으로 종이를 넣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 도 1의 종이보관함의 전방덮개플레이트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 - 도 1의 정면도.
도 6 - 도 1의 후면도.
도 7 - 도 1의 종이보관함의 후방덮개플레이트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 - 종이보관함 저면에 설치되는 동전수납부 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9 - 도 8의 조립사시도.
도 10 - 동전이 투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 - 동전이 투입되어 탄성편을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 - 탄성편이 이동하여 투입된 동전이 동전수거함 내로 빠져나오고 고정핀이 이격됨으로써 후방덮개플레이트가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외부케이스 102 : 받침대
103 : 전방덮개플레이트 104 : 종이유입공
105 : 절취부 106 : 종이배출공
107 : 후방덮개플레이트 108 : 걸림홈
109 : 삽입홈 110 : 관통공
111 : 고정핀 112 : 탄성편
113 : 동전반환구 114 : 덮개판
115 : 동전수용함 117 : 가이드판
120 : 구획지 121 : 종이(구획지 아래)
122 : 종이(구획지 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종이보관함은, 전후방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종이를 수용하는 외부케이스; 외부케이스의 전방개구의 중앙부분에서 전방개구를 가로막는 방향으로 부착되어 그 하단부와 전방개구의 저면 사이에 간극을 유지하여 직선의 종이배출공을 형성하고 그 상단부와 전방개구의 상면 사이에 간극을 유지하여 곡선의 종이유입공을 각각 형성하는 전방덮개플레이트; 외부케이스의 후방개구 부분에서 후방개구를 가로막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상단부가 외부케이스의 후방부 상측 내벽면 상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 지지되고 그 하단부가 외부케이스의 후방부 하측 내측면 상에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어 후방개구를 밀폐시키는 후방덮개플레이트; 외부케이스 내부에서 이미 수용된 종이의 최상부에 놓여지고, 종이배출공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외부케이스 내부에 메모된 종이가 동전을 이용하여 외부케이스의 후방덮개플레이트가 고정해제되어 열려지지 않는 이상 다시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하는 구획지; 외부케이스의 후방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탄성편을 밀어내면서 통과하고 후방덮개플레이트의 하단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짐으로써 후방덮개플레이트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다수회 절곡성형된 고정핀; 및 외부케이스의 후방 저면 부분에서 판면과 평행하게 장착되어 고정핀의 절곡성형부를 받침으로써 고정핀이 하방으로 이격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외부케이스 내부에 미리 수용되어 있는 종이를 종이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꺼내서 메모를 한 후 메모된 종이를 종이유입공을 통해 외부케이스 내부로 다시 유입시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외부케이스의 전방개구 부분에는 직선의 절취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종이를 한장씩 종이배출공을 통해 용이하게 뺄수 있도록 되어 있고, 외부케이스 내부에 메모된 종이를 꺼내고 싶을 때, 탄성편을 이동시키고 동전을 밀어냄과 동시에 고정핀이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후방덮개플레이트의 하부를 고정해제하여 외부케이스로부터 후방덮개플레이트를 제거하여 외부케이스의 후방개구를 통해 메모된 종이를 수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케이스의 후방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인접한 부분의 외부케이스의 외저면에는 동전반환구가 형성된 덮개판이 부착되고, 탄성편이 덮개판 내부에 장착되며, 외부케이스의 외저면 상에는 동전이 이동할 수 있는 동전이동홈이 덮개판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동전이동홈을 이동한 동전이 덮개판으로 진입하여 고정핀의 (가) 부분을 이격저지하고 있는 탄성편을 이동시키고 고정핀을 하방으로 당길 때, 고정핀의 절곡성형부는 동전을 동전반환구 측으로 밀어서 탄성편과 접촉이탈시켜 덮개판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여 후방덮개플레이트가 고정해제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덮개판의 외부에는 동전반환구를 통해 토출되는 동전을 보관할 수 있는 투명의 동전수용함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메모지를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되고 메모된 종이를 다른 사람이 쉽게 보지 못하도록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종이보관함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보관함의 외부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이보관함으로부터 종이를 뽑아내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이보관함으로 종이를 넣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종이보관함의 전방덮개플레이트(103)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정면도, 도 6은 도 1의 후면도. 도 7은 도 1의 종이보관함의 후방덮개플레이트(107)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종이보관함은, 전후방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종이(121)를 수용할 수 있는 외부케이스(101), 외부케이스(101)의 전방개구를 막는 전방덮개플레이트(103), 외부케이스(101)의 후방개구를 막는 후방덮개플레이트(107) 및 외부케이스(101) 저면에 부착된 동전수용함과 각 모서리 부분의 4개소에 부착되어 외부케이스(101)를 지지하는 받침대(102)로 구성된다.
전방덮개플레이트(103)는, 외부케이스(101)의 전방개구의 중앙부분에서 그 양 측면 단부가 외부케이스(101)의 내벽면에 각각 본딩부착되어 전방개구를 가로막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래서, 전방덮개플레이트(103)의 하단부와 전방개구의 저면 사이에 간극을 유지하여 종이배출공(106)을 형성하고 전방덮개플레이트(103)의 상단부와 전방개구의 상면 사이에 간극을 유지하여 종이유입공(104)을 각각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덮개플레이트(103)의 상단부는 그 중앙부분이 곡선으로 형성되고, 전방덮개플레이트(103)의 하단부는 직선으로 형성됨으로써, 종이유입공(104)은 곡선 형상을 가지게 되고, 종이배출공(106)은 직선 형상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내부의 종이(121)를 전방개구부의 저면에 있는 절취부(105)에 손가락을 밀착시켜 한장씩을 종이배출구(106)를 통해 빼내어 다시 상면의 종이유입구로 넣는데, 이때 다시 들어간 종이는 상자 내의 고정되어 있지 않은 구획지(120) 위에 쌓이고 이 구획지(120) 위에 종이는 저면 종이배출구로 다시 나올 수도 없고 곡선의 종이유입공(104)으로도 나올 수 없도록 되어 있다.
후방덮개플레이트(107)는 외부케이스(101)의 후방개구 부분에서 후방개구를 가로막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상단부가 외부케이스(101)의 후방부 상측 내벽면 상에 형성된 걸림홈(108)에 걸려 지지되고 그 하단부가 외부케이스(101)의 후방부 하측 내측면 상에 고정핀(111)으로 고정시켜 후방개구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외부케이스(101)의 후방 저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덮개플레이트(107)를 개방시킬 수 있는 개방수단이 구비되는 동전수납부가 설치된다.
도 8은 종이보관함 저면에 설치되는 동전수납부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01)의 후방 저면에는 'ㄱ'자 모양의 관통공(110)이 형성되어 있고, 다수회 절곡성형된 고정핀(111)이 관통공(110)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탄성편(112)을 밀어내면서 통과하고 후방덮개플레이트(107)의 하단부에 형성된 삽입홈(109)에 끼워짐으로써 후방덮개플레이트(107)의 하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외부케이스(101)의 후방 저면 부분에서 판면과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판스프링 형상의 탄성편(112)이 장착되어, 탄성편(112)의 일측 단부가 고정핀(111)의 절곡성형부(가)에 의해 밀려 나갔다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고정핀(111)의 절곡성형부(가)의 하단부를 받침으로써 고정핀(111)이 하방으로 이격되는 것을 저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외부케이스(101) 내부에 미리 수용되어 있는 종이(121)를 종이배출공(106)을 통해 외부로 꺼내서 메모를 한 후 메모된 종이(122)를 종이유입공(104)을 통해 외부케이스(101) 내부의 구획지(120) 위로 다시 유입시켜 보관하고, 내부의 종이(121, 122)와 구획지(120)를 꺼내고 싶을 때에는, 동전을 이용하여 탄성편(112)을 이동시키고 동전이 동전수거함(115)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고정핀(111)이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후방덮개플레이트(107)의 하부를 고정해제하여 외부케이스(101)로부터 후방덮개플레이트(107)를 제거하여 외부케이스(101)의 후방개구를 통해 메모된 종이를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외부케이스(101) 내부에 미리 수용된 종이(121)의 최상부에는 종이배출공(106)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구획지(120)가 놓여져 있어, 구획지(120)보다 얇은 종이는 종이배출공(106)을 통해 외부케이스(101) 외부로 모두 배출될 수 있지만, 구획지(120)는 종이배출공(106)의 간극보다 그 폭이 두껍기 때문에, 종이배출공(106)을 통과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구획지(120) 아래의 종이(121)는 종이배출공(106)으로 나올 수 있으나, 위의 종이(122)는 나올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101)의 후방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110)에 인접한 부분의 외부케이스(101)의 외저면에는 동전반환구(113)가 형성된 덮개판(114)이 부착된다. 덮개판(114) 내부에는 탄성편(112)이 장착되며, 외부케이스(101)의 외저면 상에는 동전이 이동할 수 있는 동전이동홈이 상기 덮개판(114)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케이스(101) 외저면의 동전이동홈에 인접한 지점에는 판상의 가이드판(117)이 부착되어 있어, 동전이동홈을 이동하는 동전이 동전이동홈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동전이동홈을 이동한 동전이 덮개판(114) 아래로 진입하여 고정핀(111)을 이격저지하고 있는 탄성편(112)을 이동시켜 고정핀(111)이 하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고정핀(111)의 절곡성형부(나)는 탄성편(112)과 접촉이탈되어 동전을 동전반환구(113) 측으로 밀어서 덮개판(114) 외부로 토출시킴과 동시에 후방덮개플레이트(107)가 고정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판(114)의 외부에는 동전반환구(113)를 통해 토출되는 동전을 보관할 수 있는 동전수용함(115)가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보관함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종이보관함 내에 수용되어 있는 종이를 빼서 비밀스러운 메모 등을 하고자 할 때에는, 손가락을 절취부(105) 측으로 가져가서 종이의 전방 밑부분을 잡고 당김으로써, 종이배출공(106)을 통해 종이를 빼내어 메모를 하게 된다.
종이에 메모를 마친 후에는, 종이유입공(104)을 통해 메모된 종이를 다시 외부케이스(101) 내부로 밀어넣게 된다. 이때, 종이는 구부러진 상태로 종이유입공(104)을 통해 외부케이스(101) 내부로 진입한 후에, 외부케이스(101) 내부에서는 펴진 상태로 아래로 낙하하게 된다. 그래서, 외부케이스(101) 내부로 들어간 종이로 충만하게 채워져 있더라도 종이유입공(104)을 통해 종이가 역으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과정을 수차례 거치게 되면, 외부케이스(101) 내부에 있는 구획지(120) 상부에는 메모된 종이(122)가 놓여지게 되고, 구획지(120) 하부에는 메모가 되지 않는 백지가 놓여지게 된다. 따라서, 구획지(120) 아래의 종이(121)가 빠지고 구획지(120) 위에 메모된 종이(122)가 쌓이면, 종이의 최하부에 구획지(120)가 놓이게 되고, 구획지(120)는 종이배출공(106)를 통과하지 못함으로써, 위의 종이(122)는 배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때, 메모된 종이가 충만하여 수거하고 다시 새종이를 넣을 필요가 있을 때나 메모된 내용을 보고 싶을 때, 사용자는 후방덮개플레이트(107)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전을 동전이동홈으로 삽입하여 동전이 덮개판(114)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동한 동전은, 고정핀(111)의 절곡부를 측방으로 통과하여 탄성편(112)의 일측단부와 접촉함으로써, 탄성편(112)의 일측 단부를 측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탄성편(112)이 측방으로 이동되면, 고정핀(111)의 이격저지상태가 해제됨으로써, 고정핀(111)이 이격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111)의 최하단부를 잡고 밖으로 당김으로써, 고정핀(111)은 이격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하부덮개플레이트의 삽입홈(109)에 끼워져 있는 고정핀(111)의 최상단이 삽입홈(109)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하부덮개플레이트의 하단이 고정해제되어, 하부덮개플레이트가 외부케이스(101) 후방개구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외부케이스(101)의 후방개구가 개방되면, 사용자는 메모된 종이를 수거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고정핀(111)의 최하단부를 잡고 당길 때, 고정핀(111)의 절곡성형부가 동전을 들어올려 덮개판(114)의 동전반환구(113) 측으로 가이드함으로써, 동전은 덮개판(114)으로부터 빠져나와 동전수용함(115) 내부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서, 투명으로 된 동전수용함(115)에 담겨져 있는 동전의 갯수만큼 후방덮개플레이트(107)가 개방되었다는 사실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비밀유지의 신뢰성도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메모지를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되고 메모된 종이를 다른 사람이 쉽게 보지 못하도록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종이보관함에 따르면, 메모지를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고 메모된 종이를 다른 사람이 쉽게 보지 못하도록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종이보관함에 있어서,
    전후방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종이(121)를 수용하는 외부케이스(101);
    상기 외부케이스(101)의 전방개구의 중앙부분에서 상기 전방개구를 가로막는 방향으로 부착되어 그 하단부와 상기 전방개구의 저면 사이에 간극을 유지하여 직선의 종이배출공(106)을 형성하고 그 상단부와 상기 전방개구의 상면 사이에 간극을 유지하여 곡선의 종이유입공(104)을 각각 형성하는 전방덮개플레이트(103);
    상기 외부케이스(101)의 후방개구 부분에서 상기 후방개구를 가로막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상단부가 상기 외부케이스(101)의 후방부 상측 내벽면 상에 형성된 걸림홈(108)에 걸려 지지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외부케이스(101)의 후방부 하측 내측면 상에 고정핀(111)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후방개구를 밀폐시키는 후방덮개플레이트(107);
    상기 외부케이스(101) 내부에서 이미 수용된 종이(121)의 최상부에 놓여지고, 상기 종이배출공(106)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상기 외부케이스(101) 내부에 메모된 종이(122)가 동전을 이용하여 외부케이스(101)의 후방덮개플레이트(107)가 고정해제되어 열려지지 않는 이상 다시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하는 구획지(120);
    상기 외부케이스(101)의 후방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110)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탄성편(112)을 밀어내면서 통과하고 상기 후방덮개플레이트(107)의 하단부에 형성된 삽입홈(109)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후방덮개플레이트(107)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다수회 절곡성형된 고정핀(111); 및
    상기 외부케이스(101)의 후방 저면 부분에서 판면과 평행하게 장착되어 상기 고정핀(111)의 절곡성형부를 받침으로써 상기 고정핀(111)이 하방으로 이격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탄성편(112)을 포함하여,
    상기 외부케이스(101) 내부에 미리 수용되어 있는 종이(121)를 상기 종이배출공(106)을 통해 외부로 꺼내서 메모를 한 후 메모된 종이(122)를 상기 종이유입공(104)을 통해 상기 외부케이스(101) 내부로 다시 유입시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보관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101)의 전방개구 부분에는 직선의 절취부(105)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종이(121)를 한장씩 상기 종이배출공(106)을 통해 용이하게 뺄수 있도록 되어 있고, 외부케이스(101) 내부에 메모된 종이(122)를 꺼내고 싶을 때, 상기 탄성편(112)을 이동시키고 동전을 밀어냄과 동시에 상기 고정핀(111)이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후방덮개플레이트(107)의 하부를 고정해제하여 상기 외부케이스(101)로부터 상기 후방덮개플레이트(107)를 제거하여 상기 외부케이스(101)의 후방개구를 통해 메모된 종이(122)를 수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보관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101)의 후방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110)에 인접한 부분의 상기 외부케이스(101)의 외저면에는 동전반환구(113)가 형성된 덮개판(114)이 부착되고, 상기 탄성편(112)이 상기 덮개판(114)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외부케이스(101)의 외저면 상에는 동전이 이동할 수 있는 동전이동홈이 상기 덮개판(114)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동전이동홈을 이동한 동전이 상기 덮개판(114)으로 진입하여 상기 고정핀(111)의 (가) 부분을 이격저지하고 있는 상기 탄성편(112)을 이동시키고 상기 고정핀(111)을 하방으로 당길 때, 상기 고정핀(111)의 절곡성형부(나)는 상기 동전을 상기 동전반환구(113) 측으로 밀어서 상기 탄성편(112)과 접촉이탈시켜 상기 덮개판(114)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여 상기 후방덮개플레이트(107)가 고정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보관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114)의 외부에는 상기 동전반환구(113)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동전을 보관할 수 있는 투명의 동전수용함(11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보관함.
KR2019990022970U 1999-10-25 1999-10-25 종이보관함 KR20017601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243A KR20000000453A (ko) 1999-10-25 1999-10-25 종이보관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243A Division KR20000000453A (ko) 1999-10-25 1999-10-25 종이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019Y1 true KR200176019Y1 (ko) 2000-03-15

Family

ID=196166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970U KR200176019Y1 (ko) 1999-10-25 1999-10-25 종이보관함
KR1019990046243A KR20000000453A (ko) 1999-10-25 1999-10-25 종이보관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243A KR20000000453A (ko) 1999-10-25 1999-10-25 종이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760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453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4904A (en) Compact disc case
US6547066B2 (en) Compact disk storage systems
US4478335A (en) Floppy diskette storage container and display device
KR930002033B1 (ko) 화폐 케이스
RU2148005C1 (ru) Выбрасываемая портативная ручная кассета для хранения компакт-диска
MXPA97007724A (en) Container for compact discs eyecta
US6540601B2 (en) Cash box with coin sorter
KR200176019Y1 (ko) 종이보관함
JPH08252353A (ja) コイン投入口装置
JPH04465Y2 (ko)
JP2000142249A (ja) 自動車用コインケース
KR20090012569U (ko) 저금통
KR200357638Y1 (ko) 동전 저장장치
JPH0810021A (ja) コインケース
GB2154551A (en) Cash box assembly
JP3176069U (ja) 小銭入れ
KR100207001B1 (ko) 자동서비스기기의 티켓 및 잔돈 취출구조
JP2007252761A (ja) コインストッカー
KR910007607Y1 (ko) 자판기의 동전 반환 장치
JP5552577B2 (ja) 小銭入れ
US1511483A (en) Coin bank
RU71222U1 (ru) Накопитель для монет
KR880003323Y1 (ko) 동전지갑
KR940002414Y1 (ko) 다용도 수납 케이스
JP5400248B1 (ja) 硬貨選別器及びそれを備えた財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