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414Y1 - 다용도 수납 케이스 - Google Patents

다용도 수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414Y1
KR940002414Y1 KR9203587U KR920003587U KR940002414Y1 KR 940002414 Y1 KR940002414 Y1 KR 940002414Y1 KR 9203587 U KR9203587 U KR 9203587U KR 920003587 U KR920003587 U KR 920003587U KR 940002414 Y1 KR940002414 Y1 KR 9400024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ken
accommodating
hole
accommodating portion
magnetic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3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0816U (ko
Inventor
최직
Original Assignee
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직 filed Critical 최직
Priority to KR9203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414Y1/ko
Publication of KR930020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8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4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4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용도 수납 케이스
제 1 도는 본 고안의 다용도 수납 케이스의 전체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다용도 수납 케이스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다용도 수납 케이스를 전개하여 전화번호수첩 수납부를 보인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다용도 수납 케이스의 토큰 수납부 뚜껑을 제거하고 보인 평면도.
제 5 도는 제 2 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B-B선 확대 단면도.
제 7 도는 제 2 도의 C-C선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수납부재 13 : 토큰 수납부
14 : 탄성편 14A : 탄성부
14B : 걸림돌기 15, 15A : 출입구
16 : 전화번호 수첩수납부 20 : 토큰 수납부 뚜껑
21 : 토큰 인출공 30 : 이동부재
40 : 제 2 수납부재 41 : 전화번호 수첩수납부
50 : 제 3 수납부재 51 : 자기카드 수납부
52 : 자기카드 인출공 53 : 정액권 수납부
60 : 정액권 수납부 뚜껑 61 : 정액권 인출공
본 고안은 일상생활용품으로서 휴대하고 수시로 사용하고 있는 토큰, 전화번호 수첩, 자기카드 및 전철 정액권등을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수납하여 간편히 휴대하고,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시내버스의 승차권인 토큰과, 각종 전화번호를 기록한 전화번호 수첩과, 전화카드 및 신용카드등과 같은 자기카드를 비롯하여 전철의 승차권인 정액권등을 일상생활용품으로서 휴대하고 있으나, 이들 휴대품을 일체로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는 수납 케이스가 없어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러개의 호주머니에 분산시켜 휴대하고 있다.
그러므로 휴대품을 휴대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또한 휴대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호주머니를 뒤져서 휴대품을 찾아야 되었으므로 많은 번거로움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토큰, 전화번호 수첩, 자기카드 및 정액권의 휴대품들을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수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들 휴대품을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수납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도는 본 고안의 다용도 수납 케이스의 전체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여기서 부호 10은 제 1 수납부재로서, 제 1 수납부재(10)의 상면에는 토큰(71)을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 하면에는 후슬하게 될 전화번호수첩(72)을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 제 1 수납부재(10)의 상면의 폭 방향으로 좌우 양측에는 토큰(71)의 두께보다 약간 높은 벽(11, 11A)을 형성하고, 벽(11)(11A)사이의 중간부에 칸막이(12)을 형성하여 벽(11)(11A)과 칸막이(12)의 사이에 토큰 수납부(13)를 형성하였다.
벽(11)(11A)과 칸막이(12)의 좌우 양측에는 탄성부(14A)와, 탄성부(14A)의 선단에 걸림돌기(14B)가 형성된 탄성편(14)을 대향되게 형성하여 토큰 수납부(13)의 좌우 양측에 출입구(15)(15A)를 형성하되,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출입구(15)의 폭(DA)이 출입구(15A)의 폭(D1)보다 좁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 1 수납부재(10)의 저면에는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화번호 수첩(72)이 수납되는 전화번호수첩 수납부(16)을 구성하였다.
부호 20은 제 1 수납부재(10)의 상부에 복개 및 고정되는 토큰 수납부 뚜껑이다.
이 토큰 수납부 뚜껑(20)에는 토큰 수납부(13)에 관통되고 토큰 수납부(13)에 수납된 토큰(71)을 손가락으로 밀어 인출할수 있도록 하는 토큰 인출공(21)을 형성하고, 토큰 인출공(21)의 좌우 양측에는 걸림홈(22)을 형성하였다.
부호 30은 상기 출입구(15)(15A)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이동부재이다. 이 이동부재(30)는 손가락이 접촉되는 호형의 밀편(31)을 구비하고, 밀편(31)의 좌우 양측에는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부에 경사면(32A) 및 걸림턱(32B)이 형성된 걸림편(32)이 형성됨과 아울러 걸림편(32)의 외측에 상기 걸림홈(22)에 끼워지는 걸림돌기(33)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부호 40은 제 2 수납부재로서, 제 2 수납부재(40)의 상면에는 상기한 제 1 수납부재(10)의 하면에 구성된 전화번호수첩 수납부(16)와 함께 전화번호수첩(72)을 수납하는 전화번호수첩 수납부(41)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부호 50은 상기 제 2 수납부재(40)의 하부에 부착되고 자기카드(73) 및 정액권(74)이 수납되는 제 3 수납부재로서, 이 제 3 수납부재(50)의 상면에는 자기카드 수납부(51)를 형성함과 아울러 자기카드 인출공(52)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정액권 수납부(53)를 형성함과 아울러 정액권 수납부(53)의 주연부에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턱부(54)를 형성하여 정액권 인출공(61)이 천공된 수납부 뚜껑(60)이 단턱부(54)에 안착되게 하였다.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부호 17은 제 1 수납부(10)를 사출성형할 경우에 탄성편(14)을 형성하기 위하여 천공되는 구멍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용도 수납 케이스는, 이동부재(30)의 경사면(32A)을 토큰 수납부 뚜껑(20)의 인출공(21)에 접촉시킨후 하부로 밀면, 걸림편(32)이 휘어지면서 인출공(21)에 끼워지게 되고, 인출공(21)에 완전히 끼워지면 걸림편(32)이 원상 복귀되면서 걸림턱(32B)이 인출공(21)의 주연부에 걸려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같이 이동부재(30)가 조립된 토큰 수납부 뚜껑(20)은 제 1 수납부재(10)의 상부에 적층시켜 접착제 및 초음파 가열등으로 접착시킨다.
그리고 제 2 수납부재(40)의 하부에 제 3 수납부재(50)를 적층시키고, 제 3 수납부재(50)의 정액권 수납부(53) 주연부의 단턱부(54)에 정액권 수납부 뚜껑(60)이 안착되게 한후 접착제 및 초음파 가열등으로 접착시키며, 제 1 및 제 2 수납부재(10)(40)의 전화번호 수첩수납부(16)(41)에 전화번호 수첩(72)의 양면의 표지를 접착제등으로 접착시켜 조립한다.
이와같이 조립된 본 고안은 사용하는 토큰(71)의 크기에 따라 이동부재(30)를 이동시켜 출입구(15)(15A)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것으로 토큰(17)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이동부재(30)를 폭이 넓은 출입구(15A)측으로 이동시켜 출입구(15)는 개방시키고, 출입구(15A)는 폐쇄시키며, 토큰(71)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이동부재(30)를 폭이 좁은 출입구(15)측으로 이동시켜 출입구(15)는 폐쇄시키고, 출입구(15A)는 개방시킨다.
이때 이동부재(30)의 밀편(31)에 손가락을 접촉시켜 밀면, 걸림편(32)이 오므라지면서 걸림돌기(33)가 걸림홈(22)에서 이탈되어 토큰 인출공(21)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하고, 이동부재(30)의 이동이 완료되면 걸림편(32)이 원상 복귀되면서 걸림돌기(33)가 걸림홈(22)에 걸려 임의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개방된 출입구(15) 또는 (15A)로 토큰(71)을 밀어 넣으면, 토큰(71)의 주연부가 걸림돌기(14B)에 접촉되면서 탄성편(14)이 벌어지게 되고, 토큰(71)을 완전히 밀어넣어 토큰 수납부(13)에 수납되면, 탄성편(14)이 원상복귀 되고, 수납된 토큰(71)은 걸림돌기(14B)에 의해 토큰수납부(13)에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같이 수납된 토큰(71)을 인출할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인출공(21)을 통해 수납된 토큰(71)에 접촉시킨후 폐쇄되지 않은 출입구(15) 또는 (15A) 측으로 밀면, 토큰(71)의 이동에 따라 탄성편(14)에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토큰(71)이 인출되고, 토큰(71)의 인출이 완료되면 탄성편(14)이 다시 원상 복귀된다.
그리고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수납부재(10)와 제 2 수납부재(40)의 사이를 전개시키면 전화번호 수납부(16)(41)에 수납된 전화번호 수첩(72)이 노출되어 각종 전화번호를 기재 및 확인할수 있다.
또한 자기카드 수납부(51) 및 정액권 수납부(53)에는 자기카드(73) 및 정액권(74)를 각기 밀어넣어 수납시키고, 자기카드 인출공(52) 및 정액권 인출공(61)을 통해 손가락을 자기카드(73) 및 정액권(74)에 접촉시킨후 밀면 자기카드(73) 및 정액권(74)이 인출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토큰, 전화번호 수첩, 자기카드 및 정액권을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수납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간단히 꺼내어 사용할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면에 토큰 수납부(13)가 형성되고 토큰 수납부(13)의 좌우 양측에는 탄성부(14A) 및 걸림돌기(14B)를 갖는 탄성편(14)이 형성되어 폭이 서로 다른 출입구(15)(15A)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전화번호 수첩 수납부(16)가 형성된 제 1 수납부재(10)와, 상기 제 1 수납부재(10)의 상부에 고정되고 토큰 수납부(13)에 수납된 토큰(71)을 인출하기 위한 토큰 인출공(21)이 천공됨과 아울러 토큰 인출공(21)에 상기 출입구(15)(15A)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이동부재(30)가 조립되는 토큰 수납부 뚜껑(20)과, 상기 전화번호 수첩 수납부(16)에 대향되게 전화번호 수첩수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납부재(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2 수납부재(40)와, 자기카드 수납부(51) 및 정액권 수납부(53)이 형성되고 자기카드 인출공(52)이 천공되어 제 2 수납부재(40)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 3 수납부재(50)와, 상기 정액권 수납부(53)에 복개되고 정액권 인출공(61)이 천공된 정액권 수납부 뚜껑(6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납 케이스.
KR9203587U 1992-03-06 1992-03-06 다용도 수납 케이스 KR9400024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3587U KR940002414Y1 (ko) 1992-03-06 1992-03-06 다용도 수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3587U KR940002414Y1 (ko) 1992-03-06 1992-03-06 다용도 수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816U KR930020816U (ko) 1993-10-15
KR940002414Y1 true KR940002414Y1 (ko) 1994-04-15

Family

ID=19329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3587U KR940002414Y1 (ko) 1992-03-06 1992-03-06 다용도 수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4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816U (ko) 199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5410A (en) Credit card case
KR970004529B1 (ko) 카드보관케이스
US4697698A (en) Credit and identification card holder
US5503434A (en) Credit/service card with expanded surface area
JP3327560B2 (ja) カード特にチップカードの読み取り装置
WO1994003335A1 (en) Credit/service card with expanded surface area
US20150342314A1 (en) Compression card holder
US5121834A (en) Pocket case
US5732977A (en) Card filing device
JPS60561A (ja) 公共用端末装置を有するコンピユ−タ
US3242930A (en) Bill fold and coin holder
KR940002414Y1 (ko) 다용도 수납 케이스
US3688896A (en) Card case
KR920001515A (ko) 테이프 카세트
WO1997024947A1 (en) Device for securing card-type objects, in particular cheque guarantee cards and credit cards, against being lost or mislaid
JPH0137071Y2 (ko)
JPS6030300U (ja) 手品具
JP2546344Y2 (ja) 定期乗車券入れ
JPS6013367Y2 (ja) 定期券等の収納・取出容器
JP3104699U (ja) 通帳用カバーケース
KR200190055Y1 (ko) 교통카드를 구비한 휴대폰
JP3205000U (ja) 携帯用硬貨収納具
JPS62156781A (ja) 小型電子機器
JP2562516Y2 (ja) 硬貨入れ
JP3001202U (ja) 自動改札機用の定期券入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