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2052A -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052A
KR20060092052A KR1020060010237A KR20060010237A KR20060092052A KR 20060092052 A KR20060092052 A KR 20060092052A KR 1020060010237 A KR1020060010237 A KR 1020060010237A KR 20060010237 A KR20060010237 A KR 20060010237A KR 20060092052 A KR20060092052 A KR 20060092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lens
hole
bearing member
guid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가와이
히데하루 미야가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2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또, 부품점수의 삭감화,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는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메인 가이드축(38)의 상단을 지지하는 베어링부재(54)는, 제 1경통분할체(1202)의 바깥쪽으로부터 구멍부(1250)에 장탈(裝脫)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부(5402)와, 축부(5402)의 중심축 선에 대해서 편심한 중심축 선을 가지는 베어링구멍(5404)을 가지고, 메인 가이드축(38)의 상단은 베어링부재(54)의 베어링구멍(5404)으로 지지된다.

Description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도 1은, 베어링부재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베어링부재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a)는 베어링부재의 평면도, (b)는 (a)의 BB선 단면도, (c)는 (b)의 C시시도(矢視圖)이다.
도 4는, (a)~(d)는 베어링부재의 설명도로, 위쪽의 도화 단면도를 나타내고, 아래쪽의 도면이 저면도이다.
도 5는, 렌즈경통의 일부를 파단한 사시도이다.
도 6은, 구멍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베어링부재가 구멍부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베어링부재가 구멍부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메인 가이드축(38)의 기울기 조정 조작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메인 가이드축(38)의 기울기 조정 조작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촬상장치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촬상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촬상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촬상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촬상장치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렌즈경통(10)을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렌즈경통(10)을 뒤쪽의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렌즈경통(10)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렌즈경통(10)의 배면도이다.
도 20은, (a)는 도 18의 A시시도, (b)는 도 18의 B시시도이다.
도 21은, (c)는 도 18의 C시시도, (d)는 도 18의 D시시도이다.
도 22는, 도 1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4는, 렌즈경통(10)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렌즈경통(10)의 나머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줌용 가동 렌즈군(18),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의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촬상장치 104. 광학계
10. 렌즈경통 12. 경통
1250. 구멍부 18. 줌용 가동 렌즈군
1806. 줌용 렌즈틀 38. 메인 가이드축
54. 베어링부재 5402. 축부
5404. 베어링구멍
본 발명은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의 렌즈경통으로서, 줌 동작을 행하기 위한 줌 렌즈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있다.
이러한 렌즈경통은, 경통내에서 줌 렌즈를 보관 유지하는 렌즈틀과, 경통내에서 줌 렌즈의 광축에 평행하여 직선상을 연재(延在)하여 상기 렌즈틀에 연결되어 렌즈틀을 상기 광축에 따라서 안내하는 가이드축을 가지고 있고, 가이드축은 상기 경통내에서 상기 가이드축의 연재 방향의 양단이 경통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경통에 설치된 촬상소자의 촬상면에 줌 렌즈를 포함한 광학계에 의해서 피사체상(被寫體像)이 결상되는 것으로 촬상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렌즈틀이나 경통의 치수의 격차, 혹은, 렌즈틀에 대한 줌 렌즈의 설치 정밀도의 격차 등에 의해서, 상기 줌 렌즈의 광축이 렌즈경통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광학계의 광축에 대해서 기울기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광축의 기울기는, 촬상소자의 촬상면에 결상되는 피사체상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생기는 초점의 흐려짐, 이른바 부분적 흐려짐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부분적 흐려짐을 해소하기 위해서, 렌즈의 광축 기울기를 조정하는 조정기구가 제안되고 있고, 예를 들면, 렌즈틀을 판자 스프링에 의해서 경통부재에 대어 부착하는 동시에, 렌즈틀과 경통부재와의 기울기를 복수의 조정나사로 조정하도록 한 조정기구가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특개2003-43328호 공보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조정기구 자체가 복잡한 동시에 그 조정작업도 번거롭기 때문에, 렌즈경통의 소형화나 저비용화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불이익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또, 부품점수의 삭감화,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는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경통내에서 렌즈를 보관 유지하는 렌즈틀과, 상기 경통내에서 상기 렌즈의 광축에 평행하여 직선형으로 연재하여 상기 렌즈틀에 연결되어서 상기 렌즈틀을 상기 광축에 따라서 안내하는 가이드축과, 상기 경통내에서 상기 가이드축의 연재 방향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갖추는 렌즈경통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은, 상기 경통에 설치된 구멍부와, 상기 경통의 외부로부터 상기 구멍부에 장탈(裝脫) 가능한 동시에 상기 구멍부의 중심축 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어링부재를 가지고,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구멍부에 장착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축의 일단이 삽입되는 베어링구멍을 가지고, 상기 축부의 중심축 선에 대해서 상기 베어링구멍의 중심축 선이 편심(偏心)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경통에 설치된 촬상소자와, 상기 경통의 내부에서 피사체상을 상기 촬상소자로 이끄는 광학계를 가지는 렌즈경통을 갖추는 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경통은, 상기 경통내에서 상기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를 보관 유지하는 렌즈틀과, 상기 경통내에서 상기 렌즈의 광축에 평행하여 직선형으로 연재하여 상기 렌즈틀에 연결되는 상기 렌즈틀을 상기 광축에 따라서 안내하는 가이드축과, 상기 경통내에서 상기 가이드축의 연재 방향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갖추며, 상기 가이드축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은, 상기 경통에 설치된 구멍부와, 상기 경통의 외부로부터 상기 구멍부에 장탈 가능한 동시에 상기 구멍부의 중심축 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어링부재를 가지고,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구멍부에 장착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축의 일단이 삽입되는 베어링구멍을 가지고, 상기 축부의 중심축 선에 대해서 상기 베어링구멍의 중심축 선이 편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가이드축의 일단을 지지하는 베어링부재에, 경통의 바깥쪽으로부터 구멍부에 장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부와, 축부의 중심축 선에 대해서 편심한 중심축 선을 가지는 베어링구멍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실현했다.
[실시예 1]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렌즈경통이 촬상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촬상장치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12는 촬상장치의 정면도, 도 13 은 촬상장치의 배면도, 도 14는 촬상장치의 평면도, 도 15는 촬상장치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좌우는, 촬상장치를 전방에서 본 상태에서 말하는 것으로 하고, 또, 피사체측을 전방이라고 하고, 촬상소자 측을 후방이라고 한다.
도 11~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장치(100)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이며, 외장을 구성하는 케이스(102)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102)의 우측부에는, 도면 중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렌즈경통(10)이 내장되어 있다.
렌즈경통(10)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통(12)과, 경통(12)에 수용된 촬상소자(150)와, 경통(12)에 수용되어 피사체상을 촬상소자(150)로 이끄는 광학계(104) 등을 갖추고 있다.
광학계(104)는 대물 렌즈(14)를 갖추고, 대물 렌즈(14)는 케이스(102) 전면(前面)에 설치된 렌즈창(103)을 개입시켜 케이스(102) 전방에 임해서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02)의 전면 상부 중앙 개소에는, 촬영 보조광을 출사하는 플래시(106), 셀프타이머 램프(108) 등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02)의 전면에는 배리어(110)가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배리어(110)는,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창(103), 플래시(106), 셀프타이머 램프(108)를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하한 위치와, 이러한 렌즈창(103), 플래시(106), 셀프타이머 램프(108)를 덮는 상한 위치에 슬라이드 된다.
케이스(102)의 상단면에는, 촬상을 행하기 위한 셔터 버튼(112), 상기 촬영 광학계의 줌을 조정하기 위한 줌 조작 스위치(114)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02)의 좌측면 상부에는, 전원의 온 오프를 실시하는 전원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02)의 뒷면에는, 촬상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0)가 설치되며, 디스플레이(120)의 옆쪽에, 정지화면 촬영모드, 동영상 촬영모드, 재생모드의 변경을 행하기 위한 모드 전환 스위치(122)나, 디스플레이(120)상에 메뉴를 표시시키기 위한 메뉴 스위치(124), 디스플레이(120)상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는 등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컨트롤 스위치(126)가 설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102)의 뒷면에서 디스플레이(120)의 하부에, 디스플레이(120)상의 표시의 온 오프를 행하기 위한 표시 스위치(128), 화상 사이즈 전환 스위치(130)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소자(150)는, 광학계(104)에 의해서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CCD나 CMOS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촬상소자(150)에서 촬상된 상은 촬상신호로서 화상 처리부(152)에 출력되며, 화상 처리부(152)에서는 이 촬상신호에 대해서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지화면 혹은 동영상의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며, 메모리 카드(기억 매체)(154)에 기록된다. 또, 상기 화상 데이터는 표시 처리부(156)에 의해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다.
게다가, 촬상장치(100)는, 셔터 버튼(112), 줌 조작 스위치(114), 상기 전원 스위치, 모드 전환 스위치(122), 메뉴 스위치(124), 컨트롤 스위치(126), 표시 스 위치(128), 화상 사이즈 전환 스위치(130) 등의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화상 처리부(152), 표시 처리부(156) 등을 제어하는 CPU 등을 포함한 제어부(158)를 갖추고 있다.
도 16은 렌즈경통(10)을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17은 렌즈경통(10)을 후방의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렌즈경통(10)의 정면도, 도 19는 렌즈경통(10)의 배면도, 도 20(a)은 도 18의 A시시도(矢視圖), (b)는 도 18의 B시시도, 도 21(c)은 도 18의 C시시도, (d)는 도 18의 D시시도이다.
도 22는 도 16의 AA선 단면도, 도 23은 도 1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4는 렌즈경통(10)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5는 렌즈경통(10)의 나머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줌용 가동 렌즈군(18),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의 사시도이다.
도 16~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계(104)는, 상술의 대물 렌즈(14) 외에, 반사 부재(16)와, 줌용 가동 렌즈군(18)과,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과, 제 1고정 렌즈군(22)과, 제 2고정 렌즈군(24)과, 제 3고정 렌즈군(26)과, 줌용 가동 렌즈군(18)용의 안내 기구(28)와,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용의 안내 기구(30)를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광학계(104)에는, 줌용 가동 렌즈군(18)을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32)과,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을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34)이 설치되어 있다.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통(12)은, 두께와, 두께보다 큰 치수 의 폭과, 폭보다 큰 치수의 길이를 가지는 편평한 직사각형 판자 모양을 나타내고, 촬상소자(150)와 광학계(104)는 경통(12)의 폭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폭 방향의 한쪽에 가까운 부분에서 경통(12)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경통(12)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분할된 제 1경통분할체(1202) 및 제 2경통분할체(1204)와, 이러한 2개의 경통분할체(1202, 1204) 사이에 끼인 제 3경통분할체(1206)로 구성되며, 경통(12)의 긴 쪽 방향의 한쪽 반부(半部)에 제 1경통분할체(1202)가 위치하고, 경통(12)의 긴 쪽 방향 쪽의 다른 쪽 반부에 제 2경통분할체(1204)가 위치하고, 이러한 제 1경통분할체(1202) 및 제 2경통분할체(1204) 사이에 제 3경통분할체(1208)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경통(10)(경통(12))의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해서 배치되기 때문에, 경통(12)의 상부에 제 1경통분할체(1202)가 위치하고, 경통(12)의 하부에 제 2경통분할체(1204)가 위치하고, 경통(12)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에 제 3경통분할체(1208)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촬상장치(100)의 케이스(102) 전면에 평행하는 경통(12)의 두께 방향의 한쪽 면이 경통(12)의 전면(前面)이 되며, 케이스(102)의 뒷면에 평행하는 다른 쪽 면이 경통(12)의 뒷면이 되며, 경통(12)의 폭 방향의 한쪽 면이 좌측면이 되며, 다른 쪽 면이 우측면이 된다.
따라서, 경통(12)은, 그 폭 방향, 길이 방향, 두께 방향을, 촬상장치(100)의 케이스(102)의 좌우 방향, 상하 방향, 전후 방향의 각각에 일치시킨 상태로 케이스 (102) 내부에 배치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틀(1404)이 제 1, 제 2, 제 3경통분할체(1202, 1204, 1206)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 22, 도 23,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경통분할체(1202)는 전벽, 후벽, 좌벽, 우벽에 의해 편평한 직방체형으로 형성되며, 제 1경통분할체(1202)의 내부에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아래쪽 면에 개방형의 부품 수용 공간(1202A)이 설치되어 있고, 대물 렌즈(14)는 그 전면 측에 렌즈 홀더(1402)가 위치하여 뒷면 측에 차광틀(1404)이 위치한 상태에서, 제 1경통분할체(1202)의 전면 상부에 부착되어 있다.
반사 부재(16)는, 대물 렌즈(14)에서 포착한 상을 하부로 향해서(촬상소자(150) 측에) 반사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프리즘이 이용되고 있다. 반사 부재(16)는, 부품 수용 공간(1202A)에서 대물 렌즈(14)의 뒤쪽에 임하는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사체상을 촬상소자(150)로 이끄는 광학계(104)의 광로가, 대물 렌즈(14)로부터 뒤쪽으로 연재하여 반사 부재(16)의 반사면에 이르는 제 1광로 부분과, 반사 부재(16)의 반사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재하여 촬상소자(150)에 이르는 제 2광로 부분으로 구성되며, 도 22에 있어서 부호(O1)는 제 1광로 부분의 광축을 나타내고, 부호(O2)는 제 2광로 부분의 광축을 나타내고 있다.
제 1고정 렌즈군(22)과 줌용 가동 렌즈군(18)은, 부품 수용 공간(1202A) 내에서 반사 부재(16)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 1고정 렌즈군(22)은,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경통분할체(1202)의 장착부에 편성되는 제 1고정 렌즈(2202)와, 이 제 1고정 렌즈(2202)를 상기 장착부에 고정시키는 압력부재(차광틀을 겸한다)(2204)로 구성되어 있다.
도 22, 도 23,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줌용 가동 렌즈군(18)은, 제 1줌 렌즈(1802)와, 서로 접착된 제 2, 제 3줌 렌즈(1804, 1805)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제 2, 제 3줌 렌즈(1802, 1804, 1805)는 줌용 렌즈틀(180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줌용 렌즈틀(1806)은, 구동 수단(32)에 의해 메인 가이드축(38) 및 서브 가이드축(40)에 안내되면서 그러한 광축 방향에 따라서 왕복 이동되며, 줌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줌용 렌즈틀(1806)은, 제 1, 제 2, 제 3줌 렌즈(1802, 1804, 1805)의 주위에 위치하여 이러한 제 1, 제 2, 제 3줌 렌즈(1802, 1804, 1805)를 보관 유지하는 보관 유지부(1810)와, 이 보관 유지부(1810)로부터 부품 수용 공간(1202A) 내의 폭 방향으로 연재하는 연재부(1812)를 가지고 있다.
연재부(1812)에는, 도 5,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통(12)의 긴 쪽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1816, 1816)가 설치되며, 이러한 플랜지(1816, 1816)에는, 동일한 축상에 각각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러한 구멍에 축(3602, 3602)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그러한 플랜지(1816, 1816) 사이에 암나사부재(36)가 경통(12)의 긴 쪽 방향으로 이동 불능인 동시에 축(3602)을 받침점으로 요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암나사부재(36)는 스프링(3601)에 의해 서로 닫히는 방향으로 가세(付勢)된 한 쌍의 암(arm)을 가지고, 그러한 암이 서로 마주 보는 면에 각각 암(雌)나사(3604)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재부(1812)에는, 로드(rod) 삽통공(1814)이 설치되어 있다.
로드 삽통공(1814)에는, 제 1경통분할체(120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금속제의 메인 가이드축(38)이 활동(滑動)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이 메인 가이드축(38)은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이 제 1경통분할체(1202)의 표면을 구성하는 벽부와, 제 3경통분할체(1206)의 벽부로 지지되어 있다. 메인 가이드축(38)은 제 1, 제 2, 제 3줌 렌즈(1802, 1804, 1805)의 광축과 평행하게 직선형으로 연재하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1경통분할체(120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따라서, 메인 가이드축(38)은 줌용 가동 렌즈군(18)을 이 줌용 가동 렌즈군(18)의 광축 방향으로 안내하고 있다.
또,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재부(1812)와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보관 유지부(1810)의 개소에서 부품 수용 공간(1202A)의 모퉁이 부분에 위치하는 개소에 계합구(係合溝)(1818)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구(1818)에는, 제 1경통분할체(120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서브 가이드축(40)(도 24)이 활동(滑動)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따라서, 서브 가이드축(40)은 줌용 렌즈(18)가 메인 가이드축(38)의 둘레에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서브 가이드축(40)은 제 1, 제 2, 제 3줌 렌즈(1802, 1804, 1805)의 광축과 평행하게 직선형으로 연재하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1경통분할체(1202)의 길 이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줌용 가동 렌즈군(18)용의 안내 기구(28)는, 이러한 메인 가이드축(38)과 서브 가이드축(40)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 24,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줌용 가동 렌즈군(18)을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32)은, 경통(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홀더(3202)와, 홀더(3202)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3204)와, 홀더(3202)에 따라서 연재하여 모터(3204)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숫(雄)나사부재(3206)를 가지고 있다.
홀더(3202)는 제 1경통분할체(1202)의 우측면의 결부(缺部)에 부착되며, 이것에 의해 숫나사부재(3206)가 부품 수용 공간(1202A)에 위치하고, 모터(3204)는 제 1경통분할체(1202)의 표면에 위치한다.
숫나사부재(3206)는 암나사부재(36)의 암나사(3604)에 나합(螺合)되며, 따라서 모터(3204)의 노멀(normal) 역전에 의해 줌용 가동 렌즈군(18)은 메인 가이드축(38) 및 서브 가이드축(40)에 안내되면서 그러한 광축 방향에 따라서 왕복 이동되며, 줌 동작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줌용 가동 렌즈군(18)과 메인 가이드축(38)과 숫나사부재(3206)가 제 1경통분할체(1202)의 내부에서 제 1경통분할체(1202)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며, 서브 가이드축(40)은 메인 가이드축(38) 및 숫나사부재(3206)와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줌용 렌즈틀(1806) 개소에 배치되게 된다.
도 22, 도 23,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경통분할체(1206)는, 부품 수용 공간(1202A) 내에 임하는 내부 부분(1206A)과, 부품 수용 공간(1202A)의 바깥 쪽에 임하는 외부 부분(1206B)을 가지고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고정 렌즈군(24)은, 그 광축을 줌용 가동 렌즈군(18)의 광축과 일치시켜 내부 부분(1206A)에 부착되며, 제 2고정 렌즈(24)의 뒷면에 아이리스(조리개)(4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아이리스(42)는, 광학계(104)의 광축을 상기 폭 방향으로 사이에 두고 배치된 2매의 조리개 날개(4202)와, 각 조리개 날개(4202)를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 부재(4204)를 갖추고 있다.
아이리스(42)는, 제 3경통분할체(1206)의 외부 부분(1206B)에 부착된 구동부(44)에 의해 2매의 조리개 날개(4202)가 접리(接離)할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2매의 조리개 날개(4202)가 개폐되어 이것에 의해 상기 광축에 따라서 진행하는 광속의 광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경통분할체(1204)는, 전벽(1205A), 후벽(1205B), 좌벽(1205C), 우벽(1205D)에 의해 직방체형으로 형성되며, 제 2경통분할체(1204)의 내부에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상하로 개방된 부품 수용 공간(1204A)이 형성되어 있다.
제 2경통분할체(1204)의 하부에 촬상소자 장착판(46)이 부착되며, 촬상소자 장착판(46)이 부착되는 것으로 부품 수용 공간(1204A)의 하단은 폐색(閉塞)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경통분할체(1204)는 촬상소자 장착판(4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과 제 3고정 렌즈군(26)은, 부품 수용 공간(1204A)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은, 서로 접착된 제 1, 제 2포커스 렌즈(2002, 2004)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제 2포커스 렌즈(2002, 2004)는, 포커스용 렌즈틀(200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포커스용 렌즈틀(2006)은, 구동 수단(34)에 의해 메인 가이드축(50) 및 서브 가이드축(52)에 안내되면서 그러한 광축 방향에 따라서 왕복 이동되며, 포커스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커스용 렌즈틀(2006)은, 제 1, 제 2포커스 렌즈(2002, 2004)의 주위에 위치하여 이러한 제 1, 제 2포커스 렌즈(2002, 2004)를 보관 유지하는 보관 유지부(2010)와, 이 보관 유지부(2010)로부터 부품 수용 공간(1204A) 내의 폭 방향으로 연재하는 연재부(2012)를 가지고 있다.
연재부(2012)에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통(12)의 긴 쪽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2016, 2016)가 설치되며, 이러한 플랜지(2016, 2016)에는, 동일한 축상에 각각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러한 구멍에 축(4802, 4802)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그러한 플랜지(2016, 2016) 사이에 암나사부재(48)가 경통(12)의 긴 쪽 방향으로 이동 불능인 동시에 축(4802)을 받침점으로 요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암나사부재(48)는 스프링(4801)에 의해 서로 닫히는 방향으로 가세된 한 쌍의 암(arm)을 가지고, 그러한 암의 서로 마주 보는 면에 각각 암나사(4804)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재부(2012)에는, 로드 삽통공(2014)이 설치되어 있다.
도 25,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 삽통공(2014)에는, 금속제의 메인 가이드축(50)이 활동(滑動)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이 메인 가이드축(50)은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이 제 3경통분할체(1206)의 벽부와, 제 2경통분할체(1204)의 하부에 설치된 벽부로 지지되어 있다. 메인 가이드축(50)은 제 1, 제 2포커스 렌즈(2002, 2004)의 광축과 평행하여 직선형으로 연재하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2경통분할체(120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따라서, 메인 가이드축(50)은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을 이 포커스용 가동 렌즈(28)의 광축 방향으로 안내하고 있다.
또,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재부(2012)와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보관 유지부(2010)에 계합구(2018)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구(2018)에는, 서브 가이드축(52)(도 25)이 활동(滑動)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따라서, 서브 가이드축(52)은 포커스용 렌즈(20)가 메인 가이드축(50)의 둘레에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서브 가이드축(52)은 제 2경통분할체(1204)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합성 수지제이다. 서브 가이드축(52)은 제 1, 제 2포커스 렌즈(2002, 2004)의 광축과 평행하게 직선형으로 연재하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2경통분할체(120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용의 안내 기구(30)는, 이러한 메인 가이드축(50)과 서브 가이드축(40)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 25,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을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34)은, 경통(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홀더(3402)와, 홀더(3402)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3404)와, 홀더(3402)에 따라서 연재하여 모터(3404)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숫나사부재(3406)를 가지고 있다.
홀더(3402)는 제 2경통분할체(1204)의 우측면의 결부에 부착되며, 이것에 의해 숫나사부재(3406)가 부품 수용 공간(1204A)에 위치하고, 모터(3404)는 제 2경통분할체(1204)의 하부에 위치한다.
숫나사부재(3406)는 암나사부재(48)의 암나사(4804)에 나합되며, 따라서 모터(3404)의 노멀(normal) 역전에 의해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은 메인 가이드축(50) 및 서브 가이드축(52)에 안내되면서 그러한 광축 방향에 따라서 왕복 이동되며, 포커스 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과 메인 가이드축(50)과 숫나사부재(3404)가 제 2경통분할체(1204)의 내부에서 제 2경통분할체(1204)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며, 서브 가이드축(52)은 메인 가이드축(50) 및 숫나사부재(306)와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포커스용 렌즈틀(2006) 개소에 배치되게 된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소자 장착판(46)은, 부품 수용 공간(1204A)의 하단을 폐색하도록 제 2경통분할체(1204)의 하부에 나사(206, 206)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촬상소자(150)는, 촬상소자 장착판(46)이 부품 수용 공간(1204A)에 임하는 내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소자 장착판(46)에 직사각형의 창(4602)이 설치되며, 이 창(4602)에 촬상소자(150)가 끼워 넣어져서 배치되며, 촬상소자 장착판(46)의 내면에서 촬상소자(150)의 표면에 실(seal) 유리(4604), 실 고무(4606) 및 로퍼스필터(4608)가 배치되며, 압력판자(4610)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 수용 공간(1204A)에 임하는 제 2경통분할체(1204)의 전면 개소 및 뒷면 개소에서 제 2경통분할체(1204A)의 상단과 제 3고정 렌즈군(26)과의 사이의 개소에는 요철부(1204C)가 설치되어 있다.
또, 부품 수용 공간(1204A)에 임하는 제 2경통분할체(1204)의 전면 개소 및 뒷면 개소에서 제 3고정 렌즈군(26)과 촬상소자(150)와의 사이의 개소에는 요철부(1204D)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요철부(1204C, 1204D)는, 대물 렌즈(14), 반사 부재(16), 제 1고정 렌즈군(22), 줌용 가동 렌즈군(18), 제 2고정 렌즈(24),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을 통해 진입해 온 빛 중, 부품 수용 공간(1204A)에 임하는 제 2경통분할체(1204)의 전면 개소 및 뒷면 개소에 도달한 빛이 이 뒷면 개소에서 반사되는 것으로, 이른바 플레어 혹은 고스트로 불리는 반사광이 발생하고, 이 반사광이 촬상소자(150)의 수광면에 도달하여 촬상소자(150)의 촬상신호에 대해서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촬상소자(150)로부터 먼 개소에 설치된 요철부(1204C)의 요철의 간격에 대해서 촬상소자(150)로부터 가까운 개소에 설치된 요철부(1204D)의 요철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요철부(1204C)에 닿는 상기 빛의 각도에 대 해서 요철부(1204D)에 닿는 상기 빛의 각도가 보다 작기 때문이며, 이와 같이 요철부(1204C, 1204D)의 요철의 간격을 바꾸는 것으로, 제 2경통분할체(1204)의 성형시에 금형(金型)으로부터의 분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고정 렌즈군(26)은, 촬상소자(150)의 위쪽에서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 하부의 부품 수용 공간(1204A)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경통분할체(1202)와 제 2경통분할체(1204)와 제 3경통분할체(1206)는, 상기 구동부(44) 근방의 개소에서 나사(202)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구동부(34) 근방의 개소에서 나사(204)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줌용 가동 렌즈군(18)의 광축을, 반사 부재(16)의 반사면으로부터 촬상소자(150)에 이르는 제 2광로 부분의 광축(O2)에 일치시키는 조정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베어링부재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베어링부재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a)은 베어링부재의 평면도, (b)는 (a)의 BB선 단면도, (c)는 (b)의 C시시도(矢視圖)이다.
도 4(a)~(d)는 베어링부재의 설명도에서, 위쪽의 도면이 단면도를 나타내고, 아래쪽의 도면이 저면도이다.
도 5는 렌즈경통의 일부를 파단한 사시도이다.
도 6은 구멍부의 사시도, 도 7은 베어링부재가 구멍부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베어링부재가 구멍부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도 10은 메인 가이드축(38)의 기울기 조정 조작의 설명도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줌용 가동 렌즈군(18)은 줌용 렌즈틀(1806)에서 보관 유지되며, 줌용 렌즈틀(1806)은 메인 가이드축(38)에 따라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며, 또, 줌용 렌즈틀(1806)은 서브 가이드축(40)에 의해서 메인 가이드축(38) 둘레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다.
또, 메인 가이드축(38)은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이 제 1경통분할체(1202)의 표면을 구성하는 벽부와, 제 3경통분할체(1206)의 벽부로 지지되어 있다.
한편, 줌용 렌즈틀(1806)에는 허용 범위 내에서의 가공 오차가 있고, 줌용 렌즈틀(1806)과 줌용 가동 렌즈군(18)과의 조립에도 허용 범위 내에서의 조립 오차가 있다.
그 때문에, 줌용 가동 렌즈군(18)의 광축이 제 2광로 부분의 광축(O2)에 대해서 허용치를 넘어 기울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제 1경통분할체(1202)나 제 3경통분할체(1206)에도 허용 범위 내에서의 가공 오차가 있고, 또, 렌즈경통(10)에는 허용 범위 내에서의 조립 오차가 있다.
그 때문에, 메인 가이드축(38)이 제 2광로 부분의 광축(O2)에 대해서 기울어지고, 이것에 의해 줌용 가동 렌즈군(18)의 광축이 제 2광로 부분의 광축(O2)에 대해서 허용치를 넘어 기울어져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줌용 가동 렌즈군(18)의 광축이 제 2광로 부분의 광축(O2)에 대해 서 허용치를 넘어 기울어지면, 촬상소자(150)의 촬상면에 결상되는 피사체상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생기는 초점의 흐려짐, 이른바 부분적 흐려짐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줌용 가동 렌즈군(18)의 광축을 제 2광로 부분의 광축(O2)에 일치시키는 조정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가이드축(38)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상단)에 있어서 상술의 메인 가이드축(38)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것으로, 줌용 가동 렌즈군(18)의 광축을 제 2광로 부분의 광축(O2)에 일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즉,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가이드축(38)의 상단은, 제 1경통분할체(1202)의 벽부에 부착된 베어링부재(5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부재(54)는, 제 1경통분할체(1202)의 바깥쪽으로부터 제 1경통분할체(1202)의 벽부의 구멍부(1250)(도 6 내지 도 8, 도 23 참조)에 장탈(裝脫) 가능하게 장착되는 축부(5402)와, 축부(5402)에 설치되어 메인 가이드축(38)의 상단이 삽입되는 베어링구멍(5404)과, 구멍부(1250)의 단면보다 큰 윤곽을 가지고 제 1경통분할체(1202)의 벽부의 외면에 당접되는 칼라부(collar)(5406)와, 칼라부(5406)의 표면에 칼라부(5406)와 동일한 축상에 돌출되어 설치된 단면이 다각형인 다각형부(5408)와, 다각형부(5408)의 표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상단부(5410)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멍부(1250)와 베어링부재(54)에 의해 특허 청구 범위의 지지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축부(5402)는, 원주형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의 하부에 하단에 도달함에 따 라서 반지름이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면(5403)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구멍(5404)은 축부(5402)의 중심 축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베어링구멍(5404)의 중심축 선이 축부(5402)의 중심축 선에 대해서 편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구멍(5404)은, 서로 90도를 이루는 평면에서 봤을 경우 대략 정사각형을 이루는 4개의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베어링구멍(5404)에 메인 가이드축(38)의 상단을 삽입하면, 메인 가이드축(38)의 외주면에 대해서 이론적으로는 상기 4개의 평탄면이 선 접촉하게 되며, 베어링구멍(5404)과 메인 가이드축(38)의 상단이 높은 정밀도로 동일 축상에 설치되게 된다.
상단부(5410)는, 평면에서 봤을 경우에 가늘고 긴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先端)면에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의 공구 삽입용의 홈(5412)(특허 청구 범위의 공구의 계합구)이 형성되며, 또, 주위면에 베어링부재(54)의 회전 각도를 시인하기 위한 요철로 이루어지는 지표부(5414)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홈(5412)의 안쪽에는, 도 3(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구멍(5404)에 관통시켜서 핀 삽통공(5416)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베어링부재(54)가 설치되는 제 1경통분할체(1202)의 벽부의 구멍부(1250) 및 그 주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5402)가 삽입되는 구멍부(1250)는, 축부(5402)의 바깥 지름보다 큰 치수의 안 지름으로 형성된 내주면(1252)과, 내주 면(1252)의 둘레 방향으로 같은 간격을 두어 형성되어 축부(5402)의 외주면에 계합 가능한 복수의 평탄면(1254)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평탄면(1254)이 축부(5402)의 외주면에 계합하는 것으로, 구멍부(1250)의 중심축과 축부(5402)의 중심축이 높은 정밀도로 일치하도록 도모되고 있다.
상기 내주면(1252)의 상단에는, 칼라부(5406)가 재치(載置)되는 고리형의 재치면(1256)이 형성되어 있다.
또, 재치면(1256)의 외주(外周)에 따라서 홈(1257)이 형성되며, 이 홈(1257)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1258)에 충전된 접착제의 잉여분을 절결(切缺)부(1280)로 이끌어서 놓아주기 위한 것이다.
재치면(1256)의 반지름 방향 바깥쪽 개소에는, 즉, 홈(1257)의 외주부에는 재치면(1256)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1258)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1250) 및 재치면(1256)과 홈(1257)의 위쪽에는 소경 구멍부(1270)가 형성되며, 소경 구멍부(1270)의 상부에 경사 구멍부(127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경 구멍부(1270)와 경사 구멍부(1272)에 의해 특허 청구 범위의 오목부가 구성되어 있다.
소경 구멍부(1270)는, 재치면(1256)의 외주로부터 기립하는 원통면(1274)을 가지고, 원통면(1274)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상기 접착제 충전용 오목부(1258)가 설치되어 있다.
경사 구멍부(1272)는, 둘레 방향으로 같은 간격을 두어서 설치되어 소경 구 멍부(1270)에 근접함에 따라 소경 구멍부(1270)의 축심(軸心)에 가까워지는 경사면(1276)과, 그러한 경사면(1276)의 사이에 설치된 만곡면(1278)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사 구멍부(1272)에는, 절결부(1280)가 설치되며, 오목홈(1257)은 이 절결부(128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가이드축(38)의 상단은, 제 1경통분할체(1202)의 큰 지름 구멍(1264)을 통해서 베어링부재(54)의 베어링구멍(5404)에 삽입된다.
또, 메인 가이드축(38)의 하단은, 종래 공지의 구조에 의해 예를 들면 제 3경통분할체(1204)의 벽부의 구멍(1290)(도 23)에 삽입되는 것으로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줌용 가동 렌즈군(18)의 광축 조정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우선,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부재(54)로서, 베어링구멍(5404)의 중심축 선이 축부(5402)의 중심축 선과 일치한 기준 베어링부재(54)와, 도 4(b) 내지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구멍(5404)의 중심축 선이 축부(5402)의 중심축 선에 대해서 편심하고 있는 베어링부재(54)를 준비한다. 이 경우, 베어링구멍(5404)의 중심축 선과 축부(5402)의 중심축 선과의 편심량(E)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베어링부재(54)를 준비한다.
다음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 베어링부재(54)를 이용하여 렌즈경통(10)을 조립한다.
이때, 광학계(104) 중, 줌용 가동 렌즈군(18)을 제외한 나머지의 대물 렌즈 (14), 포커스용 가동 렌즈군(20), 제 1고정 렌즈군(22), 제 2고정 렌즈군(24), 제 3고정 렌즈군(26)에 있어서는 광축 조정을 한다.
그리고, 대물 렌즈(14)의 전방으로 종래 공지의 조정용 차트를 배치하여 이 차트의 화상을 광학계(14)에 의해서 촬상소자(150)의 촬상면상에 결상시키고, 촬상소자(150)로부터 출력되는 촬상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차트의 화상을 해석하고, 촬상소자(150)에 결상된 차트의 화상의 부분적 흐려짐을 측정한다. 이러한 부분적 흐려짐을 측정하는 평가치로서는, MTF 디포커스 커브를 이용하는 것 외, 종래 공지의 다양한 평가치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치에 의거하여, 제 2광로 부분의 광축(O2)에 대한 줌 가동 렌즈군(18)의 경사 각도(e)를 산출한다.
제 2광로 부분의 광축(O2)과 줌 가동 렌즈군(18)의 광축을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경사 각도(e)와 반대 방향으로 같은 각도만 메인 가이드축(38)을 경사시키면 좋게 된다.
따라서, 경사 각도(e)를 지우기 위해서 필요한 베어링부재(54)의 편심량도 경사 각도(e)에 대응해서 결정된다.
다음에, 상기의 편심량에 대응한 편심량(E)을 가지는 베어링부재(54)를 선택한다.
그리고, 핀 삽통공(5416)으로부터 핀을 삽입하여 메인 가이드축(30)의 상단을 기준 베어링부재(54)의 베어링구멍(5404)으로부터 제외하면서 기준 베어링부재(54)의 축부(5402)를 제 1경통분할체(1202) 벽부의 구멍부(1250)로부터 떼어내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심량(E)을 가지는 베어링부재(54)의 축부(5402)를 구멍부(1250)에 삽입한다.
계속해서, 베어링부재(54)의 홈(5412)에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하여 베어링부재(54)를 회전시키고, 상술한 평가치에 의해서 나타나는 부분적 흐려짐이 해소되도록 지표부(5414)를 시인하면서 메인 가이드축(30)의 경사를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제 2광로 부분의 광축(O2)과 줌 가동 렌즈군(18)이 일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광학계(104)가 줌 가동 렌즈군(18)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줌 동작을 실시하는 것에서는, 줌 가동 렌즈군(18)이 텔레(Tele)단(망원단)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제 2광로 부분의 광축(O2)에 대한 줌 가동 렌즈군(18)의 기울기가 부분적 흐려짐에 미치는 영향이 지극히 큰 반면, 줌 가동 렌즈군(18)이 와이드(Wide)단(광각단(廣角端))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제 2광로 부분의 광축(O2)에 대한 줌 가동 렌즈군(18)의 기울기가 부분적 흐려짐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무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 광학 특성을 이용하여, 줌 가동 렌즈군(18)이 텔레단(망원단)에 위치한 상태로의 광학 성능을 기준으로 하여 상술한 조정작업을 실시한다.
따라서, 상술한 조정작업은, 줌 가동 렌즈군(18)이 텔레단(망원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실시한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부재(54)에 의해서 메인 가이드축(38)의 경사를 조정함으로써, 텔레단에 있어서 제 2광로 부분의 광축(O2)과 줌 가 동 렌즈군(18)을 일치시킬 수 있지만, 와이드단에 있어서는 제 2광로 부분의 광축(O2)에 대해서 줌 가동 렌즈군(18)의 광축이 어긋나 버리는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줌 가동 렌즈군(18)이 와이드단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이러한 제 2광로 부분의 광축(O2)에 대한 줌 가동 렌즈군(18)의 광축의 차이가 부분적 흐려짐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무시할 수 있다.
또한 제 2광로 부분의 광축(O2)에 대한 줌 가동 렌즈군(18)의 경사 각도(e)가 허용치 이하인 경우, 편심량(E)을 가지는 베어링부재(54)를 선택하지 않고, 기준 베어링부재(54)가 그대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정작업이 종료했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라부(5406), 다각형부(5408), 상단부(5410)의 바깥쪽에서 소경 구멍부(1270) 및 경사 구멍부(1272)의 안쪽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충전하고, 자외선을 조사해 경화시키고, 이것에 의해 조립이 완료한다.
이 경우, 베어링부재(54)는 다각형부(5408)를 가지고 있으므로, 다각형부(5408)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매설되는 것으로, 베어링부재(54)의 구멍부(1250)의 중심축 둘레의 회전이 효과적으로 저지된다.
다음으로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메인 가이드축(38)의 상단을 지지하는 베어링부재(54)는, 제 1경통분할체(1202)의 바깥쪽으로부터 구멍부(1250)에 장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부(5402)와, 축부(5402)의 중심축 선에 대해서 편심한 중심축 선을 가지는 베어링구멍(5404)을 가지고, 메인 가이드축(38)의 상단은 상기의 베어링구멍(5404)으로 지지되므로, 실 시예와 같이 베어링구멍(5404)의 중심축 선과 축부(5402)의 중심축 선과의 편심량(E)이 다른 복수 종류의 베어링부재(54)를 준비하는 것으로, 줌용 가동 렌즈군(18)의 광축 조정을 간단하고 확실히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편심량(E)이 다른 베어링부재(54)를 선택하여 제 1경통분할체(1202)의 바깥쪽으로부터 조립하는 것으로 줌용 가동 렌즈군(18)의 광축 조정이 이루어지므로, 종래와 같은 복잡한 기구를 생략할 수 있고, 또,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렌즈경통의 부품점수의 삭감, 비용 다운, 소형화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촬상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나 텔레비전 카메라 등 촬상장치에도 물론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축의 일단을 지지하는 베어링부재는, 경통의 바깥쪽으로부터 구멍부에 장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부와, 축부의 중심축 선에 대해서 편심한 중심축 선을 가지는 베어링구멍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베어링구멍의 중심축 선과 축부의 중심축 선과의 편심량이 다른 복수 종류의 베어링부재를 준비하는 것으로, 렌즈의 광축 조정을 간단하고 확실히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종래와 같이 복잡한 기구를 생략할 수 있으며, 또,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렌즈경통의 부품점수의 삭감, 비용 다운, 소형화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Claims (6)

  1. 경통내에서 렌즈를 보관 유지하는 렌즈틀과,
    상기 경통내에서 상기 렌즈의 광축에 평행하여 직선형으로 연재(延在)하여 상기 렌즈틀에 연결되어서 상기 렌즈틀을 상기 광축에 따라서 안내하는 가이드축과,
    상기 경통내에서 상기 가이드축의 연재 방향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갖추는 렌즈경통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은, 상기 경통에 설치된 구멍부와, 상기 경통의 외부로부터 상기 구멍부에 장탈 가능한 동시에 상기 구멍부의 중심축 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어링부재를 가지고,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구멍부에 장착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축의 일단이 삽입되는 베어링구멍을 가지고,
    상기 축부의 중심축 선에 대해서 상기 베어링구멍의 중심축 선이 편심하고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경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구멍부의 단면보다도 큰 윤곽을 가지고 상기 경통의 외부에 당접되는 칼라부를 가지고, 상기 축부는 상기 칼라부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경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구멍부의 단면보다 큰 윤곽을 가지고 상기 경통의 외부에 당접되는 칼라부를 가지고, 상기 칼라부의 한쪽 면에 상기 축부가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칼라부의 다른 쪽 면에 단면이 다각형을 나타내는 다각형부가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경통에는, 상기 경통의 상기 구멍부에 접속되어 상기 경통의 외부에 개방형의 오목부가 설치되며, 상기 칼라부와 다각형부는 상기 오목부내에 위치하여 오목부내에 충전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경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구멍부의 단면보다도 큰 윤곽을 가지고 상기 경통의 외부에 당접되는 칼라부를 가지고, 상기 칼라부의 한쪽 면에 상기 축부가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칼라부의 다른 쪽 면에 단부가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베어링부재의 회전 각도를 시인(視認)하기 위한 안표가 되는 지표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경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구멍부의 단면보다도 큰 윤곽을 가지고 상기 경통의 외부에 당접되는 칼라부를 가지고, 상기 칼라부의 한쪽 면에 상기 축부가 돌출 되어 설치되며, 상기 칼라부의 다른 쪽 면에 단부가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베어링부재의 회전 각도를 시인하기 위한 안표가 되는 지표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부의 선단면에는 상기 베어링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의 계합구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경통.
  6. 경통에 설치된 촬상소자와, 상기 경통의 내부에서 피사체상을 상기 촬상소자로 이끄는 광학계를 가지는 렌즈경통을 갖추는 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경통은,
    상기 경통내에서 상기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를 보관 유지하는 렌즈틀과,
    상기 경통내에서 상기 렌즈의 광축에 평행하여 직선형으로 연재하여 상기 렌즈틀에 연결되어서 상기 렌즈틀을 상기 광축에 따라서 안내하는 가이드축과,
    상기 경통내에서 상기 가이드축의 연재 방향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갖추며,
    상기 가이드축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은, 상기 경통에 설치된 구멍부와, 상기 경통의 외부로부터 상기 구멍부에 장탈 가능한 동시에 상기 구멍부의 중심축 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어링부재를 가지고,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구멍부에 장착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축의 일단이 삽입되는 베어링구멍을 가지고,
    상기 축부의 중심축 선에 대해서 상기 베어링구멍의 중심축 선이 편심하고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KR1020060010237A 2005-02-16 2006-02-02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 KR200600920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39019 2005-02-16
JP2005039019A JP2006227170A (ja) 2005-02-16 2005-02-16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052A true KR20060092052A (ko) 2006-08-22

Family

ID=3621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237A KR20060092052A (ko) 2005-02-16 2006-02-02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44004B2 (ko)
EP (1) EP1693695A1 (ko)
JP (1) JP2006227170A (ko)
KR (1) KR20060092052A (ko)
CN (1) CN100381852C (ko)
TW (1) TW2006323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1142A (ko) 2005-06-17 2008-03-0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광 픽업유닛용 차단수단을 갖는 광 디스크 디바이스
JP4790588B2 (ja) * 2006-12-25 2011-10-12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およびレンズ鏡筒の偏芯調整方法
JP4867707B2 (ja) * 2007-02-23 2012-02-01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鏡筒、撮像装置及び光軸調整方法
US7798730B2 (en) * 2007-05-07 2010-09-21 Flextronics Ap, Llc Camera blade shutter module
JP2011048080A (ja) * 2009-08-26 2011-03-10 Fujifilm Corp レンズ装置
JP5427009B2 (ja) 2009-11-30 2014-02-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装置
JP5884057B2 (ja) 2010-09-17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5903767B2 (ja) * 2011-03-22 2016-04-13 株式会社ニコン レンズ鏡筒
TW201241537A (en) * 2011-04-15 2012-10-16 Asia Optical Co Inc Lens frame module capable of controlling camera lens resolution
JP5941208B1 (ja) * 2015-02-26 2016-06-29 株式会社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 光学的情報読取装置用モジュールとそのコリメート調整方法
JP6662348B2 (ja) * 2017-04-28 2020-03-11 株式会社ニコン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CN108732712B (zh) * 2018-05-25 2020-09-15 歌尔股份有限公司 光路调节方法和光路调节装置
JP2020064214A (ja) * 2018-10-18 2020-04-23 株式会社タムロン レンズ鏡筒及びガイドポールの調整機構
KR102616778B1 (ko) * 2018-11-09 2023-1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액츄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4784A (en) * 1986-11-21 1988-08-16 Olympus Optical Company, Ltd. Camera with a built-in zoom lens
US4961635A (en) * 1988-09-06 1990-10-09 Fuji Photo Film Co., Ltd. Zoom lens drive mechanism
JPH02275404A (ja) 1989-04-18 1990-11-09 Canon Inc 撮影光学系のピント及び傾き調整機構
JPH05150307A (ja) * 1991-07-31 1993-06-18 Nikon Corp カメラの表示装置
JPH05127059A (ja) * 1991-10-30 1993-05-25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用可変焦点距離レンズの焦点位置調整装置
JPH0821946A (ja) * 1994-07-08 1996-01-23 Minolta Co Ltd 電気−機械変換素子を使用したレンズ装置駆動機構
JPH10104493A (ja) 1996-10-03 1998-04-24 Canon Inc レンズ鏡筒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学機器
JPH10123389A (ja) * 1996-10-23 1998-05-15 Canon Inc レンズ鏡筒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学機器
JP4401510B2 (ja) * 2000-01-28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学機器
JP2002287224A (ja) * 2001-03-26 2002-10-03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4660996B2 (ja) 2001-07-30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の調整方法、撮像装置の調整方法、ズーム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4730500B2 (ja) * 2001-08-16 2011-07-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装置
JP2004053854A (ja) 2002-07-19 2004-02-19 Nidec Copal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04287279A (ja) 2003-03-24 2004-10-14 Olympus Corp レンズ芯調整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レンズ鏡筒
JP2005039019A (ja) 2003-07-18 2005-02-10 Sony Corp 電子機器装置及び電子機器装置の放熱方法
US6929410B2 (en) * 2003-12-23 2005-08-16 Indigo Systems Corporation Camera shu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81852C (zh) 2008-04-16
EP1693695A1 (en) 2006-08-23
CN1821827A (zh) 2006-08-23
TW200632365A (en) 2006-09-16
TWI292489B (ko) 2008-01-11
US20060204234A1 (en) 2006-09-14
JP2006227170A (ja) 2006-08-31
US7544004B2 (en) 200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92052A (ko)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
JP6415102B2 (ja) レンズ鏡筒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US7454132B2 (en) Linkage mechanism between zoom lens barrel unit and zoom member, camera, and method of assembling illumination range-changing device and zoom finder device
JP4867707B2 (ja) レンズ鏡筒、撮像装置及び光軸調整方法
US8498060B2 (en) Lens barrel
JP4605452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4591766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4433272B2 (ja) 撮像装置およびレンズ装置
JP4415250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09150950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05274837A (ja) ズームレンズの偏芯調整方法
JP4863040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5055757A (ja) 撮像装置およびレンズ装置
JP200725631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光軸調整方法
JP4574463B2 (ja) レンズ鏡筒
JP2006227378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KR102425752B1 (ko) 카메라 모듈
JP4636913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WO2010021150A1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07108523A (ja) 光学部品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5168024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07279152A (ja) レンズ装置、撮像装置及びレンズ装置の光軸調整方法
JP2006072041A (ja) 偏心調整機構を有するレンズ鏡筒
JP4362706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KR100338596B1 (ko) 광학소자, 광학소자의 유지구조 및 촬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