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572A - 테아닌 함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테아닌 함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8572A
KR20060088572A KR1020067014198A KR20067014198A KR20060088572A KR 20060088572 A KR20060088572 A KR 20060088572A KR 1020067014198 A KR1020067014198 A KR 1020067014198A KR 20067014198 A KR20067014198 A KR 20067014198A KR 20060088572 A KR20060088572 A KR 20060088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anine
composition
symptoms
mineral
d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4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9875B1 (ko
Inventor
도모꼬 우에다
유끼꼬 나가또
유끼꼬 다나까
쯔또무 오꾸보
가나리 고바야시
노부유끼 아오이
세이지 슈
레크 라즈 쥬네자
Original Assignee
다이요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5747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8936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4211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3508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496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4027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30207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971535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요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요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8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7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amic or thiocarbamic acids, meprobamate, carbachol, neostig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8Iodine;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6Ir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4Copper;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상성 저하에 따른 증상의 억제 및 개선하기 테아닌 함유 조성물, 및 테아닌 및 미네랄을 함유하는 미네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증상을 억제 또는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및 금속 맛이 감소된 미네랄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조성물은 투여가 용이하다.
테아닌, 미네랄, 금속 맛

Description

테아닌 함유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THEANINE}
도1 은 어린 암컷 랫(rat)의 체중 증가에 미치는 테아닌의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 □는 본 발명의 데이터를 나타내고,
Figure 112006050332014-PAT00001
는 대조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2 는 난소적출 랫(rat)에서의 테아닌의 비만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 □는 본 발명의 데이터를 나타내고,
Figure 112006050332014-PAT00002
는 대조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3 은 테아닌의 체온 상승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래프의 가로 축은 테아닌 함유 캡슐 또는 위약(僞藥) 투여 후의 경과 시간 (분) 이고, 세로축은 손가락 끝의 온도이다.
도4 는 테아닌 투여 그룹과 비(非)투여 그룹 (대조군) 각각에 대한 자발 운동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 는 테아닌 투여 그룹, 비부하(非負荷) 그룹 및 비(非)투여 그룹 각각에 대한 수면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비만, 불안 야기, 월경전 증후군, 냉증, 갱년기 장해, 수면 장애, 및 자율신경 실조증(失調症)과 같은 항상성 저하에 따른 각종 증상을 억제 및 개선하기 위한,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 조성물 등에 사용되는 테아닌 함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이 갖는 특유의 맛이 경감된 미네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비만, 불안 야기, 월경전 증후군, 냉증, 갱년기 장해, 수면 장애, 및 자율신경 실조증과 같은 항상성 저하에 따른 각종 증상에 대하여, 약제에 의한 대처 요법이 적용되어 왔다. 상기 증상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여러 종류의 증상 장해 등이 병발되는 경우에도 자주 볼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 개별 증상에 대응한 약제, 예를 들면, 호르몬제, 한약, 신경안정제 등을 조합하여 처방하는 것은 그로 의해 예기치 않은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합병증에 대해서도 약제에 의하지 않고 증상을 완화 및 개선하는, 안전성이 높은 식품 조성물 등의 조성물이 요구되었다.
상기 질환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이들 질환의 예방, 치료 등에서 식생활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은 중요하다. 즉, 최근의 식생활은 풍요로워졌지만, 영양섭취에 편중이 있어, 상기 각 질환의 원인의 하나로 되고 있다. 영양 조사에 의하면, 미네랄에 관해서는 필요한 기준치를 밑돌고 있는 것도 있다. 따라서 최근, 식품, 음료, 서플리먼트(supplement), 영양강화제 등에 미네랄이 부가되어 있 으나, 금속이 갖는 특유의 맛 때문에 첨가량이 제한되어,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증상을 억제 및 개선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증상이 병발한 경우라도, 투여 방법이 간단하고, 안전성이 높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이 갖는 특유의 맛이 경감된, 투여가 용이한 미네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명확해진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철저하게 검토한 결과, 테아닌이 각종 증상에 대하여 현저한 억제 및 개선 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때, 테아닌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만이 아니라, 테아닌에 추가로 미네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은 동시에 미네랄 보급도 가능하게 되는데, 이 조성물은 금속이 갖는 특유의 맛이 경감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고, 미네랄 보급이 용이한 미네랄 조성물을 발견하였다. 이를 근거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하기에 관한 것이다:
(1) 항상성 저하에 따른 증상을 억제하고 개선하기 위한, 테아닌 함유 조성물, 및
(2) 테아닌 및 미네랄 함유 미네랄 조성물.
[실시예]
1. 테아닌 함유 조성물
본 발명의 테아닌 함유 조성물에 배합되는 테아닌이란, 차의 잎에 함유되어 있는 글루탐산 유도체로서, 차의 좋은 맛의 주성분이다. 또, 맛을 내는 것을 용도로 하는 식품 첨가물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 안전성에 대해서도, 마우스(mouse)를 사용한 급성 독성 시험에서 2 g/㎏ 경구 투여에 의한 사망예는 없고, 일반 상태 및 체중 등에 이상은 볼 수 없다. 이와 같이 테아닌은 매우 안전한 물질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테아닌의 검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오르토프탈알데히드(OPA) 에 의한 프레컬럼(pre-column)에서의 유도체화 후에, ODS 컬럼을 사용한 고속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형광 검출기로 검출 정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테아닌의 제조방법의 예로서는, 예컨대 유기 합성법 (Chem. Pharm. Bull., 19(7), 1301-1307(1971)), 발효법 (일본공개특허공보 평5-68578호 및 평5-328986호) 또는 이들 방법에서의 에틸아민을 대신해 에틸아민염산염 등의 에틸아민 유도체를 사용한 변형법, 피로글루탐산을 에틸아민염산염과 반응시키는 방법 (일본공개특허공보 평 9-263573), 식물세포배양법 (일본공개특허공보 평5-123166), 차잎에서 추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대량으로 저렴하게 테아닌을 얻을 수 있는 발효법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차잎이란, 녹차, 우롱차, 홍차 등을 들 수 있다.
또, 테아닌은 L-테아닌, D-테아닌 및 DL-테아닌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L-체는 식품 첨가물로도 인정되고 있고, 경제적으로도 이용하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L-체가 적합하다. 또, 본 발명에 사용하는 테아닌은 정제품, 조정 제품, 추출 엑기스 등의 어느 형상으로도 가능하다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네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미네랄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생체 내에 부족하기 쉬운 필수 원소, 미량 필수 원소를 보충할 수 있다는 더욱 큰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 조성물에서의 미네랄의 함량은 0.0001 ∼ 99.9 중량% 가 바람직하고, 0.01 ∼ 99.9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미네랄이란 후술하는 미네랄 조성물의 항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철, 마그네슘, 구리, 아연, 셀렌, 칼슘, 칼륨, 망간, 크롬, 요드, 몰리브덴, 니켈, 바나듐 등 생체의 유지, 조절을 위해 필수인 금속류 또는 이들 금속 염류를 말하고, 함량은 이와 같은 금속 원소의 양으로서 구해진다. 미네랄은 1종류의 금속 원소로 구성되어 있어도, 복수의 금속 원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테아닌은 다른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그의 예는 하기와 같다: Saint John's wort 및 카모밀; 한방 식물, 예컨대, Gymnema sylvestre, Garcinia cambogia, Eucommia ulmoides 및 인삼 또는 이의 추출물; 동물성 추출물, 예컨대 플라센타(placenta) 추출물; 기능성 소재, 예컨대 식물 섬유 및 대두 펩티드; 비타민류, 다이어트 감미료. 이들 중에서, 기능성 소재, 예컨대 식물 섬유 및 대두 펩티드가 바람직하다.
테아닌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의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 및 개선 효과를 갖는다. 특히, 항상성 저하에 따른 증상의 억제 및 개선, 구체적으로는, 비만 억제, 불안 야기 억제, 월경전 증후군 억제, 냉증의 개선, 갱년기 장해의 개선, 수면 장애, 자율신경 실조증의 개선을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항상성 저하란, 생물이 외적 및 내적인 모든 변화 중에서도 신경계, 내분비계, 순환기계, 면역계를 사용하여 형태적 상태, 생리적 상태를 안정된 범위내로 유지하여, 개체로서의 생존을 유지하고 있으나, 그 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말한다. 구체적인 증상으로서는, 호르몬의 과잉 분비, 결핍 등에 의한 몸의 상태의 불량, 정신 불안 등이나, 자율신경 실조증으로서의 어깨결림, 두통, 현기증, 냉증, 초조함, 동계, 헐떡임, 호흡 곤란, 저림, 불면증 등을 들 수 있다.
항상성 저하의 억제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한 테아닌의 투여량으로서는, 0.2 ∼ 2000 ㎎/㎏ㆍday 이 바람직하고, 0.2 ∼ 300 ㎎/㎏ㆍday 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증상의 종류, 정도에는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의 테아닌 투여량은 이와 같은 범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테아닌의 함량은 구체적인 증상, 연령, 투여 회수 등에 따라 적당히 조절하면 된다. 예컨대, 테아닌의 함량으로서는 조성물 중의 0.00025 ∼ 100 중량% 가 바람직하고, 0.005 ∼ 100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비만이란, 과도한 지방 축적에 의해 합병증을 수반하는 비만 으로, 과식, 잘못된 식사 방법, 운동 부족, 유전, 열생산 장해에 의한 것 또는 그 원인을 특정할 수 없는 것이다.
비만 억제를 위해서는, 테아닌으로서 바람직하게는 0.3 ㎎/㎏ㆍday 이상을 투여하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투여량을 증가시키면 효과는 보다 한층 증강된다. 테아닌은 안전성이 높은 물질이기 때문에 투여량을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2000 ㎎/㎏ㆍday 정도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만 억제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한 테아닌의 투여량으로서는, 0.3 ∼ 2000 ㎎/㎏ㆍday 이 바람직하고, 0.3 ∼ 100 ㎎/㎏ㆍday 이 보다 바람직하며, 0.3 ∼ 50 ㎎/㎏ㆍday 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불안 야기 억제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불안 야기란 메틸크산틴 유도체의 계속적 또는 습관적인 섭취에 의한 것 또는 그 원인을 특정할 수 없는 것이다. 계속적이거나 습관적인 메틸크산틴 유도체 섭취에 의해 불안 증상이 촉진되어, 동계나 현기증 등의 증상과 함께 심한 불안이 갑자기 엄습해 오는 위기 장해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말해지고 있고, 메틸크산틴 유도체의 계속적이거나 습관적인 섭취는 위기 장해의 하나의 원인인 것으로 말해지고 있다. 여기에서, 메틸크산틴 유도체는 카페인, 테오피린, 테오브로민을 들 수 있다. 메틸크산틴 유도체의 존재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천연 또는 합성의 정제품, 이들이 첨가된 식품 및 의약품, 커피, 코코아, 녹차, 홍차 등의 발효차, 우롱차 등의 반(伴)발효차 또는 이들을 사용한 가공품이다.
불안 야기 억제를 위해서는, 테아닌으로서 바람직하게는 0.3 ㎎/㎏ㆍday 이상을 투여하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투여량을 증가시키면 효과는 보다 한층 강화된다. 테아닌의 투여량에 특별히 상한은 존재하지 않지만, 테아닌의 특유의 맛과 경제성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300 ㎎/㎏ㆍday 정도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불안 야기 억제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한 테아닌의 투여량으로서는, 0.3∼300 ㎎/㎏ㆍday 이 바람직하고, 0.3∼30 ㎎/㎏ㆍday 이 보다 바람직하며, 0.3∼3 ㎎/㎏ㆍday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월경전 증후군 (Premenstrual Syndrome : PMS) 은 여성의 월경 전의 대강 2주간에 일어나는 기초 체온의 고온상, 즉, 난소의 황체기에 나타나는 증상으로, 호르몬의 불균형에 따라, 일상 생활에 지장을 주는 증상이 일군으로 되어 나타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인 증상으로서는, 졸립고, 쉽게 피곤하고. 유방이 부풀고, 유방이 아프며, 여드름이 생기기 쉽고, 피부가 거칠고, 화장이 잘 받지 않고, 대하가 증가하고, 몸이 원할하게 움직이지 않고, 알레르기 증상이 생기고, 두통, 머리가 무겁고, 어깨결림, 현기증, 수족 냉증, 복통, 하복통, 하복부의 팽창, 요통, 부기, 목이 마르고, 변비, 설사, 식욕 증가, 식욕 감퇴, 음식물의 기호의 변화 등의 신체적 증상과 우울상태, 무기력, 초조함, 공격적으로 되고, 약해지고, 쉽게 눈물이 나오고, 외로워지고, 고독감에 사로 잡히고, 불안, 기분의 고양, 집중할 수 없고, 능률의 저하, 성욕의 항진, 감퇴 등의 정신 증상, 자폐적으로 되고, 결벽증으로 되고, 건강관리가 불가능하고, 월경이 싫어지고, 매사가 귀찮고, 여느 때처럼 일이 안되고, 여성인 것이 싫어지고, 타인과 말싸움하고, 집에 틀어박혀 있고, 혼자 있고 싶고, 낭비하고 싶고, 가족이나 친구에게 폭언하고, 타인과의 교제가 나빠지는 등의 사회적 증상 등 그 증상은 다양하여 150종 이상이나 되어, 이들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월경전 증후군 억제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한 테아닌의 투여량으로서는, 0.2 ∼ 200 ㎎/㎏ㆍday 이 바람직하고, 0.5 ∼ 50 ㎎/㎏ㆍday 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냉증이란, 신체 및 신체의 각 부위에 자각적으로 냉기의 고통이 있고, 급격한 외인에 의해 일어나게 되는 것이 아니라, 비교적 만성적으로 냉기를 자각하는 것을 말한다.
냉증의 개선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한 테아닌의 투여량은 0.2 ∼ 200 ㎎/㎏ㆍday 이 바람직하고, 0.5 ∼ 50 ㎎/㎏ㆍday 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갱년기 장해란, 황체호르몬, 난포호르몬의 분비량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성선(性腺) 자극 호르몬의 과잉으로 분비될 때에 발생하는 몸의 상태의 변화를 말하고, 구체적인 증상으로서는, 자율 신경 이상으로서, 머리로 피가 올라가고, 얼굴이 화끈해지고, 심계항진, 발간, 냉증이, 정신적증상으로서, 우울, 초조감, 불안, 불면, 귀울림, 저림, 설사, 빈뇨, 기억력, 판단력의 저하가, 그 외 증상으로서, 어깨결림, 요통, 권태감 등이 보인다.
갱년기 장해의 개선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한 테아닌의 투여량은 0.2 ∼ 200 ㎎/㎏ㆍday 이 바람직하고, 0.5 ∼ 50 ㎎/㎏ㆍday 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면 장애의 개선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한 테아닌의 투여량은 0.2 ∼ 200 ㎎/㎏ㆍday 이 바람직하고, 0.5 ∼ 50 ㎎/㎏ㆍday 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 사용의 태양은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 조성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품 조성물이란, 테아닌을 함유하는 식품뿐만 아니라, 테아닌을 함유하는 식품 첨가물도 포함된다. 식품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하기의 식품 중에 테아닌을 배합하면 된다.
즉, 건조 식품, 서플리먼트, 청량 음료. 미네랄 워터, 기호 음료, 알코올 음료 등의 액상 식품에 테아닌을 배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들 수 있는 음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녹차, 우롱차, 홍차, 허브티 등의 차류, 농축 과즙, 농축 환원 쥬스, 스트레이트 쥬스, 과실 믹스 쥬스, 과립이 함유된 과실 쥬스, 과즙이 함유된 음료, 과실ㆍ야채 믹스 쥬스, 야채 쥬스, 탄산 음료, 청량 음료, 우유 음료, 정종, 맥주, 와인, 칵테일, 소주, 위스키 등을 들 수 있다. 또, 생약, 허브, 아미노산, 비타민, 그 외 식품에 허용되는 소재ㆍ원료를 테아닌과 병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생약이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여성의 호르몬 균형에 유효한 저패니스 발레리안(Japanese valerian), 저패니스 안젤리카 루트(Japanese angelica root), 작약, 목단, 고려 인삼 등을 들 수 있다. 허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니스(anise), 캐롯시드(carrot seed), 크로브(clove), 코리언더(coriander), 사이프레스(cypress), 계피, 쥬니퍼(juniper), 징어(ginger), 스위트 오렌지(sweet orange), 파인니들(pine needle), 바질(basil), 파츄리(patchouli), 비터 오렌지(bitter orange), 펜넬(fennel), 블랙 페퍼(black pepper), 베이(bay), 페파민트, 베르가모트(bargamot), 만다린(mandarin), 마이르(myrrh), 레몬그래스 (lemongrass), 로즈마리(rosemary), 그레이프후르츠(grapefruit), 시더우드(cedawood), 시트로네라(citronella), 세지(sage), 타임(thyme), 티 트리 (tea tree), 비이올렛 리프(violer leaf), 바닐라(vanilla), 히솝(hyssop), 유칼립투스(eucalyptus), 라임(lime), 레몬(lemon), 이란 이란(ylang-ylang), 카르다몬(cardamon), 크랄리 세이지(clary sage), 쟈스민(jasmine), 제라늄(geranium), 카모밀(chamomile), 블루가리아 로즈(Bulgarian rose), 장비, 오리바남(olibanum), 라벤더(lavender), 샌달우드(sandalwood), 네로리(neroli), 바베나(verbena), 페티그레인(petigrain), 베티베르(vetiver), 마죠람(marjoram), 레몬 밤(lemon balm; Melissa officinalis), 로즈우드(rosewood), 세인트 존스스워트(Saint John-wort) 및 카와카와(kawakawa) 등을 들 수 있고, 그들 중에서도, 진정 효과, 릴럭스 효과를 갖는 페파민트, 베르가모트, 이란이란, 젤라늄, 카모밀, 라벤더, 세이트죤즈스워트 및 카와카와가 바람직하다. 이들 허브의 형상으로서는 추출물, 정유, 허브티 등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하는 아미노산에 있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글루타민, 글루탐산, 이노신산,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 스레오닌, 셀린, γ-아미노부티르산, 타우린,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하는 비타민에 있어서는 비타민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B12, 비타민C, 비타민D, 비타민E, 비타민K, 엽산, 니코틴산, 리포산, 판토텐산, 비오틴, 유비키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비타민의 유도체도 함유되지만 이들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유용한 물질은 하기를 포함한다: 알로에, 로얄제리, 멜라토닌, 프라센터(palcenta), 프로폴리스(propolis), 이소프라본(isoflavone), 대두 레시틴, 난황 레시틴, 난황유, 콘도로이틴(chondroitin), 카카오 마스(cacao mass), 콜라겐, 초(vinegar), 클로렐라, 스필리나(spirulina), 은행잎, 녹차, 두충차, 황기차, 우롱차, 뽕잎, 감차, 바나나차, 불포화지방산, 올리고당 등의 당류, 비피더스균, 홍국 등의 균류, 아가리쿠스 버섯, 표고 버섯. 영지, 송이 버섯 등의 버섯류, 블루베리, 프룬, 포도, 올리브, 매실, 감귤류 등의 과실류, 낙화생, 아몬드, 참깨, 후추 등의 뿌리 열매류, 피망, 고추, 파, 호박, 수세미, 인삼, 우엉, 모로헤이어, 마늘, 깻잎, 겨자, 토마토, 염교, 엽채, 감자, 콩 등의 야채류, 미역 등의 해초류, 어개류, 수조경육류, 각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추가로 이들의 추출물을 건조품, 조정제품, 정제품, 가공품, 양조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테아닌 함유 조성물을 의약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그 형태로서는, 용액ㆍ현탁물, 분말, 고체 성형물 등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캡슐제, 정제, 분말제, 과립제, 음료수제 등으로서 제공된다. 또, 다른 의약과도 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의약 조성물은 상기 식품 조성물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법은 한정되지 않고, 테아닌과 다른 원재료를 분체 혼합하는 제법, 용매 중에 테아닌과 다른 원재료를 녹여 혼합 용매로 하는 제법, 또 그 혼합 용액을 동결 건조하는 제법, 분무건조하는 제법 등 일반적인 식품, 의약품 의 제법이 적용된다. 예컨대, 테아닌 등의 성분을 공지되어 있는 부형제, 담체, 결합제, 안정제 등에 배합함으로써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2. 미네랄 조성물
본 발명의 미네랄 조성물은 테아닌 및 미네랄을 함유한 것으로, 본 발명에 한정되는 미네랄이란, 상기의 테아닌 함유 조성물의 항에서 서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철, 마그네슘, 구리, 아연, 셀렌, 칼슘, 칼륨, 망간, 크롬, 요드, 몰리브덴, 니켈, 바나듐 등, 생체의 유지 및 조절을 위해 필수인 금속류이다. 그 형태는, 염, 산화물, 단백질 복합체 또는 그 분해물의 복합체, 다당류 복합체 또는 그 분해물의 복합체, 그 외의 가공 전분 복합체, 시클로덱스트린 복합체, 또는, 슈퍼옥시드지스무타제, 글루타티오퍼옥시다제, 산성포스파타제 등의 미네랄을 갖는 금속 산소, 포스포글루코무타제 등의 금속활성화 산소, 활성 중심 이외에 금속을 포함하는 효소나 보조 효소 등이다. 이들 미네랄은, 천연에 존재하는대로이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공지되어 있는 방법으로 분리정제하여, 미네랄 함유율을 높인 것이다. 여기에서 미네랄 형태의 일례를 든다.
철은 철, 건조성 황산제일철, 결정형 황산제일철, 시트르산철, 글루콘산제일철, 피롤린산제일철, 피롤린산제이철, 피롤린산제일철, 피롤린산제이철, 염화제이철, 젖산철, 시트르산철암모늄, 삼산화이철, 페리틴, 트랜스페린, 오보트랜스페린, 헴철 등을 포함한다. 마그네슘은 탄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L-글루탐산마그네슘 등을 포함한다. 구리는 황산구리, 글루콘산구리 등을 포함한다. 아연으로서는, 황산아연, 글루콘산아연, 이산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셀렌은 셀레노시스테인, 셀레노메티오닌 등을 포함한다. 칼슘은 염화칼슘,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젖산칼슘, 글루콘산칼슘, 시트르산칼슘, L-글루탐산칼슘, 펜토텐산칼슘, 글리세로린산칼슘, 5'-리보누클레오티드칼슘, 황산칼슘, 인산삼칼슘, 인산일수소칼슘, 프로피온산칼슘, 인산이수소칼슘, 피롤린산이수소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칼슘, 스테아로일젖산칼슘,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칼슘이나트륨, 스테아로일젖산칼슘,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칼슘이나트륨, 성게껍질 소성칼슘, 패각소성칼슘, 골소성 칼슘, 산호소성칼슘, 유청소성칼슘, 난각소성칼슘, 패각미소성칼슘, 골미소성칼슘, 산호미소성칼슘, 진주층 미소성칼슘, 난각미소성칼슘, 고도 표백분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품의 미네랄 조성물이란, 그대로 사용하여도 되지만, 건조 식품, 서플리먼트, 청량 음료나 미네랄워터, 기호 음료, 알코올 음료 등 액상 식품 등에 사용하여도 된다. 또, 의료품에서는 정제, 분말제, 과립제, 음료수제 등에 첨가하여,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성분인 정유, 아미노산, 비타민 등과도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비타민과의 병용은 과실류 또는 그 가공품의 금속 맛의 개선에 효과적이다. 미네랄 조성물 중의 미네랄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금속 원소로서, 조성물의 0.0001 ∼ 99.9 중량% 가 바람직하고, 0.01 ∼ 99.9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미네랄 조성물에 함유되는 테아닌은 L-체, D-체, DL-체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L-체는 금속 맛의 개선 효과가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테아닌은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조성물 중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다. 테아닌의 함량은 금속 맛의 강도에 따라 따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미네랄 조성물이 그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중량비로서, 미네랄 조성물 중의 1개의 금속 함량에 대하여, 테아닌이 10-3 ∼ 106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1 ∼ 105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며, 10-1 ∼ 104 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테아닌의 배합에 의한 효과를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10-3 이상이 바람직하고, 미네랄 조성물에 함유하는 미네랄의 양으로부터 고려하면, 106 이하가 바람직하다.
테아닌을 미네랄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종래의 미네랄 조성물이 갖는 수렴미, 쓴맛, 신맛, 짠맛, 아린맛, 떫은 맛, 매운맛 등이 완화된다.
본 발명의 미네랄 조성물의 제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미네랄과 테아닌을 분체 혼합하는 제법, 물 등의 용매 중에 미네랄과 테아닌을 녹여 혼합용액으로 하는 제법, 또 그 혼합 용액을 동결 건조하는 제법, 분무 건조하는 제법 등을 들 수 있다.
하기에서, 실시예 및 시험예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글루타민 0.3 M 및 에틸아민 1.5 M 의 붕소 완충액 (붕산이나트륨-수산화나트륨, pH 11) 에, 이 완충액 1 ㎖ 당 0.3 U 의 글루타미나아제를 첨가하여 30℃ 에 서 22시간 인큐베이트하고, 이들을 반응시켰다. 반응액 1 ℓ로부터 225 m㏖ 의 테아닌을 단리하였다. 또한, 부산물의 글루탐산은 20 m㏖ 이었다. 또한, 반응액으로부터의 테아닌의 단리 정제는 반응액을 Dowex 50 ×8, Dowex 1 ×2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걸어, 에탄올로 용출시킴으로써 실시하였다.
단리 물질을 아미노산 분석기-페이퍼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했다. 테아닌의 표준 물질과 동일한 거동을 나타내기 때문에, 단리 물질이 테아닌인 것을 확인하였다. 염산 또는 글루타미나아제로 단리 물질의 가수분해 처리를 실시하면, 1:1 의 몰비로 글루탐산과 에틸아민이 발생하였다. 단리 물질이 글루타미나아제에 의해 가수분해된 것으로부터, 에틸아민이 글루탐산의 γ위치에 결합하고 있던 것이 나타났다. 또, 가수분해에서 발생한 글루탐산과 글루탐산 디히드로게나제 (GLuDH) 를 반응시킨 결과로부터, 이 글루탐산이 L 형인 것도 확인하고, 이것으로부터 단리 물질이 L-테아닌인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차 (Camellia sinensis L.) 잎 10 ㎏ 을 열수로 추출 후, 양이온 교환수지 ("Dowex HCR W-2", Muromachi Kagaku Kogyo K.K.) 에 통하여, 1 N 의 NaOH 에 의해 용출하였다. 용출된 분획을 활성탄 ("Taiko Kasseitan SG", Futamura Kagaku Kogyo K.K.) 에 통하여, 15% 의 EtOH 에 의한 용출된 분획을 얻었다. 이 용출된 분획을 RO 막 ("NTR 729 HF", Nitto Denko) 를 사용하여 농축하여,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다시 정제물의 재결정을 실시하여 L-테아닌 24.8 g 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에서 얻어진 L-테아닌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생후 3주된 어린 암컷 랫(rat) (7 마리/군) 에 테아닌의 20% 수용액 (본 발명) 을 체중 100 g 당 1 ㎖ 를 프로브(probe)로 1일 1회, 28 일 동안 경구로 투여하였다. 대조군은 체중 100g 당 물 1 ㎖ 를 프로브(probe)로 투여하였다. 피검약 투여 전과 투여 개시후 7, 14, 21 및 28 일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 에 나타냈다. 도 1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품의 투여에 의해 성장 억제는 볼 수 없고, 또 사망예도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2
랫(rat)에 대한 본 발명품의 비만 억제 효과를 시험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에서 얻어진 L-테아닌을 생후 10주된 난소 적출 랫 (7마리/군) 에 체중 1 당 20 ㎎ 물 1 ㎖ 에 녹여 (본 발명), 프로브(probe)로 1일 1회, 28 일 동안 경구로 투여하였다. 랫에게는 고자당식을 자유롭게 섭취시키고, 음료수도 자유 섭취로 하였다. 대조군은 물 1 ㎖ 를 프로브(probe)로 투여하였다. 피검약 투여전과 투여 개시후 7, 14, 21 및 28 일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투여 종료후, 해부하여 내장 지방의 중량 및 혈청의 콜레스테롤량을 측정하였다. 체중에 대한 결과를 도 2 에 나타냈다. 도 2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품의 투여에 의해 갱년기 장해에서의 체중 증가는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또, 내장(內臟) 지방량과 혈청 콜레스테롤량을 표 1 에 나타냈다.
내장 지방량 (g) 혈청 콜레스테롤량 (㎎/㎗)
대조군 18.73 ±1.37 93.18 ±14.7
본발명품 투여 7.50 ±0.6 60.06 ±21.57
실시예 3
젖산철과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L-테아닌을 4:1 의 혼합비로 하여 혼합하여, 입자 형상의 본 발명품을 얻었다.
실시예 4
황산아연과 실시예 2 에서 얻어진 L-테아닌을 1:40 의 배합비로 혼합하고, 이 조성물 3 부에 물 17 부를 더한 혼합 수용액을 분무건조하여, 입자 형상의 본 발명품을 얻었다.
실시예 5
황산마그네슘과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L-태아닌을 1:1000 의 배합비로 혼합하고, 이 조성물 5 부에 물 15 부를 첨가한 혼합 수용액을 분무건조하여, 입자 형상의 본 발명품을 얻었다.
시험예 3
사람에 대한 본 발명품의 불안 야기 억제 효과를 시험하였다. 시험은 1 일에 커피를 약 6잔 이상 마시고, 또한 불안 정도를 평가하는 MAS법 (Taylor, Abe, Takaishi; "Manifest Anxiety Scale(MAS) Instructional Manual", Sankyo Shobo, 1968) 으로 고불안 그룹에 선정된 피험자 6 명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에는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L-테아닌 50 ㎎ 을 미네랄워터 100 g 에 용해한 불안 야기 억제 조성물의 수용액 (이하, 불안 야기 억제 조성물의 수용액이라 함) 를 사용하여 (약 0.8 ㎎/㎏ 에 상당함), 1 일 3 회, 불안 야기 억제 조성물의 수용액을 섭취시켜, 2주후, 다시 MAS 법으로 불안 정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2 주의 불안 야기 억제 조성물의 수용액의 섭취에 의해, 6 명 중, 5 명이 저불안 그룹, 1 명이 중간 정도의 불안 그룹으로 되어 증상의 개선을 볼 수 있었다.
시험예 4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에서 얻어진 L-테아닌의 0 ㎎, 60 ㎎, 300 ㎎ 또는 1200 ㎎ 을 커피 열수 추출물 100 g 에 용해한 음료 (각각 약 1 ㎎/㎏, 5 ㎎/㎏ 및 200 ㎎/㎏ 에 상당함) 를 각각 남녀 합계 7 명에 1일당 10회, 1개월간 섭취시켜,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테아닌 함량 0 ㎎ 60㎎ 300 ㎎ 1200㎎
고불안 그룹 중불안 그룹 저불안 그룹 4 3 0 2 3 2 0 1 0 0 0 7
표 2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테아닌의 투여량의 증가에 따라, 고불안 및 중불안을 호소하는 사람의 수가 감소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L-테아닌을 사용하여 표 3 의 처방으로 테아닌 함유 캔디를 제조하였다. 또한, 캔디 중의 L-테아닌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함량은 89.6 ㎎/g 이었다.
테아닌 함유 캔디
1. 과립 당 64 부 2, 물엿 23 부 3. L-테아닌 10 부 4. 향료 (레몬 향료) 0.05 부 5. 50% 의 타르타르산 1 부 6. 물 30 부
성분 1 을 물 20 부에 완전히 용해하면서 110 ℃ 까지 가열하고, 성분 3 을 용해한 나머지의 물과 성분 2 를 추가하여, 145 ℃ 까지 온도를 올린다. 불을 끄고, 성분 5 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75 ∼ 80 ℃ 까지 냉각하여, 성형 롤러로 성형하고, 테아닌 함유 캔디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2 에서 제조한 L-테아닌을 사용하여 표 4 의 처방으로 테아닌 함유 블루베리 음료수를 제조하였다. 또한, 블루베리 음료수 중의 L-테아닌을 정량한 결과, 함량은 98.3 ㎎/100 ㎖ 이었다.
테아닌 함유 블루베리 음료수
1. 이성질체화 당(糖) 12 부 2. 블루베리 농축 과즙 1.0 부 3. 1/5 투명 레몬 과즙 0.4부 4. 시트르산나트륨 0.05부 5. pH 조정용의 50% 의 시트르산나트륨 (결정) 6. L-테아닌 0.1 부 7. 향료 (블루베리 음료수) 0.07 부 8. 물 잔량
성분 1 ∼ 4, 6, 및 8 을 교반 용해한 후, 성분 5 를 사용하여 pH 를 3.1 로 조정하고, 95℃ 까지 승온 후, 성분 7 을 더하여 충전하고 냉각하여, 테아닌 함유 블루베리 음료수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2 에서 조제한 L-테아닌을 사용하여 표 5 의 처방으로 테아닌 함유 그레이프프루트 음료수를 제조하였다. 또한, 그레이프후르츠 중의 L-테아닌을 정량한 결과, 함량은 96.4 ㎎/100㎖ 이었다.
테아닌 함유 그레이프프루트 음료수
1. 이성질체화 액당(液糖) 6부 2. L-테아닌 0.1 부 4. 피롤린산제이철 0.06부 5. 플라센터 추출물 0.01부 6. 포도 과즙 100% 30부 7. pH 조정용의 시트르산 나트륨 8. 향료 (포도 향료) 0.05 부 9. 물 잔량
성분 1 ∼ 6 및 9 를 교반, 용해한 후, 성분 7 로 pH 3.1 로 조정하여 95℃ 까지 승온하고, 성분 8 을 첨가하여, 50 ㎖ 씩 충전하여 냉각하여, 테아닌 함유 그레이프프루트 음료수를 조제하였다.
시험예 5
월경전 증후군의 증상을 5개 이상 호소하는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월경전 증후군 억제 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여기에서 사용한 본 발명품은,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L-테아닌 분말이었다. 피험자는 2개월간, 기상시에 기초 체온을 측정하였다. 1개월째의 데이터를 참고로 하여, 2개월째에 배란했다고 생각되는 날부터 월경 첫날까지의 황체기에 PMS 라 생각되는 증상이 나왔을 때에 L-테아닌 분말을 1일당, 50 ㎎ 섭취하였다. 시험 중에는, 매일, 신체적 증상, 정신적 증상, 사회적 증상으로 나누어 세밀하게 기록하였다. 3 번째의 월경 첫날에 시험을 마쳐,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였다. 앙케이트와 그 집계 결과를 하기에 나타낸다.
시험예 5 의 월경전 증후군에 관한 앙케이트 조사
1. PMS 증상이 억제되었습니까?
① 대단히 효과있음
② 효과있음
③ 조금 효과있음
④ 없음
2. (1에서 ①, ②, 또는 ③ 을 선택하신 분에 대해) 일상 생활은 개선되었습니까?
① 평상시와 같을 정도로 개선되었음
② 개선되었음
③ 조금 개선되었음
④ 없음
3. (1에서 ①, ② 또는 ③ 을 선택하신 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입해 주세요.
ㆍ신체적 증상:
ㆍ정신적 증상:
ㆍ사회적 증상:
시험예 5 의 앙케이트 집계 결과
1. PMS 의 증상은 억제되었습니까?
① 대단히 효과있음 6명 (30%)
② 효과있음 8명 (40%)
③ 조금 효과있음 6명 (30%)
④ 없음 0명 (0%)
2. (1에서 ①, ② 또는 ③ 을 선택하신 분에 대해) 일상 생활은 개선되었습니까?
① 평상시와 같을 정도로 개선되었음 4명 (20%)
② 개선되었음 7명 (35%)
③ 조금 개선되었음 8명 (40%)
④ 없음 1명 (5%)
3. (1에서 ①, ② 또는 ③ 을 선택하신 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입해주세요.
신체적 증상
몸이 가볍고, 어깨결림이 나앗고, 머리가 개운하고, 졸음이 없어지고, 아침기상이 좋아졌고, 푹 자고, 다리가 붓지않고, 졸립지않고, 유방의 위화감이 줄고, 배설이 좋아지고, 알레르기가 경감되고, 식욕이 평소와 같아졌다.
정신적 증상
편안하고, 기분이 밝아지고, 긍정적인 사고로 되고, 전처럼 초조하지 않고, 불안해하지 않게 되었다.
사회적 증상
일에 집중할 수 있고, 일이 고통스럽지 않게 되고, 마음이 편안해졌다.
시험예 6
월경전 증후군의 증상을 3개 이상 호소하는 여성 20 명을 대상으로 월경전 증후군 억제 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은 약 2개월간 실시하여 월경 첫날을 1일째로 하였다. 최초의 1개월은 콘트롤로 하고, 2개월째에는 2 회째의 월경이 끝난 날부터, 실시예 6 에서 제조한 테아닌 함유 캔디 2 알과 플라세보 2 알을 각각 10명씩에게 시험을 실시하였다. 캔디는 매일 일정 시간에 섭취하였다. 시험 중은, 매일, 신체 적증상, 정신적 증상, 사회적 증상을 세밀하게 기록하였다. 3번째의 월경 첫날로 시험을 종료하고,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였다. 앙케이트와 그 집계 결과를 하기에 나타낸다.
시험예 6 의 월경전 증후군에 관한 앙케이트 조사
1. 캔디를 섭취함으로써 PMS 억제 효과는 있었습니까?
① 대단히 효과있음
② 효과있음
③ 조금 효과있음
④ 없음
2. (1에서 ①, ② 또는 ③ 을 선택하신 분에 대해) 일상 생활은 개선되었습니까?
① 평상시와 같을 정도로 개선되었음
② 개선되었음
③ 조금 개선되었음
④ 없음
시험예 6 의 앙케이트 집계 결과
1. 캔디를 섭취함으로써 PMS 억제 효과는 있었습니까?
① 대단히 효과있음 ② 효과있음 ③ 조금 효과있음 ④ 없음
테아닌 캔디 3 3 4 0
위약(僞藥) 0 0 3 7
2. (1에서 ①, ② 또는 ③ 을 선택하신 분에 대해) 일상 생활은 개선되었습니까?
① 평상시와 같음 ② 개선됨 ③ 조금 개선됨 ④ 없음
테아닌 캔디 4 3 3 0
위약(僞藥) 0 0 2 8
시험예 7
월경전 증후군의 증상을 5개 이상 호소하는 여성 20 명을 대상으로 월경전 증후군 억제 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은 약 2개월간 실시하여 월경 첫날을 1 일째로 하였다. 최초의 1개월은 콘트롤로 하고, 2개월째에는 2 회째의 월경이 끝난 날부터, 실시예 6 에서 제조한 테아닌 함유 블루베리 음료수 200 ㎖ 와 플라세보 200 ㎖ 를 각각 10명씩에게 시험을 실시하였다. 음료수는 매일 일정시간에 섭취하였다. 시험중에는, 매일, 신체적 증상, 정신적 증상 및 사회적 증상을 세밀하게 기록하였다. 3번째의 월경 첫날로 시험을 종료하고,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였다. 앙케이트와 그 집계 결과를 하기에 나타낸다.
시험예 7 의 월경전 증후군에 관한 앙케이트 조사
1. 블루베리 음료수를 섭취함으로써 PMS 억제 효과는 있었습니까?
① 대단히 효과있음
② 효과있음
③ 조금 효과있음
④ 없음
2. (1에서 ①, ② 또는 ③ 을 선택하신 분에 대해) 일상 생활은 개선되었습니까?
① 평상시와 같을 정도로 개선되었음
② 개선되었음
③ 조금 개선되었음
④ 없음
시험예 7 의 앙케이트 집계 결과
1. 음료수를 섭취함으로써 PMS 억제 효과는 있었습니까?
① 대단히 효과있음 ② 효과있음 ③ 조금 효과있음 ④ 없음
테아닌 음료수 4 4 2 0
위약(僞藥) 0 0 2 8
2. (1에서 ①, ② 또는 ③ 을 선택하신 분에 대해) 일상 생활은 개선되었습니까?
① 평상시와 같음 ② 개선됨 ③ 조금 개선됨 ④ 없음
테아닌 음료수 5 2 3 0
위약(僞藥) 0 0 1 9
시험예 5, 6, 7 의 결과와 같이 테아닌에 PMS 의 증상을 억제하는 매우 높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8
실시예 3 에서 얻어진 본 발명품을 사용하여, 0.1% 미네랄 조성물 수용액과 0.08% 젖산철 수용액을 사용하여, 남녀 합계 10 인의 피검약자에게 관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금속 맛에 대하여 5단계 평가를 실시하였다: 강하다(5), 약간 강하다(4), 느낀다(3), 약간 느낌(2), 전혀 느끼지 못한다(1).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0.1% 미네랄 조성물 수용액 0.08% 젖산철 수용액
금속 맛 평가 1.2 3.9
표 6 의 결과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미네랄 조성물 첨가의 경우,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시험예 9
실시예 4 에서 얻어진 본 발명품을 사용하여, 0.04% 의 미네랄 조성물 첨가 요구르트와 0.001% 황산아연 첨가 요구르트를 사용하여, 남녀 합계 10 인의 피검약자에게 관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금속 맛에 대하여 5단계 평가를 실시하였다: 강하다(5), 약간 강하다(4), 느낀다(3), 약간 느낌(2), 전혀 느끼지 못한다(1).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0.04% 미네랄 조성물 첨가 요구르트 0.001% 황산Zn 첨가 요구르트
금속 맛 평가 1.3 4.5
표 7 의 결과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미네랄 조성물 첨가의 경우,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시험예 10
실시예5 에서 얻어진 본 발명품을 사용하여, 0.2% 의 미네랄 조성물 첨가 우유와 0.0002% 황산마그네슘 첨가 우유를 사용하여, 남녀 합계 10 인의 피검약자에게 관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금속 맛에 대하여 5단계 평가를 실시하였다: 강하다(5), 약간 강하다(4), 느낀다(3), 약간 느낌(2), 전혀 느끼지 못한다(1).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0.2% 의 미네랄 조성물 첨가 우유 0.001% 의 황산마그네슘 첨가 우유
금속 맛 평가 1.2 4.7
표 8 의 결과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미네랄 조성물 첨가의 경우,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8
다음에 나타내는 원료를 혼합, 타정하여 테아닌 함유 미네랄 서플리멘트를 조제하였다:
테아닌 ("SUNTHEANINE", Taiyo Kagaku Co. Ltd.) 0.5 중량%, 아세트산아연 3.0 중량%, 결정 셀룰로스 6.0 중량%, 환원 맥아당 20.0 중량%, 젖당 65.0 %, 아스파르템 1.0 중량%,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4.0 중량% 및 이산화규소 0.5 중량%.
실시예 9
실시예 8 에서 작성한 테아닌 함유 미네랄 서플리멘트와 테아닌 비함유 서플리멘트에 대하여, 20 명의 피검약자에 의해 관능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4 항목에 대하여 5 단계 평가로 실시하여, 5 를 최량으로 하고, 20 명의 평균치로 나타냈다. 결과를 표 9 에 나타낸다. 이 결과, 테아닌 함유 미네랄 서플리먼트에 있어서, 미네랄의 쓴맛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얻어졌다.
테아닌 함유물 테아닌 비(非)함유물
쓴맛 3.8 2.8
수렴미 4.1 1.9
금속 맛 4.5 2.0
총합 평가 4.3 2.2
실시예 10
냉증을 호소하는 여성 10 명에 대하여, 테아닌 함유 캡슐 (200 ㎎/개) 을 2 정, 냉기를 느꼈을 때에 섭취하게 하여, 그 후의 손가락 끝의 온도를 측정함과 동시에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였다. 위약(僞藥) 그룹에도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여 비교를 실시하였다. 앙케이트 조사의 결과를 표 10 에, 손가락 끝의 온도 변화를 도 3 에 나타낸다.
본 발명 위약(僞藥) 그룹
손발에 냉기를 느끼지 않음 9 1
몸에 온기를 느낌 5 0
실시예 11
흡입 박스 내에, 체중 1 ㎏ 당 10 ㎖ 의 1 중량% 테아닌 수용액을 경구로 투여시킨 ICR 계 수컷 마우스 10 마리를 넣어 방치하였다. 이 투여 그룹의 60 분간의 운동량으로서 회전이나 이 회전수를 세어, 비투여 그룹 10 마리와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도 4 에 나타낸다. 도면과 같이, 테아닌의 투여에 의해 유의한 운동량의 저하를 볼 수 있었다.
실시예 12
생후 10주된 난소적출 랫 (7 마리/군) 에 풋 쇼크 전기 스트레스(foot shock electric stress) (0.3 ㎃) 를 1일 1회 부하하였다. 또, 전기 스트레스 부하의 1시간 전에, 프로브(probe)로 체중 1 ㎏ 당 2 ㎎ 또는 20 ㎎ 의 테아닌을 수용액의 형태로 경구로 투여하였다. 대조군은 물 1 ㎖ 를 프로브(probe)로 투여하였다. 7일간 부하를 실시하였다. 최종 적용의 다음 날에 펜트발비탈나트륨 50 ㎎/㎏ 을 복강내 투여하고, 수면 시간을 특정하였다. 테아닌 투여 그룹, 비부하 그룹 및 비투여 그룹 각각에 대한 수면 시간의 결과를 도 5 에 나타낸다.
테아닌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갱년기에 있어서의 수면 장애의 억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3
갱년기 장해로 진단된 여성 231명에 대하여, 테아닌 함유 캡슐 (200 ㎎/개) 을 1일 1정 복용시켰다. 복용 기간은 28 일간으로 하였다. 갱년기 장해의 개선도의 평가는 의사 및 환자에 의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1 및 12 에 나타낸다.
(환자에 의한 판정)
환자에 의한 인상 회답율 (%)
대단히 좋아졌음 25.1
좋아짐 68.4
잘 모르겠음 6.5
나빠졌음 0
좋아진 이상 93.5
(의사에 의한 판정)
의사에 의한 판정 회답율(%)
현저 13.9
유효 42.0
약간 유효 38.1
불변 6.1
악화 0.0
유효 이상 55.8
약간의 유효 이상 93.9
균등물
당업자는 단순한 일상적인 실험 수법에 의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구체적인 태양에 대한 많은 균등물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균등물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되는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테아닌 함유 조성물은 다종의 질환에 대하여, 즉, 비만 억제, 불안 야기 억제제, 월경전 증후군 억제, 냉증의 개선, 갱년기 장해의 개선, 수면 장애 및 자율신경 실조증의 개선의 항상성 저하에 따른 증상의 억제 및 개선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테아닌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고, 투여가 용이하다. 또, 본 발명의 미네랄 조성물은 금속이 갖는 특유의 맛이 경감된 것으로, 본 발명품을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미네랄을 섭취할 수 있다.

Claims (1)

  1. 철, 마그네슘, 구리, 아연, 셀렌, 칼슘, 칼륨, 망간, 크롬, 요드, 몰리브덴, 니켈, 바나듐 및 이들의 염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미네랄 및 테아닌을 함유하여 특유한 금속의 맛을 감소시킨 미네랄 조성물.
KR1020067014198A 1998-02-23 1999-02-23 테아닌 함유 조성물 KR100669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8-00057470 1998-02-23
JP05747098A JP2001089365A (ja) 1998-02-23 1998-02-23 不安惹起抑制組成物
JPJP-P-1998-00142119 1998-05-08
JP14211998A JP4350814B2 (ja) 1998-05-08 1998-05-08 ミネラル組成物
JPJP-P-1998-00234968 1998-08-06
JP23496898A JP4402756B2 (ja) 1998-08-06 1998-08-06 肥満抑制組成物
JPJP-P-1998-00330207 1998-11-05
JP33020798A JP4971535B2 (ja) 1998-11-05 1998-11-05 月経前症候群抑制組成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208A Division KR100704523B1 (ko) 1998-02-23 1999-02-23 테아닌 함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572A true KR20060088572A (ko) 2006-08-04
KR100669875B1 KR100669875B1 (ko) 2007-01-16

Family

ID=274635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4198A KR100669875B1 (ko) 1998-02-23 1999-02-23 테아닌 함유 조성물
KR1020007009208A KR100704523B1 (ko) 1998-02-23 1999-02-23 테아닌 함유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208A KR100704523B1 (ko) 1998-02-23 1999-02-23 테아닌 함유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6831103B1 (ko)
EP (1) EP1057483B1 (ko)
KR (2) KR100669875B1 (ko)
AT (1) ATE354359T1 (ko)
AU (1) AU2548899A (ko)
CA (1) CA2320368C (ko)
DE (1) DE69935206T2 (ko)
ES (1) ES2283103T3 (ko)
WO (1) WO19990420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7022A (ja) * 1997-07-14 2001-12-25 ラジュ、ジー・ガンガ ヒドロキシクエン酸組成物、前記組成物から製造された補助医薬品及び補助食品及び食品並びに体重を低減させること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方法
JP4669095B2 (ja) * 1999-07-19 2011-04-13 太陽化学株式会社 ペットの問題行動抑制組成物
EP1277468A4 (en) * 2000-04-05 2003-06-11 Taiyo Kagaku Kk sleeping pills
DE10035190C5 (de) 2000-07-20 2009-07-16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luoreszenzmessung
JP3730522B2 (ja) * 2000-07-21 2006-01-05 太陽化学株式会社 喫煙欲求抑制組成物
US6569471B2 (en) 2000-09-01 2003-05-27 Natumin Pharma Ab Method for the treatment of symptoms related to normal hormonal variations in women
US6669967B2 (en) 2000-09-01 2003-12-30 Natumin Pharma Ab Method for the treatment of symptoms related to normal hormonal variations in women
SE0003092D0 (sv) * 2000-09-01 2000-09-01 Natumin Pharma Ab New Use
US20040220118A1 (en) * 2001-02-02 2004-11-04 Bland Jeffrey S. Medical composition for balancing bodily processes
US20020192310A1 (en) * 2001-02-02 2002-12-19 Bland Jeffrey S. Medical composition for managing hormone balance
US20070059378A1 (en) * 2001-02-02 2007-03-15 Metagenics, Inc. Medical composition for balancing bodily processes
US20030190381A1 (en) * 2001-02-02 2003-10-09 Bland Jeffrey S. Medical composition for balancing bodily processes
US20060034954A1 (en) * 2001-02-02 2006-02-16 Bland Jeffrey S Medical composition for balancing bodily processes
US20040157929A1 (en) * 2002-04-01 2004-08-12 Ohia Sunny E. Method for increasing serotonin levels in a person by administration of a composition incorporating(-)hydroxycitric acid, and related compositions thereof
DE10140653C2 (de) * 2001-04-24 2003-09-18 Isme Privates Forschungsinstit Verfahren zum Nachweis entspannungsfördernder Wirkungen von Testsubstanzen beim Menschen
MXPA02012776A (es) * 2001-04-24 2003-05-15 Taiyo Kagaku Kk Composiciones para mejorar la concentracion mental.
JP4812968B2 (ja) * 2001-06-06 2011-11-09 太陽化学株式会社 注意欠陥多動性障害改善用組成物
EP1275308A1 (en) 2001-07-13 2003-0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ood composition offering stress relaxation to mammals
JP5300167B2 (ja) * 2001-08-24 2013-09-25 太陽化学株式会社 気分障害治療用組成物
US7119110B2 (en) * 2001-10-05 2006-10-10 Interhealth Nutraceuticals Incorporated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reducing the symptoms of insulin resistance syndrome
US20030119913A1 (en) * 2001-12-20 2003-06-26 Ohia Sunny E. Method for increasing serotonin levels in a person by administration of a composition incorporating (-)-hydroxycitric acid, and related compositions thereof
KR100918433B1 (ko) * 2003-03-18 2009-09-24 (주) 쓰리에스커머스 수국차잎을 첨가한 커피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커피조성물
WO2004085462A2 (en) * 2003-03-21 2004-10-07 Interhealth Nutraceuticals Incorporated Method and composition for decreasing ghrelin levels
US20050031718A1 (en) * 2003-04-10 2005-02-10 Pharmanex, Llc Sea Buckthorn compositions and associated methods
WO2004093865A1 (en) * 2003-04-24 2004-11-04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slimming
US6884420B2 (en) * 2003-05-19 2005-04-26 Cross Bay, Llc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ducing blood glucose
US7303773B2 (en) 2003-10-21 2007-1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enriching extracts of natural theanine
US20050090512A1 (en) * 2003-10-28 2005-04-28 Kurt-Reiner Geiss Method of treating extreme physical or mental stress using L-theanine to obtain accelerated regeneration
JP2005206462A (ja) * 2004-01-19 2005-08-04 Taiyo Kagaku Co Ltd 不安障害の緩和用又は消失用組成物
US20050191341A1 (en) * 2004-03-01 2005-09-01 Gottfried Kellermann Liposomal composition comprising L-theanine
US20050215644A1 (en) * 2004-03-19 2005-09-29 Interhealth Nutraceuticals, Inc. Methods for increasing neurotransmitter levels using hydroxycitric acid
WO2005092330A1 (de) * 2004-03-24 2005-10-06 Aiones The Brainpower Company Arzneimittel oder diätetikum zur oralen verabreichung enthaltend blaubeerextrakt sowie antioxidatien und mikronährstoffe
US8852656B2 (en) * 2004-04-06 2014-10-07 Taiyokagaku Co., Ltd. Sleep improvement composition
WO2005110448A2 (en) * 2004-05-07 2005-11-24 Thermo Formulations Ltd. Nutritional composition for increasing creatine uptake in skeletal muscle
US7476406B1 (en) * 2004-05-17 2009-01-13 Nse Products, Inc. Multifaceted weight control system
US20060018975A1 (en) * 2004-07-20 2006-01-26 Talbott Shawn M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weight management and mood enhancement
FR2876586B1 (fr) * 2004-10-20 2007-10-12 Persee Medica Composition pour prevenir ou traiter le stress, notamment les bouffees de stress chronique et permanent
EP1819241B1 (en) * 2004-12-08 2014-04-30 Unilever PLC Food or beverage product comprising theanine and caffeine for enhancing mental alertness
JP4990132B2 (ja) 2005-04-28 2012-08-01 太陽化学株式会社 含水食品
WO2007019526A2 (en) * 2005-08-05 2007-02-15 Naturege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glucose and lipid uptake from foods
US7912716B2 (en) * 2005-10-06 2011-03-22 Sony Online Entertainment Llc Generating words and names using N-grams of phonemes
US20070134402A1 (en) * 2005-10-17 2007-06-14 Feder David P Dry flavoring blend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754700B2 (en) * 2006-04-24 2010-07-13 Trager Seymour F Composition and methods for alleviating symptoms of neurotoxicity
US8465782B2 (en) 2006-09-21 2013-06-18 Immune Guard, LLC Methods and materials for reducing risk of cold and/or flu
US8518458B2 (en) 2006-09-21 2013-08-27 Immune Guard, LLC Tea-derive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for cardiovascular health
DE102006045803A1 (de) * 2006-09-26 2008-03-27 Plantextrakt Gmbh & Co. Kg Verwendung von Theanin zur Herstellung eines Arzneimittels zur Prophylaxe und Behandlung von psychiatrischen Störungen des zentralen Nervensystems, insbesondere von Depressionen und Schmerzen
DE102006045762A1 (de) * 2006-09-26 2008-04-10 Plantextrakt Gmbh & Co. Kg Grüntee-Arzneimittel-Extrakt, insbesondere zur Prophylaxe und Behandlung von Erkrankungen des zentralen Nervensystems, dess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eines Arzneimittels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0848211B1 (ko) * 2007-01-08 2008-07-24 주식회사한국신약 펠리누스린테우스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 및 테아닌의 혼합 조성물
US8945655B2 (en) * 2007-07-10 2015-02-03 Conopco, Inc. Stable and consumable compositions
AU2008300783B2 (en) * 2007-09-19 2012-02-16 Ekaterra Research and Development UK Limited Beverage precursor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20090155420A1 (en) * 2007-12-12 2009-06-18 Conopco, Inc., D/B/A Unilever Food product with stabilized non-protein amino acids
KR101354370B1 (ko) 2008-01-29 2014-02-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기억력 증진 또는 집중력 향상용 조성물
US8993639B2 (en) * 2008-03-20 2015-03-31 Burt Shulman Compound and method for treat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EA019809B9 (ru) * 2008-11-11 2014-08-29 Юнилевер Нв Композиция черного чая
CN102595936A (zh) * 2009-09-25 2012-07-18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包含茶氨酸和外源性核苷酸的营养组合物
KR101692874B1 (ko) * 2009-10-01 2017-01-05 (주)아모레퍼시픽 데아닌 및 귀리추출물을 함유하는 집중력, 기억력, 심리적 안정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
KR101698436B1 (ko) * 2010-08-11 2017-01-20 (주)아모레퍼시픽 데아닌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여드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DE102015009525A1 (de) 2015-07-17 2017-01-19 Ulrich Jüstrich Holding AG Neuartige Zusammensetzungen zur Anwendung bei prämenopausalen und menopausalen Frauen zur Bereitstellung verbesserter Nahrungsergänzung und/oder Linderung der Menopausesymptome
EP3344273B1 (en) 2015-08-31 2019-12-25 Nutramax Laboratorie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magnolia, phellodendron, theanine and/or whey protein
CN106889616B (zh) * 2017-01-22 2020-08-04 陕西师范大学 一种l-茶氨酸铁螯合物及制备方法和含该螯合物的速溶茶粉及制备方法
CN107668266A (zh) * 2017-11-24 2018-02-09 南通蛇类治疗研究所 香身减肥保健龙井茶
CN110568095A (zh) * 2019-08-26 2019-12-13 宁波奉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茶树蜜的鉴别方法
CN113115932A (zh) * 2019-12-30 2021-07-16 黑龙江北货郎森林食品有限公司 一种含有黑木耳膳食纤维的减肥胶囊及其制备方法
US20210259276A1 (en) * 2020-02-20 2021-08-26 Dsm Ip Assets B.V. L-theanine formulation
CA3179385A1 (en) * 2020-04-03 2021-10-07 Nutrition 21, Llc Method and composition for enhancing the quality and benefits of sleep
WO2022034145A1 (en) * 2020-08-13 2022-02-17 Cabassi & Giuriati S.P.A. Atomized colloidal mineral solution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CN112715789B (zh) * 2020-12-31 2023-11-07 内江师范学院 饲料保水剂天然组合物及在鱼饲料中的应用
JP2022130781A (ja) 2021-02-26 2022-09-07 太陽化学株式会社 グミ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55071B1 (ko) 2021-03-02 2022-10-1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L-테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aqp4 발현 또는 활성 조절용 조성물
CN113331415A (zh) * 2021-06-02 2021-09-03 膳行天下(吉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供睡眠障碍人群食用的药膳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1653A (en) 1989-02-09 1991-12-10 Itoen Ltd. Camellia sinensis extracts that promote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US5501866A (en) * 1990-12-02 1996-03-26 Ito En, Ltd. Product and method for inhibiting caffeine stimulation with theanine
JP3793239B2 (ja) * 1992-07-28 2006-07-05 サントリー株式会社 アセトアルデヒド毒性の抑制剤
JP2904655B2 (ja) * 1992-09-17 1999-06-14 サントリー株式会社 抗ストレス剤
JPH0873350A (ja) * 1994-09-06 1996-03-19 Itouen:Kk 脳機能改善剤、食品及び飲料
JP4627813B2 (ja) * 1995-06-27 2011-02-09 太陽化学株式会社 テアニン含有組成物
JP3797627B2 (ja) * 1995-10-03 2006-07-19 株式会社 伊藤園 興奮促進剤
US6063428A (en) * 1996-02-26 2000-05-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reen tea extract subjected to cation exchange treatment and nanofiltration to improve clarity and color
CH690816A5 (de) * 1996-10-24 2001-01-31 Flachsmann Ag Emil Verwendung eines Teil- oder Vollextrates aus nicht fermentierter Camellia sinensis L. zur Herstellung eines Medikamentes, eines Medizinproduktes, eines kosmetischen Präparates oder eines Nahrungsergänzungsproduk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9875B1 (ko) 2007-01-16
US6589566B2 (en) 2003-07-08
ES2283103T3 (es) 2007-10-16
KR100704523B1 (ko) 2007-04-09
WO1999042096A1 (fr) 1999-08-26
DE69935206T2 (de) 2007-10-31
CA2320368C (en) 2007-08-21
ATE354359T1 (de) 2007-03-15
DE69935206D1 (de) 2007-04-05
EP1057483A1 (en) 2000-12-06
AU2548899A (en) 1999-09-06
KR20010041158A (ko) 2001-05-15
EP1057483B1 (en) 2007-02-21
US6831103B1 (en) 2004-12-14
US20010001307A1 (en) 2001-05-17
EP1057483A4 (en) 2002-06-26
CA2320368A1 (en) 199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875B1 (ko) 테아닌 함유 조성물
JP4961087B2 (ja) 睡眠促進用組成物
EP1743633B1 (en) Use of a combination of theanine and serotonin for sleep disorders
JP4653269B2 (ja) テアニン含有組成物
CN102438642A (zh) 包含绿茶提取物的组合物
JP5300167B2 (ja) 気分障害治療用組成物
KR20150005430A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JP5005879B2 (ja) 抗ストレス及びリラックス用組成物
JP4971535B2 (ja) 月経前症候群抑制組成物
JP2019054791A (ja) 疲労改善用組成物
KR102470155B1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20080033717A (ko) 꿀과 생약재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13598377A (zh) 一种改善贫血的组合物、其功能食品、制备方法及应用
JP4883853B2 (ja) 月経困難症抑制組成物
CA2574985C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anine
KR101695299B1 (ko) 필발 추출물,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015423A (ko) 아위느타리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170087064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170130075A (ko) 구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70130081A (ko) 천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