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433B1 - 수국차잎을 첨가한 커피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커피조성물 - Google Patents

수국차잎을 첨가한 커피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커피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433B1
KR100918433B1 KR1020030016810A KR20030016810A KR100918433B1 KR 100918433 B1 KR100918433 B1 KR 100918433B1 KR 1020030016810 A KR1020030016810 A KR 1020030016810A KR 20030016810 A KR20030016810 A KR 20030016810A KR 100918433 B1 KR100918433 B1 KR 100918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leaves
coffee
hydrangea tea
hydrangea
coffe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2148A (ko
Inventor
순성수
Original Assignee
(주) 쓰리에스커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쓰리에스커머스 filed Critical (주) 쓰리에스커머스
Priority to KR1020030016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433B1/ko
Publication of KR20040082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5/14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using additives, e.g. milk, sugar; Coating, e.g. for preserv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23F5/46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국차잎을 첨가한 커피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커피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국차잎을 건조하여 분쇄된 커피열매와 혼합하고 분쇄함으로써 수국차향이 나는 커피와 쓴맛 및 떫은 맛을 약화시킨 커피조성물을 음용할 수 있고, 동양의 전통차와 커피를 혼합함으로써 다양한 음료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국차잎, 커피열매

Description

수국차잎을 첨가한 커피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커피조성물{THE PRODUCTION METHOD FOR COFFEE COMPOSITION ADDING SUGUK TEA AND THEREOF ABOVE COFFEE COMPOSI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국차잎을 첨가한 커피조성물의 제조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수국차잎을 첨가한 커피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커피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국차(학명;Hydrangea serrata setinge var.thumbergii sugimoto)는 감차 또는 수국감차라고 하며 우리나라 16속 36종에 분포되어 있는 범의귀과(Saxifragaecae)의 30년생 낙엽저목으로 난형 또는 광피침형이다.
우리나라의 수국차는 대엽종과 소엽종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대엽종은 잎이 크고 수확량은 많으나 단맛과 향이 적고, 소엽종은 그 반대로 수확량은 대엽종 보다 적으나 단맛과 향이 진하다. 따라서 보통 재배용으로는 소엽종을 이용한다.
수국차와 유사한 품종으로 중국의 첨엽국(H.aspera DON) 또는 스테비아라는 식물로서 사탕수수의 200∼300배의 단맛이 있으나 약간의 독성이 있어 임신부에 해 롭고 장기복용하면 설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본의 아마차(천차, 감차; Homacrophylla SERINGE Var.acumimata MAKINO)는 겉모습으로는 수국차와 구별하기 어렵고 성분 이성종으로서 일반적으로 단맛은 없으나 쓴맛과 함께 동반한 단맛이 있는 것도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해발 700m 이상 고산지에서 재배되는 수국차는 차로 마실 경우 천연 비당성 단맛과 박하향이 입안에 은은하게 돌고 목을 개운하게 하는 것이 특징이며 쓴맛은 전혀 없다.
수국차잎의 주요성분은 필로드루신(Phyllodulcin), 루틴(Rutin), 움베리훼론(Umbelliferone), 켐푸훼롤(Keampferol), 사포닌(Saponin), 퀘르세틴(Quercetin), 게르마늄(Germanium), D-필로드루신(D-Phyllodulcin) 등이 있는데, 이중에서 단맛을 나타내는 주요 감미성분은 필로드루신(Phyllodulcin)이다.
상기와 같은 수국차 뿐만 아니라 다른 전통차 등에 함유된 천연 감미성분을 이용한 차나 음료의 개발은 미비한 편이다.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에틸알콜과 증류수를 혼합하여 수국차잎에 분무하고 건조한 후, 다시 증류수로 분무하고 건조하여 분쇄된 커피열매와 혼합하며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국차잎을 첨가한 커피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커피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국차잎을 첨가한 커피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커피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⑴ 에틸알콜 20∼30중량%와 증류수 70∼80중량%를 혼합하여 채취한 수국차잎에 분무하는 단계; ⑵ 상기 수국차잎을 노광하여 4∼5일간 건조하는 단계; ⑶ 상기 ⑵ 단계에 의한 수국차잎을 다시 증류수로 분무하는 단계; ⑷ 상기 ⑶ 단계에 의한 수국차잎을 노광하여 1∼2일간 건조하는 단계; ⑸ 상기 ⑷ 단계에 의한 0.5∼3.0중량% 수국차잎에 99.5∼97.0중량% 분쇄된 커피열매를 혼합하고 분쇄하여 수국차잎을 첨가한 커피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이 에틸알콜 20∼30중량%와 증류수 70∼80중량%를 혼합하여 채취한 수국차잎에 분무함은 잎의 표면에 존재하는 왁스성분과 각질(Cutin)성분을 제거하여 수국차잎의 당분을 최대한 추출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단계를 도 1에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 및 도표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실시예 및 도표에 의하여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알콜 20.0중량%와 증류수 80.0중량%를 혼합하여 채취한 수국차잎에 분무하고 상기 수국차잎을 노광하여 5일간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수국차잎을 다시 증류수로 분무하고 상기 수국차잎을 노광하여 2일간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수국 차잎 0.5중량%와 분쇄된 커피열매 99.5중량%를 혼합기(제조원; ㈜세진테크, 모델명; Circle Feeder)로 혼합하고 분쇄기(제조원; ㈜야마모토, 모델명; Probat)로 분쇄하여 자동포장기(제조원; ㈜동방산업, 모델명; COMPO-2000)로 티백 포장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건조된 수국차잎 1.0중량%와 분쇄된 커피열매 99.0중량%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모두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건조된 수국차잎 2.0중량%와 분쇄된 커피열매 98.0중량%를 사용하는 것외에는 모두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건조된 수국차잎 3.0중량%와 분쇄된 커피열매 97.0중량%를 사용하는 것외에는 모두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수국차잎이 첨가된 커피조성물을 평상시 커피를 마시는 남자 40명, 여자 40명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시식한 커피는 설탕, 크림 등 그 이외의 것은 첨가하지 않았다.
상기 관능검사에 따른 결과를 이하 표 1에 나타낸다.
수국차잎을 첨가한 커피의 관능검사 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4.31 4.53 4.57 4.28
쓴맛 4.55 4.88 4.91 4.82
떫은 맛 4.50 4.97 4.99 4.80
4.13 4.80 4.98 4.72
전체적 기호도 4.59 4.91 4.92 4.87
관능검사(색, 향, 전체적 기호도)의 기준; 1.매우 싫다, 2.싫다, 3.보통이다, 4.좋다, 5.매우 좋다 관능검사(색, 향, 전체적 기호도)의 기준; 1.매우 쓰다(떫다), 2.쓰다(떫다), 3.보통이다, 4.쓴맛(떫은 맛)이 없다, 5.쓴맛(떫은 맛)이 거의 없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수국차잎 1.0중량%와 분쇄된 커피열매 99.0중량%를 혼합한 실시예 2와 수국차잎 2.0중량%와 분쇄된 커피열매 98.0중량%를 혼합한 실시예 3의 관능검사 결과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쓴맛과 떫은 맛 항목에서 실시예 2, 3의 평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일반적으로 커피의 쓴맛은 카페인이 원인성분이고, 떫은 맛은 탄닌이 원인성분으로 본 발명은 수국차잎의 필로드루신(Phyllodulcin)이라는 감미성분이 커피의 쓴맛과 떫은 맛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또는 도표에 기재된 내용에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국차잎을 건조하여 커피에 첨가함으로써 수국차향이 나는 커피조성물을 음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국차잎의 필로드루신(Phyllodulcin)이라는 감미성분으로 인해 커피의 쓴맛 및 떫은 맛을 약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양의 전통차와 커피를 혼합함으로써 다양한 음료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⑴ 채취한 수국차잎에 에틸알콜 20∼30중량%와 증류수 70∼80중량%를 혼합하여 분무하는 단계;
    ⑵ 상기 수국차잎을 노광하여 4∼5일간 건조하는 단계;
    ⑶ 상기 ⑵ 단계에 의해 건조한 수국차잎을 다시 증류수로 분무하는 단계;
    ⑷ 상기 ⑶ 단계에 의한 수국차잎을 노광하여 1∼2일간 건조하는 단계;
    ⑸ 상기 ⑷ 단계에 의해 건조한 수국차잎에 분쇄된 커피열매를 혼합하고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국차잎을 첨가한 커피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한 수국차잎 0.5∼3.0중량%와 분쇄된 커피열매 99.5∼97.0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수국차잎을 첨가한 커피조성물.
KR1020030016810A 2003-03-18 2003-03-18 수국차잎을 첨가한 커피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커피조성물 KR100918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810A KR100918433B1 (ko) 2003-03-18 2003-03-18 수국차잎을 첨가한 커피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커피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810A KR100918433B1 (ko) 2003-03-18 2003-03-18 수국차잎을 첨가한 커피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커피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148A KR20040082148A (ko) 2004-09-24
KR100918433B1 true KR100918433B1 (ko) 2009-09-24

Family

ID=37366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810A KR100918433B1 (ko) 2003-03-18 2003-03-18 수국차잎을 첨가한 커피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커피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814B1 (ko) * 2020-03-26 2022-03-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수국차 추출액을 첨가한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KR102614234B1 (ko) * 2021-03-08 2023-12-15 주식회사모비딕에프앤비 침향을 함유한 커피차 조성물
KR20240040233A (ko) 2022-09-21 2024-03-28 단태욱 수면의 질을 개선한 커피 제조방법 및 커피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158A (ko) * 1998-02-23 2001-05-15 야마자끼 나가히로 테아닌 함유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158A (ko) * 1998-02-23 2001-05-15 야마자끼 나가히로 테아닌 함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148A (ko) 200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lentine et al. Tea: the plant and its manufacture; chemistry and consumpatin of the beverage
US20070237843A1 (en) Compositions for herbal teas enriched with dried plant extracts
CN105053363B (zh) 一种桑叶保健茶的制作方法
TWI436737B (zh) Enhance the taste of the fermentation of tea and the use of the tea made of taste thick oolong tea drinks
JP2001069917A (ja) オリーブ葉入り茶
KR102271286B1 (ko) 미선나무잎 음료, 차, 식품 원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7313B1 (ko) 황칠차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황칠차
CN107889905A (zh) 一种金花茶花朵茶及其生产工艺
KR100918433B1 (ko) 수국차잎을 첨가한 커피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커피조성물
KR101259422B1 (ko) 산삼홍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산삼홍차
KR100606558B1 (ko) 오가피 침출차 제조방법
EP0934747B1 (en)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from Ulmus Hollandica
KR20170022426A (ko) 도라지를 이용한 혼합 침출차의 제조방법
KR100340787B1 (ko) 녹차엽을 함유하는 혼합차 및 그 제조방법
CN104304550A (zh) 一种鲜花养生茶及其制备方法
KR101069526B1 (ko) 사과 꽃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79074A (ko)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
CN105230867A (zh) 一种养肾滋补的莲花茶
US3709694A (en) Beverage from plants of the genus hemarthria
JP2005137210A (ja) 茶類と長命草の調製物又は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102548785B1 (ko) 산양삼 및 산양도라지의 잎과 줄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차 조성물
KR20180134481A (ko)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황칠나무, 헛개나무, 운지버섯, 인진호 및 미나리 혼합 추출물의 제조 방법
JPS63181948A (ja) 嗜好食品
KR101935538B1 (ko) 부추를 이용한 추출 또는 발효 혼합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76310A (ko) 동백꽃, 동백꽃 추출물 또는 동백꽃 추출분말을 이용하는 소주 및 그 소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