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9074A -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074A
KR20050079074A KR1020040007183A KR20040007183A KR20050079074A KR 20050079074 A KR20050079074 A KR 20050079074A KR 1020040007183 A KR1020040007183 A KR 1020040007183A KR 20040007183 A KR20040007183 A KR 20040007183A KR 20050079074 A KR20050079074 A KR 20050079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mixed
points
green tea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배천
이은희
황인구
Original Assignee
차배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배천 filed Critical 차배천
Priority to KR1020040007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9074A/ko
Publication of KR20050079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07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녹차를 주원료로 하고, 이 녹차에 적어도 하나의 차류(홍차, 커피, 쟈스민차, 둥글레차, 감잎차)를 적절한 혼합비율로 혼합한 혼합차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녹차 및 차류가 가지는 항산화 활성작용을 증대시켜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녹차의 강한 이미나 이취를 감소시켜 기호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A MIXING TEA COMPOSITION WITH GREEN TEA}
본 발명은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녹차 및 차류가 가지는 항산화 활성작용을 증대시켜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녹차의 이미(nasty taste)나 이취(nasty smell)를 감소시켜 기호성을 증대시킨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차(green tea)는 중국을 비롯한 각국에서 기호차로서 음용(飮用)되어져 왔다. 녹차는 차나무과(Theaceae)의 카멜리아 시넨시스(린네) 쿤쯔(Camellia sinensis(Linne) O. Kuntze)의 순(荀)이나 잎을 이용하여 차잎 속에 존재하는 산화효소를 열이나 증기로 처리하여 효소작용을 정지시켜 제조한 불발효차를 말한다.
최근에는 녹차에 함유된 다양한 성분들에 대한 약리적 효능이 점차적으로 규명됨에 따라 녹차의 활용도에 대한 재인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녹차에는 폴리페놀(polyphenol), 비타민 에이(vitamin A), 비타민 시(C) 및 아미노산(amino acid) 등과 같은 유용한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은 항암효과, 해독작용, 항균작용 및 피부미용 효과 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녹차에 다량으로 함유된 폴리페놀에 의한 항산화 효과에 의해 항노화 예방 등의 성인병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녹차는 떫은 맛 등의 강한 이미나 이취 때문에 그대로 음용하기에는 기호성이 저감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녹차의 기호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그 실효를 거두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녹차 및 차류가 가지는 항산화 활성작용을 증대시켜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녹차의 떫은 맛 등과 같은 강한 이미나 이취를 최대한 감소시켜 기호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일측면에 따르면, 녹차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차류를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측면에 따르면, 녹차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차류를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분말에 물을 가하여 수욕 환류추출하여 혼합액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물 엑스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물 엑스를 분무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분쇄된 녹차잎과 차류들 중 어느 하나의 차류를 25중량% 내지 50중량% : 25중량% 내지 50중량%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분말에 물을 가하여 수욕 환류추출하여 혼합액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물 엑스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물 엑스를 분무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분쇄된 녹차잎과 차류들 중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차류를 10중량% 내지 30중량% : 10중량% 내지 30중량% : 10중량% 내지 30중량%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분말에 물을 가하여 수욕 환류추출하여 혼합액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물 엑스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물 엑스를 분무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분쇄된 녹차잎과 차류들 중 서로 다른 세 종류의 차류를 10중량% 내지 25중량% : 10중량% 내지 25중량% : 10중량% 내지 25중량%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분말에 물을 가하여 수욕 환류추출하여 혼합액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물 엑스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물 엑스를 분무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분쇄된 녹차잎과 차류들 중 서로 다른 네 종류의 차류를 10중량% 내지 20중량% : 10중량% 내지 20중량% : 10중량% 내지 20중량% : 10중량% 내지 20중량%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분말에 물을 가하여 수욕 환류추출하여 혼합액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물 엑스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물 엑스를 분무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녹차잎을 발효시킨 홍차잎과 커피두를 분쇄하는 단계와, 분쇄된 홍차잎과 커피두를 25중량% 내지 50중량% : 25중량% 내지 50중량%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분말에 물을 가하여 수욕 환류추출하여 혼합액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물 엑스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물 엑스를 분무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하기에서 개시된 다수의 결과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적용된 차류
녹차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나무과(Theaceae)의 카멜리아 시넨시스(린네) 쿤쯔(Camellia sinensis(Linne) O. Kuntze)의 순(荀)이나 잎을 이용하여 차잎 속에 존재하는 산화효소를 열이나 증기로 처리하여 효소작용을 정지시켜 제조한 불발효차를 말한다.
홍차는 녹차잎을 발효시킨 발효차로서 산화효소에 의해 녹차의 주성분인 폴리페놀이 산화되어 데아플라빈(theaflavins)과 데아루비긴(thearubigins) 등으로 변화되는 동시에 여러 가지 성분의 복합적인 변화에 의해 독특한 향기와 맛을 나타내는 차를 말한다.
쟈스민차는 녹차를 반발효시킨 차로서, 차엽에 쟈스민 꽃을 혼합하여 꽃의 향기가 차엽에 혼합 흡수되도록한 화차로서 현재 중국과 대만 월남 등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다.
감잎차는 감나무과(Ebenaceae)의 감나무(Diospyros Kaki Thumb.)의 잎으로 한방에서는 혈압을 내려주는 약리작용이 있어 고혈압증이나 혈소판 감소증 치료에 사용되고 있고, 최근 감잎에 함유된 탄닌 성분들에 의한 항산화 작용등에 의해 감잎차로서 이용되고 있다.
둥글레차는 백합과(Liliaceae)과의 다년초로서 둥글레(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Ohwi) 또는 진황정(Polygonatum falcatum A. Gray)의 뿌리로서 우리나라 전국의 산야에서 자생한다. 둥글레는 한방에서는 혈당강하 작용, 혈압강하작용 등이 알려져 있고, 이들의 효능과 함께 특유의 구수한 맛과 향으로 인해 기호성 차로서 이용되어져 왔다.
커피는 꼭두서니과(Rubiaceae)의 커피나무(Coffea arabica var. arabica)의 열매로서 산지에 따라 여러 종이 있다. 커피에 다량으로 함유된 카페인에 의한 중추신경 흥분 작용과 함께, 커피 특유의 향기와 맛으로 인해 세계 각지에서 기호성 음료로서 대량으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실시예 1 : 녹차와 홍차의 혼합차 조성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녹차와 홍차의 혼합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차잎을 불발효시켜 녹차잎을 제조한 후 분쇄하여 녹차분말을 형성한다. 그리고, 녹차잎을 적어도 85% 이상 발효시켜 홍차잎을 제조한 후 분쇄하여 홍차분말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녹차분말과 홍차분말을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또는, 25중량% 내지 50중량% : 25중량% 내지 50중량%)로 서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혼합분말에 대해 물(또는, 증류수) 또는 메탄올(methanol)을 이용하여 60℃ 내지 100℃에서 수욕 환류추출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추출된 액을 5μ이하에서 여과한 후 여과된 액을 70℃ 이하에서 농축하여 물 엑스(extract) 또는 메탄올 엑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75℃ 이하에서 분무 건조시켜 녹차 및 홍차가 혼합된 혼합 분말차의 제조를 완료한다.
실시예 2 : 녹차와 감잎차의 혼합차 조성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녹차와 감잎차의 혼합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차잎을 불발효시켜 녹차잎을 제조한 후 분쇄하여 녹차분말을 형성한다. 그리고, 감잎차를 분쇄하여 감잎차분말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녹차분말과 감잎차분말을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또는, 25중량% 내지 50중량% : 25중량% 내지 50중량%)로 서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혼합분말에 대해 물(또는, 증류수)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60℃ 내지 100℃에서 수욕 환류추출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추출된 액을 5μ이하에서 여과한 후 여과된 액을 70℃ 이하에서 농축하여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75℃ 이하에서 분무 건조시켜 녹차 및 감잎차가 혼합된 혼합 분말차의 제조를 완료한다.
실시예 3 : 녹차와 둥글레차의 혼합차 조성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녹차와 둥글레차의 혼합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녹차잎과 둥글레차잎을 각각 선별한 후 잘게 분쇄하여 녹차분말과 둥글레차분말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녹차분말과 둥글레차분말을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또는, 25중량% 내지 50중량% : 25중량% 내지 50중량%)로 서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혼합분말에 대해 물(또는, 증류수)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60℃ 내지 100℃에서 수욕 환류추출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수욕 환류추출된 액을 5μ이하에서 여과한 후, 여과된 액을 70℃ 이하에서 농축하여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75℃ 이하에서 분무 건조시켜 녹차와 둥글레차가 혼합된 혼합 분말차의 제조를 완료한다.
실시예 4 : 녹차와 쟈스민차의 혼합차 조성물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녹차와 쟈스민차의 혼합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차잎을 불발효시켜 녹차잎을 제조한 후 분쇄하여 녹차분말을 형성한다. 그리고, 차잎을 10% 내지 65% 정도 발효시켜 우롱차를 제조한 후 이렇게 제조된 우롱차에 쟈스민꽃잎을 섞은 후 분쇄하여 쟈스민차분말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녹차분말 및 쟈스민차분말을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또는, 25중량% 내지 50중량% : 25중량% 내지 50중량%)로 서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혼합분말에 대해 물(또는, 증류수)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60℃ 내지 100℃에서 수욕 환류추출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추출된 액을 5μ이하에서 여과한 후 여과된 액을 70℃ 이하에서 농축하여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75℃ 이하에서 분무 건조시켜 녹차 및 쟈스민차가 혼합된 혼합 분말차의 제조를 완료한다.
실시예 5 : 녹차와 커피두의 혼합차 조성물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녹차와 커피두의 혼합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녹차잎과 커피두를 각각 선별한 후 잘게 분쇄하여 녹차분말과 커피두분말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녹차분말과 커피두분말을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또는, 25중량% 내지 50중량% : 25중량% 내지 50중량%)로 서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혼합분말에 대해 물(또는, 증류수)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60℃ 내지 100℃에서 수욕 환류추출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추출된 액을 5μ이하에서 여과한 후 여과된 액을 70℃ 이하에서 농축하여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75℃ 이하에서 분무 건조시켜 녹차와 커피두가 혼합된 혼합 분말차의 제조를 완료한다.
실시예 6 : 홍차와 커피두의 혼합차 조성물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홍차와 커피두의 혼합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녹차잎을 적어도 85% 이상 발효시켜 홍차잎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홍차잎과 커피두를 잘게 분쇄하여 홍차분말과 커피두분말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홍차분말과 커피두분말을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또는, 25중량% 내지 50중량% : 25중량% 내지 50중량%)로 서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혼합분말에 대해 물(또는, 증류수)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60℃ 내지 100℃에서 수욕 환류추출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추출된 액을 5μ이하에서 여과한 후 여과된 액을 70℃ 이하에서 농축하여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75℃ 이하에서 분무 건조시켜 홍차와 커피가 혼합된 혼합 분말차의 제조를 완료한다.
실시예 7 : 녹차, 홍차 및 감잎차의 혼합차 조성물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녹차, 홍차 및 감잎차의 혼합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녹차잎, 홍차잎 및 감잎을 분쇄하여 녹차분말, 홍차분말 및 감잎차분말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녹차분말, 홍차분말 및 감잎차분말을 1 내지 3 :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또는, 10중량% 내지 30중량% : 10중량% 내지 30중량% : 10중량% 내지 30중량%)로 서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혼합분말에 대해 물(또는, 증류수)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60℃ 내지 100℃에서 수욕 환류추출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추출된 액을 5μ이하에서 여과한 후 여과된 액을 70℃ 이하에서 농축하여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75℃ 이하에서 분무 건조시켜 녹차, 홍차 및 감잎차가 혼합된 혼합 분말차의 제조를 완료한다.
실시예 8 : 녹차, 홍차 및 둥글레차의 혼합차 조성물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녹차, 홍차 및 둥글레차의 혼합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녹차잎, 홍차잎 및 둥글레차잎을 분쇄하여 녹차분말, 홍차분말 및 둥글레차분말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녹차분말, 홍차분말 및 둥글레차분말을 1 내지 3 :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또는, 10중량% 내지 30중량% : 10중량% 내지 30중량% : 10중량% 내지 30중량%)로 서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혼합분말에 대해 물(또는, 증류수)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60℃ 내지 100℃에서 수욕 환류추출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추출된 액을 5μ이하에서 여과한 후 여과된 액을 70℃ 이하에서 농축하여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75℃ 이하에서 분무 건조시켜 녹차, 홍차 및 둥글레차가 혼합된 혼합 분말차의 제조를 완료한다.
실시예 9 : 녹차, 홍차 및 쟈스민차의 혼합차 조성물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녹차, 홍차 및 쟈스민차의 혼합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녹차잎, 홍차잎 및 쟈스민차잎을 분쇄하여 녹차분말, 홍차분말 및 쟈스민차분말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녹차분말, 홍차분말 및 쟈스민차분말을 1 내지 3 :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또는, 10중량% 내지 30중량% : 10중량% 내지 30중량% : 10중량% 내지 30중량%)로 서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혼합분말에 대해 물(또는, 증류수)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60℃ 내지 100℃에서 수욕 환류추출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추출된 액을 5μ이하에서 여과한 후 여과된 액을 70℃ 이하에서 농축하여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75℃ 이하에서 분무 건조시켜 녹차, 홍차 및 쟈스민차가 혼합된 혼합 분말차의 제조를 완료한다.
실시예 10 : 녹차, 감잎차 및 둥글레차의 혼합차 조성물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녹차, 감잎차 및 둥글레차의 혼합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녹차잎, 감잎 및 둥글레차잎을 분쇄하여 녹차분말, 감잎차분말 및 둥글레차분말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녹차분말, 감잎차분말 및 둥글레차분말을 1 내지 3 :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또는, 10중량% 내지 30중량% : 10중량% 내지 30중량% : 10중량% 내지 30중량%)로 서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혼합분말에 대해 물(또는, 증류수)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60℃ 내지 100℃에서 수욕 환류추출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수욕 환류추출된 액을 5μ이하에서 여과한 후 여과된 액을 70℃ 이하에서 농축하여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75℃ 이하에서 분무 건조시켜 녹차, 감잎차 및 둥글레차가 혼합된 혼합 분말차의 제조를 완료한다.
실시예 11 : 녹차, 감잎차 및 쟈스민차의 혼합차 조성물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녹차, 감잎차 및 쟈스민차의 혼합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녹차잎, 감잎 및 쟈스민차잎을 분쇄하여 녹차분말, 감잎차분말 및 쟈스민차분말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녹차분말, 감잎차분말 및 쟈스민차분말을 1 내지 3 :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또는, 10중량% 내지 30중량% : 10중량% 내지 30중량% : 10중량% 내지 30중량%)로 서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혼합분말에 대해 물(또는, 증류수)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60℃ 내지 100℃에서 수욕 환류추출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수욕 환류추출된 액을 5μ이하에서 여과한 후 여과된 액을 70℃ 이하에서 농축하여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75℃ 이하에서 분무 건조시켜 녹차, 감잎차 및 쟈스민차가 혼합된 혼합 분말차의 제조를 완료한다.
실시예 12 : 녹차, 둥글레차 및 쟈스민차의 혼합차 조성물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녹차, 둥글레차 및 쟈스민차의 혼합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녹차잎, 둥글레차잎 및 쟈스민차잎을 분쇄하여 녹차분말, 감잎차분말 및 쟈스민차분말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녹차분말, 둥글레차분말 및 쟈스민차분말을 1 내지 3 :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또는, 10중량% 내지 30중량% : 10중량% 내지 30중량% : 10중량% 내지 30중량%)로 서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혼합분말에 대해 물(또는, 증류수)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60℃ 내지 100℃에서 수욕 환류추출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수욕 환류추출된 액을 5μ이하에서 여과한 후 여과된 액을 70℃ 이하에서 농축하여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75℃ 이하에서 분무 건조시켜 녹차, 둥글레차 및 쟈스민차가 혼합된 혼합 분말차의 제조를 완료한다.
실시예 13 : 녹차, 홍차, 감잎차 및 둥글레차의 혼합차 조성물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녹차, 홍차, 감잎차 및 둥글레차의 혼합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녹차잎, 홍차잎, 감잎 및 둥글레차잎을 분쇄하여 녹차분말, 홍차분말, 감잎차분말 및 둥글레차분말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녹차분말, 홍차분말, 감잎차분말 및 둥글레차분말을 1 내지 3 : 1 내지 3 :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또는, 10중량% 내지 25중량% : 10중량% 내지 25중량% : 10중량% 내지 25중량% : 10중량% 내지 25%)로 서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혼합분말에 대해 물(또는, 증류수)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60℃ 내지 100℃에서 수욕 환류추출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수욕 환류추출된 액을 5μ이하에서 여과한 후 여과된 액을 70℃ 이하에서 농축하여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75℃ 이하에서 분무 건조시켜 녹차, 홍차, 감잎차 및 둥글레차가 혼합된 혼합 분말차의 제조를 완료한다.
실시예 14 : 녹차, 홍차, 감잎차 및 쟈스민차의 혼합차 조성물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녹차, 홍차, 감잎차 및 쟈스민차의 혼합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녹차잎, 홍차잎, 감잎 및 쟈스민차잎을 분쇄하여 녹차분말, 홍차분말, 감잎차분말 및 쟈스민차분말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녹차분말, 홍차분말, 감잎차분말 및 쟈스민차분말을 1 내지 3 : 1 내지 3 :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또는, 10중량% 내지 25중량% : 10중량% 내지 25중량% : 10중량% 내지 25중량% : 10중량% 내지 25%)로 서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혼합분말에 대해 물(또는, 증류수)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60℃ 내지 100℃에서 수욕 환류추출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수욕 환류추출된 액을 5μ이하에서 여과한 후 여과된 액을 70℃ 이하에서 농축하여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75℃ 이하에서 분무 건조시켜 녹차, 홍차, 감잎차 및 쟈스민차가 혼합된 혼합 분말차의 제조를 완료한다.
실시예 15 : 녹차, 홍차, 감잎차, 둥글레차 및 쟈스민차의 혼합차 조성물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녹차, 홍차, 감잎차, 둥글레차 및 쟈스민차의 혼합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녹차잎, 홍차잎, 감잎, 둥글레차잎 및 쟈스민차잎을 분쇄하여 녹차분말, 홍차분말, 감잎차분말, 둥글레차분말 및 쟈스민차분말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녹차분말, 홍차분말, 감잎차분말, 둥글레차분말 및 쟈스민차분말을 1 내지 3 : 1 내지 3 : 1 내지 3 :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또는, 10중량% 내지 20중량% : 10중량% 내지 20중량% : 10중량% 내지 20중량% : 10중량% 내지 20% : 10중량% 내지 20중량%)로 서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혼합분말에 대해 물(또는, 증류수)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60℃ 내지 100℃에서 수욕 환류추출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수욕 환류추출된 액을 5μ이하에서 여과한 후 여과된 액을 70℃ 이하에서 농축하여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75℃ 이하에서 분무 건조시켜 녹차, 홍차, 감잎차, 둥글레차 및 쟈스민차가 혼합된 혼합 분말차의 제조를 완료한다.
3. 각종 차류의 항산화 활성 검정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적용하는 각종 차류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현재 각종 유지류와 육류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천연항산화제인 토코페롤(tocopherol)과 합성항산화제인 BHA(Butylated HydroxyAnisolenisole)를 대조군으로 하여 DPPH(α,α'-diphenyl-β-picrylhydrazyl) 라디칼(radical) 소거작용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항산화 활성시험을 위한 차류의 시료(엑스)들은 각종 차류들의 일정 중량(각각 10g)에 물 또는 메탄올을 500mL 정도 점가한 후 수욕상에서 3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추출된 액을 여과하여 물층 또는 메탄올층을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물층 또는 메탄올층을 감압 농축하여 물 엑스 또는 메탄올 엑스를 생성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물 엑스 및 메탄올 엑스를 항산화 활성 측정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한편, DPPH 라디칼 소거작용 측정방법은 0.1mol 초산 완충액에 에탄올(ethanol) 용액에 녹아있는 시료 2mL 정도와 DPPH 용액 1mL 정도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방치시킨 후 517nm에서의 흡광도 감소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컨트롤(control) 흡광도를 1/2로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시료의 양(mg)을 토코페롤 및 BHA와 같은 기존의 항산화제를 대조군으로 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가 표1과 같다.
시료명 DPPH를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양(mg)
메탄올 엑스 물 엑스
녹차 0.015 0.018
홍차 0.022 0.021
감잎차 0.030 0.019
둥글레차 0.130 0.130
쟈스민차 0.020 0.017
커피두 0.096 0.067
토코페롤(대조구) 0.022
BHA(대조구) 0.015
상기 표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녹차의 물 엑스는 천연항산화제인 토코페롤 보다는 우수하고, BHA와는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홍차 및 쟈스민차의 물 엑스는 토코페롤과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녹차, 감잎차 및 쟈스민차의 메탄올 엑스는 토코페롤보다는 강하고, BHA와는 유사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4. 1 : 1 비율로 녹차가 함유된 혼합차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검정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각 차류의 혼합비를 1 : 1로 하여 혼합차 조성물을 제조한 후 각 혼합차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을 실시한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시료명 DPPH를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양(mg)
메탄올 엑스 물 엑스
1 녹차+홍차 0.021 0.019
2 녹차+감잎차 0.021 0.018
3 녹차+둥글레차 0.027 0.052
4 녹차+쟈스민차 0.016 0.014
5 녹차+커피두 0.022 0.023
6 홍차+커피두 0.018 0.018
7 녹차+홍차+감잎차 0.017 0.016
8 녹차+홍차+둥글레차 0.021 0.042
9 녹차+홍차+쟈스민차 0.014 0.013
10 녹차+감잎차+둥글레차 0.020 0.032
11 녹차+감잎차+쟈스민차 0.017 0.013
12 녹차+둥글레차+쟈스민차 0.019 0.041
13 녹차+홍차+감잎차+둥글레차 0.016 0.030
14 녹차+홍차+감잎차+쟈스민차 0.018 0.018
15 녹차+홍차+감잎차+쟈스민차 0.014 0.017
토코페롤(대조구) 0.022
BHA(대조구 0.015
상기 표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녹차 및 쟈스민차의 혼합차와, 녹차, 홍차 및 감잎차의 혼합차와, 녹차, 홍차 및 쟈스민차의 혼합차와, 녹차, 감잎차 및 쟈스민차의 혼합차와, 녹차, 홍차, 감잎차, 둥글레차 및 쟈스민차의 혼합차들이 각 차류를 단독으로 사용할때 보다 항산화 활성이 상대적으로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커피두를 녹차 또는 홍차와 혼합할 경우 커피두의 항산화 활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져온 것을 알 수 있다.
5. 차류 혼합비율별 혼합차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검정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제5, 제6, 제9 및 제11 실시예에서 각 차류의 혼합비율별 각 혼합차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을 실시한 결과를 표3 내지 표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시료명 DPPH를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양(mg)
5 녹차 : 커피두(혼합비율) 메탄올 엑스 물 엑스
1 : 1 0.022 0.023
2 : 1 0.015 0.015
1 : 2 0.015 0.016
2 : 3 0.015 0.015
3 : 2 0.016 0.014
3 : 1 0.016 0.017
1 : 3 0.015 0.051
토코페롤(대조구) 0.022
BHA(대조구) 0.015
실시예 시료명 DPPH를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양(mg)
6 홍차 : 커피두 메탄올 엑스 물 엑스
1 : 1 0.018 0.018
2 : 1 0.016 0.016
1 : 2 0.020 0.040
2 : 3 0.019 0.038
3 : 2 0.012 0.015
3 : 1 0.017 0.018
1 : 3 0.017 0.019
토코페롤(대조구) 0.022
BHA(대조구) 0.015
실시예 시료명 DPPH를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양(mg)
9 녹차 : 홍차 : 쟈스민차 메탄올 엑스 물 엑스
1 : 1 : 1 0.014 0.013
2 : 2 : 1 0.016 0.017
2 : 1 : 2 0.015 0.017
1 : 2 : 2 0.015 0.016
2 : 1 : 1 0.017 0.016
1 : 1 : 2 0.013 0.017
1 : 2 : 1 0.017 0.015
1 : 2 : 3 0.015 0.022
1 : 3 : 2 0.013 0.017
3 : 2 : 1 0.015 0.013
3 : 1 : 2 0.014 0.017
2 : 3 : 1 0.014 0.027
2 : 1 : 3 0.015 0.015
토코페롤(대조구) 0.022
BHA(대조구) 0.015
실시예 시료명 DPPH를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양(mg)
11 녹차 : 감잎차 : 쟈스민차 메탄올 엑스 물 엑스
1 : 1 : 1 0.017 0.013
2 : 2 : 1 0.017 0.018
2 : 1 : 2 0.014 0.015
1 : 2 : 2 0.015 0.013
2 : 1 : 1 0.018 0.015
1 : 1 : 2 0.016 0.017
1 : 2 : 1 0.014 0.017
1 : 2 : 3 0.018 0.015
1 : 3 : 2 0.015 0.014
3 : 2 : 1 0.016 0.017
3 : 1 : 2 0.015 0.015
2 : 3 : 1 0.017 0.016
2 : 1 : 3 0.015 0.014
토코페롤(대조구) 0.022
BHA(대조구) 0.015
상기 표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라 녹차와 커피두가 혼합된 혼합차의 차류 혼합비율별 항산화 활성에 관련한 결과표이다. 상기 표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녹차와 커피두의 혼합차의 경우에는 녹차와 커피두의 혼합비율이 2 : 1, 1 : 2, 2 : 3, 3 : 2 및 3 : 1인 경우가 혼합비율이 1 : 1인 경우보다 모두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표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라 홍차와 커피두가 혼합된 혼합차의 차류 혼합비율별 항산화 활성에 관련한 결과표이다. 상기 표4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홍차와 커피두의 혼합차의 경우에는 홍차와 커피두의 혼합비율이 2 : 1 및 3 : 2인 경우가 혼합비율이 1 : 1인 경우보다 상승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표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9 실시예에 따라 녹차, 홍차 및 쟈스민차가 혼합된 혼합차의 차류 혼합비율별 항산화 활성에 관련한 결과표이다. 상기 표5에 개시된 바와 같이, 녹차, 홍차 및 쟈스민차가 혼합된 혼합차의 경우에는 녹차, 홍차 및 쟈스민차의 혼합비율이 3 : 2 : 1 및 1 : 1 : 1 모두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표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1 실시예에 따라 녹차, 감잎차 및 쟈스민차가 혼합된 혼합차의 차류 혼합비율별 항산화 활성에 관련한 결과표이다. 상기 표6에 개시된 바와 같이, 녹차, 감잎차 및 쟈스민차가 혼합된 혼합차의 경우에는 녹차, 감잎차 및 쟈스민차의 혼합비율이 1 : 2 : 2, 1 : 3 : 2 및 2 : 1 : 3인 경우가 혼합비율이 1 : 1 : 1인 경우에 비하여 상승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6. 녹차 혼합차 조성물 침출차의 관능적 특성 검사
상기 5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5, 제6, 제9 및 제11 실시예에서 각 차류의 혼합비율별 각 혼합차 조성물에 대하여 향기, 맛 및 색에 대한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관능적 특성은 임의의 선정된 30명에 대하여 맛과 향에 대하여 별도로 실시하여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및 매우 나쁨의 5개 항목으로 구분하여 선택하게 하였으며, 이들을 점수로 환산하여 높은 점수를 받은 비율을 기호성이 높은 혼합차로 판정하였다.
실시예 혼합비율(녹차:커피두) 항목 매우 좋음1명(5점) 좋음1명(4점) 보통1명(3점) 나쁨1명(2점) 매우 나쁨(1점) 총점
5 1 : 1 1명(5점) 8명(32점수) 19명(57점) 2명(4점) - 98점
1명(5점) 5명(20점) 20명(60점) 4명(8점) - 93점
2 : 1 - 7명(28점) 17명(51점) 6명(12점) - 91점
1명(5점) 10명(40점) 13명(39점) 6명(12점) - 96점
1 : 2 3명(15점) 14명(56점) 11명(33점) 2명(4점) - 108점
2명(10점) 14명(56점) 12명(36점) 2명(4점) - 106점
3 : 2 2명(10점) 7명(28점) 18명(54점) 3명(6점) - 98점
2명(10점) 9명(36점) 10명(30점) 9명(18점) - 94점
2 : 3 3명(15점) 15명(60점) 11명(33점) 1명(2점) - 110점
5명(25점) 14명(56점) 10명(30점) 1명(2점) - 113점
실시예 혼합비율(홍차:커피두) 항목 매우 좋음1명(5점) 좋음1명(4점) 보통1명(3점) 나쁨1명(2점) 매우 나쁨(1점) 총점
6 1 : 1 2명(10점) 8명(32점) 17명(51점) 2명(4점) 1명(1점) 98점
2명(10점) 5명(20점) 16명(48점) 5명(10점) 2명(2점) 90점
2 : 1 2명(10점) 11명(44점) 15명(45점) 1명(2점) 1명(1점) 102점
2명(10점) 12명(48점) 13명(39점) 1명(2점) 2명(2점) 101점
3 : 1 1명(5점) 10(40점) 14명(42점) 4명(8점) 1명(1점) 96점
1명(5점) 10명(40점) 14명(42점) 5명(10점) - 97점
3 : 2 1명(5점) 9명(36점) 15명(45점) 5명(10점) - 96점
1명(5점) 8명(32점) 12명(36점) 7명(14점) 2명(2점) 89점
상기 표7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라 녹차와 커피두를 혼합한 혼합차의 경우에는 1 : 2 비율과 2 : 3 혼합비율에서 맛과 향이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라 홍차와 커피두를 혼합한 혼합차의 경우에는 상기 표8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2 : 1 혼합비율에서 맛과 향이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실시예 혼합비율(녹차:홍차:쟈스민) 항목 매우 좋음1명(5점) 좋음1명(4점) 보통1명(3점) 나쁨1명(2점) 매우 나쁨(1점) 총점
9 1 : 1 : 1 6명(30점) 11명(44점) 9명(27점) 3명(6점) 1명(1점) 108점
8명(40점) 11명(44점) 9명(27점) - 2명(2점) 113점
1 : 2 : 1 - 8명(32점) 13명(39점) 9명(18점) - 89점
1명(5점) 5명(20점) 14명(42점) 9명(18점) 1명(1점) 86점
2 : 1 : 3 3명(15점) 12명(48점) 12명(36점) 3명(6점) - 105점
3명(15점) 14명(56점) 10명(30점) 3명(6점) - 107점
3 : 2 : 1 - 7명(28점) 19명(57점) 4명(8점) - 93점
- 5명(20점) 20명(60점) 4명(8점) 1명(1점) 89점
실시예 혼합비율(녹차:감잎차:쟈스민) 항목 매우 좋음1명(5점) 좋음1명(4점) 보통1명(3점) 나쁨1명(2점) 매우 나쁨(1점) 총점
11 1 : 1 : 1 1명(5점) 15명(60점) 12명(36점) 2명(4점) - 105점
2명(10점) 9명(36점) 14명(42점) 5명(10점) - 98점
1 : 2 : 2 6명(30점) 14명(56점) 7명(21점) 3명(6점) - 113점
3명(15점) 11명(44점) 7명(21점) 9명(18점) - 98점
2 : 1 : 3 1명(5점) 14명(56점) 12명(36점) 3명(6점) - 103점
1명(5점) 7명(28점) 14명(42점) 6명(12점) 2명(2점) 89점
3 : 2 : 1 2명(10점) 12명(48점) 16명(48점) - - 106점
- 10명(40점) 15명(45점) 5명(10점) - 95점
상기 표9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9 실시예에 따라 녹차, 홍차 및 쟈스민차를 혼합한 혼합차의 경우에는 1 : 1 : 1 비율과, 2 : 1 : 3 혼합비율에서 맛과 향이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1 실시예에 따라 녹차, 감잎차 및 쟈스민차를 혼합한 혼합차의 경우에는 상기 표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1 : 2 : 2로 혼합한 혼합차가 맛과 향에서 다른 비율의 혼합차보다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녹차를 주원료로 하고, 이 녹차에 적어도 하나의 차류(홍차, 커피, 쟈스민차, 둥글레차, 감잎차)를 적절한 혼합비율로 혼합한 혼합차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녹차가 가지는 항산화 활성작용을 증대시켜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녹차의 강한 이미나 이취를 감소시켜 기호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욱이, 녹차와 커피를 혼합한 혼합차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호성 식품으로 널리 음용되고 있는 커피의 풍미와 향미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녹차의 항산화 활성효과를 통해 커피가 가지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기호성을 증대시켜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의 수요를 증대시키는 한편, 녹차에 함유된 폴리페놀을 통해 활성산소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성인병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또는 치료하여 국민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laims (9)

  1. 녹차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차류를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
  2. 녹차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차류를 1 내지 3 : 1 내지 3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에 물을 가하여 수욕 환류추출하여 혼합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물 엑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물 엑스를 분무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
  3. 분쇄된 녹차잎과 차류들 중 어느 하나의 차류를 25중량% 내지 50중량% : 25중량% 내지 50중량%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에 물을 가하여 수욕 환류추출하여 혼합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물 엑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물 엑스를 분무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
  4. 분쇄된 녹차잎과 차류들 중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차류를 10중량% 내지 30중량% : 10중량% 내지 30중량% : 10중량% 내지 30중량%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에 물을 가하여 수욕 환류추출하여 혼합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물 엑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물 엑스를 분무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
  5. 분쇄된 녹차잎과 차류들 중 서로 다른 세 종류의 차류를 10중량% 내지 25중량% : 10중량% 내지 25중량% : 10중량% 내지 25중량%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에 물을 가하여 수욕 환류추출하여 혼합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물 엑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물 엑스를 분무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
  6. 분쇄된 녹차잎과 차류들 중 서로 다른 네 종류의 차류를 10중량% 내지 20중량% : 10중량% 내지 20중량% : 10중량% 내지 20중량% : 10중량% 내지 20중량%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에 물을 가하여 수욕 환류추출하여 혼합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물 엑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물 엑스를 분무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류가 커피두, 홍차, 감잎차, 쟈스민차 또는 둥글레차인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
  8.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욕 환류추출이 60℃ 내지 100℃에서 이루어지는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
  9. 녹차잎을 발효시킨 홍차잎과 커피두를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홍차잎과 커피두를 25중량% 내지 50중량% : 25중량% 내지 50중량%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에 물을 가하여 수욕 환류추출하여 혼합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물 엑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물 엑스를 분무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
KR1020040007183A 2004-02-04 2004-02-04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 KR20050079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183A KR20050079074A (ko) 2004-02-04 2004-02-04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183A KR20050079074A (ko) 2004-02-04 2004-02-04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074A true KR20050079074A (ko) 2005-08-09

Family

ID=3726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183A KR20050079074A (ko) 2004-02-04 2004-02-04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907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129B1 (ko) * 2007-11-20 2008-04-14 정종남 배합물의 분산장치
KR101014555B1 (ko) * 2008-05-29 2011-02-16 동우당제약(주) 둥굴레를 첨가한 커피음료의 제조방법
KR101242262B1 (ko) * 2011-07-04 2013-03-11 심보미 위과체질인에 대한 혈당강하용 커피
KR101337895B1 (ko) * 2007-10-18 2013-12-09 (주)아모레퍼시픽 기호성이 우수한 체리향 혼합 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1971A (ko) * 2017-01-09 2018-07-1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활성 및 기호성이 증진된 블렌딩 차
KR20200000865A (ko) 2018-06-26 2020-01-06 농업회사법인 쌍계명차주식회사 과립형 보이차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05168A (ko) 2020-02-18 2021-08-26 (주)에스앤피인터내셔널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이 증진된 음료용 복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895B1 (ko) * 2007-10-18 2013-12-09 (주)아모레퍼시픽 기호성이 우수한 체리향 혼합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821129B1 (ko) * 2007-11-20 2008-04-14 정종남 배합물의 분산장치
KR101014555B1 (ko) * 2008-05-29 2011-02-16 동우당제약(주) 둥굴레를 첨가한 커피음료의 제조방법
KR101242262B1 (ko) * 2011-07-04 2013-03-11 심보미 위과체질인에 대한 혈당강하용 커피
KR20180081971A (ko) * 2017-01-09 2018-07-1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활성 및 기호성이 증진된 블렌딩 차
KR20200000865A (ko) 2018-06-26 2020-01-06 농업회사법인 쌍계명차주식회사 과립형 보이차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05168A (ko) 2020-02-18 2021-08-26 (주)에스앤피인터내셔널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이 증진된 음료용 복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c et al. Phytochemicals and quality of green and black teas from different clones of tea plant
CN102036569B (zh) 呈味改善剂及含有该呈味改善剂的茶饮料
KR101187237B1 (ko) 마카 추출물 함유 알코올 음료
KR101799782B1 (ko) 폴리페놀 성분이 코팅된 커피 원두의 제조방법
KR102155710B1 (ko) 녹차 및 머위를 이용한 콤부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콤부차
KR20190033894A (ko) 금화규와 메리골드를 포함하는 티백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171964A (ja) ポリフェノール高含有紅茶飲料及びその製造法
WO2009040194A1 (en) Process for extracting theaflavins from tea
KR100225786B1 (ko) 생약성분이 함유된 녹차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136531B1 (ko) 메밀이 함유된 기능성 드립백 커피의 제조방법
KR101926591B1 (ko) 허브를 함유하는 기능성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KR20050079074A (ko)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
KR102104175B1 (ko) 기능성 발효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KR101416492B1 (ko) 대추잎과 녹차잎을 이용한 혼합 발효차 및 그 제조방법
Kumar et al. Tea processing
KR102394666B1 (ko) 발효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녹차 추출물
JP5233567B2 (ja) 飲料
KR102485016B1 (ko) 기능성 침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137210A (ja) 茶類と長命草の調製物又は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20140018160A (ko) 생약제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 차 및 이의 제조방법
JP6392933B1 (ja) ティリロサイドを含有する飲料
Sielicka-Różyńska et al. Comparison of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tcha, green leaf and white leaf tea infusions.
KR20000006978A (ko) 녹차에 귀리, 향신 허브식물을 첨가한 침출차 혼합 조성물
JP3643081B2 (ja) 健康食品の製造方法
CN111328899A (zh) 一种桔蒲紫苏代用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