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5671A - 전자기 릴레이 - Google Patents

전자기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5671A
KR20060085671A KR1020067006811A KR20067006811A KR20060085671A KR 20060085671 A KR20060085671 A KR 20060085671A KR 1020067006811 A KR1020067006811 A KR 1020067006811A KR 20067006811 A KR20067006811 A KR 20067006811A KR 20060085671 A KR20060085671 A KR 20060085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movable spring
movable
card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0329B1 (ko
Inventor
요시마사 가토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1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ectilinear movement
    • H01H50/642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ectilinear movement intermediate part being generally a slide plate, e.g. a c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01H1/2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with spring blade support
    • H01H2001/265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with spring blade support having special features for supporting, locating or pre-stressing the contact blade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6Details concerning isolation between driving and switching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2Different parts are assembled by insertion without extra mounting facilities like screws, in an isolated mounting part, e.g. stack mounting on a coil-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72Polarised relays comprising rockable armature, rocking movement around central axis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4Polarised relays without intermediate neutral position of re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기 릴레이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에 배치된 전자석(20), 상기 베이스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기자(30), 일단이 가동 접점을 가지며 타단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가동 스프링(40), 상기 가동 접점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고정 접점(51), 및 카드(60)를 포함한다. 상기 카드는 상기 전기자와 연결되는 연결부(61) 및 상기 가동 스프링의 상기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공(62)을 가지며, 상기 전기자의 요동에 연동하여 상기 가동 스프링을 탄성변형시켜서 상기 가동 점점과 상기 고정 접점 사이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상기 가동 스프링은,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을 타단 쪽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U자형의 훅을 가지며,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삽입공의 내면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삽입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훅의 단부가 상기 카드와 결합된다.
전자기 릴레이, 접점, 스프링, 삽입공, 전자석, 전기자, 개폐, 탄성변형

Description

전자기 릴레이 {ELECTROMAGNETIC RELAY}
본 발명은 전자기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 제11-339624호 공보에는, 카드를 통해 전기자의 회전과 가동 스프링의 회전을 연동시켜서 가동 스프링에 제공된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리시키는 전자기 릴레이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기 릴레이에서는, 카드가 삽입공을 가지며, 가동 스프링은 그 선단이 삽입공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카드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전자기 릴레이에서는, 의도되지 않게 카드가 가동 스프링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제11-102631호 공보에는, 카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가동 스프링의 선단을 약 90도 절곡하여 가동 스프링의 선단에 훅을 형성하고, 그 훅을 삽입공의 둘레에 결합시킨 전자기 릴레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나, 상기 전자기 릴레이와 같이 훅이 90도 절곡되어 있는 경우에는, 삽입공에 훅을 삽입하기 어렵다고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카드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동 스프링이 정렬되어 있는 경우, 삽입공에 훅을 삽입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가동 스프링(100)의 상단에, 가동 스프링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한 훅(101)이 정렬된 것도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 훅을 삽입공에 삽입할 때에, 훅(101)의 에지가 삽입공과 접촉하고, 훅(101)과 삽입공 사이의 마찰이 커서, 삽입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동 스프링을 카드의 삽입공에 삽입하기 용이하고, 또한, 카드의 의도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기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 릴레이는, 베이스, 베이스에 배치된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여자/소자(excitation/non-excitation)에 따라 요동하도록 베이스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전기자, 일단에 가동 접점을 가지고 타단이 베이스에 고정된 가동 스프링, 가동 접점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가동 접점과 함께 접점 기구를 구성하는 고정 접점, 및 카드를 포함한다. 상기 카드는, 상기 전기자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지며, 상기 전기자의 요동에 연동하여 상기 가동 스프링을 탄성변형시켜, 상기 접점 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가동 스프링이,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을 타단 쪽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 U자형의 훅을 가지며,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공의 내면으로 가압되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삽입공을 통과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훅의 단부가 상기 카드와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기 릴레이는, 가동 스프링의 훅이 U자형이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이 탄성변형되면서 삽입공을 통과 가능하므로, 가동 스프링을 삽입공에 삽입하기 용이하다. 훅을 U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삽입공과 훅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어 작은 힘으로도 가동 스프링을 삽입할 수 있다. 가동 스프링을 삽입공에 삽입한 후에는, 훅의 단부가 카드와 결합되기 때문에, 카드의 의도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드는, 삽입공의 내면에 리세스를 가지고, 이 리세스는 삽입공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공을 통과할 때에, 삽입공의 내면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변형된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을 놓아준다. 상기 리세스에 의해, 상기 가동 스프링이 탄성변형되기 쉬워져, 보다 작은 힘으로 가동 스프링을 카드에 삽입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동 스프링은, 상기 훅의 양쪽에 슬릿을 갖는다. 이 경우, 훅이 탄성변형되기 쉬워져, 보다 용이하게 가동 스프링을 카드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는, 상기 삽입공의 내면에 계단부를 가지고, 상기 훅의 단부는 상기 계단부의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는 쪽과 반대쪽의 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카드의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는 쪽과 반대쪽의 면에 훅이 결합되는 경우에 비해 전자기 릴레이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단부의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는 쪽의 면은, 상기 삽입공의 내부를 향해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가동 스프링을 삽입공에 삽입할 때에, 가동 스프링을 삽입공에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동 스프링은, 상기 카드의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는 쪽의 면을 지지하는 쇼울더부를 가지고, 이 쇼울더부는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부를 가동 스프링의 상기 타단 쪽으로 U자형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 쇼울더부와 카드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쇼울더부와 카드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된 마모가루가 가동 접점이나 고정 접점에 부착되어 접점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점 기구의 수는 하나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전자기 릴레이는 복수 개의 접점 기구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드는 복수 개의 가동 스프링의 각각의 일단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공을 가지며, 이들 삽입공은, 제1 삽입공 및 제2 삽입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삽입공은 내면에 계단부를 가지고, 제1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가동 스프링의 훅은 계단부의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는 쪽과 반대쪽의 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삽입공은 상기 가동 스프링의 훅이 결합되는 계단부를 갖지 않으며, 상기 카드는 상기 제2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가동 스프링의 훅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기 릴레이의 제조 단계에서는, 릴레이를 조립하여 릴레이의 동작을 확인한 후에, 다시 릴레이를 분해하고, 접점 거리를 조정하는 경우가 있다. 만일, 모든 가동 스프링의 훅이 카드에 결합되는 경우, 카드를 가동 스프링으로부터 분리하는데 수고가 들어가, 작업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그래서, 삽입공을 제1 삽입공 및 제2 삽입공으로 구성하고, 제1 삽입공에서는 훅과 단부가 결합되지만, 제2 삽입공에서는 훅이 결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카드의 의도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카드를 가동 스프링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전자기 릴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전자기 릴레이에서 커버와 카드가 분리되었을 때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전자기 릴레이에서 커버가 분리되었을 때의 부분단면 평면도이다.
도 2c는 도 1의 전자기 릴레이에서 커버가 분리되었을 때의 부분단면 정면도이다.
도 2d는 도 1의 전자기 릴레이에서 커버가 분리되었을 때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기 릴레이의 정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전자기 릴레이의 가동 스프링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1의 전자기 릴레이의 가동 스프링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5a는 도 1의 카드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카드의a-A파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1의 전자기 릴레이에서 가동 스프링이 제1 삽입공을 통과할 때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6b는 도 1의 전자기 릴레이에서 가동 스프링이 제1 삽입공을 통과할 때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6c는 도 1의 전자기 릴레이에서 가동 스프링이 제1 삽입공을 통과할 때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6d는 도 1의 전자기 릴레이에서 가동 스프링이 제1 삽입공을 통과한 후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6e는 도 1의 전자기 릴레이에서 가동 스프링이 제1 삽입공을 통과한 후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전자기 릴레이에서 카드와 가동 스프링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전자기 릴레이에서 제2 삽입공에 삽입된 가동 스프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도 1의 전자기 릴레이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b는 도 1의 전자기 릴레이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전자기 릴레이의 가동 스프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도 9의 가동 스프링과 카드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b는 도 9의 가동 스프링과 카드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전자기 릴레이의 가동 스프링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가동 스프링이 삽입공을 통과할 때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가동 스프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상하 방향은 도 3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전자기 릴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전자기 릴레이는 2개의 상개접점(normally opencontact)과 2개의 상폐접점(normallyclosedcontact)을 가지는 다극 전자기 릴레이다.
이 전자기 릴레이는, 베이스(10), 전자석(20), 전기자(30), 일단에 가동 접점(41)을 각각 구비한 4개의 가동 스프링(40), 일단에 고정 접점(51)을 각각 구비한 4개의 고정 스프링(50), 카드(60), 복귀 스프링(70), 및 커버(80)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0)은, 플라스틱 성형품이며, 한쌍의 측벽(11) 및 복수 개의 절연벽(13~16)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베이스(10)는, 베이스(1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연벽(13)에 의해, 전자석(20), 전기자(30), 및 복귀 스프링(70)이 배치되는 제1 영역과, 가동 스프링(40) 및 고정 스프링(50)이 배치되는 제2 영역으로 크게 구분되어 있다.
제1 영역에는 한 쌍의 측벽(11)이 형성되고, 각 측벽(11)에는 전기자(30)를 피벗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각 측벽(11)은, 기 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절연벽(13)과 연결되어 있고, 또한 각 측벽은 빔(17)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2 영역에는, 베이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절연벽(14)과, 베이스(1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절연벽(15)이 형성되고, 이들 절연벽(14, 15)에 의해, 가동 스프링(40) 및 고정 스프링(50)이 배치되는 4개의 수납실이, 제2 영역의 4개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수납실은, 절연벽(13~15)보다 낮은 절연벽(16)에 의해, 고정 스프링(50)이 배치되는 영역과 가동 스프링(40)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베이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측면에는, 가동 스프링(40) 및 고정 스프링(50)을 베이스(10)에 압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홈(18)이 형성되고, 각각의 홈(18)은 상기 각각의 수납실로부터 베이스(10)의 저면까지 연장된다.
전자석(20)은, 코일(21)을 감은 스풀(22), 스풀(22)에 삽입된 코어(23)(도 2c 참조), 코어(23)의 상하단에 각각 연결되며 대략 L자형인 요크(24)를 구비한다. 스풀(22)은, 양단에 플랜지(25)를 가지고, 아래쪽의 플랜지(25)에는 코일(21)의 단부가 각각 접속된 코일 단자(26)가 압입되어 있다. 전자석(20)은 베이스(10)의 상기 제1 영역에 고정되며, 코일 단자(26)의 단부가 베이스(10)의 하방으로 돌출된다.
전기자(30)는, 플라스틱 성형품의 서브 카드(31), 연철 등으로 만들어진 가동판(32), 및 직육면체 형상의 영구 자석(33)으로 이루어진다. 가동판(32)은 직사각형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서브 카드(31)에 접착된다. 영구 자석(33)은 가동 판(32)의 표면에 고정된다. 서브 카드(31)는 양쪽 면에 한 쌍의 원기둥형의 돌기부(34)를 구비하고, 돌기부(34)가 베이스(10)의 측벽(11)에 형성된 구멍(12)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전기자(30)가 베이스(10)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전기자(30)가 베이스(10)에 장착되면, 가동판(32)의 상단부가 전자석(20)의 위쪽의 요크(24)와 대향하고, 하단부가 전자석(20)의 아래쪽의 요크(24)와 대향한다.
복귀 스프링(70)은, 대략 Y자형이며, 하단이 전기자(30)와 절연벽(13) 사이에서 베이스(10)에 압입되고(도 2c 참조), 상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드(60)의 복귀 스프링 구멍(63)에 삽입된다.
각각의 가동 스프링(40)은, 탄성을 가지는 얇은 금속편(42), 및 금속판을 스탬핑 및 벤딩에 의해 형성한 단자편(43)으로 이루어진다. 금속편(42)의 상단에는 가동 접점(41)이 코킹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금속편(42)에는 금속편(42)이 쉽게 벤딩되도도록 슬릿(44)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편(43)은 금속편(42)의 하단에 코킹에 의해 고정된다. 단자편(43)은 베이스(10)의 측방으로부터 홈(18)에 압입되고, 그 결과, 금속편(42)이 베이스(10)의 수납실에 배치되고, 단자편(43)의 단부가 베이스(10)의 하방으로 돌출된다.
각각의 고정 스프링(50)은 금속판의 스탬핑 및 벤딩에 의해 형성된다. 고정 스프링(50)의 상단에는 고정 접점(51)이 코킹에 의해 고정되고, 하단에는 단자편(5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스프링(50)에도 고정 스프링(50)이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도록 슬릿(53)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편(52)의 단부 및 베이스(10)에 압입되는 부위는,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속판을 접는 것에 의해 2겹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편(52)은 베이스(10)의 측방으로부터 홈(18)에 압입되고, 그 결과, 고정 스프링(50)이 베이스(10)의 수납실에 배치되고, 단자편(52)의 단부가 베이스(10)의 하방으로 돌출된다.
고정 스프링(50) 및 가동 스프링(40)이 베이스(10)에 배치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접점(51)과 가동 접점(41)이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하고, 접점 기구를 구성한다. 각각의 고정 스프링(50)과 각각의 가동 스프링(40) 사이에는 전술한 절연벽(16)이 위치하고 있다. 절연벽(16)의 높이는, 고정 접점(51) 및 가동 접점(41)의 위치보다 낮고, 고정 접점(51)과 가동 접점(41)이 접근 및 이격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카드(60)는 평판형의 플라스틱 성형품이다. 카드(60)는 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홈(64)을 구비한다. 카드(60)는, 베이스(10)의 절연벽(14)의 상단에 설치된 가이드 돌기부(140)(도 1 참조)를 가이드 홈(64)에 삽입하여 베이스(10)의 위쪽에 배치되고, 베이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한, 카드(60)는, 전기자(30)의 서브 카드(31)의 상단에 설치된 돌기부(310)가 삽입되는 연결구멍(61)과 가동 스프링(40)의 상기 일단(상단)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공(62)를 구비한다. 돌기부(310) 및 가동 스프링(40)의 상기 일단이 각각 연결구멍(61), 삽입공(62)에 삽입되면, 전기자(30)와 가동 스프링(40)이 카드(60)를 통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그 결과, 전기자(30)의 요동에 연동하여 가동 스프링(40)이 회전하고, 접점 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또한, 카드(60)는, 복귀 스프링(70)의 상단이 삽입되는 복귀 스프링 구멍(63)을 구비하여, 복귀 스프링(70) 의 상단이 복귀 스프링 구멍(63)에 삽입되면, 카드(60)는 복귀 스프링(70)에 의해 전자석(20) 쪽으로 향하는 힘이 부여된다.
이하, 카드(60)와 가동 스프링(40)을 연결하는 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가동 스프링(40)은 일단(상단)에 훅(400)을 갖는다. 훅(400)은, 가동 스프링(40)의 상기 일단의 중앙부를 연장하여 타단(하단) 쪽으로 U자형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가동 스프링의 훅(400)은 도 3의 좌측으로 돌출하도록 절곡되어 있다. 훅(400)의 양쪽에는 슬릿(40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가동 스프링(40)은, 카드(60)의 가동 스프링(40)의 상기 일단이 삽입되는 쪽의 면, 즉 카드(60)의 하면을 지지하는 쇼울더부(45)를 갖는다.
한편, 카드(60)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드(6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삽입공(62)이 3열(R1~R3)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삽입공(62)은 제1 삽입공(620)과 제2 삽입공(621)으로 이루어지고, 도 5a의 가장 우측의 열(R1))의 각각의 삽입공이 제1 삽입공(620)이며, 한가운데의 열(R2)의 각각의 삽입공이 제2 삽입공(621)이다. 가장 좌측의 열(R3)의 각각의 삽입공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점 구성을 변경할 때 사용되는 것이며, 본 실시예의 전자기 릴레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각각의 제1 삽입공(620)은, 내면의 좌측(도 5a의 좌측)에 계단부(600)를 갖는다. 계단부(600)의 가동 스프링(40)의 일단이 삽입되는 쪽과 반대쪽의 면, 즉 계단부(600)의 상면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이며, 계단부(600)의 가동 스프링(40)의 일단이 삽입되는 쪽의 면, 즉, 계단부(600)의 하면은 삽입공(62)의 내부를 향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제1 삽입공(620)은, 계단부(600)와 대향하는 위치에 리세스(601)를 갖는다. 리세스(601)는 양쪽에 돌기(602)를 갖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단부(600)와 돌기(602) 사이의 거리는, 가동 스프링(40)의 얇은 금속편(42)의 두께보다 크고, 또한 훅(400)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 스프링(40)의 훅(400)은, 도 3의 좌측, 즉 도 5a의 좌측을 향해 돌출되고, 계단부(600)은, 도 5a의 우측을 향해 돌출되기 때문에, 가동 스프링(40)을 제1 삽입공(620)에 삽입하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400)의 상단과 계단부(600)의 하면이 접촉한다. 또한, 가동 스프링(40)을 제1 삽입공(620)에서 더욱 전진시키면, 도 6b,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스프링(40)의 상단이 계단부(600)와 돌기(602) 사이의 간극으로 들어가, 훅(400)은 계단부(600)에 의해 밀려 탄성변형되어, 리세스(601)로 빠져나간다. 가동 스프링(40)을 더욱 전진시키면, 도 6d, 도 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400)이 계단부(600)를 넘어, 훅(400)의 단부가 계단부(600)의 상면에 결합된다. 이 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드(60)는 가동 스프링(40)의 쇼울더부(45) 상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제1 삽입공(620)은, 훅(400)이 결합되는 계단부(600)을 가짐으로써, 제1 삽입공(620)에 가동 스프링(40)이 삽입되면, 훅(400)에 의해 카드(60)의 이탈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의 훅(400)은, 가동 스프링(40)의 일단(상단)을 타단(하단) 쪽으로 U자형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훅(400)의 상면이 곡면이 되고, 가동 스프링(40)을 삽입공(62)에 삽입할 때에 가동 스프링(40)과 삽입공(62) 사이의 마찰이 적어, 삽입하기 용이하다. 또한, 계단부(600)의 하면이 삽입공(62)의 내부를 향해 경사지기 때문에, 가동 스프링(40)의 단부를 삽입공(62)에 유도하기 용이하다. 또한, 훅(400)의 양쪽에 슬릿(40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훅(400)이 탄성변형되기 쉽고, 또한 탄성변형된 훅(400)이 리세스(601)로 빠져나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가동 스프링(40)을 삽입공(62)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훅(400)은 삽입공(62)의 내부에서 계단부(600)에 결합되므로, 전자기 릴레이의 높이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2 삽입공(621)은 내면의 좌측(도 5a의 좌측)에 단부(700)을 가지고, 단부(700)와 대향하는 위치에 리세스(701)을 갖는다. 가동 스프링(40)의 훅(400)은 도 5a의 좌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므로, 단부(700)와 훅(400)은 결합되지 않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400)은 리세스(701)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 삽입공(621)은 가동 스프링(40)의 훅(400)이 결합되는 계단부를 갖추지 않으며, 카드(60)는 제2 삽입공에 삽입된 훅(400)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 삽입공(620)과 제2 삽입공(621)이 제공되는 이유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와 같은 전자기 릴레이에서는, 제조 단계에 있어서, 릴레이를 조립하여 릴레이의 동작을 확인한 후에, 다시 릴레이를 분해하여 가동 접점(41)과 고정 접점(51)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경우가 있다. 만약, 모든 가동 스프링의 훅(400)이 계단부(600)에 결합되면, 카드(60)를 가동 스프링(4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수고가 들어 작업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와 같이, 열 R1의 삽입공을 제1 삽입공으로하고, 열 R2의 삽입공을 제2 삽입공으로하고, 열 R1의 삽입공만으로 카드(60)와 훅(400)을 결합시킴으로써, 카드의 의도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카드를 가동 스프링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드(60)가 전기자(30) 및 가동 스프링(40)과 연결된 후, 베이스(10)에 커버(80)가 장착되고, 베이스(10)와 커버(80)의 간극에 밀봉재가 주입되어, 전자기 릴레이가 완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전자기 릴레이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자석(20)이 여자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구 자석(33)의 자력 및 복귀 스프링(70)의 스프링력에 의해, 전기자(30)의 가동판(32)이 위쪽의 요크(24)에 흡착되어 있다. 이 때, 열 R2의 가동 접점(41)은 대응되는 고정 접점(51)과 접촉하고, 열 R1의 가동 접점(41)은 고정 접점(5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전자석(20)이 여자되면, 아래쪽의 요크(24)가 가동판(32)를 끌어당겨 전기자(30)는 돌기부(34)를 중심으로 하여, 도 9a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드(60)가 베이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 9b의 우측으로 슬라이드되고, 열 R2의 가동 접점(41)은 고정 접점(51)으로부터 멀어져 열 R1의 가동 접점(41)은 대응되는 고정 접점(51)과 접촉한다. 그리고, 가동 접점(41)이 고정 접점(51)으로부터 이격될 때, 고정 스프링(50)의 일부를 절곡 하여 형성한 규제편(54)이 절연벽(16)에 맞닿음으로써, 고정 스프링(50)이 가동 스프링(40)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로써, 만일 가동 접점(41)이 고정 접점(51)에 용착해도, 절연벽(16)에 의해 가동 접점(41)을 고정 접점(51)으로부터 이격시킬 수가 있다.
전자석(20)의 여자를 중단시키면, 복귀 스프링(70)의 스프링력과 영구 자석(33)의 자력에 의해, 전기자(30)가 도 9b에 있어서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카드(60)는 좌측으로 슬라이드되어 도 9a의 상태로 복귀된다. 그 결과, 열 R2의 가동 접점(41)은 다시 대응되는 고정 접점(51)에 접촉하고, 열 R3의 가동 접점(41)은 고정 접점(51)으로부터 멀어진다. 이상과 같이, 열 R2의 접점 기구가 상폐접점이고, 열 R1의 접점 기구가 상개접점이다.
도 10, 도 11a,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스프링(40)의 쇼울더부(45)는, 가동 스프링(40)의 일부를 타단(하단) 쪽으로 U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해도 된다. 카드(60)가 쇼울더부(45) 상을 반복 이동하면, 카드(60)와 쇼울더부(45)가 마찰되어 마모가루가 발생하고, 이 마모가루가 가동 접점(41)이나 고정 접점(51)에 부착되어 접점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그래서, 쇼울더부(45)를, 가동 스프링(40)의 일부를 타단 쪽으로 U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쇼울더부(45)와 카드(60)의 마찰 및 마모를 억제하여 접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동 스프링(40)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400)의 양쪽에 슬릿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400)이 삽입공(62)을 통과할 때에, 가동 스프링(40)의 선단부 전체가 탄성변형되어 리세스(601)로 빠져나가 계단부(600)를 통과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 R1이 제1 삽입공(620)이고, 열 R2가 제2 삽입공(621)이었지만, 제1 삽입공(620) 및 제2 삽입공(621)의 위치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훅(400)이 도 3의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었지만, 훅의 돌출 방향을 바꾸는 것만으로, 제1 삽입공과 제2 삽입공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상개접점과 2개의 상폐접점을 구비한 전자기 릴레이를 설명하였으나, 열 R2의 가동 스프링(40)과 고정 스프링(50)의 위치를 상호 교환하고, 이렇게 교환한 가동 스프링의 단부를 열 R3의 삽입공(62)에 삽입하여, 가동 접점(41)과 고정 접점(51)을 대향시킴으로써, 4개의 상개접점을 구비한 전자기 릴레이나, 3개의 상개접점과 1개의 상폐접점을 구비한 전자기 릴레이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 릴레이는, 4쌍의 접점 기구를 구비한 릴레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6쌍의 접점 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기술 사상에 반하지 않고, 광범위하게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서 한정한 것 이외에는, 그 특정의 실시예에 제약되지 않는다.

Claims (7)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된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여자/소자(excitation/non-excitation)에 따라 요동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기자,
    일단이 가동 접점을 가지며 타단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가동 스프링,
    상기 가동 접점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가동 접점과 함께 접점 기구를 구성하는 고정 접점, 및
    상기 전기자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가동 스프링의 상기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지며, 상기 전기자의 요동에 연동하여 상기 가동 스프링을 탄성변형시켜서 상기 접점 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카드
    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스프링은,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을 타단 쪽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U자형의 훅을 가지며,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삽입공의 내면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삽입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훅의 단부가 상기 카드와 결합되는
    전자기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상기 삽입공의 내면에 리세스를 가지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삽입공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서,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삽입공을 통과할 때에 상기 삽입공의 내면에 의해 가압되고 탄성변형되어 상기 리세스로 빠져나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스프링은 상기 훅의 양쪽에 슬릿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상기 삽입공의 내면에 계단부를 가지고,
    상기 훅의 단부는 상기 계단부에서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는 쪽과 반대쪽의 면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부에서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는 쪽의 면은 상기 삽입공의 내부를 향해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스프링은, 상기 카드의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는 쪽의 면을 지지하는 쇼울더부를 가지며, 상기 쇼울더부는,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부를 상기 타단 쪽으로 U자형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7.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된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여자/소자에 따라 요동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기자,
    각각이 일단에 가동 접점을 가지며 타단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가동 스프링,
    각각이 각각의 상기 가동 접점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대응되는 상기 가동 접점과 함께 접점 기구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고정 접점, 및
    상기 전기자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가동 스프링의 상기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지며, 상기 전기자의 요동에 연동하여 상기 가동 스프링을 탄성변형시켜서 상기 접점 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카드
    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가동 스프링은,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을 타단 쪽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U자형의 훅을 가지며,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삽입공의 내면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삽입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삽입공은 제1 삽입공 및 제2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공은 내면에 계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가동 스프링의 훅은 상기 계단부에서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는 쪽과 반대쪽의 면과 결합되고,
    상기 제2 삽입공은 상기 가동 스프링의 훅이 결합되는 계단부를 갖지 않아서, 상기 카드가 상기 제2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가동 스프링의 훅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
    전자기 릴레이.
KR1020067006811A 2004-07-14 2005-07-11 전자기 릴레이 KR100770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07688 2004-07-14
JPJP-P-2004-00207688 2004-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671A true KR20060085671A (ko) 2006-07-27
KR100770329B1 KR100770329B1 (ko) 2007-10-25

Family

ID=3578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811A KR100770329B1 (ko) 2004-07-14 2005-07-11 전자기 릴레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16082B2 (ko)
EP (1) EP1681699B1 (ko)
JP (3) JP4367485B2 (ko)
KR (1) KR100770329B1 (ko)
CN (1) CN100524571C (ko)
DE (1) DE602005027433D1 (ko)
TW (1) TWI269335B (ko)
WO (1) WO20060065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866B1 (ko) * 2012-01-27 2013-01-25 송길봉 계전기 접점 구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2072B2 (ja) * 2007-09-14 2013-06-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リレー
US8130064B2 (en) * 2008-08-01 2012-03-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witching device
DE102008057555B4 (de) * 2008-11-15 2010-08-12 Tyco Electronics Austria Gmbh Relais mit Flip-Flop-Feder
PT2394284T (pt) * 2009-02-04 2016-07-13 Hongfa Holdings U S Inc Conjunto de relé eletromagnético
AU2009339410B2 (en) * 2009-02-04 2013-10-10 Hongfa Holdings U.S., Inc. Electromagnetic relay assembly
TWI441223B (zh) * 2009-02-24 2014-06-11 Panasonic Corp Electromagnetic relays and control devices with this electromagnetic relay
US8203403B2 (en) * 2009-08-27 2012-06-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devices having moveable terminals
JP2011228066A (ja) * 2010-04-16 2011-11-10 Nagaoka Univ Of Technology 継電器、制御回路及び制御回路の制御方法
JP5864960B2 (ja) 2011-09-01 2016-02-1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168785B2 (ja) * 2012-03-30 2017-07-2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有極電磁継電器
CN202650990U (zh) * 2012-07-02 2013-01-02 宁波福特继电器有限公司 一种小型大功率磁保持继电器
DE102012017157A1 (de) * 2012-08-30 2014-03-06 Hengstler Gmbh Relais mit modifizierter Kraft-Weg-Kennlinie
TWI509651B (zh) * 2013-07-11 2015-11-21 Shang Wet Electrics Co Ltd 遠端控制電驛
DE102014220700B4 (de) * 2014-10-13 2018-10-11 Tyco Electronics Austria Gmbh Kontaktfeder für ein elektrisches Schaltelement und Kammrelais
CN106024524B (zh) * 2016-06-02 2018-11-09 厦门宏发信号电子有限公司 一种拍合式电磁继电器的压簧
SG10201703450TA (en) * 2017-04-27 2018-11-29 Schneider Electric Asia Pte Ltd A card structure for use in an electromechanical relay and an electromechanical relay comprising the card structure
CN108321032B (zh) * 2018-03-13 2024-01-26 厦门宏发电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安全继电器的动簧片及其安全继电器
JP2022011914A (ja) * 2020-06-30 2022-01-1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23007656A (ja) * 2021-07-02 2023-01-19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熱動形過負荷継電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89649U (de) * 1958-08-29 1959-06-04 Bosch Gmbh Robert Elektromagnetischer schalter zum vorzugsweisen gleichzeitigen oeffnen und schliessen mehrerer kontaktpaare.
US3493903A (en) * 1968-08-05 1970-02-03 Westinghouse Air Brake Co Electromagnetic relay with a suspended armature
JPS501416B1 (ko) * 1970-10-31 1975-01-17
JPS572599B2 (ko) 1973-05-11 1982-01-18
JPS5245064A (en) * 1975-10-08 1977-04-08 Fujitsu Ltd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JP2641730B2 (ja) * 1988-03-28 1997-08-20 松下電工株式会社 可逆型電磁接触器の連結装置
JP2554315Y2 (ja) * 1991-11-29 1997-11-17 株式会社高見澤電機製作所 電磁継電器
ATE142046T1 (de) * 1992-05-15 1996-09-15 Siemens Ag Polarisiertes leistungsrelais
JPH08180786A (ja) * 1994-12-22 1996-07-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継電器
US5805039A (en) * 1995-08-07 1998-09-08 Siemens Electromechanical Components, Inc. Polarized electromagnetic relay
JP2554315B2 (ja) 1995-09-25 1996-11-1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ゴム材料
DE19727991C1 (de) 1997-07-01 1998-11-19 Schrack Components Ag Elektromagnetisches Relais
JP3948091B2 (ja) * 1998-01-27 2007-07-25 松下電工株式会社 電磁継電器
EP0954001A1 (de) * 1998-04-30 1999-11-03 ELESTA relays GmbH Relais mit zwangsgeführten Kontakten
JP3846098B2 (ja) * 1999-03-31 2006-11-15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リレー
JP2002181023A (ja) * 2000-12-14 2002-06-26 Rhythm Corp 抜け止めピン
JP4212248B2 (ja) * 2001-02-09 2009-01-2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4334158B2 (ja) * 2001-03-26 2009-09-3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03151419A (ja) * 2001-08-31 2003-05-23 Omron Corp 電磁継電器
JP4168733B2 (ja) * 2002-11-12 2008-10-22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866B1 (ko) * 2012-01-27 2013-01-25 송길봉 계전기 접점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27433D1 (de) 2011-05-26
JP2009105073A (ja) 2009-05-14
EP1681699B1 (en) 2011-04-13
EP1681699A4 (en) 2008-11-12
JP2009105072A (ja) 2009-05-14
US7616082B2 (en) 2009-11-10
US20080231397A1 (en) 2008-09-25
TWI269335B (en) 2006-12-21
JP4367485B2 (ja) 2009-11-18
JPWO2006006557A1 (ja) 2008-04-24
EP1681699A1 (en) 2006-07-19
JP4650575B2 (ja) 2011-03-16
CN100524571C (zh) 2009-08-05
KR100770329B1 (ko) 2007-10-25
CN1926652A (zh) 2007-03-07
WO2006006557A1 (ja)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329B1 (ko) 전자기 릴레이
US6903638B2 (en) Complex electromagnetic relay
EP1487001B1 (en) Electromagnetic relay
US20080231396A1 (en) Electromagnetic relay
EP1884973A1 (en) Relay with a contact arrangement consisting of contact springs
US20080231395A1 (en) Electromagnetic relay
JP3934376B2 (ja) 電磁継電器
JP4352633B2 (ja) 電磁リレー
WO2010098081A1 (ja) 電磁リレ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制御装置
US11640890B2 (en) Electromagnetic relay
EP0277833B1 (en) Polarized electromagnetic relay
JP2005183097A (ja) 電磁リレー
JP7142011B2 (ja) 電磁リレー
JP2021057221A (ja) リレー
CN112635249A (zh) 电磁继电器
JP2010198867A (ja) 電磁リレーおよびそれを用いる制御装置
JP5822804B2 (ja) 電磁リレー
JP3640102B2 (ja) 電磁継電器
JP2023128904A (ja) 電磁継電器
JP2010198863A (ja) 電磁リレーおよびそれを用いる制御装置
JPH1167039A (ja) 電磁接触器
JPH09245599A (ja) 電磁継電器
JP2010198959A (ja) 電磁リレーおよびそれを用いる制御装置
JPH07153357A (ja) 電磁継電器
JP2010198962A (ja) 電磁リレーおよびそれを用いる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