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5384A - 적층형 콘덴서 - Google Patents

적층형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5384A
KR20060055384A KR1020050109705A KR20050109705A KR20060055384A KR 20060055384 A KR20060055384 A KR 20060055384A KR 1020050109705 A KR1020050109705 A KR 1020050109705A KR 20050109705 A KR20050109705 A KR 20050109705A KR 20060055384 A KR20060055384 A KR 20060055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electrode
electrode
internal
terminal
multilaye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0556B1 (ko
Inventor
마사아키 토가시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34931A external-priority patent/JP42878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34935A external-priority patent/JP4837275B2/ja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5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Abstract

적층형 콘덴서는 적층체와 적층체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단자전극을 구비한다. 적층체는 유전체층을 개재시켜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층은 제 1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제 1 내부 전극과, 제 3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제 2 내부 전극을 갖는다. 제 2 내부 전극층은 제 2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제 3 내부 전극과, 제 4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제 4 내부 전극을 갖는다. 제 2 내부 전극과 제 4 내부 전극에 의해 제 1 용량 성분이 형성된다. 제 1 내부 전극과 제 4 내부 전극에 의해 제 2 용량 성분이 형성된다. 제 2 내부 전극과 제 3 내부 전극에 의해 제 3 용량 성분이 형성된다.
적층형 콘덴서, 단자전극, 내부전극, 용량성분, 유전체층, 접지전극.

Description

적층형 콘덴서{Multilayer capacitor}
도 1은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을 중첩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을 중첩하여 형성되는 용량 성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 1 실시예의 적층형 콘덴서의 등가회로도.
도 6은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를 DC 라인의 노이즈 필터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등가회로도.
도 7은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변형예의 사시도.
도 8은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적층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제 1 내 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을 중첩한 상태의 평면도.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을 중첩하여 형성되는 용량 성분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적층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적층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적층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4는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사시도.
도 15는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6은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을 중첩한 상태의 평면도.
도 17은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을 중첩하여 형성되는 용량 성분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제 2 실시예의 적층형 콘덴서의 등가회로도.
도 19는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를 DC 라인의 노이즈 필터로 서 사용하는 경우의 등가회로도.
도 20은 제 2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1은 제 2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을 중첩한 상태의 평면도.
도 22는 제 2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을 중첩하여 형성되는 용량 성분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제 2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4는 제 2 실시예의 제 3 변형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적층형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적층형 콘덴서로서, 유전체층과 복수의 내부 전극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와 적층체 외면에 형성된 한 쌍의 단자전극 및 접지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내부 전극에 의해서 제 1 내지 제 3 용량 성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99249호 참조). 제 1 용량 성분은 한 쌍의 단자전극간에 배치된다. 제 2 및 제 3 용량 성분은 각각 제 1 용량 성분과 병렬로 배치되어, 서로 직렬 접속되는 동시에 접속점에서 접지전극에 접속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99249호에 기재된 적층형 콘덴서에서는 복수의 내부 전극으로서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제 2 및 제 3 용량 성분은 한 쌍의 제 1 내부 전극과 제 2 내부 전극에 적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 1 내부 전극은 동일 적층면상의 중심부에서 2분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2 내부 전극은 연속적으로 확대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내부 전극과의 사이에 유전체층을 끼워 대향한다. 제 1 용량 성분은 제 3 내부 전극과 제 4 내부 전극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3 내부 전극은 연속적으로 확대되는 동시에, 제 2 내부 전극과의 사이에 유전체층을 끼워 대향한다. 제 4 내부 전극은 연속적으로 확대되는 동시에, 제 3 내부 전극과의 사이에 유전체층을 끼워 대향한다.
그렇지만,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99249호에 개시된 적층형 콘덴서는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 각각이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적층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 1 내지 제 3 용량 성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의 4종류 정도의 내부 전극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적층형 콘덴서의 제조공정이 번잡해져, 제조비용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형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적층형 콘덴서는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와,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층의 적층방향에 평행한 적층체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는 제 1 단자전극과,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적층체의 제 2 측면에 위치하는 제 2 단자전극과, 적층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제 1 및 제 2 측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적층체의 제 3 측면에 위치하는 제 3 단자전극과, 제 3 측면에 대향하는 적층체의 제 4 측면에 위치하는 제 4 단자전극을 구비하고 있고, 제 1 내부 전극층은 제 1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제 1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1 내부 전극과, 제 1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제 3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제 3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2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제 2 내부 전극층은 제 2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제 2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3 내부 전극과, 제 3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제 4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제 4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4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제 2 내부 전극과 제 4 내부 전극에 의해 제 1 용량 성분이 형성되고, 제 1 내부 전극과 제 4 내부 전극에 의해 제 2 용량 성분이 형성되고, 제 2 내부 전극과 제 3 내부 전극에 의해 제 3 용량 성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서는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이 적층됨으로써, 제 1 내지 제 3 용량 성분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용량 성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층의 2종류의 내부 전극층을 형성하면 좋다. 이 때문에, 3개의 용량 성분을 가지는 적층형 콘덴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 1 내부 전극층의 제 1 내부 전극은 또, 제 2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제 2 단자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내부 전극층의 제 3 내부 전극은 또, 제 1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제 1 단자전극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에 있어서의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의 대향방향에서의 양단 부분은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측면과의 대향방향에서의 도중부분에 비하여, 적층방향 및 대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넓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과 제 1 및 제 2 단자전극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는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와,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층의 적층방향에 평행한 적층체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는 제 1 단자전극과,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적층체의 제 2 측면에 위치하는 제 2 단자전극과, 적층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제 1 및 제 2 측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적층체의 제 3 측면에 위치하는 제 3 단자전극과, 제 3 측면에 대향하는 적층체의 제 4 측면에 위치하는 제 4 단자전극을 구비하고 있고, 제 1 내부 전극층은 제 1 및 제 2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제 1 및 제 2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1 내부 전극과, 제 1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제 3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제 3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2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제 2 내부 전극층은 제 1 및 제 2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제 1 및 제 2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3 내부 전극과, 제 3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제 4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제 4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4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제 2 내부 전극과 제 4 내부 전극에 의해 제 1 용량 성분이 형성되고, 제 1 내부 전극과 제 4 내부 전극에 의해 제 2 용량 성분이 형성되고, 제 2 내부 전극과 제 3 내부 전극에 의해 제 3 용량 성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서는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이 적층됨으로써, 제 1 내지 제 3 용량 성분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용량 성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층의 2종류의 내부 전극층을 형성하면 좋다. 이 때문에, 3개의 용량 성분을 가지는 적층형 콘덴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에 있어서의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의 대향방향에서의 양단 부분은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측면과의 대향방향에서의 도중부분에 비하여, 적층방향 및 대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넓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과 제 1 및 제 2 단자전극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형 콘덴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것이며, 이들은 예증으로만 주어지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더 넓은 적용 범위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상세한 설명 및 특정한 실예는 예증으로서만 주어지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히 나타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적절한 실시예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예]
우선, 도 1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적층체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을 중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을 중첩하여 형성되는 용량 성분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등가회로도이다.
적층형 콘덴서(1)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방체 형상의 적층체(2)와 제 1 내지 제 4 단자전극(12, 14, 16, 18)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체(2)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전체층(32)을 개재하여 제 1 내부 전극층(20)과 제 2 내부 전극층(26)이 교대로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실제의 적층형 콘덴서(1)는 유전체층(32)간의 경계를 눈으로 인식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적층체(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6)과 제 3 측면(8)과 제 4 측면(10)과 제 5 측면(11a)과 제 6 측면(11b)을 갖고 있다.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6)은 X축방향에서 보아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제 3 측면(8)과 제 4 측면(10)은 Y축방향에서 보아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 3 측면(8) 및 제 4 측면(10)은 각각, 제 1 및 제 2 측면(4, 6)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다. 제 5 측면(11a)과 제 6 측면(11b)은 Z축방향에서 보아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측면(4, 6, 8, 10)은 모두,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Z축방향, 즉 제 1 내부 전극층(20)과 제 2 내부 전극층(26)의 적층방향(이하, 단순히 「적층방향」이라고 함)과 평행하다.
제 1 단자전극(12)은 적층체(2)의 제 1 측면(4)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단 자전극(12)은 Y축방향, 즉 제 3 측면(8)과 제 4 측면(10)의 대향방향에서의 제 1 측면(4)의 중앙부분을 덮고 또한 일부가 제 5 및 제 6 측면(11a, 11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전극(14)은 적층체(2)의 제 2 측면(6)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단자전극(14)은 Y축방향, 제 3 측면(8)과 제 4 측면(10)의 대향방향에서의 제 2 측면(6)의 중앙부분을 덮고 또한 일부가 제 5 및 제 6 측면(11a, 11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3 단자전극(16)은 적층체(2)의 제 3 측면(8)에 위치하고 있다. 제 3 단자전극(16)은 제 3 측면(8)을 덮고 또한 일부가 제 1, 제 2, 제 5, 및 제 6 측면(4, 6, 11a, 11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4 단자전극(18)은 적층체(2)의 제 4 측면(18)에 위치하고 있다. 제 4 단자전극(18)은 제 4 측면(10)을 덮고 또한 일부가 제 1, 제 2, 제 5, 및 제 6 측면(4, 6, 11a, 11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단자전극(12, 14)과 제 3 및 제 4 단자전극(16, 18)은 소정의 간격을 갖고,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 1 단자전극(12)과 제 2 단자전극(14)은 소정의 간격을 갖고,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 3 단자전극(16)과 제 4 단자전극(18)은 소정의 간격을 갖고,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층(2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내부 전극(22)과 제 2 내부 전극(24)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22)과 제 2 내부 전극(24)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같은 층 내에 위치한다. 제 1 내부 전극(22)은 제 1 단자전극(12)과 제 2 단자전극(14)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내부 전 극(24)은 제 3 단자전극(16)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22)은 제 1 측면(4) 및 제 2 측면(6)으로 인출되도록,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6)의 대향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22)은 제 1 전극부분(22a)과 제 2 전극부분(22b)을 갖는다. 제 1 전극부분(22a)은 제 1 내부 전극(22)에 있어서의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6)의 대향방향에서의 도중부분에 상당한다. 제 2 전극부분(22b)은 제 1 내부 전극(22)에 있어서의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6)의 대향방향에서의 양단 부분에 상당한다.
제 1 전극부분(22a)은 제 1 및 제 2 영역을 포함한다. 제 1 영역은 제 4 측면(10)과 소정의 간격을 갖고 또한 상기 제 4 측면(10)을 따라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6)의 대향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는 영역이다. 제 2 영역은 제 1 영역의 양단으로부터 제 3 측면(8)과 제 4 측면(10)의 대향방향으로 신장하는 영역이다. 제 2 전극부분(22b)은 각 제 1 및 제 2 측면(4, 6)으로 인출되도록 제 1 전극부분(22a)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제 2 전극부분(22b)은 제 1 전극부분(22a)에 비하여, 적층방향 및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6)의 대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제 3 측면(8)과 제 4 측면(10)과의 대향방향)의 폭이 넓게 설정되게 된다. 제 2 전극부분(22b)은 제 1 및 제 2 단자전극(12, 14)에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24)은 제 3 측면(8)으로 인출되도록 신장되어 있다. 제 2 내부 전극(24)은 제 1 전극부분(24a)과 제 2 전극부분(24b)을 갖는다. 제 1 전극부분(24a)은 제 1 내부 전극(22)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영역에 위치하여,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2 전극부분(24b)은 제 3 측면(8)에 닿도록, 제 1 측면(4) 과 제 2 측면(6)의 대향방향에서의 제 3 측면(8)의 중앙부분을 향하여 제 1 전극부분(24a)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제 2 전극부분(24b)은 제 3 단자전극(16)에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층(26)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3 내부 전극(28)과 제 4 내부 전극(30)을 포함하고 있다. 제 3 내부 전극(28)과 제 4 내부 전극(30)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같은 층 내에 위치한다. 제 3 내부 전극(28)은 제 1 단자전극(12)과 제 2 단자전극(14)에 접속되어 있다. 제 4 내부 전극(30)은 제 4 단자전극(18)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내부 전극(28)은 제 1 측면(4) 및 제 2 측면(6)으로 인출되도록,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6)의 대향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다. 제 3 내부 전극(28)은 제 1 전극부분(28a)과 제 2 전극부분(28b)을 갖는다. 제 1 전극부분(28a)은 제 3 내부 전극(28)에 있어서의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6)의 대향방향에서의 도중부분에 상당한다. 제 2 전극부분(28b)은 제 3 내부 전극(28)에 있어서의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6)의 대향방향에서의 양단 부분에 상당한다.
제 1 전극부분(28a)은 제 1 및 제 2 영역을 포함한다. 제 1 영역은 제 3 측면(8)과 소정의 간격을 갖고 또한 상기 제 3 측면(8)을 따라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6)의 대향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는 영역이다. 제 2 영역은 제 1 영역의 양단으로부터 제 3 측면(8)과 제 4 측면(10)의 대향방향으로 신장하는 영역이다. 제 2 전극부분(28b)은 각 제 1 및 제 2 측면(4, 6)으로 인출되도록 제 1 전극부분(28a)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제 2 전극부분(28b)은 제 1 전극부분(28a)에 비하여, 적 층방향 및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6)의 대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제 3 측면(8)과 제 4 측면(10)과의 대향방향)의 폭이 넓게 설정되게 된다. 제 2 전극부분(28b)은 제 1 및 제 2 단자전극(12, 14)에 접속된다.
제 4 내부 전극(30)은 제 4 측면(10)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고 있다. 제 4 내부 전극(30)은 제 1 전극부분(30a)과 제 2 전극부분(30b)을 갖는다. 제 1 전극부분(30a)은 제 3 내부 전극(28)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영역에 위치하여,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2 전극부분(30b)은 제 4 측면(10)에 닿도록,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6)의 대향방향에서의 제 4 측면(10)의 중앙부분을 향하여 제 1 전극부분(30a)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제 2 전극부분(30b)은 제 4 단자전극(18)에 접속된다.
적층체(2)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내부 전극층(20)과 제 2 내부 전극층(26)이 유전체층(32)을 개재하여 교대로 적층되어 있다. 적층체(2) 내에서, 제 1 내부 전극층(20)과 제 2 내부 전극층(26)의 적층에 의해 도 5에 도시되는 제 1 내지 제 3 용량 성분(C1, C2, C3)이 형성되게 된다.
제 1 내부 전극층(20)과 제 2 내부 전극층(26)을 중첩함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내부 전극(24; 제 1 전극부분(24a))과 제 4 내부 전극(30; 제 1 전극부분(30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부분을 갖게 된다. 이 제 2 내부 전극(24)과 제 4 내부 전극(30)의 겹치는 부분이, 적층형 콘덴서(1)의 제 1 용량 성분(C1)을 형성한다. 제 1 용량 성분(C1)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3 단자전극(16)과 제 4 단자전극(18)의 사이에 직렬 접속된다.
제 1 내부 전극층(20)과 제 2 내부 전극층(26)을 중첩함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내부 전극(22; 제 1 전극부분(22a))과 제 4 내부 전극(30)(제 2 전극부분(30b))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부분을 갖게 된다. 이 제 1 내부 전극(22)과 제 4 내부 전극(30)의 겹치는 부분이, 적층형 콘덴서(1)의 제 2 용량 성분(C2)을 형성한다. 제 2 용량 성분(C2)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전극(12)과 제 4 단자전극(18)의 사이에 직렬 접속된다.
제 1 내부 전극층(20)과 제 2 내부 전극층(26)을 중첩함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내부 전극(24)(제 1 전극부분(24b))과 제 3 내부 전극(28)(제 1 전극부분(28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부분을 갖게 된다. 이 제 2 내부 전극(24)과 제 3 내부 전극(28)의 겹치는 부분이, 적층형 콘덴서(1)의 제 3 용량 성분(C3)을 형성한다. 제 3 용량 성분(C3)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전극(14)과 제 3 단자전극(16)의 사이에 직렬 접속된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적층형 콘덴서(1)의 제조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분말형의 유전체 세라믹 재료에, 유기 바인더(binder) 및 유기용제 등을 첨가하여, 슬러리(slurry)를 얻는다. 그리고, 이 슬러리를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법 등의 공지 방법에 의해 유전체 세라믹 그린 시트(seramic green sheet)를 제작한다.
다음에, 원하는 유전체 세라믹 그린 시트에, 제 1 내부 전극층(20; 제 1 내부 전극(22) 및 제 2 내부 전극(24))을 구성하는 도체 패턴을 각각 복수개(후술하는 분할 칩수에 대응하는 수) 형성한다. 또한, 제 1 내부 전극층(20)을 구성하는 도체 패턴이 형성된 유전체 세라믹 그린 시트와는 다른 유전체 세라믹 그린 시트에, 제 2 내부 전극층(26; 제 3 내부 전극(28) 및 제 4 내부 전극(30))을 구성하는 도체 패턴을 각각 복수개(후술하는 분할 칩수에 대응하는 수) 형성한다. 각 도체 패턴은 예를 들면, Ni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체 페이스트(paste)를 스크린 인쇄한 후, 건조함으로써 형성된다.
다음에, 제 1 내부 전극층(20)을 구성하는 도체 패턴이 형성된 유전체 세라믹 그린 시트와 제 2 내부 전극층(26)을 구성하는 도체 패턴이 형성된 유전체 세라믹 그린 시트와 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유전체 세라믹 그린 시트를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적층 순서로, 적층하여 압착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유전체 세라믹 그린 시트로 이루어지는 중간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얻어진 중간 적층체를 칩 단위로 절단한 후에, 유기 바인더를 제거(탈바인더)하여, 소성한다. 이것에 의해 내부에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층(20, 26)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2)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얻어진 적층체(2)에 제 1 내지 제 4 단자전극(12, 14, 16, 18)을 형성한다. 각 단자전극(12, 14, 16, 18)의 형성은 예를 들면, 주로 Cu를 포함하는 단자전극용 페이스트를 대향하는 측면에 각각 도포한 후, 이 페이스트에 대하여 가열(구워 붙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행한다. 그리고, 각 단자전극(12, 14, 16, 18)의 외측 표면에, 전해도금 등에 의해 Ni 도금층 및 Sn 도금층을 차례로 적층한다. 이렇게 해서 적층형 콘덴서(1)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유전체층(32)을 개재하여 제 1 내부 전극층(20)과 제 2 내부 전극층(26)이 적층됨으로써, 제 1 내지 제 3 용량 성분(C1, C2, C3)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용량 성분(C1, C2, C3)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층(20, 26)의 2종류의 내부 전극층을 형성하면 좋다. 이 때문에, 3개의 용량 성분(C1, C2, C3)을 가지는 적층형 콘덴서(1)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2, 28)의 제 2 전극부분(22b, 28b)은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2, 28)의 제 1 전극부분(22a, 28a)에 비하여, 적층방향 및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6)의 대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넓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3 측면(8)과 제 4 측면(10)의 대향방향에서의 제 2 전극부분(22b, 28b)의 길이가 길어진다. 그 결과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2, 28)과 제 1 및 제 2 단자전극(12, 14)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실히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1)를 DC 라인의 노이즈 필터(noise filter)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회로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를 DC 라인의 노이즈 필터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등가회로도이다.
적층형 콘덴서(1)는 부(負)의 전원 라인 A와 정(正)의 전원 라인 B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단자전극(12, 14)은 그랜드전위(grand potential)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단자전극(16)은 부의 전원 라인 A에 접속되고, 제 4 단자전극(18)은 정의 전원 라인 B에 접속되어 있다.
DC 라인에서는 동상(同相) 노이즈(Common Mode Noise) 및 차동 노이즈(Differential Mode Noise)의 침입이 문제가 된다. 적층형 콘덴서(1)를 노이즈 필터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제 1 용량 성분(C1)에서 차동 노이즈가 흡수되고, 제 2 및 제 3 용량 성분(C2, C3)에서 동상 노이즈가 흡수된다. 그 때문에, 적층형 콘덴서(1)를 노이즈 필터로서 전자기기에 실장한 경우에는 3개의 콘덴서를 실장하여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 종래와 비교하여,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노이즈 필터의 실장면적을 한층 더 축소할 수 있게 된다.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1)의 변형예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적층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적층체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을 중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을 중첩하여 형성되는 용량 성분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 실시예 에서는 적층체(1)는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6)의 대향방향을 짧은 방향으로 하고 있지만, 변형예에서는 적층체(1)는 제 3 측면(8)과 제 4 측면(10)의 대향방향을 짧은 방향으로 하고 있다.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1)의 변형예에서는 제 1 내부 전극층(20)과 제 2 내부 전극층(26)을 중첩함으로써,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내부 전극(24; 제 1 전극부분(24a))과 제 4 내부 전극(30; 제 1 전극부분(30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부분을 갖게 된다. 이 제 2 내부 전극(24)과 제 4 내부 전극(30)의 겹치는 부분이,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1)의 변형예의 제 1 용량 성분(C1)을 형성한다.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1)의 변형예에서는 제 1 내부 전극층(20)과 제 2 내부 전극층(26)을 중첩함으로써,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내부 전극(22; 제 1 전극부분(22a))과 제 4 내부 전극(30; 제 1 전극부분(30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부분을 갖게 된다. 이 제 1 내부 전극(22)과 제 4 내부 전극(30)의 겹치는 부분이,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1)의 변형예의 제 2 용량 성분(C2)을 형성한다.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1)의 변형예에서는 제 1 내부 전극층(20)과 제 2 내부 전극층(26)을 중첩함으로써,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내부 전극(24; 제 1 전극부분(24a))과 제 3 내부 전극(28; 제 1 전극부분(28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부분을 갖게 된다. 이 제 2 내부 전극 (24)과 제 3 내부 전극(28)의 겹치는 부분이,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1)의 변형예의 제 3 용량 성분(C3)을 형성한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22, 24, 28, 30)의 형상 및 면적은 제 1 내지 제 3 용량 성분(C1, C2, C3)에서 필요로 하는 용량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22, 24, 28, 30)의 형상도, 제 1 실시예 및 변형예에 있어서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22, 24, 28, 30)의 형상이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6)의 대향방향으로 신장하는 직사각 형상이어도 좋다. 또,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6)의 대향방향에서의 제 2 전극부분(22b, 28b)의 폭은 제 1 측면(4)측에 위치하는 제 2 전극부분(22b, 28b)과 제 2 측면(6)에 위치하는 제 2 전극부분(22b, 28b)에서 다르게 하여도 좋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2, 28)의 제 1 전극부분(22a, 28a)의 소정의 위치(예를 들면,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6)의 대향방향에서의 중앙)에, 제 3 측면(8)과 제 4 측면(10)의 대향방향에 광폭의 영역을 형성하여도 좋다.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2, 28)의 제 1 전극부분(22a, 28a)의 광폭의 영역에 대응하여,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24, 30)의 제 1 전극부분(24a, 30a)에 제 3 측면(8)과 제 4 측면(10)의 대향방향에 협폭의 영역을 형성하여도 좋다.
[제 2 실시예]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100)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 적층체에 포함되는 적층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적층체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을 중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을 중첩하여 형성되는 용량 성분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등가회로도이다.
적층형 콘덴서(100)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방체 형상의 적층체(102)와 제 1 내지 제 4 단자전극(112, 114, 116, 118)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체(102)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전체층(132)을 개재하여 제 1 내부 전극층(120)과 제 2 내부 전극층(126)이 교대로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실제의 적층형 콘덴서(100)는 유전체층(132)간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적층체(102)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측면(104)과 제 2 측면(106)과 제 3 측면(108)과 제 4 측면(110)과 제 5 측면(111a)과 제 6 측면(111b)을 갖고 있다. 제 1 측면(104)과 제 2 측면(106)은 X축방향에서 보아 서로 대향하 도록 위치하고 있다. 제 3 측면(108)과 제 4 측면(110)은 Y축방향에서 보아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 3 측면(108) 및 제 4 측면(110)은 각각, 제 1 및 제 2 측면(104, 106)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다. 제 5 측면(111a)과 제 6 측면(111b)은 Z축방향에서 보아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측면(104, 106, 108, 110)은 모두,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Z축방향, 즉 제 1 내부 전극층(120)과 제 2 내부 전극층(126)의 적층방향(이하, 단순히 「적층방향」이라고 함)에 평행하다.
제 1 단자전극(112)은 적층체(102)의 제 1 측면(104)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단자전극(112)은 제 1 측면(104)을 덮고 또한 일부가 제 3 내지 제 6 측면(108, 110, 111a, 111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전극(114)은 적층체(102)의 제 2 측면(106)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단자전극(114)은 제 2 측면(106)을 덮고 또한 일부가 제 3 내지 제 6 측면(108, 110, 111a, 111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3 단자전극(116)은 적층체(102)의 제 3 측면(108)에 위치하고 있다. 제 3 단자전극(116)은 X축방향, 즉 제 1 측면(104)과 제 2 측면(106)의 대향방향에서의 제 3 측면(108)의 중앙부분을 덮고 또한 일부가 제 5 및 제 6 측면(111a, 111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4 단자전극(118)은 적층체(102)의 제 4 측면(110)에 위치하고 있다. 제 4 단자전극(118)은 X축방향, 제 1 측면(104)과 제 2 측면(106)의 대향방향에서의 제 4 측면(110)의 중앙부분을 덮고 또한 일부가 제 5 및 제 6 측면(111a, 111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단자전극(112, 114)과 제 3 및 제 4 단자전극(116, 118)은 소정의 간격을 갖고,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 1 단자전극(112)과 제 2 단자전극(114)은 소정의 간격을 갖고,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 3 단자전극(116)과 제 4 단자전극(118)은 소정의 간격을 갖고,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층(120)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내부 전극(122)과 제 2 내부 전극(124)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122)과 제 2 내부 전극(124)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같은 층 내에 위치한다. 제 1 내부 전극(122)은 제 1 단자전극(112)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내부 전극(124)은 제 3 단자전극(116)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122)은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122)은 제 2 측면(106)은 소정의 간격을 가진 위치에 형성되고, 제 1 측면(104)에 닿도록, Y축방향, 즉 제 3 측면(1108)과 제 4 측면(110)의 대향방향에서의 제 1 측면(104)의 중앙부분을 향하여 신장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내부 전극(122)은 제 1 측면(104)으로 인출되게 된다.
제 2 내부 전극(124)은 제 3 측면(108)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고 있다. 제 2 내부 전극(124)은 제 1 전극부분(124a)과 제 2 전극부분(124b)을 갖는다. 제 1 전극부분(124a)은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전극부분(124a)은 제 1 내부 전극(122)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제 1 측면(104)과 제 2 측면(106)과의 대향방향에 제 1 내부 전극(122)과 나란히 위치하고 있다. 제 2 전극부분(124b)은 제 3 측면(108)에 닿도록, 제 1 측면(104)과 제 2 측면(106)과의 대향방 향에서의 제 3 측면(108)의 중앙부분을 향하여 제 1 전극부분(124a)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제 2 전극부분(124b)은 제 3 단자전극(116)에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층(126)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3 내부 전극(128)과 제 4 내부 전극(130)을 포함하고 있다. 제 3 내부 전극(128)과 제 4 내부 전극(130)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같은 층 내에 위치한다. 제 3 내부 전극(128)은 제 2 단자전극(114)에 접속되어 있다. 제 4 내부 전극(130)은 제 4 단자전극(118)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내부 전극(128)은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3 내부 전극(128)은 제 1 측면(104)과는 소정의 간격을 가진 위치에 형성되고, 제 2 측면(106)에 닿도록, Y축방향, 즉 제 3 측면(108)과 제 4 측면(110)과의 대향방향에서의 제 2 측면(106)의 중앙부분을 향하여 신장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3 내부 전극(128)은 제 2 측면(106)으로 유도되게 된다.
제 4 내부 전극(130)은 제 4 측면(110)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고 있다. 제 4 내부 전극(130)은 제 1 전극부분(130a)과 제 2 전극부분(130b)을 갖는다. 제 1 전극부분(130a)은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전극부분(130a)은 제 3 내부 전극(128)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제 1 측면(104)과 제 2 측면(106)과의 대향방향에 제 3 내부 전극(128)과 더불어 위치하고 있다. 제 2 전극부분(130b)은 제 4 측면(110)에 닿도록, 제 1 측면(104)과 제 2 측면(106)의 대향방향에서의 제 4 측면(110)의 중앙부분을 향하여 제 1 전극부분(130a)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제 2 전극부분(130b)은 제 4 단자전극(118)에 접속된다.
적층체(102)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내부 전극층(120)과 제 2 내부 전극층(126)이 유전체층(132)을 개재하여 교대로 적층되어 있다. 적층체(102) 내에서, 제 1 내부 전극층(120)과 제 2 내부 전극층(126)의 적층에 의해 도 18에 도시되는 제 1 내지 제 3 용량 성분(C1, C2, C3)이 형성되게 된다.
제 1 내부 전극층(120)과 제 2 내부 전극층(126)을 중첩함으로써,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내부 전극(124; 제 1 전극부분(124a))과 제 4 내부 전극(130; 제 1 전극부분(130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부분을 갖게 된다. 이 제 2 내부 전극(124)과 제 4 내부 전극(130)과의 겹치는 부분이, 적층형 콘덴서(100)의 제 1 용량 성분(C1)을 형성한다. 제 1 용량 성분(C1)은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3 단자전극(116)과 제 4 단자전극(118)의 사이에 직렬 접속된다.
제 1 내부 전극층(120)과 제 2 내부 전극층(126)을 중첩함으로써,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내부 전극(122)과 제 4 내부 전극(130; 제 1 전극부분(130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부분을 갖게 된다. 이 제 1 내부 전극(122)과 제 4 내부 전극(130)의 겹치는 부분이, 적층형 콘덴서(100)의 제 1 용량 성분(C2)을 형성한다. 제 2 용량 성분(C2)은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전극(112)과 제 4 단자전극(118)의 사이에 직렬 접속된다.
제 1 내부 전극층(120)과 제 2 내부 전극층(126)을 중첩함으로써,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내부 전극(124; 제 1 전극부분(124a))과 제 3 내부 전극(128)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부분을 갖게 된다. 이 제 2 내부 전극(124)과 제 3 내부 전극(128)의 겹치는 부분이, 적층형 콘덴서(100)의 제 1 용량 성분(C3)을 형성한다. 제 3 용량 성분(C3)은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전극(114)과 제 3 단자전극(116)의 사이에 직렬 접속된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적층형 콘덴서(100)의 제조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분말형의 유전체 세라믹 재료에, 유기 바인더 및 유기용제 등을 첨가하여, 슬러리를 얻는다. 그리고, 이 슬러리로부터, 닥터 블레이드법 등의 공지 방법에 의해 유전체 세라믹 그린 시트를 제작한다.
다음에, 원하는 유전체 세라믹 그린 시트에, 제 1 내부 전극층(120; 제 1 내부 전극(122) 및 제 2 내부 전극(124))을 구성하는 도체 패턴을 각각 복수개(후술하는 분할 칩수에 대응하는 수) 형성한다. 또한, 제 1 내부 전극층(120)을 구성하는 도체 패턴이 형성된 유전체 세라믹 그린 시트와는 다른 유전체 세라믹 그린 시트에, 제 2 내부 전극층(126; 제 3 내부 전극(128) 및 제 4 내부 전극(130))을 구성하는 도체 패턴을 각각 복수개(후술하는 분할 칩수에 대응하는 수) 형성한다. 각 도체 패턴은 예를 들면, Ni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체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한 후, 건조함으로써 형성된다.
다음에, 제 1 내부 전극층(120)이 형성된 유전체 세라믹 그린 시트와 제 2 내부 전극층(126)이 형성된 유전체 세라믹 그린 시트와 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유전체 세라믹 그린 시트를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적층 순서로, 적층하여 압착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유전체 세라믹 그린 시트로 이루어지는 중간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얻어진 중간 적층체를 칩 단위로 절단한 후에, 유기 바인더를 제거(탈바인더)하여, 소성한다. 이것에 의해 내부에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층(120, 126)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2)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얻어진 적층체(2)에 제 1 내지 제 4 단자전극(112, 114, 116, 118)을 형성한다. 각 단자전극(112, 114, 116, 118)의 형성은 예를 들면, 주로 Cu를 포함하는 단자전극용 페이스트를 대향하는 측면에 각각 도포한 후, 이 페이스트에 대하여 가열(구워 붙임)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행한다. 그리고, 각 단자전극(112, 114, 116, 118)의 외측 표면에, 전해도금 등에 의해 Ni 도금층 및 Sn 도금층을 순차 적층한다. 이렇게 해서 적층형 콘덴서(100)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전체층(132)을 개재하여 제 1 내부 전극층(120)과 제 2 내부 전극층(126)이 적층됨으로써, 제 1 내지 제 3 용량 성분(C1, C2, C3)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용량 성분(C1, C2, C3)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층(120, 126)의 2종류의 내부 전극층을 형성하면 좋다. 이 때문에, 3개의 용량 성분(C1, C2, C3)을 가지는 적층형 콘덴서(10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100)를 DC 라인의 노이즈 필터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회로 구성을 설명한다. 도 19는 실시 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를 DC 라인의 노이즈 필터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등가회로도이다.
적층형 콘덴서(100)는 부의 전원 라인 A와 정의 전원 라인 B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단자전극(112, 114)은 그랜드전위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단자전극(116)은 부의 전원 라인 A에 접속되고, 제 4 단자전극(118)은 정의 전원 라인 B에 접속되어 있다.
DC 라인에서는 동상 노이즈(Common Mode Noise) 및 차동 노이즈(Differential Mode Noise)의 침입이 문제가 된다. 적층형 콘덴서(100)를 노이즈 필터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제 1 용량 성분(C1)에서 차동 노이즈가 흡수되고, 제 2 및 제 3 용량 성분(C2, C3)에서 동상 노이즈가 흡수된다. 그 때문에, 적층형 콘덴서(100)를 노이즈 필터로서 전자기기에 실장한 경우에는 3개의 콘덴서를 실장하여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있는 종래에 비해,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노이즈 필터의 실장면적을 한층 더 축소하게 된다.
다음에, 도 20 내지 도 24에 기초하여,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변형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제 2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적층체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1은 제 2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을 중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제 2 실시예 의 제 1 변형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을 중첩하여 형성되는 용량 성분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100)의 적층체에서는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의 대향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고 있는데 대하여, 제 1 변형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의 적층체에서는 제 3 측면과 제 4 측면의 대향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고 있다.
제 1 측면(104)과 제 2 측면(106)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축방향에서 보아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제 3 측면(108)과 제 4 측면(110)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축방향에서 보아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층(120)은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내부 전극(122)과 제 2 내부 전극(124)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122)은 제 1 전극부분(122a)과 제 2 전극부분(122b)을 갖는다. 제 1 전극부분(122a)은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전극부분(122a)은 제 1 측면(104)과 소정의 간격을 갖고 있고, 제 3 측면(108)과 제 4 측면(110)의 대향방향에서의 중앙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전극부분(122b)은 제 1 측면(104)에 닿도록, 제 3 측면(108)과 제 4 측면(110)의 대향방향에서의 제 1 측면(104)의 중앙부분을 향하여 제 1 전극부분(122a)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내부 전극(122)은 제 1 측면(104)으로 인출되게 된다.
제 2 내부 전극(124)은 제 3 측면(108)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2 내부 전극(124)은 제 1 전극부분(122a)에 대응하 여, 제 3 측면(108)과 제 4 측면(110)의 대향방향에서의 중앙 부근에, 제 1 측면(104)과 제 2 측면(106)의 대향방향에서 협폭의 영역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제 2 내부 전극(124)은 제 1 내부 전극(122)의 제 1 전극부분(122a)을 둘러싸게 된다.
제 3 내부 전극(128)은 제 1 전극부분(128a)과 제 2 전극부분(128b)을 갖는다. 제 3 전극부분(128a)은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3 전극부분(128a)은 제 2 측면(106)과 소정의 간격을 갖고 있고, 제 3 측면(108)과 제 4 측면(110)의 대향방향에서의 중앙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전극부분(128b)은 제 2 측면(106)에 닿도록, 제 3 측면(108)과 제 4 측면(110)의 대향방향에서의 제 2 측면(106)의 중앙부분을 향하여 제 1 전극부분(128a)으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3 내부 전극(128)은 제 2 측면(106)으로 인출되게 된다.
제 4 내부 전극(130)은 제 4 측면(110)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4 내부 전극(130)은 제 1 전극부분(128a)에 대응하여, 제 3 측면(108)과 제 4 측면(110)의 대향방향에서의 중앙부근에, 제 1 측면(104)과 제 2 측면(106)의 대향방향에서 협폭의 영역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제 4 내부 전극(130)은 제 3 내부 전극(128)의 제 1 전극부분(128a)을 둘러싸게 된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내부 전극층(120)과 제 2 내부 전극층(126)을 중첩함으로써, 제 2 내부 전극(124)과 제 4 내부 전극(130)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부분을 갖는다. 제 1 내부 전극층(120)과 제 2 내부 전극층(126)을 중첩함으로써, 제 1 내부 전극(122; 제 1 전극부분(122a))과 제 4 내부 전극(130)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부분을 갖는다. 제 1 내부 전 극층(120)과 제 2 내부 전극층(126)을 중첩함으로써, 제 2 내부 전극(124)과 제 3 내부 전극(128; 제 1 전극부분(128a))이 각각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부분을 갖는다. 이들의 겹치는 부분이 각각 제 1 내지 제 3 용량 성분을 형성하고, 도 18에 도시되는 회로와 등가인 회로를 형성한다.
도 23 및 도 24에, 제 1 내지 제 3 용량 성분(C1, C2, C3)에 필요시되는 용량에 따라서,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122, 124, 128, 130)의 형상 및 면적을 바꾸어 설정하는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23은 제 2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적층체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부분(124a)의 제 1 측면(104)측의 끝, 및 제 1 전극부분(130a)의 제 2 측면(106)측의 끝을 각각, 두 갈래로 분기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122, 128)은 각각, 제 3 측면(108)과 제 4 측면(110)의 대향방향에서 협폭의 영역을 갖고, 이 협폭의 영역이 제 3 측면(108)과 제 4 측면(110)의 대향방향에서 보아, 제 1 전극부분(124a, 130a)의 두 갈래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122, 128)의 협폭의 영역은 제 1 전극부분(124a, 130a)에 각각 둘러싸이게 된다.
도 24는 제 2 실시예의 제 3 변형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적층체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122, 128)은 제 3 측면(108)과 제 4 측면(110)의 대향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는 제 1 전극부분(122a, 128a)과 제 1 및 제 2 측면(104, 106)으로 각각 인출되도록, 제 1 측면(104)과 제 2 측면(106)의 대향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는 제 2 전극부분(122b, 128b)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 1 전극부분(122a, 128a)에 대응하여, 제 2 전극부분(122b, 128b)을 제 1 측면(104)과 제 2 측면(106)과의 대향방향에서 더욱 협폭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예의 변형예(도 11 내지 도 13) 및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도 23, 도 24) 외에도,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12, 122, 24, 124, 28, 128, 30, 130)의 형상 및 면적을, 제 1 내지 제 3 용량 성분(C1, C2, C3)에 필요시되는 용량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12, 122, 24, 124, 28, 128, 30, 130)의 형상도,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 있어서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1 단자전극(12, 112)과 제 2 단자전극(14, 114)은 일체로 형성되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그러한 변경은 모두 당업자에게는 명백히 이해되듯이 청구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형 콘덴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층의 적층방향에 평행한 상기 적층체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는 제 1 단자전극과,
    상기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적층체의 제 2 측면에 위치하는 제 2 단자전극과,
    상기 적층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상기 적층체의 제 3 측면에 위치하는 제 3 단자전극과,
    상기 제 3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적층체의 제 4 측면에 위치하는 제 4 단자전극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내부 전극층은.
    상기 제 1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1 내부 전극과,
    상기 제 1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상기 제 3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상기 제 3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2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내부 전극층은,
    상기 제 2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3 내부 전극과,
    상기 제 3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상기 제 4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상기 제 4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4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내부 전극과 상기 제 4 내부 전극에 의해 제 1 용량 성분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내부 전극과 상기 제 4 내부 전극에 의해 제 2 용량 성분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내부 전극과 상기 제 3 내부 전극에 의해 제 3 용량 성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콘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 전극층의 상기 제 1 내부 전극은 또 상기 제 2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단자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내부 전극층의 상기 제 3 내부 전극은 또 상기 제 1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콘덴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에서의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과의 대향방향에서의 양단 부분은 상기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에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과의 대향방향에서의 도중부분에 비하여, 상기 적층방향 및 상기 대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넓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 층형 콘덴서.
  4.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제 1 내부 전극층과 제 2 내부 전극층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층의 적층방향에 평행한 상기 적층체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는 제 1 단자전극과,
    상기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적층체의 제 2 측면에 위치하는 제 2 단자전극과,
    상기 적층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상기 적층체의 제 3 측면에 위치하는 제 3 단자전극과,
    상기 제 3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적층체의 제 4 측면에 위치하는 제 4 단자전극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내부 전극층은,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1 내부 전극과,
    상기 제 1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상기 제 3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상기 제 3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2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내부 전극층은,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3 내부 전극과,
    상기 제 3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상기 제 4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하는 동시에 상기 제 4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4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내부 전극과 상기 제 4 내부 전극에 의해 제 1 용량 성분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내부 전극과 상기 제 4 내부 전극에 의해 제 2 용량 성분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내부 전극과 상기 제 3 내부 전극에 의해 제 3 용량 성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콘덴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에서의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과의 대향방향에서의 양단 부분은 상기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에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과의 대향방향에서의 도중부분에 비하여, 상기 적층방향 및 상기 대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넓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콘덴서.
KR1020050109705A 2004-11-18 2005-11-16 적층형 콘덴서 KR100770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34931A JP4287807B2 (ja) 2004-11-18 2004-11-18 積層型コンデンサ
JPJP-P-2004-00334935 2004-11-18
JP2004334935A JP4837275B2 (ja) 2004-11-18 2004-11-18 積層型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
JPJP-P-2004-00334931 2004-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384A true KR20060055384A (ko) 2006-05-23
KR100770556B1 KR100770556B1 (ko) 2007-10-29

Family

ID=3596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705A KR100770556B1 (ko) 2004-11-18 2005-11-16 적층형 콘덴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85124B2 (ko)
EP (1) EP1659597B1 (ko)
KR (1) KR100770556B1 (ko)
DE (1) DE602005006501D1 (ko)
TW (1) TWI27798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527B1 (ko) * 2007-09-28 2009-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칩 커패시터 및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용량조절방법
KR100910934B1 (ko) * 2006-08-21 2009-08-06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5507B2 (ja) * 2005-06-13 2009-02-18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US7697262B2 (en) * 2005-10-31 2010-04-13 Avx Corporatio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with internal current cancellation and bottom terminals
US7414857B2 (en) * 2005-10-31 2008-08-19 Avx Corporatio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with internal current cancellation and bottom terminals
US8238116B2 (en) 2007-04-13 2012-08-07 Avx Corporation Land grid feedthrough low ESL technology
KR100905879B1 (ko) * 2007-09-28 2009-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캐패시터
JP4370352B2 (ja) * 2007-10-31 2009-11-25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JP4513855B2 (ja) 2007-11-26 2010-07-28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KR100916476B1 (ko) * 2007-11-30 2009-09-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칩 커패시터 및 이를 구비한 회로기판 장치
GB2466097B (en) * 2008-08-18 2013-02-13 Avx Corp Ultra broadband capacitor
US8446705B2 (en) * 2008-08-18 2013-05-21 Avx Corporation Ultra broadband capacitor
KR101548769B1 (ko) * 2011-04-29 2015-09-1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731452B1 (ko) * 2015-08-26 2017-04-28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고전압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의 제조방법
JP7369703B2 (ja) 2018-03-06 2023-10-26 キョーセラ・エイブイエックス・コンポーネンツ・コーポレーション 超広帯域性能を有する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US11031183B2 (en) 2018-03-06 2021-06-08 Avx Corporatio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having ultra-broadband performance
CN113316829B (zh) 2019-01-28 2023-07-18 京瓷Avx元器件公司 具有超宽带性能的多层陶瓷电容器
US11211201B2 (en) 2019-01-28 2021-12-28 Avx Corporatio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having ultra-broadband performance
JP7446318B2 (ja) 2019-01-28 2024-03-08 キョーセラ・エイブイエックス・コンポーネンツ・コーポレーション 超広帯域性能を有する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WO2020159807A1 (en) 2019-01-28 2020-08-06 Avx Corporatio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having ultra-broadband performance
WO2020159809A1 (en) 2019-01-28 2020-08-06 Avx Corporatio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having ultra-broadband performance
US11705280B2 (en) 2019-04-25 2023-07-18 KYOCERA AVX Components Corporation Multilayer capacitor having open mode electrode configuration and flexible termin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8919B2 (ja) * 1991-12-30 1999-04-05 韓國電子通信研究院 高周波ノイズ除去用チップ型キャパシター
JP3330836B2 (ja) * 1997-01-22 2002-09-30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H10316919A (ja) * 1997-05-16 1998-12-02 Ricoh Co Ltd エマルジョンインク、これを用いた孔版印刷方法及び多色刷り孔版印刷装置
JP3240963B2 (ja) * 1997-07-24 2001-12-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状電子部品の電極形成方法およびチップ状電子部品用ホルダ
JP2000299249A (ja) 1999-04-14 2000-10-24 Maruwa Kck:Kk 積層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35302B2 (ja) 2000-07-03 2011-02-23 Tdk株式会社 積層lcハイパスフィルタと移動体通信機器用周波数分波回路および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
JP3879393B2 (ja) 2000-11-30 2007-02-1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Lc複合部品
JP3788329B2 (ja) * 2001-11-29 2006-06-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ンデンサアレイ
JP3833145B2 (ja) * 2002-06-11 2006-10-11 Tdk株式会社 積層貫通型コンデンサ
DE10235011A1 (de) * 2002-07-31 2004-02-26 Epcos Ag Elektrisches Vielschichtbauelement
JP3847234B2 (ja) * 2002-09-10 2006-11-22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JP3850398B2 (ja) * 2003-08-21 2006-11-29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DE102004004096A1 (de) 2004-01-27 2005-08-18 Epcos Ag Elektrisches Vielschichtbaueleme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934B1 (ko) * 2006-08-21 2009-08-06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US7619871B2 (en) 2006-08-21 2009-11-17 Tdk Corporation Feedthrough multilayer capacitor array
US7724497B2 (en) 2006-08-21 2010-05-25 Tdk Corporation Feedthrough multilayer capacitor mounting structure
KR100910527B1 (ko) * 2007-09-28 2009-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칩 커패시터 및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용량조절방법
US7679882B2 (en) 2007-09-28 2010-03-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ed chip capacitor and capacitance tunn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59597A2 (en) 2006-05-24
TW200632958A (en) 2006-09-16
EP1659597A3 (en) 2007-01-03
US7085124B2 (en) 2006-08-01
TWI277988B (en) 2007-04-01
KR100770556B1 (ko) 2007-10-29
EP1659597B1 (en) 2008-05-07
DE602005006501D1 (de) 2008-06-19
US20060120017A1 (en)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556B1 (ko) 적층형 콘덴서
JP4378371B2 (ja) 積層コンデンサ
KR100691146B1 (ko) 적층형 캐패시터 및 적층형 캐패시터가 내장된 인쇄회로기판
KR100761624B1 (ko) 적층 콘덴서
KR101401269B1 (ko) 관통 콘덴서 어레이
KR20080022505A (ko) 적층 콘덴서
KR101020528B1 (ko) 적층 콘덴서
CN1776845B (zh) 层积型电容器
KR20100044132A (ko)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
KR20080008979A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KR101051620B1 (ko) 적층 콘덴서
JP2000058376A (ja) 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4618362B2 (ja) 積層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6136507B2 (ja)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JP4837275B2 (ja) 積層型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
JP4975668B2 (ja) 積層型コンデンサ及びその実装構造
KR101051621B1 (ko) 관통 콘덴서 및 관통 콘덴서의 실장 구조
EP1605477B1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for three-dimensional mounting
JP4618361B2 (ja) 積層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2010098052A (ja) 積層貫通コンデンサ
JP2008172096A (ja) 複合電子部品
JP4770941B2 (ja) 積層型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
JP5071327B2 (ja) 貫通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2700833B2 (ja) セラミック複合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38813A (ja) Lc複合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