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4008A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4008A
KR20060054008A KR1020050096999A KR20050096999A KR20060054008A KR 20060054008 A KR20060054008 A KR 20060054008A KR 1020050096999 A KR1020050096999 A KR 1020050096999A KR 20050096999 A KR20050096999 A KR 20050096999A KR 20060054008 A KR20060054008 A KR 20060054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member
microphone
support piece
container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6550B1 (ko
Inventor
신이치 가노
도쿠스케 쓰지모토
고이치 사다쓰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4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용기, 상기 용기 상에 밖으로 향해 개방된 상태로 배치되며, 저벽 및 상기 저벽의 외주로부터 직립한 측벽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납 오목부, 상기 수납 오목부에 수납되며,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는 진동 완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유지 부재,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저벽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유지 부재를 상기 수납 오목부 내에 지지하는 지지편,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수납 오목부 내에 상기 지지편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부재의 밖으로 향한 면상에 밖으로 향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로폰용 오목부, 상기 마이크로폰용 오목부 내에 삽입되어 있는 마이크로폰, 및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지지편에 의해 상기 수납 오목부 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부재의 밖으로 향한 쪽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로폰에 대면하는 부분에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마이크로폰에 전달된 잡음과 진동을 억제함으로써 양호한 오디오 신호를 얻는다. 수납 오목부는 용기 상에 밖으로 향해 개방된 상태로 배치되며, 마이크로폰은 진동 완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수납 오목부 내에 상기 지지편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수납 오목부의 상기 저벽 사이에 공간(S)이 확보된다. 용기 내에서 발생하는 잡음은 저벽, 수납 오목부를 구성하는 측벽, 공간(S), 및 유지 부재 에 의해 완화된다. 용기 내에서 발생된 진동은 저벽과 유지 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의해 저벽으로부터 유지 부재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용기, 마이크로폰, 지지편, 유지체, 그릴, 촬상 장치, 수납 오목부, 저벽, 측벽, 마이크로폰용 오목부, 공간.

Description

전자 장치{ELECTRONICS APPARATUS}
도 1은 촬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촬상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촬상장치의 오목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마이크로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마이크로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마이크로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는 마이크로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케이스에 부착된 마이크로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마이크로폰 장치의 평면도이고, (b)는 (a)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c)는 (a)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d)는 (a)의 화살표 D에서 본 도면이며, (e)는 (a)의 화살표 E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f)는 (c)의 화살표 F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마이크로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화살표 D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0의 화살표 E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2의 화살표 F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6은 마이크로폰 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용기 52: 마이크로폰
54: 지지편 56: 유지체
58: 그릴 100: 촬상 장치
1102: 수납 오목부 1104: 저벽
1106: 측벽 5606: 마이크로폰용 오목부
S: 공간
(1)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4-300101호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18543호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04년 10월 14일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4-300101호에 관련된 주제를 포함하는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되어 포함된다.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진 영상 신호와 촬영 환경에서의 주위 음향으로부터 얻어진 오디오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촬상장치와 같은 장치가 있다.
그러한 전자 장치로서, 소위 스테레오 재생 시스템(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18543호 참조)의 다중 채널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복수개의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것이 있다.
마이크로폰이 전자 장치에 설치될 때, 마이크로폰은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의 외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용기 내에 설치된다.
한편, 전자 장치의 내부에, 예를 들면, CD 또는 DVD 등의 광디스크, MD 등의 광자기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그 동력 전달 기구가 포함된다.
따라서, 그러한 모터 및 동력 전달 기구로부터 발생된 진동 및 잡음이 용기를 통해 마이크로폰으로 전달되어, 잡음이 기록 매체에 기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 내부에서 발생되는 잡음 및 진동기 마이크로폰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마이크로폰으로 전달되는 잡음 및 진동을 억제하여 양호한 오디오 신호를 얻을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용기, 상기 용기 상에 밖으로 향해 개방된 상태로 배치되며, 저벽 및 상기 저벽의 외주로부터 직립한 측벽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납 오목부, 상기 수납 오목부에 수납되며,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는 진동 완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유지 부재,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저벽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유지 부재를 상기 수납 오목부 내에 지지하는 지지편,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수납 오목부 내에 상기 지지편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부재의 밖으로 향한 면상에 밖으로 향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로폰용 오목부, 상기 마이크로폰용 오목부 내에 삽입되어 있는 마이크로폰, 및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지지편에 의해 상기 수납 오목부 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부재의 밖으로 향한 쪽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로폰에 대면하는 부분에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내에서 발생하는 잡음은 저벽, 수납 오목부를 구성하는 측벽, 공간, 및 유지 부재에 의해 완화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폰에 도달하는 잡음은 억제되어, 양호한 오디오 신호가 얻어질 수 있다.
유지 부재와 저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용기 내에서 발생된 진동은 저벽으로부터 유지 부재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거나, 진동이 저벽으로부터 지지편으로 전달되더라도, 진동은 유지 부재에 의해 완화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폰에 도달하는 진동이 억제될 수 있어, 양호한 오디오 신호가 얻어진다.
마이크로폰에 전달되는 잡음과 진동을 감소시켜 양호한 오디오 신호를 얻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용기 상에 외부로 향해 개방된 수납 오목부, 진동 완화 부재로 제조된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된 마이크로폰, 및 상기 수납 오목부 내의 지지편에 의해 지지된 지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수납 오목부의 저벽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제1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가 촬상장치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촬상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촬상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촬상장치의 오목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마이크로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마이크로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a)는 마이크로폰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a)는 마이크로폰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7(b)는 도 7(a)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케이스에 부착된 마이크로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마이크로폰 장치의 평면도이고, (b)는 (a)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c)는 (a)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d)는 (a)의 화살표 D에서 본 도면이며, (e)는 (a)의 화살표 E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f)는 (c)의 화살표 F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마이크로폰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도 12는 도 10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0의 화살표 D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도 14는 도 10의 화살표 E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2의 화살표 F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도 16은 마이크로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100)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이다. 그것은 외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용기(11)를 구비하며, 용기(11)는 길이방향(전후방향)의 두께, 횡방향(좌우방향)의 폭, 및 수직방향(상하방향)의 높이를 가진다.
용기(11)의 앞에, 촬영 광학계(14)를 수납하는 렌즈 장착부(10)가 설치되고, 렌즈 장착부(10)에, 전방으로 향하도록 대물렌즈(1402)가 배치된다.
이하에서, 대물렌즈(1402)의 광축을 따라 피사체로 향한 용기(11)의 쪽을 앞쪽이라고 정의하고, 그 반대쪽을 뒤쪽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용기(11)의 좌우 쪽은 용기(11)를 앞쪽으로부터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한다.
렌즈 장착부(10)의 뒤쪽에, 촬영 광학계(14)를 통해 안내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CCD 또는 CMOS 센서로 형성된 촬상소자(18)(도 2 참조)가 배치된다.
용기(11)의 뒷면의 상부에, 촬상소자(18)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상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뷰 파인더(view finder)(20)가 설치된다.
용기(11)의 전방 단부쪽의 상면에, 마이크로폰 장치(50)가 설치된다.
용기(11)의 오른쪽 면에, 촬상소자(18)에 의해 촬상된 상 또는 기억 매체(116)로부터 재생된 동화상, 정지화상, 문자 또는 기호 등을 표시하는 사각형 판 모양의 디스플레이(110)가 개폐를 위한 힌지 기구를 거쳐 용기(11)에 부착된다.
용기(11)의 왼쪽 면에, 광 디스크로 형성된 기억 매체(116)(도 2 참조)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기록 재생 기구가 설치된다.
기록 재생 기구(130)는, 촬상소자(18)에 의해 촬상된 영상 신호 및 마이크로폰 장치(50)에 설치된 4개의 마이크로폰(52)(도 2 참조)에 의해 포착된 오디오 신호를 기억 매체(116)에 기록하고, 기억 매체(116)에 기록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용기(11)의 후방 단부쪽의 상면의 위치 및 용기(11)의 후방 단부쪽의 좌우 면의 위치에, 촬영 광학계(14)의 주밍 동작을 행하기 위한 주밍 스위치, 각종 동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버튼, 촬영 개시/정지 버튼 등, 여러 가지 조작 스위치(108)가 설치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장치(100)는, 촬상소자(18)로부터 출력된 촬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재생 기구(130)를 거쳐 기억 매체(116)에 기록하는 화상 처리부(120), 상기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하는 표시 처리부(122), 4개의 마이크로폰(50)으로부터 출력되는 4개의 채널 분의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여 5.1 채널의 스테레오 재생 방식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이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기록 재생 기구(130)를 거쳐 기억 매체(116)에 기록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132), 제어부(134)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124)는, 화상 처리부(120), 표시 처리부(124), 기록 재생 기구(130), 오디오 신호 처리부(132)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제, 3차원 음장(音場)(sound field) 재생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현재, 좌우 방향의 음장 및 전후 방향의 음장(이하의 설명에서는 3차원 음장이라고 칭한다)을 재생하는 3차원 음장(sound field) 재생 방식으로서, 돌비-서라운드(DOLBY SURROUND) 방식, 돌비-서라운드 프로 로직(DOLBY SURROUND PRO LOGIC) 방식, 돌비-디지털(DOLBY DIGITAL) 방식, 및 DTS(Digital Theater System) 방식 등의 재생 방식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3차원 음장 재생 방식에 따라 생성된 오디오 신호가 기록된 기억 매체를 3차원 음장 재생 방식이 적용된 재생 장치를 이용하여 재생함으로써, 시청자는 연주의 현장감을 즐길 수 있다.
상술한 3차원 음장 재생 방식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기 위해, 3방향 이상의 방향으로부터의 음을 각각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집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3차원 음장 재생 방식 중 하나인 5.1 채널 방식에 대응하여 4개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음을 수집하도록 하고 있다.
돌비(DOLBY), 돌비-서라운드(DOLBY SURROUND), 돌비-서라운드 프로 로직(DOLBY SURROUND PRO LOGIC), 돌비-디지털(DOLBY DIGITAL), 및 DTS(Digital Theater System)는, 미국의 돌비 러보러토리즈 라이센싱 코포레이션의 등록 상표명이고, DTS는 미국의 디지털 시어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의 등록 상표명이다.
아래에서 마이크로폰 장치(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마이크로폰 장치(50)는, 용기(11)의 상면 앞에 형성되어 내부에 마이크로폰(52)을 설치하기 위한 수납 오목부(1102), 이 수납 오목부(1102)에 지지편(54)에 의해 지지된 유지 부재(56), 유지 부재(56)로 지지된 마이크로폰(52), 유지 부재(56)의 상면(5602)을 덮는 그릴(58) 등으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수납 오목부(1102)는, 용기(11)에 형성된 저벽(1104) 및 저벽(1104)의 외주로부터 직립하는 측벽(1106)으로 구성되어, 위로 개방된 상태의 수납 오목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용기(11)는, 용기 본체(11A), 및 용기 본체(11A)의 상면 전방부에 일체로 장착되는 분리 부재(11B)로 구성되고, 수납 오목부(1102)는 분리 부재(11B)에 형성된다.
유지 부재(56)는, 진동을 완화시키는 진동 완화 재료로 형성된다.
진동 완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탄성 중합체, 고무 등의 탄성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유지 부재(56)는 원반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원주부에는 원주부가 수납 오목부(1102)의 측벽(1106)에 탄성 접촉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가진 원통 모양의 면이 형성된다.
유지 부재(56)의 원주부가 수납 오목부(1102)에 탄성 접촉되어 유지 부재(56)가 수납 오목부(1102)에 수납된 상태에서, 유지 부재(56)는 위로 향한 상면(5602)과 수납 오목부(1102)의 저벽(1104)에 면한 하면(5604)을 갖고, 유지 부재(56)의 하면(5604)과 수납 오목부(1102)의 저벽(1104) 사이에 공간(S)이 확보된다.
또한, 유지 부재(56)가 수납 오목부(1102)에 수납된 상태에서, 유지 부재 (56)의 상면(5602)은, 대물 렌즈(1402)의 광축에 대해 평행한 가상의 축을 가진 원통 모양의 면으로 형성된다.
유지 부재(56)의 상면(5602)에는, 마이크로폰용 오목부(5606)가 위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본 실시예에서는, 오목부(5606)는 유지 부재(56)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마이크로폰용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됨).
마이크로폰용 오목부(5606)는, 유지 부재(56)의 원주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4개가 설치된다.
유지 부재(56)가 지지편(54)을 거쳐 수납 오목부(1102)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각각의 마이크로폰용 오목부(5606)는 유지 부재(56)의 전후 및 좌우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마이크로폰용 오목부(5606)는, 유지된 마이크로폰(52)이, 대물렌즈(1402)의 광축에 대해 평행한 가상의 축을 가진 원통 모양의 면상에 배치되도록, 그 깊이 등이 형성된다.
유지 부재(56)의 상면(5602)에는, 유지 부재(56)의 원주 가장자리를 따라 그릴 삽입용 홈(5608)이 원주 전체를 연속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유지 부재(56)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상면(5602)으로부터 하면(5604)으로 관통하는 스프링 삽입용 구멍(561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삽입용 구멍(5610)은 상면(5602) 쪽에 위치하는 대직경부(5610A), 및 하면(5604) 쪽에 위치하는 소직경부(5610B)로 구성된다.
도 4, 도 5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유지 부재(56)의 하면에는, 위로 오목한 원형의 오목부(5612)가 형성된다. 오목부(5612)의 원주벽(5614)에는 등간격으로 4개의 결합 슬릿(5616)이 형성된다.
원주벽(5614)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아래로 개방된 절결부(5618)가 형성된다.
도 8에 나타내듯이, 도전성을 가진 예를 들면 금속 등의 박판으로 형성된 지지편(54)은 유지 부재(56)를 수납 오목부(1102) 내에 지지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지지편(54)은, 수납 오목부(1102)의 저벽(1104)에 부착되는 사각형의 본체부(5402), 본체부(5402)의 4개의 코너로부터 돌출된 4개의 결합편(5404), 및 본체부(5402)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위치로부터 각각 돌출된 2개의 위치 결정편(5406)을 구비한다.
4개의 결합편(5404) 및 2개의 위치 결정편(5406)은, 본체부(5402)에 대하여 본체부(5402)의 두께 방향으로 다른 레벨에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유지 부재(56)와 저벽(1104) 사이에 공간(S)이 확보되도록, 수납 오목부(1102) 내에 유지 부재(56)를 지지한다.
도 8에 나타내듯이, 본체부(5402)의 중심에 나사 구멍(5408)이 형성되고, 도 4에 나타내듯이, 2개의 위치 결정편(5406)에는 각각 위치 결정 구멍(5410)이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마이크로폰(52)은 4개 설치되고, 각각 가요성 기판(53) 상에 장착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가요성 기판(53)은, 각각의 마이크로폰(52)으로 부터 출력되는 음성 검출 신호를 전달하는 도전 패턴이 형성된 벨트 모양의 제1 배선부(5302), 및 접지 전위에 접속되는 접지 접속용 패턴이 형성된 벨트 모양의 제2 배선부(5304)를 구비한다.
도 8에 나타내듯이, 4개의 마이크로폰(52)은, 각각 마이크로폰용 오목부(5606)에 삽입되고, 각각의 마이크로폰(52)은, 대물렌즈(1402)의 광축에 대해 평행한 가상의 축을 가진 원통 모양의 면상에서 유지 부재(56)의 전후부 및 좌우부의 위치에 배치된다.
도 4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그릴(58)은, 도전성을 가진 예를 들면 금속 등의 박판으로 구성되고,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인 상면부(5802), 및 상면부(5802)의 원주로부터 아래로 굽혀진 환형 측면부(5804)를 구비한다.
상면부(5802)는, 유지 부재(56)의 상면(5602)을 덮는, 즉, 유지 부재(56)의 상면(5602)과 합치하는, 크기를 가진 원통 모양의 면으로 형성되고, 측면부(5804)는, 유지 부재(56)의 그릴 삽입용 홈(5608)에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상면부(5802)에, 각 마이크로폰(52)에 대면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 구멍(5806)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나타내듯이, 그릴(58)의 상면부(5802)와 유지 부재(56)의 상면부(5602) 사이에, 유지 부재(56)의 각 마이크로폰용 오목부(5606)를 덮는 부직포(不織布)(nonwoven fabric)(62)가 삽입된다. 부직포(62)는, 공기가 마이크로폰용 오목부(5606)로 불어 들어와 잡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코일 스프링(60)은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고, 대직경부 (5610A)에 수납되는 코일(6002), 코일(6002)의 단부로부터 코일(6002)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소직경부(5610B)에 삽입되는 축부(6004)로 구성된다.
아래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이크로폰(52)이 유지 부재(56)의 마이크로폰용 오목부(5606)에 하면(5604)으로부터 삽입되고, 유지 부재(56)의 하면(5604) 아래에 가요성 기판(53)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음에, 코일 스프링(60)은 스프링 삽입 구멍(5610)에 삽입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 스프링(60)의 코일(6002)가 스프링 삽입 구멍(5610)의 대직경부(5610A)에 삽입되고, 축부(6004)가 스프링 삽입 구멍(5610)의 소직경부(5610B)에 삽입된다.
다음에, 그릴 삽입용 홈(5608)에 그릴(58)의 측벽부(5804)가 삽입되고, 부직포(62)가 그릴(58)의 상면부(5802)의 이면에 부착되며, 그릴(58)의 상면부(5802)가 유지 부재(56)의 상면(5602)에 장착된다.
다음에, 지지편(54)의 4개의 결합편(5404)이 유지 부재(56) 내의 결합 슬릿(5616)에 삽입되고, 2개의 위치 결정편(5406)이 유지 부재(56) 내의 절결부(5618)에 수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배선부(5302, 5304)는 지지편(54)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음에, 가요성 기판(53)의 제1 및 제2 배선부(5302, 5304) 중, 제2 배선부(5304)는 본체부(5402)의 에지에서 본체부(5402)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뒤로 접힌다. 본체부(5402)의 하면 중앙의 아래에 위치된 제2 배선부(5304)의 일부는 본 체부(5402)의 하면 중앙에 접착된다. 따라서, 가요성 기판(53)의 제2 배선부(5304)의 접지 접속용 패턴 부분이 지지편(54)의 본체부(5402)의 본체부(5402)에 전기 접속된다. 제1 배선부(5302)는 나타내지 않은 컨넥터 및 배선 케이블을 거쳐 도 2에 나타낸 오디오 신호 처리부(132)에 접속된다.
다음에, 도 3, 도 9 내지 도 16에 타나내듯이, 마이크로폰(52), 그릴(58) 및 부직포(62)가 장착된 유지 부재(56)가 수납 오목부(1102)에 수납되는 한편, 가요성 기판(53)의 제1 및 제2 배선부95302, 3504)의 단부는 저벽(1104)에 형성된 슬릿(1108)을 통과하여 용기(11)의 내부에 도달한다. 슬릿(1108)과 가요성 기판(53) 사이에 형성된 공간(S)은 공간(S)에 채워진 음 제거 시트로 밀봉된다.
다음에, 지지편(54)의 본체부(5402)는 수납 오목부(1102)의 저벽(1104)에 부착된다. 지지편(54)의 본체부(5402)를 수납 오목부(1102)의 저벽(1104)에 부착시킴으로써, 저벽(1104)으로부터 돌출하는 위치 결정핀(1110)은 각각 2개의 위치 결정편(5406)의 위치 결정 구멍(5410)에 삽입되어, 수납 오목부(1102)에 대한 유지 부재(56)의 위치 결정이 수행된다.
다음에, 나사(1114)는 수납 오목부(1102)의 저부를 구성하는 분리 부재(11B)의 부분의 나사 삽입 구멍(1112)을 통하여 통과되고, 지지편(54)의 나사 구멍(5408)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유지 부재(56)는 수납 오목부(1102) 내에서 지지되어, 유지 부재(56)의 하면(5604)과 저벽(1104) 사이에 공간(S)이 확보된다.
한편, 코일 스프링(60)은 지지편(54)과 그릴(58)에 의해 압축되어, 지지편 (54)과 그릴(58)이 코일 스프링(60)을 거쳐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내듯이, 접지 전위로 접속된 접지판(70)이 수납 오목부(1102)의 저벽(1104)을 구성하는 분리 부재(11B)의 하면에 고정된다. 제2 배선부(5304)는 접지판(70)과 함께 나사(1114)에 의해 분리 부재(11B)의 하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2 배선부(5304)의 접지 접속용 패턴과 접지판(70)이 전기 접속되고, 따라서 접지판(70)은 제2 배선부(5304) 상의 접지 접속용 패턴을 거쳐 지지편(54)에 전기 접속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접지판(70)은 제2 배선부(5304)의 접지 접속용 패턴을 거쳐 지지편(54)에 전기 접속되고, 지지편(54)은 코일 스프링(60)을 거쳐 그릴(58)에 전기 접속된다. 따라서, 지지편(54)과 그릴(58)은 접지 전위에 확실히 접속되고, 따라서, 마이크로폰(52)에 대한 노이즈의 영향이 방지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납 오목부(1102)가 밖으로 향해 개방된 상태로 용기(11) 상에 형성되고, 마이크로폰(52)은 진동 완화 재료로 제조된 유지 부재(56)에 의해 유지되며, 유지 부재(56)는 지지편(54)에 의해 수납 오목부(1102) 내에 지지되어, 공간(S)이 유지 부재(56)와 수납 오목부(1102)의 저벽(1104) 사이에 확보된다.
따라서, 용기(11)의 내부에 발생하는 잡음은, 수납 오목부(1102)를 구성하는 저벽(1104) 및 측벽(1106), 공간(S), 및 유지 부재(56)에 의해 완화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폰(52)에 도달하는 잡음은 억제되어, 양호한 오디오 신호가 얻어진다.
또한, 유지 부재(56)와 저벽(1104)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11)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저벽(1104)으로부터 유지 부재(56)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고, 진동이 저벽(1104)으로부터 지지편(54)으로 전달되더라도, 진동은 유지 부재(56)에 의해 완화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폰(52)에 도달하는 진동은 억제되어, 양호한 오디오 신호가 얻어진다.
따라서, 5.1 채널 방식 등의 3차원 음장 재생 방식에서 복수개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약한 음성을 효과적으로 수집하는데 있어서, 상기 잡음 및 진동의 영향이 대폭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기억 매체(116)에 기록되는 3차원 음장 재생 방식의 오디오 신호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고, 기억 매체(116)가 3차원 음장 재생 방식의 오디오 장치(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된 때, 유저는 현장감을 즐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폰(52)은, 대물렌즈(1402)의 광축에 대해 평행한 가상의 축을 가진 원통 모양의 면상에 배치되고, 유지 부재(56)의 전후부 및 좌우부에 위치된다. 4개의 마이크로폰(52)이 그러한 원통 모양의 면상에 배치되면, 4개의 마이크로폰(52)이 평면상에 배치된 경우에 비하여, 주변 음향은 더욱 밸런스 있게 수집될 수 있어, 특히 5.1 채널용 오디오 신호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마이크로폰(52)을 이용하여 5.1 채널 방식의 오디오 신호가 기억 매체(116)에 기록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마이크로폰은 1개 또는 그 이상이라도 되며, 기억 매체(116)에 기록되는 오디오 신호의 형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적용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적용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물론,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still)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 또는 카메라를 내장한 휴대 전화기, 또는 촬상 장치 이외의 녹음 장치, 그러한 녹음 장치가 합체된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여러 가지 수정, 조합, 서브 조합, 및 변경이, 첨부된 청구범위 및 동등물의 범위 내에 있는 한, 설계 요구사항 및 다른 인자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에 의하면, 마이크로폰으로 전달되는 잡음 및 진동을 억제하여 양호한 오디오 신호를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용기,
    상기 용기 상에 밖으로 향해 개방된 상태로 배치되며, 저벽 및 상기 저벽의 외주로부터 직립한 측벽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납 오목부,
    상기 수납 오목부에 수납되며,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는 진동 완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유지 부재,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저벽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유지 부재를 상기 수납 오목부 내에 지지하는 지지편,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수납 오목부 내에 상기 지지편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부재의 밖으로 향한 면상에 밖으로 향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로폰용 오목부,
    상기 마이크로폰용 오목부 내에 삽입되어 있는 마이크로폰, 및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지지편에 의해 상기 수납 오목부 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부재의 밖으로 향한 쪽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로폰에 대면하는 부분에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그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지지편에 의해 상기 수납 오목부 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부재의 원주부가 상기 수납 오목부의 상기 측벽 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마이크로폰용 오목부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마이크로폰이 각각의 상기 마이크로폰용 오목부 내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에 일체로 부착된 분리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 오목부가 배치된 상기 용기의 부분이 상기 분리 부재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촬상 장치이고, 상기 촬상 장치의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대물렌즈의 광축이, 전방이 피사체를 향한 쪽으로서 정의될 때,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마이크로폰용 오목부가 상기 유지 부재의 원주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마이크로폰이 각각의 상기 마이크로폰용 오목부 내에 각각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폰용 오목부 의 배치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마이크로폰이 상기 광축에 대해 평행한 가상의 축을 가진 원통 모양의 면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촬상 장치이고, 상기 촬상 장치의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대물렌즈의 광축이, 전방이 피사체를 향한 쪽으로서 정의될 때,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마이크로폰용 오목부가 상기 유지 부재의 전후방 위치 및 좌우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마이크로폰이 전체 4개로서 각각의 상기 마이크로폰용 오목부 내에 각각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4개의 상기 마이크로폰이 상기 광축에 대해 평행한 가상의 축을 가진 원통 모양의 면상에서 상기 유지 부재의 전후방 위치 및 좌우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촬상 장치이고, 상기 촬상 장치의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대물렌즈의 광축이, 전방이 피사체를 향한 쪽으로서 정의될 때,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지지편에 의해 상기 수납 오목부 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부재의 밖으로 향한 상기 면과 상기 그릴이 상기 광축에 대해 평행한 가상의 축을 가진 원통 모양의 면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촬상 장치이고, 상기 촬상 장치의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대물렌즈의 광축이, 전방이 피사체를 향한 쪽으로서 정의될 때,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지지편에 의해 상기 수납 오목부 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부재의 밖으로 향한 상기 면과 상기 그릴이 상기 광축에 대해 평행한 가상의 축을 가진 원통 모양의 면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과 그릴이 도전성을 가진 재료로 제조되고,
    도전성을 가진 재료로 제조된 코일 스프링이 상기 유지 부재를 관통하는 구멍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코일 스프링이 상기 지지편과 상기 그릴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050096999A 2004-10-14 2005-10-14 전자 장치 KR101096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00101A JP4186907B2 (ja) 2004-10-14 2004-10-14 電子機器
JPJP-P-2004-00300101 2004-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008A true KR20060054008A (ko) 2006-05-22
KR101096550B1 KR101096550B1 (ko) 2011-12-20

Family

ID=3550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999A KR101096550B1 (ko) 2004-10-14 2005-10-14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16260B2 (ko)
EP (1) EP1648192A2 (ko)
JP (1) JP4186907B2 (ko)
KR (1) KR101096550B1 (ko)
CN (1) CN10039123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3840B2 (ja) * 2005-12-26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GB0609416D0 (en) * 2006-05-12 2006-06-21 Audiogravity Holdings Ltd Wind noise rejection apparatus
WO2008056572A1 (fr) * 2006-11-07 2008-05-15 Panasonic Corporation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 procédé d'enregistrement
US20130148811A1 (en) * 2011-12-08 2013-06-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Position Devia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and Generating a Binaural Audio Signal Based on the Position Deviations
JP5931566B2 (ja) * 2012-04-26 2016-06-08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単一指向性マイクロホン
US8965033B2 (en) 2012-08-31 2015-02-24 Sonos, Inc. Acoustic optimization
KR102048249B1 (ko) * 2012-12-04 2019-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JP6164415B2 (ja) * 2013-09-03 2017-07-19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マイクロフォン装置
US9366879B1 (en) * 2014-12-02 2016-06-14 Hutchinson Technology Incorporated Camera lens suspension with polymer bearings
US9454016B1 (en) 2015-03-06 2016-09-27 Hutchinson Technology Incorporated Camera lens suspension with integrated electrical leads
WO2017214583A1 (en) 2016-06-09 2017-12-14 Hutchinson Technology Incorporated Shape memory alloy wire attachment structures with adhesive for a suspension assembly
EP3352473B1 (en) * 2017-01-24 2019-07-2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ound pickup device and imaging device using same
JP7150470B2 (ja) * 2018-05-18 2022-10-1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216501A (ko) * 1972-12-06 1974-06-10
JPH067660Y2 (ja) * 1984-03-09 1994-02-23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ステレオマイクロホン
JP2656884B2 (ja) * 1993-03-01 1997-09-2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一体型vtr
US5359157A (en) * 1993-08-30 1994-10-25 Jen-Cheng Peng Contact type indirect conduction, vibrating type microphone
WO1998048595A1 (en) * 1997-04-22 1998-10-29 Maxon Systems Inc. (London) Ltd. Electronic appliance comprising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3975007B2 (ja) * 1998-07-10 2007-09-12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単一指向性マイクロホン
US6507659B1 (en) * 1999-01-25 2003-01-14 Cascade Audio, Inc. Microphone apparatus for producing signals for surround reproduction
JP4178667B2 (ja) 1999-06-18 2008-1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を有する電子機器
JP3360254B2 (ja) * 1999-07-27 2002-12-24 エヌイーシー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ノイズキャンセリングハンドセット用マイクホルダ、ノイズキャンセリングハンドセット、及びハンドセットへのノイズキャンセリングマイクの実装方法
JP3621615B2 (ja) * 1999-11-12 2005-02-16 ヤマハメタニクス株式会社 マイクホルダ
JP3762613B2 (ja) * 2000-05-19 2006-04-0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機器のマイクロフォン取付け構造
JP2003018543A (ja) 2001-04-27 2003-01-17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CA2374299A1 (en) * 2002-03-01 2003-09-01 Charles Whitman Fox Modular microphone array for surround sound recording
JP2003348419A (ja) * 2002-05-30 2003-12-05 Canon Inc 撮像装置
AU2003299178A1 (en) * 2002-10-01 2004-04-23 Donnelly Corporation Microphone system for vehicle
JP3516143B2 (ja) 2002-12-24 2004-04-0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7826624B2 (en) * 2004-10-15 2010-11-02 Lifesize Communications, Inc. Speakerphone self calibration and beam form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91235C (zh) 2008-05-28
JP4186907B2 (ja) 2008-11-26
US7616260B2 (en) 2009-11-10
CN1764239A (zh) 2006-04-26
US20060109997A1 (en) 2006-05-25
EP1648192A2 (en) 2006-04-19
KR101096550B1 (ko) 2011-12-20
JP2006115180A (ja)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550B1 (ko) 전자 장치
JP6354832B2 (ja) マイクロフォンの保持構造、及び電子機器
JP2006352367A (ja) 音響装置
JP4193840B2 (ja) 電子機器
JP6682755B2 (ja) カメラ装置
JP2004120598A (ja) 音響部品の保持構造および携帯型電子機器
JP4662165B2 (ja) 電子機器
JP4266202B2 (ja) カメラ
JP2007329729A (ja) 撮像装置
US20110110547A1 (en) Electronic device
JP6223031B2 (ja) 撮像装置
JP6733865B2 (ja) カメラ装置
CN113747313A (zh) 发声装置和电子设备
JP4513561B2 (ja) マイクロフォン装置
JP3318191B2 (ja) 部品ホルダー
JP2005341073A (ja) マイクロホン
JP6141132B2 (ja) 撮像装置
JP2007328866A (ja) 電子機器
KR100678664B1 (ko) 캠코더
JP4322955B2 (ja) カメラ
JP2006135733A (ja) 映像音声再生装置
JP2006352760A (ja) 撮像装置
JP2007258969A (ja) 音響振動検出装置
JP2007164884A (ja) 携帯通信端末
JP2019214279A (ja) 車両用端末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