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918A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918A
KR20060048918A KR1020050069309A KR20050069309A KR20060048918A KR 20060048918 A KR20060048918 A KR 20060048918A KR 1020050069309 A KR1020050069309 A KR 1020050069309A KR 20050069309 A KR20050069309 A KR 20050069309A KR 20060048918 A KR20060048918 A KR 20060048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ata
input
sign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9876B1 (ko
Inventor
타이 시라이시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8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복수의 데이터 신호선의 나란한 방향으로 좌 및 우 패널부가 인접하고, 각 패널부에 대응하여 데이터 신호선의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가 제공되어 있다. 콘트롤러로부터, 각 소스 드라이버에 대해 데이터 신호가 병렬로 입력되고, 패널부 마다 각 1개의 소스 드라이버에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다. 각 패널부에서는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소스 드라이버로부터 인접한 소스 드라이버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의 취입 동작이 이행된다. 콘트롤러는, 스타트 신호를 양 패널부의 경계부에 가장 가까운 양 소스 드라이버에 입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패널부의 소스 드라이버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의 연속성이 얻어지도록 재배열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2분할 구동을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동 액정 표시 장치가 정규 표시를 행하는 경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는 2분할 구동을 행하지 않는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동 액정 표시 장치가 정규 표시를 행하는 경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3은 도2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가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경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4는 도2에 나타낸 정규 표시를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각 신호끼리의 위상 관계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5는 도3에 나타낸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각 신호끼리의 위상 관계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6은 도1에 나타낸 정규 표시를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각부의 신호와 소스 드라이버에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의 열 순서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7은 도1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가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경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8은 도7에 나타낸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각부의 신호와 소스 드라이버에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의 열 순서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9는 도1에 나타낸 콘트롤러가 구비한, 소스 드라이버에 대해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10은, 도9에 나타낸 구성에서의, 표시 데이터에 관한 라인 메모리로의 기입 동작, 라인 메모에서의 독출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11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2는 종래의 2분할 구동을 행하지 않는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동 액정 표시 장치가 정규 표시를 행하는 경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13은 도12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가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경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14는 종래의 2분할 구동을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동 액정 표시 장치가 정규 표시를 행하는 경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15는 도14에 나타낸 정규 표시를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각부의 신호와 소스 드라이버에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의 열 순서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16은 도14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가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경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17은 도16에 나타낸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각부의 신호와 소스 드라이버에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의 열 순서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 이다.
도18은 도12에 나타낸 정규 표시를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각 신호끼리의 위상 관계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19는 도13에 나타낸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각 신호끼리의 위상 관계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를 대표하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텔레비젼 세트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가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를 대표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예로 종래의 기술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3…이란, 액정 표시 패널의 1수평 라인의 화소를 좌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우단으로 화소1, 화소2, 화소3…이라고 한 경우에, 정규 표시에 있어서 각각 화소1, 화소2, 화소3…에 기입되어야 하는 표시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11은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101)을 가지며, 이 액정 표시 패널(101)에는, 복수의 소스 버스 라인(102)과 복수의 게이트 버스 라인(103)이 매트릭 스 형태로 제공되어 있다. 각 소스 버스 라인(102)은 소스 드라이버 SD와 접속되고, 각 게이트 버스 라인(103)은 게이트 드라이버 GD와 접속되어 있다. 소스 드라이버 SD는, 액정 표시 패널(101)의 소스 버스 라인(102)의 방향과 직교하는 일변을 따라 제공되고, 게이트 드라이버 GD는 게이트 버스 라인(103)의 방향과 직교하는 일변을 따라 제공되어 있다. 소스 드라이버 SD 및 게이트 드라이버 GD의 동작은, 콘트롤러(106)에서 부여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소스 버스 라인(102)과 게이트 버스 라인(103)의 각 교차부에는, TFT(108)가 제공되어 있다. TFT(108)의 소스는 소스 버스 라인(102)과 접속되고, 게이트는 게이트 버스 라인(103)과 접속되고, 드레인은 화소 전극(109)과 접속되어 있다. 화소 전극(109)은 액정 용량 Clc를 통해 대향 전극 Com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선 순차적인 구동에 있어서, 소스 드라이버 SD로부터 각 소스 버스 라인(102)으로 동시에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고, 게이트 드라이버 GD에 의해 각 게이트 버스 라인(103)이 순차적으로 선택된다. 따라서, 선택된(선택 기간의) 게이트 버스 라인(103)에 접속되어 있는 TFT(108)가 온이 되고, 그들 TFT(108)를 통해 화소 전극(109)에 소스 버스 라인(102)의 데이터 신호가 기입된다. 기입된 데이터 신호는 다음 회에 그 화소 전극(109)에 데이터 신호가 기입될 때까지 유지되고, 이로써 액정 표시 패널(101)에 있어서 원하는 표시가 행해진다.
다음,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콘트롤러(106)와 소스 드라이버 SD 간의 신호 전송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2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1)이 예컨대 수평 해상도 640 도트, 즉 수평 방향 640화소의 경우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12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게이트 드라이버 GD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각 1개의 화소는, RGB의 합계 3개의 화소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의 액정 표시 장치는, 소스 드라이버 SD를 복수 개 구비하고 있고, 그들 소스 드라이버 SD에 소스 버스 라인(102)을 균등하게 나누어 접속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5개의 소스 드라이버 SD101∼105가 제공되고, 각 소스 드라이버 SD101∼SD105가 각각 384개의 소스 버스 라인(102)과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콘트롤러(106)로부터는, 전송 클럭, 표시 데이터(Data) 이외에, 표시 데이터의 스타트 위치를 나타내는 스타트 펄스 SP(Start Pulse), 각 소스 드라이버 SD101∼SD105에 있어서 표시 데이터를 일제히 래치하기 위한 래치 스트로브 LS(Latch Strobe), 및 소스 드라이버 SD101∼SD105의 스캔 방향을 지시하는 스캔 방향 신호 DIR이 출력된다.
소스 드라이버 SD101∼SD105는, 내부에 플립플롭을 구비하고, 이 플립플롭을 통해 표시 데이터를 소스 버스 라인(102)에 출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동 회로는, 예컨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1993-35201호(1993년 2월 21일 공개)에 기재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송 클럭은, 상기 플립플롭의 동작 타이밍을 설정하는 것이고, 고세밀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송 클럭의 주파수가 높아진다. 이 점은 이후에 설명하는 소스 드라이버 SD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각 신호 중에, 스타트 펄스 SP만은 1개의 소스 드라이버 SD에만 입력되고, 그 이외의 신호는 버스 접속에 의해 모든 소스 드라이버 SD101∼SD105에 공통으로 입력된다. 즉, 스타트 펄스 SP는, 콘트롤러(106)로부터 출력되고, 액정 표시 패널(101)의 일단에 위치하는 소스 드라이버 SD로 입력되고, 순차적으로 각 소스 드라이버 SD로부터 다음 단의 소스 드라이버 SD로 출력된다. 그 후, 액정 표시 패널(101)의 타단에 위치하는 소스 드라이버 SD로부터 출력된 스타트 펄스 SP는 콘트롤러(106)에 입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타트 펄스 SP의 공급 동작은 다음 이유에 의한 것이다. 즉, 표시 데이터는 버스 접속에 의해 전체 소스 드라이버 SD101∼SD105에 대해 공통으로 전송되지만, 각 소스 드라이버 SD101∼SD105에서는 각 소스 드라이버 SD101∼SD105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터만을 취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각 소스 드라이버 SD101∼SD105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스타트 펄스 SP가 전송된다.
상기한 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소스 드라이버 SD101은 콘트롤러(106)로부터의 스타트 펄스 SP(SP1)의 입력 직후부터, 콘트롤러(106)로부터 출력되는 표시 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수의 표시 데이터(최초의 128화소분:화소1∼화소128분의 표시 데이터)를 취입하고, 이 취입이 끝나면 다음 소스 드라이버 SD102를 위한 스타트 펄스 SP(SP12)를 출력한다. 소스 드라이버 SD102는, 마찬가지로, 스타트 펄스 SP의 입력 직후부터 다음 128화소분(화소129∼화소256분)의 표시 데이터를 취입하고, 다음 소스 드라이버 SD103을 위한 스타트 펄스 SP(SP23)를 출력한다. 이와 같 이 하여, 순차적으로 소스 드라이버 SD105까지 표시 데이터를 취입한다. 마지막으로, 콘트롤러(106)는, 데이터 래치용의 래치 스트로브 LS를 각 소스 드라이버 SD101∼SD105에 출력하고, 소스 드라이버 SD101∼SD105로의 1수평 라인분의 데이터 입력을 완료한다. 각 소스 드라이버 SD101∼SD105는, 래치 스트호브 LS를 입력한 단계에서, 입력 데이터에 따른 전압을 액정 표시 패널(101)에 출력한다. 이 동작을, 수평 라인마다 반복하여, 액정 표시 패널(101)에 있어서 1화면분의 표시가 행해진다.
또한, 콘트롤러(106)로부터 각 소스 드라이버 SD101∼SD105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스캔 방향 신호 DIR은, 표시 데이터가 취입하여 동작을 행하는 소스 드라이버 SD의 시프트 방향, 즉 스캔 방향을 지시한다. 상기한 설명의 경우, 스캔 방향 신호 DIR은, 좌에서 우로의 스캔(소스 드라이버 SD101로부터 SD 105방향으로의 스캔:DIR=L)을 지시하고 있다. 따라서, 소스 드라이버 SD101∼SD105의 표시 데이터 취입 동작은 소스 드라이버 SD101로부터 D105로 시프트된다. 또한, 각 수평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는,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640의 열에서 소스 드라이버 SD101∼SD105에 입력된다. 이로써 화상의 좌우가 반전하지 않는 정규 표시가 행해진다.
이에 대해,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트롤러(106)로부터 출력된 스타트 펄스 SP는, 정규 표시 경우와 다르게, 먼저 소스 드라이버 SD105에 입력되고, 소스 드라이버 SD105로부터 다음 소스 드라이버 SD104에, 이 소스 드라이버 SD104로부터 다음 소스 드라이버 SD103으로 순차적으로 출력되고, 소스 드라이버 SD101로부터 출력된 스타트 펄스 SP가 콘트롤러(106)에 입력된다. 또한, 스캔 방향 신호 DIR은 우측에서 좌로의 스캔(소스 드라이버 SD105로부터 SD101 방향으로의 스캔:DIR=H)을 지시한다. 따라서, 소스 드라이버 SD101∼SD105의 표시 데이터 취입 동작은, 정규 표시 경우와 반대로, 소스 드라이버 SD105로부터 D101로 시프트된다. 또한, 각 수평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는, 정규 표시 경우와 같이,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640의 열에서 소스 드라이버 SD101∼SD105에 입력된다. 이로써 정상의 좌우 반전 화상 표시가 행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 반전 기능을 가지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101)의 좌우 양단의 소스 드라이버 SD101,SD105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스타트 펄스 SP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반전 표시는,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을 거울에 비치게 하여 보는 듯한 용도, 또는, 액정 표시 장치의 예컨대 상하 방향의 시각 특성이 다른 경우에 어느 쪽의 시각 특성을 사용하기 위해, 액정 표시 장치를 통상의 설정에 대해 상하 역전시켜 사용하는 용도 등에서 이용된다.
여기에서, 대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화면을 좌우로 2분할하여 2포트 입력에서 구동된다. 예컨대, 1수평 라인에 1280화소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1수평 라인에 있어서 640(1∼640)화소를 가지는 좌화면과 640(641∼1280)화소를 가지는 우화면의 2화면으로 화면이 분할되고, 이들 2화면이 각각의 화면용의 신호에서 동시에 구동된다.
구체적으로, 도14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111)을 가지며, 좌화면에 대응하는 좌패널부(111a)에 소스 드라이버 SD111∼SD115가 제공되고, 우화면에 대응하는 우패널부(111b)에 소스 드라이버 SD116∼SD120이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정규 표시의 경우에는, 콘트롤러(116)로부터 좌패널부(111a), 우패널부(111b) 각각의 좌단에 위치하는 소스 드라이버 SD111,SD116에 대해 스타트 펄스 SP(SP1,SP6)가 입력된다. 이 스타트 펄스 SP에 기초하여 소스 드라이버 SD111,SD116은, 콘트롤러(116)로부터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 중에, 각각 화소1∼화소128분의 표시 데이터, 화소641∼화소768분의 표시 데이터를 취입하고, 이 취입이 끝나면 다음 소스 드라이버 SD112,SD117을 위한 스타트 펄스 SP(SP12,SP67)를 출력한다. 그 후, 마찬가지로 각 소스 드라이버 SD에서의 표시 데이터의 취입이 행해지고, 소스 드라이버 SD111∼SD120에 의한 1수평 라인분의 데이터 입력을 완료한다. 이 동작을, 수평 라인마다 반복하여, 액정 표시 패널(111)에 있어서 1화면분의 표시가 행해진다.
상기 동작에 있어서, 콘트롤러(116)로부터 각 소스 드라이버 SD111∼SD120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스캔 방향 신호 DIR은, 좌에서 우로의 스캔(DIR=L)을 지시하고 있다. 또한, 각 수평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는,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640 및 데이터641, 데이터642,…, 데이터1280의 열에서 각각 소스 드라이버 SD111∼SD115,SD116∼SD120에 입력된다. 이로써, 화상의 좌우가 반전하지 않는 정규 표시가 행해진다.
상기 동작에 관한 각 신호의 타이밍 차트를 도15에 나타낸다. 도15에 있어서, CKL은 좌패널부(111a)의 소스 드라이버 SD111∼SD115에 입력되는 전송 클럭, SP1은 콘트롤러(116)로부터 소스 드라이버 SD111로 입력되는 스타트 펄스SP, DataL은 콘트롤러(116)로부터 좌패널부(111a)의 소스 드라이버 SD111∼SD115로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 LSL은 콘트롤러(116)로부터 좌패널부(111a)의 소스 드라이버 SD111∼SD115로 입력되는 래치 스트로브 LS이다. 마찬가지로, CKR은 우패널부(111b)의 소스 드라이버 SD116∼SD120에 입력되는 전송 클럭, SP6은 콘트롤러(116)로부터 소스 드라이버 SD116으로 입력되는 스타트 펄스SP, DataR은 콘트롤러(116)로부터 우패널 부(111b)의 소스 드라이버 SD116∼SD120으로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 LSR은 콘트롤러(116)로터 우패널부(111b)의 소스 드라이버 SD116∼SD120에 입력되는 래치 스트로브 LS이다.
이에 대해,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트롤러(116)로부터 출력된 스타트 펄스 SP(SP5,SP10)는, 정규 표시의 경우와는 다르게, 좌패널부(111a), 우패널부(111b) 각각의 우단에 위치하는 소스 드라이버 SD115,SD120에 입력된다. 그 후, 소스 드라이버 SD115,SD120으로부터 다음 소스 드라이버 SD114,SD119로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또한, 스캔 방향 신호 DIR은 우측에서 좌로의 스캔(DIR=H)을 지시한다. 따라서, 소스 드라이버 SD111∼SD115,SD116∼SD120의 표시 데이터 취입 동작은, 정규 표시 경우와 반대로, 소스 드라이버 SD115,SD120로부터 D111,SD116으로 시프트된다. 또한, 각 수평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는, 정규 표시 경우와 같이,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640 및 데이터641, 데이터642,…, 데이터1280의 열에서 각각 소스 드라이버 SD111∼SD115,SD116∼SD120에 입력된다. 이로써, 정상인 좌우 반전 화상 표시가 행해진다.
상기 동작에 관한 각 신호의 타이밍 차트를 도17에 나타낸다. 또한, 도17에 있어서, 각 신호를 나타내는 부호가 의미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도14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소스 드라이버 SD111,SD116으로의 입력은,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SP1,SP6)의 위상 관계가 중요하고, 소스 드라이버 SD115,SD120으로의 입력은,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SP5,SP10)의 위상 관계가 중요하다.
여기에서, 전송 클럭은, 상기한 바와 같이, 버스 접속에 의해 전체 소스 드라이버 SD111∼SD115,SD116∼SD120에 대해 공통으로 입력된다. 한편, 스타트 펄스SP는, 소스 드라이버 SD111,SD116(정규 표시) 또는 소스 드라이버 SD115,SD120(좌우 반전 표시)에 입력된 후, 순차적으로 다음 단의 소스 드라이버 SD에 입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의 전송 조건은 다르고, 양자의 위상은, 전송로 부하가 적은 만큼, 전송 클럭에 대해 스타트 펄스 SP가 선행하게 된다.
이 상태를 도18 및 도19에 의해 설명한다. 도18은, 도12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정규 표시를 행하는 경우의 소스 드라이버 SD101에 입력된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SP1)의 위상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위상 관계는, 도14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정규 표시를 행하는 경우의 소스 드라이버 SD116 또는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경우(도16의 상태)의 소스 드라이버 SD115에 입력되는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의 위상 관계에 상당한다. 또한, 도19는, 도12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경우(도13의 상태)의 소스 드라이버 SD105에 입력된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SP5)의 위상 관계를 나타 내고 있다. 이 위상 관계는, 도14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정규 표시를 행하는 경우의 소스 드라이버 SD111 또는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경우(도16의 상태)의 소스 드라이버 SD120에 입력되는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의 위상 관계에 상당한다.
도18의 상태에 있어서,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의 위상 관계는 적정하고, 소스 드라이버 SD를 구성하는 플립플롭에서의 Tsetup1의 기간과 Thold1의 기간의 밸런스가 적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도19의 상태에 있어서,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의 위상 관계는 전송 클럭에 대해 스타트 펄스 SP가 선행하기 때문에, Tsetup5의 기간과 Thold5의 기간의 밸런스가 붕괴되고, Thold5의 기간이 짧아진다. 또한, Tsetup 및 Thold는 플립플롭이 데이터의 취입 동작을 행할 때의 타이밍 조건을 나타내는 것이고, 각각에 대해서 소정의 기간을 확보할 수 없으면, 동작이 보증되지 않게 된다.
도12에 나타낸 2분할 구동(좌우 분할 구동)을 행하지 않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좌우 반전 기능을 부여하는 경우에, 소스 드라이버 SD101과 소스 드라이버SD105의 양자에 있어서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의 위상 차를 적정하게 하여야 한다. 또한, 도14에 나타낸 2분할 구동을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좌우 반전 기능을 부여하지 않는 경우(정규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도, 소스 드라이버 SD111과 소스 드라이버 SD116의 양자에 있어서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의 위상 차를 적정하게 하여야 한다. 즉,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위상 차의 불균일이 클수록, 소스 드라이버 SD에서의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의 전송 타이밍의 마진이 적어 진다.
한편, 도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18의 적정 상태로부터의 위상 차의 불균일은, 신호의 전송 거리가 길수록 커지고, 이 결과, 타이밍 조정이 어렵게 되고, 전송 주파수가 제한되게 된다. 그리고, 이 문제는, 신호의 전송 거리가 길어지는 대형의 액정 표시 장치, 또한 전송 주파수가 높은 고세밀 표시 액정 표시 장치일 수록 현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2분할 구동을 행하는 도14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신호의 전송 거리는, 정규 표시의 경우, 소스 드라이버 SD116이 최단이고, 소스 드라이버 SD111이 최장이 된다. 따라서, 소스 드라이버 SD111에 있어서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의 타이밍 조정이 엄격해진다. 또한, 좌우 반전 표시의 경우, 소스 드라이버 SD115가 최단이고, 소스 드라이버 SD120이 최장이 된다. 따라서, 소스 드라이버 SD120에 있어서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의 타이밍 조정이 엄격해진다. 이와 같이 도14에 나타낸 2분할 구동을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전송 거리가 최단의 소스 드라이버 SD와 최장의 소스 드라이버에 SD 콘트롤러(116)로부터 최초로 스타트 펄스 SP를 입력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의 전송 타이밍의 조정이 어려워진다.
또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1993-35221호(1993년 2월 12일 공개)에는, 점 순차적으로 구동을 행하는 구성으로서, 표시 화면의 2분할 구동을 행하는 경우에, 인접한 표시 영역에 세로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재된 구성에서는, 데이터 신호선으로의 데이터 신호의 출력 동작이 양단에 위치하는 구동 회로에서 순차적으로 중앙쪽에 위치하는 구동 회로로 이행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스타트 펄스 SP에 관해서는 명기되고 있지 않고 스타트 펄스 SP의 지연에 의한 문제에 관해서도 언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특허 문헌은 어떠한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2분할 구동을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 소스 드라이버 SD에 대한 신호의 전송 타이밍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데이터 신호선의 나란한 방향으로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이 인접하여 설치되고, 이들 각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선의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의 구동 회로가 설치되고, 제어 회로에서, 상기 각 구동 회로에 대해 데이터 신호가 병렬로 입력된다(예컨대 순차적으로 1수평 라인분의 데이터 신호가 병렬로 입력됨). 한편, 상기 표시 영역마다 각 1개의 구동 회로에 대해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고, 각 표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구동 회로에서 인접한 구동 회로에 그들 구동 회로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의 취입 동작이 이행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스타트 신호를 양 표시 영역의 경계부에 가장 가까운 양 구동 회로에 대해 입력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표시 영역에 있어서 다른 쪽의 표시 영역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와의 연속성이 얻어지도록, 데이터의 열 순서를 재배열하여 공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복수의 데이터 신호선의 나란한 방향으로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이 인접하여 설치되고, 이들 각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선의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의 구동 회로가 설치되고, 상기 각 구동 회로에 대해 데이터 신호가 병렬로 입력되는 한편, 상기 표시 영역마다 각 1개의 구동 회로에 대해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고, 각 표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구동 회로에서 인접한 구동 회로에 그들 구동 회로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의 취입 동작이 이행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신호를 양 표시 영역의 경계부에 가장 가까운 양 구동 회로에 대해 입력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표시 영역에 있어서 다른 쪽의 표시 영역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와의 연속성이 얻어지도록, 데이터의 열 순서를 재배열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어 회로에서는,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의 경계부에 가장 가까운 제1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와 제2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에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다. 예컨대,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이 좌우로 인접하여 존재하는 경우에는, 좌측의 제1 표시 영역의 우단에 위치하는 구동 회로와 우측의 제2 표시 영역의 좌단에 위치하는 구동 회로에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다.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면, 각 표시 영역에 있어서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구동 회로에서 인접한 구동 회로에 그들 구동 회로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의 취입 동작이 이행한다. 즉, 좌측의 제1 표시 영역에서는 우단에 위치하는 구동 회로가 먼저 데이터 신호의 취입 동작을 행하고, 이 동작이 순차적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구동 회로에 이행한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제2 표시 영역에서는 좌단에 위치하는 구동 회로가 먼저 데이터 신호의 취입 동작을 행하고, 이 동작이 순차적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구동 회로에 이행한다.
또한, 제어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를, 표시 영역에 있어서 다른 쪽의 표시 영역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와의 연속성이 얻어지도록, 데이터의 열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공급한다. 예컨대,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이 좌우로 인접하여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화상의 좌우를 반전시킬 수 없는 정규 표시를 행하는 경우, 제어 회로는, 좌측의 제1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의 열의 순서를, 역방향으로 재배열하여 공급한다. 이로써, 상기한 양 구동 회로에서 데이터 신호의 취입 동작을 개시한 경우에도, 정규 표시를 정상으로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타트 신호는,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의 경계부에 가장 가까운 제1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와 제2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 즉 중앙부가 인접한 양 구동 회로에 입력되기 때문에, 양 구동 회로에 대해 함께 최단의 전송 거리에서 스타트 신호를 입력 가능하다. 따라서, 스타트 신호의 지연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양 구동 회로에 입력되는 스타트 신호의 지연량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들 구동 회로에 입력되는 다른 제어 신호와 스타트 신호의 위상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즉, 2분할 구동을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 구동 회로에 대한 신호의 전송 타이밍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이하에 나타내는 기재에 의해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표시 장치(이하, 간단하게 액정 표시 장치라 한다)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한 도11의 개략도에 나타낸 구성을 가진다.
먼저,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원리에 대해서 도2 내지 도5를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2는, 2분할 구동을 행하지 않는 액정 표시 장치이다. 이 액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액정 표시 패널(1)은, 예컨대 수평 해상도 640 도트, 즉 수평 방향 640 화소인 것이다. 또한, 도2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게이트 드라이버를 생략하고 있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는, 소스 드라이버 SD를 복수 개 구비하고 있고, 그들 소스 드라이버 SD에 소스 버스 라인을 균등하게 나누어 접속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5개의 소스 드라이버 SD1∼SD5가 제공되고, 각 소스 드라이버 SD1∼SD5가 각각 384개의 소스 버스 라인과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콘트롤러(6)에서는, 전송 클럭, 표시 데이터(Data) 이외에, 표시 데이터의 스타트 위치를 나타내는 스타트 펄스 SP(Start Pulse), 각 소스 드라이버 SD1∼SD5에 있어서 표시 데이터를 동시에 래치하기 위한 래치 스트로브 LS(Latch Strobe), 및 소스 드라이버 SD1∼SD5의 스캔 방향을 나타내는 스캔 방향 신호 DIR이 출력된다. 상기 전송 클럭은, 소스 버스 라인으로의 표시 데이터(데이터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설정하는 제어 신호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소스 드라이버 SD1은, 콘트롤러(6)에서의 스타트 펄스 SP(SP1)의 입력 직후부터, 콘트롤러(6)에서 출력되는 표시 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수의 표시 데이터(최초의 128 화소분: 화소1∼화소128분의 표시 데이터)를 취입하고, 이 취입이 종료되면 다음 소스 드라이버 SD2를 위한 스타트 펄스 SP(SP12)를 출력한다. 소스 드라이버 SD2는, 마찬가지로, 스타트 펄스 SP의 입력 직후부터 다음 128 화소분(화소129∼화소256분)의 표시 데이터를 취입하고, 다음 소스 드라이버 SD3을 위한 스타트 펄스 SP(SP23)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순차적으로 소스 드라이버 SD5까지 표시 데이터를 취입한다. 마지막으로, 콘트롤러(6)는, 데이터 래치용의 래치 스트로브 LS를 각 소스 드라이버 SD1∼SD5에 출력하고, 소스 드라이버 SD1∼SD5로의 1수평 라인분의 데이터 입력을 완료한다. 각 소스 드라이버 SD1∼SD5는, 래치 스트로브 LS를 입력한 단계에서, 입력 데이터에 따른 전압을 액정 표시 패널(1)에 출력한다. 이 동작을, 수평 라인마다 반복하여, 액정 표시 패널(1)에 있어서 1화면분의 표시가 행해진다.
또한, 콘트롤러(6)에서 각 소스 드라이버 SD1∼SD5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스캔 방향 신호 DIR은, 좌에서 우로의 스캔(소스 드라이버 SD1에서 SD5 방향으로의 스캔:DIR=L)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소스 드라이버 SD1∼SD5의 표시 데이터 취입 동작은 소스 드라이버 SD1로부터 SD5로 시프트하게 된다. 또한, 각 수평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는,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640의 열에서 소스 드라이버 SD1∼SD5에 입력된다. 이로써 화상의 좌우가 반전하지 않는 정규 표시가 행해진다.
또한,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경우,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트롤러(6)에서 출력된 스타트 펄스 SP는, 정규 표시 경우와 같이, 우선 소스 드라이버 SD1에 입력되고, 이후는 정규 표시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순차적으로 다음 단의 소스 드라이버 SD에 출력된다.
또한, 스캔 방향 신호 DIR은, 정규 표시 경우와 마찬가지로, 좌에서 우로의 스캔(소스 드라이버 SD1에서 SD5방향으로의 스캔:DIR=L)을 나타낸다. 따라서, 소스 드라이버 SD1∼SD5의 표시 데이터 취입 동작은, 정규 표시 경우와 마찬가지로, 소스 드라이버 SD1로부터 SD5로 시프트하게 된다. 한편, 각 수평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는, 정규 표시 경우와는 반대로, 데이터640, 데이터639,…, 데이터1의 열에서 소스 드라이버 SD1∼SD5에 입력된다. 이로써 정상인 좌우 반전 화상 표시가 행해진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정규 표시와 좌우 반전 표시의 어떠한 경우에도, 콘트롤러(6)에서 최단의 거리에 위치하는 동일의 소스 드라이버 SD1에 대해, 콘트롤러(6)에서 스타트 펄스 SP가 입력된다.
상기한 상태를 도4 및 도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4 및 도5는, 각각 도2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정규 표시를 행하는 경우 및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경우(도3의 상태)에서의 소스 드라이버 SD1에 입력된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SP1)와의 위상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정규 표시를 행하는 도4의 상태에 있어서,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와의 위상 관계는 적정하고, 소스 드라이버 SD를 구성하는 플립플롭에서의 Tsetup1의 기간과 Thold1의 기간의 밸런스가 적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표시 데이터는,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640의 열에서 각 소스 드라이버 SD1∼SD5에 입력된다.
또한,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도5의 상태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와의 위상 관계는 적정하고, 소스 드라이버 SD를 구성하는 플립플롭에서의 Tsetup1의 기간과 Thold1의 기간의 밸런스가 적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표시 데이터는, 정규 표시 경우와는 반대로, 데이터640, 데이터639,…, 데이터1의 열에서 소스 드라이버 SD1∼SD5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는, 정규 표시와 좌우 반전 표시의 어떠한 경우에도, 콘트롤러(6)에서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를 전송하는 경우의 양자의 전송 타이밍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이것은, 정규 표시 및 좌우 반전 표시 중 어떠한 경우에도, 콘트롤러(6)에서 최단의 거리에 위치하는 동일의 소스 드라이버 SD1에 대해, 콘트롤러(6)에서 스타트 펄스 SP를 입력하는 것에 의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을 좌우로 2분할하여 2포트 입력에서 구동된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1수평 라인이 예컨대 좌단에서 우단으로 1280화소(화소1,화소2,…화소1280)를 가지는 구성이고, 1수평 라인에 있어서 화면이 640화 소(화소1∼화소640)를 가지는 좌화면과 640화소(화소641∼화소1280)를 가지는 우화면의 2화면으로 분할되고, 이들 2화면이 각각의 화면용의 신호에서 동시에 구동된다.
구체적으로는, 도1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11)을 가지고, 좌화면에 대응하는 좌패널부(제1 표시 영역)(11a)에는 소스 드라이버(구동 회로) SD11∼SD15가 제공되고, 우화면에 대응하는 우패널부(제2 표시 영역)(101b)에는 소스 드라이버(구동 회로) SD16∼SD20이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정규 표시의 경우에는, 콘트롤러(제어 회로)(16)에서, 좌패널부(11a)와 우패널부(11b)에 있어서, 좌패널부(11a)와 우패널 부(11b)의 경계에 가장 가까운 장소에 위치하는 소스 드라이버 SD15,SD16에 대해 스타트 펄스 SP(SP5,SP6)가 입력된다. 그 후, 좌패널부(11a)에 있어서, 소스 드라이버 SD11∼SD15에서의 화상 데이터의 취입 동작은, 우단의 소스 드라이버 SD15로부터 순차적으로 좌측의 소스 드라이버 SD로 시프트된다. 또한, 우패널부(11b)에 있어서, 소스 드라이버 SD16∼SD20에서의 화상 데이터의 취입 동작은, 좌단의 소스 드라이버 SD16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우측의 소스 드라이버 SD로 시프트된다.
즉, 소스 드라이버 SD15,SD16은, 스타트 펄스 SP에 기초하여, 콘트롤러(16)에서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 중에, 각각 화소640∼화소512(128화소)분의 표시 데이터, 화소641∼화소768(128화소)분의 표시 데이터를 취입하고, 이 취입이 끝나면 다음 소스 드라이버 SD14,SD17을 위한 스타트 펄스 SP(SP45,SP67)를 출력한다. 그 후, 마찬가지로 각 소스 드라이버 SD에서의 표시 데이터의 취입이 행해지고, 소스 드 라이버 SD11∼SD20에 의한 1수평 라인분의 데이터 입력을 완료한다. 이 동작을, 수평 라인마다 반복하여, 액정 표시 패널(11)에서 1화면분의 표시가 행해진다.
상기 동작에 있어서, 콘트롤러(16)에서 좌패널부(11a)의 각 소스 드라이버 SD11∼SD15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스캔 방향 신호 DIRL은, 우측에서 좌로의 스캔 (DIRL=H)을 지시하며, 콘트롤러(16)에서 우패널부(11b)의 각 소스 드라이버 SD16∼SD20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스캔 방향 신호 DIRR은, 좌측에서 우로의 스캔(DIRR=L)을 지시하고 있다.
또한, 좌패널부(11a)의 각 수평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는, 데이터640, 데이터639,…,데이터1의 열에서(도6 참조) 소스 드라이버 SD11∼SD15에 입력되고, 우패널 부(11b)의 각 수평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는, 데이터641, 데이터642,…, 데이터1280의 열에서(도6 참조) 소스 드라이버SD16∼SD20에 입력된다. 이로써 화상의 좌우가 반전하지 않는 정규 표시가 행해진다.
상기한 정규 표시 동작에 관한 각 신호의 타이밍 차트를 도6에 나타낸다. 도6에 있어서, CKL은 좌패널부(11a)의 소스 드라이버 SD11∼SD15에 입력되는 전송 클럭, SP5는 콘트롤러(16)에서 소스 드라이버 SD15로 입력되는 스타트 펄스 SP, DataL은 콘트롤러(16)에서 좌패널부(11a)의 소스 드라이버 SD11∼SD15로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 LSL은 콘트롤러(16)에서 좌패널부(11a)의 소스 드라이버 SD11∼SD15로 입력되는 래치 스트로브 LS이다. 마찬가지로, CKR은 우패널부(11b)의 소스 드라이버 SD16∼SD20에 입력되는 전송 클럭, SP6은 콘트롤러(16)에서 소스 드라이버 SD16에 입력되는 스타트 펄스SP, DataR은 콘트롤러(16)에서 우패널부(11b)의 소스 드라이버 SD16∼SD20에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 LSR은 콘트롤러(16)에서 우패널부(11b)의 소스 드라이버 SD16∼SD20에 입력되는 래치 스트로브 LS이다.
좌우 반전 표시의 경우에는,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규 표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콘트롤러(16)에서 좌패널부(11a)와 우패널부(11b)의 소스 드라이버 SD15,SD16에 대해 스타트 펄스 SP(SP5,SP6)가 입력된다. 그 후, 좌패널부(11a)에 있어서, 소스 드라이버 SD11∼SD15에서의 화상 데이터의 취입 동작은, 우단의 소스 드라이버 SD15로부터 순차적으로 좌측의 소스 드라이버 SD로 시프트된다. 또한, 우패널부(11b)에 있어서, 소스 드라이버 SD16∼SD20에서의 화상 데이터의 취입 동작은, 좌단의 소스 드라이버 SD16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우측의 소스 드라이버 SD로 시프트된다.
즉, 소스 드라이버 SD15,SD16은, 스타트 펄스 SP에 기초하여, 콘트롤러(16)로부터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 중에, 각각 화소640∼화소512(128화소)분의 표시 데이터, 화소641∼화소768(128화소)분의 표시 데이터를 취입하고, 이 취입이 끝나면 다음 소스 드라이버 SD14,SD17을 위한 스타트 펄스 SP(SP45,SP67)를 출력한다. 그 후, 마찬가지로 각 소스 드라이버 SD에서의 표시 데이터의 취입이 행해지고, 소스 드라이버 SD11∼SD20에 의한 1수평 라인분의 데이터 입력을 완료한다. 이 동작을, 수평 라인마다 반복하여, 액정 표시 패널(11)에서 1화면분의 표시가 행해진다.
이 경우, 정규 표시 경우와 같이, 콘트롤러(16)에서 좌패널부(11a)의 각 소스 드라이버 SD11∼SD15로 공통으로 입력되는 스캔 방향 신호 DIRL은, 우측에서 좌로의 스캔(DIRL=H)을 지시하며, 콘트롤러(16)에서 우패널부(11b)의 각 소스 드라이 버 SD16∼SD20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스캔 방향 신호 DIRR은, 좌측에서 우로의 스캔(DIRR=L)을 지시하고 있다.
한편, 좌패널부(11a)의 각 수평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는, 데이터641, 데이터642,…, 데이터1280의 열에서(도8 참조) 소스 드라이버 SD11∼SD15에 입력되고, 우패널부(11b)의 각 수평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는, 데이터640, 데이터639,…, 데이터1의 열에서(도8 참조) 소스 드라이버 SD16∼SD20에 입력된다. 이로써 화상의 좌우가 반전된 정상의 좌우 반전 표시가 행해진다.
상기한 좌우 반전 표시 동작에 관한 각 신호의 타이밍 차트를 도8에 나타낸다. 도8에 있어서, CKL,SP5,DataL,LSL,CKR,SP6,DataR,LSR 등의 각 신호를 나타내는 부호가 의미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여기에서, 소스 드라이버 SD11∼SD20에 대해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콘트롤러(16)가 구비하는 구성의 일례에 대해서 도9 및 도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콘트롤러(16)는,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밍 제너레이터(21), 메모리 콘트롤러(22), 제1 라인 메모리(23), 제2 라인 메모리(24) 및 멀티플렉서(25)를 구비하고 있다.
타이밍 제너레이터(21)는, 수평 동기 신호 HS, 수직 동기 신호 VS 및 클럭 CLK 등을 입력하여, 메모리 콘트롤러(2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한다. 메모리 콘트롤러(22)는, 타이밍 제너레이터(21)로부터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라인 메모리(23) 및 제2 라인 메모리(24)의 기입 및 독출 동작을 제어한다. 멀티플렉서(25)는, 제1 라인 메모리(23)와 제2 라인 메모리(24) 중 어느 하나에서의 표시 데이터를 선택하여 소스 드라이버 SD11∼SD20에 출력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먼저, 제1 라인 메모리(23) 및 제2 라인 메모리(24)에는 각각 제1 수평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 및 제2 수평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가 기입된다. 이들 표시 데이터의 열은,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1280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제1 라인 메모리(23)로부터 표시 데이터가 독출되고, 이 표시 데이터가 멀티플렉서(25)를 통해 소스 드라이버 SD11∼SD20에 제1 수평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로서 입력된다. 다음, 제2 라인 메모리(24)로부터 표시 데이터가 독출되고, 이 표시 데이터가 멀티플렉서(25)를 통해 소스 드라이버 SD11∼SD20에 제2 수평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로서 입력된다. 이 제2 라인 메모리(24)로부터 표시 데이터가 독출되어 있는 동작의 사이에, 제1 라인 메모리(23)에 대해 제3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가 기입된다. 다음, 제1 라인 메모리(23)로부터 제3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가 독출되고, 이 표시 데이터가 멀티플렉서(25)를 통해 소스 드라이버 SD11∼SD20에 출력된다. 이 제1 라인 메모리(23)로부터 표시 데이터가 독출되어 있는 동작의 사이에, 제2 라인 메모리(24)에 대해 제4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가 기입된다. 이하, 동일하게, 제1 및 제2 라인 메모리(23,24)에 대한 표시 데이터가 기입되고, 제1 및 제2 라인 메모리(23,24)에서의 표시 데이터의 독출이 반복된다.
제1 및 제2 라인 메모리(23,24)로부터의 표시 데이터가 독출되고, 정규 표시의 경우에는,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패널부(11a)의 소스 드라이버 SD11∼SD15용의 표시 데이터가, 데이터640, 데이터639,…,데이터1의 열에서 독출되고, 우 패널부(11b)의 소스 드라이버 SD16∼SD20용의 표시 데이터가, 데이터641, 데이터642,…, 데이터1280의 열에서 독출된다. 또한, 좌우 반전 표시의 경우에는,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패널부(11a)의 소스 드라이버 SD11∼SD15용의 표시 데이터가 데이터641, 데이터642,…, 데이터1280의 열에서 독출되고, 우패널부(11b)의 소스 드라이버 SD16∼SD20용의 데이터가, 데이터640, 데이터639,…, 데이터1의 열에서 독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2분할 구동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정규 표시 경우와 좌우 반전 표시 경우에 있어서 함께, 콘트롤러(16)로부터 최단의 거리에 위치하는 좌패널부(11a)의 소스 드라이버 SD15와 우패널부(11b)의 소스 드라이버 SD16에 대해, 스타트 펄스 SP를 입력하고, 스타트 펄스 SP가 입력된 이들 중앙부의 소스 드라이버 SD15,SD16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단부측의 소스 드라이버 SD11,SD20을 향해 표시 데이터가 취입 동작을 시프트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부의 소스 드라이버 SD15,SD16에 대해 스타트 펄스 SP를 입력하는 것에 동반하여 정규 표시의 경우에는, 좌패널부(11a)의 소스 드라이버 SD11∼SD15에 공급하는 표시 데이터의 열의 순서를 라인 메모리에 기입된 경우의 열의 순서의 역방향으로 하고 있다. 또한, 좌우 반전 표시의 경우에는, 좌패널부(11a)의 소스 드라이버 SD11∼SD15에 공급하는 표시 데이터의 열의 순서를 정규 표시에 있어서 우패널부(11b)의 소스 드라이버 SD16∼SD20에 공급하는 표시 데이터의 열의 순서로 하여, 우패널부(11b)의 소스 드라이버 SD16∼SD20에 공급하는 표시 데이터의 열의 순서를 정규 표시에 있어서 좌패널부(11a)의 소스 드라이버 SD11∼SD15에 공급하는 표시 데이터의 시퀀스 순서로 하고 있다.
이로써 정규 표시와 좌우 반전 표시 중 어떠한 경우에도, 콘트롤러(6)로부터 전송 클럭과 스타트 펄스 SP를 전송하는 경우의 양자의 전송 타이밍 조정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콘트롤러(16)는, 좌패널부(11a)와 우패널부(11b)의 경계선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콘트롤러(16)는, 예컨대 소스 버스 라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경계선에 대해 콘트롤러(16)의 적어도 일부가 중합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소스 버스 라인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의 소스 드라이버 SD15,SD16의 어느 하나에 대해 콘트롤러(16) 중 적어도 일부가 중합하는 위치에 제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분할 구동을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4분할 이상의 복수의 분할 구동을 행하는 표시 장치에도 대응 가능하다. 단, 이 경우에는, 실시예에 나타낸 2분할 구동의 구성을 복수 조합한 것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콘트롤러(16)에서 소스 드라이버 SD11∼SD15 및 SD16∼SD20에 대해 각각 스캔 방향 신호 DIRL 및 DIRR을 입력하고 있다. 그러나, 정규 표시와 좌우 반전 표시에 있어서 스타트 펄스 SP를 입력하는 소스 드라이버 SD가 동일하고, 또한 표시 데이터가 취입 동작을 행하는 각 소스 드라이버 SD의 동작 순서가 일정하기 때문에, 콘트롤러(16)로부터 소스 드라이버 SD로의 스캔 방향 신호 DIRL 및 DIRR의 입력을 없애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한 제어 회로가, 상기한 스타트 신호를 상기 양 표시 영역의 경계부에 가장 가까운 양 구동 회로에 대해 입력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한 데이터 신호를, 표시 영역들 중 다른 쪽의 표시 영역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와의 연속성이 얻어지도록, 데이터 신호들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공급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한 스타트 신호를 상기 양 표시 영역의 경계부에 가장 가까운 양 구동 회로에 대해 입력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한 데이터 신호를, 표시 영역들 중 다른 쪽의 표시 영역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와의 연속성이 얻어지도록, 데이터 신호들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로써,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의 경계부에 가장 가까운 제1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와 제2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에 대해 함께 최단의 전송 거리에서 스타트 신호를 입력 가능하다. 따라서, 스타트 신호의 지연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양 구동 회로에 입력되는 스타트 신호의 지연량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들 구동 회로에 입력되는 다른 제어 신호와 스타트 신호의 위상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즉, 2분할 구동을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 구동 회로에 대한 신호의 전송 타이밍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표시 장치는, 화상의 좌우를 반전시켜 표시하는 좌우 반전 표시가 가능하고, 상기한 제어 회로는, 이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화상의 좌우를 반전시킬 수 없는 정규의 표시를 행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한 양 구동 회로에 대해 상기 스타트 신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상기한 양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표시 영역들 중 다른 쪽의 표시 영역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와의 연속성이 얻어지고, 또한 좌우 반전 표시가 되도록, 데이터 신호들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화상의 좌우를 반전시켜 표시하는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화상의 좌우를 반전시킬 수 없는 정규 표시를 행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한 양 구동 회로에 대해 상기 스타트 신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상기한 양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표시 영역들 중 다른 쪽의 표시 영역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와의 연속성이 얻어지고, 또한 좌우 반전 표시가 되도록, 데이터 신호들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상기한 표시 장치 및 상기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제어 회로와 상기 양 표시 영역의 경계부에 가장 가까운 양 구동 회로 사이에만, 상기 제어 회로에서 이들 양 구동 회로에 상기 스타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선을 제공하고, 정규 표시와 좌우 반전 표시에 있어서 스타트 신호를 입력하는 구동 회로가 다른 종래 방식보다 제어 신호선이 1개 이상 적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정규 표시와 좌우 반전 표시에 있어서 스타트 신호를 입력하는 구동 회로가 동일하기 때문에, 정규 표시와 좌우 반전 표시에서 신호를 입력하는 구동 회로가 다른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스타트 신호 전송을 위한 신 호선의 갯수를 1개 이상(예컨대 2개) 삭감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 회로 기판과 구동 회로 기판(예컨대 소스 기판)과의 접속 커넥터 핀 수가 줄게 되고, 또한 구동 회로 기판의 배선 영역을 절약할 수 있고, 비용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정규 표시와 좌우 반전 표시에 있어서, 스타트 신호를 입력하는 구동 회로가 동일하고, 또한 데이터 신호의 취입 동작을 행하는 각 구동 회로의 동작 순서가 일정하기 때문에, 이 동작 순서를 지시하는 신호를 각 구동 회로에 입력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제1 및 제2 표시 영역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데이터 신호선의 형성 방향에 있어서, 양 표시 영역의 상기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는 양 구동 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와 제어 회로의 일부가 중합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어 회로가 스타트 신호를 입력하는 양 구동 회로에 대해 상당히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스타트 신호의 전송 거리를 짧게 하는데 적합하다
상기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 회로는, 상기 제어장치에서 입력된 출력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선에 대해 동시에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 즉 선 순차적으로 구동을 행하는 구성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항에 있어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실시 형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백히 하는 것으로서, 그와 같은 구체적인 사례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복수의 데이터 신호선의 나란한 방향으로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이 인접하여 제공되고, 이들 각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선의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의 구동 회로가 설치되고, 제어 회로에서, 상기 각 구동 회로에 대해 데이터 신호가 병렬로 입력되는 한편, 상기 표시 영역마다 각 1개의 구동 회로에 대해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고, 각 표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구동 회로에서 인접한 구동 회로로 그들 구동 회로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의 취입 동작이 이행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스타트 신호를 양 표시 영역의 경계부에 가장 가까운 양 구동 회로에 대해 입력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표시 영역에 있어서 다른 쪽의 표시 영역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와의 연속성이 얻어지도록, 데이터의 열의 순서를 재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화상의 좌우를 반전시켜 표시하는 좌우 반전 표시가 가능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이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화상의 좌우를 반전 시킬 수 없는 정규 표시를 행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양 구동 회로에 대해 스타트 신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상기 양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를, 표시 영역에 있어서 다른 쪽의 표시 영역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와의 연속 성이 얻어지고, 또한 좌우 반전 표시가 되도록, 데이터의 열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와 양 표시 영역의 경계부에 가장 가까운 양구동 회로 사이에만, 상기 제어 회로에서 이들 양 구동 회로에 스타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선을 설치하고, 정규 표시와 좌우 반전 표시에 있어서 스타트 신호를 입력하는 구동 회로가 다른 종래 방식보다 제어 신호선이 1개 이상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제1 및 제2 표시 영역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데이터 신호선의 형성 방향에 있어서, 양 표시 영역의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는 양 구동 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와 제어 회로의 일부가 중합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 회로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된 출력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선에 대해 동시에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각각 1수평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 라인 메모리 및 제2 라인 메모리와, 이들 라인 메모리에 대한 표시 데 이터의 기입 동작 및 독출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콘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콘트롤러는, 제1 라인 메모리와 제2 라인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1수평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를 기입하고, 또한 제1 라인 메모리와 제2 라인 메모리로부터 순차적으로 1수평 라인분의 표시 데이터를 독출하는 동시에, 정규 표시 경우와 반전 표시 경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표시 영역에 있어서 다른 쪽의 표시 영역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와의 연속성이 얻어지도록, 데이터의 열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각 라인 메모리에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복수의 데이터 신호선의 나란한 방향으로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이 인접하여 제공되고, 이들 각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선의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의 구동 회로가 제공되고, 상기 각 구동 회로에 대해 데이터 신호가 병렬로 입력되는 한편, 상기 표시 영역마다 각 1개의 구동 회로에 대해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고, 각 표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구동 회로에서 인접한 구동 회로로 그들 구동 회로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의 취입 동작이 이행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신호를, 상기 양 표시 영역의 경계부에 가장 가까운 양 구동 회로에 대해 입력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에 공급하는 상 기 데이터 신호를, 표시 영역에 있어서 다른 쪽의 표시 영역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와의 연속성이 얻어지도록, 데이터의 열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화상의 좌우를 반전시켜 표시하는 좌우 반전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화상의 좌우를 반전시킬 수 없는 정규 표시를 행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양 구동 회로에 대해 상기 스타트 신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상기 양 표시 영역의 구동 회로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를, 표시 영역에 있어서 다른 쪽의 표시 영역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와의 연속성이 얻어지고, 또한 좌우 반전 표시가 되도록, 데이터의 열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와 양 표시 영역의 경계부에 가장 가까운 양 구동 회로 사이에만, 상기 제어 회로에서 이들 양 구동 회로에 스타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선을 제공하고, 정규 표시와 좌우 반전 표시에 있어서 스타트 신호를입력하는 구동 회로가 다른 종래 방식보다 제어 신호선이 1개 이상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050069309A 2004-07-30 2005-07-29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749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24814 2004-07-30
JP2004224814A JP4749687B2 (ja) 2004-07-30 2004-07-30 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918A true KR20060048918A (ko) 2006-05-18
KR100749876B1 KR100749876B1 (ko) 2007-08-21

Family

ID=35731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309A KR100749876B1 (ko) 2004-07-30 2005-07-29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14850B2 (ko)
JP (1) JP4749687B2 (ko)
KR (1) KR100749876B1 (ko)
CN (1) CN100407259C (ko)
TW (1) TWI3195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9244B2 (en) * 2005-06-15 2009-12-29 Chi Mei Optoelectronics Corporation Flat panel display using data drivers with low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WI348132B (en) 2006-08-08 2011-09-01 Au Optronics Corp Display panel module
US7755588B2 (en) * 2006-09-05 2010-07-13 Himax Technologies Limite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and pixel data signals to source drives of an LCD
JP5342747B2 (ja) * 2007-01-05 2013-11-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平面表示装置及びその信号駆動方法
TWI374427B (en) * 2007-04-16 2012-10-1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Panel display apparatus and source driver thereof
US8319760B2 (en) 2007-06-29 2012-11-27 Sony Corporation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of the same and electronic equipment incorporating the same
JP2009031751A (ja) * 2007-06-29 2009-02-12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5006131B2 (ja) * 2007-07-19 2012-08-22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データ分配装置及び方法
JP2009204932A (ja) * 2008-02-28 2009-09-10 Fujitsu Ltd ドット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US20090231175A1 (en) * 2008-03-12 2009-09-17 Hua Wu Multimedi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20090251403A1 (en) * 2008-04-07 2009-10-08 Himax Technologies Limite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WI417854B (zh) * 2009-08-06 2013-12-01 Raydium Semiconductor Corp 驅動電路及包含該驅動電路之顯示系統
KR101341910B1 (ko) 2009-09-25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구동회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341912B1 (ko) * 2009-09-25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구동회로
KR101341907B1 (ko) * 2009-09-29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구동회로 및 이의 구동방법
JP2013080987A (ja) * 2010-02-15 2013-05-02 Panasonic Corp 立体映像表示装置
TWI413054B (zh) * 2010-03-17 2013-10-21 Au Optronics Corp 用於驅動一顯示面板之驅動裝置與其源極驅動器
KR101680499B1 (ko) * 2012-09-13 2016-11-2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KR102023939B1 (ko) 2012-12-26 2019-1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50083669A (ko) * 2014-01-10 2015-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US10388243B2 (en) * 2014-05-06 2019-08-20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Driving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thereof
KR102154190B1 (ko) * 2014-05-08 2020-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칩으로 구성된 드라이버 집적 회로 및 이의 구동 방법
US10140912B2 (en) * 2015-12-18 2018-11-27 Samsung Display Co., Ltd. Shared multipoint reverse link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displays
TWI663591B (zh) * 2018-04-23 2019-06-21 宏碁股份有限公司 用於顯示器之同步控制電路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2478B2 (ja) 1991-07-31 1998-04-2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回路
JP3192444B2 (ja) 1991-08-01 2001-07-3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H07152905A (ja) 1993-11-30 1995-06-16 Fujitsu Ltd 画像データ処理装置
US5771031A (en) * 1994-10-26 1998-06-23 Kabushiki Kaisha Toshiba Flat-pane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CN1155957A (zh) * 1995-07-19 1997-07-30 株式会社东芝 字框变换装置
US6388651B1 (en) * 1995-10-18 2002-05-14 Kabushiki Kaisha Toshiba Picture control device and flat-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picture control device
JP3884111B2 (ja) 1995-10-18 2007-02-21 東芝電子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映像制御装置およびこの映像制御装置を備える平面ディスプレイ装置
JP3344680B2 (ja) 1995-10-20 2002-11-1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100195129B1 (ko) * 1996-02-21 1999-06-15 윤종용 가정용 hdtv 카메라를 위한 수직라인 배속 변환방법 및 그 회로
JPH10207434A (ja) * 1997-01-28 1998-08-07 Advanced Display:Kk 液晶表示装置
JP3367362B2 (ja) * 1997-01-29 2003-01-14 関西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取込み回路および表示用駆動装置
JP4011715B2 (ja) 1997-03-03 2007-11-21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
TW440742B (en) * 1997-03-03 2001-06-16 Toshiba Corp Flat panel display device
JPH10293561A (ja) 1997-04-17 1998-11-04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010053303A (ko) * 1998-10-06 2001-06-25 미다라이 후지오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JP2000250495A (ja) * 1999-03-03 2000-09-14 Nec Corp 液晶表示パネルのデータ線駆動装置
JP3789066B2 (ja) * 1999-12-08 2006-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2196732A (ja) * 2000-04-27 2002-07-12 Toshiba Corp 表示装置、画像制御半導体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GB0028875D0 (en) 2000-11-28 2001-01-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JP3862966B2 (ja) * 2001-03-30 2006-12-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表示装置
KR100459166B1 (ko) 2001-07-31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류구동 표시소자의 구동 회로
KR100767365B1 (ko) * 2001-08-29 200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3347919A (ja) * 2002-05-28 2003-12-05 Nec Kansai Ltd カスケード接続回路およびその回路を備えた電子装置
JP4390451B2 (ja) * 2002-12-26 2009-12-24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データ側駆動回路
US7209105B2 (en) * 2003-06-06 2007-04-24 Clairvoyant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visual effects upon panels having fixed pattern noise with reduced quantization e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49687B2 (ja) 2011-08-17
US20060022603A1 (en) 2006-02-02
CN100407259C (zh) 2008-07-30
JP2006047425A (ja) 2006-02-16
TWI319561B (en) 2010-01-11
TW200609893A (en) 2006-03-16
US7714850B2 (en) 2010-05-11
CN1728208A (zh) 2006-02-01
KR100749876B1 (ko) 200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9876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847114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6181312B1 (en) Drive circuit for an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5748175A (en) LCD driving apparatus allowing for multiple aspect resolution
JP4551712B2 (ja) ゲート線駆動回路
JP2006072078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H09325741A (ja) 画像表示システム
JPH0748148B2 (ja) 液晶表示コントローラ、液晶表示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KR100487389B1 (ko) 신호선 구동회로 및 그를 사용한 표시장치
WO2012053466A1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3015611A (ja) 液晶駆動装置
JP4152934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7114875B2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10019914A (ja) 表示装置及び表示駆動方法
KR100430092B1 (ko) 싱글뱅크형액정표시장치
KR100391734B1 (ko) 블랭킹 기간 중에 블랭킹 데이터가 기입되는 표시 장치
KR100825900B1 (ko) 화상표시방법, 시스템 및 유닛
KR19980024944A (ko) 플랫 패널 표시 장치
KR100862122B1 (ko) 주사 신호선 구동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방법
JP2012168226A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80103684A (ko) 화소 데이터 기입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JP4817533B2 (ja) フラットパネル表示装置
JPH11133934A (ja) 液晶駆動装置及び液晶駆動方法
KR20060119308A (ko) 액정표시장치
JPH11327511A (ja) 液晶表示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