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202A - 안과촬영장치 및 안과촬영방법 - Google Patents

안과촬영장치 및 안과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202A
KR20060048202A KR1020050048048A KR20050048048A KR20060048202A KR 20060048202 A KR20060048202 A KR 20060048202A KR 1020050048048 A KR1020050048048 A KR 1020050048048A KR 20050048048 A KR20050048048 A KR 20050048048A KR 20060048202 A KR20060048202 A KR 20060048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dus
imaging
image
magnificat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7288B1 (ko
Inventor
카즈히로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8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촬상소자에 서로 다른 결상 배율로 결상하는 촬영 광학계를 갖는 안과촬영을 위해 적합한 기술을 제공한다.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 즉 피검안 안저상을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피검안 안저상을 상기 촬상소자에 서로 다른 결상 배율로 결상하는 촬영 광학계와, 상기 결상 배율과 연동된 광량으로 안저를 조명하는 안저 조명수단과, 상기 결상 배율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안저 화상을 포함하는 특정 영역을 선택하는 영역 선택수단을 구비한다. 더구나, 상기 안저 조명수단의 광량을 상기 결상 배율의 감소와 연동하여 감소시키고,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결상 배율의 감소와 연동하여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과촬영장치, 안저 카메라, 결상 배율, 안저 화상, 안저 조명

Description

안과촬영장치 및 안과촬영방법{OPHTHALMIC IMAGE TAKING APPARATUS AND OPHTHALMIC IMAGE TAKING METHOD}
도 1은 실시예 1의 안저 카메라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절단 영역의 설명도이다.
도 3은 절단 영역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실시예 2의 안저 카메라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관찰 광원 2: 대물렌즈
5: 스트로보 광원 9: 관통 미러
13: 플립업 미러 17: 디지털 카메라
17a, 22a: 촬상소자 22: 촬상수단
23, 37: 모니터 31: 화상제어회로
35: 기록수단 36: 화상제어회로
38: 촬영 스위치 39, 42: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
40: 스트로보 제어회로 41: 렌즈 위치 제어수단
본 발명은, 촬상소자에 서로 다른 결상 배율로 결상하는 촬영 광학계를 갖는 안과촬영장치와, 안과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다양한 촬영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무산동 안저 카메라가 알려져 있다. 무산동 안저 카메라는 피검자를 자연 산동의 상태에서 적외광에 의해 관찰 및 얼라인먼트하여, 스트로보 광원이 발생하는 가시광선의 섬광에 의해 칼라 안저상의 정지화상을 기록한다. 따라서, 촬영광이 눈부시면 피검자의 동공은 축동된다. 따라서, 계속해서 촬영하는 경우에는, 동공이 자연 산동할 때까지 10분 정도의 시간을 기다리지 않으면 안된다.
집단 건강진단의 안저촬영에 있어서는, 많은 사람의 좌우 안을 촬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쪽 눈의 촬영이 끝나고, 다른쪽 눈의 촬영까지 피검자를 기다리게 해 두는 것은, 시간적, 스페이스적으로도 효율이 나쁘다. 따라서, 좌우 안을 연속해서 촬영할 수 있는 정도의 저광량에서의 촬영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전자기록식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저상을 각각 기록하는 방식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적은 조명 광량에서 촬영을 행하면, 카메라의 촬영 감도가 높아진다.
또한, 집단 건강진단의 화상은 전문적인 촬영자가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촬영 시간의 단축을 꾀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회선을 사용해서 화상을 원격 지로 전송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상 사이즈가 크면 전송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촬영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일본 특허공개 H06-098859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화상압축기술을 이용하여 화상정보의 용량을 줄이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H04-084932호에는, 안저상 부분만을 절단하여 전송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방법에서는, 촬영 감도를 높여 설정된 안저상 뿐만 아니라, 암전류 등의 노이즈도 증폭된다. 더구나,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화상 사이즈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비가역 압축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화상에 독특한 패턴이 나타나거나, 색 정보가 손실된다.
의료용 화상의 경우에는, 가공을 실행하지 않은 생 화상(raw 데이터)이 요구되어, 압축 화상은 진단용 화상으로서 인정을 받지 않는 경우도 있다. 안저상 부분만을 잘래낼 때에는, 화상의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특수한 형상이 되어, 일반적인 뷰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정확하게 재생할 수 없다. 또한, 화상이 작은 형태로 결상되어, 증가해 버린 여백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모니터에 표시할 때에 화상을 확대해서 표시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촬상소자에 서로 다른 결상 배율로 결상하는 촬영 광학계를 갖는 안과촬영을 위해 적합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면은,
피검안 안저상(Er)을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촬상소자(17a)와,
상기 피검안 안저상(Er)을 상기 촬상소자(17a)에 서로 다른 결상 배율로 결상하는 촬영 광학계와,
상기 결상 배율과 연동된 광량으로 조명하는 안저 조명수단(5)과,
상기 결상 배율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안저 화상을 포함하는 특정 영역(17c)을 선택하는 영역 선택수단(33)을 구비한 안과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저 조명수단(5)의 광량을 상기 결상 배율의 감소와 연동하여 감소시키고, 상기 특정 영역(17c)을 상기 결상 배율의 감소와 연동하여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 및 이점은, 첨부도면 전체를 통해 동일한 참조번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표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예시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기술한다.
[실시예 1]
도 1은 안저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가시광선 및 적외광의 정상광을 방출하는 할로겐 램프 등의 관찰 광원(1)과 대물렌즈(2) 사이의 영역에는, 콘덴서 렌즈(3), 가시광선을 차단하고 적외광을 투과하는 가시광 컷 필터(4), 섬광을 발생하는 스트로보 광원(5), 환형 개구를 갖는 조리개(6), 삽입 이탈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적외광을 차단하는 적외 컷 필터(7), 릴레이 렌즈(8), 관통 미러(9)가 배열되어 있다.
대물렌즈(2)의 후방에는, 촬영 조리개(10), 광축상을 이동가능한 포커스 렌즈(11), 촬영 렌즈(12), 플립업(flip-up) 미러(13), 조리개(14), 필드 렌즈(15), 택일적으로 광로중에 삽입되는 릴레이 렌즈(16a, 16b), 촬상소자(17a)를 갖는 디지털 카메라(17)가 배열되어, 안저 촬영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플립업 미러(13)의 반사 방향에는, 시야 조리개(18), 필드 렌즈(19), 미러(20), 촬상 렌즈(21), 촬상소자(22a)를 갖는 촬상수단(22)이 배열되고, 촬영수단(22)의 출력은 모니터(23)에 접속되어, 안저 관찰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17)에 의한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출력은 화상제어회로(31)에 접속된다. 화상제어회로(31)는 A/D 변환기(32a),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화상 메모리(32b)를 갖는 화상 보드(32), 화상 제어수단(33) 및 비디오 RAM(3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화상 제어수단(33)에는, 화상 기록수단(35)이 접속되고, 비디오 RAM(34)에는 제어수단(36) 및 모니터(37)가 접속되어 있다. 기록수단(35)으로는, Mo, MD, DVD, 카드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외부에서 전력공급이 없어도 기억을 유지가능한 기록매체 D에의 기록, 또는 판독을 행하는 드라이브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제어수단(36)에는, 촬영 스위치(38) 및 스위치(39S, 39D)를 갖는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39)와, 스트로보 제어회로(40)가 접속되어 있다. 스트로보 광원(5)은 스트로보 제어회로(40)에 의해 발광이 제어되고, 발광 광량은 스트로보 제어회로(40)의 콘덴서(40a)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촬영에 있어서는, 촬영자는 피검자를 안저 카메라의 정면에 착석시키고, 우선 피검안 E의 안저 Er를 적외광으로 관찰하면서, 피검안 E와 안저 카메라의 위치맞춤을 행한다. 이 관찰 상태에서, 적외 컷 필터(7)는 광로 밖으로 후퇴되어 있어, 관찰 광원(1)에서 방출된 빛은 콘덴서 렌즈(3)에 의해 집광되어, 가시광 컷 필터(4)에 의해 적외광만이 투과하여, 스트로보 광원(5), 조리개(6)의 환형 개구, 렌즈(8) 및 관통 미러를 통과하고, 관통 미러(9) 주변의 미러부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반사되고, 대물렌즈(2)와 피검안 E의 동공 Ep를 거쳐 안저 Er을 조명한다.
이와 같이, 적외광으로 조명된 안저 Er의 상은, 다시 대물렌즈(2), 촬영 조리개(10), 포커스 렌즈(11), 촬영 렌즈(12)를 지나, 플립업 미러(13)에 의해 위쪽으로 반사되어, 시야 조리개(18)의 부근에서 일단 결상되고, 다시 필드 렌즈(19)에 의해 집광되어, 미러(20)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반사되고, 촬상 렌즈(21)에 의해 촬상수단(22)의 촬상소자(22a) 위에 결상된다. 촬상수단(22)에 의해 얻어진 안저상은,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모니터(23)에 표시된다. 촬영자는 이 모니터(23)에 비친 안저상(23a)을 보면서, 도시되지 않은 조작수단을 이용하여 피검안 E와의 위치 맞춤을 행하고, 포커스 렌즈(11)를 움직여 초점 맞춤을 행하며, 촬영 범위의 확인을 행한다.
촬영자는 모니터(23)에 표시된 안저상(23a)을 관찰하여, 촬영 범위, 위치 및 초점 맞춤이 거의 양호한 것을 확인한 후에, 스크리닝 촬영을 행하기 위해,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39)의 스위치 39S를 조작한다. 스위치(39S)로의 입력을 검지한 제어수단(36)은, 릴레이 렌즈 16b에 대하여 축소 결상을 행하는 릴레이 렌즈 16a를 광로 내에 삽입하고, 스트로보 제어회로(40)의 콘덴서(40a)에, 릴레이 렌즈 16b를 이용하여 촬영한 경우보다도 낮은 전압을 인가하여, 적은 전하를 충전한다.
예를 들면, 릴레이 렌즈 16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릴레이 렌즈 16b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1/m배의 배율로 결상이 행해질 때, 1/m2 발광하는 광량에서 동등한 밝기를 갖는 안저상이 얻어진다. 그리고, 촬영 스위치(38)를 조작하여 안저의 촬영을 행한다.
촬영 스위치(38)에의 입력을 검지한 제어수단(36)은, 우선 적외광을 차단하는 적외 컷 필터(7)를 광로 내에 삽입하여, 디지털 카메라(17)의 광 축적을 개시하고, 스트로보 제어회로(40)에 발광 신호를 보낸다. 발광 신호를 받은 스트로보 제어회로(40)는 스트로보 광원(5)에 트리거 신호를 보내, 콘덴서(40a)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여 발광한다.
스트로보 광원(5)에서 방출된 광속은, 조리개(6)의 환형 개구를 통과하여, 적외 컷 필터(7)에 의해 적외광은 제거되고, 나머지의 가시광선은 릴레이 렌즈(8)를 통해, 관통 미러(9) 주변의 미러부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반사되고, 대물렌즈(2)와 동공 Ep를 거쳐 안저 Er을 조명한다.
이와 같이 조명된 안저상은, 다시 대물렌즈(2), 촬영 조리개(10), 포커스 렌 즈(11), 촬영 렌즈(12)를 통해, 플립업 미러(13)의 아래쪽을 통과하여, 시야 조리개(14) 부근에서 일단 결상하고, 필드 렌즈(15)에 의해 집광되어, 릴레이 렌즈 16a를 거쳐 디지털 카메라(17)의 촬상소자(17a)에 결상된다. 디지털 카메라(17)는 촬상소자(17a)의 전체 영역의 화상정보를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화상제어회로(31)에 출력한다.
화상제어회로(31)의 화상 제어수단(33)은 다음에 설명하는 방법으로, 미리 연산된 범위의 화상을 절단하여, 이 화상을 메모리(32b)에 기억한다. 이 화상 데이터는 기록수단(35)에 의해 기록 매체 D에 보존되고, 이와 동시에 모니터(37)에 재생된다.
도 2는 화상의 절단 영역을 연산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17)의 촬상소자(17a)는, 길이 2000×폭 3000의 6,000,000 화소의 정방 화소이며, 유효부의 크기를 길이 20mm×폭 30mm로 설정된다.
관찰 모드에서의 안저상의 화상 사이즈의 직경을 9.6mm라고 가정하면,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안저상(17b)은 촬상소자(17a)의 유효 촬상영역(20×30)보다 작은 크기로 촬상된다. 그러나, 피검안 E의 촬영범위는 촬영자가 모니터(23)를 통해 관찰한 범위와 같다. 그리고, 화상 제어수단(33)은 촬상범위를 포함하는 사각형 영역(17c)을 절단한다. 이 절단 영역(17c)의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이 행하지만, 영역(17c)이 사각형일 필요는 없다.
촬상소자(17a)의 좌측 상단의 어드레스를 (0, 0)로 가정하고, 종 방향을 X, 횡 방향을 Y로 가정하며, 화상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X, Y)로 가정하면, 직경 9.6mm를 갖는 안저상을 포함하는 길이 2 대 폭 3의 유사 사각형 영역의 크기는, 상하로 2mm 씩의 여백을 고려하면, 길이 10mm×폭 15mm=1000×1500 화소(1화소=20/2000=0.01mm)이며, 센터 어드레스(광축)는 (1000, 1500)이 된다.
따라서, 이 센터 어드레스를 중심으로 해서 사각형 영역을 절단하면 되므로, 어드레스 P1(500, 750), P2(1500, 750), P3(500, 2250), P4(1500, 2250)의 4점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절단하면 된다.
화상 제어수단(33)은 절단 영역을 기록수단(35)에 기록하고, 다시 필요에 따라 통신수단을 통해, 외부로 화상을 전송한다. 이와 같이 화상을 사각형 모양으로 절단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PC(퍼스널컴퓨터)에 의해 범용의 뷰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촬영 화상을 보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촬상소자(17a)에 화상을 작은 크기로 결상함으로써, 촬상면에서의 조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조명 광량에서 촬영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릴레이 렌즈 16b를 사용한 경우에 화상 사이즈의 직경을 19.2mm라고 가정하면, 1/4의 조명 광량에서 같은 밝기를 갖는 안저상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매의 연속 촬영, 양쪽 눈의 연속 촬영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적은 영역의 화상만을 추출해서 보존하기 때문에, 압축 등의 가공을 적용하지 않은 생화상에 대해서도,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고, 기록 시간 및 전송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된 화상을 관찰하여, 상세한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39)의 상세진단 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 39D를 조 작한다.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39)의 스위치 39D에의 입력을 검지한 제어수단(36)은, 릴레이 렌즈 16a를 광로 밖으로 후퇴하고 릴레이 렌즈 16b을 삽입하여, 스트로보 제어회로(40)를 제어하여, 관찰 모드의 경우보다도 많은 광량으로 피검안 E를 조명할 수 있도록, 콘덴서(40a)의 충전 전압을 높은 값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촬영 스위치(38)를 조작하여 안저 Er의 촬영을 행한다.
촬영 스위치(38)에의 입력을 검지한 제어수단(36)은, 우선 적외 컷 필터(7)를 광로 내에 삽입하고, 디지털 카메라(17)의 촬상소자(17a)의 광축적을 개시하고, 스트로보 제어회로(40)에 발광 신호를 보낸다. 발광 신호를 받은 스트로보 제어회로(40)는 스트로보 광원(5)에 트리거 신호를 보내, 콘덴서(40a)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여 발광한다.
스트로보 광원(5)에서 방출된 광속은, 관찰 광과 마찬가지로, 조리개(6)의 환형 개구를 통과하여, 적외 컷 필터(7)에 의해 적외광은 제거되고, 나머지의 가시광선은 릴레이 렌즈(8)를 통해, 관통 미러(9) 주변의 미러부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반사되고, 대물렌즈(2)를 통해 피검안 E의 동공 Ep를 거쳐 안저 Er를 조명한다.
이와 같이 조명된 안저 반사상은, 다시 대물렌즈(2), 촬영 조리개(10), 포커스 렌즈(11), 촬영 렌즈(12)를 통과하고, 플립업 미러(13)의 아래쪽을 통과하여, 시야 조리개(14) 부근에 일단 결상되고, 필드 렌즈(15)에 의해 집광되어, 릴레이 렌즈 16b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7)의 촬상소자(17a)에 결상되어,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화상 제어수단(33)은 안저상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32b)에 기억한 다. 이 화상 데이터는 기록수단(35)에 의해 기록 매체 D에 보존되고, 모니터(37)에 재생된다. 이 화상은 스크리닝 모드시보다도 크게 표시된다.
이 진단 모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안저상(17b)이 촬상소자(17a) 위에 크게 결상된다. 피검안 E의 촬영 범위는, 촬영자가 모니터(23)로 관찰한 범위와 같다. 그리고, 화상 제어수단(33)은 화상 데이터 중에서 특정한 영역을 절단하지 않고 전체 화상 데이터를 기록수단(35)에 기록하고, 필요에 따라 통신수단을 통해 외부로 화상을 전송한다.
이 경우에는, 화상의 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기록 및 통신에 시간이 걸리고, 또한 피검안 E에 조사하는 광량도 크기 때문에 촬영효율이 저하된다. 그러나, 고정밀의 화상이 얻어지기 때문에, 정밀진단이 가능하게 되어 진단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경우에는, 진단 모드 및 스크리닝 모드의 2가지 모드를 설정하여, 조명 광량, 촬영 배율, 화상의 절단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도 4의 실시예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촬영자의 필요성에 따라, 원하는 화상 사이즈와 촬영 광량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으면, 사용시의 조작성이 더욱 더 향상된다.
이 경우에는, 도 1에 있어서의 릴레이 렌즈 16a 및 16b가 줌 렌즈(16c)로 치환되고, 제어수단(36)에 접속된 렌즈 위치 제어수단(41)에 의해 줌 렌즈(16c)의 배율을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39) 대신에 모드 선택 스위치(42)가 사용되고, 조명 광량의 강약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42H, 42L)가 설치되어, 선택된 조명 광량의 강도와 화상 사이즈가, 표시부(42a, 42b)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수단(36)은 선택된 발광 에너지를 발생하도록, 스트로보 제어회로(40)의 콘덴서(40a)의 충전 전압을 제어한다. 또한, 렌즈 위치 제어수단(41)을 제어하면, 줌 렌즈(16c)의 각각의 렌즈가 이동하여, 촬영면에서의 화상의 결상 배율이 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화상 제어수단(33)은 이 결상 배율, 즉 화상의 크기에 대응하는 절단 영역을 연산한다. 그리고, 이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수단(26)은 절단된 화상을 메모리(32b)에 기록한다.
이때, 절단 영역 P1, P2, P3, P4의 어드레스는, 안저상의 화상 사이즈의 직경을 d(mm)로 가정하여, 다음과 같이 함수화할 수 있다.
안저상에 대하여 절단하려는 여백의 한 면의 치수를 0.2mm라고 가정하면, 절단 영역의 크기는, 길이 d+0.4mm 및 폭 (d+0.4)×3/2mm가 된다. 화소 밀도를 20/2000=0.01mm라고 가정하면, 절단하려는 화소 사이즈는 길이 (d+0.4)/0.01 화소 및 폭 (d+0.4)×3/2/0.01 화소가 되고, 센터 어드레스는, (1000, 1500)이 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이 얻어진다:
P1{1000-(d+0.4)/0.01/2, 1500-(d+0.4)×3/2/0.01/2},
P2{1000+(d+0.4)/0.01/2, 1500-(d+0.4)×3/2/0.01/2},
P3{1000-(d+0.4)/0.01/2, 1500+(d+0.4)×3/2/0.01/2} 및
p4{1000+(d+0.4)/0.01/2, 1500+(d+0.4)×3/2/0.01/2}가 된다.
단, 어드레스 P1이 (0, 0)보다 작아지는 경우에는, 절단은 행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소자에 서로 다른 결상 배율로 결상하는 촬영 광학계를 갖는 안과촬영을 위해 적합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다양한 서로 다른 실시예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청구항에 기재된 것 외의 특정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9)

  1. 피검안 안저상을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피검안 안저상을 상기 촬상소자에 서로 다른 결상 배율로 결상하는 촬영 광학계와,
    상기 결상 배율과 연동된 광량으로 안저를 조명하는 안저 조명수단과,
    상기 결상 배율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안저 화상을 포함하는 특정 영역을 선택하는 영역 선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안저 조명수단의 광량을 상기 결상 배율의 감소와 연동하여 감소시키고,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결상 배율의 감소와 연동하여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특정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광학계는 줌 렌즈를 갖고, 이 줌 렌즈의 배율을 변경하여 결상 배율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광학계는 릴레이 렌즈를 갖고, 이 릴레이 렌즈를 변경하여 결상 배율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특정 영역이 피검안 안저상의 동일한 범위와 일치하도록, 상기 결상 배율의 축소와 연동하여 특정 화상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은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 배율의 광량 또는 상기 안저 조명수단을 선택 스위치의 선택에 따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특정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9. 피검안 안저상을 서로 다른 결상 배율로 결상하는 촬영 광학단계와,
    상기 결상된 피검안 안저상을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결상 배율과 연동된 광량으로 안저를 조명하는 안저 조명단계와,
    상기 결상 배율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안저 화상을 포함하는 특정 영역을 선택하는 영역 선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안저 조명단계의 광량을 상기 결상 배율의 감소와 연동하여 감소시키고, 상기 특정 영역을 상기 결상 배율의 감소와 연동하여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방법.
KR1020050048048A 2004-06-04 2005-06-04 안과촬영장치 및 안과촬영방법 KR100637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66672 2004-06-04
JP2004166672A JP2005342283A (ja) 2004-06-04 2004-06-04 眼科撮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202A true KR20060048202A (ko) 2006-05-18
KR100637288B1 KR100637288B1 (ko) 2006-10-24

Family

ID=34937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048A KR100637288B1 (ko) 2004-06-04 2005-06-04 안과촬영장치 및 안과촬영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54154B2 (ko)
EP (1) EP1602324B1 (ko)
JP (1) JP2005342283A (ko)
KR (1) KR100637288B1 (ko)
CN (1) CN100387184C (ko)
DE (1) DE60200501371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1201B2 (ja) * 2005-12-08 2012-03-21 興和株式会社 眼底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8295971A (ja) 2007-06-04 2008-12-11 Nidek Co Ltd 眼底カメラ
CN101566727B (zh) * 2008-04-22 2010-12-22 深圳市莫廷影像技术有限公司 眼科探头成像系统
CN102370456A (zh) * 2010-08-09 2012-03-14 明达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眼底光学影像装置
CN102370455A (zh) * 2010-08-09 2012-03-14 明达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眼底光学影像装置
US8398238B1 (en) * 2011-08-26 2013-03-19 Alcon Lensx, Inc. Imaging-based guidance system for ophthalmic docking using a location-orientation analysis
CN102657515B (zh) * 2012-05-10 2014-03-12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应用于视网膜成像系统的对准光路装置
CN102657514B (zh) * 2012-05-10 2014-06-18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便携式视网膜成像仪
JP6270312B2 (ja) 2012-11-09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499868B (zh) * 2013-10-10 2016-05-18 山东神戎电子股份有限公司 激光夜视仪同步变焦校正方法
KR20210009196A (ko) 2019-07-16 2021-01-26 주식회사 유엠아이옵틱스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3098B2 (ja) * 1977-06-30 1983-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変倍に従つて光量を補正する眼科装置
US4265518A (en) * 1977-06-30 1981-05-05 Canon Kabushiki Kaisha Variable magnification apparatus having illumination compensating ability
JPS5586439A (en) * 1978-12-22 1980-06-30 Canon Kk Ophthalmic inspecting device
JP3073510B2 (ja) 1990-07-27 2000-08-07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撮影装置
JPH05192299A (ja) * 1992-01-21 1993-08-03 Topcon Corp 眼底カメラ
JP3400024B2 (ja) * 1992-08-04 2003-04-28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画像処理システム
DE4326716B4 (de) * 1992-08-04 2005-03-03 Kabushiki Kaisha Topcon Anordnung zur Verarbeitung eines ophthalmologischen Bildes
JPH0788088A (ja) * 1993-09-27 1995-04-04 Topcon Corp 眼科撮影装置
JP3805612B2 (ja) 2000-10-20 2006-08-0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底カメラ
US6654553B2 (en) * 2000-12-01 2003-11-25 Nidek Co., Ltd. Fundus camera
US7055955B2 (en) 2001-02-27 2006-06-06 Canon Kabushiki Kaisha Eye fundus examination apparatus
JP3584246B2 (ja) * 2002-06-17 2004-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42283A (ja) 2005-12-15
DE602005013718D1 (de) 2009-05-20
US7354154B2 (en) 2008-04-08
EP1602324B1 (en) 2009-04-08
CN100387184C (zh) 2008-05-14
EP1602324A1 (en) 2005-12-07
US20050270485A1 (en) 2005-12-08
CN1706341A (zh) 2005-12-14
KR100637288B1 (ko) 200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7288B1 (ko) 안과촬영장치 및 안과촬영방법
JP4865257B2 (ja) 眼底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282889B2 (en) Ophthalmologic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amera for use in ophthalmologic photographing
JP6112949B2 (ja) 眼科装置、眼科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3630857B2 (ja) 眼科撮影装置
JP2010259647A (ja) 眼底カメラ
JP3584246B2 (ja) 眼科撮像装置
WO2007055668A2 (en) Portable slit lamp with built-in digital camera and illuminating diaphragm
JP2010148586A (ja) 眼底カメラ
KR100684299B1 (ko) 안과용 촬영장치
JP5792935B2 (ja) 眼科撮影装置
JP5465210B2 (ja) 眼底撮影装置
JP2003210409A (ja) 眼底カメラ
JP5875567B2 (ja) 眼科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204939A (ja) 眼科撮影装置
JP2005006926A (ja) 眼科画像撮影装置
JPH09135813A (ja) 眼科撮影装置
JPH09238906A (ja) 眼科撮影装置
JP4633242B2 (ja) 眼科装置
JP3268887B2 (ja) 眼科用観察装置
JP2003210407A (ja) 眼科撮影装置
JP2003210410A (ja) 眼底カメラ
JP2009101245A (ja) 眼科撮影装置
JP2005278745A (ja) 眼科撮影装置
JPS6041948A (ja) 眼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