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196A -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196A
KR20210009196A KR1020190085925A KR20190085925A KR20210009196A KR 20210009196 A KR20210009196 A KR 20210009196A KR 1020190085925 A KR1020190085925 A KR 1020190085925A KR 20190085925 A KR20190085925 A KR 20190085925A KR 20210009196 A KR20210009196 A KR 20210009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guide
pinhole
eye
optical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엠아이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엠아이옵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엠아이옵틱스
Priority to KR1020190085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9196A/ko
Publication of KR20210009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91Fixation targets for viewing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사자의 눈의 시선을 고정하도록 하여 눈의 망막을 정확하게 촬영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의 핀홀개구에 장착되되 중앙에 핀홀이 형성되는 시선안내막을 포함하고, 핀홀개구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핀홀을 통과하여 눈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Optical Imaging Apparatus for Ophthalmology}
본 발명은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사자의 눈의 망막에 광을 조사하고 망막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여 망막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 시력이 저하되는 등의 눈의 기능이 저하되어, 각종 눈 관련 질환이 발병하기도 한다. 이러한 눈관련 질환에는 백내장과 같이 수정체 관련 질환과 녹내장, 황반변성, 황반 이상증, 망박 분리 등과 같은 망막 관련 질환이 있다. 이와 같이 눈과 관련된 질환이 발병한 경우, 피검사자는 시력검사, 안압검사 등을 할 수 있으며, 망망 관련 질환의 경우 눈의 망막을 촬영하여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망막의 혈관은 우리 인체에서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유일한 혈관으로 고혈압을 비롯한 심장혈관계통의 질환 및 당뇨병 등에 동반되는 변화를 직접 관찰할 수 있다. 사람마다 지문이나 얼굴형태가 다른 것과 같이 망막혈관의 분포상태도 다르게 나타난다.
피검사자의 망막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망막 중에서 원하는 영역을 정확하게 촬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피검사자의 시선을 정확하게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나, 종래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에서는 피검사자의 시선을 정확하게 유도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기기들은 대부분 병원에 고정되어 있으며 피검사자가 기기 앞에 앉아 기기별 고유 방법으로 두위, 안구 움직임 등을 촬영해야 하므로, 촬영하는 동안 불편한 자세를 유지해야 하며,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이러한 기기를 이용하여 진단 및 치료를 제대로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기들은 피검사자의 한쪽 눈만을 촬영하도록 구성되므로, 촬영하는 한쪽 눈과 촬영하지 않는 다른 쪽 눈 간의 초점이 다르게 구성되는데, 한쪽 눈과 다른 쪽 눈 간의 초점 차이로 인하여, 양쪽 눈 간의 초점 조정 수행이 지속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눈이 피로해지고, 눈의 초점 변화로 인하여, 초점 맞춤된 제대로된 촬영 화상이 얻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637288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 과정에서 눈의 시선을 특정 영역으로 유도하도록 하여, 눈의 시선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도록 하여 피검사자가 편안하고 빠르게 망막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피검사자의 양안을 안내하도록 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한쪽 눈과 촬영하지 않는 다른 쪽 눈 간의 초점이 일치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초점 맞춤된 제대로 된 촬영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피검사자의 양안이 안내되도록 제 1 안내개구와 제 2 안내개구가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 핀홀개구가 형성되며, 일측과 타측 사이의 내부에 광학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안내개구와 상기 제 2 안내개구는 상기 광학통로에 구비되는 제 1 측부의 양측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핀홀개구는 상기 제 1 측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광학통로에 구비되는 제 2 측부의 중앙을 향하도록 위치되는 본체; 상기 광학통로의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일단부에 위치되는 제 1 조명부; 상기 광학통로의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타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조명부가 발광하는 광을 상기 제 2 안내개구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 1 반사부; 상기 제 2 안내개구에 위치되는 피검사자의 망막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도록 상기 제 2 측부의 상기 제 2 개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장착되는 촬영부; 상기 핀홀개구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핀홀개구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제 1 반사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 2 반사부; 및 상기 핀홀개구에 장착되되 중앙에 핀홀이 형성되는 시선안내막을 포함하고, 상기 핀홀개구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상기 핀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반사부 및 상기 제 1 반사부를 지나 상기 제 2 안내개구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선안내막에 형성되는 핀홀은 복수 개가 "+"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선안내막은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 1 시선안내막과 제 2 시선안내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광학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광학렌즈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를 피검사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핀홀개구로부터 상기 핀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 2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므로, 피검사자가 편안하고 빠르게 망막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촬영 과정에서, 피검사자가 눈의 시선을 시선안내막의 중앙에 오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눈의 시선을 고정할 수 있어, 눈의 망막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에는 피검사자의 양안을 안내하도록 제 1, 2 안내개구가 구비되므로, 피검사자의 촬영하는 한쪽 눈과 촬영하지 않는 다른 쪽 눈 간의 초점이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초점 맞춤된 제대로 된 촬영 화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에 구비되는 시선유도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의 시선안내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를 피검사자가 파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에 구비되는 시선유도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의 (a)를 참조하면, 종래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의 눈안착부(10)에 피검사자가 눈을 안착한다. 이때, 피검사자가 눈의 시선(L1)을 눈안착부(10)의 중앙이 아닌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면 촬영부(미도시)가 촬영하는 눈의 망막 영상이 부정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의 (b)와 같이, 눈안착부(10)의 중앙에 시선유도라인(L2)을 형성하여, 피검사자의 눈의 시선(L1)이 시선유도라인(L2)을 향하도록 유도하여, 눈의 망막을 정확하게 촬영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시선안내막을 사용하여 시선유도라인(L2)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1000)는 본체(100), 제 1 조명부(200), 제 1 반사부(400), 촬영부(300), 제 2 조명부(210), 제 2 반사부(410) 및 시선안내막(5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최근 들어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VR(Virtual Reality) 기기, HMD(Head Mounted Display), 망원경 등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100)를 피검사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거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거치부는 기존의 HMD에 적용되는 통상적인 구성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므로, 피검사자가 편안하고 빠르게 망막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일측에는 피검사자의 양안이 안내되도록 제 1 안내개구(120)와 제 2 안내개구(122)가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본체(100)의 타측 중앙에는 핀홀개구(130)가 형성된다. 제 1, 2 안내개구(120, 122)는 예를 들면 쌍안경의 경통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내부에 광학통로(110)가 형성된다. 광학통로(110)는 광이 지나가도록 빈 공간으로 길게 형성되되, 그 길이방향 일측에 제 1 측부(112)가 구비되고, 그 길이방향 타측에 제 1 측부(112)와 마주보도록 제 2 측부(114)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 1 안내개구(120)와 제 2 안내개구(122)는 제 1 측부(112)의 양측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핀홀개구(130)는 제 2 측부(114)의 중앙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제 1 조명부(200)는 광학통로(110)의 상기 제 1 측부(112)와 상기 제 2 측부(114) 사이의 일단부에 위치된다. 제 1 조명부(200)는 예를 들면, 다양한 파장의 광, 백색광 등을 발산할 수 있는 LED 등으로 구성된다. 제 1 조명부(200)가 발산하는 광은 광학통로(110)를 따라 광학통로(110)의 타단부 방향으로 진행된다.
제 1 반사부(400)는 광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으로, 광학통로(110)의 상기 제 1 측부(112)와 상기 제 2 측부(114) 사이의 타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조명부가 발광하는 광을 상기 제 2 안내개구(122) 방향으로 예를 들면 45°로 반사시킨다. 그리고 제 2 안내개구(122)에 위치되는 피검사자의 망막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은 투과시킨다.
촬영부(300)는 예를 들면, CMOS 센서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 2 안내개구(122)에 위치되는 피검사자의 망막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촬영부(300)는 제 2 측부(114)의 상기 제 2 개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장착된다. 촬영부(300)는 본체(100)에 위치되는 별도의 스위치(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외부 스위치(미도시) 등에 의하여 촬영이 제어될 수 있다.
제 2 조명부(210)는 핀홀개구(130)의 외측에 위치되며 후술하는 핀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소형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반사부(410)는 핀홀개구(130)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측부(112)와 상기 제 2 측부(114) 사이의 중앙에 경사지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제 2 반사부(410)는 제 1 반사부(400)와 마찬가지로 광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으로, 핀홀개구(13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제 1 반사부(400) 방향으로 예를 들면 45°로 반사시키고, 제 1 조명부(200)가 발산하는 광은 투과시킨다.
그리고 광학통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광학렌즈(4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광학렌즈(420)는, 예를 들면 광 경로를 늘려주거나, 광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초점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러한 광학렌즈(420)는 통상적인 구성이므로, 이들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의 시선안내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시선안내막(500)은 핀홀개구(130)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 1 시선안내막(510)과 제 2 시선안내막(520)을 포함한다. 제 1 시선안내막(510)과 제 2 시선안내막(520)은 빛이 투과될 수 없는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 1 시선안내막(510) 및 제 2 시선안내막(520)은 핀홀개구(130)의 중앙을 차단하도록 일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시선안내막(510)의 중앙에는 제 2 조명부(210)가 발광하는 광이 투과되도록 복수 개의 제 1 핀홀(512)이 관통 형성되되, 복수 개의 제 1 핀홀(512)은 "+" 패턴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시선안내막(520)의 중앙에도 제 2 조명부(210)가 발광하는 광이 투과되도록 복수 개의 제 2 핀홀(522)이 관통 형성되되, 복수 개의 제 2 핀홀(522)은 "+" 패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핀홀(512)과 제 2 핀홀(522)은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를 피검사자가 파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피검사자가 직접 본체(100)를 파지하거나 또는 검사자가 본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피검사자의 양안이 제 1 안내개구(120)와 제 2 안내개구(122)에 안내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 2 안내개구(122)에는 촬영하고자 하는 눈이 위치된다. 그 후, 제 2 조명부(210)를 온 시켜서, 핀홀개구(13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제 1, 2 핀홀(512, 522)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반사부(410) 및 상기 제 1 반사부(400)를 지나 상기 제 2 안내개구(122)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그리고 피검사자는 제 2 안내개구(122)에 위치된 눈의 시선을 제 1, 2 핀홀(512, 522)의 중앙에 위치시킨다. 그 후, 제 1 조명부(200)를 온 시켜서 제 2 안내개구(122)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고, 촬영부(300)는 제 2 안내개구(122)에 위치되는 눈의 망막을 촬영한다.
이처럼 촬영 과정에서, 피검사자가 눈의 시선을 시선안내막(500)의 중앙에 오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눈의 시선을 고정할 수 있어, 눈의 망막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100)에는 피검사자의 양안을 안내하도록 제 1, 2 안내개구(120, 122)가 구비되므로, 피검사자의 촬영하는 한쪽 눈과 촬영하지 않는 다른 쪽 눈 간의 초점이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초점 맞춤된 제대로 된 촬영 화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0: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
100: 본체 110: 광학통로
112: 제 1 측부 114: 제 2 측부
120: 제 1 안내개구 122: 제 2 안내개구
130: 핀홀개구 200: 제 1 조명부
210: 제 2 조명부 300: 촬영부
400: 제 1 반사부 410: 제 2 반사부
420: 광학렌즈 500: 시선안내막
510: 제 1 시선안내막 512: 제 1 핀홀
520: 제 2 시선안내막 522: 제 2 핀홀

Claims (6)

  1. 일측에 피검사자의 양안이 안내되도록 제 1 안내개구와 제 2 안내개구가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 핀홀개구가 형성되며, 일측과 타측 사이의 내부에 광학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안내개구와 상기 제 2 안내개구는 상기 광학통로에 구비되는 제 1 측부의 양측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핀홀개구는 상기 제 1 측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광학통로에 구비되는 제 2 측부의 중앙을 향하도록 위치되는 본체;
    상기 광학통로의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일단부에 위치되는 제 1 조명부;
    상기 광학통로의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타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조명부가 발광하는 광을 상기 제 2 안내개구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 1 반사부;
    상기 제 2 안내개구에 위치되는 피검사자의 망막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도록 상기 제 2 측부의 상기 제 2 개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장착되는 촬영부;
    상기 핀홀개구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핀홀개구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제 1 반사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 2 반사부; 및
    상기 핀홀개구에 장착되되 중앙에 핀홀이 형성되는 시선안내막을 포함하고,
    상기 핀홀개구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상기 핀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반사부 및 상기 제 1 반사부를 지나 상기 제 2 안내개구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안내막에 형성되는 핀홀은 복수 개가 "+"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안내막은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 1 시선안내막과 제 2 시선안내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광학렌즈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피검사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개구로부터 상기 핀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 2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
KR1020190085925A 2019-07-16 2019-07-16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 KR20210009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925A KR20210009196A (ko) 2019-07-16 2019-07-16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925A KR20210009196A (ko) 2019-07-16 2019-07-16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196A true KR20210009196A (ko) 2021-01-26

Family

ID=74310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925A KR20210009196A (ko) 2019-07-16 2019-07-16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919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288B1 (ko) 2004-06-04 2006-10-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안과촬영장치 및 안과촬영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288B1 (ko) 2004-06-04 2006-10-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안과촬영장치 및 안과촬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0025B2 (en) Ophthalmic apparatus
JP6930095B2 (ja) 自覚式検眼装置
FI125445B (fi) Katseenohjausjärjestely
US9357914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110086004A (ko)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
JP5887410B2 (ja) 人工レンズの配向を検知するための光学的な配置および方法
KR20190108904A (ko) 사시각 자동 측정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시각 자동 측정장치
US20230116541A1 (en) Reflectometry instrument and method for measuring macular pigment
WO201919352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rneal topography with in-focus scleral imaging
KR101930924B1 (ko) 안과용 촬영장치
JP4551107B2 (ja) 光学系の位置合わせ装置及び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三次元観察状態測定装置及び方法
KR100722162B1 (ko) 마이어링을 이용한 피검안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검안기
KR20140112616A (ko) 각막 촬영용 렌즈가 구비된 오씨티 장치
JP7266375B2 (ja) 眼科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JP2018089080A (ja) 自覚式検眼装置
JP2011251061A (ja) 眼科装置
KR20210009196A (ko)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
JP7314392B2 (ja) アイボックスを拡張するための動的照明器を有する網膜カメラ
JP4164411B2 (ja) 眼科装置
EP3440990A1 (en) System for imaging a fundus of an eye
KR20140112615A (ko) 마이어링 광원이 구비된 오씨티 장치
KR100843101B1 (ko) 검안기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검안기
JP3190870B2 (ja) 眼科検診装置の予備アライメント機構
JP2013179979A (ja) 眼底撮影装置
US10779727B2 (en) Lens system for inspection of an ey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