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299B1 - 안과용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안과용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299B1
KR100684299B1 KR1020040063782A KR20040063782A KR100684299B1 KR 100684299 B1 KR100684299 B1 KR 100684299B1 KR 1020040063782 A KR1020040063782 A KR 1020040063782A KR 20040063782 A KR20040063782 A KR 20040063782A KR 100684299 B1 KR100684299 B1 KR 100684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magnification
unit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7400A (ko
Inventor
오키니시사토루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7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처리된 의료 화상이 판독된 경우, 화상 촬영의 의도가 직감적이고 빠르게 이해되어 화상 판독 조작이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실행되는 안과용 촬영 장치가 개시된다. 안과용 촬영장치는 피검안의 광학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광학계와, 상기 촬영광학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피검안의 상기 광학 화상을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전자 촬상부와, 적어도 배율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배율 변경 처리를 위해 적어도 상기 배율에서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배율 변경 처리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와 적어도 상기 배율을 저장하는 화상 저장부를 포함한다. 더욱이 제어 유니트는 상기 화상 저장부를 제어하여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와 적어도 상기 서로 관련하는 배율을 저장한다.
촬영 광학계, 전자 촬상부, 입력부, 처리부, 표시부, 화상 저장부, 제어부

Description

안과용 촬영장치{OPHTHALMOLOGIC IMAGE TAK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외관개요도이다.
도 2는 장치의 광학적, 전기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화상취급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변배 촬영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변배 촬영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변배 후 촬영화상의 표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변배 후 촬영화상의 표시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시점입력 촬영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시점입력 촬영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시점입력 촬영의 표시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시점입력 촬영의 표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지정점 입력과 변배의 복합 촬영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지정점 입력과 변배의 복합 촬영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지정점 입력과 변배의 복합 촬영을 표시하기 위한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지정점 입력과 변배의 복합 촬영의 표시예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엣지 강조 화상 촬영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엣지 강조 화상 촬영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촬영된 엣지 강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2: 스테이지
3: 변배스위치 4: 포커스 노브
5: 전자촬상수단 6: 화상취급수단
7: 표시수단 8: 조작패널
본 발명은, 안과용 촬영장치를 사용하는 화상 촬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과용 촬영장치에서 화상을 표시하는데 적합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안과에 있어서의 의용화상은, 화상으로서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안과 의용화상에 있어서 이와 같은 정도로 중요한 요건으로서, 촬영화상에 대한 촬영 의도, 즉 촬영된 화상이 어떠한 필요성을 갖고 촬영되었는지를 기록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이다.
의용 화상의 화상 촬영의 의도된 목적(이하 "화상 촬영 목적"이라 부름)은, 환자 차트, 화상 촬영 명령 쉬트 등에 화상 촬영의 기록을 남기고, 촬영된 화상에 기록하고, 예를 들어 전자 화상일 경우에 촬영된 화상에 기록 데이터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실제의 화상진단에 있어서는, 하나하나 이들 기록을 참조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화상 자체로부터 직감적으로 촬영 의도를 읽어내면서 진단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주목 부위를 화면 중앙에 촬영하거나, 그 부위의 확대된 화상촬영이 행하여진다. 이 촬영방법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열람한 영상판독자는, 직감적이고도 단시간에 화상의 촬영 의도를 이해할 수 있고, 효율이 좋은 화상판독진단을 행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 5-137696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6-165763호 공보, 또는 일본국 특개평 9-173295호 공보에 개시된다.
그렇지만, 종래부터 널리 행해지고 있는 은염 매체에 의한 사진촬영에서는, 상기한 것과 같이 확대 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광학적인 화상 확대를 행할 필요가 있고, 촬영된 화상은 확대된 화상으로서만 존재한다. 최근에, 보급되어 온 디지털 사진촬영 등에 있어서도, 촬영시에 촬영 부위를 확대관찰하면서, 확대된 화상촬영을 행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이 사례에 있어서는, 촬영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확대된 상태에서 관찰된 화상을 보는 것이다. 그 때문에, 영상판독자에게는 전술한 것과 같이 촬영 의도를 직 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반면에, 화상범위 외의 부위에 대해서는 영상판독자는 볼 수 없어, 다른 화상으로부터 필요로 하는 부위의 화상을 찾지 않으면 안된다.
한편, 전자화상의 취급의 간편함을 살려, 다음 조작이 가능하다. 광화각, 즉 저배율로 화상을 촬영하고, 상세 관찰이 필요한 경우에는 퍼스널컴퓨터의 뷰어 기능 등을 이용하여, 영상판독자가 수시로 화상 확대를 행한다. 그러므로, 확대 화상과 광각화상을 따로따로 촬영하는 회수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사례에 있어서는, 광범위한 화상을 보는 것이 가능하고, 화상의 확대율이나 확대부위의 자유도가 높다. 그러나, 확대 화상을 보는 경우에는, 반드시 화상의 확대나 확대범위의 검색 등 소정의 조작을 필요로 하여 버리기 때문에, 화상열람이 번잡해진다. 더구나, 촬영시의 주목 부위나 그것의 촬영배율, (즉 그 부위에 대한 주목도) 등의 해당 화상의 촬영 의도가 화상만으로는, 매우 이해하기 힘들게 되어 버린다.
또한, 안저화상을 예로 들면, 환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목적으로, 1장의 사진에 의해 가능한한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 주변부에 존재하는 병변과 함께, 유두나 황반을 포함하는 후극부를 중심으로 하는 광화각인 화상을 촬영한 경우가 있다. 또한 산동 부량이나 백내장 등의 피검안의 장해에 의해, 안저 주변부의 병변을 중심으로 하는 화상의 촬영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병변부를 화상의 어딘가에 찍고 있는 상태의 화상을 촬영한 경우에는, 그 1장의 화상만으로는 촬영의 의도를 직감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즉 후극부가 중앙에 찍혀 있지만, 최대의 주목점은 주변의 병변이라는 점이나, 화상의 어딘가에 병변부가 존재한다고 하는 점이 직감적으로 이해하기 힘들게 된다.
더구나, 관찰대상에 따라서 엣지 강조, 콘트라스트 강조, RGB 보정 표시, 대역 압축 및 신장 등의 화상처리를 시행한 관찰화상을 보면서 촬영을 행하면, 촬영대상을 더욱 명확하게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그 화상을 촬영하여 남기면, 화상판독시에 촬영의 의도를 직감적으로 파악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화상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원화상을 볼 수 없다. 따라서, 의도적인 처리를 한 화상만을 볼 수 있으며, 원화상을 볼 수 없다는 것은, 의용화상으로서는 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직한 방법으로 화상 표시를 할 수 있는 안과용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고, 여기서 같은 참조 부호는 그 도면 전체에 걸쳐 같거나 유사한 부분을 지정한다.
[발명의 실시예]
첨부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외관도이다. 광 학계 등을 내장한 케이스(1)는 피검안 E에의 얼라인먼트를 위해 스테이지(2) 상에 위치 및 자세를 3차원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케이스(1)에는 변배 스위치(3), 포커스 노브(4), 디지털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진 전자촬상수단(5)이 부착되어 있다. 전자촬상수단(5)의 출력은 화상취급수단(6)을 통해 표시수단(7)에 접속되어 있다. 스테이지(2) 상에는, 복수의 스위치류를 갖는 조작패널(8)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패널(8) 상에 정상부 촬영스위치(9)를 부착한 조작봉(10)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안저카메라에 응용한 케이스(1) 내부의 광학적, 전기적인 구성도이다. 연속 발광광원인 관찰광원(11)으로부터 대물렌즈(12)에 이르는 광로 중에는, 콘덴서렌즈(13), 촬영광원인 스트로브관(14), 콘덴서렌즈(15), 필드렌즈(16), 링 슬릿(17), 유해광을 차단하는 차광부재(18), 릴레이렌즈(19), 차광부재(20), 구멍뚫린 미러(2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관찰광원(11)의 후방에는 오목면 미러(22)가 배치되어 있다.
구멍뚫린 미러(21)의 후방에는, 포커스 노브(4)에 의해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포커스렌즈(23), 결상렌즈(24), 전자촬상수단(5)이 배치되어 있다. 전자촬상수단(5)은 촬상소자(25) 및 촬상회로(26)를 포함한다. 촬상소자(25)는, 촬영광학계에 있어서의 최저 결상배율(최광화각)인 "촬영광학계 기초 결상배율"로 결상된 안저부 Ea의 광화상을 전하로 변환한다. 촬상회로(26)는, 촬상소자(25)로부터 이 전하를 동기제어를 행하면서 신호파형으로서 판독한다.
촬상회로(26)의 출력은 화상취급수단(6) 및 제어수단(27)에 접속된다. 또한 화상취급수단(6)은, 표시수단(7) 및 제어수단(27)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수단(27)에는, 관찰광원(11), 스트로브관(14), 변배 스위치(3), 조작패널(8), 촬영스위치(9)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수단(27)은 변배 스위치(3), 촬영스위치(9) 등으로부터의 조작신호입력을 받아, 이 조작신호에 따라 관찰광원(11) 및 스트로브관(14)을 비롯하여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더구나 제어수단(27)은 전자촬상수단(5)과 화상취급수단(6)에 대해 제어신호나 트리거신호, 입력 데이터 등의 통신을 행한다.
도 3은 화상취급수단(6)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화상취급수단(6)은 메모리(31), 처리유니트(32), 기록수단(33)으로 구성된다. 처리유니트(32)는 메모리(31) 및 기록수단(33)에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31)에는 전자촬상수단(5)의 출력이 접속된다. 처리유니트(32)는 제어수단(27) 및 표시수단(7)에 접속되어 있다.
관찰광원(11) 또는 스트로브관(14)에서 발생된 조명광은, 콘덴서렌즈 (13,15)를 거쳐, 필드렌즈(16)와 링 슬릿(17)으로 링 형상으로 성형된다. 조명광은 릴레이렌즈(19)와 차광부재 (18,20)를 거쳐 송신되어 조명광학계를 구성한다. 조명광은 구멍뚫린 미러(21)의 주변부에서 반사되고, 대물렌즈(12)를 통해 피검안 E의 안저부 Ea에 조사된다.
안저부 Ea에서의 반사광은 대물렌즈(12), 구멍뚫린 미러(21)의 구멍 부분, 포커스렌즈(23) 및 결상렌즈(24)를 거쳐서 전송되고 전자촬상수단(5)에 의해 반사광의 화상이 촬영된다. 대물렌즈(12), 구멍뚫린 미러(21), 포커스렌즈(23), 결상렌즈(24), 전자촬상수단(5)은 촬영광학계를 구성한다.
전자촬상수단(5)의 촬상소자(25)에서 판독한 신호파형을, 촬상회로(26)는 AD 변환을 행하여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디지털 화상 데이터는 동기신호와 함께 화상취급수단(6)으로 출력한다. 화상취급수단(6)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와 동기신호는, 메모리(31)에 일시 기억된다. 처리유니트(32)는 메모리(31)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여 기록수단(33)에 기억시키거나, 표시수단(7)에 화상표시를 한다. 후술하는 것처럼 처리유니트(32)는 제어수단(27)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데이터 처리내용의 변경을 행한다.
안저부 Ea의 촬영에서는, 촬영 부위에의 위치 맞춤이나 초점맞춤을 행하기 위해, 통상은 동화상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 제어수단(27)은 이 동화상 모드시에, 화상취급수단(6)과 전자촬상수단(5)에 대해 동화상 모드로 동작하도록 지령한다. 이에 따라, 전자촬상수단(5)은 연속하여 1초당 수 프레임 내지 수 십 프레임분의 안저부 Ea의 화상을 촬영한다. 화상취급수단(6)은 이들 화상 데이터를 받아들인다. 화상취급수단(6)에 받아들인 복수의 화상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1프레임마다의 화상으로 생성되어, 이것을 리얼타임으로 연속적으로 표시수단(7)에 표시시키는 것으로, 검사자에게 피검안 E의 동화상을 제시한다.
검사자는 표시수단(7)에 표시된 피검안 E의 동화상을 관찰하면서, 안저부 Ea의 소정 부위에의 얼라인먼트 및 초점 맞춤을 행한다. 그 다음 조작봉(10)상의 촬영 스위치(9)를 누르면, 제어수단(27)은 공지의 제어방법을 사용하여 다음 조작을 실행한다. 즉, 스트로브관(14)을 소정 광량으로 소정 시간 발광시킨다. 동시에 전자촬상수단(5) 및 화상취급수단(6)에 대해 제어신호 및 트리거신호를 보내, 동화상의 받아들임을 정지한다. 스트로브관(14)의 발광에 동기하여 전자촬상수단(5)으로 안저부 Ea의 정지 화상(1 프레임 화상)의 촬영이 행해진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촬영된 정지 화상 F는 화상취급수단(6)에 보존된다. 동시에 정지 화상 F는 표시수단(7)에 표시된다.
도 4는 확대 촬영을 행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화상 확대 촬영에 있어서는, 전술한 것과 같이 동화상 관찰시에 도 5의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변배 스위치(3)를 조작하여, 확대율을 n배(*n)로 설정한다(S201 내지 S203). 제어수단(27)을 통해, 변배 스위치(3)에서 입력된 확대율 *n을 화상취급수단(6)에 입력한다(S204).
여기서 서술하는 "n배"란, 전술한 촬영광학계 기초 결상배율인 *n0에 관련된 배율이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동화상 모드에서 받아들여진 안저부 Ea의 *n0화상 F0로부터는, 확대율 *n에 대응하는 영역의 화상 F1이 화상취급수단(6) 내에서 처리유니트(32)에 의해 추출된다. 화상 F1의 중앙은 화상 F0의 중앙에 대응한다. 추출된 *n의 확대 화상 F2가 표시수단(7)에 표시된다(S205).
확대율 n배에 해당하는 영역의 추출은, 공지의 다양한 화상처리수법이 있으며,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일례로서 다음과 같이 행할 수 있다. 촬상소자(25)의 촬영 유효 화소수가 세로 L, 가로 W이었던 경우에 n배로 추출하는 영역의 픽셀수를, 세로 Ln=INT(L/n), 가로 Wn=INT(W/n)으로 산출한다. 여기서, "INT()"는 () 안의 실수를 라운딩하여 정수를 얻는 함수이다.
촬상소자(25)에서의 화상의 결상 중심 부근의 화소의 위치인 픽셀 어드레스 Cx, Cy를 결정한다. 이 픽셀 어드레스를 중심으로 한 Ln, Wn의 범위의 픽셀의 데이 터를 *n0 화상 F0에서 추출하여, 이것을 1장의 화상으로서 재구성한다. 그럼으로써, *n0 화상 F0에서 *n의 확대 화상 F2를 추출할 수 있다.
변배 스위치(3)가 확대율 *n로 설정된 상태에서, 촬영스위치(9)를 눌러 정지 화상촬영을 행하면(S206), 제어수단(27)에 의해 동화상 관찰이 정지된다(S207). 화상취급수단(6)에서 처리유니트(32)는 전자촬상수단(5)에서 촬영된 *n0 화상 F0(S208)에서 *n 확대 화상 F2을 생성하지 않고, *n0 화상 F0에 확대율 *n을 헤더정보로서 첨부하여 기록수단(33)이 기록하게 한다(S209).
또한, 이 경우에 *n의 정보를 화상 데이터에 첨부시키지 않고 *n과 화상 데이터를 각각 별도로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도록 서로 관련시켜도 된다.
도 6은 전술한 것과 같이 촬영되어 화상취급수단(6)에서 기록된 화상 F3, F4, F5를 화상 리스트나 섬네일 등 공지의 선택방법으로 조작패널(8) 상에 설치한 선택 스위치나 표시수단(7) 상에 설치한 터치센서 등에 의해 선택하여, 표시수단(7)에서 표시를 한 예이다.
화상취급수단(6)에서, 화상 F3, F4, F5는 각각 확대율의 정보에 첨부된다. 즉, 화상 F3에는 *n1, 화상 F4에는 *n2, 화상 F5에는 *n3(단위 확대율)가 첨부된다. 이들 화상은, 기록수단(33)에 *n0 화상으로서 기록된다.
예를 들면, 도 7의 흐름도에 따라서, 제어수단(27)에 의해 화상취급수단(6)에 화상 F3의 화상선택신호가 입력되면(S213), 처리유니트(32)는 화상 F3을 *n1과 함께 기록수단(33)에서 판독한다(S214). 그 다음, 전술한 도 5에 관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n0 화상 F3로부터 *n1에 해당하는 영역을 추출한 화상 F6를 생성하여, 표시수단(7)에 확대표시한다(S215,S216). 화상 F4, F5에 대해서도 연속하여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화상 F4의 *n2 화상 F7, 화상 F5의 *n3 화상 F8을 나란하게 표시한다.
이와 같이, 촬영 의도 재현모드로 화상을 표시시키면, 초기 상태에서 촬영시에 관찰하고 있는 시야로 표현된다. 조작패널(8)에 설치된 배율 변경 스위치에 의해, 화상표시 배율의 변경신호를 제어수단(27)에 입력하면(S218,S219), 제어수단(27)은 해당 화상처리를 행하도록 화상취급수단(6)에 지시를 송신한다. 이 지시의 입력에 따라서, 화상취급수단(6)은 처리유니트(32)에서 선택된 화상의 표시배율의 변경을 행하여, 표시수단(7)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S220). 이러한 표시배율의 변경에 의해, 당초 표시되고 있는 화상의 주변부를 보고, 더욱 더 고배율에서의 상세관찰도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촬영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표시수단(7)에 표시된 동화상 F10을 보면서, 검사자가 피검안 E에 얼라인먼트를 행한다(S223). 이 처리에서, 조작패널(8)에 설치된 포인터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제어수단(27)을 통해 동화상 F10 상에서 포인터를 이동시켜 포인터 P를 지정한다(S224). 포인터 P의 정보를 화상취급수단(6)으로 보낸다(S225). 화상취급수단(6)에서, 처리유니트(32)는 지정된 포인터 P의 위치를 촬상소자(25) 상의 픽셀 어드레스 P=(x, y)로 변환한다(S226). 촬영스위치(9)를 눌러 촬영을 행하면(S227), 촬영된 화상 F10은 화상취급수단(6)에서, 픽셀 어드레스 P를 첨부하여 기록수단(33)에 기록된다(S228 내지 S230).
도 10은 전술한 것과 같이 촬영된 화상의 합성화상의 표시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전술한 것과 같이 촬영된 후에 화상취급수단(6)에 기록된 화상 F11, F12, F13를, 전술한 것과 같은 재현모드로 표시수단(7)에 표시한 예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촬영되어 화상취급수단(6)에서 기록된 화상 F11, F12, F13의 화상을 선택한다(S234). 화상취급수단(6)에서, 처리유니트(32)는 기록되어 있는 화상 F1과, 촬영시에 첨부기록되어 있는 지정점 P1의 픽셀 어드레스(P1)를 판독한다(S235). 화상 F1 상에 픽셀 어드레스 (P1)=(x1, y1)을 중심으로 한 도 11 중에서 사각형의 영역인 소정의 포인터 P1을 합성한 합성화상 F14 상을 생성하여(S236), 표시수단(7)으로 하여금 합성 화상 F14를 표시한다(S237). 화상 F12, F13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표시처리를 행하여, 표시화상 F15의 포인터 P2, 화상 F16의 포인터 P3와 같이 표시한다. 포인터 P1, P2, P3는 합성표시되어 있을 뿐이므로, 필요에 따라서 소거가 가능하다(S239 내지 S241).
포인터의 설정에는, 공지의 시선 검출장치를 사용하여 관찰화상에 있어서의 촬영자의 시점위치를 검지하여 입력시켜도 된다. 또는 표시수단(7)의 표면에 터치센서를 배치하여, 관찰화상 위를 직접 접촉함으로써 포인터의 위치를 입력해도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촬영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서, 전술한 것과 같이 피검안 E의 안저 Ea를 전자촬상수단(5)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안저 화상 F20의 동화상 관찰을 행하고 있다. 관찰을 하면서 전술한 것과 같이 포인터 P4를 지정하고, 다시 변배 스위치(3)를 조작하여, 확대율을 n배(*n)로 설정한다(S244 내지 S246). 그러면, 전술한 도 4, 도 8에서 설명한 처리를 복합적으로 행하여, 표시수단(7)에 포인터 P4 중심의 *n 확대 화상 F21이 표시된다(S247 내지 S249). 촬영스위치(9)를 눌러 정지 화상촬영을 행하면(S250 내지 S252), 전술한 도 4, 도 8에서 설명한 처리를 복합적으로 행하여, 화상취급수단(6)에서 *n0 화상 F20에, *n과 픽셀 어드레스(P)=(x, y)를 헤더정보로서 첨부하여 기록을 행한다(S253).
피검안 E에 대한 얼라인먼트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관찰시에 확대 화상 F21을 표시하지 않고 *n0 화상을 표시하는 것도 좋다. *n0 화상과 확대 화상 F21 사이에 전환수단을 설치하여도 된다.
도 14는 이와 같이 촬영된 화상의 표시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이와 같이 기록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표시수단(7)에 재표시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화상 F23, F24, F25를 선택한다(S257). 예를 들면, 화상 F23을 표시하는 경우에, 화상취급수단(6)에서, 화상 F23과 촬영시에 첨부기록되고 있는 지정점 P5의 픽셀 어드레스 (P5)=(x5, y5)와, 확대율 *n5을 판독한다(S258). 픽셀 어드레스는 표시화상 F23 상의 위치로 변환된다. 픽셀 어드레스 (P5)=(x5, y5)를 중심으로 한 *n5의 확대 화상 F26을 생성하여(S259), 표시수단(7)에 표시한다(S260).
화상 F24, F25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표시처리를 행하여, 픽셀 어드레스 P6를 중심으로 한 *n6 확대 화상 F27, 픽셀 어드레스 P7을 중심으로 한 *n7 확대 화상 F28와 같이 표시한다. 필요에 따라서, 확대율이나 확대 화상의 중심을 변경하는 것은(S262 내지 S264), 공지의 수단에 의해 가능하다. 그러므로 그 설명을 여기서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보여준다. 이 예에 따르면, 촬영 관찰시에 관찰화상을 더욱 더 보기 쉽게 하기 위해, 공지의 수법을 사용하여 관찰화상에 대해 엣지강조처리를 행하면서 촬영한다.
도 17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동화상 F30을 관찰중에 조작패널(8) 내부에 설치된 엣지강조 스위치를 조작한다. 화상취급수단(6)에 소정의 엣지강조처리가 된 동화상 F31을 표시수단(7)에 표시하도록 한다(S271 내지 S275). 촬영스위치(9)를 눌러 정지화상 촬영을 행하면(S276 내지 S278), *n0 화상 F30에 어떠한 엣지강조처리를 행하였는가 하는 정보 "A"를 부가하여, 화상취급수단(6)에 의해 기록을 행한다(S279).
도 18은 전술한 것과 같이 하여 촬영된 화상의 표시에 관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표시시킬 화상을 선택한다(S283). 화상취급수단(6)에서, 화상 F30과 엣지강조 처리정보 "A"를 판독한다(S284). 엣지강조 처리정보 "A"에 근거하여 화상 F30에 엣지강조처리를 시행한 화상 F31을 표시수단(7)에 표시한다(S285,S286). 필요에 따라서, 엣지강조처리를 해제하여 원래 화상 F30을 표시하는 것은(S288 내지 S290), 공지의 수법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전술한 엣지강조 뿐만 아니라, 콘트라스트 강조, RGB 보정표시, 대역 압축과 신장 등의 공지의 화상처리에 있어서도, 동일한 수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촬영대상의 촬영광학계에 있어서의 최저 결상배율(최광화각)을 "촬영광학계 기초 결상배율"로 정의한다. 확대 화상촬영에 있어서도 항상 이 배율에 의한 최광화각 화상을 촬영한다. 이 확대화상에 대한 확대배율의 정보를 촬영화상과 함께 동시 기록한다. 촬영 화상을 표시수단에서 재표시할 때에는, 기록되고 있는 광화각 화상이 아니고, 동시 기록된 확대율을 기초로 화상처리가 시행된 확대 화상을 항상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서 표시 확대율을 낮추면, 원래 기록되어 있는 광화각 화상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 주변부 영상판독도 한번에 가능해진다.
촬영부위의 관찰시의 촬영자의 주목 범위를 간편하게 기록하고 그 위치정보를 촬영화상과 함께 동시에 기록한다. 해당 화상을 재표시할 때는, 동시 기록되어 있는 주목범위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범위를 표시하는 메이커를 화상 상에 중첩시켜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주목부위를 중심에서 벗어나 촬영한 의용화상에 있어서도 화상의 촬영 의도를 직감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화상 처리를 시행한 관찰상을 남기기 위해, 전술한 것과 동일한 수법으로 촬영광학계 기초 결상배율의 원화상을 촬영하여, 화상처리에 관한 정보를 동시 기록한다. 해당 촬영 화상을 재표시할 때에는 화상처리정보를 기초로 원화상을 화상처리하여 표시한다. 이에 따라, 처리완료 화상뿐만 아니라 원화상도 필요에 따라서 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는, 처리를 시행한 안과화상의 영상판독시에, 촬영 의도를 직감적이고도 신속하게 파악가능하게 하여 영상판독 작업의 정확 화와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촬영가능한 범위의 광범위한 원화상을 수시 이용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세 영상판독의 효율화와 화상의 다목적 응용의 용이화 등, 의용화상의 사용가치를 비약적으로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한 방법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안과용 화상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피검안을 촬영하는 촬영광학계와,
    그 촬영광학계에 의해 결상한 피검안의 광학상을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전자 촬상부와,
    적어도 촬영시의 표시배율을 입력하는 제 1 입력부와,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 및 적어도 상기 촬영시의 표시배율을 관련시켜 저장하는 화상저장부와,
    상기 화상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적어도 변배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상기 변배 처리를 위한 배율을 입력하는 제 2 입력부와,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저장된 촬영시의 표시배율로 변배 처리하는 제 1 모드와, 제 2입력부에서 입력된 배율로 변배 처리하는 제 2 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부에서는 좌표지정처리, 엣지 강조처리, 콘트라스트 강조처리, RGB 보정 처리, 대역 압축·신장 처리 중 어느 하나의 처리를 선택하여 입력하고,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 상기 촬영시의 표시배율 및 상기 선택된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하고,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좌표지정처리, 엣지 강조처리, 콘트라스트 강조처리, RGB 보정 처리 및 대역 압축·신장 처리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라미터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3. 디지털 화상 데이터 및 적어도 촬영시의 표시배율을 관련시켜 저장하는 화상저장부와,
    상기 화상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적어도 변배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상기 변배처리를 위한 배율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저장된 촬영시의 표시배율로 변배처리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배율로 변배처리하는 제 2 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저장부에서는, 좌표지정처리, 엣지 강조 처리, 콘트라스트 강조처리, RGB 보정 처리, 대역 압축·신장 처리 중 어느 하나의 처리를 선택하여,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와 관련시켜 기억하고,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좌표지정처리, 엣지 강조처리, 콘트라스트 강조처리, RGB 보정 처리 및 대역 압축·신장 처리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시에 상기 변배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좌표가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에 관련되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그 좌표에 의거하여 마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KR1020040063782A 2003-08-13 2004-08-13 안과용 촬영장치 KR100684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07471 2003-08-13
JP2003207471A JP4481601B2 (ja) 2003-08-13 2003-08-13 眼科用撮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400A KR20050017400A (ko) 2005-02-22
KR100684299B1 true KR100684299B1 (ko) 2007-02-16

Family

ID=3356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782A KR100684299B1 (ko) 2003-08-13 2004-08-13 안과용 촬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347550B2 (ko)
EP (1) EP1506734B1 (ko)
JP (1) JP4481601B2 (ko)
KR (1) KR100684299B1 (ko)
CN (1) CN1316937C (ko)
TW (1) TWI2894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1601B2 (ja) * 2003-08-13 2010-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用撮影装置
JP4574277B2 (ja) * 2004-08-09 2010-11-04 興和株式会社 眼科撮影装置
US20060204066A1 (en) * 2005-03-14 2006-09-14 Fujifilm Electronic Imaging Ltd. Monitoring image inspection
JP2011045553A (ja) * 2009-08-27 2011-03-10 Canon Inc 眼底撮像装置
WO2011156797A2 (en) * 2010-06-10 2011-12-15 Eye Photo Systems Incorporated Eye image and video captur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JP6270312B2 (ja) 2012-11-09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08827B2 (ja) * 2012-12-28 2017-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および位置合わせ方法
JP6187751B2 (ja) * 2013-06-27 2017-08-30 株式会社ニデック 画像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A (en) * 1841-03-12 Tor and planter for plowing
US5557321A (en) * 1990-10-02 1996-09-17 Canon Kabushiki Kaisha Fundus camera or opthalmic apparatus comprising a flash light source system
JP3171611B2 (ja) * 1991-06-29 2001-05-28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撮影装置
JP3169244B2 (ja) 1991-11-19 2001-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眼底画像処理方法
JP3372580B2 (ja) 1992-11-28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
JP3330414B2 (ja) * 1993-03-17 2002-09-30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画像処理装置
JPH08571A (ja) * 1994-06-24 1996-01-09 Topcon Corp 眼科装置
JPH09173295A (ja) 1995-12-27 1997-07-08 Canon Inc 医療用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H09276231A (ja) * 1996-04-12 1997-10-28 Canon Inc 眼科用画像処理装置
JP3533292B2 (ja) * 1996-06-28 2004-05-31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屈折力測定装置
US6022108A (en) * 1996-06-28 2000-02-08 Nidek Co., Ltd. Opthalmic apparatus for judging alignment conditions based on target images
JPH10143627A (ja) * 1996-11-06 1998-05-29 Fuji Photo Film Co Ltd 診断用画像の再生システム
AU737530B2 (en) 1997-04-17 2001-08-23 Avimo Group Limited Ocular microcirculation examination and treatment apparatus
JPH1170080A (ja) 1997-08-29 1999-03-16 Canon Inc 眼科撮影装置
JPH11347016A (ja) * 1997-10-01 1999-12-21 Oki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
US6761453B2 (en) 2000-05-30 2004-07-13 Ralph C. Wilso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n eye examination
US6450643B1 (en) * 2000-05-30 2002-09-17 Ralph C. Wilso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n eye examination
US6507704B2 (en) 2000-10-06 2003-01-14 Fuji Photo Film Co., Ltd. Pseudo-zoom camera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ing the pseudo-zoom camera
JP2002253510A (ja) * 2001-02-27 2002-09-10 Canon Inc 眼血流計
US7055955B2 (en) 2001-02-27 2006-06-06 Canon Kabushiki Kaisha Eye fundus examination apparatus
JP4694741B2 (ja) * 2001-09-27 2011-06-08 興和株式会社 眼底撮影装置
JP3833529B2 (ja) * 2001-12-10 2006-10-11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撮影装置
JP2003225208A (ja) * 2002-02-04 2003-08-12 Nidek Co Ltd 眼底カメラ
DE10254369A1 (de) 2002-11-21 2004-06-03 Carl Zeiss Meditec Ag Ophthalmologisches Gerät mit Eye-Tracker-Einheit
JP4481601B2 (ja) * 2003-08-13 2010-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用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81601B2 (ja) 2010-06-16
US7347550B2 (en) 2008-03-25
TWI289438B (en) 2007-11-11
US20070273829A1 (en) 2007-11-29
TW200518712A (en) 2005-06-16
EP1506734A1 (en) 2005-02-16
JP2005058267A (ja) 2005-03-10
US20050036111A1 (en) 2005-02-17
CN1579320A (zh) 2005-02-16
US7566130B2 (en) 2009-07-28
CN1316937C (zh) 2007-05-23
KR20050017400A (ko) 2005-02-22
EP1506734B1 (en)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6011B2 (ja) 焦点深度伸長装置
EP17978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eye fundus image
US7354154B2 (en) Ophthalmic image taking apparatus and ophthalmic image taking method
JP2004101871A (ja) 顕微鏡画像撮影装置
US7566130B2 (en) Ophthalmologic image taking apparatus
JP4847101B2 (ja) 顕微鏡システム
US20080018774A1 (en) Image capture device
JPH09206278A (ja) 眼科画像処理装置
JPH1132251A (ja) 画像処理装置
JP2002238860A (ja) 眼科装置及び眼画像の表示方法
JP4366975B2 (ja) 顕微鏡システム
JP5050128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11531194B2 (en) Microscope having an imaging optical unit for recording
JP5875567B2 (ja) 眼科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073510B2 (ja) 眼科撮影装置
JPH105179A (ja) 眼科撮影装置
JPH06277185A (ja) 眼科観察撮影装置
JP2003204939A (ja) 眼科撮影装置
JP2010284544A (ja) 眼科撮影装置
JPH05227460A (ja) 大きな焦点深度を得るための撮像方法及び大きな焦点深度が得られる撮像システム
JP2003010132A (ja) 眼科撮影装置
JP3292539B2 (ja) 固体撮像素子を用いたカラー撮像装置
CN116974054A (zh) 显微镜系统、投影单元以及图像投影方法
JP2002354319A (ja) 顕微鏡電子カメラ
JP2000197611A (ja) 眼科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