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9599A - 스탬퍼 고정면에 단열층과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을 갖는광디스크 금형과 이를 이용하는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스탬퍼 고정면에 단열층과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을 갖는광디스크 금형과 이를 이용하는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9599A
KR20060029599A KR1020057017698A KR20057017698A KR20060029599A KR 20060029599 A KR20060029599 A KR 20060029599A KR 1020057017698 A KR1020057017698 A KR 1020057017698A KR 20057017698 A KR20057017698 A KR 20057017698A KR 20060029599 A KR20060029599 A KR 20060029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mper
mold
diamond
layer
optical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시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9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record carriers
    • G11B7/263Preparing and using a stamper, e.g. pressing or injection molding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3Moulds with mould wall parts provided with fine grooves or impressions, e.g. for record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recor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3Moulds with mould wall parts provided with fine grooves or impressions, e.g. for record discs
    • B29C45/2632Stampers; Mountings thereof
    • B29C2045/2634Stampers; Mountings thereof mounting layers between stamper and mould or on the rear surface of the stamper
    • B29C2045/2636Stampers; Mountings thereof mounting layers between stamper and mould or on the rear surface of the stamper insulat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7Mould cavity walls, i.e.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mould cavity, e.g.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07/00Use of elements other than metals as mould material
    • B29K2907/04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7/00Carriers for sound or information
    • B29L2017/001Carriers of records containing fine grooves or impressions, e.g. disc records for needle playback, cylinder records
    • B29L2017/003Records or discs
    • B29L2017/005CD''s, DV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ing Optical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의 성형 캐비티(cavity) 내의 스탬퍼 고정면, 상기 고정면 위에 형성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 위에 형성되는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을 사용하여 성형 주기 감소 및 금형 사용 주기 증가를 제공한다. 상기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은 하기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조성을 갖는다.
CHaObNcFdBePf
(여기서, 원자비로 a=0.05-0.7, b=0-1, c=0-1, d=0-1, e=0-1 및 f=0-1)
다이아몬드상 탄소층, 광디스크, 광디스크 성형용 금형

Description

스탬퍼 고정면에 단열층과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을 갖는 광디스크 금형과 이를 이용하는 성형 방법 {Optical disc mold having insulating layer and diamond-like carbonaceous layer on stamper-holding surface and a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탬퍼(마스터 성형 판)를 이용하여 광디스크를 생산하는 금형과 그 금형을 이용하여 광디스크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는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법을 이용해 생산된다.성형 캐비티는 고정된 반쪽의 금형과 이동 가능한 반쪽의 금형에 대응시킨 사이에 형성되고 정보에 따라 피트와 다른 불규칙성의 형태로 표면에 정보 패턴을 갖는 스탬퍼는 고정되거나 이동 가능한 반쪽 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 고정면에 장착되며, 용융 수지가 캐비티 내로 주입되고, 금형을 냉각시켜 수지를 고화시켜 스탬퍼로부터 전사된 정보패턴을 갖는 광디스크를 생산한다.
이러한 금형과 스탬퍼로, 한편으로는 예정된 온도 또는 그 이상으로 금형과 스탬퍼를 가열하여 스탬퍼 표면의 정보 패턴의 구성에도 용융된 수지가 채워져 정확하게 수지에 정보 패턴이 전사될 필요가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금형과 스탬퍼를 바깥부터 냉각시켜 성형 된 광디스크를 재빨리 냉각, 고화시킬 필요가 있 다. 그러나 냉각된 캐비티 표면과 스탬퍼를 예정된 온도 또는 그 이상으로 가열하기 위해서는 주입되는 용융 수지의 온도를 올리거나 용융 수지와의 접촉시간을 늘이는 것이 필요하다. 그 경우 일 회의 사출 성형(주기)이 길어지고 생산성(짧은 주기와 정해진 시간 내의 주입 회수)이 낮아지는 문제가 생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JP 2002-361689호, JP 2002-513691호, JP 2001-334534호에서 스탬퍼가 고정되고 지지되는 금형 캐비티의 표면에 열절연층을 두어 스탬퍼를 절연시킴으로써 주기를 단축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JP 2002-361689호에서는 스탬퍼의 내부 또는 이면에 두께 100~300μm의 세라믹스,두께 250~300μm의 비스무트(bismuth),두께 20~150μm의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열전도성이 낮은(94W/mK 미만) 단열층이 고정되어서 캐비지에 용융 수지 충전시의 일시적 축열에 의하여 전사 효과를 올리고 냉각은 10~20℃ 정도 낮게 냉각되고 있는 금형으로 급냉 고화하는 것에 의하여 광디스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JP 2001-513691호는 스탬퍼(삽입)의 이면(금형에 접촉 면)에 열전도도가 낮은 두께 약 10~500μm의 폴리이미드,폴리 에테르 이미드, 또는 실록산 변형 폴리 에테르 이미드와 같은 단열성 코팅을 적용하는 것에 의하여 광디스크의 전사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JP 2001-334534호는 스탬퍼의 이면에 20~150μm 정도의 폴리이미드제 단열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광디스크의 전사성을 향상하고 낮은 금형 온도로 사이클 시간을 단축하는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그 밖에 두껍고 착탈이 자유로운 단열판을 금형 표면과 스탬퍼의 사이에 삽입하는 것도 제안되었다.
그러나 스탬퍼의 이면에 폴리아미드,폴리아미드-이미드,세라믹스,비스무트 등의 단열층을 형성하면 성형 사이클 시간은 단축되지만 스탬퍼와 금형의 스탬퍼 고정면과의 사이의 마찰이 커지고 스탬퍼 및 금형의 내구성에 감소하여 스탬퍼 교환를 교환하기 전의 쇼트(shots) 수 및 금형을 교환하기 전의 쇼트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스탬퍼와 단열층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양자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의하여 스탬퍼에 왜곡이 생겨 성형에 지장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JP 2002-361689호 공보
<특허문헌 2> JP 2002-513691호 공보
<특허문헌 3> JP 2001-334534호 공보
상기 JP 2002-361689호 공보,JP 2002-513691호 공보,JP 2001-334534호 공보 등에 기재된 스탬퍼의 이면에 폴리아미드,폴리아미드-이미드,세라믹스,비스무트 등의 열전도성이 낮은 단열층은 갖는 스탬퍼는 금형 면과의 사이의 마찰이 크고 내구성에 뒤떨어져 스탬퍼 교환 및 금형 교환에 이른 쇼트 수가 현저하게 적은 문제점이 있다.
즉 스탬퍼의 보온성 또는 냉각에 대한 지연성을 향상하기 위해 스탬퍼와 금형의 스탬퍼 고정면 사이에 20μm~250μm의 두꺼운 단열층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금형의 스탬퍼 지지면과 스탬퍼 이면의 단열층과의 사이에 생기는 큰 마찰이 상 호적으로 접촉면에 스크래치(scratches)를 생성하고,이로 인하여 스탬퍼의 전사면(정보 저장면)이 변형되고 이러한 변형으로 정보 패턴의 정밀한 전사가 불가능하게 되어 스탬퍼의 내구 수명이 현저하게 짧아진다. 종래에 단열층을 갖는 스탬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시도는 있지 않았다.
게다가 스탬퍼와 단열층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양자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에 의하여 스탬퍼에 왜곡이 생기고 성형에 지장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스탬퍼를 교환하기 전의 쇼트 수 및 하나의 금형을 교환하기 전의 쇼트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스탬퍼와 금형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형의 성형 캐비티(cavity) 내의 스탬퍼 고정면, 상기 고정면 위에 형성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 위에 형성되는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성형용 금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형의 성형 캐비티 내의 스탬퍼 고정면 위에 정보 패턴 표면을 갖는 스탬퍼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캐비티 내로 용융 원료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성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다이아몬드상 탄소(DLC)층은 JP-Kokai 62-145646호, JP-Kokai 62-145647호,New Diamond Forum 제4권 제4호 (1998년 10월 25일 발행) 등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문헌(New Diamond Forum)에 기재된 바와 같이 DLC층은 라만 분광 분석에 있어 1400~1700cm-1에 라만 산란 스펙트럼의 넓은 피크를 갖는 1333cm-1에 날카로운 피크를 갖는 다이아몬드나 1581cm-1에 날카로운 피크를 갖는 그래파이트(graphite)와 분명히 다른 구조를 갖는 물질이다.DLC층의 라만 분광 분석 스펙트럼에서 관찰되는 넓은 피크는 탄소 및 수소 이외의 함유된 원소의 변화 때문이다.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은 탄소와 수소를 주성분으로 한 무정형(amorphous)상태의 박막이고 탄소는 sp2 및 sp3 결합으로 랜덤하게 결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단열층은 바람직하게 알루미나(alumina), 산화 규소, SiC, 지르코니아(zirconia), 유리 등의 세라믹,초경 금속(hard metal)등을 포함한 다공질 소결체; 및 폴리아미드,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내열성 합성 수지로부터 선택된 재료로부터 형성된다.상기 재료는 다이아몬드상 탄소층과 친화성을 갖는 것으로부터 선택된다.상기 단열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μm∼1.0cm이다.상기 단열층의 표면이 평활이 아닌 경우에는 연마가 다이아몬드상 탄소층 형성에 우선하여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을 사용한 경우에는 금형의 스탬퍼 고정면에 용사,이온 도금,CVD 법,판 또는 필름의 접착,스패터링(sputtering)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리를 사용한 경우에는 용사,스패터링,및 판 또는 필름의 접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열성 합성 수지의 경우에는 판 또는 필름의 접착,도료의 도포,용융 수지를 유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열층과 상기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의 사이에 두께 약 0.01~3μm 정도의 밀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층으로 예를 들면 JP-Kokai 4-341558호에 기재된 Mo막,JP-Kokai 5-142875호에 기재된 탄화와 규소의 비정질막,JP-Kokai 2000-177046호에 기재된 탄화 규소 막 또는 V,Nb,Ta,Cr,Mo,W,Ti 및 Zr로부터 적어도 하나 선택된 규화물의 금속막,JP-Kokai 2000-178736호에 기재된 V,Nb,Ta,Cr,Mo,W,Ti 및 Zr 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된 규화물,JP-Kokai 2000-178737호 기재된 주기율표 제5A족 금속을 주성분으로 한 금속막과 Si를 주성분으로 한 Si 막의 적층막,JP-Kokai 2000-178738호에 기재된 산소 함유 그래디언트(gradient)를 갖는 무정형 다이아몬드상 탄소층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은 탄소와 수소를 주성분으로 하여 다른 임의 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조성을 갖는다.
CHaObNcFdBePf
(여기서, 원자비로 a=0.05-0.7, b=0-1, c=0-1, d=0-1, e=0-1 및 f=0-1)
상기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1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3.0μm이다.
도 1은 광디스크의 제조에 이용되는 사출 성형 장치를 나타낸다. 용융 수지를 스탬퍼(마스터 성형 판)를 고정하는 가동 반쪽 금형과 고정 반쪽 금형의 이음면 사이에 형성된 금형 캐비티 내로 주입하고,가압하고 냉각하는 것에 의하여 스탬퍼의 표면 형상이 성형품에 전사된 성형품을 얻는다. 상기 금형은 가동 금형(2)와 고정 금형(5)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동 금형이 폐쇄될 때 성형 캐비티(7)를 형성한다. 상기 가동 금형(2)의 캐비티(7) 측면의 거울-연마 표면에는 시트 상으로 금속 스탬퍼(1)를 지지한다. 스탬퍼의 외부는 외부 링(4)에 고정되고/또는 스탬퍼의 내부는 내부 링(8)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외부 링(4)은 상기 캐비티(7)의 주벽도 구성한다.도 1은 상기 금형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캐비티(7)가 형성된다. 상기 상태에서 수지는 공급부(3)로부터 게이트 부재(12)의 게이트(6)를 거쳐 소정의 성형 압력하에 상기 캐비티(7)에 주입되고 스탬퍼(4) 표면의 정보 패턴(불규칙)이 상기 수지에 전사된다.또한 중심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성형 중에 또는 성형 후에 게이트 절단 부재(9)의 선단부가 수지에 침입하고 게이트 절단부(10)와함께 광디스크의 중심부가 절단된다.또한 가동 금형 및 고정 금형은 냉각 유로 시스템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냉각수가 캐비티의 주위의 금형 부분을 냉각하기 위하여 회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단열층(14) 및 상기 다이아몬드상 탄소층(15)은 일체로 직접 또는 캐비지 측면 상의 스탬퍼를 지지하는 가동 금형(2)의 미러 표면상에 금속 필름을 경유하여 형성된다. 상기 구조로 비록 스탬퍼(1)가 성형시에 열 신축 및 냉각을 반복하지만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의 마찰은 저마찰이고 스탬퍼 이면 및 금형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탬퍼 및 금형의 품질이 장기에 유지된다. 동시에 단열층의 보온 작용으로 성형의 사이클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금형의 내구 수명도 현저하게 연장할 수 있다.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의 형성>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이하 'DLC 막')은 플라즈마 CVD 법,이온화 증착법,ECR플라즈마 CVD법 등 외에 스퍼터(sputtering) 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DLC막을 플라즈마 CVD법에 의하여 형성한 경우 예를 들면 JP-Kokai 4-4167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등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플라즈마 CVD법에서 사용되는 플라즈마는 직류 또는 교류 어느 쪽이라도 좋다.교류로서는 헤르츠부터 마이크로파까지 사용 가능하다.게다가 '다이아몬드 박막 기술' 등(종합 기술 센터 발행)에 기재되어 있는 ECR 플라즈마도 사용 가능하다.게다가 바이어스(bias) 전압을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DLC막을 플라즈마 CVD법에 의하여 형성한 경우 원료 가스로 하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및 H를 함유한 화합물로 메탄,에탄,프로판,부탄,펜탄,헥산,에틸렌,프로필렌 등의 탄화 수소를 들 수 있다.
C+H+O를 포함한 화합물로 CH3OH,C2H5OH,HCHO,CH3COCH3 등이 있다.
C+H+N을 포함한 화합물로 시안화 암모늄,시안화 수소,모노 메틸 아민,디메틸 아민,알릴 아민,아닐린,디에틸 아민,아세토니트릴,아조 이소 부탄, 디알릴 아민,에틸 아민,MMH,DMH,트리 알릴 아민,트리 메틸 아민,트리 에틸 아민,트리 페닐 아민 등이 있다.
이 밖에 상기의 화합물은 O근원 또는 ON근원,N근원,H근원,F근원,B근원,P근원 또는 이와 같은 것 또는 이들은 결합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원료 가스의 유량은 원료 가스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동작 압력은 일반적으로 1~200Pa,투입 전력은 일반적으로 10W∼5kW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DLC막은 형성하기 위하여 이온화 증착법을 이용할 수 있다.이온화 증착법은 예를 들면 JP-Kokai59-174508호,JP-Kokai2-22012호,JP-Kokai10-202668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다만 상기에 개시된 방법,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원료용 이온화 가스의 가속이 가능하면 다른 방식의 이온 증착 기술을 이용해도 좋다.
이온화 증착법에서는 진공 용기가 대략 10-4Pa 정도의 고진공이 유지된다. 상기 진공 용기는 교류 전원에 의하여 가열되고 열전자를 발생하는 필라멘트가 설치되었다. 상기 필라멘트는 전극으로 둘러싸이고 전압 Vd가 상기 필라멘트에 인가된다. 게다가 포획된 이온화 가스를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자 코일이 필라멘트 및 전극을 둘러싸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배치된다. 원료 가스는 상기 필라멘트로부터 열전자와 충돌하고 열분해 양이온 및 전자가 생성된다. 상기 양이온은 그리드에 인가된 부 전위 Va에 의하여 가속된다.상기 Vd,Va 및 코일의 자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층의 조성이나 성질을 바꿀 수 있다.게다가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DLC 막을 이온화 증착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 원료 가스로 플라즈마 CVD 법과 마찬가지의 것을 이용하면 좋다.상기 원료 가스의 유량은 그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동작 압력은 일반적으로 1~70Pa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DLC 막은 스퍼터 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이러한 경우 Ar,Kr 등의 스퍼터 가스와 함께 O2 ,N2,NH3,CH4,H2 등의 반응성 가스가 도입된다. 게다가 C를 타겟으로 이용하거나 C,N,O 등을 포함한 혼성 타겟 또는 2 이상의 타겟을 이용해도 좋다.폴리머를 타겟으로 이용할 수 있다.상기와 같은 타겟의 이용과 함께 고주파 전력,교류 전력 또는 직류 전력이 인가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타겟을 스퍼터한다. 상기 스퍼터는 기판상에 퇴적되고 그로 인하여 DLC 막을 형성한다.고주파 스퍼터 전력은 일반적으로 대략 10W∼5kW 이다.동작 압력은 일반적으로 10-3∼0.1Pa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타겟의 이용으로 고주파 전력을 인가되고 그로 인하여 타겟을 스퍼터하고 상기 스퍼터가 금형 상에 고정된 단열층의 표면에 퇴적되고 그로 인하여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이 형성된다. 또한 이 경우도 금형에 바이어스를 적용하기 위하여 부 바이어스 전압이 이용된다.바람직하게 바이어스 전압은 직류이다. 대체적으로 바이어스 전압 대신에 셀프 바이어스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바이어스 전압은 바람직하게 -10∼-2000V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50∼-1000V이다.일반적으로 고주파 스퍼터 전력은 10W∼5KW이다.일반적으로 동작 압력은 0.0013∼0.13Pa가 바람직하다.
또한, 단열층 및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의 형성에 우선하여 금형의 스탬퍼 고정면은 미러(mirror)-연마할 필요가 있다.상기 단열층이 CVD법 또는 스퍼터 법으로 제작되는 경우 Ar,Kr 와 같은 가스를 이용하여 증기 상 에칭(etching)에 의하여 표면층을 정화할 수 있다.
<밀착층의 형성>
본 발명에 의하면 단열층 및 다이아몬드상 탄소층 사이에 형성되는 밀착층을 적정한 원료를 사용하여 상기의 DLC층의 형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출 성형을 실시하기 위한 사출 성형 층의 실시예를 나타냄.
<부호의 설명>
1-스탬퍼 2-가동 금형
3-수지 공급구 4-외부 링
5-고정 금형 6-게이트
7-성형 캐비티 8-내부 링
9-게이트 절단 부재 10-게이트 절단부
12-게이트 부재 14-단열층
15-다이아몬드상 탄소층
실시예 1
스탬퍼를 지지하는 금형의 캐비티의 표면을 미러(mirror) 연마하고 화염 용사(flame spraying)에 의하여 0.5mm의 두께의 SiC층을 형성하고 상기 표면을 연마하고 그 위에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을 1.5μm 두께로 형성한다.상기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은 하기의 조건하에 셀프-바이어스 RF 플라즈마 CVD 법에 의하여 형성된다; 원료 가스:C24(0.017Pa·m3·s-1/ 전원:RF/ 동작 압력:66.5Pa/ 투입 전력:500W/ 층 형성 속도: 100nm/min. 상기 층의 조성은 CH0.21이고,탄소층은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같은 과정에 SiC 대용으로 Al23 를 이용하여 층을 형성한다. 밀착층을 위한 두께 0.1μm의 SiO 층이 스퍼터 법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같은 과정에 SiC 대용으로 파이렉스(유리 상품명)를 이용하여 층을 형성한다. 밀착층을 위한 두께 0.1μm의 Si층이 스퍼터 법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같은 과정에 SiC 화염 용사 대신에 스탬퍼를 지지하기 위한 금형 캐비티의 미러 표면상에 두께 50μm의 폴리이미드 필름을 배치하고 주위를 테플론(상품명) 볼트로 고정한다. 밀착층을 위한 두께 0.1μm Si층이 스퍼터 법으 로 형성된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같은 과정에 SiC 화염 용사 대신에 스탬퍼에 대향하는 금형 캐비티의 미러 표면상에 스퍼터 법으로 두께 0.1mm의 SiC를 형성한다.
비교예 1 내지 4
실시예 1 내지 4에서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을 사용하지 않았다.
비교예 5
실시예 1과 같은 과정에 스탬퍼를 지지하는 금형의 캐비티 표면을 미러 연마하고 그 위에 직접 두께 1.5μm의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을 형성한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 소정의 층을 갖는 금형을 사용하여 광디스크의 성형을 위한 사출 성형을 하였다.
상기 경과는 표 1에 나타난다.표 1에서 사이클 시간은 비교예 5의 사이클 시간을 1이라고 한 경우의 상대 값이고, 스탬퍼 수명은 하나의 스탬퍼에 의하여 성형 불량이 생기지 않고 성형할 수 있었던 쇼트 수이고, 금형 수명은 하나의 금형의 하나의 스탬퍼 고정면을 교환하기 전의 쇼트 수이다.
사이클 시간 스탬퍼 수명 (단위:만 쇼트) 금형 수명 (단위:만 쇼트)
CD-R DVD-R CD-R DVD-R
실시예 1 0.533 0.612 39 285 188
실시예 2 0.545 0.621 42 290 183
실시예 3 0.513 0.593 41 288 185
실시예 4 0.525 0.606 43 292 188
실시예 5 0.481 0.557 45 298 193
비교예 1 0.535 0.615 2.9 0.4 0.2
비교예 2 0.547 0.623 2.5 0.5 0.4
비교예 3 0.515 0.596 2.6 0.5 0.3
비교예 4 0.527 0.610 2.7 0.6 0.4
비교예 5 1.00 1.00 40 280 180
표 1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은 종래의 단열층을 갖는 성형 금형과 동등의 사이클 시간을 유지하면서 스탬퍼의 수명을 10배 이상, 금형의 수명을 100배 이상 연장시킬 수 있다(비교예 1 내지 4와 대비).게다가 본 발명은 종래의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을 갖는 금형과 비교하면 성형의 사이클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종래의 단열층을 갖는 스탬퍼는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 캐비티의 스탬퍼 고정면과 스탬퍼 이면의 단열층과의 사이에 큰 마찰이 생기고 상기 접촉면에 스크래치가 생성된다. 상기 스크래치는 스탬퍼의 전사면을 변형시키고 이로 인하여 정보 패턴의 정밀한 전사는 조기에 불가능하게 되고 스탬퍼의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탬퍼와 단열층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양자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스탬퍼에 왜곡이 생기고 성형에 지장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성형 캐비티의 스탬퍼 고정면에 단열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스탬퍼의 수명(성형 가능한 쇼트 수)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고 금형의 수명(성형 가능한 쇼트 수)을 대폭적 으로 연장시켰다.

Claims (6)

  1. 금형의 성형 캐비티(cavity) 내의 스탬퍼 고정면;
    상기 고정면 위에 형성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 위에 형성되는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성형용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세라믹,유리,소결체(sintered materials) 및 내열성 합성 수지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성형용 금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조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성형용 금형.
    CHaObNcFdBePf
    (여기서, 원자비로 a=0.05-0.7, b=0-1, c=0-1, d=0-1, e=0-1 및 f=0-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의 두께는 0.1μm 내지 1.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성형용 금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의 두께는 0.01μm 내지 1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성형용 금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정의 금형의 성형 캐비티 내의 스탬퍼 고정면 위에 정보 패턴 표면을 갖는 스탬퍼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캐비티 내로 용융 원료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성형 방법.
KR1020057017698A 2003-06-24 2004-06-23 스탬퍼 고정면에 단열층과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을 갖는광디스크 금형과 이를 이용하는 성형 방법 KR200600295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79291A JP2005014278A (ja) 2003-06-24 2003-06-24 スタンパを保持する面に断熱層とダイヤモンド様炭素膜を施した光ディスク成形金型とそれを使用する成型方法
JPJP-P-2003-00179291 2003-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599A true KR20060029599A (ko) 2006-04-06

Family

ID=3353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698A KR20060029599A (ko) 2003-06-24 2004-06-23 스탬퍼 고정면에 단열층과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을 갖는광디스크 금형과 이를 이용하는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640132A1 (ko)
JP (1) JP2005014278A (ko)
KR (1) KR20060029599A (ko)
CN (1) CN100448640C (ko)
TW (1) TW200506927A (ko)
WO (1) WO200411304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867A1 (ko) * 2015-10-30 2017-05-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단열을 위한 패턴이 형성된 사출성형용 스탬퍼 및 이를 구비하는 사출 금형
KR20200015343A (ko) * 2018-08-03 2020-02-12 (주)엠티에이 다양한 형상의 탄소체 성장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탄소체 성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0632A (ja) * 2003-12-26 2005-07-14 Technos:Kk ダイヤモンド様炭素膜を施した光ディスク成形金型とそれを使用する成形方法
KR100976292B1 (ko) * 2005-09-21 2010-08-16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금형, 금형 온도 조정 방법, 금형 온도 조정 장치, 사출 성형 방법 및 사출 성형기
JP4774889B2 (ja) * 2005-09-28 2011-09-14 凸版印刷株式会社 光学部品用成形型の製造方法
JP5319874B2 (ja) * 2006-04-07 2013-10-1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射出成型用金型部材
TW200800560A (en) * 2006-04-20 2008-01-01 Sumitomo Heavy Industries Resin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sin molding
JP5211597B2 (ja) * 2007-09-13 2013-06-12 株式会社リコー 断熱構造を有するスタンパの製造方法
JP5149069B2 (ja) * 2008-05-15 2013-02-20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金型組立体及び射出成形方法
JP5247233B2 (ja) * 2008-05-15 2013-07-2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金型組立体及び射出成形方法
JPWO2013031505A1 (ja) * 2011-08-31 2015-03-23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溶着体の製造方法
CN111319199A (zh) * 2020-03-06 2020-06-23 盐城摩因宝新材料有限公司 一种冷循环易脱模注塑模具及其制作工艺
CN111319200A (zh) * 2020-03-06 2020-06-23 盐城摩因宝新材料有限公司 一种医用器件易脱模模具及其制作工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4289B2 (ja) * 1988-03-16 1998-09-03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成形用金型とその製造方法
JP3057077B1 (ja) * 1999-03-08 2000-06-26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樹脂成形用金型および樹脂成形用金型への硬質被膜形成方法
JP2002079522A (ja) * 2000-06-23 2002-03-19 Hitachi Maxell Ltd ディスク基板成形金型及び樹脂成形金型
JP2002321026A (ja) * 2001-04-23 2002-11-05 Tdk Corp 工 具
JP3768169B2 (ja) * 2001-05-01 2006-04-19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金型組立体及び射出成形方法
JP4181017B2 (ja) * 2002-11-13 2008-11-12 株式会社東伸精工 成形用金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867A1 (ko) * 2015-10-30 2017-05-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단열을 위한 패턴이 형성된 사출성형용 스탬퍼 및 이를 구비하는 사출 금형
KR20200015343A (ko) * 2018-08-03 2020-02-12 (주)엠티에이 다양한 형상의 탄소체 성장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탄소체 성장방법
KR20200015344A (ko) * 2018-08-03 2020-02-12 (주)엠티에이 대면적의 탄소체 성장용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탄소체 성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40132A1 (en) 2006-03-29
TW200506927A (en) 2005-02-16
CN100448640C (zh) 2009-01-07
JP2005014278A (ja) 2005-01-20
CN1771117A (zh) 2006-05-10
WO2004113045A1 (ja) 200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29599A (ko) 스탬퍼 고정면에 단열층과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을 갖는광디스크 금형과 이를 이용하는 성형 방법
US5112025A (en) Molds having wear resistant release coatings
JP3231165B2 (ja) 光学素子成形用型及びその製造方法
US5202156A (en) Method of making an optical element mold with a hard carbon film
JPH0461816B2 (ko)
US20220002861A1 (en) Temperature resistant carbon coatings
JPH1192935A (ja) 耐摩耗性硬質炭素被膜
KR20050066992A (ko) 다이아몬드상 탄소층을 갖는 광 디스크 금형과 이를이용하는 성형 방법
JP2000272156A (ja) カーボン膜の成膜方法
US20070261444A1 (en) Method for making a mold used for press-molding glass optical articles
US7018576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resin part of vehicular lamp
JPH0222012A (ja) 成形用スタンパーとその製造方法
JP3540350B2 (ja) スタンパおよび積層構造
JP3130094B2 (ja) ダイヤモンド様薄膜保護膜を有する金型
JP5319874B2 (ja) 射出成型用金型部材
KR20060084342A (ko) 금형 및 성형 방법
JP2742362B2 (ja) ガラスプレス成形型
JP2005041103A (ja) スタンパを利用して光ディスクの成形を行う型の光ディスク成形金型とそれを使用した光ディスクの成形方法
KR100364136B1 (ko) 다이아몬드상카본 필름이 코팅된 정보기록 디스크 성형용스탬퍼지지금형 및 그 제조방법
JP2857138B2 (ja) 記録ディスクの成形方法
JP3279312B1 (ja) 成形用金型とその製造方法
JPH04154633A (ja) 光学素子成形用型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257031A (ja) 光学素子成形用型
RU205929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крытия носителей магнитной записи
CN109666901A (zh) 用于提高石墨模具表面硬度和脱膜性的近净尺寸复合层的结构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