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2661A - 트랙터 - Google Patents

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2661A
KR20060022661A KR1020057021889A KR20057021889A KR20060022661A KR 20060022661 A KR20060022661 A KR 20060022661A KR 1020057021889 A KR1020057021889 A KR 1020057021889A KR 20057021889 A KR20057021889 A KR 20057021889A KR 20060022661 A KR20060022661 A KR 20060022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piece
shif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9738B1 (ko
Inventor
타츠오 야마구치
노보루 야먀모토
부네이 카타기리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2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TO변속기구의 조립 작업이나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미션 케이스의 후부에 PTO 변속기구를 내장하는 PTO 케이스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함과 동시에 PTO 케이스는, 전부(前部)를 미션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로 부착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미션 케이스의 후부에 PTO 변속기구를 내장하는 PTO 케이스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PTO 변속기구의 조립 작업이나 유지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PTO 케이스는 전부를 미션 케이스 내로 수용된 상태로 부착했기 때문에 미션 케이스의 소형화(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트랙터, PTO변속기구, 미션 케이스

Description

트랙터 { Tractor }
본 발명은 PTO변속기구의 조립 작업이나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랙터의 한 형태로서 차체 프레임의 전부(前部)에 엔진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의 후방위치에 운전부를 설치하고, 상기 운전부에 설치된 운전석의 하부 위치에 미션 케이스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미션 케이스 내에 PTO 변속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PTO 변속기구에 연동 연결한 PTO 축을 미션 케이스의 후벽보다 후방으로 돌출시킨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7-232570호 공보 참조).
또한 트랙터의 한 형태로서 미션 케이스의 상부에 리프트 아암의 기단부를 피봇하여 부착하는 한편, 미션 케이스의 후벽보다 후방으로 돌출시켜 리프트 실린더 부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리프트 실린더 부착부와 상기 리프트 아암의 중도부와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신축 작동하는 리프트 실린더를 개설한 것이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9-109710호 공보 참조).
그런데 상기한 트랙터에서는, 미션 케이스 내에 PTO 변속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PTO 변속기구의 조립 작업과 유지보수 작업을 미션 케이스 내에서 수행해야하고, 이러한 작업에 시간과 노력이 걸린다고 하는 부적합이 있고, 또한 미션 케이스 자체가 후방으로 장대화된다고 하는 부적합이 있다.
또한 상기한 후자의 트랙터에서는 미션 케이스의 후벽보다 후방으로 돌출시켜 리프트 실린더 부착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리프트 실린더 부착부와 리프트 아암의 중도부와의 사이에 개설되는 리프트 실린더를 수직 내지는 대략 수직으로 배치하기 위한 조정이 번잡했다.
즉 미션 케이스가 후방으로 장대화되어 있기 때문에, 그 후벽에서 후방으로 돌출시켜 설치된 리프트 실린더 부착부와, 리프트 아암의 중도부와의 사이에 리프트 실린더를 단순히 개재 설치하면, 상기 리프트 실린더가 기울어진 자세가 되고, 그 결과 스트로크가 길고 큰 리프트 실린더가 필요하게 되어, 파워 로스가 생긴다는 부적합이 있다.
그래서 리프트 아암의 기단부를 가급적으로 미션 케이스의 후단부 근방으로 피봇하여 부착하거나, 또는 상기 리프트 아암의 아암 길이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리프트 실린더의 자세를 수직 내지는 대략 수직으로 배치할 수 있는데, 리프트 아암의 기단부의 피봇 구조의 강도 변화나, 리프트 아암의 아암 길이를 변경함에 따라서 역학적 변화(모멘트의 변화)나, 상기 리프트 아암으로 연결한 작업기의 승강 궤적의 변화 등을 확인한 후에 조정해야 하는 번잡한 작업이 필요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미션 케이스의 후부에, PTO 변속기구를 내장하는 PTO 케이스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함과 동시에, PTO 케이스는 전부(前部)를 미션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미션 케이스의 상부에 리프트 아암의 기단부를 피봇하여 부착하는 한편, PTO 케이스의 측벽 하부에 리프트 실린더 부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리프트 실린더 부착부와 상기 리프트 아암의 중도부와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신축 작동하는 리프트 실린더를 개재 설치한 것에도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측면도.
도 2는 클러치부와 미션부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클러치부와 미션부의 단면 측면 설명도.
도 4는 도 2의 클러치부의 단면 측면 설명도.
도 5는 주변속부의 단면 측면 설명도.
도 6은 도 5의 주변속부의 단면 배면 설명도.
도 7은 도 5의 주변속부의 상부의 확대 단면 배면 설명도.
도 8은 부변속부 및 PTO 변속부의 단면 측면 설명도.
도 9는 디퍼렌셜 기구의 단면 평면 설명도.
도 10은 PTO 변속부의 배면도.
도 11은 도 10의 PTO 변속부의 일부 결절 배면도.
도 12는 싱글 클러치 사양의 클러치부의 단면 측면도.
도 13은 다른 실시예로서의 부변속부의 단면 측면 설명도.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부변속부의 단면 측면 설명도.
이하로, 본 발명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는 미션 케이스의 후부에 PTO 변속기구를 내장하는 PTO 케이스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함과 동시에, PTO 케이스는 전부(前部)를 미션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로 부착한다.
그리고 미션 케이스의 상부에 리프트 아암의 기단부를 피봇하여 부착하는 한편, PTO 케이스의 측벽 하부에 리프트 실린더 부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리프트 실린더 부착부와 상기 리프트 아암의 중도부와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신축 작동하는 리프트 실린더를 개재 설치한다.
도 1에 나타낸 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이고, 상기 트랙터(A)는 기체 프레임(1) 상에 원동기부(2)를 설치하고, 상기 원동기부에 클러치부(3)를 매개하여 미션부(4)를 연동 연설하고, 상기 미션부(4) 위에 운전부(5)를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미션부(4)의 후부에 PTO 변속부(6)를 착탈 가능하게 연동 연결하고, 상기 기체 프레임(1)의 하부방향으로 프론트 액슬 케이스(미도시)를 매개하여 좌우 한 쌍의 전차륜(7),(7)을 연동 연결하는 한편, 상기 미션부(4)에 리어 액슬 케이스(8),(8)(도 9를 참조)를 매개하여 좌우 한 쌍의 후차륜(9),(9)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10은 전부(前部) 가드 프레임, 11은 후부 가드 프레임, 12는 작업기 연결용의 탑 링크, 13은 작업기 연결용의 하부링크, 14는 작업기 연결편이다.
원동기부(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1) 위에 엔진(15) 등을 탑재하고, 상기 엔진(15) 등을 본네트(16)로 개폐 가능하게 피복한다.
클러치부(3)는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하우징(17) 내에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는 내외측 2중 구동축체(18)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내외측 2중 구동축체(18)는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는 내측 구동축(19)과, 상기 내측 구동축(19)의 외주로 회동 가능하게 감합된 통형상의 외측 구동축(20)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의 내측 구동축(19)의 기단부(전단부)는, 주행용 클러치(21)를 매개하여 상기 엔진(15)에 연동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내측 구동축(19)의 선단부(후단부)는, 후술하는 주행계 전동기구(51)로 연동 연결하고, 또한 타측의 외측 구동축(20)의 기단부(전단부)는 PTO용 클러치(22)를 매개하여 상기 엔진(15)에 연동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외측 구동축(20)의 선단부(후단부)는 후술하는 PTO계 전동 기구(52)에 연동 연결한다.
여기서 클러치 하우징(17)의 후단연부에는, 후술하는 미션부(4)의 주변속 케이스(53)의 전단연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내외측 2중 구동축체(18)는 선단부를 클러치 하우징(17) 내의 전부(前部)에 배설된 베어링(24)으로 피봇하는 한편, 후단부를 주변속 케이스(53) 내의 전부에 설치된 베어링(25)으로 피봇한다.
게다가 클러치 하우징(17)의 후단 내주연부에는, 중앙부에 개구부(26)를 갖는 후벽(27)을 형성하고, 상기 후벽(27)에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는 통형상 지지체(28)를 개구부(26) 속에 삽통하여 부착하고, 상기 통형상 지지체(28)로 상기 내외측 2중 구동축체(18)의 중도부 외주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통형상 지지체(28)는 클러치 하우징(17) 내에 위치하는 전부(28a)를 지름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한편, 주변속 케이스(53) 내에 위치하는 후부(28b)를 지름이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후부(28b)의 외주면에 부착용 차양편(28c)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용 차양편(28c)을 클러치 하우징(17)의 후벽(27)의 후면에 후부방향으로부터 맞닿게 함과 동시에, 부착용 볼트(29)로 부착한다.
또한 내측 구동축(19)은, 전부 분할 구동축편(30)과 후부 분할 구동축편(31)으로 분할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양분할 구동축편(30),(31)끼리를 외측 구동축(20) 내에서 연동 연결하고, 전부 분할 구동축편(30)과 후부 분할 구동축편(31)과의 분할 위치(연동 연결 위치)를, 클러치 하우징(17)과 주변속 케이스(53)의 연결부의 근방, 즉 통형상 지지체(28)의 후부(28b) 내로 배치한다.
또한 전부 분할 구동축편(30)의 선단부와 후부 분할 구동축편(31)의 기단부는 스피갓 조인트(spigot joint)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동 연결한다.
즉 전부 분할 구동축편(30)의 선단면에는 감합용 돌기편(30a)을 후방으로 돌출 설치하는 한편, 후부 분할 구동축편(31)의 기단면에는 기단측 감합용 오목부(31a)를 형성하고, 상기 기단측 감합용 오목부(31a) 내로 상기 감합용 돌기편(30a)을 스피갓 조인트함과 동시에, 전부 분할 구동축편(30)의 선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스풀라인홈(30b)과, 후부 분할 구동축편(31)의 기단부 외주면에 형성한 스풀라인홈(31b)과로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통형상 연결체(32)를 스풀라인 감합한다.
외측 구동축(20)은, 전부(20a)를 내측 구동축(19)의 외주면에 따라서 작은 지름으로 형성하는 한편, 후부(20b)를 상기 통형상 연결체(32)의 외주면을 따라서 큰 지름으로 형성하고, 상기 후부(20b)의 외주면과 통형상 지지체(28)의 후부(28b)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베어링(33),(34)을 개재 설치한다.
또한 외측 구동축(20)의 선단부는, 통형상 지지체(28)의 후단보다도 후방으로 연장 설치하고, 외주면에 PTO 구동기어(20c)를 일체로 성형한다. 35는 PTO 구동 기어 지지 베어링이다.
이와 같이 하여 내측 구동축(19)을, 전부 분할 구동축편(30)과 후부 분할 구동축편(31)과로 분할 형성함과 동시에, 양분할 구동축편(30),(31) 끼리를 외측 구동축(20) 내로 연동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 즉 내측 구동축의 선단부를 외측 구동축의 선단부보다도 후방 위치까지 연장 설치하고, 통형상의 축 조인트를 매개하여 PTO계 입력축의 기단부에 맞댄 상태로 동일 축 선상으로 연동 연결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클러치 하우징(17)과 주변속 케이스(53)와를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여, 이들 클러치 하우징(17) 및 주변속 케이스(53) 내에 내외측 2중 구동축체(18)를 삽통한 경우에도, 주 변속 케이스(53)가 전후 방향으로 장대하게 된다고 하는 부적합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하우징(17)과 주 변속 케이스(53)를 어셈블리로서 연결하는 경우의 조립 작업이나, 연결 해제하여 수행하는 유지보수 작업 등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내측 구동축(19)의 전부 분할 구동축편(30)과 후부 분할 구동축편(31)과의 분할 위치를 클러치 하우징(17)과 주 변속 케이스(53)와의 연결부 근방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주변속 케이스(53)를 전후 방향으로 단폭화(短幅化)되어, 기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변속 케이스(53)의 조립 유니트를 전후 방향으로 단폭화하여 조립 유니트의 물류 비용의 절감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 결과 외주부터 한번에 다수의 유니트를 반입할 수 있다.
이 때, 전부 분할 구동축편(30)의 선단부에 형성된 감합용 돌기편(30a)을 후부 분할 구동축편(31)의 기단부에 형성된 기단측 감합용 요부(31a) 내에, 스피갓 조인트로 착탈 가능하게 연동 연결되기 때문에, 분할하여 형성된 전부 분할 구동축편(30)과 후부 분할 구동축편(31)을 높은 정밀도 조합하여 연동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외측 구동축(20)의 외주면과 통형상 지지체(28)의 외주면에 걸쳐 주행용 통형상 작동체(36)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하고, 상기 주행용 통형상 작동체(36)의 후부에 주행용 클러치 작용레버(37)의 기단부를 연동 연결하는 한편, 상기 주행용 통형상 작동체(36)의 전단연부에 클러치 작용편(36a)을 설치하여, 상기 클러치 작용편(36a)을 주행용 클러치(21)의 수동 아암(21a)에 대향시켜서 근접 배치하고 있다. 38은 레버 지지축이다.
이와 같이 하여 주행용 클러치 작용레버(37)를 회동 조작하면, 주행용 통형상 작동체(36)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클러치 작용편(36a)이 수동 아암(21a)을 가압하고, 상기 수동 아암(21a)이 회동되어 주행용 클러치(21)가 동력 절단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주행용 통형상 작동체(36)의 외주면에 PTO용 통형상 작동체(39)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하고, 상기 PTO용 통형상 작동체(39)의 후부에 PTO용 클러치 작용레버(40)의 기단부를 연동 연결하는 한편, 상기 PTO용 통형상 작동체(39) 의 전단연부에 클러치 작용편(39a)을 설치하고, 상기 클러치 작용편(39a)을 PTO용 클러치(22)의 수동 아암(22a)에 대향시켜 근접 배치한다. 41은 레버 지지축이다.
이와 같이 하여 PTO용 클러치 작용레버(40)를 회동 조작하면, PTO용 통형상 작동체(39)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클러치 작용편(39a)이 수동 아암(22a)을 가압하고, 상기 수동 아암(22a)이 회동되어 PTO용 클러치(22)가 동력 절단 작동되도록 한다.
미션부(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신장시켜서 통형상으로 형성한 미션 케이스(45) 내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주변속 기구(46)와 부변속 기구(47)와 디퍼렌셜 기구(48)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미션 케이스(45)에 클리프 변속부(49)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클리프 변속부(49)에 설치된 클리프 변속기구(50)를 상기 부변속 기구(47)에 연동 연결하고, 주변속, 부변속, 또한 클리프 변속을 할 수 있는 주행계 전동기구(51)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외측 구동축(20)과, 후술하는 PTO 변속부(6)와의 사이에 PTO계 전동기구(52)를 개재 설치한다.
그리고 미션케이스(45)는 주변속 기구(46)를 내장하는 주변속 케이스(53)와, 부변속 기구(47)와 디퍼렌셜 기구(48)를 내장하는 케이스 본체(54)에 2분할 형성하고, 주변속 케이스(53)는 상기한 클러치 하우징(17)의 후단연부에 전단연부를 연결 볼트(56a)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케이스 본체(54)는 주변속 케이스(53)의 후단연부에 지지벽 형성체(55)를 매개하여 전단연부를 연결 볼트(56b)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다.
여기서 이하로 주변속 케이스(53), 주변속 기구(46), 케이스 본체(54), 부변속 기구(47) 및 디퍼렌셜 기구(48)의 구성을 다음 순서로 설명한다.
〔주변속 케이스〕
주변속 케이스(53)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는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전부 내주면에 내부 지지벽(57)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지지벽(57)과 상기 지지벽 형성체(55)와의 사이에 주변속 기구(46)를 개재 설치하고, 상기 주변속 기구(46)로 복수단(본 실시예에서는 5단)의 전진 변속 조작과, 후진 전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주변속 기구〕
주변속 기구(46)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지지벽(57)의 중앙부에 상기 베어링(25)을 매개하여 후부 분할 구동축편(31)의 선단부(후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베어링(25)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후부 분할 구동축편(31)의 선단부 외주면에 제 5속 기어(31c)를 일체로 성형함과 동시에, 상기 후부 분할 구동축편(31)의 후단면에 선단측 감합용 오목부(31d)를 형성하고, 상기 선단측 감합용 오목부(31d) 내에,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는 주변속 주축(58)의 기단면(전단면)보다 전방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감합용 돌기편(58a)을 그 축선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감합하는 한편, 상기 주변속 주축(58)의 선단부(후단부)를 지지벽 형성체(55)의 중앙부로 베어링(59)을 매개하여 그 축선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주변속 주축(58)에는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부측을 향하여 순차로 제 4·제 3·제 2·제 1 속 기어(60),(61),(62),(63)와 후진 전환 기어(64)를, 전후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같은 축에, 또한 주변속 주축(58)의 외주면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주변속 주축(58)으로는 제 5 속 기어(31c)와 제 4 속 기어(60)의 사이에 배치된 제 3 변속체(65)와, 제 3 속 기어(61)와 제 2 속 기어(62)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 2 변속체(66)와, 제 1 속 기어(63)와 후진 전환 기어(64)의 사이에 배치된 제 1변속체(67)를 설치한다.
여기서 각 변속체(65),(66),(67)는, 주변속 주축(58)에 연동 연결한 축측 연동 연결편(65a),(66a),(67a)과, 전후로 인접하는 각 기어에 연동 연결된 전·후 기어측 연동 연결편(65b),(65c),(66b),(66c),(67b),(67c)과, 각 축측 연동 연결편(65a),(66a),(67a)과 각 기어측 연동 연결편(65b),(65c),(66b),(66c),(67b),(67c)의 사이에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스풀라인 감합된 슬라이드 연결편(65d),(66d),(67d)을 구비한다.
그리고 각 슬라이드 연결편(65d),(66d),(67d)은, 각 축측 연동 연결편(65a),(66a),(67a)상으로 위치시킨 중립 위치와, 각 축측 연동 연결편(65a),(66a),(67a)과 전(前)기어측 연동 연결편(65b),(66b),(67b)과의 사이에 슬라이드 위치시켜 양자를 연동 연결한 전방 슬라이드 변속 위치와, 각 축측 연동 연결편(65a),(66a),(67a)과 후(後)기어측 연동 연결편(65c),(66c),(67c)과의 사이에 슬라이드 위치시켜 양자를 연동 연결한 후방 슬라이드 변속 위치와의 모두에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다.
또한 내부 지지벽(57)과 상기 지지벽 형성체(55)와의 사이에는 전·후부 베 어링(68),(69)을 매개하여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는 주변속 부축(70)을 지지하고, 상기 주변속 부축(70)의 외주면에는 제1·2·3 변속 기어체(71),(72),(73)를 동일 축으로 또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제 1변속 기어체(71)에 일체로 성형된 전부 기어(71a)와 후부 기어(71b)는, 각각 제 5 속 기어(31c)와 제 2 속 기어(60)로 치합시키고, 또한 제 2변속 기어체(72)에 일체로 성형된 전부 기어(72a)와 후부 기어(72b)는 각각 제 3속 기어(61)와 제 2속 기어(62)로 치합시키고, 또한 제 3변속 기어체(73)에 일체로 성형된 전부 기어(73a)는 제 1속 기어(63)로 치합시키는 한편, 상기 제 3변속 기어체(73)에 일체로 성형된 후부 기어(73b)는, 지지벽 형성체(55)로 축을 지지한 카운터 기어(74)를 매개하여 후진 전환 기어(64)로 치합시킨다. 75는 카운터 기어 지축, 76은 주변속 케이스(53) 내에 설치된 축 지지체이다.
또한 내부 지지벽(57)과 상기 지지벽 형성체(55)와의 사이에는, 도 5∼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는 슬라이드체 지축(80)을, 상기 주변속 주축(58)의 직각 상부 방향 위치에 있어서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설함과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는 레버 연동축(81)을 상기 슬라이드체 지축(80)의 우측방향 위치로 평행시켜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설하고, 상기 레버 연동축(81)의 전부 보다 좌측방향으로 돌출 설치한 결합편(82)의 선단부를, 슬라이드체 지축(80)의 전부에 설치된 피결합편(83)으로 결합시키는 한편, 케이스 본체(54) 안까지 연장 설치된 레버 연동축(81)의 후단부에 작용 수납편(84)을 설치하고, 상기 작용수납편(84)에 주변속 레버(85)의 하단부에 형성된 작용편(85a)을 결합시킨다. 97은 작용 수납편 부착핀이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54)의 천장부(54c)에 요동 지지체(86)를 설치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요동 지지체(86)에 설치된 요동 지지편(87)에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는 주변속 레버(85)의 하부를 피봇하고, 상기 주변속 레버(85)를 전후 좌우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하여, 상기 주변속 레버(85)의 하단부에 형성된 작용편(85a)의 하단을, 천장부(54c)에 형성된 레버 삽통공(88) 안으로 삽통하여, 상기 작용 수납편(84)에 결합시킨다. 89는 레버 중립 복귀용 스프링이다.
또한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체 지축(80)의 중도부에는, 측방 개구부(90)를 갖고 배면에서 보면 C자 모양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규제체(91)를 감합함과 동시에, 슬라이드체 지축(80)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측방 개구부(90) 안에서 슬라이드 작용편(92)을 돌출시킨다.
또한 슬라이드체 지축(80)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순차로 제 1·제 2·제 3 슬라이드체(95),(94),(93)를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함과 동시에, 제 3슬라이드체(93)는 슬라이드 규제체(91)보다도 전방으로 배치하는 한편, 제 1·제 2슬라이드체(95),(94)는 슬라이드 규제체(91)보다도 후방으로 배치한다.
또한 각 슬라이드체(95),(94),(93)는 슬라이드체 지축(8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감합한 보스부(95a),(94a),(93a)와, 각 보스부(95a),(94a),(93a)보다 좌우측 하부방향으로 신장시켜서 형성된 쉬프트 포크(95b),(94b),(93b)와, 각 보스부 (95a),(94a),(93a)에서 슬라이드 규제체(91)를 향하여 신장시켜 형성된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5c),(94c),(93c)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1·제 2·제 3슬라이드체(95),(94),(93)의 각 쉬프트 포크(95b),(94b),(93b)는 각각 상기 제 1·제 2·제 3변속체(67),(66),(65)의 슬라이드 연결편(67d),(66d),(65d)에 연동 연결한다.
또한 제 1·제 2·제 3슬라이드체(95),(94),(93)의 각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5c),(94c),(93c)은 슬라이드체 지축(80)을 축선 둘레로 회동시켜서 슬라이드 작용편(92)과 슬라이드 규제체(91)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원하는 하나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에 슬라이드 작용편(92)을 결합시켜, 상기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을 슬라이드체 지축(80)의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동시켜 슬라이드 작동시킴과 동시에, 다른 2개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에 슬라이드 규제체(91)에 돌출 설치한 규제편(91a),(91b)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결합시켜, 양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이 슬라이드체 지축(80)의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동되어 슬라이드 작동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도록 한다. 96은 슬라이드 규제체(91)의 축선 방향의 작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케이스 본체(54)의 천창부(54c)에 수직 설치한 규제용 돌출편이다.
주변속 기구(46)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것이고, 이하로 이러한 주변속 기구(46)의 변속 조작(제 1변속 조작∼제 5변속 조작 및 후진 전환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변속조작)
주변속 레버(85)를 대략 수직으로 기립시킨 상태에서 후방향으로 회동 조작하고, 그 회동 조작력을 주변속 레버(85)의 하단부에 형성한 작용편(85a)-> 작용 수납편(84)-> 레버 연동축(81)-> 결합편(82)-> 피결합편(83)-> 슬라이드체 지축(80)으로 전달시켜, 상기 슬라이드체 지축(80)을 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그렇게 하면, 슬라이드체 지축(80)의 전방향으로의 슬라이딩되는 힘이, 슬라이드 작용편(92)-> 제 1슬라이드체(95)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5c)-> 보스부(95a)-> 쉬프트 포크(95b)로 전달되고, 상기 쉬프트 포크(95b)로 연동 연결된 제 1변속체(67)의 슬라이드 연결편(67d)이 중립위치로부터 전방 슬라이드 변속 위치로 슬라이드 되고, 축측 연동 연결편(67a)과 전 기어측 연동 연결편(67b)이 연동 연결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엔진(15)으로부터 내측 구동축(19)으로 전달된 동력은, 전부 분할 구동축편(30)-> 후부 분할 구동축편(31)-> 제 5속 기어(31c)-> 제 3변속 기어체(71)의 전부 기어(71a)-> 주변속 부축(70)-> 제 1변속 기어체(73)의 전부 기어(73a)-> 제 1속 기어(63)-> 제 1변속체(67)의 전 기어측 연동 연결편(67b)-> 슬라이드 연결편(67d)-> 축측 연동 연결편(67a)-> 주변속 주축(58)으로 전달되어 제 1변속이 이루어진다.
이 때, 슬라이드 작용편(92)은, 제 1슬라이드체(95)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5c)에 결합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규제체(91)의 형성편(91a),(91b)은, 제 2·제 3 슬라이드체(94),(93)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4c),(93c)으로 결합되고, 양 슬라이드체(94),(93)의 작동이 규제된다.
(제 2변속 조작)
주변속 레버(85)를 우측 방향으로 회동 조작하고, 요동 지지편(87)을 지점으로서 주변속 레버(85)의 하단부에 형성된 작용편(85a)을 좌측방향으로 회동시켜, 그 회동력을 작용 수납편(84)-> 레버 연동축(81)-> 결합편(82)-> 피결합편(83)-> 슬라이드체 지축(80)으로 전달시키고, 상기 슬라이드체 지축(80)을, 도 7의 배면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슬라이드 작용편(92)를 매개하여 슬라이드 규제체(91)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어서 우측 방향으로 회동 조작된 주변속 레버(85)를 또한 전방으로 회동 조작하고, 슬라이드체 지축(80)을 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그렇게 하면, 슬라이드체 지축(80)의 후방향으로의 슬라이딩되는 힘이, 슬라이드 작용편(92)-> 제 2슬라이드체(94)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4c)-> 보스부(94a)-> 쉬프트 포크(94b)로 전달되어, 상기 쉬프트 포크(94b)로 연동 연결된 제 2변속체(66)의 슬라이드 연결편(66d)을 중립위치로부터 후방 슬라이드 변속 위치로 슬라이드 되고, 축측 연동 연결편(66a)과 후 기어측 연동 연결편(66c)이 연동 연결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엔진(15)으로부터 내측 구동축(19)으로 전달된 동력은, 전부 분할 구동축편(30)-> 후부 분할 구동축편(31)-> 제 5속 기어(31c)-> 제 3변속 기어체(71)의 전부 기어(71a)-> 주변속 부축(70)-> 제 2변속 기어체(72)의 후부 기어(72b)-> 제 2속기어(62)-> 제 2변속체(66)의 후 기어측 연동 연결편(66c)-> 슬라이드 연결편(66d)-> 축측 연동 연결편(66a)-> 주변속 주축(58)으로 전달되어, 제 2변 속이 이루어진다.
이 때, 슬라이드 작용편(92)은, 제 2슬라이드체(94)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4c)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규제체(91)의 형성편(91b)은, 제 1·제 3슬라이드체(95),(93)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5c),(93c)으로 결합되고, 양 슬라이드 체(95),(93)의 동작이 규제된다.
(제 3변속 조작)
주변속 레버(85)를 우측 방향에 회동 조작함과 동시에 후방으로 회동 조작하고, 슬라이드체 지축(80)을 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그렇게 하면, 슬라이드체 지축(80)의 전방향으로의 슬라이딩되는 힘이, 슬라이드 작용편(92)-> 제 2슬라이드체(94)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4c)-> 보스부(94a)-> 쉬프트 포크(94b)로 전달되어, 상기 쉬프트 포크(94b)에 연동 연결된 제 2변속체(66)의 슬라이드 연결편(66d)을 중립 위치에서 전방 슬라이드 변속 위치에 슬라이드 되어, 축측 연동 연결편(66a)과 전 기어측 연동 연결편(66b)이 연동 연결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엔진(15)으로부터 내측 구동축(19)에 전달된 동력은, 전부 분할 구동축편(30)-> 후부 분할 구동축편(31)-> 제 5속 기어(31c)-> 제 1변속 기어체(71)의 전부 기어(71a)-> 주변속 부축(70)-> 제 2변속 기어체(72)의 전부 기어(72a)-> 제 3속 기어(61)-> 제 2변속체(66)의 전 기어측 연동 연결편(66b)-> 슬라이드 연결편(66d)-> 축측 연동 연결편(66a)-> 주변속 주축(58)으로 전달되어, 제 3변속이 이루어진다.
이 때, 슬라이드 작용편(92)은, 제 2슬라이드체(94)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4c)에 결합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규제체(91)의 규성편(91b)은, 제 1·제 3슬라이드체(95),(93)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5c),(93c)으로 결합되고, 양 슬라이드체(95),(93)의 동작이 규제된다.
(제 4변속 조작)
주변속 레버(85)를 좌측방향으로 회동 조작하고, 요동 지지편(87)을 지점으로서 주변속 레버(85)의 하단부에 형성된 작용편(85a)을 우측 방향에 회동시켜, 그 회동력을 작용 수납편(84)-> 레버 연동축(81)-> 결합편(82)-> 피결합편(83)-> 슬라이드체 지지축(80)으로 전달시키고, 상기 슬라이드체 지지축(80)을 도 7의 배면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작용편(92)을 매개하여 슬라이드 규제체(91)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어서, 우측 방향으로 회동 조작된 주변속 레버(85)를 더욱 전방으로 회동 조작하여, 슬라이드체 지지축(80)을 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그렇게 하면 슬라이드체 지지축(80)의 후방향으로의 슬라이딩되는 힘이, 슬라이드 작용편(92)-> 제 3슬라이드체(93)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3c)-> 보스부(93a)-> 쉬프트 포크(93b)로 전달되고, 상기 쉬프트 포크(93b)에 연동 연결한 제 3변속체(65)의 슬라이드 연결편(65d)을 중립 위치로부터 후방 슬라이드 변속 위치로 슬라이드 되고, 축측 연동 연결편(65a)과 후 기어측 연동 연결편(65c)이 연동 연결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엔진(15)으로부터 내측 구동축(19)에 전달된 동력은, 전부 분할 구 동축편(30)-> 후부 분할 구동축편(31)-> 제 5속 기어(31c)-> 제 3변속 기어체(71)의 후부 기어(71b)-> 제 4속 기어(62)-> 제 3변속체(65)의 후 기어측 연동 연결편(65c)-> 슬라이드 연결편(65d)-> 축측 연동 연결편(65a)-> 주변속 주축(58)으로 전달되어, 제 4변속이 이루어진다.
이 때, 슬라이드 작용편(92)은, 제 3슬라이드체(93)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3c)에 결합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규제체(91)의 규성편(91a)은 제 1·제 2슬라이드체(95),(94)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5c),(94c)으로 결합되고, 양 슬라이드체(95),(94)의 동작이 규제된다.
(제 5변속 조작)
주변속 레버(85)를 좌측방향으로 회동 조작시킴과 동시에 후방으로 회동 조작하여, 슬라이드체 지축(80)을 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그렇게 하면 슬라이드체 지축(80)의 전방향으로의 슬라이딩되는 힘이 슬라이드 작용편(92)-> 제 3슬라이드체(95)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5c)-> 보스부(95a)-> 쉬프트 포크(95b)로 전달되어, 상기 쉬프트 포크(95b)로 연동 연결된 제 3변속체(67)의 슬라이드 연결편(67d)을 중립 위치에서 전방 슬라이드 변속 위치로 슬라이드 되고, 축측 연동 연결편(67a)과 전 기어측 연동 연결편(67b)이 연동 연결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엔진(15)으로부터 내측 구동축(19)으로 전달된 동력은 전부 분할 구동축편(30)-> 후부 분할 구동축편(31)-> 제 5속 기어(31c)-> 제 3변속체(67)의 전 기어측 연동 연결편(65b)-> 슬라이드 연결편(67d)-> 축측 연동 연결편(65a)-> 주변속주축(58)으로 전달되어 제 5변속이 이루어진다.
이 때 슬라이드 작용편(92)은 제 3슬라이드체(93)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3c)에 결합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규제체(91)의 규성편(91a)은, 제 1·제 2슬라이드체(95),(94)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5c),(94c)으로 결합되어, 양 슬라이드체(95),(94)의 동작이 규제된다.
(후진 전환 조작)
주변속 레버(85)를 대략 수직으로 기립시킨 상태에서 전방향으로 회동 조작하고, 그 회동 조작력을 주변속 레버(85)의 하단부에 형성된 작용편(85a)-> 작용 수납편(84)-> 레버 연동축(81)-> 결합편(82)-> 피결합편(83)-> 슬라이드체 지축(80)으로 전달시키고, 상기 슬라이드체 지지축(80)을 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그렇게 하면, 슬라이드체 지축(80)의 후방향으로의 슬라이딩되는 힘이, 슬라이드 작용편(92)-> 제 1슬라이드체(95)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5c)-> 보스부(95a)-> 쉬프트 포크(95b)로 전달되고, 상기 쉬프트 포크(95b)로 연동 연결된 제 3변속체(67)의 슬라이드 연결편(67d)이 중립 위치로부터 후방 슬라이드 변속 위치로 슬라이드 되고, 축측 연동 연결편(67a)과 후 기어측 연동 연결편(67c)이 연동 연결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엔진(15)으로부터 내측 구동축(19)으로 전달된 동력은, 전부 분할 구동축편(30)-> 후부 분할 구동축편(31)-> 제 5속 기어(31c)-> 제 3변속 기어체(71)의 전부 기어(71a)-> 주변속 부축(70)-> 제 1변속 기어체(73)의 후부 기어(73b)-> 카운터 기어(74)-> 후진 교환 기어(64)-> 제 3변속체(67)의 후 기어측 연 동 연결편(67c)-> 슬라이드 연결편(67d)-> 축측 연동 연결편(67a)-> 주변속 주축(58)으로 전달되고, 상기 주변속 주축(58)이 역회전되어, 후진 전환이 이루어진다.
이 때, 슬라이드 작용편(92)은, 제 1슬라이드체(95)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5c)에 결합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규제체(91)의 형성편(91a),(91b)은 제 2·제 3슬라이드체(94),(93)의 슬라이드 작용 수납편(94c),(93c)으로 결합되고, 양 슬라이드 체(94),(93)의 동작이 규제된다.
〔케이스 본체〕
케이스 본체(54)는, 도 2, 도 8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는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내주면 중도부에 축지지벽(100)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54) 내에서, 상기 축지지벽(100)의 전방 위치에 부변속 기구(47)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축지지벽(100)의 후방 위치에 디퍼렌셜 기구(48)를 배설한다.
그리고 축지지벽(100)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케이스 본체(54)는, 우측벽(54b)에 개구부(101)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01)를 매개하여 후술하는 클리프 변속부(49)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함과 동시에, 바닥부(54d)에 개구부(102)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02)를 매개하여 후술하는 전차륜 구동용 동력 취출부(103)를 설치하고, 이들 클리프 변속부(49)와 전차륜 구동용 동력 취출부(103)는 각각 부변속 기구(47)로 연동 연결한다.
또한 축지지벽(100)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케이스 본체(54)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측벽(54a),(54b)에 각각 개구부(104),(104)를 형성하고, 각 개구부(104),(104)를 매개하여 리어 액슬 케이스(8),(8)를 연통 연설하고, 각 리어 액슬 케이스(8),(8) 중에 좌우 방향으로 신장하는 후차축(後車軸)(105),(105)을 삽통함과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각 후차축(105),(105)은 디퍼렌셜기구(48)에 연동 연결된다.
게다가, 축 지지벽(100)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케이스 본체(54)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장부로 유지보수용 개구부(106)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06)를 착탈 가능한 뚜껑체(107)로 뚜껑을 닫고, 상기 뚜껑체(107)의 후부에는 리프트 아암 지지체(108)를 상부로 팽출시켜 형성하고, 상기 리프트 아암 지지체(108)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리프트 아암 지축(109)을 삽통함과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리프트 아암 지축(109)의 좌우측 단부에 좌우 한 쌍의 리프트 아암(110),(110)의 기단부를 부착한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54)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111)에 PTO 변속부(6)를 부착한다.
또한 도 2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54)의 좌우측벽의 후측 하부에는 하부링크 연결핀(112),(112)을 외측 방향으로 돌출 설치하고, 좌우 한 쌍의 하부링크(13),(13)의 전단부를 하부링크 연결핀(112),(112)를 매개하여 케이스 본체(54)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한다.
〔부 변속기구〕
부변속기구(47)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주변속 주축(58)의 선단부(후단부)에 유성 기어 기구(115)를 매개하여 부변속축(116)을 연동 연결하여 구성하고, 주변속 주축(58)의 선단부는 후방으로 신장시켜 유성 기어 기구(115)의 일부를 구성하는 썬 기어(117)로 하는 한편, 부변속축(116)은 주변속 주축(58)과 동일축 선상에 배설함과 동시에, 중도부를 케이스 본체(54) 내에 설치된 축지지체(118)에 베어링(119)을 매개하여 지지하고 또한 선단부(후단부)를 상기 축지지벽(100)에 베어링(120)을 매개하여 지지한다.
유성 기어 기구(115)는, 상기 지지벽 형성체(55)에 링형상으로 형성하여 썬기어(117)의 외주로 배치한 전후 한 쌍의 이너 기어 지지체(121),(122)를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부착 볼트(123)로 부착하고, 양 이너 기어 지지체(121),(122)사이에 이너 기어(124)를 서로 지지시켜, 상기 이너 기어(124)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유성 기어(125)를 배치함과 동시에, 각 유성 기어(125)를 이너 기어(124)와 썬 기어(117)의 양방향으로 치합시키는 한편, 전후 한 쌍의 이너 기어 지지체(121),(122)의 내주연부 사이에 전후 한 쌍의 베어링(126),(127)을 매개하여 캐리어(128)를 부착하고, 상기 캐리어(128)에 복수 유성 기어(125)를 일체적으로 연동 연결하여 구성한다.
또한 캐리어(128)는 후단연부를 후측의 베어링(127)보다도 후방으로 연장 설치하여 통형상의 기어 형성편(129)을 형성하고, 상기 기어 형성편(129)의 내주면에 내부 톱니(130)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기어 형성편(129)의 외주면에 클리프 구동 기어로서의 외부 톱니(131)를 형성한다.
또한 썬 기어(117)의 외주면과 부변속축(116)의 기단부(전단부)(11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통형상의 쉬프트 기어 지지체(132)를 축선 방향으로 쉬프트 가능하게 스풀라인 감합 하고, 상기 쉬프트 기어 지지체(132)의 전부 외주면에 전부 쉬 프트 기어(133)를 일체로 성형함과 동시에, 후부 외주면에 후부 쉬프트 기어(134)를 일체로 성형한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54) 내의 우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포크 지지축(135)을 설치하고, 상기 포크 지지축(135)에 쉬프트 포크(136)의 기단부(137)를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함과 동시에, 상기 쉬프트 포크(136)의 선단부(138)를 쉬프트 기어 지지체(132)에 결합시킨다.
또한 후술하는 클리프 변속부(49)의 일부를 구성하는 뚜껑체(139)에,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보스부(140)를 형성하고, 상기 보스부(140) 중에 레버 지지축(141)을 삽통하고, 상기 레버 지지축(141)의 외측단부에 부변속 레버(142)의 기단부를 부착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 지지축(141)의 내측단부에 연동 아암(143)의 기단부를 부착하고, 상기 연동 아암(143)의 선단부에 프레임(144)을 매개하여 상기 쉬프트 포크(136)의 기단부(137)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부변속 레버(142)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쉬프트 기어 지지체(132)를 전후 방향으로 쉬프트 작동시켜, 부변속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부변속 레버(142)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레버 지축(141)을 매개하여 연동 아암(143)이 전방으로 회동되고, 상기 연동 아암(143)의 선단부에 프레임(144)을 매개하여 연결한 쉬프트 포크(136)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쉬프트 포크(136)에 결합된 쉬프트 기어 지지체(132)가 전방으로 쉬프트 된다.
이 때, 쉬프트 기어 지지체(132)는 썬 기어(117)의 외주면과 부변속축(116) 의 기단부(전단부)(11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걸쳐진 상태로 쉬프트 되고, 상기 쉬프트 기어 지지체(132)를 매개하여 썬 기어(117)와 부변속축(116)이 연동 연결된 상태(주변속 주축(58)과 부변속축(116)이 직접 결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쉬프트 위치에서는 주변속 주축(58)에 일체로 성형한 썬 기어(117)로부터 쉬프트 기어 지지체(132)를 매개하여 부변속축(116)으로 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부변속 레버(142)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레버 지지축(141)을 매개하여 연동 아암(143)이 후방으로 회동되고, 상기 연동 아암(143)의 선단부에 프레임(144)을 매개하여 연결한 쉬프트 포크(136)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쉬프트 포크(136)에 결합된 쉬프트 기어 지지체(132)가 후방으로 쉬프트 된다.
그리고 쉬프트 기어 지지체(132)는 썬 기어(117)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되어, 부변속축(116)의 기단부(전단부)(114)의 외주면 상으로 쉬프트됨과 동시에, 전부 쉬프트 기어(133)가 기어 형성편(129)의 내주면에 형성한 내부 톱니(130)에 치합된다.
따라서 이러한 쉬프트 위치에서는 주변속 주축(58)에 일체로 성형된 썬 기어(117)의 회동력은, 상기 썬 기어(117)로 치합되는 유성 기어(125)-> 캐리어(128)-> 상기 캐리어(128)에 일체로 성형된 기어 형성편(129)의 내부 톱니(130)-> 쉬프트 기어 지지체(132)의 전부 쉬프트 기어(133)-> 쉬프트 기어 지지체(132)-> 부 변속축(116)의 기단부(114)로 전달된다.
이 때 주변속 주축(58)으로부터 부변속축(116)에는, 유성 기어 기구(115)를 매개하여 감속된 동력이 전달되어, 부변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부변속 레버(142)를 더욱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클리프 변속부(49)로 클리프 변속(초저속의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클리프 변속부(49)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클리프 변속부(49)는, 도 8,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본체(54)의 우측벽에 형성된 개구부(101)에, 뚜껑체(139)를 부착 볼트(145)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여 뚜껑을 닫음과 동시에, 상기 뚜껑체(139)의 내면에 클리프 변속기구(146)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클리프 변속기구(146)는 뚜껑체(139)의 내면에 돌출 설치한 전후 한 쌍의 축 지지편(147),(148)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기어 지지축(149)을 착탈 가능하게 가설하고, 상기 기어 지지축(149)에 베어링(150)을 매개하여 클리프 변속 기어체(151)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 상기 클리프 변속 기어체(151)의 전부와 후부에 큰 지름의 입력 기어(152)와 작은 지름의 출력 기어(153)를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한다.
또한 입력 기어(152)는 기어 형성편(129)의 외주면에 형성된 클리프 구동 기어로서의 외부 톱니(131)에 착탈 가능하게 치합됨과 동시에, 출력 기어(153)는 부변속축(116)에 베어링(154)을 매개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클리프 전동 기어(155)에 착탈 가능하게 치합되고, 상기 클리프 전동 기어(155)의 전면에는, 쉬프트 기어 지지체(132)의 후부 외주면에 일체로 성형한 후부 쉬프트 기어(134)가 감입되어 치합되는 감입 치합 기어(156)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부변속 레버(142)를 최대한으로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레버 지지축(141)을 매개하여 연동 아암(143)이 후방으로 회동되고, 상기 연동 아암(143)의 선단부에 프레임(144)을 매개하여 연결된 쉬프트 포크(136)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쉬프트 포크(136)에 결합된 쉬프트 기어 지지체(132)가 최대한 후방으로 쉬프트 된다.
그리고 쉬프트 기어 지지체(132)는 썬 기어(117)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되고, 부변속축(116)의 기단부(전단부)(114)의 외주면상에 쉬프트됨과 동시에, 후부 쉬프트기어(134)가 클리프 전동 기어(155)의 전면에 형성된 감입 치합기어(156)로 감입되어 치합된다.
따라서 이러한 쉬프트 위치에서는 주변속 주축(58)에 일체로 성형된 썬 기어(117)의 회동력은, 상기 썬 기어(117)로 치합되는 유성 기어(125)-> 캐리어(128)-> 상기 캐리어(128)에 일체로 성형된 기어 형성편(129)의 외부 톱니(131)-> 클리프 변속 기어체(151)의 입력 기어(152)-> 클리프 변속 기어체(151)의 출력 기어(153)-> 클리프 전동 기어(155)-> 감입 치합기어(156)-> 쉬프트 기어 지지체(132)의 후부 외주면에 일체로 성형된 후부 쉬프트 기어(134)-> 쉬프트 기어 지지체(132)-> 부변속축(116)의 기단부(114)로 전달된다.
이 때 주변속 주축(58)으로부터 부변속축(116)에는 유성 기어 기구(115)와 클리프 변속기구(146)를 매개하여 초저속으로 감속된 동력이 전달되어, 클리프 변속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캐리어(128)에 클리프 구동 기어로서 일체로 성형된 기어 형성편 (129)의 외부 톱니(131)에, 클리프 변속 기어체(151)의 입력 기어(152)을 착탈 가능하게 치합하기 때문에, 클리프 변속기구(146)를 유성 기어 기구(115)의 주연부에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어, 미션부(4)의 장대화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유성 기어 기구(115)의 축선 방향에서 클리프 변속 조작도 직선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변속 조작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뚜껑체(139)에 클리프 변속기구(146)를 부착하여 클리프 변속부(49)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클리프 변속부(49)는 케이스 본체(54)에 형성된 개구부(101)에 뚜껑체(139)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여 뚜껑을 닫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클리프 변속부(49)의 조립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클리프 사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클리프 변속기구(146)를 뚜껑체(139)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상기 뚜껑체(139)를 케이스 본체(54)의 개구부(101)에 부착해 둠으로써 클리프가 있는 사양에서 클리프가 없는 사양으로 간단히 사양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클리프 사양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클리프 변속기구(146)를 뚜껑체(139)에 부착하면 되므로, 클리프가 있음·없음의 사양 설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차륜 구동용 동력 취출부(103)는, 도 2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54) 바닥부에 형성된 개구부(102)에 취출부 케이스(160)를 부착 볼트(161)로 부착, 상기 취출부 케이스(160) 안에 전후 한 쌍의 베어링(162),(163)을 매개하여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전차륜 구동축(164)을 가설하고, 상기 전차륜 구동 축(164)의 중도부에 입력 기어(165)를 부착하고, 상기 입력 기어(165)와 부변속축(116)의 후부에 부착된 출력 기어(166)와의 사이에 제 1·제 2중간 기어(167),(168)을 개재 설치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제 1중간 기어(167)는 후술하는 PTO계 전동축(169)에 베어링(170)을 매개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함과 동시에, 제 2중간 기어(168)는 케이스 본체(54) 내로 돌출시켜 형성된 전후 한 쌍의 기어 지지편(171),(172)에 기어 지축(173)을 가설하고, 상기 기어 지축(173)에 베어링(174)를 매개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출력 기어(166)와 제 1중간 기어(167)와 제 2중간 기어(168)와 입력 기어(165)와를 직렬적으로 치합시켜 연동 연결한다.
또한 전차륜 구동축(164)은 선단부(175)를 취출부 케이스(160)보다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선단부(175)를 프론트 액슬 케이스에 설치된 입력축(미도시)으로 전동 샤프트 등을 매개히여 연동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부변속축(116)의 회동력은, 상기 부변속축(116)에 부착된 출력 기어(166)-> 제 1중간 기어(167)-> 제 2중간 기어(168)-> 입력 기어(165)-> 전차륜 구동축(164)-> 전동 샤프트 등-> 입력축-> 전차축-> 전차륜(7),(7)로 전달되고, 4륜 구동 주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 기어(165)는 전차륜 구동축(164)의 중도부에 스풀라인 감합하고, 제 2중간 기어(168)에 치합된 위치와 치합 해제된 위치에 쉬프트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축(165)의 쉬프트 조작을 취출부 케이스(160)의 외부에서 쉬프트 조작 기구(미도시)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입력 기어(165)를 제 2중간 기어(168)로 치합시키는 쉬프트 조작을 수행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4륜 구동 주행이 수행되는 한편, 입력 기어(165)를 제 2중간 기어(168)로부터 치합 해제시키는 쉬프트 조작을 수행하면, 후륜 구동 뿐인 2륜 구동 주행이 수행되도록 하고, 작업 조건에 따라 적절히 4륜 구동 주행과 2륜 구동 주행의 전환 조작을 수행하여,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디퍼렌셜 기구〕
디퍼렌셜 기구(48)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부변속축(116)과 좌우 한 쌍의 후차축(105),(105)과의 사이에 개재 설치되고, 축지지벽(100)보다도 후방으로 신장시킨 부변속축(116)의 선단부(후단부)에 출력용 베벨기어(180)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한편, 각 후차축(105),(105)의 기단부에 후차축 입력 기어(181),(181)를 부착하고, 출력용 베벨기어(180)를 디퍼렌셜 기구(48)를 매개하여 각 후차축 입력 기어(181),(181)로 연동 연결하고 있다.
즉 디퍼렌셜 기구(48)는 디퍼렌셜 케이스(182)의 외주면에 상기 출력용 베벨기어(180)에 치합되는 큰 감속기어(183)를 부착하는 한편, 디퍼렌셜 케이스(182) 내에,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는 작은 차동기어 지축(184)을 매개하여 전후 한 쌍의 작은 차동기어(185),(185)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함과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는 좌우 한 쌍의 큰 차동기어 지지축(186),(186)을 매개하여 좌우 한 쌍의 큰 차동기어(187),(187)를 설치하고, 각 큰 차동기어(187),(187)를 양 작은 차동기어 (185),(185)로 치합시킨다.
그리고 디퍼렌셜 케이스(182)의 좌우측부에 일체로 성형된 통형상 연통 연결편(188),(188)에는,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좌우 한 쌍의 통형상축 지지체(189),(189)를 착탈 가능하게 감합하여 연통 연결 가능하게 하고, 각 통형상 연통 연결편(188),(188) 내를 통하여 각 통형상축 지지체(189),(189) 내로, 상기 큰 차동기어 지지축(186),(186)을 삽통함과 동시에 지지시켜 두고, 각 큰 차동기어 지지축(186),(186)의 통형상축 지지체(189),(189)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는 각각 상기 후 차축 입력 기어(181),(181)와 치합되는 전동 기어(190),(190)를 부착, 또한 각 큰 차동기어 지축(186),(186)의 선단부는, 후술하는 브레이크부(191),(191)의 주행용 브레이크(192),(19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한다.
이와 같이 하여 부변속축(116)에 전달된 회동력은, 상기 부변속축(116)의 선단부(후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출력용 베벨기어(180)-> 큰 감속 기어(183)-> 디퍼렌셜 케이스(182)-> 작은 차동기어 지축(184)-> 각 작은 차동기어(185),(185)-> 각 큰 차동기어(187),(187)-> 각 큰 차동기어 지축(186),(186)-> 각 전동 기어(190),(190)-> 각 후차축 입력 기어(181),(181)-> 각 후차축(105),(105)-> 각 후차륜(9),(9)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좌우 한 쌍의 통형상축 지지체(189),(189)는, 케이스 본체(54)의 좌우측 벽(54a),(54b)에 형성한 부착용 개구부(194),(194)에 외측 방향으로 감합됨과 동시에, 부착 볼트(195),(195)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디퍼렌셜 케이스(182)는 양 통형상축 지지체(189),(189)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가설된다.
그리고 각 통형상축 지지체(1890,(189)는 부착 볼트(195),(195)를 떼어낸 후, 부착용 개구부(194),(194)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꺼냄으로써 케이스 본체(54)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이 때 각 큰 차동기어 지축(186),(186)도 각 통형상축 지지체(189),(189)와 일체적으로 디퍼렌셜 케이스(182)로부터 뽑아내어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양 통형상축 지지체(189),(189)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가설되어 있는디퍼렌셜케이스(182)는, 각 통형상축 지지체(189),(189)를 떼어낸 후는, 케이스 본체(54)의 천창부에 형성된 유지보수용의 개구부(106)로부터 꺼낼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부(191)는 브레이크 케이스(196) 안에 주행용 브레이크(192)를 배설하고, 상기 주행용 브레이크(192)를 브레이크 작용편(197)을 매개하여 브레이크 조작 레버(198)로 브레이크 제동·해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199는 브레이크 케이스(196)로 피봇 한 브레이크 레버 지축이다.
그리고 브레이크 케이스(196)는 케이스 본체(54)의 측벽과 리어 액슬 케이스(8)의 외주면 기부와의 사이에 걸쳐진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브레이크 케이스(196)를 이것들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케이스(196)와 일체적으로 주행용 브레이크(192)를 큰 차동기어 지축(186)의 선단부로부터 떼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디퍼렌셜 기구(48)는 도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용 베벨기어(180)에 큰 감속기어(183)를 우측 방향으로부터 치합시켜 부착하는 형태와,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퍼렌셜 기구(48)를 상하 반전시켜 좌우를 대체한 상태로 하여, 출력용 베벨기어(180)에 큰 감속기어(183)를 좌측방향으로 치합시켜 부 착되는 형태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트랙터(A)로 연결하는 작업기나 작업 형태에 따라, 상기 트랙터(A)의 전진 방향(주요한 작업 방향)을 디퍼렌셜 기구(48)의 부착 형태를 선택함으로써 간단히 변경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서 PTO변속부(6)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PTO 변속부(6)는, 도 8,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54)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111)에 PTO케이스(200)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PTO케이스(200) 내에 PTO 변속기구(201)를 배설한다.
그리고 PTO케이스(200)는 케이스 본체(54) 내에 수용 상태로 배설되는 전부 케이스 형성체(202)와, 케이스 본체(54)로부터 후방으로 팽출 상태로 배치되는 후부 케이스 형성체(203)로부터 형성되어, 후부 케이스 형성체(203)의 전단 주연부에 차양 모양의 부착편(204)을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부착편(204)을 케이스 본체(54)의 후단연부로 후방으로부터 맞닿게 함과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부착 볼트(205)로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케이스 본체(54)의 후단에 형성되는 개구부(111)에 PTO케이스(2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때문에, 상기 PTO케이스(200) 내에 수용된 PTO변속기구(201)의 조립 작업이나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리프트 아암 지지체(108)의 후부와 케이스 본체(54)의 후단연부의 상부와의 사이에는, 톱 링크(12)의 전단부를 피봇·연결하기 위한 톱 링크 브 래킷(206)을 부착하고, 상기 톱 링크 브래킷(206)은, 리프트 아암 지지체(108)의 후부와 케이스 본체(54)의 후단연부의 상부에 면접시켜 부착 볼트(210)로 부착되는 판형상의 부착좌(207)와, 상기 부착좌(207)의 후면보다 후방을 향해 돌출설치한 좌우 한 쌍의 판형상의 피봇·연결편(208),(208)으로부터 형성된다. 209는 연결공이 된다.
그리고 부착좌(207)의 하부는, 후부 케이스 형성체(203)의 부착편(204)에 후방으로 맞닿게 하여 중합상태를 이룸과 동시에, 부착 볼트(205)로 함께 조여서 케이스 본체(54)의 후단연부에 부착된다.
또한 후부 케이스 형성체(203)의 좌우측 벽에는, 리프트 실린더 부착부로서의 리프트 실린더 지축(211),(211)을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설치하고, 각 리프트 실린더 지축(211),(211)과 상기 리프트 아암(110),(110)의 중도부와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신축 작동하는 리프트 실린더(212),(212)를 개재 설치한다. 213은 리프트 실린더 연결 핀, 214는 리프트 실린더 피봇 연결편이다.
이와 같이 하여 후부 케이스 형성체(203)의 좌우측 방향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신축 작동하는 좌우 한 쌍의 리프트 실린더(212),(212)를 배치함과 동시에, 각 리프트 실린더(212),(212)의 하단부를 리프트 실린더 지축(211),(211)을 매개하여 후부 케이스 형성체(203)로 지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양 리프트 실린더(212),(212)를 수직 내지는 대략 수직으로 배설된 자세로 하는 것이 용이하고, 각 리프트 실린더(212),(212)의 스트로크를 작게 할 수 있고, 각 리프트 실린더(212),(212)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파워 로스를 작게 할 수 있다.
게다가 각 리프트 실린더(212),(212)의 하단부는 리프트 실린더 지축(211),(211)을 매개하여 후부 케이스 형성체(203)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각 리프트 실린더(212),(21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후부 케이스 형성체(203)의 좌우 폭을 작게 하고, 좌우 한 쌍의 리프트 실린더(212),(212)를 후부 케이스 형성체(203)의 좌우측 방향 위치로 배설함과 동시에, 케이스 본체(54)의 좌우 폭 내로 배설함으로써 상기 케이스 본체(54)에의 승강 링크 기구의 부착위치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어서 PTO변속기구(201)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PTO변속기구(20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PTO케이스(200) 내에,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입력축 (220)과 변속축(221)과 PTO축(222)과를 각각 베어링(223),(224),(225),(226),(227)
,(228)를 매개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두고, 입력축(220)은, PTO케이스(200)의 전벽에 형성한 입력축 돌출부(239)로부터 전방에 선단부(240)를 돌출시키는 한편, PTO축(222)은 PTO케이스(200)의 후벽에 형성된 PTO축 돌출부(241)로부터 후방에 선단부(242)를 돌출시킨다.
그리고 입력축(220)에 출력 기어(229)를 설치하는 한편, 변속축(221)에 큰 지름 입력 기어(230)와 제 1변속 기어(231)과 제 2변속 기어(232)를 동일 축에 부착하여, 상기 큰 지름 입력 기어(230)를 상기 출력 기어(229)로 치합시킨다.
또한 PTO축(222)에는, 쉬프트 기어체(233)를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쉬프트 가능하게 스풀라인 감합함과 동시에, 베어링(234)을 매개하여 입력 기어(235)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쉬프트 기어체(233)에 큰 지름 쉬프트 기어(236)와 작은 지 름 쉬프트 기어(237)를 설치하는 한편, 입력 기어(235)의 전면에 상기 작은 지름쉬프트 기어(237)가 감입되어 치합되는 감입 치합기어(238)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쉬프트 기어체(233)를 PTO변속 조작 기구(미도시)로 큰 지름 쉬프트 기어(236)를 상기 제 1변속 기어(231)에 치합시키는 제 1 PTO변속 조작과, 작은 지름 쉬프트 기어(237)를 감입 치합기어(238)에 감입·치합시키는 제 2PTO 변속 조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입력축(220)의 선단부(240)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PTO계 전동축(169)을 매개하여 상기 외측 구동축(20)에 연동 연결하여 PTO계 전동기구(52)를 구성하고, PTO계 전동축(169)은, 미션 케이스(45) 내에서 전부로부터 후부까지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해 배설한다.
즉 PTO계 전동축(169)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제 4 분할 전동축(245),(246),(247),(248)을 전후 방향으로 접속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제 1분할 전동축(245)은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하우징(17)의 후벽(27)과 상기 내부 지지벽(57)과의 사이에 베어링(249),(250)를 매개하여 회동 가능하게 가설하고, 상기 제 1분할 전동축(245)의 중도부에 입력 기어(244)를 설치하고, 상기 입력 기어(244)를 PTO구동 기어(20c)로 치합시킨다.
또한 제 2분할 전동축(246)은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251)을 매개하여 상기 지지벽 형성체(55)에 중도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전단부를 상기 제 1분할 전동축(245)의 후단부에 제 1 통형상 접속체(252)를 매개하여 접속한다.
제 3분할 전동축(247)은, 도 3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253)을 매개하여 축 지지체(118)에 중도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전단부를 상기 제 2분할 전동축(246)의 후단부에 제 2통형상 접속체(254)를 매개하여 접속한다.
제 4분할 전동축(248)은 도 3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부를 상기 제 3분할 전동축(247)의 후단부에 일 방향 클러치(255)를 매개하여 접속함과 동시에, 후단부를 상기 입력축(220)의 선단부(240)에 제 3통형상 접속체(256)를 매개하여 접속한다.
여기서 일방향 클러치(255)는, 제 3분할 전동축(247)의 후단부에 부착된 전부 클러치 형성체(257)와, 제 4분할 전동축(248)의 전단부에 부착된 후부 클러치 형성체(258)로부터 형성되어, 전부 클러치 형성체(257)의 후면에 돌출 설치한 치합편(259)과, 후부 클러치 형성체(258)의 전면으로 돌출 설치한 치합편(260)과를 전후 대향 상태로 치합시켜서, 정회전에서는 양 치합편(259),(260)이 결합하여 제 3·제 4분할 전동축(247),(248)이 일체적으로 정회전 방향으로 회동하는 한편, 역회전에서는 양 치합편(259),(260)이 결합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엔진(15)으로부터 외측 구동축(20)에 전달된 동력은, 상기 외측 구동축(20)에 일체로 성형된 PTO 구동기어(20c)-> 입력 기어(244)-> 제 1분할 전동축(245)-> 제 1통형상 접속체(252)-> 제 2분할 전동축(246)-> 제 2통형상 접속체(254)-> 제 3분할 전동축(247)-> 일방향 클러치(255)-> 제 4분할 전동축(248)-> 제 3통형상 접속체(256)-> 입력축(220)에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PTO변속기구(201)가 제 1 PTO변속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입력축(220)에 전달된 동력은 출력 기어(229)-> 큰 지름 입력 기어(230)-> 변속축(221)-> 제 1변속 기어(231)-> 쉬프트 기어체(233)의 큰 지름 쉬프트 기어(236)-> PTO축(222)에 전달되도록 해두고, 상기 PTO축(222)에서 동력을 취출하여 각종 작업기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PTO 변속기구(201)가 제 2 PTO 변속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입력축(220)에 전달된 동력은, 출력 기어(229)-> 큰 지름 입력 기어(230)-> 변속축(221)-> 제 2 변속기어(232)-> 입력 기어(235)-> 쉬프트 기어체(233)의 작은 지름 쉬프트 기어(237)-> PTO축(222)에 전달되도록 해두고, 상기 PTO축(222)에서 동력을 취출하여 각종 작업기를 구동할 수 있다.
이 때, 각종 작업기로부터의 부하를 받아 PTO축(222)이 역회전되고, 그 동력이 입력축(220)-> 제 3 통형상 접속체(256)-> 제 4분할 전동축(248)에 전달된다 해도, 상기 제 4분할 전동축(248)과 제 3분할 전동축(247)과의 사이에는 일방향 클러치(255)를 개재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4분할 전동축(248)으로부터 제 3분할 전동축(247)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PTO축(222)으로부터 동력이 주변속기구(46)를 시작으로 하는 주행계 전동 기구(51)에 역류하여 전달됨으로써 상기 주행계 전동 기구(51)가 손상 등이 된다고 하는 부적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싱글 클러치 사양의 클러치부(3)에서는, 후부 분할 구동축편(31)에 설치된 PTO 구동기어(300)에, 제 1분할 전동축(245)에 설 치된 입력 기어(244)를 치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분할 전동축(245)-> 입력 기어(244)-> PTO 구동기어(300)-> 후부 분할 구동축편(31)-> 주변속 주축(58)에 동력이 역류하여 전달되는 것을 일방향 클러치(255)로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54) 내에 일방향 클러치(255)를 설치해 둠으로써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용 클러치(21)와 PTO용 클러치(22)의 더블 클러치 사양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용 클러치(21) 만의 싱글 클러치 사양과의 상호 사양의 변경을 수행할 때에는, 미션 케이스(45) 안은 공통부로서 그대로의 상태로, 클러치부(3) 만을 교환하는 것만으로, 사양의 변경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로서의 부변속기구(47)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부변속 기구(47)는, 주변속 주축(58)의 선단부(후단부)에, 부변속용의 유성 기어 기구(26 5)와 클리프 변속용의 유성 기어 기구(266)를 매개하여 부변속축(116)을 연동 연결하여 구성하고, 주변속 주축(58)의 선단부는 후방으로 신장시킨 부변속용의 유성 기어 기구(265)의 일부를 구성하는 썬 기어(267)로 이룸과 동시에, 주변속 주축(58)과 부변속축(116)과의 사이에 유성 기어 기구 지지체(268)를 매개하여 중간축(269)을 동일축 선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중간축(269)의 선단부를 클리프 변속용의 유성 기어 기구(266)의 일부를 구성하는 썬 기어(270)로 이루어진다.
부변속용의 유성 기어 기구(265)는, 상기 지지벽 형성체(55)에 링형상으로 형성하여 썬 기어(267)의 외주에 배치한 이너 기어 지지체(273)를,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부착 볼트(274)로 부착하고, 상기 이너 기어 지지체(273)로 이너 기어(275)를 일측을 지지시켜, 상기 이너 기어(275)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의 유성 기어(276)를 배치함과 동시에, 각 유성 기어(276)를 이너 기어(275)와 썬 기어(270)의 양방향으로 치합시키는 한편, 이너 기어 지지체(273)의 내주연부에 캐리어(277)를 부착하여, 상기 캐리어(277)에 복수 유성 기어(276)를 일체적으로 연동 연결하여 구성한다.
또한 캐리어(277)는 후단연부를 후방에 연설하여 통형상의 기어 형성편(278)을 형성하고, 상기 기어 형성편(278)의 내주면에 내부 톱니(279)를 형성한다.
또한 썬 기어(267)의 외주면과 중간축(269)의 기단부(전단부)(28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통형상의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를 축선 방향으로 쉬프트 가능하게 스풀라인 감합시키고, 상기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의 전부 외주면에 쉬프트 기어(282)를 일체로 성형한다.
클리프 변속용의 유성 기어 기구(266)는, 상기 유성 기어 기구 지지체(268)에 링형상으로 형성하여 썬 기어(270)의 외주에 배치된 이너 기어 지지체(283)를,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부착 볼트284로 부착하고, 상기 이너 기어 지지체(283)에 이너 기어(285)를 일측을 지지시켜, 상기 이너 기어(285)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유성 기어(286)를 배치함과 동시에, 각 유성 기어(286)를 이너 기어(285)와 썬 기어(270)의 양방향으로 치합시키는 한편, 이너 기어 지지체(283)의 내주연부에 캐리어(287)를 부착하고, 상기 캐리어(287)에 복수의 유성 기어(286)를 일체적으로 연동 연결하여 구성한다.
또한 캐리어(287)는 후단연부를 후방으로 연장 설치하여 통형상의 기어 형성편(288)을 형성하고, 상기 기어 형성편(288)의 내주면에 내부 톱니(289)를 형성한 다.
또한 썬 기어(270)의 외주면과 부변속축(116)의 기단부(전단부)(11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통형상의 쉬프트 기어 지지체(290)를 축선 방향으로 쉬프트 가능하게 스풀라인 감합하고, 상기 쉬프트 기어 지지체(290)의 전부 외주면에 쉬프트 기어(291)를 일체로 성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부변속 레버(미도시)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를 전후 방향으로 쉬프트 작동시키고, 부변속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부변속 레버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는, 썬 기어(267)의 외주면과 중간축(269)의 기단부(전단부)(28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걸쳐진 상태로 쉬프트 되고, 상기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를 매개하여 썬 기어(267)와 중간축(269)이 연동 연결된 상태(주변속 주축(58)과 중간축(269)이 직접 결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쉬프트 위치에서는 주변속 주축(58)에 일체로 성형된 썬 기어(267)로부터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를 매개하여 중간축(269)에 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부변속 레버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는 썬 기어(267)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되고, 중간축(269)의 기단부(전단부)(280)의 외주면 상으로 쉬프트 됨과 동시에, 쉬프트 기어(282)가 기어 형성편(278)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부 톱니(279)에 치합된다.
따라서 이러한 쉬프트 위치에서는, 주변속 주축(58)에 일체로 성형한 썬 기어(267)의 회전 동력은, 상기 썬 기어(267)에 치합되는 유성 기어(276)-> 캐리어(277)-> 상기 캐리어(277)에 일체로 성형된 기어 형성편(278)의 내부 톱니(279)->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의 쉬프트 기어(282)->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 중간축(269)의 기단부(280)에 전달된다.
이 때, 주변속 주축(58)으로부터 중간축(269)에는, 유성 기어 기구(265)를 매개하여 감속된 동력이 전달되어 부변속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클리프 변속용의 유성 기어 기구(266)의 쉬프트 기어 지지체(290)는, 썬 기어(270)의 외주면과 부변속축(116)의 기단부(전단부)(11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걸쳐진 상태로 쉬프트 되고, 상기 쉬프트 기어 지지체(290)를 매개하여 썬 기어(270)와 부변속축(116)이 연동 연결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쉬프트 위치에서는, 주변속 주축(58)에 일체로 성형된 썬 기어(267)로부터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를 매개하여 중간축(269)에 동력이 변속되지 않고 전달되어, 클리프 변속(초저속의 변속)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부변속 레버(미도시)를 더욱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클리프 변속용의 유성 기어 기구(266)에 의해 클리프 변속(초저속의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부변속 레버를 더욱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는, 썬 기어(267)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되어, 부변속축(116)의 기단부(전단부)(114)의 외주면상으로 쉬프트 됨과 동시에, 쉬프트 기어(282)가 기어 형성편(288)의 내주면 에 형성된 내부 톱니(289)로 치합된다.
따라서 이러한 쉬프트 위치에서는, 중간축(269)에 일체로 성형된 썬 기어(2 70)의 회동력은, 상기 썬 기어(270)로 치합하는 유성 기어(286)-> 캐리어(287)-> 상기 캐리어(287)에 일체로 성형된 기어 형성편(288)의 내부 톱니(289)-> 쉬프트 기어 지지체(290)의 쉬프트 기어(291)-> 쉬프트 기어 지지체(290)-> 부변속축(116)의 기단부(114)로 전달된다.
이 때, 중간축(269)으로부터 부변속축(116)에는, 유성 기어 기구(266)를 매개하여 감속된 동력이 전달되고, 클리프 변속(초저속의 변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 14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의 부변속기구(47)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부변속기구(47)는 주변속 주축(58)의 선단부(후단부)에, 유성 기어 기구(265)를 매개하여 부변속축(116)을 연동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한 실시 예의 부변속기 구(47)와 기본적인 구성을 같게 하였지만, 클리프 변속용의 유성 기어 기구(266)나 중간축(269)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클리프 변속 기능을 갖고 있지 않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다르다.
즉, 부변속용의 유성 기어 기구(265)는 썬 기어(267)의 외주면과 부변속축(116)의 기단부(전단부)(11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통형상의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를 축선 방향으로 쉬프트 가능하게 스풀라인 감합하고, 상기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의 전부 외주면에 쉬프트 기어(282)를 일체로 성형한다.
그리고, 부변속 레버(미도시)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를 전후 방향으로 쉬프트 작동시키고, 부변속 조작을 수행할 수 있 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부변속 레버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는, 썬 기어(267)의 외주면과 부변속축(116)의 기단부(전단부)(11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걸쳐진 상태로 쉬프트 되고, 상기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를 매개하여 썬 기어(267)와 부변속축(116)이 연동 연결된 상태(주변속 주축(58)과 부변속축(116)이 직접 결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쉬프트 위치에서는 주변속 주축(58)에 일체로 성형된 썬 기어(267)로부터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를 매개하여 부변속축(116)에 동력이 전달된다.
또 부변속 레버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는 썬 기어(267)의 외주면부터 이탈되어, 부변속축(116)의 기단부(전단부)(114)의 외주면 상으로 쉬프트됨과 동시에, 쉬프트 기어(282)가 기어 형성편(278)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부 톱니(279)에 치합된다.
따라서, 이러한 쉬프트 위치에서는, 주변속 주축(58)에 일체로 성형된 썬 기어(267)의 회동력은, 상기 썬 기어(267)에 치합되는 유성 기어(276)-> 캐리어(277)-> 상기 캐리어(277)에 일체로 성형된 기어 형성편(278)의 내부 톱니(279)->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의 쉬프트 기어(282)-> 쉬프트 기어 지지체(281)-> 부변속축(116)의 기단부(전단부)(114)로 전달된다.
이 때, 주변속 주축(58)으로부터 부변속축(116)에는, 유성 기어 기구(265)를 매개하여 감속된 동력이 전달되어 부변속이 이루어진다.
(1)청구 범위 제 1항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미션 케이스의 후부에, PTO변속기구를 내장하는 PTO케이스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함과 동시에, PTO케이스는 전부(前部)를 미션 케이스 내로 수용된 상태로 하여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미션 케이스의 후부에, PTO 변속기구를 내장하는 PTO 케이스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PTO 변속기구의 조립 작업이나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PTO케이스는 전부를 미션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로 하여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미션 케이스의 소형화(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2)청구 범위 제 2항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미션 케이스의 상부에 리프트 아암의 기단부를 피봇하여 부착하는 한편, PTO케이스의 측벽 하부에 리프트 실린더 부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리프트 실린더 부착부와 상기 리프트 아암의 중도부와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신축 작동하는 리프트 실린더를 개재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미션 케이스의 후부에 부착된 PTO케이스의 측벽 하부에 리프트 실린더 부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리프트 실린더 부착부와 리프트 아암의 중도부와의 사이에 리프트 실린더를 개재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리프트 실린더를 수직 내지는 대략 수직으로 배치한 자세로 하는 것이 용이하고, 상기 리프트 실린더의 스토로그를 작게 할 수 있고, 상기 리프트 실린더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파워 로스를 작게 할 수 있다.

Claims (2)

  1. 미션 케이스의 후부에, PTO 변속기구를 내장하는 PTO 케이스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함과 동시에, PTO 케이스는, 전부를 미션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로 하여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2. 제 1항에 있어서,
    미션 케이스의 상부에 리프트 아암의 기단부를 피봇하여 부착하는 한편, PTO 케이스의 측벽 하부에 리프트 실린더 부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리프트 실린더 부착부와 상기 리프트 아암의 중도부와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신축 작동하는 리프트 실린더를 개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KR1020057021889A 2003-05-21 2003-07-17 트랙터 KR101009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43897 2003-05-21
JP2003143897A JP4153363B2 (ja) 2003-05-21 2003-05-21 トラ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661A true KR20060022661A (ko) 2006-03-10
KR101009738B1 KR101009738B1 (ko) 2011-01-19

Family

ID=3347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889A KR101009738B1 (ko) 2003-05-21 2003-07-17 트랙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25635B2 (ko)
EP (1) EP1634757B1 (ko)
JP (1) JP4153363B2 (ko)
KR (1) KR101009738B1 (ko)
CN (1) CN100351115C (ko)
AU (1) AU2003255137A1 (ko)
WO (1) WO20041037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407B1 (ko) * 2006-11-24 2008-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pto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8206B2 (en) * 2007-01-17 2011-05-10 Deere & Company Modular transmission assembly for an agricultural or industrial utility vehicle
US10821828B2 (en) * 2017-09-28 2020-11-03 DirectDrive Plus, LLC Power takeoff assembly with gear transfer and PTO brak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5656A (en) 1958-04-21 1961-03-21 Haverlender Karl Change-speed gear unit for motor vehicles
US3234808A (en) * 1964-01-27 1966-02-15 Harold E Nelson Close coupled motor driven gear reducing unit
US3774460A (en) * 1972-06-09 1973-11-27 Deere & Co Compact transmission structure
CA1108449A (en) 1977-10-17 1981-09-08 Ulrich M. Fritzler Image stabilization system for continuous film scanning apparatus
JPS5467427U (ko) * 1977-10-20 1979-05-14
AU526315B2 (en) 1978-01-28 1983-01-06 Kubota Ltd. A transmission fora farm tractor of four wheel drive type
JPS569921U (ko) * 1979-07-02 1981-01-28
JPS5963227A (ja) * 1982-10-04 1984-04-10 Yanmar Diesel Engine Co Ltd 農用トラクタにおけるフロントpto装置
US4610175A (en) * 1984-02-06 1986-09-09 Dana Corporation Power takeoff assembly
KR930008957B1 (ko) * 1991-03-11 1993-09-17 금성전선 주식회사 농용트랙터의 트랜스미션
JPH07232570A (ja) 1994-02-23 1995-09-05 Iseki & Co Ltd トラクタのptoクラッチ
JP3795104B2 (ja) * 1995-07-21 2006-07-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発電装置
JP3611379B2 (ja) * 1995-10-20 2005-01-19 株式会社クボタ 農用トラクタ
US5947218A (en) * 1996-07-08 1999-09-07 Kanzaki Kobyukoki Mfg. Co., Ltd. Power take-off transmission for a working vehicle
JPH10217784A (ja) 1997-02-07 1998-08-18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トラクタの動力取出し装置
JP2001018671A (ja) * 1999-07-08 2001-01-23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トラクタの動力取出し装置
KR20030044002A (ko) * 2000-10-20 2003-06-02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407B1 (ko) * 2006-11-24 2008-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pto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34757B1 (en) 2011-11-16
EP1634757A4 (en) 2007-04-04
US7325635B2 (en) 2008-02-05
EP1634757A1 (en) 2006-03-15
AU2003255137A1 (en) 2004-12-13
US20060254836A1 (en) 2006-11-16
JP2004345474A (ja) 2004-12-09
JP4153363B2 (ja) 2008-09-24
CN1771145A (zh) 2006-05-10
CN100351115C (zh) 2007-11-28
WO2004103758A1 (ja) 2004-12-02
KR101009738B1 (ko) 201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2426B2 (ja) 作業車の伝動構造
KR101009738B1 (ko) 트랙터
JP4885349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2007015520A (ja) トラクタ
JP4242755B2 (ja) トラクタ
WO2005093294A1 (ja) トラクタ
EP2189308A1 (en) Work vehicle
WO2004103760A1 (ja) トラクタ
JP4347608B2 (ja) トラクタ
JP4368283B2 (ja) 走行車両
JP5090634B2 (ja) トラクタ
JP4184866B2 (ja) トラクタ
KR20060127200A (ko) 트랙터
JP2003083420A (ja) ホイール式車両の機械−油圧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6904323B2 (ja) 作業車両
JP4213647B2 (ja) トラクタの動力伝動装置
JPH106792A (ja) トラクタのミッション
WO2005092658A1 (ja) トラクタ
JP4571424B2 (ja) トラクタ
JPH05162549A (ja) Pto伝動構造
WO2004113144A1 (ja) トラクタ
JP2005280384A (ja) トラクタ
JPH106790A (ja) トラクタのミッション
JPH11314531A (ja) 作業車両のミッションケース構造
JP2003170753A (ja) 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