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2064A - 자동토우조절 기능을 갖는 서스펜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토우조절 기능을 갖는 서스펜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2064A
KR20060022064A KR1020040070832A KR20040070832A KR20060022064A KR 20060022064 A KR20060022064 A KR 20060022064A KR 1020040070832 A KR1020040070832 A KR 1020040070832A KR 20040070832 A KR20040070832 A KR 20040070832A KR 20060022064 A KR20060022064 A KR 20060022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rotatably connected
cross member
rotating shaft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0110B1 (ko
Inventor
함형승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0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110B1/ko
Priority to DE102004061537A priority patent/DE102004061537A1/de
Priority to JP2004370834A priority patent/JP2006076554A/ja
Priority to US11/028,288 priority patent/US7243933B2/en
Priority to CNB2004101031696A priority patent/CN100528666C/zh
Publication of KR20060022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 B60G3/04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the arm being esse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60G3/06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the arm being esse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the arm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6Attaching arms to sprung or unsprung part of vehicle,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ttachment means controlled by an external actuator, e.g. a fluid or electrical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2Toe-in/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2Toe-in/out
    • B60G2200/4622Alignmen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1Pivoted lever mechanism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e.g. Watt lin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륜을 지지하는 로워암이 휠 센터의 앞쪽과 뒤쪽에 각각 배치된 두 래터럴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래터럴암은 일단이 크로스멤버에 각각 장착되고 타단은 캐리어어셈블리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차량의 선회 주행시 차량의 거동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후륜에 적절한 토우인(toe-in)이 형성되도록 하여, 언더스티어를 유도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동토우조절 기능을 갖는 서스펜션 시스템{suspension system with an auto toe control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 도면으로서 차량의 후방에서 관측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 도면으로서 차량의 상측에서 관측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크로스멤버 3; 프론트암
5; 리어암 7; 힌지핀
9; 리어링크아암 11,11'; 멤버회전축
13,13'; 아암회전축 15; 리인포스먼트
17; 프론트링크아암
본 발명은 차량의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서스펜 션 시스템이 차량의 거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토우를 변화시키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로워암이 휠 센터의 앞쪽과 뒤쪽에 각각 배치된 두 래터럴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래터럴암은 일단이 크로스멤버에 각각 장착되고 타단은 캐리어어셈블리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 모든 서스펜션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두 래터럴암은 차체 전방의 것을 프론트암, 후방의 것을 리어암이라고 한다.
상기 프론트암과 리어암은 휠의 차체에 대한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크로스멤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크로스멤버에 힌지핀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선회 주행시 차량의 거동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후륜이 토우인(toe-in)이 되도록 하여, 언더스티어를 유도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자동토우조절 기능을 갖는 서스펜션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자동토우조절 기능을 갖는 서스펜션 시스템은
크로스멤버와;
상기 크로스멤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론트암과;
상기 크로스멤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어암과;
상기 크로스멤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멤버회전축과, 상기 리어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멤버회전축과 평행한 아암회전축을 구비한 리어링크아암;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크로스멤버(1)에 프론트암(3)과 리어암(5)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멤버(1)는 차체에 결합되며, 상기 프론트암(3)은 종래와 같이 단순한 힌지핀(7, 도 3 참조)으로 상기 크로스멤버(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리어암(5)은 단순한 힌지핀이 아니라 리어링크아암(9)으로 상기 크로스멤버(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리어링크아암(9)은 상기 크로스멤버(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멤버회전축(11)과, 상기 리어암(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멤버회전축(11)과 평행한 아암회전축(13)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어링크아암(9)의 아암회전축(13)은 상기 멤버회전축(11)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조립된다.
물론, 상기 리어암(5)과 프론트암(3)에는 도시되지 않은 캐리어어셈블리가 결합되고, 상기 캐리어어셈블리에는 휠이 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힌지핀(7)과 리어링크아암(9)에는 각각 리인포스먼트(15)가 결합되어 힌지핀(7)과 리어링크아암(9)을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이 선회할 때 차량은 선회 중심의 반대방향으로 기울게 된다. 도 2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상태는 차량이 직진주행중인 경우의 선회 외측 서스펜션 상태이고, 점선으로 표시된 상태는 차량이 선회주행중인 경우의 선회 외측 서스펜션의 상태이다.
즉, 선회주행시에 선회 외측의 휠은 차체의 상측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고, 상기 프론트암(3)과 리어암(5)은 이를 따라 도 2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차체에 대하여 휠을 지지하게 된다.
리어암(5)이 휠을 지지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멤버회전축(11)과 아암회전축(13)이 서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아암회전축(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버회전축(1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동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아암회전축(13)이 회동하면, 결과적으로 상기 리어암(5)이 선회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프론트암(3)은 선회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은 데에 비하여, 리어암(5)은 선회 외측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프론트암(3)과 리어암(5)에 연결된 캐리어어셈블리가 회동하게 되어 휠의 토우인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물론, 선회각도의 크기에 따라 상기 리어암(5)이 선회 외측으로 이동하는 양도 변화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차량의 선회 정도에 따라 휠의 토우인이 자동적으로 적적량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차량의 선회시 선회 외륜이 범프(BUMP: 차체 상측으로 이동)하면, 해당 리어암이 연결된 아암회전축이 이동하여 리어암이 외측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타이어가 위에서 볼 때 토우인 하므로 차량 전체로는 언더스티어가 증가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바, 상기 도 1의 경우와 같이 리어암(5)과 크로스멤버(1)를 리어링크아암(9)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프론트암(3)도 크로스멤버(1)에 프론트링크아암(17)으로 연결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프론트링크아암(17)은 상기 크로스멤버(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멤버회전축(11')과, 상기 프론트암(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멤버회전축(11')과 평행한 아암회전축(13')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프론트링크아암(17)의 아암회전축(13')은 상기 멤버회전축(11')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조립된다.
도 4와 같은 구조에서도, 상기 리어암(5)의 거동은 상기한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이루어져서, 선회시 선회외륜이 범프하면, 리어암(5)이 연결된 아암회전축(13)이 차량 외측으로 이동하여 타이어의 토우인을 유도하게 되고, 상기 프론트암(3)은 상기 프론트암(3)이 연결된 프론트링크아암(17)의 아암회전축(13')이 차량 내측으로 이동하여, 역시 타이어의 토우인을 유도하게 된다.
도 4의 구조는 상기 리어암(5)과 리어링크아암(9)의 움직임에 상기 프론트암(3)과 프론트링크아암(17)의 움직임이 더해져서, 상기 도 1의 구조보다 더욱 큰 토우인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이다.
물론, 상기 도 1 또는 도 4의 구조와는 또 다르게, 상기 도 4에서 표현된 바와 같은 프론트암(3)과 프론트링크아암(17)의 연결구조만을 가지고, 리어암(5)은 종래와 같이 단순하게 크로스멤버(1)에 연결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에도, 선회시에 상기 프론트암(3)과 프론트링크아암(17)의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상기 프론트암(3)이 차체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토우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의 선회주행시에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토우인 효과는 언더스티어를 유도하여 차량의 주행안전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링크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차량의 선회 주행시 차량의 거동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후륜에 적절한 토우인(toe??in)이 형성되도록 하여, 언더스티어를 유도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Claims (4)

  1. 크로스멤버와;
    상기 크로스멤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론트암과;
    상기 크로스멤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어암과;
    상기 프론트암과 리어암이 연결되고 휠이 장착되는 캐리어어셈블리와;
    상기 크로스멤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멤버회전축과, 상기 리어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멤버회전축과 평행한 아암회전축을 구비한 리어링크아암;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토우조절 기능을 갖는 듀얼링크 서스펜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링크아암의 아암회전축은 상기 멤버회전축보다 하측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토우조절 기능을 갖는 듀얼링크 서스펜션 시스템.
  3. 크로스멤버와;
    상기 크로스멤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론트암과;
    상기 크로스멤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어암과;
    상기 프론트암과 리어암이 연결되고 휠이 장착되는 캐리어어셈블리와;
    상기 크로스멤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멤버회전축과, 상기 프론트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멤버회전축과 평행한 아암회전축을 구비한 프론트링크아암;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링크아암의 아암회전축은 상기 멤버회전축보다 상측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토우조절 기능을 갖는 듀얼링크 서스펜션 시스템.
  4. 크로스멤버와;
    상기 크로스멤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론트암과;
    상기 크로스멤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어암과;
    상기 프론트암과 리어암이 연결되고 휠이 장착되는 캐리어어셈블리와;
    상기 크로스멤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멤버회전축과, 상기 리어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멤버회전축과 평행한 아암회전축을 구비한 리어링크아암과;
    상기 크로스멤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멤버회전축과, 상기 프론트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멤버회전축과 평행한 아암회전축을 구비한 프론트링크아암;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어링크아암의 아암회전축은 상기 멤버회전축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프론트링크아암의 아암회전축은 상기 멤버회전축보다 상측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토우조절 기능을 갖는 듀얼링크 서스펜션 시스템.
KR1020040070832A 2004-09-06 2004-09-06 자동토우조절 기능을 갖는 서스펜션 시스템 KR100610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832A KR100610110B1 (ko) 2004-09-06 2004-09-06 자동토우조절 기능을 갖는 서스펜션 시스템
DE102004061537A DE102004061537A1 (de) 2004-09-06 2004-12-21 Aufhängungs-System mit automatischer Spurweiten-Steuerungsfunktion
JP2004370834A JP2006076554A (ja) 2004-09-06 2004-12-22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11/028,288 US7243933B2 (en) 2004-09-06 2004-12-30 Suspension system with automatic toe control function
CNB2004101031696A CN100528666C (zh) 2004-09-06 2004-12-31 具有自动前束控制功能的悬架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832A KR100610110B1 (ko) 2004-09-06 2004-09-06 자동토우조절 기능을 갖는 서스펜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064A true KR20060022064A (ko) 2006-03-09
KR100610110B1 KR100610110B1 (ko) 2006-08-10

Family

ID=3615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832A KR100610110B1 (ko) 2004-09-06 2004-09-06 자동토우조절 기능을 갖는 서스펜션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43933B2 (ko)
JP (1) JP2006076554A (ko)
KR (1) KR100610110B1 (ko)
CN (1) CN100528666C (ko)
DE (1) DE1020040615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0191B1 (fr) * 2008-12-23 2011-01-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ssieu destine au support d'une roue directrice relie a la structure d'un vehicule par une pluralite de bras.
US8870267B2 (en) * 2012-06-27 2014-10-28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cabin body structure
JP6148515B2 (ja) * 2013-03-28 2017-06-14 株式会社Subaru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6166085B2 (ja) * 2013-03-28 2017-07-19 株式会社Subaru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6166084B2 (ja) * 2013-03-28 2017-07-19 株式会社Subaru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6148516B2 (ja) * 2013-03-28 2017-06-14 株式会社Subaru 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9816599B2 (en) 2014-09-25 2017-11-14 Victor Products Llc Modular transmission support
USD954608S1 (en) * 2020-08-24 2022-06-14 Mf Ip Holding, Llc Suspension link for a vehicle
USD954609S1 (en) * 2020-08-24 2022-06-14 Mf Ip Holding, Llc Suspension link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06515A (ko) * 1935-11-25 1936-12-18
DE2405306A1 (de) * 1974-02-05 1975-08-07 Volkswagenwerk Ag Lagerung der hinterraeder eines fahrzeuges
JPS602003Y2 (ja) 1979-11-30 1985-0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ト−調節装置
JPS5818804U (ja) 1981-07-30 1983-02-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トラツト型リアサスペンシヨン
GB2155869B (en) * 1984-03-15 1987-06-24 Honda Motor Co Ltd Wheel alignment control system
DE3413450A1 (de) * 1984-04-10 1985-10-24 Audi AG, 8070 Ingolstadt Einzelradaufhaengung
JPS61132406A (ja) 1984-11-29 1986-06-19 Fuji Heavy Ind Ltd ストラツト型後輪懸架装置
US4616845A (en) * 1985-01-18 1986-10-14 Specialty Products, Inc. Toe adjustment apparatus
JPS62196708U (ko) * 1986-06-04 1987-12-14
US5098116A (en) * 1989-11-29 1992-03-24 Mazda Motor Manufacturing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DE3941083A1 (de) * 1989-12-13 1991-06-20 Porsche Ag Radaufhaengung fuer lenkbare hinterraeder von kraftfahrzeugen
JPH03182823A (ja) * 1989-12-13 1991-08-08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431113A (ja) * 1990-05-28 1992-02-03 Mazda Motor Corp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6127425A (ja) * 1992-10-19 1994-05-10 Toyota Motor Corp トー角調整装置
EP0783414B1 (en) * 1995-05-22 2001-04-11 Hyundai Motor Company A vehicle suspension system for a steerable wheel
JP3711649B2 (ja) * 1996-09-04 2005-11-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輌における車輪のトー角調整機構
US6406036B1 (en) * 1997-05-16 2002-06-18 Conception Et Developpement - Michelin S.A. Vehicle suspension having active camber variation
KR100320498B1 (ko) * 1997-10-15 2002-06-20 이계안 자동차의리어서스펜션시스템
FR2796594A1 (fr) * 1999-07-23 2001-01-26 Michelin & Cie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systeme de controle de l'angle de carrossage des roues du vehicule en virage
US20030111812A1 (en) * 2001-12-19 2003-06-19 Carlstedt Robert P. Adjustable suspension assembly control arms
US6793228B2 (en) * 2002-01-02 2004-09-21 Adam Zadok Anti-roll suspension for automobiles
KR100507096B1 (ko) * 2002-12-02 2005-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현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0110B1 (ko) 2006-08-10
DE102004061537A1 (de) 2006-03-23
CN100528666C (zh) 2009-08-19
CN1746065A (zh) 2006-03-15
US7243933B2 (en) 2007-07-17
JP2006076554A (ja) 2006-03-23
US20060049602A1 (en)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716B1 (ko) 삼륜차량의 후륜서스펜션
JP4765484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361287B1 (ko) 차량용 서스펜션 암 연결 장치
JPH03279009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70103191A (ko)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의 스트럿과 너클의 결합구조
KR20060022064A (ko) 자동토우조절 기능을 갖는 서스펜션 시스템
JPS6029312A (ja)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
JPH03279010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JP4370518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0016042A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20130039558A (ko) 삼륜차량의 후륜서스펜션 구조
KR20120008877A (ko) 자동차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20090003576A (ko)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 구조
JPH07106683B2 (ja)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
JP4852928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6546485B2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用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0844738B1 (ko) 5-링크타입 서스펜션의 연결 구조
JPH05169943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1018621A (ja) 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
KR20090003578A (ko) 레버리지링크 타입 리어서스펜션
JP2008254543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649964B1 (ko) 지오메트리 컨트롤 조인트
JPH0546961Y2 (ko)
KR20200060848A (ko)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JP2009126204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