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883A -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 및 표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 및 표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883A
KR20060018883A KR1020057023507A KR20057023507A KR20060018883A KR 20060018883 A KR20060018883 A KR 20060018883A KR 1020057023507 A KR1020057023507 A KR 1020057023507A KR 20057023507 A KR20057023507 A KR 20057023507A KR 20060018883 A KR20060018883 A KR 20060018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adhesive
acrylate
meth
surface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3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5383B1 (ko
Inventor
코지 도미타
Original Assignee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18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08G18/6229Polymers of hydroxy groups containing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with aliphatic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40Compositions for pressure-sensitive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0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protecting painted surfaces, e.g. of ca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다음 성분(A) 및 성분(B)
(A) 적어도 다음의 성분 (a1) 및 (a2)를 공중합하여 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a1) 80∼99 질량%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2 이하인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a2) 1∼10 질량%의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또는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B) 성분(A)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의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를 함유하며, 겔 분율이 90질량% 이상이고, 박리속도 300㎜/분에서의 박리력이 20gf/inch 이하, 박리속도 2000㎜/분에서의 박리력이 50gf/inch 이하인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이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는 고속 박리성이 양호하고, 박리속도에 따른 박리력의 변화가 적고, 또한, 피착체가 오염되지 않으며, 양호한 포트 라이프 등의 성질을 가지는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 및 표면 보호 필름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 SURFACE-PROTECTIVE FILM AND SURFACE-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박리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 박리에 있어서도 박리에 필요한 힘이 작으며, 또한, 박리속도에 의한 박리력의 변화가 적은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하는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근년, 디스플레이 분야의 발전에 따라 특수한 광학 부재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광학 필름에 관해서는 액정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편광판, 위상차판, 휘도 향상 필름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AR 필름, 전자파 쉴드 필름, IR 컷트 필름 등 매우 많은 광학 필름이 적층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가 조립되기까지 이들 광학 필름은 통상 타발 가공, 수송, 검사 등의 공정을 거치는데, 그 공정 중에, 흠집, 오염 등이 생기지 않도록 광학 필름의 표면에는 통상, 표면 보호 필름이 첩부되어 있다.
이들 표면 보호 필름은 각 공정 종료 후, 불필요하게 되는 시점에서 벗겨져 서 폐기되는데, 이러한 박리작업은 수작업으로 주로 이루어지므로, 그 박리 속도를 비교적 고속으로 하거나, 또한, 그 속도를 박리 개시시부터 종료시까지 일정하게 하는 것은 곤란했다.
일반적으로 박리 속도가 빨라질수록 박리에 필요한 힘(이하, "박리력"으로 약기한다)이 커지기 때문에,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 작업 효율이 나빠지거나, 박리시에 피착체를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고속 박리에 있어서도, 박리력이 작으며, 또한, 작업성 면에서는 박리속도에 의한 박리력의 변화가 적은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일반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판,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판, 유리판 등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접착해 두는 표면 보호 필름용의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측쇄에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폴리머에 가교제를 가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구체적인 아크릴계의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로서는, 상기 관능기로서 아미도기 및 히드록시기를 이용하고, 가교제로서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용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240830호 공보). 그러나, 이들 표면 보호 필름은 박리력의 경시 변화가 적고, 가열시에 부풀음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고속 박리에 있어서는 박리력이 충분히 작지 않았다.
한편, 고속 박리에 대응한 것으로서는, 상기 관능기로서 카르복실기를 이용하고, 가교제로서 에폭시계 화합물을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지만(일본국 특개평 제5 - 163468호 공보 및 특개평 제11-256111호 공보), 이것들은 고속 박리에 있어서 박리력이 작기는 하지만, 저속(초기) 박리에 있어서는 큰 박리력을 필요로 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관능기로 히드록시기를 이용하고, 가교제로서 2관능 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지만(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 -041229호 공보), 2관능 이소시아네이트를 가교제로서 이용하면, 피착체의 오염이 일어나기 쉽고, 고속 박리성도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전체으로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점착제의 포트 라이프(pot life)가 나빠지거나 피착체가 오염되기 쉬워진다고 하는 다른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고속 박리성이 양호하고, 박리속도에 의한 박리력의 변화가 적으며, 또한, 피착체가 오염되지 않고, 양호한 포트 라이프 등의 성질을 가지는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상에 대하여 유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관능기로서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특정 폴리머에,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조합하고, 또한, 특정 겔 분율을 가지는 점착제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임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다음 성분(A) 및 성분(B)
(A) 적어도 다음 성분(a1) 및 (a2)을 공중합하여 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a1) 80∼99 질량%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2 이하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a2) 1∼10 질량%의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B) 성분(A) 100 중량부에 대해 1∼5중량부의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를 함유하며, 겔 분율이 90 질량% 이상이고, 박리 속도 300㎜/분에서의 박리력이 20gf/inch 이하, 박리 속도 2000㎜/분에서의 박리력이 50gf/inc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일면에 상기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가 도포되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성분(A))의 필수 공중합 성분(a1)은 알킬기의 탄소수가 12 이하인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2 이하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이다.
구체적인 공중합 성분(a1)의 예로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 이용된다. 이 중, 공중합하여 얻어진 성분(A)의 유리전이온도(Tg)를 바람직한 범위로 조정하기 위하여, 알킬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a1)의 알킬기의 탄소수는 성분(A)의 Tg를 바람직한 값으로 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4∼1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이다. 또한, 그 중에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 공중합 성분(a1)의 성분(A) 중의 중합 비율은 80∼99 질량%(이하 단지, 「%」로 약기한다)이다. 80% 미만이면, 접착 후 벗겨짐이 발생하거나, 저속, 고속 박리에 있어서, 충분한 박리성을 얻을 수 없다. 99% 보다 크면, 일방의 필수 공중합 성분(a2)의 중합 비율이 너무 낮아져 본 발명의 겔 분율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90∼98%, 특히 바람직하게는 92∼96%이다.
또한, 성분(A)의 일방의 필수 공중합 성분(a2)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또는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이다. 이 공중합 성분(a2)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4로,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것이며, 후술하는 성분(B)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와 반응하여, 겔 분율 등을 조정한다. 이 성분(a2) 중에서, 보다 바람직한 것은 4-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이다.
또한, 동일한 히드록시기를 가지지만, 알킬기의 탄소수가 2인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는 오염성 등 다른 성능을 만족하면서, 저속(초기) 박리성 및 고속 박리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를 얻을 수 없다.
이 공중합 성분(a2)의 성분(A) 중의 중합 비율은 1∼10%이다. 1% 미만이라면 충분한 겔 분율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10% 보다 크면 포트 라이프가 짧아져, 작업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2∼8%, 특히 바람직하게는 3∼6%이다.
또한, 성분(A)를 구성하는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상기한 필수 공중합 성분(a1) 및 (a2) 이외에, 다른 공중합 성분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중합 성분으로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 비닐아세테이트 ;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푸말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롤(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공중합 성분의 성분(A) 중의 중합 비율은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특히,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등 관능기를 가지는 것의 경우는 2% 이하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 등의 히드록시기 이외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폴리머는 저속(초기) 박리성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기를 다량으로 함유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성분(A)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공중합 성분(a1) 및 성분(a2) 및 필요한 경우의 다른 공중합 성분의 중합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폴리머 설계의 용이성 면에서 래디칼 중합이 바람직하고, 오염성 등을 고려하면, 용액 중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얻어진 성분(A)의 분자량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은 없지만, 그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 30만∼100만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성분(A)로서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90∼99%,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10%가 적어도 공중합된 것을 들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한 성분(A)로서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90∼99%,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10% 및 아크릴산 0∼1%를 공중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성분(A)의 점착제 전체에 대한 함유량은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80∼99%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0∼99%이다.
한편,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성분(B))라는 것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1분자 중에 3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을 말한다. 그 구조는 특히 한정 되지는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클로로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 첨가된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트리메틸롤프로판, 펜타에리쓰리톨 등의 다가 알코올과 부가 반응시킨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뷰렛형 화합물, 또는 공지의 폴리에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아크릴폴리올, 폴리부타디엔폴리올, 폴리이소프렌폴리올 등 부가 반응시킨 우레탄 프리폴리머형의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 성분(B) 중에서,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롤프로판 부가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 이용된다.
성분(B)의 함유량은 성분(A) 100 중량부(이하, 단지 「부」라고 약기한다)에 대해서 1∼5부이다. 5부 보다 많이 함유시키면 점착제의 포트 라이프가 나빠지며, 피착체가 오염되는 경우가 있다. 또, 1부 보다 적으면 겔 분율이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2∼5부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4부이다.
또한, 2관능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이용했을 경우는 피착체의 오염이 생기기 쉬워지며, 고속 박리성도 나빠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2관능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본 발명의 성분(B)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대신에 이용할 수 없음은 물론이고, 성분(B)와 병용하여 함유시키는 것도 상기 성능을 악화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이하,「본 발명 점착제」로 약기한다)에는 상기 성분(A) 및 성분(B) 외에, 더욱, 점착력을 낮추기 위하여, 성분(C)로서 인산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 성분(C)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인산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의 인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인산에스테르 분자 중의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8∼18의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14가 바람직하다. 또,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의 인산에스테르 분자 중의 알킬아릴기로서는, 알킬페닐기가 바람직하고, 특히, n-노닐페닐기가 바람직하다. 성분(C)로서는, 모노, 디 또는 트리인산에스테르 또는 그의 혼합물이 이용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모노에스테르이다. 또한, 에스테르 결합하고 있지 않은 인산 잔기는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염으로 되어도 좋고, 수소(산 그대로의 상태)이어도 좋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 이용된다.
성분(C)의 함유량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분(A) 100부에 대해서, 1∼10부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부이다.
본 발명 점착제의 제조는 성분(A), 성분(B) 및 필요에 따라, 성분(C)를 상법에 따라서 혼합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 점착제는 그 겔 분율이 90% 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겔 분율의 정의는 하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한 것으로 한다. 겔 분율이 90% 미만인 경우는 저속 및 고속 박리시의 점착력이 너무 높아져 버린다.
또한, 본 발명 점착제는 박리속도 300㎜/분에서의 박리력이 20gf/inch 이하이며, 박리속도 2000㎜/분에서의 박리력이 50gf/inch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의 박리력의 정의는 표면 보호 필름의 조제도 포함하며, 하기 실시예 기재에 의한 것으로 한다.
이 중, 300㎜/분으로 박리했을 경우의 박리력이 저속 박리성을 나타내며, 이 박리력이 작을수록 저속 박리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2000㎜/분으로 박리했을 경우의 박리력이 고속 박리성을 나타내며, 이 박리력이 작을수록 고속 박리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 점착제는 이것을 보호 필름용 기재의 일면에 도포함으로써 표면 보호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의 플라스틱제 필름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 도포는, 에틸아세테이트,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등의 용매 중에 용해시킨 본 발명 점착제를 도공하기 쉬운 점도로 조정하여, 보호 필름용 기재 상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이것을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여, 가교 반응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행해진다.
일반적으로, 히드록시기 함유 폴리머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조합은 저속 박리성은 우수하지만, 고속 박리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한편, 카르복실기 함유 폴리머와 에폭시계 가교제의 조합은 고속 박리성은 우수하지만, 저속 박리성에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 점착제는 히드록시기 함유 폴리머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종류와 그 배합량을 선택함으로써, 고속 박리성 및 저속 박리성을 양립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 점착제는 저속(초기) 박리성 뿐만 아니라 고속 박리성도 양호하며, 또한, 피착체가 오염되지 않고, 점착제의 포트 라이프가 양호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점착제를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은 강한 힘을 들이지 않아도 패널 등의 피착체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피착체를 파손할 우려가 적고, 또한, 그 박리력은 고속으로 박리했을 경우 뿐 아니라 저속으로 박리했을 경우도, 그 변화가 적기 때문에, 인력에 의한 작업에서도 그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에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한층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하여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교반기, 환류냉각기, 온도계 및 질소 도입관을 갖춘 반응 장치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94.5 중량부(이하, 단지「부」로 약기한다),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5부, 아크릴산(AA) 0.5부 및 에틸아세테이트 150부를 주입하고,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2부를 가하고, 질소가스 기류 중, 68℃에서 8시간 중합을 행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 50만의 공중합 폴리머를 얻었다. 이하, 아크릴폴리머 A라 한다.
제조예 2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를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HEA)로 대신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같이 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 50만의 공중합 폴리머를 얻었다. 이하, 아크릴폴리머 B라고 한다.
실시예 1
아크릴폴리머 A를 고형분으로서 100부 함유하는 양에 해당하는 아크릴폴리머 A의 에틸아세테이트 용액,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인 콜로네이트 L(3관능 가교제 ; 닛폰폴리우레탄(주) 제) 4부를 가하고 혼합하여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제 용액을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하고, 80℃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건조시킴과 함께 가교 반응을 시켰다. 그 후, 건조면에 38㎛ 두께의 실리콘 코팅된 PET 필름을 접합하여, 23℃, 65% RH에서 7일 방치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 듀라네이트 24A-100(3관능 가교제 ; 아사히카세이(주) 제) 4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아크릴폴리머 A를 고형분으로서 100부 함유하는 양에 해당하는 아크릴폴리머 A의 에틸아세테이트 용액,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 콜로네이트 L 2부 및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로서 모노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2부를 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 콜로네이트 L 0.5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대신에, 에폭시계 가교제인 테트랏드 X(미츠비시 가스카가쿠(주) 제) 4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대신에,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인 알루미늄킬레이트 A(카와켄파인케미컬(주) 제) 4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아크릴폴리머 A 용액에 대신하여 아크릴폴리머 B를 고형분으로서 100부 함유하는 양에 해당하는 아크릴폴리머 B의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5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콜로네이트 L 4부 대신에, 2관능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인 데스모듈 N3400 (쥬카바이엘우레탄(주) 제)을 5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6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콜로네이트 L를 6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같이 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시험예
하기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의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해서 겔 분율, 박리력, 포트 라이프 및 오염성을 시험하였다. 표 1에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겔 분율)
상기 각 표면 보호 필름을 50㎜×50㎜로 재단하고, 그 재단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부터 점착제를 벗겨내어 취하여, 점착제의 초기 중량을 칭량하였다. 그 점착제를 100g의 에틸아세테이트에 침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200 메쉬 철망으로 여과하고, 메쉬에 남은 잔분을 80℃에서 2시간 건조하여 칭량하였다. 초기의 중량 및 잔분의 중량으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겔 분율을 산출하였다.
겔 분율 (%) = 100 × (잔분의 중량) / (초기의 중량)
(박리력)
상기 각 표면 보호 필름을 25㎜×150㎜로 재단하여, 편광판(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면)에 붙여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박리속도 3.00㎜/분 및 2000㎜/분으로, 180°방향(역방법)으로 인장하여 박리를 개시하는 힘을 박리력으로 하였다.
(포트 라이프)
가교제 첨가 후의 각 점착제 용액을 25℃에서 8시간 방치하고, 그 후 용액의 상태를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 외관 및 도공에 있어서 문제가 없었다
× : 겔화하였다
(오염성)
박리력 시험 후의 각 피착체 표면의 모습을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 전혀 오염이 확인되지 않았다
△ : 약간 오염이 확인되었다
× : 분명한 오염이 확인되었다
표 1
겔 분율(%) 저속박리 (300㎜/min) gf/inch 고속박리 (2000㎜/min) gf/inch 포트 라이프 오염성
실시예 1 92 10 40
실시예 2 94 5 30
실시예 3 90 5 35
비교예 1 80 32 78
비교예 2 44 112 268
비교예 3 30 135 305
비교예 4 91 20 65
비교예 5 90 15 57 ×
비교예 6 98 4 25 ×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3의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는 저속 박리성, 고속 박리성, 포트 라이프 및 오염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는 고속 박리성이 양호하며, 박리 속도에 따른 박리력의 변화가 적고, 피착체가 오염되지 않으며, 양호한 포트 라이프 등의 성질을 가지므로, 광학 필름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다음 성분(A) 및 성분(B)
    (A) 적어도 다음 성분(a1) 및 (a2)를 공중합하여 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a1) 80∼99 질량%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2 이하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a2) 1∼10 질량%의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B) 성분(A)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의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를 함유하며, 겔분율이 90 질량% 이상이고, 박리 속도 300㎜/분에서의 박리력이 20gf/inch 이하, 박리 속도 2000㎜/분에서의 박리력이 50gf/inc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C)로서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
  3. 제2항에 있어서, 성분(C)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인산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의 인산에스테르인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
  4.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일면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어느 한 항 기재의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KR1020057023507A 2003-06-30 2004-05-10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 및 표면 보호 필름 KR101095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87775 2003-06-30
JP2003187775A JP4686960B2 (ja) 2003-06-30 2003-06-30 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PCT/JP2004/006580 WO2005000989A1 (ja) 2003-06-30 2004-05-10 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883A true KR20060018883A (ko) 2006-03-02
KR101095383B1 KR101095383B1 (ko) 2011-12-16

Family

ID=3354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3507A KR101095383B1 (ko) 2003-06-30 2004-05-10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 및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77651A1 (ko)
JP (1) JP4686960B2 (ko)
KR (1) KR101095383B1 (ko)
CN (1) CN100362069C (ko)
TW (1) TW200504169A (ko)
WO (1) WO20050009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0322A1 (ko) * 2013-08-08 2015-02-12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KR20160025494A (ko) * 2013-06-28 2016-03-0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 필름용 점착제층, 점착제층이 부착된 광학 필름, 액정 표시 장치, 및, 적층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2070B2 (ja) * 2004-05-14 2010-10-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6022313A (ja) * 2004-06-11 2006-01-26 Toyo Ink Mfg Co Ltd 粘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JP4705768B2 (ja) * 2004-08-23 2011-06-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偏光フイルム用感圧接着剤組成物
KR100838973B1 (ko) * 2005-06-08 2008-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TWI384049B (zh) * 2005-09-05 2013-02-01 Nitto Denko Corp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surface protective film
US8664326B2 (en) 2005-11-24 2014-03-04 Lg Chem, Lt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JP5196894B2 (ja) * 2006-07-18 2013-05-15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一時表面保護用粘着剤、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の使用方法、並びに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5114811B2 (ja) * 2007-03-07 2013-01-09 綜研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および粘着加工光学フィルム
JP2009046535A (ja) * 2007-08-14 2009-03-05 Cheil Industries Inc 光学部材用の表面保護シート
CN101153208B (zh) * 2007-09-12 2011-01-12 西安向阳航天材料股份有限公司 耐湿热表面保护膜用乳液压敏胶与表面保护膜的制备方法
JP5592615B2 (ja) * 2008-04-07 2014-09-1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マザーガラス表面保護フィルム
JP5178345B2 (ja) * 2008-06-25 2013-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ユニット
EP2397533B1 (en) * 2009-02-16 2013-04-17 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 Ltd. Radiation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components and adhesive optical component
JP5580069B2 (ja) 2009-02-26 2014-08-27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とその利用
JP5623020B2 (ja) 2009-02-27 2014-11-1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JP5601791B2 (ja) * 2009-04-28 2014-10-08 日東電工株式会社 自動車ホイール用保護フィルム
CN101591517B (zh) * 2009-06-30 2012-02-22 广州南沙华卓化工有限公司 光学粘合胶的制备方法
JP5474452B2 (ja) * 2009-09-02 2014-04-16 株式会社日本触媒 溶剤型再剥離用粘着剤組成物
CN101698788B (zh) * 2009-09-22 2013-02-27 北京高盟新材料股份有限公司 反光粒子用粘合剂及其制备方法
JP5336323B2 (ja) * 2009-10-23 2013-11-0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047384B1 (ko) * 2009-12-10 2011-07-07 (주)아팩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수성접착제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적층체
FR2955287B1 (fr) * 2010-01-20 2012-08-24 Faurecia Interieur Ind Procede de fixation d'un composant d'un ensemble d'habillage interieur sur un organe d'un outil de formage
JP2011168751A (ja) 2010-02-22 2011-09-01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1105877A2 (ko) 2010-02-26 2011-09-01 (주)Lg화학 점착제 조성물
CN103229080B (zh) * 2010-12-27 2015-11-25 三菱树脂株式会社 脱模膜
KR101267828B1 (ko) 2011-07-28 2013-05-2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성회로기판 보호필름
CN102911629B (zh) 2011-08-05 2015-11-25 日东电工株式会社 粘合剂组合物、粘合剂层以及粘合片
KR20130073003A (ko) * 2011-12-22 2013-07-02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US20140363628A1 (en) * 2011-12-27 2014-12-11 Mitsubishi Rayon Co., Ltd. Laminate Structure
CN102660206A (zh) * 2012-04-09 2012-09-12 番禺南沙殷田化工有限公司 一种光学透明粘合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045129B (zh) * 2012-12-28 2015-07-22 宁波大榭开发区综研化学有限公司 丙烯酸酯胶粘剂、应用有该胶粘剂的保护膜胶带及其制备方法
JP6388766B2 (ja) * 2013-03-29 2018-09-1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JP5974173B2 (ja) * 2013-05-28 2016-08-23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剤用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US20150344747A1 (en) * 2013-11-15 2015-12-03 Lg Chem, Lt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O2015098314A1 (ja) * 2013-12-24 2015-07-02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剤用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6344974B2 (ja) * 2014-05-27 2018-06-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着色片面粘着テープ
TWI521037B (zh) * 2015-04-10 2016-02-11 博威電子股份有限公司 光學膠組成物、光學膠膜以及光學積層板
KR102641791B1 (ko) * 2015-08-24 2024-03-0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을 갖는 광학 부재
JP6113318B2 (ja) * 2016-02-26 2017-04-12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725557B2 (ja) * 2018-02-13 2020-07-22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6943990B2 (ja) * 2018-02-13 2021-10-06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9162206A2 (de) * 2018-02-21 2019-08-29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t klebstoff beschichteten artikeln
JP7196535B2 (ja) * 2018-10-30 2022-12-2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偏光膜製造用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偏光膜、偏光板
JP2020083940A (ja) * 2018-11-16 2020-06-04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及び保護フィルム
KR20200071162A (ko) 2018-12-10 2020-06-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결합제의 평가 방법
WO2020158414A1 (ja) * 2019-01-31 2020-08-06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6876751B2 (ja) * 2019-07-10 2021-05-26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7238057B2 (ja) * 2020-01-06 2023-03-13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CN112226164A (zh) * 2020-09-01 2021-01-15 恩平市盈嘉丰胶粘制品有限公司 一种光固化导磁导光压敏胶、胶带及其制备方法
CN112159637B (zh) * 2020-09-30 2022-07-12 广东东立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丙烯酸酯共聚物、保护膜及其制备方法
CN115537135B (zh) * 2022-10-10 2023-06-06 广东皇冠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高温压敏胶带保护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781B2 (ja) * 1991-06-12 2000-09-1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表面保護シート、表面保護金属板
JP3281490B2 (ja) * 1994-09-30 2002-05-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を用いてなる粘着シートもしくはシート
JPH0940927A (ja) * 1995-07-25 1997-02-10 Nippon Carbide Ind Co Inc アクリル系感圧性接着剤組成物
JP4096209B2 (ja) * 1996-02-02 2008-06-04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塗布してなる表面保護フィルム
JP3571460B2 (ja) * 1996-05-30 2004-09-29 日東電工株式会社 再剥離型感圧接着シ―ト類
JP3864322B2 (ja) * 1996-08-20 2006-12-27 綜研化学株式会社 養生テープ
JPH10310745A (ja) * 1997-05-14 1998-11-24 Oji Paper Co Ltd 粘着シート
JPH11131035A (ja) * 1997-10-28 1999-05-18 Nitto Denko Corp 粘着組成物、それ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面保護金属板
JP2002256233A (ja) * 2001-02-28 2002-09-11 Sekisui Chem Co Ltd 粘着シート
JP4716603B2 (ja) * 2001-05-30 2011-07-06 日東電工株式会社 再剥離性粘着剤組成物及び再剥離用粘着シート
JP4437632B2 (ja) * 2001-07-31 2010-03-24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光学部材表面保護フィルム用感圧接着剤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494A (ko) * 2013-06-28 2016-03-0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 필름용 점착제층, 점착제층이 부착된 광학 필름, 액정 표시 장치, 및, 적층체
WO2015020322A1 (ko) * 2013-08-08 2015-02-12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39677B (ko) 2011-04-01
CN100362069C (zh) 2008-01-16
WO2005000989A1 (ja) 2005-01-06
KR101095383B1 (ko) 2011-12-16
CN1816603A (zh) 2006-08-09
US20060177651A1 (en) 2006-08-10
JP4686960B2 (ja) 2011-05-25
TW200504169A (en) 2005-02-01
JP2005023143A (ja)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383B1 (ko)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 및 표면 보호 필름
JP5887066B2 (ja)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加工製品
KR101524621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보호필름
TWI491691B (zh) 黏著劑組成物及表面保護膜
JP4776272B2 (ja) 粘着剤用重合体組成物、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TWI417358B (zh) 光學薄膜用黏著劑及黏著加工光學薄膜
TWI545167B (zh)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film and surface protective film
KR20080070756A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및 이것을이용한 광학 부재
JP2003049141A (ja)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
US11384263B2 (en) Adhesive compound in particular for curved surfaces
TWI415918B (zh)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protective sheet and protective film for optical film
KR20090049032A (ko) 점착 시트
JP4592291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表面保護フィルム
JP6644128B2 (ja)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KR20150025843A (ko) 점착제 조성물
KR20190079542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호 필름
KR20190079430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호 필름
KR20150025019A (ko) 점착제 조성물
CN115427524A (zh) 双面粘合带
KR101608119B1 (ko) 연마패드
JP2020117724A (ja)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KR20060046099A (ko) 점착제용 중합체 조성물, 표면보호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및 표면보호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