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4995A -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개봉용이성 실링재료 - Google Patents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개봉용이성 실링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4995A
KR20060004995A KR1020057022520A KR20057022520A KR20060004995A KR 20060004995 A KR20060004995 A KR 20060004995A KR 1020057022520 A KR1020057022520 A KR 1020057022520A KR 20057022520 A KR20057022520 A KR 20057022520A KR 20060004995 A KR20060004995 A KR 20060004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thylene
olefin
copolym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5347B1 (ko
Inventor
마사노부 사토
Original Assignee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4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28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5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8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에 대하여, 히트 실링 강도의 온도 의존성이 적고, 저온 실링성, 밀봉성, 개봉부의 외관이 우수한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로 되는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내열성, 내유성이 우수한 것으로서, 프로필렌계 중합체(A), 밀도가 900kg/㎥ 이상인 에틸렌계 중합체(B),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 및 점착 부여 수지(D)로 되는 특정 비율의 조성물, 또한 내유성이 뛰어난 것으로서,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 프로필렌계 중합체(A),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 및 점착 부여 수지(D)로 되는 특정 비율의 조성물로 구성한다.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 개봉 용이성 실링 재료

Description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OLEFIN POLYMER COMPOSITIONS AND EASY-PEELABLE SEALANTS MADE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각종 재료에 대해, 뛰어난 밀봉성과 개봉용이성을 나타내는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에 관한 것이다. 특히 폴리프로필렌용의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로서 유용한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 및 그 조성물로 되는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에 관한 것이다.
컵 면, 젤리, 요구르트, 두부 등 각종 음식품이나 의약품의 용기로서, 개봉용이성 뚜껑재를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봉용이성 뚜껑재의 실링층에 사용되는 압출 라미네이트 가공 가능한 실링 재료로서 여러 가지 것이 제안되고, 또한 실용화되어 왔다. 예를 들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나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와 점착 부여 수지의 조성물, 이것에 폴리에틸렌나 저결정성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을 배합한 조성물 등이, 밀봉성과 개봉용이성을 구비한 실링 재료로 됨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공소63-29894호, 특공평1-3895호 등의 각 공보).
그러나 용기 본체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료의 종류도 증가하고, 새로운 재료에 대해서는 종래의 실링재로는 충분히 대응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 새로운 실 링재의 출현이 요망된다. 또한 기존의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한 용기라도, 용도에 따라서는 바람직한 히트 실링 특성이 다르거나, 또한 다른 특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요구에 견딜 수 있는 실링 재료도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등이 용기 재료로서 예로부터 사용되어 왔으나, 투명성, 내열성, 위생성, 강도, 비용 등의 문제 때문에 폴리프로필렌이 다용되게 되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용기에 사용되는 뚜껑재로는 밀봉성과 개봉용이성의 관점에서, 저온 히트 실링이 가능하여 히트 실링 강도의 온도 의존성이 작아, 용기 본체와 적당한 히트 실링 강도를 갖고, 개봉시의 박리감이 뛰어나고, 개봉부의 외관이 뛰어난 것이 요구되었다.
또한, 푸딩, 젤리, 시럽에 담근 과일 등의 포장 용도에서는, 내용물을 용기 입구부에 가득히 충전하면, 개봉시에 내용물이 흘러 나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내용물과 뚜껑재의 사이에 약간 공간을 마련할 정도로 충전하여, 밀봉 포장한다. 또한 충전·포장 후에는 살균을 위해서 85∼95℃로 수십분간 열수 중에서 보일링 처리된다. 그 때문에 이러한 용도에서는, 보일링 처리시에 용기 공간의 공기 팽창에 의해서 실링부가 파괴되지 않은 것이나, 보일링 처리에 의한 실링 강도의 변동이 없는 것 등도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유성 식품의 포장 용도에서는, 내유성이 뛰어난 것이 요망되고, 특히 레토르트 처리를 행하는 용도에서는 100℃를 넘는 온도에서 내유성을 나타내는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가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소용량의 폴리프로필렌제 용기에 대해서는, 비교적 히트 실링 강도 레 벨이 낮고, 또한 박리할 때의 강도가 균일하고 소프트감이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제 용기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은 각 요청을 만족하는 실링 재료는 알아내지 못한 것이 현상이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선행 기술에서의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에서는, 일반적으로 연화점이 낮고, 내유성, 내열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보일링 처리나 레토르트 처리가 필요하게 되는 용도 또는 내유성을 요구하는 용도에는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종래의 개봉용이성을 나타내는 대부분의 실링 재료에서는, 일반적인 위생 시험의 하나인 n-헵탄에서의 용출 시험에서의 증발 잔류물 양이 많아, 유성 식품 용도로 100℃를 넘는 조건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그래서 본 발명자는, 상기한 요구 성능의 1 이상을 만족하고, 따라서 폴리프로필렌 용기용으로 적합한 개봉용이성 실링재를 알아내고자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후기하는 바와 같은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이 소망한 요구 성능을 만족함을 알아내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로서 적합한, 특히 폴리프로필렌제 용기의 뚜껑재 실란트로서 적합한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 1로, 밀봉성, 저온 히트 실링성, 개봉용이성, 개봉부의 외관이 뛰어나고, 히트 실링 강도의 온도 의존성이 적고, 또한 100℃의 열수 처리에 의해서도 실링 강도의 변동이 적은 실링 재료로 되는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 는 것에 있다. 그 특별한 태양에 의하면, 상기 여러 특성을 구비한 데 더하여, 유성 식품 용도에서 100℃를 넘어서 사용 가능한 실링 재료로 되는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로, 밀봉성, 저온 히트 실링성, 개봉용이성, 개봉부의 외관이 뛰어나고, 히트 실링 강도의 온도 의존성이 적고, 또한 내유성이 뛰어난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3으로, 밀봉성, 저온 히트 실링성, 개봉용이성, 개봉부의 외관이 뛰어나고, 히트 실링 강도가 비교적 작아, 박리할 때의 강도가 균일하고 소프트감이 있는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한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 및 기재에 이러한 실링 재료를 적층하여 되는 포장 재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의 제 1의 발명에 의하면, 프로필렌계 중합체(A)를 20∼90중량부, 밀도가 900kg/㎥ 이상인 에틸렌계 중합체(B)를 80∼10중량부, (A)+(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를 1∼70중량부 및 점착 부여 수지(D)를 0.5∼30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여 되는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 및, 기재에 이러한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를 적층한 포장 재료가 제공된다.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을 폴리프로필렌에 대한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로서 사용하면, 히트 실링 강도의 온도 의존성이 작아, 넓은 온도 범위에서 실링하여, 밀봉성, 개봉용이성, 개봉부의 외관이 뛰어나고, 또한 내열 수성, 내유성이 뛰 어난 실링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특별한 태양에 의하면, 유성 식품용 포장 재료로서, 100℃를 넘는 온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의 제2 발명에 의하면,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를 20∼97중량부, 프로필렌계 중합체(A)를 1∼30중량부,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를 1∼50중량부 및 점착 부여 수지(D)를 1∼30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여 되는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 및, 기재에 이러한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를 적층한 포장 재료가 제공된다.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을 폴리프로필렌에 대한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로서 사용하면, 히트 실링 강도의 온도 의존성이 작아, 넓은 온도 범위에서 실링하여, 밀봉성, 개봉용이성, 개봉부의 외관이 뛰어나고, 또한 내유성이 뛰어난 실링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원의 제3 발명에 의하면, 불포화 에스테르 함량이 3∼20중량%인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1)를 30∼98중량부, 불포화 에스테르 함량이 25∼50중량%인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2)를 1∼40중량부, 왁스(F)를 1∼30중량부 및 점착 부여 수지(D)를 0∼30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여 되는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 및, 기재에 이러한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를 적층한 포장 재료가 제공된다.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을 폴리프로필렌에 대한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로서 사용하면, 히트 실링 강도의 온도 의존성이 작아, 넓은 온도 범위에서 실링하여, 실링 강도가 비교적 작아, 밀봉성, 개봉용이성, 개봉부의 외관이 뛰어나고, 박 리 강도의 균일성이 뛰어난 실링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적합한 형태>
[프로필렌계 중합체(A)]
제1 발명 및 제2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A)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을 주체로 하는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에서의 다른 α-올레핀으로는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4-메틸-1-펜텐 등의 탄소 원자수가 2∼20정도인 α-올레핀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α-올레핀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공중합시켜도 좋다.
이들 프로필렌계 중합체 중에서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탄소 원자수가 2∼4인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 예를 들면 α-올레핀 함량이 20몰% 이하, 특히 1O몰% 이하의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과 1-부텐의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링 재료로서 충분한 내열성, 내유성 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시차주사 열량계에 의거하여 융점이 125℃이상, 특히 130∼170℃의 고결정성의 단독 중합체 또는 랜덤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열성, 내유성, 압출 가공성 등을 고려하면, 230℃, 2160g 하중에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ASTM D1238)가 0.1∼500g/10분, 특히 0.5∼100g/10분 정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입체 특이성 촉매의 존재 하에, 프로필렌을 중합하거나 또는 프로필렌과 1종 이상의 다른 α-올레핀을 공중합 함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A)로 서는 또한,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계 중합체(B)]
제1 발명에서 사용되는 밀도가 9OOkg/㎥ 이상인 에틸렌계 중합체(B)는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고, 탄소수 3∼20정도의 α-올레핀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부성분으로 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 결정성이 높은 중합체이다. 상기 공중합체에서의 α-올레핀으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헥사데센, 4-메틸-1-펜텐 등의 탄소 원자수가 3∼20 정도인 α-올레핀을 예시할 수 있다. 에틸렌계 중합체(B)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이다. 이러한 에틸렌계 중합체(B)는 지글러형 촉매, 카민스키형 촉매(메탈로센형 촉매), 래디칼 중합 촉매 등을 사용하여, 중·저압법 또는 고압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어떤 촉매계로 제조한 것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카민스키형 촉매를 대표예로 하는 싱글 사이트 촉매나 지글러형 촉매를 대표예로 하는 멀티사이트 촉매의 존재 하에서 에틸렌과 α-올레핀을 공중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계 중합체(B)로는 밀도가 90Okg/㎥ 이상, 바람직하게는 910∼970kg/㎥, 한층 바람직하게는 915∼960kg/㎥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90℃, 2160g 하중에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JIS K7210-1999)가 0.1∼500 g/10분, 특히 1∼150 g/10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계 중합체(B)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에틸렌계 중합체(B)의 밀도는 30분간 비수(沸水) 처리한 재료를, JIS K7112의 D법(밀도구배관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
제1 발명 및 제2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는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랜덤 공중합체로서, X선 회절에 의거하여 결정화도가 통상 0∼40%, 바람직하게는 3∼30%의 것이다. 공중합체(C)로는 또한, 밀도가 895kg/㎥ 이하, 특히 860∼890kg/㎥의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C)에서의 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으로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헥사데센, 4-메틸-1-펜텐 등의 탄소 원자수가 3∼20 정도인 α-올레핀을 예시할 수 있지만, 특히 탄소수 3∼8 정도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C)로는 또한, 가공성, 내유성 등을 고려하면, 190℃, 2160g 하중에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ASTM D1238)가 0.1∼500g/10분, 특히 1∼150g/10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천이 금속 촉매 성분, 예를 들면 바나듐 화합물이나 지르코늄의 메탈로센 화합물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촉매 성분으로 되는 촉매를 사용하여,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 함량이 50∼95몰%, 바람직하게는 70∼94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82∼93몰% 정도로 되도록, 에틸렌과 α-올레핀을 공중합함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이들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도 2종 이상 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에틸렌·α-올레 핀 공중합체(C)의 밀도는, ASTM D1505에 의거하여, 어닐링하여 밀도 구배관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점착 부여 수지(D) ]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착 부여 수지(D)는,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계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 폴리테르펜계 수지, 로진류, 스티렌계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의 예로는, 1-부텐, 이소부텐, 부타디엔, 1,3-펜타디엔, 이소프렌 등 탄소수 4∼5의 모노 또는 디올레핀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유분(留分)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수지를 들 수 있다. 지환족계 탄화수소 수지의 예로서, 스펜트 C4∼C5 유분 중의 디엔 성분을 환화(環化) 2량화 후 중합시켜 얻어지는 수지, 시클로펜타디엔 등의 환상 모노머를 중합시킨 수지,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를 핵내 수첨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의 예로서, 비닐톨루엔, 인덴, α-메틸스티렌 등의 C8∼C10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를 적어도 1종 이상 함유하는 유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수지, 또는 이들 유분과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유분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테르펜계 수지의 예로는 α-피넨 중합체, β-피넨 중합체, 디펜텐 중합체, 테르펜·페놀 공중합체, α-피넨·페놀 공중합체, 이들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로진류로는 검 로진, 우드 로진, 톨유 등의 로진 및 그 변성물 등이고, 변성 물로는 수소 첨가, 불균화, 이량화, 에스테르화 등의 변성을 행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스티렌계 탄화수소 수지로는 순도가 높은 스티렌, 비닐 톨루엔, α-메틸스티렌, 이소프로필 톨루엔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분자량이 낮은 수지상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을 음식품 포장용의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취성, 식품 위생성, 다른 성분과의 혼화성 등을 고려하면,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를 핵내 수첨한 수지 또는 폴리테르펜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
제2 발명에 사용되는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로는 불포화 에스테르 함량이 3∼30중량%, 바람직하게는 4∼25중량%의 범위의 것이다. 제2 발명에서, 공중합체(E)로서 불포화 에스테르 함량이 과도하게 적은 것을 사용하면, 폴리프로필렌에 대한 실링 강도가 작아져서, 밀봉성에 문제가 생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역으로 불포화 에스테르 함량이 과도하게 많은 것을 사용하면, 끈적임이나 내유성의 악화를 일으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의 불포화 에스테르로는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과 같은 비닐 에스테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이소프로필, 아크릴산 n-프로필, 아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이소부틸, 말레인산 디메틸, 말레인산 디에틸과 같은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테르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아세트산 비닐 및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저급 알킬 에스테르이다.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는 또한, 가공성, 실링 강도, 내유성 등을 감안하면, 190℃, 2160g 하중에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JIS K7210-1999)가 0.1∼500g/10분, 특히 1∼150g/10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1) 및 (E-2)]
제3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1) 및 (E-2)는 불포화 에스테르 함량 이외는, 상기한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와 동일하다.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1)로는, 불포화 에스테르 함량이 3∼20중량%, 바람직하게는 5∼20중량%의 것이 사용되고, 또한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2)로는, 불포화 에스테르 함량이 25∼50중량%, 바람직하게는 25∼35중량%의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2종의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적당한 비율로 병용함에 의해, 폴리프로필렌에 대해 적당한 실링 강도를 갖고, 또한 균일한 박리 강도를 갖는 실링 재료로 되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제3 발명에서, 공중합체(E-1)만을 사용한 경우에는 균일한 박리 강도를 가진 조성물은 얻어지지 않고, 또한 공중합체(E-2)만을 사용한 경우에는 조성물에 끈적임이 생기는 동시에, 내열성이 부족하고, 또한 폴리프로필렌에 대해 적정한 실링 강도를 가진 조성물이 얻어지지 않는다.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1) 및 (E-2)에서의 불포화 에스테르로는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과 같은 비닐 에스테르,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이소프로필, 아크릴산 n-프로필, 아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이소부틸, 말레인산 디메틸, 말레인산 디에틸과 같은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테르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아세트산비닐 및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저급 알킬 에스테르이다. 공중합체(E-1) 및 (E-2)는 각각 2종 이상 사용해도 좋고, 또한 공중합체(E-1)와 (E-2)의 불포화 에스테르는 동일 또는 다른 것이다.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1) 및 (E-2)는 또한, 가공성, 실링 강도, 내유성 등을 감안하면, 각각 190℃, 2160g 하중에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JIS K7210-1999)가 0.1∼500g/10분, 특히 1∼150g/10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왁스(F)]
제3 발명에서 사용되는 왁스(F)는 합성 왁스이어도 천연 왁스이어도 좋다. 합성 왁스로는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등의 폴리올레핀 왁스, 핏셔·트롭슈법으로 얻어지는 합성 왁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왁스나 폴리프로필렌 왁스 등의 폴리올레핀 왁스는 올레핀을 저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어도 좋고, 또한 고분자량의 폴리에틸렌나 폴리프로필렌을 열분해하여 얻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폴리올레핀 왁스로는 또한, 수평균 분자량이나 500∼10000, 특히 1000∼8000 정도, 환구(環球)법에 의한 연화점이 100∼150℃, 특히, 100∼130℃ 정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왁스로는 또한, 산화 변성이나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에 의한 그래프트 변성 등의 변성을 행한 것이어도 좋 다. 또한 천연 왁스로는 석유 유분으로부터 분리되는 파라핀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특히 폴리올레핀 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1)]
제1 발명의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1)에서는, 프로필렌계 중합체(A), 밀도가 900kg/㎥ 이상의 에틸렌계 중합체(B),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 및 점착 부여 수지(D)를 소정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프로필렌계 중합체(A)와 에틸렌계 중합체(B)의 사용 비율은 양자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할 때에, 프로필렌계 중합체(A)를 20∼9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80중량부, 한층 바람직하게는 50∼80중량부에 대해, 에틸렌계 중합체(B) 80∼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20중량부, 한층 바람직하게는 50∼20중량부로 되는 비율이다. 즉 프로필렌계 중합체(A)의 사용 비율이 20중량부 미만이면 조성물의 폴리프로필렌에 대한 실링 강도가 약하게 되고, 또한 내열성도 저하한다. 또한 그 사용 비율이 90중량부를 넘으면, 조성물이 폴리프로필렌에 대해, 광범위한 실링 온도 영역에서 적정한 실링 강도를 나타내지 않게 된다.
또한,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 및 점착 부여 수지(D)의 배합 비율은 프로필렌계 중합체(A)와 에틸렌계 중합체(B)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할 때에, (A)와 (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는 1∼7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60중량부, 또한 점착 부여 수지(D)는 (A)와 (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서 0.5∼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30중량 부의 비율이다.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를 적당량 배합함에 의해 실링성 및 콥웨빙(cob webbing)성이 개선되지만, 많은 경우, 과도하게 배합하면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가공성이 손상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비율로 배합된다. 또한 점착 부여 수지(D)의 첨가에 의해 실링성 및 콥웨빙성이 개선되어, 특히 (A)와 (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C)성분의 배합량이 1∼50중량부이고, 또한 (A)와 (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D)성분의 배합량이 0.5∼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6중량부인 경우에는, 본 조성물의 n-헵탄 추출량이 30ppm 이하로 되어, 100℃를 넘는 고온에서의 열처리를 수반하는 유성 식품의 실링재로서 적합하다. 또한, 이 경우의 n-헵탄 추출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로 되는 30㎛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고, 일본 후생성 고시 370호에 정해진 조건으로 처리한 경우의 n-헵탄 용출시험에서의 증발 잔류물 양이다. 또한, (D)성분의 배합량이 10∼25중량부인 경우는, 이지 필링성(easy peeling property)이 특히 뛰어나다. 한편 많은 경우, (D) 성분을 과도하게 배합하면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가공성이나 내유성이 손상되게 되므로 상기한 배합 비율로 된다.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2)]
제2 발명의 올레핀계중합체 조성물(2)에서는,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 프로필렌계 중합체(A),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 및 점착 부여 수지(D)를 소정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E), (A), (C) 및 (D)의 합계량을 100중량부로 할 때에,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를 20∼97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5∼50중량부, 한층 바람직하게는 20∼ 40중량부, 프로필렌계 중합체(A)를 1∼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25중량부, 한층 바람직하게는 5∼20중량부,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를 1∼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45중량부, 한층 바람직하게는 20∼45중량부, 또한 점착 부여 수지(D)를 1∼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25중량부, 한층 바람직하게는 10∼25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한다. 프로필렌계 중합체(A)의 적량의 배합에 의해 내유성이 개량되지만, 배합량이 너무 많아지면 폴리프로필렌에 대해 광범위한 실링 온도 영역에서 적정한 실링 강도를 나타내지 않고, 또한 가공성을 손상하지 않게 된다. 또한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를 적량 배합함에 의해 실링성이 개선되지만, 많은 경우, 과도하게 배합하면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2)의 가공성이 손상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비율로 배합된다. 또한 점착 부여 수지(D)의 첨가에 의해 실링성이 개선되지만, 많은 경우, 과도하게 배합하면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2)의 가공성이나 내유성이 손상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배합 비율로 된다.
제2 발명의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2)에는, 실링 강도의 조정을 위해서, 다른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밀도가 900kg/㎥ 이상의 상기한 에틸렌계 중합체(B), 폴리-1-부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등을 소량, 예를 들면 (E), (A), (C), (D)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 20중량부 이하, 특히 10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배합할 수 있다.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3)]
제3 발명의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3)에서는,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1) 및 (E-2), 왁스(F) 및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 수지(D)를 소정 비율로 더 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E-1), (E-2), (F) 및 (D)의 합계량을 100중량부로 할 때,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1)를 30∼98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0∼90중량부, 한층 바람직하게는 50∼80중량부,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2)를 1∼4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35중량부, 한층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부, 왁스(F)를 1∼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20중량부, 한층 바람직하게는 2∼15중량부, 또한 점착 부여 수지(D)를 0∼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20중량부, 한층 바람직하게는 2∼15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한다. 또한 (E-1), (E-2), (F) 및 (D)의 합계량을 100중량부로 할 때,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1) 및 (E-2)의 합계량을 70∼95중량부, 특히 75∼90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1) 및 (E-2)을 상기와 같은 비율로 병용함에 의해, 압출 래미네이트 가공이 가능하고, 폴리프로필렌에 대해 적당한 실링 강도를 갖고, 또한 소프트한 박리감을 가진 실링 재료로 되는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3)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왁스(F)를 적당량 배합함에 의해 광범위한 실링 온도 영역에서 적정한 실링 강도를 나타내는 조성물로 할 수 있지만, 과도하게 사용하면 조성물의 가공성을 손상하게 된다. 또한 점착 부여 수지(D)를 적당량 첨가함에 의해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3)의 실링성을 개선할 수 있지만, 많은 경우, 과도하게 배합하면 그 가공성이나 내유성을 손상하게 된다.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3)에는, 실링 강도의 조정을 위해서, 다른 열 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밀도가 9OOkg/㎥ 이상인 상기한 에틸렌계 중합체(B), 폴리-1-부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등을 소량, 예를 들면 (E-1), (E-2), (F), (D)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 20중량부 이하, 특히 10중량부이하의 비율로 배합할 수 있다.
제1∼제3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1), (2), (3)에서는 임의로 각종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대표예로는 압출 가공성, 리(離)롤성, 필름의 윤활성 등을 개선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윤활제 및/또는 리롤제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팔미틴산아미드, 스테아린산아미드, 베헤닌산아미드, 올레인산 아미드, 엘카산아미드, 올레일팔미트아미드, 스테아릴팔미트아미드, 메틸렌비스스테아릴아미드, 메틸렌비스올레일아미드, 에틸렌비스올레일아미드, 에틸렌비스엘카산아미드 등의 각종 아미드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 수첨 피마자유, 실리카, 탈크 등의 무기질 첨가제 등이다. 이들의 배합량은 무기질 첨가제의 경우는 0.1∼3중량% 정도, 그것 이외의 것은 0.01∼1중량% 정도의 범위가 적당하다.
임의로 배합할 수 있는 다른 첨가제의 예로는,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안료, 염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은, 상기 필수 구성 성분, 및 임의로 배합되는 열가소성 수지나 첨가제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혼합함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1), (2), (3)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밴버리 믹서, 각종 니더 등을 사용하여 용융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혼합 순서에는 특히 제한은 없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은 압출 가공성이나 실링 강도를 고려하고, 또한 상기한 기타 특성을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190℃, 2160g 하중에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JIS K7210-1999)가 1∼400 g/10분, 특히 1∼150 g/10분 정도로 되도록 제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1), (2), (3)은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 특히 포장 재료의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 특히 폴리프로필렌에 대한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로서 적합하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1)에서, 일본 후생성 고시 370호에 정해진 조건으로 처리한 경우의 n-헵탄 용출시험에서의 증발 잔류물 양이 30ppm이하의 것은 유성 식품 용도로 1OO℃를 넘어서 사용 가능한 실링 재료로 된다. 상기와 같은 용도에 사용되는 경우, 통상은 각종 기재에 적층한 형태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재로는 종이, 알루미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고충격)폴리스티렌,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테르, 알루미늄 증착 폴리프로필렌, 실리카 증착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기재는 단층일 필요는 없고, 2층 이상의 적층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을 기재에 적층시키기 위해서는, 그 조성물을 미리 캐스트법이나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필름화하여, 드라이 라미네이션법에 의해 기재와 접합시키는 방법, 그 조성물을 직접 기재상에 압출 코팅하는 방법, 폴리에틸렌 등을 접착층으로서 사용하여, 기재상에 샌드위치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착 층을 거쳐서 적층하는 방법, 기재와 그 조성물을 공압출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적층체는 각종 포장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각종 용기, 특히 폴리프로필렌제 용기의 뚜껑재로서 사용할 때에 밀봉성, 개봉용이성, 개봉부의 외관 등이 뛰어난 뚜껑재로 된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제 용기뿐만 아니라, 다른 재료의 용기,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등의 용기의 뚜껑재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뚜껑 부착 용기는, 예를 들면, 젤리, 푸딩, 요구르트, 밀두(蜜豆), 사워(sour), 두부, 유산 음료, 일본 과자, 가공 고기 등의 음식물, 약품, 의료 용기, 토너 등의 각종 포장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원료는 이하와 같다.
[원료]
(1)프로필렌계 중합체(A)
PP-1: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3.6몰%(2.4중량%), 1-부텐 함량 1.9몰%(2.5중량%), 밀도 910kg/㎥,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230℃, 6 g/10분)
PP-2: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910kg/㎥,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230℃) 25g/10분)
또한,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A)의 밀도는, ASTM D1505에 의거하고, 어닐링 하여 밀도 구배관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2)에틸렌계 중합체(B)
LD-1: 고압법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923kg/㎥, MFR(190℃) 3.7g/10분)
LD-2: 고압법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917kg/㎥, MFR(190℃) 7.0g/10분)
LL-1: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920kg/㎥, MFR(190℃) 2.1g/10분)
LL-2: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923kg/㎥, MFR(190℃) 3.7g/10분)
HD: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 954kg/㎥, MFR(190℃) 1.1g/10분)
mPE: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메탈로센 촉매)(밀도 925kg/㎥, MFR(190℃) 4.0g/10분)
(3)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
VL-1: 저결정성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89.1몰%, 결정화도 10%, 밀도 886kg/㎥, MFR(190℃) 4.0g/10분)
VL-2: 비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밀도 870kg/㎥, MFR(190℃) 2.9g/10분)
(4) 점착 부여 수지(D)
P115: 수소 첨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상품명:알콘 P115(아라카와가가쿠(주)제, 환구법 연화점 115℃)
P100: 수소 첨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상품명:알콘 P100(아라카와가가쿠(주)제, 환구법 연화점 115℃)
(5)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 (E-1), (E-2)
EVA-1: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아세트산비닐 함량 6중량%,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190℃) 8g/10분)
EVA-2: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아세트산비닐 함량 14중량%, MFR(190℃) 15g/10분)
EVA-3: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아세트산비닐 함량 19중량%, MFR 2.5g/10분)
EVA-4: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아세트산비닐 함량 19중량%, MFR 15g/10분)
EVA-5: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아세트산비닐 함량 28중량%, MFR 15g/10분)
(6) 왁스(F)
WAX : 산화 변성형 폴리에틸렌 왁스(수평균 분자량 3000, 산가 1.0KOH mg/g)
[실시예 1∼5, 비교예 1∼3]
두께 300㎛의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이 시험 기재를 그의 폴리올레핀 조성물면이 맞닿도록 중첩시켜, 180℃, 압력 0.2MPa, 실링 시간 1.0초의 조건으로 히트 실링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로부터 시험 기재부를 박리했을 때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박리 상황으로서, 박리 강도를 측정한 샘플의 실링 부분의 콥웨빙 상태를 관찰하여, 콥웨빙이 없거나 미소한 상태를 A, 콥웨빙이 적은 상태를 B, 콥웨빙이 많은 상태를 C로 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1에 병기한다.
[표 1]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원료(중량부)
PP-1 30 45 60 40 45 85 60 60
LD-1 30
LL-1 15 40
HD 10 20
mPE 25
VL-1 30 30 20 20 25 30
VL-2 10
P115 10 10 10 10 5 15 10
박리 강도 (N/15mm) 18 20 22 20 23 36 13 39
박리 상황 A B B A B C C C
[실시예 6∼8, 비교예 4]
표2에 나타내는 배합 조성의 폴리올레핀 조성물로 30㎛의 인플레이션 필름을 제조하고, 이것을 연신 PET(두께 12㎛)와 저밀도 폴리에틸렌(두께 20㎛)을 접착층으로 하는 샌드위치 라미네이션법에 의해 적층하여, 시험 기재를 얻었다. 이 시험 기재를 사용하여, 일본 소화 34년 12월 28일부 후생성 고시 제370호, 식품·첨가물 등의 규격 기준 제3 기구 및 포장 용기 D의 2의 (1) 및 D의 2의 (2)의 3에 의한 시험 방법에 의해, 사용 온도 100℃를 넘는, 열융착층의 한면 용출 시험에서 증발 잔류물 n-헵탄 용출량을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2에 병기한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 시험 기재와 두께 300㎛의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적층체를 제조하여, 박리 강도의 측정과 박리 상황의 관찰을 행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2에 함께 병기한다.
[표 2]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4
원료(중량부)
PP-1 40 45 40 60
LL-2 25 40
HD 27 27
VL-1 30 25 20
VL-2 10
P115 5 3 3
박리 강도 (N/15mm) 22 24 22 39
박리 상황 B A A C
n-헵탄 용출 증발 잔류물 양(ppm) 29 19 23 10
[실시예 9∼12, 비교예 5∼6]
표 3에 나타내는 배합 조성의 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로 50㎛의 인플레이션 필름을 제조하고, 이것을 미리 제조한 연신 PET(두께 12㎛)/저밀도 폴리에틸렌(두께 20㎛)로 되는 2층 구성의 적층 필름의 폴리에틸렌 필름면측에, 저밀도 폴리에틸렌(두께 20㎛)을 접착층으로 하는 샌드위치 라미네이션법에 의해 적층하여, 시험 기재를 얻었다.
두께 300㎛의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이 시험 기재를 그 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면이 맞닿도록 중첩하여, 160℃, 압력 0.2MPa, 실링 시간 1.0초의 조건으로 히트 실링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로부터 시험 기재부를 박리했을 때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내유성으로서, 시험 기재로부터 2cm×4cm×3mm의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것을 샐러드유 중에, 40℃×5일간 침지하여, 팽윤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평가는 전혀 평윤하지 않는 경우를 A, 약간 팽윤하는 경우를 B, 팽윤하여 버리는 경우를 C로 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3에 병기한다.
[표 3]
실시예 비교예
9 10 11 12 5 6
원료(중량부)
EVA-1 32 30 20 30 75
EVA-2 12
PP-2 15 15 15 12 15 15
VL-1 35 20 20 20
VL-2 15 15 15
P115 18 20 18 20 10 10
LD-2 3 75
박리 강도 (N/15mm) 22 22 20 22 15 13
내유성 A A A-B A A A
[실시예 13∼16, 비교예 7∼9]
미리 제조한 연신 PET(두께 12㎛)/저밀도 폴리에틸렌 (두께 20㎛)로 되는 2층 구성의 적층 필름의 저밀도 폴리에틸렌면측에, 표 4에 나타내는 배합 조성의 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30㎛ 두께로 압출 코팅하여 시험 기재를 얻었다.
두께 300㎛의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이 시험 기재를 그 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면이 맞닿도록 중첩하여, 160℃, 압력 0.2MPa, 실링 시간 1.0초의 조건으로 히트 실링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로부터 시험 기재부를 박리했을 때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동일한 적층체를 사용하여 시험 기재부를 박리했을 때의 박리 강도의 균일성을, 관능으로서 평가하였다. 평가는 박리 강도가 균일한 경우를 A, 지프(zip) 박리하여 버리는 경우를 B로 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4에 병기한다.
[표 4]
실시예 비교예
13 14 15 8 9 10 11
원료(중량부)
EVA-2 95 90
EVA-3 70 65 44
EVA-4 20
EVA-5 14 25 23 90 77
WAX 10 3 6 10 20 5
P100 6 7 7 3 10 10
박리 강도 (N/15mm) 10 10 10 5 5 15 15
박리 강도 균일성 A A A A A B B
본 발명에 의하면,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로서 적합한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폴리프로필렌에 대해서 히트 실링하는 경우, 밀봉성, 저온 히트 실성, 개봉용이성, 개봉부의 외관이 뛰어나고, 히트 실링 강도의 온도 의존성이 적은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의 히트 실링 강도는 각 성분의 조성을 변경시킴에 의해 조정할 수 있으므로, 각종 용도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1)에서는, 내유성, 내열성도 뛰어나고, 열수 처리를 해도 실링 강도의 큰 변동이 없기 때문에, 레토르트 식품이나 유성 식품의 실링 재료로서 적합하다. 특히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1)에서, 점착 부여 수지의 배합량이 적정한 것은 유성 식품 용도로 100℃를 넘는 온도에서 사용가능하다. 또한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2)에서도 내유성이 뛰어나, 유성 식품의 실링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프로필렌계 중합체(A)를 20∼90중량부, 밀도가 900kg/㎥ 이상인 에틸렌계 공중합체(B)를 80∼10중량부, (A)+(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를 1∼70중량부 및 점착 부여 수지(D)를 0.5∼30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여 되는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A)+(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의 배합량이 1∼50중량부, 점착 부여 수지(D)의 배합량이 0.5∼10중량부인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일본 후생성 고시 370호에 정해진 조건으로 처리한 경우의 n-헵탄 용출 시험에서의 증발 잔류물 양이 30ppm 이하인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
  4.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를 20∼97중량부, 프로필렌계 중합체(A)를 1∼30중량부,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를 1∼50중량부 및 점착 부여 수지(D)를 1∼30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여 되는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
  5. 불포화 에스테르 함량이 3∼20중량%인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 1)를 30∼98중량부, 불포화 에스테르 함량이 25∼50중량%인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E-2)를 1∼40중량부, 왁스(F)를 1∼30중량부 및 점착 부여 수지(D)를 0∼30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여 되는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로 되는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
  7. 기재(基材)에 제6항 기재의 개봉용이성 실링 재료가 적층되어 되는 포장 재료.
KR1020057022520A 2003-05-26 2004-04-08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개봉용이성 실링재료 KR100825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47662 2003-05-26
JP2003147662 2003-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995A true KR20060004995A (ko) 2006-01-16
KR100825347B1 KR100825347B1 (ko) 2008-04-28

Family

ID=33475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520A KR100825347B1 (ko) 2003-05-26 2004-04-08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개봉용이성 실링재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49247B2 (ko)
EP (3) EP2166034B1 (ko)
JP (2) JP4827082B2 (ko)
KR (1) KR100825347B1 (ko)
CN (1) CN100379812C (ko)
TW (1) TW200504140A (ko)
WO (1) WO20041040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6636A (ja) * 2005-03-15 2006-09-28 Dainippon Printing Co Ltd 蓋材
US7863383B2 (en) * 2005-10-05 2011-01-0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olyolefin based peelable seals
WO2007061030A1 (ja) * 2005-11-25 2007-05-31 Mitsui Chemicals, Inc. 太陽電池封止材、太陽電池封止用シート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20070142801A1 (en) * 2005-12-15 2007-06-21 Peiguang Zhou Oil-resistant elastic attachment adhesive and laminates containing it
DE202008005665U1 (de) 2008-04-23 2008-07-31 Wipak Walsrode Gmbh & Co. Kg Kunststofffolienverbund und mit diesem als peelbare Deckfolie verschließbare Schalen- und Muldenverpackung
DE102009006470B4 (de) 2008-12-23 2012-04-12 Alkor Folien Gmbh Peelbare Folie für faserige Substrate, Verbund aus der Folie und einem Substrat und Verwendung desselben
JP5602067B2 (ja) * 2011-03-09 2014-10-08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シーラント材、カバーテープ、及び電子部品搬送用包装体
CN103797063A (zh) 2011-09-13 2014-05-14 住友电木株式会社 包装用片材
JP5924894B2 (ja) * 2011-09-16 2016-05-25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使い捨て製品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5850682B2 (ja) * 2011-09-16 2016-02-03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5850683B2 (ja) 2011-09-16 2016-02-03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接着剤
US20130309430A1 (en) * 2012-05-18 2013-11-21 Toray Plastics (America), Inc. Polyester cereal liner with zero migration
JP5947153B2 (ja) 2012-08-28 2016-07-06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接着剤
WO2015005279A1 (ja) * 2013-07-09 2015-01-15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易開封性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用途
FR3022915B1 (fr) 2014-06-26 2016-06-24 Arkema France Composition adhesive de scellage
JP6582461B2 (ja) * 2015-03-16 2019-10-02 東ソー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易剥離性フィルム
WO2016175335A1 (ja) * 2015-04-30 2016-11-03 サン・トックス株式会社 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EP3112150A1 (en) * 2015-06-30 2017-01-0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of preparing a peelable seal layer
CN107614595B (zh) * 2015-07-06 2020-11-13 三井—陶氏聚合化学株式会社 树脂组合物及其用途
JP6588293B2 (ja) * 2015-09-30 2019-10-09 サンアロマー株式会社 シーラント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積層体
CN106855652B (zh) * 2015-12-09 2019-08-06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镜头驱动模块
JP2017177579A (ja) * 2016-03-30 2017-10-05 株式会社細川洋行 易剥離性シーラントフィルム
WO2018062389A1 (ja) * 2016-09-30 2018-04-05 住友化学株式会社 フィルム
JP6809305B2 (ja) * 2017-03-13 2021-01-06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熱溶融性組成物及びその利用
US20200347214A1 (en) * 2018-01-22 2020-11-05 Dow-Mitsui Polychemicals Co., Ltd. Sealing resin composition, sealing material, packaging material, packaging container, and package
JP7331473B2 (ja) * 2019-06-10 2023-08-23 凸版印刷株式会社 シーラント層形成用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シーラント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7036281B2 (ja) * 2019-07-23 2022-03-15 Dic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2022035850A (ja) * 2020-08-21 2022-03-04 東洋紡株式会社 シーラント用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8436A (en) * 1980-09-05 1982-05-17 Du Pont Ethylene copolymer blend and adhesive based thereon
JPS57195135A (en) * 1981-05-26 1982-11-30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Heat-sealable resin composition
JPS5847038A (ja) 1981-09-14 1983-03-18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ヒ−トシ−ル性樹脂組成物
JPS5945343A (ja) 1982-09-09 1984-03-14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ヒ−トシ−ル性樹脂組成物
JPS6096676A (ja) * 1983-10-31 1985-05-30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ホツ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US5128414A (en) * 1985-06-28 1992-07-07 Shell Oil Company Polymer packaging film and sheet capable of forming peelable seals made from ethylenic and butene-1 polymers
JPS6329894A (ja) 1986-07-23 1988-02-08 オムロン株式会社 硬貨の残量管理装置
US5277988A (en) * 1987-12-15 1994-01-11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Easily openable heat seal material
JPH01246708A (ja) * 1988-03-29 1989-10-02 Hitachi Cable Ltd 剥離容易性半導電性樹脂組成物
US5310803A (en) * 1988-05-04 1994-05-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ot-melt composition that have good open time and form creep-resistant bonds when applied in thin layers
JP2505031B2 (ja) * 1988-09-29 1996-06-05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またはその積層体からなる易開封性シ―ル材料
JP2503260B2 (ja) * 1988-11-04 1996-06-05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物
JP2780361B2 (ja) * 1989-08-07 1998-07-30 三井化学株式会社 剥離性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組成物
US5635261A (en) * 1989-10-10 1997-06-03 Viskase Corporation Thermoplastic film incorporating high melt index resins
JP3340764B2 (ja) * 1992-08-04 2002-11-05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組成物
AU1608595A (en) 1994-01-27 1995-08-1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dhesive composition
JP3529867B2 (ja) * 1994-11-21 2004-05-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ヒートシーラント層及び蓋材
US5500472A (en) * 1995-02-17 1996-03-19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Low application temperature hot melt adhesive
EP0848726B1 (en) * 1996-05-06 2004-09-22 Basell Poliolefine Italia S.p.A. Polyolefin compositions for heat-sealable films having controlled peel strength
JP3681488B2 (ja) * 1996-11-19 2005-08-10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エ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易開封性シール材料
JP3022897B2 (ja) 1997-06-12 2000-03-21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6117945A (en) * 1998-02-04 2000-09-12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Low application temperature hot melt adhesive
JP2000264367A (ja) * 1999-03-18 2000-09-26 Mitsubishi Chemicals Corp 易開封性容器
US6706343B1 (en) * 1999-06-10 2004-03-16 Pechiney Emballage Flexible Europe Polymeric film structures useful as shrink bags
JP4908675B2 (ja) * 2000-11-09 2012-04-04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易開封性シール材料
US6455634B1 (en) * 2000-12-29 2002-09-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 blends comprising (meth)acrylate polymers and articles therefrom
JP4147888B2 (ja) * 2002-10-11 2008-09-10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エ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易開封性シール材料
KR100719403B1 (ko) * 2003-01-31 2007-05-17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열융착성 적층 필름 및 포장체
US20060172143A1 (en) * 2003-07-23 2006-08-03 Breese David R Extrusion coating process and coated substrates having improved heat seal proper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27082B2 (ja) 2011-11-30
TWI359841B (ko) 2012-03-11
WO2004104088A1 (ja) 2004-12-02
TW200504140A (en) 2005-02-01
KR100825347B1 (ko) 2008-04-28
CN1795236A (zh) 2006-06-28
EP2166035A3 (en) 2010-07-07
EP2166035A2 (en) 2010-03-24
EP2166035B1 (en) 2011-08-31
CN100379812C (zh) 2008-04-09
US7449247B2 (en) 2008-11-11
EP1637559A4 (en) 2006-10-11
JPWO2004104088A1 (ja) 2006-07-20
EP2166034A3 (en) 2010-07-07
EP1637559A1 (en) 2006-03-22
EP2166034A2 (en) 2010-03-24
EP2166034B1 (en) 2011-08-31
US20070009753A1 (en) 2007-01-11
JP2011099111A (ja)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347B1 (ko)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개봉용이성 실링재료
JP4855447B2 (ja)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得られる容器
JP5142470B2 (ja) 易開封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3681488B2 (ja) エ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易開封性シール材料
KR102525720B1 (ko) 수지 조성물 및 그 용도
JP5968543B2 (ja) 易開封性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用途
JP4175508B2 (ja) 易開封性積層フイルム及びその用途
JP4147888B2 (ja) エ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易開封性シール材料
JP4326775B2 (ja) エ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易開封性シール材料
JP2004051675A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得られるフィルム
KR20210137132A (ko)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체, 포장재 및 포장 용기
JP2012201392A (ja) 包装用フィルム、積層包装用フィルム、前記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前記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方法
JP2005041890A (ja) 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易開封性シール材料
JP5048991B2 (ja) シール材用樹脂組成物
JP4974565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積層フィルムからなる包装材料
JP3616717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13067733A (ja) 易開封性ヒートシール材用樹脂組成物、易開封性ヒートシール材およびレトルト食品用包装材
JP4447240B2 (ja)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および積層体およびこれから得られる容器
JP358101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8095045A (ja) ヒートシール性樹脂組成物
JP4447707B2 (ja) フィルム
JP2024036850A (ja)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積層体、蓋材および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