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091A -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091A
KR20050107091A KR1020040032275A KR20040032275A KR20050107091A KR 20050107091 A KR20050107091 A KR 20050107091A KR 1020040032275 A KR1020040032275 A KR 1020040032275A KR 20040032275 A KR20040032275 A KR 20040032275A KR 20050107091 A KR20050107091 A KR 20050107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ifter
seat
rails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9615B1 (ko
Inventor
박관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2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615B1/ko
Priority to JP2004350579A priority patent/JP4632120B2/ja
Priority to DE102004063238A priority patent/DE102004063238B4/de
Priority to US11/028,135 priority patent/US7293952B2/en
Priority to CNB2004100822727A priority patent/CN100475172C/zh
Publication of KR20050107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2Rai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34Handicapped person hand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겸용 운전석시트의 이동을 위한 수단들을 차량의 루프에 설치하여 기존 플로어타입의 리프트장치가 가지고 있는 공간적인 제약과 구조적인 복잡성을 해소한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실내의 루프를 따라 운전석 위치에서 뒷쪽으로 일정구간 연장 설치되는 전후이송용 레일 및 이것의 뒷쪽 끝부분에서 90°옆쪽으로 일정구간 연장 설치되는 좌우이송용 레일과, 시트를 올려서 잡고 있거나 내려서 놓아줄 수 있으며 상기 전후이송용 레일과 좌우이송용 레일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리프터와, 상기 전후이송용 레일과 좌우이송용 레일의 교차부위에 설치되어 리프터를 90°회전시켜주는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Lift apparatus for handicapped vehicle}
본 발명은 휠체어겸용 운전석시트의 이동을 위한 수단들을 차량의 루프에 설치하여 기존 플로어타입의 리프트장치가 가지고 있는 공간적인 제약과 구조적인 복잡성을 해소한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인차량에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제3자의 도움없이 자가용을 직접 운전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편의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차량에는 휠체어를 겸하는 운전석시트가 갖추어져 있다.
이렇게 운전석시트와 휠체어를 겸용으로 사용하고 승하차를 도와주는 적절한 장치가 차량에 설치됨에 따라 장애인은 제3자의 도움없이 스스로 승하차 및 운전을 하여 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휠체어겸용 운전석시트를 차량 내에서 이동시키고 차량에 승하차시키는 장치, 예를 들면 리프트장치는 장애인에게 많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휠체어겸용 운전석시트(100)가 설치된 차량에 운전자가 승차하는 과정을 화살표방향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하차는 승차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종래의 리프트장치는 차량의 플로어에 설치되며 시트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레일, 시트가 적절한 위치에 도달했을 경우 회전을 시켜주는 회전부, 시트를 차량 밖으로 보내거나 밖에서 실내로 올려주는 리프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석에 있던 시트는 다음 순서에 의해 하차한다.
① 고정장치 해제 후 이송레일을 따라 적절한 위치까지 후진한다.
② 적정 위치에 도달하면 회전부에 의해 회전한다.
③ 리프트장치의 작동으로 차량 밖으로 이동하며 하차한다.
④ 리프트장치와 시트를 분리한다.
승차는 하차의 역순이며 다음과 같다.
① 시트(휠체어)가 도착하면 리프트장치가 작동하여 하차시 최종위치에 도달한다.
② 시트(휠체어)와 리프트장치가 도킹한다.
③ 리프트장치의 작동으로 상승 및 차량 실내로 이동한다.
④ 이동이 끝나면 전면을 향하도록 회전한다.
⑤ 이송레일을 따라 운전석 위치로 이동한다.
⑥ 고정장치로 시트를 고정시킨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리프트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휠체어는 차량의 시트로 사용되므로 플로어와 H-Point 사이의 한정된 공간에 리프트, 휠체어의 바퀴, 이송레일, 회전부 등의 장치가 설치되는 관계로 공간적인 제약이 뒤따른다.
둘째, 시트 회전시 이송레일과 간섭을 피하기 위해 높이를 높여주어야 하므로 공간적인 제약이 더욱 심해진다.
셋째, 시트를 승하차시키기 위한 리프트 부분이 링크구조로 되어 있어서 사이즈가 크고 작동시키기 위한 구조도 복잡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을 위한 차량에서 기존의 리프트장치가 가지고 있는 공간적인 제약과 구조가 크고 복잡하다는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타입의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실내의 루프를 따라 운전석 위치에서 뒷쪽으로 일정구간 연장 설치되는 전후이송용 레일 및 이것의 뒷쪽 끝부분에서 90°옆쪽으로 일정구간 연장 설치되는 좌우이송용 레일과, 시트를 올려서 잡고 있거나 내려서 놓아줄 수 있으며 상기 전후이송용 레일과 좌우이송용 레일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리프터와, 상기 전후이송용 레일과 좌우이송용 레일의 교차부위에 설치되어 리프터를 90°회전시켜주는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후이송용 레일 및 좌우이송용 레일은 바닥부의 폭중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절개부 및 이것의 양옆에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치형의 레일부를 갖는 길다란 박스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이송용 레일은 내외측으로 수납/인출되는 동시에 스톱퍼에 의한 인출제한을 받으면서 길이연장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을 내측에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터는 리프터케이스의 저면부에서 수직으로 지지되면서 시트를 걸어주는 나란한 2개의 훅과, 상기 훅의 승하강을 위한 승하강용 모터 및 훅측과 승하강용 모터측 사이에 연결되어 권취가능한 벨트와, 레일의 내측에 얹혀져 지지되는 동시에 저면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지지바는 리프터케이스상에 일체식으로 조립되어 리프터케이스를 전체를 지지할 수 있으며 레일의 레일부에 놓여져 맞물리는 양쪽 2개의 기어형 바퀴를 이용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베이스플레이트 및 기어형 바퀴의 구동을 위한 전동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용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개의 훅은 길이신축이 가능한 다단조합식 바 형태의 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동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윗면에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중간의 제1베벨기어와 양단의 기어형 바퀴를 갖는 수평구동축과, 베이스플레이트가 갖는 지지바의 내측에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단에는 제1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를 갖고 하단에는 이동용 모터의 축에 장착되어 있는 웜과 맞물리는 웜휠을 갖는 수직전동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양단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레일이 갖는 슬라이딩홈부를 따라 안내되는 슬라이딩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장치는 내측 중심부에 배치되는 지지축 및 하단부의 받침턱을 가지면서 루프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장치케이스와, 전동을 위한 원호형 랙기어 및 리프터가 갖는 기어형 바퀴의 안착을 위한 2개의 나란한 직선형 랙기어를 갖고 있으며 회전장치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윗면에서 위로 연장되어 지지축상에 베어링과 함께 조립되는 튜브를 통해 회전가능한 구조로 지지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장치케이스상에 지지되며 원호형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를 이용하여 회전판을 회전시켜주는 회전용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은 좌우이송용 레일상에 설치되어 있는 리코일러에서 연장되는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리코일러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접촉하면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좌우이송용 레일상의 스위치에 의해 동작되는 구조를 통해 수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장치는 차량의 루프상에 설치되는 기본적인 이송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트(휠체어겸용 운전석시트)의 이동을 위한 레일(10),(11)과, 시트의 방향을 운전석쪽 또는 바깥쪽으로 돌려주기 위한 회전장치(13)와, 실질적으로 시트를 들어올려서 이동시켜주고 내려주는 리프터(12)로 구성되어 있다.
시트의 이송을 위한 레일은 두부분으로 구성되는데, 하나는 운전석에서부터 뒷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전후이송용 레일(10)이고, 다른 하나는 전후이송용 레일(10)의 끝부분에서 90°꺽여서 바깥쪽을 향해 길게 짧게 연장되는 좌우이송용 레일(11)이다.
시트의 방향전환을 위한 회전장치(13)는 전후이송용 레일(10)과 좌우이송용 레일(11)이 서로 접하는 교차부위에 설치되며, 하차시 전후이송용 레일(10)을 따라 이동되어온 리프터(12)를 좌우이송용 레일(11)쪽으로 방향을 90°돌려주거나, 또는 승차시 전후이송용 레일(10)쪽으로 방향으로 90°돌려주는 역할을 한다.
시트를 잡고 이동하는 리프터(12)는 전체적으로 레일측에 지지되면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승하강 및 이동을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서 시트를 올리거나 내려주는 일을 수행할 수 있고, 자체적으로 구동되면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레일 및 회전장치는 리프터, 시트, 착석자 등의 하중을 모두 받아내야 하므로 차량의 루프에 적정한 구조적 강성을 발휘할 수 있는 별도의 프레임 구조체를 설치하고, 이곳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에서 리프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터(12)는 시트를 들어서 올린 후 승하차 위치로 옮겨주고 또 운전석 위치로 옮겨주는 수단이다.
이러한 리프터(12)는 기본적으로 레일의 내측 바닥면 위에 위치되면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플레이트(24)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4)의 저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지지바(22)에 매달려 지지되는 리프터케이스(18)와, 상기 리프터케이스(18)상에 지지되어 실질적으로 시트를 올려주거나 내려주는 훅(19)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4)에는 양쪽 2개의 기어형 바퀴(23)가 갖추어져 있으며, 이때의 기어형 바퀴(23)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그 아래쪽의 치형의 레일부(15)에 맞물리게 되므로서 바퀴의 구동에 의해 레일부(15)를 따라 전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형 바퀴(23)는 후술하는 전동장치(25)의 수평구동축(25b)에 의한 지지를 받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24)의 양단부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부(28)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것이 베이스플레이트(24)의 이동시 레일의 양쪽 모서리부분을 따라 연속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홈부(27)를 따라 안내되므로서 흔들림없이 정확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시트를 걸어주기 위한 훅(19)은 리프터케이스(18)의 저면부에서 수직으로 지지되는 나란한 2개로 구성되고, 양쪽 훅(19)의 하단부 사이에는 보강부재가 수평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자체적인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이때의 2개의 훅(19)은 길이신축이 가능한 다단조합식 바 형태로 되어 있어서 아래로 늘어난 상태에서 시트의 양측부을 걸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리프터케이스(18)의 내부에는 훅(19)의 신축을 위한 수단으로 승하강용 모터(20)가 설치되며, 이 승하강용 모터(20)의 축에 장착되어 있는 풀리와 양쪽 훅(19)을 가로질러 보강하고 있는 보강부재 사이에는 벨트(21)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승하강용 모터(20)가 일방향으로 구동하면 풀리로부터 벨트(21)가 풀리면서 훅(19)이 내려올 수 있게 되고, 반대로 구동하면 풀리에 벨트(21)가 감기면서 훅(19)을 올려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24)의 자체 이동을 위하여 이동용 모터(26)의 구동력을 양쪽의 기어형 바퀴(23)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전동장치(25)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4)의 윗면에는 수평구동축(25b)이 폭방향으로 위치되면서 베어링에 의해 그 양단부가 지지되며, 이때의 양단부에는 기어형 바퀴(23)가 각각 장착되는 동시에 그 중간에는 제1베벨기어(25a)가 장착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24)에 있는 지지바(22)의 내측에는 수직전동축(25f)이 베어링에 의한 지지를 받으면서 설치되며, 이때의 수직전동축(25f)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25a)에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25c)와 리프터케이스(18)상에 지지되어 있는 이동용 모터(26)의 축에 있는 웜(25d)과 맞물리는 웜휠(25e)이 각각 장착된다.
이에 따라, 이동용 모터(26)가 구동하면, 웜과 웜휠의 전동→수직전동축의 회전→제1베벨기어와 제2베벨기어의 전동→수평구동축의 회전을 통해 기어형 바퀴가 굴러갈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에서 레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은 시트를 포함하는 리프터(12)의 이동시 안내를 해주는 부분으로서, 사각단면을 갖는 박스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닥부에는 폭중심에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절개부(14)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리프터(12)의 지지바(22)가 다닐 수 있게 되고, 상기 절개부(14)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의 내측으로는 절개부(14)와 나란한 양쪽 2개의 치형의 레일부(15)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따라 리프터(12)의 기어형 바퀴(23)가 맞물려 굴러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좌우이송용 레일(11)의 경우 시트를 완전히 밖으로 안내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 하는데, 레일을 설치할 수 있는 루프의 폭구간이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납인출형의 이중레일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좌우이송용 레일(11)의 내측에는 거의 비슷한 길이를 갖는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17)이 설치되며, 이때의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17)이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레일의 전체 좌우측 이송구간을 2배 정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17)의 완전 탈거를 방지하기 위하여 좌우이송용 레일(11)의 끝부분 양쪽 측면에는 스프링의 탄력지지를 받는 스톱퍼(16)가 장착되며,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17)이 거의 다 인출되면 스톱퍼(16)가 안쪽으로 펴지면서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17)의 측면에 있는 홀 속에 걸리게 되면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17)은 더 이상 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16)의 수납시에는 경사진 자세로 걸려있는 스톱퍼(16)를 쉽게 밀고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좌우이송용 레일(16)의 바깥쪽 일부 바닥면은 아래로 단차진 구조를 하고 있는데, 이러한 단차진 구조로 인해 인출되는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17)이 밑으로 약간 떨어져 위치되면서 좌우이송용 레일(11)의 바닥면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리프터(12)의 이동시 기어형 바퀴(23)가 좌우이송용 레일(11) 및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17)이 갖는 레일부(15) 간의 경계부위를 원활하게 넘나들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17)은 리프터(12)의 이동시 그 후단부가 베이스플레이트(24)에 의해 밀리면서 밖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수납시에는 리코일러(29)가 갖는 와이어(39)에 의해 당겨지면서 안으로 수납될 수 있다.
즉, 좌우이송용 레일(11)의 측면부에는 내부의 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와이어(39)를 권취하고 있는 리코일러(29)가 설치되고, 상기 리코일러(29)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39)의 끝은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17)의 선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리코일러(29)의 맞은편에는 스위치(40)가 설치된다.
상기 리코일러(29)에는 코일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서 와이어가 늘어나게 되면 감겨져 힘을 저장하고 있다가, 베이스플레이트(24)가 되돌아오면서 그 한쪽 옆에 있는 트리거(41)를 통해 스위치(40)를 누르게 되면 이때의 스위치 신호에 의해 리코일러(29)가 작동하게 되고, 따라서 코일스프링의 힘에 의해 와이어(39)가 재차 감기면서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17)이 안쪽으로 당겨져 수납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베이스플레이트(24)에 있는 트리거(41)는 밖으로 나갈 때도 스위치(40)를 누르게 되는데, 이때에는 리코일러(29)의 코일스프링이 힘을 받지 아니한 상태라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17)에 힘을 주지 아니한다.
이때의 리코일러는 가정용 청소기 등에서 전선을 감을 때와 전선을 풀 때와 같은 역할을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에서 회전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장치(13)는 전후이송용 레일(10)과 좌우이송용 레일(11)의 교차부위에 설치되며, 이곳에 위치되는 리프터(12)를 90°회전시켜주는 수단이다.
이러한 회전장치(13)는 루프에 대략 원통형의 회전장치케이스(32)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 실질적으로 회전하는 회전판(36)이 설치되며, 리프터(12) 전체는 회전판(36)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같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회전장치케이스(32)에는 내측 저면중심부에 루프상에 지지되는 지지축(30)이 배치되고, 하단부에는 가장자리에서 수평으로 꺽여진 받침턱(31)이 갖추어져 있으며, 케이스 벽면의 절개된 부위를 통해 각각의 레일이 일체식으로 조립된다.
이렇게 조립되는 각 레일은 케이스 내부와 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36)에는 윗면 중심부에서 위로 연장되는 튜브(35)가 형성되며, 이것이 지지축(30)에 베어링과 함께 결합됨에 따라 회전판(36)은 회전가능한 구조로 지지될 수 있게 되고, 상기 튜브(35)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튜브(35)와 동심원을 이루는 원호형 랙기어(33)가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장치케이스(32)의 내부에는 케이스상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회전용 모터(38)가 구비되고, 이 회전용 모터(38)의 축에 장착되는 피니언기어(37)가 회전판(36)에 있는 원호형 랙기어(33)와 맞물림에 따라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판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회전판(36)은 90°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모터의 회전량 제어나 별도의 스톱퍼, 또는 리미트스위치 등을 통해 위의 회전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36)의 일측에는 베이스플레이트(24) 및 이것이 갖는 기어형 바퀴(23)의 진입과 안착을 위한 2개의 나란한 직선형 랙기어(34)와 그 사이의 절개부위가 갖추어져 있어서 리프터(12) 전체를 회전장치(13) 내에 잠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리프터(12)의 베이스플레이트(24) 및 기어형 바퀴(23)가 회전판(36) 위에 안착되면, 회전용 모터(38)의 구동과 피니언기어(37) 및 원호형 랙기어(33) 간의 전동에 의해 회전판(36) 전체가 90°회전하게 되므로 전후이송용 레일(10)측으로부터 진행되어온 리프터(12)는 좌우이송용 레일(11)측으로 방향이 바뀔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회전판(36)의 회전시 이것과 회전장치케이스(32)의 받침턱(31) 사이에 베어링 수단 등을 구비하여 회전안내 및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의 사용상태, 즉 승하차 방법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리프트장치를 이용한 시트의 하차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시트가 리프터에 결합되어 전후이송용 레일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② 시트가 특정위치에 도달하면, 즉 회전장치 내에 도달하면 회전용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시트가 회전한다.
③ 시트 회전 후 리프터가 좌우이송용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④ 계속해서 리프터가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을 밀면서 전진하고,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이 완전히 인출되면, 이때부터 리프터는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이와 함께 시트도 차량 밖으로 이동한다.
⑤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을 따라 이동이 끝나면 리프터가 작동하여 시트를 하강시킨다.
⑥ 시트가 지면에 닿으면 고정장치를 해제한다.
⑦ 리프터가 상승한 후 후진하고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은 수납되면서 차량 안으로 들어간다.
⑧ 승차는 하차의 역순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① 차량의 루프에 레일 및 회전장치를 설치하여 H-Point 하부의 공간을 극대화함으로써, 시트의 회전시 간섭발생을 피할 수 있다.
② 시트를 차량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중 레일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레일을 포함하는 전체적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③ 시트를 위아래로 올려주고 내려주는 수단으로 모터의 회전력만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링크구조에 비해 구조를 간단하게 또 가볍게 만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에서 리프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에서 레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에서 회전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10은 도 6의 A-A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후이송용 레일 11 : 좌우이송용 레일
12 : 리프터 13 : 회전장치
14 : 절개부 15 : 레일부
16 : 스톱퍼 17 :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
18 : 리프터케이스 19 : 훅
20 : 승하강용 모터 21 : 벨트
22 : 지지바 23 : 기어형 바퀴
24 : 베이스플레이트 25 : 전동장치
26 : 이동용 모터 27 : 슬라이딩홈부
28 : 슬라이딩돌기부 29 : 리코일러
30 : 지지축 31 : 받침턱
32 : 회전장치케이스 33 : 원호형 랙기어
34 : 직선형 랙기어 35 : 튜브
36 : 회전판 37 : 피니언기어
38 : 회전용 모터 39 : 와이어
40 : 스위치 41 : 트리거

Claims (9)

  1. 차실내의 루프를 따라 운전석 위치에서 뒷쪽으로 일정구간 연장 설치되는 전후이송용 레일(10) 및 이것의 뒷쪽 끝부분에서 일정각도 옆쪽으로 일정구간 연장 설치되는 좌우이송용 레일(11)과, 시트를 올려서 잡고 있거나 내려서 놓아줄 수 있으며 상기 전후이송용 레일(10)과 좌우이송용 레일(11)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리프터(12)와, 상기 전후이송용 레일(10)과 좌우이송용 레일(11)의 교차부위에 설치되어 리프터(12)를 일정각도 회전시켜주는 회전장치(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송용 레일(10) 및 좌우이송용 레일(11)은 바닥부의 폭중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절개부(14) 및 이것의 양옆에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치형의 레일부(15)를 갖는 길다란 박스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송용 레일(11)은 내외측으로 수납/인출되는 동시에 스톱퍼(16)에 의한 인출제한을 받으면서 길이연장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17)을 내측에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12)는 리프터케이스(18)의 저면부에서 수직으로 지지되면서 시트를 걸어주는 나란한 2개의 훅(19)과, 상기 훅(19)의 승하강을 위한 승하강용 모터(20) 및 훅(19)측과 승하강용 모터(20)측 사이에 연결되어 권취가능한 벨트(21)와, 레일의 내측에 얹혀져 지지되는 동시에 저면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지지바(22)는 리프터케이스(18)상에 일체식으로 조립되어 리프터케이스(18)를 전체를 지지할 수 있으며 레일의 레일부(15)에 놓여져 맞물리는 양쪽 2개의 기어형 바퀴(23)를 이용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베이스플레이트(24) 및 기어형 바퀴(23)의 구동을 위한 전동장치(25)를 포함하는 이동용 모터(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훅(19)은 길이신축이 가능한 다단조합식 바 형태의 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동장치(25)는 베이스플레이트(24)의 윗면에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중간의 제1베벨기어(25a)와 양단의 기어형 바퀴(23)를 갖는 수평구동축(25b)과, 베이스플레이트(24)가 갖는 지지바(22)의 내측에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단에는 제1베벨기어(25a)와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25c)를 갖고 하단에는 이동용 모터(26)의 축에 장착되어 있는 웜(25d)과 맞물리는 웜휠(25e)을 갖는 수직전동축(25f)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4)는 양단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레일이 갖는 슬라이딩홈부(27)를 따라 안내되는 슬라이딩돌기부(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 좌우이송용 레일(17)은 좌우이송용 레일(11)상에 설치되어 있는 리코일러(29)에서 연장되는 와이어(39)에 연결되고, 상기 리코일러(39)는 베이스플레이트(24)와 접촉하면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좌우이송용 레일(11)상의 스위치(40)에 의해 동작되는 구조를 통해 수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13)는 내측 중심부에 배치되는 지지축(30) 및 하단부의 받침턱(31)을 가지면서 루프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장치케이스(32)와, 전동을 위한 원호형 랙기어(33) 및 리프터(12)가 갖는 기어형 바퀴(23)의 안착을 위한 2개의 나란한 직선형 랙기어(34)를 갖고 있으며 회전장치케이스(32)의 내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윗면에서 위로 연장되어 지지축(30)상에 베어링과 함께 조립되는 튜브(35)를 통해 회전가능한 구조로 지지되는 회전판(36)과, 상기 회전장치케이스(32)상에 지지되며 원호형 랙기어(33)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37)를 이용하여 회전판(36)을 회전시켜주는 회전용 모터(3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KR1020040032275A 2004-05-07 2004-05-07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KR100559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275A KR100559615B1 (ko) 2004-05-07 2004-05-07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JP2004350579A JP4632120B2 (ja) 2004-05-07 2004-12-03 身体障害者車両用リフト装置
DE102004063238A DE102004063238B4 (de) 2004-05-07 2004-12-29 Heb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für Behinderte
US11/028,135 US7293952B2 (en) 2004-05-07 2004-12-30 Lift apparatus for vehicle for the handicapped
CNB2004100822727A CN100475172C (zh) 2004-05-07 2004-12-30 为残疾人配置在车辆上的升降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275A KR100559615B1 (ko) 2004-05-07 2004-05-07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091A true KR20050107091A (ko) 2005-11-11
KR100559615B1 KR100559615B1 (ko) 2006-03-10

Family

ID=3526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275A KR100559615B1 (ko) 2004-05-07 2004-05-07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93952B2 (ko)
JP (1) JP4632120B2 (ko)
KR (1) KR100559615B1 (ko)
CN (1) CN100475172C (ko)
DE (1) DE10200406323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7468C (zh) * 2006-05-29 2008-10-22 天津大学 减压间歇精馏分离5-溴-2-甲基吡啶同分异构体的分离装置和方法
GB2510330B (en) * 2012-12-20 2020-04-22 Brig Ayd Controls Ltd Hoist for a disability vehicle
CN105016260B (zh) * 2015-06-30 2017-06-30 吉林大学 一种残疾人汽车用升降平台
CN105776062A (zh) * 2016-05-11 2016-07-20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轨道交通列车的残疾人车升降机构
KR101889754B1 (ko) 2016-11-28 2018-08-20 김정완 차량 운전석용 휠체어 탑승장치
US10758433B2 (en) 2017-01-06 2020-09-01 Dignified Living Llc Wheelchair vehicle entry system
DE102017220200B3 (de) * 2017-11-14 2019-03-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desystem
CN108891321B (zh) * 2018-07-17 2020-08-14 江苏金彭车业有限公司 一种残疾人用电动汽车轮椅上车装置
JP7466848B2 (ja) * 2020-04-01 2024-04-1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乗降補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8605A (en) * 1931-09-28 1932-09-20 Cincinnati Butchers Supply Co Overhead track
US3906737A (en) * 1973-10-09 1975-09-23 William R Brown Sewer laying system
US4125908A (en) * 1977-05-18 1978-11-21 Vail Dottie J Invalid transfer lift
US4133437A (en) * 1977-09-09 1979-01-09 Helper Industries, Inc. Wheel chair lift apparatus
US4243147A (en) * 1979-03-12 1981-01-06 Twitchell Brent L Three-dimensional lift
JPS57148945A (en) * 1981-03-10 1982-09-14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Care apparatus
US4544321A (en) * 1983-10-26 1985-10-01 John Lanier Apparatus for moving a wheelchair into and out of an automobile
JPS63309257A (ja) * 1987-06-12 1988-12-16 Kyushu Kobayashi Kensetsu:Kk 介助装置
US4809372A (en) * 1988-03-09 1989-03-07 James Dickens Motor vehicle invalid lift
US5018933A (en) * 1989-04-03 1991-05-28 Khp, Inc. Device for transferring an invalid to and from an automobile
JPH05131012A (ja) * 1991-11-14 1993-05-28 Sekisui Chem Co Ltd 車両用介護リフト
JPH0722843U (ja) * 1993-09-30 1995-04-25 コトブキシステム株式会社 福祉用車両
JP2004065768A (ja) * 2002-08-08 2004-03-04 Nippon Cable Syst Inc 車椅子吊り下げ装置
US6711759B1 (en) * 2002-11-25 2004-03-30 Gary R. Kluckhuhn Transfer system for an invalid patient
US6837670B2 (en) * 2003-01-29 2005-01-04 The Braun Corporation Wheelchair access system with stacking platform
US20050095087A1 (en) * 2003-10-30 2005-05-05 Sullivan Robert P.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DE202004006861U1 (de) * 2004-04-29 2004-07-29 Zumholz, Martin Aushebevorrichtung für eine in einem Kraftfahrzeug sitzende Pers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9615B1 (ko) 2006-03-10
DE102004063238A1 (de) 2005-12-01
JP2005319280A (ja) 2005-11-17
DE102004063238B4 (de) 2006-10-26
US20050281647A1 (en) 2005-12-22
CN1693114A (zh) 2005-11-09
CN100475172C (zh) 2009-04-08
JP4632120B2 (ja) 2011-02-16
US7293952B2 (en) 2007-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9615B1 (ko)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JP2006137526A (ja) 自動車ボディ昇降装置
JP7117018B2 (ja) 頭上収納ユニット
JP2009160303A (ja) 自動車用乗降補助装置
JP4941765B2 (ja) 車両用昇降装置
JP3225929U (ja) 移乗支援装置
WO2011101872A1 (en) Lifting device, particularly for lifting wheelchairs
JP7451036B2 (ja) 車両用シートユニット
KR20220087351A (ko) 수직 개폐형 수납공간부가 구비된 침대
JP3236324U (ja) 収納装置
JP2014226964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080107139A (ko) 싱크대의 상부장 승강 장치
KR100925953B1 (ko) 시트 연동형 풋레스트
JPS5810582Y2 (ja) 床部の昇降機構
JPH0128232Y2 (ko)
KR200353822Y1 (ko)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
JP3019690B2 (ja) 移載装置
JPH0312598Y2 (ko)
JP4039027B2 (ja) 車両用リフト装置
KR20060037876A (ko) 버스용 손잡이 장치
JPH05156832A (ja) 駐車装置
JP2013181359A (ja) 棚式駐輪設備
JP2003127749A (ja) 車両用リフト装置
JP2990451B2 (ja) 電動床下収納庫
JPH0552031A (ja) 電動床下収納庫の蓋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