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822Y1 -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 - Google Patents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822Y1
KR200353822Y1 KR20-2004-0009574U KR20040009574U KR200353822Y1 KR 200353822 Y1 KR200353822 Y1 KR 200353822Y1 KR 20040009574 U KR20040009574 U KR 20040009574U KR 200353822 Y1 KR200353822 Y1 KR 2003538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storage space
retractable
shaf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5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영준
신근호
Original Assignee
천영준
신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영준, 신근호 filed Critical 천영준
Priority to KR20-2004-0009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8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8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좁은 공간을 넣게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고안은, 침대수납공간을 가지며, 침대수납공간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침대를 세워서 수용하게 되는 수납부재와; 상기 침대수납공간의 내측 벽면에 근접하게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승강안내축과; 상기 승강안내축을 따라 일면이 승강하여 침대수납공간에 세워져 수납되는 수납위치와 상기 침대수납공간으로부터 출몰되어 바닥에 놓이는 사용위치간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수납식 침대와; 상기 침대수납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식 침대를 동작시키는 침대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 {Furniture for acceptant bed}
본 고안은 수납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좁은 공간을 넣게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에 있어 보다 안전한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온돌바닥에 누워 수면과 휴식을 취하던 종래와는 다르게 근자에 들어서는 침대 생활이 거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더욱이 건강을 위한 침대의 개발이 가속화 됨에 따라 침대의 보급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수요는 더욱 늘어나게 될 것임에 틀림이 없다.
한편, 넓은 방에 침대를 비롯하여 여러 가구를 두는 것에는 불편함이 없겠지만, 상대적으로 좁은 방에 장롱을 비롯하여 책상, 침대 등을 두면 공간이 더욱 좁아질 수밖에 없다.
이에,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 내에 침대를 두어 사용하기는 하되, 필요시 침대를 사용하고 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납장에 넣어 수납함으로써 좁은 공간을 넣게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일고 있다.
일 예로써, 한국실용신안공개 제1999-23107호를 보면, 수납식 침대가 공지되어 있다. 이는, 좁은 면적을 갖는 방에 침대를 설치함에 있어 선택적으로 침대를 수납장에서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을 넓게 활용하고자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침대가 수납장에 대해 회동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회동하는 침대 밑에 눌리거나 부딪혀 사고를 입을 수 있는 안전성의 중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침대의 회전반경을 확보하기 위해 침대와 수납장간에 형성된 공간으로 물건이 떨어지거나 혹은 어린아이들이 숙면중 추락하는 등 예기치 않은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에 있어 보다 안전한 수납식 침대용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식 침대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스크류 타입의 수납식 침대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견인타입의 수납식 침대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연결바아 타입 수납식 침대의 프레임 구성도,
도 5는 도 4의 크로스 연결바아 타입 수납식 침대의 프레임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있어서의 자바라타입 개폐도어의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에 있어서의 상하 승강도어 구성도,
도 8은 프레임 초기 전개수단의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수납부재, 10a:침대수납공간, 10b:전면개구, 10c:프레임 측면판넬, 20:수납식 침대, 21:높이조절부, 30:침대구동부, 31:스크루축, 31a:승강안내축, 32,65:모터부, 33,33a:승강편, 34:구름바퀴, 36a,36b:리미트스위치, 40:경사면, 50:주름도어, 52,56:레일, 54:상하이동식 승강도어, 54a:양단돌기,58:풀리, 60:와이어, 62:와이어감김로울, 64:구동축, 64a:이동관, 66:안내축, 66a:안내관, 68:크로스 연결바아, 70:편심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침대수납공간을 가지며, 침대수납공간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침대를 세워서 수용하게 되는 수납부재와; 상기 침대수납공간의 내측 벽면에 근접하게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승강안내축과; 상기 승강안내축을 따라 일면이 승강하여 침대수납공간에 세워져 수납되는 수납위치와 상기 침대수납공간으로부터 출몰되어 바닥에 놓이는 사용위치간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수납식 침대와; 상기 침대수납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식 침대를 동작시키는 침대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침대구동부는, 상기 승강안내축이 외주연에 일방향 나사부가 형성되는 스크루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루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모터부)와; 상기 스크루축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이 상기 침대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와 관절이음되는 승강편과; 상기 침대의 프레임 외측부재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침대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여하는 구름바퀴;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침대구동부는, 상기 승강안내축을 따라 승강하며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이 상기 침대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와 관절이음되는 승강편과; 상기 침대의 프레임 외측부재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침대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여하는 구름바퀴; 그리고, 상기 침대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적어도 하나이상의 풀리를 경유하여 와이어감김로울에 권취되는 구동와이어; 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침대구동부는, 상기 승강안내축을 따라 승강하며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이 상기 침대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와 관절이음되는 승강편과; 상기 침대의 프레임 외측부재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침대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여하는 구름바퀴; 상기 승강안내관과 이격된체 상기 승강안내관의 저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 양방향기어를 가진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구동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모터부)와; 상기 구동축을 따라 이격되게 나사결합되어, 구동축 회전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좌우 한쌍의 이동관; 침대 프레임 외측부재의 저부에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안내축; 그리고, 상기 안내축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안내관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 상의 이동관과 상기 안내관 상의 안내관을 교차시켜 연결하는 크로스 연결바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식 침대는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사용위치로 전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침대의 슬라이딩 이동 초기상태에서 상기 침대를 향해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원하는 프레임 초기 전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프레임 초기 전개수단은, 상기 승강안내관 하부에 형성된 편심캠과, 상기 침대수납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경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납식 침대는 또한, 상기 수납위치에 배치될 경우 상기 침대수납공간의 전면개구를 폐쇄하도록 하고, 상기 수납식 침대가 상기 사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침대수납공간의 전면개구를 개방하도록 하는 도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는 자바라식 주름도어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침대수납공간의 좌우측 벽면에는 상기 주름도어의 좌우 양단이 끼워져 그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도어의 일단은 상기 침대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와 연결된다.
반면 상기 도어는 상하이동식 승강도어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침대수납공간의 좌우측 벽체 전면에는 상기 승강도어의 좌우 양단 돌기가 끼워져 그 이동을 안내하는 상하방향으로의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도어의 하단은 상기 침대수납공간 상측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침대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와 연결되는 견인와이어로 이어져 설치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식 침대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a, 2b, 2c는 각각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스크류 타입의 수납식 침대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식 침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수납부재(10)와, 수납식 침대(20) 그리고 침대구동부(30)를 포함한다.
수납부재(10)란 통상의 수납장과 같은 것으로써, 필요여하에 따라 수납식 침대(20)를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침대수납공간(10a)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침대를 수납하기에 충분한 공간(10a)을 가지는 것이라면 책상등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통상의 장롱일지라도 수납부재(10)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수납식 침대(20)는, 필요여하에 따라 수납부재(10)의 침대수납공간(10a)으로 수납되거나 취출될 수 있다. 수납된 도 2a의 상태를 수납위치라 하고, 도 2c의 상태를 사용위치라 할 때, 수납식 침대(20)는 수납위치와 사용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수납식 침대(20)의 이동방식은, 종래와 같이 회동방식에서 벗어나 슬라이딩 이동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회동하는 침대에 부딪혀 사고를 입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수납식 침대(20)의 이동방식을 도 2a에서 도 2c와 같은 슬라이딩 이동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수납부재(10)와 수납식 침대(20) 사이에는 별도의 공간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영역으로 물건이 떨어지거나 혹은 아이들이 추락하여 끼는 등의 폐단을 극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수납식 침대(20)를 수납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침대구동부(30)가 사용된다. 침대구동부(30)의 형태는 여러가지가 될 수 있는데, 먼저 도 2에 예시되는 일 실시예로써의 침대구동부(3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대구동부(30)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침대수납공간(10a) 내에 세워져 배치되며 그 외주연에 일방향 나사부가 형성되는 스크루축(31)과, 상기 스크루축(31)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으로서의 모터부(32)와, 상기 스크루축(31)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이 상기 침대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와 관절이음되는 승강편(33)을 포함하며, 상기 침대의 프레임 외측부재 저부에는 상기 침대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여하는 구름바퀴(34)를 구비한다.
모터부(32)에 전원이 온(ON)되어 스크루축(31)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편(33)이 스크루축(31)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수납식 침대(20)의 프레임 외측부재 하부에 설치된 구름바퀴(34)는 바닥면을 따라 바깥쪽으로의 구름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수납식 침대(20)는 도 2a(수납위치)에서 도 2b 상태를 거쳐 도 2c(사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수납식 침대(20)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모터부(3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크루축(31)이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승강편(33)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수납식 침대(20)의 일측을 상측으로 잡아끌고, 이에 연동하여 구름바퀴(34)에 이끌려 수납식 침대(20)는 다시 도 2a의 수납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최초 모터부(32)가 구동하여 수납식 침대(20)를 수납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이동시키려고 할 경우, 수납식 침대(20)에 수직하방으로의 힘만이 주어진다면 수납식 침대(20)가 도 2a에서 도 2b를 통해 도 2c로 슬라이딩 이동되지 못하고 모터부(32)에 과부하가 걸릴 우려도 있다.
즉, 수납식 침대(20)가 최초 슬라이딩 이동하려고 하는 초기상태에서는 모터부(32) 및 스크루축(31)에 의한 수직하방으로의 힘 외에도 수평방향으로의 별도의 힘이 일정크기 부여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이를 프레임 초기 전개수단이라 하여 별도로 더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프레임 초기 전개수단의 가장 간단한 예는, 도시된 것처럼 침대수납공간(10a)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형성한 경사면(40)이 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40)은 스크루축(31)이 위치하는 내면이 가장 높고 침대수납공간(10a)의 전면개구(10b)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형태를 취한다.
이처럼 프레임 초기 전개수단으로써 경사면(40)을 두고 앞서 기술한데로 모터부(32)를 동작시키면, 수납식 침대(20)에 수직하방으로의 힘이 작용하기는 하되, 경사면(40)으로 인해 수납식 침대(20)에는 벡터적으로 경사방향으로의 힘이 발생한다. 따라서, 모터부(32)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수납식 침대(20)를 수납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모터부(32)를 이용하는 경우, 수납식 침대(20)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도 2a 혹은 도 2c의 위치로 수납식 침대(20)가 이동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모터부(32)가 동작한다면 모터부(32)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수납식 침대(20)가 수납위치나 사용위치에 도달할 경우 모터부(32)의 동작을 오프(OFF)시키는 별도의 스위칭장치를 더 갖추는 것이 유익하다.
스위칭 장치로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축(31)의 상하단 영역에 장착되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36a,36b)로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승강편(33)이 스크루축(31)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해당 리미트스위치에 접촉하면 모터부(32)의 동작이 자동으로 오프(OFF)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터부(32)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수납식 침대(20)를 사용하지 않아 도 2a와 같이 수납위치로 배치했음에도 불구하고, 침대수납공간(10a)의 전면개구(10b)가 개방되어 있다면,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다. 즉, 수납식 침대(20)가 수납위치에 배치되었다면 침대수납공간(10a)의 전면개구(10b)를 폐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반대로, 수납식 침대(20)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침대수납공간(10a)의 전면개구(10b)가 개방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상기 수납식 침대(20)가 수납위치에 배치될 경우에는 침대수납공간(10a)의 전면개구(10b)를 폐쇄하도록 하고, 수납식 침대(20)가 사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침대수납공간(10a)의 전면개구(10b)를 개방하도록 하는 도어를 추가로 마련하고 있다.
침대수납공간(10a)의 전면개구(10b)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도어는, 도 6에예시되는 자바라타입 주름도어(50)와 함께, 도 7에 소개되는 상하 승강도어(54)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6에 도시되는 자바라식 주름도어(50)를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침대수납공간(10a)의 좌우 측면판넬(10c)에 자바라식 주름도어(5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52)을 형성해야 한다. 그리고 자바라식 주름도어(50)의 일단은 상기 침대(20)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와 연결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그러면, 전술한 침대구동부(30)에 의해 수납식 침대(20)가 수납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될 경우, 상기 침대(20)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에 그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자바라식 주름도어(50)를 잡아끌기 때문에 침대수납공간(10a)의 전면개구(10b)를 폐쇄하고 있던 주름도어(50)는 수납식 침대(20)의 이동에 연동하여 레일(52)을 따라 침대수납공간(10a) 내로 수용된다.
반대로, 침대구동부(30)에 의해 수납식 침대(20)가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될 경우라면, 역시 상기 침대(20)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에 그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자바라식 주름도어(50)가 침대(20) 프레임의 상승한 높이만큼 레일(52)을 따라 밀리어 올라가면서 결국 침대수납공간(10a)의 전면개구(10b)를 가리우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 예시하듯이 상기 도어를 도 7에서와 같이 상하이동식 승강도어(54)로 설치하고자 한다면, 상기 침대수납공간(10a)의 좌우 측벽판넬(10c) 전면에는 상기 승강도어(54)의 좌우 양단돌기(54a)가 끼워져 그 이동을 안내하는 상하방향으로의 레일(56)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승강도어(54)의 하단에는 상기 침대수납공간(10a) 상측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풀리(58)를 경유하여 상기 침대(20)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와 연결되는 견인와이어(60)를 이어지도록 설치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견인타입의 수납식 침대(20)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침대구동부(30)는, 승강안내축(31a)을 따라 승강하며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이 상기 침대(20)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와 관절이음되는 승강편(33a)과, 상기 침대(20)의 프레임 외측부재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침대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여하는 구름바퀴(34), 그리고 상기 침대(20)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적어도 하나이상의 풀리(58)를 경유하여 와이어감김로울(62)에 권취되는 구동와이어(60)로 이루어진다.
도 3에 예시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감김로울(62)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와이어감김로울(62)에 권취되어 있는 구동와이어(60)를 풀거나 감아주는 동작을 통해서 상기 승강안내축(31a)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승강편(33a)을 취부한 침대(20) 프레임 일측을 상하방향으로 제어함으로서 수납식 침대(20)는 도 3a(수납위치)에서 도 3b(사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와이어감김로울(62)은 별도의 구동모터(도시생략)와 연결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연결바아 타입 수납식 침대(20)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도 4의 크로스 연결바아 타입 수납식 침대의 프레임 작동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4와 도 5에 예시되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침대구동부(30)는, 상기 승강안내축(31a)을 따라 승강하며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이 상기 침대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와 관절이음되는 승강편(33a)과, 상기 침대의 프레임 외측부재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침대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여하는 구름바퀴(34)를 포함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안내축(31a)과 이격된체 상기 승강안내축(31a)의 저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 양방향기어를 가진 구동축(62)과, 상기 구동축(62)의 일단에 연결되어 구동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으로서의 모터부(65)를 포함한다.
여기에 더하여 상기 구동축(62)을 따라 이격되게 나사결합되어, 구동축 회전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좌우 한쌍의 이동관(64a)과, 침대 프레임 외측부재의 저부에 상기 구동축(62)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안내축(66)을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축(66)에는 안내축(66)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안내관(66a)을 구비하게 되고, 상기 구동축(62) 상의 이동관(62a)과 상기 안내축(66) 상의 안내관(66a)을 교차시켜 연결하는 크로스 연결바아(68)로 설치함으로서 좁은 공간을 넣게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에 있어 보다 안전한 수납식 침대(20)용 침대구동부(30)를 제공하게 된다.
도 8은 또한, 편심캠(70)을 이용한 프레임 초기 전개수단의 부분 사시도,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초기 전개수단으로써 경사면(40)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스크루축(31)의 하부에 편심캠(70)을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스크루축(31)이 초기 1회전의 구동시 침대 프레임을 스크루축(3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킬수 있게 됨으로서 수직방향에서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한 프레임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해, 모터부(32)의 동작에 의해 스크루축(31)이 회전하기 시작할 경우, 스크루축(31)을 따라 회전한 편심캠(70)이 수납식 침대(20)의 프레임 하단을 수평방향으로 밀기 때문에 수납식 침대(20)가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기본적인 신규의 특징들만이 설명되고 지적되었으나, 그 용도 뿐 아니라 장치의 상세한 형태에 있어 여러 가지의 생략 사항들, 대체물들, 그리고 변화들이 본 고안의 사상 또는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가하거나 대체하여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논의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좁은 공간을 넣게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에 있어 보다 안전한 수납식 침대용 가구가 제공된다.

Claims (9)

  1. 침대수납공간을 가지며, 침대수납공간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침대를 세워서 수용하게 되는 수납부재와;
    상기 침대수납공간의 내측 벽면에 근접하게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승강안내축과;
    상기 승강안내축을 따라 일면이 승강하여 침대수납공간에 세워져 수납되는 수납위치와 상기 침대수납공간으로부터 출몰되어 바닥에 놓이는 사용위치간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수납식 침대와;
    상기 침대수납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식 침대를 동작시키는 침대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구동부는,
    상기 승강안내축이 외주연에 일방향 나사부가 형성되는 스크루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루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모터부)와;
    상기 스크루축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이 상기 침대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와 관절이음되는 승강편과;
    상기 침대의 프레임 외측부재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침대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여하는 구름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구동부는,
    상기 승강안내축을 따라 승강하며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이 상기 침대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와 관절이음되는 승강편과;
    상기 침대의 프레임 외측부재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침대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여하는 구름바퀴; 그리고,
    상기 침대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적어도 하나이상의 풀리를 경유하여 와이어감김로울에 권취되는 구동와이어;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구동부는,
    상기 승강안내축을 따라 승강하며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이 상기 침대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와 관절이음되는 승강편과;
    상기 침대의 프레임 외측부재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침대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여하는 구름바퀴;
    상기 승강안내관과 이격된체 상기 승강안내관의 저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 양방향기어를 가진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구동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모터부)와;
    상기 구동축을 따라 이격되게 나사결합되어, 구동축 회전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좌우 한쌍의 이동관;
    침대 프레임 외측부재의 저부에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안내축;
    상기 안내축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안내관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 상의 이동관과 상기 안내축 상의 안내관을 교차시켜 연결하는 크로스 연결바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식 침대가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사용위치로 전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침대의 슬라이딩 이동 초기상태에서 상기 침대를 향해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원하는 프레임 초기 전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초기 전개수단은,
    상기 승강안내관 하부에 형성된 편심캠과, 상기 침대수납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경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식 침대가 상기 수납위치에 배치될 경우 상기 침대수납공간의 전면개구를 폐쇄하도록 하고;
    상기 수납식 침대가 상기 사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침대수납공간의 전면개구를 개방하도록 하는 도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침대용 가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자바라식 주름도어이며;
    상기 침대수납공간의 좌우측 벽면에는 상기 주름도어의 좌우 양단이 끼워져 그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도어의 일단은 상기 침대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하이동식 승강도어이며;
    상기 침대수납공간의 좌우측 벽체 전면에는 상기 승강도어의 좌우 양단 돌기가 끼워져 그 이동을 안내하는 상하방향으로의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도어의 하단은 상기 침대수납공간 상측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침대의 프레임 내측부재 저부와 연결되는 견인와이어로 이어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
KR20-2004-0009574U 2004-04-07 2004-04-07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 KR2003538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574U KR200353822Y1 (ko) 2004-04-07 2004-04-07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574U KR200353822Y1 (ko) 2004-04-07 2004-04-07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822Y1 true KR200353822Y1 (ko) 2004-06-22

Family

ID=4943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574U KR200353822Y1 (ko) 2004-04-07 2004-04-07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8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293B1 (ko) 2013-08-27 2014-02-17 (주)건축사사무소 성우건축 프레임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293B1 (ko) 2013-08-27 2014-02-17 (주)건축사사무소 성우건축 프레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6612A (en) Self leveling flush slide-out floor
US6550081B2 (en) Lift bed with belt drive
KR102094355B1 (ko) 캠핑카용 태양광 발전 장치
EP4023966A1 (en) Refrigerator having height-adjustable shelf
JP3004526B2 (ja) 移動式壁掛ベッド
KR200353822Y1 (ko) 일면승강형 수납식 침대
CN209915491U (zh) 折叠壁床
CN110279245B (zh) 一种折叠壁床
KR100559615B1 (ko)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KR20080107139A (ko) 싱크대의 상부장 승강 장치
CN212249549U (zh) 一种电驱动解锁机构及床护栏
KR0133365Y1 (ko) 위치전환식 이단주차장치
CN105686416A (zh) 一种多功能智能家具
CN111173338A (zh) 遥控停车运载平台及包括该遥控停车运载平台的车辆
KR101211179B1 (ko) 공간 가변형 발코니
CN217397608U (zh) 一种翻转导轨结构
CN216201793U (zh) 一种地铁调度用lcd显示屏装置
CN219022016U (zh) 翻身床
CN110833270A (zh) 一种可横向伸缩的升降橱柜
CN109881933B (zh) 一种非机动车立体升降停车装置
CN219629247U (zh) 一种穿衣全身镜用支撑防翻倒装置
KR200218264Y1 (ko) 주차장치
CN220645397U (zh) 一种泳池盖及泳池
US20230408180A1 (en)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storage container
CN109487506A (zh) 升降装置和包括该升降装置的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