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365A - 정보 전달 시스템, 정보 전달 방법, 전기 기기 통신 장치,정보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전달 시스템, 정보 전달 방법, 전기 기기 통신 장치,정보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365A
KR20050104365A KR1020057014382A KR20057014382A KR20050104365A KR 20050104365 A KR20050104365 A KR 20050104365A KR 1020057014382 A KR1020057014382 A KR 1020057014382A KR 20057014382 A KR20057014382 A KR 20057014382A KR 20050104365 A KR20050104365 A KR 20050104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transmission
communication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아키 오쿠데
마사후미 사다히라
요시아키 와타나베
아츠시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4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3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4Adaptation or special uses of UDP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전달 시스템, 정보 전달 방법, 전기 기기 통신 장치, 정보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전기 기기(3)를 제어하는 정보 패널(1)은 제 1 송수신부(11)를 구비하고, 정보 패널(1)과 네트워크(4)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서버(2)는 송수신부(21)와, 정보 패널(1)과의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부(22)를 구비하며, 제 1 송수신부(11)는 정기적으로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서버(2)에 송신하고, 송수신부(21)는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하고, 통신 요구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TCP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Description

정보 전달 시스템, 정보 전달 방법, 전기 기기 통신 장치, 정보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ELECTRIC DEVICE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본 발명은 정보 공급자 등이 갖는 서버가 정보망을 경유하여 정보 패널에 대하여 정보를 전달하거나 혹은 서버가 정보망을 거쳐서 정보 패널 자체나 정보 패널에 접속한 전기 기기나 정보 패널과 통신할 수 있는 전기 기기를 제어나 상태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정보 전달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정보 전달 방법, 전기 기기 통신 장치, 정보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보 공급자 등이 갖는 서버가 정보망(네트워크)을 거쳐서 정보 패널에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혹은 서버가 정보 패널 등을 제어,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이 고안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300430 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조리(調理) 정보 시스템은, 소정의 통신망을 거쳐서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정보 제공자 서버와, 통신망을 거쳐서 정보 제공자 서버와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이용자 단말과, 이용자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밥솥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정보 제공자 서버는 본 발명의 서버에 상당하고, 이용자 단말은 본 발명의 정보 패널에 상당하며, 밥솥은 본 발명의 전기 기기에 상당한다.
또한, 도 13에 다른 종래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종래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종래의 정보 전달 시스템(100)은 정보 패널(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전기 기기 통신 장치에 상당함)(101)과 서버(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정보 통신 장치에 상당함)(10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정보 패널(101)은 송수신부(10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서버(102)는 송수신부(104)와, 정보 패널(1)에 대한 정보 전달 요구 혹은 정보 패널(1)로의 제어 모니터링 요구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부(105)와, 정보 전달에 관한 순서나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버퍼(10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정보 패널(101)의 송수신부(103)와, 서버(102)의 송수신부(104)는 정보망(네트워크)(107)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정보망(107)으로서는, 예컨대, 인터넷망이다. 트리거 발생부(105)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조작 스위치나 타이머나 센서 등이 생각된다. 버퍼(106)는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종래의 정보 전달 시스템(100)의 정보 전달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서는, 정보 패널(101), 서버(102) 및 트리거 발생부(105)에 의한 정보의 수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111) 내지 (117)은 각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4에 있어서, 정기(定期) TCP(111, 112, 114, 117)는 정보 패널(101)이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정기적으로 발하는 정보를 나타내고 있으며, 요구 TCP(115)는 서버(102)가 TC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하는 요구 정보를 나타내고 있고, 결과 TCP(116)는 정보 패널(101)이 TC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하는 결과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도 14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순서를 이용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종래의 정보 전달 시스템(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종래예에 있어서, 정보 패널(101)은 인터넷망(107)에 접속하고 있다. 정보 패널(101)이 갖는 IP 어드레스는, 상시 고정된 광역(global) 어드레스로 인터넷망(107)에 접속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프로바이더(provider) 등이 점차 전환하는 IP 어드레스로 인터넷망(107)에 접속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 패널(101)의 IP 어드레스는 고정 어드레스가 아니기 때문에, 서버(102)는 정보 패널(101)의 IP 어드레스를 상시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서버(102)의 트리거 발생부(105)에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정보 패널(101)은 정보 패널(101)의 그 시점에서의 IP 어드레스를 서버(102)에 알리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IP 어드레스 정보를 송신하고 있다. 이것이, 도 14에 나타내는 정기 TCP(111, 112, 114, 117)이다. 이와 같이, 정보 패널(101)이 정기적으로 IP 어드레스를 서버(102)에 송신함으로써, 서버(102)는 확실히 정보 패널(101)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확실히 정보 패널(101)을 제어할 수 있으며, 확실히 정보 패널(101)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트리거 발생부(105)에 정보 패널(101)로의 제어 요구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트리거 발생부(105)는 제어 요구 신호(113)를 발생한다. 그러나, 이 때 서버(102)는 정보 패널(101)의 그 시점에서의 IP 어드레스를 알지 못한다. 그 때문에, 즉시 정보 패널(101)에 대하여 요구 신호를 발생할 수 없어, 정보 패널(101)에 대한 제어 요구가 있는 것을 버퍼(106)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제어 요구 신호(113)가 발생하고 난 후, 서버(102)에 전달된 정기 TCP(114)를 서버(102)가 수신했을 때, 그 시점에서의 정보 패널(101)의 IP 어드레스를 서버(102)는 인식할 수 있어, 서버(102)의 송수신부(104)는 정보 패널(101)의 송수신부(103)에 대하여 요구 TCP(115)를 발생할 수 있다. 요구 TCP(115)를 수신한 정보 패널(101)은 필요한 처리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결과 TCP(116)로서 서버(102)에 대해서 송신하고, 정보 전달 시스템(100)은 트리거 발생부(105)에서 발생한 제어 요구 트리거에 관한 일련의 정보 전달을 완료한다.
그러나, 종래의 정보 전달 시스템(100)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요구 트리거가 발생하고 나서 정보 패널(101)이나 서버(102)에서 제어가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에, 제어 요구 신호(113)가 발생하고 나서 정기 TCP(114)가 발생할 때까지의 동안의 여분의 시간이 발생한다. 제어 요구 신호(113)가 정기 TCP(114)의 직전에 발생한 경우, 그 여분의 시간은 비교적 짧지만, 제어 요구 신호(113)가 정기 TCP(112)의 직후에 발생한 경우, 정기 TCP를 송신하는 간격의 대부분의 시간에 상당하는 제어 지연이 발생하게 되어, 실시간에서의 정보 제공이나 제어가 곤란해진다. 또한, 정기 TCP의 시간 간격을 짧게 하면 상기 여분의 시간은 상대적으로 짧게 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정보 패널(101)이나 서버(102)에서의 처리 태스크가 빈번하게 되고, 또한, 네트워크(107)가 상시 비지(busy) 상태로 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간격을 짧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정보 통신 장치에서 제어 요구가 발생하고 나서 전기 기기 통신 장치에 정보가 전달되는 시간 간격을 단축할 수 있어, 실시간에서의 정보 제공이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는 정보 전달 시스템, 정보 전달 방법, 전기 기기 통신 장치, 정보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서 보다 명백해진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정보 전달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실시예 1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정보 전달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실시예 1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정보 전달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실시예 2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예 2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정보 전달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실시예 2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종래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종래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정보 전달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10)은 정보 패널(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전기 기기 통신 장치에 상당함)(1), 서버(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정보 통신 장치에 상당함)(2) 및 전기 기기(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정보 패널(1)은 서버(2)와 정보망(4)(이하, 네트워크(4)라고 함)을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예컨대, 전기 기기(3)를 제어하는 제어기이다. 정보 패널(1)은 제 1 송수신부(11), 제 2 송수신부(12), 표시부(13), 조작부(14) 및 제어부(1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 패널(1)은 전기 기기(3)를 제어하는 제어기이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리모콘(remote controller), 퍼스널 컴퓨터 및 텔레비전 등이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정보 패널(1)은 하나의 전기 기기만을 제어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전기 기기를 제어하더라도 된다.
제 1 송수신부(11)는, 네트워크(4)를 거쳐서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네트워크(4)를 거쳐서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제 2 송수신부(12)는, 전기 기기(3)의 송수신부(31)에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전기 기기(3)의 송수신부(31)에 의해서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표시부(13)는 전기 기기(3)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한다. 조작부(14)는 전기 기기(3)를 정보 패널(1)에 의해서 조작하는 경우에 이용하여, 정보 패널(1)을 조작하는 조작 정보를 접수한다. 제어부(15)는, 예컨대 CPU(중앙 연산 처리 장치)로 구성되며, 제 1 송수신부(11), 제 2 송수신부(12), 표시부(13) 및 조작부(14)를 제어한다.
서버(2)는 정보 패널(1)과 네트워크(4)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송수신부(21), 트리거 발생부(22), 버퍼(23) 및 제어부(2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21)는, 네트워크(4)를 거쳐서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네트워크(4)를 거쳐서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와,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네트워크(4)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4)로서는, 예컨대, 인터넷망이다. 트리거 발생부(22)는, 예컨대 스위치나 타이머나 센서 등으로 구성되며, 정보 패널(1)과의 통신을 요구하는 트리거로 되는 통신 요구 신호를 발생시킨다. 버퍼(23)는, 예컨대 메모리로 구성되며, 정보 전달에 관한 데이터나 순서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24)는, 예컨대 CPU로 구성되며, 송수신부(21), 트리거 발생부(22) 및 버퍼(23)를 제어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는 퍼스널 컴퓨터, 휴대 단말 및 휴대 전화기 등의 정보 기기이더라도 무방하다.
또, 네트워크(4)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21)와,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부(22)를 구비하는 서버(2)와 네트워크(4)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정보 패널(1)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프로그램은 정보 패널(1) 내의 외부 기억 장치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정보 패널(1)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프로그램은 CD-ROM, DVD-ROM 및 플렉시블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하더라도 된다. 이 경우, CD-ROM 드라이브, DVD-ROM 드라이브 및 플렉시블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성되는 기록 매체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정보 패널(1)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프로그램이 외부 기억 장치에 인스톨된다. 또한, 정보 패널(1)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프로그램이 네트워크(4)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다른 컴퓨터 등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 당해 컴퓨터 등으로부터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 패널(1)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도록 하더라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4)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 1 송수신부(11)를 구비하는 정보 패널(1)과 네트워크(4)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서버(2)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프로그램은 서버(2) 내의 외부 기억 장치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서버(2)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프로그램은 CD-ROM, DVD-ROM 및 플렉시블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하더라도 된다. 이 경우, CD-ROM 드라이브, DVD-ROM 드라이브 및 플렉시블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성되는 기록 매체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서버(2)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프로그램이 외부 기억 장치에 인스톨된다. 또한, 서버(2)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프로그램이 네트워크(4)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다른 컴퓨터 등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 당해 컴퓨터 등으로부터 네트워크를 거쳐서 서버(2)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도록 하더라도 된다.
전기 기기(3)는 정보 패널(1)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송수신부(3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31)는,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에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에 의해서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전기 기기(3)는, 예컨대,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밥솥, 청소기, 조리 기기, 가스 급탕기, 중앙 난방 시스템(central heating system), 전기 온수기, 가정용 폐열 발전 장치 등 여러 종류의 기기로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기기(3)를 가스 급탕기로 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패널(1)이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일례에 상당하고, 서버(2)가 정보 통신 장치의 일례에 상당하고, 제 1 송수신부(11) 및 제 2 송수신부(12)가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의 일례에 상당하고, 송수신부(21)가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의 일례에 상당하며, 트리거 발생부(22)가 트리거 발생 수단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정보 전달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 및 제 2 송수신부(12), 서버(2)의 송수신부(21), 전기 기기(3)의 송수신부(31) 및 서버(2)의 트리거 발생부(22)에 의한 정보의 수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61) 내지 (72)는 각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에 있어서, 정기 UDP(61, 63, 71)는 정보 패널(1)이 UDP(User Datagram Protocol)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IP 어드레스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확인 UDP(62, 64, 72)는 정보 패널(1)로부터의 정기 UDP(61, 63, 71)에 대하여, 서버(2)가 UD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확인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요구 응답 UDP(66)는 서버(2)가 UD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요구 응답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확인 UDP(67)는 서버(2)로부터의 요구 응답 UDP(66)에 대하여, 정보 패널(1)이 UD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확인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결과 TCP(70)는 정보 패널(1)이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결과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결과 TCP(70)는 전기 기기(3)의 상태 변화 데이터나 제어 요구에 대한 응답 결과 등이다. 예컨대, 전기 기기(3)가 가스 급탕기라고 하면, 가스 급탕기에 대한 제어 명령인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 것, 또한 시간이 경과하여 욕실로의 급탕량이 적량(適量)에 달하여 급탕을 종료하는 것 등의 가스 급탕기에 관한 정보가, 정보 패널(1)을 경유하여 결과 TCP(70)에 의해 서버(2)로 전달된다. 물론 전기 기기(3)는 가스 급탕기 이외의 기기이더라도 되며, 제어 요구가 욕실로의 급탕 개시 이외이더라도 무방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션리스(connectionless)형 프로토콜로서 UDP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커넥션(connection)형 프로토콜로서 TCP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UDP 프로토콜 이외의 다른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도 되고, TCP 프로토콜 이외의 다른 커넥션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도 된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순서를 이용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패널(1)은 네트워크(인터넷망)(4)에 접속하고 있다. 정보 패널(1)이 갖는 IP 어드레스는 상시 고정된 광역 어드레스로 네트워크(4)에 접속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프로바이더(provider) 등이 점차 전환하는 IP 어드레스로 네트워크(4)에 접속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 패널(1)의 IP 어드레스는 고정 어드레스가 아니기 때문에, 서버(2)는 정보 패널(1)의 IP 어드레스를 상시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서버(2)의 트리거 발생부(22)에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정보 패널(1)은 정보 패널(1)의 그 시점에서의 IP 어드레스를 서버(2)에 알리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IP 어드레스 정보를 송신하고 있다. 이것이, 도 2에 나타내는 정기 UDP(61, 63, 71)이다. 이와 같이, 정보 패널(1)이 정기적으로 IP 어드레스 정보를 서버(2)에 송신함으로써, 서버(2)는 확실히 정보 패널(1)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확실히 정보 패널(1)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확실히 정보 패널(1)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정기 UDP(61)가 송신되고 나서 정기 UDP(63)가 송신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예컨대, 2분이다. 또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정보 패널(1)과 서버와의 세션(session)이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세션이 개방된 것을 검출하여 정기 UDP를 송신하더라도 된다.
또한,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정보 패널(1)과 서버(2)와의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세션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을 학습하여, 학습한 시간에 따라 정기 UDP를 송신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하더라도 된다. 구체적으로,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정기 UDP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정기 UDP를 송신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조금씩 길게 하여, 확인 UDP를 수신할 수 없으면, 정기 UDP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정기 UDP를 송신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짧게 한다.
이와 같이, 정보 패널(1)과 서버(2)와의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세션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이 학습되어, 학습된 시간에 따라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송신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이 설정된다. 따라서, 정보 패널(1)과 서버(2)와의 세션이 항상 확립되어 있는 상태로 할 수 있어, 세션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없앨 수 있어, 특히, 자동적으로 세션이 개방되는 경우에 유효하다.
서버(2)의 트리거 발생부(22)에 예컨대 정보 패널(1)과 통신 가능한 전기 기기(3)의 제어 요구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트리거 발생부(22)는 제어 요구 신호(65)를 발생하여, 그 내용을 버퍼(23)에 저장한다. 이 때, 서버(2)와 정보 패널(1) 사이는 정보 패널(1)로부터 발생한 정기 UDP(63)에 의해서 세션이 확립되어 있고,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즉시 정보 패널(1)의 그 시점에서의 IP 어드레스, 즉 정기 UDP(63)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요구 응답 UDP(66)를 송신한다.
여기서, 예컨대, 정기 UDP(63)가 TC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였다고 하면, TCP 프로토콜의 정기 신호의 통신이 완료한 시점에서 서버(2)로부터 정보 패널(1)에 대하여 ACK 신호를 반송하는 등의 일련의 처리를 한 후, 서버(2)와 정보 패널(1)과의 세션은 개방된다. 그 때문에, 세션이 개방된 시점에서 서버(2)는 정보 패널(1)의 IP 어드레스를 알 수 없게 되어,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제어 요구 신호(65)가 발생했을 때 즉시 요구 응답 UDP(66)를 송신할 수 없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정기 UDP(63)는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이기 때문에, 통신이 완료한 시점에서 반드시 세션이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요구 신호(65)가 발생했을 때, 서버(2)는 정보 패널(1)의 그 시점의 IP 어드레스를 알고 있어,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즉시 정보 패널(1)에 대하여 요구 응답 UDP(66)를 송신할 수 있다. 요구 응답 UDP(66)를 수신한 정보 패널(1)은 제 2 송수신부(12)로부터 전기 기기(3)의 송수신부(31)에 대하여 제어 처리 신호(68)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전기 기기(3)는 규정대로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 규정대로의 제어란, 예컨대, 전기 기기(3)가 갖는 디폴트(default) 제어나 타이머 제어 등의 각종 제어나, 타이머 설정 등의 각종 설정 등이다. 제어 처리 신호(68)에 의한 제어의 결과 등에 의해서 전기 기기(3)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 상태 변화 정보(69)가 전기 기기(3)로부터 정보 패널(1)에 전달되고, 그 결과가 결과 TCP(70)로서 서버(2)에 전달되어 일련의 정보 전달을 완료한다. 또, 전기 기기(3)의 상태란, 전기적으로 검출 가능한 전기 기기(3)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예컨대, 정보 패널(1)과 통신할 수 있는 전기 기기(3)가 가스 급탕기라고 한다. 서버(2)의 트리거 발생부(22)에서 발생한 가스 급탕기에 대한 제어 요구가 욕실로의 급탕 개시의 요구였을 때,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욕실로의 급탕 개시를 요구하는 요구 응답 UDP(66)을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서버(2)로부터 요구 응답 UDP(66)를 수신한다.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는 가스 급탕기에 대하여 욕실로의 급탕 개시의 제어 처리 신호(68)를 송신한다.
상기 일련의 정보 전달에 의해, 가스 급탕기는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다. 또한, 가스 급탕기의 송수신부(31)는, 예컨대,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 것이나, 시간이 경과하여 욕실로의 급탕량이 적량에 달하여 급탕을 종료하는 것 등의 가스 급탕기의 상태 변화에 관한 상태 변화 정보(69)를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에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는 가스 급탕기로부터의 상태 변화 정보(69)를 수신하고,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결과 TCP(70)를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된 결과 TCP(70)를 수신하여, 일련의 정보 전달 처리를 완료한다. 물론 전기 기기(3)는 가스 급탕기 이외의 기기이더라도 되고, 통신망(4)은 인터넷망 이외라도 되며, 제어 요구가 욕실로의 급탕 개시 이외이더라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물론 일련의 정보 전달을 완료한 후에도 정보 패널(1)은 정기 UDP를 정기 UDP(71)와 같이 계속 송출한다.
여기서, 정기 UDP는 반드시 일정 간격으로 계속 송출되기 것은 아니며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계속 송출되면 되는 것이다. 또한,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는 신호 전달 시에 ACK 신호를 반송하지 않기 때문에, TC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에 비해서 신뢰성이 낮아진다. 그래서,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기 UDP(61, 63, 71)를 수신하면, 확인 UDP(62, 64, 72)를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정기 UDP(61, 63, 71)에 대하여 확인 UDP(62, 64, 72)가 서버(2)로부터 정보 패널(1)에 대하여 송출되기 때문에, 정보 전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요구 응답 UDP(66)에 대해서는 확인 UDP(67)을 송출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정보 전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정보 패널(1)은 표시부(13)나 조작부(14)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정보 패널(1)에서 전기 기기(3)의 상태나, 서버(2)와의 통신 상태의 확인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정보 송출의 내용을 설정할 수 있는 등의 지극히 큰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또, 전기 기기(3)는 정보 패널(1)과 통신에 의해 제어를 하는 것은 아니며 정보 패널(1)의 단자 등에 직접 접속하고 있어 제어할 수 있어도 무방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요구 응답 UDP(66)는 TCP 프로토콜의 신호라도 무방하다. 이 경우, 요구 응답 UDP(66)에 대한 확인 UDP(67)이 불필요하며, TC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에 의해, 확실히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기기(3)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 전달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정보 패널(1) 자신의 제어나, 일기 예보, 시각표, 현재 시각, 가스 사용량, 전기 사용량, 수도 사용량, 가스 요금, 전기 요금 및 수도 요금 등의 생활 정보 등의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이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 기기(3)는 가스 계량기, 전력 계량기 및 수도 계량기 등의 각종 계량기이더라도 무방하다. 전기 기기(3)가 가스 계량기, 전력 계량기 및 수도 계량기 등의 각종 계량기인 경우, 정보 전달 시스템은 계량기의 원격 차단이나 원격 복귀(개방) 등의 제어를 하기 위한 정보 전달에 적용하더라도 된다. 또한, 상태 변화 정보(69)와 결과 TCP(70)는 전기 기기(3)나 정보 패널(1) 등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에만 송출하는 것은 아니고, 일정 시간마다, 그 시점에서의 전기 기기(3)나 정보 패널(1) 등의 상태를 전하기 위해 전달하더라도 무방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와 같이, 트리거 발생부(22)에 통신 요구가 발생했을 때,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그 이전에 정보 패널(1)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정기 UDP)를 수신한 것에 의해서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와 세션이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서버의 송수신부(21)는 정기 UDP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다음 정기 UDP를 기다리는 일없이, 즉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요구 응답 UDP)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요구 응답 TCP)를 발생할 수 있어, 트리거 발생부(22)에서의 통신 요구 발생으로부터 요구 응답 UDP 또는 요구 응답 TCP의 송신까지의 시간 지연이 없는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따라서, 서버(2)에서 제어 요구가 발생하고 나서 정보 단말(1)에 정보가 전달되는 시간 간격을 단축할 수 있어, 실시간에서의 정보 제공이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요구 응답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결과 정보가 송신되기 때문에, 전기 기기 통신 장치(정보 패널(1))의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정기 UDP)가 수신되었을 때, 정기 UDP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확인 UDP)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확인 TCP)가 송신되기 때문에, 기본 프로토콜로서 통신의 전달 확인을 하지 않는 정기 UDP의 전달 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서버(2)의 송수신부(21)로부터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요구 응답 UDP)가 수신되었을 때, 요구 응답 정보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확인 UDP)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확인 TCP)가 송신되기 때문에, 기본 프로토콜로서 통신의 전달 확인을 하지 않는 요구 응답 UDP의 전달 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수신했을 때, 전기 기기(3)의 송수신부(31)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정보 패널(1)에 접속한 전기 기기(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2)는 정보 패널(1) 또는 전기 기기(3)의 변화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어, 제어됨에 따라 변화된 정보 패널(1) 또는 전기 기기(3)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기 기기가 온수 이용 장치로서 적용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온수 이용 장치란, 가스나 전력이나 석유 등의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온수를 생성하고, 생성한 온수를 욕실이나 부엌이나 세면소 등에서 직접 사용할 목적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며, 또한, 생성한 온수를 이용한 거실 난방이나 욕실 난방이나 욕실 건조나 팬히터나 에어컨의 난방 등의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20)은 정보 패널(1), 서버(2) 및 온수 이용 장치(3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20)에 있어서의 정보 패널(1) 및 서버(2)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10)에 있어서의 정보 패널(1) 및 서버(2)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10)과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정보 패널(1)은 서버(2)와 정보망(4)(이하, 네트워크(4)라고 함)을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예컨대, 온수 이용 장치(3a)를 제어하는 제어기이다. 정보 패널(1)은 제 1 송수신부(11), 제 2 송수신부(12), 표시부(13), 조작부(14) 및 제어부(1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 패널(1)은 온수 이용 장치(3a)를 제어하는 제어기이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리모콘, 퍼스널 컴퓨터 및 텔레비전 등이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정보 패널(1)은 온수 이용 장치(3a)만을 제어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전기 기기를 제어하더라도 된다.
서버(2)는 정보 패널(1)과 네트워크(4)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송수신부(21), 트리거 발생부(22), 버퍼(23) 및 제어부(2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는 퍼스널 컴퓨터, 휴대 단말 및 휴대 전화기 등의 정보 기기이더라도 된다.
온수 이용 장치(3a)는 열원기(熱源機)(32), 욕실 리모콘(33), 거실 난방기(34) 및 욕실 건조기(3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열원기(32)는 가스, 전기 또는 석유 등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온수를 생성해서 공급하는 것으로, 이른바 열탕기이다. 열원기(32)는 생성한 온수를 욕실, 부엌, 세면소 등에 대하여 공급하는 급탕 기능과, 생성한 온수를 거실 난방, 욕실 난방기, 욕실 건조기, 팬히터, 에어컨 등의 열원으로서 이용하는 난방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열원기(32)는 송수신부(3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31)는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에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에 의해서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욕실 리모콘(33)은 급탕 등의 제어를 행하고, 주로 욕실에 설치된다. 거실 난방기(34)는 열원기(32)에서 생성한 온수를 이용하여 거실을 따뜻하게 한다. 욕실 건조기(35)는 열원기(32)에서 생성한 온수를 이용하여 욕실을 건조시킨다. 또, 거실 난방기(34) 및 욕실 건조기(35)는 욕실 난방기, 팬히터, 에어컨 등의 온수를 이용하는 기기이더라도 무방하다.
다음에, 도 3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순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정기적으로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IP 어드레스 정보(정기 UDP)를 서버(2)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되는 정기 UDP를 수신하여,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확인 UDP)를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되는 확인 UDP를 수신한다.
여기서, 서버(2)의 트리거 발생부(22)에 있어서, 예컨대 정보 패널(1)과 통신 가능한 온수 이용 장치(3a)의 제어 요구 트리거, 구체적으로 예컨대 열원기(32)에 접속된 거실 난방기(34)를 ON하는 제어 요구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트리거 발생부(22)는 제어 요구 신호(65)를 발생하여, 그 내용을 버퍼(23)에 저장한다. 이 때, 서버(2)와 정보 패널(1) 사이는 정보 패널(1)로부터 발생한 정기 UDP(63)에 의해서 세션이 확립되어 있고,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즉시 정보 패널(1)의 그 시점에서의 IP 어드레스, 즉 정기 UDP(63)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요구 응답 UDP(66)를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된 요구 응답 UDP(66)을 수신하여, 확인 UDP(67)를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되는 확인 UDP(67)를 수신한다. 요구 응답 UDP(66)를 수신한 정보 패널(1)은 제 2 송수신부(12)로부터 온수 이용 장치(3a)의 송수신부(31)에 대하여 제어 처리 신호(68)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온수 이용 장치(3a)는 규정대로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규정대로의 제어란, 예컨대, 온수 이용 장치(3a)가 갖는 디폴트 제어나 타이머 제어 등의 각종 제어나, 타이머 설정 등의 각종 설정 등이다. 즉, 트리거 발생부(22)에서 발생한 제어 요구가 욕실로의 급탕 개시의 제어 요구이던 경우,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요구 응답 UDP(66)를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된 요구 응답 UDP(66)를 수신하고,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는 온수 이용 장치(3a)에 대하여 욕실로의 급탕 개시의 제어 처리 신호(68)를 송신한다. 온수 이용 장치(3a)의 송수신부(31)는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에 의해서 송신된 제어 처리 신호(68)를 수신한다.
상기 일련의 정보 전달에 의해, 온수 이용 장치(3a)는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다. 또한, 온수 이용 장치(3a)의 송수신부(31)는, 예컨대,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 것이나, 시간이 경과하여 욕실로의 급탕량이 적량에 달하여 급탕을 종료하는 것 등의 온수 이용 장치(3a)의 상태 변화에 관한 상태 변화 정보(69)를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에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는 온수 이용 장치(3a)로부터의 상태 변화 정보(69)를 수신하고,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결과 TCP(70)를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된 결과 TCP(70)를 수신하여, 일련의 정보 전달 처리를 완료한다.
또, 온수 이용 장치(3a)는 정보 패널(1)과 통신에 의해 제어하는 것은 아니며 정보 패널(1)의 단자 등에 직접 접속하고 있어 제어할 수 있어도 무방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요구 응답 UDP(66)는 TCP 프로토콜의 신호이어도 된다. 이 경우, 요구 응답 UDP(66)에 대한 확인 UDP(67)가 불필요해져, TC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에 의해, 확실히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태 변화 정보(69)와 결과 TCP(70)는 온수 이용 장치(3a)나 정보 패널(1) 등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에만 송출하는 것은 아니고, 일정 시간마다, 그 시점에서의 온수 이용 장치(3a)나 정보 패널(1) 등의 상태를 전하기 위해 전달하더라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기기(3)를 온수 이용 장치(3a)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 기기(3)를 개폐 센서나 인간 감지 센서나 화재 센서나 가스 누출 센서 등의 각종 센서에서 경계하여, 해당 센서가 센싱하는 것에 의해, 음성, 통보 또는 경비원의 호출 등에 의해 대처하는 안전 장치에 적용하더라도 된다. 또한, 전기 기기(3)는 공기 조절 장치, 세탁기, 전자레인지나 밥솥이나 IH 조리기 등의 가열 조리기 및 냉장고나 냉동고나 냉동 냉장고 등의 냉동 냉장 장치이어도 무방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 1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의 정보 전달 시스템(10)과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 것은 동등한 기능을 갖는다고 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30)은 정보 패널(1), 서버(2) 및 전기 기기(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기 기기(3')로서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전기 기기(3)와 마찬가지로 각종 기기가 생각된다. 전기 기기(3')는 정보 패널(1)의 단자에 직접 접속하고 있어, 정보 패널(1)에 의해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보 패널(1)은,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10)과는 달리, 송수신부(11), 표시부(13), 조작부(14) 및 제어부(15)만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 패널(1)은 전기 기기(3')를 제어하는 제어기이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리모콘, 퍼스널 컴퓨터 및 텔레비전 등이더라도 된다. 또한, 정보 패널(1)은 하나의 전기 기기만을 제어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전기 기기를 제어하더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는 퍼스널 컴퓨터, 휴대 단말 및 휴대 전화기 등의 정보 기기이어도 된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30)의 정보 전달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 서버(2)의 송수신부(21), 전기 기기(3') 및 서버(2)의 트리거 발생부(22)에 의한 정보의 수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81) 내지 (93)은 각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에 있어서, 정기 UDP(81, 83, 92)는 정보 패널(1)이 UD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IP 어드레스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확인 UDP(82, 84, 93)는 정보 패널(1)로부터의 정기 UDP(81, 83, 92)에 대하여, 서버(2)가 UD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확인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요구 UDP(86)는 서버(2)가 UD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요구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요구 확인 TCP(87)는 서버(2)로부터의 요구 UDP(86)에 대하여, 정보 패널(1)이 TC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요구 확인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요구 응답 TCP(88)는 정보 패널(1)로부터의 요구 확인 TCP(87)에 대하여, 서버(2)가 TC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요구 응답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결과 TCP(91)는 정보 패널(1)이 TC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결과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결과 TCP(91)는 전기 기기(3')의 상태 변화 데이터나 제어 요구에 대한 응답 결과 등이다. 예컨대, 전기 기기(3')가 가스 급탕기라고 하면, 가스 급탕기에 대한 제어 명령인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 것, 또한 시간이 경과하여 욕실로의 급탕량이 적량에 달하여 급탕을 종료하는 것 등의 가스 급탕기에 관한 정보가, 정보 패널(1)을 경유하여 결과 TCP(91)에 의해 서버(2)로 전달된다. 물론 전기 기기(3')는 가스 급탕기 이외의 기기이어도 무방하고, 제어 요구가 욕실로의 급탕 개시 이외의 것이어도 무방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로서 UDP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커넥션형 프로토콜로서 TCP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UDP 프로토콜 이외의 다른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도 되고, TCP 프로토콜 이외의 다른 커넥션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도 된다.
다음에, 도 5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순서를 이용하여 도 4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30)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패널(1)은 네트워크(인터넷망)(4)에 접속되어 있다. 정보 패널(1)이 갖는 IP 어드레스는 상시 고정된 광역 어드레스로 네트워크(4)에 접속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프로바이더 등이 점차 전환하는 IP 어드레스로 네트워크(4)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정보 패널(1)의 IP 어드레스는 고정 어드레스가 아니기 때문에, 서버(2)는 정보 패널(1)의 IP 어드레스를 상시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서버(2)의 트리거 발생부(22)에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정보 패널(1)은 정보 패널(1)의 그 시점에서의 IP 어드레스를 서버(2)에 알리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IP 어드레스 정보를 송신하고 있다. 이것이, 도 5에 나타내는 정기 UDP(81, 83, 92)이다. 이와 같이, 정보 패널(1)이 정기적으로 IP 어드레스 정보를 서버(2)에 송신함으로써, 서버(2)는 확실히 정보 패널(1)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확실히 정보 패널(1)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확실히 정보 패널(1)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정기 UDP(81)가 송신되고 나서 정기 UDP(83)가 송신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예컨대, 2분이다. 또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정보 패널(1)과 서버와의 세션이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세션이 개방된 것을 검출하여 정기 UDP를 송신하더라도 된다.
또한,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정보 패널(1)과 서버(2)와의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세션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을 학습하여, 학습한 시간에 따라 정기 UDP를 송신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하더라도 된다. 구체적으로,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정기 UDP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정기 UDP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조금씩 길게 하고, 확인 UDP를 수신할 수 없으면, 정기 UDP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정기 UDP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짧게 한다.
이와 같이, 정보 패널(1)과 서버(2)와의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세션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이 학습되어, 학습된 시간에 따라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이 설정된다. 따라서, 정보 패널(1)과 서버(2)와의 세션이 항상 확립하고 있는 상태로 할 수 있어, 세션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없앨 수 있으므로, 특히, 자동적으로 세션이 개방되는 경우에 유효하다.
서버(2)의 트리거 발생부(22)에 예컨대 정보 패널(1)과 통신 가능한 전기 기기(3')의 제어 요구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트리거 발생부(22)는 제어 요구 신호(85)를 발생하여, 그 내용을 버퍼(23)에 저장한다. 이 때, 서버(2)와 정보 패널(1) 사이는 정보 패널(1)로부터 발생한 정기 UDP(83)에 의해서 세션이 확립하고 있고,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즉시 정보 패널(1)의 그 시점에서의 IP 어드레스, 즉 정기 UDP(83)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요구 UDP(86)를 송신한다.
여기서, 예컨대, 정기 UDP(83)가 TC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였다고 하면, TCP 프로토콜의 정기 신호의 통신이 완료한 시점에서 서버(2)로부터 정보 패널(1)에 대하여 ACK 신호를 반송하는 등의 일련의 처리를 실행한 후, 서버(2)와 정보 패널(1)과의 세션은 개방된다. 그 때문에, 세션이 개방된 시점에서 서버(2)는 정보 패널(1)의 IP 어드레스를 알 수 없게 되어,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제어 요구 신호(85)가 발생했을 때 즉시 요구 UDP(86)를 송신할 수 없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정기 UDP(83)는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이기 때문에, 통신이 완료한 시점에서 반드시 세션이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요구 신호(85)가 발생했을 때, 서버(2)는 정보 패널(1)의 그 시점의 IP 어드레스를 알고 있어,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즉시 정보 패널(1)에 대하여 요구 UDP(86)를 송신할 수 있다. 요구 UDP(86)를 수신한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요구 확인 TCP(87)를 서버(2)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된 요구 확인 TCP(87)를 수신하고, 요구 응답 TCP(88)를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여기서, 서버(2)는, 제어 요구 신호(85)를 받아 요구 응답 TCP(88)를 즉시 송출하지 않고, 요구 UDP(86)를 송신하고, 요구 확인 TCP(87)를 수신한 후에 요구 응답 TCP(88)를 송출한다. 이것은, 제어 요구 신호(85)가 발생한 단계에서의 서버(2) 중에 있는 정보 패널(1)의 정보, 즉, 정기 UDP(83)로 전달된 시점에서의 정보 패널(1)의 IP 어드레스 정보 이외의 정보는 즉시성에 의문이 있는 것이 많기 때문이다. 예컨대, 가령 정기 UDP(83)가 전기 기기(3')나 정보 패널(1) 자체의 상태 정보를 갖고 있었다고 해도, 제어 요구 신호(85)가 발생할 때까지의 동안에 전기 기기(3')의 온·오프 상태나 현재 급탕 중인지, 급탕을 종료했는 등의 상태 변화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고, 반드시 정확한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따라서, 전기 기기(3')나 정보 패널(1) 자신을 제어하는 경우나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는, 제어 요구 신호(85)가 발생한 시점에서의 전기 기기(3')의 온·오프 상태나 온도 설정 상태나 타이머 설정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정확히 인식한 뒤에 제어해야 한다. 또한, 인터넷망(4)의 트래픽을 경감하기 위해서 정기 UDP의 정보를 극력 적게 하는 등의 고안을 한 경우, 정기 UDP(83)가 전달하는 정보는 적고, 제어 요구 신호(85)가 발생한 시점에서의 정보를 알기 위해서, 다시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그 때문에, 우선 요구 UDP(86)를 정보 패널(1)에 대하여 송출하고, 정보 패널(1)로부터 각종 정보를 탑재한 요구 확인 TCP(87)를 송출하여, 이것을 받아 요구 응답 TCP(88)를 서버(2)가 정보 패널(1)에 대하여 송출한다고 하는 순서를 실행한다.
요구 응답 TCP(88)를 수신한 정보 패널(1)은 전기 기기(3')에 대하여 제어 처리 신호(89)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전기 기기(3')는 규정대로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 규정대로의 제어란, 예컨대, 전기 기기(3')가 갖는 디폴트 제어나 타이머 제어 등의 각종 제어나, 타이머 설정 등의 각종 설정 등이다. 제어 처리 신호(89)에 의한 제어의 결과 등에 의해서 전기 기기(3')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 상태 변화 정보(90)가 전기 기기(3')로부터 정보 패널(1)에 출력되어, 그 결과가 결과 TCP(91)로서 서버(2)에 전달되어 일련의 정보 전달을 완료한다. 또, 전기 기기(3')의 상태란, 전기적으로 검출 가능한 전기 기기(3')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예컨대, 정보 패널(1)과 통신할 수 있는 전기 기기(3')가 가스 급탕기라고 한다. 서버(2)의 트리거 발생부(22)에서 발생한 가스 급탕기에 대한 제어 요구가, 욕실로의 급탕 개시의 요구였을 때,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욕실로의 급탕 개시를 요구하는 요구 UDP(86)를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된 요구 UDP(86)를 수신하고, 요구 확인 TCP(87)을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된 요구 확인 TCP(87)를 수신하고, 요구 응답 TCP(88)를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된 요구 응답 TCP(88)를 수신하고, 가스 급탕기에 대하여 욕실로의 급탕 개시의 제어 처리 신호(89)를 출력한다.
상기 일련의 정보 전달에 의해, 가스 급탕기는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다. 또한, 가스 급탕기는, 예컨대,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 것이나, 시간이 경과하여 욕실로의 급탕량이 적량에 달하여 급탕을 종료하는 것 등의 가스 급탕기의 상태 변화에 관한 상태 변화 정보(90)를 정보 패널(1)에 출력한다. 정보 패널(1)에는, 가스 급탕기로부터의 상태 변화 정보(90)가 입력된다.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결과 TCP(91)를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된 결과 TCP(91)를 수신하고, 일련의 정보 전달 처리를 완료한다. 물론 전기 기기(3')는 가스 급탕기 이외의 기기이더라도 무방하고, 통신망(4)은 인터넷망 이외라도 무방하며, 제어 요구가 욕실로의 급탕 개시 이외이더라도 무방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물론 일련의 정보 전달을 완료한 후에도 정보 패널(1)은 정기 UDP를 정기 UDP(92)와 같이 계속 송출한다.
여기서, 정기 UDP는 반드시 일정 간격으로 계속 송출되는 것은 아니며,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계속 송출되면 되는 것이다. 또한,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는 신호 전달 시에 ACK 신호를 반송하지 않기 때문에, TC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에 비해서 신뢰성이 낮아진다. 그래서,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기 UDP(81, 83, 92)를 수신하면, 확인 UDP(82, 84, 93)를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정기 UDP(81, 83, 92)에 대하여 확인 UDP(82, 84, 93)가 서버(2)로부터 정보 패널(1)에 대하여 송출되기 때문에, 정보 전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정보 패널(1)은 표시부(13)나 조작부(14)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정보 패널(1)에서 전기 기기(3')의 상태나, 서버(2)와의 통신 상태의 확인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정보 송출의 내용을 설정할 수 있는 등의 지극히 큰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또, 전기 기기(3')는 정보 패널(1)의 단자에 접속하고 있지만, 정보 패널(1)과 통신에 의해 제어하여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기기(3')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 전달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정보 패널(1) 자신의 제어나, 일기 예보, 시각표, 현재 시각, 가스 사용량, 전기 사용량, 수도 사용량, 가스 요금, 전기 요금 및 수도 요금 등의 생활 정보 등의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 기기(3')는 가스 계량기, 전력 계량기 및 수도 계량기 등의 각종 계량기이더라도 된다. 전기 기기(3')가 가스 계량기, 전력 계량기 및 수도 계량기 등의 각종 계량기인 경우, 정보 전달 시스템은 계량기의 원격 차단이나 원격 복귀(개방) 등의 제어를 하기 위한 정보 전달에 적용하더라도 된다. 또한, 상태 변화 정보(90)와 결과 TCP(91)란, 전기 기기(3')나 정보 패널(1) 등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에만 송출하는 것은 아니고, 일정 시간마다, 그 시점에서의 전기 기기(3')나 정보 패널(1) 등의 상태를 전하기 위해 전달하더라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와 같이, 트리거 발생부(22)에 통신 요구가 발생했을 때,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그 이전에 정보 패널(1)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정기 UDP)를 수신한 것에 의해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와 세션이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기 UDP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다음 정기 UDP를 기다리는 일없이, 즉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정보(요구 UDP)를 발생할 수 있어, 트리거 발생부(22)에서의 통신 요구 발생으로부터 요구 UDP의 송신까지의 시간 지연이 없는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덧붙여, 요구 UDP는 트리거 발생부(22)에 통신 요구가 발생한 것을 정보 패널(1)에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통신 내용 등의 상세 정보를 갖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요구 응답 UDP)에 비해서 정보량이 적고, 네트워크상의 통신 데이터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정기 UDP)가 수신되었을 때, 정기 UDP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확인 UDP)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확인 TCP)가 송신되기 때문에, 기본 프로토콜로서 통신의 전달 확인을 행하지 않는 정기 UDP의 전달 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서버(2)의 송수신부(21)로부터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정보(요구 UDP)가 수신되었을 때, 요구 정보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확인 UDP)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확인 TCP)가 송신되기 때문에, 기본 프로토콜로서 통신의 전달 확인을 행하지 않는 요구 UDP의 전달 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수신했을 때, 전기 기기 통신 장치(정보 패널(1))에 접속한 전기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2)는 정보 패널(1) 또는 정보 패널(1)에 접속한 전기 기기(3')의 변화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어, 제어됨에 따라 변화한 정보 패널(1) 또는 전기 기기(3')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 1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 1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기 기기가 온수 이용 장치로서 적용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온수 이용 장치란, 가스나 전력이나 석유 등의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온수를 생성하고, 생성한 온수를 욕실이나 부엌이나 세면소 등에서 직접 사용할 목적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며, 또한, 생성한 온수를 이용한 거실 난방이나 욕실 난방이나 욕실 건조나 팬히터나 에어컨의 난방 등의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40)은 정보 패널(1), 서버(2) 및 온수 이용 장치(3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40)에 있어서의 정보 패널(1) 및 서버(2)의 구성은 도 4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30)에 있어서의 정보 패널(1) 및 서버(2)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30)과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정보 패널(1)은 서버(2)와 정보망(4)(이하, 네트워크(4)라고 함)을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으며, 예컨대, 온수 이용 장치(3a')를 제어하는 제어기이다. 정보 패널(1)은 송수신부(11), 표시부(13), 조작부(14) 및 제어부(1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 패널(1)은 온수 이용 장치(3a')를 제어하는 제어기이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리모콘, 퍼스널 컴퓨터 및 텔레비전 등이더라도 된다. 또한, 정보 패널(1)은 온수 이용 장치(3a')만을 제어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전기 기기를 제어하더라도 된다.
서버(2)는 정보 패널(1)과 네트워크(4)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송수신부(21), 트리거 발생부(22), 버퍼(23) 및 제어부(2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는 퍼스널 컴퓨터, 휴대 단말 및 휴대 전화기 등의 정보 기기이더라도 무방하다.
온수 이용 장치(3a')는 열원기(32), 욕실 리모콘(33), 거실 난방기(34) 및 욕실 건조기(3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열원기(32)는 가스, 전기 또는 석유 등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온수를 생성해서 공급하는 것으로, 이른바 열탕기이다. 열원기(32)는 생성한 온수를 욕실, 부엌, 세면소 등에 대하여 공급하는 급탕 기능과, 생성한 온수를 거실 난방, 욕실 난방기, 욕실 건조기, 팬히터, 에어컨 등의 열원으로서 이용하는 난방 기능을 갖고 있다. 욕실 리모콘(33)은 급탕 등의 제어를 행하고, 주로 욕실에 설치된다. 거실 난방기(34)는 열원기(32)에서 생성된 온수를 이용하여 거실을 따뜻하게 한다. 욕실 건조기(35)는 열원기(32)에서 생성된 온수를 이용하여 욕실을 건조시킨다. 또, 거실 난방기(34) 및 욕실 건조기(35)는 욕실 난방기, 팬히터, 에어컨 등의 온수를 이용하는 기기이더라도 무방하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순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정기적으로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IP 어드레스 정보(정기 UDP)를 서버(2)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되는 정기 UDP를 수신하고,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확인 UDP)를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되는 확인 UDP를 수신한다.
여기서, 서버(2)의 트리거 발생부(22)에 있어서, 예컨대 정보 패널(1)과 통신 가능한 온수 이용 장치(3a')의 제어 요구 트리거, 구체적으로 예컨대 열원기(32)에 접속된 거실 난방기(34)를 ON하는 제어 요구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트리거 발생부(22)는 제어 요구 신호(85)를 발생하고, 그 내용을 버퍼(23)에 저장한다. 이 때, 서버(2)와 정보 패널(1) 사이는, 정보 패널(1)로부터 발생한 정기 UDP(83)에 의해서 세션이 확립되어 있어,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즉시 정보 패널(1)의 그 시점에서의 IP 어드레스, 즉 정기 UDP(83)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요구 UDP(86)를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된 요구 UDP(86)를 수신하고, 요구 확인 TCP(87)를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되는 요구 확인 TCP(87)를 수신하고, 요구 확인 TCP(87)에 대한 요구 응답 TCP(88)를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요구 응답 TCP(88)를 수신한 정보 패널(1)은 온수 이용 장치(3a')의 열원기(32)에 대하여 제어 처리 신호(89)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온수 이용 장치(3a')는 규정대로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규정대로의 제어란, 예컨대, 온수 이용 장치(3a')가 갖는 디폴트 제어나 타이머 제어 등의 각종 제어나, 타이머 설정 등의 각종 설정 등이다. 즉, 트리거 발생부(22)에서 발생한 제어 요구가, 욕실로의 급탕 개시의 제어 요구이던 경우,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요구 응답 TCP(88)를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된 요구 응답 TCP(88)를 수신하고, 정보 패널(1)은 온수 이용 장치(3a')의 열원기(32)에 대하여 욕실로의 급탕 개시의 제어 처리 신호(89)를 출력한다. 온수 이용 장치(3a')의 열원기(32)에는, 정보 패널(1)에 의해서 송신된 제어 처리 신호(89)가 입력된다.
상기 일련의 정보 전달에 의해, 온수 이용 장치(3a')는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다. 또한, 온수 이용 장치(3a')의 열원기(32)는, 예컨대,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 것이나, 시간이 경과하여 욕실로의 급탕량이 적량에 달하여 급탕을 종료하는 것 등의 온수 이용 장치(3a')의 상태 변화에 관한 상태 변화 정보(90)를 정보 패널(1)에 출력한다. 정보 패널(1)에는, 온수 이용 장치(3a')로부터의 상태 변화 정보(90)가 입력되고,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결과 TCP(91)를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된 결과 TCP(91)를 수신하고, 일련의 정보 전달 처리를 완료한다.
또한, 상태 변화 정보(90)와 결과 TCP(91)는 온수 이용 장치(3a')나 정보 패널(1) 등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에만 송출하는 것은 아니고, 일정 시간마다, 그 시점에서의 온수 이용 장치(3a')나 정보 패널(1) 등의 상태를 전하기 위해 전달하여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기기(3)를 온수 이용 장치(3a, 3a')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 기기(3)를 개폐 센서나 인간 감지 센서나 화재 센서나 가스 누출 센서 등의 각종 센서로 경계하여, 당해 센서가 센싱함으로써, 음성, 통보 또는 경비원의 호출 등에 의해 대처하는 안전 장치에 적용하더라도 된다. 또한, 전기 기기(3)는 공기 조절 장치, 세탁기, 전자레인지나 밥솥이나 IH 조리기 등의 가열 조리기 및 냉장고나 냉동고나 냉동 냉장고 등의 냉동 냉장 장치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기의 원격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기의 상태나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집하는 텔레미터 시스템에 본 기술을 이용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또는, 송수신부(11))는,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세션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을 검출하고, 검출한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시간보다도 짧아진 경우,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 시간이 짧아지고 있는 것을 정보 패널(1) 또는 서버(2)에 통지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또는, 송수신부(11))는 정기 UDP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정기 UDP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조금씩 길게 하고, 확인 UDP를 수신할 수 없으면, 정기 UDP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정기 UDP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짧게 하고, 이 시간 간격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시간보다도 짧아진 경우,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 시간이 짧아지고 있는 것을 정보 패널(1) 또는 서버(2)에 통지한다.
이 경우,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 시간이 짧아지고 있는 것이 통지되면, 정기 UDP를 송신하는 시간 간격이 예컨대 소정의 시간으로 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 시간이 짧아지고 있는 것이 통지되면,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이 예컨대 소정의 시간으로 되도록 설정한다. 또, 여기서의 소정의 시간이란, 예컨대 2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짧아지고 있는 것을 정보 패널(1)에서 판단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세션의 확립되어 있는 시간을 서버(2)에 송신하고, 서버(2)에서 소정 시간과의 비교 판단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세션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이 검출되고, 검출된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시간보다도 짧아진 경우, 세션이 확립되고 있는 시간이 짧아지고 있는 것이 정보 패널(1) 또는 서버(2)에 통지되기 때문에, 네트워크상을 일정 시간에 흐르는 정보의 양을 적게 하는 수 있어, 정보의 지연이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실시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50)은 정보 패널(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전기 기기 통신 장치에 상당함)(1), 서버(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정보 통신 장치에 상당함)(2), 전기 기기(3) 및 휴대 전화기(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정보 통신 장치에 상당함)(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50)에 있어서의 정보 패널(1), 서버(2) 및 전기 기기(3)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10)에 있어서의 정보 패널(1), 서버(2) 및 전기 기기(3)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10)과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정보 패널(1)은 서버(2)와 정보망(4)(이하, 네트워크(4)라고 함)을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예컨대, 전기 기기(3)를 제어하는 제어기이다. 정보 패널(1)은 제 1 송수신부(11), 제 2 송수신부(12), 표시부(13), 조작부(14) 및 제어부(1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 패널(1)은 전기 기기(3)를 제어하는 제어기이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리모콘, 퍼스널 컴퓨터 및 텔레비전 등이어도 된다. 또한, 정보 패널(1)은 하나의 전기 기기만을 제어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전기 기기를 제어하더라도 무방하다.
서버(2)는 정보 패널(1)과 네트워크(4)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휴대 전화기(5)와 휴대 전화망(6) 및 네트워크(4)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송수신부(21) 및 제어부(2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21)는 네트워크(4)를 거쳐서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네트워크(4)를 거쳐서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송수신부(21)는 네트워크(4) 및 휴대 전화망(6)을 거쳐서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에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휴대 전화망(6) 및 네트워크(4)를 거쳐서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에 의해서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24)는 송수신부(21)를 제어한다. 전기 기기(3)는 정보 패널(1)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송수신부(3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는 퍼스널 컴퓨터, 휴대 단말 및 휴대 전화기 등의 정보 기기이어도 된다.
휴대 전화기(5)는 서버(2)와 휴대 전화망(6) 및 네트워크(4)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송수신부(5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기(5)를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나 퍼스널 컴퓨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다른 정보 단말을 이용하여도 된다.
송수신부(51)는 휴대 전화망(6) 및 네트워크(4)를 거쳐서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휴대 전화망(6) 및 네트워크(4)를 거쳐서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와 휴대 전화망(6) 및 네트워크(4)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서버(2)는 휴대 전화망(6)에 접속하는 송수신부와 네트워크(4)에 접속하는 송수신부를 별개로 마련하여도 된다. 또한, 통상, 휴대 전화망(6)과 네트워크(4)는 접속처의 네트워크에 맞추어 데이터의 포맷이나 어드레스나 프로토콜 등을 변환하는 게이트웨이(gateway) 서버 등을 거쳐서 접속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와 휴대 전화망(6)을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고,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와 네트워크(4)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여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패널(1)이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일례에 상당하고, 서버(2) 및 휴대 전화기(5)가 정보 통신 장치의 일례에 상당하고, 휴대 전화기(5)가 정보 단말의 일례에 상당하고, 제 1 송수신부(11) 및 제 2 송수신부(12)가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의 일례에 상당하고, 송수신부(21)가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의 일례에 상당하며, 송수신부(51)가 트리거 발생 수단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정보 전달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 및 제 2 송수신부(12), 서버(2)의 송수신부(21), 전기 기기(3)의 송수신부(31) 및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에 의한 정보의 수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161) 내지 (173)은 각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8에 있어서, 정기 UDP(161, 163, 172)는 정보 패널(1)이 UD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IP 어드레스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확인 UDP(162, 164, 173)은 정보 패널(1)로부터의 정기 UDP(161, 163, 172)에 대하여, 서버(2)가 UD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확인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요구 응답 UDP(126)는 서버(2)가 UD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요구 응답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확인 UDP(167)은 서버(2)로부터의 요구 응답 UDP(166)에 대하여, 정보 패널(1)이 UD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확인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결과 TCP(170)는 정보 패널(1)이 TC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결과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결과 TCP(170)는 전기 기기(3)의 상태 변화 데이터나 제어 요구에 대한 응답 결과 등이다. 예컨대, 전기 기기(3)가 가스 급탕기라고 하면, 가스 급탕기에 대한 제어 명령인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 것, 또한 시간이 경과하여 욕실로의 급탕량이 적량에 달하여 급탕을 종료하는 것 등의 가스 급탕기에 관한 정보가 정보 패널(1)을 경유하여 결과 TCP(170)에 의해 서버(2)로 전달된다. 물론 전기 기기(3)는 가스 급탕기 이외의 기기이더라도 되며, 제어 요구가 욕실로의 급탕 개시 이외이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로서 UDP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커넥션형 프로토콜로서 TCP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UDP 프로토콜 이외의 다른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도 되고, TCP 프로토콜 이외의 다른 커넥션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도 된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순서를 이용하여 도 7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50)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패널(1)은 네트워크(인터넷망)(4)에 접속하고 있다. 정보 패널(1)이 갖는 IP 어드레스는 상시 고정된 광역 어드레스로 네트워크(4)에 접속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프로바이더 등이 점차 전환하는 IP 어드레스로 네트워크(4)에 접속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정보 패널(1)의 IP 어드레스는 고정 어드레스가 아니기 때문에, 서버(2)는 정보 패널(1)의 IP 어드레스를 상시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전기 기기(3)에 대한 제어 요구가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로부터 휴대 전화망(6) 및 네트워크(4)를 거쳐서 서버(2)에 도달하였을 때, 정보 패널(1)은 정보 패널(1)의 그 시점에서의 IP 어드레스를 서버(2)에 알리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IP 어드레스 정보를 송신하고 있다. 이것이, 도 8에 나타내는 정기 UDP(161, 163, 172)이다. 이와 같이, 정보 패널(1)이 정기적으로 IP 어드레스를 서버(2)에 송신함으로써, 서버(2)는 확실히 정보 패널(1)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확실히 정보 패널(1)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확실히 정보 패널(1)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정기 UDP(161)가 송신되고 나서 정기 UDP(163)가 송신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예컨대, 2분이다. 또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정보 패널(1)과 서버와의 세션이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세션이 개방된 것을 검출하여 정기 UDP를 송신하더라도 된다.
또한,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정보 패널(1)과 서버(2)와의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세션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을 학습하여, 학습한 시간에 따라 정기 UDP를 송신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정기 UDP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정기 UDP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조금씩 길게 하고, 확인 UDP를 수신할 수 없으면, 정기 UDP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정기 UDP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짧게 한다.
이와 같이, 정보 패널(1)과 서버(2)와의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세션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이 학습되어, 학습된 시간에 따라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이 설정된다. 따라서, 정보 패널(1)과 서버(2)와의 세션이 항상 확립되어 있는 상태로 할 수 있어, 세션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없앨 수 있어, 특히, 자동적으로 세션이 개방되는 경우에 유효하다.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는 제어 요구 신호(165)를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휴대 전화기(5)에 의해서 송신된 제어 요구 신호(165)를 수신한다. 이 때, 서버(2)와 정보 패널(1) 사이는 정보 패널(1)로부터 발생한 정기 UDP(163)에 의해서 세션이 확립되어 있고,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즉시 정보 패널(1)의 그 시점에서의 IP 어드레스, 즉 정기 UDP(163)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요구 응답 UDP(166)을 송신한다.
여기서, 예컨대, 정기 UDP(163)가 TC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였다고 하면, TCP 프로토콜의 정기 신호의 통신이 완료한 시점에서 서버(2)로부터 정보 패널(1)에 대하여 ACK 신호를 반송하는 등의 일련의 처리를 실행한 후, 서버(2)와 정보 패널(1)과의 세션은 개방된다. 그 때문에, 세션이 개방된 시점에서 서버(2)는 정보 패널(1)의 IP 어드레스를 알 수 없게 되어,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제어 요구 신호(165)를 수신했다고 해도, 즉시 요구 응답 UDP(166)을 송신할 수가 없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정기 UDP(163)는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이기 때문에, 통신이 완료한 시점에서 반드시 세션이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요구 신호(165)를 수신했을 때, 서버(2)는 정보 패널(1)의 그 시점의 IP 어드레스를 알고 있어,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즉시 정보 패널(1)에 대하여 요구 응답 UDP(166)을 송신할 수 있다. 요구 응답 UDP(166)을 수신한 정보 패널(1)은 제 2 송수신부(12)로부터 전기 기기(3)의 송수신부(31)에 대하여 제어 처리 신호(168)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전기 기기(3)는 규정대로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규정대로의 제어란, 예컨대, 전기 기기(3)가 갖는 디폴트 제어나 타이머 제어 등의 각종 제어나, 타이머 설정 등의 각종 설정 등이다. 제어 처리 신호(168)에 의한 제어의 결과 등에 의해서 전기 기기(3)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 상태 변화 정보(169)가 전기 기기(3)로부터 정보 패널(1)에 전달되고, 그 결과가 결과 TCP(170)로서 서버(2)에 전달된다. 또한, 서버(2)로부터 휴대 전화기(5)에 대하여 상태 변화 정보인 결과 신호(171)가 전달되고, 일련의 정보 전달을 완료한다. 또, 전기 기기(3)의 상태란, 전기적으로 검출 가능한 전기 기기(3)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예컨대, 정보 패널(1)과 통신할 수 있는 전기 기기(3)가 가스 급탕기로 한다. 휴대 전화기(5)에서 발생한 가스 급탕기에 대한 제어 요구가 욕실로의 급탕 개시의 요구였을 때,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는 제어 요구 신호(165)를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에 의해서 송신된 제어 요구 신호(165)를 수신하고, 욕실로의 급탕 개시를 요구하는 요구 응답 UDP(166)을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서버(2)로부터 요구 응답 UDP(166)를 수신한다.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는 가스 급탕기에 대하여 욕실로의 급탕 개시의 제어 처리 신호(168)를 송신한다.
상기 일련의 정보 전달에 의해, 가스 급탕기는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다. 또한, 가스 급탕기의 송수신부(31)는, 예컨대,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 것이나, 시간이 경과하여 욕실로의 급탕량이 적량에 달하여 급탕을 종료하는 것 등의 가스 급탕기의 상태 변화에 관한 상태 변화 정보(169)를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에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는 가스 급탕기로부터의 상태 변화 정보(169)를 수신하고,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결과 TCP(170)를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된 결과 TCP(170)를 수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결과 신호(171)를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에 송신한다.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된 결과 신호(171)를 수신하고, 일련의 정보 전달 처리를 완료한다. 물론 전기 기기(3)는 가스 급탕기 이외의 기기이더라도 무방하고, 통신망(4)은 인터넷망 이외이더라도 무방하며, 제어 요구가 욕실로의 급탕 개시 이외이더라도 무방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물론 일련의 정보 전달을 완료한 후에도 정보 패널(1)은 정기 UDP를 정기 UDP(173)와 같이 계속 송출한다.
여기서, 정기 UDP는 반드시 일정 간격으로 계속 송출되는 것은 아니며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계속 송출되면 되는 것이다. 또한,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는 신호 전달 시에 ACK 신호를 반송하지 않기 때문에, TC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에 비해서 신뢰성이 낮아진다. 그래서,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기 UDP(161, 163, 172)를 수신하면, 확인 UDP(162, 164, 173)를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정기 UDP(161, 163, 172)에 대하여 확인 UDP(162, 164, 173)가 서버(2)로부터 정보 패널(1)에 대하여 송출되기 때문에, 정보 전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요구 응답 UDP(166)에 대해서는 확인 UDP(167)를 송출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정보 전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정보 패널(1)은 표시부(13)나 조작부(14)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정보 패널(1)에서 전기 기기(3)의 상태나, 서버(2)와의 통신 상태의 확인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정보 송출의 내용을 설정할 수 있는 등의 매우 큰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5)가 표시부를 구비하는 경우, 휴대 전화기(5)가 구비하는 표시부는 송수신부(51)에 의해서 수신한 결과 신호(171)에 포함되는 상태 변화 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는 옥외에 있으면서 전기 기기(3)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전기 기기(3)는 정보 패널(1)과 통신에 의해 제어를 실행하는 것은 아니며 정보 패널(1)의 단자 등에 직접 접속하고 있어 제어할 수 있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요구 응답 UDP(166)는 TCP 프로토콜의 신호이어도 된다. 이 경우, 요구 응답 UDP(166)에 대한 확인 UDP(167)가 불필요하게 되어, TC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에 의해 확실히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기기(3)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 전달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정보 패널(1) 자신의 제어나, 일기 예보, 시각표, 현재 시각, 가스 사용량, 전기 사용량, 수도 사용량, 가스 요금, 전기 요금 및 수도 요금 등의 생활 정보 등의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 기기(3)는 가스 계량기, 전력 계량기 및 수도 계량기 등의 각종 계량기이더라도 된다. 전기 기기(3)가 가스 계량기, 전력 계량기 및 수도 계량기 등의 각종 계량기인 경우, 정보 전달 시스템은 계량기의 원격 차단이나 원격 복귀(개방) 등의 제어를 하기 위한 정보 전달에 적용하더라도 된다. 또한, 상태 변화 정보(169)와 결과 TCP(170)와 결과 신호(171)는 전기 기기(3)나 정보 패널(1) 등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에만 송출하는 것은 아니고, 일정 시간마다, 그 시점에서의 전기 기기(3)나 정보 패널(1) 등의 상태를 전하기 위해 전달하여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와 같이,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로부터 송신되는 통신 요구를 수신했을 때,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그 이전에 정보 패널(1)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정기 UDP)를 수신한 것에 의해서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와 세션이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당해 정기 UDP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다음 정기 UDP를 기다리는 일없이, 즉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요구 응답 UDP)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요구 응답 TCP)를 발생할 수 있어, 휴대 전화기(5)에서의 통신 요구 발생으로부터 요구 응답 UDP 또는 요구 응답 TCP의 송신까지의 시간 지연이 없는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5)에서 제어 요구가 발생하고 나서 정보 패널(1)에 정보가 전달되는 시간 간격을 단축할 수 있어, 실시간에서의 정보 제공이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결과 정보가 수신되고, 수신된 결과 정보가 결과 신호로서 휴대 전화기(5)에 송신되기 때문에, 정보 패널(1)의 상태를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결과 정보에 의해서 서버(2)에 전달할 수 있고, 부가하여 서버(2)로부터 휴대 전화기(5)에 대하여 정보 패널(1)의 상태를 결과 신호로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기 기기가 온수 이용 장치로서 적용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온수 이용 장치란, 가스나 전력이나 석유 등의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온수를 생성하고, 생성한 온수를 욕실이나 부엌이나 세면소 등에서 직접 사용할 목적으로 공급하는 장치이고, 또한, 생성한 온수를 이용한 거실 난방이나 욕실 난방이나 욕실 건조나 팬히터나 에어컨의 난방 등의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60)은 정보 패널(1), 서버(2), 온수 이용 장치(3a) 및 휴대 전화기(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60)에 있어서의 정보 패널(1), 서버(2) 및 휴대 전화기(5)의 구성은 도 7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50)에 있어서의 정보 패널(1), 서버(2) 및 휴대 전화기(5)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50)과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정보 패널(1)은 서버(2)와 정보망(4)(이하, 네트워크(4)라고 함)을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예컨대, 온수 이용 장치(3a)를 제어하는 제어기이다. 정보 패널(1)은 제 1 송수신부(11), 제 2 송수신부(12), 표시부(13), 조작부(14) 및 제어부(1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 패널(1)은 온수 이용 장치(3a)를 제어하는 제어기이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리모콘, 퍼스널 컴퓨터 및 텔레비전 등이여도 무방하다. 또한, 정보 패널(1)은 온수 이용 장치(3a)만을 제어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전기 기기를 제어하여도 된다.
서버(2)는 정보 패널(1)과 네트워크(4)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휴대 전화기(5)와 휴대 전화망(6) 및 네트워크(4)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으며, 송수신부(21) 및 제어부(2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는 퍼스널 컴퓨터, 휴대 단말 및 휴대 전화기 등의 정보 기기이어도 된다.
온수 이용 장치(3a)는 열원기(32), 욕실 리모콘(33), 거실 난방기(34) 및 욕실 건조기(3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열원기(32)는 가스, 전기 또는 석유 등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온수를 생성해서 공급하는 것으로, 이른바 열탕기이다. 열원기(32)는 생성한 온수를 욕실, 부엌, 세면소 등에 대하여 공급하는 급탕 기능과, 생성한 온수를 거실 난방, 욕실 난방기, 욕실 건조기, 팬히터, 에어컨 등의 열원으로서 이용하는 난방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열원기(32)는 송수신부(3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31)는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에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에 의해서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욕실 리모콘(33)은 급탕 등의 제어를 행하고, 주로 욕실에 설치된다. 거실 난방기(34)는 열원기(32)에서 생성된 온수를 이용하여 거실을 따뜻하게 한다. 욕실 건조기(35)는 열원기(32)에서 생성된 온수를 이용하여 욕실을 건조시킨다. 또, 거실 난방기(34) 및 욕실 건조기(35)는 욕실 난방기, 팬히터, 에어컨 등의 온수를 이용하는 기기이어도 된다.
다음에, 도 9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6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순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정기적으로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IP 어드레스 정보(정기 UDP)를 서버(2)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되는 정기 UDP를 수신하고,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확인 UDP)를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되는 확인 UDP을 수신한다.
여기서,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는, 예컨대 정보 패널(1)과 통신 가능한 온수 이용 장치(3a)의 제어 요구 신호(165), 구체적으로 예컨대 열원기(32)에 접속된 거실 난방기(34)를 ON하는 제어 요구 신호(165)를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휴대 전화기(5)에 의해서 송신된 제어 요구 신호(165)를 수신한다. 이 때, 서버(2)와 정보 패널(1) 사이는 정보 패널(1)로부터 발생한 정기 UDP(163)에 의해서 세션이 확립되어 있어,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즉시 정보 패널(1)의 그 시점에서의 IP 어드레스, 즉 정기 UDP(63)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요구 응답 UDP(166)를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된 요구 응답 UDP(166)를 수신하고, 확인 UDP(167)을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되는 확인 UDP(167)를 수신한다. 요구 응답 UDP(166)를 수신한 정보 패널(1)은 제 2 송수신부(12)로부터 온수 이용 장치(3a)의 송수신부(31)에 대하여 제어 처리 신호(168)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온수 이용 장치(3a)는 규정대로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규정대로의 제어란, 예컨대, 온수 이용 장치(3a)가 갖는 디폴트 제어나 타이머 제어 등의 각종 제어나, 타이머 설정 등의 각종 설정 등이다. 즉,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에 의해서 송신된 제어 요구가 욕실로의 급탕 개시의 제어 요구이던 경우,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요구 응답 UDP(166)를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된 요구 응답 UDP(166)를 수신하고,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는 온수 이용 장치(3a)에 대하여 욕실로의 급탕 개시의 제어 처리 신호(168)를 송신한다. 온수 이용 장치(3a)의 송수신부(31)는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에 의해서 송신된 제어 처리 신호(168)를 수신한다.
상기 일련의 정보 전달에 의해, 온수 이용 장치(3a)는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다. 또한, 온수 이용 장치(3a)의 송수신부(31)는, 예컨대,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 것이나, 시간이 경과하여 욕실로의 급탕량이 적량에 달하여 급탕을 종료하는 것 등의 온수 이용 장치(3a)의 상태 변화에 관한 상태 변화 정보(169)를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에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제 2 송수신부(12)는 온수 이용 장치(3a)로부터의 상태 변화 정보(169)를 수신하고,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결과 TCP(170)를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된 결과 TCP(170)를 수신하고, 상태 변화 정보인 결과 신호(171)를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에 송신한다.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된 결과 신호(171)를 수신하고, 일련의 정보 전달 처리를 완료한다.
또, 온수 이용 장치(3a)는 정보 패널(1)과 통신에 의해 제어를 하는 것은 아니며 정보 패널(1)의 단자 등에 직접 접속하고 있어 제어할 수 있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요구 응답 UDP(166)는 TCP 프로토콜의 신호이어도 된다. 이 경우, 요구 응답 UDP(166)에 대한 확인 UDP(167)이 불필요하게 되어, TC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에 의해 확실히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태 변화 정보(169)와 결과 TCP(170)와 결과 신호(171)는 온수 이용 장치(3a)나 정보 패널(1) 등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에만 송출하는 것은 아니고, 일정 시간마다, 그 시점에서의 온수 이용 장치(3a)나 정보 패널(1) 등의 상태를 전하기 위해 전달하여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기기(3)를 온수 이용 장치(3a)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 기기(3)를 개폐 센서나 인간 감지 센서나 화재 센서나 가스 누출 센서 등의 각종 센서로 경계하여, 해당 센서가 센싱함으로써, 음성, 통보 또는 경비원의 호출 등에 의해 대처하는 안전 장치에 적용하여도 된다. 또한, 전기 기기(3)는 공기 조절 장치, 세탁기, 전자레인지나 밥솥이나 IH 조리기 등의 가열 조리기 및 냉장고나 냉동고나 냉동 냉장고 등의 냉동 냉장 장치이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예 2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7에 나타내는 실시예 2의 정보 전달 시스템(50)과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 것은 동등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70)은 정보 패널(1), 서버(2), 전기 기기(3') 및 휴대 전화기(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기 기기(3')로서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전기 기기(3)와 마찬가지로 각종 기기가 생각된다. 전기 기기(3')는 정보 패널(1)의 단자에 직접 접속하고 있어, 정보 패널(1)에 의해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보 패널(1)은 도 7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50)과는 달리, 송수신부(11), 표시부(13), 조작부(14) 및 제어부(15)만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 패널(1)은 전기 기기(3')를 제어하는 제어기이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리모콘, 퍼스널 컴퓨터 및 텔레비전 등이어도 된다. 또한, 정보 패널(1)은 하나의 전기 기기만을 제어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전기 기기를 제어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는 퍼스널 컴퓨터, 휴대 단말 및 휴대 전화기 등의 정보 기기이어도 된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예 2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시스템(70)의 정보 전달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 서버(2)의 송수신부(21), 전기 기기(3') 및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에 의한 정보의 수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181) 내지 (194)는 각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에 있어서, 정기 UDP(181, 183, 193)는 정보 패널(1)이 UD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IP 어드레스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확인 UDP(182, 184, 194)는 정보 패널(1)로부터의 정기 UDP(181, 183, 193)에 대하여, 서버(2)가 UD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확인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요구 UDP(186)는 서버(2)가 UD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요구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요구 확인 TCP(187)는 서버(2)로부터의 요구 UDP(186)에 대하여, 정보 패널(1)이 TC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요구 확인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요구 응답 TCP(188)는 정보 패널(1)로부터의 요구 확인 TCP(187)에 대하여, 서버(2)가 TC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요구 응답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결과 TCP(191)는 정보 패널(1)이 TC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결과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결과 TCP(191)는 전기 기기(3')의 상태 변화 데이터나 제어 요구에 대한 응답 결과 등이다. 예컨대, 전기 기기(3')가 가스 급탕기라고 하면, 가스 급탕기에 대한 제어 명령인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 것, 또한 시간이 경과하여 욕실로의 급탕량이 적량에 달하여 급탕을 종료하는 것 등의 가스 급탕기에 관한 정보가 정보 패널(1)을 경유하여 결과 TCP(191)에 의해 서버(2)로 전달된다. 물론 전기 기기(3')는 가스 급탕기 이외의 기기이어도 되며, 제어 요구가 욕실로의 급탕 개시 이외이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로서 UDP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커넥션형 프로토콜로서 TCP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UDP 프로토콜 이외의 다른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도 되고, TCP 프로토콜 이외의 다른 커넥션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도 된다.
다음에, 도 11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순서를 이용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70)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패널(1)은 네트워크(인터넷망)(4)에 접속하고 있다. 정보 패널(1)이 갖는 IP 어드레스는 상시 고정된 광역 어드레스로 네트워크(4)에 접속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프로바이저 등이 점차 전환하는 IP 어드레스로 네트워크(4)에 접속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 패널(1)의 IP 어드레스는 고정 어드레스가 아니기 때문에, 서버(2)는 정보 패널(1)의 IP 어드레스를 상시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서버(2)의 트리거 발생부(22)에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정보 패널(1)은 정보 패널(1)의 그 시점에서의 IP 어드레스를 서버(2)에 알리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IP 어드레스 정보를 송신하고 있다. 이것이 도 11에 나타내는 정기 UDP(181, 183, 193)이다. 이와 같이, 정보 패널(1)이 정기적으로 IP 어드레스 정보를 서버(2)에 송신함으로써, 서버(2)는 확실히 정보 패널(1)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확실히 정보 패널(1)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확실히 정보 패널(1)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정기 UDP(181)가 송신되고 나서 정기 UDP(183)가 송신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예컨대, 2분이다. 또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정보 패널(1)과 서버와의 세션이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세션이 개방된 것을 검출하여 정기 UDP를 송신하여도 된다.
또한,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정보 패널(1)과 서버(2)와의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세션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을 학습하고, 학습한 시간에 따라 정기 UDP를 송신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정기 UDP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정기 UDP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조금씩 길게 하고, 확인 UDP를 수신할 수 없으면, 정기 UDP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정기 UDP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짧게 한다.
이와 같이, 정보 패널(1)과 서버(2)와의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세션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이 학습되고, 학습된 시간에 따라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이 설정된다. 따라서, 정보 패널(1)과 서버(2)와의 세션이 항상 확립되어 있는 상태로 할 수 있어, 세션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없앨 수 있으므로, 특히, 자동적으로 세션이 개방되는 경우에 유효하다.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는 제어 요구 신호(185)를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휴대 전화기(5)에 의해서 송신된 제어 요구 신호(185)를 수신한다. 이 때, 서버(2)와 정보 패널(1) 사이는 정보 패널(1)로부터 발생한 정기 UDP(183)에 의해서 세션이 확립되어 있어,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즉시 정보 패널(1)의 그 시점에서의 IP 어드레스, 즉 정기 UDP(183)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요구 UDP(186)를 송신한다.
여기서, 예컨대, 정기 UDP(183)가 TC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였다고 하면, TCP 프로토콜의 정기 신호의 통신이 완료한 시점에서 서버(2)로부터 정보 패널(1)에 대하여 ACK 신호를 반송하는 등의 일련의 처리를 실행한 후, 서버(2)와 정보 패널(1)과의 세션은 개방된다. 그 때문에, 세션이 개방된 시점에서 서버(2)는 정보 패널(1)의 IP 어드레스를 알 수 없게 되어,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제어 요구 신호(185)가 발생했을 때 즉시 요구 UDP(186)를 송신할 수 없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정기 UDP(183)는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이기 때문에, 통신이 완료한 시점에서 반드시 세션이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요구 신호(185)가 발생했을 때, 서버(2)는 정보 패널(1)의 그 시점의 IP 어드레스를 알고 있어,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즉시 정보 패널(1)에 대하여 요구 UDP(186)를 송신할 수 있다. 요구 UDP(186)를 수신한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요구 확인 TCP(187)를 서버(2)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된 요구 확인 TCP(187)를 수신하고, 요구 응답 TCP(188)를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여기서, 서버(2)는 제어 요구 신호(185)를 받아 요구 응답 TCP(188)를 즉시 송출하지 않고, 요구 UDP(186)를 송신하고, 요구 확인 TCP(187)을 수신한 후에 요구 응답 TCP(188)을 송출한다. 이것은 제어 요구 신호(185)가 발생한 단계에서의 서버(2) 중에 있는 정보 패널(1)의 정보, 즉, 정기 UDP(183)로 전달된 시점에서의 정보 패널(1)의 IP 어드레스 정보 이외의 정보는 즉시성에 의문이 있는 것이 많기 때문이다. 예컨대, 가령 정기 UDP(183)가 전기 기기(3')나 정보 패널(1) 자체의 상태 정보를 갖고 있었다고 해도, 제어 요구 신호(185)가 발생할 때까지의 동안에 전기 기기(3')의 온·오프 상태나 현재 급탕 중인지, 급탕을 종료한 등의 상태 변화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고, 반드시 정확한 것라고는 말할 수 없다. 따라서, 전기 기기(3')나 정보 패널(1) 자신을 제어하는 경우나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는, 제어 요구 신호(185)가 발생한 시점에서의 전기 기기(3')의 온·오프 상태나 온도 설정 상태나 타이머 설정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정확히 인식한 뒤에 제어해야 한다. 또한, 인터넷망(4)의 트래픽을 경감하기 위해서 정기 UDP의 정보를 극력 적게 하는 등의 고안을 한 경우, 정기 UDP(183)가 전달하는 정보는 적고, 제어 요구 신호(185)가 발생한 시점에서의 정보를 알기 위해, 재차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그 때문에, 우선 요구 UDP(186)를 정보 패널(1)에 대하여 송출하고, 정보 패널(1)로부터 각종 정보를 탑재한 요구 확인 TCP(187)를 송출하며, 이것을 받아 요구 응답 TCP(188)를 서버(2)가 정보 패널(1)에 대하여 송출한다고 하는 순서를 실행한다.
요구 응답 TCP(188)를 수신한 정보 패널(1)은 전기 기기(3')에 대하여 제어 처리 신호(189)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전기 기기(3')는 규정대로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 규정대로의 제어란, 예컨대, 전기 기기(3')가 갖는 디폴트 제어나 타이머 제어 등의 각종 제어나, 타이머 설정 등의 각종 설정 등이다. 제어 처리 신호(189)에 의한 제어의 결과 등에 의해서 전기 기기(3')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 상태 변화 정보(190)가 전기 기기(3')로부터 정보 패널(1)에 출력되고, 그 결과가 결과 TCP(191)로서 서버(2)에 전달된다. 또한, 서버(2)로부터 휴대 전화기(5)에 대하여 상태 변화 정보인 결과 신호(192)가 전달되고, 일련의 정보 전달을 완료한다. 또, 전기 기기(3')의 상태란, 전기적으로 검출 가능한 전기 기기(3')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예컨대, 정보 패널(1)과 통신할 수 있는 전기 기기(3')가 가스 급탕기라고 한다. 휴대 전화기(5)에서 발생한 가스 급탕기에 대한 제어 요구가 욕실로의 급탕 개시의 요구이었을 때,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는 제어 요구 신호(185)를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에 의해서 송신된 제어 요구 신호(185)를 수신하고, 욕실로의 급탕 개시를 요구하는 요구 UDP(186)를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된 요구 UDP(186)를 수신하고, 요구 확인 TCP(187)를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된 요구 응답 TCP(187)를 수신하고, 요구 응답 TCP(188)를 송신한다. 정보 패널(!)의 송수신부(1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된 요구 응답 TCP(188)를 수신하고, 가스 급탕기에 대해 욕실로의 급탕 개시의 제어 처리 신호(189)를 출력한다.
상기 일련의 정보 전달에 의해, 가스 급탕기는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다. 또한, 가스 급탕기는, 예컨대,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 것이나, 시간이 경과하여 욕실로의 급탕량이 적량에 달하여 급탕을 종료하는 것 등의 가스 급탕기의 상태 변화에 관한 상태 변화 정보(190)를 정보 패널(1)에 출력한다. 정보 패널(1)에는, 가스 급탕기로부터의 상태 변화 정보(190)가 입력된다.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결과 TCP(191)를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된 결과 TCP(191)를 수신하고, 결과 신호(192)를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에 송신한다.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된 결과 신호(192)를 수신하고, 일련의 정보 전달 처리를 완료한다. 물론 전기 기기(3')는 가스 급탕기 이외의 기기이어도 되고, 통신망(4)은 인터넷망 이외이어도 되며, 제어 요구가 욕실로의 급탕 개시 이외이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또한, 물론 일련의 정보 전달을 완료한 후에도 정보 패널(1)은 정기 UDP를 정지 UDP(193)와 같이 계속 송출한다.
여기서, 정기 UDP는 반드시 일정 간격으로 계속 송출되는 것은 아니며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계속 송출되면 되는 것이다. 또한,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는 신호 전달 시에 ACK 신호를 반송하지 않기 때문에, TCP 프로토콜에 근거한 신호에 비해서 신뢰성이 낮아진다. 그래서,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기 UDP(181, 183, 193)를 수신하면, 확인 UDP(182, 184, 194)를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정기 UDP(181, 183, 193)에 대해 확인 UDP(182, 184, 194)가 서버(2)로부터 정보 패널(1)에 대해서 송출되기 때문에, 정보 전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정보 패널(1)은 표시부(13)나 조작부(14)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정보 패널(1)에서 전기 기기(3')의 상태나, 서버(2)와의 통신 상태의 확인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정보 송출의 내용을 설정할 수 있는 등의 매우 큰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또, 상기 휴대 전화기(5)가 표시부를 구비하는 경우, 휴대 전화기(5)가 구비하는 표시부는 송수신부(51)에 의해서 수신한 결과 신호(171)에 포함되는 상태 변화 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는 옥외에 있어도 전기 기기(3)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전기 기기(3')는 정보 패널의 단자에 접속하고 있지만, 정보 패널(1)과 통신에 의해 제어를 행하여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기기(3')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 전달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정보 패널(1) 자신의 제어나, 일기 예보, 시각표, 현재 시각, 가스 사용량, 전기 사용량, 수도 사용량, 가스 요금, 전기 요금 및 수도 요금 등의 생활 정보 등의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 기기(3')는 가스 계량기, 전력 계량기 및 수도 계량기 등의 각종 데이터이어도 된다. 전기 기기(3')가 가스 계량기, 전력 계량기 및 수도 계량기 등의 각종 계량기인 경우, 정보 전달 시스템은 계량기의 원격 차단과 원격 복귀(개방) 등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정보 전달에 적용하여도 된다. 또한, 상태 변화 정보(190)와 결과 TCP(191)와 결과 신호(192)는 전기 기기(3')나 정보 패널(1) 등의 상태가 변화했을 때에만 송출하는 것은 아니며, 일정 간격마다, 그 시점에서의 전기 기기(3')나 정보 패널(1) 등의 상태를 전하기 위해 전달하여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여기서, 실시예 2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예 2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기 기기가 온수 이용 장치로서 적용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온수 이용 장치란, 가스나 전력이나 석유 등의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온수를 생성하고, 생성한 온수를 욕실이나 부엌이나 세면소 등에서 직접 사용할 목적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며, 또, 생성한 온수를 이용한 거실 난방이나 욕실 난방이나 욕실 건조나 팬히터나 에어컨의 난방 등의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80)은 정보 패널(1), 서버(2), 온수 이용 장치(3a') 및 휴대 전화기(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80)에 있어서의 정보 패널(1), 서버(2) 및 휴대 전화기(5)의 구성은 도 10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70)에 있어서의 정보 패널(1), 서버(2) 및 휴대 전화기(5)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70)과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정보 패널(1)은 서버(2)와 정보망(4)(이하, 네트워크(4)라고 함)을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예컨대 온수 이용 장치(3a')를 제어하는 제어기이다. 정보 패널(1)은 송수신기(11), 표시부(13), 조작부(14) 및 제어부(1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 패널(1)은 온수 이용 장치(3a')를 제어하는 제어기이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리모콘, 퍼스널 컴퓨터 및 텔레비전 등이어도 된다. 또한, 정보 패널(1)은 온수 이용 장치(3a')만을 제어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전기 기기를 제어하여도 된다.
서버(2)는 정보 패널(1)과 네트워크(4)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휴대 전화기(5)와 휴대 전화망(6) 및 네트워크(4)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으며, 송수신부(21) 및 제어부(2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는 퍼스널 컴퓨터, 휴대 단말 및 휴대 전화기 등의 정보 기기이어도 된다.
온수 이용 장치(3a')는 열원기(32), 욕실 리모콘(33), 거실 난방기(34) 및 욕실 건조기(3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열원기(32)는 가스, 전기 또는 석유 등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온수를 생성해서 공급하는 것이며, 소위 열탕기이다. 열원기(32)는 생성한 온수를 욕실, 부엌, 세면소 등에 대해서 공급하는 급탕 기능과, 생성한 온수를 거실 난방, 욕실 난방기, 욕실 건조기, 팬히터, 에어컨 등의 열원으로서 이용하는 난방 기능을 갖고 있다. 욕실 리모콘(33)은 급탕 등의 제어를 행하고, 주로 욕실에 설치된다. 거실 난방기(34)는 열원기(232)에서 생성한 온수를 이용하여 거실을 따뜻하게 한다. 욕실 건조기(35)는 열원기(32)에서 생성한 온수를 이용하여 욕실을 건조시킨다. 또, 거실 난방기(34) 및 욕실 건조기(35)는 욕실 난방기, 팬히터, 에어컨 등의 온수를 이용하는 기기이어도 된다.
다음에, 도 12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시스템(8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정보 전달 순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정기적으로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IP 어드레스 정보(정기 UDP)를 서버(2)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되는 정기 UDP를 수신하고, UDP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확인 UDP)를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되는 확인 UDP를 수신한다.
여기서,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는, 예컨대 정보 패널(1)과 통신 가능한 온수 이용 장치(3a')의 제어 요구 신호(!85), 구체적으로 예컨대 열원기(32)에 접속된 거실 난방기(34)를 ON하는 제어 요구 신호(165)를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휴대 전화기(5)에 의해서 송신된 제어 요구 신호(185)를 수신한다. 이 때, 서버(2)와 정보 패널(1) 사이는 정보 패널(1)로부터 발생된 정기 UDP(183)에 의해서 세션이 확립되어 있고,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즉시 정보 패널(1)의 그 시점에서의 IP 어드레스, 즉 정기UDP(183)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해서 요구 UDP(186)를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된 요구 UDP(186)를 수신하고, 요구 확인 TCP(187)를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되는 요구 확인 TCP(187)를 수신하고, 요구 확인 TCP(187)에 대한 요구 응답 TCP(188)를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요구 응답 TCP(188)를 수신한 정보 패널(1)은 온수 이용 장치(3a')에 대해서 제어 처리 신호(189)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온수 이용 장치(3a')는 규정대로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규정대로의 제어란, 예컨대, 온수 이용 장치(3a')가 갖는 디폴트 제어나 타이머 제어 등의 각종 제어나, 타이머 설정 등의 각종 설정 등이다. 즉,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에 의해서 송신된 제어 요구가 욕실로의 급탕 개시의 제어 요구이던 경우,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요구 응답 TCP(188)를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송신한다.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된 요구 응답 TCP(188)를 수신하고, 정보 패널(1)은 온수 이용 장치(3a')의 열원기(32)에 대해서 욕실로의 급탕 개시의 제어 처리 신호(189)를 출력한다. 온수 이용 장치(3a')의 열원기(32)에는 정보 패널(1)에 의해서 송신된 제어 처리 신호(189)가 입력된다.
상기 일련의 정보 전달에 의해, 온수 이용 장치(3a')는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다. 또한, 온수 이용 장치(3a')의 열원기(32)는, 예컨대, 욕실로의 급탕을 개시한 것이나, 시간이 경과하여 욕실로의 급탕량이 적량에 달하여 급탕을 종료하는 것 등의 온수 이용 장치(3a')의 상태 변화에 관한 상태 변화 정보(190)를 정보 패널(1)에 출력한다. 정보 패널(1)에는, 온수 이용 장치(3a')로부터의 상태 변화 정보(190)가 입력되고,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는 결과 TCP(191)를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송신한다.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정보 패널(1)의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송신된 결과 TCP(191)를 수신하고, 상태 변화 정보인 결과 신호(192)를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에 송신한다. 휴대 전화기(5)의 송수신부(51)는 서버(2)의 송수신부(21)에 의해서 송신된 결과 신호(192)를 수신하고, 일련의 정보 전달 처리를 완료한다.
또한, 상태 변화 정보(190)와 결과 TCP(191)와 결과 신호(192)는 온수 이용 장치(3a')나 정보 패널(!) 등의 상태가 변화했을 때에만 송출하는 것은 아니고, 일정 시간마다, 그 시점에서의 온수 이용 장치(3a')나 정보 패널(1) 등의 상태를 전하기 위해 전달하여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기기(3)를 온수 이용 장치(3a, 3a')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 기기(3)를 개폐 센서나 인간 감지 센서나 화재 센서나 가스 누출 센서 등의 각종 센서로 경계하고, 당해 센서가 센싱하는 것에 의해, 음향, 통보 또는 경비원의 호출 등에 의해 대처하는 안전 장치에 적용하여도 된다. 또한, 전기 기기(3)는 공기 조절 장치, 세탁기, 전자레인지나 밥솥이나 IH 조리기 등의 가열 조리기 및 냉장고나 냉동고나 냉동 냉장고 등의 냉동 냉장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기의 원격 제어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기의 상태나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집하는 텔레미터 시스템에 본 기술을 이용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또는, 송수신부(11))는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세션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을 검출하고, 검출한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시간보다도 짧아진 경우,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 시간이 짧아지고 있는 것을 정보 패널(1) 또는 서버(2)에 통지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또는, 송수신부(11))는 정기 UDP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정기 UDP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조금씩 길게 하고, 확인 UDP를 수신할 수 없으면, 정기 UDP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정기 UDP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짧게 하여, 이 시간 간격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시간보다도 짧아진 경우,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 시간이 짧아지고 있는 것을 정보 패널(1) 또는 서버(2)에 통지한다.
이 경우,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는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 시간이 짧아지고 있는 것이 통지되면, 정기 UDP를 송신하는 시간 간격이 예컨대 소정의 시간으로 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서버(2)의 송수신부(21)는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 시간이 짧아지고 있는 것이 통지되면,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이 예컨대 소정의 시간으로 되도록 설정한다. 또, 여기서의 소정의 시간이란, 예컨대 2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짧아지고 있는 것을 정보 패널(1)에서 판단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 시간을 서버(2)에 송신하고, 서버(2)에서 소정 시간과의 비교 판단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정보 패널(1)의 제 1 송수신부(11)에 의해서,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세션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이 검출되고, 검출된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시간보다도 짧아진 경우,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 시간이 짧아지고 있는 것이 정보 패널(1) 또는 서버(2)에 통지되기 때문에, 네트워크상을 일정 시간에 흐르는 정보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 정보의 지연이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수단은 CPU(또는 마이크로 컴퓨터), RAM, ROM, 기억·기록 장치, I/O 등을 구비한 전기·정보 기기, 컴퓨터, 서버 등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협동시키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실시하여도 된다. 프로그램의 형태이면, 자기 미디어나 광 미디어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거나 인터넷 등의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분배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의 배포·갱신이나 그 인스톨 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실시예의 정리)
이상에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이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시스템은, 전기 기기와 통신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정보 통신 장치가 서로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정보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정보 통신 장치는,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정기적으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상기 정보 통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트리거 발생 수단에 의해서 통신 요구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상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트리거 발생 수단에 통신 요구가 발생했을 때,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그 이전에 전기 기기 통신 장치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의해서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과 세션이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당해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다음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기다리는 일없이, 즉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발할 수 있어, 트리거 발생 수단에서의 통신 요구 발생으로부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의 송신까지의 시간 지연이 없는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통신 장치에서 제어 요구가 발생하고 나서 전기 기기 통신 장치에 정보가 전달되는 시간 간격을 단축할 수 있어, 실시간에서의 정보 제공이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발생 수단에 의해서 통신 요구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상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송신되는 상기 요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통신 장치에 대하여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확인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송신되는 요구 확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요구 확인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트리거 발생 수단에 통신 요구가 발생했을 때,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그 이전에 전기 기기 통신 장치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의해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과 세션이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당해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다음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기다리는 일없이, 즉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정보를 발생할 수 있어, 트리거 발생 수단에서의 통신 요구 발생으로부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정보의 송신까지의 시간 지연이 없는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다. 또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정보는 트리거 발생 수단에 통신 요구가 발생한 것을 전기 기기 통신 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통신 내용 등의 상세 정보를 갖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에 비해서 정보량이 적어, 네트워크상의 통신 데이터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송신되는 요구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요구 응답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결과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요구 응답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결과 정보가 송신되기 때문에,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통신 장치는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보 통신 장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서버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 전달 시스템은 전기 기기와 통신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서버가 서로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으로서, 전기 기기 통신 장치는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서버는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과,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정기적으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의 송수신 수단은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하며, 트리거 발생 수단에 의해서 통신 요구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따라서, 서버에서 제어 요구가 발생하고 나서 전기 기기 통신 장치에 정보가 전달되는 시간 간격을 단축할 수 있어, 실시간에서의 정보 제공이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통신 장치는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서버와,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정보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 단말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서버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단말의 송신 수단에 의해서 송신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수신했을 때, 상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보 통신 장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서버와, 서버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정보 단말을 포함하고 있다. 정보 전달 시스템은 전기 기기와 통신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서버와, 서버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정보 단말이 서로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으로서, 전기 기기 통신 장치는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서버는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정보 단말은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정기적으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의 송수신 수단은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하며, 정보 단말의 송신 수단에 의해서 송신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수신했을 때,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따라서, 정보 단말에서 제어 요구가 발생하고 나서 전기 기기 통신 장치에 정보가 전달되는 시간 간격을 단축할 수 있어, 실시간에서의 정보 제공이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결과 정보를 결과 신호로서 상기 정보 단말에 송신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상태를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결과 정보에 의해서 서버에 전달할 수 있어, 부가하여 서버로부터 정보 단말에 대하여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상태를 결과 신호로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으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했을 때, 상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본 프로토콜로서 통신의 전달 확인을 하지 않는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전달 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정보를 수신했을 때, 상기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상기 요구 정보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본 프로토콜로서 통신의 전달 확인을 하지 않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정보의 전달 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전기 기기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이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수신했을 때, 상기 전기 기기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수신했을 때, 전기 기기 통신 장치에 접속한 전기 기기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전기 기기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전기 기기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전기 기기의 변화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보 통신 장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 또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에 접속한 전기 기기의 변화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어, 제어됨에 따라 변화된 전기 기기 통신 장치 또는 전기 기기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는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수신했을 때, 상기 전기 기기의 송수신 수단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기 기기의 송수신 수단은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수신했을 때, 전기 기기의 송수신 수단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전기 기기 통신 장치에 접속한 전기 기기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는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 기기의 송수신 수단은 전기 기기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변화 정보를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송신하고,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변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전기 기기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전기 기기의 변화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보 통신 장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 또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에 접속한 전기 기기의 변화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어, 제어됨에 따라 변화된 전기 기기 통신 장치 또는 전기 기기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어드레스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기 기기 통신 장치는 확실히 정보 통신 장치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세션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에 따라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세션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에 따라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이 설정되기 때문에, 항상 세션이 확립하고 있는 상태로 할 수 있어, 세션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없앨 수 있다. 특히, 자동적으로 세션이 개방되는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세션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을 검출하고, 검출한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시간보다도 짧아진 경우, 세션이 확립하고 있는 시간이 짧아지고 있는 것을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정보 통신 장치에 통지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세션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이 검출되고, 검출된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시간보다도 짧아진 경우, 세션이 확립하고 있는 시간이 짧아지고 있는 것이 전기 기기 통신 장치 또는 정보 통신 장치에 통지되기 때문에, 네트워크상을 일정 시간에 흐르는 정보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 정보의 지연이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은, 전기 기기와 통신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정보 통신 장치가 서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정보 전달 방법으로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정보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정보 통신 장치는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이, 정기적으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상기 정보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단계와,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이,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트리거 발생 수단이, 통신 요구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 단계와,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이, 상기 트리거 발생 단계에서 통신 요구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상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트리거 발생 수단에 통신 요구가 발생했을 때,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그 이전에 전기 기기 통신 장치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의해서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과 세션이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당해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다음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기다리는 일없이, 즉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발할 수 있어, 트리거 발생 수단에서의 통신 요구 발생으로부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의 송신까지의 시간 지연이 없는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통신 장치에서 제어 요구가 발생하고 나서 전기 기기 통신 장치에 정보가 전달되는 시간 간격을 단축할 수 있어, 실시간에서의 정보 제공이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기기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과,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정보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정기적으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상기 정보 통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트리거 발생 수단에 의해서 통신 요구 트리거가 발생한 후,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상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송신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트리거 발생 수단에 통신 요구가 발생했을 때,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그 이전에 전기 기기 통신 장치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의해서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과 세션이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당해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다음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기다리는 일없이, 즉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발할 수 있어, 트리거 발생 수단에서의 통신 요구 발생으로부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의 송신까지의 시간 지연이 없는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통신 장치에서 제어 요구가 발생하고 나서 전기 기기 통신 장치에 정보가 전달되는 시간 간격을 단축할 수 있어, 실시간에서의 정보 제공이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정보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발생 수단에 의해서 통신 요구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상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트리거 발생 수단에 통신 요구가 발생했을 때,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그 이전에 전기 기기 통신 장치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의해서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과 세션이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당해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다음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기다리는 일없이, 즉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발할 수 있어, 트리거 발생 수단에서의 통신 요구 발생으로부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의 송신까지의 시간 지연이 없는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통신 장치에서 제어 요구가 발생하고 나서 전기 기기 통신 장치에 정보가 전달되는 시간 간격을 단축할 수 있어, 실시간에서의 정보 제공이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기기 제어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과,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고,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정기적으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상기 정보 통신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트리거 발생 수단에 의해서 통신 요구 트리거가 발생한 후,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상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송신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트리거 발생 수단에 통신 요구가 발생했을 때,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그 이전에 전기 기기 통신 장치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의해서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과 세션이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당해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다음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기다리는 일없이, 즉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발할 수 있어, 트리거 발생 수단에서의 통신 요구 발생으로부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의 송신까지의 시간 지연이 없는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통신 장치에서 제어 요구가 발생하고 나서 전기 기기 통신 장치에 정보가 전달되는 시간 간격을 단축할 수 있어, 실시간에서의 정보 제공이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제어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정보 통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고,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발생 수단에 의해서 통신 요구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상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트리거 발생 수단에 통신 요구가 발생했을 때,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그 이전에 전기 기기 통신 장치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의해서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과 세션이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당해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다음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기다리는 일없이, 즉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발할 수 있어, 트리거 발생 수단에서의 통신 요구 발생으로부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의 송신까지의 시간 지연이 없는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통신 장치에서 제어 요구가 발생하고 나서 전기 기기 통신 장치에 정보가 전달되는 시간 간격을 단축할 수 있어, 실시간에서의 정보 제공이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서 예시로서, 본 발명이 그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없이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시스템, 정보 전달 방법, 전기 기기 통신 장치, 정보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은 정보 통신 장치에서 제어 요구가 발생하고 나서 전기 기기 통신 장치에 정보가 전달되는 시간 간격을 단축할 수 있어, 실시간에서의 정보 제공이나 제어를 실현할 수 있고, 정보 공급자 등이 갖는 서버가 정보망을 경유하여 정보 패널에 대하여 정보를 전달하거나, 혹은 서버가 정보망을 거쳐서 정보 패널 자체나 정보 패널에 접속한 전기 기기나 정보 패널과 통신할 수 있는 전기 기기를 제어나 상태 모니터링을 하기 위해서 정보 전달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정보 전달 방법, 전기 기기 통신 장치, 정보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 등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20)

  1. 전기 기기와 통신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정보 통신 장치가 서로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정보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정보 통신 장치는,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정기적으로 커넥션리스(connectionless)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상기 정보 통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발생 수단에 의해서 통신 요구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상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해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connection)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발생 수단에 의해서 통신 요구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상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해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송신되는 상기 요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통신 장치에 대하여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확인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송신되는 요구 확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요구 확인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해서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송신되는 요구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요구 응답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결과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통신 장치는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통신 장치는,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서버와,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정보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단말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서버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단말의 송신 수단에 의해서 송신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수신했을 때, 상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결과 정보를 결과 신호로서 상기 정보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으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했을 때, 상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정보를 수신했을 때, 상기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상기 요구 정보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확인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전기 기기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이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수신했을 때, 상기 전기 기기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전기 기기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전기 기기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전기 기기의 변화 정보를 송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는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수신했을 때, 상기 전기 기기의 송수신 수단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는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 기기의 송수신 수단은 전기 기기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변화 정보를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송신하고,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변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전기 기기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전기 기기의 변화 정보를 송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어드레스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세션(session)이 확립되고 나서 세션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에 따라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송신하고 나서 다음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세션이 확립되고 나서 세션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을 검출하고, 검출한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시간보다도 짧아진 경우, 세션이 확립되고 있는 시간이 짧아지고 있는 것을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정보 통신 장치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16. 전기 기기와 통신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정보 통신 장치가 서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정보 전달 방법으로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정보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정보 통신 장치는,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이, 정기적으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상기 정보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단계와,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이,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트리거 발생 수단이, 통신 요구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 단계와,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이, 상기 트리거 발생 단계에서 통신 요구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상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방법.
  17.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과,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정보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정기적으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상기 정보 통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트리거 발생 수단에 의해서 통신 요구 트리거가 발생한 후,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상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송신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
  18.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정보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 수단
    을 구비하되,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발생 수단에 의해서 통신 요구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상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신 장치.
  19.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과,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고,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정기적으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상기 정보 통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트리거 발생 수단에 의해서 통신 요구 트리거가 발생한 후,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상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송신된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제어 프로그램.
  20.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정보 통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요구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 수단
    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고,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은, 상기 전기 기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발생 수단에 의해서 통신 요구 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상기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정보의 발신원 어드레스에 대하여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 또는 커넥션형 프로토콜에 근거한 요구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
KR1020057014382A 2003-02-06 2004-02-05 정보 전달 시스템, 정보 전달 방법, 전기 기기 통신 장치,정보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 KR200501043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9214 2003-02-06
JPJP-P-2003-00029213 2003-02-06
JP2003029214 2003-02-06
JP2003029213 2003-0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365A true KR20050104365A (ko) 2005-11-02

Family

ID=3292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382A KR20050104365A (ko) 2003-02-06 2004-02-05 정보 전달 시스템, 정보 전달 방법, 전기 기기 통신 장치,정보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64157B2 (ko)
EP (1) EP1592172B1 (ko)
JP (1) JP3684236B2 (ko)
KR (1) KR20050104365A (ko)
CN (1) CN1748387B (ko)
WO (1) WO20040777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3338B2 (ja) * 2004-02-24 2010-06-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モコンシステム及びリモコンシステムを構成する機器
WO2005114904A1 (en) * 2004-05-21 2005-12-01 Cablesedge Software Inc. Remote access system and method and intelligent agent therefor
US20060182028A1 (en) * 2005-01-28 2006-08-17 Microsoft Corporation Web services transport bootstrapping
CN101958654B (zh) * 2009-07-16 2012-10-03 辉芒微电子(深圳)有限公司 交流电网通信系统
CN102025285B (zh) * 2009-09-14 2013-10-02 辉芒微电子(深圳)有限公司 交流电网通信控制系统
US8117322B1 (en) * 2009-12-10 2012-02-14 Google Inc. Latency reduction on HTTP servers
US9313224B1 (en) * 2010-09-30 2016-04-12 Google Inc. Connectivity protector
US8724490B2 (en) * 2010-10-21 2014-05-13 General Electric Company Zigbee IP/6LowPan router
CN103167052B (zh) * 2011-12-16 2015-08-19 北京思博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优化ip地域信息库的方法及系统
WO2013126737A1 (en) * 2012-02-24 2013-08-29 Wyse Technology Inc. Information sharing using token received via near proximity communication
JP5874443B2 (ja) * 2012-03-01 2016-03-0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れらの制御方法ならびに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EP3104194B1 (en) 2012-08-27 2019-02-06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 positioning system
TWI463833B (zh) * 2012-10-31 2014-12-01 Delta Electronics Inc 感測器資料的快取裝置及其快取方法
CN110448222A (zh) 2013-04-15 2019-11-15 伊莱克斯公司 机器人真空吸尘器
CN110710920B (zh) 2013-04-15 2021-12-14 伊莱克斯公司 具有伸出的侧刷的机器人真空吸尘器
US9811089B2 (en) 2013-12-19 2017-11-07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cleaning device with perimeter recording function
US10149589B2 (en) 2013-12-19 2018-12-11 Aktiebolaget Electrolux Sensing climb of obstacle of a robotic cleaning device
EP3084540B1 (en) 2013-12-19 2021-04-14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clean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EP3082537B1 (en) 2013-12-19 2020-11-18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landmark recognition
KR102116596B1 (ko) 2013-12-19 2020-05-28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나선형 패턴으로 이동하는 사이드 브러시를 구비한 로봇 진공 청소기
US9946263B2 (en) 2013-12-19 2018-04-17 Aktiebolaget Electrolux Prioritizing cleaning areas
JP6638987B2 (ja) 2013-12-19 2020-02-05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回転側面ブラシの適応速度制御
WO2015090439A1 (en) 2013-12-20 2015-06-25 Aktiebolaget Electrolux Dust container
US10518416B2 (en) 2014-07-10 2019-12-31 Aktiebolaget Electrolux Method for detecting a measurement error in a robotic cleaning device
JP6443897B2 (ja) 2014-09-08 2018-12-26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ロボット真空掃除機
WO2016037636A1 (en) 2014-09-08 2016-03-17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vacuum cleaner
WO2016091291A1 (en) 2014-12-10 2016-06-16 Aktiebolaget Electrolux Using laser sensor for floor type detection
US10874271B2 (en) 2014-12-12 2020-12-29 Aktiebolaget Electrolux Side brush and robotic cleaner
JP6879478B2 (ja) 2014-12-16 2021-06-02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ロボット掃除機のための経験ベースロードマップ
WO2016095966A1 (en) 2014-12-16 2016-06-23 Aktiebolaget Electrolux Cleaning method for a robotic cleaning device
US11099554B2 (en) 2015-04-17 2021-08-24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cleaning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obotic cleaning device
US10874274B2 (en) 2015-09-03 2020-12-29 Aktiebolaget Electrolux System of robotic cleaning devices
CN108353215B (zh) * 2015-09-29 2021-07-30 Whill株式会社 移动设备、移动设备维护系统及服务器装置
JP7035300B2 (ja) 2016-03-15 2022-03-15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ロボット清掃デバイス、ロボット清掃デバイスにおける、断崖検出を遂行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CN109068908B (zh) 2016-05-11 2021-05-11 伊莱克斯公司 机器人清洁设备
KR20200013657A (ko) 2017-06-02 2020-02-07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로봇 청소 장치 전방의 표면의 레벨차를 검출하는 방법
WO2019063066A1 (en) 2017-09-26 2019-04-04 Aktiebolaget Electrolux CONTROL FOR MOVING A ROBOTIC CLEANING DEVICE
ES2967325T3 (es) 2019-08-29 2024-04-29 Daikin Ind Ltd Dispositivo de comunicacione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5796A (en) * 1997-03-17 2000-06-13 At&T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proved quality of packet transmission in applications such as internet telephony
US6343320B1 (en) * 1998-06-09 2002-01-29 Compaq Information Technologies Group, L.P. Automatic state consolidation for network participating devices
US6516417B1 (en) * 1998-08-07 2003-02-04 Nortel Networks, Limited Virtual private networks
JP3897479B2 (ja) 1999-04-20 2007-03-22 大阪瓦斯株式会社 調理情報システム及び炊飯器
FR2797543B1 (fr) 1999-08-12 2004-04-09 Cit Alcatel Procede pour faire communiquer un utilisateur avec au moins une base de donnees
JP3390384B2 (ja) 1999-11-04 2003-03-24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Tcp/ipにおけるコネクション設定方法および方式
JP2001298479A (ja) * 2000-04-12 2001-10-26 Nec Corp インターネット電話装置
JP2002027569A (ja) 2000-07-03 2002-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制御用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その装置、遠隔制御用データ受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2215483A (ja) * 2001-01-15 2002-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制御システム並びに、機器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コントローラ及びデバイス
JP2002247075A (ja) 2001-02-14 2002-08-30 Toyo Keiki Co Ltd 接続確立方法、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自動検針システム
KR20020071414A (ko) * 2001-03-06 2002-09-12 (주)애니 유저넷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한 인터넷폰 실시간 접속 유지방법
JP2002330478A (ja) 2001-04-27 2002-11-15 Nec Corp 遠隔制御システム
CN1149787C (zh) * 2001-04-29 2004-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在简单网络管理协议上增加用户安全验证的方法
JP2003018181A (ja) 2001-06-29 2003-01-17 Canon Inc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7536182B2 (en) * 2001-09-18 2009-05-19 Ne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the capabilities of handheld devices using local resources
JP3920675B2 (ja) * 2002-03-22 2007-05-30 株式会社リコー データ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4005136A (ja) 2002-05-31 2004-01-08 Thermo System:Kk 遠隔監視システム
JP3445986B1 (ja) 2002-09-27 2003-09-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ンターネットに接続するサーバ、機器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7200658B2 (en) * 2002-11-12 2007-04-03 Movielink, Llc Network geo-lo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92172B1 (en) 2016-04-13
JPWO2004077741A1 (ja) 2006-06-08
WO2004077741A1 (ja) 2004-09-10
CN1748387B (zh) 2010-12-08
EP1592172A4 (en) 2010-05-26
JP3684236B2 (ja) 2005-08-17
US20060155841A1 (en) 2006-07-13
US7464157B2 (en) 2008-12-09
EP1592172A1 (en) 2005-11-02
CN1748387A (zh) 200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04365A (ko) 정보 전달 시스템, 정보 전달 방법, 전기 기기 통신 장치,정보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
CN101794500A (zh) 一种可远程控制电子电器设备的系统
US7200643B2 (en)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04348319A (ja) 制御方法、制御システム、情報端末、家電機器・設備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548610A (zh) 通过终端控制遥控器的方法及装置
KR102005409B1 (ko) 로라(LoRa) 사물인터넷(IoT)에서 FSK 모드를 이용한 원격 펌웨어 업그레이드 시스템
KR20070097901A (ko)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정수기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JP2003047074A (ja) 通信装置および家電機器
JP3918629B2 (ja) 初期登録システム
JP6843803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機器管理方法
KR20030012909A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및 제어방법
JP2003235182A (ja) 電源供給遠隔管理システムおよび同方式
JP2006005628A (ja) 家電機器の制御方法
JP2005051376A (ja) 家電機器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4320146A (ja) リモコンシステム及びリモコン制御方法
WO2005080884A1 (ja) 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及び機器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627214B2 (ja) 通信端末装置
JP2004294045A (ja) 温水利用装置システム
JP2001274916A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7179143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機器管理方法
JP3938061B2 (ja) 温水利用装置システム
JP2004347284A (ja) 加熱調理器システム
JP2005210575A (ja)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5322106A (ja) 電源装置、電気機器、電源認証システム
JP2020141407A (ja)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機器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