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909A -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909A
KR20030012909A KR1020030000609A KR20030000609A KR20030012909A KR 20030012909 A KR20030012909 A KR 20030012909A KR 1020030000609 A KR1020030000609 A KR 1020030000609A KR 20030000609 A KR20030000609 A KR 20030000609A KR 20030012909 A KR20030012909 A KR 20030012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home
communication terminal
charger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1621B1 (ko
Inventor
심재용
이예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03-0000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621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Abstract

본 발명은 셋톱박스, 전자계량장치, CD, VCR,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전자레인지, 전자 커텐 등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가전제품을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전제품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이동단말기로 구성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가전제품에 인가할 수 있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단말 충전기로 구성된 중계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를 상기 중계부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각 가전제품에 설치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인터넷 망 또는 이동통신망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가전제품을 가정 내에서 또는 원격지에서 그 동작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동작상태에 따라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HOME NETWORK SYSTEM BY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ELECTRIC CHARGING EQUIPMENT AND THE SAM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셋톱박스, 전자계량장치, CD, VCR,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전자레인지, 전자 커텐 등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가전제품을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오토메이션이라 함은 전자기기(電子機器), 자동기기(自動機器) 등이 주가 되는 가사(家事)의 관리를 자동화하는 시스템으로, 즉, 가정, 가사생활의 자동화를 말한다.
그 주요한 시스템으로는 홈쇼핑이나 홈뱅킹(home banking) 이외에 방범, 방재를 위한 홈시큐러티(home security), 전기, 가스의 조절, 계량기 자동계측, 자동요리기기 등의 하우스 컨트롤(house control), 에너지, 조명, 냉난방, 급탕 관리 등의 에너지 시스템이 있다.
예컨대 일정 시각에 스위치를 변환하여 비디오, 카세트를 가동시키거나 문단속을 한다든지, 실내온도나 목욕탕의 수온조절 및 가스누출을 방지하는 등, 집안의 관리를 자동화하는 것이다. 사무자동화(OA), 공장자동화(FA)와 더불어 가정자동화(HA)가 보편화되고 있다.
상기 홈오토메이션을 실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 가전제품에 조작 리모콘을 포함하여 별도의 유, 무선장비와 그 장치에 호환되는 송, 수신 제어장치를 설치해야하는 등 효율성 면에서 저하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기기들의 현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각 가전제품의 조작에 관하여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요구 사항들을 입력하고, 저장하여 각 가전제품의 제어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모든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도, 전기, 가스등의 검침을 원격제어, 원격검침을 WAP(Wireless Aprication Protocol)을 통하여 IP(Internet Protocol)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전제품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이동단말기로 구성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가전제품에 인가할 수 있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단말 충전기로 구성된 중계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를 상기 중계부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각 가전제품에 설치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격지에서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상태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표출되는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상태를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망을 통해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신호를 인터넷 망을 통해 이동통신 충전기의 IP인터페이스에 인가하여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상태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통신 단말기 20 : 충전기
21, 31 : 무선 송,수신부 22 : 씨피유(CPU)
23 : 메모리 24 : IP인터페이스
30 : 가전제품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정 내에 설치된 다수의 가전제품(30)들 각각에 무선 송,수신부(31)를 설치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31)에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는 상기 가전제품(30)의 무선 송,수신부(31)에 인가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기용 충전기(20)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가전제품(30)의 무선 송,수신부(31)에 인가할 수 있도록 무선 송,수신부(21)가 설치되며, 상기 무선 송,수신부(21)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제어하여 상기 가전제품(30)을 제어할 수 있도록 씨피유(CPU)(2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충전기(20)에는 상기 씨피유(22)가 상기 가전제품(30)을 제어할 시에 소정의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하고, 동시에 상기 무선 송,수신부(21)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그 동작상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부(23)가 설치된다. 상기 메모리부(23)는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인가하는 데이터를 상기 충전기를 통해 제어하는 것은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10) 자체에서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기에 IP인터페이스(24)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10)를 통해 원격지에서 상기 가전제품(30)의 동작상태를 이동통신 망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10)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표출되는 상기 가전제품(30)의 동작상태를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10)를 통해 가정에서 상기 가전제품(30)의 동작상태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표출되는 상기 가전제품(30)의 동작상태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가정에서 리모트 컨트롤러 대신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어신호를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기(20)의 IP인터페이스(24)에 인가하여 상기 가전제품(30)의 동작상태를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의해 상기 가전제품(30)의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를 통해 가정에서 소모되는 양을 체크하는 검침용 기기에 무선 송,수신부(31)를 설치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31)에 의해 가정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또는 원격지에서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한 이동통신 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인가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가정 내에 있는 가전제품(30)에 전원을 인가하건 또는 전원이 온 되어 있는 것을 오프할 시에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를 통해 제어하는데,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소정의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사용자가 이를 보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가전제품(10), 조명(30), 난방기구(30) 중 어느 것을 제어할 지에 대하여 먼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전제품(30), 조명(30), 난방기구(30) 중에서 사용자가 난방기구(30)를 선택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가정 내에 설치되어 있는 난방기구(30) 중에서 보일러(미도시), 에어컨디셔너(미도시) 중 어느 것을 선택할 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로 디스플레이 되는 보일러와 에어컨디셔너 중에서상용자가 보일러를 선택하면, 그 보일러에 어떠한 데이터를 인가할 지를 표시하는데, 이때 표시되는 것은 보일러의 전원 온/오프를 먼저 표시하고, 데이터를 인가하면, 상기 이동통신 망을 통해 그 데이터가 충전기(20)의 무선 송,수신부(21)에 인가된다.
상기 충전기(20)의 무선 송,수신부(21)로 인가된 데이터 신호는 씨피유(CPU)(22)에 인가되고, 상기 씨피유(CPU)(22)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다시 제어하여 난방기구(30)의 무선 송,수신부(31)에 인가한다.
상기 난방기구(30)의 무선 송,수신부(31)에 인가된 신호에 따라 보일러를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컨트롤러(미도시)에 신호가 인가되어 전원이 온 된다.
상기 보일러의 전원이 온 되어 있는 상태를 다시 충전기(20)의 무선 송,수신부(21)에 인가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21)를 통해 인가된 신호는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20)에 인가하여 현재 전원이 온 되었다는 것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사용자가 확인한 상태에서 보일러의 온도(실내온도)를 어느 정도로 조정할 것인지에 대하여 입력하면, 그 입력된 데이터 신호가 상기 이동통신 망을 통해 충전기(20)를 거쳐 상기 난방기구(30)의 무선 송,수신부(31)에 인가되면, 상기 통상의 컨트롤러에 이 데이터신호가 인가되어 사용자가 설정한 데이터 신호에 따라 그 온도를 조절한다.
상기 난방기구(30)의 온도가 조절되면, 상기 난방기구(30)에 설치되어 있는무선 송,수신부(31)에서는 그 온도를 조절하였다는 것을 충전기(20)의 무선 송,수신부(21)에 인가하고, 충전기(20)는 다시 이동통신 망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인가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세팅 되었다는 것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와 같이 난방기구를 일례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조명(30), 가전제품(30) 또한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동작상태를 충전기(20)의 무선 송,수신부(21)를 통해 데이터를 인가함으로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인가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를 보면서 가전제품 등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효과를 살펴보면,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한 이동통신 망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가전제품을 가정 내에서 또는 원격지에서 그 동작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동작상태에 따라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전제품을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한 송,수신부 만을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기존의 홈오토메이션을 설치할 때 보다 비용이 저렴하게 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정에서 가전제품을 제어할 시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러 종류의 가전제품 리모트 컨트롤러들을 조작할 필요가 없으며 리모트 컨트롤러의 분실시 새로 구입해야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가전제품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이동단말기로 구성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가전제품에 인가할 수 있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단말 충전기로 구성된 중계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를 상기 중계부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각 가전제품에 설치되는 무선 송,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충전기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충전기 내에 설치되는 무선 송, 수신부;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가전제품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소정의 소프트웨어가 탑재되는 메모리부;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상기 메모리부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가전제품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씨피유(CP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충전기에는 인터넷 망을 통해 원격으로 가전제품과 각 검침용 기기를 제어, 검침을 할 수 있도록 IP인터페이스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4.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격지에서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상태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표출되는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상태를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
  5. 인터넷 망을 통해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신호를 인터넷 망을 통해 이동통신 충전기의 IP인터페이스에 인가하여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상태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가정에서 소모되는 양을 체크하는 검침용 기기에 무선 송,수신부를 설치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에 의해 원격지에서 인터넷 망 또는 이동통신 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인가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03-0000609A 2003-01-06 2003-01-06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0511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609A KR100511621B1 (ko) 2003-01-06 2003-01-06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609A KR100511621B1 (ko) 2003-01-06 2003-01-06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909A true KR20030012909A (ko) 2003-02-12
KR100511621B1 KR100511621B1 (ko) 2005-09-08

Family

ID=2773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609A KR100511621B1 (ko) 2003-01-06 2003-01-06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62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132B1 (ko) * 2004-11-17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정보 전송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충전장치,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732413B1 (ko) * 2004-10-13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14955B1 (ko) * 2004-11-23 2011-02-15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사설교환기시스템의 무선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338640B1 (ko) * 2012-09-13 2013-12-06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4051237A1 (ko) * 2012-09-26 2014-04-03 Lee Han-Seung 아파트에서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5535406A (ja) * 2012-09-24 2015-12-10 李 漢承Han−seung LEE スマート端末を利用してホテルで統合的なサービ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
WO2017131269A1 (ko) * 2016-01-29 2017-08-03 주식회사 비투코리아 육아 정보관리, 육아 패턴분석 및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413B1 (ko) * 2004-10-13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95132B1 (ko) * 2004-11-17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정보 전송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충전장치,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014955B1 (ko) * 2004-11-23 2011-02-15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사설교환기시스템의 무선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338640B1 (ko) * 2012-09-13 2013-12-06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5535406A (ja) * 2012-09-24 2015-12-10 李 漢承Han−seung LEE スマート端末を利用してホテルで統合的なサービ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
WO2014051237A1 (ko) * 2012-09-26 2014-04-03 Lee Han-Seung 아파트에서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5536068A (ja) * 2012-09-26 2015-12-17 李 漢承Han−seung LEE スマート端末を利用してアパートで統合的なサービ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
WO2017131269A1 (ko) * 2016-01-29 2017-08-03 주식회사 비투코리아 육아 정보관리, 육아 패턴분석 및 육아를 위한 장치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1621B1 (ko) 200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22810B2 (en) Network system for a component
KR20140061619A (ko) 가정용 에너지 관리 장치 및 그 관리 방법
US20070247134A1 (en) Control Apparatus
KR101795025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70290882A1 (en) Domotic System Provided With Centralized Controlling and Managing Hardware and Software for Remote Management of Domestic Appliances, Apparatuses, Installations, Devices and Machines Existing in a House
EP3409823B1 (en) Network system
KR100385185B1 (ko) 냉장고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12909A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및 제어방법
WO2014171000A1 (ja) 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KR20140014776A (ko) 상황인지를 통한 홈네트워크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
JP6811418B2 (ja) 報知システム、報知内容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232784A1 (en) Managing the control of an electrical device controllable by infrared control signals
WO2012009340A1 (en) Network system
KR101197571B1 (ko)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EP3101774B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0373095B1 (ko) 냉장고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97901A (ko)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정수기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JP2013187848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KR100990131B1 (ko)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US6456893B1 (en) Apparatus management system
KR20080082516A (ko) 링킹 유틸리티 제어 장치에 대한 시스템 및 방법
JP4162236B2 (ja) 熱源機通信システム
JP2010074591A (ja) デマンド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40084631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464329B1 (ko) 멀티탭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상태변화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