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131B1 -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131B1
KR100990131B1 KR1020100006959A KR20100006959A KR100990131B1 KR 100990131 B1 KR100990131 B1 KR 100990131B1 KR 1020100006959 A KR1020100006959 A KR 1020100006959A KR 20100006959 A KR20100006959 A KR 20100006959A KR 100990131 B1 KR100990131 B1 KR 100990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andby power
standby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희
Original Assignee
중앙제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제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앙제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기를 구비하고,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 내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콘센트와, 모드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일반모드와 대기전력차단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일반모드시에는 내부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동작이 차단되고, 상기 대기전력차단모드시에는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차단기를 구비하되,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는 상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내부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와, 일반모드시 상기 외부전원이 상기 전원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원 제어부와, 상기 대기전력차단모드시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제1 래칭 계전기와, 상기 제1 래칭 계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계전기 구동부와, 상기 콘센트로부터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와, 외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제어부와 상기 계전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전력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전력량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기계식 스위칭 동작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기준 전력량을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입력부와, 상기 외부 제어신호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제어장치들로부터 수신받고, 수신받은 상기 외부 제어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전력 차단기 내의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를 래칭 계전기로 구성함으로써 계전기의 상태가 변환될 때만 전기가 소모되고,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된 경우에는 전기가 소모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기전력 차단기 내에서의 전력소모를 일반 계전기를 사용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50% 이상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본 발명은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기전력차단모드시 저전력으로 전력소비장치들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일반모드시에는 대기전력 차단기로 인해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콘센트나 멀티 탭 등의 사용시에 전력소비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나 멀티 탭 등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이는 전력소비장치들의 전원 스위치가 오프(off)된 상태이더라도 콘센트나 멀티 탭의 소켓에 인가된 전류가 전력소비장치들의 플러그를 통해 전력소비장치로 시간당 대략 5W 정도의 미세 전력이 인가되어 전력손실이 크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대기전력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력소비장치의 전원 플러그를 연결하는 콘센트나 멀티 탭에 주전원 차단을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전력소비장치의 전원을 오프한 후에 별도로 콘센트나 멀티 탭의 스위치를 오프함으로써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전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의 다른 방법으로는 전류측정장치와 전자제어장치 및 동작 감지센서 등의 전자장치를 멀티 탭 등에 장착하여 직접 멀티 탭에 설치된 온/오프 스위치를 수동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으로 전력소비장치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제어 멀티 탭 등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멀티 탭 등에 직접 설치된 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오프시키는 방법은 전력소비장치의 전원 플러그를 뽑는 것만큼이나 번거로움이 있다. 전자제어 멀티 탭의 경우에는 수동형에 비하여 편리성은 개선되나 그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추가적인 장치의 장착으로 제품의 부피나 크기가 증가하여 기존 전력소비장치에 연결할 경우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제작 비용 또한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기를 구비하고,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 내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전력차단모드가 아닌 일반모드에서 대기전력 차단기로 인해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기준값을 결정하는 하한치 값을 사용자가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전용 리모콘 뿐만 아니라 대기전력 차단기가 일반 리모콘(예를 들어, TV용 리모콘)과 연동되어 제어되도록 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전력소비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는 통합 리모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콘센트와, 모드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일반모드와 대기전력차단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일반모드시에는 내부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동작이 차단되고, 상기 대기전력차단모드시에는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차단기를 구비하되,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는 상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내부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와, 일반모드시 상기 외부전원이 상기 전원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원 제어부와, 상기 대기전력차단모드시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제1 래칭 계전기와, 상기 제1 래칭 계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계전기 구동부와, 상기 콘센트로부터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와, 외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제어부와 상기 계전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전력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전력량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기계식 스위칭 동작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기준 전력량을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입력부와, 상기 외부 제어신호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제어장치들로부터 수신받고, 수신받은 상기 외부 제어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전원 제어부는 제2 래칭 계전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래칭 계전기를 통해 상기 외부전원이 상기 전원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외부전원이 상기 전원부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2 래칭 계전기와, 상기 제2 래칭 계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래칭 계전기는 상기 푸시 스위치에 의해 턴-온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되는 내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턴-오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유무선 통신망 또는 리모콘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외부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내부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제어부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가능하도록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의 외측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일반모드시 상기 외부전원이 상기 전원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선택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어장치들로부터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외부 제어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상기 외부 제어신호를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로 전달하는 게이트 웨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전력 측정부로부터 제공되는 측정 전력량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 전력량을 비교하며, 그 비교 결과, 상기 측정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계전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래칭 계전기로 하여금 상기 콘센트로 대기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은 통합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 또는 전력소비장치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 또는 해당 전력소비장치로 송출하는 리모콘 컨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전력 차단기 내의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를 래칭 계전기로 구성함으로써 계전기의 상태가 변환될 때만 전기가 소모되고,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된 경우에는 전기가 소모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기전력 차단기 내에서의 전력소모를 일반 계전기를 사용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50% 이상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전력 차단기 내에 전원 제어부를 구성하여 일반모드시 대기전력 차단기 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일반모드시 대기전력 차단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전력 차단기 내에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를 구성하여 대기전력 차단을 구현함으로써 비교예(도 2참조)에서와 같이 콘센트 내에 선택 스위치(대기전원/상시전원 선택)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교예에서 문제가 되는 용량의 제한(비교예에서는 전기기기로 흐르는 부하전류가 콘센트 내에 설치된 선택 스위치로도 흐르기 때문에 콘센트가 용량의 제한을 받음)을 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전력 차단기를 제어하는 스위치는 노출되어 설치됨으로써 대기전력차단모드 또는 일반모드로의 조작이 용이하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선택 스위치가 콘센트 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선택 스위치를 조작하고자 할 때, 콘센트가 TV 등과 같은 전력소비장치에 가로막혀 노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과 같이 대기전력 차단기가 외부에 설치되고, 대기전력 차단기로부터 콘센트로 연결된 전선은 2가닥만 필요하다. 하지만, 비교예(도 2참조)에서는 3가닥의 전선이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비용 및 재료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기준값을 결정하는 하한치 값을 사용자가 임의대로 직접(버튼) 또는 원격(유무선)으로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임의대로 기준값을 설정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전력 차단을 대기전력 차단용 전용 리모콘 뿐만 아니라 대기전력 차단기가 무선 통신을 통해 일반 리모콘(예를 들어, TV용 리모콘)과 연동되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향상된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전력 차단기용 통합 리모콘을 이용하여 다양한 전력소비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하나의 리모콘만으로도 대기전력 차단과 전력소비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향상된 편리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의 플러그 접속구 전면에 식별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전력소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자 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식별부재를 통해 대기전력차단용 접속 플러그와 상시전원용 접속 플러그를 간편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기의 전기 결선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대기전력 차단기의 전기 결선을 도시한 비교예.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원 제어부를 일례로 도시한 회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원 제어부를 다른 예로 도시한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기의 대기전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다른 예에 따른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게이트 웨이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또 다른 예에 따른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는 도 9에 도시된 통합 리모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부호(또는, 참조부호)로 표기된 부분은 동일 요소를 나타낸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은 대기전력 차단기(110)와 콘센트(120)를 구비한다. 도 1에서 '140'는 세대 분전반 또는 차단기를 나타낸다.
대기전력 차단기(110)는 외부 제어신호와 내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대기전력 동작시 콘센트(120)로 공급되는 대기전력, 즉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대기전력 차단기(110)는 세대 분전반이나 차단기를 경유하여 전력을 공급받고, 기계적으로 온/오프 작동하는 기계식 스위치 또는 홈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한 전자식 스위치(예를 들면,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외부 제어신호'라 함은 대기전력 차단기의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리모콘, 게이트 웨이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의미한다. '내부 제어신호'라 함은 대기전력 차단기의 내부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에서는 대기전력 차단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외부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생성하는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대기전력 차단기(110)는 실시간 또는 정해진 시간 동안 콘센트(120)의 사용전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이 일정 값 이하이면 계전기를 차단하여 콘센트(120) 쪽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리모콘 수신용 소자를 내장하여 원격으로 계전기를 작동시켜 전원을 콘센트(120)로 공급하도록 하여 사용시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기(110)는 일반모드에서도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대기전력 차단기(110)는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로 래칭 계전기(111)를 구비하고, 가정 내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대기전력 차단기(110)는 냉장고와 같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필요한 전력소비장치인 경우, 모드선택신호에 응답하여 대기모드(이하, 대기전력차단모드라 함)와 일반모드 중에서 일반모드로 설정되어 동작하게 된다. 모드선택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며, 사용자는 대기전력 차단기(110)의 입력부(예를 들면, 버튼 또는 스위치)를 직접 선택 또는 리모콘을 통해 원격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기전력차단모드'라 함은 대기전력 차단기(110)가 콘센트로 공급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동작하는 동작모드를 의미한다. '일반모드'라 함은 대기전력 차단기(110)가 상시전원을 콘센트로 공급하도록 동작하는 동작모드를 의미한다.
대기전력 차단기(110)는 대기전력차단모드에서만 동작하고 일반모드에서는 동작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대기전력 차단기(110)는 일반모드시에도 주요회로로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될 수 있기 때문에 전력이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대기전원차단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될 경우, 대기전력 차단기(110) 내에서의 전력소모가 일어나지 않도록 대기전력 차단기(110)의 내부전원을 자동 차단함으로써 전력소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일반모드에서 대기전력 차단기가 전력을 소모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대기전력 차단기(10)가 대기전력차단모드로 동작할 경우, 겸용 콘센트(20)의 선택 스위치(30)를 대기전력 스위치 방향으로 절환(접점3과 접점1이 접촉)하여 사용하다가 일반모드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겸용 콘센트(20)의 선택 스위치(30)를 상시전원, 즉,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절환(접점3이 접점2와 접촉)한 후 사용한다. 일반모드의 경우 상시전원이 공급되어 냉장고 등의 사용에 지장은 없지만, 대기전력 차단기(10)에도 지속적으로 상시전원이 대기전력 차단기(10)의 내부회로로 계속해서 공급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전력 차단기(110)의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 즉 래칭 계전기(111)를 통과한 상시전원은 콘센트(120)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는 콘센트(120) 내부에 별도의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는다. 대기전력 차단기(110)를 대기전력차단모드에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비교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하고, 일반모드에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대기전력 차단기(110) 내부에 있는 동작선택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하면 된다. 이때, 전환하는 방법은 리모콘 스위치를 사용하거나 대기전력 차단기(110)의 모드전환스위치를 조작하면 된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대기전력 차단기(110)로부터 콘센트(120)까지 2가닥의 전선만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비교예(3가닥 전선이 연결됨)에 비해 설치비용 및 재료비를 절감하면서도, 기능상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대기전력 차단기(1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례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기(110)는 래칭 계전기(111), 전력 측정부(112), 전원 제어부(113), 전원부(114), 저장부(115), 계전기 구동부(116), 마이크로 프로세서(117), 송수신부(118), 입출력부(119)를 구비한다.
래칭 계전기(11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7)로부터 제공되는 내부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대기전력라인을 통해 콘센트(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래칭 계전기(111)는 접점상태 자기유지형 계전기로서, 한 번의 펄스 전류만으로도 동작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계전기를 통해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 5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가정용 TV나 컴퓨터와 같이 일일 사용시간이 많은 장치에서는 전원 공급 시간이 길어 소모되는 전력량이 그만큼 증가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래칭 계전기(111)를 사용하는 경우 소모 전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래칭 계전기(111)는 코일에 동작 펄스를 흐르게 하면 접극자가 흡인되어 계전기가 동작되며, 반경질 자성 재료의 철심이 자화되어 전류가 끊어져도 접극자를 유지하여 동작이 계속된다. 여기에 역 펄스를 보내면 접극자는 개방되고 계전기는 복구된다.
전력 측정부(112)는 콘센트(120)로부터 소모되는 전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측정한다. 즉, 전력 측정부(112)는 콘센트(120)로부터 소모되는 전력량을 대기전력라인 또는 상시전원라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한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117)로 제공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17)는 전력 측정부(112)로부터 제공되는 측정 전력량과 저장부(115)에 저장된 기준 전력량을 비교한 후, 측정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 이하(동일하거나 작음)인 경우 이와 대응하는 내부 제어신호를 계전기 구동부(116)로 제공하여 래칭 계전기(111)를 제어한다. 이 경우, 래칭 계전기(111)는 계전기 구동부(116)로부터 제공되는 내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콘센트(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17)는 전력 측정부(112)로부터 제공된 측정 전력량을 입출력부(119)의 표시부로 제공한다. 표시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7)로부터 제공된 측정 전력량을 제공받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17)는 입출력부(119)의 입력부를 통해 기계식 스위칭 동작(스위치 동작)으로 제어되거나, 혹은 송수신부(118)를 통해 전자식 스위칭 동작(유무선 제어동작)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기계식 스위칭 동작은 입력부 내의 버튼 스위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전자식 스위칭 동작은 전용 무선 리모콘 또는 일반적인 무선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되는 외부 제어신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자식 스위칭 동작의 경우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입출력부(119)의 입력부는 사용자가 표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측정 전력량을 관찰한 후 직접 입력부를 조작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17)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17)를 통해 측정 전력량이 일정 값 이하가 되면 래칭 계전기(111)를 제어하여 전원이 콘센트(120)로 공급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때,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하한치 값, 즉 기준 전력량의 설정은 전력소비장치의 종류나 장치의 사용수량에 따라 다르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기준 전력량을 설치시나 생산 시점에서 결정한 고정된 값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쉽게 설정, 변경할 수 있도록 입력부에 설정버튼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전자회로로 구성한 송수신부(118)를 통해 기준 전력량을 홈 네트워크, 즉 홈 세대기에서도 조정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도 6은 대기전력 차단기(110)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력 측정부(112)는 실시간으로 전력소지장치의 전력 사용량 즉, 전력량을 측정한다(S10). 이때, 전력량은 특정 시간대(초, 분, 시간단위) 전력량일 수 있으며, 전력 측정부(112)는 사용자 또는 임의로 미리 설정된 특정 시간대 전력량을 측정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17)로 제공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17)는 측정 전력량과 저장부(115)로부터 제공받은 기준 전력량을 비교한다(S11). 비교 결과, 측정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래칭 계전기(111)를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전원공급을 유지한다(S12, S13).
래칭 계전기(111)의 차단 후 복귀는 입출력부(119)의 입력부 또는 송수신부(118)를 통해 가능하다. 입력부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에 설치된 복귀 버튼을 조작하여 복귀시킬 수 있다. 송수신부(118)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기전력 차단기(110)의 전용 리모콘 또는 일반 리모콘을 이용하여 복귀시킬 수 있도록 제공한다.
전용 리모콘 또는 일반 리모콘으로부터 송수신부(118)의 수신부를 통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이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동 복귀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전용 리모콘 또는 이외에 일반 리모콘, 예를 들면 TV 리모콘, 오디오 리모콘, 에어콘 리모콘 등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117)를 제어하여 대기전력 차단기의 복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예를 들면, 전자기기 중 TV를 시청하다가, 리모콘으로 TV를 오프시킨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대기전력 차단기(110)가 작동하여 자동으로 대기전력이 차단된다. 이후, TV를 시청하기 위하여 TV를 온시키고자 할 때 벽면에 취부된 대기전력 차단기(110) 또는 별도의 대기전력차단용 스위치(대기전력 차단기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향하여 TV용 리모콘으로 파워 온 신호를 보내면 대기전력 차단기(110) 내에 내장된 래칭 계전기(111)가 동작하여 상시전원이 콘센트(120)로 공급되고, 이후 다시 TV 리모콘을 이용하여 TV를 온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대기전력 복귀기능이 있는 대기전력 차단기(110) 또는 스위치까지 이동할 필요가 없이 현위치에서 복귀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17)는 정상동작시 전력 측정부(112)로부터 제공받은 측정 전력량과 기준 전력량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래칭 계전기(111)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17)는 측정 전력량과 기준 전력량을 비교하지 않고,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도 있다.
저장부(115)에는 대기전력 차단기(11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17)를 구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로는 기준 전력량을 포함한다.
입출력부(119)의 표시부는 실시간 측정 전력량뿐만 아니라 전체 누적 전력량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누적 전력량은 특정 시간별 누적 전력량, 시간별 누적 전력량, 일별 누적 전력량, 주별 누적 전력량, 월별 누적 전력량, 연별 누적 전력량, 총 누적 전력량을 별도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누적 전력량을 요금으로 자동 환산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누적 전력량에 대한 요금을 포함하는 소비전력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전력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제어부(113)는 대기전력 차단기(110)가 일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대기전력 차단기(110) 내부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예를 들면, 전원 제어부(113)는 외부전원이 전원부(114)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즉 모드선택신호에 응답하여 대기전력차단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17)는 계전기 구동부(116)를 통해 래칭 계전기(111)가 어떤 상태이든지 상관하지 않고 래칭 계전기(111)를 턴-온시킨다. 그 후, 전원 제어부(113)에 제어신호를 주어 전원부(114)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전원 제어부(113)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원부(114)의 전원이 차단되면, 대기전력 차단기(110)의 모든 기능은 정지하게 되어 더 이상 전력소모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에너지가 절감된다. 이때, 전원이 차단되어도 래칭 계전기(111)는 그 상태가 계속 유지되므로 콘센트(120)에서의 전기사용에는 문제가 없다.
도 4는 전원 제어부(113)의 구성을 일례로 도시한 상세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 제어부(113)는 내부에 래칭 계전기(LR1)를 구비한다. 래칭 계전기(LR1)는 조작 후 전원이 차단되어도 그 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특성이 있다. 또한, 래칭 계전기(LR1)는 조작 코일로 온 코일(ON)과 오프 코일(OFF)을 구비한다. 또한, 온 코일(ON)과 오프 코일(OFF)을 저전압에서 구동시키기 위해 별도 회로, 예를 들면, 브릿지 다이오드(BD1), 캐패시터(C1, C2), 제너 다이오드(ZD1)를 더 구비한다.
도 5는 전원 제어부(113)의 다른 예를 도시한 상세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전원 제어부(113)에서는 스위치(SW1)로 저전압용 구동 스위치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브릿지 다이오드(BD1)와 제너 다이오드(ZD1)는 220V의 입력전압을 24V 정도로 전압강하시켜 스위치(SW1)로 동작되도록 하며, 스위치(SW1)에 의해 온 코일(ON)이 동작한다.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캐패시터(C2)의 양단전압을 일정하게 안정화시키는 제너 다이오드(ZD1)에 의해 전력 손실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다른 예에 따른 전원 제어부(113)에서는 스위치(SW1)를 220V 저압용 구동 스위치로 사용하고, 또한, 스위치(SW1)를 캐패시터(C1)의 후단에 직렬로 연결하여 입력전압을 직접 스위칭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온 코일(ON)과 제너 다이오드(ZD1)를 병렬 연결시켜 제너 다이오드(ZD1)에 기인한 전력 손실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스위치(SW1)가 캐패시터(C1)와 브릿지 다이오드(BD1)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캐패시터(C1)의 전단, 즉 입력전원단과 캐패시터(C1) 사이에 접속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원 제어부(113)의 동작특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기전력차단모드시, 스위치(SW1)(동도면에서는 푸시 스위치로 도시됨)를 조작하여 턴-온시키면 온 코일(ON)에 전압이 공급되어 래칭 계전기(LR1)가 턴-온된다. 이런 상태에서 스위치(SW1)가 턴-오프되어도 래칭 계전기(LR1)는 턴-오프되지 않고 온 상태로 계속 유지된다. 따라서, 전원 제어부(113)의 래칭 계전기(LR1)를 통해 전원부(114)로 전원이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대기전력 차단기(110)는 동작된다.
이런 상태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17)가 외부 유무선통신 또는 리모콘 등의 외부로부터 제어신호, 즉 오프신호를 수신받아 일반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TR1)가 구동되면, 래칭 계전기(LR1)의 오프 코일(OFF)이 동작하여 래칭 계전기(LR1)는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전원부(114)로 공급되는 외부전원은 차단된다.
일반모드에서 대기전력차단모드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전압 제어부(113)의 스위치(SW1)를 조작하면 된다. 조작에 의해 스위치(SW1)가 온되면, 래칭 계전기(LR1)의 온 코일(ON)이 동작되어 전원부(114)로 전원이 공급된다. 전원부(114)는 대기전력 차단기(110)의 각 소자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대기전력 차단기(110)는 대기전력을 감지하고 차단하는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TV 등 소비전력장치를 오프한 후, 대기전력 차단기(110)로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17)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래칭 계전기(111)를 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대기전력이 콘센트(120)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와 반대로, TV 등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117)는 리모콘 등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래칭 계전기(111)를 온시켜 전원을 공급한다.
또 다른 예로, 전원 제어부(113)는 래칭 계전기를 구비하지 않고 선택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 스위치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가능하도록 대기전력 차단기(110)의 외측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일반모드시 선택적으로 외부전원이 전원부(114)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대기전력차단모드에서 상기 선택 스위치는 온상태를 유지하고, 일반모드에서는 오프상태가 되어야 한다. 일반모드에서 상기 선택 스위치에 의해 외부전원이 전원부(114)로 공급되는 것은 차단된다. 이러한 선택 스위치는 다양한 스위치로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은 대기전력 차단기(110)가 댁내망을 통해 홈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하여 게이트 웨이(150)와 연결된다.
'홈 네트워크'라 함은 가정내 전자기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물리적 네트워크 기술을 의미한다. 홈 네트워크 구축 대상은 아날로그가 아닌 디지털 기기로 인터넷으로 작동이 가능한 냉장고나 세탁기, 디지털 TV, 디지털 캠코더, 카메라, 컴퓨터, 에어콘 등이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전송 기술로는 유무선 기술이 모두 활용될 수 있으며, 무선 기술로는 RF(Radio Frequency)를 이용한 홈 RF,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적외선을 이용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있다.
홈 네트워크는 다양한 유무선 기술을 적용한 댁내의 개인용 컴퓨터, 가전기기, 제어기기, 각종 시설 등은 물론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을 통합한 네트워크이다. 홈 네트워크는 외부의 공중 네트워크와 접속되고, 그의 일부로서 존재한다. 따라서, 댁내 또는 댁외, 위치에 상관없이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고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통보받고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홈 네트워크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이더넷(ethernet), 홈 PNA(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IEEE 1394 등과 같은 유선기술과, IEEE 802.11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IEEE 802.15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UWB(Ultra-WideBand) 등과 같은 무선기술, UPnP(Universal Plug and Plug), HAVi(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JINI, HNCP(Home Network Control Protocol) 등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Home Network middleware), 그리고 이들을 기반으로 하는 게임이나 영화에 이르기까지 각종 서비스 기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웨이(150)는 전자기기, 전열기기 혹은 조명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전력소비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대기전력 차단기(110) 또는 별도의 전력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각각의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력 제어기는 게이트 웨이(15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필요한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대기전력 차단기(110)에 연결되어 대기전력 차단기(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게이트 웨이(150)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유무선 통신망(160)과 연결된다. 이때, 유무선 통신망(160)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이동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웨이(150)는 유무선 통신망(160)을 통해 제어장치들(170), 예를 들면 개인용 컴퓨터(PC), 휴대 정보 단말기(PDA), 휴대 전화, 웹 폰, 리모콘 등과 통신할 수 있다.
게이트 웨이(150)는 월패드(도시되지 않음) 혹은 리모콘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월패드의 터치 스크린 입력장치를 이용하거나, 혹은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제어장치들을 이용하거나, 혹은 리모콘의 입력버튼을 통해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장치들은 유무선 통신망(160)을 통해 게이트 웨이(150)와 연결되고, 리모콘은 게이트 웨이(150)용 전용 리모콘으로 직접 게이트 웨이(150)와 연결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게이트 웨이(15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게이트 웨이(150)는 제어부(151), 저장부(152), 입력부(153), 출력부(154) 및 통신부(155)를 구비한다.
입력부(153)는 터치스크린과 홈 네트워크 단말기인 월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154)는 LCD와 같은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3)와 출력부(154)는 방문자 확인, 동일 단지 및 이웃 단지의 세대간 통화, 댁내 전자기기 작동의 원격제어, 원격 검침, 무인 경비, 차량 도착 확인 등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1)는 입력부(153) 또는 통신부(155)의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제어신호(대기전력 차단기 또는 별도의 전력 제어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155)의 송신부를 통해 대기전력 차단기(110)로 제공한다.
저장부(152)는 게이트 웨이(150)의 일반적인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적절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다.
게이트 웨이(150)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기(110)의 제어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게이트 웨이(150)의 입력부(153)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대기전력 차단기(110)를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리모콘을 이용하여 게이트 웨이(150)의 통신부(155)를 통해 대기전력 차단기(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제어장치들(17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대기전력 차단기(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52)에 대기전력 차단기(110)의 제어와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설정된 조건이 성립하는지 여부를 제어부(151)에서 판단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외부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55)를 통해 대기전력 차단기(110)로 전달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되는 조건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온도가 전력소비장치의 가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특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특정 온도를 조건으로 설정하거나, 사람들이 집에 없는 시간을 조건으로 설정하거나, 혹은 겨울과 같이 계절을 기준으로 전력소비장치 가동이 필요없는 일정 기간의 시간을 조건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대기전력 차단기(110)는 게이트 웨이(150)를 통해 전달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전력 차단기(11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17)는 송수신부(118)를 통해 게이트 웨이(150)로부터 전달된 외부 제어신호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따라 내부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래칭 계전기(111)를 제어한다. 외부 제어신호가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신호인 경우, 이와 대응되는 내부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래칭 계전기(111)는 내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차단 스위치의 접점 릴레이를 오프하여 콘센트(120)와 주전원부 사이의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기(110)는 세대 분전반 내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문 입구의 벽면이나 콘센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외에도, 전력소비장치 내부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세대 분전반은 단상 또는 3상 세대 분전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기(110)는 리모콘 컨버터(1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리모콘 컨버터(180)는 대기전력 차단기(110)와 별도로 가정 내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거실에 설치된다.
리모콘 컨버터(180)는 중계기로서, 내부의 회로부 이외에 수신부(181)와 송신부(182)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신부(181)는 통합형 리모콘(190)에서 발생하는 제품별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수신부(181)를 통해 입력받은 제어신호는 내부의 회로부에서 각각 해당하는 제품에 해당하는 적외선 코드와 합하여 송신부(182)로 전송된다. 송신부(182)에서는 해당하는 제품으로 데이터 처리가 완료된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형 리모콘(190)은 입력부(191), 마이크로 프로세서, 클럭 발생부(192), 송신부(193), 전원 공급부(194)를 구비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통합형 리모콘(19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램 저장부(195), 명령/데이터 처리부(196), 데이터 저장부(197), 코드 출력부(198)를 구비한다.
입력부(191)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제품을 설정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입력부(191)에는 전자제품을 선택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버튼들이 구비되어 있다. 클럭 발생부(19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동기시키고, 동작시키기 위한 메인클럭신호를 제공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입력부(191)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적외선 코드로 변경된 출력신호로서의 제품 제어신호를 적외선 송신부(193)로 전송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프로그램 저장부(195)에는 전자기기들(200), 예를 들어 TV, VTR, DVD 플레이어, VOD 서비스 시스템, 노래방 기기, 앰프 등으로 이루어진 홈씨어터 시스템 및 에어컨, 침대, 조명 기기 등의 각 제품군이 입력부(191)의 버튼의 입력에 해당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명령/데이터 처리부(196)는 데이터 저장부(197)에 저장되어 있는 적외선 코드의 포멧을 불러와서 각 제품에 대한 통합형 리모콘(19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제품에 대한 적외선 코드가 설정되면 통합형 리모콘(190) 사용시 데이터 저장부(197)에서 제품 제어에 필요한 코드를 불러올 때 제어하려는 제품에 대한 적외선 코드만을 불러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가 통합형 리모콘(190)의 입력부(191)를 통한 제어신호 입력시 키버튼에 해당하는 고유 신호를 프로그램 저장부(195)에 전송하여 그 키버튼에 해당하는 제품군의 기능을 프로그램 저장부(195)에서 전달받는다. 그리고, 데이터 저장부(197)로부터 전달받은 적외선 코드와 합하여 이를 코드 출력부(198)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데이터 저장부(197)는 각 제품에 따른 다양한 적외선 코드의 포맷을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저장하고 있으며, 요청에 따라 명령/데이터 처리부(196)로 제공한다. 사용자가 통합형 리모콘(190) 설정시 세팅 버튼을 누르면 데이터 저장부(197)에서는 제품에 해당하는 코드를 하나씩 명령/데이터 처리부(196)로 제공하거나, 숫자코드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하는 경우에는 숫자코드 입력시 각 숫자코드에 대한 적외선 코드를 저장하여 정해진 적외선 코드만을 명령/데이터 처리부(196)로 전송한다.
코드 출력부(198)는 명령/데이터 처리부(196)에서 명령에 따라 데이터 처리가 완료된 제품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적외선 송신부(193)를 통해 해당하는 제품으로 송출한다.
전원 공급부(19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각 회로부분의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적외선 송신부(193)는 통합형 리모콘에서 데이터 처리가 완료된 제품 제어신호를 각 해당 제품으로 전송하는 부분으로 적외선 LED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적외선 LED는 값이 저렴하고 제어가 용이하므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적외선 LED를 통하여 통합형 리모콘에서 제품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각 제품의 적외선 수광부에서는 이 제품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작동하게 된다. 적외선 수광부는 포토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대기전력 차단기에 의해 대기전력이 차단된 후 TV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기전력 차단기 복귀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기전력 차단기(110)에 의해 대기전력이 차단된 후, 사용자는 통합형 리모콘(190)의 입력부(191)의 키버튼을 조작하여 대기전력 차단기(110)를 제어하고, 이를 통해 대기전력 차단을 복귀시킨다. 즉, 대기전력 차단기(110)를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콘센트(120)로 공급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통합형 리모콘(190)의 입력부(191)의 키버튼을 다시 조작하여 TV로 설정한 후 TV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리모콘 컨버터(180)로 전송하고, 리모콘 컨버터(180)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해당 TV의 수광부로 전송하여 TV를 온시킨다. 이러한 동작은 통합형 리모콘(190)의 입력부(191)에서 제공하는 제품별 키버튼을 조작하여 전력소비장치의 제품에 따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 대기전력라인 102 : 상시전원라인
110 : 대기전력 차단기 120 : 콘센트
130 : 실외기 차단기 140 : 세대 분전반
111 : 래칭 계전기 112 : 전력 측정부
113 : 전원 제어부 114 : 전원부
115 : 저장부 116 : 계전기 구동부
117 : 마이크로 프로세서 118 : 송수신부
119 : 입출력부 150 : 게이트 웨이
160 : 유무선 통신망 170 : 제어장치
151 : 제어부 151 : 저장부
153 : 입력부 154 : 출력부
155 : 통신부 180 : 리모콘 컨버터
190 : 리모콘 200 : 전자기기
181 : 수신부 182 : 송신부
191 : 입력부 192 : 클럭 발생부
193 : 송신부 194 : 전원 공급부
195 : 프로그램 저장부 196 : 명령/데이터 처리부
197 : 데이터 저장부 198 : 코드 출력부

Claims (9)

  1. 콘센트; 및
    상기 콘센트와 분리되어 이격 설치되고, 내부전원에 의해 동작하며, 일반모드 및 대기전력차단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동작하며, 상기 일반모드에는 외부전원을 상기 콘센트로 공급하고, 상기 대기전력차단모드에는 측정 전력량에 따라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차단기를 구비하고,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는,
    상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내부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
    상기 일반모드에는 상기 외부전원을 상기 콘센트로 공급하고, 상기 대기전력차단모드에는 상기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제1 래칭 계전기;
    상기 제1 래칭 계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계전기 구동부;
    상기 외부전원을 상기 전원부로 공급하거나, 상기 외부전원이 상기 전원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원 제어부; 및
    상기 콘센트로부터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 전력량을 제공하는 전력 측정부;
    상기 일반모드에는 상기 외부전원을 상기 전원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전원부로 공급하여 상기 내부전원에 의해 상기 제1 래칭 계전기가 턴-온되도록 한 후 상기 외부전원이 상기 전원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대기전력차단모드에는 상기 외부전원을 상기 전원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전원부로 공급하고 상기 측정 전력량에 따라 상기 계전기 구동부로 하여금 상기 제1 래칭 계전기가 턴-오프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외부전원이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기계식 스위칭 동작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 및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제어장치들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장치들로부터 수신받은 외부 제어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송수신부
    를 구비하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제2 래칭 계전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래칭 계전기를 통해 상기 외부전원이 상기 전원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외부전원이 상기 전원부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2 래칭 계전기; 및
    상기 제2 래칭 계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푸시 스위치
    를 구비하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래칭 계전기는 상기 푸시 스위치에 의해 턴-온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되는 내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턴-오프되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유무선 통신망 또는 리모콘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원 제어부와 상기 계전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가능하도록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의 외측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일반모드시 상기 외부전원이 상기 전원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들로부터 상기 외부 제어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상기 외부 제어신호를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로 전달하는 게이트 웨이를 더 구비하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전력차단모드시 상기 측정 전력량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 전력량을 비교하며, 그 비교 결과, 상기 측정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계전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래칭 계전기로 하여금 상기 콘센트로 대기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통합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 또는 전력소비장치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 또는 해당 전력소비장치로 송출하는 리모콘 컨버터를 더 구비하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KR1020100006959A 2010-01-26 2010-01-26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KR100990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959A KR100990131B1 (ko) 2010-01-26 2010-01-26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959A KR100990131B1 (ko) 2010-01-26 2010-01-26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131B1 true KR100990131B1 (ko) 2010-10-29

Family

ID=4313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959A KR100990131B1 (ko) 2010-01-26 2010-01-26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1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231B1 (ko) 2011-04-29 2012-06-19 삼성전기주식회사 대기전력 절감형 전력모니터링 장치, 전기 부하기기 및 전력모니터링 방법
KR101180212B1 (ko) 2010-12-28 2012-09-05 주식회사 포스코 전력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33233A (ko) * 2017-06-05 2018-12-13 에이비비 에스.피.에이 전자 계전기를 구성하기 위한 컴퓨터 구현된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397Y1 (ko) 2003-06-11 2003-08-25 이희성 멀티탭
KR100915125B1 (ko) 2009-04-20 2009-09-03 백명순 소음제거 및 절전기능을 갖는 전원연결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397Y1 (ko) 2003-06-11 2003-08-25 이희성 멀티탭
KR100915125B1 (ko) 2009-04-20 2009-09-03 백명순 소음제거 및 절전기능을 갖는 전원연결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212B1 (ko) 2010-12-28 2012-09-05 주식회사 포스코 전력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158231B1 (ko) 2011-04-29 2012-06-19 삼성전기주식회사 대기전력 절감형 전력모니터링 장치, 전기 부하기기 및 전력모니터링 방법
KR20180133233A (ko) * 2017-06-05 2018-12-13 에이비비 에스.피.에이 전자 계전기를 구성하기 위한 컴퓨터 구현된 방법
KR102616332B1 (ko) * 2017-06-05 2023-12-20 에이비비 에스.피.에이 전자 계전기를 구성하기 위한 컴퓨터 구현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48910A1 (en) Modular touch panel smart switches and systems
KR101002396B1 (ko) 스마트 미터 제어기 및 이를 구비한 지능형 전자식 세대 분전반 시스템
US6713975B2 (en) Lighting apparatus, lighting control system and home electric appliance
US20180144416A1 (en) Energ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2164065B (zh) 电气物联总线系统
JP5173369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
AU2012100135A4 (en) Power sensor
KR20110093531A (ko)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1058761A1 (ja) 電気機器の電力制御装置および電話機
KR100909598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및 소비전력 표시장치
CA2589959A1 (en) Hvac communication system
KR101843820B1 (ko)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KR20150059081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0213367A (ja) ユビキタスセンサとインテリジェントテーブルタップによる省エネシステム
KR101077016B1 (ko) 절전형 멀티 탭 및 그 제어 시스템
TWM526148U (zh) 智慧型居家監測系統
KR100990131B1 (ko)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KR20110110961A (ko) 지능형소켓과 리모컨을 사용한 절전시스템
EP3409823B1 (en) Network system
JP2004147065A (ja) 電気機器の動作状態制御システム
JP5173368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
KR20090071456A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CN104216309A (zh) 一种具有智能待机通断电功能的装置及其方法
KR100836886B1 (ko) 인체 감지센서를 구비한 전력 제어 시스템
KR1005116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