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081A -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9081A
KR20150059081A KR1020140101652A KR20140101652A KR20150059081A KR 20150059081 A KR20150059081 A KR 20150059081A KR 1020140101652 A KR1020140101652 A KR 1020140101652A KR 20140101652 A KR20140101652 A KR 20140101652A KR 20150059081 A KR20150059081 A KR 20150059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home devices
home
inform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2258B1 (ko
Inventor
김경재
김창현
이창현
한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4/01124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76609A1/en
Priority to CN201480064024.1A priority patent/CN105765899B/zh
Priority to US14/549,975 priority patent/US9930519B2/en
Priority to EP14864084.0A priority patent/EP3072257B1/en
Publication of KR20150059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6Processing of subscriber group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을 효율적으로 그룹핑하여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은,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해 그룹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 중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GROUP OF HOME DEVICES IN A HOME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그룹 단위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댁 내에 다양한 홈 디바이스(device)들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홈 디바이스들 동작을 제어하고, 홈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디바이스들을 홈 게이트웨이(Home Gateway: HGW 또는 H-GW)를 통해 통합하여 외부의 공용 데이터 네트워크, 일 예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네트워크(즉 인터넷)로 연결함으로써 인터넷과 연계된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홈 디바이스들의 종류가 점차 다양해지고 이에 대한 사용자 요구 또한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요구를 수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연구의 일 예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을 그룹으로 제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기존에 제안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를 위한 상황을 설정하고, 설정된 상황에 해당되는 홈 디바이스들을 일일이 하나씩 선택하여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홈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제어에서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하는 상황이 귀가, 외출, 취침, 영화 감상 등 4 개이고,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들의 개수가 30 개인 경우를 가정하면, 사용자는 그룹 제어를 위해 총 4*30=120 번의 디바이스 설정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 그룹 제어 방식은 설정되는 상황과 제어 대상 홈 디바이스들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사용자의 불편함이 증가되고, 그룹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또한 복잡해진다. 향후 스마트 홈 사업의 발전으로, 댁 내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개수는 더욱 증가될 것이고, 설정이 필요한 상황 또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시 복잡도를 감소시키고, 또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그룹 제어 방식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을 효율적으로 그룹핑하여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을 설정된 조건에 따라 그룹핑하여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을 기반으로 홈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옥외 정보를 기반으로 홈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를 위한 향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은,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해 그룹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 중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홈 게이트웨이는,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과,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해 그룹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 중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은,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현재 동작 상태를 근거로 하는 동작 모드의 실행 요구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 모드의 실행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한 그룹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 중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홈 게이트웨이는,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과,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현재 동작 상태를 근거로 하는 동작 모드의 실행 요구를 수신하며, 상기 동작 모드의 실행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한 그룹 제어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 중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은,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홈 게이트웨이에게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 중 그룹 제어가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설정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해 상기 등록된 그룹 설정 정보를 근거로 하는 그룹 제어 명령을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은,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홈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과,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게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 중 그룹 제어가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설정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해 상기 등록된 그룹 설정 정보를 근거로 하는 그룹 제어 명령을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은, 외부 서버로부터 옥외의 환경 변화와 관련된 옥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옥외 정보를 근거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한 그룹 제어 명령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홈 게이트웨이는, 상기 홈 디바이스들 및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옥외의 환경 변화와 관련된 옥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옥외 정보를 근거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한 그룹 제어 명령을 획득하며, 상기 결정된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접속 가능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를 지원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를 지원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의 등록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등록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원터치 모드로 동작하는 그룹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원터치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 이력 모드로 동작하는 그룹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이력 모드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외부 정보를 이용하여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그룹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어 및 통신 기능을 가지는 홈 디바이스들(110) 및 홈 게이트웨이(HGW)(120)를 포함한다. 홈 디바이스들(110)은 댁내에 위치하는 스마트 가전기기(Smart Appliance)(112), 보안기기(security devices)(114), 조명기구(Lighting devices)(116), 에너지기기(Energy devices)(118)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스마트 가전기기(112)는 냉장고, 세탁기, 로봇청소기 등이 될 수 있으며, 보안기기(114)는 도어락, 보안 카메라, 보안 센서 등이 될 수 있고, 조명기기(116)는 형광등,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기구 등이 될 수 있고, 에너지기기(118)은 전력측정기, 전력 소켓, 전기 콘센트, 멀티탭 등이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홈 디바이스들(110)은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인터넷 전화, 유/무선 전화, 가정 내의 이동 전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11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홈 게이트웨이(120)와 통신 가능하며, 홈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그 제어 명령에 따라 요구된 정보를 홈 게이트웨이(120)에게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홈 게이트웨이(120)는 홈 디바이스들(110)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하기 위한 해당 통신 모듈들을 포함하며, 홈 디바이스들(110)의 정보를 등록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와,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 및 상태를 제어하고, 홈 디바이스들(11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홈 게이트웨이(120)는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해 외부 통신 단말(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PC 등의 사용자 단말)에 의한 접속을 허용하며, 상기 외부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20)를 통해 해당하는 홈 디바이스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130)는 인터넷(internet)과 같은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와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1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한 인터넷 TV(IPTV),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 등과 같은 홈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데이터 공유, 인터넷 전화(Voice over IP: VoIP) 및 영상 전화와 같은 홈 데이터 통신 서비스, 가전 기기의 원격제어, 원격 검침, 방범, 방재와 같은 홈 오토메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1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 내부/외부에서 사용되는 모든 형태의 홈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제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댁내라 함은 가정 내부는 물론 가정 외부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과 같은 무선 통신 장비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구비된 홈 게이트웨이(120)에 접속하거나, 또는 홈 게이트웨이(120)를 통해 각 홈 디바이스(110)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일 예로서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업자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접속 가능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홈 디바이스들(110-1 ~ 110-n : 11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홈 게이트웨이(120)에 접속된다. 홈 게이트웨이(120)는 인터넷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130a)에 접속한다. 또한 홈 게이트웨이(120)는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된 경우, 무선 네트워크(130b)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등록된 사용자 단말(200)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사업자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130b)에 접속하며, 유선 네트워크(130a) 또는 무선 네트워크(130b)를 통해 홈 게이트웨이(120)에 접근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30b)는 2G(Generation) 또는 3G 셀룰러 통신 시스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4G 통신 시스템, LTE(Long-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홈 게이트웨이(120)와 연결된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으로 지정하여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홈(smart home)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서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키 입력, 터치 입력, 또는 제스쳐(gesture) 입력에 따라 해당 홈 디바이스(11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또는 그룹으로 지정된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을 원터치로 제어하거나 또는 홈 디바이스들(110)의 제어 이력(control history)(예컨대, 상황별, 시간별, 요일별, 또는 룸별로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 상태)에 따라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그룹 제어 명령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달되고, 홈 게이트웨이(120)는 그 제어 명령 또는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홈 디바이스(110) 또는 해당 그룹에 속하는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명령을 홈 디바이스(들)(11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 명령 또는 그룹 제어 명령, 디바이스 제어 명령은 해당 홈 디바이스(들)(110)의 식별 정보와 제어 내용을 포함하는 패킷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내용은 해당 홈 디바이스(들)(110)의 전원 온/오프는 물론 구체적인 동작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명령 또는 그룹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패킷은 해당 이동 단말(200)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명령, 그룹 제어 명령, 그리고 디바이스 제어 명령은 편의상 용어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각 명령은 해당 홈 디바이스(들)(110)의 식별 정보와 제어 내용을 포함하는 동일한 패킷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2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네트워크(130a, 130b)를 통해 홈 게이트웨이(120)로 상기 제어 명령 또는 그룹 제어 명령이 전달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 단말(200)이 네트워크(130a, 130b)를 경유하지 않고도 Wi-Fi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홈 게이트웨이(120)와 직접 통신하여 홈 게이트웨이(120)로 상기 제어 명령 또는 그룹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홈 게이트웨이(120)는 사용자 단말(200)과 홈 게이트웨이(120) 간의 Wi-Fi 연결 여부에 따라 Wi-Fi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Wi-Fi로 연결된 경우, 사용자가 댁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홈 게이트웨이(120)는 사용자가 댁내에 있는 지 여부에 따라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을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지 않고도, 홈 게이트웨이(12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명령 또는 그룹 제어 명령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명령이 해당 홈 디바이스(들)(110)로 전달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홈 게이트웨이(120)는 예컨대, 스마트 TV, 셋톱 박스, 로봇 청소기, 냉장고, 세탁기, 스마트 폰, 댁내 전화기 등과 같은 각종 홈 디바이스(11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의 홈 게이트웨이(120)는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홈 게이트웨이(120)는 제어부(121)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122-1 내지 122-6 : 122)을 이용하여 도 2의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110-1 내지 110-n : 110)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122)은 Wi-Fi와 같은 무선 랜 모듈(122-1), 지그비(ZigBee) 모듈(122-2), 블루투스 모듈(122-3), 근거리통신(Near-Field Communication: NFC) 모듈(122-4), 유선 통신 모듈(122-5), 그리고 Z-WAVE 모듈(122-6) 등과 같은 각종 무선 또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Z-WAVE 모듈(122-6)은 홈오토메이션과 같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폭넓게 사용되는 RF(Radio Frequency) 기술 중 하나이다.
또한 도 3에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123), 저장부(Storage)(12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25)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2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21-1)와 홈 게이트웨이(12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ead-Only Memory: ROM)(121-2) 및 홈 게이트웨이(120)에서 수행되는 작업들을 위한 기억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121-3)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21)는 롬(121-2)이나 램(121-3)에 저장된 프로그램들 또는 저장부(129)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의 실행에 의해 통신 모듈(122)을 통해 홈 디바이스(들)(110)과 통신하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달된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5)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 또는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으로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명령을 홈 디바이스(들)(110)로 전송하거나 또는 홈 디바이스(들)(11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저장부(129)에 저장한다.
도 3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28)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알림 램프와 같은 출력 모듈과, 터치스크린, 키패드, 마이크와 같은 입력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직접 홈 게이트웨이(120)의 조작하거나, 홈 게이트웨이(120)에 홈 디바이스(들)(110)을 등록 또는 삭제하거나, 홈 게이트웨이(120)를 통해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의 홈 게이트웨이(120)는 도 2의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되는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을 동일하게 탑재할 수 있다. 홈 게이트웨이(120)에서 상기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은 롬(121-2)이나 저장부(124)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홈 디바이스들(110)의 그룹 제어를 위한 동작 모드는 크게 2 가지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번째 동작 모드는 원터치 모드이다. 상기 원터치 모드는 정해진 상황(예를 들어, 특정 시점)에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원터치 버튼이 실행된 경우, 그 특정 시점에 동작중인 홈 디바이스들(110) 중 전체 또는 선택된 일부의 홈 디바이스들(110)을 그룹으로 설정하고, 해당 그룹에 속하는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을 그룹으로 제어하는 동작 모드이다. 두 번째 동작 모드는 제어 이력 모드이다. 상기 제어 이력 모드는 설정된 조건(예컨대, 상황별, 시간별, 요일별, 또는 룸별)에서 동작되는 홈 디바이스들(110)을 그 제어 이력을 근거로 그룹으로 설정하고, 해당 그룹에 속하는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모드이다. 상기 제어 이력 모드에서 그룹의 설정은 홈 게이트웨이(120)가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을 모니터링하여 홈 디바이스들(110)의 제어 이력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제어 이력을 근거로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 홈 디바이스들(110)을 그룹으로 설정하고, 해당 그룹에 속하는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모드이다. 다른 실시 예로 홈 게이트웨이(120)가 추출된 제어 이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홈 디바이스들(110)을 그룹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123)은 일 예로서 인터넷 통신 모듈이 될 수 있으며, 홈 게이트웨이(120)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업자가 운용하는 서버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cloud) 서버 등과의 접속을 위해 홈 게이트웨이(120)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한다. 저장부(124)는 제어부(121)의 제어 하에 홈 게이트웨이(12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외부의 디바이스들이나 홈 디바이스(들)(11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은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제어부(210), 셀룰러 이동 통신 모듈(220), 서브통신 모듈(222), 멀티미디어 모듈(228), 카메라 모듈(236),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238), 입/출력 모듈(244), 센서 모듈(242), 저장부(258), 전원공급부(24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260)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236), GPS 모듈(238)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224) 및 근거리통신 모듈(22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서브통신 모듈(130)은 도 3의 통신 모듈(122)에 포함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228)은 방송통신 모듈(230), 오디오재생 모듈(232) 및 동영상재생 모듈(2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236)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244)은 버튼 셋(button set)(246), 마이크(248), 스피커(250), 진동모터(252), 커넥터(254), 및 키패드(25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10)는 CPU(210-1)와,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210-2)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거나,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 영역으로 사용되는 RAM(210-3)을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2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셀룰러 통신 모듈(220)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이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외부 장치(특히 셀룰러 시스템의 기지국)와 연결되도록 한다. 셀룰러 통신 모듈(220)은 통신 가능한 다른 기기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단문(Short Messaging Service: SMS)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메시지를 담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220)은 어플리케이션 등의 제어를 위한 작은 데이터(short data)를 포함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에서 무선랜 모듈(224)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 모듈(226)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과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Z-WA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호 간에 통신 방식이 지원되는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홈 게이트웨이(120) 또는 홈 디바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은 제어부(2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카메라 등)의 정보를 표시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제스처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260)에 표시된 소프트 키가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소프트 키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관련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제스처는 손가락 또는 기구에 의한 터치, 인체에 의한 모션 인식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4의 사용자 단말(200)은 도 2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상기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이 ROM(210-2) 또는 저장부(258)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사용자의 키 입력, 터치 입력, 또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한 제스쳐 입력에 따라 홈 디바이스들(110)의 그룹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한 원터치 모드 또는 제어 이력 모드에 따라 해당되는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을 그룹으로 제어하기 위한 그룹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달한다. 상기 그룹 제어 명령은 통신 네트워크(130) 또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s), Wi-Fi, 지그비(Zigbee), Z-WAVE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58)는 사용자 단말(200)의 이용을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컨텐츠 및 데이터들과 본 발명의 그룹 제어를 위해 홈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제공되는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 상태 정보와 그 처리 결과 정보 및 홈 디바이스들(110)의 그룹 설정 정보, 제어 이력 정보 등을 저장한다.
도 2의 실시 예에서 각 홈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 후, 그 처리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홈 게이트웨이(120)로 피드백 전송한다. 그러면 홈 게이트웨이(120)는 그 처리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처리 결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은 그 처리 결과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음향 효과, 음성 메시지, 문자 메시지, 아이콘 표시,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홈 디바이스들(110)의 댁내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홈 게이트웨이(120)에 접속하고, 홈 게이트웨이(120)를 통해 등록된 홈 디바이스들(11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댁내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홈 디바이스들(110) 중 적어도 하나는 댁내 상황을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예에서 홈 디바이스들(11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그룹) 제어 명령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달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테블릿 PC, IP 기반 유무선 전화기, 다기능 리모콘, 스마트 TV 등의 - 상기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홈 어플케이션은 위젯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홈 디바이스(110)의 동작 상태는 그 위젯을 통해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또는 요청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를 지원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의 실시 예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홈 디바이스들(110)의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한 원터치 모드 또는 제어 이력 모드에 따라 홈 디바이스들(110)의 그룹을 설정하고, 설정된 그룹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그룹 제어 명령이 수신된 경우, 해당 그룹의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예를 들어 온/오프 동작)을 일괄하여 제어한다.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110)은 댁내 룸 별로 그 위치가 등록된다. 도 5에서 참조 번호 140-1 내지 140-n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가 위치한/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룸(140)을 나타낸 것이며, 홈 게이트웨이(140)는 룸(140) 별로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홈 게이트웨이(120)는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의 사용자 단말(200)(또는 스마트 TV(150-1) 등의 특정 홈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홈 디바이스들(110)의 그룹 제어를 위한 각종 정보(예컨대, 그룹 설정 정보,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등)를 사용자 단말(200)(또는 스마트 TV(150-1) 등의 특정 홈 디바이스)에게 제공한다. 상기 그룹 설정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를 통해 설정된 그룹 제어 대상 홈 디바이스들의 등록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그룹 설정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등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달되고, 상기 그룹 설정 정보가 갱신된 경우 상기 갱신된 그룹 설정 정보 또한 상기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120)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동일한 그룹 설정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 게이트웨이(120)가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상기 그룹 설정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 및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홈 게이트웨이(120)에 의해 설정된 그룹 설정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등록된 그룹 설정 정보를 수신한 홈 게이트웨이(120)는 이후 그룹 제어 실행 시 사용자 단말(200)에게 상기 수신한 그룹 설정 정보를 다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기 저장된 그룹 설정 정보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그룹 설정 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확인된(또는 재설정된) 그룹 설정 정보를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그룹 설정 정보를 등록 및 공유하는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110)은 미리 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또는 홈 게이트웨이(120)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 요구가 수신된 경우, 현재 시점의 동작 상태 정보 또는 직전 동작 상태 정보 송신 시점부터 현재 시점까지 누적된 동작 상태 정보를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홈 게이트웨이(120)는 홈 디바이스들(110)로부터 전송되는 동작 상태 정보를 설정된 조건에 따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조건은 상황별, 시간별, 요일별, 또는 룸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상황별 조건은 예를 들어, 외출, 귀가, 영화감상, 공부, 취침, 기상, 휴가, 청소, 식사 등 댁내에서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 상태가 각각 구별되는 다양한 상황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된 조건은 복수의 조건이 함께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홈 게이트웨이(12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조건들을 만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홈 디바이스들(110)의 제어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홈 디바이스들(110)의 그룹은 원터치 모드의 경우, 현재 시점 또는 특정 시점에 실행 중인 홈 디바이스들(110)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확인을 받아 설정할 수 있다. 제어 이력 모드의 경우, 홈 게이트웨이(120)가 모니터링한 홈 디바이스들(110)의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홈 디바이스들(110)의 그룹을 자동으로 설정하거나,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게 제공한 후, 사용자가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한 하나 또는 복수의 홈 디바이스들(110)을 그룹으로 묶어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 홈 게이트웨이(120)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홈 디바이스들(110)의 그룹을 동일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홈 디바이스들(110)의 그룹 설정을 위해서는 홈 디바이스들(110)의 등록이 요구되며, 그 등록은 또한 룸(140) 별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홈 디바이스들(110)의 현재 위치는 홈 게이트웨이(120)에 직접 등록하거나 또는 각 홈 디바이스(110)에 구비된 RF(Radio Frequency) 태그, 센서 등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홈 디바이스들(110)의 위치 정보는 예컨대, 냉장고는 주방(kitchen), TV는 거실(Living room)과 같이 홈 디바이스(110)가 위치된 룸의 명칭에 맵핑된다. 그리고 그 위치 정보는 홈 디바이스들(110) 마다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위치를 디폴트 값으로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 또는 스마트 TV(150-1)를 통해 제공되는 댁내 평면도를 이용하여 각 홈 디바이스(110)의 아이콘을 하나의 룸에서 다른 룸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하거나 또는 터치 등의 제스쳐 동작 또는 음성 명령을 통해 평면도 상에서 홈 디바이스(14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 또는 스마트 TV(150-1)는 홈 게이트웨이(120)로부터 홈 디바이스들(110)의 룸별 위치 정보와 그 룸별 위치 정보가 반영된 평면도 정보를 제공 받아 홈 디바이스들(110)의 댁내 전체, 룸별 또는 디바이스별 동작 상태 정보를 평면도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 또는 스마트 TV(150-1)는 홈 게이트웨이(120)로부터 또한 홈 디바이스들(110)의 상기한 제어 이력 정보와 그룹 설정 정보를 제공 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를 지원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6의 구성은 홈 디바이스들(110) 중 스마트 홈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와 GUI 제공이 용이한 스마트 TV(150-2) 내에 홈 게이트웨이(120)를 탑재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스마트 TV(150-2)가 제공하는 상대적으로 큰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를 위한 그룹 설정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하고, 상기 그룹 제어를 위한 각종 정보(예컨대, 그룹 설정 정보,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등)를 보다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댁내에 설치된 홈 디바이스들(110)의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홈 디바이스들(110)을 제어 및 관리한다. 일 예로 홈 게이트웨이(120)는 새로운 홈 디바이스가 설치되면, 그 새로운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예컨대 홈 디바이스의 식별자와, 성능(capacity) 정보와,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홈 게이트웨이(120)와 홈 디바이스 간의 서비스 탐색(Service Discovery) 절차를 통해 해당 홈 디바이스로부터 직접 획득되거나, 또는 홈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인터넷 상의 서버로부터 홈 게이트웨이(120)로 수신되거나, 또는 사용자 또는 시스템 관리자(administrator)로부터 홈 게이트웨이(120)에 직접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새로운 홈 디바이스를 구입하여 설치하고, 홈 디바이스 또는 그 사용 설명서를 통해 제공되는 식별 정보, 일 예로 일련번호, 모델번호, QR(Quick Response) 코드를 홈 게이트웨이(120)에 입력하면, 홈 게이트웨이(120)는 해당 홈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인터넷 상의 제조사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의 등록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1 단계에서 홈 디바이스(110)가 새로이 설치되고, 동작 전원이 공급되고, 홈 게이트웨이(120)로의 등록 절차가 개시된다. 또는 기 설치된 홈 디바이스(110)에 대해 홈 게이트웨이(120)로의 등록 절차가 개시된다. 등록 절차가 개시된 경우, 703 단계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홈 디바이스(110)에 대한 탐색 절차를 수행한다. 일 예로 홈 디바이스(110)가 홈 게이트웨이(120)에 와이파이(Wi-Fi)로 연결되는 경우, 홈 게이트웨이(120)는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주변의 새로운 홈 디바이스에 대한 탐색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탐색 절차를 통해 홈 게이트웨이(120)는 검출된 홈 디바이스(110)에 대한 정보(이하, 홈 디바이스 정보)를 홈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홈 디바이스 정보는, 상기 홈 디바이스(110)의 식별 정보와, 성능 정보 등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 예로 상기 식별자는 해당 홈 디바이스(110)의 제품 종류(에어컨, 냉장고, LED 전등 등)을 나타내는 제품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 예로, 705 단계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등록하고자 하는 홈 디바이스(110)에 대한 등록 요청을 자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된 제어 콘솔을 통해 또는 인터넷 상의 컴퓨터를 통해, 수신하며, 홈 디바이스(11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홈 디바이스(110)로부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홈 디바이스(11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홈 디바이스(110)의 제조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홈 디바이스(110)에 대한 성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707 단계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해당 홈 디바이스(110)의 홈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 및 저장한다. 또한 선택적인 실시 예로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또는 인터넷이나 와이파이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홈 디바이스(110)에 대한 추가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추가 정보는 일 예로 홈 디바이스(110)의 이름 또는 별명, 홈 디바이스(110)가 설치된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인 실시 예로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인터넷이나 와이파이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홈 디바이스(110)의 동작 모드 및/또는 권한에 대한 추가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추가 정보는 일 예로서 상기 홈 디바이스(110)에 대한 접근 권한의 레벨을 포함한다. 상기 접근 권한의 레벨은 일 예로서, 홈 게이트웨이(120)를 통한 접근만을 허용, 또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200)에 의한 접근을 허용, 또는 홈 게이트웨이(120)에 등록된 원격 단말에 의한 접근을 허용 등을 포함한다.
709 단계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홈 디바이스(110)와 접속을 설정한다. 상기 접속의 설정은, 홈 게이트웨이(120)와 홈 디바이스(110)간의 통신 방식에 따라 Wi-Fi, 지그비, 블루투스, NFC, Z-WAVE 또는 유선 통신 방식에 따라 정해진 절차에 따라 수행된다. 홈 게이트웨이(120)와 홈 디바이스(140)간에 접속이 설정되면, 711 단계에서 홈 디바이스(140)는 상기 설정된 접속을 통해 홈 게이트웨이(120)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홈 디바이스(110)는 동작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홈 게이트웨이(120)의 요청에 의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713 단계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홈 디바이스(110)에게 디바이스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제어에 따라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된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110)에게 동시에 또는 정해진 순서(또는 정해진 시간)에 따라 온/오프 동작을 위한 디바이스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제어 명령은 동작 시간을 설정/제한 하거나 또는 전력 사용량을 설정/제한하는 구체적인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제어 명령은 그룹으로 설정된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110)에게 동일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거나 또는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110)마다 서로 다른 제어 명령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등록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0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홈 게이트웨이(120)의 원격 제어를 지원하는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선택적인 실시 예로서 상기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은 정해진 인증 절차를 거친 사용자 단말(200)에만 설치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인증 번호를 제공하며, 홈 게이트웨이(120)를 관리하는 제조사 서버 또는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외부 서버는 상기 인증 번호를 통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200)에게만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허용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 예로서 상기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200)의 허용된 권한 레벨에 따라 제한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은 홈 게이트웨이(120)를 통한 정보 조회, 홈 게이트웨이(120)로부터의 알람 정보 수신, 홈 디바이스(110)들의 그룹 설정, 부분적인 제어 또는 완전한 제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능을, 상기 허용된 권한 레벨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허용된 권한 레벨은 홈 게이트웨이(120)를 통해 설정하거나 또는 홈 게이트웨이(120)를 관리하는 제조사 서버 또는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외부 서버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80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홈 게이트웨이(120)에게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은 인터넷을 통해 또는 스마트 TV(150-22)을 통해 홈 게이트웨이(120)에게 전달되거나 직접 Wi-Fi를 통해 홈 게이트웨이(12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일 예로 MSID(MS Identifier) 또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y)), 로그인 아이디 및 비밀번호, 권한 정보, 동작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 예로서, 805 단계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등록 요청을 자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된 제어 콘솔을 통해 또는 인터넷 상의 컴퓨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정보, 일 예로서 권한 정보 및/또는 동작 모드 정보(예컨대, 원터치 모드, 제어 이력 모드 등)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 예로 과정 809 단계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 또는 스마트 폰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해당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권한 정보가 홈 게이트웨이(120)에 입력되지 않은 경우, 홈 게이트웨이(120)는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권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811 단계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등록된 사용자 단말(200)로 관리한다. 813 단계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정보가 성공적으로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등록 승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에게 전송한다. 이후 813 단계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사용자 단말(200)에게 홈 디바이스들(110)의 그룹 제어를 위한 각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는 그룹 설정 정보,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 정보,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815 단계에서 상기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원터치 모드 또는 제어 이력 모드에 따른 홈 디바이스들(110)의 그룹 제어를 위한 그룹 제어 명령을 홈 게이트웨이(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 제어 명령을 수신한 홈 게이트웨이(120)는 해당 그룹에 속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홈 디바이스들(1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디바이스 제어 명령을 해당되는 홈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한다. 선택적인 실시 예로 사용자 단말(200)를 통한 그룹 제어 명령의 입력이 없더라도 예컨대, 제어 이력 모드에 따른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홈 게이트웨이(120)가 그 조건이 만족함을 알리는 알람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게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확인 신호가 수신된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확인 신호의 전송이 없더라도 그룹으로 설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홈 디바이스들(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제어를 위한 동작 모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기존의 방식과 같이 그룹 제어 명령의 생성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홈 디바이스들이 그룹으로 묶여지는 상황을 정의하고, 일일이 해당 그룹에 속하는 홈 디바이스를 하나씩 선택한 후, 제어될 동작 상태를 지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그 그룹에 속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그룹 제어를 위해 요구되는 시간과 복잡도는 증가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홈 게이트웨이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을 근거로 정해진 조건에서 상호 연관성이 높은 홈 디바이스들을 그룹으로 묶어서 제어하는 그룹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서 홈 게이트웨이는 연결되는 있는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을 모니터링한다. 또한 홈 디바이스들의 상호 관련성을 정해진 조건에 따라 예컨대, 상황별, 시간별, 요일별, 또는 룸별로 설정 또는 결정한다.
그리고 홈 게이트웨이는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을 내부에 저장하거나 또는 외부 클라우드 서버 등에 저장 및 관리하고, 그룹 설정 시 홈 게이트웨이의 자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홈 게이트웨이가 탑재된 스마트 TV 등의 홈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에게 그 제어 이력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은 상황별, 시간별, 요일별, 또는 룸별로 제공될 수 있으며, 등록된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 사용자별로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게이트웨이는 특정 시점(예컨대, 현재 시점)에 동작중인 홈 디바이스들을 원터치로 그룹 설정할 경우, 사용자가 해당 그룹의 홈 디바이스들을 일일이 설정하지 않고도,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의 원터치 모드 실행을 통해 해당 그룹의 홈 디바이스들을 일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은 동시에 또는 정해진 순서로(또는 정해진 시간에 따라) 그룹 단위로 동작이 제어된다. 그룹 단위의 제어를 위한 그룹 제어 명령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홈 게이트웨이로 전달되거나 또는 홈 게이트웨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거나 또는 홈 게이트웨이가 탑재된 홈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개개의 홈 디바이스가 그룹 제어 명령을 직접 인식하고, 자신이 해당 그룹에 속하는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홈 디바이스인지 판단하여 동작 수행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그룹 제어 명령은 예컨대, 그룹 식별자, 조건 식별자, 구체적인 동작 제어(예컨대, 온/오프 제어, 동작 시간 제어, 전력 사용량 제어 등)를 위한 디바이스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그룹 제어 명령을 전달 받은(입력 받은) 홈 게이트웨이가 해당되는 그룹의 홈 디바이스들을 확인하고, 해당 홈 디바이스들에게 동작 제어를 위한 디바이스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그룹 제어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그룹 제어 명령을 전달 받은(입력 받은) 홈 게이트웨이가 그룹 제어 명령을 댁내 모든 홈 디바이스들에게 전달하면, 그 그룹 제어 명령을 홈 디바이스들이 각각 자신이 해당 그룹에 속하는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홈 디바이스인지 판단하여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그룹 제어 방식이 구현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원터치 모드로 동작하는 그룹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9의 실시 예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그룹 제어 명령이 전달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체 홈 디바이스들은 홈 디바이스1, 2, 3으로 도시하였다.
도 9의 901 단계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주기적으로 또는 요구에 의해 전체 홈 디바이스들(110-1, 110-2, 110-3)으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903 단계에서 각 홈 디바이스에 대응되게 동작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90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원터치 모드가 실행된 경우(여기서 원터치 모드의 실행은 원터치 모드의 설정 모드로 이해될 수 있다.), 906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홈 게이트웨이(120)로 원터치 모드 실행 요구를 전송한다. 도 9의 907 단계에서 상기 원터치 실행 요구를 수신한 홈 게이트웨이(120)는 응답으로 현재 시점의 홈 디바이스들(110-1, 110-2, 110-3)의 동작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원터치 모드의 초기 실행 시 도 10 또는 도 11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댁내 영역(Zone)의 구분이 없는 원터치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참조 번호 1010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서 현 상태 저장 버튼(1011)을 클릭하면, 참조 번호 1030에서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시점의 홈 디바이스들(110-1, 110-2, 110-3)의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홈 디바이스들(110-1, 110-2, 110-3)의 동작 상태를 온/오프 상태(1031)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사용자는 현재 시점의 홈 디바이스들(110-1, 110-2, 110-3)의 동작 상태를 그대로 저장하거나(1033) 또는 일부 홈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수정하거나 또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수정하여 저장(1033)할 수 있다. 이후 참조 번호 1050에서 홈 디바이스들(110-1, 110-2, 110-3)의 상기 저장된 동작 상태는 그룹 제어 명칭을 입력하여 원터치 모드로 등록 및 저장(1051)할 수 있다. 저장된 원터치 모드의 그룹 설정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달된다. 해당 그룹 제어 명칭으로 저장된 원터치 모드가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해당 그룹 설정 정보를 근거로 하는 그룹 제어 명령이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된다.
그리고 도 11은 댁내 영역(Zone)의 구분이 룸별로 설정된 원터치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참조 번호 1110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서 현 상태 저장 버튼(1111)을 클릭하면, 참조 번호 1130에서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시점의 홈 디바이스들(110-1, 110-2, 110-3)의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룸별(1131) 홈 디바이스들(110-1, 110-2, 110-3)의 동작 상태를 온/오프 상태(1031)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참조 번호 1150에서 사용자는 현재 시점의 홈 디바이스들(110-1, 110-2, 110-3)의 동작 상태를 룸별로(1151, 1153) 그대로 저장하거나(1155) 또는 일부 홈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수정하거나 또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수정하여 저장(1155)할 수 있다. 이후 참조 번호 1070에서 홈 디바이스들(110-1, 110-2, 110-3)의 상기 저장된 동작 상태는 그룹 제어 명칭을 입력하여 룸별 원터치 모드로 등록 및 저장(1173)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룸별 원터치 모드의 그룹 설정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달된다. 해당 그룹 제어 명칭으로 저장된 룸별 원터치 모드가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해당 그룹 설정 정보를 근거로 하는 그룹 제어 명령이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된다.
다시 도 9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도 9의 909 단계에서 도 10 또는 도 11의 실시 예와 같이 설정된(저장된) 그룹 제어 명령이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달되면, 911 단계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그 그룹 제어 명령에 따른 그룹에 속하는 홈 디바이스들(110-1, 110-2)의 동작 제어를 위한 디바이스 제어 명령을 각각 전송한다. 상기한 도 9의 실시 예에서 그룹 제어 명령이 저장되면,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그룹 제어 명령을 불러와 해당 그룹 제어 명령을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하여 홈 디바이스들(110-1, 110-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도 9 내지 도 11의 실시 예에 의하면, 현재 시점의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를 기준으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를 위한 설정을 손쉽게 저장/편집할 수 있는 기능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소 대로 생활하다가 한 번의 클릭으로 현재 상황에 해당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를 반영하는 그룹 제어 명령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최초 그룹 제어 명령 설정 시 상황(예컨대, 식사, 공부, 영화 감상 등)/홈 디바이스 개수에 따른 설정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 현재 시점의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를 저장할 때, 영역 정보 및 홈 디바이스 상태 등을 수정/편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한 도 9 내지 도 11의 실시 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원터치 모드에서도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을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이력은 홈 디바이스의 세부 동작 상태를 함께 저장하도록 하고, 원터치 모드 설정 시 현재 시점의 홈 디바이스들의 온/오프 동작 상태를 설정함은 물론 상기 제어 이력을 토대로 홈 디바이스들의 디바이스별 세부 동작 상태는 해당 홈 디바이스들이 가장 빈번하게 동작된 상태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홈 디바이스가 에어컨이라면, 원터치 모드 설정 시 현재 시점의 동작 상태가 온 상태이면, 에어컨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 그 시점까지의 에어컨의 제어 이력을 토대로 가장 빈번하게 동작된 풍량, 온도 등의 세부 동작 상태를 함께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세부 동작 상태를 직접 설정하는 것은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 이력 모드로 동작하는 그룹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12의 실시 예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그룹 제어 명령이 전달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체 홈 디바이스들은 홈 디바이스1, 2, 3으로 도시하였다.
도 12의 1201 단계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주기적으로 또는 요구에 의해 전체 홈 디바이스들(110-1, 110-2, 110-3)으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1203 단계에서 각 홈 디바이스에 대응되게 동작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1205 단계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 요구에 의해 전체 홈 디바이스들(110-1, 110-2, 110-3)의 누적된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홈 디바이스들(110-1, 110-2, 110-3)의 제어 이력을 모니터링하여 저장한다. 이후 1207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제어 이력 모드가 실행된 경우, 1208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홈 게이트웨이(120)로 제어 이력 모드 실행 요구를 전송한다. 도 12의 1209 단계에서 상기 제어 이력 실행 요구를 수신한 홈 게이트웨이(120)는 응답으로 홈 디바이스들(110-1, 110-2, 110-3)의 제어 이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제어 이력 모드의 초기 실행 시 도 13 내지 도 17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이력 정보는 홈 디바이스들(110-1, 110-2, 110-3)의 누적된 동작 상태 정보가 그대로 제공되거나 또는 홈 디바이스들(110-1, 110-2, 110-3)의 상호 관련성을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예컨대, 상황별, 시간별, 요일별, 또는 룸별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후 121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도 13 내지 도 17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정해진 조건에 따른 그룹 제어 설정이 수행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이력 모드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사용자가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즉 사용 이력)을 확인하고, 사용자가 온/오프되는 홈 디바이스들을 직접 선택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서 참조 번호 1310은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을 나타낸 것이고, 1330은 사용자에 의해 온/오프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설정 예를 나타낸 것이며, 1350은 상기 설정된 그룹을 예컨대, 룸별로 나타낸 것이고, 1370은 제어 이력을 기반으로 설정된 해당 그룹 설정 정보를 등록 및 저장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이력 모드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특정 상황(예컨대, 시간별 제어 이력)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시작 시점 및 동작 종료 시점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표현하여 한 가지 상황(예컨대, 선택된 시간 구간)에 대한 그룹 설정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에서 참조 번호 1410은 홈 디바이스들의 시간별 제어 이력을 나타낸 것이고, 1430은 시간 구간을 선택하여 온/오프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설정 예를 나타낸 것이며, 1450은 상기 설정된 그룹을 예컨대, 룸별로 나타낸 것이고, 1470은 상기 시간별 제어 이력을 기반으로 설정된 해당 그룹 설정 정보를 등록 및 저장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시간별 제어 이력을 기반으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설정하는 경우, 홈 디바이스들 간에 상호 관련성이 존재하는 시간 구간을 추출하여 하나의 상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상호 관련성은 시간 임계값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시간 임계값이 3분인 경우, 3분 이내에서 순차로 온 구동되는 홈 디바이스들은 상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간 임계값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시간 구간을 추출하여 하나의 상황(예를 들어, 식사, 출근 등)을 정하고, 그 상황을 만족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명령들을 묶어서 하나의 그룹 제어 명령으로 설정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을 토대로 구체적인 상황을 정할 때 이용할 수 있는 정보의 예는 아래와 같다.
1) 시각(오전/오후/새벽), 도어락(귀가/외출 등), 사용자 단말(200)과 홈 게이트웨이(120) 간의 Wi-Fi 연결 여부(Wi-Fi 연결된 경우 사용자는 댁내 위치하고, 연결되지 않은 사용자는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함), 알람(기상/TV시청 등), 스케줄(휴가 등), TV(거실에 있는지, 영화를 보는지), Light(방에 있는지), 움직임 센서(재실 여부), 음성 인식(재실 여부), 접촉 센서(Contact Sensor), 조도 센서, 청소기(청소), 오븐/전자레인지(식사), 세탁기, 에어컨, 선풍기 등
2) 홈 디바이스가 동작되는 이벤트와 이벤트 사이의 시간을 시간 임계값과 비교하여 그 사이의 시간이 시간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서로 다른 상황으로 구분됨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구분되는 상황들의 예는 아래와 같으며, 시간 임계값은 각 상황 별로 설정될 수 있다.
- 외출: {도어락 잠금으로 변화 & Light off & TV off} | Time Threshold
- 귀가: {도어락 open으로 변화 & Light on & Motion sensing} | Time Threshold
- 영화감상: {TV on & 홈씨어터 on & Media Player 재생} | Time Threshold
- 공부: {공부방 Light on & TV off} | Time Threshold
- 취침: {시간 정보 & Light off & TV off & 세탁기 off} | Time Threshold
- 기상: {Alarm on & Light on & 오디오 on} | Time Threshold
- 휴가: {Schedule 확인 & 모든 기기 off} | Time Threshold
- 청소: {창문 open & 청소기 on & 소리 인식} | Time Threshold
- 식사: {오븐/가스레인지/전자레인지 on & 식탁 Light on} | Time Threshold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이력 모드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한 가지 상황이 종료된 시점에서, 현재 시점의 모든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를 저장 및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에서 참조 번호 1510은 홈 디바이스들의 시간별 제어 이력을 나타낸 것이고, 1530은 하나의 상황이 종료된 후, 온/오프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설정(1531) 예를 나타낸 것이며, 1550은 상기 설정된 그룹을 예컨대, 룸별로 나타낸 것이고, 1570은 상기 하나의 상황 종료를 근거로 설정된 해당 그룹 설정 정보를 등록 및 저장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의 실시 예의 경우, 제어되지 않은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도 모두 반영되어 신규 모드로 그룹을 설정할 수 있고, 특정 상황의 시작/종료 시점에서 해당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를 쉽게 로드(load)하여 저장/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서 참조 번호 1530의 예는, 홈 디바이스의 제어 이력에서 제어 명령들간 상호 관련성(correlation)이 존재하는 8시30분부터 8시34분까지의 상황이 끝나는 시점에서의 해당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를 신규 모드로 생성/편집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이력 모드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요일/시간대별로 비슷한 상황들의 정보를 기반으로, 홈 디바이스들의 반복되는 제어 명령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그룹 설정으로 추천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에서 참조 번호 1610은 홈 디바이스들의 요일/시간대별(1611, 1613) 제어 이력 확인을 위한 설정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1630은 제어 이력 정보로부터 상기 설정된 요일/시간대별 반복되는 제어 명령을 추출하여 반복 패턴을 갖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설정하는(1631) 예를 나타낸 것이며, 1650은 상기 설정된 그룹을 예컨대, 룸별로 나타낸 것이고, 1670은 상기 반복 패턴을 갖는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명령을 근거로 설정된 해당 그룹 설정 정보를 등록 및 저장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이력 모드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요일/시간대별로 비슷한 상황들의 정보를 기반으로, 홈 디바이스들의 반복되는 제어 상태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그룹 설정으로 추천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에서 참조 번호 1710은 홈 디바이스들의 요일/시간대별(1711, 1713) 제어 이력 확인을 위한 설정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1730은 제어 이력 정보로부터 상기 설정된 요일/시간대별 반복되는 제어 상태를 추출하여 반복 패턴을 갖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설정하는(1731) 예를 나타낸 것이며, 1750은 상기 설정된 그룹을 예컨대, 룸별로 나타낸 것이고, 1770은 상기 반복 패턴을 갖는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명령을 근거로 설정된 해당 그룹 설정 정보를 등록 및 저장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다시 도 12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도 12의 1213 단계에서 도 13 내지 도 17의 실시 예와 같이 설정된 그룹 설정 정보를 근거로 하는 그룹 제어 명령이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달되면, 1215 단계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그 그룹 제어 명령에 따른 그룹에 속하는 홈 디바이스들(110-1, 110-2)의 동작 제어를 위한 디바이스 제어 명령을 각각 전송한다.
한편 상기한 도 12 내지 도 17의 실시 예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은 홈 디바이스의 세부 동작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이력 모드 실행 시 저장된 제어 이력을 토대로 홈 디바이스들의 온/오프 동작 상태는 물론 세부 동작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세부 동작 상태는 해당 홈 디바이스들이 가장 빈번하게 동작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디바이스가 난방기라면, 온/오프 상태는 물론 가장 빈번하게 동작된 난방 온도, 난방 시간 등의 세부 동작 상태를 함께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세부 동작 상태를 직접 설정하는 것은 가능하다.
상기한 도 12 내지 도 17의 실시 예에 의하면,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을 기반으로 그룹 제어 명령을 추출/생성/저장/편집이 가능하며, 그룹 제어 명령의 생성 시 특정 상황으로 예측되는 구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홈 디바이스를 제어한 이력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특정 상황을 댁내에서 보냈을 때 댁내에 있는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도 9 및 도 12의 실시 예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는 설명의 편의상 온/오프 상태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는 온/오프 상태는 뿐만 아니라 해당 홈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사용 빈도가 높은 기능(예컨대, 로봇 청소기의 경우 청소 시작/청소 종료, IP 카메라의 경우 녹화 시작/ 녹화 종료 등)을 위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도 9 및 도 12의 실시 예에서 그룹 제어 명령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달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그 그룹 제어 명령은 홈 게이트웨이(120)를 통해 직접 입력되거나 또는 홈 게이트웨이(120)가 탑재된 스마트 TV 등의 홈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 및 도 12의 실시 예는 홈 게이트웨이(120)가 그룹 제어 명령을 확인하고, 전체 홈 디바이스들 중에서 해당 그룹의 홈 디바이스들에게 디바이스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그룹 제어 방식을 가정하였으나, 홈 게이트웨이(120)가 그룹 제어 명령을 모든 홈 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하면, 그 그룹 제어 명령을 수신한 각 홈 디바이스가 그룹 제어 명령을 해석하여 직접 동작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 이력을 기반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설정 시 상호 관련성을 이용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여기서 상호 관련성은 제어 이력을 근거로 어떤 홈 디바이스가 동작할 때 함께 동작하는 다른 홈 디바이스를 예컨대, 행렬로 표현하고, 반복되는 패턴이 존재 하거나 또는 시간 임계값을 만족하는 경우, 가중치를 부여하여 홈 디바이스들의 사용 패턴에 따라 적응적으로 그룹을 설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홈 디바이스들 간의 상호 관련성이 정해지면, 그 상호 관련성이 높은 순서로 제어 이력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그룹 제어를 위해 하나의 홈 디바이스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홈 디바이스와 상호 관련성이 높은 순서로 선택 가능한 다른 홈 디바이스들이 순차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그 표시된 홈 디바이스들 중에서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홈 디바이스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원터치 모드의 경우, 사용자 맞춤형으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를 위한 모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원터치 모드의 경우 사용자가 한 번 그룹을 설정한 후, 다음부터 설정된 그룹 제어를 위한 홈 디바이스들의 리스트를 수정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댁내 가족 구성원 모두가 식사를 할 때, 외출할 때, 귀가할 때, 공부할 때 등의 모든 경우를 각자의 취향에 맞게 편리하게 저장/사용하고, 가족 구성원간 그룹 정보의 공유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 이력 모드의 경우,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을 정해진 조건 또는 상호 관련성을 고려하여 해당 상황에서 반복되는 제어 명령 또는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상태를 추출하여 기존의 복잡한 작업을 통해 그룹 제어 명령을 방식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홈 디바이스들의 시간/요일별 제어 이력을 취합/비교하여 반복되는 패턴을 갖는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명령 또는 제어 상태를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사용자 취향에 맞는 상황별 맞춤형 그룹 제어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댁내 홈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동작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홈 게이트웨이가 그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였다.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홈 게이트웨이가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옥외의 환경 변화와 관련된 옥외 정보(outdoor information)(예를 들어, 미세 먼지 정보 등의 환경 정보, 긴급 재난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재난 정보, 그리고 폭우, 폭설 또는 폭염 등을 알리는 기후 정보 등)를 이용하여 그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다른 실시 예에서 옥외 정보는 상기 환경 정보, 재난 정보, 기후 정보 등을 관리하는 관공서 등의 서버, 또는 상기 환경 정보, 재난 정보, 기후 정보 등을 수집하여 정보 서비스로 제공하는 사업자 등의 서버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관공서, 사업자 등이 운영하는 서버를 외부 서버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환경 정보, 재난 정보, 기후 정보 등은 홈 게이트웨이와 외부 서버 간에 미리 약속된 정보가 정해진 상황에 따라 제공될 수 있으며, 지역, 시간, 정도 등에 따라 세분화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외부 정보를 이용하여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그룹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체 홈 디바이스들은 홈 디바이스1, 2, 3(110-1, 110-2, 110-3)으로 도시하였다.
도 18의 1801 단계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댁내에서 센싱하거나 또는 수집하기 어려운 환경 정보, 재난 정보, 또는 기후 정보 등의 옥외 정보를 푸시 서비스(push service)를 통해 또는 주기적으로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게이트웨이(120)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미세먼지 주의보, 지진 예보 등 댁내에서 센싱하기 어려운 옥외의 환경 정보 등을 푸시 서비스로 수신할 수 있다. 1803 단계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상기 옥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옥외 정보에 매핑된 그룹 제어 명령이 있는 지 판단(확인)한다. 이를 위해 홈 게이트웨이(120)는 다양한 상황을 나타내는 옥외 정보에 대응되게 미리 매핑된 그룹 제어 명령들과 관련 그룹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각 그룹 제어 명령에 따른 그룹에 속하는 홈 디바이스들(110-1, 110-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1803 단계에서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옥외 정보에 매핑된 그룹 제어 명령이 있는 경우, 홈 게이트웨이(120)는 1807 단계에서 그 그룹 제어 명령에 따른 그룹에 속하는 홈 디바이스들(110-1, 110-2)의 동작 제어를 위한 디바이스 제어 명령을 각각 홈 디바이스들(110-1, 110-2)에게 전송한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 주의보가 옥외 정보로 제공되고, 댁내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고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 홈 디바이스들 중에서 가습기, 로봇청소기, 공기청정기가 그룹화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미세먼지 주의보가 푸시 서비스를 통해 홈 게이트웨이(120)에 수신되면, 홈 게이트웨이(120)는 상기 미세먼지 주의보에 매핑된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홈 디바이스들인 가습기, 로봇청소기, 공기청정기에게 디바이스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 제어 명령을 수신한 가습기, 로봇청소기, 공기청정기는 동작을 수행하여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감소시킨다. 한편 상기 1803 단계에서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옥외 정보에 매핑된 그룹 제어 명령이 없는 경우, 홈 게이트웨이(120)는 예컨대, 도 12의 실시 예에서 제어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그 옥외 정보가 수신된 시점(시간, 계절 등)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시점에 등록 및 저장된 그룹 설정 정보를 그 옥외 정보에 대응되는 그룹 설정 정보로 이용하여 그룹 제어 명령을 설정하고, 1807 단계에서 그 설정된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홈 디바이스들(110-1, 110-2)에게 디바이스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이후 1809 단계에서 홈 게이트웨이(120)는 사용자 단말(200)에게 옥외 정보에 따른 그룹 제어가 수행됨을 보고할 수 있다. 상기 1809 단계의 동작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1803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옥외 정보에 매핑된 그룹 제어 명령이 없는 경우, 홈 게이트웨이(120)가 직접 그룹 제어 명령을 설정하는 대신에 상기 옥외 정보의 수신을 사용자 단말(200)에게 알린 후, 도 12 내지 도 16의 실시 예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설정된 그룹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도 18의 실시 예는 도 9 또는 도 12의 실시 예들과 결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원터치 모드에 의한 그룹 제어, 제어 이력 모드에 의한 그룹 제어, 그리고 옥외 정보에 의한 그룹 제어 간에 동작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동작의 충돌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홈 디바이스들이 제어 이력 모드에 의해 동작 중에 옥외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어 이력 모드에 의한 그룹 제어를 중단하고, 옥외 정보에 의한 그룹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옥외 정보에 의한 그룹 제어가 완료되면, 다시 제어 이력 모드에 의한 그룹 제어를 재개할 수 있다.
상기한 도 18의 실시 예를 이용하여 댁내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 정보는 물론 외부의 옥외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Claims (56)

  1.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수집된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해 그룹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된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 중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으로 설정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정해진 시간 임계값 내에서 동작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특정 상황에서 함께 동작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상호 관련성이 높은 순서로 추출된 홈 디바이스들의 리스트로부터 설정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정해진 시간 구간 내에서 동작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리스트로부터 설정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제어 명령은 상기 제어 이력 정보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설정된 그룹에 해당되는 그룹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제어 명령은 상기 설정된 그룹에 속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식별 정보, 홈 디바이스별 제어 내용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10.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홈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해 그룹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 중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 게이트웨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으로 설정되는 홈 게이트웨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정해진 시간 임계값 내에서 동작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포함하는 홈 게이트웨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특정 상황에서 함께 동작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포함하는 홈 게이트웨이.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상호 관련성이 높은 순서로 추출된 홈 디바이스들의 리스트로부터 설정되는 홈 게이트웨이.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정해진 시간 구간 내에서 동작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리스트로부터 설정되는 홈 게이트웨이.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이력 정보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그룹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홈 게이트웨이.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설정된 그룹에 해당되는 그룹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제어하는 홈 게이트웨이.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제어 명령은 상기 설정된 그룹에 속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식별 정보, 홈 디바이스별 제어 내용을 포함하는 홈 게이트웨이.
  19.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현재 동작 상태를 근거로 하는 동작 모드의 실행 요구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동작 모드의 실행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상기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한 그룹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된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 중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제어 명령은 상기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제어 명령은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속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식별 정보, 홈 디바이스별 제어 내용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현재 동작 상태 정보는 상기 제어 이력을 토대로 설정된,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서, 디바이스별 세부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별 세부 동작 상태 정보는 해당 홈 디바이스들이 가장 빈번하게 동작된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23.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홈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현재 동작 상태를 근거로 하는 동작 모드의 실행 요구를 수신하며, 상기 동작 모드의 실행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한 그룹 제어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 중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 게이트웨이.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제어 명령은 상기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홈 게이트웨이.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제어 명령은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속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식별 정보, 홈 디바이스별 제어 내용을 포함하는 홈 게이트웨이.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더 제어하며, 상기 현재 동작 상태 정보는 상기 제어 이력을 토대로 설정된,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서, 디바이스별 세부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별 세부 동작 상태 정보는 해당 홈 디바이스들이 가장 빈번하게 동작된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홈 게이트웨이.
  27.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홈 게이트웨이에게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를 요구하는 과정;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 중 그룹 제어가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설정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해 상기 등록된 그룹 설정 정보를 근거로 하는 그룹 제어 명령을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는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에 대한 제어 이력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으로 설정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정해진 시간 임계값 내에서 동작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특정 상황에서 함께 동작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상호 관련성이 높은 순서로 추출된 홈 디바이스들의 리스트로부터 설정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정해진 시간 구간 내에서 동작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리스트로부터 설정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는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에 대한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룹 제어 명령은 상기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설정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34.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는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에 대한 제어 이력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현재 동작 상태 정보는 상기 제어 이력을 토대로 설정된,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서, 디바이스별 세부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별 세부 동작 상태 정보는 해당 홈 디바이스들이 가장 빈번하게 동작된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35.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홈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게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 중 그룹 제어가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설정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해 상기 등록된 그룹 설정 정보를 근거로 하는 그룹 제어 명령을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는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에 대한 제어 이력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으로 설정되는 사용자 단말.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정해진 시간 임계값 내에서 동작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특정 상황에서 함께 동작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39.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상호 관련성이 높은 순서로 추출된 홈 디바이스들의 리스트로부터 설정되는 사용자 단말.
  40.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정해진 시간 구간 내에서 동작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리스트로부터 설정되는 사용자 단말.
  41.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는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에 대한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룹 제어 명령은 상기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설정되는 사용자 단말.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제어를 위한 정보는 상기 다수의 홈 디바이스들에 대한 제어 이력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현재 동작 상태 정보는 상기 제어 이력을 토대로 설정된,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서, 디바이스별 세부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별 세부 동작 상태 정보는 해당 홈 디바이스들이 가장 빈번하게 동작된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43.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서버로부터 옥외의 환경 변화와 관련된 옥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옥외 정보를 근거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한 그룹 제어 명령을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정된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옥외 정보는 환경 정보, 재난 정보, 기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옥외 정보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푸시 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46.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옥외 정보는 상기 그룹 제어 명령에 미리 매핑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47.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된 옥외 정보와 매핑된 그룹 제어 명령이 존재하는 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매핑된 그룹 제어 명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된 옥외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그룹 제어 명령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48.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된 옥외 정보와 매핑된 그룹 제어 명령이 존재하는 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매핑된 그룹 제어 명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수신된 옥외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한 그룹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49.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수집된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해 그룹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된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50.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홈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들 및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옥외의 환경 변화와 관련된 옥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옥외 정보를 근거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한 그룹 제어 명령을 획득하며, 상기 결정된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 게이트웨이.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옥외 정보는 환경 정보, 재난 정보, 기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홈 게이트웨이.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옥외 정보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푸시 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홈 게이트웨이.
  53.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옥외 정보는 상기 그룹 제어 명령에 미리 매핑되는 홈 게이트웨이.
  54.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옥외 정보와 매핑된 그룹 제어 명령이 존재하는 지 확인하고, 상기 매핑된 그룹 제어 명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된 옥외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그룹 제어 명령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제어하는 홈 게이트웨이.
  5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옥외 정보와 매핑된 그룹 제어 명령이 존재하는 지 확인하고, 상기 매핑된 그룹 제어 명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수신된 옥외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한 그룹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동작을 더 제어하는 홈 게이트웨이.
  56.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 이력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근거로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해 그룹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그룹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을 더 제어하는 홈 게이트웨이.
KR1020140101652A 2013-11-21 2014-08-07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52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1246 WO2015076609A1 (en) 2013-11-21 2014-11-2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on group basis in a home network system
CN201480064024.1A CN105765899B (zh) 2013-11-21 2014-11-21 在家庭网络系统中基于组来控制家庭设备的方法和装置
US14/549,975 US9930519B2 (en) 2013-11-21 2014-11-2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on group basis based upon history of the home devices
EP14864084.0A EP3072257B1 (en) 2013-11-21 2014-11-2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on group basis in a home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2341 2013-11-21
KR1020130142341 2013-11-21
US201461975395P 2014-04-04 2014-04-04
US61/975,395 2014-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081A true KR20150059081A (ko) 2015-05-29
KR102252258B1 KR102252258B1 (ko) 2021-05-14

Family

ID=5339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652A KR102252258B1 (ko) 2013-11-21 2014-08-07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072257B1 (ko)
KR (1) KR102252258B1 (ko)
CN (1) CN105765899B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606B1 (ko) * 2015-06-15 2016-12-06 (주)엔텔스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17052168A1 (ko) * 2015-09-25 2017-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WO2017065418A1 (ko) * 2015-10-14 2017-04-20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37292A (ko) * 2016-06-03 2017-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WO2018199388A1 (ko) * 2017-04-27 2018-11-01 권오일 스마트 홈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9054631A1 (en) * 2017-09-13 2019-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20190059419A (ko) *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oT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0778549B2 (en) 2017-03-06 2020-09-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validating service control status
KR20210002604A (ko) * 2018-05-07 2021-01-08 구글 엘엘씨 자동 어시스턴트 루틴에 포함을 위한 자동 어시스턴트 액션 추천
US10895863B2 (en) 2016-01-06 2021-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1010522A1 (ko) * 2019-07-16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청 상황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2612B1 (ko) * 2021-04-13 2021-10-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데이터 통신방법
KR20210127893A (ko) * 2017-08-23 2021-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 액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9559B (zh) * 2017-11-02 2019-11-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控制设备的方法、装置和系统
CN109150877B (zh) * 2018-08-21 2021-03-19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用于对受控设备进行安全控制的方法和设备
CN109379328A (zh) * 2018-09-04 2019-02-22 北京云迹科技有限公司 语音网关的运行状态查询方法和装置
CN114114936A (zh) * 2021-11-10 2022-03-01 深圳市欧瑞博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灯具的分组方法、分组装置、智能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2369A1 (en) * 2000-11-28 2002-06-13 Koji Sasada Location registration control metho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20030233664A1 (en) * 2000-11-20 2003-12-18 Universal Electronics Inc., Cypress, Ca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controlling device
US20060259184A1 (en) * 2003-11-04 2006-11-1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317B1 (ko) * 2004-01-06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들에 대한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110019894A (ko) * 2009-08-21 2011-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10047764A (ko) *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21225B1 (ko) * 2010-09-28 201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JP2013081051A (ja) * 2011-10-04 2013-05-0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130339438A1 (en) * 2011-12-02 2013-12-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group based access control of machine to machine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3664A1 (en) * 2000-11-20 2003-12-18 Universal Electronics Inc., Cypress, Ca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controlling device
US20020072369A1 (en) * 2000-11-28 2002-06-13 Koji Sasada Location registration control metho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20060259184A1 (en) * 2003-11-04 2006-11-1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606B1 (ko) * 2015-06-15 2016-12-06 (주)엔텔스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17052168A1 (ko) * 2015-09-25 2017-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US10678420B2 (en) 2015-09-25 2020-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UI providing method therefor
WO2017065418A1 (ko) * 2015-10-14 2017-04-20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175812B2 (en) 2015-10-14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895863B2 (en) 2016-01-06 2021-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137292A (ko) * 2016-06-03 2017-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US10778549B2 (en) 2017-03-06 2020-09-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validating service control status
WO2018199388A1 (ko) * 2017-04-27 2018-11-01 권오일 스마트 홈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127893A (ko) * 2017-08-23 2021-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 액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9054631A1 (en) * 2017-09-13 2019-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US10887124B2 (en) 2017-09-13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1516040B2 (en) 2017-09-13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90059419A (ko) *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oT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02604A (ko) * 2018-05-07 2021-01-08 구글 엘엘씨 자동 어시스턴트 루틴에 포함을 위한 자동 어시스턴트 액션 추천
KR20220124819A (ko) * 2018-05-07 2022-09-14 구글 엘엘씨 자동 어시스턴트 루틴에 포함을 위한 자동 어시스턴트 액션 추천
US11749278B2 (en) 2018-05-07 2023-09-05 Google Llc Recommending automated assistant action for inclusion in automated assistant routine
WO2021010522A1 (ko) * 2019-07-16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청 상황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974010B2 (en) 2019-07-16 2024-04-3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one or more home appliances in consideration of viewing situation
KR102312612B1 (ko) * 2021-04-13 2021-10-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데이터 통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65899B (zh) 2019-04-12
EP3072257B1 (en) 2020-01-01
CN105765899A (zh) 2016-07-13
EP3072257A1 (en) 2016-09-28
KR102252258B1 (ko) 2021-05-14
EP3072257A4 (en) 201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738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52258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US99305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on group basis based upon history of the home devices
US110191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US1055832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home automation using a multifunction status and entry point icon
US20240121133A1 (en) Wireless internet of things, climate control and smart home system
US100025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s in home network system
US101197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IR-enabled appliances via networked device
US9547980B2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378555B1 (ko) 제어된 환경 내의 컴포넌트를 자동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20140129006A1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079329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에너지 소비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24813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852340B (zh) 集线器装置及其提供服务的方法
CN117957525A (zh) 层级移动应用启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