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967A -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의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것들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의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것들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967A
KR20050103967A KR1020057015909A KR20057015909A KR20050103967A KR 20050103967 A KR20050103967 A KR 20050103967A KR 1020057015909 A KR1020057015909 A KR 1020057015909A KR 20057015909 A KR20057015909 A KR 20057015909A KR 20050103967 A KR20050103967 A KR 20050103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acid
ascorbic acid
general formula
acid
polyunsaturated fat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6651B1 (ko
Inventor
하루카즈 후카미
Original Assignee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3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6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5/00Solidifying fatty oils, fats, or waxes by phys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0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4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by esterification of fats or fatty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23D9/04Working-up
    • A23D9/05Forming free-flowing pie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페이스트상이고, 물성이 바람직하지 못한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를 간편한 수단에 의해 분말화하는 방법, 및 분말화함으로써 안정성이 양호한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다음 일반식 (I):
RCO-A (I)
(식 중, RCO- 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 유래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A 는 아스코르브산의 수산기 유래의 -O- 에서 결합하는 아스코르브산의 잔기를 나타냄)
로 나타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수용성의 부형제의 수용액과 혼합하여 에멀전으로 한 후, 그 에멀전을 스프레이 드라이에 의해 탈수ㆍ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분말화 방법이다.

Description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것들의 조성물{PROCESS FOR PRODUCING POWDERED COMPOSITIONS CONTAINING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 ESTERS OF ASCORBIC ACID AND POWDERE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ESTERS}
본 발명은 고도 불포화 지방산에 있어서 산화 안정성을 향상시킨 프로체, 즉, 체내에서 고도 불포화 지방산으로 변환되는 물질이고, 동시에 비타민 C 의 프로체, 즉, 프로비타민 C 로서도 기능하는 하기 일반식 (I)
RCO-A (I)
(식 중, RCO- 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 유래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A 는 아스코르브산의 수산기 유래의 -O- 에서 결합하는 아스코르브산의 잔기를 나타냄)
로 나타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그 제조 공정이나 사용 형태에 있어서 그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분말화 방법 및 분말화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식 (I) 로 나타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 (이하,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음) 에, 부형제의 1 종인 수용성 다당의 수용액을 혼합하여 에멀전 상태로 한 후, 스프레이 드라이에 의해 탈수ㆍ건조시킴으로써 분말화하는 방법에 관하고, 또한, 해당 방법에 의해 분말화된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도 관한 것이다.
1. 고도 불포화 지방산에 관해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Poly-Unsaturated Fatty Acids (약칭으로서 PUFA 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음) 의 번역어로서, 또는, 다가 불포화 지방산이라고도 칭해지는 화합물이다.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란, 통상, 탄소수 18 에서 22 를 갖고, 또한, 불포화도가 2 에서 6 인 지방산을 나타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리놀레산 (탄소수 18; 불포화도 2) 으로부터 도코사헥사엔산 (DHA) (탄소수 22; 불포화도 6) 까지를 포함한다.
이들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 중, 도코사헥사엔산 (DHA) 이나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또한 α- 또는 γ-리놀렌산, 디호모-γ-리놀렌산 (DGLA), 아라키돈산 등은 생체 성분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각종 유용한 기능성도 알려져 있어 (예를 들어, 「뇌의 기능과 지질」 오쿠야마 하루미들 편, 학회 센터 간사이, 1997년;「기능성 지질의 개발」 사토 키요타카들 감수(監修), 1992년;「간장병과 치료 영양」와타나베 아키하루 외 저, 다이이찌 출판, 1992년), 그것들의 몇 개는 의약이나 식품, 건강 식품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들 고도 불포화 지방산류는, 통상은 유리산으로서가 아니라 글리세라이드나 인지질 등의 유지(油脂)의 형상으로 존재하고, 고도 불포화 지방산 함유 유지로서 사용되고 있다.
2. 비타민 C 에 관해서
한편, 비타민 C 는, 그 부족이 괴혈병의 주원인이 되는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거나, 생체내 항산화 물질로서 생체 내에서 생성되는 프리라디칼을 소거하거나, 시토크롬 C 의 철이온의 산화환원 반응에 관여하는 등의 생리 작용 이외에, 항암, 면역 부활, 콜레스테롤 생성 억제에 따르는 항동맥경화 등의 많은 작용이 알려져 있는 물질이다. 또한, 비타민 C 는, 피부과 영역에 있어서도 항산화나 콜라겐 합성 촉진 등에 기인하는 광노화 방지, 자외선 장애의 예방, 색소 침착의 억제 등의 작용을 갖는 것으로부터 화장품에 첨가되고 있다 (예를 들어, 프레그런스 저널, 25권, 3월호, 특집, 1997년). 또한, 산화 방지제로서도 식품이나 화장품에 첨가되고 있다.
3. 고도 불포화 지방산과 비타민 C 의 프로체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비타민 C 는, 전술한 바와 같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물질이지만, 어느 것도 산화 안정성에 부족한 물질이다. 그 때문에 비타민 C 에 관해서는, 생체내로 섭취 후 체내에서 비타민 C 로 변환되는 프로체 (프로비타민 C) 로의 유도의 연구가 활발히 실시되고 있다. 그와 같은 프로비타민 C 로서는, 지용성을 높인 항산화제로서 팔미토일이나 스테아릴의 6 위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나, 산화 안정성이 개선된 2-O-α-글루코피라노실아스코르브산, 2 위에 인산이나 황산이 결합된 것 등의 물질이 제조되고 있다. 또한, 고도 불포화 지방산과 비타민 C 를 조합하여 프로체를 제조하는 시도도 실시되고 있다. 이 중, 고도 불포화 지방산 유래의 아실기가 6 위치에 에스테르 결합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프로체로서 원래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 자체보다도 산화 안정성이 뛰어나, 유용하다고 되어 있다 (예를 들어, J. Am. Oil Chem. Soc.,제78권, 823페이지 (2001년)).
또한, 이러한 고도 불포화 지방산과 비타민 C 의 프로체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 유래의 기능과 아스코르브산 유래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기대될 뿐만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성질을 갖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고도 불포화 지방산 유래의 아실기가 6 위치의 수산기의 잔기에 에스테르 결합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중, 예를 들어, 6-O-도코사헥사엔일-아스코르베이트는 항부정맥 작용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39664호), 칼슘 길항작용 (국제공개공보 WO94/20092호), 항알레르기 작용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22627호) 을 나타나는 것, 또한, 6-O-γ-리놀레노일아스코르베이트가 알도스 리덕타아제 저해 작용을 갖고 (미국 특허 제6069168호), 스트렙토조토신에서 유발한 당뇨병 모델에 대해 유효한 것 등이 알려져 있다 (Diabetologia, 제39권, 1047페이지 (1996년).
4.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분말화 기술에 관해서
고도 불포화 지방산 함유 유지는, 액체 오일이나 반고체 (페이스트) 의 성상이기 때문에 산화되기 쉽고, 그 취급이 번거로운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리놀레산에 관해서는, 각종 계면 활성제의 존재 하에 말토덱스트린이나 아라비아 검, 대두 다당 등의 수용성 다당과 혼합하여 스프레이 드라이함으로써, 미크로 캡슐화 (분말화) 하는 기술이 있다. 얻어진 분말화된 리놀레산은 원래의 리놀레산에 비해 산화 안정성이 향상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J. Agr. Food Chem., 제50권, 3984페이지 (2002년); J. Microencapsulation, 제19권, 181페이지 (2002년)).
이러한 고도 불포화 지방산 함유 유지의 분말화 기술에 관해서는, 공개된 특허 출원에서 개시된 기술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28589호에서는, 단백질 혹은 다당류 또는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수용성 부형제를 사용하여 O/W 형 에멀전을 형성하여 분무 건조시키고, 얻어진 유지 분말 표면에 피복된 수용성 부형제를 산 또는 2 가의 금속에 의해 비수용성으로 변성시키고, 추가로 수용성 부형제 용액에 분산시켜 분무 건조시켜, 유지 분말 표면에 수용성 피복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장기간의 보존을 거쳐도 과산화물을 발생하기 어려워 보존성에 뛰어나며, 물에 분산시키기 쉬워 취급이 간편한 분말을 얻을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13057호에서는, 부형제로서 탈지(脫脂) 대두를 사용하고 있고, 특히 고도 불포화 지방산 함유 유지 분말의 산화 안정성에 유효하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99056호에서는, EPA 또는 DHA 함유 분말 제제를 얻는데, DHA 및 DHA 를 10중량% 이상 함유하는 유지 및/또는 리놀렌산 5중량% 이상을 함유하고, 부형제로서 식물 섬유 2∼20중량% 와 전분 가수 분해물 또는 저당화 환원 전분 분해물 10∼70중량%, 및 항산화제 0.01∼5중량% 를 병용하여 사용하여 수중 유형 유화액을 제조하여 진공 건조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35584호에 의하면, 유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스코르브산 0.0001∼1중량부와 시트르산, 시트르산염, 말산, 말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0.0001∼1중량부 첨가한 유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당해 유지류를 유화하여 W/0형 에멀전을 형성하고, 추가로 수상으로 용해하여 유중 수형 에멀전으로서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방법은, 어느 것이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유지의 분말화 기술의 일부이지만,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유지 자체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스코르브산ㆍ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스테르와는 물성이 다르기 때문에, 아스코르브산ㆍ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스테르의 분말화에 있어서, 기술적으로 참고 할 수 있는 점은 한정되어 있다. 또한, 분말화의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여분의 첨가물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보다 번잡하고 또한 복잡한 공정을 거치지 않으면 안되어, 즉시 아스코르브산ㆍ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스테르의 분말화에 응용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는 말할 수 없는 것이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불포화도가 3 이상인 고도 불포화 지방산, 특히 DHA, 아라키돈산, DGLA 등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는 결정되기 어렵고, 페이스트상이 되어 취급이 어려워, 이러한 성상에서는 의약품이나 식품으로서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들의 화합물에 관해서, 특정한 제제나 조성물을 제조하는 선행 기술 문헌을 참조하더라도, 예를 들어, 6-O-도코사헥사엔일-아스코르베이트가 기재되어 있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39664호나 국제 공개공보 WO94/20092호에서, 경구제에 사용되는 부형제로서 일반적인 것 (예를 들어, 전분, 유당, 결정 셀룰로오스 등) 을 들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물성상의 결점을 극복한 제조 공정에 관한 언급은 없다. 또한, 6-O-γ-리놀레노일-아스코르베이트가 기재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6069168호에서는, 정제(錠劑)로 할 때의 부형제에 관해서는 아무런 구체적인 기재가 없는 것 등, 본 기술 분야에서 적절한 분말화 기술이 확립되어 있는 현상은 아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페이스트상이고, 물성이 바람직하지 못한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를 간편한 수단에 의해 분말화하는 방법, 및 분말화된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 은 실시예 4 의 시험의 결과를 나타나는 그래프이다.
그래프 중의 기호는 이하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 실시예 1 에서 얻은 아라비아 검에 의한 6-O-아라키도노일-아스코르베이트의 분말 (미크로 캡슐) 의 결과.
■: 대조로서의 아라비아 검에 의한 아라키돈산의 분말의 결과.
△: 실시예 2 에서 얻은 대두 다당 [Soyafibe (등록 상표)] 에 의한 6-O-아라키도노일-아스코르베이트의 분말의 결과.
▲: 대조로서의 대두 다당 [Soyafibe (등록 상표)] 에 의한 아라키돈산의 분말의 결과.
○: 실시예 3 에서 얻은 말토덱스트린 (파인덱스#100) 에 의한 6-O-아라키도노일-아스코르베이트의 분말의 결과.
●: 대조로서의 말토덱스트린 (파인덱스#100) 에 의한 아라키돈산의 분말의 결과.
◇: 분말화하지 않은 6-O-아라키도노일-아스코르베이트 자체의 결과.
◆: 분말화하지 않은 아라키돈산 자체의 결과.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는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를 부형제의 1 종인 수용성 다당의 수용액과 혼합하여 에멀전으로 한 후, 스프레이 드라이로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제공된다. 그 결과, 얻어진 분말화 (미크로 캡슐화) 된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는, 그 취급이 용이한 것으로 되는 것뿐만 아니라,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자체의 산화 안정성도 현저히 향상되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분말화된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에 의해,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각종의 제형, 예를 들어, 정제나 소프트 또는 하드 캡슐제를 만드는 때에도 대단히 유용하며, 의약품이나 식품 또는 화장품의 분야에서 실용적인 제조 기술로서 응용이 기대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의 뛰어난 분말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은, 비타민 C 의 뛰어난 생리 기능을 보유하고, DHA 나 EPA, 아라키돈산 등으로 대표되는 것과 같은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생체 성분으로서의 생리 기능도 보유하는, 산화 안정성이 우수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프로체임과 동시에, 프로비타민 C 로서도 기능하는 듀얼프로체라고 할 수 있는 물질이다. 따라서,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의 분야에서 각종 응용이 기대되고 있었지만,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페이스트상으로 되어 물성면에서 취급이 매우 곤란한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에 의해 그 분말상으로 하는 방법을 예의 검토한 결과, 부형제의 1 종으로서 수용성 다당을 선택하고, 그 수용액과 혼합하여 에멀전으로 한 후, 스프레이 드라이하고 건조함으로써, 간편하고 적절한 분말화 방법을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놀라운 것은 그것들의 분말상의 물질은, 원래의 페이스트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빈산 에스테르에 비하여 훨씬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판명되어,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구체적 양태를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양태는 이들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 유래의 아실기가 6 위치에 에스테르 결합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에 관해서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과 아스코르브산의 디시클로헥실이소우레카르보디이미드 등의 통상의 탈수제에 의한 축합에 의한 방법으로,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산클로라이드를 아스코르브산과 처리함으로써,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069168호). 또한, 고도 불포화 지방산과 아스코르브산을 아세톤 등의 유기 용제 중에서 리파아제를 사용하여 처리하여 효소적으로 합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J. Am. Oil Chem. Soc., 제78권, 823페이지 (2001년)). 또한, 얻어진 화합물은 필요에 따라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정제할 수도 있다.
얻어진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분말화를 실시할 때에는, 부형제의 1 종인 수용성 다당의 수용액과 혼합하기 전에, 필요에 따라 올레산 메틸과 같은 장쇄 지방산 또는 그 에스테르 또는 올리브유 등과 같은 유지를 희석제로서 혼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화합물의 성상에 의해서는, 희석제를 사용하지 않고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 단독으로 부형제와 혼합해도 된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즉,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희석제와의 혼합 중량비는 1:1 에서 1: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1:3 에서 1:10 이다. 희석제로는, 지방산 에스테르나 유지 대신에, 미셀 구조를 취할 수 있는 계면 활성제, 예를 들어, 식품에 사용되는 지방산의 모노글리세리드인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이나 슈거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대두 레시틴 등을 동일한 비율로 첨가해도 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부형제와 혼합하여 에멀전을 형성한다. 부형제로는 미리 물에 용해한 수용성 다당을 사용한다. 수용성 다당의 예로는, 덱스트린, 특히 말토덱스트린이나 가용성 전분, 아라비아 검, 또는 대두 유래의 다당, 예를 들어, 후지제조 오일로부터 제조 판매되고 있는 상품명 「소야파이브 (Soyafibe)」 등이 있지만, 수용성의 다당류이면 이들에 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유지성의 혼합물, 즉,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 혹은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희석제와의 혼합물과, 부형제와의 혼합 중량비는 1:2∼1:100 의 비율, 바람직하게는 1:2∼1:20 의 비율이 되도록 혼합하여, 호모게나이저 등으로 강하게 교반하여 에멀전 (분산상이 오일 방울인 O/W 형의 에멀전) 으로 한다.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희석제와의 혼합물과, 부형제와의 혼합 중량비에 관해서는, 1:1 보다도 유지량이 많아지면 분말화가 잘 되지 않을 위험이 있다. 또한, 에멀전에서의 오일 방울의 크기는 0.1 에서 5㎛ 로 하는 것이 좋다. 이 오일 방울의 사이즈는 더 작아도 되지만, 5㎛ 이상에서는 에멀전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그다지 적절하지 않다. 또한, 사이즈가 작으면 작을수록 산화되기 어려운 좋은 분말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오일 방울의 사이즈는 0.01 에서 1㎛ 이다.
얻어진 에멀전을 스프레이 드라이어 (100∼200℃) 로 건조시키면 분말화된다. 즉, 미크로 캡슐화된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를 얻을 수 있다. 건조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사용하는 분무 건조법은, 다른 건조법, 즉, 드럼 건조법, 진공 동결 건조법, 진공 건조법 (드럼식, 연속 벨트식) 에 비하여 가장 간편하게 분말화를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6-O-아라키도노일-아스코르베이트 미크로 캡슐 분말을 공기 존재하, 37℃, 습도 12% 에서 30일 방치하여, 분말체의 산화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후에 기술하는 실시예 4 를 참조). 30일간 중, 적당한 간격으로 샘플을 취득, 가수 분해 후 아라키돈산 메틸에스테르로 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서 산화되어 있지 않은 아라키돈산 량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에 나타내었다.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어떠한 다당에 의한 분말화에서도 그 안정성은 개선되어 있고, 특히, 아라비아 검이나 대두 다당을 사용한 경우에는 우수한 산화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상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각종 생리적인 기능을 가지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분말화 방법이 제공되고, 또한 분말화된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에 관해서는 산화에 대하여 불안정한 고도 불포화 지방산에 비교하여, 현저히 산화 안정성이 있는 조성물이 얻어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은,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의 의약품, 식품, 건강 식품 또는 화장품으로서의 이용을 쉽게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다음의 일반식 (I) :
RCO-A (I)
(식 중, RCO- 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 유래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A 는 아스코르브산의 수산기 유래의 -O- 에서 결합하는 아스코르브산의 잔기를 나타냄)
로 나타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수용성의 부형제의 수용액과 혼합하여 에멀전으로 한 후, 그 에멀전을 스프레이 드라이에 의해 탈수ㆍ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분말화 방법.
(2) 상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미리 희석제와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추가로 수용성의 부형제의 수용액과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1) 에 기재된 방법.
(3) 상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과 희석제의 혼합 중량비가 1:1 에서 1:100 의 비율인 (2) 에 기재된 방법.
(4) 상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과 희석제의 혼합 중량비가 1:3 에서 1:10 의 비율인 (3) 에 기재된 방법.
(5) 상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 또는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과 희석제의 혼합물과, 부형제 수용액과의 혼합 중량비가 1:1 에서 1:100 의 비율인 (1) 내지 (4) 에 기재된 방법.
(6) 상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 또는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과 희석제의 혼합물과, 부형제 수용액과의 혼합 중량비가 1:2 에서 1:20 의 비율인 (5) 에 기재된 방법.
(7) 수용성의 부형제가 수용성 다당인 (1) 에서 (6) 에 기재된 방법.
(8) 수용성 다당이 말토덱스트린, 아라비아 검, 가용성 전분 및 대두 다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7) 에 기재된 방법.
(9) 희석제가 장쇄 지방산 또는 그 에스테르, 계면 활성제 또는 액체 유지류인 (2) 내지 (6) 에 기재된 방법.
(10) 희석제가 올레산 메틸, 올레산, 리놀레산, 올리브유, 대두 레시틴,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및 지방산 슈거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9) 에 기재된 방법.
(11) 상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에 있어서, A 가 아스코르브산의 6 위치의 수산기 유래의 잔기인 (1) 내지 (10) 에 기재된 방법.
(12) 상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에 있어서, RCO- 가 아라키돈산, 디호모-γ-리노레논산 및 도코사헥사엔산 유래의 아실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1) 내지 (11) 에 기재된 방법.
(13) 상기한 (1) 내지 (12)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분말화된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이하, 실시예에 기인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참고예로서 각종 고도 불포화 지방산 유래의 아실기가 6 위치에 에스테르 결합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제조예도 병기한다.
참고예 1: 6-O- 아라키도노일 - 아스코르베이트의 합성
아라키돈산 (2.0g, 6.6mmol) 을 벤젠 (20ml) 에 용해하고, 옥살릴클로라이드 (5.4ml, 7.9mmol) 을 첨가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2.5 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감압 농축하여, 유상의 아라키돈산 클로라이드를 얻었다. 한편, N-메틸피롤리돈 (15ml) 의 4N-HCl/디옥산 (2.4ml) 혼합액에, L-아스코르브산 (1.4g, 7.9mmol) 을 넣어 빙랭하였다. 이 용액에, 앞서 조제한 아라키돈산 클로라이드의 염화 메틸렌 용액 (약 2ml) 을 넣어, 빙랭하,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물을 넣어 아세트산 에틸에 의해 추출하였다. 아세트산 에틸층을 수세 (2회) 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용출액: 메탄올/염화메틸렌 (메탄올이 1%∼20% 의 그레디언트)], 감압 건고하여, 페이스트상의 표기 화합물 (2.7g, 90% 수율) 을 얻었다.
참고예 2: 6-O- 디호모 -γ- 리놀레노일 - 아스코르베이트의 합성
디호모-γ-리놀렌산 (2.0g, 6.6mmol) 을 사용하여, 참고예 1 과 동일한 처리를 실시하여, 페이스트상의 표기 화합물 (2.43g, 80% 수율) 을 얻었다.
참고예 3: 6-O- 도코사헥사엔일 - 아스코르베이트의 합성
도코사헥사엔산 (2.0g, 6.1mmol) 을 사용하여, 참고예 1 과 동일한 처리를 실시하여, 페이스트상의 표기 화합물 (2.5g, 84% 수율) 을 얻었다.
실시예 1: 아라비아 검에 의한 6-O- 아라키도노일 - 아스코르베이트의 분말화
아라비아 검 (6.75g) 을 45ml 의 온수에 용해하였다. 한편, 6-O-아라키도노일-아스코르베이트 1중량부에 대하여 올레산 메틸 4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 (0.675g) 을 아라비아 검 (San-eigen:FFI 제조) 의 용액에 첨가하여, 호모게나이저 (폴리트론 PT20SK, 키네마치카사 제조) 에서 1분간 강력히 교반하여 에멀전을 얻었다. 얻어진 에멀전의 오일 방울 사이즈의 평균 직경은 0.48㎛ 이였다 (파티클 사이즈 분석기: SALD-2100, 시마즈 제작소 제조). 이 에멀전을 천천히 교반하면서 LB-8 스프레이 드라이어 (오카와라사 제조) 에 3.0kg/hr 의 속도에서 3 만 회전의 원심 분무기로 분무화하여 주입하였다. 주입구의 온도는 200℃, 배출구의 온도는 100∼110℃ 이고, 공기의 유속은 약 7.5m2/분이었다. 생성된 분말 (미크로 캡슐) 을 사이클론에 모아, 목적으로 하는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2: 대두 다당에 의한 6-O- 아라키도노일 - 아스코르베이트의 분말화
대두 다당 [Soyafibe (등록 상표), 후지 오일 (주) 로부터 구입] (6.75g) 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목적으로 하는 분말 (미크로 캡슐) 을 얻었다.
실시예 3: 말토덱스트린에 의한 6-O- 아라키도노일 - 아스코르베이트의 분말화
말토덱스트린 (파인덱스#100: 마쯔타니 화학사 제조) (6.75g) 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목적으로 하는 분말 (미크로 캡슐) 을 얻었다.
실시예 4: 미크로 캡슐 중의 6-O- 아라키도노일 - 아스코르베이트의 아라키돈산 부분의 산화 안정성의 확인 시험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분말 (미크로 캡슐) (각 240mg) 을 평저 유리 용기 (내경 1.5cm/높이 3.0cm) 에 넣고, 리튬클로라이드 수용액에 의해 12% 의 습도로 유지하여, 37℃ 의 조건 하에서 저장하였다. 적당한 간격으로 컵을 꺼내어, 미크로 캡슐 중의 6-O-아라키도노일-아스코르베이트를 가수 분해하고, 계속해서 메틸에스테르화시켜, 미(未)산화 아라키돈산의 양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GC-14B: 시마즈 제작소 제조) 로 분석 정량하였다. 정량은 미리스틴산 메틸을 내부 표준으로하여 실시하였다. 30일간의 아라키돈산의 잔존비 [시험 개시일 (0일) 의 아라키돈산의 양을 1.0 으로 한다] 의 변화를 도 1 에 나타내었다.
또, 대조로서 각 실시예에서 사용한 아라비아 검, 대두 다당 [Soyafibe (등록 상표)] 및 말토덱스트린 (파인덱스#100) 을 사용하여 아라키돈산을 분말화한 미크로 캡슐을 동일하게 시험하고, 또한, 분말화하지 않는 아라키돈산 및 6-O-아라키도노일-아스코르베이트를 동일하게 시험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정리하여 도 1 에 나타내었다.
도면 중에 나타낸 결과로부터도 판명되는 바와 같이, 아라비아 검 및 대두 다당에 의해 미크로 캡슐화된 6-O-아라키도노일-아스코르베이트 아라키돈산은, 30일 후에 80% 의 잔존율이였지만, 미크로 캡슐화되어 있지 않은 6-O-아라키도노일-아스코르베이트에서는 잔존율은 30% 정도로 낮아, 미크로 캡슐화된 6-O-아라키도노일-아스코르베이트가 높은 산화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미크로 캡슐화되어 있지 않은 아라키돈산 자체는, 수 시간에 소실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상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의약품, 식품, 건강 식품 또는 화장품의 분야에서 응용이 기대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의 분말화 방법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를 필요에 따라 희석제와 혼합 후, 부형제의 1 종인 수용성 다당의 수용액과 혼합하여 에멀전으로 한 후, 스프레이 드라이하고 건조시켜 취급이 용이한 분말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산화 안정성이 향상된 고도 불포화 지방산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및 그것들을 함유하는 분말 조성물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의 분말 조성물은, 분말화에 의하여 현저히 그 산화 안정성이 향상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ㆍ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의 분말 조성물은, 의약품, 식품, 건강 식품 또는 화장품의 분야에서의 응용이 기대되고, 그 응용성은 막대한 것이다.

Claims (13)

  1. 다음의 일반식 (I) :
    RCO-A (I)
    (식 중, RCO- 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 유래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A 는 아스코르브산의 수산기 유래의 -O- 에서 결합하는 아스코르브산의 잔기를 나타냄)
    로 나타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수용성의 부형제의 수용액과 혼합하여 에멀전으로 한 후, 그 에멀전을 스프레이 드라이에 의해 탈수ㆍ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분말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미리 희석제와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추가로 수용성의 부형제의 수용액과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과 희석제의 혼합 중량비가 1:1 에서 1:100 의 비율인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과 희석제의 혼합 중량비가 1:3 에서 1:10 의 비율인 방법.
  5. 제 1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 또는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과 희석제의 혼합물과, 부형제 수용액과의 혼합 중량비가 1:1 에서 1:100 의 비율인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 또는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과 희석제의 혼합물과, 부형제 수용액과의 혼합 중량비가 1:2 에서 1:20 의 비율인 방법.
  7. 제 1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의 부형제가 수용성 다당인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수용성 다당이 말토덱스트린, 아라비아 검, 가용성 전분 및 대두 다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9. 제 2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희석제가 장쇄 지방산 또는 그 에스테르, 계면 활성제 또는 액체 유지류인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희석제가 올레산 메틸, 올레산, 리놀레산, 올리브유, 대두 레시틴,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및 지방산 슈거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1. 제 1 내지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에 있어서, A 가 아스코르브산의 6 위치의 수산기 유래의 잔기인 방법.
  12. 제 1 내지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에 있어서, RCO- 가 아라키돈산, 디호모-γ-리노레논산 및 도코사헥사엔산 유래의 아실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3. 제 1 항 내지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분말화된 일반식 (I) 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0057015909A 2003-02-28 2004-02-27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의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것들의 조성물 KR100936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52701A JP4153330B2 (ja) 2003-02-28 2003-02-28 高度不飽和脂肪酸のアスコルビン酸エステル化合物の粉末組成物の製造法およびそれらの組成物
JPJP-P-2003-00052701 2003-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967A true KR20050103967A (ko) 2005-11-01
KR100936651B1 KR100936651B1 (ko) 2010-01-14

Family

ID=3292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909A KR100936651B1 (ko) 2003-02-28 2004-02-27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의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것들의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989642B2 (ko)
EP (1) EP1598413B1 (ko)
JP (1) JP4153330B2 (ko)
KR (1) KR100936651B1 (ko)
CN (1) CN1753980B (ko)
AT (1) ATE462778T1 (ko)
AU (1) AU2004215531B2 (ko)
CA (1) CA2517075C (ko)
DE (1) DE602004026278D1 (ko)
DK (1) DK1598413T3 (ko)
ES (1) ES2340680T3 (ko)
HK (1) HK1088924A1 (ko)
SG (1) SG114343A1 (ko)
WO (1) WO20040766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6795A (ja) * 2004-08-18 2006-03-02 Suntory Ltd 6−o−pufaアスコルビン酸エステルを含有する皮膚化粧料並びに飲食品
ES2318814T3 (es) * 2006-09-22 2009-05-01 Cognis Ip Management Gmbh Polvo que contiene acidos grasos poliinsaturados.
US20110151525A1 (en) * 2009-12-23 2011-06-23 Muhammad Kaiyal Enzymatic produc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s esters of ascorbic acid in solvent-free system
JP6095998B2 (ja) * 2013-02-15 2017-03-15 理研ビタミン株式会社 粉末状l−アスコルビン酸脂肪酸エステル製剤の製造方法
US20150374660A1 (en) * 2013-02-26 2015-12-31 Jiva Pharma, Inc. Ascorbate Esters of Omega-3 Fatty Acids and Their Formulations and Uses
CA2961699C (en) * 2014-09-23 2022-10-11 Jost Chemical Co. Fatty acid composition and method for fortifying nutritional products with fatty acids
JP7018771B2 (ja) * 2018-01-17 2022-02-14 ミヨシ油脂株式会社 粉末油脂、及び粉末油脂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2627A (ja) 1992-10-13 1994-05-06 Sagami Chem Res Center 抗アレルギー点眼液
JPH06228589A (ja) 1993-02-04 1994-08-16 Ueda Seiyu Kk 粉末状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63634A (ja) 1993-03-10 1994-09-20 Sagami Chem Res Center カルシウム拮抗薬
JP3222314B2 (ja) 1994-05-20 2001-10-29 池田食研株式会社 高度不飽和脂肪酸含有油脂粉末の製造方法
AU711482B2 (en) * 1994-06-28 1999-10-14 Scotia Holdings Plc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JP3941073B2 (ja) 1996-03-01 2007-07-04 日本油脂株式会社 油脂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食品
JPH1099046A (ja) 1996-09-30 1998-04-21 Nof Corp 粉末組成物の製造方法
JPH10139664A (ja) 1996-11-12 1998-05-26 Sagami Chem Res Center 抗不整脈薬
EP1066761B1 (en) * 1999-07-06 2004-09-29 DSM IP Assets B.V. Compositions containing fat-soluble substances in a carbohydrate matrix
KR20050011741A (ko) * 2002-04-11 2005-01-29 메드이뮨 백신즈 인코포레이티드 분무 건조에 의한 생물학적 활성 물질의 보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53980A (zh) 2006-03-29
US20060160891A1 (en) 2006-07-20
JP4153330B2 (ja) 2008-09-24
JP2004263002A (ja) 2004-09-24
SG114343A1 (en) 2008-02-29
ATE462778T1 (de) 2010-04-15
CN1753980B (zh) 2013-03-20
CA2517075C (en) 2011-06-28
AU2004215531A1 (en) 2004-09-10
EP1598413A4 (en) 2006-12-27
AU2004215531B2 (en) 2009-09-10
DE602004026278D1 (de) 2010-05-12
US7989642B2 (en) 2011-08-02
HK1088924A1 (en) 2006-11-17
DK1598413T3 (da) 2010-05-25
ES2340680T3 (es) 2010-06-08
EP1598413A1 (en) 2005-11-23
CA2517075A1 (en) 2004-09-10
EP1598413B1 (en) 2010-03-31
WO2004076603A1 (ja) 2004-09-10
KR100936651B1 (ko)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6985A (en) Microcapsules of oily liquid
US20070213298A1 (en) Omega 3
Hu et al. Stability of resveratrol esters with caprylic acid during simulated in vitro gastrointestinal digestion
PT2429317T (pt) Composições ricas em ácidos gordos ómega-3 com um teor baixo de ácido fitânico
EP2654463B1 (en) Antioxidants in fish oil powder and tablets
KR20090046773A (ko) 개선된 쉘을 가지는 마이크로캡슐
EA012371B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микрокапсулы статинов, суспендированные в алкиловых эфирах полиненасыщенных жирных кислот (pufa )
JP2011530302A (ja) バイオマス由来の1種又は複数の長鎖多価不飽和脂肪酸リン脂質を含む油
Hu et al. Exploring in vitro release and digestion of commercial DHA microcapsules from algae oil and tuna oil with whey protein and casein as wall materials
JP2008179619A (ja) アスタキサンチン含有組成物
KR100936651B1 (ko)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 화합물의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것들의 조성물
US7456304B2 (en) Method for improving conversion rate of oil soluble unsaturated lipids into water-soluble lipids
JP5847475B2 (ja) 油脂含有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経口製剤
KR20030053484A (ko) 염기성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수용성 지질복합체 및 이의제조방법
JP2003183692A (ja) 不飽和脂肪酸含有油脂粉末
Mendoza Enrichment of vegetable oils with phenolic antioxidants for food applications
JP4594489B2 (ja) 特異的殺癌細胞剤及びこれを配合してなる組成物
JP7367275B2 (ja) 油性組成物
JP2000086425A (ja) 美白剤およびこれを配合してなる美白用組成物
WO1987007263A1 (en) Composition containing linolenic acid compound
JP2000072670A (ja) マイクロカプセル並びに錠剤、食品用及び医薬品用配合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